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2559794B1 - Spine surgery instrument - Google Patents

Spine surgery instru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794B1
KR102559794B1KR1020210067738AKR20210067738AKR102559794B1KR 102559794 B1KR102559794 B1KR 102559794B1KR 1020210067738 AKR1020210067738 AKR 1020210067738AKR 20210067738 AKR20210067738 AKR 20210067738AKR 102559794 B1KR102559794 B1KR 102559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ircumferential
circumferential surface
intervertebral body
intervertebral
ent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7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59743A (en
Inventor
정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도비전
정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도비전, 정민호filedCritical주식회사 엔도비전
Priority to KR1020210067738ApriorityCriticalpatent/KR102559794B1/en
Priority to CN202110725128.4Aprioritypatent/CN115399926B/en
Publication of KR20220159743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220159743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794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2559794B1/en
Active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에 따른 척추수술장치는, 환자의 신체 중(中) 등(back)을 통해 척추에서 퇴행성 척추질환과 관련되어 이웃하는 두 개의 척추체 사이에 척추유합술을 적용하도록, 텔레스코프(telescope)식 절첩 구조로 이루어지는 추간체삽입모듈; 추간체삽입모듈에 결합되는 추간체유합보형물; 및 환자의 신체의 절개 부위에 삽입되어 추간체삽입모듈과 추간체유합보형물을 둘러싸면서 두 개의 척추체 사이에 추간체삽입모듈과 추간체유합보형물을 도입시키는 추간체안내가이더를 포함한다.An intervertebral body insertion module having a telescopic folding structure so as to apply spinal fusion between two neighboring vertebrae in relation to degenerative spinal disease in the spine through the back of the patient's body;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coupled to the intervertebral body insertion module; and an intervertebral guide guide that is inserted into the incision of the patient's body and surrounds the intervertebral body insertion module and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and introduces the intervertebral body insertion module and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between two vertebrae.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척추수술장치{SPINE SURGERY INSTRUMENT}Spine surgical device {SPINE SURGERY INSTRUMENT}

본 발명은, 환자의 신체 중(中) 등(back)을 통해 척추(vertebral column)에서 퇴행성 척추질환과 관련되어 이웃하는 두 개의 척추체(vertebral body) 사이에 척추유합술을 적용하는 척추수술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inal surgery apparatus for applying spinal fusion between two adjacent vertebral bodies in relation to a degenerative spinal disease in a vertebral column through the back of a patient's body.

일반적으로, 척추는, 총 33개의 척추뼈(이하, 척추체(vertebral body)로 지칭함), 예를 들면, 경추에 7개의 척추체와, 흉추에 12개의 척추체와, 요추에 5개의 척추체와, 천추에 5개의 척추체와, 미추에 4개의 척추체를 갖는다. 또한, 상기 척추는 경추와 흉추와 요추에서 복수의 척추체 사이에 디스크(disc)를 갖는다.In general, the spine has a total of 33 vertebrae (hereinafter referred to as vertebral bodies), for example, 7 vertebral bodies in the cervical vertebrae, 12 vertebral bodies in the thoracic vertebrae, 5 vertebral bodies in the lumbar vertebrae, 5 vertebral bodies in the sacral vertebrae, and 4 vertebral bodies in the coccyx vertebrae. In addition, the vertebrae have discs between a plurality of vertebral bodies in the cervical, thoracic, and lumbar vertebrae.

여기서, 상기 디스크는 인접한 두 개의 척추체를 연결해주는 강한 연결 조직이고, 체중 부하시 충격 흡수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척추는 인체의 중심을 이루는 기관으로서 잘못된 자세 및 생활습관이나 노화에 따라 퇴행성 손상을 겪게 된다.Here, the disc is a strong connective tissue that connects two adjacent vertebral bodies, and functions as a shock absorber when weight is loaded. On the other hand, the spine is a central organ of the human body and suffers from degenerative damage due to poor posture, lifestyle, or aging.

퇴행성 척추질환은 비수술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예후가 좋지 않은 때 추간체유합술(interbody fusion)인 수술적인 치료를 적용받을 수 있다. 상기 추간체유합술은 경추 및 요추 중 적어도 하나에서 퇴행성 척추질환과 관련된 두 개의 척추체 사이에 위치되는 디스크를 제거하고 두 개의 척추체 사이에서 뼈의 직접적인 유합을 꾀하도록 수행된다.Degenerative spinal diseases can be treated surgically, which is interbody fusion, when the prognosis is poor despite non-surgical treatment. The intervertebral fusion is performed to remove a disc located between two vertebrae associated with degenerative spinal diseases in at least one of the cervical and lumbar vertebrae and seek direct bone fusion between the two vertebrae.

이를 위해, 상기 추간체유합술은, 두 개의 척추체 사이에 끼워지는 추간체유합보형물(spine cage), 그리고 추간체유합보형물과 결합하는 수술도구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은, 인공 디스크로서, 척추에 가해지는 체중 부하를 지지하고, 두 개의 척추체 사이의 간극을 회복시켜서, 신경의 압박 부위를 감압하여 신경병 증상을 완화시킨다.To this end, the intervertebral fusion is performed using a spine cage inserted between two vertebral bodies, and a surgical tool coupled with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The intervertebral fusion prosthesis, as an artificial disc, supports the weight load applied to the spine, restores the gap between the two vertebral bodies, and relieves the symptoms of neuropathy by decompressing the compressed portion of the nerve.

그러나,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은, 척추체 상에서 척추체의 중앙 영역에 위치하여 척추체의 해면골과 접촉하면서, 뼈보다 높은 탄성 계수로 인해 침강 현상을 야기시키거나 표면 특성으로 인해 섬유 조직과 열악한 골유착을 하기 때문에, 불안정한 수술 환경에서 추간체유합술을 수행하게 한다.However, the intervertebral fusion prosthesis is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vertebral body on the vertebral body and contacts the cancellous bone of the vertebral body, causing a sedimentation phenomenon due to a higher modulus of elasticity than the bone or poor osseointegration with the fibrous tissue due to the surface characteristics, so that the intervertebral fusion surgery can be performed in an unstable surgical environment.

상기 침강 현상은 척추에 추간체유합술을 적용 동안 두 개의 척추체 사이에서 척추체의 중앙 영역에만 추간체유합보형물을 위치시키기 때문에 추간체유합술의 시술 후 척추의 방사선 촬영시 시상면(sagittal plane) 및 관상면(coronal plane)에서 볼 때 정상적인 척추 대비 신체의 좌/우 및 앞/뒤에서 척추의 불균형을 야기시킨다.Since the subsidence phenomenon places the intervertebral fusion implant only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vertebral body between two vertebral bodies during the application of the spinal fusion to the spine, the sagittal plane and the coronal plane cause an imbalance of the spine in the left / right and front / back of the body compared to the normal spine when viewed in the sagittal plane and coronal plane.

더불어, 상기 수술도구는, 추간체유합보형물과 함께, 환자의 신체에서 등의 절개 부위에 삽입되어 절개 부위를 지나 척추에서 퇴행성 손상과 관련된 두 개의 척추체 사이에 도달되고, 두 개의 척추체 사이에 추간체유합보형물을 삽입시킨다. 그러나, 상기 수술도구는 두 개의 척추체를 찾기 위해 환자의 신체에서 큰 영역의 절개 부위를 요구한다.In addition, the surgical tool, together with the intervertebral fusion prosthesis, is inserted into an incision on the back of the patient's body, passes through the incision, and reaches between two vertebral bodies related to degenerative damage in the spine, and inserts the intervertebral fusion prosthesis between the two vertebrae. However, the surgical tool requires a large area incision in the patient's body to locate the two vertebral bodies.

또한, 상기 수술도구는, 두 개의 척추체 사이에 추간체유합보형물을 삽입시키는 동안, 신체의 절개부위에서 수술도구의 위치 조정과 척추의 추간체 상에서 수술 도구를 통해 추간체유합보형물의 회전 과정에서 신체의 절개부위를 초기형상 대비 변형시켜 척추유합술을 어렵게 하고 환자에게 수술 상처를 크게 준다.In addition, while inserting the intervertebral fusion prosthesis between two vertebral bodies, the surgical tool adjusts the position of the surgical tool at the incision site of the body and rotates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through the surgical tool on the spine. The incision is transformed compared to the initial shape to make spinal fusion difficult and gives a large surgical wound to the patient.

한편, 상기 척추유합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55089호에서 발명의 명칭인 "척추 수술용 트로카"에도 종래기술로써 유사하게 개시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pinal fusion is similarly disclosed as a prior art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55089, titled "trocar for spine surgery".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55089호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155089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퇴행성 척추질환에 대한 수술적 치료인 척추유합술에서, 척추체 상에서 추간체유합보형물의 침강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방사선 촬영시 시상면 및 관상면에서 볼 때 신체의 좌/우 및 앞/뒤에서 척추의 균형을 유지시키고, 수술 동안 환자의 신체를 최소로 절개하여 신체의 절개 부위에 수술도구와 추간체유합보형물의 삽입에도 불구하고 신체의 절개 부위를 초기 형상으로 계속하여 유지시키는데 적합한 척추수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in spinal fusion, which is a surgical treatment for degenerative spinal diseases, by preventing the sedimentation of the intervertebral body implant on the vertebral body in advance, maintaining the balance of the spine on the left / right and front / back sides of the body when viewed in the sagittal and coronal planes during radiography, and minimizing the patient's body during surgery to keep the body incision in its initial shape despite the insertion of surgical tools and intervertebral body implants into the incision sit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inal surgical device suitable for maintain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척추수술장치는, 환자의 신체 중(中) 등(back)을 통해 척추에서 퇴행성 척추질환과 관련되어 이웃하는 두 개의 척추체 사이에 척추유합술을 적용하도록, 텔레스코프(telescope)식 절첩 구조로 이루어지는 추간체삽입모듈; 상기 추간체삽입모듈에 결합되는 추간체유합보형물; 및 상기 환자의 신체의 절개 부위에 삽입되어 상기 추간체삽입모듈과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을 둘러싸면서 상기 두 개의 척추체 사이에 상기 추간체삽입모듈과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을 도입시키는 추간체안내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추간체 유합보형물은, 상기 척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척수를 기준으로 볼 때, 상기 두 개의 척추체 사이에서 상기 척수와 십자 형상을 이루면서 개별 척추체의 중앙 영역과 함께 상기 개별 척추체의 양 가장자리에 접촉되고, 상기 척수 가까이에서 보다 상기 척수로부터 멀리에서 더 작은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tervertebral body insertion module having a telescopic folding structure so as to apply spinal fusion between two neighboring vertebrae in relation to degenerative spinal disease in the spine through the back of the patient's body; an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coupled to the intervertebral body insertion module; And an intervertebral body guide guide inserted into the incision of the body of the patient and surrounding the intervertebral body insertion module and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and introducing the intervertebral body insertion module and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between the two vertebrae, wherein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when viewed from the base of the spinal cord positio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ebrae, forms a cross shape with the spinal cord between the two vertebrae, forming a central region of the individual vertebra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in contact with both edges of the individual vertebral bodies together and having a smaller height farther from the spinal cord than near the spinal cord.

상기 추간체삽입모듈은, 결합봉, 그리고 상기 결합봉을 순차적으로 둘러싸는 유도관과 파지관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봉과 상기 유도관과 상기 파지관은, 상기 텔레스코프식 절첩 구조를 이룰 수 있다.The intervertebral body insertion module may include a coupling rod, and an induction tube and a holding tube sequentially surrounding the coupling rod, and the coupling rod, the induction tube, and the holding tube may form the telescopic folding structure.

상기 결합봉은, 전방에서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과 나선 결합하는 나사부; 상기 나사부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활주부; 및 후방에서 상기 활주부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나사부의 반대편을 향해 연장하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부와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유도관의 일단 및 타단 주변에 위치되고, 상기 나사부는, 상기 드라이버가 상기 유도관의 상기 타단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때, 상기 유도관의 일단에 출몰될 수 있다.The coupling rod, a screw portion for screwing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and the screw from the front; a sliding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threaded portion; and a driver starting from the sliding portion and extending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threaded portion from the rear, wherein the threaded portion and the driver are located arou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guide tube, and the screw portion may protrude from one end of the guide tube when the driver moves relative to the other end of the guide tube.

상기 결합봉이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나사부와 활주부와 드라이버를 가지는 때, 상기 유도관은, 전방에서 상기 나사부와 상기 활주부를 둘러싸고 상기 나사부와 상기 활주부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슬라이딩부; 후방에서 상기 슬라이딩부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의 반대편을 향해 연장하며 상기 드라이버를 둘러싸고 상기 드라이버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구속부; 및 상기 구속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압 핸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구속부는, 상기 추간체삽입모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나사부와 상기 활주부와 상기 드라이버보다 더 짧을 수 있다.When the coupling rod has a sequentially connected threaded portion, sliding portion, and driver, the induction pipe may include: a sliding portion surrounding the threaded portion and the sliding portion from the front and inducing movement of the threaded portion and the sliding portion; a restricting portion that starts from the sliding portion at the rear and extends toward an opposite side of the sliding portion, surrounds the driver, and restricts movement of the driver; and a pressure handling part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straining part, wherein the sliding part and the restraining part may be shorter than the screw part, the sliding part, and the driver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tervertebral body insertion module.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구속부는, 상기 파지관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고, 상기 슬라이딩부에서 상기 구속부의 반대편에 두 개의 회전 방지 돌기를 가지고, 상기 결합봉이 상기 유도관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때, 상기 슬라이딩부에서 상기 두 개의 회전 방지 돌기 사이에 상기 나사부를 출몰시키며, 상기 구속부에서 상기 구속부의 내부에 상기 드라이버의 일부를 삽입시켜 상기 드라이버의 상기 일부를 제한적으로 움직이게 하고, 상기 구속부에서 상기 구속부의 외부에 상기 드라이버의 나머지를 노출시켜 상기 드라이버의 상기 나머지를 자유로이 움직이게 할 수 있다.The sliding part and the restraining part move relative to the gripping tube, the sliding part has two anti-rotation protrusions on opposite sides of the restricting part, and when the coupling rod moves relative to the guide pipe, the threaded part protrudes between the two anti-rotation protrusions in the sliding part, inserts a part of the driver into the restraining part in the restricting part to restrict movement of the part of the driver, and exposes the rest of the driver to the outside of the restraining part in the restricting part to make the rest of the driver free. can make this move.

상기 유도관이, 일직선을 따라 슬라이딩부와 구속부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부에서 상기 결합봉의 나사부와 활주부를 그리고 상기 구속부에서 상기 결합봉의 드라이버를 둘러싸는 때, 상기 파지관은, 전방에서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을 수용하여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을 집는 두 개의 집게손; 및 후방에서 일 단을 통해 상기 두 개의 집게손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슬라이딩부의 나머지를 출몰시키는 진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집게손은, 상기 진입부와 함께, 상기 추간체안내가이더에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을 삽입시킬 수 있다.When the induction tube has a sliding part and a restraining part along a straight line, and the sliding part surrounds the threaded part and the sliding part of the coupling rod and the restraining part surrounds the driver of the coupling rod, the gripping tube includes two forceps for receiving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from the front and grasping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And an entry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two forefingers through one end from the rear and enclosing a part of the sliding portion and protruding and retracting the rest of the sliding portion, wherein the two forefingers, together with the entry portion,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can be inserted into the intervertebral body guide guide.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은, 상기 구속부에 대해 상기 드라이버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에 기인하여 상기 두 개의 집게손 사이에서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의 나사홈을 통해 상기 나사부에 나선 결합되고, 상기 진입부에 대해 상기 슬라이딩부의 수평 운동에 기인하여 상기 두 개의 집게손 사이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의 두 개의 회전 방지 돌기에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의 두 개의 회전 방지홈을 끼우고 상기 두 개의 집게손 사이를 이동하여 상기 진입부의 건너편에서 상기 두 개의 집게손에 물려질 수 있다.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is spirally coupled to the threaded part through the threaded groove of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between the two forefingers due to the relative rotational movement of the driver with respect to the restraining part, and due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liding part with respect to the entry part, the two anti-rotation grooves of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are inserted into the two anti-rotation protrusions of the sliding part between the two forefingers and moved between the two forefingers, and the two forefingers at the opposite side of the entry part. can be passed on to

상기 파지관이, 일직선을 따라, 두 개의 집게손, 그리고 진입부를 가지면서, 상기 진입부를 통해 상기 두 개의 집게손 사이에 결합봉의 나사부와 유도관의 슬라이딩부를 노출시키는 때,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은, 상기 두 개의 집게손 사이에 위치되어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전방에서 상기 진입부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도킹부; 상기 도킹부로부터 연장하는 골유합부; 및 후방에서 상기 골유합부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도킹부의 반대편을 향해 연장하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접속부의 나사홈에 상기 나사부를 수용하여 상기 결합봉에 나선 결합되고, 상기 결합봉과 상기 유도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력을 인가받을 수 있다.When the gripping tube has two forefingers and an entry portion along a straight line, and exposes the threaded portion of the coupling rod and the sliding portion of the guide tube between the two forefingers through the entry portion,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is located between the two forefingers and has a docking portion positioned opposite the entry portion from the front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bone union part extending from the docking part; And a connecting portion starting from the bone union at the rear and extending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docking portion,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accommodates the threaded portion in the threaded groove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is spirally coupled to the coupling rod, and the coupling rod. An external force may be appli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induction pipe.

상기 도킹부와 상기 골유합부와 상기 접속부는, 상기 도킹부에서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의 일측 둘레를 따라 제1 외주면을 가지고, 상기 골유합부에서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의 좌측 둘레를 따라 제2 외주면을 가지며, 상기 골유합부에서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의 우측 둘레를 따라 제3 외주면을 가지고, 상기 접속부에서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의 타측 둘레를 따라 제4 외주면을 가지며, 상기 도킹부와 상기 골유합부와 상기 접속부에서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의 하부 최외각을 따라 제5 외주면을 가지고, 상기 도킹부와 상기 골유합부와 상기 접속부에서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의 상부 최외각을 따라 제6 외주면을 가질 수 있다.The docking part, the bone fusion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have a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one circumference of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in the docking part, have a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the left circumference of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in the bone fusion part, have a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the right circumference of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in the bone fusion part, and have a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the other circumference of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in the connection part, and the docking unit and a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the lower outermost circumference of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at the bone fusion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and along the upper outermost circumference of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at the docking portion, the bone fusion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It may have a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제1 외주면은, 상기 진입부로부터 멀리에 위치되고, 상기 제4 외주면은, 상기 진입부와 마주하고, 상기 제1 외주면과 상기 제4 외주면은, 제2 및 제3 및 제5 및 제6 외주면 사이에 위치되어 곡면을 이루고, 상기 제1 외주면에서 상기 제4 외주면보다 더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located far from the entry portion,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aces the entry portion, and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re located between the second, third, fifth, and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to form a curved surface, and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have a smaller area than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제2 외주면은, 상기 제1 외주면과 상기 제4 외주면 사이에서 상기 제1 외주면과 상기 제4 외주면을 그리고 제5 외주면과 제6 외주면을 이어주고, 상기 제3 외주면보다 더 작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nnects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etween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may have a height smaller than that of the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제3 외주면은, 상기 제1 외주면과 상기 제4 외주면 사이에서 상기 제1 외주면과 상기 제4 외주면을 그리고 제5 외주면과 제6 외주면을 이어주고, 상기 제2 외주면보다 더 큰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2 외주면 대비 상기 제3 외주면의 지향하는 방향을 향해 상대적으로 볼록하게 굴곡질 수 있다.The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nnects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etween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has a greater height than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제4 외주면은, 상기 제4 외주면의 중앙 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도킹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나사홈을 가지며, 상기 제4 외주면에서 상기 나사홈의 양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4 외주면을 관통하면서 상기 도킹부의 상기 내부에 형성되는 회전 방지홈을 가지고, 상기 결합봉의 상기 나사부는,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에서 상기 도킹부의 상기 나사홈에 끼워지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개별 회전 방지 돌기는,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에서 상기 도킹부의 상기 회전 방지홈에 끼워질 수 있다.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as a screw groove formed inside the docking part through a central region of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crew groove on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has an anti-rotation groove formed in the inside of the docking part while penetrating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can be inserted into the prevention groove.

상기 제5 외주면과 상기 제6 외주면은, 제1 내지 제4 외주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외주면과 상기 제4 외주면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5 외주면과 상기 제6 외주면을 향해 융기하며, 상기 제2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3 외주면을 향해 점진적으로 벌어질 수 있다.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re located between the first to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and start from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rise toward 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may gradually open from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ward the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제2 및 제3 및 제5 및 제6 외주면은, 상기 제2 및 제3 및 제5 및 제6 외주면에 복수의 골저장 홀을 가지고, 상기 제2 외주면과 상기 제3 외주면 사이의 동일한 가상 수평선을 따라 상기 제2 외주면의 골저장 홀들에 상기 제3 외주면의 골저장 홀들을 일대일로 대응시키며, 상기 제5 외주면과 상기 제6 외주면 사이의 동일한 가상 수직선을 따라 상기 제5 외주면의 골저장 홀들에 상기 제6 외주면의 골저장 홀들을 일대일로 대응시킬 수 있다.The second, third, fifth, and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have a plurality of bone storage holes on the second, third, fifth, and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and correspond one-to-one to the bone storage holes of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the bone storage holes of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the same virtual horizontal line between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bone storage holes of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the bone storage holes of 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the same virtual vertical line between 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oles can be matched one-to-one.

상기 제2 외주면의 개별 골저장 홀과 상기 제3 외주면의 개별 골저장 홀은, 상기 가상 수평선을 따라 상기 제2 외주면의 상기 개별 골저장 홀과 상기 제3 외주면의 상기 개별 골저장 홀 사이에 위치되는 제1 공통홀에 의해 이어지고, 상기 제5 외주면의 개별 골저장 홀과 상기 제6 외주면의 개별 골저장 홀은, 상기 가상 수직선을 따라 상기 제5 외주면의 상기 개별 골저장 홀과 상기 제6 외주면의 상기 개별 골저장 홀 사이에 위치되는 제2 공통홀에 의해 이어질 수 있다.The individual bone storage holes of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dividual bone storage holes of the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re connected by a first common hole located between the individual bone storage holes of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dividual bone storage holes of the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the virtual horizontal line, and the individual bone storage holes of 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dividual bone storage holes of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re located between the individual bone storage holes of 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dividual bone storage holes of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the virtual vertical line. It can be connected by a common hole.

제1 공통홀 또는 제2 공통홀은, 상기 제2 및 제3 및 제5 및 제6 외주면 사이에서 복수개로 형성되어 고립되고, 상기 제1 공통홀은, 상기 제2 및 제3 및 제5 및 제6 외주면 사이에서 상기 제2 공통홀과 교차할 수 있다.A plurality of first common holes or second common holes are formed and isolat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and fifth and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and the first common hole may intersect with the second common hole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and fifth and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상기 제5 외주면은,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의 상기 좌측 둘레 및 상기 우측 둘레를 따라 두 개의 제1 톱니레일을 가지고, 상기 제6 외주면은,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의 상기 좌측 둘레 및 상기 우측 둘레를 따라 두 개의 제2 톱니레일을 가질 수 있다.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have two first toothed rails along the left circumference and the right circumference of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and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have two second toothed rails along the left circumference and the right circumference of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상기 제5 외주면은, 상기 두 개의 제1 톱니레일 사이에 상기 골저장 홀들을 가지고, 상기 제6 외주면은, 상기 두 개의 제2 톱니레일 사이에 상기 골저장 홀들을 가질 수 있다.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have the bone storage holes between the two first toothed rails, and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have the bone storage holes between the two second toothed rails.

제5 및 제6 외주면은, 상기 도킹부와 상기 접속부 사이에서 상기 제5 및 제6 외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골유합부의 내부를 노출시키는 골저장 벌크홀을 가지고, 상기 제5 외주면에서 개별 제1 톱니레일과 상기 골저장 벌크홀 사이에 골저장 홀을 가지며, 상기 제6 외주면에서 개별 제2 톱니레일과 상기 골저장 벌크홀 사이에 골저장 홀을 가질 수 있다.The fifth and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may have bone storage bulk holes passing through the fifth and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between the docking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to expose the inside of the bone union part, and may have bone storage holes between individual first toothed rails and the bone storage bulk hole on 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may have bone storage holes between individual second toothed rails and the bone storage bulk hole on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제5 및 제6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5 외주면의 양 가장자리에 두 개의 제1 톱니레일을 그리고 상기 제6 외주면의 양 가장자리에 두 개의 제2 톱니레일을 위치시키는 때, 제1 또는 제4 외주면은, 상기 제2 외주면이 상기 제3 외주면보다 더 작은 높이를 가지면서, 상기 제2 외주면이 상기 제3 외주면보다 더 아래에 위치되는 때, 상기 제1 또는 제4 외주면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과 두 개의 제1 또는 제2 톱니레일을 잇는 경사선 사이에 6°내지 12°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When two first toothed rails are positioned at both edges of the fifth and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and two second toothed rails are positioned at both edges of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fth and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the first or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as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or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wo first or second saw teeth It may have an angle of 6° to 12° between the inclined lines connecting the rails.

제2 또는 제3 외주면의 높이는, 상기 제2 또는 제3 외주면의 중앙 영역에서 9mm 내지 13mm 의 범위를 가지고, 제5 또는 제6 외주면의 길이는, 상기 제1 외주면과 상기 제2 외주면 사이에서 40mm 내지 50mm 의 범위를 가지며, 상기 제5 또는 제6 외주면의 폭은, 상기 제5 또는 제6 외주면의 중앙 영역에서 16mm 내지 22mm 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The height of the second or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range from 9 mm to 13 mm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second or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length of the fifth or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range from 40 mm to 50 mm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and the width of the fifth or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range from 16 mm to 22 mm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fifth or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도킹부와 골유합부와 상기 접속부는, 티타늄(Ti) 또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e; PEEK)을 포함할 수 있다.The docking part, bone union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may include titanium (Ti) or polyetheretherketone (PEEK).

상기 파지관이, 일직선을 따라, 두 개의 집게손, 그리고 진입부를 가지면서, 상기 진입부를 통해 상기 두 개의 집게손 사이에 결합봉의 나사부와 유도관의 슬라이딩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두 개의 집게손 사이에서 상기 나사부에 나선 결합되는 추간체유합보형물을 물리는 때, 상기 추간체안내가이더는. 상기 환자의 상기 신체의 외부에 위치되는 기둥 형상의 조정 핸들링부; 상기 조정 핸들링부 상에 위치되어 상기 신체의 절개 부위 주변에 위치되는 조정 거치부; 및 상기 신체의 상기 절개 부위를 지나 상기 두 개의 척추체 사이의 영역에 도달되는 조정 터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터널부는, 상기 조정 거치부 상에서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과 상기 두 개의 집게손과 상기 진입부를 수용할 수 있다.The gripping tube has two forefingers and an entry portion along a straight line, exposes the threaded portion of the coupling rod and the sliding portion of the guide tube between the two forefingers through the entry portion, and holds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that is screwed into the threaded portion between the two forefingers. a pillar-shaped adjustment handling unit located outside the body of the patient; an adjustment holder positioned on the adjustment handling unit and positioned around the incision in the body; and an adjusting tunnel portion passing through the incision of the body and reaching a region between the two vertebral bodies, wherein the adjusting tunnel portion may accommodate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the two forefingers, and the entry portion on the adjusting mounting portion.

상기 조정 거치부는, 상기 조정 핸들링부 가까이에서 하나의 몸체를 이루며 상기 조정 핸들링부로부터 멀리에서 두 개의 걸이손으로 분기되고, 개별 걸이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개별 걸이손에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굴곡부와 받침대를 가지고, 상기 굴곡부는, 상기 받침대가 상기 두 개의 집게손과 상기 진입부로 눌려지는 때, 상기 개별 걸이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굴곡부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The adjusting holding part forms a single body near the adjusting handling part and branches into two hooking hands at a distance from the adjusting handling part, and has a bent part and a pedestal sequentially located on the individual catching ha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dividual catching hands.

상기 조정 거치부는, 상기 조정 핸들링부 가까이에서 하나의 몸체를 이루며 상기 조정 핸들링부로부터 멀리에서 두 개의 걸이손으로 분기되고, 개별 걸이손에서 상기 조정 터널부와 접촉하는 받침대를 가지고, 상기 개별 걸이손은, 상기 받침대가 상기 두 개의 집게손과 상기 진입부로 눌려지는 때, 상기 개별 걸이손의 길이 방향에 직각으로 벌어질 수 있다.The adjusting holding portion forms a single body near the adjusting handling portion and branches into two hanging hands at a distance from the adjusting handling portion, and has a pedestal that contacts the adjusting tunnel portion at each catching hand, and when the pedestal is pressed by the two forefingers and the entry portion, the individual hanging hands can open at right angles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dividual hanging hands.

상기 조정 거치부가, 상기 조정 핸들링부 가까이에서 하나의 몸체를 이루며 상기 조정 핸들링부로부터 멀리에서 두 개의 걸이손으로 분기되는 때, 상기 조정 터널부는, 상기 두 개의 걸이손에 삽입 및 고정되어 상기 두 개의 걸이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출입 채널; 및 개별 걸이손의 반대편에서 상기 출입 채널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출입 채널의 폭보다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출몰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adjustment holding part forms a single body near the adjustment handling part and branches into two hook hands at a distance from the adjustment handling part, the adjustment tunnel part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two hook hands, and extend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wo hook hands; and a protruding/retracting channel formed integrally with the entering/exiting channel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dividual hanging hand and having a width gradually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entering/exiting channel.

상기 출입 채널은, 상기 두 개의 걸이손에 고정되어 개별 걸이손의 내부를 향해 하부측 및 상부측에서 절곡되는 두 개의 출입 가이드 날개를 가지고, 상기 출몰 채널은, 상기 두 개의 출입 가이드 날개 사이의 중심축을 향해 절곡되는 출몰 가이드 날개를 가질 수 있다.The entry/exit channel has two entry/exit guide wings that are fixed to the two hanging hands and bent at lower and upper sides toward the inside of the individual hanging hands, and the emergence/departure channel has a central axis between the two entry/exit guide wings.

상기 출입 채널과 상기 출몰 채널은, 상기 두 개의 집게손 사이에서 상기 결합봉과 상기 진입부의 움직임시, 상기 출입 채널과 상기 출몰 채널에서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과 상기 두 개의 집게손과 상기 진입부를 수용하고, 상기 출몰 채널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집게손을 통해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을 상기 두 개의 척추체 사이에 도입시킬 수 있다.When the connecting rod and the entry portion move between the two forefingers, the entry and exit channel and the protrusion and retraction channel accommodate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the two forefingers and the entry portion in the entry and exit channel and the protrusion and retraction channel, and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can be introduced between the two vertebral bodies through the protrusion and retraction channel and the two forefingers.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이, 상기 두 개의 척추체 사이에서 상기 척수와 십자 형상을 이루기 위해, 상기 결합봉의 나사부는, 상기 두 개의 척추체 사이에서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의 나사홈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두 개의 회전 방지 돌기에서 하나의 회전 방지 돌기를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로부터 분리하고 나머지의 회전 방지 돌기를 통해 상기 두 개의 척추체 사이에서 상기 척수에 대해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을 상대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In order for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to form a cross shape with the spinal cord between the two vertebral bodies, the threaded part of the coupling rod is separated from the screw groove of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between the two vertebrae, and the sliding part separates one anti-rotation protrusion from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and rotates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with respect to the spinal cord between the two vertebral bodies through the remaining anti-rotation protrusions. there is

본 발명에 따른 척추수술장치는,The spine surgic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텔레스코프식 절첩구조의 추간체삽입모듈, 박스 형상의 추간체유합보형물, 그리고 터널 구조의 추간체안내가이더를 포함하고, 환자의 신체 주변에서 추간체삽입모듈의 선단에 추간체유합보형물을 결합하고, 환자의 신체의 절개부위에 추간체안내가이더를 삽입시켜 추간체안내가이더를 통해 환자의 척추를 외부에 노출시키고,It includes an intervertebral body insertion module of a telescopic folding structure, a box-shaped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and a tunnel structure of an intervertebral body guide guide, and combines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with the front end of the intervertebral body insertion module around the patient's body, inserts the intervertebral body guide guide into the incision of the patient's body, exposes the patient's spine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tervertebral body guide guide,

상기 추간체안내가이더에 추간체삽입모듈과 추간체유합보형물을 삽입시키고, 추간체삽입모듈에서 절첩 구조의 길이를 가변하여 추간체안내가이더를 따라 추간체유합보형물을 두 개의 척추체 사이에 도입시키고, 추간체삽입모듈에서 절첩 구조의 길이를 가변하여 추간체유합보형물을 회전시켜 척추체의 중앙 영역(= 해면골)과 양 가장자리(= 피질골)에 추간체유합보형물을 위치시키므로,The intervertebral body insertion module and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are inserted into the intervertebral body guide guide, and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is introduced between two vertebrae along the intervertebral body guide guide by varying the length of the folding structure in the intervertebral body guide guide. Because the implant is placed,

퇴행성 척추질환에 대한 수술적 치료인 척추유합술에서, 척추체의 해면골과 피질골 상에 추간체유합보형물을 위치시켜 추간체유합보형물의 침강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방사선 촬영시 시상면 및 관상면에서 볼 때 신체의 좌/우 및 앞/뒤에서 척추의 균형을 유지시키고, 수술 동안 환자의 신체를 최소로 절개하여 신체의 절개 부위에서 추간체안내가이더를 따라 추간체삽입모듈과 추간체유합보형물을 삽입해서 신체의 절개 부위를 초기 형상으로 계속하여 유지시킬 수 있다.In spinal fusion, which is a surgical treatment for degenerative spinal disease, the intervertebral body implant is placed on the cancellous bone and cortical bone of the vertebral body to prevent the sinking of the spinal body implant in advance, thereby maintaining the balance of the spine on the left/right and front/back sides of the body when viewed in the sagittal and coronal planes during radiography, and minimizing the patient's body during surgery to ensure intervertebral body insertion module and intervertebral body fusion along the intervertebral body guide guide at the incision site of the body. Implants can be inserted to keep the incision in the body in its initial shap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수술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척추수술장치에서 추간체삽입모듈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추간체삽입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추간체삽입모듈을 부분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의 척추수술장치에서 추간제유합보형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추간제유합보형물에서 골유합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추간제유합보형물에서 도킹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d)는 도 4(a)의 추간제유합보형물에서 접속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a)의 추간제유합보형물을 세운 후 다방면에서 길이(L) 및 폭(W) 및 높이(H) 및 각도(α)의 측정 위치를 보여주는 다면도이다.
도 6은 도 4(a)의 추간체유합보형물에 대한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1의 척추수술장치에서 일측 방향으로 추간체안내가이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추간체안내가이더를 타측 방향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a)는 도 7(a)의 추간체안내가이더에서 조정 거치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조정 거치부에 대한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두 개의 척추체 사이에 추간체유합보형물을 도입시켜 척추체 상에서 추간체유합보형물을 회전시킨 후 척추체와 추간체유합보형물의 위치 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pine surgic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vertebral body insertion module in the spinal surgical apparatus of FIG. 1;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vertebral body insertion module of FIG. 2;
FIG. 3(b) is a perspective view partially showing the intervertebral body insertion module of FIG. 3(a).
Figure 4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vertebral fusion prosthesis in the spinal surgical device of Figure 1.
Figure 4 (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bone union in the intervertebral fusion prosthesis of Figure 4 (a).
FIG. 4(c) is a front view showing a docking part in the intervertebral fusion prosthesis of FIG. 4(a).
Figure 4 (d)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necting portion in the intervertebral fusion prosthesis of Figure 4 (a).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measurement positions of length (L), width (W), height (H), and angle (α) in various directions after the intervertebral fusion prosthesis of FIG. 4 (a) is erected.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of FIG. 4 (a).
Figure 7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vertebral body guide guide in one direction in the spine surgical device of Figure 1;
Figure 7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vertebral body guide guide of Figure 7 (a) in the other direction.
Figure 8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djustment mounting portion of the intervertebral body guide guide of Figure 7 (a).
Figure 8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adjustment mounting portion of Figure 8 (a).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vertebral bodies and the intervertebral fusion prosthesis after the intervertebral fusion prosthesis is introduced between the two vertebral bodies of FIG. 1 and the intervertebral fusion prosthesis is rotated on the vertebral body.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follows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exampl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lation to one embodiment. Additional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s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equivalents as claimed by those claims. Similar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in various aspects, and the length, area, thickness, and the lik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수술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1의 두 개의 척추체 사이에 추간체유합보형물을 도입시켜 척추체 상에서 추간체유합보형물을 회전시킨 후 척추체와 추간체유합보형물의 위치 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pine surgic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so,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vertebral body and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after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is rotated on the vertebral body by introducing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between the two vertebral bodies of FIG. 1 .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따른 척추수술장치(180)는, 일 방향(D)을 따라 환자의 신체 중(中) 등(back)을 통해 척추에서 퇴행성 척추질환과 관련되어 이웃하는 두 개의 척추체 사이에 척추유합술을 적용하도록 구성된다. 개략적으로 살펴볼 때, 척추수술장치(180)는, 추간체삽입모듈(60)과, 추간체유합보형물(90)과, 추간체안내가이더(150)를 포함한다.1 and 9, the spinal surgical apparatus 1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ed to degenerative spinal disease in the spine through the back of the patient's body along one direction (D). It is configured to apply spinal fusion between two vertebral bodies. When viewed schematically, the spinal surgical device 180 includes an intervertebral body insertion module 60, an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90, and an intervertebral body guider 150.

상기 추간체삽입모듈(60)은, 도 2 또는 도 3(a)에서, 텔레스코프(telescope)식 절첩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90)은, 도 4(a)에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추간체삽입모듈(60)에 결합된다. 상기 추간체안내가이더(150)는, 일 방향(D)을 따라 환자의 신체의 절개 부위에 삽입되어 추간체삽입모듈(60)과 추간체유합보형물(90)을 둘러싸면서 두 개의 척추체(193, 196) 사이에 추간체삽입모듈(60)과 추간체유합보형물(90)을 도입시킨다.The intervertebral body insertion module 60, in FIG. 2 or 3 (a), has a telescopic folding structure.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90 has a box shape in FIG. 4 (a) and is coupled to the intervertebral body insertion module 60. The intervertebral guide guide 150 is inserted into the incision of the patient's body along one direction (D) and surrounds the intervertebral body insertion module 60 and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90 and introduces the intervertebral body insertion module 60 and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90 between the two vertebrae 193 and 196.

여기서, 상기 추간체 유합보형물(90)은, 척추(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척수(199)를 기준으로 볼 때, 도 1 및 도 9를 고려하면, 두 개의 척추체(193, 196) 사이에서 척수(199)와 십자 형상을 이루면서 개별 척추체(193 또는 196)의 중앙 영역과 함께 개별 척추체(193 또는 196)의 양 가장자리(191, 192)에 접촉되고, 척수(199) 가까이에서 보다 척수(199)로부터 멀리에서 더 작은 높이를 갖는다.Here,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90 forms a cross shape with the spinal cord 199 between the two vertebrae 193 and 196, when viewed from the base of the spinal cord 199 loc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pine 200, considering FIGS. , 192, and has a smaller height farther away from the spinal cord 199 than closer to the spinal cord 199.

도 2는 도 1의 척추수술장치에서 추간체삽입모듈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2의 추간체삽입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추간체삽입모듈을 부분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vertebral body insertion module in the spinal surgical apparatus of FIG. 1, FIG.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vertebral body insertion module of FIG. 2, and FIG. 3(b) is a perspective view partially showing the intervertebral body insertion module of FIG. 3(a).

도 2 및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추간체삽입모듈(60)은, 결합봉(10), 그리고 결합봉(10)을 순차적으로 둘러싸는 유도관(30)과 파지관(50)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봉(10)과 유도관(30)과 파지관(50)은, 도 2 및 도 3(a)를 고려해 볼 때, 텔레스코프식 절첩 구조를 이룬다.2 and 3(a) and 3(b), the intervertebral body insertion module 60 includes a coupling rod 10, an induction tube 30 sequentially surrounding the coupling rod 10, and a gripping tube 50. The coupling rod 10, the induction pipe 30, and the gripping pipe 50 form a telescopic folding structure when considering FIGS. 2 and 3(a).

상기 결합봉(10)은, 도 2와 같이, 결합봉(10)의 전방에서 추간체유합보형물(도 1 또는 도 4(a)의 90)과 나선 결합하는 나사부(3)와, 나사부(3)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활주부(6)와, 결합봉(10)의 후방에서 활주부(6)로부터 시작하여 나사부(3)의 반대편을 향해 연장하는 드라이버(9)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coupling rod 10 includes a threaded portion 3 that spirally engages with the intervertebral body prosthesis (90 in FIG. 1 or 4(a)) at the front of the coupling rod 10, and a sliding portion 6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threaded portion 3, and a driver 9 extending from the sliding portion 6 at the rear of the coupling rod 10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threaded portion 3.

여기서, 도 3(a) 및 도 3(b)를 고려해 볼 때, 상기 나사부(3)와 드라이버(9)는, 유도관(30)의 일단 및 타단 주변에 위치된다. 상기 나사부(3)는, 드라이버(9)가 유도관(30)의 타단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M1 또는 R)이는 때, 유도관(30)의 일단에 출몰된다.Here, considering FIGS. 3(a) and 3(b), the screw part 3 and the driver 9 are located arou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guide pipe 30. The screw part 3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guide pipe 30 when the driver 9 moves (M1 or R) relative to the other end of the guide pipe 30.

상기 결합봉(10)이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나사부(3)와 활주부(6)와 드라이버(9)를 가지는 때, 상기 유도관(30)은, 도 2와 같이, 슬라이딩부(23)와, 구속부(26)와, 가압 핸들링부(29)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부(23)는, 도 2 및 도 3(a) 및 도 3(b)를 고려해 볼 때, 유도관(30)의 전방에서 나사부(3)와 활주부(6)를 둘러싸고 나사부(3)와 활주부(6)의 움직임을 유도한다.When the coupling bar 10 has the sequentially connected threaded portion 3, slide portion 6, and driver 9, the guide tube 30 includes a sliding portion 23, a restraining portion 26, and a pressure handling portion 29, as shown in FIG. Considering FIGS. 2 and 3(a) and 3(b), the sliding part 23 surrounds the threaded part 3 and the sliding part 6 at the front of the guide tube 30 and induces the movement of the screw part 3 and the sliding part 6.

상기 구속부(26)는, 도 2 및 도 3(a) 및 도 3(b)를 고려해 볼 때, 유도관(30)의 후방에서 슬라이딩부(23)로부터 시작하여 슬라이딩부(23)의 반대편을 향해 연장하며 드라이버(9)를 둘러싸고 드라이버(9)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상기 가압 핸들링부(29)는, 도 2와 같이, 구속부(26)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Considering FIGS. 2 and 3(a) and 3(b), the restraining portion 26 starts from the sliding portion 23 at the rear of the guide pipe 30 and extends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sliding portion 23, surrounds the driver 9, and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driver 9. As shown in FIG. 2 , the pressure handling portion 29 protrude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straining portion 26 .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부(23)와 구속부(26)는, 도 2 및 도 3(a)를 고려해 볼 때, 추간체삽입모듈(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부(3)와 활주부(6)와 드라이버(9)보다 더 짧다. 상기 슬라이딩부(23)와 구속부(26)는, 도 3(a) 및 도 3(b)에서, ㅍ파지관(50)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M2)인다. 상기 슬라이딩부(23)는 구속부(26)의 반대편에 두 개의 회전 방지 돌기(22)를 갖는다.Here, the sliding part 23 and the restraining part 26 are shorter than the screw part 3, the sliding part 6, and the driver 9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tervertebral body insertion module 10, considering FIGS. 2 and 3(a). The sliding part 23 and the restraining part 26 move (M2) relative to the gripping tube 50 in FIGS. 3(a) and 3(b). The sliding part 23 has two anti-rotation protrusions 22 on opposite sides of the restraining part 26 .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23)와 구속부(26)는, 도 3(a) 및 도 3(b)에서, 결합봉(10)이 유도관(30)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때, 슬라이딩부(23)에서 두 개의 회전 방지 돌기(22) 사이에 나사부(3)를 출몰시키며, 구속부(26)에서 구속부(26)의 내부에 드라이버(9)의 일부를 삽입시켜 드라이버(9)의 일부를 제한적으로 움직이게 하고, 구속부(26)에서 구속부(26)의 외부에 드라이버(9)의 나머지를 노출시켜 드라이버(9)의 나머지를 자유로이 움직이게 한다.In addition, the sliding part 23 and the restraining part 26, in FIGS. 3 (a) and 3 (b), when the coupling rod 10 moves relative to the guide pipe 30, the threaded part 3 protrudes between the two anti-rotation protrusions 22 in the sliding part 23, and a part of the driver 9 is inserted into the restraining part 26 in the restricting part 26 to restrict movement of a part of the driver 9, and the restraining part In (26), the remainder of the driver 9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straining portion 26 to allow the remainder of the driver 9 to move freely.

상기 유도관(30)이, 일직선을 따라 슬라이딩부(23)와 구속부(26)를 가지며, 슬라이딩부(23)에서 결합봉(10)의 나사부(3)와 활주부(6)를 그리고 구속부(26)에서 결합봉(10)의 드라이버(9)를 둘러싸는 때, 상기 파지관(50)은, 도 2와 같이, 두 개의 집게손(44), 그리고 진입부(48)를 포함한다.When the guide pipe 30 has a sliding part 23 and a restraining part 26 along a straight line, and the sliding part 23 surrounds the threaded part 3 and the sliding part 6 of the coupling bar 10, and the restraining part 26 surrounds the driver 9 of the coupling bar 10, the gripping tube 50 includes two forefingers 44 and an entry part 48, as shown in FIG. 2.

상기 두 개의 집게손(44)은, 도 1과 같이, 파지관(50)의 전방에서 추간체유합보형물(90)을 수용하여 추간체유합보형물(90)을 집는다. 상기 진입부(48)는, 도 3(a) 및 도 3(b)와 같이, 파지관(50)의 후방에서 일 단을 통해 두 개의 집게손(44)과 일체로 형성되어 슬라이딩부(23)의 일부를 둘러싸면서 슬라이딩부(23)의 나머지를 출몰시킨다.As shown in FIG. 1, the two forefingers 44 receive the intervertebral body prosthesis 90 from the front of the gripping tube 50 and hold the intervertebral body prosthesis 90. 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entry part 48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two forefingers 44 through one end at the rear of the gripping pipe 50, and surrounds a part of the sliding part 23 and causes the rest of the sliding part 23 to protrude and retract.

여기서, 상기 두 개의 집게손(44)은, 도 1을 고려해 볼 때, 진입부(48)와 함께, 추간체안내가이더(90)에 추간체유합보형물(90)을 삽입시킨다. 한편,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90)은, 구속부(26)에 대해 드라이버(9)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R)에 기인하여 두 개의 집게손(44) 사이에서 추간체유합보형물(90)의 나사홈(도 4(d)의 G1)을 통해 나사부(3)에 나선 결합된다.Here, the two forefingers 44 insert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90 into the intervertebral body guide guide 90 together with the entry portion 48 when considering FIG. 1 . On the other hand,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90 is spirally coupled to the screw part 3 through the screw groove (G1 in FIG. 4(d)) of the intervertebral body prosthesis 90 between the two forefingers 44 due to the relative rotational motion (R) of the driver 9 with respect to the restraining part 26.

또한,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90)은, 진입부(48)에 대해 슬라이딩부(23)의 수평 운동(M2)에 기인하여 두 개의 집게손(44) 사이에서 슬라이딩부(23)의 두 개의 회전 방지 돌기(22)에 추간체유합보형물(90)의 두 개의 회전 방지홈(도 4(d)의 G2)을 끼우고 두 개의 집게손(44) 사이를 이동하여 진입부(48)의 건너편에서 두 개의 집게손(44)에 물려진다. In addition,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90 inserts the two anti-rotation grooves (G2 in FIG. 4(d)) of the intervertebral body prosthesis 90 into the two anti-rotation protrusions 22 of the sliding part 23 between the two forefingers 44 due to the horizontal movement (M2) of the sliding part 23 with respect to the entry part 48, moves between the two forefingers 44, and moves between the two forefingers 44. It is bitten by two forefingers 44 on the other side of the .

도 4(a)는 도 1의 척추수술장치에서 추간제유합보형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추간제유합보형물에서 골유합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4(c)는 도 4(a)의 추간제유합보형물에서 도킹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4(d)는 도 4(a)의 추간제유합보형물에서 접속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4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vertebral resistant implant in the spinal surgical apparatus of FIG. 1, FIG. 4 (B) is a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a bone oil in the intervertebral resistant implant of FIG. (4 (A), FIG. 4 (C) shows a docking part in the intervertebral resistant implant of FIG. It is the front diagram.

또한, 도 5는 도 4(a)의 추간제유합보형물을 세운 후 다방면에서 길이(L) 및 폭(W) 및 높이(H) 및 각도(α)의 측정 위치를 보여주는 다면도이고, 도 6은 도 4(a)의 추간체유합보형물에 대한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In addi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measurement position of the length (L) and width (W) and height (H) and angle (α) in various directions after erecting the intervertebral fusion prosthesis of Figure 4 (a),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intervertebral fusion prosthesis of Figure 4 (a).

도 4(a) 내지 도 4(d), 그리고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파지관(도 2의 50)이, 일직선을 따라, 두 개의 집게손(도 2의 44), 그리고 진입부(도 2의 48)를 가지면서, 진입부(44)를 통해 두 개의 집게손(44) 사이에 결합봉(도 2의 10)의 나사부(도 2의 3)와 유도관(도 2의 30)의 슬라이딩부(도 2의 23)를 노출시키는 때,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90)은, 도 4(a)와 같이, 두 개의 집게손(44) 사이에 위치되어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도킹부(83)와, 골유합부(86)와, 접속부(89)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4(a) to 4(d) and FIGS. 5 and 6, the gripping pipe (50 in FIG. 2) has two forefingers (44 in FIG. 2) and an entry part (48 in FIG. 2) along a straight line,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two forefingers 44 through the entry part 44. When exposing the sliding portion (23 in FIG. 2) of (30 in FIG. 2),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90 is located between two forefingers 44, as shown in FIG.

상기 도킹부(83)는, 도 1 및 도 4(a)를 고려해 볼 때, 추간체유합보형물(90)의 전방에서 진입부(48)의 반대편에 위치된다. 상기 골유합부(86)는, 도 4(a)와 같이, 도킹부(83)로부터 연장한다. 상기 접속부(89)는, 도 4(a)와 같이, 추간체유합보형물(90)의 후방에서 골유합부(86)로부터 시작하여 도킹부(83)의 반대편을 향해 연장한다. 여기서, 상기 접속부(89)는, 도 1 및 도 4(d)를 고려해 볼 때, 접속부(89)의 나사홈(G1)에 나사부(3)를 수용하여 결합봉(10)에 나선 결합되고, 상기 결합봉(10)과 유도관(3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력을 인가받는다.The docking part 83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ntry part 48 from the front of the intervertebral body prosthesis 90, considering FIGS. 1 and 4(a). The bone union part 86 extends from the docking part 83, as shown in FIG. 4(a). As shown in FIG. 4(a), the connecting portion 89 starts from the bone fusion portion 86 at the rear of the intervertebral body prosthesis 90 and extends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docking portion 83. Here, considering FIGS. 1 and 4(d), the connection part 89 accommodates the threaded part 3 in the threaded groove G1 of the connection part 89 and is spirally coupled to the coupling rod 10, and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coupling rod 10 and the guide pipe 30.

상기 도킹부(83)와 골유합부(86)와 접속부(89)는, 도 4(a) 및 도 4(c) 및 도 4(d)와 같이, 도킹부(83)에서 추간체유합보형물(90)의 일측 둘레를 따라 제1 외주면(도면에 미도시)을 가지고, 골유합부(86)에서 추간체유합보형물(90)의 좌측 둘레를 따라 제2 외주면(도면에 미도시)을 가지며, 골유합부(86)에서 추간체유합보형물(90)의 우측 둘레를 따라 제3 외주면(도면에 미도시)을 가지고, 접속부(89)에서 추간체유합보형물(90)의 타측 둘레를 따라 제4 외주면(도면에 미도시)을 갖는다.,The docking part 83, the bone union part 86, and the connection part 89 have a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not shown) along one circumference of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90 in the docking part 83, and a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the left circumference of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90 in the bone union 86, as shown in FIGS. (not shown), has a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not shown in the drawing) along the right circumference of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90 at the bone union 86, and has a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not shown in the drawing) along the other circumference of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90 at the connection portion 89.

또한, 상기 도킹부(83)와 골유합부(86)와 접속부(89)는, 도 4(a) 및 도 4(c) 및 도 4(d)와 같이, 도킹부(83)와 골유합부(86)와 접속부(89)에서 추간체유합보형물(90)의 하부 최외각을 따라 제5 외주면(S1)을 가지고, 도킹부(83)와 골유합부(86)와 접속부(89)에서 추간체유합보형물(90)의 상부 최외각을 따라 제6 외주면(S2)을 갖는다.In addition, the docking part 83, the bone union part 86, and the connection part 89 have a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1 along the lower outermost circumference of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90 at the docking part 83, the bone union part 86, and the connection part 89, as shown in FIGS. 4(a), 4(c), and 4(d), and The connection part 89 has a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2 along the outermost upper part of the intervertebral body prosthesis 90.

상기 제1 외주면은, 도 1 및 도 4(a) 및 도 4(c)를 고려해 볼 때, 진입부(48)로부터 멀리에 위치된다. 상기 제4 외주면은, 도 1 및 도 4(a) 및 도 4(d)를 고려해 볼 때, 진입부(48)와 마주한다. 상기 제1 외주면과 제4 외주면은, 제2 외주면 및 제3 외주면 및 제5 외주면(S1)및 제6 외주면(S2) 사이에 위치되어 곡면을 이루고, 제1 외주면에서 제4 외주면보다 더 작은 면적을 갖는다.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located far from the entry portion 48, considering FIGS. 1 and 4(a) and 4(c).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aces the entry portion 48 when considering FIGS. 1 and 4(a) and 4(d).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re located between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1 and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2 to form a curved surface, and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as a smaller area than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제2 외주면은, 도 4(a)와 같이, 제1 외주면과 제4 외주면 사이에서 제1 외주면과 제4 외주면을 그리고 제5 외주면(S1)과 제6 외주면(S2)을 이어주고, 도 4(a)와 같이, 제3 외주면보다 더 작은 높이를 갖는다. 상기 제3 외주면은, 도 4(a)와 같이, 제1 외주면과 제4 외주면 사이에서 제1 외주면과 제4 외주면을 그리고 제5 외주면(S1)과 제6 외주면(S2)을 이어주고, 제2 외주면보다 더 큰 높이를 가지며, 제2 외주면 대비 제3 외주면의 지향하는 방향을 향해 상대적으로 볼록하게 굴곡진다.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nnects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etween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1 and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2, as shown in FIG. 4 (a), and has a height smaller than the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s shown in FIG. The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nnects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etween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1 and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2, as shown in FIG.

상기 제4 외주면은, 도 4(a) 및 도 4(d)와 같이, 제4 외주면의 중앙 영역을 관통하여 도킹부(83)의 내부에 형성되는 나사홈(G1)을 가지며, 제4 외주면에서 나사홈(G1)의 양측부에 위치되어 제4 외주면을 관통하면서 도킹부(83)의 내부에 형성되는 회전 방지홈(G2)을 갖는다. 상기 결합봉(10)의 나사부(3)는, 도 1 및 도 2 및 도 4(d)를 고려해 볼 때, 추간체유합보형물(90)에서 도킹부(83)의 나사홈(G1)에 끼워진다.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s shown in Figures 4 (a) and 4 (d), has a screw groove (G1) formed inside the docking portion 83 through the central region of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crew groove (G1) on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has an anti-rotation groove (G2) formed inside the docking portion 83 while penetrating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nsidering FIGS. 1 and 2 and 4(d), the threaded portion 3 of the coupling rod 10 is inserted into the threaded groove G1 of the docking portion 83 in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90.

상기 슬라이딩부(23)의 개별 회전 방지 돌기(22)는, 도 1 및 도 2 및 도 3(b) 및 도 4(d)를 고려해 볼 때, 추간체유합보형물(90)에서 도킹부(83)의 회전 방지홈(G2)에 끼워진다. 상기 제5 외주면(S1)과 제6 외주면(S2)은, 도 4(a)와 같이, 제1 내지 제4 외주면 사이에 위치되고, 제1 외주면과 제4 외주면으로부터 시작하여 제5 외주면(S1)과 제6 외주면(S2)을 향해 융기하며, 제2 외주면으로부터 제3 외주면을 향해 점진적으로 벌어진다.Considering FIGS. 1 and 2 and 3(b) and 4(d), the individual anti-rotation protrusions 22 of the sliding part 23 are docked in the intervertebral body prosthesis 90. It is fitted into the anti-rotation groove G2 of the 83. 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1 and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2 are located between the first to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as shown in FIG.

상기 제2 외주면 및 제3 외주면 및 제5 외주면(S1) 및 제6 외주면(S2)은, 도 4(b)와 같이, 제2 외주면 및 제3 외주면 및 제5 외주면(S1) 및 제6 외주면(S2)에 복수의 골저장 홀(74)을 가지고, 제2 외주면과 제3 외주면 사이의 동일한 가상 수평선을 따라 제2 외주면의 골저장 홀(74)들에 제3 외주면의 골저장 홀(74)들을 일대일로 대응시키며, 제5 외주면(S1)과 제6 외주면(S2) 사이의 동일한 가상 수직선을 따라 제5 외주면(S1)의 골저장 홀(74)들에 제6 외주면(S2)의 골저장 홀(74)들을 일대일로 대응시킨다.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1, and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2 have a plurality of bone storage holes 74 on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1 and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2, as shown in FIG. The bone storage holes 74 of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2 correspond one-to-one to the bone storage holes 74 of 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1 along the same virtual vertical line between 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1 and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2.

상기 제2 외주면의 개별 골저장 홀(74)과 제3 외주면의 개별 골저장 홀(74)은, 도 4(b)와 같이, 가상 수평선을 따라 제2 외주면의 개별 골저장 홀(74)과 제3 외주면의 개별 골저장 홀(74) 사이에 위치되는 제1 공통홀(H1)에 의해 이어진다. 상기 제5 외주면(S1)의 개별 골저장 홀(74)과 제6 외주면(S2)의 개별 골저장 홀(74)은, 도 4(b)와 같이, 가상 수직선을 따라 제5 외주면(S1)의 개별 골저장 홀(74)과 제6 외주면(S2)의 개별 골저장 홀(74) 사이에 위치되는 제2 공통홀(H2)에 의해 이어진다.The individual bone storage holes 74 on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dividual bone storage holes 74 on the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re connected along a virtual horizontal line by a first common hole H1 located between the individual bone storage holes 74 on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dividual bone storage holes 74 on the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a virtual horizontal line, as shown in FIG. 4(b). The individual bone storage holes 74 of 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1 and the individual bone storage holes 74 of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2 are connected along a virtual vertical line, as shown in FIG.

상기 제1 공통홀(H1) 또는 제2 공통홀(H2)은, 도 4(b)를 고려해 볼 때, 제2 외주면 및 제3 외주면 및 제5 외주면(S1) 및 제6 외주면(S2) 사이에서 복수개로 형성되어 고립된다. 상기 제1 공통홀(H1)은, 도 4(b)와 같이, 제2 외주면 및 제3 외주면 및 제5 외주면(S1) 및 제6 외주면(S2) 사이에서 제2 공통홀(H2)과 교차한다. 상기 제5 외주면(S1)은, 도 4(a) 및 도 4(c) 및 도 4(d)와 같이, 추간체유합보형물(90)의 좌측 둘레 및 우측 둘레를 따라 두 개의 제1 톱니레일(78)을 갖는다.Considering FIG. 4(b), the first common hole H1 or the second common hole H2 is formed in plurality and isolated between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1, and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2. The first common hole H1 intersects the second common hole H2 between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1 and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2, as shown in FIG. 4(b). 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1 has two first toothed rails 78 along the left and right circumferences of the intervertebral body prosthesis 90, as shown in FIGS. 4 (a), 4 (c), and 4 (d).

상기 제6 외주면(S2)은, 도 4(a) 및 도 4(c) 및 도 4(d)와 같이, 추간체유합보형물(90)의 좌측 둘레 및 우측 둘레를 따라 두 개의 제2 톱니레일(78)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5 외주면(S1)은, 도 4(a) 내지 도 4(d)를 고려해 볼 때, 두 개의 제1 톱니레일 사이에 골저장 홀(74)들을 갖는다. 상기 제6 외주면(S2)은, 도 4(a) 내지 도 4(d)를 고려해 볼 때, 두 개의 제2 톱니레일(78) 사이에 골저장 홀(74)들을 갖는다.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2 has two second toothed rails 78 along the left and right circumferences of the intervertebral body prosthesis 90, as shown in FIGS. 4 (a), 4 (c), and 4 (d). In addition, 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1 has bone storage holes 74 between the two first toothed rails, considering FIGS. 4(a) to 4(d).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2 has bone storage holes 74 between two second toothed rails 78, considering FIGS. 4(a) to 4(d).

이와 다르게, 도 4의 추간체유합보형물(90)은 도 6의 추간체유합보형물(120)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120)도, 도킹부(113)와 골유합부(116)와 접속부(119)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킹부(113)와 골유합부(116)와 접속부(119)가 도 4의 도킹부(83)와 골유합부(86)와 접속부(89)와 유사한 형상을 갖지만, 상기 골유합부(116)는 도 4의 골유합부(86)와 다른 구조를 갖는다.Alternatively, the intervertebral body prosthesis 90 of FIG. 4 may be replaced by the intervertebral body prosthesis 120 of FIG. 6 .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120 also includes a docking part 113, a bone fusion part 116, and a connection part 119. Although the docking part 113, the bone union part 116, and the connection part 119 have a similar shape to the docking part 83, the bone union part 86, and the connection part 89 of FIG.

구체적으로는, 상기 골유합부(116)에서 제5 및 제6 외주면(S3, S4)은, 도킹부(113)와 접속부(119) 사이에서 제5 및 제6 외주면(S3, S4)을 관통하여 골유합부(116)의 내부를 노출시키는 골저장 벌크홀(106)을 가지고, 제5 외주면(S3)에서 개별 제1 톱니레일(109)과 골저장 벌크홀(103) 사이에 골저장 홀(106)을 가지며, 제6 외주면(S4)에서 개별 제2 톱니레일(109)과 골저장 벌크홀(103) 사이에 골저장 홀(106)을 갖는다.Specifically, the fifth and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S3 and S4 of the bone fusion part 116 have a bone storage bulk hole 106 exposing the inside of the bone fusion part 116 through the fifth and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S3 and S4 between the docking part 113 and the connection part 119, and the individual first gear rail 109 and the bone storage bulk hole 103 on 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3. ), and has a bone storage hole 106 between the individual second gear rails 109 and the bone storage bulk hole 103 on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4.

한편, 도 4에서, 상기 제5 및 제6 외주면(S1, S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5 외주면(S1)의 양 가장자리에 두 개의 제1 톱니레일(78)을 그리고 제6 외주면(S2)의 양 가장자리에 두 개의 제2 톱니레일(78)을 위치시키는 때, 상기 제1 또는 제4 외주면은, 도 5와 같이, 제2 외주면이 제3 외주면보다 더 작은 높이(H)를 가지면서, 제2 외주면이 제3 외주면보다 더 아래에 위치되는 때, 제1 또는 제4 외주면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P1)과 두 개의 제1 또는 제2 톱니레일(78)을 잇는 경사선(P2) 사이에 6°내지 12°의 각도(α)를 갖는다.Meanwhile, in FIG. 4 , when two first toothed rails 78 are positioned on both edges of 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1 and two second toothed rails 78 are positioned at both edges of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fth and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S1 and S2,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as a smaller height H than the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s shown in FIG. 3, when positioned further below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etween a vertical line (P1)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or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inclined line (P2) connecting the two first or second toothed rails (78) It has an angle (α) of 6 ° to 12 °.

또한, 도 5와 같이, 상기 제2 또는 제3 외주면의 높이(H)는,제2 또는 제3 외주면의 중앙 영역에서 9mm 내지 13mm 의 범위를 갖는다. 상기 제5 또는 제6 외주면(S1, S2)의 길이(L)는, 제1 외주면과 상기 제2 외주면 사이에서 40mm 내지 50mm 의 범위를 갖는다. 상기 제5 또는 제6 외주면(S1, S2)의 폭(W)은, 제5 또는 제6 외주면(S1, S2)의 중앙 영역에서 16mm 내지 22mm 의 범위를 갖는다. 여기서, 도 6의 추간체유합보형물(120)도, 도 5의 추간체유합보형물(90)과 동일하게, 각도와 높이(H)와 길이(L)와 폭(W)의 크기 범위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height H of the second or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ranges from 9 mm to 13 mm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second or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length (L) of the fifth or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1, S2) has a range of 40mm to 50mm between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width W of the fifth or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S1 and S2 ranges from 16 mm to 22 mm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fifth or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S1 and S2. Here, the intervertebral body prosthesis 120 of FIG. 6 may have the same size range as the intervertebral body prosthesis 90 of FIG. 5, the angle, the height (H), the length (L), and the width (W).

상기 도킹부(83 또는 113)와 골유합부(86 또는 116)와 접속부(89 또는 119)는, 티타늄(Ti) 또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e; PEEK)을 포함한다.The docking portion 83 or 113, the bone union portion 86 or 116, and the connection portion 89 or 119 include titanium (Ti) or polyetheretherketone (PEEK).

도 7(a)는 도 1의 척추수술장치에서 일측 방향으로 추간체안내가이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추간체안내가이더를 타측 방향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ure 7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vertebral body guide guide in one direction in the spine surgical apparatus of Figure 1, Figure 7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vertebral body guide guide of Figure 7 (a) in the other direction.

또한, 도 8(a)는 도 7(a)의 추간체안내가이더에서 조정 거치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조정 거치부에 대한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In addition, FIG. 8(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djustment mounting portion of the intervertebral body guider of FIG. 7(a), and FIG. 8(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adjusting mounting portion of FIG. 8(a).

도 7(a) 및 도 7(b), 그리고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파지관(도 2의 50)이, 일직선을 따라, 두 개의 집게손(도 2의 44), 그리고 진입부(도 2의 48)를 가지면서, 진입부(48)를 통해 두 개의 집게손(44) 사이에 결합봉(도 2의 10)의 나사부(도 2의 3)와 유도관(도 2의 30)의 슬라이딩부(도 2의 23)를 노출시키고, 두 개의 집게손(44) 사이에서 나사부(3)에 나선 결합되는 추간체유합보형물(도 1의 90)을 물리는 때, 상기 추간체안내가이더(150)는, 도 7(a)와 같이, 조정 핸들링부(143)와, 조정 거치부(146)와, 조정 터널부(149)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7(a) and 7(b) and FIGS. 8(a) and 8(b), the gripping pipe (50 in FIG. 2) has two forefingers (44 in FIG. 2) and an entry part (48 in FIG. 3) and the sliding portion (23 in FIG. 2) of the guide tube (30 in FIG. 2) are exposed, and when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90 in FIG. 1) spirally coupled to the threaded portion 3 is held between the two forefingers 44, the intervertebral body guide guide 150, as shown in FIG. 49).

상기 조정 핸들링부(143)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환자의 신체의 외부에 위치된다. 상기 조정 거치부(146)는, 조정 핸들링부(143) 상에 위치되어 신체의 절개 부위 주변에 위치된다. 상기 조정 터널부(149)는, 환자의 신체의 절개 부위를 지나 두 개의 척추체(도 1의 193, 196) 사이의 영역에 도달된다. 여기서, 상기 조정 터널부(149)는, 도 1과 도 7(a)를 고려해볼 때, 조정 거치부(146) 상에서 추간체유합보형물(90)과 두 개의 집게손(44)과 진입부(48)를 수용한다.The adjustment handling unit 143 has a column shape and is located outside the patient's body. The adjustment holder 146 is located on the adjustment handling unit 143 and is positioned around the incision in the body. The adjustment tunnel portion 149 passes through the incision in the patient's body and reaches the area between the two vertebral bodies (193 and 196 in FIG. 1). Here, the adjustment tunnel unit 149 accommodates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90, the two forefingers 44, and the entry unit 48 on the adjustment mounting unit 146, considering FIGS. 1 and 7(a).

상기 조정 거치부(146)는, 도 7(a) 및 도 7(b) 및 도 8(a)와 같이, 조정 핸들링부(143) 가까이에서 하나의 몸체를 이루며 조정 핸들링부(143)로부터 멀리에서 두 개의 걸이손(133, 134)으로 분기되고, 개별 걸이손(133 또는 134)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개별 걸이손(133 또는 134)에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굴곡부(131)와 받침대(132)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굴곡부(131)는, 도 1 및 도 7(a) 및 도 8(a)를 고려해 볼 때, 받침대(132)가 두 개의 집게손(44)과 진입부(48)로 눌려지는 때, 개별 걸이손(133 또는 134)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굴곡부(131)의 높이를 가변시킨다.As shown in FIGS. 7(a), 7(b), and 8(a), the adjustment holding part 146 forms a single body close to the adjustment handling part 143, branches into two hooking hands 133 and 134 at a distance from the adjustment handling part 143, and is a bent part sequentially positioned on the individual hooking hands 133 or 134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individual hooking hands 133 or 134. (131) and a pedestal (132). 1 and 7(a) and 8(a), when the pedestal 132 is pressed by the two forefingers 44 and the entry portion 48, the bent portion 131 varies the height of the bent portion 13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dividual hooking hand 133 or 134.

이와 다르게, 도 8(a)의 조정 거치부(146)는, 도 8(b)의 조정 거치부(170)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정 거치부(170)는, 조정 핸들링부(도 7(a)의 143) 가까이에서 하나의 몸체를 이루며 조정 핸들링부(143)로부터 멀리에서 두 개의 걸이손(166, 168)으로 분기되고, 개별 걸이손(166 또는 168)에서 조정 터널부(도 7(a)의 149)와 접촉하는 받침대(164)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개별 걸이손(166 또는 168)은, 도 1 및 도 8(b)를 고려해 볼 때, 받침대(164)가 두 개의 집게손(44)과 진입부(48)로 눌려지는 때, 개별 걸이손(166 또는 168)의 길이 방향에 직각으로 벌어진다.Alternatively, the adjustment holder 146 of FIG. 8 (a) may be replaced by the adjustment holder 170 of FIG. 8 (b). Specifically, the adjustment holder 170 forms one body near the adjustment handling part (143 in FIG. 7(a)), branches into two hook hands 166 and 168 at a distance from the adjustment handling part 143, and has a stand 164 that contacts the adjustment tunnel part (149 in Fig. 7(a)) at the individual hook hands 166 or 168. Here, the individual hanging hands 166 or 168, considering FIGS. 1 and 8(b), when the pedestal 164 is pressed by the two forefingers 44 and the entry part 48, the individual hanging hands 166 or 168 are spread at right angles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한편, 상기 조정 거치부(146)가, 도 7(a) 및 도 8(a)와 같이, 조정 핸들링부(143) 가까이에서 하나의 몸체를 이루며 조정 핸들링부(143)로부터 멀리에서 두 개의 걸이손(133, 134)으로 분기되는 때, 상기 조정 터널부(149)는, 도 7(a) 및 도 7(b)와 같이, 출입 채널(137)과 출몰 채널(139)을 포함한다. 상기 출입 채널(137)은, 도 7(a) 및 도 7(b)와 같이, 두 개의 걸이손(133, 134)에 삽입 및 고정되어 두 개의 걸이손(133, 13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7(a) and 8(a), when the adjustment holder 146 forms a single body close to the adjustment handling unit 143 and diverges into two hook hands 133 and 134 at a distance from the adjustment handling unit 143, the adjustment tunnel unit 149 connects the entry/exit channel 137 and the exit/exit channel 139 as shown in FIGS. 7(a) and 7(b). include 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entry/exit channel 137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two hanging hands 133 and 134 and extend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wo hanging hands 133 and 134.

상기 출몰 채널(139)은, 도 7(a) 및 도 7(b)와 같이, 개별 걸이손(133, 134)의 반대편에서 출입 채널(137)에 일체로 형성되어 출입 채널(137)의 폭보다 점진적으로 작아진다. 또한, 상기 출입 채널(137)은, 도 7(a)와 같이, 두 개의 걸이손(133, 134)에 고정되어 개별 걸이손(133 또는 134)의 내부를 향해 하부측 및 상부측에서 절곡되는 두 개의 출입 가이드 날개(136)를 갖는다. 상기 출몰 채널(139)은, 도 7(a)와 같이, 두 개의 출입 가이드 날개(136) 사이의 중심축을 향해 절곡되는 출몰 가이드 날개(138)를 갖는다.As shown in FIGS. 7 (a) and 7 (b), the protruding and retracting channels 139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entry and exit channels 137 on opposite sides of the individual hooking hands 133 and 134, and gradually becom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entry and exit channels 137.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a), the entry and exit channel 137 is fixed to the two hanging hands 133 and 134 and is bent at the lower and upper sides toward the inside of the individual hanging hands 133 or 134. It has two entry and exit guide wings 136. As shown in FIG. 7 (a), the protruding and retracting channel 139 has protruding and retracting guide wings 138 that are bent toward a central axis between the two entering and exiting guide wings 136.

상기 출입 채널(137)과 상기 출몰 채널(139)은, 도 1 내지 도 3 및 도 7을 고려해 볼 때, 두 개의 집게손(44) 사이에서 결합봉(10)과 진입부(48)의 움직임시, 출입 채널(137)과 출몰 채널(138)에서 추간체유합보형물(90)과 두 개의 집게손(44)과 진입부(48)를 수용하고, 출몰 채널(137) 그리고 두 개의 집게손(44)을 통해 추간체유합보형물(90)을 두 개의 척추체(도 1의 193, 196) 사이에 도입시킨다.Considering FIGS. 1 to 3 and 7 , the entry/exit channel 137 and the entry/exit channel 139 accommodate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90, the two forefingers 44 and the entry 48 in the entry/exit channel 137 and the entry/exit channel 138 when the coupling rod 10 and the entry 48 move between the two forefingers 44, and the entry/exit channel 137 Then, the intervertebral body prosthesis 90 is introduced between the two vertebral bodies (193 and 196 in FIG. 1) through the two forefingers 44.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90)이, 도 1 내지 도 3 그리고 도 9를 고려해 볼 때, 두 개의 척추체(193, 196) 사이에서 척수(199)와 십자 형상을 이루기 위해, 상기 결합봉(10)의 나사부(3)는, 두 개의 척추체(193, 196) 사이에서 추간체유합보형물(90)의 나사홈(G1)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슬라이딩부(23)는, 도 2 및 도 3 및 도 9를 고려해 볼 때, 두 개의 회전 방지 돌기(22)에서 하나의 회전 방지 돌기(22)를 추간체유합보형물(90)로부터 분리하고 나머지의 회전 방지 돌기(22)를 통해 두 개의 척추체(193, 196) 사이에서 척수(199)에 대해 추간체유합보형물(90)을 상대적으로 회전시킨다.Considering FIGS. 1 to 3 and 9 ,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90 forms a cross shape with the spinal cord 199 between the two vertebral bodies 193 and 196. The threaded portion 3 of the coupling rod 10 is separated from the screw groove G1 of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90 between the two vertebral bodies 193 and 196. Considering FIGS. 2, 3, and 9, the sliding part 23 separates one of the rotation prevention protrusions 22 from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90 and relatively rotates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90 with respect to the spinal cord 199 between the two vertebral bodies 193 and 196 through the remaining rotation prevention protrusions 22.

10; 결합봉, 30; 유도관
50; 파지관, 60; 추간체삽입모듈
90; 추간체유합보형물, 150; 추간체안내가이더
180; 척추수술장치, 193, 196; 척추체
199; 척수, 200; 척추
D; 방향
10; coupling bar, 30; guide tube
50; gripping tube, 60; Intervertebral body insertion module
90;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150; Intervertebral Body Guider
180; spine surgical device, 193, 196; vertebral body
199; spinal cord, 200; spine
D; direction

Claims (30)

Translated fromKorean
환자의 신체 중(中) 등(back)을 통해 척추에서 퇴행성 척추질환과 관련되어 이웃하는 두 개의 척추체 사이에 척추유합술을 적용하는 척추수술장치에 있어서,
텔레스코프(telescope)식 절첩 구조로 이루어지는 추간체삽입모듈;
상기 추간체삽입모듈에 결합되는 추간체유합보형물; 및
상기 환자의 신체의 절개 부위에 삽입되어 상기 추간체삽입모듈과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을 둘러싸면서 상기 두 개의 척추체 사이에 상기 추간체삽입모듈과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을 도입시키는 추간체안내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추간체 유합보형물은,
상기 척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척수를 기준으로 볼 때,
상기 두 개의 척추체 사이에서 상기 척수와 십자 형상을 이루면서 개별 척추체의 중앙 영역과 함께 상기 개별 척추체의 양 가장자리에 접촉되고,
상기 척수 가까이에서 보다 상기 척수로부터 멀리에서 더 작은 높이를 가지고,
상기 추간체삽입모듈은,
결합봉, 그리고 상기 결합봉을 순차적으로 둘러싸는 유도관과 파지관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봉과 상기 유도관과 상기 파지관은,
상기 텔레스코프식 절첩 구조를 이루고,
상기 결합봉은,
전방에서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과 나선 결합하는 나사부;
상기 나사부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활주부; 및
후방에서 상기 활주부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나사부의 반대편을 향해 연장하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부와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유도관의 일단 및 타단 주변에 위치되고,
상기 나사부는,
상기 드라이버가 상기 유도관의 상기 타단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때,
상기 유도관의 일단에 출몰되는, 척추수술장치.
In the spinal surgery apparatus for applying spinal fusion between two neighboring vertebrae in relation to degenerative spinal disease in the spine through the back of the patient's body,
Intervertebral body insertion module consisting of a telescopic folding structure;
an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coupled to the intervertebral body insertion module; and
An intervertebral body guide guide inserted into the incision of the body of the patient to introduce the intervertebral body insertion module and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between the two vertebrae while surrounding the intervertebral body insertion module and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Based on the spinal cord loc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pine,
Contacting both edges of the individual vertebral body together with the central region of the individual vertebral body while forming a cross shape with the spinal cord between the two vertebral bodies,
having a smaller height distally from the spinal cord than near the spinal cord;
The intervertebral body insertion module,
A coupling rod, and an induction tube and a gripping tube sequentially surrounding the coupling rod,
The coupling rod, the induction pipe, and the gripping pipe,
Forming the telescopic folding structure,
The coupling rod,
A screw part that is spirally coupled with the intervertebral body prosthesis from the front;
a sliding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threaded portion; and
A driver starting from the slide at the rear and extending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threaded portion,
The screw part and the driver,
Located arou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guide tube,
The screw part,
When the driver moves relative to the other end of the guide tube,
Appearing in one end of the guide tube, spinal surgery device.
삭제delete삭제delete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봉이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나사부와 활주부와 드라이버를 가지는 때,
상기 유도관은,
전방에서 상기 나사부와 상기 활주부를 둘러싸고 상기 나사부와 상기 활주부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슬라이딩부;
후방에서 상기 슬라이딩부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의 반대편을 향해 연장하며 상기 드라이버를 둘러싸고 상기 드라이버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구속부; 및
상기 구속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압 핸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구속부는,
상기 추간체삽입모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나사부와 상기 활주부와 상기 드라이버보다 더 짧은, 척추수술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coupling rod has a sequentially connected threaded portion, a sliding portion, and a driver,
The guide tube is
a sliding part surrounding the screw part and the sliding part from the front and inducing movement of the screw part and the sliding part;
a restricting portion that starts from the sliding portion at the rear and extends toward an opposite side of the sliding portion, surrounds the driver, and restricts movement of the driver; and
A pressure handling part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straining part,
The sliding part and the restraining part,
Shorter than the screw part, the slide part, and the driv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tervertebral body insertion module, spinal surgery devic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구속부는,
상기 파지관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고,
상기 슬라이딩부에서 상기 구속부의 반대편에 두 개의 회전 방지 돌기를 가지고,
상기 결합봉이 상기 유도관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때, 상기 슬라이딩부에서 상기 두 개의 회전 방지 돌기 사이에 상기 나사부를 출몰시키며,
상기 구속부에서 상기 구속부의 내부에 상기 드라이버의 일부를 삽입시켜 상기 드라이버의 상기 일부를 제한적으로 움직이게 하고,
상기 구속부에서 상기 구속부의 외부에 상기 드라이버의 나머지를 노출시켜 상기 드라이버의 상기 나머지를 자유로이 움직이게 하는, 척추수술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sliding part and the restraining part,
moving relative to the gripping tube;
The sliding part has two anti-rotation protrusion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estraining part,
When the coupling rod moves relative to the induction pipe, the threaded part protrudes and sinks between the two anti-rotation protrusions in the sliding part,
In the restraining part, inserting a part of the driver into the restraining part to restrict movement of the part of the driver,
Exposing the remainder of the driver to the outside of the restraint portion in the restraint portion to freely move the remainder of the driver, spinal surgery apparatu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이, 일직선을 따라 슬라이딩부와 구속부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부에서 상기 결합봉의 나사부와 활주부를 그리고 상기 구속부에서 상기 결합봉의 드라이버를 둘러싸는 때,
상기 파지관은,
전방에서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을 수용하여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을 집는 두 개의 집게손; 및
후방에서 일 단을 통해 상기 두 개의 집게손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슬라이딩부의 나머지를 출몰시키는 진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집게손은,
상기 진입부와 함께, 상기 추간체안내가이더에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을 삽입시키는, 척추수술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induction pipe has a sliding part and a restraining part along a straight line, the sliding part surrounds the threaded part and the sliding part of the coupling rod and the restraining part surrounds the driver of the coupling rod,
The gripping pipe,
two forefingers for receiving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from the front and holding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and
An entry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two forefingers through one end from the rear to surround a part of the sliding part and cause the rest of the sliding part to emerge and retract,
The two forefingers,
Together with the entry portion, the intervertebral body guide guide for inserting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spinal surgery devic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은,
상기 구속부에 대해 상기 드라이버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에 기인하여 상기 두 개의 집게손 사이에서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의 나사홈을 통해 상기 나사부에 나선 결합되고,
상기 진입부에 대해 상기 슬라이딩부의 수평 운동에 기인하여 상기 두 개의 집게손 사이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의 두 개의 회전 방지 돌기에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의 두 개의 회전 방지홈을 끼우고 상기 두 개의 집게손 사이를 이동하여 상기 진입부의 건너편에서 상기 두 개의 집게손에 물려지는, 척추수술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Due to the relative rotational motion of the driver with respect to the restraining part, the screw part is spirally coupled through the screw groove of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between the two forefingers,
Due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liding part with respect to the entry part, the two anti-rotation grooves of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are inserted between the two anti-rotation protrusions of the sliding part between the two forefingers and move between the two forefingers. A spine surgical device that is bitten by the two forefingers on the other side of the entry par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관이, 일직선을 따라, 두 개의 집게손, 그리고 진입부를 가지면서, 상기 진입부를 통해 상기 두 개의 집게손 사이에 결합봉의 나사부와 유도관의 슬라이딩부를 노출시키는 때,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은,
상기 두 개의 집게손 사이에 위치되어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전방에서 상기 진입부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도킹부;
상기 도킹부로부터 연장하는 골유합부; 및
후방에서 상기 골유합부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도킹부의 반대편을 향해 연장하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접속부의 나사홈에 상기 나사부를 수용하여 상기 결합봉에 나선 결합되고,
상기 결합봉과 상기 유도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력을 인가받는, 척추 수술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gripping pipe has two forefingers and an entry portion along a straight line, exposing the threaded portion of the coupling rod and the sliding portion of the guide pipe between the two forefingers through the entry portion,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To be located between the two forefingers and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 docking unit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ntry unit from the front;
bone union part extending from the docking part; and
A connection portion starting from the bone union at the rear and extending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docking portion,
The connection part,
Accommodating the threaded portion in the threaded groove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screwed to the coupling bar,
Receiving an external forc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coupling rod and the guide tube, spine surgical devic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와 상기 골유합부와 상기 접속부는,
상기 도킹부에서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의 일측 둘레를 따라 제1 외주면을 가지고,
상기 골유합부에서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의 좌측 둘레를 따라 제2 외주면을 가지며,
상기 골유합부에서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의 우측 둘레를 따라 제3 외주면을 가지고,
상기 접속부에서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의 타측 둘레를 따라 제4 외주면을 가지며,
상기 도킹부와 상기 골유합부와 상기 접속부에서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의 하부 최외각을 따라 제5 외주면을 가지고,
상기 도킹부와 상기 골유합부와 상기 접속부에서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의 상부 최외각을 따라 제6 외주면을 가지는, 척추수술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docking part, the bone union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Having a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one side circumference of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in the docking unit,
Having a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the left circumference of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in the bone union,
Having a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the right circumference of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in the bone union,
It has a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the other side circumference of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in the connection part,
Having a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the lower outermost edge of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at the docking part, the bone fusion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Having a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the upper outermost angle of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in the docking portion and the bone fusion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spinal surgery device.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주면은,
상기 진입부로부터 멀리에 위치되고,
상기 제4 외주면은,
상기 진입부와 마주하고,
상기 제1 외주면과 상기 제4 외주면은,
제2 및 제3 및 제5 및 제6 외주면 사이에 위치되어 곡면을 이루고,
상기 제1 외주면에서 상기 제4 외주면보다 더 작은 면적을 가지는, 척추수술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located far from the entry,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acing the entrance,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and fifth and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to form a curved surface,
Having a smaller area than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pinal surgical device.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주면은,
상기 제1 외주면과 상기 제4 외주면 사이에서 상기 제1 외주면과 상기 제4 외주면을 그리고 제5 외주면과 제6 외주면을 이어주고,
상기 제3 외주면보다 더 작은 높이를 가지는, 척추수술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nnecting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etween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aving a height smaller than the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pine surgical device.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외주면은,
상기 제1 외주면과 상기 제4 외주면 사이에서 상기 제1 외주면과 상기 제4 외주면을 그리고 제5 외주면과 제6 외주면을 이어주고,
상기 제2 외주면보다 더 큰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2 외주면 대비 상기 제3 외주면의 지향하는 방향을 향해 상대적으로 볼록하게 굴곡지는, 척추수술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nnecting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etween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as a height greater than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mpared to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spine surgical device is relatively convexly curved toward the directed direction of the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외주면은,
상기 제4 외주면의 중앙 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도킹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나사홈을 가지며,
상기 제4 외주면에서 상기 나사홈의 양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4 외주면을 관통하면서 상기 도킹부의 상기 내부에 형성되는 회전 방지홈을 가지고,
상기 결합봉의 상기 나사부는,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에서 상기 도킹부의 상기 나사홈에 끼워지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개별 회전 방지 돌기는,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에서 상기 도킹부의 상기 회전 방지홈에 끼워지는, 척추수술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aving a screw groove formed inside the docking portion through the central region of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crew groove on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has an anti-rotation groove formed in the inside of the docking portion while penetrating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threaded portion of the coupling rod,
In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it is inserted into the screw groove of the docking part,
The individual anti-rotation protrusions of the sliding part,
Fitted in the anti-rotation groove of the docking part in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spinal surgery device.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외주면과 상기 제6 외주면은,
제1 내지 제4 외주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외주면과 상기 제4 외주면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5 외주면과 상기 제6 외주면을 향해 융기하며,
상기 제2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3 외주면을 향해 점진적으로 벌어지는, 척추수술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to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Starting from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rises toward 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rom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the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gradually widening, spine surgical device.
제9 항에 있어서,
제2 및 제3 및 제5 및 제6 외주면은,
상기 제2 및 제3 및 제5 및 제6 외주면에 복수의 골저장 홀을 가지고,
상기 제2 외주면과 상기 제3 외주면 사이의 동일한 가상 수평선을 따라 상기 제2 외주면의 골저장 홀들에 상기 제3 외주면의 골저장 홀들을 일대일로 대응시키며,
상기 제5 외주면과 상기 제6 외주면 사이의 동일한 가상 수직선을 따라 상기 제5 외주면의 골저장 홀들에 상기 제6 외주면의 골저장 홀들을 일대일로 대응시키는, 척추수술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second and third and fifth and sixth outer peripheral surfaces,
having a plurality of bone storage holes on the second, third, fifth, and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Corresponding one-to-one with the bone storage holes of the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the bone storage holes of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the same virtual horizontal line between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bone storage holes of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 one-to-one to the bone storage holes of 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the same virtual vertical line between 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주면의 개별 골저장 홀과 상기 제3 외주면의 개별 골저장 홀은,
상기 가상 수평선을 따라 상기 제2 외주면의 상기 개별 골저장 홀과 상기 제3 외주면의 상기 개별 골저장 홀 사이에 위치되는 제1 공통홀에 의해 이어지고,
상기 제5 외주면의 개별 골저장 홀과 상기 제6 외주면의 개별 골저장 홀은,
상기 가상 수직선을 따라 상기 제5 외주면의 상기 개별 골저장 홀과 상기 제6 외주면의 상기 개별 골저장 홀 사이에 위치되는 제2 공통홀에 의해 이어지는, 척추수술장치.
According to claim 15,
The individual bone storage holes of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dividual bone storage holes of the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is connected along the virtual horizontal line by a first common hole positioned between the individual bone storage holes of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dividual bone storage holes of the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individual bone storage holes of 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dividual bone storage holes of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ntinuing along the virtual vertical line by a second common hole located between the individual bone storage holes of 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dividual bone storage holes of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pine surgical device.
제16 항에 있어서,
제1 공통홀 또는 제2 공통홀은,
상기 제2 및 제3 및 제5 및 제6 외주면 사이에서 복수개로 형성되어 고립되고,
상기 제1 공통홀은,
상기 제2 및 제3 및 제5 및 제6 외주면 사이에서 상기 제2 공통홀과 교차하는, 척추수술장치.
According to claim 16,
The first common hole or the second common hole,
It is formed in plurality and isolat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and fifth and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The first common hole,
Intersecting the second common hole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and fifth and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spinal surgery apparatus.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외주면은,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의 상기 좌측 둘레 및 상기 우측 둘레를 따라 두 개의 제1 톱니레일을 가지고,
상기 제6 외주면은,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의 상기 좌측 둘레 및 상기 우측 둘레를 따라 두 개의 제2 톱니레일을 가지는, 척추수술장치.
According to claim 15,
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aving two first toothed rails along the left circumference and the right circumference of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aving two second toothed rails along the left circumference and the right circumference of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spinal surgery device.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외주면은,
상기 두 개의 제1 톱니레일 사이에 상기 골저장 홀들을 가지고,
상기 제6 외주면은,
상기 두 개의 제2 톱니레일 사이에 상기 골저장 홀들을 가지는, 척추수술장치.
According to claim 18,
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ith the bone storage holes between the two first toothed rails,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aving the bone storage holes between the two second toothed rails, spine surgical device.
제18 항에 있어서,
제5 및 제6 외주면은,
상기 도킹부와 상기 접속부 사이에서 상기 제5 및 제6 외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골유합부의 내부를 노출시키는 골저장 벌크홀을 가지고,
상기 제5 외주면에서 개별 제1 톱니레일과 상기 골저장 벌크홀 사이에 골저장 홀을 가지며,
상기 제6 외주면에서 개별 제2 톱니레일과 상기 골저장 벌크홀 사이에 골저장 홀을 가지는, 척추수술장치.
According to claim 18,
The fifth and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A bone storage bulk hole exposing the inside of the bone fusion portion through the fifth and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between the docking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Having a bone storage hole between the individual first toothed rail and the bone storage bulk hole on the fif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aving a bone storage hole between the individual second toothed rail and the bone storage bulk hole on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pine surgical device.
제9 항에 있어서,
제5 및 제6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5 외주면의 양 가장자리에 두 개의 제1 톱니레일을 그리고 상기 제6 외주면의 양 가장자리에 두 개의 제2 톱니레일을 위치시키는 때,
제1 또는 제4 외주면은,
상기 제2 외주면이 상기 제3 외주면보다 더 작은 높이를 가지면서,
상기 제2 외주면이 상기 제3 외주면보다 더 아래에 위치되는 때,
상기 제1 또는 제4 외주면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과 두 개의 제1 또는 제2 톱니레일을 잇는 경사선 사이에 6°내지 12°의 각도를 가지는, 척추수술장치.
According to claim 9,
When placing two first toothed rails on both edges of the fifth and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fth and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and two second toothed rails on both edges of the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irst or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ile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as a smaller height than the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en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located lower than the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aving an angle of 6 ° to 12 ° between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or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inclined line connecting the two first or second toothed rails, spine surgical device.
제9 항에 있어서,
제2 또는 제3 외주면의 높이는,
상기 제2 또는 제3 외주면의 중앙 영역에서 9mm 내지 13mm 의 범위를 가지고,
제5 또는 제6 외주면의 길이는,
상기 제1 외주면과 상기 제2 외주면 사이에서 40mm 내지 50mm 의 범위를 가지며,
상기 제5 또는 제6 외주면의 폭은,
상기 제5 또는 제6 외주면의 중앙 영역에서 16mm 내지 22mm 의 범위를 가지는, 척추수술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height of the second or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has a range of 9 mm to 13 mm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second or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length of the fifth or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has a range of 40 mm to 50 mm between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width of the fifth or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aving a range of 16mm to 22mm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fifth or six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pinal surgical devic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와 골유합부와 상기 접속부는,
티타늄(Ti) 또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e; PEEK)을 포함하는, 척추수술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docking part, the bone union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A spine surgical device comprising titanium (Ti) or polyetheretherketone (PEEK).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관이, 일직선을 따라, 두 개의 집게손, 그리고 진입부를 가지면서, 상기 진입부를 통해 상기 두 개의 집게손 사이에 결합봉의 나사부와 유도관의 슬라이딩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두 개의 집게손 사이에서 상기 나사부에 나선 결합되는 추간체유합보형물을 물리는 때,
상기 추간체안내가이더는.
상기 환자의 상기 신체의 외부에 위치되는 기둥 형상의 조정 핸들링부;
상기 조정 핸들링부 상에 위치되어 상기 신체의 절개 부위 주변에 위치되는 조정 거치부; 및
상기 신체의 상기 절개 부위를 지나 상기 두 개의 척추체 사이의 영역에 도달되는 조정 터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터널부는,
상기 조정 거치부 상에서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과 상기 두 개의 집게손과 상기 진입부를 수용하는, 척추수술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ripping tube has two forefingers and an entry portion along a straight line, exposes the threaded portion of the coupling rod and the sliding portion of the guide tube between the two forefingers through the entry portion, and between the two forefingers When holding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that is spirally coupled to the threaded portion,
The intervertebral body guide guide.
a pillar-shaped adjustment handling unit located outside the body of the patient;
an adjustment holder positioned on the adjustment handling unit and positioned around the incision in the body; and
an adjustment tunnel portion passing through the incision in the body and reaching a region between the two vertebral bodies;
The adjustment tunnel unit,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the two forefingers, and the entry part are accommodated on the adjustment holder, spinal surgery device.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거치부는,
상기 조정 핸들링부 가까이에서 하나의 몸체를 이루며 상기 조정 핸들링부로부터 멀리에서 두 개의 걸이손으로 분기되고,
개별 걸이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개별 걸이손에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굴곡부와 받침대를 가지고,
상기 굴곡부는,
상기 받침대가 상기 두 개의 집게손과 상기 진입부로 눌려지는 때,
상기 개별 걸이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굴곡부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척추수술장치.
According to claim 24,
The adjustment holder,
Forming a single body close to the adjustment handling portion and branching into two hook hands far from the adjustment handling portion;
It has a bent part and a support sequentially located on the individual hanging hand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individual hanging hands,
The bent part,
When the pedestal is pressed with the two forefingers and the entry,
A spine surgical device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bent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dividual hanging hand.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거치부는,
상기 조정 핸들링부 가까이에서 하나의 몸체를 이루며 상기 조정 핸들링부로부터 멀리에서 두 개의 걸이손으로 분기되고,
개별 걸이손에서 상기 조정 터널부와 접촉하는 받침대를 가지고,
상기 개별 걸이손은,
상기 받침대가 상기 두 개의 집게손과 상기 진입부로 눌려지는 때,
상기 개별 걸이손의 길이 방향에 직각으로 벌어지는, 척추수술장치.
According to claim 24,
The adjustment holder,
Forming a single body close to the adjustment handling portion and branching into two hook hands far from the adjustment handling portion;
With a pedestal in contact with the adjustment tunnel portion in the individual hanging hand,
The individual hanging hands,
When the pedestal is pressed with the two forefingers and the entry,
A spine surgical device that opens at right angles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dividual hanging hands.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거치부가,
상기 조정 핸들링부 가까이에서 하나의 몸체를 이루며 상기 조정 핸들링부로부터 멀리에서 두 개의 걸이손으로 분기되는 때,
상기 조정 터널부는,
상기 두 개의 걸이손에 삽입 및 고정되어 상기 두 개의 걸이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출입 채널; 및
개별 걸이손의 반대편에서 상기 출입 채널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출입 채널의 폭보다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출몰 채널을 포함하는, 척추수술장치.
According to claim 24,
The adjustment holder,
When forming one body close to the adjustment handling portion and branching into two hook hands far from the adjustment handling portion;
The adjustment tunnel unit,
an access channel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two hook hands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wo hook hands; and
A spine surgical device comprising a protruding and retracting channel integrally formed in the entry and exit channel at the opposite side of the individual hanging hand and gradually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entry and exit channel.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채널은,
상기 두 개의 걸이손에 고정되어 개별 걸이손의 내부를 향해 하부측 및 상부측에서 절곡되는 두 개의 출입 가이드 날개를 가지고,
상기 출몰 채널은,
상기 두 개의 출입 가이드 날개 사이의 중심축을 향해 절곡되는 출몰 가이드 날개를 가지는, 척추수술장치.
According to claim 27,
The entry channel is
It has two entry and exit guide wings fixed to the two hanging hands and bent at the lower and upper sides toward the inside of the individual hanging hands,
The emergence and departure channels,
Having a protruding guide wing that is bent toward the central axis between the two entering and exiting guide wing, spine surgical device.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채널과 상기 출몰 채널은,
상기 두 개의 집게손 사이에서 상기 결합봉과 상기 진입부의 움직임시,
상기 출입 채널과 상기 출몰 채널에서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과 상기 두 개의 집게손과 상기 진입부를 수용하고,
상기 출몰 채널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집게손을 통해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을 상기 두 개의 척추체 사이에 도입시키는, 척추수술장치.
According to claim 27,
The entrance and exit channels,
When the coupling rod and the entry part move between the two forefingers,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the two forefingers, and the entry part are accommodated in the entry and exit channels and the protrusion and retraction channels,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is introduced between the two vertebral bodies through the protruding channel and the two forefingers.
제29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이,
상기 두 개의 척추체 사이에서 상기 척수와 십자 형상을 이루기 위해,
상기 결합봉의 나사부는,
상기 두 개의 척추체 사이에서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의 나사홈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두 개의 회전 방지 돌기에서 하나의 회전 방지 돌기를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로부터 분리하고 나머지의 회전 방지 돌기를 통해 상기 두 개의 척추체 사이에서 상기 척수에 대해 상기 추간체유합보형물을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척추수술장치.

According to claim 29,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In order to form a cross shape with the spinal cord between the two vertebral bodies,
The threaded portion of the coupling rod,
It is separated from the screw groove of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between the two vertebral bodies,
the sliding part,
From the two anti-rotation protrusions, separate one of the anti-rotation protrusions from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and relatively rotate the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with respect to the spinal cord between the two vertebral bodies through the remaining anti-rotation protrusions.

KR1020210067738A2021-05-262021-05-26Spine surgery instrumentActiveKR1025597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10067738AKR102559794B1 (en)2021-05-262021-05-26Spine surgery instrument
CN202110725128.4ACN115399926B (en)2021-05-262021-06-29Spinal surge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10067738AKR102559794B1 (en)2021-05-262021-05-26Spine surgery instru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20159743A KR20220159743A (en)2022-12-05
KR102559794B1true KR102559794B1 (en)2023-07-26

Family

ID=84156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210067738AActiveKR102559794B1 (en)2021-05-262021-05-26Spine surgery instrument

Country Status (2)

CountryLink
KR (1)KR102559794B1 (en)
CN (1)CN115399926B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20170252028A1 (en)*2013-05-152017-09-07Meditech Spine, LlcImplant delivery systems, devices, and methods
CN111358600A (en)2020-03-202020-07-03青岛大学附属医院Self-locking intervertebral fusion device system under spinal endoscope
KR102154560B1 (en)*2019-09-112020-09-11(주)엘앤케이바이오메드Cage Holder for Spinal Fusion Cag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CN203436433U (en)*2013-07-222014-02-19天津市威曼生物材料有限公司Cervical fusion cage
CN104116552B (en)*2014-08-042017-01-25上海三友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Intervertebral fusion device and installation tool thereof
KR101524532B1 (en)*2014-12-012015-06-01조대진Intervertebral cage for spinal implant
TWI547259B (en)*2015-04-282016-09-01鐿鈦科技股份有限公司Spinal fusion surgery instrument for implanting and intervertebral cage thereof
CN205215454U (en)*2015-11-262016-05-11上海三友医疗器械有限公司Fuse ware installing the system
US9895235B2 (en)*2015-12-182018-02-20Warsaw Orthopedic, Inc.Spinal implant system and method
KR102030422B1 (en)*2017-11-162019-10-10(주)메디쎄이Cage Device
KR102155089B1 (en)2020-05-072020-09-11제이앤드메틱스 주식회사Trocar for spine surger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20170252028A1 (en)*2013-05-152017-09-07Meditech Spine, LlcImplant delivery systems, devices, and methods
KR102154560B1 (en)*2019-09-112020-09-11(주)엘앤케이바이오메드Cage Holder for Spinal Fusion Cage
CN111358600A (en)2020-03-202020-07-03青岛大学附属医院Self-locking intervertebral fusion device system under spinal endosco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CN115399926A (en)2022-11-29
KR20220159743A (en)2022-12-05
CN115399926B (en)2025-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11154322B2 (en)Endoscopic surgical systems and methods
US11963674B2 (en)Spine surgery retractor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20210346004A1 (en)Surgical Procedure with Retractor
ES2356363T3 (en) DYNAMIC STABILIZING DEVICE OF THE VERTEBRAL COLUMN WITH LIMITING DISPLACEMENT FUNCTIONALITY.
AU2004220647B2 (en)Posterior pedicle screw and plate system and methods
EP2323573B1 (en)Anterior transpedicular screw-and-plate system
US8262705B2 (en)Slidable bone plate system
US9517089B1 (en)Bone anchor with offset rod connector
US8114131B2 (en)Extension limiting devices and methods of use for the spine
ES2260888T3 (en) BLOCKING DEVICE FOR FIXING THE SPINAL COLUMN.
US20080027436A1 (en)Rod to Rod Connectors and Methods of Adjusting The Length Of A Spinal Rod Construct
JP2005507704A (en) Adjustable series connector for spinal column, other bone and joint correction devices
JP201151969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teral access to intervertebral disc space
US20090240291A1 (en)Breached pedicle screw
CN113727676A (en) Spinal Implant Systems and Methods
EP3747382B1 (en)Spinal fixation device
KR102559794B1 (en)Spine surgery instrument
CN113747862A (en)Spinal implant system and method
US11844701B2 (en)Guider for spinal operation and cage therefor
WO2023243741A1 (en)Spinal surgery device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D13-X000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D14-X000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E13-X000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