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젖병의 몸체로부터 손잡이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일측이 하향 오목하게 형성되는 핸들과 오목한 내부에 체결되도록 하는 볼록한 몸체로부터 형성되는 트랩핑부를 통하여 핸들과 몸체가 체결되고 몸체의 구조적 특성을 통하여 핸들 체결이 유지되도록 하는,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handle to be detached from the body of a baby bottle. More specifically, the handle and the body are fastened through a trapping portion formed from a handle formed on one side concave downward and a convex body to be fastened to the concave interior. This is a technical field related to a bottle system for selectiv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a handle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which maintains the handle fastening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dy.
미국 중앙정보국(CIA)이 발행한 월드팩트북(The world Factbook)에 따르면 2014년 추정치 기준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1.25명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OECD 회원국 중 가장 낮은 것은 결과이다.According to The World Factbook published by the U.S. Central Intelligence Agency (CIA), Korea's total fertility rate as of 2014 is estimated at 1.25. These results are the lowest among OECD member countries.
저출산 원인 중 하나로는 여성의 사회적 진출 증가의 원인으로, 결혼 시기가 늦어지고, 결혼을 해도 육아 부담으로 출산을 기피하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One of the causes of low birth rates is the increase in women's social advancement, leading to delayed marriages and, even after marriage, the avoidance of childbirth due to the burden of raising children.
저출산 위기는 의류, 신발 및 전체 유아용품 업계에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고가 수입 브랜드 선호 및 해외직구 트랜드 등으로 유아용품 업계는 점점 설 곳을 잃어가고 있다.The low birth rate crisis is affecting the clothing, shoes, and entire baby products industry, and the baby products industry is gradually losing its footing due to consumers' preference for expensive imported brands and the trend of buying directly from overseas.
대부분 온라인과 모바일을 이용하여 제품을 구매하는 등 엄마들의 소비 형태의 변화와 온라인 커뮤니티의 발달로 브랜드의 가치와 제품의 혁신성 및 가치(가성비)가 중요시되고 있으며, 기업에서도 신속한 단점 보완과 제품 개발에 세심한 신경을 기울어야 할 것이다.With changes in mothers' consumption patterns and the development of online communities, such as most purchasing products online and through mobile devices, brand value and product innovation and value (cost-effectivenes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and companies are also quickly improving shortcomings and improving product quality. Careful attention will have to be paid to development.
또한, 기업에서는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의 변화에 맞춰 차별화된 제품 개발과 끊임없는 시장 모니터링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companies must support the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products and continuous market monitoring in line with rapidly changing market changes.
시장 변화에 맞추어 당업계에서는 기존 젖병으로부터 차별화된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적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In line with market changes, various technological attempts are being made in the industry to develop products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baby bottles.
예를 들어 선행 특허문헌"분해조립이 편리한 실리콘 젖병(등록번호 제10-1610589호, 이하 특허문헌 1이라한다.)"가 존재한다.For example, there is a prior patent document titled “Silicone baby bottle that is convenient to disassemble and assemble (Registration No. 10-1610589,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1의 경우, 몸체가 실리콘재질로 구성된 젖병의 입구를 손으로 눌러 좁혀준 뒤 경질의 홀더 내부로 끼워넣으면 좁혀진 입구가 쉽게 펼쳐지면서 홀더와 입구를 빠르게 원형으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젖꼭지와 몸체를 분해 및 결합하기 쉬운 분해조립이 편리한 실리콘 젖병에 관한 것이다.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1, if the mouth of a baby bottle whose body is made of silicone is pressed by hand to narrow it and then inserted into the hard holder, the narrowed mouth can be easily expanded and the holder and the mouth can be quickly combined into a circle, so the nipple and body can be combined. This relates to a silicone baby bottle that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특허문헌1은 실리콘 재질의 몸체가 구비되고, 몸체의 입구가 끼워지는 홀더의 외주면에 볼트부가 형성되며, 젖꼭지를 갖는 체결부재의 내주면에는 볼트부에 체결되는 너트부가 형성되어 젖꼭지를 입구에 밀착 결합할 수 있도록 한 분해조립이 편리한 실리콘 젖병에 있어서, 입구의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돌출부가 구비되는데, 각 돌출부는 중앙이 양단보다 돌출되고, 각 돌출부의 양단은 입구의 내주면과 일치되는 잘록부로 구성되어서 입구를 좁혀주면 각 돌출부들이 서로 좁혀지거나 또는 벌어지는 형태가 반복되면서 각 잘록부들이 최대로 압축 및 인장되면서 복원력이 발생되는 특징이 있다.Patent Document 1 is provided with a body made of silicone, a bolt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der into which the inlet of the body is inserted, and a nut portion fastened to the bolt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astening member having a nipple to tightly couple the nipple to the inlet. In a silicone baby bottle that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provided radially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The center of each protrusion protrudes more than both ends, and both ends of each protrusion are composed of constrictions that matc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When the entrance is narrowed, each protrusion repeats the process of narrowing or widening, and each constriction is compressed and stretched to its maximum, creating a restoring force.
선행 특허문헌으로서"역류방지체가 구비된 빨대형 젖병(등록번호 제10-1897663호, 이하 특허문헌2라 한다.)"도 존재한다.As a prior patent document, there is also a “straw-type baby bottle equipped with a backflow preventer (registration number 10-189766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2).”
특허문헌2의 경우,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빨대형 젖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유가 담긴 젖병몸체와, 젖병몸체의 목 내주연에 안착되는 역류방지체와, 젖병몸체와 역류방지체의 상부 선단에 안착되는 빨대형 젖꼭지 및 젖꼭지를 고정시키는 젖꼭지조임체로 이루어지고, 젖꼭지조임체로 잠금시 젖병의 내부의 급격한 온도 및 기압 변화로 발생되는 우유의 역류현상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젖병에 관한 것이다.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2, it relates to a straw-type baby bottle equipped with a backflow prevention member, and more specifically, a baby bottle body containing milk, a backflow prevention member seat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neck of the baby bottle body, and a baby bottle body and a backflow prevention member. A baby bottle that consists of a straw-type nipple that is seated at the upper end and a nipple clamp that secures the nipple, and is equipped with a backflow prevention element that prevents the reflux of milk that occurs due to rapid changes in temperature and pressure inside the baby bottle when the nipple clamp is locked. It's about.
또한 선행 특허문헌(등록 실용신안)으로서"젖병(등록번호 제20-0451897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도 존재한다.In addition, a prior patent document (registered utility model), “Baby Bottle (Registration No. 20-0451897,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3)” also exists.
특허문헌3의 경우, 분유, 우유, 또는 모유 등의 내용물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젖병이 소개된다. 이 젖병은 젖꼭지부, 젖병본체, 주머니부, 및 받침커버를 포함한다. 젖병본체는 상부에 젖꼭지부가 결합되는 관형으로 형성되고, 주머니부는 내용물이 수용되도록 젖병본체에 내장되고, 받침커버는 젖병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어 주머니부의 하부를 지지한다.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3, a baby bottle that allows contents such as powdered milk, milk, or breast milk to be easily discharged is introduced. This baby bottle includes a nipple part, a baby bottle body, a pocket part, and a support cover. The baby bottle body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with a nipple attached to the top, the pocket part is built into the baby bottle body to accommodate the contents, and the support cover is mounted on the baby bottle body to be able to lift and lower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pocket part.
아울러, "내용물 확인이 가능한 스테인레스 젖병(등록번호 제20-0468266호, 이하 특허문헌4라 한다.)"도 선행 특허문헌(등록 실용신안)으로서 존재한다.In addition, “Stainless steel baby bottle whose contents can be confirmed (registration number 20-0468266,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4)” also exists as a prior patent document (registered utility model).
특허문헌4의 경우, 내용물 확인이 가능한 스테인레스 젖병에 관한 것으로, 젖병몸체와 젖병몸체의 입구에 결합되는 젖꼭지로 구성되는 수유용 젖병에 있어서: 젖병몸체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구성되고, 젖병몸체의 하측은 개구가 형성되어 있어서 개방되어 있으며, 젖병몸체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구성되고, 젖병몸체의 개구를 막아서 젖병몸체에 있는 내용물이 흘러나오거나 새는 것을 막기 위한 투시창; 투시창이 젖병몸체의 개구를 막은 상태에서 투시창과 개구 사이로 내용물이 새지 않도록 투시창을 상방으로 압착하면서 젖병몸체의 하측에 체결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하면 환경호르몬이 없는 안전한 사용을 할 수 있고 동시에 젖병몸체가 스테인레스 재질이지만 내부를 볼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4, it relates to a stainless steel baby bottle whose contents can be confirmed. In the nursing baby bottle consisting of a baby bottle body and a nipple coupled to the mouth of the baby bottle body: the baby bottle body is made of stainless steel, and the lower side of the baby bottle body is A viewing window that is open because an opening is formed and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inside of the baby bottle body can be seen, and that blocks the opening of the baby bottle body to prevent the contents in the baby bottle body from flowing or leak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ixing member fastened to the lower side of the baby bottle body while compressing the viewing window upward to prevent contents from leaking between the viewing window and the opening in a state where the viewing window blocks the opening of the baby bottle body, and according to this, it is safe and free of environmental hormones. It is easy to use, and at the same time, although the body of the baby bottle is made of stainless steel,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ee the inside.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The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handle attachment and detachment based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design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presents the following problems to be solved.
첫째, 젖병의 몸체로부터 핸들을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한다.First, the handle can be selectively attached and detached from the body of the baby bottle.
둘째, 젖병의 몸체에 체결되는 핸들이 젖병의 몸체로부터 유동되지 않으며, 핸들이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체결되도록 한다.Second, the handle fastened to the body of the baby bottle does not move from the body of the baby bottle, and the handle is fixed and stably fastened.
셋째, 젖병에 체결된 핸들이 젖병의 몸체 구조로 인하여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Third, ensure that the handle fastened to the baby bottle remains fastened due to the body structure of the baby bottle.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The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handle attachment and detachment based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means of solving the problem to be solved.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은 액체를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액체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보틀 보디 유닛(bottle body unit);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의 상부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되는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arrange frame unit); 및 소정의 형상을 구비하며, 상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의 양측에 제공되어, 상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의 양측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핸들 유닛(handle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handle attachment and detachment based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le body unit that accommodates liquid therein and forms a space for storing the liquid; an arrangement frame unit provided on an upper part of the bottle body unit and selectively separat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bottle body unit; and a handle unit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and selectively attached and detached from both sides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은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의 상부에 제공되어,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상단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시키는 아웃렛 유닛(outlet unit); 및 상기 보틀 보디 유닛과 상기 아웃렛 유닛의 상단에 제공되어, 상기 아웃렛 유닛의 상면과 상기 토출구를 커버하는 커버링 유닛(covering unit)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handle attachment and detachment based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bottle body unit, and discharges the liquid contained inside the bottle body unit to the outside through the top discharge port (outlet unit). ); and a covering unit provided on top of the bottle body unit and the outlet unit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outlet unit and the outlet.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은,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의 상부에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의 몸체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제공되며,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의 상부에 상기 몸체로부터 소정의 단차를 제공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ottle body unit of the optional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bottle body unit and protrudes outward from the body of the bottle body unit, and the bottle body unit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bottle body unit. It may be characterized as including a sealing part that provides a predetermined step from the body.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상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은, 상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의 양측에 배치되어 제공되며, 상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의 외주면으로부터 외향 돌출형성되어, 상기 핸들 유닛을 선택적으로 체결하는 트랩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arrangement frame unit of the optional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and protrudes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to provide the handle unit. It may be characterized as including a trapping part that is selectively fastened.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상기 핸들 유닛은, 상기 핸들 유닛의 상단에 하향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의 상기 트랩핑부를 커버하여, 상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과 상기 핸들 유닛을 체결하는 커넥션부; 상기 커넥션부의 양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트랩핑부의 양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핸들 유닛의 좌우 이동을 제어하는 사이드월부; 및 상기 커넥션부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트랩핑부의 하면을 가압하여, 상기 핸들 유닛의 상부 이동을 제어하는 바텀 블로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handle unit of the optional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downwardly concave at the top of the handle unit, covers the trapping part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and is connected to the arrangement frame unit. A connection part for fastening the handle unit; a side wall portion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pressing both sides of the trapping portion to control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handle unit; and a bottom blocking unit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unit and controlling the upper movement of the handle unit by pressing the lower surface of the trapping unit.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상기 트랩핑부는, 말단의 평균 너비가 상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의 몸체에 제공되는 일단의 평균 너비 대비 넓게 형성되며, 상기 핸들 유닛이 상기 트랩핑부에 걸림으로 상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의 몸체에 홀딩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trapping part of the selective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verage width of an end wider than the average width of one end provided on the body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and the handle unit is formed with the trap.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and held on the body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by being caught by the wrapping part.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상기 커넥션부는, 하향 오목한 상기 커넥션부의 타측의 내주면의 평균 너비가 상기 트랩핑부의 말단의 외주면의 평균 너비에 대응하여 제공되어, 상기 커넥션부의 타측의 내주면이 상기 트랩핑부의 말단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of the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handle attachment and detachment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so that the average width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downwardly concave connection part corresponds to the average width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of the trapping part, and the connec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part presse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trapping part.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상기 실링부는, 상기 핸들 유닛의 상기 바텀 블로킹부의 하면과 접촉하여, 상기 바텀 블로킹부의 하면으로부터 하부 압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ealing part of the bottle system with a detachable and detachable handle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blocking part of the handle unit and provides lower pressur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blocking part. .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은,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의 상기 몸체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상기 몸체의 내부에 제공되고, 상기 몸체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한 파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ottle body unit of the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handle attachment and detachment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bottle body unit, is provided inside the body, and is selectively detachable from the body. It may be characterized as including a pouch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은,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의 외주면으로부터 관통하는 관통홈을 복수 개로 구비하며, 상기 관통홈이 상기 보틀 보디 유닛에 소정의 간격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ottle body unit of the bottle system for selectiv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a handle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grooves penetrat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ttle body unit, and the through grooves ar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shape in the bottle body unit. It may be characterized as being provided at intervals.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상기 트랩핑부는, 외주면에 소정의 기울어짐 각을 형성하는 다수의 패턴이 형성되되, 상기 사이드월부는, 상기 트랩핑부에 형성된 패턴과 동일한 기울어짐 각을 형성하되, 상기 트랩핑부의 외주면 형성된 패턴과 상기 사이드월부에 형성된 기울어짐 각이 서로 스크레치되며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trapping part of the selective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patterns forming a predetermined tilt angl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side wall part has a pattern formed on the trapping part. The same inclination angle may be formed, but the patter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rapping part and the inclination angle formed on the side wall par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scratched and fastened to each other.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handle attachment and detachment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보틀 보디 유닛의 몸체의 양측의 트랩핑부에 핸들 유닛이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First, the handle unit can be selectively attached and detached to trapping parts on both sides of the body of the bottle body unit.
둘째, 보틀 보디 유닛에 체결되는 핸들 유닛이 트랩핑부의 소정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트랩핑부의 내주면과 핸들 유닛의 오목한 부분이 접촉하여 체결된 상태가 지속되도록 할 수 있다.Second, the handle unit fastened to the bottle body unit is formed to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shape of the trapping part,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pping part and the concave part of the handle unit contact and maintain the fastened state.
셋째, 보틀 보디 유닛의 구조를 통하여 핸들 유닛에 압력을 제공하여 핸들 유닛이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Third, pressure can be provided to the handle unit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bottle body unit to keep the handle unit in a fastened stat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핸들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핸들 유닛에 걸림턱부가 형성된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과 핸들 유닛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과 핸들 유닛이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보틀 보디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보틀 보디 유닛 중 파우치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커버링 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트랩핑부와 커넥션부가 체결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1 illustrates a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handle attachment and detachment based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handle attachment and detachment based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handle attachment and detachment based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ndle unit of a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handle attachment and detachment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handle unit of a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handle attachment and detachment based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rrangement frame unit of a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handle attachment and detachment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stening state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and the handle unit of the optional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based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arrangement frame unit and the handle unit of the optional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based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astened.
 Figure 9 is a front view of the bottle body unit of the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handle attachment and detachment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shows a pouch portion of the bottle body unit of a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handle attachment and detachment based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front view showing a covering unit of a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handle attachment and detachment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trapping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of the selective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optional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several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핸들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핸들 유닛에 걸림턱부가 형성된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과 핸들 유닛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과 핸들 유닛이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보틀 보디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보틀 보디 유닛 중 파우치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커버링 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트랩핑부와 커넥션부가 체결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1 illustrates a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handle attachment and detachment based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handle attachment and detachment based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handle attachment and detachment based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ndle unit of a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handle attachment and detachment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handle unit of a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handle attachment and detachment based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rrangement frame unit of a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handle attachment and detachment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stening state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and the handle unit of the optional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based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arrangement frame unit and the handle unit of the optional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based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astened. Figure 9 is a front view of the bottle body unit of the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handle attachment and detachment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shows a pouch portion of the bottle body unit of a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handle attachment and detachment based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front view showing a covering unit of a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handle attachment and detachment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trapping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of the selective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틀 보디 유닛(bottle body unit, 100),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arrange frame unit, 200), 핸들 유닛(handle unit, 300)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handle attachment and detachment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a bottle body unit (100), an arrangement frame unit (arrange frame unit), 200, and a handle unit. (handle unit, 300) may be included.
보틀 보디 유닛(100)의 경우, 액체를 내부에 수용하여 액체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In the case of the bottle body unit 100, a liquid is accommodated inside to form a space for storing the liquid.
보틀 보디 유닛(100)은,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액체를 수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bottle body unit 100 may form an empty space therein to accommodate liquid.
도 1의 (b)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틀 보디 유닛(100)의 상부에는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을 체결하는 체결부(102)가 제공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b) and 8, a fastening part 102 for fastening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may be provided at the top of the bottle body unit 100.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의 경우, 보틀 보디 유닛(100)의 상부에 제공되고, 보틀 보디 유닛(100)의 상부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it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ttle body unit 100 and can be selectively separat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bottle body unit 100.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은 보틀 보디 유닛(100)의 상부에 제공되는 체결부(102)와의 체결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3 ,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can be selectively separated or coupled through fastening with the fastening portion 102 provided on the top of the bottle body unit 100.
핸들 유닛(300)은, 소정의 형상을 구비하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의 양측에 제공되어,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의 양측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탈부착될 수 있다.The handle unit 300 has a predetermined shape,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and can be selectively attached and detached from both sides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핸들 유닛(300)은 소정의 형상을 구비하는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굽혀진 형태로 제공되어질 수 있다.The handle unit 300 has a predetermined shape, and as shown in FIGS. 1 to 4, it may be provided in a bent form.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유닛(300) 중 상부는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으로부터 소정의 굽혀짐을 형성하며 보틀 보디 유닛(100)까지 이어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1 to 4, the upper part of the handle unit 300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forms a predetermined bend from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and forms a bottle body unit ( It can be provided to continue up to 100).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으로부터 연결되는 핸들 유닛(300)의 경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과 체결되는 이외의 부분은 핸들링부(301)로 연결되어 제공되며, 핸들링부(301)는 사용자가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In the case of the handle unit 300 connected to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the parts other than those fastened to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are provided by being connected to the handling part 301, and the handling part 301 allows the user to handle the handle unit 300. It is provided for use.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경우, 아웃렛 유닛(outlet unit, 400), 커버링 유닛(covering unit, 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handle attachment and detachment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include an outlet unit (400) and a covering unit (500).
아웃렛 유닛(400)의 경우, 보틀 보디 유닛(100)의 상부에 제공되어, 보틀 보디 유닛(100)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상단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 시키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outlet unit 400, it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bottle body unit 100 and discharges the liquid contained inside the bottle body unit 100 to the outside through the top discharge port.
아웃렛 유닛(4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으로 제공되어질 수 있다.The outlet unit 400 may be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hape, as shown in FIGS. 1 to 3 .
또한, 아웃렛 유닛(400)은 자체적으로 탄성을 구비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outlet unit 400 may have its own elasticity.
아웃렛 유닛(400)의 소정의 형상이라 함은, 하단은 보틀 보디 유닛(100)의 내주면의 너비와 비등하게 제공되고, 상부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너비가 좁아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shape of the outlet unit 40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lower end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ttle body unit 100, and the width gradually becomes narrower toward the top.
아웃렛 유닛(400)은 최상단에 액체가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let unit 400 may include a discharge port at the top that allows liquid to be discharged.
커버링 유닛(500)의 경우, 보틀 보디 유닛(100)과 아웃렛 유닛(400)의 상단에 제공되어, 아웃렛 유닛(400)의 상면과 토출구를 커버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overing unit 500, it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bottle body unit 100 and the outlet unit 400, and can cover the top surface and the discharge port of the outlet unit 400.
커버링 유닛(5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링부(501)와 제2커버링부(502)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covering unit 500 may be composed of a first covering part 501 and a second covering part 502.
제1커버링부(501)는 아웃렛 유닛(400)의 소정의 형성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아웃렛 유닛(400)을 접촉하며 커버하는 구성이다.The first covering portion 501 is formed to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shape of the outlet unit 400, and is configured to contact and cover the outlet unit 400.
제2커버링부(502)는 제1커버링부(501)와 제2커버링부(502)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제2커버링부(502)를 커버하는 구성이다.The second covering part 502 forms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first covering part 501 and the second covering part 502 and covers the second covering part 502.
제1커버링부(501)와 제2커버링부(502)는 보틀 보디 유닛(100)의 상부에 제공되고, 보틀 보디 유닛(100)의 상부에서 액체가 임의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커버링부(501)는 아웃렛 유닛(400)의 토출부와 접촉하여 토출부로부터 액체가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covering part 501 and the second covering part 502 ar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ttle body unit 100, and are preferably used to prevent liquid from leaking out from the upper part of the bottle body unit 100. It is desirable that the covering part 501 contacts the discharge part of the outlet unit 400 to prevent liquid from leaking from the discharge part.
또한, 예컨대, 보틀 보디 유닛(100) 내부에 분말과 액체를 넣어 희석하는 경우, 보틀 보디 유닛(100)과 아웃렛 유닛(400)의 분리가 필수적인데, 커버링 유닛(500)이 아웃렛 유닛(400)의 받침대로 사용되어, 아웃렛 유닛(40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when diluting powder and liquid inside the bottle body unit 100, it is essential to separate the bottle body unit 100 and the outlet unit 400, and the covering unit 500 is connected to the outlet unit 400. It can be used as a pedestal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outlet unit 400.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보틀 보디 유닛(100)은, 보틀 보디 유닛(100)의 상부에 보틀 보디 유닛(100)의 몸체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제공되며, 보틀 보디 유닛(100)의 상부에 몸체로부터 소정의 단차를 제공하는 실링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ttle body unit 100 of the bottle system with a detachable optional handle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bottle body unit 100 and protrudes outward from the body of the bottle body unit 100. The upper part of the unit 100 may include a sealing portion 110 that provides a predetermined step from the body.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틀 보디 유닛(100)은 상부에 몸체로부터 단차를 형성하는 실링부(110)를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bottle body unit 100 may have a sealing portion 110 formed at the top that forms a step from the body.
실링부(110)의 경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의 외주면의 너비 대비 넓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the sealing portion 110,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wider than the width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은,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의 양측에 배치되어 제공되고,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향 돌출형성되어, 핸들 유닛(300)을 선택적으로 체결하는 트랩핑(trapping)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handle attachment and detachment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is provide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and protrudes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It may include a trapping portion 210 that selectively fastens the handle unit 300.
트랩핑부(210)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으로부터 양측으로 외향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trapping portion 210, as shown in FIG. 5,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on both sides.
트랩핑부(210)를 통하여 핸들 유닛(300)은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에 체결되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이 보틀 보디 유닛(100)에 고정됨으로 핸들 유닛(300) 또한 젖병의 몸체에 체결될 수 있다.The handle unit 300 is fastened to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through the trapping part 210, and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is fixed to the bottle body unit 100, so that the handle unit 300 is also attached to the body of the baby bottle. can be concluded.
트랩핑부(210)의 경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형상으로 외향 돌출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the trapping portion 210, it protrudes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As shown in FIG. 5, it is preferable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n a predetermined shape.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핸들 유닛(300)은, 커넥션부(310), 사이드월부(320), 바텀 블로킹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ndle unit 300 of the bottle system for selectiv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a handle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310, a side wall portion 320, and a bottom blocking portion 330.
먼저, 커넥션부(310)의 경우, 핸들 유닛(300)의 상단에 하향 오목하게 형성되어,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의 트랩핑부(210)를 커버하여,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과 핸들 유닛(300)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First, in the case of the connection portion 310, it is formed to be concave downward at the top of the handle unit 300 and covers the trapping portion 210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thereby connecting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and the handle unit. It is a configuration that allows for (300) to be conclud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션부(310)는 핸들 유닛(300)의 상부에서 하향 오목하게 제공되어, 핸들 유닛(300)의 상부는 하향 오목하게 개방된 형태로 제공되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connection portion 310 is provided in a downwardly concave manner at the top of the handle unit 300,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handle unit 300 may be provided in a downwardly open form.
커넥션부(310)의 경우, 내주면은 소정의 형태로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과 접촉하는 일측의 내주면의 너비와 이에 대응하는 타측의 너비가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서는 후술하기로 한다.In the case of the connection portion 310,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may be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hape with a different width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n one side in contact with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and the corresponding width on the other sid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커넥션부(310)의 경우,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유닛(300)이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에 체결되는 경우, 트랩핑부(210)를 커버하도록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onnection part 310, as shown in FIGS. 6 and 7, when the handle unit 300 is fastened to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it can cover the trapping part 210.
사이드월부(320)의 경우, 커넥션부(310)의 양 측면에 배치되어 트랩핑부(210)의 양 측면을 가압하여, 핸들 유닛(300)의 좌우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ide wall portion 320, it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ortion 310 and presses both sides of the trapping portion 210 to control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handle unit 300.
사이드월부(320)는 핸들 유닛(300)이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과 체결되는 경우, 트랩핑부(210)의 측면을 가압할 수 있다.The side wall portion 320 may press the side of the trapping portion 210 when the handle unit 300 is fastened to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사이드월부(320)의 경우, 트래핑부(210)의 측면 가압을 통하여, 핸들 유닛(300)의 좌우 이동을 제어하며, 핸들 유닛(300)이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으로부터 좌우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the side wall part 320,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handle unit 300 is controlled through the side pressure of the trapping part 210, and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handle unit 300 is restricted from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It is desirable.
바텀 블로킹부(330)는 핸들 유닛(300)이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과 체결되는 경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의 트랩핑부(210)의 하면을 가압할 수 있다.When the handle unit 300 is fastened to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the bottom blocking unit 330 may pressurize the lower surface of the trapping unit 210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바텀 블로킹부(330)의 경우, 커넥션부(310)의 하면에 배치되어, 트랩핑부(210)의 하면을 가압하여, 핸들 유닛(300)의 상부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bottom blocking unit 330, it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unit 310 and pressurizes the lower surface of the trapping unit 210 to control the upward movement of the handle unit 300.
바텀 블로킹부(330)는 사이드월부(320)와 연결되어 제공되는 것으로 사이드월부(320)는 커넥션부(310)의 측벽을 형성하며, 바텀 블로킹부(330)는 커넥션부(310)의 저면을 형성하는 것이다.The bottom blocking part 330 is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side wall part 320. The side wall part 320 forms the side wall of the connection part 310, and the bottom blocking part 330 forms the bottom of the connection part 310. It is to form.
또한, 바텀 블로팅부(330)는 트래핑부(210)의 상부 이동이 제한되도록 함을 통하여, 핸들 유닛(300)이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으로부터 상부로 이동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ottom blotting unit 330 restricts the upward movement of the trapping unit 210, thereby preventing the handle unit 300 from moving upward and being separated from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커넥션부(310), 사이드월부(320), 바텀 블로킹부(330)는 모두 핸들 유닛(300)이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과 체결되는 위치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part 310, the side wall part 320, and the bottom blocking part 330 are all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handle unit 300 is fastened to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트랩핑부(210)는, 말단의 평균 너비가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의 몸체에 제공되는 일단의 평균 너비 대비 넓게 형성되며, 핸들 유닛(300)이 트랩핑부(210)에 걸림으로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의 몸체에 홀딩되어 제공될 수 있다.The trapping portion 210 of the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handle attachment and detachment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verage width at the end that is wider than the average width of the end provided on the body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and the handle The unit 300 may be held in the body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by being caught by the trapping part 210 and provid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랩핑부(210)는 소정의 형상으로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제공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trapping part 210 may be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소정의 형상의 경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의 몸체에 제공되는 일단은 너비가 좁게 형성되며, 어레인지 프레이 유닛(200)으로부터 멀어지는 말단의 경우는, 일단의 너비 대비 넓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case of a predetermined shape, one end provided to the body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may be formed to be narrow in width, and in the case of an end away from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the end may be formed to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end.
즉,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으로부터 가장 멀게 형성되는 말단의 제2트랩핑부(212)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비가 넓게 형성되어지는 것이다.That is, the second trapping portion 212 at the end furthest from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is formed to have a wide width, as shown in FIG. 5 .
또한, 트랩핑부(210)의 말단에 해당하는 제2트랩핑부(212)는 핸들 유닛(300)에 걸림을 제공하고, 핸들 유닛(300)이 트랩핑부(210)에 걸림으로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에 핸들 유닛(300)이 체결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trapping part 212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trapping part 210 provides a catch to the handle unit 300, and the handle unit 300 catches the trapping part 210 to form an arrangement frame. It is desirable to maintain the handle unit 300 fastened to the unit 200.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커넥션부(310)의 경우, 하향 오목한 커넥션부(310)의 타측의 내주면의 평균 너비가 트랩핑부(210)의 말단의 외주면의 평균 너비에 대응하여 제공되어, 커넥션부(310)의 타측의 내주면이 트랩핑부(210)의 말단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onnection portion 310 of the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handle attachment and detachment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verage width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downwardly concave connection portion 310 is tha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of the trapping portion 210. It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average width, so tha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art 310 can pres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trapping part 210.
핸들 유닛(300)의 하향 오목한 커넥션부(310)의 내주면의 평균 너비가 트랩핑부(210)의 외주면의 평균 너비에 대응하게 제공될 수 있다.The average width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ownwardly concave connection portion 310 of the handle unit 300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average width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rapping portion 210.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션부(310)의 형태는 트랩핑부(210)의 외주면의 평균 너비와 대응되도록 제공되고,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으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된 트랩핑부(210)의 넓은 너비와 커넥션부(310)의 내측의 타측의 너비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4 and 6, the shape of the connection portion 310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average width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rapping portion 210, and the trapping portion is disposed furthest from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e width of 210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other inner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310.
너비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트랩핑부(210)에 커넥션부(310)가 제공되어 체결되는 경우, 커넥션부(310)의 타측이 트랩핑부(210)의 말단이 외주면을 가압함으로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connection part 310 is provided and fastened to the trapping part 210 whose width is formed to correspo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art 310 is fastened by press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of the trapping part 210. It can be maintained.
아울러, 커넥션부(310)의 내주면의 너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션부(310)의 상부는 h1의 너비로 형성되고, 하부는 h2의 너비로 형성되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width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310 may be formed as a width h1 at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on part 310 and a width h2 at the lower part.
커넥션부(310)의 상부의 너비(h1)는 하부의 너비(h2) 대비 좁게 형성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1<h2).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width (h1) of the connection portion 310 is narrower than the lower width (h2) (h1<h2).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실링부(110)의 경우, 핸들 유닛(300)의 바텀 블로킹부(330)의 하면과 접촉하여, 바텀 블로킹부(330)의 하면으로부터 하부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ealing part 110 of the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handle attachment and detachment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blocking part 330 of the handle unit 3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blocking part 330 Bottom pressure can be provided from.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110)의 경우, 바텀 블로킹부(330)의 하면과 접촉되고, 실링부(110)는 바텀 블로킹부(330)에 하부 압력을 제공하여 핸들 유닛(300)이 하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sealing part 11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blocking part 330, and the sealing part 110 provides lower pressure to the bottom blocking part 330 to hold the handle. This is to prevent the unit 300 from moving downward.
실링부(110)는 몸체로부터 외향 돌출된 단차를 이용하여 바텀 블로킹부(330)의 하면을 압박하는 것으로, 보틀 보디 유닛(100)의 자체적인 구조를 통하여 핸들 유닛(300)의 이동을 제안하는 것이다.The sealing part 110 presses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blocking part 330 using a step protruding outward from the body, and suggests movement of the handle unit 300 through the inherent structure of the bottle body unit 100. will be.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보틀 보디 유닛(100)은, 보틀 보디 유닛(100)의 몸체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몸체의 내부에 제공되고, 몸체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한 파우치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ttle body unit 100 of the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ly attachable and detachable handle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bottle body unit 100, is provided inside the body, and is selectively separated from the body. It may include a possible pouch portion 120.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부(120)가 제공될 수 있는데, 파우치부(120)의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틀 보디 유닛(100)의 내부에 제공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9, a pouch part 120 may be provided. In the case of the pouch part 120, as shown in FIG. 8, it is provided inside the bottle body unit 100.
또한, 파우치부(120)의 외주면은 보틀 보디 유닛(100)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제공되고, 보틀 보디 유닛(100)의 내부에서 액체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uch portion 120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ttle body unit 100, and can form a space for accommodating liquid inside the bottle body unit 100.
파우치부(120)의 경우, 실리콘 등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the pouch portion 120, it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silicone.
종래의 보틀 시스템의 경우, 보틀 내부의 액체 수유 시 보틀 내부의 공기를 과도하게 흡입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공기 배기장치를 필요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원 발명의 파우치부(120)는 내부에 진공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공기를 아웃렛 유닛(400)의 뒤쪽(즉, 파우치부(120)의 뒤쪽)으로 보내어 일정한 공기가 파우치부(120) 내에 머무를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bottle system, an air exhaust device is generally required to prevent excessive intake of air inside the bottle when feeding liquid inside the bottle, but the pouch portion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acuum inside. This is to prevent air from forming and send air to the rear of the outlet unit 400 (i.e., to the rear of the pouch unit 120) so that a certain amount of air can remain within the pouch unit 120.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보틀 보디 유닛(100)은, 보틀 보디 유닛(100)의 외주면으로부터 관통하는 관통홈(101)을 복수 개로 구비하며, 관통홈(101)이 보틀 보디 유닛(100)에 소정의 간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bottle body unit 100 of the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handle attachment and detachment based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grooves 101 penetrat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ttle body unit 100, and the through grooves 101 ) may be provided to the bottle body unit 100 at predetermined intervals.
관통홈(101)의 경우, 보틀 보디 유닛(100)의 외측에 제공되는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관통하는 홈이 제공된다.In the case of the through groove 101, a groove penetrat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bottle body unit 100 is provided.
관통하는 홈에 해당하는 관통홈(101)의 경우,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모양(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아몬드 형태)으로 제공되어질 수 있으며, 소정의 모양은 제조 과정에 대한 사출, 성형 등의 과정에서 상이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the through groove 101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groove, as shown in FIGS. 1 and 8, it may be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hape (e.g., diamond shape as shown in FIG. 8)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shape. The shape may be provided in different form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such as injection and molding.
관통홈(101)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보틀 보디 유닛(100)은 사용자가 몸체를 그립하는 경우, 보틀 보디 유닛(10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Due to the formation of the through groove 101, the bottle body unit 100 can prevent the bottle body unit 100 from slipping when the user grips the body.
아울러, 사용자는 관통홈(101)을 통하여 보틀 보디 유닛(100)의 내부 액체 양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체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amount of liquid inside the bottle body unit 100 through the through groove 101.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트랩핑부(210)는, 외주면에 소정의 기울어짐 각을 형성하는 다수의 패턴이 형성되되, 사이드월부(320)는, 트랩핑부(210)에 형성된 패턴과 동일한 기울어짐 각을 형성하되, 트랩핑부(210)의 외주면 형성된 패턴과 사이드월부(320)에 형성된 기울어짐 각이 서로 스크레치되며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The trapping part 210 of the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handle attachment and detachment based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patterns forming a predetermined tilt angl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side wall part 320 is a trapping part. The same tilt angle as the pattern formed on the portion 210 may be formed, but the patter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rapping portion 210 and the tilt angle formed on the side wall portion 320 may be scratched and fastened to each other.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랩핑부(21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패턴이 형성되며, 다수의 패턴과 동일한 기울어짐 각을 사이드월부(320)에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a plurality of patterns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rapping part 210, and the same inclination angle as the plurality of patterns can be formed in the side wall part 320.
기울어짐 각이 동일함으로 인하여 핸들 유닛(300)이 트랩핑부(210)에 제공되는 경우, 제공됨에 따라 서로 스크레칭(scratching)될 수 있다.Because the tilt angle is the same, when the handle unit 300 is provided to the trapping portion 210, they may scratch each other as they are provided.
예컨대, 트랩핑부(210)와 사이드월부(320)의 패턴이 서로 접촉하며 접촉한 패턴은 서로 압박을 지속하며 핸들 유닛(300)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것이다.For example, the patterns of the trapping part 210 and the side wall part 3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contact patterns continue to press each other and limit the movement of the handle unit 300.
지속적인 핸들 유닛(300)의 탈부착으로 인하여 커넥션부(310)와 트랩핑부(210) 사이에 이격되는 공간이 형성되어질 수 있으며, 헐거워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트랩핑부(210)와 사이드월부(320)의 패턴을 통하여 지속적인 탈부착에도 고정이 유지되며, 핸들 유닛(300)의 좌우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Due to the continuous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handle unit 300, a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310 and the trapping portion 210, and loosening may occur. The trapping portion 210 and the side wall portion may become loo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attern of 320 maintains fixation even through continuous attachment and detachment, and that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handle unit 300 is restricted.
커넥션부(310)의 내주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부(311)가 제공되어질 수 있으며, 걸림턱부(311)의 경우, 커넥션부(310)의 외향 돌출되어 제공되어 트랩핑부(210)를 가압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6, a locking protrusion portion 311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310, and in the case of the locking protrusion portion 311, it is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connection portion 310 to form a trapping portion ( 210) is pressed to prevent it from coming off.
걸림턱부(311)는 트랩핑부(210)의 외주면을 가압하며, 지속적인 가압을 통하여 핸들 유닛(300)의 유격이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cking protrusion portion 311 presse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rapping portion 210, and it is desirable to prevent clearance or separation of the handle unit 300 through continuous pressure.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matters stated in the patent claims, and parentheses used in the patent claims are not used for selective limitation, but are used for clear elements, and descriptions within parentheses are also interpreted as essential elements. It has to be.
100: 보틀 보디 유닛101: 관통홈
102: 체결부110: 실링부
120: 파우치부200: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
201: 결합부210: 트랩핑부
211: 제1트랩핑부212: 제2트랩핑부
300: 핸들 유닛301: 핸들링부
310: 커넥션부311: 걸림턱부
320: 사이드월부330: 바텀 블로킹부
400: 아웃렛 유닛500: 커버링 유닛
501: 제1커버링부502: 제2커버링부100: Bottle body unit 101: Through groove
 102: fastening part 110: sealing part
 120: Pouch part 200: Arrangement frame unit
 201: coupling part 210: trapping part
 211: first trapping part 212: second trapping part
 300: handle unit 301: handling unit
 310: Connection part 311: Locking jaw part
 320: Side wall part 330: Bottom blocking part
 400: outlet unit 500: covering unit
 501: first covering part 502: second covering part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133472AKR102684645B1 (en) | 2021-10-07 | 2021-10-07 | System of detachable handle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bottl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133472AKR102684645B1 (en) | 2021-10-07 | 2021-10-07 | System of detachable handle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bottl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050142A KR20230050142A (en) | 2023-04-14 | 
| KR102684645B1true KR102684645B1 (en) | 2024-07-31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133472AActiveKR102684645B1 (en) | 2021-10-07 | 2021-10-07 | System of detachable handle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bottle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684645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91409B1 (en)* | 2013-01-31 | 2014-05-02 | (주)프띠아띠 | Baby drink container | 
| JP2018518248A (en)* | 2015-05-11 | 2018-07-12 | アグネス モラン,オルウィン | Container gripping aid | 
| CN208372161U (en)* | 2017-11-01 | 2019-01-15 | 汪仁高 | The dismountable feeding bottle of handl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3249614B2 (en)* | 1992-12-29 | 2002-01-21 |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 Molding method of synthetic resin container with handle and container | 
| KR200451897Y1 (en) | 2008-05-08 | 2011-01-18 | 우복례 | Nnursing bottle | 
| KR200468266Y1 (en) | 2012-11-28 | 2013-08-02 | 주식회사 오스틴인터내쇼날 | A Stainless steel Feeding bottle | 
| KR101610589B1 (en) | 2015-04-13 | 2016-04-07 | 신재곤 | Disassembly and assembly is convenient silicone baby bottle | 
| KR101897663B1 (en) | 2017-06-07 | 2018-09-12 | 주식회사 실리캠 | A nursing bottle of straw type with ventilation apparatus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91409B1 (en)* | 2013-01-31 | 2014-05-02 | (주)프띠아띠 | Baby drink container | 
| JP2018518248A (en)* | 2015-05-11 | 2018-07-12 | アグネス モラン,オルウィン | Container gripping aid | 
| CN208372161U (en)* | 2017-11-01 | 2019-01-15 | 汪仁高 | The dismountable feeding bottle of handl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050142A (en) | 2023-04-14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AU2019264569B2 (en) | Child feeding system | |
| KR102061312B1 (en) | Tumbler for child having holder case | |
| US9713576B2 (en) | Child feeding system | |
| US6062419A (en) | Spill-protecting drinking vessel top | |
| AU2014249322B2 (en) | Drink containers with closure retention mechanisms | |
| CN103003166B (en) | There is the integrated bottle closure lid drawing lid handle | |
| US20160256359A1 (en) | Flexible Sealing Lid And Connector Device For A Drink Container | |
| US7753240B2 (en) | Closure for a liquid container | |
| US3506167A (en) | Venting device for water bottles | |
| CA2493814A1 (en) | No-spill drinking products | |
| EP0266391A1 (en) | Feeding device. | |
| KR102527876B1 (en) | Dropper container to prevent residual quantity | |
| TW201105276A (en) | Leak resistant drinking cup and diaphragm therefor | |
| US876382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pressure in a container | |
| KR102684645B1 (en) | System of detachable handle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bottle | |
| KR102684646B1 (en) | System for bottle forming subdivision space from double bottle cap | |
| CN2180148Y (en) | Tea cup with air bag | |
| CN210018787U (en) | Novel flip cup | |
| CN206857309U (en) | A kind of container is drunk water with pull-type to be covered | |
| KR102800392B1 (en) | Two-handed cup equipped with means to prevent the lid from coming off | |
| CN217695924U (en) | Cup cover and cup using same | |
| TW201444606A (en) | Bottle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or treating a beverage | |
| KR102336626B1 (en) | the improved cap structure for vessel | |
| JPH0215800Y2 (en) | ||
| CN210145106U (en) | Disposable feeding bottle with vent hole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