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inat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등의 평면 형상 디스플레이 패널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평면 형상 디스플레이 패널 표면에는 복수의 필름이 적층된 적층체가 점착되어 있다. 예를 들면, LCD는 액정 패널의 표면에 편광판, 위상차판, 시야각 확대 필름 및 휘도 개선 필름 등의 광학 필름이 적층될 수 있다. 또한, 평면 형상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는 각 층은 각종 점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층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As a display panel, a flat display panel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and a plasma display panel (PDP) is mainly used. Usually, a laminate in which a plurality of films are laminated is adhered to the surface of a flat-panel display panel. For example, in an LCD, an optical film such as a polarizing plate, a retardation plate, a viewing angle expansion film, and a luminance improving film may be laminated on the surface of a liquid crystal panel. In addition, each layer constituting the flat display panel may be bonded by an adhesive layer formed of various adhesives.
최근에는 평면 형상 디스플레이의 디자인성, 사용 방법의 등이 다양화 됨에 따라, 이를 곡면 디스플레이 또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등에 적용하기 위한 특성도 요구되고 있다. 곡면 디스플레이 또는 가요성 디스플레이로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슨스(electroluminescence) 패널(OLED)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Recently, as the design and usage of flat-panel displays have diversified, characteristics for applying them to curved displays or flexible displays are also required. As a curved display or a flexible display,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panel (OLED) is mainly used.
이러한 곡면 디스플레이 또는 가요성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광학 필름, 및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에 의해서 적층된 광학 필름 적층체 등에는 평면 형상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요구되는 광학특성 및 내구성뿐만 아니라, 광학 필름을 변형시킨 상태에서 장시간 유지하거나 또는 굴곡 시험을 수행하는 경우에서도 박리나 들뜸이 발생하지 않는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An optical film used in such a curved display or flexible display, and an optical film laminate laminated by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etc. have not only the optical characteristics and durability required for a flat-shaped display panel, but also in a state where the optical film is deformed. Even when holding for a long time or performing a bending test, there is a demand for properties that do not cause peeling or lifting.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5228호에는 베이스 수지; 및 다관능성 가교제를 포함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킨 점착제 조성물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나, 이와 같이 다관능성 가교제를 포함하는 경우 후막화가 어려워 곡면 디스플레이 또는 가요성 디스플레이에서 발생하는 굴곡응력에 대한 저항력이 부족한 문제가 있다.In this regar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25228 discloses a base resin;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having improved durability by including a multifunctional crosslinking agent has been described. However, when the multifunctional crosslinking agent is included, it is difficult to thick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resulting in insufficient resistance to bending stress occurring in curved displays or flexible displays.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굴곡응력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하여 곡면 디스플레이 또는 가요성 디스플레이에 적용이 용이한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minate having excellent resistance to bending stress and thus easily applied to a curved display or a flexible display, and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적층체는 굴곡직경 3R로 굴곡시켰을 때의 굴곡응력이 100MPa 이하인 광학 부재; 상기 광학 부재의 적어도 일 면 상에 하기 측정방법으로 측정된 전단력이 60N/cm2 이상인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optical member having a bending stress of 100 MPa or less when bent to a bending diameter of 3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shear forc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optical member is 60 N/cm2 or mo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전단력 측정방법><Method of measuring shear force>
a) PET 기재의 일 면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상기 기재가 부착되지 않은 점착제층의 다른 일 면 상에 유리 기판을 부착하여 샘플을 제작한다.a)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formed on one surface of a PET substrate, and a glass substrate is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 which the substrate is not attached to prepare a sample.
b) 상기 샘플을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방치한 후, 100℃의 온도조건에서 0.8mm/sec의 속도로 전단력을 측정한다.b) After leaving the sample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shear force is measured at a rate of 0.8 mm/sec under a temperature condition of 100°C.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표시장치는 전술한 적층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aforementioned laminated body.
본 발명의 적층체는 굴곡응력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점착제층을 포함함으로써, 곡면 화상표시장치 또는 가요성 화상표시장치에 적용이 유리하며, 내열성 또는 내습열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The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excellent resistance to bending stress, so that it is advantageously applied to a curved image display device or a flexible image display device, and has excellent heat resistance or moisture-heat resista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표시장치는 상기 적층체를 포함함으로써 곡면 화상표시장치 또는 가요성 화상표시장치일 수 있으며, 내열성 또는 내습열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urved image display device or a flexible image display device by including the laminate, and has an advantage of excellent heat resistance or moisture resistance.
도 1은 본 발명의 적층체의 구성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는 시편이 부착된 테프론이 코팅되어 있는 알루미늄 치구의 모습을 도식화한 것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configuration of the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luminum jig coated with Teflon to which a specimen is attached.
본 발명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member is said to be locat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a case where a member is in contact with another member, but also a case where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he two members.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적층체laminate>>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른 적층체는 굴곡직경 3R로 굴곡시켰을 때의 굴곡응력이 100MPa 이하인 광학 부재 및 상기 광학 부재의 적어도 일 면 상에 하기 측정방법으로 측정된 전단력이 60N/cm2 이상인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곡면 디스플레이 또는 가요성 디스플레이의 경우, 내부에 포함되는 광학 부재가 절곡된 상태로 유지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절곡된 광학 부재에는 굴곡직경 3R로 굴곡시켰을 때 최대 100MPa 이하의 굴곡응력(휨 응력, bending stress)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굴곡응력이 발생한 절곡된 광학 부재의 일 면 상에 사용자 내지 제조자의 필요에 의해 또 다른 층이 적층될 수 있는데,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은 저장탄성률을 만족하는 점착제층을 이용하는 경우 점착제층의 높은 전단응력으로 인해 굴곡응력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됨으로써, 상기 절곡된 광학 부재 상에 적층되는 층을 박리나 들뜸 없이 안정적으로 적층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내열성 또는 내습열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A laminat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ptical member having a bending stress of 100 MPa or less when bent at a bending diameter of 3R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shear force of 60 N/cm2 or mor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optical member includes In the case of a curved display or flexible display, the optical member included therein is maintained in a bent state. At this time, the bent optical member has a bending stress of up to 100 MPa or less when bent with a bending diameter of 3R (bending stress, bending stress) occurs. As described above, another layer may be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bent optical member where the bending stress occur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or manufacturer. At this time, when us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satisfying the storage modulus as described abov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y improving the resistance to bending stress due to the high shear stress of th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ayer to be laminated on the bent optical member can be stably laminated without peeling or lifting, and has an advantage of excellent heat resistance or heat resistance.
<전단력 측정방법><Method of measuring shear force>
a) PET 기재의 일 면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상기 기재가 부착되지 않은 점착제층의 다른 일 면 상에 유리 기판을 부착하여 샘플을 제작한다.a)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formed on one surface of a PET substrate, and a glass substrate is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 which the substrate is not attached to prepare a sample.
b) 상기 샘플을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방치한 후, 100℃의 온도조건에서 0.8mm/sec의 속도로 전단력을 측정한다.b) After leaving the sample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shear force is measured at a rate of 0.8 mm/sec under a temperature condition of 100°C.
점착제층adhesive layer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른 점착제층은 상기 측정방법으로 측정된 전단력이 60N/c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ear force measured by the above measuring method is 60 N/cm2 or mor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층체가 상기 범위 내의 전단력을 갖는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경우, 곡면 디스플레이 또는 가요성 디스플레이에 포함되는 절곡된 광학 부재의 굴곡응력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됨으로써, 상기 절곡된 광학 부재 상에 적층되는 층을 박리나 들뜸 없이 안정적으로 적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 때, 상기 광학 부재 상에 적층되는 또 다른 층은 당업계에서 제조자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그 구성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일 예로서 반사방지, 대전방지, 하드코팅 등의 각종 기능성 보호필름을 들 수 있으나,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shear force within the above range, the resistance to bending stress of the bent optical member included in the curved display or flexible display is improved, thereby improving the bent optical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layer to be laminated on the member can be stably laminated without peeling or lifting. At this time, another layer laminated on the optical member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eeds of manufacturers or users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pecifically limit its configuration, and as an example, antireflection, antistatic, Various functional protective films such as hard coating may be used, but as mentioned above, i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50 내지 50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50 to 500 μm, preferably 100 to 200 μm.
점착제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광학 부재의 굴곡응력에 대한 저항성이 부족하여 상기 광학 부재 상에 적층되는 층이 박리, 들뜨는 현상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이를 포함하는 전체 적층체 또는 화상표시장치가 두꺼워져 박형화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resistance to the bending stress of the optical member is insufficient, and problems such as peeling and lifting of the layer laminated on the optical member may occur, and when it exceeds the above range, this A problem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entire laminate or the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thinning becomes difficult may occur.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점착제층은 후술할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include a cured product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o be described later.
점착제 조성물adhesive compos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아크릴계 중합체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include an acrylate-based monomer, an acryl-based polymer, and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아크릴레이트계acrylate type 모노머 monomer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점착제 조성물에 내구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저장탄성률을 유지하도록 하며, 무용매형인 점착제 조성물을 희석하여 점도를 조절함으로써 도공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성분이다.The acrylate-based monomer imparts durability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hile maintaining storage modulus, and is a component that can be easily coated by diluting the non-solvent 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o adjust the viscosity.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 광중합에 의해 경화 가능한 1 내지 6관능성 모노머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틸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타)아크릴레이트, n-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4-메틸-2-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2-도데실티오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퍼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의 1관능성 모노머; 1,3-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디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인산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알릴화 시클로헥실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올디시클로펜탄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헥사히드로프탈산디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디아크릴레이트, 아다만탄디아크릴레이트 등의 2관능성 모노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글리세롤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3관능성 모노머; 디글리세린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4관능성 모노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5관능성 모노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6관능성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테트라히드로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가 전단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type of the acrylate mon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usually includes mono- to hexa-functional monomers that can be cured by photopolymerization. Specifically, n-butyl (meth) acrylate, 2-butyl (meth) acrylate, t-butyl (meth) acrylate, isobutyl (meth) acrylate, hexyl (meth) acrylate, 2-ethylhexyl (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methyl (meth)acrylate, n-propyl (meth)acrylate, isopropyl (meth)acrylate, pentyl (meth)acrylate, n-octyl (meth)acrylate rate, isooctyl (meth)acrylate, 2-methylbutyl (meth)acrylate, n-nonyl (meth)acrylate, isononyl (meth)acrylate, isoamyl (meth)acrylate, n-decyl (meth)acrylate )Acrylate, isodecyl (meth)acrylate, isobornyl (meth)acrylate, 4-methyl-2-pentyl (meth)acrylate, dodecyl (meth)acrylate, 2-dodecylthioethyl (meth) Acrylate, 2-ethoxyethyl (meth)acrylate, 2-methoxyethyl (meth)acrylate, hydroxyethyl (meth)acrylate, hydroxypropyl (meth)acrylate, hydroxybutyl (meth)acryl allyl (meth)acrylate, stearyl (meth)acrylate, phenoxyethyl (meth)acrylate, tetrafurfuryl (meth)acrylate, tetrahydrofuryl (meth)acrylate, acryloylmorpholine, etc. A monofunctional monomer of; 1,3-butanedioldi(meth)acrylate, 1,4-butanedioldi(meth)acrylate, 1,6-hexanedioldi(meth)acrylate, 2-butyl-2-ethyl-1,3-propane Diol diacrylate, 1,9-nonanediol diacrylate,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bisphenol A-ethylene glycol diacrylate, d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Acrylates, tetr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propylene glycol di(meth)acrylate, dipropylene glycol di(meth)acrylate, tripropylene glycol di(meth)acrylate, neopentyl glycol di(meth)acrylate rate, dicyclopentanyldi(meth)acrylate, caprolactone-modified dicyclopentenyldi(meth)acrylate, ethylene oxide-modified phosphoric acid di(meth)acrylate, bis(2-hydroxyethyl)isocyanurate di( meth)acrylate, di(acryloxyethyl)isocyanurate, allylated cyclohexyl di(meth)acrylate, dimethylol dicyclopentane diacrylate, ethylene oxide modified hexahydrophthalic acid diacrylate, tricyclodecane dimethanol bifunctional monomers such as acrylate, neopentyl glycol-modified trimethylolpropane diacrylate, and adamantane di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pentaerythritol tri(meth)acrylate, dipentaerythritol tri(meth)acrylate, propionic acid modified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propylene oxide modified trimethylolpropane tri trifunctional monomers such as (meth)acrylate, tris(2-hydroxyethyl)isocyanurate tri(meth)acrylate, tris(acryloxyethyl)isocyanurate, and glycerol tri(meth)acrylate; tetrafunctional monomers such as diglycerin tetra(meth)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meth)acrylate, ditrimethylolpropanetetra(meth)acrylate, and tetramethylolpropanetetra(meth)acrylate; Pentafunctional monomers such as dipentaerythritol penta(meth)acrylate and propionic acid-modified dipentaerythritol penta(meth)acrylate; and hexafunctional monomers such as dipentaerythritol hexa(meth)acrylate and caprolactone-modified dipentaerythritol hexa(meth)acrylate. Among them, tetrahydrofuryl (meth) acrylate, 2-ethylhexyl (meth) acrylate, and isobornyl (meth) acrylate can be preferably used because they can improve shear force, and these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can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의 함량은 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7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30 내지 70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40 내지 6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될 경우 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가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고, 도공성이 좋아 경화 수축 등의 문제가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content of the acrylate-based monomer may be included in 15 to 70% by weight, specifically 30 to 70% by weight, more specifically 40 to 60% by weight,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entir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 When the content of the acrylate-based monomer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can be sufficiently cured, and problems such as curing shrinkage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due to good coatability.
아크릴계 중합체acrylic polymer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직쇄형, 분지형 또는 지환식 알킬기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단량체(b1) 50 내지 100중량부 및 극성 단량체(b2) 1 내지 20중량부를 포함하여 공중합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극성 단량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저온에서의 밀착력이 증가하여 세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rylic polymer includes 50 to 100 parts by weight of an acrylic monomer (b1) containing a straight-chain, branched or alicyclic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nd 1 to 20 parts by weight of a polar monomer (b2). It may be copolymerized by doing so. At this time, when the content of the polar monomer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 adhesion at low temperature may increase and deterioration may occur.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는 구체적으로,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들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메트)아크릴산 메틸, (메트)아크릴산 에틸, (메트)아크릴산 프로필, (메트)아크릴산 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산n-부틸, (메트)아크릴산 이소부틸, (메트)아크릴산s-부틸, (메트)아크릴산t-부틸, (메트)아크릴산 펜틸, (메트)아크릴산 이소펜틸, (메트)아크릴산 헥실, (메트)아크릴산 헵틸, (메트)아크릴산 옥틸, (메트)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 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 노닐, (메트)아크릴산 이소노닐, (메트)아크릴산 데실, (메트)아크릴산 이소데실, (메트)아크릴산 운데실, (메트)아크릴산 도데실, (메트)아크릴산 트리데실, (메트)아크릴산 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산 펜타데실, (메트)아크릴산 헥사데실, (메트)아크릴산 헵타데실, (메트)아크릴산 옥타데실, (메트)아크릴산 노나데실, (메트)아크릴산 에이코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아크릴」 및 「메타크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The acrylic monomer may specifically include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and more specifically, (meth)acrylate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ic acid propyl, (meth)acrylic acid isopropyl, (meth)acrylic acid n-butyl, isobutyl (meth)acrylate, s-butyl (meth)acrylate, t-butyl (meth)acrylate, pentyl (meth)acrylate, isopentyl (meth)acrylate, hexyl (meth)acrylate, (meth)acrylic acid Heptyl, octyl (meth)acrylate, 2-ethylhexyl (meth)acrylate, isooctyl (meth)acrylate, nonyl (meth)acrylate, isononyl (meth)acrylate, decyl (meth)acrylate, isodecyl (meth)acrylate, (meth)acrylate undecyl, (meth)acrylate dodecyl, (meth)acrylate tridecyl, (meth)acrylate tetradecyl, (meth)acrylate pentadecyl, (meth)acrylate hexadecyl, (meth)acrylate heptadecyl, ( Octadecyl meth)acrylate, nonadecyl (meth)acrylate, eicosyl (meth)acrylate, etc. are mentioned. These (meth)acrylic acid alkyl ester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meth)acryl" shall show a "acryl" and/or "methacryl" (either one or both of "acryl" and "methacryl").
상기 극성 단량체는 적어도 1종 이상의 극성기와 함께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포함하는 단량체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이들의 산 무수물(예를 들어,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산 무수물 함유 단량체)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 3-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 4-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 5-부톡시메틸, (메트)아크릴산 5-히드록시펜틸, (메트)아크릴산 6-히드록시헥실, 비닐알코올, 알릴알코올, 히드록시 시클로헥실페닐 케톤 등의 수산기(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 (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톡시 메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 메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t-부틸아미노에틸 등의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글리시딜, (메트)아크릴산 메틸글리시딜 등의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아노기 함유 단량체; N-비닐-2-피롤리돈,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N-비닐피페리돈, N-비닐피페라진, N-비닐피롤, N-비닐이미다졸 등의 복소환 함유 비닐계 단량체; 비닐술폰산 나트륨 등의 술폰산기 함유 단량체;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 등의 인산기 함유 단량체;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이소프로필 말레이미드 등의 이미드기 함유 단량체;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단량체 등을 들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광학부재와 함께 사용시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메트)아크릴산 5-히드록시펜틸(5-히드록시펜틸 아크릴레이트 라고도 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polar monomer is composed of a monomer containing a polymerizable unsaturated bond together with at least one polar group, specifically (meth)acrylic acid, itaconi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 crotonic acid, isocrotonic acid, and acids thereof.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anhydrides (eg, acid anhydride-containing monomers such as maleic anhydride and itaconic anhydride); 2-hydroxyethyl (meth)acrylate, 3-hydroxypropyl (meth)acrylate, 4-hydroxybutyl (meth)acrylate, 5-butoxymethyl (meth)acrylate, 5-hydroxypentyl (meth)acrylate, hydroxyl group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6-hydroxyhexyl (meth)acrylate, vinyl alcohol, allyl alcohol, and hydroxycyclohexylphenyl ketone; (meth)acrylamide, N,N-dimethyl (meth)acrylamide, N-methylol (meth)acrylamide, N-methoxy methyl (meth)acrylamide, N-butoxy methyl (meth)acrylamide, N - amide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hydroxyethyl (meth)acrylamide; amino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aminoethyl (meth)acrylate, 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and t-butylaminoethyl (meth)acrylate; epoxy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glycidyl (meth)acrylate and methylglycidyl (meth)acrylate; cyano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acrylonitrile and methacrylonitrile; Heterocycle-containing vinyl monomers such as N-vinyl-2-pyrrolidone, (meth)acryloylmorpholine, N-vinylpiperidone, N-vinylpiperazine, N-vinylpyrrole, and N-vinylimidazole ; sulfonic acid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sodium vinylsulfonate; phosphoric acid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2-hydroxyethyl acryloyl phosphate; imide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cyclohexyl maleimide and isopropyl maleimide; and isocyanate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2-methacryloyloxyethyl isocyan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th)acrylic acid can further improve durability when used together with the optica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desirable to include 5-hydroxypentyl (also referred to as 5-hydroxypentyl acrylate).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의 코팅 시 필요한 점도를 조절하기 용이하다는 점에서 10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와 아크릴계 중합체의 함량비는 1:1 내지 5:1인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acrylic polymer is preferably 1 million or less in that it is easy to adjust the viscosity required for coa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nd the acrylate-based monomer and the acrylic polymer The content ratio is preferably 1:1 to 5:1.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전술한 각 단량체에 광중합 개시제를 투입하여 일부 또는 전부를 경화시켜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이를 아크릴 시럽이라 지칭할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광중합 개시제의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하는 광중합 개시제의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서로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도, 서로 상이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acrylic polymer may be formed by injecting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to each of the aforementioned monomers and partially or entirely curing the polymer, which may be referred to as acrylic syrup. The specific composition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used at this time may be identically applied to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same or different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s may be used.
광중합light polymerization개시제initiator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동 업계에서 광중합 개시제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벤조인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 광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 티오크산톤계 광중합 개시제, 아실포스핀옥시드계 광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it is used a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 the industry,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 aromatic sulfonylchlorid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photoactive oxim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benzoin-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benzyl-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benzophenon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ketal-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thioxanthon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cylphosphine oxid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etc. can be mentioned.
상기 벤조인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인 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프로필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 에테르, 벤조인 이소부틸에테르,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아니솔메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xamples of the benzoin ether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benzoin methyl ether, benzoin ethyl ether, benzoin propyl ether, benzoin isopropyl ether, benzoin isobutyl ether, and 2,2-dimethoxy-1,2- diphenylethane-1-one, anisole methyl ether,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상기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4-페녹시디클로로아세토페논, 4-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메톡시 아세토페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메틸-2-히드록시 프로피오페논, 1-[4-(2-히드록시에틸)-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xamples of the acetophenon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1-hydroxycyclohexylphenyl ketone, 4-phenoxydichloroacetophenone, 4-t-butyl-dichloroacetophenone, 1-[4-(2-hydroxyethoxy )-phenyl]-2-hydroxy-2-methyl-1-propan-1-one, 2-hydroxy-2-methyl-1-phenyl-propan-1-one, methoxy acetophenone, etc. . Examples of the α-ketol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2-methyl-2-hydroxypropiophenone and 1-[4-(2-hydroxyethyl)-phenyl]-2-hydroxy-2-methylpropane- 1-one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상기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나프탈렌술포닐 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xamples of the aromatic sulfonyl chlorid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2-naphthalenesulfonyl chloride and the like.
상기 광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1-페닐-1,1-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르보닐)-옥심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xamples of the photoactive oxim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1-phenyl-1,1-propanedione-2-(o-ethoxycarbonyl)-oxime.
상기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는, 예를 들어 벤조인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는, 예를 들어 벤질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에는, 예를 들어 벤조페논, 벤조일벤조산,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폴리비닐 벤조페논, α-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benzoin-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s, for example, benzoin, and the benzyl-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s, for example, benzyl, and the benzophenon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s, for example, benzophenone, benzoyl benzoic acid, 3,3'-dimethyl-4-methoxybenzophenone, polyvinyl benzophenone, α-hydroxycyclohexylphenyl ketone,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상기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는, 예를 들어 벤질디메틸케탈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티오크산톤계 광중합 개시제는, 예를 들어 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클로로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도데실 티오크산톤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xamples of the ketal-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benzyldimethylketal, and the like, and examples of the thioxanthon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thioxanthone, 2-chlorothioxanthone, 2-methylthioxanthone, and 2-methylthioxanthone. ,4-dimethylthioxanthone, isopropylthioxanthone, 2,4-dichlorothioxanthone, 2,4-diethylthioxanthone, isopropylthioxanthone, 2,4-diisopropylthioxanthone, Dodecyl thioxanthone, etc. may be mention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아실포스핀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페닐 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 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n-부틸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 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1-메틸프로판-1-일) 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t-부틸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 시클로헥실 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 옥틸 포스핀옥시드, 비스(2-메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 포스핀옥시드, 비스(2-메톡시벤조일)(1-메틸프로판-1-일) 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에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 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에톡시벤조일)(1-메틸프로판-1-일) 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부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 포스핀옥시드, 비스(2,4-디메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 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4-디펜톡시 페닐) 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 벤질 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페닐프로필 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페닐에틸 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 벤질 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페닐프로필 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페닐에틸 포스핀옥시드, 2,6-디메톡시벤조일벤질부틸 포스핀옥시드, 2,6-디메톡시벤조일벤질옥틸 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5-디이소프로필페닐 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메틸페닐 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4-메틸페닐 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5-디에틸페닐 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3,5,6-테트라메틸페닐 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4-디-n-부톡시페닐 포스핀옥시드,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 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 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 이소부틸 포스핀옥시드, 2,6-디메톡시벤조일-2,4,6-트리메틸벤조일-n-부틸 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 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4-디부톡시페닐 포스핀옥시드, 1,10-비스[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 포스핀옥시드]데칸, 트리(2-메틸벤조일) 포스핀옥시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xamples of the acylphosphin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bis(2,6-dimethoxybenzoyl)phenyl phosphine oxide, bis(2,6-dimethoxybenzoyl)(2,4,4-trimethylpentyl) phosphine oxide, Bis(2,6-dimethoxybenzoyl)-n-butylphosphineoxide, bis(2,6-dimethoxybenzoyl)-(2-methylpropan-1-yl)phosphineoxide, bis(2,6-dimethine Toxybenzoyl)-(1-methylpropan-1-yl) phosphineoxide, bis(2,6-dimethoxybenzoyl)-t-butylphosphineoxide, bis(2,6-dimethoxybenzoyl) cyclohexyl phosphineoxide Seed, bis(2,6-dimethoxybenzoyl) octyl phosphineoxide, bis(2-methoxybenzoyl)(2-methylpropan-1-yl)phosphineoxide, bis(2-methoxybenzoyl)(1- Methylpropan-1-yl) phosphineoxide, bis(2,6-diethoxybenzoyl)(2-methylpropan-1-yl)phosphineoxide, bis(2,6-diethoxybenzoyl)(1-methylpropane -1-yl) phosphine oxide, bis (2,6-dibutoxybenzoyl) (2-methylpropan-1-yl) phosphine oxide, bis (2,4-dimethoxybenzoyl) (2-methylpropan-1 -yl) phosphine oxide, bis (2,4,6-trimethylbenzoyl) (2,4-dipentoxy phenyl) phosphine oxide, bis (2,6-dimethoxybenzoyl) benzyl phosphine oxide, bis (2, 6-dimethoxybenzoyl)-2-phenylpropyl phosphine oxide, bis(2,6-dimethoxybenzoyl)-2-phenylethyl phosphine oxide, bis(2,6-dimethoxybenzoyl) benzyl phosphine oxide, bis (2,6-dimethoxybenzoyl)-2-phenylpropyl phosphine oxide, bis(2,6-dimethoxybenzoyl)-2-phenylethyl phosphine oxide, 2,6-dimethoxybenzoylbenzylbutyl phosphine oxide, 2,6-dimethoxybenzoylbenzyloctyl phosphineoxide, bis(2,4,6-trimethylbenzoyl)-2,5-diisopropylphenyl phosphineoxide, bis(2,4,6-trimethylbenzoyl)-2 -Methylphenyl phosphine oxide, bis(2,4,6-trimethylbenzoyl)-4-methylphenyl phosphine oxide, bis(2,4,6-trimethylbenzoyl)-2,5-diethylphenyl phosphine oxide, bis( 2,4,6-trimethylbenzoyl)-2,3,5,6-tetramethylphenyl phosphine oxide, bis(2,4,6-trimethylbenzoyl)-2,4-di-n-butoxyphenyl phosphine oxide , 2,4,6-trimethylbenzoyl Diphenyl phosphine oxide, bis(2,6-dimethoxybenzoyl)-2,4,4-trimethylpentyl phosphine oxide, bis(2,4,6-trimethylbenzoyl) isobutyl phosphine oxide, 2,6- Dimethoxybenzoyl-2,4,6-trimethylbenzoyl-n-butyl phosphineoxide, bis(2,4,6-trimethylbenzoyl)phenylphosphineoxide, bis(2,4,6-trimethylbenzoyl)-2, 4-dibutoxyphenyl phosphine oxide, 1,10-bis [bis (2,4,6-trimethylbenzoyl) phosphine oxide] decane, tri (2-methylbenzoyl) phosphine oxide, and the like, but are limited thereto. it is not going to be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이와 함께 포함되는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3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될 경우 중합반응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고, 생성되는 중합체의 분자량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어 형성되는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included in the range of 0.01 to 3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polymer included therewith. When the amount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s included within the above range, a polymerization reaction can be sufficiently performed, and a decrease in the molecular weight of the resulting polymer can be suppressed, thereby securing cohesive strength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ve.
첨가제additive
상기 첨가제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가교 촉진제, 실란 커플링제, 노화 방지제, 착색제(안료, 염료 등),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연쇄 이동제, 가소제, 연화제, 대전 방지제, 용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additives may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according to the user's purpose within the scope of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pecifically, a crosslinking accelerator, a silane coupling agent, an anti-aging agent, a colorant (pigment, dye, etc.), an ultraviolet absorber, antioxidants, chain transfer agents, plasticizers, softeners, antistatic agents, solvents,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층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폴리아미드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불소게 점착제, 에폭시계 점착제 등의 다른 점착제가 함유될 수도 있으며,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 exampl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s,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vinylalkyl eth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silicone-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polyest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polyamide-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and urethane-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within the range capable of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adhesives such as adhesives, fluorinated adhesives, and epoxy-based adhesives may be contained, and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광학 부재optical member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른 적층체는 굴곡직경 3R로 굴곡시켰을 때 굴곡 응력이 100MPa 이하인 광학 부재를 포함한다.A laminat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tical member having a bending stress of 100 MPa or less when bent with a bending diameter of 3R.
상기 광학 부재의 각 구성층에 대해서는 당업계에서 화상표시장치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광학 부재 구성층들을 사용자 혹은 제조자의 필요에 따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For each component layer of the optical member, various optical member component layers used to construct an image display device in the art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ccording to the needs of a user or manufacturer.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광학 부재는 윈도우 필름, 터치센서층 및 디스플레이 패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구체적으로 편광판 또는 액정 패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액정 패널은 보다 구체적으로 OLED(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memb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window film, a touch sensor layer, and a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panel may specifically include a polarizing plate or a liquid crystal panel, , The liquid crystal panel may include, more specifically, a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OLED) pane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구체적으로, 편광판 또는 액정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구체적으로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편광자는 입사하는 자연광을 원하는 단일 편광상태(선평광 상태)로 바꿔주는 역할을 하는 광학필름으로서, 상기 편광자는 당 업계에서 사용되는 편광자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일 예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로 된 필름에 2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splay panel may include a polarizing plate or a liquid crystal panel. The polarizing plate may specifically include a polarizer. In this case, the polarizer is an optical film that serves to change incident natural light into a desired single polarization state (linear polarization state), and the polarizer is a polarizer used in the art. It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nd for example, a film made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may be used.
구체적으로, 상기 편광자를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의 예로는, 아세트산 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이외에, 아세트산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트산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불포화 카르복시산류, 불포화 술폰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변성된 것일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 포르말 또는 폴리비닐아세탈 등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 내지 100몰%, 바람직하게는 98몰% 이상일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 내지 10,000,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5,000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constituting the polarizer may be prepared by saponifying a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Examples of polyvinyl acetate-based resins include polyvinyl acetate, which i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copolymers of vinyl acetate and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with vinyl acetate. Specific examples of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with vinyl acetate includ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unsaturated sulfonic acids, olefins, vinyl ethers, and acrylamides having an ammonium group. In addition,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may be modified, for example, polyvinyl formal or polyvinyl acetal modified with aldehydes may also be used. The degree of saponific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may be usually 85 to 100 mol%, preferably 98 mol% or more. In addition, the polymerization degre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may be usually 1,000 to 10,000, preferably 1,500 to 5,000.
이러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막으로 형성시켜 편광자로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막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This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may be formed into a film and used as a polarizer, and a method for forming a film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various known methods may be used.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막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10 내지 150㎛일 수 있다.The film thickness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10 to 150 μm.
상기 편광자는 통상 상기와 같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일축연신하는 공정,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여 흡착시키는 공정,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수세와 건조하는 공정을 경유하여 제조될 수 있다.The polarizer may be manufactured through a process of uniaxially stretch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as described above, a process of dyeing and adsorbing a dichroic dye, a process of treating with an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and a process of washing and drying.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일축연신하는 공정은 염색 전에 수행, 염색과 동시에 수행 또는 염색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일축연신이 염색 후에 수행되는 경우에는 붕산 처리 전 또는 붕산 처리 중에 수행될 수도 있다. 물론, 이들 각각이 조합된 복수개의 단계로 일축 연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축 연신은 주속이 다른 롤 또는 열롤을 사용할 수 있으며, 대기 중에서 연신하는 건식 연신일 수도 있고 용매로 팽윤시킨 상태에서 연신하는 습식 연신일 수도 있다. 연신비는 통상 3 내지 8배일 수 있다.The process of uniaxially stretch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may be performed before dyeing, simultaneously with dyeing, or after dyeing. When uniaxial stretching is performed after dyeing, it may be performed before or during boric acid treatment.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uniaxial stretching in a plurality of steps in which each of these is combined. Uniaxial stretching may use rolls or hot rolls having different circumferential speeds, and may be dry stretching performed in the air or wet stretching performed in a solvent-swollen state. The stretching ratio may be usually 3 to 8 times.
상기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는 공정은 예를 들면 이색성 색소를 함유하는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침지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이색성 색소의 구체적인 예로는 요오드 또는 이색성 유기염료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염색 전에 물에 미리 침지하여 팽윤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the step of dyeing the stretched polyvinyl alcohol-based film with a dichroic dye, for example, a method of dipp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dichroic dye may be used. As a specific example of the dichroic dye, iodine or a dichroic organic dye may be used. In addition, it may be preferable to swell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by dipping it in water before dyeing.
상기 이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요오드 및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염색용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침지하여 염색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통상 염색용 수용액에서의 요오드의 함량은 물(증류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중량부일 수 있고, 요오드화칼륨의 함량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염색용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20 내지 40℃일 수 있고, 침지시간 예컨대 염색시간은 통상 20 내지 1800초일 수 있다.In the case of using iodine as the dichroic dye, a method of dyeing by immersing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n an aqueous solution for dyeing containing iodine and potassium iodide may be used. In general, the amount of iodine in the dyeing solution may be 0.01 to 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distilled water), and the content of potassium iodide may be 0.5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The temperature of the aqueous solution for dyeing may be usually 20 to 40 ° C, and the immersion time, for example, the dyeing time, may be usually 20 to 1800 seconds.
한편, 이색성 색소로서 이색성 유기염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수용성 이색성 유기염료를 포함하는 염색용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침지하여 염색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염색용 수용액에서의 이색성 유기 염료의 함량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1×10-4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10-3 내지 1중량부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using a dichroic organic dye as a dichroic dye, a method of dyeing by immersing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n an aqueous solution for dyeing containing a water-soluble dichroic organic dye can be used. The content of the dichroic organic dye in the aqueous solution for dyeing may be usually 1×10-4 to 10 parts by weight, preferably 1×10-3 to 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상기 염색용 수용액은 황산나트륨 등의 무기염을 염색 보조제로서 더 함유할 수 있다. 염색용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20 내지 80℃일 수 있고, 침지시간 예컨대 염색 시간은 통상 10 내지 1,800초일 수 있다.The aqueous solution for dyeing may further contain an inorganic salt such as sodium sulfate as a dyeing aid. The temperature of the aqueous solution for dyeing may be usually 20 to 80 ° C, and the immersion time, for example, the dyeing time, may be usually 10 to 1,800 seconds.
염색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붕산 처리하는 공정은 붕산 함유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통상 붕산 함유 수용액에서의 붕산의 함량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중량부일 수 있다. 이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한 경우의 붕산 함유 수용액은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통상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붕산 함유 수용액의 온도는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5℃,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일 수 있고, 침지시간은 60 내지 1,200초,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600초,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400초일 수 있다.The process of treating the dyed polyvinyl alcohol-based film with boric acid may be performed by immersing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boric acid. In general, the content of boric acid in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boric acid may be 2 to 15 parts by weight, preferably 5 to 12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boric acid in the case of using iodine as a dichroic dye may preferably contain potassium iodide, and the content thereof may be usually 0.1 to 15 parts by weight, preferably 5 to 12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 The temperature of the boric acid-containing aqueous solution may be 50 ° C or higher, preferably 50 to 85 ° C, more preferably 60 to 80 ° C, and the immersion time is 60 to 1,200 seconds, preferably 150 to 600 seconds, more preferably may be 200 to 400 seconds.
붕산 처리 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수세 및 건조될 수 있다. 상기 수세처리는 붕산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물에 침지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으며, 수세처리 시 물의 온도는 5 내지 40℃일 수 있고, 침지시간은 1 내지 120초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세과정을 거친 후 건조됨으로써 편광자를 얻을 수 있다. 건조처리는 통상 열풍 건조기나 원적외선 가열기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건조처리 온도는 통상 3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일 수 있고, 건조시간은 통상 60 내지 600초,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600초일 수 있다.After boric acid treatment,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may be washed with water and dried. The water washing treatment may be performed by immersing the boric acid-treated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n water. During the water washing treatment, the water temperature may be 5 to 40 ° C., and the immersion time may be 1 to 120 seconds. A polarizer can be obtained by drying after going through a water wash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drying treatment may be performed using a hot air dryer or a far-infrared heater, and the drying treatment temperature may be usually 30 to 100 ° C, preferably 50 to 80 ° C, and the drying time is usually 60 to 600 seconds, preferably It may be 120 to 600 seconds.
또한, 편광자의 두께는 5 내지 40㎛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olarizer may have a thickness of 5 to 40 μm.
또한, 상기 편광판은 전술한 편광자 이외에 보호 필름, 위상차층 등의 구성이 더 포함된 것일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이용하여 접합된 것일 수 있다. 이들은 당 업계에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larizing plate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film and a retardation layer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polarizer, and these may be bonded to each other using an adhesive o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These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they are used in the art.
상기 보호필름은 편광판을 구성하는 각 층 사이에 그 필요에 따라 더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며, 각 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셀롤로오스계 수지 필름,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 아크릴계 수지필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 등 각종 투명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otective film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each layer constituting the polarizing plate as needed, and may serve to protect each layer. For example, various transparent resin films such as a cellulose-based resin film, a cycloolefin-based resin film, an acrylic resin film, and a polyester-based resin film may be us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상기 보호 필름으로서 셀롤로오스계 수지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는, 셀롤로오스의 적어도 일부가 에스테르화된 아세트산 셀롤로오스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트리아세틸 셀롤로오스, 디아세틸세롤로오스, 셀롤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When using a cellulose-based resin film as the protective film,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a part of the cellulose is an esterified cellulose-acetate-based resin. Examp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riacetyl cellulose, diacetyl cellulose, and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상기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는 예를 들면 노르보르넨이나 다환 노르보르넨계 단량체와 같은 시클로올레핀의 단량체 유닛을 갖는 열가소성의 수지이고, 상기 시클로올레핀의 개환 중합체나 2종 이상의 시클로올레핀을 이용한 개환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클로올레핀과 쇄상 올레핀이나 비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과의 부가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또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에 극성기가 도입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ycloolefin-based resin is, for example,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cycloolefin monomer unit such as norbornene or a polycyclic norbornene-based monomer. It may not only be a hydrogenated substance, but may also be an addition copolymer of a cycloolefin and a chain olefin or an aromatic compound having a vinyl group. In addition, a polar group may be introduced into the cycloolefin-based res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위상차층은 입사되는 파장에 따라 다른 위상차값을 가지며, 이는 파장 분산성으로 표시되고, 역파장 분산성, 플랫파장 분산성, 정파장 분산성 등 다양한 파장 분산성을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λ/2 위상차층 또는 λ/4 위상차층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retardation layer has different retardation values depending on the incident wavelength, which is indicated as wavelength dispersion, and may have various wavelength dispersions such as reverse wavelength dispersion, flat wavelength dispersion, and forward wavelength dispersion. Specifically, λ /2 retardation layer or λ/4 retardation layer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점착제는 당 업계에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고, 관능기를 갖는 (메트)아크릴 단량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 개시제의 존재 하에 라디칼 중합함으로써 얻어지고, 유리 전이 온도(Tg)가 0℃ 이하인 아크릴계 수지와 가교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y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it is used in the art. For example, an acrylic monomer mixture 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as a main component and a (meth)acrylic monomer having a functional group in the presence of a polymerization initiator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obtained by radical polymerization and containing an acrylic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0°C or less and a crosslinking agent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접착제는 당 업계에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접착 성분을 물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수계 접착제, 및 활성 에너지선 조사를 받아서 경화하는 조성물(이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라 하는 경우가 있음)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계 접착제는 주성분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고,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이나 에폭시 화합물 등의 가교제 또는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dhesive may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it is used in the art, for example, a water-based adhesive in which an adhesive component is dissolved or dispersed in water, and a composition that is cured by receiving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hereinafter, active energy ray curable adhesive may be referred to a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water-based adhesive may include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or a urethane resin as a main component, and may include a crosslinking agent such as an isocyanate-based compound or an epoxy compound or a composition containing a curable compound to improve adhesion.
상기 액정 패널은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전극이 형성된 어레이 기판, 컬러필터 및 공통전극이 형성된 컬러필터 기판, 상기 어레이 기판의 화소전극과 컬러필터 기판의 공통전극 사이에 개재된 액정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액정 패널의 구성 요소 및 그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 공지된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The liquid crystal panel may include an array substrate on which thin film transistors and pixel electrodes are formed, a color filter substrate on which color filters and a common electrode are formed, and liquid crystal interposed between the pixel electrodes of the array substrate and the common electrode of the color filter substrate. Components of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within a range not departing from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known in the art.
상기 OLED 패널은 그 구조를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된 유기 EL 구조의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The structure of the OLED pane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ny OLED panel having a known organic EL structure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예를 들면, 상기 OLED 패널은 기판 상에 양극 및 음극이 적층되고,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유기박막층이 구비된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OLED panel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n anode and a cathode are stacked on a substrate and at least one organic thin film layer is provid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상기 양극은 예를 들면, ITO, IZO, 주석 옥사이드, 아연 옥사이드, 아연 알루미늄 옥사이드, 및 티타늄 나이트라이드 등의 금속 옥사이드 또는 금속 나이트라이드; 금, 백금, 은, 구리, 알루미늄, 니켈, 코발트, 리드, 몰리브덴, 텅스텐, 탄탈륨, 니오븀 등의 금속; 이러한 금속의 합금 또는 구리 요오드화물의 합금;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핀, 폴리피롤, 폴리페닐렌비닐렌, 폴리(3-메틸티오핀), 및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등의 전도성 중합체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극은 전술한 재료들 중 한 가지 타입으로만 형성되거나 또는 복수 개의 재료의 혼합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조성 또는 상이한 조성의 복수 개의 층으로 구성되는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anode may be, for example, a metal oxide or metal nitride such as ITO, IZO, tin oxide, zinc oxide, zinc aluminum oxide, and titanium nitride; metals such as gold, platinum, silver, copper, aluminum, nickel, cobalt, lead, molybdenum, tungsten, tantalum, and niobium; alloys of these metals or alloys of copper iodide; It may be formed by including conductive polymer materials such as polyaniline, polythiophene, polypyrrole, polyphenylenevinylene, poly(3-methylthiopine), and polyphenylene sulfide. The anode may be formed of only one type of the above materials or a mixture of a plurality of materials. In addition, it may be formed as a multi-layered structu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of the same composition or different compositions.
상기 음극은 본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LiF를 전자 주입층으로 사용하고 Al, Ca, Mg, Ag 등 일함수가 낮은 금속을 음극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Al이 사용될 수 있다.The cathode may use a material known in the ar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LiF may be used as an electron injection layer and a metal having a low work function, such as Al, Ca, Mg, or Ag, may be used as a cathode, preferably. Al may be used.
상기 유기박막층은 R, G, B 색상을 구현하기 위한 발광층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주입층 및 전자 수송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양극,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및 음극 순의 적층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The organic thin film layer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layer for realizing R, G, and B colors, and may additionally include at least one of a hole injection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an electron injection layer, and an electron transport layer. For example, it may have a stacked structure in the order of an anode, a hole injection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 electron injection layer, and a cathode.
상기 발광층은 일례로, 호스트 및 도펀트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For the light emitting layer, for example, host and dopant materials may be used.
상기 호스트는 제한되지 않으나, (4,4'-비스(2,2-디페닐-에텐-1-일)디페닐(DPVBi), 비스(스티릴)아민(DSA)계, 비스(2-메틸-8-퀴놀리놀라토)(트리페닐실록시)알루미늄(Ⅲ)(SAlq), 비스(2-메틸-8-퀴놀리놀라토)(파라-페놀라토)알루미늄(Ⅲ)(BAlq), 비스(살렌)징크(II), 1,3-비스[4-(N,N-디메틸아미노)페닐-1,3,4-옥사디아조릴]벤젠(OXD8), 3-(비페닐-4-일)-5-(4-디메틸아미노)-4-(4-에틸페닐)-1,2,4-트리아졸(p-EtTAZ), 3-(4-비페닐)-4-페닐-5-(4-터셔리-부틸페닐)-1,2,4-트리아졸(TAZ), 2,2',7,7'-테트라키스(비-페닐-4-일)-9,9'-스피로플루오렌(Spiro-DPVBI), 트리스(파라-터-페닐-4-일)아민(p-TTA), 5,5-비스(디메지틸보릴)-2,2-비티오펜(BMB-2T) 및 퍼릴렌(peryle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host is not limited, but (4,4'-bis(2,2-diphenyl-ethen-1-yl)diphenyl (DPVBi), bis(styryl)amine (DSA)-based, bis(2-methyl -8-quinolinolato)(triphenylsiloxy)aluminum(III)(SAlq), bis(2-methyl-8-quinolinolato)(para-phenolato)aluminum(III)(BAlq), bis (Salen) zinc (II), 1,3-bis [4- (N, N-dimethylamino) phenyl-1,3,4-oxadiazolyl] benzene (OXD8), 3- (biphenyl-4-yl )-5-(4-dimethylamino)-4-(4-ethylphenyl)-1,2,4-triazole (p-EtTAZ), 3-(4-biphenyl)-4-phenyl-5-( 4-tertiary-butylphenyl) -1,2,4-triazole (TAZ), 2,2',7,7'-tetrakis (bi-phenyl-4-yl) -9,9'-spiroflu Orene (Spiro-DPVBI), tris (para-ter-phenyl-4-yl) amine (p-TTA), 5,5-bis (dimethyl boryl) -2,2-bithiophene (BMB-2T) and Perylene or the like may be used.
또한, 트리스(8-퀴놀리나토)알루미늄(Ⅲ)(Alq3), DCM1(4-디시아노메틸렌-2-메틸-6-(파라-디메틸아미노스틸릴)-4H-피란), DCM2(4-디시아노메틸렌-2-메틸-6-(줄로리딘-4-일-비닐)-4H-피란), DCJT(4-(디시아노메틸렌)-2-메틸-6-(1,1,7,7-테트라메틸줄로리딜-9-에닐)-4H-피란), DCJTB(4-(디시아노메틸렌)-2-터셔리부틸-6-(1,1,7,7-테트라메틸줄로리딜-9-에닐)-4H-피란), DCJTI(4-디시아노메틸렌)-2-아이소프로필-6-(1,1,7,7-테트라메틸줄로리딜-9-에닐)-4H-피란) 및 나일레드(Nile red), 루브렌(Rubrene) 등이 호스트 또는 도펀트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ris (8-quinolinato) aluminum (III) (Alq3), DCM1 (4-dicyanomethylene-2-methyl-6- (para-dimethylaminostilyl) -4H-pyran), DCM2 (4- Dicyanomethylene-2-methyl-6-(juloridin-4-yl-vinyl)-4H-pyran), DCJT(4-(dicyanomethylene)-2-methyl-6-(1,1,7, 7-tetramethyljuloridyl-9-enyl)-4H-pyran), DCJTB (4-(dicyanomethylene)-2-tertiarybutyl-6-(1,1,7,7-tetramethyljuloridyl -9-enyl) -4H-pyran), DCJTI (4-dicyanomethylene) -2-isopropyl-6- (1,1,7,7-tetramethyljuloridyl-9-enyl) -4H-pyran ), Nile red, Rubrene, etc. may be used as a host or dopant.
상기 도펀트는 생략 또는 선택적으로 추가될 수 있는 것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전술한 재료로 나열된 것들 중에서 선택적으로 추가될 수 있다.The dopant may be omitted or selectively ad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selectively added from those listed as the above materials.
이외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주입층 및 전자 수송층의 재질은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In addition, known materials may be used for the hole injection layer, the hole transport layer,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and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which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OLED 패널은 구동 방식에 따라 분류된 수동형(PM)과 능동형(AM)일 수 있다.The OLED panel may be a passive (PM) type and an active (AM) type classified according to a driving method.
상기 윈도우 필름은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윈도우 필름은 예를 들면 유리,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이미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환상올레핀코폴리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재질로 형성된 것일 수 있고, 이들 재질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window film may be one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the ty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ow film may be, for example, glass, polyethersulfone, polyacrylate, polyether imid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phenylene sulfide, polyarylate, polyimide, polycarbonate, cellulose triacetate, cellulose It may be formed of materials such as acetate propionate, cyclic olefin copolymer, and polymethyl methacrylate, and these material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상기 터치센서층은 당 업계에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편광판 일체형 터치센서층 또한 사용 가능하다.The touch sensor layer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used in the art, and a polarizer-integrated touch sensor layer may also be used.
상기 터치센서층은 불투명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제1층과 투명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2층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The touch sensor layer may include a first layer made of an opaque metal material and a second layer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상기 금속 재료로는 예를 들면, 금(Au), 은(Ag), 구리(Cu), 몰리브덴(Mo), 은-팔라듐-구리합금(APC)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the metal material, for example, gold (Au), silver (Ag), copper (Cu), molybdenum (Mo), silver-palladium-copper alloy (APC), etc.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투명 전도성 재료는 인듐틴옥사이드(ITO), 인듐징크옥사이드(IZO), 인듐징크틴옥사이드(IZTO), 알루미늄징크옥사이드(AZO), 갈륨징크옥사이드(GZO), 및 플로린틴옥사이드(FTO)로 이루어지는 금속산화물류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is composed of indium tin oxide (ITO), indium zinc oxide (IZO), indium zinc tin oxide (IZTO), aluminum zinc oxide (AZO), gallium zinc oxide (GZO), and fluorine tin oxide (FTO). It may be selected from metal oxid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터치센서층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센서에 사용되는 전극 패턴의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으며, 상호 정전용량 방식(mutual-capacitance) 또는 셀프 정전용량 방식(self-capacitance)이 적용된 것일 수 있다.The touch sensor layer may have a structure of an electrode pattern used in a capacitive touch sensor, and may have a mutual-capacitance method or a self-capacitance method applied thereto.
상기 상호 정전용량 방식(mutual-capacitance)의 경우, 가로축과 세로축의 격자 전극구조일 수 있고, 가로축과 세로축의 전극의 교차점에는 브리지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mutual-capacitance method, it may be a lattice electrode structure of a horizontal axis and a vertical axis, and a bridge electrode may be includ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electrodes of the horizontal axis and the vertical axis.
상기 셀프 정전용량 방식(self-capacitance)일 경우, 각 지점의 한 개의 전극을 사용해 정전용량 변화를 읽어내는 방식의 전극 패턴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elf-capacitance method, it may have an electrode pattern structure in which capacitance change is read using one electrode at each point.
이 외에도, 상기 터치센서층은 금속 메시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투명전도층/금속층/투명전도층의 3층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is, the touch sensor layer may include a metal mesh and may be formed in a three-layer structur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metal layer/transparent conductive layer.
본 발명의 광학 부재는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전술한 구성들 이외의 구성들을 제조자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한 없이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상차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광학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반사 시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described above, the optica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component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thout limitation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manufacturer or user. Examp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retardation plates, optical films for plasma displays, brightness enhancing films, and reflective sheets.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른 적층체는 굴곡직경 3R로 굴곡시켰을 때의 굴곡응력이 100MPa 이하인 광학 부재 및 상기 광학 부재의 적어도 일 면 상에 하기 측정방법으로 측정된 전단력이 60N/cm2 이상인 점착제층을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laminat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ptical member having a bending stress of 100 MPa or less when bent to a bending diameter of 3R, and a shear forc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optical member of 60 N/ It includ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cm2 or more.
특히, 곡면 디스플레이 또는 가요성 디스플레이의 경우, 내부에 포함되는 광학 부재가 절곡된 상태로 유지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절곡된 광학 부재에는 굴곡직경 3R로 굴곡시켰을 때 최대 100MPa 이하의 굴곡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굴곡응력이 발생한 절곡된 광학 부재의 일 면 상에 사용자 내지 제조자의 필요에 의해 또 다른 층이 적층될 수 있는데,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은 저장탄성률을 만족하는 점착제층을 이용하는 경우 점착제층의 높은 전단응력으로 인해 굴곡응력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됨으로써, 상기 절곡된 광학 부재 상에 적층되는 층을 박리나 들뜸 없이 안정적으로 적층할 수 있고, 내열성 또는 내습열성 등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curved display or a flexible display, the optical member included therein is maintained in a bent state. At this time, the bent optical member is bent with a bending diameter of 3R. A bending stress of up to 100 MPa or less occurs do. As described above, another layer may be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bent optical member where the bending stress occur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or manufacturer. At this time, when us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satisfying the storage modulus as described abov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y improving the resistance to bending stress due to high shear stress, the layer to be laminated on the bent optical member can be stably laminated without peeling or lifting,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durability such as heat resistance or heat resistance is improved. .
<화상표시장치><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전술한 적층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이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aforementioned laminate.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LCD), 전계방출표시장치(FED),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유기전계발광장치(OLED) 등을 들 수 있으며, 또한 이들의 형태를 절곡시킨 곡면 디스플레이 또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등을 들 수 있다.The image display device may include,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 plasma display (PDP),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and the like, and their shapes may be bent. A curved display or a flexible display may be used.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술한 적층체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곡면 디스플레이 또는 가요성 디스플레이에 보다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laminate, the image display device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more easily applied to a curved display or a flexible display.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 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함량을 나타내는 "%" 및 "부"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re present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is natural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n the following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 and "parts" representing contents are based on weight unless otherwise specified.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1: ( One: (메타meta))아크릴레이트acrylate 시럽의 제조 syrup preparation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1-1. 1-1.
질소가스가 환류되고 온도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장치를 설치한 1L의 반응기에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단량체 50중량%, 디시클로펜텐닐아크릴레이트 (DCPA) 단량체 35중량%, 테트라히드로퓨릴아크릴레이트 (THFA) 단량체 10중량%, 5-히드록시펜틸아크릴레이트 (5-HPA) 단량체 5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을 투입한 후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가스를 1시간 동안 퍼징한 후, 80℃로 유지하였다. 상기 단량체 혼합물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상기 단량체 혼합물을 총 중량을 100중량부로 하였을 때, 광개시제로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을 0.5중량부 투입하였다. 이후 교반시키며, UV램프(10mW)를 조사하여 전환율 25%의 아크릴 시럽을 제조하였다.50% by weight of 2-ethylhexyl acrylate (2-EHA) monomer, 35% by weight of dicyclopentenyl acrylate (DCPA) monomer, tetra After introducing a monomer mixture consisting of 10% by weight of hydrofuryl acrylate (THFA) monomer and 5% by weight of 5-hydroxypentyl acrylate (5-HPA) monomer, nitrogen gas was purged for 1 hour to remove oxygen , and maintained at 80°C. After uniformly mixing the monomer mixture, when the total weight of the monomer mixture was 100 parts by weight, 0.5 parts by weight of 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was added as a photoinitiator. After stirring, UV lamp (10mW) was irradiated to prepare acrylic syrup with a conversion rate of 25%.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1-2 내지 1-5. 1-2 to 1-5.
상기 제조예 1-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메타)아크릴레이트 시럽을 제조하였다.I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1, but (meth)acrylate syrup was prepared with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below.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중량평균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의 평가 1. Evaluation of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an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각각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시럽의 중량평균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는 GPC를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검량선의 제작에는, Agilent system의 표준 폴리스티렌을 사용하여, 측정 결과를 환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an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each (meth)acrylate syrup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were measured using GPC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In the preparation of the calibration curve, the standard polystyrene of the Agilent system was used to convert the measurement result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중량평균분자량 측정 조건><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easurement conditions>
측정기: Agilent GPC (Agilent 1200 series, 미국)Meter: Agilent GPC (Agilent 1200 series, USA)
컬럼: PL Mixed B 2개 연결Column: Connect 2 PL Mixed B
컬럼 온도: 40℃Column temperature: 40°C
용리액: 테트라히드로푸란Eluent: tetrahydrofuran
유속: 1.0mL/minFlow rate: 1.0 mL/min
농도: ~1mg/mL (100 μL injection)Concentration: ~1mg/mL (100 μL injection)
(중량부)photoinitiator
 (parts by weight)
전환율
(%)polymer
 conversion rate
 (%)
분자량
(단위:만)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unit: ten thousand)
LA: 라우릴아크릴레이트
DCPA: 디시클로펜텐닐아크릴레이트
THFA: 테트라히드로퓨릴아크릴레이트
5-HPA: 5-히드록시펜틸아크릴레이트
2-HEA: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광개시제: 1-히드록시 시클로헥실페닐 케톤2-EHA: 2-Ethylhexylacrylate
 LA: lauryl acrylate
 DCPA: Dicyclopentenylacrylate
 THFA: tetrahydrofuryl acrylate
 5-HPA: 5-hydroxypentyl acrylate
 2-HEA: 2-hydroxyethyl acrylate
 Photoinitiator: 1-hydroxy cyclohexylphenyl ketone
실시예Example 1 내지 5 및 1 to 5 and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내지 3. 1 to 3.
상기 제조예 1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시럽 및 광개시제의 함량을 하기 표 2의 조성으로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by mixing the contents of the (meth)acrylate syrup and photoinitiator of Preparation Example 1 in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2 below.
상기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실리콘 이형제가 코팅된 이형필름 상에 150um가 되도록 도포하고 그 위에 또 다른 이형필름을 접합한 후, UV조사 기기 TL lamp(Philips 사제)를 이용하여 UVV기준 조도 2mW, 광량 500mJ을 조사하여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After applying the adhesive composition prepared above to a release film coated with a silicone release agent to a thickness of 150um and bonding another release film thereon, using a UV irradiation device TL lamp (manufactured by Philips), UVV standard illuminance of 2mW, light amount An adhesive sheet was prepared by irradiating 500 mJ.
(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중량부)1)photoinitiator
 (parts by weight)1)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2: 광학 부재의 제조 2: Manufacture of optical members
각 층의 구성을 하기 표 3과 같이 적층함으로써, 광학 부재를 제조하였다.An optical member was manufactured by laminating the configuration of each layer as shown in Table 3 below.
점착시트: 3M 사제, OCA8172Film: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Kolon Industries
 Adhesive Sheet: Made by 3M, OCA8172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2. 광학 부재의 2. Optical member굴곡응력flexural stress 측정 measurement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각각의 광학 부재를 폭 10mm, 길이 75mm로 재단하여 시험편을 준비한다.Each optical member manufactured in Preparation Example 2 was cut into a width of 10 mm and a length of 75 mm to prepare a test piece.
준비된 시험편을 굴곡응력 측정 장치(Surface texture analyzer, Chemi Lab사제)에 고정하고, 시험편의 표면측에서 직경 7mm의 프로브를 속도 10mm/min으로 밀어 넣고 굴곡하중의 최대치(Fmax)를 측정하고, 이하의 [식 1]을 이용하여 굴곡압력(σ)을 산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기재하였다.The prepared test piece is fixed to a bending stress measuring device (Surface texture analyzer, manufactured by Chemi Lab), and a probe having a diameter of 7 mm is pushed from the surface side of the test piece at a speed of 10 mm/min,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bending load (Fmax ) is measured. The bending pressure (σ) was calculated using [Equation 1] of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식1][Equation 1]
굴곡응력 (σ)= (3FmaxL)/ (2bh2)Flexural stress (σ)= (3Fmax L)/ (2bh2 )
-Fmax: 굴곡하중 최대치- Fmax : maximum flexural load
-L: 지점 사이 거리=6mm(3R)- L: Distance between points = 6mm (3R)
-b: 시험편폭=10mm- b: Specimen width = 10mm
-h: 시험편 두께- h: thickness of the test piece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3. 탄성률 측정 3. Elastic modulus measurement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광학 부재가 적층되기 전의 각 점착시트에 대하여 저장탄성률을 측정하였다.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storage modulus was measured for each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before the optical member was laminated.
각 점착시트에 대해서, 25℃에서의 저장탄성률을 점탄성 측정 장치(MCR-301, Anton Paar사)를 사용해서 측정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점착시트의 사이즈를 길이 30mm × 폭 30mm로 재단하고, 상기 재단한 점착시트의 한 면에 부착된 이형필름을 제거한 뒤, 유리기판에 접합하였으며, 그 후 측정팁(tip)과 접착한 상태로, -30 내지 100℃의 온도 영역에서 주파수 1.0Hz, 변형 2%, 승온 속도 5℃/min의 조건 하에서 측정하고, 이 때, 25℃의 측정값을 판독하였으며, 측정 결과를 하기 표 5에 기재하였다.For each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he storage modulus at 25°C was measured using a viscoelasticity measuring device (MCR-301, manufactured by Anton Paar). More specifically, the size of the adhesive sheet was cut to length = 30mm × width = 30mm, the release film attached to one side of the cut adhesive sheet was removed, and then bonded to a glass substrate. In the attached state, measurement wa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of a frequency of 1.0 Hz, a strain of 2%, and a heating rate of 5°C/min in a temperature range of -30°C to 100°C. It was described in Table 5.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4: 내구성(내열, 4: durability (heat resistance,내습열damp heat) 평가) evaluation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점착 시트로부터 한쪽의 이형 필름을 떼어 내어 노출된 점착제층(001)을 상기제조예 2에서 제작한 광학 부재(002)에 부착한 뒤, 점착 시트의 반대 측 이형 필름을 떼어내어 적층체(003)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이 때 각 기편 제작에 사용된 광학 부재(002)의 구성은 하기 표 5에 기재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시편의 노출된 점착제층(001) 면을 곡률반경 6mm(3R)의 굴곡부를 갖는 테프론이 코팅되어 있는 알루미늄 치구(004)에 수동 롤러를 이용하여 부착시켜 내구성 평가를 준비하였다.Referring to FIG. 1,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001) exposed by removing one release film from each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s manufactu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is applied to the optical member (002) manufactured in Preparation Example 2. After attaching, the release film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dhesive sheet was removed to prepare a specimen of the laminate (003). 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cal member (002) used in the manufacture of each base piece is described in Table 5 below. Referring to FIG. 2, the surface of the exposed adhesive layer (001) of the specimen is attached to an aluminum jig (004) coated with Teflon having a curved portion with a radius of curvature of 6 mm (3R) using a manual roller to prepare for durability evaluation. did
이후 상기와 같이 테프론이 코팅되어 있는 알루미늄 치구(004) 상에 접합시킨 시편을 내열 90℃ 및 내습열 85℃/85%RH의 조건에서 100시간 동안 방치한 후, 시편의 외관 변화를 확인하여 하기의 평가 기준으로 평가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기재하였다.Then, after leaving the specimen bonded on the Teflon-coated aluminum jig (004) for 100 hours under the conditions of 90 ° C heat resistance and 85 ° C / 85% RH moist heat resistance, the change in appearance of the specimen was checked and the following After evaluation based on the evaluation criteria,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5 below.
○ : 이상 없음 (합격)○: no abnormality (pass)
× : 기포 발생, 박리되거나 백화 등의 이상 발생 (불합격)×: Occurrence of abnormalities such as bubbling, peeling, or whitening (disqualified)
상기 표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구성을 모두 만족하는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구성을 어느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는 비교예 1 내지 3보다 내습열성 및 내열성이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ferring to Table 5, in the case of Examples 1 to 5, which satisfy all of the configuration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both heat and moisture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are higher than those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3, which do not satisfy any of the configuration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 was able to confirm that it was excellent.
001: 점착제층
002: 광학 부재
003: 적층체
004: 테프론이 코팅되어 있는 알루미늄 치구001: adhesive layer
 002: optical member
 003: laminate
 004: Aluminum fixture coated with Teflon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02876AKR102494622B1 (en) | 2018-08-30 | 2018-08-30 | Laminate and image display using the sam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02876AKR102494622B1 (en) | 2018-08-30 | 2018-08-30 | Laminate and image display using the sam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25472A KR20200025472A (en) | 2020-03-10 | 
| KR102494622B1true KR102494622B1 (en) | 2023-01-31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102876AActiveKR102494622B1 (en) | 2018-08-30 | 2018-08-30 | Laminate and image display using the same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494622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50027587A (en) | 2017-10-27 | 2025-02-26 |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 Flexible cover lens films | 
| JP7716853B2 (en) | 2018-05-10 | 2025-08-01 | アプライ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Interchangeable cover lenses for flexible displays | 
| KR20240107376A (en) | 2018-08-14 | 2024-07-09 |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 Multi-layer wet-dry hardcoats for flexible cover lens | 
| KR102780681B1 (en) | 2019-06-26 | 2025-03-11 |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 Flexible multi-layered cover lens stacks for foldable displays | 
| KR102755920B1 (en)* | 2020-12-23 | 2025-01-20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Sheet Using the Same | 
| CN116554813B (en)* | 2023-07-11 | 2023-09-29 | 广州鹿山新材料股份有限公司 | Adhesive composition layer and laminate structure for flexible devices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25228B1 (en) | 2010-04-05 | 2016-05-27 | (주)엘지하우시스 |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touch panel | 
| JP6633366B2 (en)* | 2015-11-27 | 2020-01-22 |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SAMSUNG SDI Co., LTD. |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image display device | 
| KR102152454B1 (en)* | 2016-04-06 | 2020-09-0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Adhesive composition for optical use and the adhesive film for optical use | 
| KR101908182B1 (en)* | 2016-04-22 | 2018-10-1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Adhesive film, optical member compris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25472A (en) | 2020-03-10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494622B1 (en) | Laminate and image display using the same | |
| CN112292433B (en) | Adhesive layer for flexible image display device, laminate for flexible image display device, and flexible image display device | |
| KR102567229B1 (en) | Laminate for flexible image display devices, and flexible image display device | |
| CN102232102B (en) |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manufacturing method, and laminated construction | |
| KR102525489B1 (en) | Adhesive layer for flexible image display devices, laminate for flexible image display devices, and flexible image display device | |
| KR102031275B1 (en) | Laminate and image display using the same | |
| TWI546357B (en) |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film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display member | |
| TW202300332A (en) | Layered body for flexible image display device, and flexible image display device | |
| CN108780181B (en) | Method for producing single-side protective polarizing film with adhesive layer | |
| KR20140020770A (en) |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 |
| US9469528B2 (en) |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film including the same, method of preparing adhesive film, and display member using the same | |
| CN106716196B (en)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coating | |
| CN108780179B (en) | Method for producing single-side protective polarizing film with transparent resin layer,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laminate | |
| WO2011065341A1 (en) |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or optical use | |
| KR20230023757A (en) | Adhesive sheet used for laminates in flexible image display devices, laminates used for flexible image display devices, and flexible image display devices | |
| CN107209316A (en) | Polarizing coating with adhesive phase, its manufacture method and image display device and its method for continuous production | |
| TW201910460A (en) | Multilayer body and flexible image display device for flexible image display device | |
| CN111699416B (en) |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embedded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 KR20170065521A (en) | Touch panel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sheet, and laminate | |
| JP7572153B2 (en) | Adhesive sheet for use in laminate in flexible image display, laminate for use in flexible image display, and flexible image display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8083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PA02012R01D Patent event date:20210111 Comment text: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180830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20718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221223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30127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230127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