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2711510B1 - 보드 접속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보드 접속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보드 접속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보드 접속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11510B1
KR102711510B1KR1020210177923AKR20210177923AKR102711510B1KR 102711510 B1KR102711510 B1KR 102711510B1KR 1020210177923 AKR1020210177923 AKR 1020210177923AKR 20210177923 AKR20210177923 AKR 20210177923AKR 102711510 B1KR102711510 B1KR 102711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board connection
dielectric
housing
trenc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9641A (ko
Inventor
차선화
김영조
송화윤
정경훈
정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가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가레인filedCritical주식회사 기가레인
Priority to PCT/KR2021/019396priorityCriticalpatent/WO2022139366A1/ko
Priority to US18/002,493prioritypatent/US20230238753A1/en
Priority to EP21911433.7Aprioritypatent/EP4156420A4/en
Priority to CN202180043785.9Aprioritypatent/CN115735303A/zh
Priority to KR1020220076827Aprioritypatent/KR102461036B1/ko
Publication of KR20220089641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220089641A/ko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1510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2711510B1/ko
Active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본 발명은 보드 접속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신호를 전송하는 보드 접속핀; 상기 보드 접속핀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홀을 가지는 유전체부; 상기 유전체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트렌치 및 상기 보드 접속핀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홀을 가지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유전체부 사이에 배치되어 그라운드 전극과 접촉하기 위한 그라운드 접촉부; 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운드 접촉부는, 일 측이 상기 트렌치의 일 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트렌치에 삽입되고, 타 측이 상기 그라운드 전극과 접지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높이는 상기 하우징의 너비보다 작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드 접속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보드 접속 어셈블리{BOARD MATING CONNECTORS AND BOARD MATING ASSEMBLI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드 접속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보드 접속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중계기에 사용되는 보드 접속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 등과 같이 신호 라인이 형성된 마주보는 보드들 사이에서 보드간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최근, 데이터 전송용량을 늘리기 위해 다수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술이 사용되는데, 5G 이상의 통신환경으로 발전할수록 안테나 개수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른 보드 접속 커넥터의 개수도 증가하게 된다.
이처럼, 보드 접속 커넥터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그에 따른 무게 및 비용 또한 증가하게 되므로, 무게 및 비용을 감소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이동통신 중계기를 소형화하기 위해서 보드들 사이의 높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KR10-2214627B1KR10-2006134B1
본 발명은 무게와 비용 감소 및 보드들 사이의 높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보드 접속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보드 접속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드 접속 커넥터는, 신호를 전송하는 보드 접속핀과 보드 접속핀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홀을 가지는 유전체부와 유전체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트렌치 및 보드 접속핀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홀을 가지는 하우징 및 하우징과 유전체부 사이에 배치되어 그라운드 전극과 접촉하기 위한 그라운드 접촉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접촉부는, 일 측이 트렌치의 일 면과 접촉되도록 트렌치에 삽입되고, 타 측이 그라운드 전극과 접지되도록 형성되고, 하우징의 높이는 하우징의 너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트렌치에 인접하는 단차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단차부의 내부에 그라운드 접촉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에는 트렌치의 측면을 따라 하우징의 하측으로 복수 개 연장되는 다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다리부는, 하우징과 인서트 사출 공정으로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다리부는, 트렌치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부분과 하우징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 및 하우징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접촉부는, 트렌치에 삽입되는 그라운드 삽입부와 그라운드 삽입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둘레를 따라 절개된 복수의 슬릿에 의해 형성되는 그라운드 탄성부 및 그라운드 탄성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 측이 그라운드 전극과 접지하는 그라운드 접지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삽입부는, 외부면이 다리부의 제1 부분의 일 면과 중첩되도록 트렌치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탄성부는, 단차부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곡면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접지부는, 일 측이 그라운드 전극과 접지하도록 커브드(curved)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유전체부는, 제1 삽입홀을 가지고, 유전체부가 트렌치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그 직경이 늘어나는 유전체 몸체부 및 유전체 몸체부의 에지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하는 유전체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제2 삽입홀에 인접하고, 하우징의 하부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유전체부는, 유전체 돌출부의 일 면이 트렌치의 일 면과 접촉되고, 유전체 몸체부의 하부면이 돌출부의 상부면과 접촉되도록 하우징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삽입부는, 유전체부의 외부면에 접촉하는 내부면과, 내부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돌출되는 고정돌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유전체 돌출부는, 외부면의 일부에서 고정돌부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고정돌부가 결속되는 고정홈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탄성부는, 그라운드 삽입부에서 그라운드 접촉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이면서 그라운드 접촉부의 바깥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탄성부와 제1 탄성부에서 그라운드 접촉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탄성부 및 제2 탄성부에서 그라운드 접촉부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이면서 그라운드 접촉부의 안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탄성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삽입부의 길이는, 그라운드 탄성부 및 그라운드 접지부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드 접속 어셈블리는, 신호를 전송하는 어댑터 접속핀, 어댑터 접속핀이 삽입되는 유전체 바디 및 유전체 바디가 삽입되는 그라운드 바디를 가지는 어댑터 커넥터와 어댑터 커넥터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가지는 제1 보드와 제1 보드의 하면을 지지하고, 어댑터 커넥터가 삽입되며, 그라운드로 서 어댑터 커넥터와 결합되는 고정 보드 및 신호를 전송하는 보드 접속핀, 보드 접속핀이 삽입되는 유전체부, 보드 접속핀과 유전체부가 삽입되는 하우징, 및 유전체부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그라운드 바디의 하면에 접촉하는 그라운드 접촉부를 가지는 보드 접속 커넥터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어댑터 커넥터는, 일부가 제1 보드에 삽입되는 어댑터 접속핀과 어댑터 접속핀이 삽입되는 제1 개구를 가지는 유전체 바디 및 유전체 바디가 삽입되는 제2 개구를 가지며, 서로 마주보는 제1 면과 제2 면이 플랫한 형상을 가지는 그라운드 바디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어댑터 접속핀은, 유전체 바디의 제1 개구에 배치되는 중심부 및 중심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되, 유전체 바디에서 돌출되는 제1 접속부를 포함하며, 중심부의 직경은 제1 접속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어댑터 접속핀은, 제1 개구와 다른 단면적을 가지며, 유전체 바디의 하면에 지지되는 컨택부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보드 접속 커넥터는, 일 측이 컨택부에 접촉되는 보드 접속핀과 보드 접속핀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홀을 가지는 유전체부와 유전체부가 삽입되는 트렌치 및 보드 접속핀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홀을 가지는 하우징 및 하우징과 유전체부 사이에 배치되어 그라운드 바디의 하면과 접촉하기 위한 그라운드 접촉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접촉부는, 일 측이 트렌치의 일 면과 접촉되도록 트렌치에 삽입되고, 타 측이 그라운드 바디의 하면과 접지되도록 형성되고, 하우징의 높이는 하우징의 너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에는 트렌치의 측면을 따라 하우징의 하측으로 복수 개 연장되는 다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다리부는, 하우징과 인서트 사출 공정으로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다리부는, 트렌치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부분과 하우징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 및 하우징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접촉부는, 트렌치에 삽입되는 그라운드 삽입부와 그라운드 삽입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둘레를 따라 절개된 복수의 슬릿에 의해 형성되는 그라운드 탄성부 및 그라운드 탄성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 측이 그라운드 바디와 접지하는 그라운드 접지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삽입부의 길이는 그라운드 탄성부 및 그라운드 접지부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삽입부는, 외부면이 다리부의 제1 부분의 일 면과 중첩되도록 트렌치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댑터 커넥터는, 상기 그라운드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리드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드 접속 커넥터의 높이를 최소화함으로써, 보드 접속 커넥터를 보다 소형화하면서 보드들 사이의 높이 또한 최소화하여 이동통신 중계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드 접속 커넥터의 하우징과 다리부를 서로 다른 재질로 일체화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드 접속 커넥터의 무게를 줄이면서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드간 신호 전송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유사한 참조 부호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 접속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 접속 커넥터를 도시하는 조립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 접속 커넥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접촉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때, 도 8 (a)는 상측을 기준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 (b)는 하측을 기준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접촉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 접속 커넥터 및 어댑터 커넥터를 포함하는 보드 접속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때, 도 11(a)는 상측을 기준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1(b)는 하측을 기준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커넥터를 도시하는 조립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드 접속 커넥터 및 어댑터 커넥터를 포함하는 보드 접속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때, 도 14(a)는 상측을 기준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4(b)는 하측을 기준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커넥터를 도시하는 조립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 접속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 접속 커넥터를 도시하는 조립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 접속 커넥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드 접속 커넥터(1000)는, 보드 접속핀(100), 유전체부(200), 하우징(300), 그라운드 접촉부(400) 및 다리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보드 접속 커넥터(1000)는 일부가 유전체부(200)에 삽입되어 신호를 전송하는 보드 접속핀(100), 보드 접속핀(100)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홀(210)을 가지고, 하우징(300)에 일부 삽입되는 유전체부(200), 유전체부(200)의 일부가 삽입되고, 보드 접속핀(100)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홀(320)을 가지는 하우징(300) 및 하우징(300)과 유전체부(200) 사이에 배치되어 그라운드 전극과 접촉하여 접지되는 그라운드 접촉부(400)를 포함한다. 이때, 그라운드 전극은 후술하는 어댑터 커넥터(500)의 그라운드 바디(530)의 하면 또는 보드에 인쇄된 금속 박막의 전극일 수 있다.
특히, 보드 접속 커넥터(1000)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며, 하우징(300)의 내부에 원통 형상의 그라운드 접촉부(400)가 삽입되고, 그라운드 접촉부(4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유전체부(200)와 보드 접속핀(100)이 삽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보드 접속 커넥터(1000)의 하우징(300)의 높이는 하우징(300)의 너비보다 더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드 접속 커넥터(1000)에 의해 연결되는 보드 간의 이격거리를 줄일 수 있어 이동통신 중계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보드 접속핀(100)은 일측이 신호 전극에 접촉되고, 타측이 보드에 접촉 또는 일부가 삽입되어 보드의 신호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신호 전극은 후술하는 어댑터 커넥터(500)의 컨택부(516) 또는 보드에 인쇄된 금속 박막의 전극일 수 있다.
보드 접속핀(100)은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을 통해 동작하는 포고핀일 수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보드 접속핀(100)은 탄성을 가지는 다양한 부품일 수 있다.
보드 접속핀(100)은 후술하는 유전체부(200)의 제1 삽입홀(210) 및 하우징(300)의 제2 삽입홀(320)에 삽입되고, 보드 접속핀(100)의 외주면 중 일부가 제2 삽입홀(320)보다 큰 직경을 가져 제2 삽입홀(320)에 삽입되는 부분이 제한될 수 있다.
보드 접속핀(100)은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리, 활동, 베릴륨 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전체부(200)는 유전율을 가지는 비전도성 재질로서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고, 보드 접속핀(110)이 일부 삽입되는 제1 삽입홀(210)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삽입홀(210)에 보드 접속핀(100)이 삽입되어 보드 접속핀(100)이 유전체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유전체부(200)에 대해서 도 4 및 도 5를 더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유전체부(200)는 제1 삽입홀(210)을 가지고, 하우징(300)의 트렌치(310)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그 직경이 늘어나는 유전체 몸체부(220) 및 유전체 몸체부(220)의 에지 부분에서 길이 방향(즉, 하우징(3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유전체 돌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렌치(310)에 유전체 돌출부(230)에 삽입되면, 유전체부(200)의 제1 삽입홀(210) 및 하우징(300)의 제2 삽일홀(320)이 하우징(30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배치되어 여기에 보드 접속핀(100)이 삽입될 수 있다.
유전체 돌출부(230)는 후술하는 하우징(300)의 트렌치(310)에 삽입 가능한 길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이에, 유전체 돌출부(230)의 일 면이 트렌치(310)의 일 면과 접촉되고, 유전체 몸체부(220)의 하부면(222)이 후술하는 하우징(300)의 돌출부(350)의 상부면과 접촉되도록 유전체부(200)와 하우징(30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을 통해 보드 접속 커넥터의 높이를 줄일 수 있어 보드 접속 커넥터를 소형화하고, 보드 간의 이격거리를 줄임으로써, 이동통신 중계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유전체 돌출부(230)에는 외부면의 둘레를 따라 고정홈부(232)가 후술하는 그라운드 접촉부(400)의 고정돌부(412)와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하우징(300)의 트렌치(310)에 후술하는 그라운드 접촉부(400)의 그라운드 삽입부(4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유전체 돌출부(230)가 삽입되면 고정홈부(232)가 고정돌부(412)와 결속되어 유전체부(200)와 그라운드 접촉부(400)가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전체 돌출부(230)와 그라운드 삽입부(410)는 서로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홈부(232)는 홈이 유전체 돌출부(230)의 외부면을 일주하는 형상으로 형성(도 4를 참고)되거나, 고정돌부(412)에 대응되는 위치에 유전체 돌출부(230)의 외부면을 따라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유전체부(20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절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300)은 유전체부(200)의 일부가 삽입되는 트렌치(310) 및 보드 접속핀(100)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홀(320)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우징에 대해서 도 6 및 도 7을 더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300)의 트렌치(310)는 유전체 돌출부(230)가 완전히 삽입될 수 있는 길이만큼 인입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트렌치(310)에 유전체 돌출부(230)가 삽입되고, 트렌치(310)의 측면과 유전체 돌출부(230)의 측면 사이에 후술하는 그라운드 삽입부(41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우징(300), 유전체부(200) 및 그라운드 접촉부(400)는 서로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300)에는 트렌치(310)와 인접하도록 구성되는 단차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330)는 내부에 그라운드 접촉부(40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차부(330)의 공간에는 후술하는 그라운드 접촉부(400)의 그라운드 탄성부(420)가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그라운드 탄성부(420)가 동작할 공간이 단차부(330)를 통해 확보되므로 그라운드 접촉부(400)의 일 측이 그라운드 전극에 접지할 시 접지가 용이할 수 있다.
하우징(300)에는 하우징(300)의 하측으로 복수 개 연장되는 다리부(340)가 형성될 수 있다.
다리부(340)는 일 면이 트렌치(310)의 측면을 따라 수직 연장되는 제1 부분(342), 제1 부분(342)에서 하우징(30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344) 및 제2 부분(344)에서 하우징(300)의 하측으로 수직 연장되는 제3 부분(346)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그라운드 접촉부(400)의 일부가 트렌치(310)에 삽입되면 제1 부분(342)의 일 면은 후술하는 그라운드 삽입부(410)의 일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그라운드 접촉부(400)와 다리부(340)가 접지될 수 있다.
제2 부분(344)이 하우징(30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의 양단에 제1 부분(342) 및 제3 부분(346)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수직 연장됨으로써 하우징(300)과 다리부(340)는 서로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리부(34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하우징(300)은 사출 성형 가능한 열가소성 재질(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다리부(340)와 하우징(300)이 인서트 사출 공정으로 일체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이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대신 열가소성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하우징의 무게 및 제작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하우징(300)은 제2 삽입홀(320)에 인접하고, 하우징(300)의 하부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부(200)가 하우징(300)에 결합될 때 유전체 돌출부(230)의 일 면이 트렌치(310)의 일 면과 접촉되고, 유전체 몸체부(220)의 하부면이 돌출부(350)의 상부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드 접속 커넥터의 높이를 줄일 수 있어 보드들 사이의 이격거리를 줄여 이동통신 중계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그라운드 접촉부(400)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일 측이 트렌치(310)의 일 면과 접촉되도록 트렌치(310)에 삽입되고, 타 측이 그라운드 전극과 접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라운드 접촉부(400)는 그라운드 삽입부(410), 그라운드 탄성부(420) 및 그라운드 접지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라운드 접촉부(400)는 전도성 재질의 금속판을 소성가공하여 제조할 수 있다. 그라운드 접촉부(400)는 트랜치(310)의 측면에 위치한 다리부(340)와 일부 접촉하여 그라운드 접촉부(400)와 다리부(340)가 접지될 수 있다. 또한, 그라운드 접촉부(400)의 일부가 그라운드 전극에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항상 일정 이상의 전극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더 참조하여 그라운드 접촉부(4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접촉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때, 도 8 (a)는 상측을 기준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 (b)는 하측을 기준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접촉부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그라운드 접촉부(400)는 둥글게 말린 구조를 가지고, 마주보는 양단이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그라운드 접촉부(400)의 그라운드 삽입부(410)가 하우징(300)의 트렌치(310)에 삽입될 때 마주보는 양단이 밀착되면서 그라운드 삽입부(410)가 트렌치(310)에 삽입되는 것이 원활해지고, 트렌치(310)에 삽입된 후에는 마주보는 양단이 벌어지면서 그라운드 삽입부(410)의 외주면이 트렌치(310)의 측면과 밀착하게 되어 그라운드 접촉부(400)가 유전체부(200)를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라운드 삽입부(410)는 외부면이 트렌치(310)의 측면과 접촉되도록 하우징(300)의 트렌치(310)에 삽입될 수 있다. 트렌치(310)의 측면에는 다리부(340)의 제1 부분(342)이 위치할 수 있으므로, 그라운드 삽입부(410)의 외부면 일부는 다리부(340)의 제1 부분(342)의 일면과 접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그라운드 삽입부(410)는 외부면이 트렌치(310)의 측면 및 이 측면에 위치한 다리부(340)의 제1 부분(342)의 일 면(즉, 측면)과 중첩되도록 트렌치(31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그라운드 삽입부(410)와 다리부(3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라운드 삽입부(410)가 트렌치(310)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라운드 삽입부(410)의 내부면이 유전체 돌출부(230)의 외부면과 접촉되도록 트렌치(310)에 유전체 돌출부(230)가 삽입될 수 있다.
그라운드 삽입부(410)에는 내부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돌출되는 고정돌부(412)를 포함하고, 유전체 돌출부(230)가 트렌치(310)에 삽입될 때 고정돌부(412)가 유전체 돌출부(230)의 고정홈부(232)와 결속되어 그라운드 접촉부(400)와 유전체부(300)가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전체부(200)와 그라운드 접촉부(400)가 서로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라운드 삽입부(410)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슬릿(414)이 형성되도록 절개되고, 복수의 슬릿(414) 사이에서 그라운드 접촉부(4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라운드 탄성부(420) 및 그라운드 탄성부(420)로부터 연장되어 일 측(즉, 끝 단)이 그라운드 전극과 접지하도록 커브드(curved) 형상으로 이루어진 그라운드 접지부(4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그라운드 접지부(430)는 접촉력이 좋고 그라운드 전극과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구조에 의해 그라운드 접촉부의 높이가 줄어듬에 따라 보드 간의 이격거리를 줄일 수 있어 이동통신 중계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그라운드 삽입부(410)가 트렌치(310)에 삽입되면 그라운드 탄성부(420)는 하우징(300)의 단차부(33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라운드 탄성부(420)는 단차부(33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곡면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그라운드 접촉부가 그라운드 전극과의 접촉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러한 그라운드 탄성부(420)는 제1 탄성부(422), 제2 탄성부(424) 및 제3 탄성부(4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422)는 그라운드 삽입부(410)에서 그라운드 접촉부(40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이면서 그라운드 접촉부(400)의 바깥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탄성부(424)는 제1 탄성부(422)에서 그라운드 접촉부(4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탄성부(426)는 제2 탄성부(424)에서 그라운드 접촉부(40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이면서 그라운드 접촉부(400)의 안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제2, 제3 탄성부(422, 424, 426) 각각의 형상에 의해 보드들 사이의 이격거리를 줄일 수 있어 이동통신 중계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그라운드 삽입부(410)와 제1 탄성부(422) 사이, 제1 탄성부(422)와 제2 탄성부(424) 사이, 제2 탄성부(424)와 제3 탄성부(426) 사이, 및 제3 탄성부(426)와 그라운드 전지부(430) 사이에는 각각 절곡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절곡 부분에 의해 그라운드 접지부(430)의 끝단이 그라운드 전극에 접촉할 시 가해지는 접촉 압력이 분산되어 그라운드 접촉부(400)의 변형 내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그라운드 접촉부(400)의 형상에 의해 그라운드 접지부(430)의 끝 단이 그라운드 전극에 접촉될 때 그라운드 접지부(430)가 탄성력으로 절곡되어 그라운드 접지부(430)의 끝단이 그라운드 전극에 균일하게 접촉됨으로써, 전류 흐름 또한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나아가, 그라운드 삽입부(410)의 길이는 그라운드 탄성부(420) 및 그라운드 접지부(430)의 길이보다 짧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드 접속 커넥터의 높이를 줄일 수 있어 이동통신 중계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드간 신호를 전송하는 보드 접속 커넥터 및 어댑터 커넥터가 포함된 보드 접속 어셈블리를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 접속 커넥터 및 어댑터 커넥터를 포함하는 보드 접속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보드 접속 어셈블리(800)는 어댑터 커넥터(500), 제1 보드(600), 제2 보드(700) 및 보드 접속 커넥터(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어댑터 커넥터에 대해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때, 도 11(a)는 상측을 기준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1(b)는 하측을 기준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커넥터를 도시하는 조립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어댑터 커넥터(500)는 신호를 전송하는 어댑터 접속핀(510), 어댑터 접속핀(510)이 삽입되는 유전체 바디(520) 및 유전체 바디(520)가 삽입되고, 접지되는 그라운드 바디(53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 접속핀(510)은 전도성 재질로서 일부가 후술하는 제1 보드(600)에 삽입되고, 중심부(512) 및 접속부(51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심부(512)는 유전체 바디(520)의 제1 개구(522)에 배치되고, 접속부(514)는 중심부(512)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되, 유전체 바디(520)에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중심부(512)의 직경은 접속부(51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접속부(514)는 후술하는 제1 보드(600)에 형성되는 삽입홀에 삽입되되, 제1 보드(600)에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드(600)의 외부에 접속부(514)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더욱이, 어댑터 접속핀(510)은 컨택부(516)를 더 포함하고, 컨택부(516)는 제1 개구(522)와 다른 단면적을 가지며, 유전체 바디(520)의 하면에 지지될 수 있다.
유전체 바디(520)는 유전율을 가지는 비전도성 재질로서 어댑터 접속핀(510)이 삽입되는 제1 개구(522)를 가질 수 있다.
그라운드 바디(530)는 전도성 재질로서 유전체 바디(520)가 삽입되는 제2 개구(532)를 가지며, 서로 마주보는 제1 면과 제2 면이 플랫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보드(600)는 어댑터 커넥터(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라인을 포함하고, 어댑터 커넥터(500)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드(600)는 인쇄회로기판(PCB) 또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일 수 있다. 또한, 신호 라인은 제1 보드(600)에 인쇄된 금속 박막의 배선일 수 있다.
고정 보드(650)는 제1 보드(600)의 하면을 지지하고, 어댑터 커넥터(500)가 삽입될 수 있다. 특히, 고정 보드(650)는 제1 보드(600)의 삽입홀에 어댑터 커넥터(500)의 일부가 정확하게 삽입되고, 후술하는 보드 접속 커넥터(1000)가 컨택부(516)에 정확하게 접촉하도록, 어댑터 커넥터(500)가 배열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고정 보드(650)는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절연 소재 또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보드(650)는 어댑터 접속핀(510)의 외부 신호 간섭을 차폐하기 위한 접지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보드(650)는 외부와 접지되어 어댑터 커넥터(500)와 접지될 수 있다.
제2 보드(700)는 후술하는 보드 접속 커넥터(1000)의 다리부(340) 및 보드 접속핀(100)의 일부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삽입홀을 가지고, 보드 접속 커넥터(1000)를 적어도 일부 지지하면서 보드 접속 커넥터(1000)와 결합할 수 있다.
보드 접속 커넥터(1000)는 신호를 전송하는 보드 접속핀(100), 보드 접속핀(100)이 삽입되는 유전체부(200), 보드 접속핀(100)과 유전체부(200)가 삽입되는 하우징(300) 및 유전체부(200)와 하우징(300) 사이에 배치되어 그라운드 바디(530)의 하면에 접촉하는 그라운드 접촉부(400)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제2 보드(700)에 보드 접속 커넥터(1000)가 삽입되면 보드 접속핀(100)의 일 측이 제1 보드(600)에 삽입된 어댑터 커넥터(500)의 컨택부(516)와 접촉되고, 그라운드 접촉부(400)의 끝 단이 그라운드 바디(530)의 하면과 접촉하게 되어 보드간 신호 전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보드 접속 커넥터(1000)의 구조에 의해 보드들 사이의 이격거리를 줄일 수 있어 이동통신 중계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보드(600)의 하면에 보드 접속 커넥터(1000)가 접촉하는 전극 및 이를 위한 배선의 형성을 어댑터 커넥터(500)가 대신할 수 있어 제1 보드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어댑터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드 접속 커넥터 및 어댑터 커넥터를 포함하는 보드 접속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때, 도 14(a)는 상측을 기준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4(b)는 하측을 기준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커넥터를 도시하는 조립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어댑터 커넥터(500)는 신호를 전송하는 어댑터 접속핀(510), 어댑터 접속핀(510)이 삽입되는 유전체 바디(520), 유전체 바디(520)가 삽입되고 접지되는 그라운드 바디(530) 및 그라운드 바디(530)의 에지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 연장되는 리드(5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커넥터의 구성인 어댑터 접속핀(510), 유전체 바디(520) 및 그라운드 바디(530)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커넥터의 구성과 높이 차이가 있을 뿐 그 외에 있어서는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리드(540)는 그라운드 바디(530)로부터 연장되는 전도성 재질로서 제1 보드(600)에 형성되는 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다. 특히, 리드(540)는 제1 보드(700)의 그라운드에 접지되어 어댑터 커넥터(500)의 차폐를 향상하고 제1 보드(600)와의 결합을 향상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0: 보드 접속핀200: 유전체부
210: 제1 삽입홀220: 유전체 몸체부
230: 유전체 돌출부232: 고정홈부
300: 하우징310: 트렌치
320: 제2 삽입홀330: 단차부
340: 다리부342: 제1 부분
344: 제2 부분346: 제3 부분
350: 돌출부400: 그라운드 접촉부
410: 그라운드 삽입부412: 고정돌부
420: 그라운드 탄성부422: 제1 탄성부
424: 제2 탄성부426: 제3 탄성부
430: 그라운드 접지부500: 어댑터 커넥터
510: 어댑터 접속핀512: 중심부
514: 접속부516: 컨택부
520: 유전체 바디522: 제1 개구
530: 그라운드 바디532: 제2 개구
540: 리드600: 제1 보드
650: 고정 보드700: 제2 보드
800: 보드 접속 어셈블리1000: 보드 접속 커넥터

Claims (19)

  1. 신호를 전송하는 보드 접속핀;
    상기 보드 접속핀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홀을 가지는 유전체부;
    상기 유전체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트렌치, 상기 트렌치의 둘레에 배치되는 단차부, 상기 트렌치의 안쪽에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돌출부 및 상기 보드 접속핀이 삽입되도록 상기 돌출부에 구비되는 제2 삽입홀을 가지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유전체부 사이에 배치되어 그라운드 전극과 접촉하기 위한 그라운드 접촉부; 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운드 접촉부는, 일부분이 상기 트렌치에 삽입되고, 타 측이 상기 그라운드 전극과 접지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의 내부에 상기 그라운드 접촉부의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유전체부는,
    상기 제1 삽입홀을 갖는 유전체 몸체부; 및
    상기 유전체 몸체부의 에지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하는 유전체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전체 돌출부는, 상기 유전체 몸체부의 하부면이 상기 돌출부의 상부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트렌치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높이는 상기 하우징의 너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접속 커넥터.
  2. 신호를 전송하는 어댑터 접속핀, 상기 어댑터 접속핀이 삽입되는 유전체 바디 및 상기 유전체 바디가 삽입되는 그라운드 바디를 가지는 어댑터 커넥터; 및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 보드 접속핀, 상기 보드 접속핀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홀을 가지는 유전체부, 상기 보드 접속핀과 상기 유전체부가 삽입되는 하우징, 및 상기 유전체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그라운드 바디의 하면에 접촉하는 그라운드 접촉부를 가지는 보드 접속 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유전체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트렌치, 상기 트렌치의 둘레에 배치되는 단차부, 상기 트렌치의 안쪽에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돌출부 및 상기 보드 접속핀이 삽입되도록 상기 돌출부에 구비되는 제2 삽입홀을 구비하고,
    상기 그라운드 접촉부는, 일부분이 상기 트렌치에 삽입되고, 타 측이 상기 그라운드 바디와 접지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의 내부에 상기 그라운드 접촉부의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유전체부는, 상기 제1 삽입홀을 갖는 유전체 몸체부 및 상기 유전체 몸체부의 에지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하는 유전체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전체 돌출부는, 상기 유전체 몸체부의 하부면이 상기 돌출부의 상부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트렌치에 삽입되는,
    보드 접속 어셈블리.
KR1020210177923A2020-12-212021-12-13보드 접속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보드 접속 어셈블리ActiveKR102711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PCT/KR2021/019396WO2022139366A1 (ko)2020-12-212021-12-20보드 접속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보드 접속 어셈블리
US18/002,493US20230238753A1 (en)2020-12-212021-12-20Board connection connector and board connection assembly comprising same
EP21911433.7AEP4156420A4 (en)2020-12-212021-12-20Board connection connector and board connection assembly comprising same
CN202180043785.9ACN115735303A (zh)2020-12-212021-12-20板接通连接器以及具备其的板接通组件
KR1020220076827AKR102461036B1 (ko)2020-12-212022-06-23어댑터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001791982020-12-21
KR202001791982020-12-2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220076827ADivisionKR102461036B1 (ko)2020-12-212022-06-23어댑터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20089641A KR20220089641A (ko)2022-06-28
KR102711510B1true KR102711510B1 (ko)2024-09-27

Family

ID=7859890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210037731AActiveKR102375210B1 (ko)2020-12-212021-03-24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보드 접속 어셈블리
KR1020210177923AActiveKR102711510B1 (ko)2020-12-212021-12-13보드 접속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보드 접속 어셈블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210037731AActiveKR102375210B1 (ko)2020-12-212021-03-24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보드 접속 어셈블리

Country Status (4)

CountryLink
US (1)US12347949B2 (ko)
EP (1)EP4016748A1 (ko)
KR (2)KR102375210B1 (ko)
CN (1)CN1146496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CN115864029B (zh)*2021-09-242024-03-05吉佳蓝科技股份有限公司固定连接器以及具备其的连接器组件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20100110056A1 (en)2008-10-302010-05-06Samsung Electronics Co., Ltd.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19074310A1 (ko)2017-10-132019-04-18주식회사 텔콘알에프제약동축 커넥터
KR101974785B1 (ko)*2018-07-102019-05-02주식회사 기가레인결합 높이가 감소된 기판 메이팅 커넥터
KR102006131B1 (ko)*2018-05-032019-08-01주식회사 엠피디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
KR102013690B1 (ko)2018-11-232019-08-23주식회사 기가레인하우징 일체형 기판 메이팅 커넥터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2163379B1 (ko)*2019-12-272020-10-08주식회사 기가레인기판 메이팅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4964805A (en)*1990-01-031990-10-23Amp IncorporatedMicrocoxial connector having bipartite outer shell
US5453025A (en)*1994-02-241995-09-26Redev Management Corp.Electrical connector
JP3126892B2 (ja)*1995-02-272001-01-22株式会社ヨコオ同軸基板間コネクタ
KR200290954Y1 (ko)*2002-07-122002-10-04케이. 에이. 이 (주)2중 접속단자를 구비한 휴대폰용 커넥터
KR200297074Y1 (ko)*2002-09-172002-12-02허상록Mdf 스위칭 보드용 다층기판에서의 접속핀 접촉불량방지장치
US6776668B1 (en)*2003-08-012004-08-17Tyco Electronics CorporationLow profile coaxial board-to-board connector
US7377823B2 (en)2005-05-232008-05-27J.S.T. CorporationPress-fit pin
KR101043528B1 (ko)*2009-07-272011-06-23케이유엠 주식회사케이블의 단자 결합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결합방법
CN101938057A (zh)2010-07-092011-01-05安费诺科耐特(西安)科技有限公司一种板间多排插连接器
CH704592A2 (de)*2011-03-082012-09-14Huber+Suhner AgHochfrequenz Koaxialverbinder.
CN104733888B (zh)*2015-03-112017-07-07东莞劲胜精密组件股份有限公司内置型天线连接器及移动终端设备
CN107834233B (zh)2017-09-272019-04-02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九研究所一种垂直过渡结构
KR101926503B1 (ko)*2018-03-272018-12-07주식회사 기가레인신호 컨택부 및 그라운드 컨택부가 연동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KR102006134B1 (ko)2018-04-122019-08-01주식회사 엠피디기판 연결용 커넥터
EP3809518A4 (en)*2018-06-122022-03-16KMW Inc. CAVITY FILTER AND CONNECTION STRUCTURE INCLUDED IN IT
KR102214627B1 (ko)2019-07-252021-02-15주식회사 엠피디기판연결용 커넥터
US10971846B2 (en)*2019-07-252021-04-06Mpd Corp.Board to board connector
KR102118829B1 (ko)*2019-07-262020-06-04주식회사 기가레인기판 메이팅 커넥터
WO2022139366A1 (ko)2020-12-212022-06-30주식회사 기가레인보드 접속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보드 접속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20100110056A1 (en)2008-10-302010-05-06Samsung Electronics Co., Ltd.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19074310A1 (ko)2017-10-132019-04-18주식회사 텔콘알에프제약동축 커넥터
KR102006131B1 (ko)*2018-05-032019-08-01주식회사 엠피디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
KR101974785B1 (ko)*2018-07-102019-05-02주식회사 기가레인결합 높이가 감소된 기판 메이팅 커넥터
KR102013690B1 (ko)2018-11-232019-08-23주식회사 기가레인하우징 일체형 기판 메이팅 커넥터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2163379B1 (ko)*2019-12-272020-10-08주식회사 기가레인기판 메이팅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102375210B1 (ko)2022-03-16
US12347949B2 (en)2025-07-01
CN114649699A (zh)2022-06-21
KR20220089641A (ko)2022-06-28
US20220200174A1 (en)2022-06-23
EP4016748A1 (en)202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102461036B1 (ko)어댑터 커넥터
KR20230019919A (ko)리셉터클 커넥터
KR102494901B1 (ko)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US7179127B2 (en)Connector minimized in cross-talk and electrical interference
US11056807B2 (en)Float connector for interconnecting printed circuit boards
CN113054472B (zh)基板配合连接器
CN110838635A (zh)电连接器
TWI540795B (zh)具有直接連接終端之電氣連接器組件
US7878850B2 (en)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grounding device
JP2021009836A (ja)マルチチャネル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体
CN111029821A (zh)插槽连接器
US7892028B2 (en)Cable connector assembly
US6257927B1 (en)Multi-coaxial connector having a metallic block connected in common to outer conductors of a plurality of coaxial cables
CN112913090B (zh)同轴连接器装置
US6045380A (en)Movable connector
JP2007525808A (ja)コネクタ装置
JP7357962B2 (ja)ハウジング一体型基板メイティングコネクタおよびこの製作方法
CN113054473B (zh)基板配合连接器
US6056559A (en)Punched sheet coax header
CN206976656U (zh)电连接器和连接器组件
US8790134B2 (en)Connector, cable assembly, and semiconductor testing device
KR102711510B1 (ko)보드 접속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보드 접속 어셈블리
JP5186330B2 (ja)同軸コネクタ及び同軸多極コネクタ
CN112913087A (zh)具有冠状布置的接地触片的一体式rf连接器及包括多个该一体式连接器的联合连接器
JP4605591B2 (ja)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211213

A107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20220623

Patent event code:PA01071R01D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PA02012R01D

Patent event date:20220801

Comment text: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2011R04I

Patent event date:20220623

Comment text: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211213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40304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240919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40924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20240924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