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격리병실 감염관리를 위한 가상현실 임상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가상현실 임상시뮬레이션 방법에 관한 것으로, 격리병실 감염관리를 위한 간호실습을 가상현실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격리병실 감염관리를 위한 가상현실 임상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가상현실 임상시뮬레이션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system and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method for infection control in an isolation ward, and a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for infection control in an isolation ward that allows nursing practice for infection control in an isolation ward to be performed in virtual reality. It concerns simulation systems and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methods.
가상현실은 산업, 엔터테인먼트, 교육, 의료,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4차 산업혁명의 한 분야이다. 최근 가상현실을 활용한 교육이 교육적인 효과성을 기반으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많이 확산되고 있다. 또한 가상현실 교육은 전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메이커운동'과 접목하여 다양한 가상현실 콘텐츠가 제작되고 교육에 활용되고 있다.Virtual reality is a fiel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industry, entertainment, education, medicine, and defense. Recently,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has been spreading widely, especially in elementary schools, based on its educational effectiveness. In addition, virtual reality education is combined with the 'maker movement', which is popular around the world, and various virtual reality contents are being produced and used in education.
가상현실 교육은 단순히 가상현실을 보며 새로운 경험을 하는 정도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직접 가상현실 콘텐츠를 만들고 체험하는 수준까지 도달하고 있다.Virtual reality education does not end with simply viewing virtual reality and experiencing new things, but is reaching the level of creating and experiencing virtual reality content directly.
또한 최근 하드웨어의 발전과 콘텐츠 제작 기술의 향상으로 가상현실 교육이 고등교육 및 전문교육 분야로 확대되고 있으며, 수술 실습, 재활 등 의료분야, 기술설계 및 건축을 비롯한 공학분야가 가상현실을 활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전문교육 분야이다.In addition, virtual reality education is expanding into hig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 education due to recent hardware advancements and improvements in content production technology, and virtual reality is being used in medical fields such as surgical practice and rehabilitation, and engineering fields including technical design and architecture. It is a representative field of professional education.
특히 의료 전문가의 경우, 고도의 정밀성과 방대한 지식이 요구되는 만큼 반복적이고도 지속적인 훈련이 필요하나 학생들이 원하는 만큼 실습 기회가 제공되기 쉽지 않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medical experts, repetitive and continuous training is necessary as a high degree of precision and extensive knowledge are required, but it is not easy to provide practice opportunities as much as students want.
게다가 근래에 발생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에 의해 세계보건기구(WHO)가 선포하는 감염병 최고 경고 등급인 팬데믹(pandemic) 단계에 도달하였으며 이로 인해 대면접촉을 지양(止揚)하고 있다.In addition, the recent outbreak of coronavirus infection-19 (COVID-19) has reached the pandemic stage, the highest warning level for infectious diseases declar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and as a result, face-to-face contact is being avoided. .
하지만 이러한 질병의 확산을 방지하고 감염자를 관리 및 치료해야 하는 의료인은 꼭 필요한 인력이지만 대면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실제 병원에서의 실습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특히 일반적인 병실이 아닌 격리병실 감염관리를 위한 임상시뮬레이션을 제공할 수 있는 가상현실 콘텐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However, medical personnel who must prevent the spread of these diseases and manage and treat infected people are essential personnel, but their practice in actual hospitals is inevitably limited to minimize face-to-face contact. In particular, the need for virtual reality content that can provide clinical simulation for infection control in isolation wards rather than general hospital rooms is emerg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상현실 교육을 통해 격리병실 감염관리를 위한 가상현실 임상시뮬레이션의 다양한 상황을 지속적으로 제공해줌으로써 실습자에게 보다 실질적이고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여 교육의 질을 높여 줄 수 있는 격리병실 감염관리를 위한 가상현실 임상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가상현실 임상시뮬레이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practitioners with more practical and diverse situations by continuously providing various situations of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for infection control in isolation wards through virtual reality education. The goal is to provide a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system and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method for infection control in isolation ward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by providing experien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콘텐츠 제공서버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임상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의한 가상현실 임상시뮬레이션 방법은, 상기 VR콘텐츠 제공서버가 교육자 단말기로부터 지정된 실습자가 착용하는 실습자 단말기의 접속이 확인되면 상기 실습자가 위치하는 실습 스튜디오 내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상기 실습자의 보호구 착용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VR콘텐츠 제공서버가 수신된 보호구 착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습자 단말기로 상기 VR콘텐츠의 시작을 위한 콘텐츠시작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VR콘텐츠 제공서버가 상기 실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콘텐츠시작요청에 대응하는 승인을 수신하면 상기 교육자 단말기로 승인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VR콘텐츠 제공서버가 상기 교육자 단말기로부터 승인을 수신한 이후에 격리병실 감염관리 실습을 위한 이벤트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VR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실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method using a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system including a VR content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 practice in which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is worn by a practitioner designated from an educator terminal. When connection to the user's terminal is confirmed,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practitioner's protective gear wearing from a camera installed in the practice studio where the practitioner is located; transmitting, by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a content start request for starting the VR content to the practitioner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protective gear wearing information; When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receives approval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tart request from the trainee terminal, transmitting an approval request to the educator terminal; And when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receives an event selection for infection control practice in an isolation ward after receiving approval from the educator terminal, generating V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event and providing it to the educator terminal. .
여기서 상기 콘텐츠시작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보호구 착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습자 단말기에서 상기 실습자의 실제모습이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VR콘텐츠 제공서버가 상기 수신된 보호구 착용정보와 기준착용정보를 비교하여 기설정된 착용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콘텐츠시작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VR콘텐츠 제공서버가 상기 기설정된 착용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실습자 단말기로 상기 보호구 착용정보에 기초하여 착용가이드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Here,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content start request includes outputting the actual appearance of the practitioner from the practitioner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protective gear wearing information; Comparing the received protective gear wearing information with standard wear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start request when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satisfies a preset wearing condition; And if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does not satisfy the preset wearing conditions, it may include transmitting wearing guide information based on the protective gear wearing information to the trainee terminal.
그리고 상기 기준착용정보는, 임의의 인물이 전신보호복인 Level D를 착용한 상태의 이미지정보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eference wearing information may be image information of a person wearing Level D, a full-body protective suit.
또한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VR콘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실습이 시작되면 상기 VR콘텐츠 내의 가상공간 중에서 상기 실습자의 위치가 기설정된 기준공간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in the step of generating and providing V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event, when practice begins, the position of the practitioner may be positioned in a preset reference space among the virtual spaces within the VR content.
그리고 상기 이벤트는, 상기 가상공간 내에서의 실습공간을 기준으로 간호사 스테이션 이벤트, 탈의실 이벤트, 복도 이벤트, 환자병실 전실 이벤트, 환자병실 이벤트 및 폐기물 처리실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기설정된 기준공간은 상기 간호사 스테이션일 수도 있다.And the event is arrang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a nurse station event, a locker room event, a hallway event, a patient room event, a patient room event, and a waste disposal room event based on the practice space in the virtual space, and the preset The reference space may be the nurse station.
여기서 상기 간호사 스테이션 이벤트는, 격리병실 간호실습 콘텐츠 소개 이벤트, 실습시작 이벤트, 수간호사 지시이벤트, 탈의실 이동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Here, the nurse station ev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solation ward nursing practice content introduction event, a practice start event, a head nurse instruction event, and a locker room movement event.
그리고 상기 탈의실 이벤트는, 손 씻기 이벤트, 속장갑 착용 이벤트, 가운 착용 이벤트, 신발 보호구 착용 이벤트, 마스크 착용 이벤트, 고글 착용 이벤트, 겉장갑 착용 이벤트 및 복도 이동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locker room ev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hand washing event, an inner glove wearing event, a gown wearing event, a shoe protection wearing event, a mask wearing event, a goggles wearing event, an outer glove wearing event, and a hallway movement event.
또한 상기 복도 이벤트는, 입원정보조사지 확인 이벤트, 정규처방확인 이벤트, 병실전실 이동 이벤트 및 폐기물 처리실 이동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hallway ev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hospitalization information survey form confirmation event, a regular prescription confirmation event, a ward room movement event, and a waste disposal room movement event.
그리고 상기 환자병실 전실 이벤트는, 전실 목적교육 이벤트, 병실 이동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atient ward ev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ard purpose education event and a ward movement event.
또한 상기 환자병실 이벤트는, 환자확인 이벤트, 수행내역 기록 이벤트, 혈압 및 심박측정 이벤트, 체온측정 이벤트, 말초산소포화도측정 이벤트, 간호카트 이벤트, 레귤레이터 이벤트, 인퓨전 펌프 이벤트, 시린지 펌프 이벤트, 에어보 이벤트, 입원정보조사지 재확인 이벤트, 정규처방 재확인 이벤트, 추가처방확인 이벤트, 패스박스 이벤트, 추가처방 약물제공 이벤트, 불편사항확인 이벤트, 환자리액션 이벤트, 노티 이벤트, 병실퇴장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atient room events include patient confirmation event, performance history recording event,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measurement event,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event, peripheral oxygen saturation measurement event, nursing cart event, regulator event, infusion pump event, syringe pump event, and airvo event. ,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hospitalization information survey form re-confirmation event, regular prescription re-confirmation event, additional prescription confirmation event, pass box event, additional prescription drug provision event, inconvenience confirmation event, patient reaction event, notification event, and hospital room exit event. .
그리고 상기 폐기물 처리실 이벤트는, 폐기물 처리실 목적교육 이벤트, 탈의 이벤트 및 실습종료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waste disposal room ev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aste disposal room purpose education event, a doffing event, and a practice end event.
또한 상기 환자병실 전실 이벤트는, 환자병실 전실의 목적을 교육하기 위한 내레이션 및 텍스트 팝업을 포함하는 전실 목적교육 이벤트와 환자병실로의 이동을 유도하는 내레이션, 이동안내 팝업, 이동경로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병실 이동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tient room all-room event includes at least one of a full-room purpose education event including a narration and text pop-up to educate the purpose of the patient room, a narration to induce movement to the patient room, a movement guidance pop-up, and a movement route displa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included hospital room movement events.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임상시뮬레이션 시스템은, 교육자의 입력에 의해 실습자를 지정하고, 실습을 위한 이벤트를 선택하는 교육자 단말기; 실습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어 실습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VR콘텐츠를 제공받는 실습자 단말기; 상기 실습자가 위치하고, 상기 실습자의 보호구 착용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실습 스튜디오; 및 상기 교육자 단말기로부터 지정된 실습자가 착용하는 상기 실습자 단말기의 접속을 확인하고, 상기 실습자 단말기의 접속이 확인되면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보호구 착용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보호구 착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습자 단말기로 상기 VR콘텐츠의 시작을 위한 콘텐츠시작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실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콘텐츠시작요청에 대응하는 승인을 수신하면 상기 교육자 단말기로 승인요청을 전송하며, 상기 교육자 단말기로부터 승인을 수신한 이후에 격리병실 감염관리 실습을 위한 이벤트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VR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실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VR콘텐츠 제공서버를 포함한다.Meanwhile, a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educator terminal that designates a practitioner based on an educator's input and selects an event for practice; A practitioner terminal worn on a part of the practitioner's body to detect the practitioner's movements and receive V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event; a practice studio where the practitioner is located and includes a camera that generates information about the practitioner wearing protective gear; and confirming the connection of the practitioner terminal worn by the designated practitioner from the educator terminal, receiving the protective gear wearing information from the camera when the connection of the practitioner terminal is confirmed, and performing the training based on the received protective gear wearing information. A content start request for starting the VR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student terminal, and when approval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tart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trainee terminal, an approval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educator terminal, and approval is received from the educator terminal. After receiving the event selection for infection control practice in the isolation ward, it includes a VR content providing server that generates V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event and provides it to the practitioner terminal.
여기서 상기 VR콘텐츠 제공서버는, 상기 수신된 보호구 착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습자 단말기에서 상기 실습자의 실제모습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수신된 보호구 착용정보와 기준착용정보를 비교하여 기설정된 착용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콘텐츠시작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기설정된 착용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실습자 단말기로 상기 보호구 착용정보에 기초하여 착용가이드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Here,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causes the trainee's actual appearance to be output from the trainee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protective gear wearing information, and compares the received protective gear wearing information with the standard wearing information to determine preset wearing conditions. If satisfied, the content start request may be transmitted. If the preset wearing conditions are not satisfied, wearing guid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trainee terminal based on the protective gear wearing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기준착용정보는, 임의의 인물이 전신보호복인 Level D를 착용한 상태의 이미지정보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eference wearing information may be image information of a person wearing Level D, a full-body protective suit.
또한 상기 VR콘텐츠 제공서버는, 실습이 시작되면 상기 VR콘텐츠 내의 가상공간 중에서 상기 실습자의 위치가 기설정된 기준공간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may ensure that the practitioner's position is located in a preset reference space among the virtual spaces within the VR content when the training begins.
그리고 상기 이벤트는, 상기 가상공간 내에서의 실습공간을 기준으로 간호사 스테이션 이벤트, 탈의실 이벤트, 복도 이벤트, 환자병실 전실 이벤트, 환자병실 이벤트 및 폐기물 처리실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된 기준공간은 상기 간호사 스테이션일 수도 있다.And the event includes at least one of a nurse station event, a locker room event, a hallway event, a patient room event, a patient room event, and a waste disposal room event based on the practice space in the virtual space, and the preset reference space. may be the nurse station.
또한 상기 환자병실 전실 이벤트는, 환자병실 전실의 목적을 교육하기 위한 내레이션 및 텍스트 팝업을 포함하는 전실 목적교육 이벤트와 환자병실로의 이동을 유도하는 내레이션, 이동안내 팝업, 이동경로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병실 이동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atient room all-room event includes at least one of a full-room purpose education event including a narration and text pop-up to educate the purpose of the patient room, a narration to induce movement to the patient room, a movement guidance pop-up, and a movement route display. It may also include at least one of the included hospital room movement events.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격리병실 감염관리를 위한 가상현실 임상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가상현실 임상시뮬레이션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가상현실 교육을 통해 격리병실 감염관리를 위한 가상현실 임상시뮬레이션의 다양한 상황을 지속적으로 제공해줄 수 있고, 이 과정을 통해 실습자는 보다 실질적이고 다양한 경험을 제공받아 전문 의료인으로의 자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system and a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method for infection control in an isolation ward, various situations of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for infection control in an isolation ward are provided through virtual reality education. It can be provided continuously, and through this process, practitioners can receive more practical and diverse experiences and improve their qualifications as professional medical profession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임상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습자가 보호구를 착용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VR콘텐츠 제공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VR콘텐츠 제공서버에서 제공하는 VR콘텐츠 내의 실습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VR콘텐츠 제공서버에서 제공되는 VR콘텐츠 내에서의 실습자의 이동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임상시뮬레이션 방법의 흐름도, 그리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VR콘텐츠 제공서버에서 실습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VR콘텐츠 내의 가상공간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VR콘텐츠 제공서버가 VR콘텐츠 내의 가상공간에서 가상의 캐릭터를 제공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actitioner wearing protective g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actice space in VR content provided by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movement path of a practitioner within VR content provided by the VR content provision serv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6 is a flow chart of the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metho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7 to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appearance of the virtual space in VR content provided from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to the practitioner terminal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Figure 10 is a diagram to explain how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provides a virtual character in a virtual space within VR content.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exampl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but are not necessarily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ne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dditional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that follows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together with all equivalents to what those claims assert, if properly described. Similar reference numbers in the drawings refer to identical or similar functions across various aspects.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임상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습자가 보호구를 착용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VR콘텐츠 제공서버(4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VR콘텐츠 제공서버(400)에서 제공하는 VR콘텐츠 내의 실습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VR콘텐츠 제공서버(400)에서 제공되는 VR콘텐츠 내에서의 실습자의 이동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actitioner wearing protective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actice space in the VR content provided by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4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FIG. 5 is a diagram to explain the practitioner's movement path within VR content provided by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4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본 발명의 가상현실 임상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실습자가 실제 격리병실 감염관리 상황에서 발생하는 각종 이벤트에 대응되는 VR콘텐츠를 제공받아 의료기관을 직접 방문하지 않더라도 가상현실 공간 내에서 격리병실 감염관리를 위한 임상실습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본 가상현실 임상시뮬레이션 시스템은 교육자 단말기(100), 실습자 단말기(200), 실습 스튜디오(300) 및 VR콘텐츠 제공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practitioners to receive VR content corresponding to various events that occur in an actual isolation ward infection control situation, allowing clinical practice for isolation ward infection control within a virtual reality space even without directly visiting a medical institution. It is designed to make this possible. For this purpose, this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system may include an educator terminal 100, a practitioner terminal 200, a practice studio 300, and a VR content providing server 400.
그리고 가상현실 임상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구성하는 교육자 단말기(100), 실습자 단말기(200), 실습 스튜디오(300)에 설치되는 각종 기기들 및 VR콘텐츠 제공서버(400)는 가상현실 임상시뮬레이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가(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교육자 단말기(100), 실습자 단말기(200), 실습 스튜디오(300)에 설치되는 각종 기기들 및 VR콘텐츠 제공서버(400)는 각종 정보를 서로 송수신하기 위해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된 상태로 가상현실 임상시뮬레이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devices installed in the educator terminal 100, practitioner terminal 200, and practice studio 300, which constitute the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system, and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400 perform the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method. The software (application) for this can be installed and run. In addition, the educator terminal 100, trainee terminal 200, various devices installed in the practice studio 300, and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400 are linked through a wired and wireless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information to each other and provide a virtual virtual environment. Real-world clinical simulation methods can be performed.
교육자 단말기(100)는 가상현실 임상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실습자를 지정하고, 실습자의 임상실습을 위한 이벤트를 제시하며, 제시된 이벤트에 대응되어 실습자에게 제공되는 VR콘텐츠 내에서 실습자가 실습을 수행하는 과정을 관찰 및 평가하는 교육자가 소지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를 위해 교육자 단말기(100)는 교육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며, 처리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교육자 단말기(100)는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PDA 등 다양한 휴대 가능한 이동 단말로 구현되는 것은 물론 서버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교육자 단말기(100)와 VR콘텐츠 제공서버(400)가 별개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일 뿐 교육자 단말기(100)와 VR콘텐츠 제공서버(400)는 동일한 구성일수도 있다.The educator terminal 100 designates a practitioner who performs a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presents an event for the practitioner's clinical practice, and is a process in which the practitioner performs the practice within VR content provided to the practitioner in response to the presented event. It may be a terminal carried by an educator who observes and evaluates. To this end, the educator terminal 100 can receive input from the educator, process data according to the received input, and output the processed results to the user. In addition, the educato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variety of portable mobile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mobile phones, tablet PCs, desktop PCs, and PDAs, and may also be provided as a server. In the drawing, the educator terminal 100 and the VR content provision server 400 are shown as being provided separately, but this is only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educator terminal 100 and the VR content provision server 400 are It may be the same configuration.
한편 실습자 단말기(200)는 가상현실 임상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실습자(P2)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어 실습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교육자 단말기(100)로부터 선택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VR콘텐츠를 VR콘텐츠 제공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실습자 단말기(200)는 실습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HMD(Head Mount Display) 및 HMD에 부착되는 움직임 감지센서를 포함하도록 마련되어 실습자(P2)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VR콘텐츠 제공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HMD에 부착되는 움직임 감지센서로는 HMD에 부착되어 있는 센서 또는 Leap motion과 같은 외부 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is worn on a part of the body of the practitioner (P2) performing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detects the practitioner's movements, and sends V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event selected from the educator terminal 100 to a VR content providing server. It can be obtained from (400). This practitioner terminal 200 is provided to include an HMD (Head Mount Display) worn on the practitioner's head and a motion detection sensor attached to the HMD, and transmits information input by the practitioner (P2) to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400. It can be sent to . At this time, the motion detection sensor attached to the HMD may be a sensor attached to the HMD or an external device such as Leap motion.
이를 통해 실습자(P2)는 실습자 단말기(200)가 신체 일부에 착용한 상태로 VR콘텐츠 제공서버(400)로부터 VR콘텐츠를 제공받아 가상현실에서 격리병실 감염관리를 위한 임상시뮬레이션을 통해 실제와 동일한 임상실습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the practitioner (P2) receives VR content from the VR content provision server (400) with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worn on a part of the body, and performs real-life and virtual reality through clinical simulation for infection control in an isolation ward in virtual reality. You will be able to perform the same clinical practice.
실습 스튜디오(300)는 실습자가 위치하는 공간으로 실습 스튜디오 내에서 실습자가 실습자 단말기(200)를 착용한 상태로 이동하거나 신체를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실습 스튜디오(300) 내에는 실습자(P2)의 모습을 촬영하는 카메라(310)를 포함하여 실습자(P2)의 실습을 위해 필요한 장치 및 도구들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카메라(310)는 실습 스튜디오(300) 내에 실습자(P2)가 입장하면 실습자(P2)의 모습을 촬영하고 보호구 착용정보를 생성하여 VR콘텐츠 제공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구 착용정보는 복수의 카메라(310)로부터 촬영된 실습자의 모습을 하나의 이미지로 병합한 이미지정보로써, VR콘텐츠 제공서버(400)에서 보호구를 착용한 상태의 실습자(P2)의 정면, 후면 및 측면모습을 분석하기 위한 이미지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실습 스튜디오(300)에 위치하는 실습자(P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습준비 중인 실습자(P1)가 실습자 단말기(200), 마스크(M) 및 전신보호복 Level D(D)을 포함하는 보호구의 착용을 완료한 실습자이다.The practice studio 300 is a space where practitioners are located, and within the practice studio, practitioners can move or move their bodies while wearing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In this practice studio 300, additional devices and tools necessary for the practice of the practitioner (P2), including a camera 310 that captures the appearance of the practitioner (P2), may be provided. When the practitioner (P2) enters the practice studio 300, the camera 310 can capture the practitioner (P2), generate protective gear wearing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400. Here, the protective gear wearing information is image information that merges the appearance of the practitioner captured by a plurality of cameras 310 into one image, and includes the front of the practitioner (P2) wearing protective gear in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400, This may refer to image information for analyzing rear and side views.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actitioner (P2) located in the practice studio 300, as shown in Figure 2, the practitioner (P1) preparing for practice wears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mask (M), and full body protective clothing Level This is a practitioner who has completed wearing protective equipment including D (D).
한편 VR콘텐츠 제공서버(400)는 교육자 단말기(100) 또는 실습자 단말기(200)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며, 처리된 결과에 따른 VR콘텐츠를 교육자 단말기(100) 또는 실습자 단말기(200)로 전송하기 위해 마련된다.Meanwhile,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400 receives input from the educator terminal 100 or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processes data according to the received input, and provides VR content according to the processed results to the educator terminal 100. Or, it is prepared to transmit to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도 3은 본 발명의 VR콘텐츠 제공서버(4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본 실시예의 VR콘텐츠 제공서버(400)는 통신부(410), 저장부(420) 및 제어부(430)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Figure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40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410, a storage unit 420, and a control unit 430. This can be prepared.
통신부(410)는 VR콘텐츠 제공서버(400) 내부에서 처리된 정보나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교육자 단말기(100) 또는 실습자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고, 교육자 단말기(100), 실습자 단말기(200) 및 카메라(310)로부터 데이터, 값,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통신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410 can transmit information or data processed within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400 to the educator terminal 100 or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through a network, and the educator terminal 100 and the practitioner terminal ( Data, values, and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200) and camera 310. This communication can be done wired or wirelessly.
저장부(420)는 VR콘텐츠 제공서버(400)에서 처리되는 값,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VR콘텐츠 제공서버(400)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알고리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VR콘텐츠 제공서버(400)는 내부에 저장부(420)를 물리적인 구성으로 포함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통신부(410)를 통해 네트워크 상에 클라우드 서버를 운영함으로써 저장부(420)를 가상공간에 구비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420 is provided to store values, information, and data processed by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400, and can store programs, applications, algorithms, etc. for driving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400.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400 not only includes a storage unit 420 as a physical configuration, but also operates a cloud server on the network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10 to store the storage unit 420 in a virtual space. It may be available.
이러한 저장부(420)는 VR콘텐츠 제공서버(400)와 연동되는 교육자 단말기(100), 실습자 단말기(200) 및 카메라(310)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와 교육자 또는 실습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임상시뮬레이션을 위한 이벤트에 대응되는 VR콘텐츠, 오브젝트 정보, 이벤트 및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녹음된 음성, 소리, 텍스트 및 인터랙션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20)는 지정된 실습자가 임상시뮬레이션을 수행하면 실습자가 VR콘텐츠 내에서 수행한 실습영상을 녹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This storage unit 420 contains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educator terminal 100, practitioner terminal 200, and camera 310 that are linked to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400,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educator or practitioner, and clinical data. At least one of VR content corresponding to an event for simulation, object information, recorded voice, sound, text, and interaction corresponding to the event and object can be stored. Additionally, when a designated practitioner performs a clinical simulation, the storage unit 420 can record and store practice videos performed by the practitioner within VR content.
제어부(430)는 실습자 단말기(200)의 움직임 감지센서로 입력되는 실습자의 제스처(Gesture)를 VR콘텐츠와 연동시켜 주고, 격리병실 감염관리 실습을 위한 가상현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430)는 사용자 관리부(431), 착용관리부(433) 및 콘텐츠 관리부(435)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30 can link the practitioner's gesture input through the motion detection sensor of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with VR content and provide virtual reality for infection control practice in the isolation ward. This control unit 430 may include a user management unit 431, a wearing management unit 433, and a content management unit 435.
사용자 관리부(431)는 통신부(410)를 통해 교육자 단말기(100) 및 실습자 단말기(200)의 접속을 확인하고, 접속이 완료된 교육자 단말기(100)로부터 실습자가 지정되면, 지정된 실습자가 착용하는 실습자 단말기(200)의 접속을 확인할 수 있다.The user management unit 431 confirms the connection of the educator terminal 100 and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10, and when a practitioner is designated from the educator terminal 100 for which the connection has been completed, the designated practitioner wears a training device. Now, the connection of the terminal 200 can be confirmed.
그리고 사용자 관리부(431)는 교육자에게 격리병실 감염관리를 위한 임상시뮬레이션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들의 VR콘텐츠의 운영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가상현실 임상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기본 데이터(콘텐츠, 교육자, 실습자)의 추가 입력, 수정, 삭제와 시스템 관리, 실시간 상태 체크 등의 기능 및 교육자 및 실습자 정보의 추가 입력, 수정, 삭제와 실습자 상태 체크, 실습자 로그 보기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user management unit 431 can grant the educator the authority to operate VR content of events that occur during the clinical simulation process for infection control in the isolation ward. In addition, functions such as additional input, modification, and deletion of basic data (content, educator, and practitioner) required to provide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system management, and real-time status check, as well as additional input, modification, and deletion of educator and practitioner information, are provided. It provides functions such as checking practitioner status and viewing practitioner logs.
착용관리부(433)는 실습자의 보호구 착용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사용자 관리부(431)를 통해 실습자 단말기(200)의 접속이 확인되면 카메라(310)로부터 보호구 착용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wearing management unit 433 is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the practitioner has worn the protective gear normally. When the connection to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is confirmed through the user management unit 431, it receives protective gear wearing information from the camera 310. can do.
착용관리부(433)는 수신된 보호구 착용정보에 기초하여 실습자 단말기(200)로 VR콘텐츠의 시작을 위한 콘텐츠시작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착용관리부(433)는 수신된 보호구 착용정보에 기초하여 실습자 단말기(200)에서 실습자의 실제모습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The wearing management unit 433 may transmit a content start request for starting VR content to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based on the received protective gear wearing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wearing management unit 433 can output the actual appearance of the practitioner from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based on the received protective gear wearing information.
그리고 착용관리부(433)는 수신된 보호구 착용정보와 기준착용정보를 비교하여 기설정된 착용조건을 만족하면 콘텐츠시작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wearing management unit 433 may compare the received protective gear wearing information with the standard wearing information and transmit a content start request if the preset wearing conditions are satisfied.
여기서 기준착용정보는, 실제 실습자를 포함하는 임의의 인물이 전신보호복인 Level D를 착용한 상태의 이미지정보일 수 있다. 즉 격리병실 감염관리를 위해 의료인이 착용해야하는 보호구를 정상적으로 착용한 인물의 이미지정보이다.Here, the standard wearing information may be image information of a person, including an actual practitioner, wearing Level D, a full-body protective suit. In other words, it is image information of a person normally wearing protective gear that medical personnel must wear for infection control in an isolation ward.
구체적으로 실제 격리병실 감염관리를 위한 업무를 수행할 때 의료인은 보호구를 착용한 상태로 환자를 대면하게 되며, 보호구는 의료인이 병실에 입원한 환자를 치료하는 과정에서 환자에 의해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착용해야 하는 장비인 만큼 올바른 착용이 중요하다.Specifically, when performing work for infection control in an actual isolation ward, medical personnel face patients while wearing protective gear, and protective gear is used to prevent medical personnel from being infected by patients in the process of treating patients admitted to the ward. As it is an essential piece of equipment, it is important to wear it correctly.
이 때 의료인이 착용하게 되는 보호구는 속장갑, 마스크, 전신보호구, 안전고글, 신발보호구 및 겉장갑으로 구성되는데,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마스크, 실습자 단말기(200) 및 전신보호복(D)만을 도시하였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안전고글을 실습자 단말기(200)로 대체하여 착용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protective gear worn by medical personnel consists of inner gloves, a mask, full body protective gear, safety goggles, shoe protection, and outer gloves. In Figure 3,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mask, practitioner terminal 200, and full body protective clothing ( Only D) is shown, and in this embodiment, safety goggles are worn instead of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임상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는 실습자가 실제 격리병실 감염관리를 위한 업무를 수행하는 것과 동일하게 보호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VR콘텐츠를 제공받아 실습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practitioners receive VR content and perform practice while wearing protective gear in the same way as performing tasks for infection control in an actual isolation ward.
따라서 만약 상기 기설정된 착용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착용관리부(433)는 실습자 단말기(200)로 보호구 착용정보에 기초하여 착용가이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착용관리부(433)는 실습자 단말기(200)인 HMD의 일부 영역에는 현재 실습자의 보호구 착용상태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하고, 나머지 영역에는 기준착용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며, 실습자에게 착용 부위 중 어느 부위의 착용이 잘못되었는지를 안내하는 애니메이션, 음성 및 텍스트 중 하나가 함께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if the preset wearing conditions are not satisfied, the wearing management unit 433 can transmit wearing guide information to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based on the protective gear wearing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the wearing management unit 433 outputs an image of the practitioner's current protective gear wearing status in some areas of the HMD, which is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and outputs standard wearing information in the remaining areas, and instructs the practitioner to select one of the areas worn by the practitioner. Animation, voice, or text can be displayed together to guide you as to which part is incorrectly worn.
이후 착용관리부(433)는 실습자의 보호구 착용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보호구 착용정보와 기준착용정보를 다시 비교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Afterwards, when the practitioner's protective gear wearing information changes, the wearing management unit 433 can perform a process of comparing the changed protective gear wearing information with the standard wearing information again.
그리고 착용관리부(433)는 실습자가 가상공간 내에서 탈의실에 위치하고, 실습종료를 위해 보호구를 탈의하는 경우, 카메라(310)로부터 실습자의 보호구 착용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하는 보호구 착용정보를 실시간으로 가공하여 실습자의 보호구 착용정보가 실습자 단말기(200)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착용관리부(433)는 실습자가 탈의하는 모습을 포함하는 보호구 착용정보를 실시간으로 실습자 단말기(200)에서 VR콘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의 일부에 중첩되어 출력되도록 하거나, VR콘텐츠의 가상공간의 탈의실 내에 가상거울이 포함되도록 하여 가상거울을 통해 실습자의 실제 모습이 보여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aring management unit 433 can receive the practitioner's protective gear wearing information from the camera 310 when the practitioner is located in the locker room in the virtual space and takes off the protective equipment to end practice. Additionally, the received protective gear wearing information can be processed in real time so that the trainee's protective gear wearing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trainee terminal 200. At this time, the wearing management unit 433 outputs the protective gear wear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appearance of the practitioner taking off his/her clothes, in real time by overlapping it with a part of the area where the VR content is output from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or displays the information in the virtual space of the VR content. By including a virtual mirror in the locker room, the actual appearance of the practitioner can be shown through the virtual mirror.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용관리부(433)는 후술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습 스튜디오(300)에 마련되는 카메라(310)와는 별개로 가상의 공간 내에서 실습자 자신의 모습을 미러링할 수 있도록 가상거울 카메라(VC)를 이용하여 3자의 입장에서 실습자의 모습을 보여줄 수도 있다.Meanwhile, the wearing management unit 43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can mirror the practitioner's own appearance in a virtual space separately from the camera 310 provided in the practice studio 300, as shown in FIG. 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 virtual mirror camera (VC) can be used to show the practitioner's appearance from a third party's perspective.
이 경우 탈의실 내에 마련되는 가상거울(M)에 비춰지는 실습자의 모습은 카메라(310)에서 획득한 영상에 기초한 현실 속의 실제 실습자의 모습이 아닌 가상공간 내에 위치하는 가상의 캐릭터(C)로 구성되고, 가상의 캐릭터(C)가 가상의 보호구를 착용한 모습이 가상거울(M)에 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착용관리부(433)는 카메라(310)에서 획득하는 실제 실습자의 자세, 행동 등에 기초하여 가상거울(M)에 미러링되는 가상의 캐릭터(C)가 실제 실습자와 동일한 자세 및 행동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appearance of the practitioner reflected in the virtual mirror (M) provided in the locker room is not the appearance of the actual practitioner in reality based on the image acquired from the camera 310, but is composed of a virtual character (C) located in the virtual space, , the virtual character (C) wearing virtual protective gear can be reproduced in the virtual mirror (M). And at this time, the wearing management unit 433 ensures that the virtual character (C) mirrored in the virtual mirror (M) has the same posture and behavior as the actual practitioner based on the posture and behavior of the actual practitioner obtained from the camera 310. You may.
이에 다른 실시예에서는 실습자가 실제로 보호구를 착용한 모습 및 가상의 캐릭터(C)가 보호구를 착용한 모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호구 착용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시작요청을 전송할 수도 있다.Accordingly, in another embodiment, a content start request may be transmitted based on protective gear wearing information that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appearance of the practitioner actually wearing protective gear and the appearance of the virtual character (C) wearing protective gear.
콘텐츠 관리부(435)는 교육자 단말기(100) 및 실습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VR콘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VR콘텐츠를 교육자 단말기(100) 또는 실습자 단말기(200)로 제공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The content management unit 435 generates VR content based on data received from the educator terminal 100 and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and provides the generated VR content to the educator terminal 100 or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It can be prepared to do so.
콘텐츠 관리부(435)는 착용관리부(433)에서 콘텐츠시작요청을 전송한 이후에 실습자 단말기(200)로부터 콘텐츠시작요청에 대응하는 승인을 수신하면 교육자 단말기(100)로 승인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The content management unit 435 may transmit an approval request to the educator terminal 100 when it receives approval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tart request from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after the wearing management unit 433 transmits the content start request.
그리고 콘텐츠 관리부(435)는 교육자 단말기(100)로부터 승인을 수신하면 실습자를 위한 실습을 개시할 수 있다. 가상현실 임상시뮬레이션 실습이 시작되면 콘텐츠 관리부(435)는 교육자의 입력에 의해 이벤트 선택을 수신할 수 있고, 선택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VR콘텐츠를 생성하여 실습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And when the content management unit 435 receives approval from the educator terminal 100, it can start the practice for the practitioner. When the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practice begins, the content management unit 435 can receive event selection through the educator's input, generate V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event, and provide it to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이러한 콘텐츠 관리부(435)는 실습이 시작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습공간을 제공하는 VR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VR콘텐츠 내의 가상공간 내에서 실습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실습이 시작된 직후에는 가상공간 중에서 실습자가 기설정된 기준공간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실습자의 가상공간 내 이동경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호사 스테이션(10), 탈의실(20), 복도(30), 환자병실 전실(40), 환자병실(50), 복도(30) 및 폐기물 처리실(60)의 순서일 수 있다.When practice begins, the content management unit 435 can provide VR content that provides a practice space as shown in FIG. 4. The practitioner can move within the virtual space within these VR contents, and immediately after the practice begins, the practitioner can be positioned in a preset reference space in the virtual space. At this time, the practitioner's movement path in the virtual space is the nurse station (10), locker room (20), hallway (30), patient room (40), patient room (50), and hallway (30), as shown in Figure 5. and the waste treatment room 60 may be in this order.
그리고 이벤트는, 가상공간 내에서의 실습공간을 기준으로 간호사 스테이션 이벤트, 탈의실 이벤트, 복도 이벤트, 환자병실 전실 이벤트, 환자병실 이벤트 및 폐기물 처리실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가상공간 내에서 실습자의 시작위치인 기설정된 기준공간은 간호사 스테이션일 수 있다.And the ev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nurse station event, a locker room event, a hallway event, a patient room event, a patient room event, and a waste disposal room event, based on the practice space within the virtual space, and the practice within the virtual space. The preset reference space, which is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ruler, may be a nurse station.
그리고 콘텐츠 관리부(435)는 VR콘텐츠 내에서 제공되는 오브젝트에 대해 실습자의 제스처를 통해 특정 오브젝트를 선택, 그랩, 릴리즈, 이동 및 회전시키는 제어를 제공하고, 실습자의 제스처에 따라 VR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management unit 435 provides control to select, grab, release, move, and rotate specific objects through the practitioner's gestures for objects provided within VR content, and can provide VR content according to the practitioner's gestures. there is.
또한 콘텐츠 관리부(435)는 실습자 단말기(200)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VR콘텐츠 영상을 실시간으로 교육자 단말기(100)로 제공하여 교육자가 실습자의 실습과정을 관찰 및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ent management unit 435 provides the VR content video being output through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to the educator terminal 100 in real time, allowing the educator to observe and evaluate the practitioner's practice process.
이러한 콘텐츠 관리부(435)는 임상시뮬레이션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들을 삭제, 추가 변경 등의 관리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격리병실 감염관리 과정을 실습공간별로 나누고 각 공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을 가상현실을 통해 실습할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다.This content management unit 435 is capable of managing events that occur during the clinical simulation process, such as deleting or adding or changing them. Accordingly, the infection control process in the isolation ward can be divided into practice spaces and content can be developed to practice various situations that occur in each space through virtual reality.
일 실시예에서 간호사 스테이션 이벤트는, 격리병실 감염관리 실습을 위한 VR콘텐츠를 소개하고 수간호사의 지시사항에 따라 이해하는 것을 실습하기 위한 이벤트로, 격리병실 간호실습 콘텐츠 소개 이벤트, 실습시작 이벤트, 수간호사 지시이벤트, 탈의실 이동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nurse station event is an event to introduce VR content for infection control practice in the isolation ward and practice understanding according to the head nurse's instructions, including an isolation ward nursing practice content introduction event, practice start event, and head nurse instructions.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vent and a locker room movement event.
탈의실 이벤트는 의료인이 착용해야하는 의류 등을 착용 또는 탈의를 실습하기 위한 것으로, 손 씻기 이벤트, 속장갑 착용 이벤트, 가운 착용 이벤트, 신발 보호구 착용 이벤트, 마스크 착용 이벤트, 고글 착용 이벤트, 겉장갑 착용 이벤트 및 복도 이동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고, 상술한 의상들의 탈의를 위한 이벤트 역시 포함할 수 있다. The locker room event is for practicing putting on or taking off clothes that medical personnel must wear, including hand washing event, inner glove wearing event, gown wearing event, shoe protection event, mask wearing event, goggles wearing event, outer glove wearing event, and At least one of the hallway movement events may be included, and an event for taking off the above-mentioned clothes may also be included.
한편 상기 복도 이벤트는, 입원정보조사지 확인 이벤트, 정규처방확인 이벤트, 병실전실 이동 이벤트 및 폐기물 처리실 이동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입원정보조사지 확인 이벤트는 환자의 기본정보와 현재 조치 중인 사항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고, 정규처방확인 이벤트는 실습자가 환자의 정규 처방을 통해 정기적으로 환자에게 취해야 할 간호업무를 파악하고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Meanwhile, the hallway ev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hospitalization information survey sheet confirmation event, a regular prescription confirmation event, a ward room movement event, and a waste disposal room movement event. The hospitalization information survey confirmation event is intended to identify the patient's basic information and current actions, and the regular prescription confirmation event allows practitioners to identify and prioritize nursing tasks to be taken on patients on a regular basis through the patient's regular prescriptions. It may be to ensure that
그리고 상기 환자병실 전실 이벤트는, 환자병실 전실의 목적을 교육하기 위한 것으로 전실의 목적을 학습하기 위한 내레이션 및 텍스트 팝업을 포함하는 전실 목적교육 이벤트, 환자병실로 이동을 유도하는 내레이션, 이동 안내 팝업, 이동경로를 표시하는 경로 그래픽, 병실입구 버튼 오브젝트에 화살표 표시를 포함하는 병실 이동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atient room all-room event is intended to educate the purpose of the entire patient room, and includes a narration and text pop-up to learn the purpose of the entire room, a narration to induce movement to the patient room, a movement guidance pop-up,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ath graphic indicating a movement path and a hospital room movement event including an arrow displayed on a hospital room entrance button object.
특히 본 발명은 격리병실 감염관리를 위한 실습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COVID-19와 같은 전염성 강한 전염병에 걸린 환자가 입원 및 치료받는 격리병실은 기압 차를 이용하여 공기가 밖으로 나올 수 없도록 음압병실로 구비된다. 그리고 격리병실은 일반적인 병실이 복도와 바로 연결되는 것과는 달리, 격리병실과 복도 사이에 별도로 마련되는 전실이 구비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carry out practice for infection control in isolation wards. Isolation wards where patients with highly contagious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are hospitalized and treated are treated as negative pressure rooms using air pressure differences to prevent air from escaping. It is provided. And, unlike general hospital rooms that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hallway, the isolation room is equipped with a separate anteroom between the isolation room and the hallway.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VR콘텐츠 내의 가상공간 상에 환자병실 전실이 포함되도록 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환자병실 전실과 관련된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is embodiment, the entire patient room is included in the virtual space within the VR content, and events related to the entire patient room can be included as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환자병실 이벤트는, 병실에 입원한 환자의 관리를 위한 것으로 환자 확인과 대처법 등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patient room event is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hospitalized in the hospital room and may include patient confirmation and response methods.
보다 구체적으로 환자병실 이벤트는 격리병실에 입원중인 환자의 이름 및 등록번호를 확인하는 환자확인 이벤트, 환자의 상태 수치, 정규처방 수행내역 및 추가처방 수행 내역을 태블릿 오브젝트에 기록하는 수행내역 기록 이벤트, 혈압계 커프 오브젝트를 사용해 환자의 혈압 및 심박을 측정하는 혈압 및 심박측정 이벤트, 체온계 오브젝트를 사용해 환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 이벤트, 말초산소측정기 오브젝트를 사용해 환자의 말초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말초산소포화도측정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atient room event includes a patient confirmation event that confirms the name and registration number of the patient hospitalized in the isolation room, a performance history record event that records the patient's condition values, regular prescription performance history, and additional prescription performance history on a tablet object,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measurement event that measures the patient's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using a blood pressure cuff object,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event that measures the patient's temperature using a thermometer object, and peripheral oxygen saturation that measures the patient's peripheral oxygen saturation using a peripheral oximeter object. May contain measurement events.
또한 환자병실 이벤트는 정규 처방에 따른 조치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약물을 확보하기 위해 간호카트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간호카트 이벤트, 레귤레이터 오브젝트의 다이얼을 조작하여 NS 주입속도를 조절하는 레귤레이터 이벤트, 인퓨전 펌프 오브젝트를 조작하여 Kabi 주입속도를 조절하는 인퓨전 펌프 이벤트, 시린지 펌프 오브젝트를 조작하여 약물 교체 및 주입 속도를 조절하는 시린지 펌프 이벤트, 에어보 오브젝트를 조작하여 환자에게 공급되는 공급 산호 농도를 조절하는 에어보 이벤트, 병실 내에 위치한 컴퓨터 오브젝트를 조작해 수행되는 입원정보조사지 재확인 이벤트, 정규처방 재확인 이벤트 및 추가처방확인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atient room event includes a nursing cart event that manipulates the nursing cart object to secure the necessary drugs to perform actions according to regular prescriptions, a regulator event that controls the NS infusion speed by manipulating the dial of the regulator object, and an infusion pump object. Infusion pump event that controls the Kabi injection speed by manipulating it, syringe pump event that controls drug exchange and injection speed by manipulating the syringe pump object, Airbo event that controls the concentration of supply coral supplied to the patient by manipulating the airbo object, It may include a hospitalization information survey re-confirmation event, a regular prescription re-confirmation event, and an additional prescription confirmation event performed by manipulating a computer object located in the hospital room.
그리고 환자병실 이벤트는 패스박스 오브젝트를 조작하여 추가 처방에 따른 조치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약물들을 패스박스에서 확보하는 패스박스 이벤트, 추가 처방에 따른 약물을 환자에게 제공하는 추가처방 약물제공 이벤트, 환자 NPC가 실습자에게 불편사항에 대해 진술하는 불편사항확인 이벤트, 교육자의 입력에 따라 환자 NPC가 감사, 사과, 만족, 불만족과 같은 리액션을 취하는 환자리액션 이벤트, 실습자가 노티용 인터폰 오브젝트를 조작하여 담당의사에게 환자의 상태 및 조치를 노티하도록 하는 노티 이벤트, 병실퇴장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교육자에 의해 선택되는 이벤트에 대응되는 VR콘텐츠에서는 실제 환자의 관리를 위해 오브젝트들을 제어하여 상호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불편사항 이벤트 또는 환자리액션 이벤트가 선택되는 경우 콘텐츠 관리부(435)는 가상현실 속에서 환자 NPC가 기설정된 동작을 취하는 캐릭터 애니메이션, 대사, 말풍선을 포함하는 상호작용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And the patient room event is a pass box event that secures the necessary drugs from the pass box to perform actions according to the additional prescription by manipulating the pass box object, an additional prescription drug provision event that provides the drug according to the additional prescription to the patient, and the patient NPC. A complaint confirmation event in which the practitioner states the inconvenience, a patient reaction event in which the patient NPC reacts such as gratitude, apology,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educator's input, and the practitioner manipulates the intercom object for notifications to the doctor in charg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notification event and a hospital room exit event that notifies the patient's status and actions. To this end, in V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event selected by the educator, interactions can be performed by controlling objects for the management of actual patients. At this time, when an inconvenience event or a patient reaction event is selected, the content management unit 435 may provide interaction including character animation, dialogue, and speech bubbles in which the patient NPC performs preset actions in virtual reality.
보다 구체적으로 시린지 펌프 오브젝트를 조작하여 약물 교체 및 약물 주입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시린지 펌프 이벤트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습자의 제스처에 기초하여 실습자가 가상공간 내에서 시린지 펌프 오브젝트를 조작하면 병실 내의 시린지 펌프의 약물이 교체되고 테블릿 오브젝트의 주사약물종류 항목에 기록할 수 있는 상호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More specifically, a syringe pump event for controlling drug replacement and drug injection speed by manipulating the syringe pump objec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ased on the practitioner's gestures, when the practitioner manipulates the syringe pump object in the virtual space, the drug in the syringe pump in the hospital room is replaced and an interaction that can be recorded in the injection drug type item of the tablet object can be performed.
그리고 시린지 펌프의 약물이 교체된 이후에 다시 시린지 펌프 오브젝트를 조작하면 시린지 펌프의 약물 주입 속도가 변경되고 테블릿 오브젝트의 주사약물주입속도 항목에 기록할 수 있는 상호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해당 과정에서는 콘텐츠 관리부(435)가 실습자가 실린지 펌프 오브젝트를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내레이션, 안내를 위한 팔로우 팝업창, 시린지 펌프 오브젝트의 위치를 표시하는 화살표 그래픽 등이 출력될 수 있다.And if the syringe pump object is manipulated again after the drug in the syringe pump is replaced, the drug injection speed of the syringe pump changes and an interaction that can be recorded in the drug injection speed item of the tablet object can be performed. In this process, the content management unit 435 may output a narration to guide the practitioner to use the syringe pump object, a follow pop-up window for guidance, and an arrow graphic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syringe pump object.
한편 폐기물 처리실 이벤트는, 환자병실 이벤트를 통해 환자 관리를 완료한 후 착용하고 있는 보호구의 탈의 및 폐기방법 등에 대한 이벤트로 폐기물 처리실 목적교육 이벤트, 탈의 이벤트 및 실습종료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waste disposal room event is an event about how to remove and dispose of protective gear worn after completing patient care through the patient room event,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waste disposal room purpose education event, doffing event, and end-of-practice event. .
한편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임상시뮬레이션 방법의 흐름도, 그리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VR콘텐츠 제공서버(400)에서 실습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VR콘텐츠 내의 가상공간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VR콘텐츠 제공서버가 VR콘텐츠 내의 가상공간에서 가상의 캐릭터를 제공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Meanwhile, Figure 6 is a flowchart of the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metho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Figures 7 to 9 show the virtual space in VR content provided to the practitioner terminal from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4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10 is a diagram to explain how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provides a virtual character in a virtual space within VR content.
본 발명의 가상현실 임상시뮬레이션 방법은 상술한 VR콘텐츠 제공서버(40The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40) described above.
0)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임상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상술한 도 1 내지 도 5로부터 유추가능하거나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t can be performed by a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system including 0), and descriptions of configurations that can be inferred from or overlapping with FIGS. 1 to 5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본 가상현실 임상시뮬레이션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습자 단말기(200)의 접속을 확인하는 단계(S110), 실습자의 보호구 착용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20), 실습자 단말기(200)로 VR콘텐츠의 시작을 위한 콘텐츠시작요청을 전송하는 단계(S130), 실습자 단말기(200)로부터 콘텐츠시작요청에 대응하는 승인을 수신하면 교육자 단말기(100)로 승인요청을 전송하는 단계(S140) 및 선택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VR콘텐츠를 생성하여 실습자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is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confirming the connection of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S110), receiving the practitioner's protective equipment wearing information (S120), and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A step of transmitting a content start request for starting VR content (S130), a step of transmitting an approval request to the educator terminal 100 when approval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tart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S140), and It may include a step (S150) of generating V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event and providing it to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그리고 도 6의 흐름도는 VR콘텐츠 제공서버(400)에서 가상현실 임상시뮬레이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구동이 시작되고 사전에 등록된 교육자가 소지하는 단말기의 접속이 완료된 이후에 수행되는 과정일 수 있다.And the flowchart of FIG. 6 may be a process performed after the software for performing the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method starts running in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400 and the terminal owned by the pre-registered educator is connected. .
실습자 단말기(200)의 접속을 확인하는 단계(S110)에서는 VR콘텐츠 제공서버(400)가 교육자 단말기(100)로부터 실습자가 지정되면 지정된 실습자가 착용하는 실습자 단말기(200)의 접속을 확인할 수 있다.In the step (S110) of confirming the connection of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when a practitioner is designated by the educator terminal 100,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400 can check the connection of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worn by the designated practitioner. there is.
이후 VR콘텐츠 제공서버(400)는 실습자의 보호구 착용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20)를 수행할 수 있다. 해당 단계(S120)에서 VR콘텐츠 제공서버(400)는 실습자 단말기(200)의 접속이 확인되면 실습자가 위치하는 실습 스튜디오(300) 내에 설치된 카메라(310)로부터 실습자의 보호구 착용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reafter,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400 may perform a step (S120) of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practitioner wearing protective gear. In this step (S120), when the connection to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is confirmed,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400 can receive the practitioner's protective gear wearing information from the camera 310 installed in the practice studio 300 where the practitioner is located. there is.
실습자 단말기(200)로 VR콘텐츠의 시작을 위한 콘텐츠시작요청을 전송하는 단계(S130)는 VR콘텐츠 제공서버(400)가 수신된 보호구 착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습자 단말기로 상기 VR콘텐츠의 시작을 위한 콘텐츠시작요청을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In the step (S130) of transmitting a content start request for starting VR content to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400 starts the VR content to the practitioner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protective gear wearing information. This may be the step of transmitting a content start request for.
여기서 콘텐츠시작요청을 전송하는 단계(S130)는, 수신된 보호구 착용정보에 기초하여 실습자 단말기(200)에서 실습자의 실제모습이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VR콘텐츠 제공서버(400)가 수신된 보호구 착용정보와 기준착용정보를 비교하여 기설정된 착용조건을 만족하면 콘텐츠시작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VR콘텐츠 제공서버(400)가 기설정된 착용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실습자 단말기(200)로 보호구 착용정보에 기초하여 착용가이드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content start request (S130) is to output the actual appearance of the practitioner from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based on the received protective gear wearing information, and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400 wears the received protective gear. A step of comparing the information and the standard wear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a content start request if the preset wearing conditions are satisfied; and if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400 does not satisfy the preset wearing conditions, sending the protective gear wearing information to the trainee terminal 200. It may include the step of transmitting wearing guide information based on the wearing guide.
여기서 기준착용정보는, 실습자를 포함하는 임의의 인물이 전신보호복인 Level D를 착용한 상태의 이미지정보일 수 있다.Here, the standard wearing information may be image information of a person, including a practitioner, wearing Level D, a full-body protective suit.
그리고 이상에서는 실습 스튜디오(300) 내에 설치된 카메라(310)로부터 실습자의 보호구 착용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보호구 착용조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시작요청을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practitioner's protective gear wearing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amera 310 installed in the training studio 300, and a content start request is transmitted based on the received protective gear wearing adjustment information, but the method is not limited to this.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습자가 실제 보호구의 착용여부와는 별개로 VR콘텐츠 제공서버(400)는 가상공간 내에서 실습자에 대응되는 캐릭터(C)가 보호구 착용 순서에 맞게 보호구를 착용하였는지를 확인하여 해당 정보를 착용정보로 사용할 수도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0, regardless of whether the practitioner wears actual protective gear,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400 allows the character (C) corresponding to the practitioner in the virtual space to wear protective gear in accordance with the order of wearing protective gear. You can also check if this information has been used and use that information as wearing information.
그리고 VR콘텐츠 제공서버(400)는 가상공간 내에서 실습자 자신의 모습을 미러링할 수 있도록 가상거울 카메라(VC)를 이용하여 3자의 입장에서 실습자의 모습이 보여지도록 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400 can display the practitioner's appearance from a third party's perspective using a virtual mirror camera (VC) so that the practitioner's own appearance can be mirrored in the virtual space.
이 경우 탈의실 내에 마련되는 가상거울(M)에 비춰지는 실습자의 모습은 가상의 캐릭터(C)로 구성되고, 가상의 캐릭터(C)가 가상의 보호구를 착용한 모습이 가상거울(M)에 재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가상의 캐릭터(C)의 모습은 보호구를 착용하기 전의 모습이다. 이에 가상공간 내에서 PPE 착용을 위해 PPE 오브젝트 중 특정 오브젝트를 선택하면 선택된 오브젝트를 착용하게되고, 가상거울 카메라(VC)를 통해 미러링된 가상의 캐릭터(C)는 선택된 오브젝트를 착용한 모습으로 실습자에게 보여질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카메라(310)에서 획득하는 실제 실습자의 자세, 행동 등에 기초하여 가상거울(M)에 비치는 가상의 캐릭터(C)가 실제 실습자와 동일한 자세 및 행동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practitioner's appearance reflected in the virtual mirror (M) provided in the locker room consists of a virtual character (C), and the virtual character (C) wearing virtual protective gear is reproduced in the virtual mirror (M). It can be. The appearance of the virtual character (C) shown in the drawing is before wearing protective gear. Accordingly, when a specific object among PPE objects is selected to wear PPE in a virtual space, the selected object is worn, and the virtual character (C) mirrored through the virtual mirror camera (VC) appears wearing the selected object. can be shown to And at this time, based on the actual practitioner's posture and behavior obtained from the camera 310, the virtual character (C) reflected in the virtual mirror (M) may be made to have the same posture and behavior as the actual practitioner.
한편 실습자 단말기(200)로부터 콘텐츠시작요청에 대응하는 승인을 수신하면 교육자 단말기(100)로 승인요청을 전송하는 단계(S140)에서는 VR콘텐츠 제공서버(400)가 실습자 단말기(200)로부터 콘텐츠시작요청에 대응하는 승인을 수신하면 교육자 단말기(100)로 승인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upon receiving approval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tart request from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in the step (S140) of transmitting the approval request to the educator terminal 100,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400 receives the content from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When approval corresponding to the start request is received, the approval request can be transmitted to the educator terminal 100.
그리고 선택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VR콘텐츠를 생성하여 실습자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단계(S150)에서는 VR콘텐츠 제공서버(400)가 교육자 단말기(100)로부터 승인을 수신한 이후에 격리병실 감염관리의 실습을 위한 이벤트 선택을 수신하면 이벤트에 대응되는 VR콘텐츠를 생성하여 실습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And in the step (S150) of generating V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event and providing it to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400 receives approval from the educator terminal 100 and then provides the isolation ward infection control. When selecting an event for practice is received, V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event can be created and provided to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그리고 VR콘텐츠를 생성하여 실습자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단계(S150)에서는 실습이 시작되면 VR콘텐츠 내의 가상공간 중에서 실습자의 위치가 기설정된 기준공간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는데, 여기서 기설정된 기준공간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호사 스테이션(10)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nd in the step (S150) of generating VR content and providing it to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when practice begins, the practitioner's position can be located in a preset reference space among the virtual spaces within the VR content, where the preset reference space is the nurse station 10 as shown in FIGS. 3 and 4, but is not limited thereto.
관리자에 의해 선택되는 이벤트는 가상공간 내에서의 실습공간을 기준으로 간호사 스테이션(10)에서 수행되는 간호사 스테이션 이벤트, 탈의실(20)에서 수행되는 탈의실 이벤트, 복도(30)에서 수행되는 복도 이벤트, 환자병실 전실(40)에서 수행되는 환자병실 전실 이벤트, 환자병실(50)에서 수행되는 환자병실 이벤트 및 폐기물 처리실(60)에서 수행되는 폐기물 처리실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events selected by the administrator are a nurse station event performed in the nurse station 10, a locker room event performed in the locker room 20, a hallway event performed in the hallway 30, and a patient event performed in the hallway 30 based on the practice space in the virtual spac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atient anteroom event performed in the patient anteroom 40, a patient ward event performed in the patient ward 50, and a waste treatment room event performed in the waste treatment room 60.
또한 VR콘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S150)에서는 VR콘텐츠 내에서 제공되는 오브젝트에 대해 실습자 단말기(200)의 움직임 감지센서를 통해 수신되는 실습자의 제스처를 통해 특정 오브젝트를 선택, 그랩, 릴리즈, 이동 및 회전시키는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generating and providing VR content (S150), a specific object is selected, grabbed, released, and Can provide movement and rotation control.
이러한 VR콘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S150)에서는 실습자 단말기(200)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VR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실습자가 가상공간 내에서 탈의실(20)에 위치하여 복도(30)쪽을 향하도록 서있는 경우에 보여지는 모습일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탈의실(20)에는 손 세정제 오브젝트가 포함되므로 실습자가 손 세정제를 이용해 손 씻기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실습자가 복도(30)에 위치하는 경우에 실습자 단말기(200)로 제공되는 VR콘텐츠일 수 있다. 그리고 도 9는 실습자가 환자병실(50)에 위치하는 경우에 실습자 단말기(200)로 제공되는 VR콘텐츠일 수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NPC를 포함하여 실제 격리병실 감염관리를 위해 실습에 필요한 도구들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들이 포함되도록 VR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실습자는 실제와 유사하게 임상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the step of generating and providing such VR content (S150), VR content can be provided through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as shown in FIGS. 7 to 9. More specifically, FIG. 7 may be a view shown when a practitioner is located in the locker room 20 in a virtual space and is standing facing the hallway 30. And, as shown in FIG. 7, the locker room 20 includes a hand sanitizer object, so practitioners can perform a hand washing event using a hand sanitizer. 8 may be VR content provided to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when the practitioner is located in the hallway 30. And Figure 9 may be VR content provided to the practitioner terminal 200 when the practitioner is located in the patient room 50. As shown in the figure, practice for infection control in the actual isolation ward, including the patient NPC, is provided. By providing VR content that includes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tools needed, practitioners can perform clinical simulations similar to reality.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들은 물리적인 구분이 아니라 기능적인 구분에 의해서 정의되는 구성요소들로서 각각이 수행하는 기능들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 또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 및 프로세싱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두 개 이상의 구성요소의 기능이 하나의 구성요소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에서 구성요소에 부여되는 명칭은 각각의 구성요소를 물리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각각의 구성요소가 수행되는 대표적인 기능을 암시하기 위해서 부여된 것이며, 구성요소의 명칭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지 않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Th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ponents defined by functional division rather than physical division, and can be defined by the functions each performs. Each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program code and processing units that perform each function, and the functions of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included and implemented in one component. Therefore, the names given to the component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physically distinguish each component, but are given to suggest the representative function performed by each component, and the names of the components are used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chnical idea is not limite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가상현실 임상시뮬레이션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The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singly or in combination.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fic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perform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etc.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at cre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processing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Althoug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may be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교육자 단말기 200 : 실습자 단말기
300 : 실습 스튜디오 310 : 카메라
400 : VR콘텐츠 제공서버100: Educator terminal 200: Practitioner terminal
 300: Practice Studio 310: Camera
 400: VR content provision server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173589AKR102579540B1 (en) | 2021-12-07 | 2021-12-07 |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system and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method for infection control in isolation ward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173589AKR102579540B1 (en) | 2021-12-07 | 2021-12-07 |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system and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method for infection control in isolation ward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085429A KR20230085429A (en) | 2023-06-14 | 
| KR102579540B1true KR102579540B1 (en) | 2023-09-18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173589AActiveKR102579540B1 (en) | 2021-12-07 | 2021-12-07 |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system and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method for infection control in isolation ward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579540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6045814A (en)* | 2014-08-25 | 2016-04-04 | 泰章 岩井 | Virtual reality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virtual reality service providing method | 
| JP2017111837A (en)* | 2011-07-05 | 2017-06-22 | サウジ アラビアン オイル カンパニー | System, computer medium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to employees by augmented reality display | 
| CN111627266A (en)* | 2020-05-25 | 2020-09-04 |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 Infectious disease care guidance system and method based on virtual reality technology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754150B1 (en)* | 2015-09-01 | 2017-07-05 | 주식회사 에스원 | Monitering System of Wearing the safety Protector by Using Image Analysis at Hospital and Method thereof | 
| KR101869071B1 (en) | 2017-09-07 | 2018-06-20 | 주식회사 테크노블러드코리아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r contents based on ip address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7111837A (en)* | 2011-07-05 | 2017-06-22 | サウジ アラビアン オイル カンパニー | System, computer medium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to employees by augmented reality display | 
| JP2016045814A (en)* | 2014-08-25 | 2016-04-04 | 泰章 岩井 | Virtual reality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virtual reality service providing method | 
| CN111627266A (en)* | 2020-05-25 | 2020-09-04 |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 Infectious disease care guidance system and method based on virtual reality technology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085429A (en) | 2023-06-14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Martin et al. | Use of the HoloLens2 mixed reality headset for protecting health care work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prospective, observational evaluation | |
| Ullah et al. | Exploring the potential of metaverse technology in healthcare: Applications,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 |
| US20240148464A1 (en) | Augmented Reality Device for Providing Feedback to an Acute Care Provider | |
| Desselle et al. |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in surgery | |
| US20200020171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mixed reality medical training | |
| US9808549B2 (en) | System for detecting sterile field events and related methods | |
| Stansfield et al.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virtual reality system and its application to training medical first responders | |
| US11270597B2 (en) | Simulated reality technologies for enhanced medical protocol training | |
| US12183215B2 (en) | Simulated reality technologies for enhanced medical protocol training | |
| JP2015533248A (en) |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ree-dimensional interaction in an EMS environment | |
| Beam et al. | Method for investigating nursing behaviors related to isolation care | |
| US11682317B2 (en) | Virtual reality training application for surgical scrubbing-in procedure | |
| Singh et al. |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in Health Advancements and Medical Education: Runway for Future Ready Healthcare Services | |
| Grünerbl et al. | Monitoring and enhancing nurse emergency training with wearable devices | |
| KR102579540B1 (en) |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system and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method for infection control in isolation ward | |
| Sarcevic et al. | A paper-digital interface for information capture and display in time-critical medical work | |
| Marks et al. | Head tracking based avatar control for virtual environment teamwork training | |
| Lee et al. | Effect of th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donning and doffing program for nurses in military hospitals | |
| ES2958292T3 (en) | Virtual reality-based training program for wound care professionals | |
| Richir et al. |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to Fight Effectively against Pandemics | |
| Riva et al. | Virtual Reality applied to medical education and training on Diabetic Foot | |
| Malviya et al. | Metaverse-Based Digital Twins: Specialized Healthcare Applications | |
| KR102794243B1 (en) | Infection control education system and method | |
| KR102763107B1 (en) | Virtual reality clinical simulation control device and application driving method for nurturing nursing and medical professionals | |
| EP4567831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sable medical training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21120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30627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230825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30913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230913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