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개시는 원격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실행 모드를 지원하도록 구현된 원격제어장치 및 상기 원격제어장치를 통한 디스플레이 장치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remote control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remote control device implemented to support various execution modes supported by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remote control device.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수신, 처리 및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영상 신호를 분리하며, 다시 분리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A display device is a device that has the ability to receive, process, and display images that can be viewed by a user. For example, a display device receives a broadcast signal selected by a user from among broadcast signals transmitt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separates a video signal from the received signal, and then displays the separated video signal on a display.
디지털 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통적인 방송 프로그램 제공뿐만 아니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로 발전해 가고 있다.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conventional display devices are evolving into smart display devices that support various applications in addition to providing traditional broadcasting programs.
한편,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는 전통적인 형상으로 상부에 기능버튼들을 포함하고 있다.Meanwhile, the remote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has a traditional shape and includes function buttons on the top.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내장된 게임 어플리케이션이나 외부 입력 연결을 통해 재생되는 게임 프로그램 등에 대한 화면을 제공하되, 상술한 종래 원격제어장치로 상기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내지 프로그램을 적절히 제어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provides a screen for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a built-in game application or a game program played through an external input connection, but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difficult to properly control such applications or programs using the conventional remote control device described above.
한편, 상기와 같은 이유로, 기존의 원격제어장치에 더하여 별개의 어플리케이션 제어용 원격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것은 이용성, 비용 등에 문제점이 있었다.Meanwhile, for the reasons mentioned above, there were problems with usability, cost, etc. in providing a separate remote control device for application control in addition to the existing remote control device.
이러한 이유로, 점차 복잡 다양해지고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할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절히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장치가 요구되고 있다.For this reason, a remote control device is required to properly control display devices that must provide increasingly complex and diverse services.
본 개시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게임 패드(game pad)와 같은 부가적인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멀티원격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multi-remote control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providing a service without having an additional device such as a game pad to use the desired service through the display device.
본 개시의 다른 목적은 상기 원격제어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 중인 다양한 서비스를 적절히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method for appropriately controlling various services provided by a display device through the remote control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는, 제1 하우징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부면에는 복수 개의 제1 물리 버튼이 구비된 메인 바디; 및 제2 하우징으로 구성되되, 각각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단이 상기 제1 하우징의 양단 중 일단과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제1 및 제2 보조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단과 결합되는 상기 각 제2 하우징의 일단의 두께는 최대 두께이고 타단은 최소 두께를 가지도록 제1 곡률로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부는 상기 제1 및 제2 보조 바디를 수용 가능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comprises: a main body comprising a first housing, wherein a plurality of first physical buttons ar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bodies comprises one end of the second housing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by a coupling means, wherein the first end of each of the second housings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has a maximum thickness and the other end has a minimum thickness, and the first housing is formed with a first curvature to be rotatable, and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can be formed to have a shap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bodies.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 중인 다양한 서비스를 별개의 장치 추가 없이 하나의 원격제어장치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e is an effect in which various services provided by a display device can be appropriately controlled by a single remote control device without adding a separate device.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 중인 서비스의 제어에 적응적인 형태로 변형 가능한 원격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에 대해 부가적인 원격제어장치 없이 빠르고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e is an effect of enabling quick and convenient control of various services provided by a display device without an additional remote control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that can be transformed into an adaptive form for controlling services provided by the display device.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컨트롤러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원격제어장치의 각 재생 모드에서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원격제어장치의 각 재생 모드에서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과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원격제어장치의 각 재생 모드에서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재생 모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게임 모드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원격제어장치의 상태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과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3 shows an example of an actual configuration of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4 shows an example of utilizing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5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horizontal mode and vertical mode of a stand-typ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6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troller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Figure 2.
 FIG. 7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shape of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rawing showing the shape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Figure 7 in each playback mode.
 FIG. 9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shape of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drawing showing the shape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Figure 9 in each playback mode.
 Figures 11 and 12 are drawings illustrating the shape of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drawing showing the shape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Figure 9 in each playback mode.
 FIG. 13 is a drawing illustrating a playback mode screen of a display device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14 to 16 are drawings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a game mode using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drawing illustrating a screen that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the status of a remote control device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8 and 19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signal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used for compon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for the convenienc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in themselves.
이하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서비스(service)”는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에서 제공 가능한 모든 형태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program) 등 소프트웨어(software)를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비스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를 통해 제어 가능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내장된 것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후 설치된 것도 포함할 수 있다.The “servic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below may be used to collectively refer to all forms of software, such as applications and program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display device described below. At this time, the service can be controlled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include not only those built into the display device but also those downloaded and installed from the outside.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서비스는 게임 어플리케이션(game application)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ervice is explained below using a game application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무선 통신부(173), 음성 획득부(175),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unit (130),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a storage unit (140), a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a control unit (17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3), a voice acquisition unit (175), a display unit (180), an audio output unit (185), and a power supply unit (190).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unit (130) may include a tuner (131), a demodulator (132), and a network interface unit (133).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tuner (131) can select a specific broadcast channel according to a channel selection command. The tuner (131) can receive a broadcast signal for the selected specific broadcast channel.
복조부(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The demodulator (132) can separate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into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and a data signal related to the broadcast program, and can restore the separated video signal, audio signal, and data signal into a form that can be output.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can provide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display device (100) to a wired/wireless network including the Internet.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can transmit or receive data to or from another user or another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connected network or another network linked to the connected network.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can access a predetermined web page through a connected network or another network linked to the connected network. That is, it can access a predetermined web page through a network and transmit or receive data with the corresponding server.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Video on Deman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can receive content or data provided by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operator. That is,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can receive content such as movies, advertisements, games, VOD (Video on Demand), broadcast signals, etc., and information related thereto provided from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provider through a network.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can receive firmware update information and update files provided by the network operator, and transmit data to the Internet or content provider or network operator.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can select and receive a desired application from among applications open to the public via a network.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can receive an application or a list of applications in an adjacent external device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170) or storage unit (14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can provide a connection path between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can receive one or more of images and audio output from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wirelessly or wiredly to the display device (100) and transmit them to the control unit (170).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can include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can include an RGB terminal, one or more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terminals, and a component terminal.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A video signal of an external device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can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A voice signal of an external device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can be output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18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 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An external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be any one of a set-top box, a Blu-ray player, a DVD player, a game console, a sound bar, a smartphone, a PC, a USB memory, and a home theater, but this is only an example.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some of the content data stored in the display device (100) can be transmitted to a selected user or electronic device among other users or other electronic devices pre-registered in the display device (100).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 stores programs for each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within the control unit (170) and can store signal-processed images, voices, or data signals.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40)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y storage of video, audio, or data signals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or a network interface unit (133), and may also store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image through a channel memory function.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 can store an application or a list of applications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or a network interface unit (133).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00) can play content files (video files, still image files, music files, document files, application files, etc.)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and provide them to the user.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can transmit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 unit (170), or transmit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to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can receive and process control signals such as power on/off, channel selection, and screen setting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Bluetooth, Ultra Wideband (UWB), ZigBee,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or infrared (IR) communication, or process the control signals from the control unit (170) to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또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can transmit control signals input from local keys (not shown) such as a power key, channel key, volume key, and setting value to the control unit (170).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An image signal processed in the control unit (170) may be input to the display unit (180) and displayed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signal. In addition, an image signal processed in the control unit (170) may be input to an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The voice signal processed in the control unit (170) can be output as audio to the audio output unit (185). In addition, the voice signal processed in the control unit (170) can be input to an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within the display device (100).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he display device (100) by a user command or internal program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and can connect to a network to allow the user to download a desired application or application list into the display device (100).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 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70) enables the user-selected channel information, etc. t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or audio output unit (185) together with the processed video or audio signal.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enables a video signal or audio signal from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camera or camcorder,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t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or audio output unit (185) according to an external device video playback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he display unit (180) to display an image, and for example, can control the display unit (180) to display a broadcast image input through the tuner (131), an external input image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an image input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or an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In this case,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can be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and can be a 2D image or a 3D image.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he playback of content stored in the display device (100), received broadcast content, or external input content input from the outside, and the content can be in various forms such as broadcast images, external input images, audio files, still images, connected web screens, and document files.
무선 통신부(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173)는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3) can perform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3) can perform short range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To this e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3) can support short range communication by using at least one of Bluetooth™, BLE (Bluetooth Low Energy),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 (Ultra Wideband),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Wireless-Fidelity), Wi-Fi Direct, and Wireless 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technologi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3) can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display device (10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display device (100) and another display device (100), or between the display device (100) and a network where the display device (100, or an external server) is located via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ireless Area Networks).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a short-rang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authenticated)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 통신부(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Here, the other display device (100) may be a wearable device (e.g., a smartwatch, smart glass, a head mounted display (HMD),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that can exchange data with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can be linke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3) may detect (or recognize) a wearable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on around the display device (100). Furthermore, if the detected wearable device is an authenticated device to communicate with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70) may transmit at least a part of the data processed in the display device (100) to the wearable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3). Therefore, a user of the wearable device may use the data processed in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wearable device.
음성 획득부(175)는 오디오를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175)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오디오를 획득할 수 있다.The voice acquisition unit (175) can acquire audio. The voice acquisition unit (175) can include at least one microphone (not shown) and can acquire audio around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microphone (not shown).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80) can generate a driving signal by converting a video signal, data signal, OSD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or a video signal, data signal, etc.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into R, G, and B signals, respectively.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display device (100) illustrated in FIG. 1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of the illustrated components may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s of the display device (100) actually implemented.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That is,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sub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eded. In addition, the functions performed by each block are intended to expla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operations or devices thereof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as shown in FIG. 1, the display device (100) may receive and play back an image through a network interface unit (133) or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without having a tuner (131) and a demodulator (132).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톱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as an image processing device, such as a set-top box for receiving contents according to broadcast signals or various network services, and a content playback device for playing contents in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device.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분리된 셋톱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operat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performed by any one of the display device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s well as an image processing device such as a separate set-top box, or a content playback device having a display unit (180) and an audio output unit (185).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The audio output unit (185) receives a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and outputs it as voice.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supplies power to the entire display device (100). In particular, power can be supplied to a control unit (170)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ystem on chip (SOC), a display unit (180) for displaying images, an audio output unit (185) for audio output, etc.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equipped with a converter that converts AC power into DC power and a dc/dc converter that converts the level of the DC power.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shows an example of an actual configuration of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부(210), 무선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 음성 획득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2,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include a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21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a user input unit (230), a sensor unit (240), an output unit (250), a power supply unit (260), a storage unit (270), a control unit (280), and a voice acquisition unit (290).
도 2를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Referring to FIG. 2,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with any one of the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2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모듈(2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모듈(229)을 구비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be equipped with an RF module (221)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display device (100) in accordance with RF communication standards, and may be equipped with an IR module (223)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display device (100) in accordance with IR communication standards.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be equipped with a Bluetooth module (225)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display device (100) in accordance with Bluetooth communication standards.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be equipped with an NFC module (227)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display device (100) in accordance with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standards, and may be equipped with a WLAN module (229)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display device (100) in accordance with WLAN (Wireless LAN) communication standards.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전송한다.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ransmits a signal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o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by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RF module (221), and, if necessary, can transmit commands for turning the power on/off, changing the channel, changing the volume, etc. to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IR module (223).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시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user input unit (230) may be composed of a keypad, a button,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by operating the user input unit (230). If the user input unit (230) is provided with a hard key button,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by pushing the hard key button.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라이브 버튼(233), 외부 입력 버튼(234), 음량 조절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변경 버튼(237), 확인 버튼(238) 및 뒤로 가기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s. The plurality of buttons may include a fingerprint recognition button (212), a power button (231), a home button (232), a live button (233), an external input button (234), a volume control button (235), a voice recognition button (236), a channel change button (237), a confirmation button (238), and a back button (239).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시 동작이 가능하여, 푸시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2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2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2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The fingerprint recognition button (212) may be a button for recognizing a user's fingerprint. In one embodiment, the fingerprint recognition button (212) may be capable of a push operation, and may receive a push operation and a fingerprint recognition operation. The power button (231) may be a button for turning the power of the display device (100) on/off. The home button (232) may be a button for moving to the hom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100). The live button (233) may be a button for displaying a real-time broadcast program. The external input button (234) may be a button for receiving an external input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The volume control button (235) may be a button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volume output by the display device (100). The voice recognition button (236) may be a button for receiving a user's voice and recognizing the received voice. The channel change button (237) may be a button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of a specific broadcast channel. The confirmation button (238) may be a button for selecting a specific function, and the back button (239) may be a button for returning to the previous screen.
다시 도 2를 설명한다.Let's explain Figure 2 again.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 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When the user input unit (230) is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the user can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us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by touching a soft key of the touch screen. In addition, the user input unit (230) may be equipped with various types of input means that can be operated by the user, such as a scroll key or a jog key, and this embodiment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240) may be equipped with a gyro sensor (241) or an acceleration sensor (243), and the gyro sensor (241) may sense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gyro sensor (241) can sens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based on the x, y, and z axes, and the acceleration sensor (243) can sense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speed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eanwhile,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further be equipped with a distance measuring sensor, so as to sense the distance to the display unit (180) of the display device (100).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250) can output a video or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230) or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output unit (250), the user can recognize whether the user input unit (230) is being operated or whether the display device (100) is being controlled.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utput unit (250) may be equipped with an LED module (251) that lights up when the user input unit (230) is operated or a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a vibration module (253) that generates vibration, an audio output module (255) that outputs audio, or a display module (257) that outputs an image.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260) supplies power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can reduce power waste by stopping the power supply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does not mov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power supply unit (260) can resume the power supply when a predetermined key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operated.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The storage unit (270) can store various types of programs, application data, etc. required for the control or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through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RF module (221),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the display device (100)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hrough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 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80)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store and reference information about the frequency band, etc., that can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with the display device (100) 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n the storage unit (270).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80) controls all matter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e control unit (280) can transmit a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key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230) or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sensed by the sensor unit (240) to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음성 획득부(290)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voice acquisition unit (290)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acquire voice.
음성 획득부(2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291)을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291)를 통해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The voice acquisition unit (290) may include at least one microphone (291) and may acquire voice through the microphone (291).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Next, Figure 4 is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Figure 4 shows an example of utilizing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a)는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Figure 4 (a) illustrates that a pointer (205) corresponding to a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displayed on a display unit (180).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The user can move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up and down, left and right, or rotate it. The pointer (205)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of the display device (100) corresponds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is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be called a space remote control because the pointer (205) moves and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movement in 3D space, as shown in the drawing.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Figure 4 (b) exemplifies that when a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o the left, the pointer (205)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of the display device (100) also moves to the left in response.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detected through the sensor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The display device (100) can calculate the coordinates of the pointer (205) from the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e display device (100) can display the pointer (205) to correspond to the calculated coordinates.
도 4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Figure 4 (c) illustrates a case where a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way from the display unit (180) while pressing a specific button with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s a result, a selection area within the display unit (180) corresponding to the pointer (205) can be zoomed in and displayed in an enlarged manner.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loser to the display unit (180), the selection area within the display unit (180) corresponding to the pointer (205) may be zoomed out and displayed in a reduced size.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Meanwhile,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oves away from the display unit (180), the selection area may be zoomed out, and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oves closer to the display unit (180), the selection area may be zoomed in.
또한,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a specific button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pressed, recognition of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s can be excluded. That is,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oves away from or toward the display unit (180),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s are not recognized, and only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can be recognized. When a specific button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not pressed, only the pointer (205) moves according to the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s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Meanwhile, the movement speed or movement direction of the pointer (205) can correspond to the movement speed or movement direc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pointer in this specification means an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ccordingly, objects of various shapes other than the arrow shape illustrated in the drawing may be used as the pointer (205). For example, the pointer may be a concept including a point, a cursor, a prompt, a thick outline, etc. In addition, the pointer (205) may be displayed corresponding to one point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xes on the display unit (180), and may also be displayed corresponding to multiple points such as lines and surfaces.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a and FIG. 5b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horizontal mode and the vertical mode of a stand-typ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스탠드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S. 5a and 5b, a stand-type display device (100) is illustrated.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샤프트(103) 및 스탠드 베이스(105)가 연결될 수 있다.A shaft (103) and a stand base (105) can be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샤프트(10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스탠드 베이스(105)를 이어줄 수 있다. 샤프트(103)는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The shaft (103) can connect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stand base (105). The shaft (103) can extend vertically.
샤프트(103)의 하단은 스탠드 베이스(105)의 가장자리부에 연결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shaft (103) can be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stand base (105).
샤프트(103)의 하단은 스탠드 베이스(105)의 둘레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shaft (103) can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periphery of the stand base (105).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샤프트(103)는 스탠드 베이스(105)에 대해 수직축(vertical axis)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00) and shaft (103) can rotate around a vertical axis with respect to the stand base (105).
샤프트(103)의 상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에 연결될 수 있다.The upper part of the shaft (103) can be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display device (100).
스탠드 베이스(10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stand base (105) can serve to support the display device (10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샤프트(103) 및 스탠드 베이스(105)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haft (103) and a stand base (105).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샤프트(103)의 상부와 디스플레이(180)의 후면이 맞닿은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00) can rotate around the point where the upper part of the shaft (103) and the rear part of the display (180) meet.
도 5a는 디스플레이(180)의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큰 자세를 갖는 가로 모드로 동작함을 나타내고, 도 5b는 디스플레이(180)의 세로 길이가 가로 길이보다 큰 자세를 갖는 가로 모드로 동작함을 나타낼 수 있다.FIG. 5a may show that the display (180) operates in a landscape mode in which the horizontal length is greater than the vertical length, and FIG. 5b may show that the display (180) operates in a landscape mode in which the vertical length is great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사용자는 스탠드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들고 이동할 수 있다. 즉, 스탠드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정된 기기와는 달리 이동성이 향상되어 사용자는 배치 위치에 구애받지 않는다.Users can carry and move the stand-type display device. In other words, unlike fixed devices, the stand-type display device has improved mobility, so users are not restricted by the placement location.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예를 들어, 서비스 즉, 게임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한 제어 동작에 대해 기술한다.Below, a control operation via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described when a request to execute a service, i.e., a game application, is received from the display device (10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는, 전통적인 원격제어장치와 구분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 재생 모드(멀티-모드)(게임 모드도 포함)를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전통적인 원격제어장치와 구분하기 위해 ‘멀티원격제어장치’로 볼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 '원격제어장치'라고 기술하는 경우에는 전통적인 원격제어장치가 아닌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장치 즉, 멀티원격제어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명칭에 한정되거나 그러한 명칭에 의해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Meanwhile, the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tinguished from the traditional remote control device and can support various service playback modes (multi-modes) (including game modes)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100). In this sense, the remote control device may be viewed as a ‘multi-remote control device’ to distinguish it from the traditional remote control device.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when described as a ‘remote control device’ below, it may refer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multi-remote control device, not the traditional remote control dev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is name or be construed as being restricted by such name.
따라서, 전술한 도 1 내지 4에서 언급된 원격제어장치(200)는 상기 멀티원격제어장치에 해당하거나 그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entioned in the above-mentioned
예를 들어, 도 2는 멀티원격제어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되 특히, 컨트롤러(280)는 아래 도 6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멀티원격제어장치의 일부 예를 들어, 메인 바디(main body)에 대응될 수 있는바, 그 설명을 원용할 수 있다.For example, FIG. 2 can be applied to a multi-remote control device as well, and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280) can be configured as in FIG. 6 below. Meanwhile, FIG. 3 can correspond to a part of a multi-remote control device, for example, a main body, and its description can be cited.
도 6은 상기 도 2의 컨트롤러(280)의 구성 블록도이다.Figure 6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280) of Figure 2.
컨트롤러(280)는 멀티 모드(multi-mode)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통적인 서비스 외에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부가 서비스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예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ntroller (28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display device (100) us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multi-mode, that is, when the display device (100) provides various additional services in addition to traditional services. As described above, the additional services are not limited to game applications, but are exemplified therein.
도 6을 참조하면, 컨트롤러(280)는 모드 판단부(610), 신호 처리부(620), 신호 생서부(630) 및 제어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더 포함하여 컨트롤러(280)가 구성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이 모듈화되어 포함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controller (280) may include a mode determination unit (610), a signal processing unit (620), a signal generation unit (630), and a control unit (64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troller (28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more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t least two or more of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6 may be modularized and included.
모드 판단부(6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현재 재생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모드 판단부(610)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The mode determination unit (610) can determine the current playback mode of the display device (100). The mode determination unit (610) can determine, for example, whether a game application is running on the display device (100).
신호 처리부(620)는 원격제어장치에서 발생되는 이벤트(event)에 따른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한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620) processes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n event occurring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신호 생성부(630)는 상기 신호 처리부(620)에 의해 처리된 신호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control command)가 포함된 신호 즉,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signal generation unit (630) can generate a signal including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100), i.e.,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signal processed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620).
상기에서, 이벤트라 함은 예컨대, TV 시청 모드에서 게임 모드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재생 모드 변경,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보조 바디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 동작 감지, 상기 회전 후 제1 및 제2 보조 바디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버튼의 액세스 감지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the above, the event may be any one of, for example, a change in the playback mode of the display device (100), such as from a TV viewing mode to a game mode, detection of a rotational mo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bodies as described below, detection of access of a button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bodies after the rotation, etc.
제어부(640)는 상기 컨트롤러(28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6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원격제어장치의 메인 바디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보조 바디 중 적어도 하나가 회전하여 수용되지 않은 경우(또는 이탈하는 경우)에는 이를 이전 재생 모드와 다른 재생 모드(즉, 게임 모드)로 인식하여, 그에 따른 상기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640) can control each component of the controller (280). In particular, as described above,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bodies is not rotated and received (or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the control unit (640) can recognize this as a different play mode (i.e., game mode) from the previous play mode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accordingly.
한편, 상기 과정 또는 이전 재생 모드에서, 제어부(640)는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되면, 감지된 동작을 식별하고, 식별된 동작에 대응하는 제어 커맨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DB(270)에 기저장된 원격제어장치 버튼 정보를 독출하여 제어 과정에 이용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 process or previous playback mode, when the control unit (640) detects a user's motion, it can identify the detected motion and generate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motion. At this time, the remote control device button information pre-stored in the DB (270) can be read out and used in the control process.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shape of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원격제어장치의 각 재생 모드에서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8 is a drawing showing the shape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Figure 7 in each playback mod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는, 메인 바디(main body)(710)와 보조 바디(720,7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ain body (710) and an auxiliary body (720, 730).
도 7의 (a)를 참조하면, 메인 바디(710)는, 제1 하우징(housing)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바디(720,730)를 구성하는 제2 하우징과는 비교하면, 그 형상, 구조 등이 상이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7, the main body (710) may be composed of a first housing. The first housing may have a different shape, structure, etc. compared to the second housing constituting the auxiliary body (720, 730) as shown in (a) of Fig. 7.
메인 바디(710)의 제1 하우징의 상부면에는 원격제어장치로서 기능 수행이 필요한 복수 개의 제1 물리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irst physical buttons required to perform a function as a remote control device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of the main body (710).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면은 후술하는 보조 바디(720,730)의 회전 운동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 곡률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may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to support rotational movement of the auxiliary body (720, 730) described below.
제1 보조 바디(720) 및 제2 보조 바디(730)는 각각 제2 하우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auxiliary body (720) and the second auxiliary body (730) may each be configured as a second housing.
상기 각 보조 바디(720,730)의 제2 하우징의 일단은, 상기 메인 바디(710)의 제1 하우징의 일단과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second housing of each of the above auxiliary bodies (720, 730) can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of the main body (710) by a connecting means.
상기 결합 수단으로는 힌지(hinge), 자석(magnet) 및 트위스터 관절(twister joint)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다른 결합 수단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이용할 수 있다.As the above-mentioned coupling means, any one of a hinge, a magnet, and a twister joint may be us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t least one of other known coupling means may be further used.
도 7의 (a)를 참조하면, 각 보조 바디의 일단은 돌출 부분을 포함하고, 메인 바디(710)의 양단은 상기 각 보조 바디의 돌출 부분을 수용하도록 수용 공간(또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메인 바디(710)상에는 수용 공간 내 돌출부가 포함되고, 상기 보조 바디에는 상기 돌출부에 안착되는 홈 내지 홀이 형성되어, 상기 보조 바디는 상기 메인 바디(710)로부터 지지되며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7, one end of each auxiliary body may include a protruding portion, and both ends of the main body (710) may include an accommodation space (or groove) to accommodate the protruding portion of each auxiliary body. At this time, the main body (710) includes a protruding portion with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groove or hole is formed in the auxiliary body to be seated in the protruding portion, so that the auxiliary body is supported by the main body (710) and can rotate.
도 7의 (b)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측면뷰의 하나일 수 있다.Fig. 7 (b) may be one of the side views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도 7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하우징의 최대 두께와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단과 결합되는 각 제2 하우징의 최대 두께는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Referring to (b) of Fig. 7, the maximum thickness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maximum thickness of each second housing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may be the same or similar.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은 전체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 하우징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하는 일단의 두께에 비해 타단의 두께가 얇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housing may be formed with the same thickness throughout.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housing may have a thickness at one end that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at the other end that is coupled with the first housing, as illustra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7의 (c)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일반 모드일 때의 원격제어장치(200)의 형상으로, 이 경우 보조 바디(720,730)는 각각 메인 바디(710)와 평행하다.Figure 7 (c) shows the shape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when the display device (100) is in normal mode, and in this case, the auxiliary bodies (720, 730) are each parallel to the main body (710).
반면, 도 7의 (d)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예를 들어, 게임 모드일 때의 원격제어장치(200)의 형상으로, 이 경우 보조 바디(720,730)는 메인 바디(710)와 소정 각도를 형성하면서 회전된 것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d) of Fig. 7 shows the shape of a remote control device (200) when the display device (100) is in game mode, for example. In this case, it can be seen that the auxiliary body (720, 730) is rotated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main body (710).
본 명세서에서 편의상 보조 바디(720,730)의 회전 각도는 0도 내지 90도(또는 180도)를 예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convenience, in this specification, the rotation angle of the auxiliary body (720, 730) is exemplified as 0 to 90 degrees (or 180 degre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7의 (e)는 구동 기어(operational gear)를 도시한 것으로, 외부 압력이나 별도 내장된 구동회로를 통하여 상기 구동 기어를 작동시켜, 상기 보조 바디(720,730)가 메인 바디(710)로부터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Fig. 7 (e) illustrates an operational gear. The operational gear can be operated by external pressure or a separately built-in driving circuit to control the auxiliary body (720, 730) to rotate from the main body (710).
도 7의 (b)를 참조하면, 메인 바디(710)의 제1 하우징 상부면에는 제1 물리 버튼(760)이 형성되었고, 보조 바디(720,730)의 제2 하우징 상에도 다양한 버튼(750)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b) of Fig. 7, a first physical button (76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of the main body (710), and various buttons (750) may also be formed on the second housing of the auxiliary body (720, 730).
실시 예에 따라, 메인 바디(710)의 제1 하우징 상부면에 형성된 제1 물리 버튼(760)은 돌출형일 수 있으며, 반면 보조 바디(720,730)의 제2 하우징 상에 형성되는 버튼(750)은 오입력 방지를 위해 함몰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physical button (76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of the main body (710) may be protruding, while the button (750) formed on the second housing of the auxiliary body (720, 730) may be formed in a recessed shape to prevent incorrect inpu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8은 모드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8 is a drawing showing the shape of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mode.
도 8의 (a)는 제1 모드(예를 들어, TV 모드)일 때 상기 보조 바디(720,730)가 메인 바디(710)와 평행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보조 바디(720,730)의 일단(820)에는 IR 센서가 포함되어, 상기 제1 모드에서 원격제어장치에서 발생되는 IR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일단(820)은 도 8의 (b) 또는 (c)의 제2 모드 또는 제3 모드에서는 게임 모드에 따른 게임 제어 신호가 상기 IR 센서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8, it can be seen that the auxiliary body (720, 730) is parallel to the main body (710) when in the first mode (e.g., TV mode). Meanwhile, an IR sensor is included in one end (820) of the auxiliary body (720, 730), so that an IR signal generated from a remote control device in the first mode can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At this time, in the second or third mode of (b) or (c) of FIG. 8, the one end (820) can transmit a gam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game mode to the display device, etc. through the IR sensor.
결합 수단 및 결합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도 7(c) 및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드에서 메인 바디(710)와 보조 바디(720)는 서로 평행하면서 맞닿아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역(810)을 보면, 메인 바디(710)의 일단과 대응하는 보조 바디(720)의 일단은 각각 일정 곡률을 가진 곡선형으로 구현되고, 서로 맞닿을 수 있음에도, 도 8의 (b) 또는 (c)와 같이 보조 바디가 소정 각도로 회전할 때, 상호간에 마찰이 생겨 회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산출된 곡률을 가질 수 있다.Depending on the joining means and joining method, it can be seen that in the first mode, the main body (710) and the auxiliary body (7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being parallel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7(c) and FIG. 8(a). Looking at the area (810), one end of the auxiliary body (720)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main body (710) is implemented as a curved shape with a certain curvature, and although they can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y can have a curvature calculated so that when the auxiliary bodies rotate at a certain angle, friction does not occur between them and the rotation is not hindered, as shown in FIG. 8(b) or (c).
도 8의 (b)는 제2 모드(예를 들어, 일반 게임 모드)일 때의 원격제어장치의 형상으로, 메인 바디(710)와 제1 및 제2 보조 바디(720,730)는 평행하지 않고 소정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소정 각도를 형성하기 위해 보조 바디(720,730)는 소정 각도만큼 회전한다.Fig. 8 (b) shows the shape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in the second mode (e.g., normal game mode), in which the main body (710) and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bodies (720, 730) are not parallel and can form a predetermined angle. In order to form the predetermined angle, the auxiliary bodies (720, 730) rotate by a predetermined angle.
도 8의 (c)는 제3 모드(예를 들어, 슈팅 게임 모드)일 때의 원격제어장치의 형상으로, 하나의 보조 바디(720 또는 730)만 메인 바디(710)와 평행하지 않고 소정 각도만큼 회전한 것을 알 수 있다.Fig. 8 (c) shows the shape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in the third mode (e.g., shooting game mode), and it can be seen that only one auxiliary body (720 or 73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not parallel to the main body (710).
한편, 본 발명에서는 컨트롤러(280)는 예를 들어, 도 8의 (a)의 경우에는 보조 바디(720,730)상에 구비된 버튼이 비활성화 또는 불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도 8의 (b) 내지 (c)의 경우에는 메인 바디(710)상에 구비된 버튼이 비활성화 또는 불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상기의 경우에도, 메인 바디(710) 또는 보조 바디(720, 730)상의 모든 버튼이 대상이 아니라, 일부 버튼(도 8의 메인 바디상의 아날로그 스틱과 같은)은 예외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280)는 전술한 제어를 위하여, 미리 각 모드에서의 버튼, 키 등의 활성화, 불활성화 등에 대한 설정을 사전에 등록하여 저장하고, 해당 모드에 따라 제어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280) may control,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of FIG. 8, to deactivate or disable a button provided on an auxiliary body (720, 730), and in the cases of (b) to (c) of FIG. 8, to deactivate or disable a button provided on a main body (710). However, even in the above case, not all buttons on the main body (710) or the auxiliary bodies (720, 730) are targets, and some buttons (such as the analog stick on the main body of FIG. 8) may function as an exception. Meanwhile, for the above-described control, the controller (280) may pre-register and store settings for activation, deactivation, etc. of buttons, keys, etc. in each mode in advance, and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mode.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9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shape of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의 원격제어장치의 각 재생 모드에서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0 is a drawing showing the shape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Figure 9 in each playback mode.
전술한 도 7 내지 8은 보조 바디(720,730)는 메인 바디(710) 내부(하부)로 수용될 수 없고, 따라서 도 7의 (a) 또는 도 8의 (a)와 같은 방식으로 펼쳐지는 형상으로 원격제어장치가 구성되었다.As shown in the drawings 7 and 8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body (720, 730) cannot be accommodated inside (lower) the main body (710), and therefore,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configured in a shape that unfolds in the manner shown in (a) of Drawing 7 or (a) of Drawing 8.
반면, 도 9 내지 10에서는, 보조 바디(720,730)는 메인 바디(710) 하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 바디(710)는 제1 하우징의 하부에 수용 공간을 확보하도록 디자인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in FIGS. 9 and 10, the auxiliary body (720, 730) can be accommod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710). To this end, the main body (710) must be designed to secure an accommodation space i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housing.
측면뷰(예를 들어, 도 7의 (a)에서 A에서 바라본 모습 또는 도 9의 (a)에서 B에서 바라본 모습)로서, 도 9의 (b)를 참조하면, 메인 바디(710)의 제1 하우징의 하부면은 도 7 내지 8과 달리 평탄하지 않고, 보조 바디(720,7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 공간에 해당하는 일정 곡률을 가진 것을 알 수 있다.As a side view (e.g., a view viewed from A in (a) of FIG. 7 or a view viewed from B in (a) of FIG. 9), referring to (b) of FIG. 9, it can be seen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of the main body (710) is not flat, unlike FIGS. 7 and 8, but has a certain curvature corresponding to an accommodation space so as to accommodate the auxiliary bodies (720, 730).
도 10의 (a)에서는, 원격제어장치는 보조 바디(720,730)가 메인 바디(710)의 제1 하우징 하부에 수용된 형상이 도시되었다.In Fig. 10 (a),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illustrated in a shape in which an auxiliary body (720, 730)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housing of the main body (710).
한편, 본 실시 예는 전술한 도 7 내지 8과 달리, 메인 바디(710)의 양단에는 힌지공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각 구비된 힌지공에는 각 보조 바디(720,73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힌지축이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힌지축(920)은 힌지공과 결합되어 메인 바디(710) 상에 노출되되,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치 아날로그 스틱과 같이 소정 높이만큼 노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힌지축은 아날로그 스틱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Meanwhile, unlike the aforementioned FIGS. 7 and 8, in this embodiment, hinge holes are provided at each end of the main body (710), and a hinge axis extended from one end of each auxiliary body (720, 730) can be coupled to each of the provided hinge holes. At this time, the hinge axis (920) is coupled to the hinge hole and exposed on the main body (710), but can be exposed to a predetermined height like an analog stick, as shown in FIG. 9 (b). Through this, the hinge axis can also perform the function of an analog stick.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힌지축은 힌지공과 상하 유격을 가지고 푸시 버튼처럼 동작할 수 있고, 상기 힌지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 바디(720,730)에서 연장된 것이 아니라 메인 바디(710)에서 연장되어, 푸시를 통해 보조 바디(720,730)와 메인 바디(71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적으로 힌지축을 푸시하면 상기 결합 관계가 해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비록 도시되진 않았으나, 보조 바디(720,730)의 일단 상에는 상기 힌지축의 연장 부분을 수용하여 결합이 될 수 있는 홈 내지 홀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단순 홈의 경우에는 결합 관계가 약할 수 있으므로, 상기 힌지축의 연장 끝부분 즉, 보조 바디(720,730)와 결합되는 부분이 푸시에 의해 서브 결합 수단이 노출/비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결합 수단이 연장 끝부분에 이미 노출된 상태(기본 상태)에서 보조 바디(720,730)를 상기 힌지축의 연장 끝부분과 결합하면 자연스럽게 체결되어 양 바디를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시 한번 푸시를 함으로써, 양 바디는 서로 연결 해제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inge axis may have a hinge hole and an upper and lower clearance and may operate like a push button, and the hinge axis may not extend from the auxiliary body (720, 730) as described above, but may extend from the main body (710) so that the auxiliary body (720, 730) and the main body (710) may be coupled by pushing. In this case, if the hinge axis is additionally pushed, the coupling relationship may be released. To this end, although not shown, a groove or hole may be provided on one end of the auxiliary body (720, 730) to accommodate and couple the extended portion of the hinge axis. In this case, since the coupling relationship may be weak in the case of a simple groove, the extended end of the hinge axis, i.e., the portion coupled with the auxiliary body (720, 730), may be exposed/unexposed as a sub-coupling means by pushing. For example, when the auxiliary body (720, 730) is coupled with the extended end of the hinge axis in a state where the sub-coupling means is already exposed at the extended end (basic state), the two bodies can be naturally connected and coupled. In this case, by pushing once more, the two bodies can be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힌지공과 힌지축이 예를 들어, 원형이라면 동일한 반지름(또는 지름)으로 형성되지 않고 힌지축이 힌지공에 삽입 이후에도 소정 유격을 가질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비록 힌지축이 이전보다 메인 바디(710)상에 소정 높이만큼 노출되지 않더라도 상기 유격을 통하여 아날로그 스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f the hinge hole and the hinge axis are, for example, circular, they may not be formed with the same radius (or diameter) and may be implemented so that the hinge axis can have a predetermined clearance even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hinge hole. In this case, even if the hinge axis is not exposed to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main body (710) compared to before, it may be able to perform a function such as an analog stick through the clearance.
도 9의 (a)를 참조하면, 제1 보조 바디(720)의 내부 공간(911)과 제2 보조 바디(730)의 내부 공간(912)에는 햅틱 모터(미도시)와 보조 전원공급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9, the internal space (911) of the first auxiliary body (720) and the internal space (912) of the second auxiliary body (7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haptic motor (not shown) and an auxiliary power supply unit (not shown).
도 9의 (b)를 참조하면, 제1 보조 바디(720)의 영역(931)과 제2 보조 바디(730)의 영역(932)에는 게임 모드에서 이용 가능한 또는 활성화되는 기능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b) of FIG. 9, a region (931) of the first auxiliary body (720) and a region (932) of the second auxiliary body (730) may be provided with function buttons that are available or activated in the game mode.
도 9의 (c)를 참조하면, 각 보조 바디(720,730)의 내측면 일 영역(941,942)에 방아쇠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c) of Fig. 9, a trigger button may be provided on an inner side area (941, 942) of each auxiliary body (720, 730).
도 9의 (a)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가 전술한 내부 공간(922)에는 햅틱 모터(미도시)와 보조 전원공급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9, the remote control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haptic motor (not shown) and an auxiliary power supply unit (not shown) in the aforementioned internal space (922).
도 10의 (a) 내지 (c)는 각각 도 8의 (a) 내지 (c)와 대비되는바, 전술한 내용을 참조하고, 여기서 별도 설명은 생략한다.Figures 10 (a) to (c) are contrasted with Figures 8 (a) to (c), respectively, with reference to the above contents, and a separat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here.
특히, 도 10의 (b)와 (c)의 형상은 메인 바디의 형상과 관계없이 도 8의 (b)와 (c)와 각각 대동소이하나, 일반 모드 즉, 도 10의 (a)와 도 8의 (a)는 상이하다. 즉, 도 8의 (a)에서는 보조 바디가 외부로 펼쳐져 마치 원격제어장치가 펼쳐진 느낌이라면, 도 10의 (a)에서는 보조 바디가 내부로 수용된 것을 알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hapes of (b) and (c) of Fig. 10 are similar to (b) and (c) of Fig. 8, respectively,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main body, but the general mode, that is, (a) of Fig. 10 and (a) of Fig. 8 are different. That is, in (a) of Fig. 8, the auxiliary body is spread outward, giving the feeling of a remote control device being spread out, whereas in (a) of Fig. 10, the auxiliary body is seen to be accommodated inward.
도 11과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s 11 and 12 are drawings illustrating the shape of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예를 들어, 보조 바디(1110,1120)가 메인 바디에 매립된 형태의 원격제어장치일 수 있다.FIG. 11 may be, for example, a remote control device in which an auxiliary body (1110, 1120) is embedded in a main body.
도 11의 (a)를 참조하면, 보조 바디(1110,1120)는 메인 바디의 양단 일 영역에 위치하되, 하우징의 내부로 매립되어 있는 상태로 노출이 되지 않을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11, the auxiliary bodies (1110, 1120) are positioned at one end area of the main body, but may not be exposed as they are embedded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이후 상기 보조 바디(1110,1120)는 압력에 의해 도 11의 (b)와 같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도 11의 (a)에 도시된 메인 바디의 양단에 위치한 보조 바디(1110,1120) 영역에 압력을 가하면, 도 11의 (b)와 같이 노출되어 마치 이전 실시 예들에서 게임 모드의 원격제어장치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1의 (b)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보조 바디(1110,1120)를 원격제어장치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다시 도 11의 (a)와 같이 보조 바디(1110,1120)가 내부로 다시 수용될 수 있다.Afterwards, the auxiliary bodies (1110, 1120)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by pressure as shown in (b) of Fig. 11. That is,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auxiliary body (1110, 1120) area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as shown in (a) of Fig. 11, they can be exposed as shown in (b) of Fig. 11 and have a shape similar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game mode in the previous embodiments.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auxiliary bodies (1110, 1120) in the direc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in a state as shown in (b) of Fig. 11, the auxiliary bodies (1110, 1120) can be received back inside as shown in (a) of Fig. 11.
도 11의 (c)는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의 일단의 측면을 나타낸 것으로, 보조 바디(1130,1140)는 종방향으로 원격제어장치의 내부에 매립될 수 있다. 이후 전술한 것과 같이 압력을 가하면, 도 11의 (d)에서와 같이, 양측면에서 보조 바디(1130,1140)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Fig. 11 (c) shows, for example, one side of a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auxiliary body (1130, 1140) can be embedded in the interior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n, when pressure is applied 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body (1130, 1140)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both sides, as in Fig. 11 (d).
한편, 명시되진 않았으나, 도 11의 (c)와 (d)의 경우에는 원격제어장치의 하우징 하단쪽으로 홈이 형성되어, 도 11의 (d)와 같이 노출된 보조 바디(1131,1141)가 상기 홈을 통해 소정 각도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pecified, in the case of (c) and (d) of Fig. 11, a groove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so that the exposed auxiliary body (1131, 1141) as in (d) of Fig. 11 can move at a predetermined angle through the groove.
도 12는 예를 들어,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180)을 통해서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실행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복수의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기본적으로 두 개의 원격제어장치가 요구되는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방법의 예시일 수 있다.FIG. 12 may be an example of a method for responding to a case where, for example, a game application is executed through a screen (180) of a display device (100), as shown in (c) of FIG. 13, and when multiple users wish to use the executed game application, two remote control devices are basically required.
도 12의 (a)에서는 하나의 원격제어장치를 종방향으로 분할하여 도 12의 (b)와 같은 제1 보조 원격제어장치(1210)와 도 12의 (c)와 같은 제2 보조 원격제어장치(1220)로 나누어서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분할 전 원격제어장치의 양 측면부에는 푸시 방식에 따라 노출과 매립이 이루어지는 푸시 버튼(1011,1012,1021,102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In Fig. 12 (a), one remote control device can be divided longitudinally into a first auxiliary remote control device (1210) like Fig. 12 (b) and a second auxiliary remote control device (1220) like Fig. 12 (c) and used. At this time, push buttons (1011, 1012, 1021, 1022) that are exposed and buried according to the push method can b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before division.
반면, 도 12의 (d)에서는 반대로 하나의 원격제어장치를 횡방향으로 분할하여 도 12의 (e)와 같은 제3 보조 원격제어장치(1230)과 도 12의 (f)와 같은 제4 보조 원격제어장치(1240)로 나누어서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분할 전 원격제어장치의 하단에는 보조 바디(1031,1041)와 방아쇠 버튼(1032,1042)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비 방식은 예를 들어, 도 9 내지 10의 메인 바디의 하부에 수용 공간을 마련하여 보조 바디(1031,1041)를 수용하는 방식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d) of Fig. 12, a single remote control device can be divided horizontally and used as a third auxiliary remote control device (1230) as in (e) of Fig. 12 and a fourth auxiliary remote control device (1240) as in (f) of Fig. 12. At this time, an auxiliary body (1031, 1041) and a trigger button (1032, 1042), etc.,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before division. For example, the above-mentioned method may be a method of providing a receiving space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of Figs. 9 and 10 to receive the auxiliary bodies (1031, 1041).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재생 모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FIG. 13 is a drawing illustrating a playback mode screen of a display device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의 전술한 도 8 과 도 10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재생 모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This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playback mode of the display device (100), as in the aforementioned FIG. 8 and FIG. 10 of FIG. 13.
도 13의 (a)는 일반 재생 모드, 도 13의 (b)는 1인 게임 모드, 그리고 도 13의 (c)는 2인 게임 모드를 나타낸 것일 수 있다.Figure 13 (a) may represent a normal play mode, Figure 13 (b) may represent a single-player game mode, and Figure 13 (c) may represent a two-player game mode.
하나의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격제어장치를 통해 동작 제어하는 사용 시나리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usage scenario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game application through at least one display device (100) and at least one remote control device is described as follows.
도 14 내지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게임 모드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FIGS. 14 to 16 are drawings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a game mode using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실행 중인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복수의 사용자가 복수의 원격제어장치를 통해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FIG. 14 illustrates a method for multiple users to use a game application running on one display device (100) through multiple remote control devices.
이 때, 상기 각 원격제어장치는 홈 또는 별도의 기구 구성(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를 거치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4의 (b)는 제1 모바일 기기(1420)가 제1 원격제어장치(1422)에 거치된 상태 그리고 도 14의 (c)는 제2 모바일 기기(1430)가 제2 원격제어장치(1432)에 거치된 상태에서 게임 모드를 이용하는 것이다.At this time, each of the above remote control devices can be mounted on the user's mobile device through a home or separate mechanism configuration (not shown). For example, Fig. 14 (b) shows a state in which a first mobile device (1420) is mounted on a first remote control device (1422), and Fig. 14 (c) shows a state in which a second mobile device (1430) is mounted on a second remote control device (1432), using the game mode.
도 14의 (a)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낼 수 있다.Fig. 14 (a) may represent a display device (100).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1410)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4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180)를 통해서 게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제공되는 중, 도 14의 (b)와 (c)의 각 원격제어장치(또는 모바일 기기)가 페어링(pairing) 등 연결되면, 해당 게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각 원격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해당 모바일 기기에 각각 제공하되, 디스플레이(180) 상에서는 제공하지 않거나 다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That is, the display device (100) can provide a gam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1410) as shown in (a) of FIG. 14. However,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while a gam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is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180) as shown in (a) of FIG. 14, if each remote control device (or mobile device) of FIG. 14 (b) and (c) is connected by pairing, etc., the corresponding gam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is provided to each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each remote control device, but it may not be provided on the display (180) or a differen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may be provided.
한편, 도 14의 (b)에서 제1 원격제어장치(1422)에 거치된 제1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에서 제공되는 화면(1420)과 도 14의 (c)에서 제1 원격제어장치(1432)에 거치된 제2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에서 제공되는 화면(1430)은 다를 수 있다. 이 때, 포커스되는 객체(1421,1431) 역시 다를 수 있다.Meanwhile, the screen (1420) provided on the display of the first mobile device mounted on the first remote control device (1422) in Fig. 14 (b) and the screen (1430) provided on the display of the second mobile device mounted on the first remote control device (1432) in Fig. 14 (c) may be different. At this time, the focused object (1421, 1431) may also be different.
한편, 상기 제1 원격제어장치(1422)와 제2 원격제어장치(1432)는 각각 전술한 도 8 내지 12에 도시된 원격제어장치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둘 중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장치는 도시된 바와 달리, 제공 중인 게임 어플리케이션 전용 원격제어장치(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장치가 아닌)일 수도 있다.Meanwhile, the first remote control device (1422) and the second remote control device (1432) may each be one of the remote control devices illustrated in FIGS. 8 to 12 described abov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one of the two remote control devices may be a remote control device dedicated to the game application being provided (not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one illustrated.
다음으로, 도 15에서는 1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2개의 원격제어장치(1530,1560), 및 1개의 모바일 기기를 통해 2인이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방법일 수 있다.Next, in FIG. 15, there may be a method in which two people use a game application through one display device (100), two remote control devices (1530, 1560), and one mobile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제1 원격제어장치(1530)는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직접 연결되어 제어를 할 수 있다. 반면, 현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직접 출력되고 있는 게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1510)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모바일 기기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원격제어장치(1560)와 연결 또는 거치될 수 있다.The first remote control device (15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and control the display device (100), as shown in (a) of FIG. 15. On the other hand, a mobile device that receives and outputs the gam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1510) currently being directly output from the display device (100) can be connected to or mounted on the second remote control device (15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도 14와 달리, 도 15의 (a)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게임 어플리케이션 내 포커스되는 부분(1520)과 도 15의 (b)에서 포커스되는 부분(1550)은 상이할 수 있다.Unlike the aforementioned FIG. 14, the focused portion (1520) in the game application in the display device (100) in FIG. 15 (a) may be different from the focused portion (1550) in FIG. 15 (b).
또한, 도 16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610)에서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640)가 소정 거리 내에 접근하여 위치하고, 복수의 사용자가 상기 실행 중인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610)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640)으로 게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데이터와 포커스 정보, 제2 원격제어장치(1660)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61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640)가 접근하여 식별 가능하면, 제1 및 제2 원격제어장치(1630,1660)에 각각 멀티-사용자 게임 모드 실행 여부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여, 도 1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각각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각 디스플레이 장치와 각 원격제어장치가 서로 연결이 용이하도록 관련 정보를 미리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FIG. 16, when a game application is executed on a first display device (1610), and a second display device (1640) as illustrated in FIG. 5 is position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plurality of users are using the running game application, the first display device (1610) can provide the gam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data, focus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remote control device (1660)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1640). In this case, when the second display device (1640) is approached and identifiable, the first display device (1610) can provide a guide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mote control devices (1630, 1660) on whether to execute a multi-user game mode, so that the game can be enjoyed through the display devices assigned to each user through two displays, as illustrated in (a) and (b) of FIG. 16, and related information can also be provided in advance so that each display device and each remote control device can easily be connected to each other.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원격제어장치의 상태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7 is a drawing illustrating a screen that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the status of a remote control device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다.FIG. 17 illustrates a user interface screen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via a remote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의 (a)에서는 이벤트 감지에 따라 게임 모드 진입 여부에 대한 가이드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Fig. 17 (a), a user interface can be provided as a guide for whether to enter game mode based on event detection.
도 17의 (b)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이벤트 즉, 외부 입력 요청 또는 외부 입력 채널이 변경된 경우, 게임 모드 전환 여부 문의와 적어도 2개의 원격제어장치가 활성화된 경우에는 동일 네트워크에 속하는 사용자들과 원격제어장치가 서로 맵핑되도록 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of Fig. 17 (b) can enable mapping of users and remote control devices belonging to the same network to each other when an event occurs, i.e., an external input request or an external input channel is changed, a question about whether to switch game modes, and at least two remote control devices are activated.
도 17의 (c)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17의 (a) 내지 (b)와 반대로 원격제어장치에서 먼저 상기 원격제어장치를 활용하여 게임 모드를 실행하도록 요청하는 것이다. 이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에 포함될 수 있다. 즉, 게임 실행 요청을 하면, 부대하여 게임 모드 진입 요청이 함께 실행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of Fig. 17 (c) is, in contrast to Fig. 17 (a) and (b), to first request the remote control device to execute the game mode by utiliz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This can be included in the game application execution request. That is, when a game execution request is made, a game mode entry request can be executed concurrently.
도 17의 (d)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별도의 입력이 없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게임 모드 실행을 확인하고,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를 통한 게임 모드 진행을 권고할 수도 있다.The user interface of Fig. 17 (d) can confirm execution of the game mode on the display device (100) even without a separate input, and can also recommend game mode progression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8과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FIGS. 18 and 19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signal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원격제어장치(200)의 관점 그리고 도 19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관점일 수 있다.Fig. 18 may be a view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Fig. 19 may be a view from the display device (100).
먼저, 도 18을 참조하면, 컨트롤러(280)는 제1 이벤트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S101).First, referring to FIG. 18, the controller (280) can detect a first event signal (S101).
상기에서, 제1 이벤트 신호는 원격제어장치의 메인 바디로부터 보조 바디의 결합, 회전, 이탈 등에 대응하는 신호일 수 있다.In the above, the first event signal may be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rotation, separation, etc. of the auxiliary body from the main body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상기 제1 이벤트 신호는 게임 모드 전환 요청 입력 신호일 수 있다.The above first event signal may be a game mode switching request input signal.
상기 제1 이벤트 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게임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 수신, 실행 시작 신호 수신 등일 수 있다.The above first event signal may be a reception of a game application execution request, reception of an execution start signal, etc. from the display device (100).
컨트롤러(280)는 상기 감지된 제1 이벤트 신호에 기초하여 게임 모드 전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3).The controller (280) can determine whether to switch the game mode based on the detected first event signal (S103).
컨트롤러(280)는 상기 S103 단계 판단 결과 만약 상기 제1 이벤트 신호가 게임 모드 전환에 관한 신호로 판단되었으면, 제1 신호와 제2 신호를 차례로 출력할 수 있다(S105,S107).If the controller (280) determines in step S103 that the first event signal is a signal for game mode switching, it can sequentially output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S105, S107).
여기서, 상기 제1 신호는 원격제어장치가 게임 모드로 전환한다는 제어 커맨드가 포함된 신호일 수 있다.Here, the first signal may be a signal including a control command for the remote control device to switch to game mode.
상기에서 제2 신호는 원격제어장치가 게임 모드로 전환하였고 실행 레디 상태임을 알리는 제어 커맨드가 포함된 신호일 수 있다.The second signal above may be a signal including a control command notifying that the remote control device has switched to game mode and is ready to execute.
컨트롤러(280)는 상기 S105 또는/및 S107 단계 이후에 입력되는 신호가 있는지 식별할 수 있다(S109).The controller (280) can identify whether there is a signal input after step S105 or/and S107 (S109).
컨트롤러(280)는 상기 S109 단계 판단 결과 만약 입력 신호가 있으면, 제3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11).The controller (280) can output a third signal if there is an input signal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09 (S111).
상기에서, 입력 신호라 함은 상기 제1 및/또는 제2 신호의 출력 이후의 신호로서 게임 어플리케이션 실행 등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가 포함된 신호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에는 예컨대, 원격제어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원격제어장치와 모바일 기기 등의 페어링 유도 데이터, 게임 실행 데이터, 포커스 데이터 등 다양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input signal may be a signal including various data related to game application execution, etc., as a signal after the output of the first and/or second signal. The data may include, for example, pairing induction data for a remote control device and a display device (100), a remote control device and a mobile device, game execution data, focus data, etc.
상기에서, 제3 신호는 게임 모드 전환 이후에 원격제어장치에서 발생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가 포함된 신호를 나타낼 수 있다.In the above, the third signal may represent a signal containing game application related data generat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after the game mode is switched.
컨트롤러(280)는 상기 S111 단계를 통해 제3 신호를 출력하고 나면, 제2 이벤트 신호가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13).After the controller (280) outputs the third signal through the above step S111, it can determine whether the second event signal is detected (S113).
여기서, 상기 제2 이벤트 신호라 함은 예를 들어, 게임 모드에서 다른 재생 모드로의 전환, 게임 모드 또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등에 관한 제어 커맨드가 포함된 신호를 나타낼 수 있다.Here, the second event signal may represent a signal including a control command for, for example, switching from a game mode to another play mode, terminating a game mode or a game application, etc.
컨트롤러(280)는 상기 제2 이벤트 신호(예를 들어, 일반 모드로의 전환 등)가 감지되면, 감지된 제2 이벤트 신호에 따라 일반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S115).When the controller (280) detects the second event signal (e.g., switching to normal mode, etc.), it can switch to normal mode according to the detected second event signal (S115).
도 1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200) 등을 통행 외부 입력 전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201).Referring to FIG. 19, the display device (100) can receive an external input switching request from a remote control device (200) or the like (S20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수신된 외부 입력 전환 요청이 게임 모드 전환인지 판단할 수 있다(S203).The display device (100) can determine whether the received external input switching request is a game mode switching (S203).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판단 결과 만약 게임 모드 전환 요청이라고 판단되면,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S205).If the display device (100) determines that the above judgment result is a game mode switching request, it can generate and transmit a first control signal (S205).
상기에서 제1 제어 신호는 게임 모드로의 전환에 대한 알림, 게임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모드 전환 제어 데이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signal abov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notification for switching to a game mode, game application data, mode switching control data, etc.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전송하였으면, 컨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207).If the display device (100) transmits the first control signal, it can receive a confirm signal (S207).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컨펌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The above display device (100) can wait until the above confirmation signal is received.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컨펌 신호가 수신되면 원격제어장치(200)의 전환 동작 완료 및 제어 가능을 식별할 수 있다.When the above confirmation signal is received, the display device (100) can identify that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has been completed and that control is possible.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의 신호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대기할 수 있다(S209).Thereafter, the display device (100) can wait to receive a signal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S209).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신호가 제1 신호인지 판단할 수 있다(S211).When an input signal is received, the display device (100) can determine whether the signal is a first signal (S211).
이 때, 상기에서 제1 신호라 함은 예를 들어, 게임 모드의 실제 제어 데이터 즉,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를 통한 게임 제어 데이터가 포함된 신호를 나타낼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ignal above may represent, for example, a signal including actual control data of a game mode, that is, game control data via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판단 결과 만약 해당 신호가 제1 신호이면, 입력된 제1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S213).The display device (100) can process the input first signal if the signal is the first signal as a result of the above judgment (S213).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판단 결과 만약 해당 신호가 제1 신호가 아니면, 다시 신호 입력을 대기할 수 있다.If the display device (100) determines that the signal is not the first signal, it can wait for signal input again.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계속하여 반복 동작을 수행하면서 제2 신호가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215).Thereafter, the display device (100) can continuously perform a repetitive operation to determine whether a second signal is detected (S215).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판단 결과 만약 입력 신호가 제2 신호이면, 게임 모드를 종료(또는 다른 모드로 전환) 제어할 수 있다(S217).The display device (100) can control the game mode to end (or switch to another mode) if the input signal is the second signal as a result of the above judgment (S217).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a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디스플레이 장치130 : 방송 수신부
135 :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40 : 메모리
150 :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70 : 컨트롤러
173 :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80 : 디스플레이
185 : 스피커190 : 전원 공급 회로
200 : 원격제어장치270 :  DB
280 : 컨트롤러510 : 모드 판단부
520 : 신호 처리부530 : 신호 생성부
540 : 제어부100: Display device 130: Broadcast receiver
 135: External device interface 140: Memory
 150 : User Input Interface 170 : Controller
 173: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180: Display
 185 : Speaker 190 : Power supply circuit
 200 : Remote control device 270 : DB
 280: Controller 510: Mode Decision Unit
 520: Signal processing unit 530: Signal generation unit
 540 : Control Unit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10095629 | 2021-07-21 | ||
| KR1020210095629 | 2021-07-21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014672A KR20230014672A (en) | 2023-01-30 | 
| KR102698075B1true KR102698075B1 (en) | 2024-08-26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090457AActiveKR102698075B1 (en) | 2021-07-21 | 2022-07-21 | A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display device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698075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208849932U (en)* | 2018-10-22 | 2019-05-10 | 瑞摩特(鹰潭)科技发展有限公司 | A kind of changeable-shaped TV remote controller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208849932U (en)* | 2018-10-22 | 2019-05-10 | 瑞摩特(鹰潭)科技发展有限公司 | A kind of changeable-shaped TV remote controller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014672A (en) | 2023-01-30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3190786B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 |
| EP2801215B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 EP3790281B1 (en) | Image display device | |
| KR102479487B1 (en) | display device | |
| KR20210030469A (en) | Display device | |
| KR102632039B1 (en) | Display device | |
| KR102775281B1 (en) | A display device that manages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via Bluetooth communication and a method for managing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Bluetooth for the same | |
| KR102749062B1 (en) | A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KR102698075B1 (en) | A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display device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 |
| KR20220099791A (en) | A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system | |
| KR102582508B1 (en) | Display device | |
| KR20220160032A (en) | Display device and its operating method | |
| EP4336848A1 (en) | Wireless display system | |
| KR20200127415A (en) | Display device | |
| US20230026197A1 (en) | Display device | |
| KR102581857B1 (en) |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KR102500636B1 (en) | A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KR102775283B1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EXTERNAL APPARATUS USING Li-Fi SIGNAL GENERATED THEREFROM | |
| KR20250112819A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
| KR20240100602A (en) | Display devices, remote control devices, and display systems composed of them | |
| KR102858362B1 (en) | Display system | |
| KR102301310B1 (en) | A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KR102754315B1 (en) | Display device | |
| KR20250107855A (en) | Display device | |
| KR20170081454A (en) |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22072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40314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240522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40820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240821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