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IoT 기반 혈당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혈당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a user's blood sugar level in real time using an IoT-based blood sugar measurement device and managing the user's health status using the measured data.
1형 당뇨병은 자가면역질환의 일종으로 췌장의 베타세포가 파괴돼 인슐린이 거의 분비되지 않아 신체 스스로 혈당을 조절할 수 없는 병이다. 주로 식습관이나 비만 등으로 발병하는 2형 당뇨병과는 다르고, 소아·청소년기뿐 아니라 전 연령대에 발병할 수 있다. 1형 당뇨병 환자는 신체 내 인슐린 생성이 안 되기 때문에 수시로 인슐린을 주입해 혈당을 조절해야 한다. 고혈당이 지속되면 눈, 신장, 심장, 신경 등에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고, 인슐린 주입 뒤 혈당이 급격하게 떨어지면 저혈당 쇼크로 의식을 잃거나 경련을 하는 등 위험한 상황에 빠질 수 있다. 1형 당뇨병은 혈당을 평생 관리해야만 하는 병이지만, 제대로 관리하면 무리 없이 일상생활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혈당을 모니터링하고 인슐린을 주입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Type 1 diabetes is a type of autoimmune disease in which the beta cells of the pancreas are destroyed, so that almost no insulin is secreted, and the body cannot control blood sugar levels on its own. It is different from type 2 diabetes, which is mainly caused by eating habits or obesity, and can occur not onl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but also at all ages. Type 1 diabetes patients must control their blood sugar levels by injecting insulin regularly because their bodies do not produce insulin. If high blood sugar levels persist, it can cause complications in the eyes, kidneys, heart, and nerves, and if blood sugar levels drop rapidly after insulin injection, it can lead to dangerous situations such as losing consciousness or experiencing convulsions due to hypoglycemic shock. Type 1 diabetes is a disease that requires lifelong management of blood sugar levels, but since it can allow people to live their daily lives without difficulty if managed properly, a method for monitoring blood sugar levels in real time and injecting insulin is necessary.
가정에서 혈당을 재기 위해선 '자가혈당측정기'나 '연속혈당측정기'를 사용할 수 있다. 자가혈당측정기는 손끝 채혈을 통해 모세혈관의 포도당 농도를 측정하는 방식이고, 연속혈당측정기는 센서를 피부에 삽입하거나 신체에 패치를 붙여 실시간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방식이다. 자가혈당측정기는 직접 채혈을 해야하기 때문에 자주 측정하기 어려우나 연속혈당측정기보다 좀더 정확하다는 이점이 있다. 연속혈당측정기는 채혈하지 않고도 혈당을 측정할 수 있어 편리하나 자가혈당측정기보다 부정확하며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To measure blood sugar at home, you can use a 'self-blood glucose meter' or a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A self-blood glucose meter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glucose in the capillaries by collecting blood from the fingertip, and a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measures blood sugar in real time by inserting a sensor into the skin or attaching a patch to the body. Since a self-blood glucose meter requires direct blood collection, it is difficult to measure frequently, but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more accurate than a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A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is convenient because it can measure blood sugar without collecting blood, but it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less accurate and more expensive than a self-blood glucose meter.
당뇨병 환자가 혈당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측정된 혈당 데이터의 정확도를 보장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또한, 측정된 혈당 데이터에 기초하여 투여할 인슐린 양을 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A technology is required to facilitate real-time blood sugar measurement by diabetic patients and to ensure the accuracy of measured blood sugar data. In addition, a technology is required to increase user convenience by determining the amount of insulin to be administered based on measured blood sugar data.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IoT 기반 혈당측정장치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혈당을 정확하게 실시간 측정하고 인슐린 투여량을 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혈당을 관리하기 위한 것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manage the user's blood sugar level by accurately measuring the user's blood sugar level in real time and determining the insulin dosage using data from an IoT-based blood sugar measurement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urposes mentioned above, and other purpose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below.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혈당측정장치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관리하는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혈당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제1 데이터를 획득하는 연속 혈당 측정기; 상기 연속 혈당 측정기에서 측정된 제1 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손끝을 채혈하여 측정된 제2 데이터를 획득하는 채혈 혈당 측정기;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평가하고 처방을 제공하기 위한 의료기관 서버; 및 상기 연속 혈당 측정기, 상기 채혈 혈당 측정기,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혈당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혈당이 기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수집된 데이터와 상기 결정된 혈당을 상기 의료기관 서버로 전송하고 투여할 인슐린의 양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system for managing a user's health condition using data of an IoT-based blood glucose measuring device may include: a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ing device attached to a user's body to measure the user's blood glucose in real time to obtain first data; a blood collection blood glucose measuring device to obtain second data measured by collecting blood from a fingertip of the user to correct the first data measured by the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ing device; a wearable device for measuring the user's exercise amount in real time; a medical institution server for evaluating the user's health condition and providing a prescription; and a user terminal for determining the user's blood glucose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the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ing device, the blood collection blood glucose measuring device, and the wearable device, and transmitting the collected data and the determined blood glucose to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when the determined user's blood glucose exceeds a preset threshold value, and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insulin to be administered from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정된 측정 주기 마다 상기 연속 혈당 측정기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정된 채혈 주기가 도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측정 지시에 대한 알람이 상기 채혈 혈당 측정기로 전송되고, 상기 알람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데이터의 변화 추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된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혈당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추가 운동량을 알려줄 수 있다.The user terminal obtains the first data from the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at each measurement cycle set for the user terminal, and when the blood collection cycle set for the user terminal arrives, an alarm for a measurement instruction i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blood collection blood glucose meter, and based on the alarm, the user terminal obtains the second data, and based on a change trend of the first data and the amount of exercise of the user received in real time from the wearable device, the user terminal can be notified of an additional amount of exercise required to reduce the user's blood sugar.
상기 의료기관 서버는, 기존의 인슐린 투여량 및 상기 결정된 혈당에 기초하여 상기 투여할 인슐린 양에 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The above medical institution server can determine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insulin to be administered based on the existing insulin dosage and the determined blood sugar level.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투여할 인슐린 양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인슐린을 투여한 2 시간 이후에 상기 채혈 혈당 측정기로 측정 지시에 대한 알람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식후 혈당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can transmit an alarm for a measurement instruction to the blood glucose meter 2 hours after the user administers insulin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insulin to be administered, and receive information about postprandial blood glucose from the user terminal.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식단을 촬영하고, 촬영된 식단을 분석하여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는 혈당을 계산한 뒤, 상기 촬영된 식단의 허용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The above user terminal can take a photo of the user's diet, analyze the photographed diet, calculate the blood sugar level expected to increase, and then inform the user whether the photographed diet is acceptable.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 간 차이가 있는 경우에, 상기 채혈 혈당 측정기의 신뢰도는 90%로, (상기 제2 데이터*0.9 + 상기 제1 데이터*0.1)의 값을 상기 사용자의 혈당으로 결정하고, 상기 의료기관 서버는 상기 수집된 데이터와 상기 결정된 혈당에 기초하여 상기 신뢰도를 수정하여 주기적으로 전송해줄 수 있다.The user terminal, in the case where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determines that the reliability of the blood glucose meter is 90%, and determines the value of (the second data * 0.9 + the first data * 0.1) as the user's blood glucose, and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can periodically transmit the revised reliability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d the determined blood glucose.
상기 사용자가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 경우에, 상기 의료기관 서버는 실제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채혈 혈당 측정기의 신뢰도를 업데이트 하고 업데이트된 신뢰도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above user visits a medical institution and receives treatment,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can update the reliability of the blood glucose meter based on the actual health condition of the user and transmit the updated reliability to the user terminal.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술한 시스템의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A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coupled with hardware and controlled by 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medium to execute any one of the methods of the system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채혈 혈당 측정기와 연속 혈당 측정기를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직접 채혈하는 횟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사용자의 혈당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lood glucose meter and a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are combined to reduce costs and minimize the number of times blood is drawn directly,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and accurately determining the user's blood glucose lev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병원에 방문하지 않고도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투여할 인슐린의 양을 원격으로 처방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remotely receive a prescription for the amount of insulin to be administered from a medical institution server without visiting a hospit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식단, 운동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사용자의 혈당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diet and amount of exercise can be checked in real time to help the user manage his/her blood sugar level.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혈당을 결정하기 위한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관 서버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관 서버의 구성의 예시도이다.FIG. 1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for a user terminal to determine blood suga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for a medical institution server to provide a ser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of the configuration of a medical institution ser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since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the scope of rights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restricted by thes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to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re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specific disclosed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alternatives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Although the term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such terms should be constru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특정한 경우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such cases, their mean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relevant description section. Accordingly, the terms used in this disclosure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s and the overall contents of this disclosure, rather than simply the names of the ter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may also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s"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understood t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기재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b,c 모두’를 포괄할 수 있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ever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cluded, but rather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exclude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Furthermore, the singular forms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specifically dictates otherwise. Furthermore, the expression “at least one of a, b, and c”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can encompass “a alone,” “b alone,” “c alone,” “a and b,” “a and c,” “b and c,” or “all of a, b, and c.”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 module”, etc.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represented by functional block configurations and various processing steps. These functional blocks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numbers of hardware or/and software configurations that execute specific functions. For examp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employ direct circuit configurations such as memory, processing, logic, look-up tables, etc. that may execute various functions under the control of one or more microprocessors or other control devices.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Each block of the processing flow diagram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and combinations of the flow diagrams can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be installed in a processor of a general-purpose computer, a special-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o that the instructions, when executed by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create a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flow diagram block(s).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이 가능하며,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stored in a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that can direct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to implement a function in a particular manner, and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may also produce an article of manufacture that includes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 described in the flowchart block(s).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Since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install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a series of operational steps may be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to produce a computer-executable process, so that the instructions executing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may also provid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flowchart block(s).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Additionally, each block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performing a particular logical function(s). Additionally, in some alternative implementation examples, the functions mentioned in the blocks may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execut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the blocks may sometimes be executed in reverse order, depending on the functionality they perform.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drawing number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When describing an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10), 연속 혈당 측정기(120), 웨어러블 디바이스(130), 채혈 혈당 측정기(140), 및 의료기관 서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A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user terminal (110), a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120), a wearable device (130), a blood glucose meter (140), and a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사용자 단말(110)은, AI 프로그램이 탑재된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서버,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스피커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 단말(110)은 의료기관 서버(150)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연결되고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연속 혈당 측정기(120), 웨어러블 디바이스(130), 및 채혈 혈당 측정기(14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연결되고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10)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smartphone, a tablet PC, a PC, a smart TV, a mobile phone,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laptop, a media player, a server, a micro server,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evice, an e-book read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navigation device, a kiosk, an MP3 player, a digital camera, a speaker, or any other mobile or non-mobile computing device equipped with an AI program. That is, the user terminal (110) may include any type of device that is connected to a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through a network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10) may include any type of device that is connected to a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120), a wearable device (130), and a blood glucose meter (14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each other.
IoT (Internet of Things)는 여러 사물에 통신기능을 달아서 인터넷을 통해 상호 통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IoT는 사람과 사람간의 통신을 넘어 사물에 IP 주소를 부여하고 사람과 사물, 혹은 사물과 사물간의 통신을 이끌어내는 기술을 일컫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10), 연속 혈당 측정기(120), 웨어러블 디바이스(130), 및 채혈 혈당 측정기(140)는 IoT를 기반으로 하여 혈당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IoT (Internet of Things) refers to attaching communication functions to various objects and allowing them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the Internet. Specifically, IoT refers to a technology that goes beyond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and people and assigns IP addresses to objects and induces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and objects, or objects and object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terminal (110), a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120), a wearable device (130), and a blood glucose meter (140) can transmit and receive blood glucose data based on IoT.
연속 혈당 측정기(120)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혈당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해 주는 기기이다. 연속 혈당 측정기(120)는 피부 아래에 포도당 센서를 삽입하고, 사용자자가 먹고 일하고 자는 등 일상생활을 하는 동안 실시간으로 변하는 혈당 값을 측정해 무선으로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연속 혈당 측정기(120)는 실시간으로 변하는 혈당 값을 혈당 추세 그래프로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연속 혈당 측정기(120)는 고혈당이나 저혈당 등 혈당의 큰 변화가 있을 때 알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연속 혈당 측정기(120)는 채혈 혈당 측정기(140)에 비해 비싸고 다소 부정확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직접 채혈을 하지 않고도 실시간으로 혈당을 측정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높다는 이점이 있다.A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120) is a device attached to a user's body to provide blood glucose data in real time. The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120) can insert a glucose sensor under the skin and measure blood glucose values that change in real time while the user is eating, working, sleeping, etc., and transmit the measured blood glucose values wirelessly to a user terminal (110). The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120) can also generate a blood glucose trend graph of blood glucose values that change in real time and transmit it to the user terminal (110). The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120) can also provide an alarm when there is a significant change in blood glucose, such as hyperglycemia or hypoglycemia. The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120)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expensive and somewhat inaccurate compared to a blood collection blood glucose meter (140), but has the advantage of high user convenience because it can measure blood glucose in real time without directly collecting blood.
웨어러블 디바이스(13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디바이스로, 손목, 허벅지, 팔, 발목, 허리, 두부, 목 등 다양한 위치에 착용될 수 있다. 예컨대, 웨어러블 디바이스(130)는 손목시계 형, 손목 밴드형, 반지 형, 벨트형, 목걸이형, 발목 밴드형, 허벅지 밴드형, 팔뚝 밴드형 등을 다양한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30)를 포 함할 수 있다.The wearable device (130) is a device worn on the user's body, and can be worn in various locations, such as the wrist, thigh, arm, ankle, waist, head, and neck. For example, the wearable device (130) can include various types of wearable devices (130), such as a wristwatch type, a wrist band type, a ring type, a belt type, a necklace type, an ankle band type, a thigh band type, and an arm band type.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30)는 단독으로 사용 가능하거나 타 전자 장치와 연계되어 사용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30)는 통신 모듈에 의해 사용자 단말(110)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30)는 출력 정보를 타 전자 장치로 출력시키거나, 타 전자 장치의 출력 정보를 수신하여 대신 출력하거나, 타 전자 장치와 동시에 출력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정보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되거나, 스피커 장치를 통하여 청각적으로 출력되거나, 진동 등에 의하여 촉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은 WiFi 통신 모듈, 블루투스 통신 모듈, 적외선 통 신 모듈, NFC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wearable device (130) may be used alone or in conjunction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earable device (130)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10)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it via a communication module. In this case, the wearable device (130) may output output information to the other electronic device, receive output information from the other electronic device and output it instead, or output output information simultaneously with the other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utput information may be visually output via the user terminal (110), audibly output via a speaker device, or tactilely output via vibration, etc.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ncluding a WiFi communication module,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an NFC communication module, or the like.
채혈 혈당 측정기(140)는 채혈 혈당 측정기(140)의 바늘로 손가락 끝을 찔러 피를 내어 검사용 시험지에 묻히면, 채혈 혈당 측정기(140)가 시험지에 묻은 혈액 속의 포도당을 감지하여 혈당을 표시해 주는 장치이다. 채혈 혈당 측정기(140)는 측정된 혈당을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110)이 연속 혈당 측정기(120)의 측정 데이터와 채혈 혈당 측정기(140)의 측정 데이터를 종합하여 사용자의 혈당을 판단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채혈 혈당 측정기(140)는 연속 혈당 측정기(120)에 비해 저렴하고, 직접 채혈을 한 것이어서 정확하다는 이점이 있지만, 직접 채혈을 해야만 혈당을 측정할 수 있어 실시간으로 혈당 측정을 하기에 부적합해 사용자 편의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A blood glucose meter (140) is a device that detects glucose in the blood on the test paper by pricking the fingertip with the needle of the blood glucose meter (140) and applying the blood to a test paper, and then displays the blood glucose level. The blood glucose meter (140) can transmit the measured blood glucose level to a user terminal (110), so that the user terminal (110) can determine the user's blood glucose level by synthesizing the measurement data of the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120) and the measurement data of the blood glucose meter (140). The blood glucose meter (140) is cheaper than the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120),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ccurate because it directly collects blood. However, since blood glucose level can only be measured by directly collecting blood, it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unsuitable for measuring blood glucose level in real time, which reduces user convenie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 혈당 측정기(120)와 채혈 혈당 측정기(140)를 모두 이용하여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함으로써, 연속 혈당 측정기(120) 및 채혈 혈당 측정기(140)의 장점을 취하고 단점은 보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easuring the user's blood sugar level using both a continuous blood sugar meter (120) and a blood collection blood sugar meter (140),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advantages of the continuous blood sugar meter (120) and the blood collection blood sugar meter (140) can be taken and the disadvantages of the continuous blood sugar meter (120) and the blood collection blood sugar meter (140) can be supplemented.
의료기관 서버(15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여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의료기관 서버(150)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10)과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혈당 데이터의 정확도를 판단하고 투여할 인슐링 양을 결정하여 처방하는 등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device or multiple computer devices that communicate through a network to provide data or provide remote medical treatment services.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may provide remote medical treatment services such as exchanging data with a user terminal (110) through a network, judging the accuracy of blood sugar data, determining the amount of insulin to be administered, and prescribing.
의료기관 서버(150)는 사용자가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 경우에 실제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0)에서 결정된 혈당이 정확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110)에서 결정된 혈당과 실제 사용자의 혈당에 차이가 있는 경우, 의료기관 서버(150)는 채혈 혈당 측정기의 신뢰도를 조정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can determine whether the blood sugar determined at the user terminal (110) is accurate based on the actual health status of the user when the user visits the medical institution and receives treatment. If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blood sugar determined at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actual blood sugar of the user,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can adjust the reliability of the blood sugar meter and transmit it to the user terminal (110).
통신망은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및 이들의 상호 조합을 포함하며, 도 1에 도시된 각 네트워크 구성 주체가 서로 원활하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이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모바일 무선 통신망, 및 사물 인터넷(IoT)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a value added network (VAN),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ombination thereof, and is a comprehensive data communication network that allows each network component as shown in Fig. 1 to communicate smoothly with each other, and may include wired Internet, wireless Internet,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nd Internet of Things (IoT).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혈당을 결정하기 위한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내용 중 앞서 도 1에서 설명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도 1에 기재된 내용을 참고하고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FIG.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ethod for a user terminal to determine blood suga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garding the content illustrated in FIG. 2 that overlaps with the content described in FIG. 1 above, reference is made to the content described in FIG. 1,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herein.
단계 S21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연속 혈당 측정기(120)로부터 측정된 제1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에 설정된 측정 주기마다 연속 혈당 측정기(120)로부터 사용자 제1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연속 혈당 측정기(120)의 측정 주기를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잠을 자는 동안의 측정 주기는 사용자가 활동하는 시간의 측정 주기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연속 혈당 측정기(120)는 사용 횟수가 한정된 소모품이기 때문에, 측정 주기를 사용자 맞춤으로 설정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step S210, the user terminal (110) can receive the first data measured from the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120) in real time. Specifically, the user first data can be acquired from the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120) for each measurement cycle set in the user terminal (110). The user terminal (110) can variably set the measurement cycle of the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120). For example, the measurement cycle while the user is sleeping can be set longer than the measurement cycle while the user is active. Since the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120) is a consumable with a limited number of uses, the measurement cycle can be set to a user-defined value to enable efficient use.
단계 S22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연속 혈당 측정기(120)에서 측정된 제1 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해, 채혈 혈당 측정기(140)로부터 사용자의 손끝을 채혈하여 측정된 제2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에 설정된 채혈 주기가 도래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측정 지시에 대한 알람을 채혈 혈당 측정기(140)로 전송할 수 있다. 채혈 혈당 측정기(140)로 측정 지시에 대한 알람이 수신되면, 사용자는 손끝을 채혈하여 측정된 제2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110)에 측정 지시에 대한 알람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손끝을 채혈하여 측정된 제2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In step S220, the user terminal (110) may obtain second data measured by collecting blood from the user's fingertip from the blood collection blood glucose meter (140) in order to correct the first data measured by the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120). Specifically, when the blood collection cycle set in the user terminal (110) arrives, the user terminal (110) may transmit an alarm for a measurement instruction to the blood collection blood glucose meter (140). When the alarm for the measurement instruction is received by the blood collection blood glucose meter (140), the user may obtain second data measured by collecting blood from the fingertip. Alternatively, when the alarm for the measurement instruction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10), the user may obtain second data measured by collecting blood from the fingertip.
제2 데이터는 직접 채혈하여 측정된 혈당 값이기 때문에 제1 데이터보다 정확하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10)은 주기적으로 수신된 제1 데이터의 추이를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정할 수 있다.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를 보정하는 동작은 단계 S250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second data is more accurate than the first data because it is a blood sugar value measured by directly collecting blood. Therefore, the user terminal (110) can correct the trend of the first data received periodically based on the second data. The operation of correcting the first data based on the second data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step S250.
단계 S23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30)로부터 사용자의 운동량을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3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심박수, 운동량, 소모 칼로리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의 혈당을 결정할 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3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심박수, 운동량, 소모 칼로리 등을 반영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제1 데이터의 변화 추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13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된 사용자의 운동량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혈당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추가 운동량을 알려줄 수 있다.In step S230, the user terminal (110) can receive the user's exercise amount in real time from the wearable device (130). Specifically, the wearable device (130) is worn on the user's body and can measure the user's heart rate, exercise amount, calories consumed, etc. in real time. The user terminal (110) can reflect the user's heart rate, exercise amount, calories consumed, etc. received from the wearable device (130) when determining the user's blood sugar. The user terminal (110) can inform the user of an additional exercise amount required to reduce the user's blood sugar based on the change trend of the first data and the user's exercise amount received in real time from the wearable device (130).
단계 S24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의 식단을 촬영하고, 촬영된 식단을 분석하여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는 혈당을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은 촬영된 식단의 칼로리, 사용자의 혈당 히스토리, 및 공복 혈당 수치 등에 기초하여 예상되는 혈당 증가량을 계산할 수 있다. 만약, 혈당 증가량이 과도한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촬영된 식단이 허용되지 않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촬영된 식단 중 빼야할 항목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In step S240, the user terminal (110) can take a picture of the user's diet and analyze the taken diet to calculate the blood sugar expected to increase. Specifically, the user terminal (110) can calculate the expected blood sugar increase based on the calories of the taken diet, the user's blood sugar history, and the fasting blood sugar level. If the blood sugar increase is excessive, the user terminal (110) can inform the user that the taken diet is not allowed.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10) can inform the user of the items to be excluded from the taken diet.
단계 S210 내지 단계 S240은 설명의 편의상 흐름도로 개시된 것일 뿐, 개시된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각 단계의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수행될 수 있다.Steps S210 to S240 are disclosed as a flowchar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nly, and are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order, and may be performed whenever an event of each step occurs.
단계 S25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연속 혈당 측정기(120), 채혈 혈당 측정기(14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3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혈당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은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 간 차이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 간 차이가 오차범위 (10%)를 초과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110)은 채혈 혈당 측정기(140)의 신뢰도를 90%로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채혈 혈당 측정기(140)는 직접 채혈하여 측정한 혈당 값이기 때문에 연속 혈당 측정기(120)보다 정확하며, 이에 따라 채혈 혈당 측정기(140)의 신뢰도를 90%로 기본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제2 데이터는 직접 채혈을 해야만 획득될 수 있으므로, 자주 획득하기 어려우며, 제2 데이터가 획득될 때마다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제1 데이터의 추이를 보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In step S250, the user terminal (110) can determine the user's blood sugar level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the continuous blood sugar meter (120), the blood collection blood sugar meter (140), and the wearable device (130). Specifically, the user terminal (110) can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exceeds the error range (10%), the user terminal (110) can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blood collection blood sugar meter (140) to be 90%. In general, the blood collection blood sugar meter (140) is more accurate than the continuous blood sugar meter (120) because it measures blood sugar levels by directly collecting blood, and thus the reliability of the blood collection blood sugar meter (140) can be set to 90% by default. However, since the second data can be obtained only by directly collecting blood, it is difficult to obtain frequently, and can be used to correct the trend of the first data that is periodically received whenever the second data is obtained.
사용자 단말(110)은 채혈 혈당 측정기(140)의 신뢰도가 90%인 경우에, (제2 데이터*0.9 + 제1 데이터*0.1)의 값을 사용자의 혈당으로 결정할 수 있다. 채혈 혈당 측정기(140)의 신뢰도는 의료기관 서버(150)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의료기관 서버(150)는 수집된 데이터와 결정된 혈당에 기초하여 신뢰도를 수정하여 주기적으로 전송해줄 수 있으며, 구체적인 동작은 도 3에서 후술하기로 한다.The user terminal (110) can determine the value of (second data*0.9 + first data*0.1) as the user's blood sugar level when the reliability of the blood sugar meter (140) is 90%. The reliability of the blood sugar meter (140) can be modified by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can modify the reliability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d the determined blood sugar level and transmit it periodically, and the specific ope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FIG. 3.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관 서버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내용 중 앞서 도 1 내지 도 2에서 설명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2에 기재된 내용을 참고하고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FIG.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ethod for a medical institution server to provide a ser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the content illustrated in FIG. 3 that overlaps with the content described in FIGS. 1 and 2 above,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content described in FIGS. 1 and 2,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단계 S310에서, 의료기관 서버(150)는 사용자의 혈당이 기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에 수집된 데이터와 사용자 혈당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료기관 서버(150)는 사용자 단말(110)로 사용자의 혈당의 임계 값을 설정해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에서 결정된 사용자의 혈당이 기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의료기관 서버(15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 사용자 운동량, 사용자 식단, 및 사용자 혈당 등을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310,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can receive the data collected in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user's blood sugar if the user's blood sugar exceeds a preset threshold value. Specifically,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can set a threshold value of the user's blood sugar to the user terminal (110). If the user's blood sugar determined in the user terminal (110) exceeds the preset threshold value,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can receive first data, second data, the user's exercise amount, the user's diet, and the user's blood sugar, etc. from the user terminal (110).
의료기관 서버(150)는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0)에서 결정된 사용자 혈당이 정확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료기관 서버(150)에 기저장된 사용자의 진료 기록, 사용자의 혈당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사용자 혈당이 정확한 값인지 판단할 수 있다.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can determine whether the user's blood sugar level determined at the user terminal (110) is accurate based on the received data. Specifically, it can determine whether the user's blood sugar level is accurate based on the user's medical records and blood sugar history stored in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단계 S320에서, 의료기관 서버(150)는 투여할 인슐린의 양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의료기관 서버(150)는 사용자가 기존에 투여하던 인슐린의 양에 대한 정보 및 현재 사용자 혈당에 기초하여 투여할 인슐린의 양을 결정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의료기관 서버(150)는 투여할 인슐린의 양을 결정할 때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료기관 서버(150)는 기존에 투여했던 인슐린의 양 및 사용자 혈당의 히스토리를 학습 데이터로하는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 혈당에 대해 투여할 인슐린의 양을 결정할 수도 있다.In step S320,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insulin to be administered to the user terminal (110).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may determine the amount of insulin to be administered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insulin previously administered by the user and the current user blood sugar level,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10).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may use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when determining the amount of insulin to be administered. Specifically,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may determine the amount of insulin to be administered for the current user blood sugar level by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at uses the amount of insulin previously administered and the history of the user's blood sugar level as learning data.
의료기관 서버(150)는 투여할 인슐린의 양에 대한 결정이 어려운 경우, 원격 진료 요청을 의사 단말(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의사는 의료기관 서버(150)에 수신된 데이터 및 사용자 혈당에 기초하여 투여할 인슐린의 양을 결정하고 의료기관 서버(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의료기관 서버(150)는 수신된 투여할 인슐린의 양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If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amount of insulin to be administered,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may transmit a remote consultation request to a doctor terminal (not shown). The doctor may determine the amount of insulin to be administered based on the data received by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and the user's blood sugar level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insulin to be administered to the user terminal (110).
사용자 단말(110)은 투여할 인슐린 양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인슐린을 투여한 2 시간 이후에 상기 채혈 혈당 측정기(140)로 측정 지시에 대한 알람을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식후 혈당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후 혈당이 크게 증가하기 때문에, 채혈 혈당 측정기(140)의 채혈 주기는 식후 2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10) can transmit an alarm for a measurement instruction to the blood glucose meter (140) 2 hours after the user administers insulin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insulin to be administered, and can receive information about postprandial blood glucose from the user terminal (110). In general, since postprandial blood glucose increases significantly, the blood collection cycle of the blood glucose meter (140) can be set to 2 hours after a meal.
단계 S330에서, 의료기관 서버(150)는 수집된 데이터와 사용자의 혈당에 기초하여 신뢰도를 수정하여 주기적으로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채혈 혈당 측정기(140)의 신뢰도는 90%로 기본 설정될 수 있다. 의료기관 서버(150)는 사용자의 진료 기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채혈 혈당 측정기(140)의 신뢰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In step S330,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can modify the reliability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d the user's blood sugar and periodically transmit it to the user terminal (110). As described above, the reliability of the blood glucose meter (140) can be set to 90% by default. Since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has the user's medical record, it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blood glucose meter (140).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 간 차이가 오차 범위(10%)를 초과하는 경우 의료기관 서버(150)는 사용자 단말(110)에 수집된 데이터와 사용자 혈당을 수신할 수 있다. 의료기관 서버(150)는 사용자의 진료 기록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0)에 수집된 데이터와 사용자 혈당이 정확한지 판단할 수 있다. 의료기관 서버(150)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결정된 사용자 혈당이 정확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채혈 혈당 측정기(140)의 신뢰도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진료 기록에 따르면, 제1 데이터가 사용자의 실제 혈당에 더 가까운 경우, 채혈 혈당 측정기(140)의 신뢰도를 50%로 수정하고, 수정된 신뢰도(50%)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f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exceeds the error range (10%),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may receive the data collected in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user's blood sugar.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may determine whether the data collected in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user's blood sugar are accurate based on the user's medical record. If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determines that the user's blood sugar determined in the user terminal (110) is not accurate,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may correct the reliability of the blood sugar meter (140). For example, if the first data is closer to the user's actual blood sugar according to the user's medical record, the reliability of the blood sugar meter (140) may be corrected to 50%, and the corrected reliability (50%)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10).
의료기관 서버(150)는 신뢰도를 수정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 경우에, 의료기관 서버(150)는 실제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기초하여 채혈 혈당 측정기(140)의 신뢰도를 업데이트 하고 업데이트된 신뢰도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may also periodically transmit the revised reliability to the user terminal (110). In addition, when a user visits a medical institution and receives treatment,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may update the reliability of the blood glucose meter (140) based on the actual health status of the user and transmit the updated reliability to the user terminal (110).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내용 중 앞서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3에 기재된 내용을 참고하고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garding the content illustrated in FIG. 4 that overlaps with the content described in FIGS. 1 to 3,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content described in FIGS. 1 to 3,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은 데이터 수집부(410), 혈당 결정부(420), 투약량 전송부(430), 통신부(440), 및 제어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개시의 실시예와 관련된 사용자 단말(110)의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전자 장치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data collection unit (410), a blood sugar determination unit (420), a dosage transmission unit (430), a communication unit (440), and a control unit (450). Only components of the user terminal (110) relat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illustrated in FIG. 4.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that other general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4.
데이터 수집부(410)는 연속 혈당 측정기(120), 웨어러블 디바이스(130), 채혈 혈당 측정기(140), 및 의료기관 서버(150)로부터 수신되는 모든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수집부(410)는 연속 혈당 측정기(120)로부터 수신되는 제1 데이터를 측정 주기마다 수신하고 시간 대별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부(410)는 채혈 혈당 측정기(140)로부터 채혈 주기마다 수신되는 제2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The data collection unit (410) can collect and manage all data received from the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120), the wearable device (130), the blood collection blood glucose meter (140), and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Specifically, the data collection unit (410) can receive first data received from the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120) for each measurement cycle and store and manage it for each time period. In addition, the data collection unit (410) can store and manage second data received from the blood collection blood glucose meter (140) for each blood collection cycle.
또한, 데이터 수집부(410)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촬영한 사용자 식단 및 사용자 식단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부(4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30)로부터 사용자의 심박수, 운동량, 및 소모 칼로리 등을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collection unit (410) can store and manag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diet and the user's diet captured by the user terminal (110). In addition, the data collection unit (410) can receive, store, and manage the user's heart rate, amount of exercise, and calories consumed in real time from the wearable device (130).
데이터 수집부(410)는 의료기관 서버(150)로부터 수신되는 투여할 인슐린에 대한 정보, 채혈 혈당 측정기(140)의 신뢰도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혈 혈당 측정기(140)의 신뢰도가 수정된 경우, 데이터 수집부(410)는 채혈 혈당 측정기(140)에 대한 기존의 신뢰도를 수정된 신뢰도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The data collection unit (410) can store and manage information on insulin to be administer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blood collection blood glucose meter (140) received from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For example, if the reliability of the blood collection blood glucose meter (140) is modified, the data collection unit (410) can update the existing reliability of the blood collection blood glucose meter (140) to the modified reliability.
데이터 수집부(410)는 제어부(46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450)를 통해 의료기관 서버(150)로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The data collection unit (410) can transmit the collected data to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5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60).
혈당 결정부(420)는 데이터 수집부(410)에서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혈당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혈당 결정부(420)는 데이터 수집부(410)에 저장된 신뢰도를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혈당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혈당 결정부(420)는 데이터 수집부(410)에 저장된 사용자의 운동량 및 사용자의 식단 정보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혈당 변화량을 계산하여 사용자의 혈당을 결정할 수 있다.The blood sugar determination unit (420) can determine the user's blood sugar based on the data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unit (410). Specifically, the blood sugar determination unit (420) can determine the user's blood sugar by applying the reliability stored in the data collection unit (410) to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In addition, the blood sugar determination unit (420) can determine the user's blood sugar by calculating the blood sugar change amount in real time based on the user's exercise amount and the user's diet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 collection unit (410).
혈당 결정부(420)는 사용자의 혈당이 기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한 경우에 의료기관 서버(150)로 통신부(450)를 통해 사용자 혈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혈당 결정부(420)는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 간 차이가 오차범위(10%) 이상인 경우에 의료기관 서버(150)로 통신부(450)를 통해 사용자 혈당을 전송할 수 있다.The blood sugar determination unit (420) can transmit the user's blood sugar to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50) when the user's blood sugar exceeds a preset threshold value. In addition, the blood sugar determination unit (420) can transmit the user's blood sugar to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50)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is greater than the error range (10%).
투약량 전송부(430)는 의료기관 서버(150)로부터 투여할 인슐린의 양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에게 인슐린 투여량을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약량 전송부(430)는 사용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미도시)에 인슐린 투여량을 표시하고, 알림음 또는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가 인슐린을 투여해야 함을 알려줄 수 있다.When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insulin to be administered is received from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the dosage transmitter (430) can inform the user of the insulin dosage. For example, the dosage transmitter (430) can display the insulin dosage on the display (not shown) of the user terminal (110) and generate a notification sound or vibration to inform the user that he or she should administer insulin.
통신부(440)는 외부 장치(예: 웹 수집기)와 통신 채널을 설립하고, 외부 장치와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440)는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관련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440)가 이용하는 통신 기술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5G,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communication unit (440) can establish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an external device (e.g., a web collector) and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with the external device. The communication unit (440) can perform wired/wireless communication to transmit and receive related information. The communication technologies used by the communication unit (440)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5G, WLAN (Wireless LAN), Wi-Fi (Wireless-Fidelity), Bluetooth™,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etc.
제어부(450)는 사용자 단말(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 및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450)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50)는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여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450)는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명령어를 실행하여 사용자 단말(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 및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450)는 본 개시 전반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사용자의 혈당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혈당을 결정하고, 결정된 사용자의 혈당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혈당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내용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5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and process data and signals. The control unit (450) can be composed of at least one hardware unit.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50) can be operated by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generated by executing a program code stored in a memory (not shown). The control unit (45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and process data and signals by executing a computer program or command stored in a memory (not shown). The control unit (450) can be configured to perform the contents of a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blood sugar of a user in real time from the user terminal (110) described throughout the present disclosure, determining the user's blood sugar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allowing the user to manage the blood sugar based on the determined user's blood sugar.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관 서버의 구성의 예시도이다.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of the configuration of a medical institution ser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5에 도시된 내용 중 앞서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4에 기재된 내용을 참고하고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Regarding the contents illustrated in Fig. 5 that overlap with the contents described in Figs. 1 to 4,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Figs. 1 to 4 and their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here.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관 서버(150)은 혈당 판단부(510), 신뢰도 결정부(520), 정보 제공부(530), 통신부(540), 및 제어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개시의 실시예와 관련된 의료기관 서버(150)의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전자 장치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may include a blood sugar determination unit (510), a reliability determination unit (520), an information provision unit (530), a communication unit (540), and a control unit (550). Only components of a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illustrated in FIG. 5. Accordingl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that other general-purpose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in an electronic device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5.
혈당 판단부(510)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결정된 사용자의 혈당이 정확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혈당 판단부(510)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수집된 데이터, 의료기관 서버(150)에 기저장된 사용자의 진료 기록, 사용자의 혈당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0)에서 결정된 사용자 혈당이 정확한 값인지 판단할 수 있다.The blood sugar determination unit (510) can determine whether the user's blood sugar determined in the user terminal (110) is accurate. Specifically, the blood sugar determination unit (510) can determine whether the user's blood sugar determined in the user terminal (110) is an accurate value based on data collected in the user terminal (110), the user's medical records stored in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and the user's blood sugar history.
혈당 판단부(510)는 사용자 혈당이 정확한 값인지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 원격 진료 요청을 의사 단말(미도시)로 전송하고, 의사 단말(미도시)로부터 사용자 혈당이 정확하게 판단된 값인지 여부를 수신할 수도 있다. 혈당 판단부(510)는 결정된 최종 사용자 혈당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투여할 인슐린 양에 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If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s blood sugar level is an accurate value, the blood sugar determination unit (510) may transmit a remote diagnosis request to a doctor's terminal (not shown) and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doctor's terminal (not shown) as to whether the user's blood sugar level is an accurately determined value. The blood sugar determination unit (510) may determin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insulin to be administered by the user based on the determined final user's blood sugar level.
신뢰도 결정부(520)는 수집된 데이터와 사용자의 혈당에 기초하여 채혈 혈당 측정기(140)에 대한 신뢰도를 수정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 간 차이가 오차 범위(10%)를 초과하는 경우 신뢰도 결정부(520)는 사용자 단말(110)에 수집된 데이터, 사용자 혈당, 사용자의 진료 기록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0)에서 결정된 사용자 혈당이 정확한지 판단할 수 있다.The reliability determination unit (520) can determine whether to modify the reliability of the blood glucose meter (140)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d the user's blood glucose. Specifically,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exceeds the error range (10%), the reliability determination unit (520) can determine whether the user's blood glucose determined at the user terminal (110) is accurate based on the data collected at the user terminal (110), the user's blood glucose, and the user's medical records.
신뢰도 결정부(520)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결정된 사용자 혈당이 정확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채혈 혈당 측정기(140)의 신뢰도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진료 기록에 따르면, 제1 데이터가 사용자의 실제 혈당에 더 가까운 경우, 기존의 채혈 혈당 측정기(140)의 신뢰도를 90%에서 50%로 수정하고, 수정된 신뢰도(50%)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reliability determination unit (520) can modify the reliability of the blood glucose meter (14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blood glucose determined by the user terminal (110) is not accurate. For example, if the first data is closer to the user's actual blood glucose according to the user's medical record, the reliability of the existing blood glucose meter (140) can be modified from 90% to 50%, and the modified reliability (50%) can be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10).
신뢰도 결정부(520)는 사용자가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 경우에, 실제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기초하여 채혈 혈당 측정기(140)의 신뢰도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The reliability determination unit (520) can update the reliability of the blood glucose meter (140) based on the actual health status of the user when the user visits a medical institution and receives treatment.
정보 제공부(530)는 신뢰도 결정부(520)에서 결정된 신뢰도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부(530)는 투여할 인슐린 양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부(530)는 원격 진료가 필요한 경우 의사 단말(미도시)로 원격 진료를 요청하고, 원격 진료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530) can provide the reliability determined by the reliability determining unit (520) to the user terminal (110).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530) can provid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insulin to be administered to the user terminal (110).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530) can request remote treatment to a doctor terminal (not shown) when remote treatment is required and provide remote treatment service to the user terminal (110).
통신부(540)는 외부 장치(예: 웹 수집기)와 통신 채널을 설립하고, 외부 장치와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540)는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관련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540)가 이용하는 통신 기술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5G,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communication unit (540) can establish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an external device (e.g., a web collector) and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with the external device. The communication unit (540) can perform wired/wireless communication to transmit and receive related information. The communication technologies used by the communication unit (540)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5G, WLAN (Wireless LAN), Wi-Fi (Wireless-Fidelity), Bluetooth™,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etc.
제어부(550)는 의료기관 서버(1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 및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550)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50)는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여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550)는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명령어를 실행하여 의료기관 서버(1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 및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550)는 본 개시 전반에서 설명되는 의료기관 서버(150)에서 사용자의 혈당이 정확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투여할 인슐린의 양에 대한 정보를 결정하고, 원격 진료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혈당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내용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5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and process data and signals. The control unit (550) can be composed of at least one hardware unit.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50) can be operated by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generated by executing a program code stored in a memory (not shown). The control unit (55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and process data and signals by executing a computer program or command stored in a memory (not shown). The control unit (550) can be configured to perform the contents regarding the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s blood sugar is accurate, determining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insulin to be administered, providing remote treatment, and managing the user's blood sugar in the medical institution server (150) described throughout the present disclosure.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components, software components, and/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devices, method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purpose computers or special-purpose computers, such as,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instructions and responding to them.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S. In addition, the processing device may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ease of understanding, the processing device is sometimes described as being used alone,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multiple processing elements and/or multiple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multiple processors, or a processor and a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such as parallel processors, are also possible.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command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command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command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those known to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commands such as ROMs, RAMs, flash memories, etc. Examples of the program command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 and vice versa.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which may configure a processing device to perform a desired operation or may,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command the processing device. The software and/or data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or transmitted signal waves, for interpretation by the processing device or for providing instructions or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The software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The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drawings 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For example,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even if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are replaced or substituted by other components or equivalents.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40020340AKR102713711B1 (en) | 2024-02-13 | 2024-02-13 | SYSTEM FOR MANAGING USER’S HEALTH STATUS USING DATA OF IoT-BASED BLOOD GLUCOSE MEASUREMENT DEVIC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40020340AKR102713711B1 (en) | 2024-02-13 | 2024-02-13 | SYSTEM FOR MANAGING USER’S HEALTH STATUS USING DATA OF IoT-BASED BLOOD GLUCOSE MEASUREMENT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713711B1true KR102713711B1 (en) | 2024-10-11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40020340AActiveKR102713711B1 (en) | 2024-02-13 | 2024-02-13 | SYSTEM FOR MANAGING USER’S HEALTH STATUS USING DATA OF IoT-BASED BLOOD GLUCOSE MEASUREMENT DEVICE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713711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30117398A (en)* | 2012-04-17 | 2013-10-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supplying insulin according to exercise |
| KR20160075230A (en)* | 2014-12-19 | 2016-06-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 blood glucose in a noninvasive manner |
| KR101716663B1 (en) | 2015-12-09 | 2017-03-15 | (주)아이에스엠아이엔씨 |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on of Non-Invasive Blood Glucose Measurement |
| KR20170135361A (en)* | 2016-05-31 | 2017-12-08 | 주식회사 필로시스 | Method of managing insulin injection amount by using smart phone combined with blood glucose measurement module |
| KR20170135368A (en) | 2016-05-31 | 2017-12-08 | 주식회사 필로시스 | Method of blood glucose measurement by using Non-invasive blood glucose meter with momentum measurement function |
| KR20200134494A (en)* | 2019-05-22 | 2020-12-02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Personalized non-invasive blood glucose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using the measurement device using machine learning |
| KR102392948B1 (en) | 2021-08-02 | 2022-05-03 | 김미자 | Blood Glucose Index Calculation Method of Non-invasive Type and Non-invasive Blood Glucose Index Measurement System Thereof |
| KR102573659B1 (en)* | 2023-01-03 | 2023-09-01 | 주식회사 두잉랩 | Device for predicting and monitoring blood glucose using artificail intelligence |
| KR20230173427A (en)* | 2022-06-17 | 2023-12-27 |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 Method and device for blood glucose management using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30117398A (en)* | 2012-04-17 | 2013-10-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supplying insulin according to exercise |
| KR20160075230A (en)* | 2014-12-19 | 2016-06-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 blood glucose in a noninvasive manner |
| KR101716663B1 (en) | 2015-12-09 | 2017-03-15 | (주)아이에스엠아이엔씨 |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on of Non-Invasive Blood Glucose Measurement |
| KR20170135361A (en)* | 2016-05-31 | 2017-12-08 | 주식회사 필로시스 | Method of managing insulin injection amount by using smart phone combined with blood glucose measurement module |
| KR20170135368A (en) | 2016-05-31 | 2017-12-08 | 주식회사 필로시스 | Method of blood glucose measurement by using Non-invasive blood glucose meter with momentum measurement function |
| KR20200134494A (en)* | 2019-05-22 | 2020-12-02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Personalized non-invasive blood glucose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using the measurement device using machine learning |
| KR102392948B1 (en) | 2021-08-02 | 2022-05-03 | 김미자 | Blood Glucose Index Calculation Method of Non-invasive Type and Non-invasive Blood Glucose Index Measurement System Thereof |
| KR20230173427A (en)* | 2022-06-17 | 2023-12-27 |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 Method and device for blood glucose management using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
| KR102573659B1 (en)* | 2023-01-03 | 2023-09-01 | 주식회사 두잉랩 | Device for predicting and monitoring blood glucose using artificail intelligence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463300B2 (en) | Body-worn monitor | |
| US9402956B2 (en) | Handheld diabetes manager with a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 status of an external medical device | |
| US10772503B2 (en) | Wireless analyte monitoring | |
| US20210378601A1 (en) | Analyte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 |
| AU2013288981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leveraging smartphone features in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 |
| US20160270740A1 (en) | Wireless analyte monitoring | |
| CN116113359A (en) | Digital and User Interfaces for Analyte Monitoring Systems | |
| HK1201357A1 (en) | System and method for database synchronization for medical records | |
| EP3567594A1 (en) | Diabetes management system with dynamic selection of prediction logic | |
| AU2024259696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leveraging smartphone features in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 |
| KR102713711B1 (en) | SYSTEM FOR MANAGING USER’S HEALTH STATUS USING DATA OF IoT-BASED BLOOD GLUCOSE MEASUREMENT DEVICE | |
| US20250050019A1 (en) |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analyte monitoring | |
| US20250031964A1 (en) | Systems,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blockchain for tracking patient identification | |
| US20250134476A1 (en) | Systems, methods, and features for analyte monitoring | |
| KR102833541B1 (en) | Server for providing sleep management service based on patch type sens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 and program | |
| CN120153431A (en) | Track, report, and visualize pregnancy-related analyte data | |
| CN120266217A (en) | Systems, devices and methods related to drug dosage guidance | |
| WO2024193591A1 (en) | Blood glucose monitoring method, graphical interface, and related apparatus | |
| Ansari et al. | The Smart Healthcare Initiative: Blood Glucose Prediction with Wireless Sensor Network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240213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240213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20240229 Comment text: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PN23011R01D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20240318 Patent event code:PA03022R01D Comment text: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40501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240827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20240919 Comment text: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PN23011R01D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40930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241002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