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2684420B1 - Boot member and ethernet connector - Google Patents

Boot member and ethernet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4420B1
KR102684420B1KR1020180111673AKR20180111673AKR102684420B1KR 102684420 B1KR102684420 B1KR 102684420B1KR 1020180111673 AKR1020180111673 AKR 1020180111673AKR 20180111673 AKR20180111673 AKR 20180111673AKR 102684420 B1KR102684420 B1KR 102684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ernet
plug
grip
width
boot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6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32533A (en
Inventor
신상식
하경호
김수종
김준엽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filedCritical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1673ApriorityCriticalpatent/KR102684420B1/en
Publication of KR20200032533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200032533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4420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2684420B1/en
Active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은 작업자의 다수의 이더넷 패치코드가 접속되는 패치패널 등에서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밴딩 방향의 자유도를 제공하며, 이더넷 커넥터의 파손과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부트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이더넷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ot member that improves the worker's workability in a patch panel to which a plurality of Ethernet patch cords are connected, provides freedom in the bending direction, and prevents damage and contamination of the Ethernet connector, and an Ethernet connector equipped with the same. It's about.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부트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이더넷 커넥터{BOOT MEMBER AND ETHERNET CONNECTOR}Boot member and Ethernet connector having the same {BOOT MEMBER AND ETHERNET CONNECTOR}

본 발명은 이더넷 커넥터를 구성하기 위한 부트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이더넷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작업자의 다수의 이더넷 패치코드가 접속되는 패치패널 등에서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밴딩 방향의 자유도를 제공하며, 이더넷 커넥터의 파손과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부트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이더넷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ot member for forming an Ethernet connector and an Ethernet connector hav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ot member that improves the operator's workability in a patch panel to which a plurality of Ethernet patch cords are connected, provides freedom in the bending direction, and prevents damage and contamination of the Ethernet connector, and the same. It relates to the Ethernet connector provided.

일반적으로 이더넷 패치코드는 UTP 또는 STP 케이블의 양단에 이더넷 패치코드(100')의 커넥터가 연결되는 방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더넷 패치코드(100')의 커넥터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부트부재와 케이블의 복수 페어를 구성하는 도체선과 외부로 노출되는 접속단자를 내부에서 접속하여 수용하는 RJ45 규격의 이더넷 커넥터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Generally, an Ethernet patch cord is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connectors of an Ethernet patch cord (100')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a UTP or STP cable. In addition, the connector of the Ethernet patch cord 100' includes a boot member to support the cable, a conductor wire constituting multiple pairs of the cable, and an RJ45 standard Ethernet connector plug that internally connects and accommodates the externally exposed connection terminal. It can be configured.

도 4는 종래의 전산실 등에 구비된 패치패널에 다수의 이더넷 패치코드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Figure 4 show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Ethernet patch cords are mounted on a patch panel provided in a conventional computer room.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산실 또는 대형 데이터 센터 등에서는 이더넷 패치코드 및 패치패널 또는 스위치 등에 대량으로 연결 및 설치된다.As shown in Figure 4, in computer rooms or large data centers, Ethernet patch cords, patch panels, or switches are connected and installed in large quantities.

각각의 패치패널 시스템(400)은 복수 개의 패치패널(400a, 400b 400c)이 적층되어 구비되고, 각각의 층의 패치패널의 이더넷 패치코드(100')의 커넥터의 연결을 위한 이더넷 패치코드(100')의 커넥터의 플러그와 접속되는 모듈러잭이 내측에 구비되는 삽입구(410)는 일렬로 복수 개가 구비되므로, 이러한 패치패널 삽입구(410)의 층간 간격 및 삽입구의 좌우 간격 또는 이격 공간은 상당히 협소하다.Each patch panel system 4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atch panels 400a, 400b 400c stacked, and an Ethernet patch cord 100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of the Ethernet patch cord 100' of the patch panel of each layer. ') Since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410 are provided in a row, and the modular jack connected to the plug of the connector is provided in a row, the inter-layer spacing of these patch panel insertion holes 410 and the left and right spacing or separation space of the insertion holes are quite narrow. .

이러한 환경에서 이더넷 패치패널(400a, 400b 400c)의 이더넷 커넥터 삽입구(410)에 이더넷 패치코드(100')의 연결 또는 분리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는 각각의 이더넷 커넥터 삽입구에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더넷 패치코드의 커넥터를 구성하는 플러그를 장착하거나 분리해야 하지만 공간이 협소한 경우 작업성이 떨어진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패치패널 시스템에서 작업자가 중간층 패치패널(400b)의 이더넷 커넥터 삽입구에 장착된 이더넷 패치코드(100')의 커넥터들을 분리 또는 장착하는 경우 성인 작업자의 엄지 및 검지 손가락으로 이더넷 패치코드(100')의 커넥터를 그립한 상태로 중간층 이더넷 패치패널(400b)의 삽입구(410)에 이더넷 패치코드(100')의 커넥터를 삽입하여 장착하고 분리시에는 이더넷 패치코드(100')의 커넥터의 래치 등을 누른 상태로 인출하여 분리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또한, 전산실 또는 대형 데이터 센터 등에서 이더넷 패치코드는 대량으로 접속되고, 이더넷 패치코드를_구성하는 이더넷 케이블은 다양한 방향에서 패치패널에 밴딩되어 장착될 수 있으나 종래의 이더넷 패치코드(100')의 커넥터는 이더넷 케이블의 꺾임을 방지하면서 충분한 밴딩 방향의 자유도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In this environment, the worker who connects or disconnects the Ethernet patch cord (100') to the Ethernet connector insertion port (410) of the Ethernet patch panel (400a, 400b, 400c) accurately and quickly connects the Ethernet patch cord to each Ethernet connector insertion port. The plugs that make up the connector must be installed or removed, but workability is poor when space is limited. For example, in the patch panel system shown in Figure 4, when a worker disconnects or installs the connectors of the Ethernet patch cord (100') mounted on the Ethernet connector insertion hole of the middle layer patch panel (400b), the adult worker's thumb and index finger While gripping the connector of the Ethernet patch cord (100'), insert and mount the connector of the Ethernet patch cord (100') into the insertion hole (410) of the middle layer Ethernet patch panel (400b). When detached, the Ethernet patch cord (100') The operation of pulling out and separating the connector is performed while pressing the latch, etc. of the connector. In addition, Ethernet patch cords are connected in large quantities in computer rooms or large data centers, and the Ethernet cables that make up the Ethernet patch cord can be bent and mounted on the patch panel in various directions, but the connector of the conventional Ethernet patch cord (100')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provide sufficient degree of freedom in the bending direction while preventing the Ethernet cable from being bent.

이러한 문제는 전산실 등의 환경 외에도 이더넷 패치코드를 이더넷 전원 공급(PoE) 시스템, 예를 들면 조명 시스템 등에 적용하는 경우, 이더넷 패치코드를 천정 마감재 내부의 협소한 공간으로 도입하여 이더넷 패치코드의 커넥터 등을 조명의 전원부 등에 각각 접속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문제가 된다. 이더넷 전원 공급(PoE) 시스템은 IEEE 802.3af 및 802.3at 표준에 의해 정의된 네트워킹 기능을 의미한다. 이더넷 전원 공급(PoE) 기술을 사용하면 기존 이더넷 케이블을 통해 네트워크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술을 의미한다.In addition to environments such as computer rooms, this problem occurs when applying an Ethernet patch cord to an Ethernet power supply (PoE) system, such as a lighting system, by introducing the Ethernet patch cord into a narrow space inside the ceiling finish, such as the connector of the Ethernet patch cord, etc. It is also a problem if each has to b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of lighting, etc. Power over Ethernet (PoE) system refers to the networking functionality defined by the IEEE 802.3af and 802.3at standards. Power over Ethernet (PoE) technology refers to a technology that supplies power to network devices through existing Ethernet cables.

이더넷 전원 공급(PoE) 조명 시스템의 설치작업은 협소한 공간에서 조명유닛과 이더넷 패치코드를 연결하는 작업을 전제하며, 도체를 노출시켜 단순 삽입하거나 도체 연결 후 절연 테이프 등으로 마감하는 조명용 전원 케이블과 달리 이더넷 패치코드는 커넥터의 접속 방향이 제한되므로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Installation of a Power over Ethernet (PoE) lighting system presupposes the task of connecting a lighting unit and an Ethernet patch cord in a small space. A lighting power cable that is simply inserted by exposing the conductor or finished with insulating tape after connecting the conductor. Unlike Ethernet patch cords, the connection direction of the connector is limited, so workability is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조명유닛의 커넥터 연결방향과 이더넷 패치코드의 배선 방향이 다른 경우 각각의 조명에 접속된 이더넷 패치코드의 커넥터에 연결된 이더넷 케이블이 심하게 꺾여 커넥터 연결부위에서 이더넷 케이블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Additionally, if the connector connection direction of the lighting unit and the wiring direction of the Ethernet patch cord are different, the Ethernet cable connected to the connector of the Ethernet patch cord connected to each lighting may be severely bent, causing problems such as damage to the Ethernet cable at the connector connection area. You can.

본 발명은 작업자의 다수의 이더넷 패치코드가 접속되는 패치패널 등에서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밴딩 방향의 자유도를 제공하며, 이더넷 커넥터의 파손과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부트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이더넷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ot member that improves the worker's workability in a patch panel to which a plurality of Ethernet patch cords are connected, provides freedom in the bending direction, and prevents damage and contamination of the Ethernet connector, and an Ethernet connector equipped with the same. The problem to be solved is to provide .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더넷 패치코드를 구성하기 위한 부트부재에 있어서, 케이블이 후방으로 도입되고, 외주면에 복수 개의 절개홈이 구비되며, 원형 또는타원형 또는 타원형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는 케이블 지지부; 및, 상기 케이블 지지부 전방에 구비되고, 폭이 변경되는 방법으로 측면에 그립용 단차가 구비되며 플러그와 연결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부트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ot member for constructing an Ethernet patch cord, wherein the cable is introduced to the rear, a plurality of cut grooves ar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cable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ircular, oval, or oval pipe. support part; And, a grip portion provided in front of the cable support portion, provided with a step for gripping on the side in such a way that the width is changed, and connected to the plu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oot member including a.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홈은 상기 케이블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되, 동일 원주 상에서 적어도 2개로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cut grooves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ble support portion, and may be divided into at least two on the same circumference.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홈 중 상기 케이블 지지부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절개홈은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다.Also, among the plurality of cut grooves, cut grooves adjacent to the cable support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formed to be staggered.

여기서, 상기 그립부의 폭은 상기 케이블 지지부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Here, the width of the grip portion may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able support portion.

이 경우, 상기 그립부의 폭은 상기 케이블 지지부의 최대 외경의 1.05 내지 1.4배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grip portion may be 1.05 to 1.4 times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cable support portion.

또한, 상기 그립부의 후방의 폭은 상기 케이블 지지부의 외경보다 크며, 상기 그립용 단차는 상기 그립부의 전방과 후방의 경계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width of the rear of the grip portion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able support portion, and the step for the grip may be provided at a boundary area between the front and rear of the grip portion.

이 경우, 상기 그립부의 전방의 폭이 상기 플러그의 폭보다 크거나 같으며, 그 편차는 0.2 밀리미터(mm) 이내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front width of the grip por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plug, and the deviation may be within 0.2 millimeter (mm).

또한, 상기 케이블 지지부, 상기 그립부 및 상기 플러그의 두께는 동일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thickness of the cable support portion, the grip portion, and the plug may be the same.

그리고, 상기 그립부의 전방의 폭이 상기 그립부의 후방의 폭의 1.02배 이상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Additionally, the front width of the grip portion may be 1.02 times or more than the rear width of the grip portion.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더넷 케이블이 후방에서 도입되는 전술한 부트부재; 및, 상기 부트부재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이더넷 케이블과 접속되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이더넷 패치코드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described boot member into which the Ethernet cable is introduced from the rear; And, a plug provided in front of the boot member and connected to the Ethernet cable can be provided.

이 경우, 상기 플러그는 상면에 구비된 래치 하부에 걸림단차가 구비되고 하면에 단자가 구비되는 단자부가 구비되며, 상기 플러그의 단자부 보호를 위하여 상기 단자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과 연결된 단자부 삽입구, 상기 플러그의 걸림단차가 로킹되는 로킹용 개구부가 구비되는 캡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lug is provided with a locking step at the lower part of the latch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terminal part with a terminal on the lower surface. In order to protect the terminal part of the plug, a receiving space into which the terminal part is inserted and accommodated, the receiving space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cap member provided with a connected terminal insertion hole and a locking opening through which the locking step of the plug is locked.

또한, 상기 캡부재는 하우징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단자부 삽입구는 상기 캡부재의 측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로킹용 개구부는 상기 캡부재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ap member may be configured in a housing shape, the terminal insertion hole may be formed in a side direction of the cap member, and the locking opening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ap member.

그리고, 상기 캡부재의 상기 로킹용 개구부의 주변 테두리 중 플러그 삽입구 방향 테두리는 상방향으로 만곡 돌출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Also, among the peripheral edges of the locking opening of the cap member, an edge in the direction of the plug insertion hole may be configured to curve and protrude upward.

본 발명에 따른 부트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이더넷 커넥터에 의하면, 협소한 공간에서 이더넷 커넥터의 장착 및 분리 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boot member and the Ethernet connector provided with the boo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ability of mounting and dismounting the Ethernet connector in a narrow space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트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이더넷 커넥터에 의하면, 이더넷 케이블의 밴딩 방향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boot member and the Ethernet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of freedom in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Ethernet cable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트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이더넷 커넥터에 의하면, 이더넷 커넥터의 보호를 위한 별도의 캡부재를 구비하여 이더넷 커넥터의 플러그 등의 파손과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boot member and the Ethernet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and contamination of the plug of the Ethernet connector, etc. by providing a separate cap member to protect the Ethernet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커넥터의 상부 사시도 및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커넥터의 상부 평면도, 측면도 및 하부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커넥터와 캡부재의 분리상태와 장착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종래의 전산실 등에 구비된 패치패널에 다수의 이더넷 패치코드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Figure 1 shows a top and bottom perspective view of an Ethernet connect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2 shows a top plan view, a side view and a bottom plan view of an Ethernet connect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 shows the separated and installed states of the Ethernet connector and the cap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Ethernet patch cords are mounted on a patch panel provided in a conventional computer room.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so that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커넥터(100)의 상부 사시도 및 하부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커넥터(100)의 상부 평면도, 측면도 및 하부 평면도를 도시한다.Figure 1 shows a top perspective view and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Ethernet connec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shows a top plan view, a side view, and a bottom plan view of the Ethernet connector 100 according to the invention.

이더넷 패치코드는 복수 페어의 도체선을 구비하는 UTP 또는 STP 방식의 이더넷 케이블(50)과 이더넷 케이블(50)의 적어도 일단에 RJ45 규격의 이더넷 커넥터(100)가 장착되어 구성되는 통신 연결수단을 의미한다.Ethernet patch cord refers to a communication connection means consisting of a UTP or STP type Ethernet cable 50 having multiple pairs of conductor wires and an RJ45 standard Ethernet connector 100 mounted on at least one end of the Ethernet cable 50. do.

또한, 상기 이더넷 커넥터(100)는 이더넷 케이블(50)의 4 페어 도체선이 접속되는 플러그(10)와 상기 플러그(10) 후방에 장착되는 부트부재(20)로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Ethernet connector 100 may be composed of a plug 10 to which four pairs of conductor wires of the Ethernet cable 50 are connected and a boot member 20 mounted behind the plug 10.

상기 부트부재(20)는 플러그(10)에 접속되는 이더넷 케이블(50)이 관통하는 구조를 가지며 유연한 수지재질로 구성되고, 이더넷 케이블(50)의 꺾임을 방지하고 플러그 후방으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부트부재(20) 및 이를 구비하는 이더넷 커넥터(100)를 설명한다.The boot member 20 has a structure through which the Ethernet cable 50 connected to the plug 10 penetrates and is made of a flexible resin material, prevents the Ethernet cable 50 from being bent and prevents foreign substances, etc. from entering the rear of the plug. I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preventing First, the boot memb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thernet connector 100 provided therewith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이더넷 커넥터(100)를 구성하기 위한 부트부재(20)는 이더넷 케이블(50)이 후방으로 도입되고, 밴딩 유연성을 위하여 외주면에 복수 개의 절개홈(26g)이 구비되며, 원형 또는 타원형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는 케이블 지지부(26); 및, 상기 케이블 지지부(26) 전방에 구비되고, 폭이 변경되는 방법으로 측면에 그립용 단차(21s)가 구비되며 플러그(10)와 연결되는 그립부(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boot member 20 for configuring the Ethernet connec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thernet cable 50 introduced to the rea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ut grooves 26g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for bending flexibility, and has a circular or oval pipe. A cable support portion 26 configured in the form of; And, a grip portion 21 provided in front of the cable support portion 26, provided with gripping steps 21s on the side in such a way that the width changes, and connected to the plug 10.

종래의 일반적인 이더넷 커넥터용 부트부재의 경우, 납잡한 직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하 방향 밴딩은 용이하지만, 좌우 방향 밴딩은 그 부트부재의 폭의 증가로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떨어지고, 그 이외의 방향 예를 들면 대각선 방향의 밴딩은 쉽지 않았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boot member for a general Ethernet connector, it is configured to have a neat rectangular cross-section, so it is easy to b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the flexibility for left-right banding is relatively low due to the increase in the width of the boot member, and other directions, for example, are For example, diagonal banding was not easy.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실의 패치패널에는 이더넷 패치코드가 대량으로 접속되고 그 접속 방법도 다양하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트부재(20)의 케이블 지지부(26)은 원형 또는 가로폭이 세로폭보다 긴 타원형 파이프 구조를 가지고, 밴딩 유연성을 위하여 외주면에 복수 개의 절개홈(26g)이 구비된다.As mentioned above, a large number of Ethernet patch cords are connected to the patch panel in the communication room, and the connection methods are diverse. Therefor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able support portion 26 of the boot memb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ircular or oval pipe structure where the horizontal width is longer than the vertical width, and a plurality of cables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for bending flexibility. Two incision grooves (26g) are provided.

즉, 부트부재(20)를 구성하는 케이블 지지부(26)를 원형 또는 타원형 파이프 형태로 구성하면 그 내부에 지지되는 이더넷 케이블(50)은 밴딩 방향과 무관하게 꺾임이 방지되고,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밴딩 방향의 자유도가 증가될 수 있다.In other words, if the cable support portion 26 constituting the boot member 2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ircular or oval pipe, the Ethernet cable 50 supported therein is prevented from bending regardless of the bending direction and flexibility can be secured. Therefore, the degree of freedom in the bending direction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은 이더넷 케이블(50) 밴딩 방향의 자유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부트부재(20)를 구성하는 케이블 지지부(26)를 원형 또는 타원형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는 것 이외에 부트부재(20)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의 절개홈(26g)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ovide a degree of freedom in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Ethernet cable 50, the cable support portion 26 constituting the boot member 20 is formed in a circular or oval pipe shape and is loca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ot member 20. A plurality of cutting grooves (26g) may be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종래에도 부트부재(20)에 절개홈(26g)이 구비된 제품이 소개된 바가 있으나, 본 발명의 부트부재(20)의 절개홈(26g)은 상기 케이블 지지부(26)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되 동일 원주 상에서 적어도 2개로 분할되어 형성되고, 더 나아가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홈(26g) 중 상기 케이블 지지부(26)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절개홈(26g)은 엇갈리게 형성되어 유연성과 내구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Although a product having a cut groove (26g) in the boot member 20 has been introduced in the past, the cut groove (26g) of the boot memb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ble support portion 26. It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divided into at least two parts on the same circumference, and further, among the plurality of cut grooves (26g), the cut grooves (26g) adjacen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ble support portion 26 are formed alternately to ensure flexibility and durability. can be secured simultaneously.

즉, 원형 또는 타원형 파이프 형태의 부트부재(20)의 외주면 특정 지점에서 원형 절개홈(26g)을 형성하면 밴딩 유연성은 확보되나 지나친 밴딩시 응력이 집중되어 부트가 파손될 수 있으므로, 절개홈(26g)은 연결되지 않고 분할되어 동일 지점의 원주에서 분할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if a circular cut groove (26g) is formed at a specific point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ot member 20 in the form of a circular or oval pipe, bending flexibility is secured, but when excessive bending occurs, stress may be concentrated and the boot may be damaged, so the cut groove (26g) It is preferable that it is not connected but is divided and divided on the circumference of the same point.

또한, 원주 방향으로 외주면을 따라 분할되어 구성되는 절개홈(26g) 역시 부트부재(20)의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절개홈(26g)은 엇갈리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절개홈(26g)은 부트부재(2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되 인접한 절개홈(26g)은 평행하되 나란하지 않고 엇갈리게 구성하여 부트부재(20)의 특정 방향으로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ut grooves 26g, which are divid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arranged so that the cut grooves 26g adjacent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oot member 20 are staggered. That is, the cut grooves 26g ar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ot member 20, but the adjacent cut grooves 26g are parallel but staggered rather than parallel, thereby reducing the durability of the boot member 20 in a specific direction. can be prevented.

그리고, 본 발명의 부트부재(20)의 전방에는 그립부(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21)는 폭이 변경되는 방법으로 측면에 그립용 단차(21s)가 구비되며, 그 전방에 플러그(10)가 장착된다.Additionally, a grip portion 21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boot memb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portion 21 is provided with a gripping step 21s on the side in such a way that the width changes, and a plug 10 is mounted in front of it.

본 발명의 이더넷 커넥터(100)는 작업자가 패치패널 등에 수작업으로 장착 또는 분리를 수행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패치패널의 이더넷 커넥터(100) 삽입구는 밀집되어 구성되므로 이더넷 커넥터(100)를 삽입구에 장착 또는 분리하는 과정에서 작업자는 손가락 2개 정도를 이더넷 커넥터(100)를 그립하기 위하여 사용한다.The Ethernet connec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ally installed or removed by a worker on a patch panel, etc., and as described above, the insertion port of the Ethernet connector 100 of the patch panel is densely configured, so the Ethernet connector 100 is installed in the insertion port. Alternatively, during the separation process, the worker uses about two fingers to grip the Ethernet connector 100.

그리고, 이더넷 커넥터(100)를 구성하는 플러그(10)는 표면이 매끄럽고 구조가 규격화되므로 별도의 그립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어렵다.Also, since the plug 10 constituting the Ethernet connector 100 has a smooth surface and a standardized structure, it is difficult to form a separate grip structure.

따라서, 본 발명의 부트부재(20)는 삽입구가 밀집된 패치패널 등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케이블 지지부(26)와 플러그(10) 사이에 그립부(21)를 구비하되 주변 이더넷 커넥터(100) 등과 간섭을 최소화하는 구조를 채용한다.Therefore, the boot memb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grip portion 21 between the cable support portion 26 and the plug 10 to improve workability in patch panels with dense insertion holes, etc., and is provided with a grip portion 21, etc. A structure that minimizes interference is adopted.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부트부재(20)의 그립부(21)는 폭이 변경되는 방법으로 측면에 그립용 단차(21s)가 구비된다.Specifically, the grip portion 21 of the boot memb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gripping step 21s on the side in such a way that the width is changed.

플러그(10) 상면에는 이더넷 커넥터(100) 분리를 위한 래치(11)가 구비되므로 래치(11)와 간섭없이 커넥팅 작업을 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일반적으로 이더넷 커넥터(100)의 측면을 지지하여 이더넷 커넥터(100)의 장착 또는 분리 작업을 수행한다.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plug 10 is provided with a latch 11 for disconnecting the Ethernet connector 100, in order to perform connecting work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latch 11, the worker generally supports the side of the Ethernet connector 100 to connect the Ethernet connector (100). 100) perform the mounting or dismounting work.

따라서, 본 발명의 부트부재(20)는 작업자의 작업시 플러그(10)의 후방에 위치하는 그립용 단차(21s)를 잡고 패치패널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boot memb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patch panel work by holding the gripping step 21s located at the rear of the plug 10 during the worker's work.

상기 그립용 단차(21s)는 상기 그립부(21)의 폭을 변경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있다.The grip step 21s may be formed by changing the width of the grip portion 21.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부(21)의 전방의 폭(w2)은 상기 플러그(10)의 폭(w3)과 일치되며, 상기 그립부(21)의 후방의 폭(w1)은 상기 케이블 지지부(26)의 외경보다 크며, 상기 그립용 단차(21s)는 상기 그립부(21)의 전방과 후방의 경계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2, the front width w2 of the grip portion 21 matches the width w3 of the plug 10, and the rear width w1 of the grip portion 21 is It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able support portion 26, and the grip step 21s may be provided at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front and rear of the grip portion 21.

상기 그립용 단차(21s)가 작업자의 작업에 실질적 도움을 제공하고 플러그를 패치패널 등에 장착하는 경우 슬립현상이 방지되도록 상기 그립부(21)의 전방폭(w2)은 상기 그립부(21)의 후방폭(w1)의 1.02 배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ront width w2 of the grip part 21 is equal to the rear width of the grip part 21 so that the grip step 21s provides practical assistance to the worker's work and prevents slip when the plug is mounted on a patch panel, etc. It is desirable to make it 1.02 times or more than (w1).

반면, 그립용 단차(21s) 형성을 위해 그립부(21)의 특정 영역의 폭을 인위적으로 증가시키거나 돌기부 등을 형성하는 경우 오히려 플러그 삽입구가 밀집된 영역에서 주변 이더넷 커넥터와 간섭 등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부트부재(20)는 부트부재(20) 전방의 그립부(21)의 폭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그립용 단차(21s)를 형성하여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width of a specific area of the grip part 21 is artificially increased or a protrusion is formed to form the grip step 21s, interference with surrounding Ethernet connectors may occur in the area where the plug insertion hole is crowded. The boot memb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operator's workability by forming a step 21s for grip by reducing the width of the grip portion 21 in front of the boot member 20.

상기 그립용 단차(21s)를 상기 그립부(21)의 측면에 구비하므로 상기 케이블 지지부(26), 상기 그립부(21) 및 상기 플러그(10)의 두께는 동일하게 구성하여 부트부재(20)가 플러그의 후방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이더넷 케이블(50)의 하중 등에 의한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grip step 21s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grip portion 21, the thickness of the cable support portion 26, the grip portion 21, and the plug 10 are configured to be the same, so that the boot member 20 is connected to the plug. By stably supporting the rear of the Ethernet cable 50, sagging due to the load, etc. can be prevented.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플러그(10)는 RJ45 규격의 플러그이고, 상기 이더넷 케이블(50)은 4페어 UTP 케이블인 경우, 이더넷 케이블(50)의 외경은 약 5.1밀리미터(mm)이고, 상기 부트부재(20)의 케이블 지지부(26)는 가로 최대 외경이 9밀리미터(mm)이며, 세로 최대 외경이 8밀리미터(mm)인 타원형 또는 타원형 파이프며, 상기 부트부재(20)의 그립부(21)의 후방 최대 폭은 10.4 밀리미터(mm), 그립부(21)의 전방 최대 폭은 11.7 밀리미터(mm)이고, 상기 플러그(10)의 폭은 11.6 밀리미터(mm)로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lug 10 is an RJ45 standard plug and the Ethernet cable 50 is a 4-pair UTP cable, the outer diameter of the Ethernet cable 50 is about 5.1 millimeters ( mm), and the cable support portion 26 of the boot member 20 is an oval or elliptical pipe with a maximum horizontal outer diameter of 9 millimeters (mm) and a maximum vertical outer diameter of 8 millimeters (mm), and the boot member 20 The maximum rear width of the grip portion 21 is 10.4 millimeters (mm), the maximum front width of the grip portion 21 is 11.7 millimeters (mm), and the width of the plug 10 may be 11.6 millimeters (mm). .

그리고, 크기가 규격화된 상기 플러그 이외에 상기 케이블과 상기 부츠부재 등은 다양한 치수로 구성될 수 있으나, 작업성과 밴딩 성능을 보장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그립부(21)의 폭이 상기 케이블 지지부(26)의 최대 외경의 1.05 내지 1.4 배가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그립부(21)의 전방의 폭이 상기 플러그(10)의 폭보다 크거나 같으며, 그 편차는 0.2 밀리미터(mm) 이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실험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In addition to the plug whose size is standardized, the cable and the boot member may be configured with various dimensions. However, in order to ensure workability and bending performan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at the width of the grip portion 21 is adjusted to the cable support portion 26. It is experimentally determined that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it to be 1.05 to 1.4 times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width of the front of the grip portion 21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plug 10, and the deviation is within 0.2 millimeter (mm). I was able to get results.

즉, 상기 케이블 지지부(26)의 최대 외경이 상기 그립부(21)의 폭의 1.05보다 작은 경우에는 이더넷 케이블(50) 등이 밴딩되는 경우 이더넷 케이블을 충분히 지지하지 못하고, 상기 케이블 지지부(26)의 최대 외경이 상기 그립부(21)의 폭의 1.4배를 넘으면 다수의 이더넷 패치코드가 사용되는 환경에서 커넥터의 플러그 등에 작업자의 손가락 등이 접근하기 위한 접근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움을 확인할 수 있었다.That is, if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cable support part 26 is smaller than 1.05 of the width of the grip part 21, the Ethernet cable 50 cannot be sufficiently supported when the Ethernet cable 50 is bent, and the cable support part 26 cannot sufficiently support the Ethernet cable.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maximum outer diameter exceeds 1.4 times the width of the grip portion 21, it is difficult to secure an access space for the worker's fingers to access the plug of the connector in an environment where multiple Ethernet patch cords are used.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그립부(21)의 전방폭(w2)은 상기 그립부(21)의 후방폭(w1)의 1.02 배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그립부(21)의 전방폭(w2)과 규격화된 크기를 갖는 플러그(10)의 폭의 편차가 0.2 밀리미터(mm) 보다 작은 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양 조건을 만족하도록 상기 그립부(21)의 전방폭(w2) 및 후방폭(w1)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width (w2) of the grip portion 21 is preferably 1.02 times or more than the rear width (w1) of the grip portion 21, and the front width (w2) of the grip portion 21 ) and the width of the plug 10 having a standardized size is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less than 0.2 millimeters (mm), so the front width (w2) and rear width (w1) of the grip portion 21 are adjusted to satisfy both conditions. ) is desirable to determine.

그리고,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부트부재(20)가 상기 플러그(10)와 측면이 연결되는 방법으로 구성되나, 상기 그립부의 전방이 연장되어 플러그(10)의 후방 및 상기 래치(11)의 단부를 감싸 보호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 and 2 is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the boot member 20 is connected at the side with the plug 10, but the front of the grip portion extends to connect the plug 10.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structure that surrounds and protects the rear and the end of the latch 11.

이 경우에도, 상기 케이블 지지부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그립부(21)의 측면에 폭이 변경되는 방법으로 단차가 구비되어 작업성과 밴딩 특성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is case as well, the cable support part is configured in a circular or oval shape, and a step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grip part 21 by changing the width, so that effects such as workability and bending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커넥터(100)와 캡부재(110)의 분리상태와 장착상태를 도시한다.Figure 3 shows the separated and installed states of the Ethernet connector 100 and the cap member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더넷 커넥터(100)는 취급 과정 또는 작업 현장에서 먼지 또는 이물질 등이 단자부(15)를 오염시키는 경우, 이더넷 커넥터(100)가 패치패널 삽입구에 정상적으로 장착된 경우에도 연결 불량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고, 연결 불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플러그에 문제가 있는 것인지 패치패널의 삽입구 내의 모듈러잭에 문제가 있는지 이더넷 커넥터(100)를 각각 분리하여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The Ethernet connector 100 may cause problems such as poor connection even if the Ethernet connector 100 is properly installed in the patch panel insertion hole if dust or foreign matter contaminates the terminal portion 15 during the handling process or at the work site. ,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connection is defective,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eparate the Ethernet connectors 100 and check whether there is a problem with the plug or the modular jack in the insertion hole of the patch panel.

따라서, 본 발명의 이더넷 커넥터(100)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캡부재(1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Ethernet connec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ap member 110 to solve this problem.

상기 플러그(10)는 구조가 규격화되고, 상면에 구비된 래치(11) 하부에 걸림단차(13)가 구비되고 하면에 이더넷 케이블(50)의 도체선과 각각 접속되는 복수 개의 단자가 구비되는 단자부(15)가 구비된다.The plug 10 has a standardized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locking step 13 below the latch 11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nd has a terminal portion ( 15) is provided.

상기 걸림단차(13)는 이더넷 커넥터(100)의 플러그가 상기 패치패널의 삽입구에 장착된 상태에서 삽입구의 걸림턱에 걸림단차(13)가 걸림 고정되기 위한 구성으로 이더넷 커넥터(100) 연결상태에서 이더넷 커넥터(100)가 패치패널에서 이더넷 케이블(50)의 자중 등의 이유로 스스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locking step 13 is configured to lock the locking step 13 to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insertion hole when the plug of the Ethernet connector 100 is mounted on the insertion hole of the patch panel, and in the connected state of the Ethernet connector 100 It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Ethernet connector 1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atch panel by itself due to the self-weight of the Ethernet cable 50, etc.

또한, 상기 래치(11)는 상기 이더넷 커넥터(100)의 플러그를 모듈러잭이 구비된 패치패널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상기 걸림단차(13)가 패치패널의 삽입구의 걸림턱에 걸림된 상태를 해재하기 위한 구성이다.In addition, the latch 11 is used to release the locking step 13 from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patch panel when the plug of the Ethernet connector 100 is separated from the patch panel equipped with a modular jack. It is a composition.

따라서, 작업자는 특정 이더넷 커넥터(100)의 플러그를 패치패널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해당 플러그의 래치(11)를 눌러 래치 하부의 걸림단차(13)가 삽입구의 걸림턱과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여 이더넷 커넥터(100)가 패치패널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eparate the plug of a specific Ethernet connector 100 from the patch panel, the worker presses the latch 11 of the plug to release the locking step 13 at the bottom of the latch from the locking step of the insertion hole, thereby releasing the Ethernet connector. (100) can be separated from the patch panel.

상기 캡부재(110)는 이더넷 커넥터(100)의 플러그 래치(11)의 파손 또는 단자부(15) 오염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더넷 커넥터(100)의 플러그를 감싸는 하우징 구조를 가지며, 상기 캡부재(110)는 스스로 또는 쉽게 분리되지 않는 로킹 구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p member 110 is provided to prevent damage to the plug latch 11 of the Ethernet connector 100 or contamination of the terminal portion 15, and has a housing structure surrounding the plug of the Ethernet connector 100, The cap member 11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locking structure that does not separate itself or is easily separated.

따라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10)의 단자부(15) 보호를 위하여 상기 단자부(15)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공간(102), 상기 수용공간(102)과 연결된 플러그 삽입구(101), 상기 플러그(10)의 걸림단차(13)가 로킹되는 로킹용 개구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3(a), in order to protect the terminal portion 15 of the plug 10, there is a receiving space 102 into which the terminal portion 15 is inserted and received, and a receiving space 102 connected to the receiving space 102. A plug insertion hole 101 and a locking opening 111 where the locking step 13 of the plug 10 is locked may be provided.

상기 캡부재(110)는 상기 이더넷 커넥터(100)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101)와 플러그가 삽입되어 래치(11)와 단자부(15)가 보호되며 상기 플러그 삽입구(101)와 연결된 수용공간(102)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로킹 구조를 위하여 상기 캡부재(110)의 상부에는 상기 플러그(10)의 걸림단차(13)가 로킹되는 로킹용 개구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The cap member 110 has a plug insertion hole 101 into which the plug of the Ethernet connector 100 is inserted, and the plug is inserted to protect the latch 11 and the terminal portion 15, and has a receiving space connected to the plug insertion hole 101. (102) is provided. In addition, for the locking structure, a locking opening 111 into which the locking step 13 of the plug 10 is locked may be provided at the top of the cap member 110.

상기 로킹용 개구부(111)는 캡부재(110)의 상면에 형성되며, 래치(11)가 눌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로킹용 개구부의 주변 테두리 중 플러그 삽입구(101) 방향 테두리(113)는 상방향으로 만곡 돌출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locking opening 11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member 110, and in order to prevent the latch 11 from being damaged by being pressed, the edge 113 in the direction of the plug insertion hole 101 among the peripheral edges of the locking opening is It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hape that curves and protrudes upward.

따라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부재(110)에 상기 이더넷 커넥터(100)의 플러그(10)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래치(11)는 상기 로킹용 개구부(111)의 주변 테두리 중 플러그 삽입구 방향 테두리(113)에 의한 눌림이 최소화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래치(11) 하부에 구비된 걸림단차(13)가 상기 로킹용 개구부의 주변 테두리 중 플러그 삽입구 방향 테두리(113)의 내측단(113s)에 걸려 로킹되어 캡부재(11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3(b), when the plug 10 of the Ethernet connector 100 is inserted into the cap member 110, the latch 11 is connected to the locking opening 111. It can be inserted with minimal pressure caused by the edge 113 in the direction of the plug insertion hole among the peripheral edges, and the locking step 13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latch 11 is aligned with the edge in the direction of the plug insertion hole among the peripheral edges of the locking open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p member 110 from being separated by being locked by being caught on the inner end (113s) of (113).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Although this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described below. It will be possible to implement it. Therefore, if the modified implementation basically includes the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이더넷 커넥터
10 : 플러그
20 : 부트부재
100: Ethernet connector
10: plug
20: boot member

Claims (13)

Translated fromKorean
이더넷 패치코드를 구성하기 위한 부트부재에 있어서,
케이블이 후방으로 도입되고, 외주면에 복수 개의 절개홈이 구비되며,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타원형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는 케이블 지지부; 및,
상기 케이블 지지부 전방에 구비되고, 플러그와 연결되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지지부, 상기 그립부 및 상기 플러그의 두께는 동일하고,
상기 그립부는 단면의 폭이 두께보다 큰 형상을 가지며, 상기 그립부의 그립용 단차는 상기 그립부의 전방과 후방의 경계 영역에 구비되되,
상기 그립용 단차의 전방의 측면은 플러그의 측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그립용 단차의 후방의 측면은 상기 그립용 단차에 의하여 단면 폭이 감소되되 상기 그립용 단차의 전방 측면과 평행하고, 상기 그립용 단차의 후방의 단면 폭은 상기 케이블 지지부 최대 외경보다 크며,
상기 그립용 단차는 그 후방의 단면 폭(w1)에서 상기 그립부의 전방의 단면 폭(w2)으로 확장되는 경사면 형태로 구성되어 플러그의 장착시 슬립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트부재.
In the boot member for configuring an Ethernet patch cord,
A cable support portion through which the cable is introduced to the rea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ut groove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ircular, oval, or oval pipe; and,
It includes a grip portion provided in front of the cable support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plug,
The thickness of the cable support portion, the grip portion, and the plug are the same,
The grip portion has a cross-sectional width greater than the thickness, and the gripping step of the grip portion is provided at a boundary area between the front and rear of the grip portion,
The front side of the grip step forms the same plane as the side of the plug, and the rear side of the grip step has a cross-sectional width reduced by the grip step and is parallel to the front side of the grip step, The cross-sectional width of the rear of the grip step is larger than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cable support portion,
A boo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p step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n inclined surface extending from a cross-sectional width (w1) at the rear to a cross-sectional width (w2) at the front of the grip portion to prevent a slip phenomenon when the plug is insta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홈은 상기 케이블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되, 동일 원주 상에서 적어도 2개로 분할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트부재.
According to paragraph 1,
A boo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cut grooves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ble support portion, and are divided into at least two on the same circumferen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홈 중 상기 케이블 지지부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절개홈은 엇갈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트부재.
According to paragraph 2,
A boo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among the plurality of cut grooves, the cut grooves adjacent to the cable support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in a staggered manner.
삭제delete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의 폭은 상기 케이블 지지부의 최대 외경의 1.05 내지 1.4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트부재.
According to paragraph 1,
A boo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grip portion is 1.05 to 1.4 times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cable support portion.
삭제delete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의 전방의 폭이 상기 플러그의 폭보다 크거나 같으며, 그 편차는 0.2 밀리미터(mm)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트부재.
According to paragraph 1,
A boo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width of the grip por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plug, and the deviation is within 0.2 millimeter (mm).
삭제delete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의 전방의 폭이 상기 그립부의 후방의 폭의 1.02배 이상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트부재.
According to paragraph 1,
A boo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width of the grip portion is 1.02 times or more than the rear width of the grip portion.
이더넷 케이블이 후방에서 도입되는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부트부재;
상기 부트부재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이더넷 케이블과 접속되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이더넷 패치코드 커넥터.
The boot member of any one of claims 1 to 3, 5, 7, and 9, into which an Ethernet cable is introduced from the rear;
An Ethernet patch cord connector including a plug provided in front of the boot member and connected to the Ethernet cabl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면에 구비된 래치 하부에 걸림단차가 구비되고 하면에 단자가 구비되는 단자부가 구비되며,
상기 플러그의 단자부 보호를 위하여 상기 단자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과 연결된 단자부 삽입구, 상기 플러그의 걸림단차가 로킹되는 로킹용 개구부가 구비되는 캡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패치코드 커넥터.
According to clause 10,
The plug is provided with a locking step at the bottom of the latch provided on the upper side and a terminal portion including a terminal on the lower side,
In order to protect the terminal portion of the plug, the Ethernet further includes a cap member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space into which the terminal portion is inserted and received, a terminal portion insertion port connected to the accommodating space, and a locking opening into which the locking step of the plug is locked. Patchcord connecto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는 하우징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단자부 삽입구는 상기 캡부재의 측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로킹용 개구부는 상기 캡부재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패치코드 커넥터.
According to clause 11,
The cap member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housing, the terminal insertion hole is formed in a side direction of the cap member, and the locking opening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memb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의 상기 로킹용 개구부의 주변 테두리 중 플러그 삽입구 방향 테두리는 상방향으로 만곡 돌출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패치코드 커넥터.
According to clause 12,
An Ethernet patch cord connector, wherein among the peripheral edges of the locking opening of the cap member, an edge in the direction of the plug insertion hole is curved and protrudes upward.
KR1020180111673A2018-09-182018-09-18Boot member and ethernet connectorActiveKR1026844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80111673AKR102684420B1 (en)2018-09-182018-09-18Boot member and ethernet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80111673AKR102684420B1 (en)2018-09-182018-09-18Boot member and ethernet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00032533A KR20200032533A (en)2020-03-26
KR102684420B1true KR102684420B1 (en)2024-07-11

Family

ID=69958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80111673AActiveKR102684420B1 (en)2018-09-182018-09-18Boot member and ethernet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268442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2006134858A (en)*2004-11-022006-05-25Siemon CoAxial latch actuator
JP2010161049A (en)*2009-01-082010-07-22Harmonet KkProtective cap for modular plug rj45
CN103378474A (en)*2012-04-252013-10-30名门电脑科技股份有限公司Network cable assembly and protective sleeve thereof
JP2015072771A (en)*2013-10-022015-04-16エレコム株式会社Connector memb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2006134858A (en)*2004-11-022006-05-25Siemon CoAxial latch actuator
JP2010161049A (en)*2009-01-082010-07-22Harmonet KkProtective cap for modular plug rj45
CN103378474A (en)*2012-04-252013-10-30名门电脑科技股份有限公司Network cable assembly and protective sleeve thereof
JP2015072771A (en)*2013-10-022015-04-16エレコム株式会社Connector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00032533A (en)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9705250B2 (en)Patch cord plug organizer
TWI485935B (en)Communication plug with improved cable manager
CN103238257B (en)Strain relief device
US10186797B2 (en)Coupler connector and cable terminator with side contacts
JP6137845B2 (en) Communication connector with wire encapsulating cap for improved cable retention
JP6686193B2 (en) RJ45 plug latch guard with integrated release tab
US8758047B2 (en)Port replication assembly with adapter cable and related methods of use
EP2137794B1 (en)Modular connector with reduced termination variability and improved performance
US8747150B1 (en)Multidirectional modular jack and face panel mounting structure
US20090163043A1 (en)Patch panel with angled module
JP2008527947A (en) Communication channel with suppression core
US6284980B1 (en)Cable organizer with conductor termination array
CA2910260A1 (en)Ganged housing for coaxial cable connectors
KR102684420B1 (en)Boot member and ethernet connector
US6358080B1 (en)Snap-in module system
US6332795B1 (en)Hinged connection system
CN107078484A (en) Adapters for use in cable channels and cable distribution systems
US8357011B2 (en)Plug assembly for telecommunications cable
KR102588303B1 (en)Connector and patch cord having the same
US20250079780A1 (en)Single piece cat 6/6a plugs
CN222825712U (en) Junction Box
US9431770B2 (en)Shielded communication connectors and systems comprising shielded communication connectors
KR200209881Y1 (en)Terminal block
KR20220138962A (en)Boot member and patch cord having the same
US6276972B1 (en)Cable cover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1-asn-PN2301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D13-X000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D14-X000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E13-X000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E601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N-2-6-B10-B15-exm-PE0601

E13-X000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PX0901Re-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2-rex-PX0901

E90F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PX0701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3-4-F10-F13-rex-PX0701

X701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