

본 발명은 식품포장용 성형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ed film for food packaging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최근 식생활의 서구화와 맞벌이의 증가 및 고령자 가구, 1인 가구 등의 증가로 인하여 가공 식품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demand for processed foods is increasing due to the westernization of eating habits, the increase in dual-income households, elderly households, and single-person households.
그러나, 가공 식품이 용기에 포장된 이후 가공과정, 유통과정 및 이용과정을 거치는 동안 수분 및 산소 등으로 인해 식품의 변질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나므로, 산소차단성을 갖는 포장 용기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since there are frequent cases where food spoilage problems occur due to moisture and oxygen during the processing, distribution, and use processes after processed food is packaged in a container, the use of packaging containers with oxygen barrier properties is required.
특히 식품 포장용 용기의 경우에는 대부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스티렌(PS) 및 폴리프로필렌(PP)등으로 구성되는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PET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PET용 수축필름의 경우에는 대부분 외국으로부터 고가에 수입하고 있으므로 비용상승 및 공급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ontainers for food packaging, containers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styrene (PS), and polypropylene (PP) are mostly used. However, in the case of PET shrink films for use in PET containers, most of them are imported from overseas at high prices, so there are problems of increased costs and low supply stability.
또한, PET 용기를 식품 포장용 필름 또는 육가공 식품 포장용 필름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외부 충격에 약하고, 수분에 약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PET 용기를 폴리프로필렌(PP) 용기로 대체하려는 시도가 존재하나, PP 용기로 대체하기 위해서는 산소차단성, 투명성, 방담성, 수축성이 우수하며, 특히 PP 용기와의 실링(Sealing) 강도가 우수한 식품 포장용 필름의 개발이 필요하다.In addition, when PET containers are used as food packaging films or meat processing food packaging films, there are problems such as being weak to external impacts and moisture. Accordingly, there are attempts to replace PET containers with polypropylene (PP) containers, but in order to replace them with PP containe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food packaging film that has excellent oxygen barrier properties, transparency, anti-fogging properties, shrinkage properties, and especially excellent sealing strength with PP containers.
기존 PET 용 필름의 경우에는 용기와 접착하는 필름의 접착면이 폴리에틸렌(PE)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를 PP 용기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접착강도가 낮기 때문에 사용이 어렵다. 이에 따라, PP 용기와의 접착 강도를 높이기 위해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였다.In the case of existing PET films, the adhesive surface of the film that adheres to the container is composed of polyethylene (PE), and when applied to PP containers, it is difficult to use because the adhesive strength is low. Accordingly, polypropylene was used to increase the adhesive strength with PP containers.
하지만, 단순히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경우 산소 차단성이 낮고, 호모 폴리프로필렌(homo PP)의 경우 수축률이 낮으며, 표면장력이 낮아 수분으로 인한 물방울이 맺히는 현상이 나타나므로 방담(防曇, anti-fog) 특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simply using polypropylene, there were problems such as low oxygen barrier properties, low shrinkage in the case of homo polypropylene (homo PP), low surface tension, and low anti-fog properties due to the phenomenon of water droplets forming due to moisture.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의 깊이가 50mm인 용기를 제조함에 있어, EVOH 공압출 필름인 열성형필름을 균일하게 성형함으로써, 산소 차단성이 우수하고 성형 중에 찢어지지 않으며, 금형에 눌어붙지 않고, 기 설계된 형태로 제조함과 동시에 식품 보존력이 우수한 용기를 제조할 수 있는 식품포장용 성형필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is to provide a food packaging molding film which, when manufacturing a container having a depth of 50 mm, can be manufactured by uniformly molding a thermoforming film, which is an EVOH coextrusion film, thereby having excellent oxygen barrier properties, not tearing during molding, not sticking to a mold, and manufacturing a container in a designed shape, while having excellent food preservation properties.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성형필름의 상하에 열경화필름을 압출 라미네이션으로 합지함으로써, 내열성형 강도를 대폭 증가시키고, EVOH 레이어의 변형을 최소화시켜 1cc/m2.day.atm 의 산소 투과도를 유지하여 식품 보존기간을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식품포장용 성형필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packaging molded film that can significantly increase heat-resistant molding strength by extrusion laminating a thermosetting film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a thermoforming film, minimize deformation of an EVOH layer, and thereby maintain an oxygen permeability of 1 cc/m2.day.atm, thereby improving the food preservation period.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which aims to solve the above problem, has the following structure and feature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품포장용 성형필름에 따르면, 제1열경화필름; 상기 제1열경화필름의 상부에 적층되는 열성형필름; 및 상기 열성형필름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2열경화필름;을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ood packaging molding film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purpose comprises: a first thermosetting film; a thermoforming film laminated on top of the first thermosetting film; and a second thermosetting film laminated on top of the thermoforming film.
또한, 상기 제1열경화필름 및 제2열경화필름은, CPR 필름(casted polypropylene for Retort)으로서, 터폴리머(TER polymer)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heat-curing film and the second heat-curing film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CPR films (casted polypropylene for Retort) and made of TER polymer.
또한, 상기 제1열경화필름과 열성형필름 중 어느 하나의 필름에 용융된 폴리머를 박막형태로 압출시키고, 마주하는 상기 제1열경화필름과 열성형필름을 압착시켜 제1열경화필름 상부에 열성형필름을 합지시키고, 제1열경화필름이 적층된 열성형필름과 제2열성형필름 중 어느 하나의 필름에 용융된 폴리머를 박막형태로 압출시키고, 마주하는 상기 열성형필름과 제2열경화필름을 압착시켜 열성형필름의 상부에 제2열경화필름을 합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molten polymer is extruded in a thin film form onto one of the first thermosetting film and the thermoforming film, the first thermosetting film and the thermoforming film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to laminate the thermoforming film on top of the first thermosetting film, and a molten polymer is extruded in a thin film form onto one of the thermoforming films on which the first thermosetting film is laminated and the second thermoforming film, and the thermoforming film and the second thermoforming film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to laminate the second thermosetting film on top of the thermoforming film.
또한, 산소 투과도는, 0.5cc/m2.day.atm~1.5cc/m2.day.at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xygen permeability is characterized as being 0.5 cc/m2.day.atm to 1.5 cc/m2.day.atm.
또한, 상기 제1열경화필름과 열성형필름 및 제2열경화필름의 두께는, 220~26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first heat-curing film, the heat-forming film, and the second heat-curing film is characterized by being 220 to 260 ㎛.
또한, 상기 열성형필름은 EVOH 공압출 필름으로서, 제1PE(Polyethylene)레이어, 제1NY(Nylon)레이어, EVOH(Ethylene Vinyl Alcohol)레이어, 제2NY(Nylon)레이어, 제2PE(Polyethylene)레이어가 공압출에 의해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hermoformed film is an EVOH coextrusion film,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multilayer structure formed by coextrusion of a first PE (polyethylene) layer, a first NY (nylon) layer, an EVOH (ethylene vinyl alcohol) layer, a second NY (nylon) layer, and a second PE (polyethylene) layer.
또한, 상기 EVOH 공압출 필름은, 마주하는 레이어 사이에 용융된 폴리머가 도포되고, 마주하는 레이어와 합지되면서 공압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VOH co-extruded film is characterized in that a molten polymer is applied between opposing layers and co-extruded while being laminated with the opposing layers.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용기의 깊이가 50mm인 용기를 제조함에 있어, EVOH 공압출 필름인 열성형필름을 균일하게 성형함으로써, 산소차단성이 우수하고 성형 중에 찢어지지 않으며, 금형에 눌어붙지 않고, 기 설계된 형태로 제조함과 동시에 식품 보존력이 우수한 용기를 제조할 수 있는 식품포장용 성형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xamined above is that, when manufacturing a container having a depth of 50 mm, a thermoforming film, which is an EVOH coextrusion film, is uniformly formed, thereby providing a food packaging molding film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hich can manufacture a container having excellent oxygen barrier properties, is not torn during molding, is not pressed against a mold, is manufactured in a designed shape, and has excellent food preservation properties.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열성형필름의 상하에 열경화필름을 압출 라미네이션으로 합지함으로써, 내열성형 강도를 대폭 증가시키고, EVOH 레이어의 변형을 최소화시켜 1cc/m2.day.atm 의 산소 투과도를 유지하여 식품 보존기간을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식품포장용 성형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by laminating a thermosetting film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a thermoforming film by extrusion lamination, the heat-resistant forming strength i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deformation of the EVOH layer is minimized, thereby maintaining an oxygen permeability of 1 cc/m2.day.atm, thereby improving the food preservation period,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an be provided for forming a food packaging film.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품포장용 성형필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품포장용 성형필름의 열성형필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lded film for food packag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ermoforming film of a food packaging forming fil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thus, embodiments (aspects) (or examples) ar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only used to describe particular implementations (modes, aspects) (or example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rms such as “comprises” or “consists of”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wi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by the manufacturing order. The names may not be consistent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claim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cases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e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only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식품포장용 성형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for explaining a molded film for food packaging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성형필름은, 제1열경화필름(10), 열성형필름(20) 및 제2열경화필름(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food packaging mold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eat-curing film (10), a heat-forming film (20), and a second heat-curing film (30).
먼저, 제1열경화필름(10)과 제2열경화필름(30)은 CPR 필름(casted polypropylene for Retort)일 수 있다.First, the first heat-curing film (10) and the second heat-curing film (30) may be CPR films (casted polypropylene for Retort).
즉, CPR 필름(casted polypropylene for Retort)은 터폴리머(TER polymer)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후술할 열성형필름(20)의 상하에 적층될 수 있다.That is, the CPR film (casted polypropylene for Retort) is made of TER polymer and can be lamina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thermoforming film (20) described later.
터폴리머는 세 가지 다른 모노머로 구성된 폴리머 유형이다.Terpolymers are a type of polymer made up of three different monomers.
이때, 터폴리머는 프로필렌-에틸렌의 공중합체이며, (i) 프로필렌, (ii) 에틸렌 및 (iii) 탄소수 4 내지 1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terpolymer is a copolymer of propylene-ethylene, and may be a copolymer of (i) propylene, (ii) ethylene, and (iii) an α-olefin having 4 to 10 carbon atom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즉, 터폴리머는 삼원공중합체일 수 있다.That is, a terpolymer can be a terpolymer.
이러한, 제1열경화필름(10)과 제2열경화필름(30)이, 터폴리머로 이루어지면, 열접착성이 더 향상될 수 있어, 후술할 열성형필름(20)과의 합지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first heat-curing film (10) and the second heat-curing film (30) are made of a polymer, the heat adhesiveness can be further improved, so that lamination with the heat-forming film (20) described later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즉, 향상된 열접착성은 열성형필름(20)과 제1열경화필름(10) 및 제2열경화필름(30)의 매끄러운 합지가 가능하다. 그리고, 향상된 열접착성은 각 필름의 접착력을 강화하여 보다 안정적인 식품포장용 성형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That is, improved thermal adhesiveness enables smooth lamination of the thermoforming film (20), the first thermal curing film (10), and the second thermal curing film (30). In addition, improved thermal adhesiveness enhances the adhesive strength of each film, enabling the production of a more stable food packaging molding film.
한편, α-올레핀은, 예를 들면, 1-부텐, 1-펜텐, 1-헥센, 1-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Meanwhile, α-olefins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1-butene, 1-pentene, 1-hexene, 1-methyl-1-pentene, 1-octene, 1-decene, etc.
1-부텐은, 부틸렌으로서, 탄소 사슬에 4개의 탄소 원자가 있는 α-올레핀이다. 화학식은 C4H8이다. 상온에서 무색의 기체로 플라스틱, 합성고무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1-Butene, as butylene, is an α-olefin with four carbon atoms in the carbon chain. Its chemical formula is C4H8. It is a colorless gas at room temperature and can be used in the production of plastics and synthetic rubber.
1-펜텐은, 탄소 사슬에 5개의 탄소 원자가 있는 α-올레핀이다. 화학식은 C5H10이다. 상온에서 투명한 액체이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생산에서 공단량체 및 다양한 폴리머 생산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1-Pentene is an α-olefin with 5 carbon atoms in the carbon chain. Its chemical formula is C5H10. It is a clear liquid at room temperature and can be used as a comonomer in the production of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LLDPE) and in the production of various polyme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1-헥센은, 탄소 사슬에 6개의 탄소 원자가 있는 α-올레핀이다. 화학식은 C6H12입니다. 무색 액체이며, 주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및 LLDPE 생산에서 공단량체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1-Hexene is an α-olefin with 6 carbon atoms in the carbon chain. Its chemical formula is C6H12. It is a colorless liquid and can be used as a comonomer mainly in the production of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and LLD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1-메틸-1-펜텐은, 탄소 사슬에 5개의 탄소 원자가 있는 α-올레핀이며, 탄소 원자 중 하나에 메틸기가 부착되어 있다. 화학식은 C6H12이다. 무색 액체이며 플라스틱 및 합성 고무 생산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1-Methyl-1-pentene is an α-olefin with five carbon atoms in the carbon chain, with a methyl group attached to one of the carbon atoms. Its chemical formula is C6H12. It is a colorless liquid and can be used in the production of plastics and synthetic rubb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1-옥텐은, 탄소 사슬에 8개의 탄소 원자가 있는 α-올레핀이다. 화학식은 C8H16이다. 실온에서 액체이며 일반적으로 LLDPE 및 선형 저밀도 폴리프로필렌(LLDPP)을 비롯한 다양한 폴리머 생산에서 공단량체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1-Octene is an α-olefin with 8 carbon atoms in the carbon chain. Its chemical formula is C8H16. It is a liquid at room temperature and can be used as a comonomer in the production of various polymer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LLDPE and linear low-density polypropylene (LLDPP).
1-데센은, 탄소 사슬에 10개의 탄소 원자가 있는 α-올레핀이다. 화학식은 C10H20이다. 상온에서 액체이며 LLDPE 및 폴리알파올레핀(PAO)을 비롯한 다양한 폴리머 생산 시 코모노머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1-Decene is an α-olefin with 10 carbon atoms in the carbon chain. Its chemical formula is C10H20. It is liquid at room temperature and can be used as a comonomer in the production of various polymer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LLDPE and polyalphaolefins (PAO).
따라서, 식품포장용 성형필름의 제1열경화필름(10)과 제2열경화필름(30)은, 고온, 고압, 살균 포장을 위해 사용하고, 식품의 부패 또는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heat-curing film (10) and the second heat-curing film (30) of the molded film for food packaging can be used for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sterilization packaging and can prevent spoilage or contamination of food.
열성형필름은, 제1열경화필름(10)과 제2열경화필름(30) 사이에 적층될 수 있다.The thermoforming film can be laminated between the first thermosetting film (10) and the second thermosetting film (30).
예를 들어, 제1열경화필름(10)과 열성형필름(20) 중 어느 하나의 필름에 용융된 폴리머를 박막형태로 압출시키고, 마주하는 제1열경화필름과 열성형필름(20)을 압착시켜 제1열경화필름(10) 상부에 열성형필름(20)을 합지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 molten polymer may be extruded in a thin film form onto one of the first heat-curing film (10) and the thermoforming film (20), and the first heat-curing film and the thermoforming film (20) may be pressed against each other to laminate the thermoforming film (20) on top of the first heat-curing film (10).
또한, 제1열경화필름(10)이 적층된 열성형필름(20)과 제2열성형필름 중 어느 하나의 필름에 용융된 폴리머를 박막형태로 압출시키고, 마주하는 열성형필름(20)과 제2열경화필름(30)을 압착시켜 열성형필름(20)의 상부에 제2열경화필름(30)을 합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molten polymer may be extruded in a thin film form onto one of the thermoforming films (20) and the second thermoforming film on which the first thermosetting film (10) is laminated, and the facing thermoforming films (20) and the second thermosetting film (30) may be pressed together to laminate the second thermosetting film (30) on top of the thermoforming film (20).
여기서, 용융된 폴리머를 박막형태로 압출시키는 것은, 티다이(T-DIE)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Here, extruding the molten polymer into a thin film may be done through T-DI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때, 상기 폴리머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Polyvinylidene chloride, PVDC), 에틸렌 비닐 알코올(Ethylene Vinyl Alcohol, EVOH),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아미드(Polyamide, Nylon)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lymer may be any one of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polyvinyl chloride (PVC), polystyrene (P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vinylidene chloride (PVDC), ethylene vinyl alcohol (EVOH), polyurethane (PU), polycarbonate (PC), polyamide (Nylon), etc.
바람직하게, 상기 폴리머는, 저렴하고 가공이 용이하면서 재활용이 가능한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가 사용될 수 있는데,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중에서도,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LDPE(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polymer may be polyethylene (PE), which is inexpensive, easy to process, and recyclable. Among polyethylene (PE), any one of HDPE (high-density polyethylene), LDPE (low-density polyethylene), and LLDP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may be used.
따라서, 티다이의 가열에 의해 용융된 PE 수지를 필름에 도포하여, 용융된 PE 수지를 접착제로써 활용하여 제1열경화필름과 열성형필름(20)을 합지시킬 수 있고, 열성형필름(20)과 제2열성형필름을 합지시킬 수 있다.Accordingly, by applying the PE resin melted by the heating of the T-die to the film, the first heat-curing film and the heat-forming film (20) can be laminated using the melted PE resin as an adhesive, and the heat-forming film (20) can be laminated with the second heat-forming film.
이와 같이, 합지된 제1열경화필름(10)과 열성형필름(20) 및 제2열경화필름(30)의 두께 즉, 식품포장용 성형필름의 두께가, 220~26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In this way, the thickness of the combined first thermosetting film (10), thermoforming film (20), and second thermosetting film (30), i.e., the thickness of the molded film for food packaging, is preferably 220 to 26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식품포장용 성형필름을 이용하여 인라인 열성형으로 가로와 세로가 각각 150mm 이고, 높이(깊이)가 50mm인 용기를 제작할 때, 식품포장용 성형필름의 두께가 220㎛ 미만인 경우, 성형된 용기가 찌그러지거나, 찢어지며 산소투과도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식품포장용 성형필름의 두께가 260㎛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연성이 떨어져 용기의 성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제조 비용이 높아지게 된다.For example, when manufacturing a container with a width and length of 150 mm and a height (depth) of 50 mm using inline thermoforming using a food packaging molding film, if the thickness of the food packaging molding film is less than 220 ㎛, the molded container may become distorted or torn, and the oxygen permeability may become high. In addition, if the thickness of the food packaging molding film exceeds 260 ㎛, the flexibility decreases, the container may not be formed smoothly, and the manufacturing cost may increase.
즉, 깊이 50mm의 용기를 인라인 열성형으로 제작할 때, 식품포장용 성형필름의 두께가 220㎛ 미만이거나, 식품포장용 성형필름의 두께가 260㎛ 초과하는 경우에, 불량품이 생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품포장용 성형필름은, 220㎛ 내지 260㎛ 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at is, when a container with a depth of 50 mm is manufactured by inline thermoform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defective products are produced if the thickness of the food packaging molding film is less than 220 ㎛ or if the thickness of the food packaging molding film exceeds 260 ㎛. Therefore, the food packaging mold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220 ㎛ to 26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여기서, 식품포장용 성형필름의 열성형필름(20)은 중간층이며 인라인 열성형 공정을 거칠 때 용기의 최종 형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Here, the thermoforming film (20) of the food packaging forming film is an intermediate layer and plays a role in forming the final shape of the container when going through an inline thermoforming process.
게다가, 열성형필름(20)은, 기 설계된 용기의 사이즈 또는 포장할 식품의 형태에 대응되게 유연하게 늘어나고, 성형되어야 한다. 즉, 찢어지거나 변형되지 않고 식품의 형태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도록 성형성과 유연성이 필요하다. 또한, 열성형 필름에서 EVOH 레이어(23) 공압출하여 우수한 산소 차단이 이루어지고, 포장되는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여 식품 보존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thermoforming film (20) must be flexibly stretched and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designed container or the shape of the food to be packaged. In other words, formability and flexibility are required so that the shape of the food can be easily formed without tearing or deforming. In addition, the EVOH layer (23) is coextruded from the thermoforming film to provide excellent oxygen blocking, and the freshness of the food to be packaged can be maintained, thereby improving the food preservation rate.
여기서, 우수한 유연성, 성형성, 산소 차단성과 식품 보존도를 만족할 수 있도록 제1열경화필름(10)과 제2열경화필름(30)보다, 열성형필름(20)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Here,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thermoforming film (20) be formed thicker than the first thermosetting film (10) and the second thermosetting film (30) so as to satisfy excellent flexibility, formability, oxygen barrier properties and food preservation properties, but this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제1열경화필름(10)과 제2열경화필름(30)은, 50㎛ ~ 100㎛이고, 열성형필름(20)은 70㎛ ~ 12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first heat-curing film (10) and the second heat-curing film (30) may have a thickness of 50 ㎛ to 100 ㎛, and the heat-forming film (20) may have a thickness of 70 ㎛ to 12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제1열경화필름(10)은, 용기의 최외층이며, 제2열경화필름(30)은 용기의 최내층이다. 이러한, 제1열경화필름(10)과 제2열경화필름(30)은, 용기 전체 구조에 내열성과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열 멸균 공정(예: 레토르트 또는 고온 충진) 동안 무결성을 잃지 않고 고온을 견딜 수 있다. 그리고, 물리적 충격, 습기 및 기타 환경 요소와 같은 외부 요인에 대한 식품 품질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heat-curing film (10) is the outermost layer of the container, and the second heat-curing film (30) is the innermost layer of the container. The first heat-curing film (10) and the second heat-curing film (30)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heat resistance and mechanical strength to the entire structure of the container. In addition, they can withstand high temperatures without losing integrity during a heat sterilization process (e.g., retort or high-temperature filling). In addition, they can provide food quality stability against external factors such as physical impact, moisture,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즉, 본 발명의 식품포장용 성형필름을 통한 인라인 열성형시, 열 성형량이 많아 열성형 필름 즉, EVOH 공압출 필름을 외곽에 배치하는 경우, 불균일한 성형으로(EVOH 레이어(23)의 불균일한 성형) 산소 차단성이 깨질 수 있는 문제와, 220㎛ 내지 260㎛ 의 두꺼운 필름 사용으로 용이한 성형을 위해 과도한 고온을 적용하는 등의 이유로 인해 EVOH 공압출 필름이 녹아 찢어지는 문제 등을 고려하여, EVOH 공압출 필름의 상하에 제1열경화필름(10) 즉, CPR 필름을 배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EVOH 공압출 필름의 상하에 CPR 필름은 라미네이션으로 합지될 수 있다.That is, when performing inline thermoforming using the food packaging mold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thermoforming amount is large and the thermoforming film, i.e., the EVOH co-extrusion film, is placed on the outsi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xygen barrier property may be broken due to uneven molding (uneven molding of the EVOH layer (23)), and the EVOH co-extrusion film may melt and tear due to reasons such as applying excessively high temperature for easy molding by using a thick film of 220 ㎛ to 260 ㎛. In this regard, the first thermosetting film (10), i.e., the CPR film, is placed above and below the EVOH co-extrusion film. In addition, the CPR film can be laminated above and below the EVOH co-extrusion film.
이하, 열성형필름(2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Below, the thermoforming film (20) is described in detail.
도 2를 참조하면, 열성형필름은, EVOH 공압출 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2, the thermoforming film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n EVOH coextrusion film.
이러한, EVOH 공압출 필름은, 제1PE(Polyethylene)레이어(21), 제1NY(Nylon)레이어(22), EVOH(Ethylene Vinyl Alcohol)레이어(23), 제2NY(Nylon)레이어(24), 제2PE(Polyethylene)레이어(25)가 공압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is EVOH coextrusion film is formed by coextrusion of a first PE (polyethylene) layer (21), a first NY (nylon) layer (22), an EVOH (ethylene vinyl alcohol) layer (23), a second NY (nylon) layer (24), and a second PE (polyethylene) layer (25),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EVOH 공압출 필름 5 레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7 내지 9 레이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For example, an EVOH coextruded film may consist of 5 layers, but may also consist of 7 to 9 layers.
또한, EVOH 공압출 필름은, 마주하는 레이어 사이에 용융된 폴리머가 도포되고, 마주하는 레이어와 합지되면서 공압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Additionally, EVOH coextrusion film may be coextruded by applying a molten polymer between opposing layers and laminating the opposing laye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때, 폴리머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레이어를 접착시키는 접착제 역할을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olymer can act as an adhesive to bond layers with different properties.
예를 들어, 폴리머는 타이(TIE) 레이어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polymer can be a TIE layer.
타이 레이어에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Surlyn, 에틸렌 아크릴산(EAA) 공중합체, 에틸렌 메타크릴산(EMAA) 공중합체 등의 폴리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폴리머 외에 말레산 무수물 그래프트 폴리올레핀과 같은 다양한 접착성 수지도 사용될 수 있다.For the tie layer, polymers such as ethylene vinyl acetate (EVA), Surlyn, ethylene acrylic acid (EAA) copolymer, and ethylene methacrylic acid (EMAA) copolymer can be used. In addition to polymers, various adhesive resins such as maleic anhydride grafted polyolefin can also be used.
바람직하게, 우수한 접착 특성을 갖고, 다양한 재료와 호환이 가능하여 서로 다른 레이어 접착을 향상시킬 수 있는 EVA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Preferably, EVA can be used as it has excellent adhesive properties and is compatible with various materials to improve adhesion of different laye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에 따라, EVOH 공압출 필름은, 제1PE(Polyethylene)레이어(21), 제1NY(Nylon)레이어(22), EVOH(Ethylene Vinyl Alcohol)레이어(23), 제2NY(Nylon)레이어(24), 제2PE(Polyethylene)레이어(25)가 공압출로 이루어지고, 각 레이어를 접착시키기 위해 타이 레이어를 추가함에 따라, 9 레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Accordingly, the EVOH coextrusion film may be formed of a first PE (polyethylene) layer (21), a first NY (nylon) layer (22), an EVOH (ethylene vinyl alcohol) layer (23), a second NY (nylon) layer (24), and a second PE (polyethylene) layer (25) by coextrusion, and may be formed of nine layers by adding a tie layer to adhere each lay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폴리에틸렌(PE) 레이어(21,25)는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진 폴리머 레이어이다. PE는 우수한 인성, 유연성 및 내습성으로 알려진 다목적 열가소성 소재로서, 강도, 열 밀봉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polyethylene (PE) layer (21,25) is a polymer layer made of polyethylene. PE is a versatile thermoplastic material known for its excellent toughness, flexibility, and moisture resistance, and can provide strength and heat sealing ability.
또한, 나일론(NY) 레이어(22, 24)는, 폴리아미드라고도 하는 나일론으로 만든 폴리머 레이어이다. 나일론은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가스 및 아로마에 대한 차단성이 강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소재이다. 공압출 필름에서 나일론 레이어는 기계적 강도, 천공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NY 레이어는 열성형이 우수하고, 강도가 강해서 냉동식품 포장시 냉동상태에서 잘 깨지지 않으며, 산소 차단성도 우수하다.In addition, the nylon (NY) layer (22, 24) is a polymer layer made of nylon, also known as polyamide. Nylon is a material with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strong gas and aroma barrier properties, and excellent durability. In a coextruded film, the nylon layer can improve mechanical strength and puncture resistance. In particular, the NY layer has excellent thermoforming properties and high strength, so it does not break easily in a frozen state when packaging frozen foods, and also has excellent oxygen barrier properties.
그리고, 에틸렌 비닐 알코올(EVOH) 레어어(23)는,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로 만들어진 폴리머 레이어이다. EVOH는 우수한 기체 차단 특성, 특히 산소 및 기타 기체를 차단하는 능력으로 우수하다. 이는, 포장 식품의 신선도 및 유통 기한을 유지시키는데에 효율적이다.And, the ethylene vinyl alcohol (EVOH) layer (23) is a polymer layer made of an ethylene vinyl alcohol copolymer. EVOH has excellent gas barrier properties, especially the ability to block oxygen and other gases. This is effective in maintaining the freshness and shelf life of packaged food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성형필름은, 산소 투과도가 0.5cc/m2.day.atm~1.5cc/m2.day.atm 일 수 있다.Meanwhile, the food packaging molded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oxygen permeability of 0.5 cc/m2.day.atm to 1.5 cc/m2.day.atm.
특히, 열성형필름(20)의 산소 투과도가 1cc/m2.day.atm 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더욱, 산소 투과도는 EVOH 레이어(23)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oxygen permeability of the thermoforming film (20) be 1 cc/m2.day.atm, but is not limited thereto. Furthermore, the oxygen permeability can be achieved by the EVOH layer (23).
여기서, 산소 투과도가 0.5cc/m2.day.atm~1.5cc/m2.day.atm를 만족하고, 성형시 수직단면에서 균일한 성형으로 일정한 두께를 만족하기 위하여, 식품포장용 성형필름의 두께가 220~260㎛ 일 때, EVOH는 열성형필름(20)의 재료 중 7~9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Here, in order to satisfy the oxygen permeability of 0.5 cc/m2.day.atm to 1.5 cc/m2.day.atm and to satisfy a constant thickness with uniform molding in the vertical cross-section during molding, when the thickness of the molded film for food packaging is 220 to 260 ㎛, it is preferable that EVOH is 7 to 9 wt% of the material of the thermoforming film (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열성형필름(20)의 재료 중 EVOH가 전체 중량%에서 7 중량% 미만인 경우, 상술한 1.5cc/m2.day.atm 이상의 산소 투과도가 나타나 포장 식품의 신선도가 유지되는데 어려움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식품포장용 성형필름을 통해 성형되는 용기의 깊이가 50mm이기 때문에, 50mm로 내입되어 형성되는 수직면에 EVOH의 불균형한 성형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For example, if EVOH is less than 7 wt% of the total weight% of the material of the thermoforming film (20), the oxygen permeability of 1.5 cc/m2.day.atm or more as described above appears, making it difficult to maintain the freshness of the packaged food. In addition, since the depth of the container formed through the food packaging form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50 mm, there occurs a problem of unbalanced forming of EVOH on the vertical surface formed by inserting it into the 50 mm.
따라서, EVOH 레이어(23)는 열성형필름(20)의 전체 중량% 중 7~9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EVOH layer (23) be 7 to 9 wt% of the total wt% of the thermoforming film (20).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성형필름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식품포장용 성형필름 제조방법의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식품포장용 성형필름을 참조할 수 있다.Hereinaft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olded film for food packa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a specific description of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molded film for food packaging may refer to the molded film for food packaging described above.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제1PE(Polyethylene)레이어, 제1NY(Nylon)레이어, EVOH(Ethylene Vinyl Alcohol)레이어, 제2NY(Nylon)레이어, 제2PE(Polyethylene)레이어를 공압출하여 EVOH 공압출 필름으로 이루어진 열성형필름(20)을 제조할 수 있다(S10).First, referring to FIG. 3, a thermoforming film (20) composed of an EVOH coextrusion film can be manufactured by coextruding a first PE (polyethylene) layer, a first NY (nylon) layer, an EVOH (ethylene vinyl alcohol) layer, a second NY (nylon) layer, and a second PE (polyethylene) layer (S10).
이때, 열성형필름(20)은, 5 레이어를 공압출로 제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블로운 방식 또는 캐스팅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thermoforming film (20) can be manufactured by coextrusion of 5 layers, and can be manufactured specifically by a blown method or a casting meth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EVOH 공압출 필름은, 마주하는 레이어 사이에 용융된 폴리머가 도포되고, 마주하는 레이어와 합지되면서 공압출될 수 있다.Additionally, EVOH coextruded films can be coextruded by applying a molten polymer between opposing layers and laminating them with the opposing layers.
이때, 열성형필름(20)의 각 레이어를 접착시키기 위해 타이 레이어를 추가함에 따라, 9 레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At this time, by adding a tie layer to adhere each layer of the thermoforming film (20), it may be formed of 9 laye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더불어, 제1열경화필름(10)과 제2열경화필름(30)을 더 제조 및 준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heat-curing film (10) and the second heat-curing film (30) can be further manufactured and prepared.
다음으로, 제1열경화필름(10)과 열성형필름(20) 중 어느 하나의 필름에 용융된 폴리머를 박막형태로 압출시키고, 마주하는 제1열경화필름(10)과 열성형필름(20)을 압착시켜 제1열경화필름(10) 상부에 열성형필름(20)을 합지시킬 수 있다(S20).Next, a molten polymer is extruded in a thin film form onto one of the first heat-curing film (10) and the thermoforming film (20), and the first heat-curing film (10) and the thermoforming film (20) facing each other are pressed to laminate the thermoforming film (20) on top of the first heat-curing film (10) (S20).
다음으로, 제1열경화필름(10)이 적층된 열성형필름(20)과 제2열성형필름 중 어느 하나의 필름에 용융된 폴리머를 박막형태로 압출시키고, 마주하는 열성형필름(20)과 제2열경화필름(30)을 압착시켜 열성형필름(20)의 상부에 제2열경화필름(30)을 합지시킬 수 있다(S30).Next, a molten polymer is extruded in the form of a thin film onto one of the thermoforming films (20) and the second thermoforming film on which the first thermosetting film (10) is laminated, and the facing thermoforming films (20) and the second thermosetting film (30) are pressed together to laminate the second thermosetting film (30) on top of the thermoforming film (20) (S30).
합지시키는 방법은, 압출 라미네이션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method of laminating may be by extrusion lamin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작동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 concep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operational order of the component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performed in chronological order, and if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atisfied even if the execution order of each component and step is changed, such a process ca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can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제1열경화필름20 : 열성형필름
21 : 제1PE 레이어22 : 제1NY 레이어
23 : EVOH 레이어24 : 제2NY  레이어
25 : 제2PE 레이어30 : 제2열경화필름10: 1st heat curing film 20: Thermoforming film
 21: 1st PE layer 22: 1st NY layer
 23: EVOH layer 24: 2nd NY layer
 25: 2nd PE layer 30: 2nd heat-curing film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100959AKR102736577B1 (en) | 2023-08-02 | 2023-08-02 | Molded film for food packaging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100959AKR102736577B1 (en) | 2023-08-02 | 2023-08-02 | Molded film for food packaging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736577B1true KR102736577B1 (en) | 2024-11-29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30100959AActiveKR102736577B1 (en) | 2023-08-02 | 2023-08-02 | Molded film for food packaging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736577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00017773A (en)* | 1988-05-22 | 1990-12-19 | 원본미기재 | Oxygen impermeable, leak-proof container | 
| KR20200077666A (en)* | 2018-12-20 | 2020-07-01 |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 Film for packaging food | 
| KR102504553B1 (en) | 2022-10-07 | 2023-03-03 | 주식회사 태산케미칼 | Plastic film composition with improved sealing effects for packaging vacuum molding containers and tray container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00017773A (en)* | 1988-05-22 | 1990-12-19 | 원본미기재 | Oxygen impermeable, leak-proof container | 
| KR20200077666A (en)* | 2018-12-20 | 2020-07-01 |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 Film for packaging food | 
| KR102504553B1 (en) | 2022-10-07 | 2023-03-03 | 주식회사 태산케미칼 | Plastic film composition with improved sealing effects for packaging vacuum molding containers and tray container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3946922B1 (en) | Recyclable film for thermoforming | |
| US8642144B2 (en) | Innerliner with nylon skin layer | |
| EP3416824B1 (en) | Multilayer barrier film | |
| CN110475722B (en) | Film having retort shock recovery | |
| CN102202986A (en) | Multilayer diaphragm | |
| US11938709B2 (en) | Spout pouch and method of making same | |
| KR20200077666A (en) | Film for packaging food | |
| US6815057B2 (en) | Laminated thermoformable film structures useful for packaging food products | |
| EP3028853B1 (en) | A thermoformed multilayer container for horticulture comprising a layer of recycled pet | |
| CA2160441A1 (en) | Film/substrate composite material | |
| KR102736577B1 (en) | Molded film for food packaging | |
| KR102305096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food packing paper | |
| KR102673795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molded film for food packaging | |
| US20020015811A1 (en) | Film/substrate composite material | |
| US20140370212A1 (en) | Packaging film with superior seal, barrier, and flex crack resistance | |
| KR102634576B1 (en) | Food packaging method | |
| KR20120125721A (en) | Barrier and heat sealable multilayer film | |
| US20140370211A1 (en) | Carbon dioxide gas permeable packaging film | |
| KR20090113597A (en) | Multilayered Olefin Heat Shrink Film for Product Packaging | |
| JPH02243340A (en) | Multi-layer container | |
| JPH02299836A (en) | Laminate | |
| KR20200084635A (en) | Barrier film | |
| WO2001094111A1 (en) | Thermoformable film structures useful for packaging food products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23080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230802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20230921 Patent event code:PA03022R01D Comment text: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31030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40124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20240730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 |
| AMND | Amendment |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PX09012R01I Patent event date:20241029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20241121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PX07013S01D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41127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241127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