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예들은 청각 피드백을 제공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한 판 스프링 구조를 통하여 약물 주입 시작 시와 종료 시의 청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s relate to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providing auditory feedback,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uditory feedback at the start and end of drug injection through a simple plate spring structure.
당뇨병과 같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만성 질병이나, 알러지 환자의 과민성 쇼크와 같이 즉각적인 대처가 필요한 급성 발작의 경우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 사용자가 스스로 주사액을 주입할 수 있는 자가 주사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cases of chronic diseases such as diabetes that require continuous management, or acute attacks such as anaphylactic shock in allergy patients that require immediate response, autoinjectors that allow users to inject themselves without visiting a hospital are widely used.
휴대하고 다니다가 조건에 맞는 주사 주입 위치에 찔러넣으면 자동으로 바늘이 근육으로 삽입되고, 주사액이 스프링 등의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주입될 수 있는 펜 니들 형태의 오토 인젝터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A pen needle-type auto injector has been developed and is widely used, which can be carried around and inserted into an appropriate injection location, automatically inserting the needle into the muscle and automatically injecting the injection liquid by a spring or other device.
그런데 종래 오토 인젝터의 경우, 약물의 주입 시작 여부나 약물의 주입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약물 주입이 완료된 후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뽑아내었을 때, 오토 인젝터의 바늘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conventional auto injector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impossible to know whether the drug injection had started or whether the drug injection was complete. In addition, there was a disadvantage in that when the auto injector needle was pulled out from the user's body after the drug injection was complete, it was exposed to the outside.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주사액의 주입이 완료된 후 주사 바늘을 락킹하는 구조나, 주사액의 주입 상황을 알려줄 수 있는 피드백 구조를 가지는 오토 인젝터가 다수 개발되었다.To solve this problem, many auto injectors have been developed that have a structure that locks the injection needle after injection of the injection liquid is completed, or a feedback structure that can inform the injection status of the injection liqui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9765호에는 자동 피드백 기구를 구비하는 약물 주입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No. 10-2059765 discloses a drug injection device having an automatic feedback mechanism.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1)는 근위 단부(3a) 쪽으로 바이어스되도록 배치된 플런저 로드(11)와, 플런저(13)와, 기단 방향에서 플런저 로드(11)를 바이어스시키도록 배치되며 예를 들어 스프링일 수 있는 제 1 탄성 부재, 즉 에너지 축적 부재(15)와, 기단 방향에서 약물 전달 부재 커버(7)를 바이어스시키도록 배치된 제 2 탄성 부재 또는 에너지 축적 부재(9)와, 플런저 로드(11) 및 제 1 에너지 축적 부재(15)를 수용하도록 배치된 관형 회전자(17)와, 하우징(3)에 대해 축방향으로 및 회전방향으로 고정된 관형 연장 부재(5)와, 플런저 로드(11)를 수용하도록 배치되며 하기에서 관형 회전자(17)라고 불리는 관형 작동 부재(17)와, 제 1 에너지 축적 부재(15)를 수용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로드(19)와, 이후에 "U-브래킷"이라 불려지는 U-형상 브래킷으로 이후에 예시되는 신호 발생 부재(21)를 더 포함한다. 예시된 약물 전달 장치(1)는 약물 용기 홀더(23) 및 니들(25a)이 제공된 약물 용기(25)를 더 포함한다. 플런저(13)는 플런저 로드(11)의 선형 변위에 의해 약물 용기(25) 내를 주행하여, 니들(25a)을 통해 약물을 방출하도록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1, a drug deliver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ior art comprises a plunger rod (11) arranged to be biased toward the proximal end (3a), a plunger (13), a first elastic member, i.e., an energy accumulating member (15), which may be, for example, a spring, arranged to bias the plunger rod (11) in the proximal direction, a second elastic member or energy accumulating member (9) arranged to bias the drug delivery member cover (7) in the proximal direction, a tubular rotor (17) arranged to receive the plunger rod (11) and the first energy accumulating member (15), a tubular extension member (5) axially and rotatably fixed to the housing (3), a tubular operating member (17) arranged to receive the plunger rod (11) and referred to hereinafter as a tubular rotor (17), a rod (19) arranged to receive the first energy accumulating member (15), and subsequently It further comprises a signal generating member (21) exemplified hereinafter as a U-shaped bracket called a "U-bracket". The exemplified drug delivery device (1) further comprises a drug container holder (23) and a drug container (25) provided with a needle (25a). The plunger (13) is arranged to travel within the drug container (25) by linear displacement of the plunger rod (11) to discharge the drug through the needle (25a).
플런저 로드(11), 관형 연장 부재(5), 관형 작동 부재(17), 에너지 축적 부재(15) 및 신호 발생 부재(21)는 약물 전달 장치(1)에 대한 자동 피드백 기구(10) 또는 단순히 피드백 기구를 형성한다. 피드백 기구(10)는 사용자에게 약물 용기(25)로부터의 약물의 방출의 시작을 알리도록 배치된다.The plunger rod (11), the tubular extension member (5), the tubular actuating member (17), the energy accumulating member (15) and the signal generating member (21) form an automatic feedback mechanism (10) or simply a feedback mechanism for the drug delivery device (1). The feedback mechanism (10) is arranged to notify the user of the start of the discharge of the drug from the drug container (25).
사용하기 전에, 플런저 로드는 초기 위치에서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배치된다. 약물 전달 장치가 작동될 때, 즉 사용자가 약물 전달을 개시할 때, 플런저 로드는 초기 위치로부터 해제되고, 에너지 축적 부재에 의해 기단 방향으로 가압된다. 플런저 로드가 약물 방출의 개시를 위해 필요한 거리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변위되면, 플런저 로드의 제 1 섹션과 신호 발생 부재 사이의 접촉이 중단될 것이다. 따라서, 플런저 로드와 신호 발생 부재는, 플런저 로드의 초기 위치에서의 제 1 섹션 및 신호 발생 부재의 축방향 중첩이 상기 거리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제 1 섹션은 약물 방출의 개시를 위해 필요한 거리에 대응하는 플런저 로드 거리의 축방향 변위 동안에 신호 발생 부재만을 지지한다. 플런저 로드가 이러한 거리에 대응하는 양만큼 변위되면, 신호 발생 부재는 그 반경방향으로 바이어스되지 않은 상태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질 것이다. 이에 의해, 신호 발생 부재는 관형 연장 부재로부터 분리될 것이다. 따라서, 제 1 에너지 축적 부재에 의해 원위 방향으로 바이어스된 신호 발생 부재는 관형 연장 부재에 의해 더 이상 유지되지 않으며, 그에 따라 관형 연장 부재의 원위 내부 표면을 향하여 던져질 것이다. 이로 인해 "클릭(click)" 소리가 들리며, 또한 사용자에게 촉감을 준다.Before use, the plunger rod is positioned axially fixed in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drug delivery device is actuated, i.e. the user initiates drug delivery, the plunger rod is released from the initial position and is pushed proximally by the energy accumulating member. When the plunger rod is displaced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required for initiation of drug release, the contact between the first section of the plunger rod and the signal generating member will cease. Accordingly, the plunger rod and the signal generating member are designed such that the axial overlap of the first section and the signal generating member a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plunger rod is equal to or substantially equal to said distance. Accordingly, the first section only supports the signal generating member during the axial displacement of the plunger rod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required for initiation of drug release. When the plunger rod is displaced by an amount corresponding to this distance, the signal generating member will bend radially inwardly without being biased in its radial direction. Thereby, the signal generating member will separate from the tubular extension member. Therefore, the signal generating element that was biased distally by the first energy accumulating element is no longer retained by the tubular extension element and will therefore be thrown toward the distal inner surface of the tubular extension element. This results in an audible "click" sound and also a tactile sensation to the user.
그러나 종래의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경우, 락킹을 해제하고 플런저 로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부재와, 약물의 주입이 종료된 후 약물 용기 홀더를 락킹하기 위한 부재, 피드백을 발생하기 위한 부재를 각각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부품수가 많아지고, 조립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conventional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s, there were disadvantages in that the number of parts increased and assembly was complicated because the operating member for unlocking and operating the plunger rod, the member for locking the drug container holder after drug injection was completed, and the member for generating feedback were each separately provided.
따라서, 구조를 단순화하여 부품수를 절감하고 조립이 용이하면서, 락킹과 피드백이 가능한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that is simple in structure, reduces the number of parts, is easy to assemble, and enables locking and feedback.
다양한 실시예들은, 구조를 단순화하여 부품수를 절감하고 조립이 용이하면서, 락킹과 피드백이 가능한 자동 약물 주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Various embodiments aim to provide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that is simple in structure, reduces the number of parts, is easy to assemble, and enables locking and feedback.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의 단순한 구조를 추가하는 것으로 주입 시작음과 주입 완료음을 생성할 수 있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dditionally, various embodiments aim to provide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n injection start sound and an injection completion sound by adding one simple struct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자동 약물 주입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튜브형 하우징, 튜브형 하우징의 근위 단부에 결합되며, 튜브형 하우징 내외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활성화 부재, 활성화 부재를 기단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 부재, 튜브형 하우징 내부의 원위 단부에서 연장하도록 설치되는 튜브형 연장부재, 튜브형 연장부재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런저, 플런저를 기단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 부재, 플런저를, 락킹 상태를 유지하도록 소정의 락킹 위치로 고정하는 락킹 부재, 약물을 저장하는 약물 저장부와 피부를 침습하여 약물 저장부에 저장된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주사 바늘을 구비하고, 플런저의 근위 단부가 삽입되며 튜브형 하우징에 고정된 약물 용기 및 튜브형 연장부재의 근위 단부 인근에 형성되며, 근위 단부가 자유단이고 원위 단부가 고정단이며, 반경 내측 방향으로 탄성 이동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판 스프링을 포함하고, 활성화 부재가 외력에 의해 튜브형 하우징 내측으로 슬라이드하면 락킹 부재의 락킹 상태가 해제되어 제2 탄성 부재가 플런저를 가압하여 플런저가 이동하며 약물의 주입이 시작되며, 플런저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플런저의 이동 시, 상기 요철부에 의해 판 스프링이 반경 내측 방향으로 탄성 이동하며 청각 피드백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ubular housing forming an exterior, an activating member coupled to a proximal end of the tubular housing and slidably installed in and out of the tubular housing, a first elastic member urging the activating member in a proximal direction, a tubular extension member installed to extend from a distal end inside the tubular housing, a plunger slidably installed in the tubular extension member, a second elastic member urging the plunger in a proximal direction, a locking member fixing the plunger to a predetermined locking position to maintain a locked state, a drug storage unit storing a drug and an injection needle capable of injecting the drug stored in the drug storage unit by piercing the skin, a drug container into which the proximal end of the plunger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tubular housing, and one or more plate springs formed near the proximal end of the tubular extension member, the proximal end being a free end and the distal end being a fixed end, and being capable of elastically moving in a radially inward direction, and when the activating member slides into the tubular housing by an external force, the locked state of the locking member is maintained. The plunger is released, the second elastic member presses the plunger to move, and the drug injection begins. The plunger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protruding portions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and when the plunger moves, the plate spring elastically moves radially inward by the protruding portions, thereby generating auditory feedback.
또한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 약물 주입 장치는, 판 스프링은 튜브형 연장부재의 근위 단부의 측면 일부가 삭제된 공간에 형성되고 그 원위 단부는 튜브형 연장부재의 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some embodiments, the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 spring is formed in a space where a portion of a side of a proximal end of a tubular extension member is deleted, and its distal end is fixed to the side of the tubular extension member.
또한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 약물 주입 장치는, 판 스프링은 플런저의 락킹 상태에서, 탄성에 의해 플런저의 측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some embodiments, the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 spring contacts the side surface of the plunger by elasticity when the plunger is in a locked state.
또한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 약물 주입 장치는, 플런저의 측면에는, 플런저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플런저의 이동 시, 여러 횟 수의 청각 피드백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some embodiments, the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plunger so as to b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nger, so that multiple auditory feedbacks are generated when the plunger moves.
또한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 약물 주입 장치는, 요철부는 플런저의 근위 단부에 형성되어 주입 시작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some embodiments, the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ssed portion is formed at the proximal end of the plunger to generate an injection start sound.
또한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 약물 주입 장치는, 요철부는 플런저의 원위 단부에 형성되어 주입 완료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some embodiments, the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plunger to generate an injection completion sound.
또한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 약물 주입 장치는, 판 스프링의 근위 단부 인근에는 내측을 향해 절곡되는 아치 형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some embodiments, the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an arch shape is formed near the proximal end of the plate spring and is bent inward.
또한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 약물 주입 장치는, 판 스프링의 근위 단부 인근에는 내측을 향해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some embodiments, the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a bent portion is formed near the proximal end of the plate spring, which is bent inwardly.
또한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 약물 주입 장치는, 요철부는 측면 일부가 소정 깊이로 삭제되거나 돌출되어 형성되는 요철 요소 또는 측면 일부가 완전히 삭제되어 형성되는 쓰루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some embodiments, the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neven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n uneven element formed by deleting or protruding a portion of a side surface to a predetermined depth or a through hole formed by completely deleting a portion of a side surface.
또한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 약물 주입 장치는, 요철부는 길이 방향으로 집합적으로 나열되는 다수의 요철 요소 또는 쓰루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some embodiments, the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ssed por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recessed elements or through-holes arranged collective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실시예가 제공하는 약물 주입 장치는 구조가 단순하고 조립이 간단한 판 스프링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한 시점에서 다양한 종류의 청각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어, 부품수를 절감하고 구조가 단순하면서, 시각적, 촉각적,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drug injection device provided by the embodiment can generate various types of auditory feedback at various times by using a plate spring structure with a simple structure and easy assembly,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providing visual, tactile, and auditory feedback, which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o so.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락킹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락킹 해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400)의 사시도,
도 5는 주입 시작음의 발생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연장부재(500)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판 스프링(520)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플런저(400)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9는 주입 완료음의 발생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locked st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unlocked st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unger (4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xplain the occurrence of an injection start sound;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tubular extension member (5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late spring (52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lunger (400)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xplain the generation of an injection completion soun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개념은 많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로 제한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가 철저하고 완전하며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개념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예로서 제공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sufficiently convey the scope of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근위 단부"는 약물 방출이 제공될 수 있는 약물 전달 장치의 그 단부를 지칭한다. 따라서, 이는 주사 또는 방출 부위를 향해 뾰족해지는 약물 전달 장치의 그 단부이다. 이러한 정의는 또한, 약물 전달 장치의 임의의 내부 또는 외부 구성요소까지 확장하는데, 즉, 임의의 구성요소의 근위 단부는 약물 전달 장치의 근위 단부에 가장 가까운 단부이다. "원위 단부"는 근위 단부에 대해 반대쪽 단부이다.As used herein, the term "proximal end" refers to that end of a drug delivery device from which drug release can be provided. Thus, it is that end of the drug delivery device that is tapered toward an injection or release site. This definition also extends to any internal or external component of the drug delivery device, i.e., the proximal end of any component is the end closest to the proximal end of the drug delivery device. The "distal end" is the end opposite the proximal end.
"기단 방향"이란 약물 전달 장치의 중심축을 따라 원위 단부로부터 근위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원위 방향"이란 "기단 방향"과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Proximal direction" means the direction from the distal end to the proximal end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drug delivery device. "Distal direction" means the direction opposite to "proximal direc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단면도이다. 특히 도 2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락킹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바람직하게 자동 약물 주입 장치는 최초 락킹 상태로 제조된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 2 illustrates a locking state of the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and preferably, the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is manufactured in an initially locked state.
본 실시예에서 자동 약물 주입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튜브형 하우징(100)을 구비하고, 튜브형 하우징(100)의 근위 단부 측에는 튜브형 하우징(100) 내외로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활성화 부재(200)와, 활성화 부재(200)를 기단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 부재(300)를 포함한다. 활성화 부재(200)의 근위 단부는 약물 주입 전, 주사 바늘(720)을 그 내측에 수용하기 위하여 튜브형 하우징(100)의 근위 단부 밖으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튜브형 하우징(100)의 원위 단부에는 그를 폐쇄하기 위한 후면 캡(110)이 조립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has a tubular housing (100) forming an exterior, and includes an activating member (200) axially slidably installed in and out of the tubular housing (100) at a proximal end side of the tubular housing (100), and a first elastic member (300) that presses the activating member (200) in a proximal direction. The proximal end of the activating member (200) is exposed outside the proximal end of the tubular housing (100) to accommodate an injection needle (720) therein before drug injection. In addition, a rear cap (110) for closing the distal end of the tubular housing (100) can be assembled thereto.
튜브형 하우징(100) 원위 단부의 내측에는 근위 단부를 향해서 연장하는 튜브형 연장부재(500)가 설치될 수 있다. 튜브형 연장부재(500)는 튜브형 하우징(100)에 고정되어, 상대적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튜브형 연장부재(500)는 내부 공동을 구비하는 튜브형 구조로서, 그 내부 공동에서 플런저(40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A tubular extension member (500) extending toward the proximal end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distal end of the tubular housing (100). The tubular extension member (500) is fixed to the tubular housing (100) and does not move relatively. The tubular extension member (500) is a tubular structure having an internal cavity, and a plunger (400) is slidably installed in the internal cavity.
제2 탄성 부재(600)가 튜브형 연장부재(500)와 플런저(400) 사이에 설치되며, 제2 탄성 부재(600)는 플런저(400)를 기단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압축된 상태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플런저(400)는 그 일부, 특히 원위 단부측 일부가 내부 공동을 가진 튜브형 구조로 형성되어, 그 내부 공동에 제2 탄성 부재(60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고, 제2 탄성 부재(600)의 타측은 튜브형 연장부재(500)의 원위 단부를 지지하는데, 이러한 구조로 플런저(400)를 기단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A second elastic member (600) is installed between the tubular extension member (500) and the plunger (400),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600) is installed in a compressed state so as to be able to pressurize the plunger (400) in the proximal direc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nger (400) is formed as a tubular structure with an internal cavity at a portion thereof, particularly, a portion thereof at a distal end thereof,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600) is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cavity,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600) supports the distal end of the tubular extension member (500), and with this structure, the plunger (400) can be pressed in the proximal direction.
튜브형 연장부재(500)의 내부 공동에는 튜브형 연장부재(500)의 원위 단부로부터 근위 단부를 향해 연장하는 소정 길이의 플런저 가이드(5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런저(400)는 튜브형 연장부재(500)의 측면과 플런저 가이드(510) 사이의 공간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드할 수 있으며, 또한 제2 탄성 부재(600) 역시 그 압축과 신장 시에 플런저 가이드(510)에 의해 가이드 될 수 있다.A plunger guide (510) of a predetermined length extending from a distal end of the tubular extension member (500) toward a proximal end may be formed in the inner cavity of the tubular extension member (500). In this case, the plunger (400) may slide smoothly in the space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tubular extension member (500) and the plunger guide (510),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600) may also be guided by the plunger guide (510) during compression and extension.
튜브형 연장부재(500)의 종단부, 즉 근위 단부 인근에는 판 스프링(520)이 형성된다. 판 스프링(520)은, 바람직하게는 튜브형 연장부재(500)의 측면 일측에서, 튜브형 연장부재(5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판 스프링(520)의 원위 단부는 튜브형 연장부재(500)의 측면 일측에 고정되는 한편, 그 타측인 근위 단부는 고정되지 않는 자유단을 형성하도록 설치된다. 실시예를 달리하여, 판 스프링(520)은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다른 요소에 의해 그 원위 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 스프링(520)은 튜브형 하우징(100)의 측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판 스프링(520)은 하나 혹은 다수가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한 플런저(400)와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청각 피드백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A plate spring (520) is formed near the end of the tubular extension member (500), that is, the proximal end. The plate spring (520) is preferably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ular extension member (500) on one side of the side of the tubular extension member (500). In addition, the distal end of the plate spring (52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side of the tubular extension member (500), while the other side, the proximal end, is installed to form a free end that is not fixed. In a different embodiment, the distal end of the plate spring (520) may be fixed by another element of the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For example, the plate spring (520) may be fixed to the side of the tubular housing (100). One or more plate springs (520) may be formed, and they play a role of generating auditory feedback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plunger (400) described below.
락킹 부재(800)는 역시 튜브형 하우징(100)의 내측에 형성되어, 플런저(400)를 락킹 위치에 고정하여 락킹 상태가 유지되게 한다. 활성화 부재(200)가 튜브형 하우징(100) 내측으로, 즉 원위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며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락킹 상태를 해제하기 전까지는, 플런저(400)는 제2 탄성 부재(600)의 가압에도 불구하고 기단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락킹 부재(800)에 의해 락킹 위치에 고정된다.The locking member (800) is also formed on the inside of the tubular housing (100) to fix the plunger (400) in the locking position so that the locked state is maintained. Until the activating member (200) slides inside the tubular housing (100), i.e., in the distal direction, to release the locked state of the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the plunger (400) is fixed in the locking position by the locking member (800) so as not to move in the proximal direction despite the pressurization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600).
반면 활성화 부재(200)가 외력에 의해 튜브형 하우징(100) 내측으로 슬라이드하면 락킹 부재(800)의 락킹 상태가 해제되어 제2 탄성 부재(600)가 플런저(400)를 가압하여 플런저(400)가 이동하며 약물의 주입이 시작될 수 있다. 활성화 부재(200)는 튜브형 하우징(100)의 내측에서 그 원위 단부를 향해 연장하는 활성화 암(21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활성화 부재(200)가 튜브형 하우징(100) 내측으로(원위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 활성화 암(210)이 함께 슬라이드하며 락킹 부재(800)를 원위 방향으로 밀고, 락킹 부재(800) 또한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플런저(400)의 락킹 상태가 해제되어, 플런저(400)가 제2 탄성 부재(600)의 가압에 의해 이동하며 약물의 주입이 시작될 수 있다. 활성화 부재(200)가 락킹 부재(800)의 락킹을 해제하는 매커니즘은 종래 기술에 따른 어떠한 트리거 매커니즘을 채용하여도 무방하여, 트리거 매커니즘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도시와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ctivating member (200) slides inside the tubular housing (100) by an external force,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member (800) is released, the second elastic member (600) presses the plunger (400), so that the plunger (400) moves, and the injection of the drug can begin. The activating member (200) may include an activating arm (210) extending from the inside of the tubular housing (100) toward its distal end. Therefore, when the activating member (200) slides inside the tubular housing (100) (in the distal direction), the activating arm (210) slides together and pushes the locking member (800) in the distal direction, and the locking state of the plunger (400) is released as the locking member (800) also moves in the distal direction, so that the plunger (400) moves by the pressurization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600), and the injection of the drug can begin. The mechanism by which the activation member (200) releases the locking member (800) may employ any trigger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the trigger mechanism is outsid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rawing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활성화 부재(200)의 근위 단부 말단에는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접촉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면의 중앙에는 홀이 구비되어 활성화 부재(200)가 튜브형 하우징(100) 내측으로 슬라이드하면 주사 바늘(720)이 상기 홀을 통해 노출된다.A contact surface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skin may be formed at the proximal end of the activation member (200). A hole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ontact surface, and when the activation member (200) slides inside the tubular housing (100), the injection needle (720) is exposed through the hole.
튜브형 하우징(100)에는 약물을 저장하는 약물 저장부(710)와 저장된 약물을 체내로 주입하기 위한 주사 바늘(720)을 구비하는 약물 용기(700)가 설치된다. 약물 용기(700)는, 활성화 부재(200)나 플런저(400)의 이동과 무관하게 튜브형 하우징(100)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A drug container (700) having a drug storage section (710) for storing a drug and an injection needle (720) for injecting the stored drug into the body is installed in the tubular housing (100). The drug container (700) maintains a fixed position in the tubular housing (100) regardless of movement of the activating member (200) or the plunger (400).
플런저(400)는, 락킹 상태에서 이미 그 근위 단부가 약물 용기(700) 내에 삽입되어 있다. 그에 따라, 락킹이 해제되면, 플런저(400)는 약물 저장부(710) 내에서 기단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며 약물을 밀어 내어 주사 바늘(720)을 통해 약물이 체내로 주입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플런저(400)의 근위 단부에는 약물 저장부(710) 내에서 더욱 기밀하게 약물을 밀어내기 위한 플런저 단부(410)가 추가로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플런저 단부(41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된다.The plunger (400) has its proximal end already inserted into the drug container (700) in the locked state. Accordingly, when the locking is released, the plunger (400) slides in the proximal direction within the drug storage unit (710) to push out the drug, so that the drug can be injected into the body through the injection needle (7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lunger end (410) for pushing out the drug more tightly within the drug storage unit (710) may be additionally coupled to the proximal end of the plunger (400). Preferably, the plunger end (410)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튜브형 하우징(100)의 측면 중 약물 용기(700)에 대응하는 위치의 측면은 그 일부가 삭제되어 창(W)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약물 저장부(710)가 투명한 경우, 상기 창(W)을 통하여 사용자는 저장된 약물의 양이나 자동 약물 주입 장치가 활성화됐을 때의 약물 주입 상황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A portion of the side of the tubular housing (100) corresponding to the drug container (700) may be removed to form a window (W). In particular, when the drug storage unit (710) is transparent,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amount of drug stored or the drug injection status when the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is activated through the window (W).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단면도로서 특히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락킹이 해제되어, 즉 활성화되어 약물 주입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락킹 상태의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각 구성 요소의 위치와 비교하여, 활성화 부재(200)는 튜브형 하우징(100) 내측으로, 즉 원위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었으며, 그에 따라 주사 바늘(720)이 노출되었다. 또한 락킹 부재(800)에 의한 플런저(400)의 락킹 상태가 해제되어, 플런저(400)가 제2 탄성 부재(600)의 가압에 의해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는 기단 방향의 종단 위치까지 이동하여 약물의 주입이 완료되었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particular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is unlocked, i.e., activated, and drug injection is completed. Compared to the positions of each component of the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in the locked state of FIG. 2, the activation member (200) has slid inside the tubular housing (100), i.e., in the distal direction, and thus the injection needle (720) has been exposed. In addition, the locked state of the plunger (400) by the locking member (800) has been released, and the plunger (400) has moved to a terminal position in the proximal direction where it can no longer move due to the pressurization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600), and the drug injection has been comple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400)의 사시도이다. 플런저(400)의 측면에는 하나 혹은 다수의 요철부(420a, 420b, 420c)가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는 측면 일부가 소정 깊이로 삭제되는 오목부 또는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돌출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요철부는 측면 일부가 관통이 가능하도록 완전히 삭제되어 형성되는 쓰루홀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에서 요철부(420a, 420b)는 비교적 측면 두께가 얇은 플런저(400)의 원위 단부에 형성되었다는 점에서 쓰루홀로 형성되었으며, 요철부(420c)는 측면 두께가 두꺼운 플런저(400)의 근위 단부에 형성되어, 소정 깊이만을 삭제한 오목부로 형성되었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unger (4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recessed portions (420a, 420b, 420c)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plunger (400). The recessed portion may include either a concave portion in which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is deleted to a predetermined depth or a protrusion that protrudes to a predetermined height. In addition, the recessed portion may include a through-hole in which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is completely deleted to allow penetration. In FIG. 4, the recessed portions (420a, 420b) are formed as through-holes in that they are formed at a distal end of the plunger (400) with a relatively thin side surface, and the recessed portion (420c) is formed at a proximal end of the plunger (400) with a thick side surface, and is formed as a recessed portion with only a predetermined depth deleted.
요철부는 전술한 형태와 관계없이, 높이 차이에 의한 튜브형 연장부재(500)의 판 스프링(520)의 탄성 이동을 유발한다는 공통된 작용을 할 수 있다. 특히 플런저(400)의 원위 단부에 형성된 요철부(420a, 420b)는 탄성 이동을 통한 주입 완료음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근위 단부에 형성된 요철부(420c)는 탄성 이동을 통한 주입 시작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예시와 달리 요철부는 더 많은 수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당업자는 원하는 시점에서의 청각 피드백을 발생시키기 위한 플런저(400)의 적절한 위치와 개수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Regardless of the aforementioned shape, the uneven portion can have a common function of causing elastic movement of the plate spring (520) of the tubular extension member (500) due to a height difference. In particular, the uneven portion (420a, 420b)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plunger (400) can generate an injection completion sound through elastic movement, and the uneven portion (420c) formed at the proximal end can generate an injection start sound through elastic movement. Unlike the present example, the uneven portion can be formed in greater number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select an appropriate position and number of plungers (400) to generate auditory feedback at a desired time point.
도 5는 판 스프링(520)과 플런저(400)의 요철부(420c)의 작용에 의해 주입 시작음이 발생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락킹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5의 (b)는 락킹 상태가 해제되어 약물 주입이 시작된 시점을 도시한 것이다.FIG.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generating an injection start sound by the action of a plate spring (520) and a protruding portion (420c) of a plunger (400). FIG. 5 (a) illustrates a locking state as described in FIG. 2, and FIG. 5 (b) illustrates a point in time when the locking state is released and drug injection begins.
본 실시예에서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플런저(400)의 근위 단부에 요철부(420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판 스프링(520)의 근위 단부 인근에는 내측을 향해 절곡되는 아치 형상(521)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판 스프링(520)은 플런저(400)의 락킹 상태에서, 탄성에 의해 플런저(400)의 측면에 접하며, 반경 내측 방향으로 탄성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판 스프링(520)의 근위 단부가 플런저(400)의 측면과 간섭이 발생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판 스프링(520)은 자유단인 근위 단부가 플런저(400)의 측면과 접한다. 락킹이 해제되어 플런저(400)가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기단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 판 스프링(520)의 자유단인 근위 단부가 오목부로 형성된 요철부(420c)를 만나게 되고, 이 때 탄성에 의해 판 스프링(520)의 근위 단부가 반경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판 스프링(520)의 일측이 플런저(400)의 측면과 충돌하며 클릭음, 즉 주입 시작음을 생성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s in the embodiment of FIG. 4, a protruding portion (420c) is formed at the proximal end of the plunger (400). In addition, an arch shape (521) that is bent inward is formed near the proximal end of the plate spring (520). Preferably, the plate spring (520) is installed so that it contacts the side surface of the plunger (400) by elasticity when the plunger (400) is locked, and can elastically move in the radially inward direction. That is, the proximal end of the plate spring (520) is installed so that it interferes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plunger (400). In this case, the proximal end of the plate spring (520), which is a free end, contacts the side surface of the plunger (400). When the locking is released and the plunger (400) starts to move in the proximal direction as indicated by the arrow, the proximal end, which is the free end of the plate spring (520), encounters the concave portion (420c), and at this time, the proximal end of the plate spring (520) can move in the radial inward direction due to elasticity. As a result, one side of the plate spring (520) collides with the side of the plunger (400), and a click sound, i.e., an injection start sound, can be generated.
아치 형상(521)은 플런저(400)와 판 스프링(520)과의 간섭을 만들기 위한 목적에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아치 형상(521)이 반경 방향의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경우, 상기 아치 형상(521)과 플런저(400)의 간섭으로 인해 서로 측면이 접하며 판 스프링(520)이 반경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반경 내측 방향을 향해 이동하려는 탄성을 가지게 된다. 이 탄성에 의해 상기 아치 형상(521)이 플런저(400)의 요철부(420c)를 만나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며 주입 시작음을 생성할 수 있다.The arch shape (521) may be formed for the purpose of creating interference between the plunger (400) and the plate spring (520). That is, when the arch shape (521) is formed to face radially inward,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arch shape (521) and the plunger (400) causes their sides to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plate spring (520) may spread out in the radial direction, thereby obtaining elasticity to move radially inward. Due to this elasticity, when the arch shape (521) meets the uneven portion (420c) of the plunger (400), it may move radially inward and generate an injection start soun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연장부재(500)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판 스프링(520)은 튜브형 연장부재(500)의 근위 단부의 측면 일부가 삭제된 공간에 형성되고 판 스프링(520)의 원위 단부는 튜브형 연장부재(500)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판 스프링(520)은 고정단인 원위 단부로부터 기단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도록 형성되며, 근위 단부는 자유단이므로, 근위 단부가 탄성에 의해 반경 방향 내지 반경 내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판 스프링(520)은 하나 이상 형성되면 무방하나, 충분한 청각 피드백의 생성과 균형을 위하여, 도 6와 같이 대칭이 되도록 한 쌍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tubular extension member (5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preferably, a plate spring (520) is formed in a space where a portion of a side surface of a proximal end of the tubular extension member (500) is deleted, and a distal end of the plate spring (520) is installed to be fixed to a side surface of the tubular extension member (500). The plate spring (520) is formed to extend long from the distal end, which is a fixed end, in the proximal end direction, and since the proximal end is a free end, the proximal end can move radially or radially inwardly due to elasticity. It is acceptable to form one or more plate springs (520), but in order to generate sufficient auditory feedback and ensure balance, it is preferable that one or more pairs are formed symmetrically as illustrated in FIG. 6.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판 스프링(520)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대로 판 스프링(520)은 바람직하게는 튜브형 연장부재(500)의 삭제된 측면에서 기단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며, 대칭쌍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도 7의 (a)에서 판 스프링(520)은 근위 단부 인근에서 내측을 향해 절곡되는 원형 아치 형상(521)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도 7의 (b)에서 판 스프링(520)은 근위 단부 인근에서 내측을 향해 절곡되는 삼각 아치 형상(522)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도 7의 (c)에서 판 스프링(520)은 근위 단부 인근에서 내측을 향해 절곡되는 절곡부(523)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late spring (52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late spring (520) is preferably formed to extend in the proximal direction from the deleted side surface of the tubular extension member (500), and is formed to form a symmetrical pair. In FIG. 7 (a), the plate spring (520) is formed to include a circular arch shape (521) that is bent inwardly near the proximal end, and in FIG. 7 (b), the plate spring (520) is formed to include a triangular arch shape (522) that is bent inwardly near the proximal end. In FIG. 7 (c), the plate spring (520) is formed to include a bent portion (523) that is bent inwardly near the proximal end.
상기 아치 형상(521, 522)과 절곡부(523)가 튜브형 연장부재(500) 내에서 슬라이드 하는 플런저(400)와 간섭이 발생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판 스프링(520)은 플런저(400)의 간섭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그에 따라 플런저(400)의 요철부(420a, 420b, 420c)와 아치 형상(521, 522) 또는 절곡부(523)가 만나면, 탄성에 의해 판 스프링(520)의 근위 단부는 반경 내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판 스프링(520)의 원위 단부는 튜브형 하우징(100) 내의 다른 요소, 예를 들어 튜브형 하우징(100)의 측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판 스프링(520)의 원위 단부는 인서트 사출, 본딩, 압입 등의 방법으로 튜브형 연장부재(500)의 측면 내지 튜브형 하우징(100) 내의 다른 요소와 결합할 수 있다.When the above arch shapes (521, 522) and the bent portion (523) are formed so as to interfere with the plunger (400) sliding within the tubular extension member (500), the plate spring (520) is radially spread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 plunger (400). Accordingly, when the uneven portions (420a, 420b, 420c) of the plunger (400) and the arch shapes (521, 522) or the bent portion (523) meet, the proximal end of the plate spring (520) can move radially inward due to elasticity. 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the distal end of the plate spring (520) may be fixed to another element within the tubular housing (100), for example, a side surface of the tubular housing (100). The distal end of the plate spring (520) can be joined to the side of the tubular extension member (500) or to other elements within the tubular housing (100) by insert injection, bonding, press-fitting, or other methods.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플런저(400)의 부분 확대 사시도로서, 도 8의 (a)는 플런저(400)의 원위 단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8의 (b)는 플런저(400)의 근위 단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요철부(420a, 420b, 420c)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 위치에 모여, 즉 집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길이 방향으로 집합적으로 나열되는 경우, 순간적으로 여러 번의 클릭음이 발생하므로, 청각 피드백의 전달이 더욱 명확해질 수 있다. 도 8의 (a)에서 플런저(400)의 원위 단부에 요철부(420b)가 집합적으로 나열되었으며, 이로써 주입 완료음이 더욱 명확하게 전달될 수 있다. 도 8의 (b)에서 플런저(400)의 근위 단부에 요철부(420c)가 역시 집합적으로 나열되었으며, 이로써 주입 시작음이 더욱 명확하게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런저(400)에 형성되는 요철부의 개수와 위치 등을 통하여 다양한 종료의 청각 피드백을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FIG. 8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lunger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of FIG.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distal end of the plunger (400), and (b) of FIG.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roximal end of the plunger (400). The protruding portions (420a, 420b, 420c) may be gather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formed collectively, and when they are collectively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is way, multiple click sounds may be generated instantaneously, so that the transmission of auditory feedback may be made clearer. In (a) of FIG. 8, the protruding portions (420b) are collectively arranged at the distal end of the plunger (400), thereby enabling the injection completion sound to be transmitted more clearly. In (b) of FIG. 8, the protruding portions (420c) are also collectively arranged at the proximal end of the plunger (400), thereby enabling the injection start sound to be transmitted more clearly. In this way, various types of auditory feedback can be easily generated as needed through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s formed on the plunger (400).
도 9는 판 스프링(520)과 플런저(400)의 요철부(420a, 420b)의 작용에 의해 주입 완료음이 발생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9의 (a), (b), (c), (d)가 차례로 약물 주입의 완료 시점에서의 플런저(400)의 상태를 시간 순으로 보여준다. 락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플런저(400)는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기단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며, 탄성에 의해 플런저(400) 측면을 누르도록 가압하는 판 스프링(520)의 근위 단부, 즉 아치 형상(521)은, 약물 주입의 완료 시점에서, 1차적으로 플런저(400) 원위 단부의 요철부(420b)와 만나게 된다. 이 때 탄성에 의해 판 스프링(520)의 근위 단부가 반경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로써 판 스프링(520)의 일측이 플런저(400)의 측면과 충돌하며 클릭음, 즉 1차 주입 완료음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플런저(400)는 기단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여, 판 스프링(520)의 아치 형상(521)은 2차적으로 플런저(400) 원위 단부의 요철부(420a)와 만나게 된다. 이 때 탄성에 의해 판 스프링(520)의 근위 단부가 반경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로써 판 스프링(520)의 일측이 플런저(400)의 측면과 충돌하며 클릭음, 즉 2차 주입 완료음을 생성할 수 있다.FIG. 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n automatic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generating an injection completion sound by the action of the plate spring (520) and the uneven portions (420a, 420b) of the plunger (400). FIG. 9 (a), (b), (c), and (d) sequentially show the state of the plunger (400) at the completion point of drug injection in chronological order. In the unlocked state, the plunger (400) continues to move in the proximal direction as shown by the arrow, and the proximal end of the plate spring (520), i.e., the arch shape (521) that presses the side of the plunger (400) by elasticity, primarily meets the uneven portion (420b) of the distal end of the plunger (400) at the completion point of drug injection. At this time, the proximal end of the plate spring (520) can move inwardly along the radius due to elasticity, thereby causing one side of the plate spring (520) to collide with the side of the plunger (400) and generate a click sound, i.e., a first injection completion sound. In addition, the plunger (400) continues to move in the proximal direction, so that the arch shape (521) of the plate spring (520) secondarily meets the uneven portion (420a) of the distal end of the plunger (400). At this time, the proximal end of the plate spring (520) can move inwardly along the radius due to elasticity, thereby causing one side of the plate spring (520) to collide with the side of the plunger (400) and generate a click sound, i.e., a second injection completion sound.
100: 튜브형 하우징200: 활성화 부재
300: 제1 탄성 부재400: 플런저
420: 요철부500: 튜브형 연장부재
520: 판 스프링600: 제2 탄성 부재
700: 약물 용기800: 락킹 부재100: Tubular housing 200: Activation member
 300: First elastic member 400: Plunger
 420: uneven part 500: tubular extension part
 520: Plate spring 600: Second elastic member
 700: Drug container 800: Locking absenc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042181AKR102694753B1 (en) | 2023-03-30 | 2023-03-30 | Auto-injector with auditory feedback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042181AKR102694753B1 (en) | 2023-03-30 | 2023-03-30 | Auto-injector with auditory feedback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694753B1true KR102694753B1 (en) | 2024-08-14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30042181AActiveKR102694753B1 (en) | 2023-03-30 | 2023-03-30 | Auto-injector with auditory feedback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694753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30012966A (en)* | 2010-03-31 | 2013-02-05 | 에스에이치엘 그룹 에이비 | Medicament delivery device | 
| US20150290393A1 (en)* | 2009-10-08 | 2015-10-15 | Shl Group Ab | Medicament Delivery Device | 
| JP2016534790A (en)* | 2013-10-31 | 2016-11-10 |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 Drug delivery device | 
| KR20180015672A (en)* | 2015-06-03 | 2018-02-13 | 사노피-아벤티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 Drug delivery device | 
| US20220215779A1 (en)* | 2019-06-26 | 2022-07-07 | Shl Medical Ag | Drive mechanism for a medicament delivery training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50290393A1 (en)* | 2009-10-08 | 2015-10-15 | Shl Group Ab | Medicament Delivery Device | 
| KR20130012966A (en)* | 2010-03-31 | 2013-02-05 | 에스에이치엘 그룹 에이비 | Medicament delivery device | 
| US20210085883A1 (en)* | 2010-03-31 | 2021-03-25 | Shl Medical Ag | Medicament delivery device | 
| JP2016534790A (en)* | 2013-10-31 | 2016-11-10 |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 Drug delivery device | 
| KR20180015672A (en)* | 2015-06-03 | 2018-02-13 | 사노피-아벤티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 Drug delivery device | 
| US20220215779A1 (en)* | 2019-06-26 | 2022-07-07 | Shl Medical Ag | Drive mechanism for a medicament delivery training device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925336B2 (en) | Cassette for a hidden injection needle | |
| JP6868644B2 (en) | Drive assembly for drug delivery equipment | |
| CN102046231B (en) | Needle protection assembly | |
| KR101946682B1 (en) | Injection device | |
| KR20220024522A (en) | Support structures, drug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of assembly | |
| JP2011524792A (en) | Automatic injection mechanism with front support wall | |
| JP2017529941A (en) | Injection device | |
| JP2014500090A (en) | Self-injection delivery mechanism | |
| CN109069745B (en) | Injection device | |
| CN117771479A (en) | Sounding mechanism of pre-filling and sealing automatic injection pen and pre-filling and sealing automatic injection pen | |
| KR102694753B1 (en) | Auto-injector with auditory feedback | |
| KR102694750B1 (en) | Auto-injector with auditory feedback | |
| KR102694745B1 (en) | Auto-injector with auditory feedback | |
| KR102676491B1 (en) | Auto-injector | |
| KR102694737B1 (en) | Auto-injector with auditory feedback | |
| KR102694755B1 (en) | Auto-injector | |
| KR102694740B1 (en) | Auto-injector | |
| KR102682090B1 (en) | Auto-injector | |
| KR102694749B1 (en) | Auto-injector | |
| KR102682092B1 (en) | Trigger structure of auto-injector | |
| KR102676490B1 (en) | Auto-injector | |
| KR102682089B1 (en) | Auto-injector | |
| KR20240177922A (en) | Auto-injector | |
| KR102682087B1 (en) | Auto-injector | |
| KR20250001230A (en) | Auto-injector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23033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230330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20230406 Patent event code:PA03022R01D Comment text: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31124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240729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40808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240809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