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대체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이하는 'NFT' 라 약칭하기로 함) 기술을 활용하여 디지털 자산의 마켓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NFT 기술로 구현된 디지털 자산 NFT 마켓 플랫폼의 서비스키를 컨소시엄 블록체인 내부에 저장하고 사용자 ID와 서비스키를 내부에서 매핑시켜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자산 NFT의 서비스키 유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데이터 보안성을 향상시키며, 디지털 자산 NFT의 무료 등록 및 법정 화폐 결제가 가능하도록 하여 전자지갑 연결 등의 복잡한 절차없이 쉽고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또는 User eXperience)를 구현하여 디지털 자산의 NFT 등록 및 거래, 전시 또는 홍보, 보호 또는 저작권 침해 감시 등의 대중적인 마켓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NFT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자산 마켓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 digital asset market service by utilizing a non-fungible token (hereinafter referred to as 'NFT') technology based on a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The service key of the digital asset NFT market platform implemented with NFT technology based o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is stored inside the consortium blockchain, and the user ID and service key are internally mapped to authenticate the user. The service key of the digital asset NFT It improves the data security of the blockchain network by fundamentally blocking leakage, and enables free registration of digital asset NFT and payment in legal currency, enabling an easy and simple user interface (User Interface or User eXperience) without complicated procedures such as e-wallet connection. A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asset market services using NFT technology based on a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that enables to provide popular market services such as NFT registration and trading, exhibition or publicity, protection or copyright infringement monitoring of digital assets by implementing it's about
블록체인(blockchain)은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를 실행시킬 수 있는 분산 원장(Distributed Ledger) 기반의 P2P(Peer-to-Peer) 시스템으로 소규모 데이터들이 연결되어 형성된 '블록'이라는 분산 데이터 저장 환경에 관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분산 데이터 저장 기술로서, 디지털 자산의 거래(Transaction)를 기록하는데 사용된다. 즉, 블록체인은 네트워크 사용자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거래 내역이 네트워크 구성원들 사이에 공유되어 저장되는 디지털 원장(ledger)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거래 내역은 과반수가 넘는 사용자들의 합의를 통해 확정되고 확정된 거래 내역이 하나의 블록으로 묶여 블록체인에 저장된다. 이러한 블록체인에 연결된 블록에 포함되는 거래 내역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해당 블록 및 해당 블록 이후에 연결된 모든 블록들에 대해 다시 과반수가 넘는 사용자들의 합의를 얻어야 하므로, 블록체인에 저장된 거래 내역을 임의로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는 실질적으로 위조 또는 변조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은 매우 높다.Blockchain is a peer-to-peer (P2P) system based on a distributed ledger that can execute smart contracts. As a distributed data storage technology that stores management data, it is used to record transactions of digital assets. In other words, blockchain represents a digital ledger in which the details of transactions that occur between network users are shared and stored among network members. Transaction details confirmed and confirmed through consensus are bundled into one block and stored in the blockchain. In order to change the transaction details included in a block linked to the block chain, it is necessary to obtain consensus from more than half of the users again for the block and all blocks linked after the block. It is impossible to forge or tamper with the data stored in the blockchain. Therefore, the reliability of the data stored in the blockchain is very high.
이러한 블록체인은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과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 및 컨소시엄 블록체인(consortium blockchain)으로 구분된다. 간혹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컨소시엄 블록체인을 포함시키기도 한다.These blockchains are classified into public blockchains, private blockchains, and consortium blockchains. Sometimes private blockchains include consortium blockchains.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은 누구나 참가하고 운영할 수 있는 개방형 블록체인으로서, 그 운영 주체가 광범위하여 법적 구속력에서 자유롭고, 누구나 데이터를 읽을 수 있기 때문에 높은 투명성이 보장되는 장점이 있으나, 누구나 참가할 수 있는 특성상 각각의 거래의 내용이 모두에게 공개되고 검증 또한 모두가 참가할 수 있어, 네트워크 확장이 어렵고 거래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A public blockchain is an open blockchain that anyone can participate in and operat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free from legal binding due to its wide operating subject and guaranteeing high transparency because anyone can read data, but anyone can participate. Due to the nature of each transaction, the contents of each transaction are open to everyone and everyone can participate in verification, so it is difficult to expand the network and the transaction speed is slow.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은 미리 선택된 노드만 참가할 수 있으며 단일한 주체가 모든 노드를 통제할 수 있는 폐쇄형 블록체인으로서, 거래 속도가 매우 빠르고, 생성된 블록에 저장된 내용을 쉽게 수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법적 구속력에서 자유롭지 못하고 탈 중앙화 특징을 보유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서버 기반의 데이터베이스에 비하여 이점을 찾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Private blockchain is a closed blockchain in which only pre-selected nodes can participate and a single entity can control all nodes. However, it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advantages compared to server-based databases because it is not free from legal binding force and does not have decentralization characteristics.
컨소시엄 블록체인(consortium blockchain)은 미리 선택된 노드만 참가할 수 있으며 참가하는 노드 모두가 운영 주체가 되는 half-center형 블록체인으로서, 단일한 주체가 모든 노드를 통제하지 않기 때문에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비하여 투명성이 높고, 미리 선택된 노드만 참가할 수 있으므로 퍼블릭 블록체인에 비하여 네트워크 확장이 쉽고 거래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컨소시엄 블록체인은 미리 선택된 노드만 참가할 수 있으면서도 모든 노드들을 통제할 수 있는 단일한 주체가 존재하지 않는 만큼, 다른 노드들로부터 수신되는 거래 정보들을 신뢰하기 위한 노드 간의 인증 방안이 필요하다.A consortium blockchain is a half-center type blockchain in which only pre-selected nodes can participate and all participating nodes become operating entities. Since a single entity does not control all nodes, it is more transparent than a private blockchain. Compared to public blockchains, it has the advantage of easy network expansion and fast transaction speed, as only pre-selected nodes can participate. However, since only preselected nodes can participate in this consortium blockchain and there is no single entity that can control all nodes, an authentication method between nodes is required to trust transac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other nodes.
한편, NFT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디지털 자산에 고유한 인식값을 부여하여 발행된 대체불가능한 토큰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소유권과 거래이력 등의 관련 정보가 모두 블록체인에 저장되며, 디지털 자산의 유일성 및 희소성 가치를 증명하는 일종의 디지털 자산의 정품 및 소유 인증서와 같은 개념으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NFT refers to a non-fungible token issued by assigning a unique recognition value to a digital asset using blockchain technology. It is used in various fields as a concept such as a certificate of authenticity and ownership of a kind of digital asset that proves the uniqueness and scarcity value of digital assets.
최근에는 네트워크 상에 분산되어 있는 다양하고 무한한 데이터 중에서 필요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 수요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함과 동시에 데이터 공급자에게는 개인 정보에 대한 보안 유지 및 정당한 이익 분배를 지원하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개인이나 기업 또는 기관 등의 디지털 자산에 대해 적절한 가치를 부여하고 이를 쉽게 전시 또는 홍보하거나 보호 또는 감시하면서도 안전하게 등록 및 거래하여 이익을 분배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NFT 플랫폼(마켓 또는 거래소)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Recently, there is a demand for a system that collects necessary data from various and infinite data distributed on the network and efficiently provides it to data consumers, while at the same time supporting data providers to maintain security for personal information and distribute legitimate profits. The need for a blockchain-based NFT platform (market or exchange) that can assign appropriate value to digital assets of individuals, companies, or institutions, easily display or promote them, protect or monitor them, and safely register and trade them to distribute profits. this is increasing
기존의 블록체인 기반 NFT 플랫폼은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공개키 기반구조(Public Key Infrastructure)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비대칭 키는 공개키(Public Key)와 개인키(Private Key)로서 일반적으로 공개키는 전자지갑의 주소로서 노출되지만 개인키는 블록체인의 보안을 위해 절대 외부로 노출되어서는 안되는 정보이다. 그러나 이러한 블록체인 기반 NFT 플랫폼의 개인키는 각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소장 또는 보관하여야 하므로 인쇄물 등에 의해 외부로 유출 또는 분실될 우려가 있어 네트워크 보안상의 취약점이 발생할 수 있다.Since the existing blockchain-based NFT platform is based on a public blockchain network, the asymmetric key used in the Public Key Infrastructure system is generally public as a public key and a private key. The key is exposed as the address of the electronic wallet, but the private key is information that should never be exposed to the outside for the security of the blockchain. However, since the private key of such a blockchain-based NFT platform must be possessed or stored individually by each user, there is a risk of leakage or loss to the outside by printed materials, etc., which may cause network security vulnerabilities.
또한 기존의 블록체인 기반 NFT 플랫폼의 경우 디지털 자산의 NFT 등록 및 거래시 플랫폼(마켓 또는 거래소) 코인으로 가스 비용 결제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플랫폼(마켓 또는 거래소) 코인을 저장 또는 보관하는 전자지갑을 필수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복잡한 전자지갑 연결 프로세스를 필수적으로 포함하여야 하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어렵고 그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NFT의 등록 및 거래를 위한 과다한 가스 비용이 소모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existing blockchain-based NFT platforms, when registering and trading NFTs of digital assets, gas costs are paid with platform (market or exchange) coins, so an electronic wallet that stores or stores platform (market or exchange) coins is essential. Accordingly, the user interface must necessarily include a complicated e-wallet connection process, so the user interface is difficult and its structure is complicated, as well as excessive gas costs for NFT registration and transaction. there wa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기반의 NFT 기술로 디지털 자산 마켓을 구현하여 디지털 자산의 NFT 등록 및 거래를 위한 개인키와 공개키를 컨소시엄 블록체인 내부에서 생성 및 연결시켜 저장하고 이후 사용자가 입력하는 개인 아이디와 블록체인 내부에 저장된 개인키를 매핑한 후 개인 아이디에 매핑된 개인키와 공개키를 블록체인 내부에서 연결시켜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자산의 NFT 개인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데이터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고, 디지털 자산의 NFT를 무료 등록할 수 있도록 하여 디지털 자산의 NFT 등록 및 거래에 따른 가스 비용을 줄일 수 있게 하며, 또한 암호 화폐 대신 현금(카드 또는 계좌입금) 또는 외화(페이팔 결제) 등의 법정 화폐로 디지털 자산의 NFT 가스 비용 결제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암호 화폐 사용시 필요한 전자지갑 연결 등의 복잡한 절차없이 쉽고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게 하여 디지털 자산의 NFT 등록 및 거래(양도 또는 매매 또는 이전 또는 상속), 전시 또는 홍보, 보호 또는 저작권 침해 감시 등을 위한 대중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NFT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자산 마켓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 digital asset market with NFT technology based on a consortium block chain to disclose the private key for NFT registration and transaction of digital assets. The key is created, connected, and stored inside the consortium blockchain, and then the personal ID entered by the user is mapped with the private key stored inside the blockchain, and the private key and public key mapped to the personal ID are linked inside the blockchain, allowing users to By enabling authentica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ata security of the blockchain network by fundamentally blocking the leakage of the NFT private key of digital assets to the outside, and to enable free registration of NFTs of digital assets, thereby increasing the security of digital assets. It enables to reduce gas cost due to NFT registration and transaction, and also makes it possible to pay for NFT gas cost of digital assets with legal currency such as cash (card or account transfer) or foreign currency (Paypal payment) instead of cryptocurrency, so when using cryptocurrency A popular service for NFT registration and trading (transfer or sale or transfer or inheritance) of digital assets, exhibition or publicity, protection or copyright infringement monitoring, etc.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ethod of providing digital asset market services using NFT technology based on a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that can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디지털 자산의 NFT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고 거래하는 NFT 마켓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회원 가입을 위한 사용자 ID와 비밀번호가 생성되면 디지털 자산 NFT의 마켓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키를 사용자 ID와 연결시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ID와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사용자 ID를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된 서비스키와 매핑시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디지털 자산의 NFT 등록을 위한 디지털 자산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디지털 자산의 저작권 증명정보 및 NFT를 생성하여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단계, 커뮤니티 갤러리 또는 공모전 입후보 등록요청에 따라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디지털 자산 NFT를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커뮤니티 갤러리 또는 공모전에 피선거물로 입후보 등록하고 전자투표함을 활성화하여 해당 디지털 자산 NFT로의 온라인 투표를 유도하는 단계, 디지털 자산 NFT의 소유권 또는 사용권 거래 조건 설정 및 등록 요청에 따라 인증된 사용자 또는 큐레이터 자격의 사용자로부터 해당 디지털 자산 NFT의 소유권 또는 사용권 거래 조건을 입력받아 NFT의 소유권 또는 사용권 거래 가능한 매물로 등록하는 단계, 및 매물로 등록된 디지털 자산 NFT 거래 요청시 거래 대금 결제를 수행하고 결제 완료시 해당 디지털 자산 NFT의 공급자 및 거래 기여자들에게 기설정된 비율로 이익을 분배하고 해당 거래정보를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NFT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자산 마켓 서비스 제공방법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NFT market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registering and trading NFTs of digital assets in a blockchain network, when a user ID and password for membership registration are generated, the NFTs of digital assets Creating a service key for market service and linking the generated service key with a user ID and storing it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When the user ID and password for user authentication are entered, the user ID is stored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When the digital asset information for NFT registration of the digital asset is entered, the copyright proof information and NFT of the digital asset are created and registered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and the community gallery or contest candidature is registered Upon request, the digital asset NFT registered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is registered as a candidate for election in a community gallery or contest based o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and the electronic ballot box is activated to induce online voting for the digital asset NFT, digital asset In accordance with the NFT's ownership or license transaction conditions setting and registration request, the digital asset NFT's ownership or license transaction conditions are received from an authenticated user or a user with curator status, and the NFT's ownership or license is registered as a tradeable sale, and When a registered digital asset NFT transaction is requested, the transaction price is paid, and upon completion of the payment, the profits are distributed to the suppliers and transaction contributors of the digital asset NFT in a predetermined ratio, and the transac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It is a method of providing digital asset market service using NFT technology based on a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including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커뮤니티 갤러리 또는 공모전 입후보 등록요청에 따라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디지털 자산 NFT를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커뮤니티 갤러리 또는 공모전에 피선거물로 입후보 등록하고 전자투표함을 활성화하여 해당 디지털 자산 NFT로의 온라인 투표를 유도하는 단계를 디지털 자산 NFT 등록단계와 거래조건 설정 및 매물등록단계 사이에 더 포함하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NFT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자산 마켓 서비스 제공방법이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asset NFT registered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is registered as a candidate for election in the community gallery or competition based o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registration of candidates for the community gallery or contest, and the electronic ballot box is activated. It is a method of providing digital asset market service using NFT technology based on a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further including the step of inducing online voting for the corresponding digital asset NFT between the digital asset NFT registration step, transaction condition setting, and listing registration step. .
본 발명에 의하면, 컨소시엄 블록체인 기반의 NFT 기술로 디지털 자산 마켓을 구현하여 디지털 자산의 NFT 개인키와 공개키를 컨소시엄 블록체인 내부에서 생성 및 연결시켜 저장하고 이후 사용자가 입력하는 개인 아이디와 블록체인 내부에 저장된 개인키를 매핑한 후 개인 아이디에 매핑된 개인키와 공개키를 블록체인 내부에서 연결시켜 사용자를 인증하게 되므로, 디지털 자산의 NFT 개인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데이터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asset market is implemented with NFT technology based on the consortium blockchain, and the NFT private key and public key of the digital asset are created, connected, and stored inside the consortium blockchain, and then the personal ID and blockchain input by the user are stored. After mapping the private key stored inside, the private key and public key mapped to the individual ID are linked inside the block chain to authenticate the user, so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block the leakage of the NFT private key of digital assets to the outside. It will be able to provide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data security of the blockchain network.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자산의 NFT를 무료 등록할 수 있게 되므로 마켓 이용자로 하여금 디지털 자산의 NFT 등록 또는 거래를 위한 가스 비용을 줄일 수 있게 하며, 또한 현금(카드 또는 계좌입금) 또는 외화(페이팔 결제) 등의 법정 화폐로 디지털 자산의 NFT 등록 및 거래를 위한 가스 비용 결제가 가능하게 되므로 종래 암호 화폐 사용시 필요로 했던 전자지갑 연결 프로세스 등의 복잡한 절차를 생략할 수 있어 쉽고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상 편리함을 부여할 수 있으며, 따라서 디지털 자산의 NFT 등록 및 거래(양도 또는 매매 또는 이전 또는 상속), 전시 또는 홍보, 보호 또는 저작권 침해 감시 등을 위한 폭넓고 대중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FTs of digital assets can be registered free of charge, allowing market users to reduce gas costs for NFT registration or transaction of digital assets, and cash (card or account transfer) or foreign currency (PayPal). It is possible to register gas fees for NFT registration and transaction of digital assets in legal currency such as payment), so it is possible to omit complicated procedures such as e-wallet connection process required when using cryptocurrency in the past, enabling an easy and simple user interface implementation. This can provide convenience in use, and thus provide a wide range of popular services for NFT registration and trading (transfer or sale or transfer or inheritance) of digital assets, exhibition or publicity, protection or copyright infringement monitoring, etc. do.
도 1은 본 발명이 운용되기 위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구성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NFT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자산 마켓 서비스 제공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NFT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자산 마켓 서비스 제공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a 내지 도 4f는 도 2 및 도 3의 각 단계별 상세 동작 흐름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for operating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asset market services using NFT technology based on a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operational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asset market services using NFT technology based on a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F are detailed operation flowcharts for each step of FIGS. 2 and 3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NFT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자산 마켓 서비스 제공방법의 구성과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asset market services using NFT technology based on a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ffect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limited to the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i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is application. shall.
도 1은 본 발명이 운용되기 위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구성을 예시한 개념도로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10)는 마스터 노드(11)와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노드(12)로 구성된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fo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마스터 노드(11)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관리하는 노드로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임의의 노드가 참여하려는 경우 참여하려는 노드에 노드의 사용자 정보, 노드와 연관된 디지털 자산 정보, 전자 서명 정보 등을 포함하는 노드 검증 정보를 요청하고 해당 노드로부터 수신된 노드 검증 정보에 기초하여 노드를 검증하여, 검증된 노드에 한하여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구성원 노드(12)로 참여시킨다. 여기서 노드와 연관된 디지털 자산 정보로는 NFT 생성을 필요로 하는 디지털 자산의 저작권 증명을 위한 내용(또는 개념) 증명 정보 및 시점 증명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지털 자산으로는 멀티미디어(multimedia) 또는 웹(web) 또는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조각, 회화, 설치미술품 등으로 구현되는 디지털 아트(digital art), 웹아트(web art), 넷아트(netart), 동영상, 음원, 레포트 문서, 의료데이터 파일 등의 유가(有價) 자산일 수 있다.The
또한, 이러한 마스터 노드(11)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한 구성원 노드(12)의 노드 정보에 기초하여,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각 구성원 노드의 권한을 부여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원 노드(12)의 권한은 디지털 자산 NFT의 전시 또는 홍보를 위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커뮤니티 갤러리나 공모전 등을 관리하고 등록 및 유지하기 위한 큐레이터(curator) 권한, 디지털 자산를 창작하고 등록하는 창작자(creator) 권한, 커뮤니티 갤러리나 공모전에 전자투표하거나 소유권 또는 사용권 등을 구매하는 사용자(user) 또는 구매자(buyer) 권한이 있을 수 있다. 구성원 노드는 이러한 역할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큐레이터 권한은 디지털 자산의 가치를 평가하고 감정하는 권한을 가진 노드에만 부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구성원 노드(12)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여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로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블록을 생성하여 배포할 수 있으며,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디지털 자산 NFT 마켓 플랫폼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성원 노드(12)는 마스터 노드(11)에 의해 부여되거나 제한된 권한(예를 들면 큐레이터 권한, 창작자 권한, 사용자 또는 구매자 권한)에 기초하여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디지털 자산 NFT 마켓 플랫폼의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받을 수 있으며,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배포된 블록의 정보에 접근하거나 접근 범위가 제할될 수 있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NFT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자산 마켓 서비스 제공방법의 동작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NFT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자산 마켓 서비스 제공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며, 도 4a 내지 도 4f는 도 2 및 도 3의 각 단계별 상세 동작 흐름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디지털 자산 마켓 서비스 제공방법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키 생성 및 내부 저장단계(S110), 내부 인증단계(S120), 디지털 자산 NFT 등록단계(S130), 거래조건 설정 및 매물등록단계(S150), 및 결제 및 거래정보 저장단계(S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의 디지털 자산 마켓 서비스 제공방법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자산 NFT 등록단계(S130)와 거래조건 설정 및 매물등록단계(S150) 사이에 입후보 등록 및 전자투표단계(S140)를 더 포함하여 다른 실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따른 디지털 자산 마켓 서비스 제공방법은 디지털 자산의 NFT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고 거래하는 NFT 마켓 플랫폼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적용되어 운용될 수 있다.2 is an operation flow chart of a digital asset market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NFT technology based on a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lowchart of a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based It is an operation flow chart of a digital asset market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NFT technology, and FIGS. 4a to 4f are detailed operation flow charts for each step of FIGS. 2 and 3. The digital asset market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2, service key generation and internal storage step (S110), internal authentication step (S120), digital asset NFT registration step (S130), transaction condition setting and sale registration step (S150), and payment and transaction information It may be made including a storage step (S160), and the digital asset market service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tween the digital asset NFT registration step (S130) and the transaction condition setting and listing registration step (S150) as illustrated in FIG. It may be implemented in another embodiment by further including a candidate registration and electronic voting step (S140). The method of providing digital asset market services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nd operated in a method of providing services through an NFT market platform that registers and trades NFTs of digital assets in a blockchain network.
서비스키 생성 및 내부 저장단계(S110)는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회원가입 신청(S111)에 따라 회원 가입을 위한 사용자 ID와 비밀번호가 생성(S112)되면 디지털 자산 NFT 마켓 플랫폼의 서비스 이용을 위해 필요한 서비스키를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부에서 생성(S113)하고 생성된 서비스키를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부에서 사용자 ID와 연결시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S114)하는 단계를 거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키 생성 및 내부 저장단계(S110)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려는 임의의 노드 사용자에 의한 회원 가입요청에 따라 실시되는 단계로서, 마스터 노드(11)는 회원 가입 요청이 있는 해당 노드에 사용자 정보, 노드와 연관된 디지털 자산 정보, 전자 서명 정보 등을 포함하는 노드 검증 정보를 요청하고 해당 노드로부터 수신된 노드 검증 정보에 기초하여 노드를 검증하며, 검증된 노드에 한하여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구성원 노드(12)로 참여시킨다. 이때 마스터 노드(11)는 임의의 노드에 대한 사용자 ID와 비밀번호가 생성되면 디지털 자산 NFT의 등록 및 거래, 전시 또는 홍보, 저작권 침해 감시에 필요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서비스키(개인키(Private Key)와 공개키(Public Key))를 내부에서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키(개인키와 공개키)를 사용자 ID와 내부에서 연결시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디지털 자산 NFT 마켓 서비스 제공방법에서는 디지털 자산 NFT 마켓 플랫폼의 서비스 이용에 필요하면서도 네트워크 보안상 매우 중요한 서비스키인 공개키와 개인키가 마스터노드(11) 내부에서 생성되고 보관되므로 외부의 구성원노드(12)에는 전혀 노출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네트워크 보안상 매우 중요한 서비스키가 인쇄물 등에 의해 외부로 유출 또는 분실될 우려가 전혀 없어 네트워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Service key generation and internal storage step (S110), as illustrated in FIG. 4a, when a user ID and password for membership registration are generated (S112) according to the user's membership application (S111), the service of the digital asset NFT market platform is used. It can be done through the steps of generating the service key necessary for this inside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S113), connecting the generated service key with the user ID inside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and storing it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S114). This service key generation and internal storage step (S110) is a step performed in response to a membership subscription request by a random node user who wants to participate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Requests node ver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digital asset information related to the node, electronic signature information, etc., verifies the node based on the node ver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node, and only verifies the verified node as a member node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12) to participate. At this time, when the user ID and password for a random node are generated, the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디지털 자산 NFT 마켓 서비스 제공방법에서는 디지털 자산 NFT 마켓 플랫폼의 서비스키를 각 구성원 노드(12)의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소장 또는 보관하지 않고, 단지 사용자 ID와 비밀번호 만을 보관하는 것만으로도 컨소시엄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자산 NFT 마켓 플랫폼의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digital asset NFT market service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key of the digital asset NFT market platform is not individually owned or stored by the user of each
내부 인증단계(S120)는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로그인 요청(S121)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ID와 비밀번호가 입력(S122)되면 입력된 사용자 ID를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키(개인키와 공개키)와 내부에서 매핑(S123)시켜 사용자 인증을 수행(S124)하는 단계를 거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내부 인증단계(S120)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한 구성원 노드(12)로부터의 사용자 인증요청에 따라 실시되는 단계로서, 구성원 노드(12)로부터 사용자 ID와 비밀번호 입력시 마스터 노드(11)가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ID에 연결된 서비스키(개인키와 공개키)를 상기 입력된 사용자 ID와 내부에서 매핑시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마스터 노드(11)는 구성원 노드(1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ID를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ID에 연결된 서비스 키의 개인키와 내부에서 매핑시켜 인증하게 되므로, 이로써 본 발명의 디지털 자산 NFT 마켓 서비스 제공방법에서는 디지털 자산 NFT 마켓 플랫폼의 서비스 이용에 필요하면서도 네트워크 보안상 매우 중요한 서비스키가 사용자 인증시에도 외부의 구성원 노드(12)에 전혀 노출되지 않게 되어 네트워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the internal authentication step (S120), when the user ID and password for user authentication are input (S122) according to the user login request (S121), as illustrated in FIG. 4B, the entered user ID is stored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It can be done through the step of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S124) by mapping keys (private key and public key) internally (S123). This internal authentication step (S120) is performed in response to a user authentication request from the
디지털 자산 NFT 등록단계(S130)는 도 4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자산의 NFT 등록 요청(S131)에 따라 디지털 자산의 NFT 등록을 위한 디지털 자산정보가 입력(S132)되면 해당 디지털 자산의 저작권 증명정보 및 NFT를 생성(S133)하여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S134)하는 단계를 거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자산 NFT 등록단계(S130)는 사용자에 의한 디지털 자산 NFT의 등록요청에 따라 실시되는 단계로서, 구성원 노드(12)로부터 NFT 등록을 위한 디지털 자산 정보가 입력되면 마스터 노드(11)는 해당 디지털 자산의 저작권 증명정보로서 내용 증명 해시와 시점증명 타임스탬프 및 NFT를 비용 결제 절차없이 즉시 생성하여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디지털 자산 NFT 마켓 서비스 제공방법에서는 디지털 자산의 NFT 등록과정에 비용 결제 절차가 생략되어 NFT 등록비용 없이 무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디지털 자산의 NFT 등록 절차가 간소화될 수 있어 편리하면서도 신속하게 디지털 자산의 NFT를 등록할 수 있게 하며, 뿐만 아니라 디지털 자산 창작자 들로 하여금 NFT의 등록을 위한 가스 비용의 추가 소비를 줄일 수 있게 한다.In the digital asset NFT registration step (S130), when the digital asset information for NFT registration of the digital asset is input (S132) according to the NFT registration request (S131) of the digital asset, as illustrated in FIG. 4c, the copyright proof information of the digital asset. And it can be made through the steps of generating (S133) and registering (S134) the NFT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This digital asset NFT registration step (S130)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for registration of the digital asset NFT. When digital asset information for NFT registration is input from the
입후보 등록 및 전자투표단계(S140)는 도 4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커뮤니티 갤러리 또는 공모전 입후보 등록요청(S141)에 따라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디지털 자산 NFT를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커뮤니티 갤러리 또는 공모전에 피선거물로 입후보 등록(S142)하고 전자투표함을 활성화(S143)하여 해당 디지털 자산 NFT로의 전자투표를 유도하면서 실시간 전자투표결과를 집계하여 제시(S144)하고 기설정시간이 경과(S145)되면 전자투표함을 비활성화(S146)하고 집계를 종료(S147)하는 단계를 거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입후보 등록 및 전자투표단계(S140)는 큐레이터 권한 또는 창작자 권한의 사용자에 의한 커뮤니티 갤러리 또는 공모전 입후보 등록 요청에 따라 실시되는 단계로서,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방법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구성원 노드(12)의 커뮤니티 갤러리 또는 공모전 입후보 등록 요청이 있게 되면 마스터 노드(11)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해당 디지털 자산 NFT를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커뮤니티 갤러리 또는 공모전에 피선거물로 입후보 등록하여 전시 또는 홍보하면서 동시에 해당 디지털 자산 NFT의 전자투표함을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갤러리 또는 공모전의 전시 또는 홍보 시간 등일 수 있음)동안 활성화하여, 커뮤니티 갤러리 또는 공모전에 피선거물로 입후보 등록된 해당 디지털 자산 NFT로의 전자투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타 구성원 노드의 사용자에 의한 투표를 유도한다. 이때 마스터 노드(11)는 전자투표함에 실시간 전자투표되고 있는 결과를 집계하여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디지털 자산 NFT 마켓 서비스 제공방법에서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커뮤니티 갤러리 또는 공모전을 통해 디지털 자산 NFT를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모든 구성원 노드의 사용자들에게 무료로 전시 또는 홍보할 수 있게 되므로 디지털 자산 NFT의 전시 또는 홍보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게 하며, 아울러 전자투표 집계결과를 디지털 자산 NFT의 가치 평가 설정 기준 또는 거래 조건 설정 기준으로 삼을 수 있게 하여 디지털 자산 창작자 또는 큐레이터 권한의 사용자들로 하여금 디지털 자산 NFT의 가치 평가 및 소유권 또는 사용권 거래 조건을 합리적이면서도 정당한 수준으로 설정할 수 있게 한다.As illustrated in FIG. 4D, the candidacy registration and electronic voting step (S140) converts the digital asset NFT registered to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into a community gallery or contest based o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according to the community gallery or contest candidate registration request (S141), as illustrated in FIG. Register as a candidate for election (S142) and activate the electronic ballot box (S143) to induce electronic voting in the corresponding digital asset NFT, aggregate and present real-time electronic voting results (S144), and when the preset time elapses (S145), electronic This can be done through the steps of deactivating the ballot box (S146) and terminating counting (S147). This candidacy registration and electronic voting step (S140) is a step performed according to a request for registration of candidates for a community gallery or contest by a user with curator or creator rights, and may be omitt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when a member node (12) requests to register as a candidate for a community gallery or contest, the master node (11) applies the digital asset NFT registered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as a candidate for a community gallery or contest based o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Register and display or promote, and at the same time activate the electronic ballot box of the corresponding digital asset NFT for a predetermined time (eg, it may be an exhibition or publicity time of a gallery or contest), and register as a candidate for election in a community gallery or contest It induces voting by users of other member nodes so that electronic voting can be made for digital asset NFTs. At this time, the
거래조건 설정 및 매물등록단계(S150)는 도 4e에 예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자산 NFT의 소유권 또는 사용권 거래 조건 설정 및 등록 요청(S151)에 따라 디지털 자산 NFT의 소유권 또는 사용권 거래 조건을 해당 디지털 자산 NFT의 창작자 또는 큐레이터 자격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설정(S152)하고 디지털 자산 NFT 마켓 플랫폼에 소유권 또는 사용권 거래 가능한 매물로 등록(S153)하는 단계를 거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거래조건 설정 및 매물등록단계(S150)는 창작자 또는 큐레이터 자격의 사용자에 의한 디지털 자산 NFT의 소유권 또는 사용권 거래 조건 설정 및 등록 요청에 따라 실시되는 단계로서, 전자투표가 완료된 디지털 자산 NFT에 대하여 구성원 노드(12)의 소유권 또는 사용권 거래 조건 설정 및 등록 요청이 있게 되면 마스터 노드(11)는 창작자 또는 큐레이터 자격의 사용자에 의한 구성원 노드(12)로부터 해당 디지털 자산 NFT의 소유권 또는 사용권 거래 조건을 입력받아 설정하여 디지털 자산 NFT 마켓 플랫폼에 소유권 또는 사용권 거래(경매 또는 구매) 가능한 매물 상품으로 등록하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디지털 자산 NFT 마켓 서비스 제공방법에서는 디지털 자산 NFT 마켓 플랫폼에 디지털 자산 NFT를 매물 상품으로 등록하게 될 때 디지털 자산 창작자 또는 큐레이터 권한의 사용자들로 하여금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커뮤니티 갤러리 또는 공모전을 통해 실시된 전자투표 집계결과를 기준으로 비교적 합리적이면서도 정당한 수준으로 디지털 자산 NFT의 가치 평가 또는 거래 조건을 설정할 수 있게 하므로 디지털 자산 창작자 또는 큐레이터 권한의 사용자들에게는 디지털 자산 NFT의 소유권 또는 사용권 거래시 합당한 비용으로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며, 반면에 디지털 자산 NFT의 이용자 또는 구매자 권한의 사용자들에게는 과다한 비용 지출없이 합리적이면서도 타당한 비용을 지불하고 디지털 자산 NFT를 구매 또는 이용할 수 있게 한다.As illustrated in FIG. 4E, the transaction condition setting and sale registration step (S150) sets the ownership or license transaction conditions of the digital asset NFT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ownership or license transaction condition setting and registration (S151) of the digital asset NFT, as illustrated in FIG. 4e. It can be done through the steps of receiving input from a creator or a user with curator qualifications (S152) and registering it as a property that can be traded on the digital asset NFT market platform (S153). This step of setting transaction conditions and registering for sale (S150) is a step carried out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ownership or license transaction conditions setting and registration of digital asset NFTs by creators or users with curator qualifications. When there is a request for setting and registering the ownership or license transaction conditions of the
결제 및 거래정보 저장단계(S160)는 도 4f에 예시된 바와 같이 매물로 등록된 디지털 자산 NFT의 소유권 또는 사용권 거래 요청(S161)에 따라 디지털 자산 NFT의 소유권 또는 사용권 거래 를 위한 거래 대금 결제 절차를 수행(S162)하고 결제 완료(S163)되면 구매자에게 해당 디지털 자산 NFT의 소유권 또는 사용권을 이전등록(S164)하고 창작자(또는 공급자) 및 큐레이터(또는 거래 기여자)들에게는 기설정된 비율로 이익을 분배(S165)하며 해당 디지털 자산 NFT의 거래정보를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S166)하는 단계를 거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결제 및 거래정보 저장단계(S160)는 디지털 자산 NFT의 이용자 또는 구매자 권한의 사용자에 의한 디지털 자산 NFT의 소유권 또는 사용권 거래 요청에 따라 실시되는 단계로서, 구성원 노드(12)의 소유권 또는 사용권 거래 요청이 있게 되면 마스터 노드(11)는 디지털 자산 NFT의 거래 대금을 플랫폼 코인이 아닌 현금(카드 또는 계좌입금) 또는 외화(페이팔 결제) 등의 법정 화폐로 비용을 결제하는 비용 결제 절차를 수행하며, 결제가 완료되면 마스터 노드(11)는 해당 디지털 자산 NFT의 창작자(또는 공급자) 및 큐레이터(또는 거래 기여자)들에게 기설정된 비율(예를 들면 디지털 자산 NFT 마켓 플랫폼에서 회원 등급별 또는 거래 기여도 등에 따라 설정한 비율)로 이익을 분배하여 해당 디지털 자산 NFT의 창작자(또는 공급자) 및 큐레이터(또는 거래 기여자)들에게 합당한 이익을 창출시켜 주고 해당 디지털 자산 NFT의 거래정보를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디지털 자산 NFT 마켓 서비스 제공방법에서는 디지털 자산 NFT의 소유권 또는 사용권 거래를 위한 가스 비용을 카드 또는 현금 또는 외화 등의 법정 화폐로 결제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 코인 등의 암호 화폐 사용시 필요로 했던 전자지갑 연결 프로세스 등의 복잡한 절차를 생략할 수 있게 되어 쉽고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디지털 자산 NFT 마켓 플랫폼을 구현하여 사용상 편리한 대중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 payment and transaction information storage step (S160), as illustrated in FIG. 4f, is a transaction payment procedure for ownership or use of digital asset NFTs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ownership or use of digital asset NFTs registered for sale (S161). When it is performed (S162) and the payment is completed (S163), the ownership or usage right of the digital asset NFT is transferred to the buyer (S164), and the creator (or supplier) and curator (or transaction contributor) distributes the profits at a predetermined rate ( S165) and storing the transac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asset NFT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S166). This payment and transaction information storage step (S160) is a step performed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ownership or license transaction of the digital asset NFT by a user of the digital asset NFT or a user with purchase authority, and a request for ownership or license transaction of the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하면, 컨소시엄 블록체인 기반으로 디지털 자산 NFT 마켓을 구현하여 디지털 자산 NFT의 개인키와 공개키를 컨소시엄 블록체인 내부에서 생성 및 연결시켜 저장하고 이후 사용자가 입력하는 개인 아이디와 블록체인 내부에 저장된 개인키를 매핑한 후 개인 아이디에 매핑된 개인키와 공개키를 블록체인 내부에서 연결시켜 사용자를 인증하게 되므로, 디지털 자산 NFT의 개인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데이터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asset NFT market is implemented based on the consortium block chain, and the private key and public key of the digital asset NFT are created, connected, and stored inside the consortium block chain, and then the personal ID entered by the user and the internal key inside the block chain. After mapping the private key stored in the block chain, the private key and public key mapped to the individual ID are linked inside the block chain to authenticate the user, so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block the leakage of the private key of the digital asset NFT to the outside. It will be able to provide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data security of the chain network.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자산 NFT를 무료 등록할 수 있게 되므로 마켓 이용자로 하여금 디지털 자산 NFT의 등록 또는 거래를 위한 가스 비용을 줄일 수 있게 하며,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현금(카드 또는 계좌입금) 또는 외화(페이팔 결제) 등의 법정 화폐로 디지털 자산 NFT의 가스 비용 결제가 가능하게 되므로, 종래 암호 화폐 사용시 필요로 했던 전자지갑 연결 등의 복잡한 절차없이 쉽고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이 가능하게 되어, 디지털 자산 NFT의 거래(양도 또는 매매 또는 이전 또는 상속), 전시 또는 홍보, 보호 또는 저작권 침해 감시 등을 위한 대중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digital asset NFTs can be registered free of charge, market users can reduce gas costs for registration or transaction of digital asset NFTs,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sh (card or account deposit) Or, since it is possible to pay for the gas cost of the digital asset NFT in legal currency such as foreign currency (Paypal paymen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easy and simple user interface without complicated procedures such as connecting to an electronic wallet that was previously required when using cryptocurrency.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public services for NFT transactions (transfer or sale or transfer or inheritance), exhibition or publicity, protection or copyright infringement monitoring, etc.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transformation is possible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grasp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 said to belong to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11 : 마스터 노드
12 : 구성원 노드10 :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11 : Master node
 12: member nod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033883AKR102500458B1 (en) | 2022-03-18 | 2022-03-18 |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asset market service using NFT technology based on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033883AKR102500458B1 (en) | 2022-03-18 | 2022-03-18 |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asset market service using NFT technology based on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500458B1true KR102500458B1 (en) | 2023-02-16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033883AActiveKR102500458B1 (en) | 2022-03-18 | 2022-03-18 |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asset market service using NFT technology based on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500458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6383875A (en)* | 2023-03-22 | 2023-07-04 | 深圳市明源云科技有限公司 | Data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equipment for property right transaction and storage medium thereof | 
| KR102671227B1 (en)* | 2023-12-26 | 2024-06-03 | 주식회사 빅스터 | Automatic authentication method for ownership of continuously usable NFT ticket based on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 
| WO2024210264A1 (en)* | 2023-03-06 | 2024-10-10 | 티쓰리큐 주식회사 |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 development server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 development method | 
| KR102772362B1 (en)* | 2024-07-05 | 2025-02-26 | 주식회사 서티라이프 | Server and method for issuing digital medical warranty certificate | 
| KR102784894B1 (en)* | 2024-05-31 | 2025-03-25 | 현대카드 주식회사 |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services related to nft that represents ticket | 
| KR102869643B1 (en)* | 2025-06-02 | 2025-10-15 | 김대엽 | Method, server and terminal for supporting management of dental implant information independently of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10025634A (en)* | 2001-01-12 | 2001-04-06 | 고승훈 | System for marketing commodities utilizing image work and method thereof | 
| KR20200012634A (en)* | 2018-07-27 | 2020-02-05 | 주식회사 디쓰리디 | System for profit distribution of design copyright of clothes fashion based on block chain and method of the same | 
| KR20210034934A (en)* | 2019-09-23 | 2021-03-31 |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 Electronic voting service platform technology and implementation method for apartment residents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 
| KR102269753B1 (en) | 2019-08-16 | 2021-06-28 |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 Method for performing backup and recovery private key in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and device using them | 
| KR102286301B1 (en) | 2018-11-27 | 2021-08-09 | 어드밴스드 뉴 테크놀로지스 씨오., 엘티디. | Asymmetric Key Management in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s | 
| KR20210136589A (en)* | 2020-05-08 | 2021-11-17 | (주)세정아이앤씨 | Device,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managing access authority of data using blockchain | 
| KR102343025B1 (en) | 2021-10-05 | 2021-12-24 | (주) 모로보기 | Method of trading digital art based on non-fungible token and method of trading goods using thereof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10025634A (en)* | 2001-01-12 | 2001-04-06 | 고승훈 | System for marketing commodities utilizing image work and method thereof | 
| KR20200012634A (en)* | 2018-07-27 | 2020-02-05 | 주식회사 디쓰리디 | System for profit distribution of design copyright of clothes fashion based on block chain and method of the same | 
| KR102286301B1 (en) | 2018-11-27 | 2021-08-09 | 어드밴스드 뉴 테크놀로지스 씨오., 엘티디. | Asymmetric Key Management in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s | 
| KR102269753B1 (en) | 2019-08-16 | 2021-06-28 |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 Method for performing backup and recovery private key in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and device using them | 
| KR20210034934A (en)* | 2019-09-23 | 2021-03-31 |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 Electronic voting service platform technology and implementation method for apartment residents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 
| KR20210136589A (en)* | 2020-05-08 | 2021-11-17 | (주)세정아이앤씨 | Device,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managing access authority of data using blockchain | 
| KR102343025B1 (en) | 2021-10-05 | 2021-12-24 | (주) 모로보기 | Method of trading digital art based on non-fungible token and method of trading goods using thereof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4210264A1 (en)* | 2023-03-06 | 2024-10-10 | 티쓰리큐 주식회사 |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 development server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 development method | 
| CN116383875A (en)* | 2023-03-22 | 2023-07-04 | 深圳市明源云科技有限公司 | Data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equipment for property right transaction and storage medium thereof | 
| KR102671227B1 (en)* | 2023-12-26 | 2024-06-03 | 주식회사 빅스터 | Automatic authentication method for ownership of continuously usable NFT ticket based on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 
| KR102784894B1 (en)* | 2024-05-31 | 2025-03-25 | 현대카드 주식회사 |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services related to nft that represents ticket | 
| KR102772362B1 (en)* | 2024-07-05 | 2025-02-26 | 주식회사 서티라이프 | Server and method for issuing digital medical warranty certificate | 
| KR102869643B1 (en)* | 2025-06-02 | 2025-10-15 | 김대엽 | Method, server and terminal for supporting management of dental implant information independently of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500458B1 (en) |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asset market service using NFT technology based on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 |
| JP7733709B2 (en) | Blockchain-based tokenization exchange | |
| US11720887B1 (en) |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depositing and withdrawing stable value digital assets in exchange for fiat | |
| US20220198418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commerce in a distributed system with blockchain protocols and smart contracts | |
| US20220391887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enance of NFT Assets | |
| CN109479004B (en) | System and method for block chain implementation | |
| US20190340607A1 (en) | System for central authority-permissioned transfer of blockchain tokens | |
| JP2022088560A (en) | Computer-implemented methods and systems that validate tokens for blockchain-based cryptocurrencies | |
| CN111967860B (en) | Transaction system, method and node in transaction system | |
| US6938019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ecure electronic payments | |
| WO2022224585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 |
| CN115641131A (en) |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transfer of entities over a blockchain | |
| CN110275925B (en) | Virtual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block chain | |
| JP2001524233A (en) | Virtual property system | |
| US12361488B2 (en) |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ompliance aware tokenization and control of asset value | |
| KR102450412B1 (en) | Service level agreement-based sharing economy service provision system and method in the Internet of Things | |
| CN112232828A (en) | Power grid data transaction method and system | |
| CN112418851A (en) | Digital copyright registration, transaction and protection method and system | |
| CN114493610B (en) | Digital product distribution and hosting method and equipment | |
| KR102635489B1 (en)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sset based on blockchain | |
| KR102671227B1 (en) | Automatic authentication method for ownership of continuously usable NFT ticket based on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 |
| US20240249275A1 (en) | Group signatures for a smart wallet on a blockchain platform | |
| Li et al. | A fair, verifiable and privacy-protecting data outsourcing transaction scheme based on smart contracts | |
| Ai et al. | B2IPTS: A blockchain-based intellectual property transaction framework | |
| KR102365823B1 (en) | System for transacting of transaction charge by depositing virtual currency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220318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20220405 Patent event code:PA03022R01D Comment text: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20220318 Patent event code:PA03021R01I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20621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221124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30213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230213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