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IoT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거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리 시스템 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station with IoT function and a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최근에는 OTA(online travel agency) 시장의 확산으로 숙박 업소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수는 증가하는 반면, 이에 따른 숙박 업소의 수익률은 저하되고 있다. 즉, OTA 업계의 확산에 따른 가격전쟁의 심화로, OTA 수수료 상승(약15~25%)으로 인해 숙박 업소의 수익율이 악화되고 있으며 이는 전반적인 서비스의 품질 하락을 가져오고 있다.Recently, the number of people using lodging establishments is increasing due to the expansion of the OTA (online travel agency) market, while the profitability of lodging establishments is decreasing accordingly. In other words, as the price war intensifies due to the expansion of the OTA industry, the profitability of lodging establishments is worsening due to the increase in OTA commissions (approximately 15-25%), which is leading to a decline in overall service quality.
숙박 업소의 가장 큰 비용 지출은 인건비에 해당한다. 최근 기사에 따르면 서울 시내의 특급 호텔의 경우 매출의 30%를 인건비로 지출한다는 보고가 있다. 뿐만 아니라, 관광숙박시설 확충을 위한 특별법으로 서울 시내의 호텔은 2012년 786개에서 2017년에는 1617개로 2배 이상 증가하여 공급과잉으로 가격 경쟁의 심화와 상승하는 최저 시급으로 인하여 객실과 관련된 인력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숙박 업소에서의 서비스 품질 저하 문제는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The biggest expense for lodging businesses is labor costs. According to a recent article, there is a report that luxury hotels in downtown Seoul spend 30% of their sales on labor costs. In addition, due to the special law for the expansion of tourist accommodation facilities, the number of hotels in Seoul more than doubled from 786 in 2012 to 1,617 in 2017, resulting in intensifying price competition due to oversupply and rising minimum hourly wages, resulting in a shortage of manpower related to rooms. This is being reduced to the minimum. Accordingly, the problem of deteriorating service quality in lodging establishments is constantly occurring.
이에 따라, 숙박 업계는 비용절감이나 새로운 서비스, 부가가치 제공을 통한 해결책을 요구하고 있다.Accordingly, the lodging industry is demanding solutions through cost reduction, new services, and added value.
이와 관련하여, 숙박 업소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불편사항으로는 체크인이나 체크아웃시 시간이 몰려 있어 장시간 줄을 서서 기다리는 불편함이나, 컨시어지 이용 시 대면 대화의 불편함, 체크인 후 주변 즐길 거리의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없는 부분으로 인한 불편함 등이 있다.In this regard, the inconveniences of users of lodging establishments include the inconvenience of waiting in line for a long time due to rush hour during check-in or check-out, the inconvenience of face-to-face conversation when using the concierge, and the inconvenience of not receiving information about nearby entertainment after check-in. There are inconveniences due to parts that are not easily accessible.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 통합형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mart integrated lodg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IoT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거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purpose of providing a wireless charging station with IoT functionality and a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NFC 리더기로 작동하는 단말기; NFC 태그(tag)를 포함하여 숙박 업소에 설치된 도어락; 및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도어락의 NFC 태그를 읽는 경우, 상기 NFC 태그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락을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operating as an NFC reader; Door locks installed in lodging establishments including NFC tags; And a cloud server that grants permission to the terminal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when the terminal reads the NFC tag of the door lock, connects to the cloud server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NFC tag, The cloud server provides a lodging management system that controls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lock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NFC 태그에 저장된 정보는 URL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UR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NFC tag includes URL information, and the terminal connects to the cloud server based on the URL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수신한 단말기의 정보가 상기 숙박 업소를 예약한 사용자의 단말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ud server grants authority to the terminal when the received terminal information matches the terminal of the user who reserved the accommoda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은 무선 충전 거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단말기에게 권한이 부여된 경우, 상기 무선 충전 거치 장치를 통해 상기 숙박 업소의 이용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ommodation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station, and the cloud server provides usage information of the accommodation establishment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when permission is granted to the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trolled to do so.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단말기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에만 리더기로 작동하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ud server authorizes the terminal to operate as a reader only for a preset period of ti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기 설정된 기간은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된 숙박 업소의 체크인 시점부터 체크아웃 시점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t period is from the time of check-in to the time of check-out of the accommodation registered in the cloud server of the user of the terminal.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NFC 리더기로 작동하는 단말기가 숙박 업소에 설치된 도어락의 NFC 태그를 읽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NFC 태그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우드 서버로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락을 오픈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숙박 업소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terminal operating as an NFC reader reads the NFC tag of a door lock installed in a lodging establishment, the terminal connects to a cloud server based on information stored in the NFC tag; and controlling the cloud server to open the door lock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숙박 업소의 관리자의 경우, 체크인 또는 체크아웃과 관련된 인건비를 줄일 수 있고, 숙박 업소에 들어가는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수집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홍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agers of lodging establishments can reduce labor costs related to check-in or check-out, reduce energy costs for lodging establishments, and collect big data.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used for promo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숙박 업소의 사용자의 경우,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숙박 업소를 이용 및 관리할 수 있고, 단말기의 언어로 전세계의 숙박 업소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users of lodging establishments can use and manage lodging establishments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application, and can use lodging establishments around the world in the language of th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숙박 업소의 사용자의 경우, 추천 관광지 정보 또는 교통 안내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users of lodging establishments can directly check recommended tourist attraction information or traffic information on the user'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의 전체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을 체크인용 키오스크에 이용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으로 객실 도어락을 오픈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으로 객실 컨시어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의 서비스 개념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 업소 관리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accommod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entire system of an accommod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ing a lodging management system in a check-in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opening a room door lock using a lodg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providing a room concierge service with a lodg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ervice concept of an accommod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sequence of the lodging business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서,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should be understood as not precluding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y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No.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 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Additionally, each configuration, process, process, or method included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hared within the scope of not being technically contradictory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중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NFC(Near Filed Communication) 기술은 무선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 중 하나로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면서, 10c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다양한 무선 데이터를 주고받는 비접촉식 통신 기술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echnology amo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may be used. NFC (Near Filed Communication) technology is one of the wireless ta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ies and is a non-contact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exchanges various wireless data at a close distance of less than 10cm while using the 13.56MHz frequency band.
이러한 NFC 기술은 통신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주목받는 차세대 근거리 통신 기술이다. 이때, NFC 기술을 사용하기 위하여 태그되는 NFC 태그는 아주 작은 칩(chip)과 데이터 송수신용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다.This NFC technology is a next-generation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is attracting attention due to its relatively excellent security and low price due to its short communication distance. At this time, the NFC tag used to use NFC technology consists of a very small chip and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한편, 이러한 NFC 용 태그 스티커에 단말기를 갖다 대면 별도의 연결절차 없이 전용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되므로, 결제 뿐만 아니라 일반 상점에서 물품 정보나 방문객을 위한 여행 정보 전송, 교통, 출입 통제 잠금장치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Meanwhile, when you touch the terminal to this NFC tag sticker, it connects to a dedicated application without a separate connection procedure, so it is widely used not only for payment, but also for transmitting product information or travel information for visitors in general stores, transportation, and access control locks. There is a situ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NFC 기술을 단말기를 NFC 리더기로하고, 숙박 업소의 객실의 도어락, 무선 충전 거치 장치 또는 체크인 키오스크 기계에 NFC 태그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NFC technology is characterized by using the terminal as an NFC reader and assigning an NFC tag to a door lock, wireless charging station, or check-in kiosk machine of a hotel roo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accommod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100)은 단말기(110), 클라우드 서버(120), 도어락(130) 및 무선 충전 거치 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lodg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include a terminal 110, a cloud server 120, a door lock 130, and a wireless charging station 140.
단말기(110)는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를 지칭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110)는 NFC 리더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110)는 NFC 태그를 포함하여 리더기에 읽혀지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말기(110)는 NFC 리더부(111)를 포함하여 NFC 리더기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rminal 110 refers to a general mobile terminal.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110 may include an NFC reader unit 111.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110 generally includes an NFC tag and performs the role of being read by a reader. Howev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110 includes an NFC reader unit 111 and is an NFC read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operates as.
이에 따라, 단말기(110)는 도어락(130)의 NFC 태그(131)를 읽는 경우, NFC 태그(131)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우드 서버(120)에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10)는 NFC 태그(131)에 저장된 클라우드 서버(120)의 접속 URL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우드 서버(120)에 접속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terminal 110 reads the NFC tag 131 of the door lock 130, it can access the cloud server 120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NFC tag 131. For example, the terminal 110 may access the cloud server 120 based on the access URL information of the cloud server 120 stored in the NFC tag 131.
클라우드 서버(120)는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의 관리자로서,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락(130)을 잠그거나 열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loud server 120 is a manager of the lodging management system and can control the door lock 130 to lock or open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110.
클라우드 서버(120)는 URL을 통해 접속한 단말기(110)의 정보가 숙박 업소를 예약한 사용자의 단말기와 일치하는 경우, 단말기(110)에게 객실에 대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객실에 대한 권한에는 도어락(130)의 개폐 권한 및 무선 충전 거치 장치(140)의 사용 권한을 포함할 수 있다.If th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10 accessed through the URL matches the terminal of the user who reserved the accommodation, the cloud server 120 may grant the terminal 110 permission to the room. At this time, the authority for the guest room may include the authority to open and close the door lock 130 and the authority to us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40.
또한, 클라우드 서버(120)는 단말기(110)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에만 NFC 리더기로 작동하도록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기간은 단말기(110)의 사용자의 클라우드 서버(120)에 등록된 숙박 업소의 체크인 시점부터 체크아웃 시점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dditionally, the cloud server 120 may authorize the terminal 110 to operate as an NFC reader only for a preset period. At this time, the preset period is characterized as being from the time of check-in to the time of check-out of the lodging establishment registered in the cloud server 120 of the user of the terminal 110.
이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120)는 단말기(110)에게 권한이 부여된 경우, 무선 충전 거치 장치(140)를 통해 숙박 업소의 이용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이하의 도면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Accordingly, when permission is granted to the terminal 110, the cloud server 120 can control the terminal 110 to provide usage information of lodging establishments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140. This will be explained in detail in the drawings below.
도어락(130)은 숙박 업소의 각각의 객실의 문을 개폐할 수 있는 전자 장치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어락(130)은 NFC 태그(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NFC 태그(131)는 클라우드 서버로 접속할 수 있는 URL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lock 130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can open and close the door of each room in a lodging establishmen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lock 130 may include an NFC tag 131. At this time, the NFC tag 131 may include URL information that can connect to the cloud server.
무선 충전 거치 장치(140)는 디스플레이(141), 거치대(142) 및 와이파이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거치 장치(140)는 클라우드 서버(120)로 수신한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14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holder 140 may include a display 141, a holder 142, and a Wi-Fi module 143. The wireless charging holder 140 may outpu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loud server 120 through the display 141 to provide it to the user.
무선 충전 거치 장치(140)는 거치대(142)에 단말기(110)가 거치되는 경우 자동으로 무선 충전을 시작할 수 있다. 이때 거치대(142)는 디스플레이(141)를 가리지 않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holder 140 can automatically start wireless charging when the terminal 110 is placed on the holder 142. At this time, the holder 142 can be installed in a direction that does not block the display 141.
무선 충전 거치 장치(140)는 와이파이 모듈(143)을 통하여 객실 내부의 도어락, 조명, TV 및 온도 조절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이하의 도면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wireless charging holder 140 can control the door lock, lighting, TV, and temperature control inside the room through the Wi-Fi module 143. This will be explained in detail in the drawings below.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의 전체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entire system of an accommod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말기(210)의 사용자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없이 단말기(210)를 이용하여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다. 이는 단말기(210)를 도어락(230) 또는 무선 충전 거치 장치(240a, 240b)에 태그하여 단말기(210)가 클라우드 서버(220)로 접속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A user of the terminal 210 can access the accommod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the terminal 210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application. This is possible by tagging the terminal 210 to the door lock 230 or the wireless charging holder (240a, 240b) so that the terminal 210 connects to the cloud server 220.
즉, 단말기(210)의 사용자는 숙박 업소에 입장하여 체크인 키오스크(240a)에 단말기(210)를 태깅할 수 있다. 이때, 체크인 키오스크(240a)에 포함된 NFC 태그에 기초하여 단말기(210)는 클라우드 서버(220)에 접속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of the terminal 210 can enter the lodging establishment and tag the terminal 210 on the check-in kiosk 240a. At this time, the terminal 210 can access the cloud server 220 based on the NFC tag included in the check-in kiosk 240a.
클라우드 서버(220)는 접속된 단말기(210)의 정보를 확인하여 단말기(210)의 사용자가 해당 숙박 업소를 이용하는 사용자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 cloud server 220 can check the information of the connected terminal 210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of the terminal 210 matches the user using the corresponding lodging establishment.
클라우드 서버(220)는 단말기(210)가 인증된 경우, 해당 숙박 업소 객실(260)의 체크인 시간부터 체크아웃 시간까지 단말기(210)에게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If the terminal 210 is authenticated, the cloud server 220 may grant authority to the terminal 210 from the check-in time to the check-out time of the hotel room 260.
마찬가지로, 단말기(210)의 사용자는 객실(260)의 도어락(230)을 개폐하기 위하여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기(210)의 사용자는 객실(260)에 입장하기 위하여 도어락(230)에 단말기(210)를 태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락(230)에 포함된 NFC 태그에 기초하여 단말기(210)는 클라우드 서버(220)에 접속할 수 있고, 클라우드 서버(220)는 단말기(210)에게 권한을 부여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Likewise, the user of the terminal 210 may perform the same operation to open and close the door lock 230 of the guest room 260. That is, the user of the terminal 210 can tag the terminal 210 to the door lock 230 in order to enter the guest room 260. Accordingly, based on the NFC tag included in the door lock 230, the terminal 210 can access the cloud server 220, and the cloud server 220 can determine whether to grant permission to the terminal 210. .
이후, 단말기(210)의 사용자는 객실(260) 내 무선 충전 거치 장치(240b)를 사용하기 위하여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기(210)의 사용자는 객실(260)에 입장한 이후 무선 충전 거치 장치(240b)를 사용하기 위하여 무선 충전 거치 장치(240b)에 단말기(210)를 태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충전 거치 장치(240b)에 포함된 NFC 태그에 기초하여 단말기(210)는 클라우드 서버(220)에 접속할 수 있고, 클라우드 서버(220)는 단말기(210)에게 권한을 부여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Thereafter, the user of the terminal 210 may perform the same operation to us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40b in the guest room 260. That is, the user of the terminal 210 may tag the terminal 210 to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240b in order to use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240b after entering the guest room 260. Accordingly, the terminal 210 can access the cloud server 220 based on the NFC tag included in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240b, and the cloud server 220 determines whether to grant permission to the terminal 210. You can dec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동작은 최초 체크인 단계에서 한번만 수행될 수도 있으나 체크인 단계, 도어락(230)의 개폐 단계, 무선 충전 거치 장치(240b)의 이용 단계에서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최초 체크인 단계에서 단말기(210)가 권한을 부여받는 경우, 이후의 도어락(230)의 개폐 단계 또는 무선 충전 거치 장치(240b)의 이용 단계에서 권한을 추가적으로 부여받지 않더라도 단말기(210)는 권한을 가진 상태로 도어락(230)의 개폐 및 무선 충전 거치 장치(240b)의 정보 제공을 이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may be performed only once in the initial check-in step, but may be performed repeatedly in the check-in step, the opening and closing step of the door lock 230, and the use step of the wireless charging holder 240b. That is, if the terminal 210 is granted permission in the initial check-in stage, the terminal 210 is granted permission even if permission is not additionally granted in the subsequent opening and closing stage of the door lock 230 or the use stage of the wireless charging holder 240b. It is possible to us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lock 230 and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charging holder (240b) in a state with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클라우드 서버(220)는 빅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20)는 객실(260) 별 고유 태그 정보를 부여하여 객실(260) 내부의 상황을 체크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의 관리자(250)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매출 분석 및 예측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또한,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의 관리자(250)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숙박 업소의 사용자의 이용 패턴 분석 시스템 역시 개발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ud server 220 can secure big data. The cloud server 220 can check the situation inside the room 260 by assigning unique tag information to each room 260 and accumulate data. Accordingly, the manager 250 of the lodging busines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velop a sales analysis and prediction program using big data. In addition, the manager 250 of the lodging business management system can also develop a system for analyzing usage patterns of users of lodging establishments using big data.
클라우드 서버(220)는 숙박 업소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예약 및 체크인 일정에 따른 단말기(210)의 권한을 부여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서버(220)는 숙박 업소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소셜 로그인 및 회원 가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cloud server 220 can authorize and manage the terminal 210 according to the reservation and check-in schedule of users using lodging establishments. At this time, the cloud server 220 may store social login and membership registration information of users using the lodging establishment.
또한, 클라우드 서버(220)는 일회용 URL을 활용하여 재사용 및 외부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서버(220)가 도어락(230)의 NFC 태그에 부여하는 URL 정보를 일회용으로 사용하여 단말기(210)의 사용자가 일회성으로 URL을 접속할 수 있고 한번 사용된 URL 정보는 다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과거에 숙박 업소를 이용한 고객이 다시 방문을 했을 때 새로운 권한 부여 없이는 객실(260)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loud server 220 can utilize disposable URLs to prevent reuse and external use. That is, the cloud server 220 uses the UR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NFC tag of the door lock 230 one-time so that the user of the terminal 210 can access the URL one-time, and the URL information used once is not used again. Security can be strengthened. Through this, security issues can be solved because customers who have used the lodging establishment in the past cannot use the room 260 without new authorization when they visit again.
또한, 숙박 업소의 관리자(250)와의 커뮤니케이션의 문제 발생으로 도어락 키를 전달받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예약된 기간에만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210)로만 출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안 및 도어락 키 전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blem of not receiving the door lock key may not occur due to communication problems with the manager 250 of the lodging establishment. In other words, since access is possible only through the authorized terminal 210 only during the reserved period, security and door lock key delivery problems can be solved.
또한, 숙박 업소의 관리자(250)는 클라우드 서버(220)에 축적된 빅데이터를 확보하고 대쉬보드를 개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숙박 업소의 관리자(250)는 객실(260) 내 사용 환경을 분석하고, 객실(260) 사용자의 요청 사항을 점검 및 기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숙박 업소의 관리자(250)는 객실(260)을 이용한 고객의 취향을 분석하고 고객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숙박 업소의 관리자(250)는 고객의 선호 스타일을 추천할 수 있고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anager 250 of the lodging establishment can secure big data accumulated in the cloud server 220 and develop a dashboard. For example, the manager 250 of a lodging establishment may analyze the usage environment within the guest room 260 and check and record requests from users of the guest room 260. In addition, the manager 250 of the lodging establishment can analyze the tastes of customers using the room 260 and manage customer information. Through this, the manager 250 of the lodging establishment can recommend the customer's preferred style and use it for marketing.
또한, 도 2의 실시예에서 클라우드 서버(220)와 숙박 업소 관리자(250)가 상이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숙박 업소 관리자(250)가 클라우드 서버(220)의 관리자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FIG. 2, the cloud server 220 and the lodging establishment manager 250 are shown as different, bu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dging establishment manager 250 is the manager of the cloud server 220. It can b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을 체크인용 키오스크에 이용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체크인용 키오스크는 상술한 무선 충전 거치 장치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객실 내에서 이용되는 경우 컨시어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치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체크인 단계에서 이용되는 경우 체크인용 키오스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Fig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ing a lodging management system in a check-in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check-in kiosk may correspond to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described above. That is, when used in a guest room, the wireless charging stand can function as a stand that provides concierge services, and when used at the check-in stage, it can function as a check-in kiosk.
또한, 체크인용 키오스크는 단말기의 소셜(social) 간편 로그인 및 간편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체크인용 키오스크는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통하여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다.Additionally, the check-in kiosk can perform simple social login and payment through the terminal. At this time, the check-in kiosk can receive permission from the cloud server through the terminal's phone number.
보다 상세하게는, 체크인용 키오스크는 내부에 NFC 태그를 포함하고 있어, NFC 리더기로 작동하는 단말기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로 접근하면, 단말기는 체크인용 키오스크 내부에 있는 NFC 태그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heck-in kiosk contains an NFC tag inside, so when a terminal operating as an NFC reader approaches within a preset range, the terminal can connect to the cloud server using the NFC tag inside the check-in kiosk. there 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체크인용 키오스크 내부에 있는 NFC 태그 내 클라우드 서버의 접속 정보를 인코딩하여 클라우드 서버로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체크인용 키오스크 내부에 있는 NFC 태그로부터 URL 정보를 수신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can connect to the cloud server by encoding the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cloud server in the NFC tag inside the check-in kiosk. For example, the terminal can connect to the cloud server by receiving URL information from the NFC tag inside the check-in kiosk.
이후, 클라우드 서버는 단말기의 소셜 간편 로그인을 통하여 본인 인증을 요구할 수 있다. 단말기의 정보가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된 예약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클라우드 서버는 체크인용 키오스크에 해당 단말기에 대한 권한 허용을 설정할 수 있다.Afterwards, the cloud server may request identity authentication through the terminal's social simple login. If the terminal's information matches the reservation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cloud server, the cloud server can set permissions for the terminal to the check-in kiosk.
또한, 체크인용 키오스크는 NFC 태그 기술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통한 간편 결제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체크인용 키오스크는 NFC 태그 기술을 이용하여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없이 자동으로 단말기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heck-in kiosk uses NFC tag technology to enable simple payment through the terminal. At this time, the check-in kiosk can use NFC tag technology to automatically transmit a signal to the terminal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application.
이후, 체크인용 키오스크는 단말기와 간편 결제를 진행하거나 키오스크를 통하여 카드 또는 현금 결제를 진행하여 체크인을 완료할 수 있다.Afterwards, the check-in kiosk can complete check-in by making a simple payment with the terminal or by making a card or cash payment through the kiosk.
클라우드 서버는 체크인용 키오스크를 통하여 체크인이 완료되면 단말기에게 해당 객실에 대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는 단말기를 체크인 이후 시점부터 NFC 태그의 리더기로 동작하게 설정할 수 있다.The cloud server can grant the terminal permission to the room when check-in is completed through the check-in kiosk. Additionally, the cloud server can set the terminal to operate as an NFC tag reader from the point after check-in.
또한, 예약되지 않은 단말기가 체크인용 키오스크에 태깅된 경우, 체크인용 키오스크는 원하는 타입의 잔여 객실 여부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절차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기 객실 선택 이후 결제 및 체크인을 수행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an unreserved terminal is tagged in a check-in kiosk, the check-in kiosk can display whether there are remaining rooms of the desired type on the display. Afterwards, the procedure is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o payment and check-in can be performed after room selection.
이를 통하여, 숙박 업소의 관리자 및 고객은 비대면으로 체크인을 할 수 있어 관리자는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고 고객은 대면으로 체크인을 수행해야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Through this, managers and customers of lodging establishments can check in non-face-to-face, allowing managers to save labor costs and reducing the inconvenience of customers having to check in face-to-fac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으로 객실 도어락을 개폐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opening and closing a room door lock using a lodg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의 사용자가 객실의 도어락에 단말기를 태깅하는 경우, 단말기는 도어락에 포함된 NFC 태그로부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 가능한 URL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는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서버는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통하여 권한 부여 시간을 확인한 후 단말기에게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of the terminal tags the terminal to the door lock of the guest room, the terminal can obtain URL information that can access the cloud server from the NFC tag included in the door lock. Accordingly, the terminal can access the cloud server through a web browser. At this time, the cloud server can confirm the authorization time through the terminal'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n grant the authorization to the terminal.
이후, 단말기가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도어락 개폐에 대한 권한을 부여받는 경우, 도어락은 클라우드 서버의 제어에 따라 단말기에 의해 도어락을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식별 정보가 클라우드 서버의 해당 객실의 예약자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을 오픈할 수 있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어락을 오픈하지 않을 수 있다.Afterwards, when the terminal is granted authority to open and close the door lock from the cloud server, the door lock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loud server. For example, i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matches the reserv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room in the cloud server, the door lock may be opened, and if it does not match, the door lock may not be open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가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권한을 부여받는 단계는 최초의 1회만 실행될 수 있고, 한번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권한을 부여받은 단말기는 이후에는 클라우드 서버로의 접속 없이도 도어락을 개폐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the terminal being granted permission from the cloud server can be executed only once, and once the terminal has been granted permission from the cloud server, it can subsequently open and close the door lock without access to the cloud server. can do.
또한, 체크인 키오스크를 통하여 단말기가 1회 권한의 인증 여부를 확인한 이후에도 도어락에서 한번더 단말기가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보안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after the terminal checks whether the authority has been authenticated once through the check-in kiosk, security can be further strengthened by checking whether the terminal has the authority one more time through the door lock.
또한, 체크인 키오스클 통하여 단말기는 단말기의 식별 정보 이외의 임의의 번호를 부여받을 수 있고, 이후 단말기는 부여받은 임의의 번호를 도어락의 개폐에 이용할 수 있다.Additionally, through the check-in kiosk, the terminal can be assigned an arbitrary number other than the terminal'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terminal can then use the assigned arbitrary number to open and close the door lock.
또한, 단말기와 클라우드 서버, 클라우드 서버와 도어락은 와이파이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도어락의 개폐는 블루투스를 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는 와이파이보다 블루투스가 배터리를 적게 사용하기 때문에 도어락 자체가 문을 개폐하는 것은 블루투스로도 충분히 사용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블루투스의 경우 항상 온(on) 상태로 전원을 활성화시켜도 소비 전력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즉, 이 경우 권한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가 도어락에 문의 오픈 명령을 내리는 경우, 도어락은 블루투스를 통하여 문을 오픈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어락 본체는 배터리로 작동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terminal, cloud server, cloud server, and door lock can be connected via Wi-Fi, and the door lock can be opened and closed via Bluetooth. This is because Bluetooth uses less battery than Wi-Fi, so the door lock itself can be used to open and close the door using Bluetooth.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Bluetooth, power consumption is not large even if it is always turned on. That is, in this case, when the cloud server issues a command to open the door to the door lock according to authority, the door lock can open the door through Bluetooth. Additional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door lock body may be operated by a battery.
또한, 클라우드 서버는 복수대에 단말기에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실을 예약한 사람이 1명 이상인 경우 복수대의 단말기에 권한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예약자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의 식별 정보가 확인되면, 복수의 단말기에게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loud server can grant authority to multiple terminals. For example, if there is more than one person who has reserved a room, it is necessary to set permissions on multiple terminals. In this case, i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confirmed based on the reserv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cloud server, permission can be granted to a plurality of terminals.
또한, 도어락을 리더기로 쓰는 경우 NFC 태그를 포함하는 등록된 카드만 사용할 수 있는데, 단말기를 리더기로 쓰는 경우 클라우드 서버가 단말기를 관리하게 되여 단말기의 빅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using a door lock as a reader, only registered cards containing an NFC tag can be used, but when using a terminal as a reader, a cloud server manages the terminal and can collect big data from the terminal.
또한, 도어락을 리더기로 쓰는 경우에는 등록된 카드를 잃어버리는 경우 카드를 습득한 사람이 도어락을 오픈할 수 있으나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가 단말기를 잃어버리면 보통 바로 신고를 하기 때문에 보안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using a door lock as a reader, if the registered card is lost, the person who obtained the card can open the door lock, but in the case of a terminal, security can be further strengthened because the user usually reports immediately if the terminal is lost.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으로 객실 컨시어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providing a room concierge service with a lodg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말기의 사용자가 객실의 도어락을 오픈한 뒤 객실에 입장하는 경우에는 무선 충전 거치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When the terminal user enters the room after opening the room door lock,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can be used.
보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체크인 키오스크 및 도어락과 동일하게 무선 충전 거치 장치 역시 NFC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를 무선 충전 거치 장치의 거치대에 태깅하는 경우, 단말기는 무선 충전 거치 장치를 통하여 객실 내부를 제어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like the check-in kiosk and door lock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ay also include an NFC tag. At this time, when tagging the terminal to the holder of the wireless charging holder, the terminal can control the interior of the room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holder.
단말기는 웹 방식을 적용하여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없이 NFC를 통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객실 내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terminal applies the web method and can control the interior of the room by connecting to the cloud server through NFC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applic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무선 충전 거치 장치에 접속하는 경우, 무선 충전 거치 장치의 NFC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해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다.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nnecting to a wireless charging station, the terminal may receive NFC tag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connect to the cloud server, and receive permission from the cloud server.
이에 따라,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단말기가 무선 충전 거치 장치에 거치가 되어 있지 않더라도 단말기가 권한을 부여받은 시간동안 단말기가 객실 내부를 제어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can allow the terminal to control the interior of the room during the time the terminal is authorized, even if the terminal is not mounted on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이때, 단말기는 무선 충전 거치 장치에 단말기를 거치한 후 일정 시간 동안 객실 내부의 제어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단말기의 거치가 불안정하거나 연결이 원활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다시 한번 인식해주세요”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erminal can be given control of the interior of the room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mounting the terminal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 addition, the wireless charging holder can output a message such as “Please recognize again” through the display if the terminal is unstable or the connection is not smooth.
또한, 단말기가 무선 충전 거치 장치를 통하여 객실 내부의 제어 권한을 획득한 이후,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단말기에게 다양한 룸서비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주문 가능한 음식 종류를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후,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음식을 선택받을 수 있고, 선택된 음식에 대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로 와이파이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고, 클라우드 서버는 룸서비스에 대한 주문 처리를 할 수 있다.Additionally, after the terminal acquires control rights inside the room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holder, the wireless charging holder can provide various room service functions to the terminal through the display. For example, a wireless charging station can output the types of food that can be ordered through a display. Afterwards,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can receive food selection from the user,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food to the cloud server via Wi-Fi, and the cloud server can process orders for room service.
특히,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NFC, QR코드 이용 가능 및 무선 충전이 모두 지원 가능하도록 개발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무선 충전과 NFC 간섭을 차단하며 제어 컨텐츠와 함께 무선 충전을 지원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particular, a wireless charging station can be developed to support NFC, QR code, and wireless charging. That is, the wireless charging holder blocks wireless charging and NFC interference and may include a module that supports wireless charging along with control content.
이에 따라, 사용자가 무선 충전을 위해 무선 충전 거치 장치의 거치대에 단말기를 올려놓더라도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무선 충전 서비스와 별도로 객실 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와이파이 모듈을 통하여 와이파이를 통해 객실 내부의 도어락, 조명, TV 및 온도 조절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와이파이를 통하여 객실 내부를 컨트롤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와이파이를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user places the terminal on the stand of the wireless charging stand for wireless charging, the wireless charging stand can control the interior of the room separately from the wireless charging service. In addition,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can control the door lock, lighting, TV, and temperature control inside the room through Wi-Fi through the Wi-Fi module. At this time,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can control the interior of the room through Wi-Fi. At this time, the wireless charging holder can automatically connect to Wi-Fi.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상술하는 체크인 및 체크아웃 키오스크와 도어락이 수행하는 객실 문의 개폐 역시 수행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erform the opening and closing of room doors performed by the check-in and check-out kiosk and door lock described above.
또한,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숙박 업소 주변의 맛집, 즐길 거리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can provide information on restaurants and things to enjoy around the lodging establishment through the display.
또한,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NFC 유도 전류를 이용한 전원 공급 기술로써 NFC 활성화를 통한 무선 충전이 가능하며, NFC를 이용한 광고 및 메뉴를 활성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charging holder is a power supply technology using NFC induced current, enabling wireless charging through NFC activation, and can activate advertisements and menus using NFC.
또한,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단말기의 브랜드(예를 들어, 삼성, LG, 화웨이)에 관계없이 충전이 가능하다.Additionally, the wireless charging holder is capable of charging regardless of the brand of the terminal (eg, Samsung, LG, Huawei).
또한,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무선 충전 지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단말기를 거치하는 경우 무선 충전을 시작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는 거부감 없이 무선 충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wireless charging stand device can start wireless charging when the terminal is placed even without installing a wireless charging support application. Through this, users can use the wireless charging service without feeling reluctant to install the application.
또한, 단말기를 리더기로 쓰고 무선 충전 거치 장치에 NFC 태그를 포함하는 경우, 무선 충전 거치 장치를 통하여 단말기가 숙박하는 동안 어떤 주문을 했는지를 클라우드 서버에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Additionally, if you use the terminal as a reader and include an NFC tag in the wireless charging holder, information about what orders the terminal placed during your stay can be collected from the cloud server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holder.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의 서비스 개념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ur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ervice concept of an accommod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제 1 플랫폼(Platform (A)) 또는 제 2 플랫폼(Platform (B))을 통하여 숙박 업소를 예약하는 경우, 사용자의 예약 정보가 클라우드 서버를 통하여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에 등록된다.More specifically, when a user makes a reservation for an accommodation through the first platform (Platform (A)) or the second platform (Platform (B)), the user's reservation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e accommodation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cloud server. do.
이 경우, 클라우드 서버는 플랫폼의 종류(예를 들어, 익스피디아, 부킹닷컴, 아고다 및 에어비앤비 등)의 관계없이 단 한번의 소셜 로그인으로 플랫폼 간의 계정을 동기화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서버는 사용자의 로그인을 통하여 예약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loud server can synchronize accounts between platforms with a single social login, regardless of the type of platform (e.g. Expedia, Booking.com, Agoda, Airbnb, etc.). In other words, the cloud server can store reserv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user's login.
이후, 단말기 또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들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 또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들은 NFC 태그에 저장된 URL 정보를 획득하여 웹 브라우저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Afterwards, the terminal or at least one IoT device can access the cloud server through a web browser. At this time, the terminal or at least one IoT device can obtain URL information stored in the NFC tag and access the cloud server through a web brow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무선 충전 거치 장치에 단말기를 거치하는 경우 자동으로 IoT 센서들과 통신이 되는 IoT 서버로 접속되고 클라우드 서버를 통하여 객실 내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rminal is mounted on a wireless charging device, the terminal is automatically connected to an IoT server that communicates with IoT sensors and can control the interior of the room through a cloud server.
이때, 단말기와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와이파이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으며,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클라우드 서버를 통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무선 충전 거치 장치에 거치한 뒤 TV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클라우드 서버에 제어에 기초하여 TV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TV를 제어하기 위하여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객실 내부에 존재하는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최소한의 센서는 무선 충전 거치 장치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terminal and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can communicate via Wi-Fi, and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can be controlled through a cloud server.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is mounted on a wireless charging holder and then wants to control the TV, the wireless charging holder can control the TV based on control from the cloud server. At this time, in order to control the TV,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may include an infrared sensor. In other words,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 minimum sensor for controlling the system existing inside the room can be included in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또한, 본 발명의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은 클라우드 서버가 도어락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하여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클라우드 서버는 게이트웨이(gateway)를 통하여 브로드캐스트 컨버터와 와이파이를 통해 통신하고, 브로드캐스트 컨버터와 도어락은 블루투스를 통해 통신하여 도어락의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즉, 컨버터와 도어락의 통신까지 와이파이로 하는 경우 배터리를 많이 소모하기 때문에 브로드캐스트 컨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도어락의 개폐를 위하여 명령을 전송하는 과정은 블록체인 기술을 통하여 보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dging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roadcast converter in order for the cloud server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lock. More specifically, the cloud server communicates with the broadcast converter through Wi-Fi through a gateway, and the broadcast converter and the door lock communicate through Bluetooth to reduce battery consumption of the door lock. In other words, if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verter and the door lock is done via Wi-Fi, a broadcast converter can be used because it consumes a lot of battery. At this time,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 command to open and close the door lock from the cloud server can be secured through blockchain technology.
또한, 무선 충전 거치 장치는 와이파이 공유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면의 WAS 및 IoT 서버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can function as a Wi-Fi router. Additionally, the WAS and IoT servers in the drawing can use blockchain technology.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 업소 관리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sequence of the lodging business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S710)에서, NFC 리더기로 작동하는 단말기가 숙박 업소에 설치된 도어락의 NFC 태그를 읽는 경우, 단말기는 NFC 태그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우드 서버로 접속할 수 있다. 이때, NFC 태그에 저장된 정보는 URL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In step S710, when a terminal operating as an NFC reader reads the NFC tag of a door lock installed in a lodging establishment, the terminal can connect to the cloud server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NFC tag.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NFC tag may correspond to URL information.
단계(S720)에서, 클라우드 서버에서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락을 개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는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에게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클라우드 서버는 수신한 단말기의 정보가 숙박 업소를 예약한 사용자의 단말기와 일치하는 경우, 단말기에게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서버는 단말기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에만 리더기로 작동하도록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기간은 단말기의 사용자가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된 숙박 업소의 체크인 시점부터 체크아웃 시점까지일 수 있다.In step S720, the cloud server may control the door lock to be opened or closed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The cloud server can grant permission to the terminal based on the terminal's identification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if the received terminal information matches the terminal of the user who reserved the accommodation, the cloud server may grant permission to the terminal. At this time, the cloud server may authorize the terminal to operate as a reader only for a preset period. Here, the preset period may be from the time the user of the terminal checks in to the time he checks out of the lodging establishment registered in the cloud server.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NFC 리더기로 작동하는 단말기가 숙박 업소에 설치된 무선 충전 거치 장치의 NFC 태그를 읽는 경우, 단말기는 NFC 태그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우드 서버로 접속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는 단말기의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충전 거치 장치를 통해 숙박 업소의 이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a terminal operating as an NFC reader reads the NFC tag of a wireless charging station installed in a lodging establishment, the terminal can connect to the cloud server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NFC tag. The cloud server can provide information on the use of lodging establishments through a wireless charging station based on information on the terminal.
이에 따라, 숙박 업소의 관리자의 경우, 셀프 체크인을 할 때 소셜(social) 회원 가입 및 로그인을 통해 셀프 체크인을 할 수 있고,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단말기에 대한 인증 키를 발급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ly, managers of lodging establishments can self-check-in by registering and logging in as social members, and can reduce labor costs by issuing authentication keys for terminals through a cloud server. .
또한, 숙박 업소의 관리자의 경우, 별도의 배선 공사 없이 단기간에 공사가 가능하며, 오래된 건물에도 IoT 기능을 도입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해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managers of lodging establishments, construction can be done in a short period of time without separate wiring work, and by introducing IoT functions even in old buildings, real-time monitoring is possible and energy costs can be reduced.
또한, 숙박 업소의 관리자의 경우, 수집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타겟(target)을 마케팅할 수 있고, 숙박 업소의 토탈 IoT 구현을 통한 홍보 역시 가능하다.In addition, managers of lodging establishments can market their targets using collected big data, and promotions can also be made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otal IoT in lodging establishments.
또한, 숙박 업소의 관리자의 경우, 로그인된 고객에 대한 타겟 광고가 가능하며 로그인된 고객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case of lodging establishment managers, targeted advertising to logged-in customers is possible and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logged-in customers.
또한, 숙박 업소의 사용자의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없이 무선 충전이 가능한 거치 장치에 거치한 것만으로 단말기에서 객실의 제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객실의 문을 열거나, 객실의 TV를 켜거나, 객실의 실내 온도를 조절하거나 룸 서비스를 주문할 수 있다.Additionally, for users of lodging establishments, the room control screen can be displayed on the terminal simply by placing the terminal on a wireless charging device without installing an application. Accordingly, the user can open the room door, turn on the room TV, adjust the room temperature, or order room service through the terminal.
또한, 숙박 업소의 사용자의 경우, 단말기의 언어로 객실의 이용 언어가 자동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세계 어디에서나 숙박 업소를 이용할 때 사용자의 언어로 바로 이용할 수 있다.Additionally, for users of lodging establishments, the room language is automatically set to the language of the terminal, so they can use the lodging establishment anywhere in the world in their own language.
또한, 숙박 업소의 사용자의 경우 단말기를 통해 추천 관광지 정보 및 교통 안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숙박 업소의 주변 맛집 위치나 외부에서 숙박 업소로의 교통을 안내받을 수 있다.Additionally, users of lodging establishments can receive recommended tourist attraction information and transportation guidance through the terminal. Accordingly, you can receive guidance on the location of restaurants near the accommodation or transportation to the accommodation from outsid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숙박 업소에서 객실 내부에 무선 충전 거치 장치가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공항 대합실, 라운지 및 리무진 차량 내부에도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항에 설치되는 경우 무선 충전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광고를 제공할 수 있고 공항 내부 이용 정보, 출국 지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라운지에 설치되는 경우 역시 무선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며 라운지 서비스 및 항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리무진 차량에 설치되는 경우 무선 충전 서비스 이외에 도착 지역의 숙소 정보 및 주변 식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installed inside a guest room at a lodging establishment as an example, but it can also be installed inside an airport waiting room, lounge, and limousine vehicle. More specifically, when installed at an airport, it can provide wireless charging services and advertisements, as well as airport usage information and departure area information. Additionally, when installed in a lounge, it can also provide wireless charging services and provide lounge services and flight information. Additionally, when installed in a limousine vehicle, it can provide information on accommodations in the arrival area and nearby restaurants in addition to wireless charging services.
도 7에서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기재하고 있으나 상술한 실시예들 역시 도 7과 마찬가지로 방법에 대한 실시예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FIG. 7 shows a flowchart for the metho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also be used as embodiments of the method like FIG. 7.
또한, 도 7에서는 각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7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각 과정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7의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in Figure 7, each process is described as being sequentially executed, but this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change the sequence shown in FIG. 7 or perform one or more of the process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can be appli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y running in parallel, it is not limited to the time series order of FIG. 7.
한편, 도 7에 도시된 과정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es shown in FIG. 7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That is,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storage media such as magnetic storage media (eg, ROM, floppy disk, hard disk, etc.) and optical read media (eg, CD-ROM, DVD, etc.). Additionall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can be distributed across network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According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but rather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is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is embodiment.
100: 숙박 업소 관리 시스템
110: 단말기
120: 클라우드 서버
130: 도어락
140: 무선 충전 거치 장치100: Accommodation Management System
110: terminal
120: Cloud server
130: door lock
140: Wireless charging stand devic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171945AKR102684708B1 (en) | 2020-12-10 | 2020-12-10 | Wireless charging station device with IoT function and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171945AKR102684708B1 (en) | 2020-12-10 | 2020-12-10 | Wireless charging station device with IoT function and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082242A KR20220082242A (en) | 2022-06-17 |
| KR102684708B1true KR102684708B1 (en) | 2024-07-12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171945AActiveKR102684708B1 (en) | 2020-12-10 | 2020-12-10 | Wireless charging station device with IoT function and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684708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714612B1 (en)* | 2023-11-01 | 2024-10-07 | 리셋 그룹 인코퍼레이티드 | IoT-BASED TINY HOME MANAGEMENT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93854B1 (en)* | 2011-10-26 | 2013-08-07 |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 Method and system of authorizing user for allowing use of facilities |
| KR20170090598A (en)* | 2016-01-29 | 2017-08-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otel Services |
| KR20180079859A (en)* | 2017-01-03 | 2018-07-11 | 유미나 |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ccommodations convenience in use |
| KR20180095404A (en)* | 2017-02-17 | 2018-08-27 |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unmanned accommodation system control method |
| KR20200067614A (en)* | 2018-12-04 | 2020-06-12 | 최경묵 | Hotel concierge system using two-dimensional cod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082242A (en) | 2022-06-17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539522B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horizing and providing of services | |
| US11151816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access control and awareness management | |
| US10503889B2 (en) |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program, checkpoint management system, and checkpoint management method | |
| AU2012327235B2 (en) | A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places | |
| US9437063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unit real estate management | |
| US9430888B2 (en) | Access control in location tracking system | |
| CN104509137B (en) |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at a predetermined location | |
| US11546728B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sence sensing reporting | |
| KR20150119100A (en) |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ement of key exchanges | |
| AU2023210587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access control and awareness management | |
| US11109234B2 (en) | Reader device with sensor streaming data and methods | |
| US11438767B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authorizing reader devices | |
| CN106097504A (en) | The implementation method that a kind of hotel moves in voluntarily | |
| KR20140070220A (en) | Commute management method with beacon | |
| Mainetti et al. | A Novel IoT-aware Smart Parking System based on the integration of RFID and WSN technologies | |
| KR102684708B1 (en) | Wireless charging station device with IoT function and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 |
| KR102098936B1 (en) | Smart access management system | |
| AU2021101733A4 (en) |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 and Method for Smart Hotel Location and Internal Status Update | |
| KR20180095404A (en) | unmanned accommodation system control method | |
| KR101454835B1 (en) | System and method for issuing coupon using advertisement display based near field communication | |
| KR101656205B1 (en) | Using the smart phone USIM-ID insider and outsider access control method and system | |
| US20250324251A1 (en) | Access system, system to facilitate transaction between battery-less credential device and service provider system, and credential card | |
| Muthusenthil et al. | GEO-BASED SMART PARKING AUTOMATION SYSTEM | |
| US20200097925A1 (en) |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access | |
| KR101430136B1 (en) | System for supplying discoundt service in case of buying good in cooperation shop and method thereof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22-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U-3-3-T10-T11-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U-3-3-T10-T11-oth-X000 | |
| AMND | Amendment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AMND | Amendment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N-2-6-B10-B15-exm-PE0601 | |
| AMND | Amendment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PX0901 |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2-rex-PX0901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3-4-F10-F13-rex-PX0701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