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차량 사각지대 안전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운전자가 사각지대의 주행자 등이 식별이 불가능하여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도록 하기 위한 차량 사각지대 안전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lind spot safety provi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to a vehicle blind spot safety provi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for preventing accidents caused by a vehicle driver's inability to identify a driver in the blind spot.
도로교통에 있어서 사각지대로 인한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Accidents caused by blind spots in road traffic occur frequently.
특히, 최근의 차량 대형화와 대형 화물차의 우측 사각지대 거리가 일반 승용차에 비해 배(倍)가량 길어 우회전 시 보행자 사고에 취약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으며, 전동킥보드 주 이용자 연령대는 10, 20대로 전체의 70%를 차지하며, 10대 20대 이용자의 사고율은 전체 이용자의 약 74%에 이르렀고 자동제어가 있는 사륜차량 경우에도 전동키보드와 접촉사고 예방이 어려운 현실로 결론적으로 운전자의 시야각을 넓혀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In particular, there is an analysis that due to the recent enlargement of vehicles and the distance of the right blind spot of large trucks being twice as long as that of ordinary passenger cars, they are vulnerable to pedestrian accidents when making right turns. In addition, the main age group of electric kickboard users is in their 10s and 20s, accounting for 70% of the total, and the accident rate of users in their teens and 20s reached approximately 74% of all users. In the case of four-wheel vehicles with automatic control, it is difficult to prevent contact accidents with electric kickboards, so technology development is required to secure safety by expanding the driver's field of vision.
즉,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차량 운전자가 사각지대의 주행자 등이 식별이 불가능하여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at is, in this technology field, there is a need for technology development to prevent accidents that occur when a vehicle driver cannot identify other drivers in their blind spots.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운전자가 사각지대의 주행자 등이 식별이 불가능하여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도록 하기 위한 차량 사각지대 안전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vehicle blind spot safety provi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to prevent accidents caused by the inability of a vehicle driver to identify a driver in a blind spot.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연구는 2023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의 SW중심대학사업 지원(2021-0-01440)을 받아 수행된 것이다.Howeve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urposes mentioned above, and other purpose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 research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ducted with the support of the SW-centered university project of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d the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in 2023 (2021-0-01440).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각지대 안전제공 시스템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a vehicle blind spot safety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복수의 차량안전제어장치(100), 네트워크(200), 안전제공서버(300)를 포함하는 차량 사각지대 안전제공 시스템(1)에 있어서, 각 차량안전제어장치(100)는,In a vehicle blind spot safety provision system (1) including a plurality of vehicle safety control devices (100), a network (200), and a safety provision server (300), each vehicle safety control device (100)
전방을 포함한 차량을 기준으로 4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센서모듈(100);A sensor module (100) including a camera additionally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four directions based on the vehicle including the front;
차량 내부에서 운전자석을 중심으로 전방향의 양측부 중 적어도 한 측부 이상에 형성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120); 및A flexible display module (120) that can b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both sides in the forward direction centered on the driver's seat inside a vehicle; and
센서모듈(1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안전제공서버(300)로 제공된 센싱정보에 따라 차량 사각 영역에 대한 안전정보를 수신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120)로 제공하는 차량제어장치부(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vehicle control unit (130) that receives safety information on a blind spot of a vehicle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a sensor module (100) to a safety provision server (300) through a network (200)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to a flexible display module (120).
이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120)은,At this time, the flexible display module (120)
차량 내부에서 운전자석측 A 필러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특성에 따라 구부러진 형태로 밀착되어 형성될 뿐만 아니라, 보조석측 A 필러에도 밀착되어 형성되거나, B 필러 및 C 필러에도 탑승자를 위해서 밀착되어 형성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각지대 안전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 vehicle blind spot safety system can be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curved shap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 flexible display on the driver's side A pillar inside a vehicle, and can also be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passenger's side A pillar, or can be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 pillar and C pillar for the passengers.
또한, 차량안전제어장치(100)는 센서 및 디스플레이 구현에 있어서, 하드웨어화 센서 인식 기술을 통해 전방 좌우측 사이드 프레임[automobile side frame]에 가려져 있는 필러 사각지대의 사물을 식별하고, 폴더블(Foldable display)형식의 패널을 사용하여 차량 좌,우측 프레임에 자연스럽게 부착되는 디스플레이를 구현이 가능하고, 또한 스피커로 인해 보행자 식별시 알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각지대 안전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safety control device (100) can provide a vehicle blind spot safety provision system characterized by identifying objects in the blind spot of the pillar hidden by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 frames [automobile side frames] through hardware sensor recognition technology in implementing sensors and displays, implementing a display that can be naturally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frames of the vehicle using a foldable display type panel, and providing an alarm service when a pedestrian is identified through a speaker.
또한, 차량안전제어장치(100)는,In addition, the vehicle safety control device (100)
차량 운전자로부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120) 또는 별도로 구비된 차량안전제어장치(100)의 차량제어장치부(130)와 연동 가능한 네비게이션 장치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ID 및 비밀번호 입력에 따라 차량안전제어장치(100))의 송수신모듈(15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여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하여, 차량제어장치부(130)의 일련번호를 메타데이터로 ID 및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정보수집모듈(32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각지대 안전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blind spot safety provision system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321) that performs a membership registration procedure by receiving an ID and password from a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150) of a vehicle safety control device (100) through a network (200) according to an ID and password input from a driver of a vehicle through a flexible display module (120) or a touch screen of a navigation device that can be linked with a vehicle control device (130) of a separately provided vehicle safety control device (100), and storing the ID and password as metadata using the serial number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각지대 안전제공 방법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a vehicle blind spot safety provi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차량안전제어장치(100)가 센서모듈(100)을 이용해서 센싱정보를 수집하는 제 1 단계; 및A first step in which a vehicle safety control device (100) collects sensing information using a sensor module (100); and
차량안전제어장치(100)가 네트워크(200)를 통해 안전제공서버(300)로 제공된 센싱정보에 따라 차량 사각 영역에 대한 안전정보를 수신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120)로 제공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며,The vehicle safety control device (100) receives safety information on the blind spot of the vehicle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provided to the safety provision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to the flexible display module (120).
센서모듈(100)은, 전방을 포함한 차량을 기준으로 4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카메라를 포함하며,The sensor module (100) includes a camera additionally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four directions based on the vehicle, including the front.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차량 내부에서 운전자석을 중심으로 전방향의 양측부 중 적어도 한 측부 이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각지대 안전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 flexible display module (120) can provide a vehicle blind spot safety provis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both sides in the forward direction centered on the driver's seat inside the vehicle.
또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120)은,In addition, the flexible display module (120)
차량 내부에서 운전자석측 A 필러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특성에 따라 구부러진 형태로 밀착되어 형성될 뿐만 아니라, 보조석측 A 필러에도 밀착되어 형성되거나, B 필러 및 C 필러에도 탑승자를 위해서 밀착되어 형성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각지대 안전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 method for providing safety in a blind spot of a vehicle can be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flexible display is formed in a curved shap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exible display on the driver's side A pillar inside the vehicle, and is also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passenger's side A pillar, or can be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 pillar and C pillar for the passengers.
또한, 차량안전제어장치(100)는 센서 및 디스플레이 구현에 있어서, 하드웨어화 센서 인식 기술을 통해 전방 좌우측 사이드 프레임[automobile side frame]에 가려져 있는 필러 사각지대의 사물을 식별하고, 폴더블(Foldable display)형식의 패널을 사용하여 차량 좌,우측 프레임에 자연스럽게 부착되는 디스플레이를 구현이 가능하고, 또한 스피커로 인해 보행자 식별시 알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각지대 안전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safety control device (100) can identify objects in the blind spot of the pillar hidden by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 frames [automobile side frames] through hardware sensor recognition technology in implementing sensors and displays, implement a display that can be naturally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frames of the vehicle using a foldable display type panel, and provide an alarm service when a pedestrian is identified through a speaker, thereby providing a vehicle blind spot safety provision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각지대 안전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차량 운전자가 사각지대의 주행자 등이 식별이 불가능하여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A vehicle blind spot safety provision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n effect of preventing accidents that occur because a vehicle driver cannot identify a driver in a blind spo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각지대 안전제공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각지대 안전제공 시스템(1) 중 차량안전제어장치(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각지대 안전제공 시스템(1) 중 안전제공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각지대 안전제공 시스템(1) 중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각지대 안전제공 시스템(1)에 따른 인식 및 분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각지대 안전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FIG. 1 is a drawing showing a vehicle blind spot safety provision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components of a vehicle safety control device (100) among a vehicle blind spot safety provision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components of a safety provision server (300) in a vehicle blind spot safety provision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flexible display module (120) among the vehicle blind spot safety provision system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 and 6 are drawings for explaining recognition and analysis according to a vehicle blind spot safety provision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a vehicle blind spot safety provi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transmits' data or a signal to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the component can transmit the data or signal directly to the other component, and can transmit the data or signal to the other component via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각지대 안전제공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사각지대 안전제공 시스템(1)은 복수의 차량안전제어장치(100), 네트워크(200), 안전제공서버(300) 및 빅데이터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Fig. 1 is a drawing showing a vehicle blind spot safety provision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vehicle blind spot safety provision system (1) may include a plurality of vehicle safety control devices (100), a network (200), a safety provision server (300), and a big data server (400).
네트워크(20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네트워크(200)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그 밖의 5G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복수의 차량안전제어장치(100), 안전제공서버(300) 및 빅데이터서버(40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network (200) is a high-speed backbone network of a large-scale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providing large-capacity, long-distance voice and data services, and may be a next-generation wired and wireless network for providing the Internet or high-speed multimedia services. If the network (200) i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may be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s an example of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yp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mentioned.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network (200) may include an RNC (Radio Network Controller). Meanwhile, although a WCDMA network is mentioned as an example, it may be a 3G LTE network, a 4G network, a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nother 5G network, or another IP network based on IP. The network (200) serves to mutually transmit signals and data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 safety control devices (100), a safety provision server (300), a big data server (400), and other system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각지대 안전제공 시스템(1) 중 차량안전제어장치(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각지대 안전제공 시스템(1) 중 안전제공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각지대 안전제공 시스템(1) 중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각지대 안전제공 시스템(1)에 따른 인식 및 분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components of a vehicle safety control device (100) in a vehicle blind spot safety provision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components of a safety provision server (300) in a vehicle blind spot safety provision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explaining a flexible display module (120) in a vehicle blind spot safety provision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 and 6 are diagrams explaining recognition and analysis according to a vehicle blind spot safety provision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안전제어장치(100)는 센서모듈(11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120), 차량제어장치부(130), 메모리(140), 송수신모듈(150) 및 스피커(160)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2, the vehicle safety control device (100) may include a sensor module (110), a flexible display module (120), a vehicle control device unit (130), a memory (140), a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150), and a speaker (160).
여기서 센서모듈(100)은 전방을 포함한 차량을 기준으로 4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ensor module (100) may include a camera additionally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four directions based on the vehicle including the front.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차량 내부에서 도 4와 같이 운전자석측 A 필러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특성에 따라 구부러진 형태로 밀착되어 형성될 뿐만 아니라, 보조석측 A 필러에도 밀착되어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로, B 필러 및 C 필러에도 탑승자를 위해서 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flexible display module (120) is formed in a curved shap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exible display on the A pillar on the driver's side as shown in FIG. 4 inside the vehicle, and may also be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A pillar on the passenger's side, 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 pillar and the C pillar for the passengers.
즉, 차량안전제어장치(100)는 센서 및 디스플레이 구현에 있어서, 하드웨어화 센서 인식 기술을 통해 전방 좌우측 사이드 프레임[automobile side frame]등에 가려져 있는 필러 사각지대의 사물을 식별하고, 폴더블(Foldable display)형식의 패널을 사용하여 차량 좌,우측 프레임에 자연스럽게 부착되는 디스플레이를 구현이 가능하고, 또한 스피커로 인해 보행자 식별시 알람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That is, the vehicle safety control device (100) identifies objects in blind spots of a pillar that are covered by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 frames [automobile side frames], etc., through hardware sensor recognition technology in implementing sensors and displays, and can implement a display that is naturally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frames of the vehicle by using a panel in the form of a foldable display, and can also provide an alarm service when a pedestrian is identified through a speaker.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안전제공서버(300)는 송수신부(310), 제어부(320) 및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하며, 제어부(320)는 정보수집모듈(321), 분석모듈(322), 안전정보제공모듈(323) 및 추가정보제공모듈(324)을 포함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3, the safety provision server (300) includes a transmission/reception unit (310), a control unit (320), and a database (330). The control unit (320) may include an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321), an analysis module (322), a safety information provision module (323), and an additional information provision module (324).
정보수집모듈(321)은 차량 운전자로부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120) 또는 별도로 구비된 차량안전제어장치(100)의 차량제어장치부(130)와 연동 가능한 네비게이션 장치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ID 및 비밀번호 입력에 따라 차량안전제어장치(100))의 송수신모듈(15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여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차량제어장치부(130)의 일련번호를 메타데이터로 ID 및 비밀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321) can perform a membership registration procedure by receiving an ID and password from the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150) of the vehicle safety control device (100) through the network (200)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ID and password by the driver of the vehicle through the flexible display module (120) or the touch screen of the navigation device that can be linked with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of the vehicle safety control device (100) provided separately, and can store the ID and password as metadata using the serial number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분석모듈(322)은 도 5와 같이 차량안전제어장치(100)의 센서모듈(110)로 형성가능한 차량 좌측, 중앙 및 차량 우측 카메라 중 좌측 카메라와 우측 카메라를 통해 차량 시야각 및 비보호 좌회전(어린이, 전동킥보드) 사고의 증가에 따라 주행자의 시야각을 넓히기 위한 “센서와 디스플레이를 통한 좌, 후 확인기능”과 “차량 위험감지 서비스”를 통해 기존 사고율을 낮출 수 있고, 차량 주행 중 안전에 관한 보호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The analysis module (322) can be formed by the sensor module (110) of the vehicle safety control device (100) as shown in Fig. 5, and can provide a safety protection technology during vehicle driving by providing a “left and right confirmation function through sensors and displays” and a “vehicle hazard detection service” to expand the driver’s field of view due to an increase in vehicle field of view and unprotected left turn (children, electric kickboard) accidents through the left camera and the right camera among the vehicle left, center, and right camera.
이를 위해, 분석모듈(322)은 차량안전제어장치(100)의 센서모듈(110)로부터 수신된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차량 전방 좌우측 사이드 프레임[automobile side frame]으로 시야에 가려져 있는 미리 설정된 대상(어린이, 성인, 차량, 이륜차량 등을 포함)에 대해서 식별을 수행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analysis module (322) can identify preset targets (including children, adults, vehicles, two-wheeled vehicles, etc.) that are obscured from view by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 frames of the vehicle [automobile side frames] through analysis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received from the sensor module (110) of the vehicle safety control device (100).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모듈(322)은 좌측 영상정보에서 대상을 판별시, 데이터베이스(300)에는 다양한 대상 패턴이 저장되어 있는데, 이러한 다양한 대상 패턴 자체 정보 또는 상기 다양한 대상 패턴의 미리 설정된 단계(제 1 내지 제 n 단계)별 각도로 기울어진 것, 역으로 된 것 등과 영상정보에 포함된 대상의 패턴을 비교하여 영상정보 속의 미리 설정된 대상을 판별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analysis module (322) determines a target from the left image information, the database (300) stores various target patterns, and compares the target pattern included in the image information with information of the various target patterns themselves or the angles tilted or reversed at preset stages (first to nth stages) of the various target patterns, so as to determine a preset target in the image information.
또한, 분석모듈(322)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서버(400)에 대한 요청을 통해 빅데이터서버(400)에서 인공지능 기술, 도 6과 같은 CNN(unsupervised learning) Deep learning 기반을 토대로 사물을 식별하며 인식 하는 기법으로 대상을 판별할 수 있다. 즉, CNN(unsupervised learning)Deep learning 기술을 바탕으로 센서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분석해 사람의 시야가 닿지 않는 차량의 사각지대에 있는 행인이나 이륜차, 원동기 자전거장치 등을 인식하고 식별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alysis module (322) can determine the target by requesting the big data server (400) through the network (200) and using a technique for identifying and recognizing object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such as CNN (unsupervised learning) Deep learning as shown in FIG. 6. That is, based on CNN (unsupervised learning) Deep learning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rtificial intelligence capable of recognizing and recognizing pedestrians, two-wheeled vehicles, and motorized bicycles in the blind spot of a vehicle that is out of sight of a person by analyzing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sensors.
또 다른 실시예로, 분석모듈(322)은 빅데이터서버(400) 상의 분산 파일 프로그램에 의해 운전자가 인식을 위해 지정한 각 대상별로 DCS DB에 분산 저장된 수집 데이터를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고 상태 관리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모듈(322)에서 사용되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결정 트리(DT, Decision Tree) 분류 알고리즘, 랜덤 포레스트 분류 알고리즘, SVM(Support Vector Machine) 분류 알고리즘 중 하나일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analysis module (322) may analyze the collected data distributed and stored in the DCS DB for each target designated by the driver for recognition by a distributed file program on the big data server (400) through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and issue a status management command. More specifically,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used in the analysis module (322) may be one of a decision tree (DT) classification algorithm, a random forest classification algorithm, and a support vector machine (SVM) classification algorithm.
분석모듈(322)은 분산 파일 프로그램에 의해 DCS DB에 분산 저장된 수집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분석한 결과로 각 대상별로 다수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를 복수의 머신러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학습하여 학습한 결과로 매칭되는 대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analysis module (322) analyzes the collected data distributed and stored in the DCS DB by the distributed file program, extracts a plurality of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each targe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learns the extracted characteristic information using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nd determines whether the target matches the learned result.
즉, 분석모듈(322)은 대상 여부 판단 결과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다수의 상호 보완적인 머신러닝 알고리즘들로 구성된 앙상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That is, the analysis module (322) can apply an ensemble structure composed of a number of complementary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target judgment result.
결정 트리 분류 알고리즘은 트리 구조로 학습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결과 해석 및 이해가 용이하고,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빠르며 탐색 트리 기반으로 룰 도출이 가능할 수 있다. DT의 낮은 분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RF를 적용할 수 있다. 랜덤 포레스트 분류 알고리즘은 다수의 DT를 앙상블로 학습한 결과를 도축하는 방식으로, DT보다 결과 이해가 어려우나 DT보다 결과 정확도가 높을 수 있다. DT 또는 RF 학습을 통해 발생 가능한 과적합의 개선 방안으로 SVM을 적용할 수 있다. SVM 분류 알고리즘은 서로 다른 분류에 속한 데이터를 평면 기반으로 분류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높은 정확도를 갖고, 구조적으로 과적합(overfitting)에 낮은 민감도를 가질 수 있다.The decision tree classification algorithm is a method that learns in a tree structure and derives results, so the results are easy to interpret and understand, the data processing speed is fast, and rule derivation can be possible based on the search tree. RF can be applied as a way to improve the low classification accuracy of DT. The random forest classification algorithm is a method that slaughters the results of learning multiple DTs as an ensemble, so the results are more difficult to understand than DT, but the result accuracy can be higher than DT. SVM can be applied as a way to improve overfitting that may occur through DT or RF learning. The SVM classification algorithm is a method that classifies data belonging to different classes on a plane basis, so it generally has high accuracy and can have low sensitivity to structural overfitting.
안전정보제공모듈(323)은 분석모듈(322)에 의해 미리 지정된 대상에 대한 판단이 수행되는 경우, 차량 프레임(예, A 필러)에 좌, 우에 부착 될수 있는 패널 형식인 lcd 기반 폴더블(Foldable display)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사용한 알림 서비스를 위한 알림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차량안전제어장치(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차량안전제어장치(100)의 차량제어장치부(130)가 스피커(160)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120)로 알림정보에 포함된 인식된 대상 영상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safety information provision module (323) control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310) to transmit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a notification service using a flexible display module (120), which is a foldable display based on an LCD that can be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of a vehicle frame (e.g., an A pillar) through a network (200), to the vehicle safety control device (100), when a judgment is performed on a target designated in advance by the analysis module (322), thereby controlling the vehicle control device unit (130) of the vehicle safety control device (100) to output a warning sound through a speaker (160) and output a recognized target video image included i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flexible display module (120).
여기서 대상 영상 이미지는 센서모듈(11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이미지에서 대상을 추출한 이미지이거나, 미리 설정된 각 대상별 대체 이미지로 차량안전제어장치(100)의 메모리(140)에 저장된 것일 수 있으며, 차량제어장치부(130)는 대상 영상 이미지의 촬영시간 및 알림정보를 메모리(140)에 저장함으로써, 향후 사고시의 증거자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안전정보제공모듈(323)도 차량제어장치부(130)의 일련번호와 함께, 대상 영상 이미지의 촬영시간 및 알림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함으로써, 사고시 향하 운전자측의 요청에 따라 증거 자료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target video image may be an image extracted from a video image captured by a sensor module (110), or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40) of the vehicle safety control device (100) as a preset substitute image for each target, and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may store the shooting time and no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video image in the memory (140), thereby enabling use as evidence in the event of a future accident, and the safety information provision module (323) may also store the shooting time and no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video image together with the serial number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in the database (330), thereby providing a service for providing evidence upon request from the driver in the event of an accident.
즉,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상술한 차량안전제어장치(100)는 알람서비스를 제공하며, 보행자 식별시 스피커에서 소리 출력이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as a more specific example, the vehicle safety control device (100) described above provides an alarm service and can provide a service that can output sound from a speaker when a pedestrian is identified.
이와 같이 안전정보제공모듈(323)은 차량 전방 좌우측 사이드 프레임[automobile side frame]으로 시야(Filler blind spot)에 가려져 있는 사각지대 시야 확보할 수 있도록 구현하고, 보행자의 안전성 확보 / 주행자의 시야각 확보, 보행자 사망사고 예방 기능, 사각지대의 전방좌우측 뿐만 아니라, 다른 좌측면, 우측면 필러 사각지대로 적용을 확대하여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safety information provision module (323) is implemented to secure a blind spot view that is obscured by the vehicle front left and right side frames [automobile side frames], and can provide functions for securing pedestrian safety / securing a driver's field of vision, preventing pedestrian fatalities, and expanding application to not only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lind spot, but also other left and right filler blind spots.
추가정보제공모듈(324)은 차량에 자율주향 차량인 경우 자율주행 성능향상을 위한 빅데이터 기반 수집 기능을 각 차량의 차량안전제어장치(100)의 일련번호를 메타데이터로 영상 정보를 빅데이터서버(400)에 축적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additional information provision module (324) can perform a function of accumulating image information in a big data server (400) using the serial number of the vehicle safety control device (100) of each vehicle as metadata for a big data-based collection function for improving autonomous driving performance in the case of an autonomous vehicle.
또한, 추가정보제공모듈(324)은 차량안전제어장치(100)의 네트워크(200)를 통한 네비게이션, 차선끼어들기, 사선주차기능 중 하나에 대한 지원 요청을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지원 요청된 것이 네비게이션 기능인 경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120)로 제공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지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ditional information provision module (324) controls the transceiver (310) to receive a request for support for one of the navigation, lane-cutting, and diagonal parking functions through the network (200) of the vehicle safety control device (100), and then, if the requested support is for a navigation function, can generate navigation support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flexible display module (120).
이를 위해, 추가정보제공모듈(324)은 차량안전제어장치(100)와 연동되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안전운전정보를 차량안전제어장치(100)로부터 추가적으로 수신한 뒤,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 그리고 정면 영상과 안전운전정보 상의 건물 형상과의 매칭을 통해 좌측으로 좌회전을 위한 건물 단위의 안내 정보를 생성한 뒤, 좌측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통해 건물 형상과 함께 좌회전 표시를 제공하거나, 동일한 방식으로 우측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통해 건물 형상과 함께 우회전 표시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네비게이션에서의 오차가 발생하는 음영지역 등에 대한 보완과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o this e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provision module (324) additionally receives the safety driving information of the navigation device linked to the vehicle safety control device (100) from the vehicle safety control device (100), and then generates guidance information for a building unit for a left turn by matching the left image, the right image, and the front image with the building shape on the safety driving information, and then provides a left turn indication together with the building shape through the left flexible display module (120), or provides a right turn indication together with the building shape through the right flexible display module (120) in the same manner, thereby improving accuracy and supplementing shaded areas where errors occur in existing naviga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각지대 안전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 사각지대 안전제공 방법은 정보수집과정(S11), 분석과정(S12), 안전정보제공과정(S13), 추가정보제공과정(S14)으로 이루어지며 상술한 정보수집모듈(321), 분석모듈(322), 안전정보제공모듈(323) 및 추가정보제공모듈(324)에 의해 수행되는 과정과 동일 또는 이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Fig. 7 is a flow chart showing a vehicle blind spot safety provi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vehicle blind spot safety provision method is composed of an information collection process (S11), an analysis process (S12), a safety information provision process (S13), and an additional information provision process (S14), and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processes performed by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321), analysis module (322), safety information provision module (323), and additional information provision module (324), so a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also thos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be distributed across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have disclose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have been used only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help understand the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ed example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 : 차량 사각지대 안전제공 시스템
100 : 차량안전제어장치
110 : 센서모듈
120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130 : 차량제어장치부
140 : 메모리
150 : 송수신모듈
160 : 스피커
200 : 네트워크
300 : 안전제공서버
310 : 송수신부
320 : 제어부
321 : 정보수집모듈
322 : 분석모듈
323 : 안전정보제공모듈
324 : 추가정보제공모듈
330 : 데이터베이스
400 : 빅데이터서버1: Vehicle blind spot safety system
 100 : Vehicle Safety Control Device
 110 : Sensor module
 120 : Flexible display module
 130: Vehicle control unit
 140 : Memory
 150 : Transmitter/Receiver Module
 160 : Speaker
 200 : Network
 300: Safety provision server
 310: Transmitter and receiver
 320 : Control Unit
 321: Information gathering module
 322: Analysis module
 323: Safety information provision module
 324: Additional information provision module
 330 : Database
 400: Big Data Server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042890AKR102733179B1 (en) | 2023-03-31 | 2023-03-31 | Vehicle blind spot safety system, and method thereof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042890AKR102733179B1 (en) | 2023-03-31 | 2023-03-31 | Vehicle blind spot safety system, and method thereof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147877A KR20240147877A (en) | 2024-10-10 | 
| KR102733179B1true KR102733179B1 (en) | 2024-11-22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30042890AActiveKR102733179B1 (en) | 2023-03-31 | 2023-03-31 | Vehicle blind spot safety system, and method thereof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733179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767507B1 (en)* | 2016-02-17 | 2017-08-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for a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809924B1 (en)* | 2015-09-01 | 2017-12-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 
| KR20190091871A (en)* | 2018-01-29 | 2019-08-07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removing blind spot adapted for A-pillar of vehicle | 
| KR102370876B1 (en)* | 2020-04-16 | 2022-03-07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riving information by using object recognition of cloud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767507B1 (en)* | 2016-02-17 | 2017-08-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for a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147877A (en) | 2024-10-10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2280740B2 (en) | Methods for passenger authentication and door operation for autonomous vehicles | |
| US12005897B1 (en) | Speed planning for autonomous vehicles | |
| JP7263233B2 (en) |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detecting vehicle collision | |
| CN114932902B (en) | Ghost probe early warning avoid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Internet of vehicles technology | |
| US11183066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driving tendency and system for controlling vehicle | |
| CN111547043A (en) | Automatic response to emergency service vehicle by autonomous vehicle | |
| US6810132B1 (en) | Traffic monitoring apparatus | |
| US10235886B1 (en) | Integral damage control by interaction between a collision detection system and a bumper system | |
| TWI774034B (en) | Driving warning method, system and equipment based on internet of vehicle | |
| US11443622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mitigating a risk of being followed by a vehicle | |
| US20230410486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 US20230147357A1 (en) | Vehicle control system, apparatus, and method | |
| KR102733179B1 (en) | Vehicle blind spot safety system, and method thereof | |
| US20250022286A1 (en) | Turn and Brake Action Prediction Using Vehicle Light Detection | |
| KR102249520B1 (en) | Reverse driving detecting system using therma images and thereof method | |
| KR102721544B1 (en) | A system for providing driving assistance devices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method thereof | |
| KR20210104199A (en) | Autonomous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 KR102745993B1 (en) | People and object detection system through black box video | |
| US12033399B1 (en) | Turn and brake action prediction using vehicle light detection | |
| KR102794483B1 (en) |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information,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vehicle map | |
| Salvaji et al. | ACCIDENT DETECTION USING BiLSTM | |
| KR20240145235A (en) |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nd driving assistance method | |
| CN115902941A (en) | Obstacle detec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reference line | |
| CN119152729A (en) | V2X-based pedestrian crossing and two-wheel vehicle early warning system and early warning method thereof | |
| JP2022045160A (en) | Vehicle control device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23033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230331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40919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241118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41119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241119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