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무게와 비용 감소 및 보드들 사이의 높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보드 접속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보드 접속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드 접속 커넥터는, 신호를 전송하는 보드 접속핀과 보드 접속핀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홀을 가지는 유전체부와 유전체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트렌치 및 보드 접속핀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홀을 가지는 하우징 및 하우징과 유전체부 사이에 배치되어 그라운드 전극과 접촉하기 위한 그라운드 접촉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접촉부는, 일 측이 트렌치의 일 면과 접촉되도록 트렌치에 삽입되고, 타 측이 그라운드 전극과 접지되도록 형성되고, 하우징의 높이는 하우징의 너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트렌치에 인접하는 단차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단차부의 내부에 그라운드 접촉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에는 트렌치의 측면을 따라 하우징의 하측으로 복수 개 연장되는 다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다리부는, 하우징과 인서트 사출 공정으로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다리부는, 트렌치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부분과 하우징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 및 하우징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접촉부는, 트렌치에 삽입되는 그라운드 삽입부와 그라운드 삽입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둘레를 따라 절개된 복수의 슬릿에 의해 형성되는 그라운드 탄성부 및 그라운드 탄성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 측이 그라운드 전극과 접지하는 그라운드 접지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삽입부는, 외부면이 다리부의 제1 부분의 일 면과 중첩되도록 트렌치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탄성부는, 단차부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곡면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접지부는, 일 측이 그라운드 전극과 접지하도록 커브드(curved)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유전체부는, 제1 삽입홀을 가지고, 유전체부가 트렌치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그 직경이 늘어나는 유전체 몸체부 및 유전체 몸체부의 에지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하는 유전체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제2 삽입홀에 인접하고, 하우징의 하부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유전체부는, 유전체 돌출부의 일 면이 트렌치의 일 면과 접촉되고, 유전체 몸체부의 하부면이 돌출부의 상부면과 접촉되도록 하우징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삽입부는, 유전체부의 외부면에 접촉하는 내부면과, 내부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돌출되는 고정돌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유전체 돌출부는, 외부면의 일부에서 고정돌부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고정돌부가 결속되는 고정홈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탄성부는, 그라운드 삽입부에서 그라운드 접촉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이면서 그라운드 접촉부의 바깥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탄성부와 제1 탄성부에서 그라운드 접촉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탄성부 및 제2 탄성부에서 그라운드 접촉부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이면서 그라운드 접촉부의 안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탄성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삽입부의 길이는, 그라운드 탄성부 및 그라운드 접지부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드 접속 어셈블리는, 신호를 전송하는 어댑터 접속핀, 어댑터 접속핀이 삽입되는 유전체 바디 및 유전체 바디가 삽입되는 그라운드 바디를 가지는 어댑터 커넥터와 어댑터 커넥터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가지는 제1 보드와 제1 보드의 하면을 지지하고, 어댑터 커넥터가 삽입되며, 그라운드로 서 어댑터 커넥터와 결합되는 고정 보드 및 신호를 전송하는 보드 접속핀, 보드 접속핀이 삽입되는 유전체부, 보드 접속핀과 유전체부가 삽입되는 하우징, 및 유전체부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그라운드 바디의 하면에 접촉하는 그라운드 접촉부를 가지는 보드 접속 커넥터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어댑터 커넥터는, 일부가 제1 보드에 삽입되는 어댑터 접속핀과 어댑터 접속핀이 삽입되는 제1 개구를 가지는 유전체 바디 및 유전체 바디가 삽입되는 제2 개구를 가지며, 서로 마주보는 제1 면과 제2 면이 플랫한 형상을 가지는 그라운드 바디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어댑터 접속핀은, 유전체 바디의 제1 개구에 배치되는 중심부 및 중심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되, 유전체 바디에서 돌출되는 제1 접속부를 포함하며, 중심부의 직경은 제1 접속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어댑터 접속핀은, 제1 개구와 다른 단면적을 가지며, 유전체 바디의 하면에 지지되는 컨택부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보드 접속 커넥터는, 일 측이 컨택부에 접촉되는 보드 접속핀과 보드 접속핀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홀을 가지는 유전체부와 유전체부가 삽입되는 트렌치 및 보드 접속핀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홀을 가지는 하우징 및 하우징과 유전체부 사이에 배치되어 그라운드 바디의 하면과 접촉하기 위한 그라운드 접촉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접촉부는, 일 측이 트렌치의 일 면과 접촉되도록 트렌치에 삽입되고, 타 측이 그라운드 바디의 하면과 접지되도록 형성되고, 하우징의 높이는 하우징의 너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에는 트렌치의 측면을 따라 하우징의 하측으로 복수 개 연장되는 다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다리부는, 하우징과 인서트 사출 공정으로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다리부는, 트렌치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부분과 하우징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 및 하우징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접촉부는, 트렌치에 삽입되는 그라운드 삽입부와 그라운드 삽입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둘레를 따라 절개된 복수의 슬릿에 의해 형성되는 그라운드 탄성부 및 그라운드 탄성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 측이 그라운드 바디와 접지하는 그라운드 접지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삽입부의 길이는 그라운드 탄성부 및 그라운드 접지부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삽입부는, 외부면이 다리부의 제1 부분의 일 면과 중첩되도록 트렌치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댑터 커넥터는, 상기 그라운드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리드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드 접속 커넥터의 높이를 최소화함으로써, 보드 접속 커넥터를 보다 소형화하면서 보드들 사이의 높이 또한 최소화하여 이동통신 중계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드 접속 커넥터의 하우징과 다리부를 서로 다른 재질로 일체화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드 접속 커넥터의 무게를 줄이면서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드간 신호 전송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 접속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 접속 커넥터를 도시하는 조립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 접속 커넥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드 접속 커넥터(1000)는, 보드 접속핀(100), 유전체부(200), 하우징(300), 그라운드 접촉부(400) 및 다리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보드 접속 커넥터(1000)는 일부가 유전체부(200)에 삽입되어 신호를 전송하는 보드 접속핀(100), 보드 접속핀(100)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홀(210)을 가지고, 하우징(300)에 일부 삽입되는 유전체부(200), 유전체부(200)의 일부가 삽입되고, 보드 접속핀(100)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홀(320)을 가지는 하우징(300) 및 하우징(300)과 유전체부(200) 사이에 배치되어 그라운드 전극과 접촉하여 접지되는 그라운드 접촉부(400)를 포함한다. 이때, 그라운드 전극은 후술하는 어댑터 커넥터(500)의 그라운드 바디(530)의 하면 또는 보드에 인쇄된 금속 박막의 전극일 수 있다.
특히, 보드 접속 커넥터(1000)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며, 하우징(300)의 내부에 원통 형상의 그라운드 접촉부(400)가 삽입되고, 그라운드 접촉부(4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유전체부(200)와 보드 접속핀(100)이 삽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보드 접속 커넥터(1000)의 하우징(300)의 높이는 하우징(300)의 너비보다 더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드 접속 커넥터(1000)에 의해 연결되는 보드 간의 이격거리를 줄일 수 있어 이동통신 중계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보드 접속핀(100)은 일측이 신호 전극에 접촉되고, 타측이 보드에 접촉 또는 일부가 삽입되어 보드의 신호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신호 전극은 후술하는 어댑터 커넥터(500)의 컨택부(516) 또는 보드에 인쇄된 금속 박막의 전극일 수 있다.
보드 접속핀(100)은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을 통해 동작하는 포고핀일 수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보드 접속핀(100)은 탄성을 가지는 다양한 부품일 수 있다.
보드 접속핀(100)은 후술하는 유전체부(200)의 제1 삽입홀(210) 및 하우징(300)의 제2 삽입홀(320)에 삽입되고, 보드 접속핀(100)의 외주면 중 일부가 제2 삽입홀(320)보다 큰 직경을 가져 제2 삽입홀(320)에 삽입되는 부분이 제한될 수 있다.
보드 접속핀(100)은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리, 활동, 베릴륨 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전체부(200)는 유전율을 가지는 비전도성 재질로서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고, 보드 접속핀(110)이 일부 삽입되는 제1 삽입홀(210)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삽입홀(210)에 보드 접속핀(100)이 삽입되어 보드 접속핀(100)이 유전체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유전체부(200)에 대해서 도 4 및 도 5를 더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유전체부(200)는 제1 삽입홀(210)을 가지고, 하우징(300)의 트렌치(310)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그 직경이 늘어나는 유전체 몸체부(220) 및 유전체 몸체부(220)의 에지 부분에서 길이 방향(즉, 하우징(3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유전체 돌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렌치(310)에 유전체 돌출부(230)에 삽입되면, 유전체부(200)의 제1 삽입홀(210) 및 하우징(300)의 제2 삽일홀(320)이 하우징(30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배치되어 여기에 보드 접속핀(100)이 삽입될 수 있다.
유전체 돌출부(230)는 후술하는 하우징(300)의 트렌치(310)에 삽입 가능한 길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이에, 유전체 돌출부(230)의 일 면이 트렌치(310)의 일 면과 접촉되고, 유전체 몸체부(220)의 하부면(222)이 후술하는 하우징(300)의 돌출부(350)의 상부면과 접촉되도록 유전체부(200)와 하우징(30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을 통해 보드 접속 커넥터의 높이를 줄일 수 있어 보드 접속 커넥터를 소형화하고, 보드 간의 이격거리를 줄임으로써, 이동통신 중계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유전체 돌출부(230)에는 외부면의 둘레를 따라 고정홈부(232)가 후술하는 그라운드 접촉부(400)의 고정돌부(412)와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하우징(300)의 트렌치(310)에 후술하는 그라운드 접촉부(400)의 그라운드 삽입부(4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유전체 돌출부(230)가 삽입되면 고정홈부(232)가 고정돌부(412)와 결속되어 유전체부(200)와 그라운드 접촉부(400)가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전체 돌출부(230)와 그라운드 삽입부(410)는 서로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홈부(232)는 홈이 유전체 돌출부(230)의 외부면을 일주하는 형상으로 형성(도 4를 참고)되거나, 고정돌부(412)에 대응되는 위치에 유전체 돌출부(230)의 외부면을 따라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유전체부(20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절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300)은 유전체부(200)의 일부가 삽입되는 트렌치(310) 및 보드 접속핀(100)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홀(320)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우징에 대해서 도 6 및 도 7을 더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300)의 트렌치(310)는 유전체 돌출부(230)가 완전히 삽입될 수 있는 길이만큼 인입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트렌치(310)에 유전체 돌출부(230)가 삽입되고, 트렌치(310)의 측면과 유전체 돌출부(230)의 측면 사이에 후술하는 그라운드 삽입부(41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우징(300), 유전체부(200) 및 그라운드 접촉부(400)는 서로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300)에는 트렌치(310)와 인접하도록 구성되는 단차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330)는 내부에 그라운드 접촉부(40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차부(330)의 공간에는 후술하는 그라운드 접촉부(400)의 그라운드 탄성부(420)가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그라운드 탄성부(420)가 동작할 공간이 단차부(330)를 통해 확보되므로 그라운드 접촉부(400)의 일 측이 그라운드 전극에 접지할 시 접지가 용이할 수 있다.
하우징(300)에는 하우징(300)의 하측으로 복수 개 연장되는 다리부(340)가 형성될 수 있다.
다리부(340)는 일 면이 트렌치(310)의 측면을 따라 수직 연장되는 제1 부분(342), 제1 부분(342)에서 하우징(30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344) 및 제2 부분(344)에서 하우징(300)의 하측으로 수직 연장되는 제3 부분(346)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그라운드 접촉부(400)의 일부가 트렌치(310)에 삽입되면 제1 부분(342)의 일 면은 후술하는 그라운드 삽입부(410)의 일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그라운드 접촉부(400)와 다리부(340)가 접지될 수 있다.
제2 부분(344)이 하우징(30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의 양단에 제1 부분(342) 및 제3 부분(346)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수직 연장됨으로써 하우징(300)과 다리부(340)는 서로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리부(34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하우징(300)은 사출 성형 가능한 열가소성 재질(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다리부(340)와 하우징(300)이 인서트 사출 공정으로 일체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이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대신 열가소성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하우징의 무게 및 제작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하우징(300)은 제2 삽입홀(320)에 인접하고, 하우징(300)의 하부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부(200)가 하우징(300)에 결합될 때 유전체 돌출부(230)의 일 면이 트렌치(310)의 일 면과 접촉되고, 유전체 몸체부(220)의 하부면이 돌출부(350)의 상부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드 접속 커넥터의 높이를 줄일 수 있어 보드들 사이의 이격거리를 줄여 이동통신 중계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그라운드 접촉부(400)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일 측이 트렌치(310)의 일 면과 접촉되도록 트렌치(310)에 삽입되고, 타 측이 그라운드 전극과 접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라운드 접촉부(400)는 그라운드 삽입부(410), 그라운드 탄성부(420) 및 그라운드 접지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라운드 접촉부(400)는 전도성 재질의 금속판을 소성가공하여 제조할 수 있다. 그라운드 접촉부(400)는 트랜치(310)의 측면에 위치한 다리부(340)와 일부 접촉하여 그라운드 접촉부(400)와 다리부(340)가 접지될 수 있다. 또한, 그라운드 접촉부(400)의 일부가 그라운드 전극에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항상 일정 이상의 전극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더 참조하여 그라운드 접촉부(4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접촉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때, 도 8 (a)는 상측을 기준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 (b)는 하측을 기준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접촉부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그라운드 접촉부(400)는 둥글게 말린 구조를 가지고, 마주보는 양단이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그라운드 접촉부(400)의 그라운드 삽입부(410)가 하우징(300)의 트렌치(310)에 삽입될 때 마주보는 양단이 밀착되면서 그라운드 삽입부(410)가 트렌치(310)에 삽입되는 것이 원활해지고, 트렌치(310)에 삽입된 후에는 마주보는 양단이 벌어지면서 그라운드 삽입부(410)의 외주면이 트렌치(310)의 측면과 밀착하게 되어 그라운드 접촉부(400)가 유전체부(200)를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라운드 삽입부(410)는 외부면이 트렌치(310)의 측면과 접촉되도록 하우징(300)의 트렌치(310)에 삽입될 수 있다. 트렌치(310)의 측면에는 다리부(340)의 제1 부분(342)이 위치할 수 있으므로, 그라운드 삽입부(410)의 외부면 일부는 다리부(340)의 제1 부분(342)의 일면과 접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그라운드 삽입부(410)는 외부면이 트렌치(310)의 측면 및 이 측면에 위치한 다리부(340)의 제1 부분(342)의 일 면(즉, 측면)과 중첩되도록 트렌치(31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그라운드 삽입부(410)와 다리부(3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라운드 삽입부(410)가 트렌치(310)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라운드 삽입부(410)의 내부면이 유전체 돌출부(230)의 외부면과 접촉되도록 트렌치(310)에 유전체 돌출부(230)가 삽입될 수 있다.
그라운드 삽입부(410)에는 내부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돌출되는 고정돌부(412)를 포함하고, 유전체 돌출부(230)가 트렌치(310)에 삽입될 때 고정돌부(412)가 유전체 돌출부(230)의 고정홈부(232)와 결속되어 그라운드 접촉부(400)와 유전체부(300)가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전체부(200)와 그라운드 접촉부(400)가 서로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라운드 삽입부(410)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슬릿(414)이 형성되도록 절개되고, 복수의 슬릿(414) 사이에서 그라운드 접촉부(4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라운드 탄성부(420) 및 그라운드 탄성부(420)로부터 연장되어 일 측(즉, 끝 단)이 그라운드 전극과 접지하도록 커브드(curved) 형상으로 이루어진 그라운드 접지부(4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그라운드 접지부(430)는 접촉력이 좋고 그라운드 전극과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구조에 의해 그라운드 접촉부의 높이가 줄어듬에 따라 보드 간의 이격거리를 줄일 수 있어 이동통신 중계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그라운드 삽입부(410)가 트렌치(310)에 삽입되면 그라운드 탄성부(420)는 하우징(300)의 단차부(33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라운드 탄성부(420)는 단차부(33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곡면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그라운드 접촉부가 그라운드 전극과의 접촉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러한 그라운드 탄성부(420)는 제1 탄성부(422), 제2 탄성부(424) 및 제3 탄성부(4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422)는 그라운드 삽입부(410)에서 그라운드 접촉부(40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이면서 그라운드 접촉부(400)의 바깥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탄성부(424)는 제1 탄성부(422)에서 그라운드 접촉부(4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탄성부(426)는 제2 탄성부(424)에서 그라운드 접촉부(40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이면서 그라운드 접촉부(400)의 안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제2, 제3 탄성부(422, 424, 426) 각각의 형상에 의해 보드들 사이의 이격거리를 줄일 수 있어 이동통신 중계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그라운드 삽입부(410)와 제1 탄성부(422) 사이, 제1 탄성부(422)와 제2 탄성부(424) 사이, 제2 탄성부(424)와 제3 탄성부(426) 사이, 및 제3 탄성부(426)와 그라운드 전지부(430) 사이에는 각각 절곡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절곡 부분에 의해 그라운드 접지부(430)의 끝단이 그라운드 전극에 접촉할 시 가해지는 접촉 압력이 분산되어 그라운드 접촉부(400)의 변형 내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그라운드 접촉부(400)의 형상에 의해 그라운드 접지부(430)의 끝 단이 그라운드 전극에 접촉될 때 그라운드 접지부(430)가 탄성력으로 절곡되어 그라운드 접지부(430)의 끝단이 그라운드 전극에 균일하게 접촉됨으로써, 전류 흐름 또한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나아가, 그라운드 삽입부(410)의 길이는 그라운드 탄성부(420) 및 그라운드 접지부(430)의 길이보다 짧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드 접속 커넥터의 높이를 줄일 수 있어 이동통신 중계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드간 신호를 전송하는 보드 접속 커넥터 및 어댑터 커넥터가 포함된 보드 접속 어셈블리를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 접속 커넥터 및 어댑터 커넥터를 포함하는 보드 접속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보드 접속 어셈블리(800)는 어댑터 커넥터(500), 제1 보드(600), 제2 보드(700) 및 보드 접속 커넥터(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어댑터 커넥터에 대해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때, 도 11(a)는 상측을 기준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1(b)는 하측을 기준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커넥터를 도시하는 조립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어댑터 커넥터(500)는 신호를 전송하는 어댑터 접속핀(510), 어댑터 접속핀(510)이 삽입되는 유전체 바디(520) 및 유전체 바디(520)가 삽입되고, 접지되는 그라운드 바디(53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 접속핀(510)은 전도성 재질로서 일부가 후술하는 제1 보드(600)에 삽입되고, 중심부(512) 및 접속부(51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심부(512)는 유전체 바디(520)의 제1 개구(522)에 배치되고, 접속부(514)는 중심부(512)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되, 유전체 바디(520)에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중심부(512)의 직경은 접속부(51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접속부(514)는 후술하는 제1 보드(600)에 형성되는 삽입홀에 삽입되되, 제1 보드(600)에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드(600)의 외부에 접속부(514)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더욱이, 어댑터 접속핀(510)은 컨택부(516)를 더 포함하고, 컨택부(516)는 제1 개구(522)와 다른 단면적을 가지며, 유전체 바디(520)의 하면에 지지될 수 있다.
유전체 바디(520)는 유전율을 가지는 비전도성 재질로서 어댑터 접속핀(510)이 삽입되는 제1 개구(522)를 가질 수 있다.
그라운드 바디(530)는 전도성 재질로서 유전체 바디(520)가 삽입되는 제2 개구(532)를 가지며, 서로 마주보는 제1 면과 제2 면이 플랫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보드(600)는 어댑터 커넥터(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라인을 포함하고, 어댑터 커넥터(500)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드(600)는 인쇄회로기판(PCB) 또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일 수 있다. 또한, 신호 라인은 제1 보드(600)에 인쇄된 금속 박막의 배선일 수 있다.
고정 보드(650)는 제1 보드(600)의 하면을 지지하고, 어댑터 커넥터(500)가 삽입될 수 있다. 특히, 고정 보드(650)는 제1 보드(600)의 삽입홀에 어댑터 커넥터(500)의 일부가 정확하게 삽입되고, 후술하는 보드 접속 커넥터(1000)가 컨택부(516)에 정확하게 접촉하도록, 어댑터 커넥터(500)가 배열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고정 보드(650)는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절연 소재 또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보드(650)는 어댑터 접속핀(510)의 외부 신호 간섭을 차폐하기 위한 접지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보드(650)는 외부와 접지되어 어댑터 커넥터(500)와 접지될 수 있다.
제2 보드(700)는 후술하는 보드 접속 커넥터(1000)의 다리부(340) 및 보드 접속핀(100)의 일부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삽입홀을 가지고, 보드 접속 커넥터(1000)를 적어도 일부 지지하면서 보드 접속 커넥터(1000)와 결합할 수 있다.
보드 접속 커넥터(1000)는 신호를 전송하는 보드 접속핀(100), 보드 접속핀(100)이 삽입되는 유전체부(200), 보드 접속핀(100)과 유전체부(200)가 삽입되는 하우징(300) 및 유전체부(200)와 하우징(300) 사이에 배치되어 그라운드 바디(530)의 하면에 접촉하는 그라운드 접촉부(400)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제2 보드(700)에 보드 접속 커넥터(1000)가 삽입되면 보드 접속핀(100)의 일 측이 제1 보드(600)에 삽입된 어댑터 커넥터(500)의 컨택부(516)와 접촉되고, 그라운드 접촉부(400)의 끝 단이 그라운드 바디(530)의 하면과 접촉하게 되어 보드간 신호 전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보드 접속 커넥터(1000)의 구조에 의해 보드들 사이의 이격거리를 줄일 수 있어 이동통신 중계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보드(600)의 하면에 보드 접속 커넥터(1000)가 접촉하는 전극 및 이를 위한 배선의 형성을 어댑터 커넥터(500)가 대신할 수 있어 제1 보드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어댑터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드 접속 커넥터 및 어댑터 커넥터를 포함하는 보드 접속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때, 도 14(a)는 상측을 기준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4(b)는 하측을 기준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커넥터를 도시하는 조립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어댑터 커넥터(500)는 신호를 전송하는 어댑터 접속핀(510), 어댑터 접속핀(510)이 삽입되는 유전체 바디(520), 유전체 바디(520)가 삽입되고 접지되는 그라운드 바디(530) 및 그라운드 바디(530)의 에지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 연장되는 리드(5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커넥터의 구성인 어댑터 접속핀(510), 유전체 바디(520) 및 그라운드 바디(530)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커넥터의 구성과 높이 차이가 있을 뿐 그 외에 있어서는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리드(540)는 그라운드 바디(530)로부터 연장되는 전도성 재질로서 제1 보드(600)에 형성되는 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다. 특히, 리드(540)는 제1 보드(700)의 그라운드에 접지되어 어댑터 커넥터(500)의 차폐를 향상하고 제1 보드(600)와의 결합을 향상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