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수지상 방식 또는 격자 방식의 상수도 관로에서 관 세척과 누수 탐사를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 관로에서 관세척을 하는 경우에 제수변의 조작 등으로 탁도가 높아져서 민원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이 상수도 세척 중에 연관 관로에 탁도가 흐려지는 경우 관세척을 합리적으로 조절하여 상수도 관로의 탁도 생성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ipe cleaning and leak detection in a water pipe of a resinous type or a lattice type. In general, when cleaning a water pipe, there are cases where turbidity increases due to the operation of a water valve, etc., and thus complaints arise. In such cases, when turbidity becomes cloudy in the related pipe during water pipe clean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reventing turbidity generation in the water pipe by reasonably controlling the pipe cleaning.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016254호(2020. 04. 17. 공고)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스마트 워터 시티 구축을 위한 ICT 통합 모니터링 물관리 시스템 구성도이다. 상기도 1에서 종래의 스마트 워터 시티 구축을 위한 ICT 통합 모니터링 물관리 시스템은 압감지센서(70), 유량조절밸브(80), 수용가(90), 정수장(100), 재염소 주입설비(200), 탁수배수밸브(300), 접속노드단말(400), Network(500), 통합관제서버(600) 및 빅데이터서버(700), 관리자 모바일 단말(8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취수장(10) 및 지하부(20)에서 제공된 수자원이 정수장(100)으로 유입되고, 정수장(100)으로 유입된 수자원에 대해서 정화된 수돗물이 스마트미터기(30)를 통해 미리 정해진 유량의 수돗물 대해서 제 1 센서장치부(40)에 의한 제 1 센싱이 수행된 뒤, 재염소 주입설비(200)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모바일 단말(800) 또는 통합관리서버(600)에서 네트워크(500)와 연결된 접속노드단말(400)로 미리 설정된 염도 범위를 설정하면, 재염소 주입설비(200)는 미리 설정된 염도 범위로 수돗물을 조절한 뒤, 접속노드단말(400)에 의한 제어에 따라 제 2 센싱장치부(50), 탁수조절밸브(300), 누수감지센서(60), 수압감지센서(70), 유량조절밸브(80)가 형성된 상수도관 거쳐 수용가(90)로 수돗물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재염소 주입설비(200) 내부에는 별도의 통과 밸브 및 통과 배관이 형성됨으로써, 미리 설정된 염도 범위 내의 경우 접속노드단말(400)에 의한 통과 밸브에 대한 온(ON) 제어를 통해 통과 배관을 통해 염도가 조절되지 않은 정수된 수돗물이 탁수조절밸브(300)를 거쳐 수용가(90)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탁수조절밸브(300)도 제 2 센싱장치부(50)에 의해 측정된 수질 정보에 포함된 모든 파라미터가 기준치를 만족하는 경우 내부의 통과 밸브 및 통과 배관을 통해 수압감지센서(70), 유량조절밸브(80)가 형성된 수용가(90) 사이의 상수도관을 통해 수용가(90)로 직접적으로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수용가(90)와 탁수조절밸브(300) 사이에는 미리 설정된 거리 마다 누수감지센서(6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스마트 워터 시티 구축을 위한 ICT 통합 모니터링 물 관리 시스템(1)은 스마트 워터 시티(Smart Water City) 구축을 위핸 취수원(10)에서 수용가(90)의 수도꼭지까지 수돗물 공급의 전과정에서 ICT 기술을 접목하여, 과학적인 수량/수질 관리 및 수돗물 정보 제공을 통해 수용가(90)에서 믿고 마실 수 있는 “건강한 물 공급 체계”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워터 시티 구축을 위한 ICT 통합 모니터링 물 관리 시스템(1)은 도심 시내지역에 구성된 격자식 상수도 관망과 도심 외곽지역에 형성된 상수도 관망에 대하여 통합적으로 관망을 관리하고자 하는 시스템으로 각 관리하는 블록 내 정수장(100)에 형성된 이물질 급속 여과 장치(110), 그리고 스마트미터기(30)에 의한 정수장(100)에서 배출되는 유량 및 유속을 측정하고, 제 1 센서장치부(40) 및 제 2 센서장치부(50)에서 수질을 측정하고, 누수감지센서(60)에서 누수를 측정하고, 수압감지센서(70)에 의해 수압을 감지하고 EPA Net 기반 관망해석을 통하여 최적의 위치에 설치, 또한 관망 말단부의 유속 저하 구간 및 정체구간 중 수질 기준 초과시 밸브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자동 드레인 배수장치인 탁수배수밸브(300)를 구비하는 것이다. 한편, 접속노드단말(400)은 스마트미터기(30)에서 측정되는 초기의 유량 및 유속 정보, 제 1 센서장치부(40) 및 제 2 센서장치부(50)에서 측정되는 수질 정보, 수압감지센서(70)에서 측정되는 수용가(90)로 제공되는 바로 직전의 유량 및 유속 정보(또는 수압 정보), 누수감지센서(60)에서 측정되는 누수 정보를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모든 측정 정보를 네트워크(500)를 통해 통합관제서버(600)로 전송함으로써, 통합관제서버(600)인 중앙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 상에서 통합관리 및 모니터링이 실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 등으로 형성가능한 관리자 모바일 단말(800)은 네트워크(500)를 통해 통합관제 서버(600)로 액세스하여 인증을 통해 보안이 허가된 관리자에 한하여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 워터 어플리케이션으로 유량, 유속, 수압, 수질, 누수, 관망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한편, 통합관제서버(600)는 수질에 해당하는 제 2 센서장치부(50)에서 측정된 수질 정보의 파라미터로 탁도, 잔류염소, pH, 이물질 등 수질 이상 발생시 네트워크(500)를 통해 관리자 모바일 단말(800)로 알람 경보를 전송하여, 탁수배수밸브(300)에 대한 자동배출로 신속대응 및 사전 예방으로 이상 관로 여부에 따라 수시로 압축 공기관 세척 모듈(310)로 압축 공기에 의한 상수관로에 대한 세척을 실시하며, 압축 공기관 세척 모듈(310)에서 투입되는 질소를 통한 누수 위치 정보를 네트워크(500)를 통해 관리자 모바일 단말(800)로 제공하여 누수에 대한 복구가 가능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1 센서장치부(40)도 제 2 센서장치부(50)와 동일하게 수질 정보의 파라미터로 탁도, 잔류염소, pH, 이물질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수압감지센서(70)에서 수신되는 수압 정보가 미리 설정된 수압 기준치 이하인 경우, 접속노드단말(400)는 경고음 발생을 통해 사전예방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며, 수용가(90)가 대수용인 경우 급수시 인접 주택 및 상가 수압변동을 예측하며, 수압 불안정시 출수 불량 발생 알람으로 경고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500)와 연결된 통합관제서버(600)를 통해 관리자 모바일 단말(800)로 출수 불량 발생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누수감지센서(60)는 탁수밸브(300)와 유량조절밸브(80) 사이에 형성되고, 수압감지센서(70)와 수용가(90)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나 관망 모델링을 통하여 사전 분석하여 최적의 위치를 선정할 뿐만 아니라, 위치는 상수관로의 미리 설정된 구간(예, 5 내지 10km) 당 하나가 설치됨으로써, 누수 정보에 따라 누수 이상시 접속노드단말(400)가 누수 이상 정보를 네트워크(500)와 연결된 통합관제서버(600)로 전송하고, 통합관제서버(600)에 의해 네트워크(500)를 통해 관리자 모바일 단말(800)로 누수 위치가 상수관망도의 누수감지센서(60)가 설치된 위치에 미리 설정된 색상을 통하여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누수량에 따라 누수 위치를 판단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질계측 센서에 해당하는 제 1 센서장치부(40) 및 제 2 센서장치부(50)는 수신되는 수질 정보가 미리 설정된 수질 기준치 이하인 경우, 접속노드단말(400)는 경고음 발생을 통해 사전예방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며, 네트워크(500)와 연결된 통합관제서버(600)를 통해 관리자 모바일 단말(800)로 수질 불량 발생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자동 드레인 밸브에 해당하는 탁수배수밸브(300)는 관로 말단부 또는 유속정체 구간에 대한 설치되며, 자동 타이머 기능센서 또는 접속노드단말(400), 통합관제서버(600), 그리고 관리자 모바일 단말(800) 중 하나에 의해 원하는 시간에 자동 퇴수로 이물질과 탁도, 잔류염소 및 불순물 이상 알람 경고 이상시 자동배출로 유속의 원활한 흐름과 깨끗한 수질을 유지하도록 하며, 긴 시간 동안 수돗물이 정체된 경우 잔류염소가 희석되어 먹는 물 기준에 미달되어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부분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탁도나 이물질이 수용가에 급수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21016254 (announced on April 17, 2020).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CT integrated monitoring water management system for building a conventional smart water city. In the above FIG. 1, the conventional ICT integrated monitoring water management system for building a smart water city may include a pressure sensor (70), a flow control valve (80), a water user (90), a water purification plant (100), a rechlorination injection facility (200), a turbid water drainage valve (300), a connection node terminal (400), a network (500), an integrated control server (600), a big data server (700), and an administrator mobile terminal (800). Water resources provided from the above-mentioned water intake facility (10) and underground section (20) flow into a water purification plant (100), and purified tap water from the water resources flowing into the water purification plant (100) can be provided to a rechlorination injection facility (200) after the first sensing is performed by the first sensor device (40) on tap water of a predetermined flow rate through a smart meter (30). In addition, when a preset salinity range is set from the administrator mobile terminal (800) or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600) to the connection node terminal (400) connected to the network (500), the rechlorination injection facility (200) adjusts tap water to the preset salinity range, and th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nection node terminal (400), the tap water can be provided to the user (90) through a water pipe in which a second sensing device unit (50), a turbidity control valve (300), a water leak detection sensor (60), a water pressure detection sensor (70), and a flow rate control valve (80) are formed. Meanwhile, since a separate passage valve and passage pipe are formed inside the rechlorination injection facility (200), when the salinity is within a preset salinity range, purified tap water whose salinity is not adjusted can be supplied to the user (90) through the turbidity control valve (300) through the passage pipe by ON control of the passage valve by the connection node terminal (400). In addition, when all parameters included in the water quality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cond sensing device unit (50) satisfy the standard value, the turbidity control valve (300) can directly supply tap water to the user (90) through the water pipe between the user (90) where the water pressure detection sensor (70) and the flow rate control valve (80) are formed through the passage valve and passage pipe inside. In this case as well, a water leak detection sensor (60) can be formed at preset distances between the user (90) and the turbidity control valve (300).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ICT integrated monitoring water management system (1) for building a smart water city can implement a “healthy water supply system” that can be trusted and drunk by the user (90) through scientific water quantity/quality management and provision of tap water information by incorporating ICT technology in the entire process of supplying tap water from the water source (10) to the tap of the user (90) for building a smart water city. To this end, the ICT integrated monitoring water management system (1) for building a smart water city is a system that aims to comprehensively manage the grid-type water supply network formed in an urban downtown area and the water supply network formed in an urban outskirt area. It measures the flow rate and flow rate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lant (100) by a smart meter (30), a foreign substance rapid filtration device (110) formed in a water purification plant (100) within each managed block, measures water quality in the first sensor device unit (40) and the second sensor device unit (50), measures water leakage in a water leak detection sensor (60), detects water pressure by a water pressure detection sensor (70), and is installed in an optimal location through EPA Net-based water supply network analysis. In addition, it is equipped with a turbid water drainage valve (300), which is an automatic drainage device that automatically opens the valve when the water quality standard is exceeded in a section with reduced flow rate or a section with stagnant water at the end of the water supply network. Meanwhile, the connection node terminal (400) collects the initial flow rate and flow rat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mart meter (30), the water quality information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device unit (40) and the second sensor device unit (50), the immediately preceding flow rate and flow rate information (or water pressur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90) measured by the water pressure detection sensor (70), and the water leakag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water leakage detection sensor (60) throug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s all the collected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integrated control server (600) through the network (500), thereby enabling integrated management and monitoring to be performed on the central control monitoring system, which is the integrated control server (600). In addition, the manager mobile terminal (800) that can be configured as a tablet PC or smart phone, etc., accesses the integrated control server (600) through the network (500) and, through authentication, allows only managers who have been granted security to monitor the flow rate, flow rate, water pressure, water quality, water leakage, and water network status using the smart water application anytime, anywhere. Meanwhile, the integrated control server (600) transmits an alarm alert to the manager mobile terminal (800) via the network (500) when an abnormality in water quality occurs, such as turbidity, residual chlorine, pH, or foreign substances, as parameters of water quality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cond sensor device unit (50), so that the water pipes are cleaned with compressed air by the compressed air pipe cleaning module (310) at any time depending on whether there is an abnormal pipe as a quick response and preventive measure by automatically discharging the turbid water drain valve (300), and provides a technology that enables recovery of the water leak b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water leak through nitrogen injected from the compressed air pipe cleaning module (310) to the manager mobile terminal (800) via the network (500). In addition, the first sensor device unit (40) can also collect information on turbidity, residual chlorine, pH, or foreign substances as parameters of water quality information, similarly to the second sensor device unit (50). If the water pressur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ater pressure detection sensor (70) is below the preset water pressure standard, the connection node terminal (400) can take preventive measures by generating an alarm sound, and if the user (90) is a large user, it can predict water pressure fluctuations in adjacent houses and commercial buildings when supplying water, and in case of water pressure instability, it can warn of the occurrence of poor water discharge with an alarm, and can also transmit an alarm of poor water discharge to the manager mobile terminal (800) through the integrated control server (600) connected to the network (500). The water leak detection sensor (60) is formed between the turbidity valve (300) and the flow control valve (80), and can be formed between the water pressure detection sensor (70) and the water receiver (90). However, the optimal location is selected by prior analysis through the network modeling, and the location is installed at one per preset section (e.g., 5 to 10 km) of the water pipe. Thus, when a water leak occurs according to the water leak information, the connection node terminal (400) transmits the water leak abnormality information to the integrated control server (600) connected to the network (500), and the integrated control server (600) outputs the water leak location to the manager mobile terminal (800) through the network (500) using a preset color at the location of the water leak detection sensor (60) installed on the water pipe network diagram, thereby providing a function for determining the water leak loca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leak. In addition, the first sensor device unit (40) and the second sensor device unit (50) corresponding to the water quality measurement sensor can enable preventive measures to be taken in advance by generating a warning sound when the received water quality information is below a preset water quality standard, and can transmit an alarm for occurrence of poor water quality to the manager mobile terminal (800) through the integrated control server (600) connected to the network (500). Meanwhile, the turbid water drain valve (300), which corresponds to an automatic drain valve, is installed at the end of a pipe or in a stagnant water section, and automatically drains water at a desired time by one of an automatic timer function sensor or a connection node terminal (400), an integrated control server (600), and an administrator mobile terminal (800), and an alarm warning for abnormalities in foreign substances, turbidity, residual chlorine, and impurities is automatically discharged when abnormalities occur, thereby maintaining a smooth flow of water and clean water quality.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ap water stagnates for a long time, it prevents the residual chlorine from being diluted and falling short of the drinking water standard, which may be harmful to the human body, and can provide a function to prevent turbidity or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supplied to consumers in advanc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은 수질 관리와 맑은 물 공급을 위한 스마트 시티를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 취수장부터 수용가까지의 수질 관리에 관한 것으로 일정 구간의 상수도 관로의 관세척과 관 누수 탐지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지상 또는 격자 방식의 상수도 관로에서 일정 구간의 관로에 대하여 관세척을 하는 경우에도 탁도 생성 없이 맑음 물을 수용가에게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해 기체를 이용하여 관세척을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세척을 함과 동시에 해당 관로에 대하여 누수 탐사를 진행하여 사전에 관로의 누수를 탐지하여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The conventional technology configured as above is for building a smart city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and clean water supply, and relates to water quality management from a water intake facility to a user, and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it to flushing of a certain section of water supply pipeline and detection of pipe leaks.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ly clear water to a user without generating turbidity even when flushing a certain section of a water supply pipeline of a resinous or lattice type. In addition, 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lush using a harmless gas. In addition, 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a leak survey on the corresponding pipeline at the same time as flushing, so as to detect a leak in the pipeline in advance and respond to it.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 상수도 관로의 탁도 센서와 무해 기체를 이용한 관세척 및 누수 탐지 시스템은 수지상식 관망 또는 격자망식 관망과, 세척 및 누수 탐지가 필요한 세척 관로와, 멀티형 제어 차량부의 컨트롤러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제수변을 오픈하거나 크로스하는 해당 세척 관로의 시점측 제수변 모듈과, 멀티형 제어 차량부의 컨트롤러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제수변을 오픈하거나 크로스하는 해당 세척 관로의 종점측 제수변 모듈과, 해당 세척 관로의 시점측에서 100m 내지 300m 정도 떨어진 관로에 설치되고 주기적으로 센싱한 탁도 정보를 근무자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탁도 센서 1 내지 탁도 센서 n와, 제어 신호를 해당 세척관로의 시점측 제수변 모듈과 해당 세척 관로의 종점측 제수변 모듈로 전송하여 해당 세척 관로의 시점측 제수변과 종점측 제수변을 크로스하고 해당 세척 관로의 세척을 위하여 해당 세척 관로의 시점측 제수변을 2% 내지 25% 개방하도록 제어하면서 컴퓨레셔를 on하도록 제어하여 무해 기체를 생성하고 생성된 무해기체를 압력 탱크로 전송하도록 하며 가압된 무해기체를 압력 탱크에서 세척 관로 내부로 주입되도록 무해기체수 주입 밸브 모듈의 밸브를 개방하도록 제어하여 점검구를 통하여 무해 기체수를 해당 세척 관로로 주입하여 워트 슬러그가 생성되도록 하며, 근무자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관로 세척 중단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제어신호를 해당 세척 관로의 시점측 제수변 모듈, 무해기체수 주입 밸브 모듈 및 배출수 제어 차량 메인 제어부로 전송하고, 근무자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세척 지속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배출수 토출 관로에 설치되어 있는 탁도 센서로부터 탁도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탁도 정보가 0.5 NTU 내지 1.0 NTU 이하인 경우, 세척 완료 정보를 근무자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어 신호를 해당 세척 관로의 시점측 제수변 모듈, 무해기체수 주입 밸브 모듈 및 배출 제어 차량부의 메인 제어부로 전송하여 해당 세척 관로의 시점측 제수변 및 무해기체수 주입 밸브 크로스 하도록 제어하며, 근무자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관로 내부 상태 점검 완료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세척 관로의 시점측 및 종점측 제수변을 개방하도록 제어하여 정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컨트롤러부와, 컨트롤러부의 제어에 의하여 무해기체를 생성하고 생성된 무해기체를 연결관에 의하여 압력 탱크로 전송하는 컴퓨레셔와, 상기 컴퓨레셔와 연결관에 의하여 체결되고 컴퓨레셔로부터 무해기체를 전송받아서 무해기체를 가압하고 가압된 무해 기체수를 무해기체수 주입 밸브를 통하여 해당 세척 관로로 전송하도록 하는 압력탱크로 구성될 수 있는 멀티형 제어 차량부와, 멀티형 제어 차량부로부터 1차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2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배출수 토출 밸브 모듈 및 방류수 밸브 모듈로 전송하여 배출수 토출 밸브 및 방류수 밸브를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멀티형 제어 차량부로부터 2차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제2제어 신호를 배출수 토출 밸브 모듈 및 방류수 밸브 모듈로 전송하여 배출수 토출 밸브 및 방류수 밸브를 크로스하도록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와, 세척 구간 관로에 연결되는 배출수 토출 배관과 배출수 토출 배관에 구성되는 배출수 토출 밸브 모듈과, 배출수 토출 밸브를 통과한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척수 착수조와, 세척수 착수조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서 탈염을 하는 탈염수조와, 탈염된 세척수를 공급받아서 정화하는 세척수 정화수조와, 정화된 세척수를 안정화시키는 세척수 안정화 수조 및 안정화된 세척수를 하수구로 방류하는 방류관로에 연결된 방류수 밸브 모듈로 구성된 배출 제어 차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above-described purpose, comprises: a water pipe cleaning and leak detection system using a turbidity sensor and a harmless gas in a water pipe network or a grid-type pipe network; a cleaning pipe requiring cleaning and leak detection; a start-side sluice valve module of the corresponding cleaning pipe that opens or crosses the sluice valve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f a controller of a multi-type control vehicle unit; an end-side sluice valve module of the corresponding cleaning pipe that opens or crosses the sluice valve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f a controller of a multi-type control vehicle unit; turbidity sensors 1 to turbidity sensors n installed in a pipe about 100 to 300 m away from the start-side of the corresponding cleaning pipe and periodically transmitting sensed turbidity information to a worker's smart terminal;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start-side sluice valve module of the corresponding cleaning pipe and the end-side sluice valve module of the corresponding cleaning pipe to cross the start-side sluice valve and the end-side sluice valve of the corresponding cleaning pipe and to increase the start-side sluice valve of the corresponding cleaning pipe by 2% to increase the start-side sluice valve of the corresponding cleaning pipe in order to clean the corresponding cleaning pipe. The compressor is turned on while controlling to open by 25% to generate harmless gas and transfer the generated harmless gas to the pressure tank, and the valve of the harmless gas water injection valve module is opened so that the pressurized harmless gas is injected from the pressure tank into the washing pipe, and harmless gas water is injected into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 through the inspection port to generate wort slugs. When receiving pipe washing stop information from the worker's smart terminal, a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tarting-side sluice valve module of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 the harmless gas water injection valve module, and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discharge water control vehicle. When receiving washing continuation information from the worker's smart terminal, turbidity is received in real time from a turbidity sensor installed in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 pipe, and when the received turbidity information is 0.5 NTU to 1.0 NTU or less, washing comple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worker's smart terminal, and a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tarting-side sluice valve module of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 the harmless gas water injection valve module, and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discharge control vehicle to control the starting-side sluice valve and A multi-type control vehicle unit that can be composed of a controller unit that controls the harmless gas injection valve to cross, receives information on the completion of the internal condition inspection of the pipeline from a worker's smart terminal, and controls the water valves at the starting and ending points of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line to open to supply purified water, a compressor that generates harmless ga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unit and transmits the generated harmless gas to a pressure tank through a connecting pipe, and a pressure tank that is connected to the compressor through a connecting pipe and receives harmless gas from the compressor, pressurizes the harmless gas, and transmits the pressurized harmless gas water to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line through the harmless gas injection valve, and receives a first control signal from the multi-type control vehicle unit, generates a second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it to a discharge water discharge valve module and a discharge water valve module to control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 valve and the discharge water valve to open, and when a second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ulti-type control vehicle unit, transmits the second control signal to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 valve module and the discharge water valve module to open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 valve and the discharge water valve.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discharge control vehicle section including a main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the cross, a discharge water discharge pipe connected to a washing section pipe, a discharge water discharge valve module configured in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 pipe, a wash water inlet tank into which wash wate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 valve flows, a desalination tank for receiving wash water from the wash water inlet tank and desalinating it, a wash water purification tank for receiving the desalinated wash water and purifying it, a wash water stabilization tank for stabilizing the purified wash water, and a discharge valve module connected to a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stabilized wash water into a sew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상수도 관로의 탁도 센서와 무해 기체를 이용한 관세척 및 누수 탐지 방법은 세척 관로 구간 전단에 구성된 수용가에서 탁도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대처가 용이하여 민원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수변, 세척수 주입 밸브, 배출 밸브 및 방류수 밸브 상태를 근무자가 실시간 공유할 수 있어서 시설물 오작동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 관로에 대하여 관로 내시경 검사를 실시하여 관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method for detecting leaks and cleaning using a turbidity sensor and a harmless gas of a water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occurrence of complaints because it is easy to deal with even when turbidity occurs at a user located in the front section of a cleaning pip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reducing facility malfunctions because workers can share the status of a water valve, a cleaning water injection valve, a discharge valve, and a effluent valve in real tim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checking the status of a pipe by performing an endoscope inspection of the cleaning pipe.
도 1은 종래의 스마트 워터 시티 구축을 위한 ICT 통합 모니터링 물관리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수지상식 관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격자망식 관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상수도 관로의 탁도 센서와 무해 기체를 이용한 관세척 및 누수 탐지 시스템 전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멀티형 제어 차량부 상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출 제어 차량부에 상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멀티형 제어 차량부의 컨트롤러부 상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출 제어 차량부의 메인 제어부 상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 상수도 관로의 탁도 센서와 무해 기체를 이용한 관세척 및 누수 탐지 방법에 대한 제어 흐름도이다.Figure 1 is a diagram of the ICT integrated monitoring water management system configuration for building a conventional smart water city.
Figure 2 is a diagram of a resin-type pipe networ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3 is a diagram of a grid-type pipe networ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4 is a diagram of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water pipe cleaning and leak detection system using a turbidity sensor and a harmless gas of the water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multi-type control vehicle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ission control vehicl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ontroller section of the multi-type control vehicle sec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emission control vehicle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ontrol flow chart for a method of cleaning and detecting leaks using a turbidity sensor and a harmless gas in a water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 상수도 관로의 탁도 센서와 무해 기체를 이용한 관세척 및 누수 탐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관 세척 및 누수 탐지 시스템을 도 2 내지 도 9를 기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purpose, is a method for cleaning and detecting water leaks using a turbidity sensor and a harmless gas in a water pipe, and a system for cleaning and detecting water leaks using the same, and is explained as follows based on FIGS. 2 to 9.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수지상식 관망 구성도이다. 상기도 2에서 본 발명이 적용디는 수지상식 관망(1000)은 상수 관로가 정수의 공급부로부터 수용가 급수까지의 관로가 가지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지상식 관망에서 세척 관로 구간이 정하여 지면 그 전단 100m 내지 300m 이전 관로의 다수 포인트에 탁도 센서 1 내지 탁도 센서 n(10)을 설치하고 해당 관로의 세척 중에 세척 관로 이외의 구간에서 탁도 정보를 수집하여 실시간 모니터링하면서 해당 관로를 세척하도록 하는 것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pipe networ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the above-described FIG. 2, the pipe network (100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configured in a branched manner in which the water supply pipes from the purified water supply section to the water supply to the consumer are configured, and when a cleaning pipe section is determined in the pipe network, turbidity sensors 1 to n (10) are installed at multiple points of the pipe 100 m to 300 m before the cleaning pipe section, and turbidity information is collected from sections other than the cleaning pipe during cleaning of the pipe, and the pipe is cleaned while being monitored in real time.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격자망식 관망 구성도이다. 상기도 3에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격자망식 관망(1000)은 상수 관로가 정수의 공급부로부터 수용가 급수까지의 관로가 격자 방식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격자망식 관망에서 세척 관로 구간이 정하여 지면 세척 관로 시점 100m 내지 300m 이전 관로의 다수 포인트에 탁도 센서 1 내지 탁도 센서 n(10)을 설치하고 해당 관로의 세척 중에 세척 관로 이외의 구간에서 탁도 정보를 수집하여 실시간 모니터링하면서 해당 관로를 세척하도록 하는 것이다.FIG. 3 is a diagram of a grid-type pipe network configur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the above FIG. 3, the grid-type pipe network (100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configured in a grid-type manner as a water supply pipe from a purified water supply section to a water supply to a consumer, and in the grid-type pipe network, a cleaning pipe section is determined, and turbidity sensors 1 to n (10) are installed at multiple points in the pipe 100 m to 300 m before the ground cleaning pipe point, and turbidity information is collected from sections other than the cleaning pipe during cleaning of the pipe, and the pipe is cleaned while being monitored in real time.
도 4는 본 발명 상수도 관로의 탁도 센서와 무해 기체를 이용한 관세척 및 누수 탐지 시스템 전체 구성도이다. 상기도 4에서 본 발명 상수도 관로의 탁도 센서와 무해 기체를 이용한 관세척 및 누수 탐지 시스템은 수지상식 관망 또는 격자망식 관망(1000)과, 세척 및 누수 탐지가 필요한 세척 관로(20)와, 멀티형 제어 차량부의 컨트롤러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제수변을 오픈하거나 크로스하는 해당 세척 관로의 시점측 제수변 모듈(30)과, 멀티형 제어 차량부의 컨트롤러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제수변을 오픈하거나 크로스하는 해당 세척 관로의 종점측 제수변 모듈(40)과, 해당 세척 관로의 시점측에서 100m 내지 300m 정도 떨어진 관로에 설치되고 주기적으로 센싱한 탁도 정보를 근무자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탁도 센서 1 내지 탁도 센서 n(10)와, 해당 세척 관로의 시점측에 위치하는 점검구 및 종점측에 위치하는 점검구를 통하여 해당 세척 관로 내부로 진입하여 해당 세척 관로 내부의 세척 상태 및 누수 여부를 점검하는 내시경 장비(미도시)와, 제어 신호를 해당 세척관로의 시점측 제수변 모듈(30)과 해당 세척 관로의 종점측 제수변 모듈(40)로 전송하여 해당 세척 관로의 시점측 제수변과 종점측 제수변을 크로스하고 해당 세척 관로의 세척을 위하여 해당 세척 관로의 시점측 제수변을 2% 내지 25% 개방하도록 제어하면서 컴퓨레셔(71)를 on하도록 제어하여 무해 기체를 생성하고 생성된 무해기체를 압력 탱크(72)로 전송하도록 하며 가압된 무해기체를 압력 탱크에서 세척 관로 내부로 주입되도록 무해기체수 주입 밸브 모듈(73)의 밸브를 개방하도록 제어하여 점검구(22)를 통하여 무해 기체수를 해당 세척 관로(20)로 주입하여 워트 슬러그가 생성되도록 하며, 근무자 스마트 단말기(90)로부터 관로 세척 중단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제어신호를 해당 세척 관로의 시점측 제수변 모듈(30), 무해기체수 주입 밸브 모듈(73) 및 배출수 제어 차량 메인 제어부(85)로 전송하고, 근무자 스마트 단말기(90)로부터 세척 지속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배출수 토출 관로에 설치되어 있는 탁도 센서(15)로부터 탁도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탁도 정보가 0.5 NTU 내지 1.0 NTU 이하인 경우, 세척 완료 정보를 근무자 스마트 단말기(90)로 전송하고, 제어 신호를 해당 세척 관로의 시점측 제수변 모듈(30), 무해기체수 주입 밸브 모듈(73) 및 배출 제어 차량부의 메인 제어부(85)로 전송하여 해당 세척 관로의 시점측 제수변 및 무해기체수 주입 밸브 크로스 하도록 제어하며, 근무자 스마트 단말기(90)로부터 관로 내부 상태 점검 완료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세척 관로의 시점측 및 종점측 제수변을 개방하도록 제어하여 정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컨트롤러부(75)와, 컨트롤러부의 제어에 의하여 무해기체를 생성하고 생성된 무해기체를 연결관에 의하여 압력 탱크로 전송하는 컴퓨레셔(71)와, 상기 컴퓨레셔와 연결관에 의하여 체결되고 컴퓨레셔로부터 무해기체를 전송받아서 무해기체를 가압하고 가압된 무해 기체수를 무해기체수 주입 밸브를 통하여 해당 세척 관로로 전송하도록 하는 압력탱크(72)로 구성될 수 있는 멀티형 제어 차량부(70)와, 멀티형 제어 차량부로부터 1차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1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배출수 토출 밸브 모듈(81) 및 방류수 밸브 모듈(82)로 전송하여 배출수 토출 밸브 및 방류수 밸브를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멀티형 제어 차량부로부터 2차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제2제어 신호를 배출수 토출 밸브 모듈(81) 및 방류수 밸브 모듈(82)로 전송하여 배출수 토출 밸브 및 방류수 밸브를 크로스하도록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85)와, 세척 구간 관로에 연결되는 배출수 토출 배관과 배출수 토출 배관에 구성되는 배출수 토출 밸브 모듈(81)과, 배출수 토출 밸브를 통과한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척수 착수조(86)와, 세척수 착수조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서 탈염을 하는 탈염수조(87)와, 탈염된 세척수를 공급받아서 정화하는 세척수 정화수조(88)와, 정화된 세척수를 안정화시키는 세척수 안정화 수조(89) 및 안정화된 세척수를 하수구로 방류하는 방류관로에 연결된 방류수 밸브 모듈(82)로 구성된 배출 제어 차량부(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멀트형 제어 차량부(70)의 컨트롤러부(75)는 차량의 블랙박스 모듈(70-1)과 연동할 수 있는 것으로 컨트롤러부(75)는 상기 해당 세척 관로의 시점측 제수변 모듈(30), 해당 세척 관로의 종점측 제수변 모듈(40), 무해기체수 주입 밸브 모듈(73)로부터 on, off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차량 블랙박스 모듈(70-1)로 전송하여 상기 블랙박스 모듈에 기저장된 해당 세척 관로의 관로 상태 정보와 매핑하여 표시부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배출 제어 차량부(80)로 배출수 토출 밸브 모듈(81) 방류수 밸브 모듈(82)로부터 밸브 on, off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차량의 블랙박스 모듈(80-1)로 전송하여 상기 블랙박스 모듈에 기저장된 세척 관로 상태 정보에 매핑하여 표시부로 하여금 제공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근무자 스마트 단말기는 관로 세척 앱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해당 관망 정보, 해당 관망에서의 세척 관로 정보, 제수변, 해당 세척 관로에 연결되어 잇는 장치구, 점검구, 청소구, 해당 관망에 연결되어 있는 수도 계량기, 수도 미터기, 유량계, 탁도 센서 정보, 밸브 on, off 정보 등에 관한 GIS 관련 정보를 이미지 정보로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GIS 관련 정보에 해당 관로 세척 중에 새롭게 생성되는 밸브의 on, off 정보, 해당 관망의 탁도 정보가 이미지 GIS 정보에 매핑 업데이트 되어 표시부로 제공할 수 있고 해당 멀티형 제어 차량부와 배출 제어 차량부의 블랙박스 모듈에도 해당 세척 관로의 GIS 정보를 이미지 형태로 저장하고 업데이트 되는 변경 정보를 기존 GIS 정보에 매핑하여 블랙박스의 표시부를 통하여 이미지 정보 형태로 제공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근무자 스마트 단말기는 다수일수 있으며 이 경우 컨트롤러부는 다수의 근무자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수신된 정보 모두가 일치하는 경우 제어 신호를 하부 장치로 전송하게 할 수도 있고 모든 근무자의 일정 비율 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하부 장치로 전송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근무자가 5명인 경우 5명이 모두 세척 중지 정보를 컨트롤러부로 전송하는 경우 컨트롤러부가 제어 신호를 생성하게 하거나 5명중에서 3명이 세척 중지 정보를 컨트롤러로 전송하면 컨트롤러부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시점측 제수변 모듈, 무해 기체수 주입 밸브, 배출 제어 차량부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하부 장치를 밸브류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n은 자연수임.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water pipe cleaning and leak detection system using a turbidity sensor and a harmless gas in a water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 drawing 4, the present invention's water pipe turbidity sensor and harmless gas-based pipe cleaning and water leak detection system comprises a water pipe network or a grid-type pipe network (1000), a cleaning pipe (20) requiring cleaning and water leak detection, a water valve module (30) at the starting point of the corresponding cleaning pipe that opens or crosses the water valve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f a controller of a multi-type control vehicle unit, a water valve module (40) at the end point of the corresponding cleaning pipe that opens or crosses the water valve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f a controller of a multi-type control vehicle unit, turbidity sensors 1 to turbidity sensors n (10) installed in a pipe about 100 to 300 m away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corresponding cleaning pipe and periodically transmitting sensed turbidity information to a worker's smart terminal, and an endoscope that enters the corresponding cleaning pipe through an inspection port located at the starting point of the corresponding cleaning pipe and an inspection port located at the end point of the corresponding cleaning pipe to check the cleaning status and water leak inside the corresponding cleaning pipe. The equipment (not shown) and the control signal are transmitted to the starting-side sluice valve module (30) of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 and the end-side sluice valve module (40) of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 so that the starting-side sluice valve and the end-side sluice valve of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 are crossed and the starting-side sluice valve of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 is controlled to open 2% to 25% for washing of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 thereby controlling the compressor (71) to turn on so as to generate harmless gas and transmit the generated harmless gas to the pressure tank (72), and the valve of the harmless gas water injection valve module (73) is controlled to open so that the pressurized harmless gas is injected into the washing pipe from the pressure tank, thereby injecting harmless gas water into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 (20) through the inspection port (22) so that wort slugs are generated, and when the pipe washing stop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worker smart terminal (90),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tarting-side sluice valve module (30) of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 the harmless gas water injection valve module (73), and When transmitting to the main control unit (85) of the discharge control vehicle and receiving washing continuation information from the worker smart terminal (90), turbidity is received in real time from the turbidity sensor (15) installed in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 pipe, and when the received turbidity information is 0.5 NTU to 1.0 NTU or less, washing comple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worker smart terminal (90), and a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tarting-side sluice valve module (30) of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 the harmless gas injection valve module (73), and the main control unit (85) of the discharge control vehicle to control the starting-side sluice valve and the harmless gas injection valve of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 to cross, and receiving information on completion of inspection of the internal condition of the pipe from the worker smart terminal (90) and controlling the starting-side and ending sluice valves of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 to open to supply purified water, and a compressor (71) that generates harmless ga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unit and transmits the generated harmless gas to a pressure tank through a connecting pipe, and the A multi-type control vehicle unit (70) that can be configured with a pressure tank (72) that is connected to a compressor and a connecting pipe and receives harmless gas from the compressor, pressurizes the harmless gas, and transmits the pressurized harmless gas water to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 through a harmless gas water injection valve, and a main control unit (85) that receives a first control signal from the multi-type control vehicle unit, generates a first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 valve module (81) and the effluent valve module (82) to control the opening of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 valve and the effluent valve, and transmits a second control signal to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 valve module (81) and the effluent valve module (82) when receiving a second control signal from the multi-type control vehicle unit to control the crossing of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 valve and the effluent valve, a discharge water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washing section pipe, and a discharge water discharge valve module (81) configured in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 pipe, and a washing water flowing in through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 valve.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discharge control vehicle section (80) comprising a starting tank (86), a desalination tank (87) that receives wash water from the starting tank and desalinates it, a wash water purification tank (88) that receives the desalinated wash water and purifies it, a wash water stabilization tank (89) that stabilizes the purified wash water, and a discharge valve module (82) connected to a discharge pipe that discharges the stabilized wash water into a sewer. In addition, the controller unit (75) of the multi-type control vehicle unit (70) can be linked with the black box module (70-1) of the vehicle, and the controller unit (75) receives on and off status information from the starting-side diaphragm module (30) of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 the ending-side diaphragm module (40) of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 and the harmless gas injection valve module (73), transmits it to the vehicle black box module (70-1), and maps it with the pipe status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 pre-stored in the black box module, and provides it to the display unit. In addition, the exhaust control vehicle unit (80) can receive valve on and off status information from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 valve module (81) and the effluent valve module (82), transmit it to the black box module (80-1)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and map it with the washing pipe status information pre-stored in the black box module, and provide it to the display unit. In addition, the above worker smart terminal has the pipe cleaning app installed, and can store GIS-related information such as the corresponding pipe network information, the cleaning pipe information in the corresponding pipe network, the sluice valve, the equipment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leaning pipe, the inspection port, the cleaning port, the water meter, the water meter, the flow meter, the turbidity sensor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pipe network, the valve on, off information, etc. as image information, and the above GIS-related information, the valve on, off information newly created during the pipe cleaning, and the turbidity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ipe network can be mapped and updated to the image GIS information and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GIS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leaning pipe can be stored in the form of an image in the black box module of the multi-type control vehicle unit and the emission control vehicle unit, and the updated change information can be mapped to the existing GIS information and provided in the form of image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black box. In addition, the above worker smart terminals may be plural, and in this case, the controller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lower device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worker smart terminals if all of the received information matches, or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lower device to enable control only when a certain percentage or more of all workers are present. For example, if there are 5 workers, and all 5 people transmit washing stop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the controller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or if 3 out of 5 people transmit washing stop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the controller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time-side water purification module, the harmless gas injection valve, and the emission control vehicle. In the above, the lower device may include valves, etc. In the above, n is a natural number.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멀티형 제어 차량부 상세 구성도이다. 상기도 5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멀티형 제어 차량부(70)는 컴퓨레셔(71)를 on하도록 제어하여 무해 기체를 생성하고 생성된 무해기체를 압력 탱크(72)로 전송하도록 하며 가압된 무해기체를 압력 탱크에서 세척 관로 내부로 주입되도록 무해기체수 주입 밸브 모듈(73)의 밸브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며, 근무자 스마트 단말기(90)로부터 관로 세척 중단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제어신호를 해당 세척 관로의 시점측 제수변 모듈(30), 무해기체수 주입 밸브 모듈(73) 및 배출수 제어 차량부 메인 제어부(85)로 전송하고, 근무자 스마트 단말기(90)로부터 세척 지속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배출수 토출 관로에 설치되어 있는 탁도 센서(15)로부터 탁도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탁도 정보가 0.5 NTU 내지 1.0 NTU 이하인 경우, 세척 완료 정보를 근무자 스마트 단말기(90)로 전송하고, 제어 신호를 해당 세척 관로의 시점측 제수변 모듈(30), 무해기체수 주입 밸브 모듈(73) 및 배출 제어 차량부 메인 제어부(85)로 전송하여 해당 세척 관로의 시점측 제수변 및 무해기체수 주입 밸브 크로스 하도록 제어하며, 근무자 스마트 단말기(90)로부터 관로 내부 상태 점검 완료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세척 관로의 시점측 및 종점측 제수변을 개방하도록 제어하여 정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컨트롤러부(75)와, 컨트롤러부(75)의 제어에 의하여 무해기체를 생성하고 생성된 무해기체를 연결관에 의하여 압력 탱크로 전송하는 컴퓨레셔(71)와, 상기 컴퓨레셔와 연결관에 의하여 체결되고 컴퓨레셔로부터 무해기체를 전송받아서 무해기체를 가압하고 가압된 무해 기체수를 무해기체수 주입 밸브(73)를 통하여 해당 세척 관로로 전송하도록 하는 압력탱크(72)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컴퓨레셔(71)와 압력 탱크(72)의 연결관에서 조절 밸브가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Figure 5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multi-type control vehicle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 drawing 5, the multi-type control vehicle unit (7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compressor (71) to be turned on to generate harmless gas and transmit the generated harmless gas to the pressure tank (72), and controls the valve of the harmless gas water injection valve module (73) to be opened so that the pressurized harmless gas is injected from the pressure tank into the washing pipe, and when receiving pipe washing stop information from the worker smart terminal (9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starting-side sluice valve module (30), the harmless gas water injection valve module (73), and the main control unit (85) of the discharge water control vehicle unit of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 and when receiving washing continuation information from the worker smart terminal (90), receives turbidity in real time from the turbidity sensor (15) installed in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 pipe, and when the received turbidity information is 0.5 NTU to 1.0 NTU or less, transmits washing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worker smart terminal (90),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starting-side sluice valve of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 It can be composed of a controller unit (75) that controls the starting point side sluice valve and the end point side sluice valve of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 to cross by transmitting to the module (30), the harmless gas water injection valve module (73) and the main control unit (85) of the emission control vehicle, and receives information on the completion of the inspection of the internal status of the pipe from the worker smart terminal (90) and controls the starting point side and the end point side sluice valve of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 to open to supply purified water, a compressor (71) that generates harmless ga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unit (75) and transmits the generated harmless gas to a pressure tank via a connecting pipe, and a pressure tank (72) that is connected to the compressor via a connecting pipe and receives harmless gas from the compressor, pressurizes the harmless gas, and transmits the pressurized harmless gas water to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 via the harmless gas water injection valve (73). A control valve can be configured in the connecting pipe of the above compressor (71) and the pressure tank (72).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출 제어 차량부 상세 구성도이다. 상기도 6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출 제어 차량부는 멀티형 제어 차량부(7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2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배출수 토출 밸브 모듈(81) 및 방류수 밸브 모듈(82)로 전송하여 배출수 토출 밸브 및 방류수 밸브를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멀티형 제어 차량부(7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제2제어 신호를 배출수 토출 밸브 모듈(81) 및 방류수 밸브 모듈(82)로 전송하여 배출수 토출 밸브 및 방류수 밸브를 크로스하도록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85)와, 세척 구간 관로에 연결되는 배출수 토출 배관과 배출수 토출 배관에 구성되는 배출수 토출 밸브 모듈(81)과, 배출수 토출 밸브를 통과한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척수 착수조(86)와, 세척수 착수조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서 탈염을 하는 탈염수조(87)와 탈염된 세척수를 공급받아서 정화하는 세척수 정화수조(88)와, 정화된 세척수를 안정화시키는 세척수 안정화 수조(89) 및 안정화된 세척수를 하수구로 방류하는 방류관로에 연결된 방류수 밸브 모듈(82)로 구성된 것임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Figure 6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ission control vehicl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 drawing 6, the emission control vehicle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multi-type control vehicle unit (70) and generates a second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 valve module (81) and the effluent valve module (82) to control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 valve and the effluent valve to open, and when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multi-type control vehicle unit (70), transmits the second control signal to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 valve module (81) and the effluent valve module (82) to control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 valve and the effluent valve to cross, a main control unit (85), an effluent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washing section pipe, and an effluent discharge valve module (81) configured in the effluent discharge pipe, a washing water inlet tank (86) into which wash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effluent discharge valve flows, a desalination tank (87) for receiving washing water from the washing water inlet tank and desalinating it, a washing water purification tank (88) for receiving and purifying the desalinated washing water, and a washing water stabilization tank for stabilizing the purified washing water. It shows that it consists of a water tank (89) and a discharge valve module (82) connected to a discharge pipe that discharges stabilized wash water into a sewer.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멀티형 제어 차량부의 컨트롤러부 상세 구성도이다. 상기도 7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멀티형 제어 차량부의 컨트롤러부는 컴퓨레셔(71)를 on하도록 제어하여 무해 기체를 생성하고 생성된 무해기체를 압력 탱크(72)로 전송하도록 하며 가압된 무해기체를 압력 탱크에서 세척 관로 내부로 주입되도록 무해기체수 주입 밸브 모듈(73)의 밸브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며, 근무자 스마트 단말기(90)로부터 관로 세척 중단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제어신호를 해당 세척 관로의 시점측 제수변 모듈(30), 무해기체수 주입 밸브 모듈(73) 및 배출수 제어 차량부 메인 제어부(85)로 전송하고, 근무자 스마트 단말기(90)로부터 세척 지속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배출수 토출 관로에 설치되어 있는 탁도 센서(15)로부터 탁도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탁도 정보가 0.5 NTU 내지 1.0 NTU 이하인 경우, 세척 완료 정보를 근무자 스마트 단말기(90)로 전송하고, 제어 신호를 해당 세척 관로의 시점측 제수변 모듈(30), 무해기체수 주입 밸브 모듈(73) 및 배출 제어 차량부 메인 제어부(85)로 전송하여 해당 세척 관로의 시점측 제수변 및 무해기체수 주입 밸브 크로스 하도록 제어하며, 근무자 스마트 단말기(90)로부터 관로 내부 상태 점검 완료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세척 관로의 시점측 및 종점측 제수변을 개방하도록 제어하여 정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Figure 7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ontroller section of the multi-type control vehicle sec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 drawing 7, the controller of the multi-type control vehicle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compressor (71) to be turned on to generate harmless gas and transmit the generated harmless gas to the pressure tank (72), and controls the valve of the harmless gas water injection valve module (73) to be opened so that the pressurized harmless gas is injected from the pressure tank into the washing pipe, and when receiving pipe washing stop information from the worker smart terminal (9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starting-side sluice valve module (30) of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 the harmless gas water injection valve module (73), and the main control unit (85) of the discharge water control vehicle unit, and when receiving washing continuation information from the worker smart terminal (90), receives turbidity in real time from the turbidity sensor (15) installed in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 pipe, and when the received turbidity information is 0.5 NTU to 1.0 NTU or less, transmits washing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worker smart terminal (90),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starting-side sluice valve module (30) of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 The harmless gas injection valve module (73) and the main control unit (85) of the emission control vehicle are transmitted to control the starting point side sluice valve and harmless gas injection valve of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 to cross, and information on completion of the inspection of the internal condition of the pipe is received from the worker smart terminal (90) and the starting point side and end point side sluice valve of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 are controlled to open to supply purified water.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출 제어 차량부의 메인 제어부 상세 구성도이다. 상기도 8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출 제어 차량부의 메인 제어부는 멀티형 제어 차량부(70)로부터 1차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2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배출수 토출 밸브 모듈(81) 및 방류수 밸브 모듈(82)로 전송하여 배출수 토출 밸브 및 방류수 밸브를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멀티형 제어 차량부로부터 2차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제2제어 신호를 배출수 토출 밸브 모듈 및 방류수 밸브 모듈로 전송하여 배출수 토출 밸브 및 방류수 밸브를 크로스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임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FIG. 8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emission control vehicle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 FIG. 8,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emission control vehicle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first control signal from the multi-type control vehicle unit (70), generates a second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 valve module (81) and the effluent valve module (82) to control the opening of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 valve and the effluent valve, and when receiving a second control signal from the multi-type control vehicle unit, transmits the second control signal to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 valve module and the effluent valve module to control the crossing of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 valve and the effluent valve.
도 9는 본 발명 상수도 관로의 탁도 센서와 무해 기체를 이용한 관세척 및 누수 탐지 방법에 대한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도 9에서 본 발명 상수도 관로의 탁도 센서와 무해 기체를 이용한 관세척 및 누수 탐지 방법은 세척 관로의 시점측 제수변 모듈, 종점측 제수변 모듈, 무해기체수 주입 밸브 모듈, 배출수 토출 밸브 모듈 및 방류수 밸브 모듈, 멀티형 제어 차량부의 컨트롤러부 및 배출 제어 차량부의 메인 제어부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멀티형 제어 차량부 컨트롤러부, 배출 제어 차량부 의 메인 제어부 및 근무자 스마트 단말기에 공유하여 등록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S11)와, 관망해석 정보 검토, 지역, 지형 검토, 인적 및 세척 장비, 내시경 장비 등 세척과 누수 탐지에 필요한 장비를 검토 준비하는 단계(S12)와, 세척 관로 구간에 연결된 수용가의 수도 계량기 및 수도 미터기를 세척 구간 본관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S13)와, 세척 관로 구간 시점측으로부터 100m 내지 300m 이전 위치에 온라인 탁도 센서 1 내지 온라인 탁도 센서 n을 설치하는 단계(S14)와, 세척 관로 구간의 시점측에 있는 장치구 또는 점검구 또는 청소구 위치에 멀티형 제어 차량부를 연결 설치하는 단계(S15)와, 세척 관로 구간의 종점측에 있는 장치구 또는 점검구 또는 청소구 위치에 배출 제어 차량부를 설치하는 단계(S16)와, 세척 관로 시점측 및 세척 관로 종점측에 설치되어 있는 장치구 또는 점검구 또는 청소구를 통하여 관 내시경 장비를 세척 관로 내측으로 삽입하여 관로 내부 상태 및 수압 등을 조사하여 누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7)와, 누수가 없는 경우에, 세척 관로 구간의 시점측 제수변과 종점측 제수변을 차단하는 단계(S18)와, 세척 관로 시점측 제수변을 2% 내지 25% 개방하고 세척 관로 시점 측에 설치되어 있는 장치구 또는 점검구 또는 청소구를 통하여 멀티형 제어 차량부에 설치된 에어 공급 수단을 이용하여 75% 내지 82% 농도의 무해기체가 포함된 무해기체수를 무해기체 주입 밸브를 개방하고 점검구를 통하여 세척 관로 내부로 주입하여 맥동류 형태의 워터 슬러그(water slug)를 생성하도록 하는 단계(S19)와, 상기 워터 슬러그가 해당 세척 관로를 흐르면서 해당 세척 관로를 세척하는 단계(S20)와, 해당 세척 관로 종점측 제수변 전단에 설치되어 있는 배출수 토출 관로와 배출수 토출 관로에 구성된 배출수 토출 밸브를 개방하여 배출수를 배출수 제어 차량의 탈염 정화수단으로 전송하여 이곳에서 배출수를 탈염 정화하고, 상기 탈염 정화 수단에 세척수 방류 관로에 구성된 방류수 밸브를 개방하여 세척수를 하수구로 배출하면서 관로 세척을 하는 단계(S21)와, 세척 관로 시점측 이전 구간에 설치되어 있는 온라인 탁도 센서 1 내지 온라인 탁도 센서 n이 센싱한 탁도 정보 1 내지 탁도 정보 n을 등록 저장된 근무자 스마트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하여 제공하는 단계(S22)와, 근무자 스마트 단말기가 수신된 탁도 정보 1 내지 n을 기초로 관로 세척 중단 여부를 판단하고 세척 중단 또는 세척 지속 정보를 멀티형 제어 차량부의 컨트롤러부로 전송하는 단계(S23)와, 컨트롤러부가 세척 중단 정보를 수신한 경우, 컨트롤러부가 제어신호를 해당 세척 관로의 시점측 제수변 모듈, 멀티형 제어 차량의 무해기체수 관로 주입 밸브 모듈 및 배출수 제어 차량 메인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S24)와, 해당 세척 관로의 시점측 제수변 모듈이 시점측 제수변을 크로스하고 해당 무해기체수 관로 주입 밸브 모듈이 무해기체수 관로 주입 밸브를 크로스 하며, 배출수 제어 차량 메인 제어부가 제어 신호를 배출수 토출 밸브 모듈 및 방류수 밸브 모듈로 전송하여 배출수 토출 밸브와 방류수 밸브를 크로스 하여 해당 세척 관로의 세척을 중지하는 단계(S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S23 단계에서 컨트롤러부가 세척 지속 정보를 수신한 경우, 멀티형 제어 차량부의 컨트롤러부가 해당 세척 관로의 종점측 제수변 전단에 설치되어 있는 배출수 토출 관로에 구성된 배출수 탁도 센서로부터 탁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S26)와, 멀티형 제어 차량부의 컨트롤러부가 상기 배출수 탁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탁도 정보가 0.5 NTU 내지 1.0 NTU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7)와, 0.5 NTU 내지 1.0 NTU 이하인 경우, 컨트롤러부는 세척 완료 정보를 근무자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어 신호를 세척 관로 시점측 제수변 모듈, 무해기체수 주입 밸브 모듈 및 배출 제어 차량부 메인 제어부로 전송하여 세척 관로 시점 측 제수변, 무해기체수 주입 밸브를 크로스하고 배출 제어 차량부 메인 제어부가 배출수 토출 밸브 및 방류수 밸브를 크로스 하도록 하는 단계(S28)와, 근무자가 관로 시점측 및 관로 종점측에 설치되어 있는 장치구 또는 점검구 또는 청소구를 통하여 관 내시경 장비를 해당 세척 관로 내측으로 삽입하여 관로 내부 크린 상태 및 누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9)와, 이상이 없는 경우, 근무자 스마트 단말기가 근무자가 입력한 관로 내부 상태 점검 완료 정보를 멀티형 제어 차량부의 컨트롤러부 및 배출 제어 차량부의 메인 제어부로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S30)와, 상기 컨트롤러부가 제어 신호를 해당 세척 관로의 시점측 제수변 모듈 및 종점측 제수변 모듈로 전송하여 시점측 및 종점측 제수변을 개방하도록 하여 정수를 공급하는 단계(S31)와, 해당 세척 관로 구간에서 분리된 수용가의 수도 계량기 및 수도 미터기를 세척 관로 구간 본관으로 복귀하여 정수를 공급하는 단계(S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배출 제어 차량부에 부착된 탈염 정화 수단에서 탈영 수조는 탈염제를 오염된 세척수에 주입하여 탈염후 정화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S27 단계에서 배출수 탁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탁도 정보가 1.0 NTU 초과하는 경우 상기 S19 내지 S27 단계를 유지 시행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S29 단계에서 세척 관로 내부의 크린 상태가 불량한 경우에는 근무자 스마트 단말기로 세척관로의 크린 불량 정보를 전송하여 제공하고 상기 S19 단계부터 상기 S29 단계를 유지 시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Figure 9 is a control flow chart for a method of cleaning and detecting water leaks using a turbidity sensor and a harmless gas in a water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 drawing 9, the method for detecting water leaks and cleaning using a turbidity sensor and a harmless gas in a water supply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step (S11) of sharing uniqu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 starting-side sluice valve module of a cleaning pipe, an ending-side sluice valve module, a harmless gas injection valve module, an effluent discharge valve module and an effluent valve module, a controller unit of a multi-type control vehicle unit, and a main control unit of an emission control vehicle unit with the controller unit of the multi-type control vehicle unit,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emission control vehicle unit, and a worker's smart terminal to register and store them; a step (S12) of reviewing and preparing equipment necessary for cleaning and leak detection, such as a review of network analysis information, a review of a region, a review of terrain, personnel and cleaning equipment, and an endoscopic equipment; a step (S13) of separating a water meter and a water meter of a consumer connected to a cleaning pipe section from the main pipe of the cleaning section; a step (S14) of installing an online turbidity sensor 1 to an online turbidity sensor n at a location 100 m to 300 m before the starting side of the cleaning pipe section; and a step (S15) of installing an online turbidity sensor 1 to an online turbidity sensor n at a location 100 m to 300 m before the starting side of the cleaning pipe section. A step (S15) of connecting and installing a multi-type control vehicle unit to a device port, inspection port or cleaning port position on the starting side of a section, a step (S16) of installing an emission control vehicle unit to a device port, inspection port or cleaning port position on the end side of a washing pipe section, a step (S17) of inserting a pipe endoscope into the washing pipe through the device port, inspection port or cleaning port installed on the starting side of the washing pipe and the end side of the washing pipe to examine the internal condition and water pressure of the pipe to check for leakage, and a step (S18) of blocking the starting-side sluice valve and the end-side sluice valve of the washing pipe section in the case that there is no leakage, and opening the starting-side sluice valve of the washing pipe by 2% to 25% and using the air supply means installed on the multi-type control vehicle unit through the device port, inspection port or cleaning port installed on the starting side of the washing pipe, opening the harmless gas injection valve and injecting harmless gas water containing harmless gas at a concentration of 75% to 82% into the washing pipe through the inspection port to form a pulsating water flow. A step (S19) for generating a water slug, a step (S20) for washing the washing pipe while the water slug flows through the washing pipe, a step (S21) for opening a discharge water discharge pipe installed in front of a sluice valve at the end of the washing pipe and a discharge water discharge valve configured in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 pipe to send the discharge water to a desalination purification means of a discharge water control vehicle to desalination and purify the discharge water there, and a step (S21) for washing the pipe while discharging the wash water into a sewer by opening a discharge water valve configured in a wash water discharge pipe of the desalination purification means, a step (S22) for transmitting in real time to a registered and stored worker smart terminal turbidity information 1 to turbidity information n sensed by online turbidity sensors 1 to online turbidity sensors n installed in a section before the start of the washing pipe, and a step (S22) for determining whether to stop washing the pipe based on the received turbidity information 1 to n and transmitting washing stop or washing continuation information to a controller of a multi-type control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step (S23) of transmitting, and a step (S24) in which, when the controller unit receives washing stop information, the controller unit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starting-side sluice valve module of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 the harmless gas water pipe injection valve module of the multi-type control vehicle, and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discharge water control vehicle, and a step (S25) in which the starting-side sluice valve module of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 crosses the starting-side sluice valve, the harmless gas water pipe injection valve module crosses the harmless gas water pipe injection valve, and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discharge water control vehicle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 valve module and the effluent valve module to cross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 valve and the effluent valve to stop washing of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controller unit receives the washing continuation information in the step S23, the controller unit of the multi-type control vehicle unit receives turbidity information in real time from the discharge water turbidity sensor configured in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 pipe installed in front of the sluice valve on the end side of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 (S26), the controller unit of the multi-type control vehicle unit determines whether the turbid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ischarge water turbidity sensor is 0.5 NTU to 1.0 NTU or less (S27), and if it is 0.5 NTU to 1.0 NTU or less, the controller unit transmits the washing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worker's smart terminal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washing pipe starting-side sluice valve module, the harmless gas injection valve module, and the discharge control vehicle unit main control unit to cross the washing pipe starting-side sluice valve, the harmless gas injection valve, and the discharge control vehicle unit main control unit to cross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 valve and the discharge valve, and the worker controls the equipment port, inspection port, or cleaning port installed on the pipe starting side and the pipe end sid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steps of: a step (S29) of inserting an endoscope into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 to check the cleanliness and leakage inside the pipe; a step (S30) of causing the worker's smart terminal to transmit the pipe internal condition insp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entered by the worker to the controller of the multi-type control vehicle unit and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discharge control vehicle unit; a step (S31) of the controller unit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starting-side sluice valve module and the ending-side sluice valve module of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 to open the starting-side and ending-side sluice valves to supply purified water; and a step (S32) of returning the water meter and the water meter of the user separated from the corresponding washing pipe section to the main pipe of the washing pipe section to supply purified water. In the desalination purification means attached to the discharge control vehicle section above, the desalination tank can inject a desalinating agent into the contaminated washing water to desalinate and then purify it. In addition, if the turbid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ischarge water turbidity sensor in step S27 exceeds 1.0 NTU, steps S19 to S27 can be maintained and performed. In addition, if the cleanliness condition inside the washing pipe is poor in step S29, information on the poor cleanliness of the washing pipe can be transmitted and provided to the worker's smart terminal, and steps S19 to S29 can be maintained and performed.
10 : 다수의 탁도 센서, 20 : 세척 관로,
30 : 세척 관로의 시점측 제수변 모듈, 40 ; 세척 관로의 종점측 제수변 모듈,
70 : 멀티형 제어 차량부, 60 : 배출 제어 차량부,
90 : 근무자 스마트 단말기10: Multiple turbidity sensors, 20: Washing pipes,
30: Starting point side sluice valve module of the washing pipe, 40; End point side sluice valve module of the washing pipe,
70: Multi-type control vehicle section, 60: Emission control vehicle section,
90: Worker Smart Terminal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074657AKR102699239B1 (en) | 2023-06-12 | 2023-06-12 | Pipe Cleaning and Leakage Detection System by Using Turbidity Sensor and harmless Air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074657AKR102699239B1 (en) | 2023-06-12 | 2023-06-12 | Pipe Cleaning and Leakage Detection System by Using Turbidity Sensor and harmless Air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699239B1true KR102699239B1 (en) | 2024-08-27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30074657AActiveKR102699239B1 (en) | 2023-06-12 | 2023-06-12 | Pipe Cleaning and Leakage Detection System by Using Turbidity Sensor and harmless Air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699239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101625B1 (en)* | 2019-11-27 | 2020-04-17 | (주)케이엠에스 | ICT integrated monitoring water management system for smart water city construction, and integrated control server for the same |
| KR102233834B1 (en)* | 2020-08-26 | 2021-03-30 | 주식회사 셈즈 | Pipeline cleaning apparatus and red water reduc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
| KR20230010941A (en)* | 2021-07-13 | 2023-01-20 | 주식회사 대현이엔씨 | Water Pipe Cleaning Device Equipped with CCTV and Clean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20230013698A (en)* | 2021-07-19 | 2023-01-27 |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 Drainage Control Method of Pipe Cleaning by Using Ice and System thereof |
| KR102494191B1 (en)* | 2022-09-14 | 2023-02-06 | 주식회사 대현이엔씨 | Water Pipe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Method using the sam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101625B1 (en)* | 2019-11-27 | 2020-04-17 | (주)케이엠에스 | ICT integrated monitoring water management system for smart water city construction, and integrated control server for the same |
| KR102233834B1 (en)* | 2020-08-26 | 2021-03-30 | 주식회사 셈즈 | Pipeline cleaning apparatus and red water reduc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
| KR20230010941A (en)* | 2021-07-13 | 2023-01-20 | 주식회사 대현이엔씨 | Water Pipe Cleaning Device Equipped with CCTV and Clean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20230013698A (en)* | 2021-07-19 | 2023-01-27 |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 Drainage Control Method of Pipe Cleaning by Using Ice and System thereof |
| KR102494191B1 (en)* | 2022-09-14 | 2023-02-06 | 주식회사 대현이엔씨 | Water Pipe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Method using the same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101625B1 (en) | ICT integrated monitoring water management system for smart water city construction, and integrated control server for the same | |
| JP3451959B2 (en) | Tap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 |
| US7553412B2 (en) | Method for continuous on-site monitoring and treatment of water | |
| KR102313700B1 (en) | Water supply network automatic drain valve system based on ICT monitoring | |
| KR102210644B1 (en) | Smart Automatic Drainage System for Water Distribution Network | |
| KR101146207B1 (en) | Waterworks compa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 |
| KR101565879B1 (en) | Management System for Non-point Pollutants Reducing Apparatus on Internet of Things | |
| CN108803392A (en) | A kind of sponge urban rainwater collection with utilize wisdom system | |
| KR20220011545A (en) | Water and sewage monitoring system | |
| KR101847184B1 (en) | Water Quality Telemetering System | |
| KR20180105187A (en) | Control method of vacuum sewer system for building or marine vessel | |
| KR102284935B1 (en) | ICT-based waterworks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that enables sample water recycling | |
| US20230176027A1 (en) | Apparatu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a water facility | |
| KR101213251B1 (en) |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sewer drainage pipes using chloride ion concentrations | |
| KR102699239B1 (en) | Pipe Cleaning and Leakage Detection System by Using Turbidity Sensor and harmless Air | |
| KR101226649B1 (en) | Smart system for using Rainwater and Waterwork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KR102684399B1 (en) | Pipe Cleaning and Leakage Detection Method by Using Turbidity Sensor and harmless Air | |
| CN103258406A (en) | Fire pool or water tank water-level abnormality alarming method and system | |
| CN108503087A (en) | A kind of intelligent water purifier, leakage monitoring system and the method for leak visualizing monitor | |
| CN211706125U (en) | Intelligent water purifier | |
| KR20190033937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water leaks | |
| CN208667313U (en) | A kind of intelligent water purifier of camera monitoring leak | |
| KR102623682B1 (en) | Smart Filtering System for Apartment House (Communal Building) that can Block the Supply of Contaminated Tap Water | |
| KR100803700B1 (en) | Excellent soil room alarm system | |
| KR20230040188A (en) | High-altitude simple water suppl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23061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230612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20230613 Patent event code:PA03022R01D Comment text: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40220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240822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40822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240822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