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2553745B1 - System for providing emergency alarming service using voice message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emergency alarming service using voice mess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745B1
KR102553745B1KR1020200114261AKR20200114261AKR102553745B1KR 102553745 B1KR102553745 B1KR 102553745B1KR 1020200114261 AKR1020200114261 AKR 1020200114261AKR 20200114261 AKR20200114261 AKR 20200114261AKR 102553745 B1KR102553745 B1KR 102553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mergency
user terminal
impulse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2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32662A (en
Inventor
이경민
정성출
Original Assignee
닥터애니케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닥터애니케어 주식회사filedCritical닥터애니케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4261ApriorityCriticalpatent/KR102553745B1/en
Publication of KR20220032662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220032662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745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2553745B1/en
Active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기 설정된 시간동안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거나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움직임이 임펄스로 감지된 경우, 무감지 데이터 또는 임펄스 데이터를 시간 및 위치에 동기화하여 전송하고, 기 설정된 조건 하에서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는 음성멘트를 오디오로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이상 움직임 데이터를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학습 및 훈련시켜 모델링을 실시하는 모델링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무감지 데이터 또는 임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무감지 데이터 또는 임펄스 데이터가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이상 움직임 데이터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확인부, 무감지 데이터 또는 임펄스 데이터가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이상 움직임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음성멘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시간 및 위치를 적어도 하나의 응급 구조센터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A system for provid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using voice comments is provided, and when motion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tion over a predetermined threshold is detected as an impulse, non-detection data or impulse data is synchronized with time and location and transmitted, A user terminal that outputs a voice requesting help to the surroundings as audio under preset conditions, a modeling unit that performs modeling by learning and training at least one type of abnormal movement data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and non-detection data from the user terminal Alternatively, a receiving unit receiving impulse data, a confirmation unit verifying whether non-detection data or impulse data corresponds to at least one type of abnormal motion data, and a case in which the non-detection data or impulse data match at least one type of abnormal motion data It includes an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control unit controlling to output a voice message to a user terminal and a transmission unit transmitting time and location to at least one emergency rescue center server.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EMERGENCY ALARMING SERVICE USING VOICE MESSAGE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using voice message {SYSTEM FOR PROVIDING EMERGENCY ALARMING SERVICE USING VOICE MESSAGE}

본 발명은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통신망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주변사람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음성멘트를 이용하여 응급상황을 알릴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using voice comments, and provides a system capable of notifying an emergency situation using voice comments so that people around the area can help when a communication network is not connected.

한국은 현재 초고령화 사회의 문턱에 도달했다.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2045년부터 전 세계에서 고령 인구 비중이 가장 높은 국가가 되는데, 노인인구의 증가 추세에 맞춰 노인들을 부양할 수 있는 다양한 복지 및 사회기반시설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이때 노인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요소 중 하나가 낙상이다. 낙상은 혼자 생활하는 독거노인에게 특히 더 위험한데, 이와 같은 시급성 때문에 노인들의 낙상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낙상 감지에 사용되는 센서 기술에 따라 착용형 시스템(Wearable based System), 비착용형 시스템(Non-wearable based Systems) 그리고 하이브리드 시스템(Fusion or hybrid based System)으로 구분할 수 있다.Korea has reached the threshold of a super-aging society. According to data from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from 2045, the country will become the country with the highest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the world. At this time, one of the factors that threaten the health of the elderly is a fall. Falls are particularly dangerou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because of this urgency, various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to cope with fall accidents of the elderly. Depending on the sensor technology used for fall detection, it can be classified into a wearable based system, a non-wearable based system, and a fusion or hybrid based system.

이때, 낙상을 감지하고 응급구조 신호를 출력하는 방법들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178936호(2012년09월03일 공고) 및 한국등록특허 제10-0873495호(2008년12월15일 공고)에는, 노인 고객에게 배포된 노인 고객 단말기가, 3축 가속도 센서를 통해 낙상 또는 전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에 따라 자신의 식별정보 및 낙상 또는 전도상태를 포함하는 낙상/전도 감지 메시지를 관제기로 전송하고, 관제기가 낙상/전도 감지 메시지를 수신받아 그에 따른 낙상/전도 감지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며, 관제기가 낙상/전도 감지 정보에 따른 메시지를 구성하여 스마트 폰으로 통지하는 구성과, 낙상 데이터 벡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수단, 각속도 값을 측정하기 위한 각속도 측정수단, 가속도 값을 측정하기 위한 가속도 측정수단, 가속도 측정수단에서 측정한 가속도 값을 필터링하여 운동가속도 값과 중력가속도 값을 추출하기 위한 가속도 추출수단 및 각속도 측정수단에서 측정한 각속도 값과 가속도 추출수단에서 추출한 운동가속도 값 및 중력가속도 값을 낙상 데이터 벡터의 형태로 변환하여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낙상 데이터 벡터와 비교하여 낙상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낙상 판별수단의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At this time, methods for detecting a fall and outputting an emergency rescue signal have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Regarding thi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78936 (published on September 3, 2012)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73495 are prior art. (Announcement on December 15, 2008), an elderly customer terminal distributed to elderly customers detects a fall or fall through a 3-axis acceleration sensor, and includes thei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fall or fall state according to the detection. The fall/fall detection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the controller receives the fall/fall detection message, generates corresponding fall/fall detection information and registers it in the database, and the controller configures the message according to the fall/fall detection information to make smart A configuration for notifying the phone, a storage means for storing fall data vectors, an angular velocity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an angular velocity value, an acceleration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an acceleration value, and filtering the acceleration value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measuring means to determine motion acceleration The angular velocity value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extraction unit and the angular velocity measurement unit for extracting the value and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value, and the kinetic acceleration value and gravitational acceleration value extracted from the acceleration extraction unit are converted into a fall data vector form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A configuration of a fall deter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fall has occurred by comparing the data vector is disclosed.

다만, 상술한 구성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무선 또는 유선 통신망이 연결된 상태를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통신망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구조신호를 출력하거나 음성멘트로 전송함으로써 주변에 도움을 청할 수 있는 구성은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연결이 되어 있지 않으면 주변에 도움을 구해야 하는데, 낙상사고 등으로 의식이 없거나 의식이 있더라도 도움을 요청하지 못하는 노인을 위하여 음성멘트를 출력할 수 있고 응급상황인지의 여부를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ssumes that a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network is connected between the client and the server, a configuration in which help can be requested from the surroundings by outputting a distress signal or transmitting a voice message in a state where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not connected is not disclosed at all. If there is no connection between the client and the server, you need to seek help from the surroundings, but it is possible to output a voice message for the elderly who are unconscious due to a fall accident or cannot ask for help even if they are conscious, and automatically determine whether it is an emergency or no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platform that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장기간 움직임이 없거나 갑자기 과도한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 무감지 데이터 또는 임펄스 데이터를 출력하여 서버로 전송하되, 서버와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 음성멘트를 사용자 단말에서 자체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주변에 도움을 청할 수 있도록 하고, 서버에 전송된 경우 이상 움직임 데이터와 동일 또는 유사한 경우 응급상황인지의 여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확인하되, 응급버튼이 선택된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 아니라 무의식 또는 사고를 당하여 경황이 없는 노인들이 응급버튼을 선택하지 못하는 것을 전제로 응급상황 여부를 파악함으로써 실제로 발생한 응급상황에 응급구조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output non-detection data or impulse data and transmit them to the server when there is no movement for a long time or when excessive movement suddenly occurs, but outputs a voice comment from the user terminal itself when the server is not connected.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ask for help from the surroundings, and if it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if i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abnormal movement data, it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o check whether it is an emergency, but not on the premise that the emergency button is selected, but unconscious or accidental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using voice comments so that an emergency rescue event can be output in an emergency situation that actually occurred by determining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exists on the premise that the elderly who are not in a hurry to select the emergency button there is. 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 설정된 시간동안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거나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움직임이 임펄스로 감지된 경우, 무감지 데이터 또는 임펄스 데이터를 시간 및 위치에 동기화하여 전송하고, 기 설정된 조건 하에서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는 음성멘트를 오디오로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이상 움직임 데이터를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학습 및 훈련시켜 모델링을 실시하는 모델링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무감지 데이터 또는 임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무감지 데이터 또는 임펄스 데이터가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이상 움직임 데이터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확인부, 무감지 데이터 또는 임펄스 데이터가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이상 움직임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음성멘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시간 및 위치를 적어도 하나의 응급 구조센터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no motion is detected for a preset time or when a movement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is sensed as an impulse, non-detection data or impulse data is transmitted over time and A modeling unit that performs modeling by learning and training a user terminal and at least one type of abnormal movement data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that transmit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location and outputs a voice message requesting help to the surroundings as audio under preset conditions. , a receiver for receiving non-detection data or impulse data from a user terminal, a confirmation unit for confirming whether the non-detection data or impulse data corresponds to at least one type of abnormal motion data, and a non-detection data or impulse data of at least one type. and an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utput of a voice message to a user terminal when the abnormal movement data is matched,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ime and location to at least one emergency rescue center server.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장기간 움직임이 없거나 갑자기 과도한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 무감지 데이터 또는 임펄스 데이터를 출력하여 서버로 전송하되, 서버와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 음성멘트를 사용자 단말에서 자체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주변에 도움을 청할 수 있도록 하고, 서버에 전송된 경우 이상 움직임 데이터와 동일 또는 유사한 경우 응급상황인지의 여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확인하되, 응급버튼이 선택된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 아니라 무의식 또는 사고를 당하여 경황이 없는 노인들이 응급버튼을 선택하지 못하는 것을 전제로 응급상황 여부를 파악함으로써 실제로 발생한 응급상황에 응급구조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no movement for a long time or excessive movement suddenly occurs, non-detection data or impulse data is output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but when the server is not connected, a voice comment is sent to the user terminal It is configured to output on its own so that it can ask for help from the surroundings, and if it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if i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abnormal movement data, it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o check whether it is an emergency, but on the premise that the emergency button is selected. Rather, it is possible to output an emergency rescue event in an actual emergency situation by determining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exists on the premise that the elderly who are unconscious or have an accident and are not in a hurry to select the emergency butt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ystem for provid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using voice com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using a voice me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5 is an operational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using voice com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nd one or more other characteristic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and the like are used at or approximating that value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meaning are given, and do not convey an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ccurate or absolute figures are used to help prevent exploitation by unscrupulous infringers of the disclosed disclosure. The term "step of (doing)" or "step of"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step for".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uni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Further, one unit may be realized using two or more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by one hardware. On the other hand, '~ uni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uni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Functions provided within components and '~units' may be combined into smaller numbers of components and '~uni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units'. In addition, components and '~uni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a secure multimedia card.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a terminal, device, or device may be performed instead by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or device. Likewise,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by a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mapping or matching with the terminal mean mapping or matching the terminal's unique number or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ch is the terminal's identifying data. can be interpreted a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응급 구조센터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ystem for provid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using voice com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n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1 using voice comments includes at least oneuser terminal 100, an emergency notification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t least oneguardian terminal 400, and at least one An emergencyrescue center server 500 may be included. However, since the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1 using the voice message of FIG. 1 is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ly interpreted through FIG. 1 .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응급 구조센터 서버(5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응급 구조센터 서버(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component of FIG. 1 is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network,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at least oneuser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emergency notification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network 200 . In addition, the emergency notification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user terminal 100, at least oneguardian terminal 400, and at least one emergencyrescue center server 500 through thenetwork 200. . In addition, at least oneguardian terminal 400 may be connected to the emergency notification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network 200 . In addition, at least one emergencyrescue center server 5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user terminal 100, an emergency notification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at least oneguardian terminal 400 through thenetwork 200. .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nodes such 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and examples of such networks include a local area network (LAN) and a wide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the Internet (WWW: World Wide Web),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networks, telephone networks, and wired and wireless television communications networks. Examples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3G, 4G, 5G,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 Long Term Evolution (LTE),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Wi-Fi , Internet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RF (Radio Frequency), Bluetooth (Bluetooth) network, NFC ( A Near-Field Communication (Near-Field Communication) network, a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 analog broadcasting network,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network, etc. are included, but not limited thereto.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the term at least one is defined as a term including singular and plural, and even if at least one term does not exist, each component may exist in singular or plural, and may mean singular or plural. It will be self-evident. In addition, the singular or plural number of each componen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embodiments.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고를 당하거나 장시간 움직임이 없는 이상 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기 설정된 조건에서 주변인들에게 응급구조요청을 위한 음성멘트를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 사용자 단말(100)은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호(Call) 또는 문자를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응급버튼의 선택을 요청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모듈은 WCDMA 또는 LTE일 수 있고, 무선망을 통해 서버에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응급상황 발생시 관제센터와 통화해서, 가장 가까운 응급센터로 안내를 받거나 관제센터가 경찰서에 연락해서 빠르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GPS위치 정보와 시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주변 WIFI의 MAC Address를 이용해서 위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또,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의 움직임을 측정하도록 가속도 센서를 이용할 수 있고, 감지된 데이터를 분석한 후 통신망을 통하여 위치 정보와 사용자 단말(100)의 상태를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전달하는 단말일 수 있다.At least oneuser terminal 100 uses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an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using voice comments to detect an abnormal condition in which there is no movement or an accident for a long time, and the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 300) may be a terminal transmitting. Also, the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outputs a voice message for emergency rescue request to neighbors under a preset condition. In addition, the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receives a call or text message from the emergency notification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may be a terminal requesting selection of an emergency button in some cases.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module for acces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WCDMA or LTE, and may transmi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through a wireless network. It could be a terminal that allows you to contact the police station and get help quickly. In addition, the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capable of storing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time data,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GPS satellites, and measur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MAC address of a nearby WIFI. In addition, theuser terminal 100 may use an acceleration sensor to measure the movement of theuser terminal 100, and after analyzing the detected data,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tate of theuser terminal 100 are provid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s an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It may be a terminal that transmits to the providingserver 300 .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In this case, at least one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user terminal 1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 may include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phones, smart pads, tablet PCs, and the like.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사용자 등록 요청이 온 경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400)과 연동되도록 등록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이상 움직임 데이터를 수집하고 학습 및 훈련을 진행함으로써 이후 움직임 데이터가 입력되었을 때 이상 움직임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모델링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되지 못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100)에서 자체적으로 음성멘트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주변인들이 사용자를 돕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 등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되었을 때 사용자 단말(100)로 호를 발신하고, 호 연결이 되지 않으면서 사용자 단말(100)에서 응급버튼이 선택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응급버튼을 누를 수 없을 만큼의 응급상황으로 판단하고 응급 구조센터 서버(500) 및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400)로 응급신호를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The emergency notification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an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using voice comments. Also, the emergency notification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registers to interwork with at least oneguardian terminal 400 when a user registra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user terminal 100 . In addition, the emergency notification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odels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that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motion data is abnormal motion data by collecting at least one abnormal motion data and performing learning and training thereafter. can be a server In addition, the emergency notificationservice providing server 300, when it cannot interwork with theuser terminal 100, causes theuser terminal 100 to output a voice message by itself, thereby performing a process for helping the user by surrounding people. )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applications and the like to be executed. In addition, the emergency notificationservice providing server 300 sends a call to theuser terminal 100 when connected to theuser terminal 100, and if the emergency button is not selected in theuser terminal 100 while the call is not connected, It may be a server that determines that the user cannot press the emergency button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 transmits an emergency signal to the emergencyrescue center server 500 and at least oneguardian terminal 400 .

여기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emergency notification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400)은,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보호자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보호자 단말(400)은, 사용자 단말(100)이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등록될 때 함께 등록되는 단말일 수 있고,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응급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At least oneguardian terminal 400 may be a guardian terminal of a user who uses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an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using voice comments. In addition, theguardian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registered together when theuser terminal 100 is registered with the emergency notification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a terminal receiving an emergency signal from the emergency notification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an be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guardian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At this time, at least oneguardian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guardian terminal 4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nsuring portability and mobility,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 may include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phones, smart pads, tablet PCs, and the like.

적어도 하나의 응급 구조센터 서버(500)는,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사용자의 응급구조신호를 수신하고, 시간 및 장소를 파악함으로써 응급구조차를 출동시키도록 메세지를 출력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응급 구조센터 서버(5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one emergencyrescue center server 500 receives a user's emergency rescue signal from the emergency notificationservice providing server 300 using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using voice comments, It may be a server that outputs a message to dispatch an ambulance by identifying the time and place. Here, at least one emergencyrescue center server 5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and FIG. 3 describes an embodiment in which an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using a voice message is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for

도 2를 참조하면,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모델링부(310), 수신부(320), 확인부(330), 제어부(340), 전송부(350), 출력부(360), 긴급알림부(370), 응급알림부(380) 및 설정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emergency notification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cludes amodeling unit 310, a receivingunit 320, aconfirmation unit 330, acontrol unit 340, atransmission unit 350, anoutput unit 360, It may include anemergency notification unit 370, anemergency notification unit 380 and asetting unit 39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응급 구조센터 서버(500)로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응급 구조센터 서버(500)는,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응급 구조센터 서버(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The emergency notification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nother server (not shown)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at least oneuser terminal 100, at least oneguardian terminal 400, and at least one In the case of transmitt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using voice comments to the emergencyrescue center server 500, at least oneuser terminal 100, at least oneguardian terminal 400, and at least one One emergencyrescue center server 500 may install or open an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using voice comments. Also, the service program may be run in at least oneuser terminal 100, at least oneguardian terminal 400, and at least one emergencyrescue center server 500 by using a script executed in a web browser. Here, the web browser is a program that allows users to use the web (WWW: World Wide Web) service, and means a program that receives and displays hypertext described in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For example, Netscape , Explorer, Chrome, and the like. In addition, an application means an application on a terminal, and includes, for example, an app running on a mobile terminal (smart phone).

도 2를 참조하면, 모델링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이상 움직임 데이터를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학습 및 훈련시켜 모델링을 실시할 수 있다. 충격 측정을 위해서는, 모든 낙상이 측정되어야 하면서 낙상이 아닐 때 알림이 울리는 것을 최소화해야 한다. 일상의 걷기나 앉기와 위험한 경우의 낙상의 경우를 구별해야 하기에 데이터 구분을 할 필요가 있다. 낙상 시에는 가속의 강도가 높은 편이고, 3 개의 축의 측정에 임계 값을 정하는 것은 모든 충격에 대비할 수 없기에 제외할 수 있다. 균일하게 가속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3개의 축의 노름을 측정하여, 이를 활용해야 한다. 이 노름이 임계값을 넘었을 경우를 낙상한다고 판단한다. 임계값은 실험결과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도 있고, 3G에서부터지만 그 이상도 바꾸어 가면서 검사한 결과를 추가할 수도 있다. 평범한 일상생활 시 임계 값인 3G를 넘을 경우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데, 가끔 뛰거나 달릴 때 일어날 때가 존재한다. 그리하여 또 다른 방법의 측정이 필요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2 , themodeling unit 310 may perform modeling by learning and training at least one type of abnormal motion data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For impact measurement, all falls must be counted while minimizing notifications for non-falls.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data because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daily walking or sitting and dangerous falls. In case of a fall, the intensity of acceleration is high, and setting the threshold for the measurement of the three axes can be excluded because it cannot prepare for all impacts. In order to uniformly determine the acceleration, the norms of the three axes must be measured and utilized. If this norm exceeds the threshol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it is a fall. The threshold valu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or the test results may be added while changing more than 3G. In normal daily life, it rarely happens that the threshold value of 3G is exceeded, but sometimes it happens when running or running. Therefore, another method of measurement is needed.

낙상을 하게 될 때, 낙상 전후로 사람은 큰 자세의 변환이 일어나게 되고, 가장 간단한 예시는 서 있다가 누워있게 되는 것(90도 변화)가 있다. 그렇기에 가속도계로 이를 어느 정도 측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오차를 잡아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는 사용자의 좌, 우 방향을 x, 앞, 뒤 방향을 z축, 위, 아래 방향을 y축으로 설정한 후 사용자 단말(100)로 값을 받아와 .csv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낙상의 경우에 대하여 실제 실험자들을 통하여 값을 측정하고, 낙상 시 전체적인 Vector Magnitude 또한 측정하여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학습 및 훈련시킬 데이터셋(DataSet)을 수집할 수 있다.When a person falls, a large posture change occurs before and after the fall, and the simplest example is a change from standing to lying down (change of 90 degrees). Therefore, it can be measured to some extent with an accelerometer, and the error can be caught due to this. For example, the acceleration sensor set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user as x,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s z-axis, and the up and down directions as y-axis. can In this case, values can be measured through actual experimenters in case of a fall, and the overall Vector Magnitude at the time of a fall can also be measured to collect a data set for learning and training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또한 낙상 측정을 위해서는, 일상적인 비 낙상 행동들이 낙상으로 측정이 되면 안 된다. 원래 낙상측정을 위해서 큰 충격을 설정하였기 때문에 보통의 경우에는 일어나지 않는데, 이를 확인하기 위해 앞 방향에 해당하는 자유 낙상과 앉았다 일어나기를 비교하여 이 데이터를 수집 및 데이터셋을 생성할 수 있다. 넘어짐에 해당하는 구간만 잘라 본다면 값의 크기가 다르고 순간 변화량의 차이가 존재하기에 움직임에 따른 행동과 자유낙상에 대한 구분이 가능하다.Also, for fall measurement, routine non-fall behaviors should not be measured as falls. Since a large impact was originally set for fall measurement, it does not occur in normal cases. If only the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fall is cut, the size of the value is different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nstantaneous change, so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behavior according to movement and free fall.

수신부(32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무감지 데이터 또는 임펄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기 설정된 시간동안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거나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움직임이 임펄스로 감지된 경우, 무감지 데이터 또는 임펄스 데이터를 시간 및 위치에 동기화하여 전송하고, 기 설정된 조건 하에서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는 음성멘트를 오디오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조건은, 사용자 단말(100)이 통신망과 연결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또, 사용자 단말(1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될 수도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사용자 단말(100)은 실시간으로 페어링되어 있거나 기 설정된 주기로 페어링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receivingunit 320 may receive non-sensing data or impulse data from theuser terminal 100 . Theuser terminal 100 transmits non-detection data or impulse data synchronized with time and location when motion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or motion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s detected as an impulse,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surroundings under a predetermined condition. A voice message requesting help can be output as audio. At this time, a preset condition may be a state in which theuser terminal 100 is not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Also, theuser terminal 100 may work with a wearable device. The wearable device and theuser terminal 100 may be paired in real time or paired at a preset cycl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확인부(330)는, 무감지 데이터 또는 임펄스 데이터가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이상 움직임 데이터에 대응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사용자 단말(100)에서 한 번 걸러진, 즉 무감지 데이터나 임펄스 데이터라고 판단된 결과에 대응하는 데이터만을 받으므로 서버-클라이언트 간 네트워크에 부담이나 부하(Load)가 집중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인공지능 알고리즘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무감지 데이터 또는 임펄스 데이터라고 수집된 데이터가 실제 응급상황에 대응하는 이상 데이터가 맞는지를 정밀하게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Thechecker 330 may check whether the no-sensing data or the impulse data corresponds to at least one type of abnormal motion data. At this time, sinc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receives only data corresponding to the result determined to be non-detection data or impulse data, which is filtered once by theuser terminal 100, burden or load will not be concentrated on the server-client network. can Therefore,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it is precisely determined whether the data collected by theuser terminal 100 as non-sensing data or impulse data is ideal data corresponding to an actual emergency situation.

낙상 측정 방법(임펄스 데이터)이나 장기간 움직임이 없는 것(무감지 데이터)을 측정하는 방법은,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첫 번째는 받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100) 단(End)에서 직접처리하는 방법이고, 두 번째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여 서버 단(End)에서 실시간 데이터를 모두 분석하는 방법이다. 후자의 경우에는, 정밀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단순히 낙상 뿐만 아니라 패턴 매칭 등 좀 더 복잡한 데이터 정리를 할 수 있으나 네트워크에 부담이 간다. 그렇기에 단순 낙상만 판단하는 기술은 전자를 택하여 데이터를 바로 센서에서 간단 처리해서 측정하는 방법을 택하고, 나머지는 데이터 전송을 통해 좀 더 정밀하게 판단하는 게 낫다. 물론, 후자의 방법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There are two methods for measuring falls (impulse data) or long-term motionlessness (non-detection data). First, theuser terminal 100 directly processes the received data in real time at the end (End). The second method is to transmit data from theuser terminal 100 to the emergency notification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analyze all real-time data at the server end. In the latter case, simply through precise data analysis It is possible to organize not only falls but also more complex data such as pattern matching, but it puts a burden on the network.So, the technology for determining only simple falls chooses the former method, and the method of simply processing and measuring the data directly from the sensor, and the rest It is better to judge more precisely through data transmission, of course, the latter method is not excluded.

확인부(330)는, 사용자에게 예기치 못한 낙상이 발생할 경우, 정확하게 낙상 여부를 판단하여 보호자에게 신속하게 위치알림을 제공해야 한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밴드에서 측정된 센서 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에 전송하고 임계값을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100)에서 출력된 임펄스 데이터(1차 판단-사용자 단말(100) 단)가 낙상인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측정(2차 판단-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 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밴드에 장착된 센서들을 통해 사용자의 활동 중에 발생하는 3축 가속도 데이터와 고도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애플리케이션에 전송할 수 있다. 수집된 데이터는 낙상 판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낙상 여부를 판별한다. 즉 사용자의 행동이 낙상 인지, 낙상이 아닌 일상생활 행동인지를 판별을 하고, 낙상으로 판별한 경우 보호자에게 낙상 위치를 전송할 수 있다.When an unexpected fall occurs to the user, theconfirmation unit 330 must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fallen and promptly provide a location notification to the guardian. For example, by transmitting sensor data measured in a wearable band to an application and comparing a threshold value, it is accurately determined whether the impulse data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100 (first determination - theuser terminal 100 stage) is a fall. It can be measured (secondary judgment - emergency notificationservice providing server 300 stage). In this case, 3-axis acceleration data and altitude data generated during the user's activity may be periodically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through sensors mounted on a wearable band worn by the user. The collected data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 fall using a fall detection algorithm.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s behavior is a fall or a non-fall, daily life behavior, and if it is determined as a fall, the location of the fall can be transmitted to the guardian.

제어부(340)는, 무감지 데이터 또는 임펄스 데이터가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이상 움직임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음성멘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멘트는, "낙상을 당했어요 도와주세요", "119를 불러주세요" 등과 같은 멘트가 사용자 단말(100)의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멘트일 수 있다. 다만, 멘트의 종류는 상술한 것들로 한정되지 않고 나열되지 않은 이유로 배제되지 않는다.Thecontroller 340 may control to output a voice comment to theuser terminal 100 when the non-detection data or the impulse data matches at least one type of abnormal motion data. Here, the voice comment may be a comment output through a speaker of theuser terminal 100, such as "I fell down, help me" or "Call 119". However, the types of comments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are not excluded for reasons not listed.

전송부(350)는, 시간 및 위치를 적어도 하나의 응급 구조센터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위치가 사용자 단말(100)에서 최초 등록한 주소지 이내의 위치인 경우, 주소지를 응급 구조센터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최근 아파트 등과 같은 집합건물이 많아지면서 GPS로 측정되지 않는 고도, 즉 z 축 값이 없기 때문에 GPS 만으로는 몇 층인지 또는 몇 호인지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위치가 GPS 상으로 주소지의 GPS 내에 존재하는 경우, 주소지를 정확하게 제공함으로써 골든타임 내에 사용자를 구조하여 응급처치를 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Thetransmitter 350 may transmit the time and location to at least one emergencyrescue center server 500 . If the location is within the first registered address in theuser terminal 100, the address may be transmitted to the emergencyrescue center server 500. Recently, as the number of complex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has increased, it is not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number of floors or units with only GPS because there is no altitude that is not measured by GPS, that is, a z-axis value. Therefore, if the location exists within the GPS of the address on the GPS, it can be designed to rescue the user and perform first aid within the golden time by accurately providing the address.

출력부(360)는, 확인부(330)에서 무감지 데이터 또는 임펄스 데이터가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이상 움직임 데이터에 대응하는지 확인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호(Call) 발신을 하고, 기 설정된 누름시간 내에 응급버튼이 선택된 경우 긴급상황을 종료하고, 기 설정된 누름시간 내에 응급버튼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호(Call) 연결을 중지하고 긴급출동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Theoutput unit 360 transmits a call to theuser terminal 100 when it is confirmed by theconfirmation unit 330 that the non-sensing data or the impulse data corresponds to at least one type of abnormal motion data, and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selected within a set pressing time, an emergency situation may be terminated, and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not selected within a preset pressing time, call connection may be stopped and an emergency dispatch event may be output.

긴급알림부(370)는, 출력부(360)에서 긴급출동 이벤트를 출력한 후 사용자 단말(100)로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는 음성멘트를 오디오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에서 통신망과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음성멘트를 출력한 후 응급버튼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통신망과 연결될 때까지 대기하고, 응급버튼이 선택된 경우 응급상황을 종료한다.Theemergency notification unit 370 may output an emergency dispatch event from theoutput unit 360 and then output a voice message requesting help to theuser terminal 100 as audio. After outputting a voice comment in a state in which theuser terminal 100 is not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if the emergency button is not selected, it waits until it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if the emergency button is selected, the emergency situation ends.

응급알림부(380)는, 무감지 데이터 또는 임펄스 데이터가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이상 움직임 데이터에 대응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과 기 매핑되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400)로 위치 및 시간을 포함하는 응급구조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보호자 단말(400)이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각 지자체의 관리자 단말 등으로 응급구조 메세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는, 집합건물의 경우 아파트 관리자가 존재한다면,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미도시)로 전송하여 빠른 처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최근 고독사가 증가하고 있으나, 고독사를 당했는지조차 이후 공과금의 연체로도 밝혀지지 않는 경우가 많아 백골로 발견되는 시신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아무런 움직임이 없는 경우, 즉 무감지 데이터가 출력된 경우에는 바로 관리자 또는 지자체로 연락을 하여 방문을 함으로써 생사를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When the non-sensing data or the impulse data corresponds to at least one type of abnormal movement data, theemergency notification unit 380 sends the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guardian terminal 400 that is previously mapped and stored in the location and time.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 emergency rescue message including. If theguardian terminal 400 is not registered, an emergency rescue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an administrator terminal of each local government. Alternatively, in the case of an apartment building, if there is an apartment manager,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nager's terminal (not shown) so that quick action can be taken.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lonely deaths, but in many cases it is not revealed whether or not they died alone even after paying utility bills, so the number of bodies found with white bones is increasing. Accordingly, when there is no movement within a preset time, that is, when non-sensing data is output, a manager or local government may be directly contacted and visited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user is alive or dead.

설정부(390)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이상 움직임 데이터를 포함한 로우 데이터(Raw Data)를 수집한 후 병렬 및 분산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로우 데이터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로 분류를 포함한 전처리를 실시한 후,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셋(DataSet)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로우 데이터는 가속도 센서 등을 통하여 수집된 데이터일 수 있으나 영상 데이터가 수집되는 경우 영상 데이터를 로우 데이터로 전처리를 수행한 후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모델링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Thesetting unit 390 collects raw data including at least one type of abnormal motion data, stores it in parallel and distributedly, and stores unstructured data and structured data included in the stored raw data. After refining data and semi-structured data and performing preprocessing including classification as meta data, the preprocessed data can be set as a DataSet. In this case, raw data may be data collected through an acceleration sensor or the like, but when image data is collected, it is not excluded that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is modeled after preprocessing the image data as raw data.

덧붙여서, 음성멘트가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가 외부에 있다면 지나가는 사람에게 발견될 확률이 높지만, 집안 내부에 있다면 스마트폰의 소리가 외부로까지 전파되지 않기 때문에 발견될 확률이 극히 낮다. 이때, 외부로 나있는 창문에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거나 텍스트가 출력될 수 있는 LED 등을 설치하고, 응급상황인데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이 되지 않는 경우, LED에 119라는 글씨에 불이 들어오도록 턴 온시키는 방법을 더 이용할 수도 있다. 지나가는 사람이 창문을 통하여 바로 응급상황을 인지하고 119에 신고를 해줄 수도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a voice comment is output, if the user is outside, there is a high probability of being discovered by passers-by, but if the user is inside the house, the probability of being discovered is extremely low because the sound of the smartphone does not propagate to the outside. At this time, a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text or an LED capable of outputting text is installed on a window that extends to the outside, and in case of an emergency and it does not interlock with the emergency notification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e LED You can also use a method of turning on so that the text 119 lights up. A passer-by can immediately recognize an emergency through the window and report it to 119.

이때, LED가 아니더라도, 차량에 적용되는 HUD(Head-Up Display)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HUD(Head-Up-Display)는 차량의 상태, 경고표시의 알림을 제시해 줌으로써 운전자가 적정한 속도를 유지하게 하고 적시에 시각적, 청각적 알림을 통해 사용자가 목적지를 찾아가 하는데 도움을 주는 디스플레이 형태이다. 이때, 창문에 이러한 디스플레이를 설치하는 경우 평소에는 창문을 통해 보이는 풍경을 막지 않아 가시성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위급상황이 발생했을 때는 채도 등을 높여서 디스플레이를 함으로써 외부에서도 쉽게 위급상황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even if it is not an LED, a head-up display (HUD) applied to a vehicle may be used. In general, HUD (Head-Up-Display) is a display that helps the driver maintain an appropriate speed by presenting notifications of vehicle status and warning signs, and helps users find their destination through timely visual and auditory notifications. It is a form. At this time, when such a display is installed on a window, it does not block the scenery seen through the window and does not impair visibility, but when an emergency occurs, the display is displayed by increasing the saturation, so that it can be easily recognized from the outside. there is.

덧붙여서, 생체신호 측정을 위하여 웨어러블 밴드 형식으로 맥박이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경우 무감지 데이터, 즉 어느 정도 일어나지 않는 경우 문제가 발생했다고 생각하는 방법에 더 정확성을 높여줄 수 있게 된다.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위급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알리는 것인데, 예를 들어, ECG(electrocadiogram), PPG(photoplethysomogram)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생체 신호 센서는 생체 신호를 비 침습법으로 측정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최근 손목시계 형태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에 대한 기술개발이 활발한데, 이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정확하게 측정만 할 수 있다면 응급구조신호의 오류율을 낮출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measuring pulse or oxygen saturation in the form of a wearable band for bio-signal measurement,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accuracy of non-sensing data, that is, a method of thinking that a problem has occurred when it does not occur to some extent. The user's bio-signal is monitored to notify when an emergency occurs. For example, an electrocadiogram (ECG) or a photoplethysomogram (PPG) may be used. Such a biosignal sensor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easure biosignals in a non-invasive manner. In addition, technology development for a bio-signal measuring device in the form of a wrist watch has recently been actively pursued. When using this device, if the user's bio-signal can be accurately measured, the error rate of the emergency rescue signal can be reduced.

또,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맥박 및 산소포화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맥박 및 산소포화도 측정을 위한 적색 LED 및 적외선 LED를 사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상태 및 고독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PPG 센서는 사용자의 맥박 산소포화도를 측정하여 이를 통해 사용자의 위험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센서이다. 예를 들어, APM Korea사의 PPG 센서를 적용하여 맥박 및 산소포화도 측정을 할 수 있고, 이하 수학식 1 및 수학식 2는 산소포화도 측정식이다.In addition, the user's pulse and oxygen saturation can be measured in real time using a wearable band, and red LEDs and infrared LEDs can be used to measure the pulse and oxygen saturation, and through this, the user's health status and whether or not he has died alone can be checked. can judge The PPG sensor is a sensor that can determine the user's risk level by measuring the pulse oxygen saturation of the user. For example, pulse and oxygen saturation can be measured by applying APM Korea's PPG sensor, and Equations 1 and 2 below are oxygen saturation measurement equations.

Figure 112020094787078-pat00001
Figure 112020094787078-pat00001

Figure 112020094787078-pat00002
Figure 112020094787078-pat00002

이때, ACred, DCred, ACir, DCir은 각각 적색광의 최고값과 최저값 사이의 편차, 적색광의 평균 출력값, 적외선광의 최고값과 최저값 사이의 편차, 적외선광의 평균 출력값을 나타낸다. 이러한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맥박 및 SpO2상황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1 분에 1 회씩 상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위급상황이 발생할 때 이를 외부에 신호 전송을 위해 2.4GHz 대역의 Zeebee 통신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ACred, DCred, ACir, and DCir represent the deviation between the highest and lowest values of red light, the average output value of red light, the deviation between the highest and lowest values of infrared light, and the average output value of infrared light, respectively. The user's pulse rate and SpO 2 condition can be measured in real time using such a wearable band, and the state can be measured, for example, once per minute. In addition, when a user's emergency occurs, the Zeebee communication system of the 2.4GHz band can be used to transmit signals to the outside.

사용자의 고독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외부에 신호를 전송해야 하는데, 사용자 단말(100)이 통신망에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도 존재하므로, 사용자 단말(100)의 주변 단말을 각각의 노드로 보고, 연결가능한 주변단말을 탐색하여 릴레이로 구조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이 1번이고, 주변에 2번이 존재하고, 2 번이 블루투스가 켜져있다면, 2 번으로 블루투스를 통하여 응급구조신호를 전송하고, 2 번이 외부망과 연결가능하다면 2 번에서 직접 백그라운드 모드로 응급구조신호를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착한 사마리아법과 같이 주변 단말을 이용하여 응급구조신호를 전송하는 것이며, 이때 참여하는 주변단말은 백그라운드 모드로 구동되기 때문에 주변인이 인지하지는 못하며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남을 도와줄 수 있게 된다. 이때, 주변단말의 리소스, 예를 들어, 문자, 구조신호 출력 등 네트워킹 자원과 컴퓨팅 자원을 이용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보상은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할 수도 있다.In order to prevent a user from dying alone, a signal needs to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However, since there are cases in which theuser terminal 100 is not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peripheral terminals of theuser terminal 100 are regarded as respective nodes and can be connected. A method of searching for nearby terminals and transmitting a distress signal to a relay may be used. For example, if theuser terminal 100 is number 1, there is number 2 in the vicinity, and number 2 is Bluetooth turned on, an emergency rescue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Bluetooth to number 2, and number 2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network. If possible, the emergency rescue signal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emergency notification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 the background mode in step 2. That is, as in the Good Samaritan law, an emergency rescue signal is transmitted using a nearby terminal. At this time, the participating peripheral terminals operate in a background mode, so they are not recognized by the surrounding people and can help others without realizing it. At this time, since the resources of peripheral terminals, eg, networking resources and computing resources such as text and distress signal output, are used, compensation for this may be provided by the emergency notificationservice providing server 300 .

만약, 2 번 단말도 외부로 통신망이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3 번 단말, 4 번 단말 계속하여 탐색해나가게 되며 외부로 통신망이 연결된 단말을 찾을 때까지 릴레이로 이어가게 된다. 이때 탐색에 사용된 2 번 내지 N 번 단말도 모두 보상을 받을 수 있고, 이는 포인트로 누적되거나 직접 상품권이나 쿠폰과 같은 리워드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주변단말은 반드시 스마트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최근 AP, 즉 와이파이를 위해 각 케이블이나 모뎀이 각 가정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모뎀이나 AP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스마트폰에 보내는 메세지 포맷과 각 AP에 보내는 메세지의 포맷이 서로 다르므로, 구조요청은 유니버셜 포맷으로 설정하여 모든 단말에서 이를 해석 및 이에 따른 구동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If terminal 2 is also not connected to the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terminals 3 and 4 continue to search, and relay continues until a terminal connected to the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is found. At this time, all of terminals 2 through N used in the search may receive rewards, which may be accumulated as points or directly provided with rewards such as gift certificates or coupons. At this time, the peripheral terminal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smartphone, and since each cable or modem is installed in each home for a recent AP, that is, Wi-Fi,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modem or AP. However, since the format of the message sent to the smartphone and the format of the message sent to each AP are different, the rescue request can be set in a universal format so that all terminals can interpret it and operate accordingly.

이하, 상술한 도 2의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of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as an example.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embodiment is only any on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도 3a를 참조하면, (a)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이 등록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400)도 함께 등록하거나 보호자가 없는 경우 사용자를 담당하는 각 지자체 직원의 단말과 연동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b) 사용자 단말(100)은 무감지 데이터 또는 임펄스 데이터가 감지되었으나 통신망과 연결되지 않은 경우 음성멘트를 출력하고, 통신망과 연결된 경우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무감지 데이터 또는 임펄스 데이터를 전송하며, (c)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이상 움직임 데이터와 비교하여 응급상황임이 판별되면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400) 및 응급구조센터 서버(500)로 위치 및 시간을 전송하여 빠른 구조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d)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무감지 데이터가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감지되는 경우, 이상 움직임 데이터와 비교하여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그냥 아파서 누워있는 것인지 또는 움직임이 아예 없어 위급상황임이 예상되는지를 판별함으로써 마찬가지로 보호자 단말(400)과 응급구조센터 서버(500)로 응급구조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A, (a) the emergency notification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gisters at least oneguardian terminal 400 when theuser terminal 100 is registered, or each local government employee in charge of the user when there is no guardian. It can be stored in conjunction with the terminal of And, (b) theuser terminal 100 outputs a voice comment when non-detection data or impulse data is detected but not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when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non-detection data or impulse to the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 the emergency notification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ompares the abnormal movement data and transmits the location and time to at least oneguardian terminal 400 and the emergencyrescue center server 5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an emergency situation. This can make it a quick build. And, (d) when non-detection data is detected for a preset period of time, the emergency notification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ompares it with abnormal movement data and generally expects that the user is just lying down sick or there is no movement, which is an emergency situation.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 emergency rescue signal to theguardian terminal 400 and the emergencyrescue center server 500 in the same way.

이 외에도, 도 3b 내지 도 3f와 같이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하여 주거 실내온도를 알리거나 활동 인식을 알려주고 배터리 상태 등을 알려줌으로써 다각적으로 사용자가 위급한 상황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고, 독거노인을 위하여 24시간 전화서비스, 알림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내에서 응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음성 인식 기반으로 사용자의 발화를 인지하고 해석하며 이를 통하여 응급상황인지의 여부를 판단한 후 보호자와 응급구조센터를 연결하고, 실외에서 응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음성멘트로 도와달라는 신호를 오디오로 출력하고 마찬가지로 음성인식 기반으로 사용자와 대화를 통하여 응급상황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f와 같이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100) 외에도 다양한 IoT 기반의 기구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다양한 위험상황 감지 및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as shown in FIGS. 3B to 3F, the home network service notifies the indoor temperature of the dwelling, informs activity recognition, and notifies the battery status, etc. so that the user can determine whether it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in various ways, and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Various services such as 24-hour phone service and notification service can be provided. When an emergency occurs indoors, the user's speech is recognized and interpreted based on voice recognition, and after determining whether or not it is an emergency, the guardian and the emergency rescue center are connected.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signal as an audio and similarly determine whether or not it is an emergency through a conversation with the user based on voice recognition. As shown in FIG. 3F, in addition to theuser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IoT-based devices may be deployed, and various dangerous situations may be detected and notifications may be provided.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정해진 시간 내에 움직임이 없거나(무감지 데이터), 갑자기 과도한 움직임이 있는 경우(임펄스 데이터)를 감지하고 통신망과 연결되지 않은 경우 음성멘트, 예를 들어 "도와주세요, 119에 연락해주세요"를 출력하며 주변사람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응급버튼이 눌려졌는지를 확인한다. 의식이 없거나 사용자가 낙상한 경우 움직일 수가 없어 응급버튼을 누를 수 없다는 점에 착안하여 응급버튼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응급상황으로 판단한다.Referring to FIG. 4 , theuser terminal 100 detects that there is no movemen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non-sensing data) or there is sudden excessive movement (impulse data), and when it is not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 voice comment, for example, " Help, please call 119" is printed so that people around you can get help, and it checks whether the emergency button has been pressed. If the emergency button is not selected, it is determined that it is an emergency situation, considering that the emergency button cannot be pressed because the user is unconscious or has fallen.

이때, 사용자 단말(100)이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되도록 통신망에 연결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서 감지한 무감지 데이터 또는 임펄스 데이터를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한 후 일상생활 패턴 데이터와 비교하여 실제로 응급상황인지, 또는 단순히 웨어러블 단말이나 스마트 단말을 떨어뜨린 것인지를 비교한다. 그리고, 특이사항이 있는 경우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 1차로 문자를 전송하여 음성멘트를 재생, 예를 들어, "긴급상황이 아니라면 통화버튼을 눌러주세요"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고, 일정 시간 내에 응급버튼(통화버튼)을 누른 경우에는 사용자가 응급상황이 아니라고 판단하고(응급버튼을 누를 수 있을 만큼 의식이 존재하거나 움직일 수 있다는 의미이므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호 연결을 종료하고 바로 긴급출동서비스를 위하여 응급구조센터 서버(500)로 위치와 시간을 전송한다. 또,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 2차로 전화를 걸어 음성멘트, 예를 들어, "전화왔습니다"라는 멘트를 출력하고, 역시 응급버튼을 누르지 않는 경우 의식이 없거나 받을 수 없는 응급상황으로 판단하고 긴급출동서비스를 유지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긴급출동서비스를 종료한다.At this time, when theuser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be connected to the emergency notification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e emergency notification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the non-sensing data or impulse data detected by theuser terminal 100. After that, it is compared with the daily life pattern data to determine whether it is actually an emergency or simply dropping the wearable terminal or smart terminal. In addition, if there is a specific matter, the emergency notificationservice providing server 300 first transmits a text message to theuser terminal 100 and plays a voice comment, for example, outputting "If it is not an emergency, please press the call button" If the emergency button (call button) is pressed within a certain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not in an emergency (because it means that the user is conscious or able to move enough to press the emergency button); After the connection is terminated, the location and time are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emergencyrescue center server 500 for emergency dispatch service. In addition, the emergency notification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kes a second call to theuser terminal 100 and outputs a voice comment, for example, "There is a call", and also if the emergency button is not pressed, unconscious or It is determined that it is an emergency situation that cannot be received and the emergency roadside service is maintained, and if not, the emergency roadside service is terminated.

이때, 도 4의 A 음성멘트는, 도움 요청 음성멘트로, 예를 들어“도와주세요. 119에 연락해주세요.”일 수 있고, B 음성멘트는, 응급 상황 확인 음성멘트로, 예를 들어“긴급상황이 아니라면 통화버튼을 눌러주세요.”일 수 있다. 또, C 음성멘트는, 전화 수신 알림 음성멘트로, 예를 들어“전화왔습니다.”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voice comment A in FIG. 4 is a voice comment asking for help, for example, “Please help. Please call 119.”, and the B voice comment is an emergency confirmation voice comment, for example, “If it is not an emergency, please press the call button.” In addition, the C voice comment is a call reception notification voice comment, and may be, for example, “There is a call.”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Matters that have not been explained about the method of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using voice comments in FIGS. 2 to 4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for the method of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using voice comments through FIG. 1 or from the description. Since it can be easily inferre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components included in the system for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using the voice message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xample of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through FIG. 5, bu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such an embodiment, an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may be changed.

도 5를 참조하면,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이상 움직임 데이터를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학습 및 훈련시켜 모델링을 실시한다(S5100).Referring to FIG. 5 , the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performs modeling by learning and training at least one type of abnormal motion data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S5100).

그리고,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무감지 데이터 또는 임펄스 데이터를 수신하고(S5200), 무감지 데이터 또는 임펄스 데이터가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이상 움직임 데이터에 대응하는지 확인한다(S5300)Then, the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receives non-detection data or impulse data from the user terminal (S5200), and checks whether the non-detection data or impulse data corresponds to at least one type of abnormal motion data (S5300).

또,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는, 무감지 데이터 또는 임펄스 데이터가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이상 움직임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음성멘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S5400), 시간 및 위치를 적어도 하나의 응급 구조센터 서버로 전송한다(S5500).In addition, the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controls to output a voice comment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non-detection data or impulse data matches at least one type of abnormal motion data (S5400), and sets the time and location to at least one emergency It is transmitted to the rescue center server (S5500).

상술한 단계들(S5100~S55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5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S5100 to S5500)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order of the above-described steps (S5100 to S5500) may be mutually changed, and some of the steps may be simultaneously executed or deleted.

이와 같은 도 5의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Matters that have not been explained about the method of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using voice comments in FIG. 5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for the method of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using voice comments through FIGS. 1 to 4, or from the description. Since it can be easily inferre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The method for provid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using voice com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n application or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can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lso, computer readable media may include all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provid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using a voice me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by an application basically installed in a terminal (this may include a program included in a platform or operating system basically installed in the terminal). It may be executed, or it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ie, a program) directly installed in the master terminal by a user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server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service. In this sense,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provid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using voice com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i.e., a program) that is basically installed in a terminal or directly installed by a user, and is implemented by a computer such as a terminal. It can be recorded on a readable recording medium.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Claims (8)

Translated fromKorean
기 설정된 시간동안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거나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움직임이 임펄스로 감지된 경우, 무감지 데이터 또는 임펄스 데이터를 시간 및 위치에 동기화하여 전송하고, 통신망과 연결되지 않은 상태인 기 설정된 조건 하에서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는 음성멘트를 오디오로 출력하며, 통신망과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음성멘트를 출력한 후 응급버튼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통신망과 연결될 때까지 대기하지만, 상기 응급버튼이 선택된 경우 응급상황이 아니므로 상황을 종료하고, 통신망에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 통신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구조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서 릴레이 노드가 되어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로 구조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서 사용한 네트워킹 자원 또는 컴퓨팅 자원에 기초하여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보상을 지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이상 움직임 데이터를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학습 및 훈련시켜 모델링을 실시하는 모델링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무감지 데이터 또는 임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무감지 데이터 또는 임펄스 데이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이상 움직임 데이터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무감지 데이터 또는 임펄스 데이터가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이상 움직임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음성멘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시간 및 위치를 적어도 하나의 응급 구조센터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확인부에서 상기 무감지 데이터 또는 임펄스 데이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이상 움직임 데이터에 대응하는지 확인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호(Call) 발신을 하고, 기 설정된 누름시간 내에 응급버튼이 선택된 경우 긴급상황을 종료하고, 기 설정된 누름시간 내에 응급버튼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호(Call) 연결을 중지하고 긴급출동 이벤트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출력부에서 긴급출동 이벤트를 출력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는 음성멘트를 오디오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긴급알림부, 상기 무감지 데이터 또는 임펄스 데이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이상 움직임 데이터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기 매핑되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로 상기 위치 및 시간을 포함하는 응급구조 메세지를 전송하는 응급알림부;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이상 움직임 데이터를 포함한 로우 데이터(Raw Data)를 수집한 후 병렬 및 분산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로우 데이터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로 분류를 포함한 전처리를 실시한 후, 상기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셋(DataSet)으로 설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하는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If no motion is detected for a preset period of time or if a movement higher than the preset threshold is detected as an impulse, non-detection data or impulse data is transmitted in synchronization with time and location, and the environment is not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under preset conditions. The voice message requesting help is output as audio, and after outputting the voice message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not selected, it waits until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connected, but if the emergency button is selected, it is not an emergency. When the situation is terminated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not connected, a distress signal is transmitted to at least one communicable terminal, and the at least one terminal becomes a relay node and transmits a distress signal to the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A user terminal that pays compensation in an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based on networking resources or computing resources used by the terminal; and
A modeling unit that performs modeling by learning and training at least one type of abnormal motion data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a receiver that receives non-sensing data or impulse data from the user terminal, A confirmation unit confirming whether the non-detection data or impulse data corresponds to at least one type of abnormal motion data, a control unit controlling to output a voice comment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non-detection data or impulse data matches at least one type of abnormal motion data, the time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location to at least one emergency rescue center server, and when the verification unit confirms whether the non-detection data or the impulse data corresponds to the at least one type of abnormal movement data, a call is made to the user terminal. ) Outgoing, ending the emergency situation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selected within the preset pressing time, and stopping the call connection and outputting an emergency dispatch event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not selected within the preset pressing time Output unit, After outputting an emergency dispatch event from the output unit, an emergency notification unit that controls the user terminal to output a voice requesting help to the surroundings as audio, and the non-detected data or impulse data is the abnormal movement of the at least one type. an emergency notification unit that transmits an emergency rescue message including the location and time to at least one guardian terminal that is previously mapped and stored with the user terminal when the data corresponds to the data; Raw data including at least one type of abnormal motion data is collected and stored in parallel and distributed, and unstructured data, structured data, and semi-structured data included in the stored raw data ( A setting unit that refines semi-structured data, performs preprocessing including classification into meta data, and then sets the preprocessed data as a DataSet; includ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voice message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using system.
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
KR1020200114261A2020-09-082020-09-08System for providing emergency alarming service using voice messageActiveKR1025537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00114261AKR102553745B1 (en)2020-09-082020-09-08System for providing emergency alarming service using voice mess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00114261AKR102553745B1 (en)2020-09-082020-09-08System for providing emergency alarming service using voice mess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20032662A KR20220032662A (en)2022-03-15
KR102553745B1true KR102553745B1 (en)2023-07-11

Family

ID=80816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200114261AActiveKR102553745B1 (en)2020-09-082020-09-08System for providing emergency alarming service using voice message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255374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2845783B1 (en)*2022-11-302025-08-13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Anti-stalking alarm system and method
EP4391510A1 (en)*2022-12-192024-06-26Atos Public Safety LLCA method and a system for silent and non-exposing alerting of previously abandoned calls
KR102556900B1 (en)*2023-04-032023-07-18이도현Emergency rescue system
KR102804478B1 (en)*2023-10-102025-05-12주식회사 에이텍Village broadcasting in-house receiver with emergency call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170004269A (en)*2015-07-012017-01-11김주철Apparatus and method for fall-down detection
KR101803359B1 (en)*2016-02-122017-11-30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A smart device system for providing fall detections and emergency sevice, and a method for fall detections
KR101827087B1 (en)*2016-02-192018-02-08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bio-signal based on big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20032662A (en)202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102553745B1 (en)System for providing emergency alarming service using voice message
US12074999B2 (en)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emergency response
US11348434B1 (en)Safety monitoring platform
KR101866974B1 (en)An Action Pattern Collect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US10866950B2 (en)Method and system for modifying a search request corresponding to a person, object, or entity (POE) of interest
EP3701545B1 (en)Methods and systems for evaluating compliance of communication of a dispatcher
US10332385B2 (en)Location based support request messages responsive to alert recommendation
CN107464406A (en)Alarm method, system and corresponding wearable device based on wearable device
CA3088114C (en)Time-adaptive brevity code response assistant
US20210074288A1 (en)Method for gathering information distributed among first responders
US20180302403A1 (en)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biometric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US11283873B2 (en)IoT sensor fusion
KR101485449B1 (en)Method for responding to emergency situations by cooperation between users using smart device
CN105512478A (en)Old people dangerous case alarm method based on cloud computing technology
CN111528819A (en)Health detection method, system, device, equipment and medium
KR20180056982A (en)Sensor shoes with a acceleration sensor embedded and activity monitoring method using mobile application
US11036742B2 (en)Query result allocation based on cognitive load
CN110840421A (en)SOS mutual rescue system
JP7741547B2 (en) Monitoring systems and programs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200908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20322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E90F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20906

Patent event code:PE09021S02D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230306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30705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20230706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