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2489563B1 - A liquid intake display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 Google Patents

A liquid intake display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563B1
KR102489563B1KR1020200140290AKR20200140290AKR102489563B1KR 102489563 B1KR102489563 B1KR 102489563B1KR 1020200140290 AKR1020200140290 AKR 1020200140290AKR 20200140290 AKR20200140290 AKR 20200140290AKR 102489563 B1KR102489563 B1KR 102489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nking
volume
user
main server
dai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2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55812A (en
Inventor
김영록
김정하
임관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인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인와트filedCritical주식회사 나인와트
Priority to KR1020200140290ApriorityCriticalpatent/KR102489563B1/en
Priority to PCT/KR2020/015538prioritypatent/WO2022092384A1/en
Publication of KR20220055812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220055812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563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2489563B1/en
Active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서버, 복수의 정수기 및 표시 장치가 포함된 음용량 측정 시스템의 음용량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사용자의 활동 반경 내에 위치한 복수의 정수기들을 하나의 정수기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정수기 그룹에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사용자 인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정수기 그룹에 속한 정수기가 상기 사용자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정수기가 인식한 사용자에 대하여 배수한 물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정수기가 측정한 물의 양을 상기 사용자의 음용량으로서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사용자 및 인식한 음용량을 상기 메인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수신한 음용량을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음용 내역으로서 기록하고, 상기 음용 내역을 상기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음용 내역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drinking volume display method of a drinking volume measurement system including a main server, a plurality of water purifiers, and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server groups a plurality of water purifiers located within an activity radius of a user as one water purifier group. grouping into; transmitting, by the main server,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recognizing the user to the water purifier group; recognizing the user by a water purifier belonging to the water purifier group using the user recognition information; measuring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by the water purifier for the recognized user; recognizing the amount of water measured by the water purifier as the user's drinking volume, and transmitting the recognized user and the recognized drinking volume to the main server; recording the drinking volume received by the main server as a drinking history for the user and transmitting the drinking history to the display device; and outputting the drinking details by the display device. can include

Figure 112020114081731-pat00011
Figure 112020114081731-pat00011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음용량 표시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A liquid intake display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A liquid intake display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본 명세서는 정수기를 이용한 음용량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각 사용자별 음용량을 표시하기 위한 음용량 표시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안한다.The present specification proposes a drinking volume display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drinking volume for each user in a drinking volume measurement system using a water purifier.

우리나라 유아의 경우 84.2%가 물 섭취 부족 상태로 조사되었으며, 가당 음료는 유아의 성장을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어린이집 교사의 유아 지도에는 물 음용에 대한 지도 내용/필요성 등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유아의 성장에 물 섭취가 매우 중요함에도 유아들에 대한 음용 섭취 지도 편달이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특히, 이렇듯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여 음용 섭취 지도 편달을 하기 위한 종래 기술도 없는 실정이다.In the case of Korean infants, 84.2% of them were found to have insufficient water intake, and sugary drinks were found to hinder the growth of infants. However, since the daycare center teacher's guidance for infants does not include the contents/necessity of water drinking, drinking intake guidance for infants is not sufficiently provided even though water intake is very important for infants' growth. In particular, there is no prior art for teaching drinking intake to infants as such.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특히, 유아)가 하루 권장 음용량을 적절히 섭취할 수 있도록 음용 지도 편달에 사용 가능한 음용량 표시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안하고자 함이 목적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o propose a drinking volume display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that can be used for drinking guidance so that users (particularly, infants) can properly consume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per da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서버, 복수의 정수기 및 표시 장치가 포함된 음용량 측정 시스템의 음용량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사용자의 활동 반경 내에 위치한 복수의 정수기들을 하나의 정수기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정수기 그룹에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사용자 인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정수기 그룹에 속한 정수기가 상기 사용자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정수기가 인식한 사용자에 대하여 배수한 물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정수기가 측정한 물의 양을 상기 사용자의 음용량으로서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사용자 및 인식한 음용량을 상기 메인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수신한 음용량을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음용 내역으로서 기록하고, 상기 음용 내역을 상기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음용 내역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drinking volume display method of a drinking volume measurement system including a main server, a plurality of water purifiers, and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server groups a plurality of water purifiers located within an activity radius of a user as one water purifier group. grouping into; transmitting, by the main server,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recognizing the user to the water purifier group; recognizing the user by a water purifier belonging to the water purifier group using the user recognition information; measuring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by the water purifier for the recognized user; recognizing the amount of water measured by the water purifier as the user's drinking volume, and transmitting the recognized user and the recognized drinking volume to the main server; recording the drinking volume received by the main server as a drinking history for the user and transmitting the drinking history to the display device; and outputting the drinking details by the display device. can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으로 사용자별 음용량이 측정 및 기록되므로, 사용자가 직접 자신이 마신 물의 양을 측정 및 기록할 필요가 없다는 효과가 있다. 이는, 직접 자신의 음용량 측정 및 기록이 어려운/불가능한 유아들에게는, 매우 유리한 효과로 작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inking volume of each user is automatically measured and record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does not need to directly measure and record the amount of water he drinks. This can act as a very advantageous effect for infants who have difficulty/impossibility to directly measure and record their drinking volum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물 섭취 습관을 학습하여 이를 기반으로 음용 플랜을 설계하여, 사용자가 음용 플랜대로 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가 하루 권장 물 섭취량을 모두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물의 충분한 섭취가 필수인 유아들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건강한 물 섭취 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회적으로 보다 건강한 유아들의 양성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water intake habit is learned, a drinking plan is designed based on this, and the user is guided to consume water according to the drinking plan, so that the user consumes all of the recommended water intake per day. There is an effect that allows you to do i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infants for whom sufficient intake of water is essential, it is possible to nurture socially healthier infants by allowing them to have a healthy water intake hab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사용자와 비교 가능하도록 각 사용자별 음용 달성률을 시각화하여 제공하여 사용자별 경쟁심을 자극하므로,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음용하도록 유도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사용자가 유아인 경우 유아들에게 음용을 강요하지 않아도 자발적인/주도적인 음용이 가능하므로, 음용 지도 편달에 본 발명이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inking achievement rate of each user is visualized and provided so as to be compared with other users to stimulate the competitive spirit of each user,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user to voluntarily drink. In particular, when the user is an infant, voluntary/initiative drinking is possible without forcing the infant to drink, so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very usefully to guide drink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량 측정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사용자의 음용 습관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량 측정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용자 인식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량 측정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 플랜 설계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알림을 제공하는 정수기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및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량 표시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량 표시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2 내지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 달성률을 시각화하여 출력/디스플레이하는 표시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 달성률 평가 결과를 출력/디스플레이하는 표시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별 음용 달성률을 출력/디스플레이하는 표시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용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rinking volume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rinking habit of a user.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measuring drinking volu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user recognition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measuring the amount of waste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diagrams illustrating a drinking plan design embodi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water purifier providing user no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of a water purifier and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rinking volum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of a drinking volume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4 are diagrams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for visualizing and outputting/displaying a drinking achievement 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for outputting/displaying a drinking achievement rate evaluation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for outputting/displaying a drinking achievement rate for each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 exampl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technology to be described below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ology described below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technology described below.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는 '및' 또는 '또는'으로 해석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above terms, and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used only a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ology described below,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the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The terms and/or include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For example, 'A and/or B' may be interpreted as meaning 'at least one of A or B'. Also, '/' can be interpreted as 'and' or 'or'.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clearly interpreted differently in context, and terms such as “comprising” refer to the describ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and components. ,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action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Prior t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to be clarified that the classification of component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merely a classification for each main function in charge of each component. That is, two or more components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for each more subdivided function. In addition, each component to be described below may additionall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its main function, and some of the main functions of each component may be performed by other components. Of course, it may be dedicated and performed by .

또, 방법 또는 동작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performing a method or method of operation, each process constituting the method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specified order unless a specific order is clearly described in context. That is, each process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량 측정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rinking volume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음용량 측정 시스템(100)은 복수의 정수기(100-1~100-3), 메인 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장치(120)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drinkingvolume measurement system 100 propo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water purifiers 100-1 to 100-3, amain server 110, and/or auser device 120. .

음용량 측정 시스템(100)에 포함된 복수의 정수기(100-1~100-3), 메인 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장치(120)는 적어도 하나의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 수행이 가능하며,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음용량 측정 시스템(100)에서 복수의 정수기(100-1~100-3)는, 물을 배수함과 동시에 배수한 물의 양을 체크함으로써 사용자의 음용량을 측정하고, 이를 메인 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장치(120)로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종래의 기술과 다르게 사용자가 직접 음용량을 측정 및 기록할 필요가 없으며, 스마트 컵과 같이 부피가 큰 장치를 휴대하고 다닐 필요가 없다.The plurality of water purifiers 100-1 to 100-3 included in the drinkingvolume measurement system 100, themain server 110, and/or theuser device 120 perform communication using at least on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This is possible, and various information/data for performing the embodiments prop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transmitted/received. In particular, in the drinkingvolume measurement system 100, the plurality of water purifiers 100-1 to 100-3 measure the user's drinking volume by draining water and checking the amount of water drained at the same time, and measuring the drinking volume of the user. ) and/or transmitted to theuser device 120.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rior art, the user does not need to directly measure and record the drinking volume, and there is no need to carry a bulky device such as a smart cup.

사용자 장치(120)는 실시예에 따라 선택적으로 음용량 측정 시스템(1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수행하도록 설계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메인 서버(110) 및/또는 정수기(100-1~100-3)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장치(12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실행 중인 전자 장치에 해당할 수 있으며, 메인 서버(11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운용/관리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Theuser device 120 may be selectively included in the drinkingvolume measur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themain server 110 and/or the water purifier 100-1 through an application designed to perform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3) and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Accordingly, theuser device 120 may correspond to an electronic device in which a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executed, and themain server 110 may correspond to an operation/management server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도 2는 사용자의 음용 습관을 예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rinking habit of a user.

도 2에 예시된 것처럼, 일반적으로 사용자(230)는 활동 반경/범위에 따라 하나의 정수기가 아닌 각 장소에 배치된 정수기(210, 220)를 이용하여 물을 섭취한다. 이러한 점에 기초하여, 사용자(230)의 정확한 음용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230)의 활동 반경/범위 내에 위치한 모든 정수기들(210, 220)이 사용자(230)의 음용량을 측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가 시스템 내에서 공유될 필요가 있다.As illustrated in FIG. 2 , theuser 230 generally consumes water usingwater purifiers 210 and 220 disposed at each location, rather than a singl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activity radius/range. Based on this point, in order to accurately measure the drinking volume of theuser 230, allwater purifiers 210 and 220 located within the activity radius/range of theuser 230 measure the drinking volume of theuser 230, Information about this needs to be shared within the system.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메인 서버가 사용자(230)의 활동 반경/범위 내 위치한 모든/복수의 정수기들(210, 220)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해당 그룹을 사용자(230)의 음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음용량 측정 그룹으로 설정 및 관리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ain server groups all/a plurality ofwater purifiers 210 and 220 located within the activity radius/range of theuser 230 into one group, and measures the drinking volume of theuser 230 with the corresponding group. It can operate in a way of setting and managing a drinking volume measurement group fo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below.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량 측정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measuring drinking volu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메인 서버(110)는 사용자의 활동 반경 내에 위치한 복수의 정수기들(100)을 하나의 정수기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S310).Referring to FIG. 3 , first, themain server 110 may group the plurality ofwater purifiers 100 located within an activity radius of the user into one water purifier group (S310).

본 단계의 수행을 위해, 메인 서버(110)는 모든 정수기들(100-1~100-3)의 위치 정보를 알고 있을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가 다음과 같이 제안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모든 정수기들(특히, 동일한 제조사에 의해 제조된 정수기들 또는 동일한 공급사에 의해 공급된 정수기들) (100-1~100-3)은 자신의 위치를 센싱/측정하고, 이에 관한 위치 정보를 메인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모든 정수기들(100-1~100-3)은 전원이 재부팅될때마다 자신의 위치를 센싱/측정하여, 위치 정보를 메인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든 정수기(100-1~100-3)는 위치 센서(예를 들어, GPS)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메인 서버(110)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모든 정수기들(100-1~100-3)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수기 설치 기사는, 정수기(100-1~100-3) 설치 시 자신의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정수기 설치 장소에 관한 위치 정보를 사용자 장치에 직접 입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메인 서버(110)에 이러한 위치 정보를 업로드/전송할 수 있다.To perform this step, themain server 110 needs to know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ll the water purifiers 100-1 to 100-3, and various embodiments for this may be proposed as follows. As an embodiment, all water purifiers (in particular, water purifiers manufactured by the same manufacturer or supplied by the same supplier) (100-1 to 100-3) sense/measure their positions, and Lo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main server 110 . In particular, all of the water purifiers 100 - 1 to 100 - 3 may sense/measure their own locations whenever power is rebooted and transmit location information to themain server 110 . To this end, all water purifiers 100-1 to 100-3 may be provided with a location sensor (eg, GPS). As another embodiment, themain server 110 may directl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f all water purifiers 100-1 to 100-3 from a user. For example, when installing water purifiers (100-1 to 100-3), a water purifier installer may directly input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water purifier installation location into the user device through his/her user device, and the user device can use the application to Such location information may be uploaded/transmitted to themain server 110 .

이렇게 모든 정수기들(100-1~100-3)의 위치를 파악한 메인 서버(110)는, 다음으로 사용자 활동 반경에 위치한 정수기들을 선별/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메인 서버(11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 활동 반경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메인 서버(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활동 반경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정수기(100-1~100-3)를 선별/추출하고, 이들(100-1~100-3)을 하나의 정수기 그룹으로서 그룹핑할 수 있다. 메인 서버(110)는 이렇게 그룹핑한 정수기 그룹을 상기 사용자의 음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정수기 그룹으로서 설정 및 관리할 수 있다.Themain server 110 having identified the locations of all the water purifiers 100-1 to 100-3 in this way can select/extract water purifiers located in the user activity radius. To this end, themain server 110 may first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about a user activity radius from the user through the user device. Themain server 110 selects/extracts at least one water purifier (100-1 to 100-3) located within a user's activity radius input from the user, and treats them (100-1 to 100-3) as one water purifier group. can be grouped. Themain server 110 may set and manage the water purifier group grouped in this way as a water purifier group for measuring the drinking capacity of the user.

다음으로, 메인 서버(110)는 각 정수기 그룹(100-1~100-3)에 매핑되는/대응되는 사용자 인식 정보를 각 정수기 그룹에 속한 정수기(100-1~100-3)로 전송할 수 있으며(S320),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정수기(100-2)는 수신한 사용자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S330). 사용자 인식 방법은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한다.Next, themain server 110 may transmit user recognition information mapped/corresponding to each water purifier group 100-1 to 100-3 to the water purifiers 100-1 to 100-3 belonging to each water purifier group, (S320), the water purifier 100-2 (any one of these) may recognize the user using the received user recognition information (S330). A user recognition method may exist in various embodiments,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4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용자 인식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user recognition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로서, 도 4(a)를 참조하면, 정수기(410-1)는 사용자 인식 정보로서 사용자 장치(420)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 서버는 사전에 사용자 장치(420)로부터 사용자 장치(420)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각 장치에 할당된 고유 식별 정보/번호 등)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 인식 정보로서 정수기 그룹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수기(410-1)는 근접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블루투스, NFC, WiFi 등)을 사용하여 기설정된 범위 내에 접근한 사용자 장치(420)를 센싱할 수 있으며, 해당 사용자 장치(420)와 통신을 수행하여 센싱한 사용자 장치(42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정수기(410-1)는 기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인식 정보 중 센싱한 사용자 장치(420)로부터 수신한 식별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매칭되는 정보가 있는 경우, 정수기(410-1)는 해당 정보에 대응되는/매핑되는 사용자가 정수기 사용을 위해 접근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즉, 사용자 인식). 따라서, 이후 사용자 입력에 따라 배수 동작 등을 수행하는 경우, 정수기(410-1)는 인식한 사용자에 대한 음용량을 측정하게 된다.As an example, referring to FIG. 4(a) , the water purifier 410-1 may receiveuser device 420 information as user recognition information and recognize a user us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the main server may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number assigned to each device) of theuser device 420 from theuser device 420 in advance, and recognize the user. As information,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water purifier group. In this case, the water purifier 410-1 may sense theuser device 420 approaching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using a proximity communication protocol (eg, Bluetooth, NFC, WiFi, etc.), and the user device 420 ) and communication with thesensing user device 420 may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water purifier 410-1 may determine whether information match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eduser device 420 exists among pre-stored user recognition information. If there is matching information, the water purifier 410-1 may recognize that a user corresponding to/mapped to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has accessed to use the water purifier (ie, user recognition). Accordingly, when performing a drainage operation or the like according to a user input thereafter, the water purifier 410-1 measures the drinking volume for the recognized user.

다른 실시예로서, 도 4(b)를 참조하면, 정수기(410-2)는 사용자 인식 정보로서 사용자의 안면(430)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 서버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사전에 사용자의 안면(430)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 인식 정보로서 정수기 그룹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수기(410-2)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범위 내로 접근한 사용자의 안면(430)을 센싱/검출할 수 있으며, 기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인식 정보 중 센싱/검출한 안면과 매칭되는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매칭되는 정보가 있는 경우, 정수기(410-2)는 해당 정보에 대응되는/매핑되는 사용자가 정수기 사용을 위해 접근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즉, 사용자 인식). 따라서, 이후 사용자 입력에 따라 배수 동작 등을 수행하는 경우, 정수기(410-2)는 인식한 사용자에 대한 음용량을 측정하게 된다.As another embodiment, referring to FIG. 4( b ) , the water purifier 410 - 2 may receive the user'sface 430 information as user recognition information and recognize the user us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the main server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user'sface 430 from the user device in advance and transmit it to the water purifier group as user recognition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water purifier 410-2 may sense/detect the user'sface 430 that has approached within a preset range using at least one camera/infrared sensor, and may sense/detect the user'sface 430 from pre-stored user recognition information.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re is information matching the detected face. If there is matching information, the water purifier 410 - 2 may recognize that a user corresponding to/mapped to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has accessed to use the water purifier (ie, user recognition). Accordingly, when performing a drainage operation or the like according to a user input thereafter, the water purifier 410-2 measures the drinking volume for the recognized user.

다른 실시예로서, 도 4(c)를 참조하면, 정수기(410-3)는 사용자 인식 정보로서 사용자의 지문(440)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 서버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사전에 사용자의 지문(440)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 인식 정보로서 정수기 그룹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수기(410-3)는 적어도 하나의 지문 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정수기(410-3) 사용자의 지문(440)을 센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지문 인식 센서는 물의 배수를 명령하기 위해 사용자가 누르는/터치하는 하드웨어 버튼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물의 배수를 명령하기 위해 해당 버튼을 누르는/터치하는 경우, 누른/터치한 손가락에 대한 지문(440)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정수기(410-3)는 기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인식 정보 중 센싱한 지문(440)과 매칭되는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매칭되는 정보가 있는 경우, 정수기(410-3)는 해당 정보에 대응되는/매핑되는 사용자가 정수기를 사용하고자 접근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즉, 사용자 인식). 따라서, 이후 사용자 입력에 따라 배수 동작 등을 수행하는 경우, 정수기(410-3)는 인식한 사용자에 대한 음용량을 측정하게 된다.As another embodiment, referring to FIG. 4(c) , the water purifier 410-3 may receiveuser fingerprint 440 information as user recognition information and recognize the user us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the main server may receive the user'sfingerprint 440 information from the user device in advance and transmit it to the water purifier group as user recognition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water purifier 410-3 may sense thefingerprint 440 of the user of the water purifier 410-3 using at least on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In particular, such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may be provided in a hardware button part that is pressed/touched by a user to command drainage of water, and when the user presses/touches a corresponding button to command drainage of water, the finger pressed/touched. It is possible to performfingerprint 440 sensing for . The water purifier 410-3 may determine whether information matching the sensedfingerprint 440 exists among pre-stored user recognition information. If there is matching information, the water purifier 410 - 3 may recognize that a user corresponding to/mapped to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approaching to use the water purifier (ie, user recognition). Accordingly, when performing a drainage operation or the like according to a user input thereafter, the water purifier 410-3 measures the drinking volume for the recognized user.

이외에도 다양한 사용자 인식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음용량 측정 시스템은 다양한 생체 신호 정보(예를 들어, 홍채 인식 정보, 음성 인식 정보) 등과 같은 사용자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이를 센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 음성 센서 등)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user recognition embodiments may exist and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For example, the drinking volume measurement system may recognize a user using user recognition information such as various biosignal information (eg, iris recognition information,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at least one sensor ( For example, an infrared sensor, a voice sensor, etc.) may be provided.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다음으로, 정수기(100-2)는 인식한 사용자에 대하여 배수한 물의 양(즉, 배수량)을 측정할 수 있다(S340). 정수기(100-2)는 기본적으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배수량을 결정하고, 결정된 배수량만큼 배수할 수 있다. 다만, 정수기(100-2)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 입력이 아닌, 사용자에 대해 미리 설계된 음용 플랜에 미리 정해져 있는 배수량만큼 배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 내지 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Referring back to FIG. 3 , next, the water purifier 100-2 may measure the amount of water drained (ie, the amount of water drained) of the recognized user (S340). The water purifier 100-2 may basically determine the drainage amount based on the user input and drain the water by the determined drainage amount. However,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water purifier 100-2 may drain the water by a displacement amount previously determined in a drinking plan designed for the user rather than a user inpu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

다음으로, 정수기(100-2)는 측정한 배수량을 인식한 사용자의 음용량으로서 인식하고, 인식한 사용자 및 인식한 음용량을 메인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S350). 메인 서버(110)는, 수신한 음용량을 사용자에 대한 음용 내역으로서 기록 및 저장할 수 있다(S360).Next, the water purifier 100-2 may recognize the measured displacement as the drinking volume of the recognized user, and transmit the recognized user and the recognized drinking volume to the main server 110 (S350). Themain server 110 may record and store the received drinking volume as drinking history for the user (S360).

특히, 본 순서도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메인 서버(110)는 음용 내역을 학습하여 사용자의 하루 평균 음용량, 현재까지의 누적 음용량,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 등을 도출하여 사용자의 음용 습관을 파악할 수 있다.In particular, although not shown in this flowchart, themain server 110 learns the drinking history and derives the user's daily average drinking volume, cumulative drinking volume to date, average drinking volume by time zone, etc. to determine the user's drinking habit. there is.

메인 서버(110)는 이렇게 파악한 음용 습관을 기반으로 음용 내역 중 유효한 데이터와 무효한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식을 하거나, 다른 음료를 섭취함에 따라 음용량이 평소와 달리 급격하게 줄어드는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음용 내역이 발견되는 경우, 메인 서버(110)는 해당 음용 내역은 무효한 데이터로 인식하여 학습하지 않을 수 있다.Themain server 110 may distinguish between valid data and invalid data among the drinking details based on the drinking habits identified in this way. For example, as the user eats out or consumes other beverages, an event in which the amount of drinking is drastically reduced unlike usual may occur. If such drinking history is found, themain server 110 may not learn the drinking history by recognizing it as invalid data.

메인 서버(110)는 사용자의 다양한 기계 학습 기술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음용 내역을 학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서버(110)는 딥 러닝, 머신 러닝, 지도 학습, 비지도 학습, 준지도 학습, 강화 학습, Deep Belief Network, Autoencoder,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ecurrent Neural Network, Deep Q-Network 등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음용 내역을 학습할 수 있다. 나아가, 메인 서버(110)는 학습한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의 음용량 예측 모델을 구축하여, 사용자가 언제 얼만큼의 물을 어느 정수기를 이용하여 마실 것인지 등에 대해 예측할 수도 있다.Themain server 110 may learn the user's drinking history based on various machine learning techniques of the user. For example, themain server 110 performs deep learning, machine learning, supervised learning, unsupervised learning, semi-supervised learning, reinforcement learning, Deep Belief Network, Autoencoder,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ecurrent Neural Network, Deep Q-Network, etc.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learn the user's drinking history. Furthermore, themain server 110 may build a drinking volume prediction model of the user based on the learned result, and predict when and how much water the user will drink using which water purifier.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량 측정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measuring the amount of waste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정수기(100-1)의 배수량이 항상 사용자의 음용량과 정확하게 맞아 떨어지지는 않는다. 사용자가 배수받은 물을 전부 마시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폐수량의 미측정으로 인해 사용자의 음용량 측정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가 음용하지 않고 남은 폐수를 처리하는 폐수부가 구비된 정수기(100-1)를 제안하며, 사용자는 남은 폐수를 정수기(100-1)에 구비된 폐수부에 폐수를 부음으로써 폐수를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다.The displacement of the water purifier 100-1 does not always exactly match the user's drinking volume. This is because the user does not drink all the drained water. Due to such unmeasurement of the amount of wastewater, a problem in which the user's drinking volume measurement is less accurate may occu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poses a water purifier (100-1) equipped with a wastewater unit that processes wastewater remaining without the user drinking, and the user pours the remaining wastewater into the wastewater unit provided in the water purifier 100-1. Wastewater can be treated simply by pouring.

정수기(100-1)는 폐수부에 부어진 폐수량을 측정하고(S510), 측정한 폐수량을 메인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S520). 폐수량은 폐수부에 폐기된 물의 부피, 무게 등을 기초로 측정될 수 있다. 메인 서버(110)는 이렇게 수신한 폐수량을 기초로 사용자의 누적 음용량을 산출/계산할 수 있다(S530). 물론 폐수량과 함께 음용량도 함께 측정 및 전송될 수 있다.The water purifier 100-1 may measure the amount of wastewater poured into the wastewater unit (S510) and transmit the measured amount of wastewater to the main server 110 (S520). The amount of wastewater can be measured based on the volume, weight, etc., of water discarded in the wastewater unit. Themain server 110 may calculate/calculate the accumulated drinking volume of the user based on the amount of wastewater received in this way (S530). Of course, the amount of drinking water can be measured and transmitted along with the amount of wastewater.

보다 구체적으로, 메인 서버(110)는 사용자에 대하여 현재까지 누적된 음용량에 대하여 수신한 음용량으로 덧셈 연산을 수행하고, 수신한 폐수량으로 뺄셈 연산을 수행하여, 사용자에 대한 누적 음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서버(110)는 사용자의 음용 내역을 검토한 결과, 오늘 하루 누적 음용량이 1050ml이고, 정수기로부터 음용량 100ml, 폐수량 80ml를 수신한 경우, 누적 음용량을 1070ml(=1050ml+100ml-80ml)으로 산출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main server 110 calculates the accumulated drinking volume for the user by performing an addition operation with the received drinking volume for the user's accumulated drinking volume up to now, and performing a subtraction operation with the received wastewater volume. can do. For example,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user's drinking history, themain server 110 determines the accumulated drinking volume to be 1070ml (=1050ml+ 100ml-80ml).

정수기(100-1)가 폐수하는 사용자를 인식하는 방식은 앞서 도 4의 실시예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method of the water purifier 100-1 recognizing a user who wastes water may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as the embodiment of FIG. 4 .

폐수부는 배수구와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배수구와의 연결 부위에 개폐부를 구비하고 정수기의 제어에 따라 개폐부를 개폐함으로써 폐수를 보관하거나 폐수를 배수구로 흘려보낼 수 있다.The wastewater unit may be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a drain, and an opening/closing unit may be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with the drain, and the opening/closing unit may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water purifier to store wastewater or flow the wastewater through the drain.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 플랜 설계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6은 사용자의 하루 평균 음용량이 하루 권장 음용량 미만인 경우의 음용 플랜 설계 실시예, 도 7은 사용자의 하루 평균 음용량이 하루 권장 음용량 초과인 경우의 음용 플랜 설계 실시예를 각각 예시한다.6 and 7 are diagrams illustrating a drinking plan design embodi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 6 shows a drinking plan design example when the user's average drinking amount per day is less than the recommended daily drinking amount, and FIG. foreshadow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서버는 사용자의 음용 내역을 학습하여 사용자의 음용 습관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시간대별 권장 음용량을 산정한 음용 플랜을 설계함으로써 사용자가 하루 권장 음용량을 모두 섭취할 수 있도록 독려할 수 있다. 사용자의 하루 권장 음용량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정보(예를 들어, 키, 몸무게)를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하면, 메인 서버가 이를 기반으로 사전에 산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ain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learn the user's drinking history and grasp the user's drinking habit, and based on this, design a drinking plan that calculates the recommended drinking amount for each time period, so that the user can be encouraged to consume all of the recommended daily intake. When the user inputs his/her body information (for example, height and weight) into the application, the main server may calculate the daily recommended drinking volume of the user in advance based on this.

메인 서버는 사용자의 음용 내역을 학습하여 사용자의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 및 하루 평균 음용량을 도출하고, 하루 평균 음용량과 사용자의 하루 권장 음용량을 비교할 수 있다. 나아가, 비교 결과 및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에/을 기초/고려하여, 메인 서버는 사용자에 대한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할 수 있다.The main server learns the user's drinking history, derives the user's average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period and daily average drinking volume, and compares the daily average drinking volume with the user's daily recommended drinking volume. Furthermore, based on/considering the comparison result and the average drinking amount for each time period, the main server may design a drinking plan for the user for a day.

보다 구체적으로, 하루 평균 음용량이 하루 권장 음용량보다 적은 경우, 메인 서버는 하루 권장 음용량 대비 부족한 음용량을 기초로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시예는 크게, 부족한 음용량을 모든 시간대에 골고루 분산 설계하여 시간대별로/골고루 사용자가 물을 추가로 섭취하도록 유도하는 제1 실시예, 부족한 음용량을 사용자가 평균적으로 물을 많이 마시거나 적게 마시는 시간대에만 선별적으로 분산 적용하여 특정 시간대에만 사용자가 물을 추가로 섭취하도록 유도하는 제2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daily average drinking volume is less than the daily recommended drinking volume, the main server may design a daily drinking plan by increasing the average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period based on the insufficient drinking volume compared to the daily recommended drinking volume. Examples of this are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insufficient amount of drinking is designed to be evenly distributed over all time zones to induce users to additionally drink water by time/evenly, There may be a second embodiment in which the user is encouraged to additionally drink water only at a specific time period by selectively distributing and applying only the time period for drinking less.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서버는, 다음의 절차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main server may operate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

1) 하루 권장 음용량과 하루 평균 음용량을 뺄셈 연산하여 부족한 음용량을 획득1) Obtain insufficient drinking volume by subtracting the recommended daily drinking volume from the average daily drinking volume

2) 부족한 음용량을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에 포함된 시간대의 개수로 나눗셈 연산하여 시간대별 보충 음용량을 획득2) The insufficient drinking volume is divided by the number of time zones included in the average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period to obtain supplemental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period.

3)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각 시간대별로 시간대별 보충 음용량만큼 증가시켜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3) Designing the daily drinking plan by increasing the average drinking volume per time zone by the supplemental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zone

본 실시예를 도 6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 of FIG. 6 as follows.

만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대한 하루 권장 음용량이 1500ml, 하루 평균 음용량이 1050ml,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에 포함된 시간대의 개수가 12개(AM 8:00~PM 7:00, 총 12개의 시간대)인 경우를 가정해볼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서버는 하루 권장 음용량(1500ml)와 하루 평균 음용량(1050ml)을 뺄셈 연산하여 부족한 음용량(450ml=1500ml-1050ml)를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메인 서버는 이러한 부족한 음용량(450ml)을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에 포함된 시간대의 개수(12개)로 나누어 시간대별 보충 음용량(37.5ml=450ml/12개)을 획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메인 서버는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획득한 시간대별 보충 음용량(37.5ml)만큼 각 시간대별로 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가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하루 권장 음용량을 모두 섭취할 수 있도록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할 수 있다.If, as shown in FIG. 6, the recommended daily drinking volume for the user is 1500ml, the average daily drinking volume is 1050ml, and the number of time zones included in the average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zone is 12 (AM 8:00-PM 7: 00, a total of 12 time zones). In this case, the main server may obtain the insufficient drinking volume (450ml = 1500ml-1050ml) by subtracting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per day (1500ml) and the average daily drinking volume (1050ml). Furthermore, the main server may obtain supplementary drinking volume (37.5ml = 450ml/12) for each time zone by dividing the insufficient drinking volume (450ml) by the number of time zones (12) included in the average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zone. Finally, the main server increases the average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zone by the acquired supplemental drinking volume (37.5ml) for each time zone as shown in this figure for each time zone so that the user can consume all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for a day. You can design a plan.

종래에는 사용자가 잠자기 전 하루동안 밀린 음용량을 한 번에 마셔 하루 권장 섭취량을 채웠으며, 너무 많은 물을 한 번에 섭취함에 따라 오히려 몸으로의 흡수를 방해할 뿐 아니라, 이뇨 작용만 촉진시킨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부족한 음용량을 하루동안 골고루 섭취하도록 자연스럽게 유도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Conventionally, the user filled the recommended intake for the day by drinking the amount of drinking that had been delayed throughout the day before going to bed at once, and drinking too much water at once not only hinders absorption into the body, but also promotes only the diuretic effect. this existed Howev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problem can be solved by naturally inducing the user to consume an insufficient amount of drinking throughout the day.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서버는, 다음의 절차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main server may operate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

1) 하루 권장 음용량과 하루 평균 음용량을 뺄셈 연산하여 부족한 음용량을 획득1) Obtain insufficient drinking volume by subtracting the recommended daily drinking volume from the average daily drinking volume

2) 부족한 음용량을,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 중 기설정된 음용량 이상 또는 미만으로 기록된 특정 시간대의 개수로 나눗셈 연산하여 특정 시간대 보충 음용량을 획득2) Obtain supplemental drinking volume for a specific time period by dividing the insufficient drinking volume by the number of specific time zones recorded above or below the preset drinking volume among the average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zone

3)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특정 시간대별로 특정 시간대 보충 음용량만큼 증가시켜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3) Design a daily drinking plan by increasing the average drinking volume per time zone by the supplemental drinking volume for each specific time zone

본 실시예를 도 6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 of FIG. 6 as follows.

만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대한 하루 권장 음용량이 1500ml, 하루 평균 음용량이 1050ml, 기설정된 음용량이 80ml,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 중 기설정된 음용량 이상 또는 미만으로 기록된 특정 시간대의 개수가 총 3개인 경우를 가정해볼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서버는 하루 권장 음용량(1500ml)와 하루 평균 음용량(1050ml)을 뺄셈 연산하여 부족한 음용량(450ml=1500ml-1050ml)를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메인 서버는 이러한 부족한 음용량(450ml)을 특정 시간대의 개수(3개)로 나누어 특정 시간대 보충 음용량(150ml=450ml/3개)을 획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메인 서버는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특정 시간대별로 획득한 특정 시간대 보충 음용량(150ml)만큼 증가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하루 권장 음용량을 모두 섭취할 수 있도록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에서 80ml 이상으로 기록된 특정 시간대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AM 08:00, AM 9:00, AM 12:00인 경우, 메인 서버는 다음과 같이 해당 시간대의 평균 음용량만 선별적으로 보충 음용량(150ml)만큼 증가시킴으로써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할 수 있다.If, as shown in FIG. 6,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per day for the user is 1500ml, the average daily drinking volume is 1050ml, the preset drinking volume is 80ml, and the average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period is recorded as more than or less than the preset drinking volume. It can be assumed that the number of specific time zones is three in total. In this case, the main server may obtain the insufficient drinking volume (450ml = 1500ml-1050ml) by subtracting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per day (1500ml) and the average daily drinking volume (1050ml). Furthermore, the main server may obtain supplementary drinking volumes (150ml = 450ml/3) for a specific time period by dividing the insufficient drinking volume (450ml) by the number (3) of the specific time zone. Finally, the main server can design a daily drinking plan so that the user can consume all of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for a day by increasing the average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zone by the supplemental drinking volume (150ml) for a specific time zone acquired for each specific time zone. For example, if the specific time zones recorded as 80 ml or more in the average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zone are 08:00 AM, 9:00 AM, and 12:00 AM as shown in FIG. 6, the main server operates as follows A daily drinking plan can be designed by selectively increasing only the average drinking volume by the supplemental drinking volume (150ml).

- AM 08:00 -> 80ml+ 150ml = 230ml- AM 08:00 -> 80ml+ 150ml = 230ml

- AM 09:00 -> 95ml+ 150ml = 245ml- AM 09:00 -> 95ml+ 150ml = 245ml

- AM 12:00 -> 100ml+ 150ml = 250ml- AM 12:00 -> 100ml+ 150ml = 250ml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특별히 물을 많이 섭취하거나 부족하게 섭취하는 시간대에(예를 들어, 식사나 운동 완료하는 시간대) 물을 보충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자가 하루 권장 섭취량을 채울 수 있도록 유도한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user can more efficiently fill the recommended daily intake by inducing the user to replenish water at a time when the user consumes a lot or insufficient water (for example, a time when a meal or exercise is completed). It has the effect of inducing it.

물을 부족하게 섭취하는 것도 문제지만, 물을 과도하게 섭취하는 것도 물 중독 증상, 부종 등 다양한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어 물을 과도하게 섭취하는 사용자에 대한 음용 플랜 역시 필요하다.Insufficient water intake is also a problem, but excessive intake of water can also cause various side effects such as water poisoning symptoms and edema, so a drinking plan for users who consume excessive water is also necessary.

따라서, 하루 평균 음용량이 하루 권장 음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메인 서버는 하루 권장 음용량 대비 초과된 음용량을 기초로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감소시킴으로써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시예는 크게, 초과된 음용량을 모든 시간대에 골고루 분산 설계하여 사용자가 시간대별로/골고루 물을 덜 섭취하도록 유도하는 제3 실시예, 초과된 음용량을 사용자가 평균적으로 물을 많이 마시거나 적게 마시는 시간대에만 선별적으로 분산 적용하여 특정 시간대에만 사용자가 물을 덜 섭취하도록 유도하는 제4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daily average drinking volume exceeds the daily recommended drinking volume, the main server may design a daily drinking plan by reducing the average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period based on the drinking volume exceeding the daily recommended drinking volume. An example of this is a third embodiment in which the excess drinking volume is designed to be evenly distributed over all time zones to encourage users to consume less water per time zone/evenly Alternatively, there may be a fourth embodiment in which the user is encouraged to consume less water only in a specific time period by selectively distributing and applying only to the time period when drinking less.

제3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서버는, 다음의 절차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main server may operate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

1) 하루 권장 음용량과 하루 평균 음용량을 뺄셈 연산하여 초과된 음용량을 획득1) Obtain the excess drinking volume by subtracting the daily average drinking volume from the recommended daily drinking volume

2) 초과된 음용량을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에 포함된 시간대의 개수로 나눗셈 연산하여 시간대별 초과 음용량을 획득2) Excess drinking volume per time period is obtained by dividing the excess drinking volume by the number of time zones included in the average drinking volume per time period

3)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각 시간대별로 시간대별 초과 음용량만큼 감소시켜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3) Designing the daily drinking plan by reducing the average drinking volume per time zone by the excess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zone

본 실시예를 도 7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 of FIG. 7 as follows.

만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대한 하루 권장 음용량이 1500ml, 하루 평균 음용량이 1740ml,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에 포함된 시간대의 개수가 12개(AM 8:00~PM 7:00, 총 12개의 시간대)인 경우를 가정해볼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서버는 하루 권장 음용량(1500ml)와 하루 평균 음용량(1740ml)을 뺄셈 연산하여 초과된 음용량(240ml=1740ml-1500ml)를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메인 서버는 이러한 초과된 음용량(240ml)을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에 포함된 시간대의 개수(12개)로 나누어 시간대별 초과 음용량(20ml=240ml/12개)을 획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메인 서버는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획득한 시간대별 초과 음용량(20ml)만큼 각 시간대별로 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하루 권장 음용량을 초과하여 섭취하지 않도록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할 수 있다.If, as shown in FIG. 7, the recommended daily drinking volume for the user is 1500ml, the average daily drinking volume is 1740ml, and the number of time zones included in the average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zone is 12 (AM 8:00-PM 7: 00, a total of 12 time zones). In this case, the main server may obtain the excess drinking volume (240ml = 1740ml-1500ml) by subtracting the recommended daily drinking volume (1500ml) and the average daily drinking volume (1740ml). Further, the main server may obtain the excess drinking volume (20ml = 240ml/12) by dividing the excess drinking volume (240ml) by the number of time zones (12) included in the average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zone. Finally, the main server reduces the average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zone by the excess drinking volume (20 ml) for each time zone as shown in the figure for each time zone, so that the user does not consume more than the recommended daily drinking volume. can design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초과된 음용량을 하루동안 골고루 덜 섭취하도록 자연스럽게 유도함으로써 사용자가 물 과도 섭취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excessive intake of water by naturally inducing the user to consume less than the excessive amount of drinking throughout the day.

제4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서버는, 다음의 절차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In the fourth embodiment, the main server may operate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

1) 하루 권장 음용량과 하루 평균 음용량을 뺄셈 연산하여 초과된 음용량을 획득1) Obtain the excess drinking volume by subtracting the daily average drinking volume from the recommended daily drinking volume

2) 초과된 음용량을,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 중 기설정된 음용량 이상 또는 미만으로 기록된 특정 시간대의 개수로 나눗셈 연산하여 특정 시간대 초과 음용량을 획득2) The excess volume is divided by the number of specific time zones recorded above or below the preset volume among the average volume per time period to obtain the volume exceeding the specific time period

3)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특정 시간대별로 특정 시간대 보충 음용량만큼 감소시켜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3) Designing a daily drinking plan by reducing the average drinking volume per time zone by the supplemental drinking volume for each specific time zone

본 실시예를 도 7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 of FIG. 7 as follows.

만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대한 하루 권장 음용량이 1500ml, 하루 평균 음용량이 1740ml, 기설정된 음용량이 90ml,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 중 기설정된 음용량 이상 또는 미만으로 기록된 특정 시간대의 개수가 총 3개인 경우를 가정해볼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서버는 하루 권장 음용량(1500ml)와 하루 평균 음용량(1740ml)을 뺄셈 연산하여 초과된 음용량(240ml=1740ml-1500ml)를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메인 서버는 이러한 초과된 음용량(240ml)을 특정 시간대의 개수(3개)로 나누어 특정 시간대 보충 음용량(80ml=240ml/3개)을 획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메인 서버는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특정 시간대별로 획득한 특정 시간대 초과 음용량(80ml)만큼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하루 권장 음용량을 초과하여 섭취하지 않도록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에서 80ml 이상으로 기록된 특정 시간대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AM 08:00, AM 9:00, AM 12:00인 경우, 메인 서버는 다음과 같이 해당 시간대의 평균 음용량만 선별적으로 초과 음용량(80ml)만큼 감소시킴으로써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할 수 있다.If, as shown in FIG. 7,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per day for the user is 1500ml, the average daily drinking volume is 1740ml, the preset drinking volume is 90ml, and the average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period is recorded as more than or less than the preset drinking volume. It can be assumed that the number of specific time zones is three in total. In this case, the main server may obtain the excess drinking volume (240ml = 1740ml-1500ml) by subtracting the recommended daily drinking volume (1500ml) and the average daily drinking volume (1740ml). Furthermore, the main server may divide the excess drinking volume (240ml) by the number (3) of the specific time zone to obtain a supplemental drinking volume (80ml = 240ml/3) for the specific time period. Finally, the main server can design a daily drinking plan so that the user does not consume more than the recommended daily drinking volume by reducing the average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zone by the specific drinking volume (80 ml) acquired for each specific time zone. For example, if the specific time zones recorded as 80 ml or more in the average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zone are 08:00 AM, 9:00 AM, and 12:00 AM as shown in FIG. 7, the main server operates as follows A daily drinking plan can be designed by selectively reducing only the average drinking volume by the excess drinking volume (80ml).

- AM 08:00 -> 100ml- 80ml = 20ml- AM 08:00 -> 100ml- 80ml = 20ml

- AM 09:00 -> 125ml- 80ml = 45ml- AM 09:00 -> 125ml- 80ml = 45ml

- AM 12:00 -> 170ml- 80ml = 90ml- AM 12:00 -> 170ml- 80ml = 90ml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특별히 물을 많이 섭취하거나 부족하게 섭취하는 시간대에(예를 들어, 식사나 운동 완료하는 시간대) 물을 덜 섭취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자가 하루 권장 섭취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유도한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user more efficiently exceeds the recommended daily intake by inducing the user to consume less water at a time when the user consumes a lot or insufficient water (eg, a time when a meal or exercise is completed). It has the effect of inducing them not to do it.

한편, 본 도면에는 도시 하지 않았으나, 메인 서버는 음용 플랜과 사용자의 음용 내역을 실시간으로(또는 기설정된 주기로) 비교하고, 부족하거나 과도하게 섭취된 음용량을 다음 음용 플랜에 반영하는 방식으로 음용 플랜을 유동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사용자가 하루 권장 음용량을 섭취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서버는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이전 시간대에 기록된 음용량과, 하루 음용 플랜에서 이전 시간대에 설계되어 있는 권장 음용량을 비교할 수 있다. 만일, 이전 시간대의 기록 음용량과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 사이에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메인 서버는 하루 음용 플랜에서 이후 시간대에 설계되어 있는 권장 음용량을 상기 차이를 고려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is drawing, the main server compares the drinking plan and the user's drinking history in real time (o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reflects the insufficient or excessive drinking amount to the next drinking plan. can be flexibly updated to induce the user to consume the recommended amount of drinking per day. To this end, the main server may compare the drinking volume recorded in the previous time zone based on the current time and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designed for the previous time zone in the daily drinking plan. If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recorded drinking volume of the previous time zone and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of the previous time zone, the main server may update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designed for the later time zone in the daily drinking plan in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ce.

보다 구체적으로, 이전 시간대의 기록 음용량이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 미만인 경우, 메인 서버는 권장 음용량 대비 부족한 음용량을 기초로 이후 시간대에 설계되어 있는 권장 음용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하루 음용 플랜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시예는 크게, 부족한 음용량을 이후 시간대에 골고루 분산 설계하여 시간대별로/골고루 사용자가 물을 추가로 섭취하도록 유도하는 제5 실시예, 부족한 음용량을 사용자가 평균적으로 물을 많이 마시거나 적게 마시는 시간대에만 선별적으로 분산 적용하여 특정 이후 시간대에만 사용자가 물을 추가로 섭취하도록 유도하는 제6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f the recorded drinking volume of the previous time zone is less than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of the previous time zone, the main server updates the daily drinking plan by increasing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designed for the later time zone based on the insufficient drinking volume compared to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can do. Examples of this are the fifth embodiment in which insufficient drinking volume is designed to be evenly distributed over subsequent time zones to induce users to additionally consume water by time zone/evenly; There may be a sixth embodiment in which the user is encouraged to additionally drink water only at a later time period by selectively distributing and applying only the time period for drinking less.

제5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서버는, 다음의 절차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In the fifth embodiment, the main server may operate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

1) 이전 시간대의 기록 음용량과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을 뺄셈 연산하여 부족한 음용량을 획득1) Obtain the insufficient volume by subtracting the recorded volume of the previous time period from the recommended volume of the previous time zone

2) 부족한 음용량을, 하루 음용 플랜에 포함된 이후 시간대의 개수로 나눗셈 연산하여, 이후 시간대별 보충 음용량을 획득2) The insufficient drinking volume is divided by the number of later time slots included in the daily drinking plan to obtain supplemental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slot.

3) 하루 음용 플랜에서 이후 시간대별로 설계된 권장 음용량을 이후 시간대별 보충 음용량만큼 증가시켜 업데이트3) In the one-day drinking plan,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designed for each time slot is updated by increasing the supplemental drinking volume for each later time slot.

만일, 현재 시간(AM 9:30)을 기준으로 이전 시간대(AM 9:00)의 기록 음용량이 80ml,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이 100ml, 이후 시간대의 개수가 10개인 경우를 가정해볼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서버는 부족한 음용량(20ml=100ml-80ml)을 이후 시간대의 개수(10개)로 나눈 2ml만큼, 이후 시간대에 설계되어 있는 권장 음용량을 모두 증가시킴으로써 하루 음용 플랜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If, based on the current time (AM 9:30), it can be assumed that the recorded drinking volume of the previous time zone (AM 9:00) is 80ml,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of the previous time zone is 100ml, and the number of subsequent time zones is 10. . In this case, the main server can update the daily drinking plan by increasing all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s designed for the next time slot by 2 ml divided by the number of later time slots (10) by dividing the insufficient drinking volume (20ml = 100ml-80ml). there is.

본 실시예 역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This embodiment can also produce the same effect as the first embodiment.

제6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서버는, 다음의 절차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In the sixth embodiment, the main server may operate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

1) 이전 시간대의 기록 음용량과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을 뺄셈 연산하여 부족한 음용량을 획득1) Obtain the insufficient volume by subtracting the recorded volume of the previous time period from the recommended volume of the previous time zone

2) 부족한 음용량을, 하루 응용 플랜의 이후 시간대 중에서 기설정된 음용량 이상 또는 미만으로 권장 음용량이 설계된 특정 시간대의 개수로 나눗셈 연산하여, 특정 시간대 보충 음용량을 획득2) Obtain supplemental drinking volume for a specific time period by dividing the insufficient drinking volume by the number of specific time zones for which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is designed to be above or below the preset drinking volume among the later time zones of the daily application plan

3) 하루 음용 플랜에서 특정 시간대별로 설계된 권장 음용량을 특정 시간대 보충 음용량만큼 증가시켜 하루 음용 플랜을 업데이트3) In the daily drinking plan, the daily drinking plan is updated by increasing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designed for a specific time period by the supplemental drinking volume for a specific time period.

만일, 현재 시간(AM 9:30)을 기준으로 이전 시간대(AM 9:00)의 기록 음용량이 80ml,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이 100ml, 특정 시간대의 개수가 2개(PM 1:00, PM 2:00)인 경우를 가정해볼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서버는 부족한 음용량(20ml=100ml-80ml)을 이후 시간대의 개수(2개)로 나눈 10ml만큼, 이후 특정 시간대에 설계되어 있는 권장 음용량을 선별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하루 음용 플랜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If, based on the current time (AM 9:30), the recorded drinking volume of the previous time zone (AM 9:00) is 80ml,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of the previous time zone is 100ml, and the number of specific time zones is 2 (PM 1:00, PM 2:00) can be assumed. In this case, the main server selectively increases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designed for a specific time period by 10 ml divided by the number of later time slots (2) from the insufficient drinking volume (20ml = 100ml-80ml) to set up a daily drinking plan. can be updated

본 실시예 역시 제2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This embodiment may also have the same effect as the second embodiment.

앞선 실시예와는 반대로, 이전 시간대의 기록 음용량이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메인 서버는 권장 음용량 대비 초과된 음용량을 기초로 이후 시간대에 설계되어 있는 권장 음용량을 감소시킴으로써 하루 음용 플랜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Contrary to the previous embodiment, if the recorded volume of the previous time zone exceeds the recommended volume of the previous time zone, the main server reduces the recommended volume designed for the subsequent time zone based on the excess volume compared to the recommended volume. By doing so, you can update your drinking plan for the day.

이에 대한 실시예는 크게, 초과된 음용량을 이후 시간대에 골고루 분산 적용하여 시간대별로/골고루 사용자가 물을 덜 섭취하도록 유도하는 제7 실시예, 초과된 음용량을 사용자가 평균적으로 물을 많이 마시거나 적게 마시는 시간대에만 선별적으로 분산 적용하여 특정 이후 시간대에만 사용자가 물을 덜 섭취하도록 유도하는 제8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An example of this is a seventh embodiment in which the excessive drinking amount is evenly distributed and applied over the subsequent time period to induce users to consume less water by time period/evenly, and the excessive drinking amount causes the user to drink a lot of water on average Alternatively, there may be an eighth embodiment of inducing the user to consume less water only at a specific later time period by selectively distributing and applying only to the time period of drinking less.

제7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서버는, 다음의 절차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In the seventh embodiment, the main server may operate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

1) 이전 시간대의 기록 음용량과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을 뺄셈 연산하여 초과된 음용량을 획득1) Acquire the excess volume by subtracting the recorded volume from the previous time period and the recommended volume from the previous time period

2) 초과된 음용량을, 하루 음용 플랜에 포함된 이후 시간대의 개수로 나눗셈 연산하여, 이후 시간대별 초과 음용량을 획득2) The excess drinking volume is divided by the number of time slots included in the daily drinking plan to obtain the excess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slot.

3) 하루 음용 플랜에서 이후 시간대별로 설계된 권장 음용량을 이후 시간대별 초과 음용량만큼 감소시켜 업데이트3) In the one-day drinking plan, the recommended drinking amount designed for each time slot is updated by reducing the amount of excess drinking for each later time slot.

만일, 현재 시간(AM 9:30)을 기준으로 이전 시간대(AM 9:00)의 기록 음용량이 100ml,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이 80ml, 이후 시간대의 개수가 10개인 경우를 가정해볼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서버는 초과된 음용량(20ml=100ml-80ml)을 이후 시간대의 개수(10개)로 나눈 2ml만큼, 이후 시간대에 설계되어 있는 권장 음용량을 모두 감소시킴으로써 하루 음용 플랜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If, based on the current time (AM 9:30), it can be assumed that the recorded drinking volume of the previous time zone (AM 9:00) is 100ml,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of the previous time zone is 80ml, and the number of subsequent time zones is 10. . In this case, the main server updates the drinking plan for the day by reducing all recommended drinking volumes designed for the later time zone by 2 ml divided by the number of drinking hours (10) in excess (20ml = 100ml-80ml). can

본 실시예 역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This embodiment can also produce the same effect as the first embodiment.

제8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서버는, 다음의 절차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In the eighth embodiment, the main server may operate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

1) 이전 시간대의 기록 음용량과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을 뺄셈 연산하여 초과된 음용량을 획득1) Acquire the excess volume by subtracting the recorded volume from the previous time period and the recommended volume from the previous time period

2) 초과된 음용량을, 하루 응용 플랜의 이후 시간대 중에서 기설정된 음용량 이상 또는 미만으로 권장 음용량이 설계된 특정 시간대의 개수로 나눗셈 연산하여, 특정 시간대 초과 음용량을 획득2) Excess drinking volume is divided by the number of specific time zones for which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is designed to be above or below the preset drinking volume among the later time zones of the daily application plan to obtain the drinking volume exceeding the specific time zone

3) 하루 음용 플랜에서 특정 시간대별로 설계된 권장 음용량을 특정 시간대 초과 음용량만큼 감소시켜 하루 음용 플랜을 업데이트3) In the daily drinking plan, the daily drinking plan is updated by reducing the recommended drinking amount designed for a specific time period by the amount of drinking beyond a specific time period.

만일, 현재 시간(AM 9:30)을 기준으로 이전 시간대(AM 9:00)의 기록 음용량이 100ml,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이 80ml, 특정 시간대의 개수가 2개(PM 1:00, PM 2:00)인 경우를 가정해볼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서버는 초과된 음용량(20ml=100ml-80ml)을 이후 시간대의 개수(2개)로 나눈 10ml만큼, 이후 특정 시간대에 설계되어 있는 권장 음용량을 선별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하루 음용 플랜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If, based on the current time (AM 9:30), the recorded drinking volume of the previous time zone (AM 9:00) is 100ml,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of the previous time zone is 80ml, and the number of specific time zones is 2 (PM 1:00, PM 2:00) can be assumed. In this case, the main server selectively reduces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designed for a specific time period by selectively reducing the excess drinking volume (20ml = 100ml-80ml) by 10ml divided by the number of subsequent time zones (2), can be updated.

이외에도, 하루 음용 플랜은 날씨 및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음료의 종류에 따라 유동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 주의보, 폭염 주의보가 발효된 날의 경우 메인 서버는 하루 권장 음용량을 증가시켜 사용자가 충분한 수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사용자가 이뇨 작용을 촉진시키는 음식/음료(예를 들어, 커피, 녹차, 맥주 등)를 섭취한 것을 인식한 경우, 메인 서버는 하루 권장 음용량을 증가시켜 사용자가 충분한 수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서버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음료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별도의 입력 인터페이스/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ily drinking plan may be flexibly updated according to the weather and the type of food/drink consumed by the user. For example, on a day when a dry warning or a heat wave warning is effective, the main server may increase the daily recommended amount of drinking to induce the user to consume sufficient water. In this context, when recognizing that the user has consumed a food/beverage that promotes diuretic action (eg, coffee, green tea, beer, etc.), the main server increases the recommended daily drinking volume so that the user can drink enough water. It can be induced to eat. To this end, the main server may provide the user with a separate input interface/function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food/drink consumed by the user through the application.

이렇듯 제1 내지 제8 실시예에 따라 설계 및 업데이트된 하루 음용 플랜은, 메인 서버가 사용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정수기가 음용 플랜에 따라 각 사용자별로 자동으로 권장 음용량을 설정 및 배수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등록된 사용자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As such, the daily drinking plan designed and updated according to the first to eighth embodiments is provided to the user by the main server through the user device, or the water purifier automatically sets and drains the recommended drinking amount for each user according to the drinking plan. can Here, the user device may correspond to a user device pre-registered by a user through an applica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알림을 제공하는 정수기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water purifier providing user no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정수기(810)는 하루 음용 플랜에 따라 사용자가 물을 섭취해야 할 시간이 되는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한 (시각적/청각적)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서버는 미리 설계한 하루 음용 플랜을 복수의 정수기들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정수기(810)는 하루 음용 플랜에 따라 사용자가 물을 섭취해야 할 시간이 되면, 알림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특히, 정수기(810)는 음용 플랜에 정해진 시간대별로 권장 음용량만큼 물을 자동으로 배수(820)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water purifier 810 may provide a (visual/audible) notification when it is time for the user to consume water according to a daily drinking plan. To this end, the main server may transmit a pre-designed daily drinking plan to a plurality of water purifiers, and thewater purifier 810 outputs a notification when it is time for the user to consume water according to the daily drinking plan, so that the user can drink water. can be induced to consume. In particular, thewater purifier 810 may automatically drain 820 water as much as the recommended drinking amount for each time period set in the drinking plan.

본 실시예를 위한 전제 조건으로서, 음용량 측정 시스템은 현재 사용자의 위치가 어디인지를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와 가장 근접한 위치의 정수기(810)가 본 실시예를 수행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메인 서버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또는 기설정된 주기로) 수신하고, 사용자와 가장 근접한 위치의 정수기(810)에 대하여 본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도록 명령/지시할 수 있다. 또는, 정수기(810)가 사용자를 한 번이라도 인식하면, 사용자와 가장 근접한 위치의 정수기(810)가 자신인 것으로 판단하고 본 실시예를 스스로 수행할 수 있다.As a precondition for this embodiment, the drinking volume measuring system needs to know where the user's current location is. This is because it is most efficient for thewater purifier 810 located closest to the user to perform this embodiment. Accordingly, the main server may receive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device in real time (or at a preset period), and may command/instruct thewater purifier 810 located closest to the user to perform the present embodiment. . Alternatively, if thewater purifier 810 recognizes the user even once, it may determine that thewater purifier 810 closest to the user is the user and perform the present embodiment by itself.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및 서버의 블록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of a water purifier and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정수기(910)는, 제1 제어부(910-1), 정수 배출부(910-2), 사용자 인식부(910-3), 통신부(910-4), 사용자 인터페이스부(910-5) 및/또는 저장부(910-6)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water purifier 910 includes a first control unit 910-1, a purified water discharge unit 910-2, a user recognition unit 910-3, a communication unit 910-4, and a user interface unit ( 910-5) and/or a storage unit 910-6.

제1 제어부(910-1)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하여 정수기(910)에 포함된 구성/유닛을 제어하고, 내부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정수기(910)는 제1 제어부(910-1)로 대체되어 설명될 수 있다. 제1 제어부(910-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AP(Application Processor)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제어부(910-1)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알고리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unit 910 - 1 may control components/units included in thewater purifier 910 and process internal data in order to perform the embodiment prop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refor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water purifier 910 may be replaced with the first control unit 910-1. The first controller 910 - 1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Micro Processor Unit (MPU), Micro Controller Unit (MCU), Application Processor (AP), Application Processor (AP), or one well known in the ar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of any type. The first controller 910-1 may perform calculations for at least one application, algorithm, or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정수 배출부(910-2)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 물을 정수하는 필터부(미도시), 외부로 정수된 물을 배출 배출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에 따라 정수 배출부는 배수량 측정부 및/또는 폐수량 측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량 측정부는 배수된 물의 양을 측정하는 구성/유닛에 해당하며, 폐수량 측정부(미도시)는 폐수부에 폐기된 물의 양을 측정하는 구성/유닛에 해당할 수 있다. 배수량은 배출구(미도시)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배수 시간, 시간당 배수량을 기초로 측정될 수 있으며, 폐수량은 폐수부(미도시)에 페기된 물의 부피, 무게 등을 기초로 측정될 수 있다.The purified water discharge unit 910 - 2 may include a storage unit (not shown) for storing water, a filter unit (not shown) for purifying water, and a discharge port (not shown) for discharging purified water to the outside. In particular,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unit may further include a displacement measurement unit and/or a wastewater measurement unit (not shown). 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may correspond to a component/unit measuring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and the wastewater measuring unit (not shown) may correspond to a component/unit measuring the amount of waste water in the waste water unit. The amount of drainage can be measured based on the drainage time and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per hour through a discharge port (not shown), and the amount of wastewater can be measured based on the volume, weight, etc. of water discarded to the wastewater unit (not shown).

사용자 인식부(910-3)는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수단을 포함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인식부(910-3)는 앞서 도 4의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recognizer 910 - 3 may recognize a user by including at least one sensor/means for recognizing the user. In particular, the user cognition unit 910 - 3 may include various sensors/means for performing the embodiment of FIG. 4 .

통신부(910-4)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910-4)는 통신을 수행하여 음용량 측정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타정수기, 메인 서버(920) 및/또는 사용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910-4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us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unit 910 - 4 may perform communication with other water purifiers included in the drinking volume measurement system, themain server 920 and/or the user device.

사용자 인터페이스부(910-5)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910-5)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 수단(예를 들어, 터치 입력 센서, 하드웨어 버튼에 대한 압력 인식 센서, 음성 인식 센서, 카메라 센서 등)과, 출력 수단(디스플레이, 스피커,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unit 910 - 5 may receive an input from a user or provide an output to the user. Accordingly, the user interface unit 910-5 includes various types of input means (eg, a touch input sensor, a pressure recognition sensor for a hardware button, a voice recognition sensor, a camera sensor, etc.), and an output means (display, speaker, LED (Light Emitting Diode), etc.) may be included.

저장부(910-6)는, 비디오, 오디오, 사진,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의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공간에 해당할 수 있다. 특히, 정수기(910)의 저장부(910-6)는 사용자 인식 정보, 사용자별로 측정한 음용량/폐수량, 하루 음용량 플랜 등을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910-6 may store various digital data such as video, audio, photo, moving picture, and application, and may store various digital data such as flash memory, HDD (Hard Disk Drive), SSD (Solid State Drive), and the like. It may correspond to a digital data storage space. 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910 - 6 of thewater purifier 910 may store user recognition information, drinking volume/waste water volume measured for each user, a daily drinking volume plan, and the like.

메인 서버(920)는, 제2 제어부(920-1), 통신부 및/또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main server 920 may include a second control unit 920-1, a communication unit and/or a storage unit.

제2 제어부(920-1)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하여 메인 서버(920)에 포함된 구성/유닛을 제어하고, 내부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메인 서버(920)는 제2 제어부(920-1)로 대체되어 설명될 수 있다. 제2 제어부(16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AP(Application Processor)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제어부(920-1)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알고리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저장부(920-3)에 저장되어 있는 음용 내역을 기계 학습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unit 920 - 1 may control components/units included in themain server 920 and process internal data in order to perform the embodiment prop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Therefor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main server 920 may be replaced with the second control unit 920-1. The second controller 160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Micro Processor Unit (MPU), Micro Controller Unit (MCU), Application Processor (AP), Application Processor (AP), or any one well known in the ar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processor. The second control unit 920-1 may perform calculations on at least one application, algorithm, or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perform calculations stored in the storage unit 920-3. The drinking history may be learned using machine learning technology.

통신부(920-2)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920-2)는 통신을 수행하여 음용량 측정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정수기들(910) 및/또는 메인 서버(9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920-2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us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unit 920-2 may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water purifiers 910 and/or themain server 920 included in the drinking volume measurement system.

저장부(920-3)는, 비디오, 오디오, 사진,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의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공간에 해당할 수 있다. 특히, 메인 서버(920)의 저장부(920-3)는 사용자 인식 정보, 정수기 그룹 정보, 사용자별로 음용 내역, 하루 음용량 플랜 등을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920-3 may store various digital data such as video, audio, photos, moving pictures, applications, and the like. It may correspond to a digital data storage space. 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920 - 3 of themain server 920 may stor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water purifier group information, drinking history for each user, and a daily drinking amount plan.

사용자 장치는 본 블록도에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술한 정수기(910) 및/또는 메인 서버(92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유닛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Although not separately shown in this block diagram, the user devic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component/unit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water purifier 910 and/ormain server 920, and the embodiment proposed herein can be perform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량 표시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rinking volum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음용량 표시 시스템(140)은 앞서 도 1에 상술한 음용량 측정 시스템(100)에 표시 장치(130)가 추가된 것이므로, 도 1의 설명이 본 도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drinkingvolume display system 140 has thedisplay device 130 added to the drinkingvolume measurement system 1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the description of FIG. is omitted.

음용량 표시 시스템(140)은 음용량 측정 시스템(100)에 표시 장치(130)가 도입/추가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The drinkingvolume display system 140 may be configured by introducing/adding thedisplay device 130 to the drinkingvolume measuring system 100 .

표시 장치(130)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음용량을 출력/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 장치(130)는 음용량 표시 시스템(14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유닛(100-1~100-3, 110, 120)과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30)는 메인 서버(110)와 통신을 수행하여 메인 서버(110)로부터 음용 내역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출력/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display device 130 may basically correspond to a device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outputting/displaying a user's drinking volume. To this end, thedisplay device 130 communicates with at least one component/unit (100-1 to 100-3, 110, 120) included in the drinkingvolume display system 140 us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can do. For example, thedisplay device 130 may communicate with themain server 110 to receive drinking history from themain server 110 and output/display it.

표시 장치(130)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음용 내역을 수신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별 음용 내역을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표시 장치(130)는 사용자별로 음용량의 비교가 가능하도록 음용 내역을 다양하게 시각화하여 출력/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12 내지 16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Thedisplay device 130 may receive drinking details of a plurality of users, and output/display the drinking details of each user in various ways. In particular, thedisplay device 130 can visualize and output/display the contents of drinking in various ways so that the drinking amount can be compared for each user, and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6. do.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량 표시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11 is a flowchart of a drinking volume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우선 메인 서버(110)는 적어도 하나의 정수기로부터 수신한 음용량을 음용 내역으로서 기록할 수 있다(S1110). 나아가, 메인 서버(110)는 음용 내역을 표시 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S1120).Referring to FIG. 11 , first, themain server 110 may record the drinking volume received from at least one water purifier as drinking history (S1110). Furthermore, themain server 110 may transmit the drinking details to the display device 130 (S1120).

표시 장치(130)는 메인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음용 내역을 시각화하기 위한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수행 결과를 기초로 음용 내역을 시각화하여 출력/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130).Thedisplay device 130 may perform a data pre-processing process for visualizing the drinking history received from themain server 110, and may visualize and output/display the drinking history based on the performance result (S1130).

데이터 전처리 과정은, 음용 내역의 시각화가 가능하도록 수치화하는 과정으로, 일 실시예로서 표시 장치(130)는 음용 내역을 기초로 하루 권장 음용량 대비 하루 중 현재까지의 누적 음용량을 계산하여 음용 달성률을 도출하는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The data pre-processing process is a process of digitizing the drinking history to be visualized. As an embodiment, thedisplay device 130 calculates the drinking achievement rate by calculating the cumulative drinking volume so far compared to the recommended daily drinking volume based on the drinking history. It is possible to perform a data pre-processing process that derives.

예를 들어, 제1 사용자에 하루 권장 음용량이 1500ml이고, 제1 사용자에 대한 음용 내역에 하루 중 현재까지의 누적 음용량이 750ml인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 경우, 표시 장치는 제1 사용자에 대한 음용 달성률로서 50%(=(750ml/1500ml)*100%)를 도출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recommended drinking amount per day for the first user is 1500ml and the drinking history for the first user records that the cumulative drinking amount of the day to date is 750ml, the display device displays the drinking amount for the first user. As the achievement rate, 50% (=(750ml/1500ml)*100%) can be derived.

표시 장치(130)는, 이렇게 도출한 음용 달성률을 출력/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현재까지의 측정/기록된 음용 내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display device 130 may output/display the drinking achievement rate derived in this way to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about drinking history measured/recorded up to now.

특히, 표시 장치(130)는 복수의 사용자들의 음용 내역을 수신한 경우, 음용 달성률을 복수의 사용자별로 도출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별로 음용 달성률의 비교가 가능하도록 시각화하여 출력/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장치(130)는 사용자별로 음용 달성률을 GUI(Graphic User Interface) 및/또는 시각적 오브젝트의 형태로 디스플레이/출력할 수 있다. 표시 장치(130)는, 이러한 시각적 효과와 함께 청각적 효과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GUI 및/또는 시각적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출력은, 사용자별 음용 달성률의 시각적 비교가 가능하도록 하여 경쟁 심리를 자극하기 위함이 목적이므로, 음용 달성률에 따라 GUI 및/또는 시각적 오브젝트의 크기, 길이, 높이, 형상, 이동 거리, 색 및/또는 밝기 등의 시각적 효과를 달리하여 출력/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실시예는 도 12 내지 1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In particular, when receiving the drinking details of a plurality of users, thedisplay device 130 may derive the drinking achievement rat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and visualize and output/display the drinking achievement rat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to enable comparison. . More specifically, thedisplay device 130 may display/output the drinking achievement rate for each user in the form of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and/or visual object. Thedisplay device 130 may output an auditory effect as well as such a visual effect. In particular, since the purpose of displaying/outputting such a GUI and/or visual object is to stimulate competition psychology by enabling visual comparison of the drinking achievement rate for each user, the size and length of the GUI and/or visual object according to the drinking achievement rate , height, shape, movement distance, color and / or brightness, etc. can be output / displayed with different visual effects. A more detailed embodiment related to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4 .

한편,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 전처리 과정에 관한 예로서 음용 달성률을 도출하는 실시예를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장치(130)는 수신한 음용 내역을 기초로 현재까지의 총 누적 음용량, 하루 평균 음용량 및/또는 음용 플랜 달성률 등을 도출/산출하기 위한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전처리 과정을 통해 획득한 수치를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출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example of deriving the drinking achievement rate is given as an example of the data preprocessing proc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display device 130 displays the total cumulative drinking volume up to now based on the received drinking history, A data pre-processing process may be performed to derive/calculate average daily drinking volume and/or drinking plan achievement rate, etc., and numerical values acquired through the pre-processing process may be visualized and displayed/output.

도 12 내지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 달성률을 시각화하여 출력/디스플레이하는 표시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12 to 14 are diagrams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for visualizing and outputting/displaying a drinking achievement 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30-1)는 사용자별 음용 달성률을 물방울 개수 및/또는 캐릭터 표정으로 시각화하여 출력/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30-1)는 음용 달성률이 높을수록 물방울의 개수를 많게, 캐릭터 표정을 더욱 밝게 설정하여 출력/디스플레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the display device 130-1 may visualize and output/display the drinking achievement rate for each user as the number of water droplets and/or character expressions.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30-1 may output/display the display device 130-1 by setting the number of water droplets to increase and the expression of the character to be brighter as the drinking achievement rate increases.

도 1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30-2)는 사용자별 음용 달성률을 식물의 성장 정도로 시각화하여 출력/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30-1)는 음용 달성률이 높을수록 성장 정도를 더 높게 설정하여 출력/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가장 음용 달성률이 낮은 사용자에 대한 식물의 성장 정도는 '새싹'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가장 음용 달성률이 높은 사용자에 대한 식물의 성장 정도는 '과일이 열린 나무'로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표시 장치는 음용 달성률에 따라 나무에 열린 과일의 개수를 조절하여 음용 달성률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the display device 130 - 2 may visualize and output/display the drinking achievement rate for each user to the degree of plant growth.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30-1 may output/display the growth rate by setting the growth rate higher as the drinking achievement rate increases. Accordingly, the plant growth degree for the user with the lowest drinking achievement rate may be set to 'sprout', and the plant growth degree for the user with the highest drinking achievement rate may be set to 'tree with fruit'. Furthermore, the display device may visually express the drinking achievement rate by adjusting the number of fruits opened on the tree according to the drinking achievement rate.

도 1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30-3)는 사용자별 음용 달성률을 달리기하는 캐릭터로 시각화(특히, 애니메이션화)하여 출력/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장치(130-3)는 음용 달성률이 높은 사용자일수록 대응하는 캐릭터가 앞장 서서 달리는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용 달성률이 가장 높은 사용자에 대응되는 캐릭터는 다른 캐릭터들보다 앞장 서서 1등으로 달리는 상태로 표시/출력할 수 있으며, 음용 달성률이 가장 낮은 사용자에 대응되는 캐릭터는 다른 캐릭터들보다 뒤쳐져서 꼴등으로 달리는 상태로 표시/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 the display device 130-3 may visualize (in particular, animate) a drinking achievement rate for each user as a character running, and output/display the result. More specifically, the display device 130 - 3 may display a state in which a corresponding character runs in front of a user with a higher drinking achievement rate. For example,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user with the highest drinking achievement rate can be displayed/output in a state of running first ahead of other characters, and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user with the lowest drinking achievement rate lags behind the other characters. It can be displayed/output as running in last place.

도 12 내지 도 14의 실시예들과 같이, 표시 장치(130-1~130-3)는 복수의 사용자들간의 음용 달성률을 한 눈에 비교 가능하도록 시각화하여 출력/디스플레이함으로써, 그룹원들간의 경쟁 심리를 자극할 수 있다. 그 결과, 그룹원들 각자가 스스로 하루 권장 음용량을 섭취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특히, 유아들의 경우, 강제로 음용 습관을 지도하는 것보다, 경쟁 심리를 자극하여 스스로 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음용을 지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연스럽게 음용 습관을 들일 수 있다는 효과가 발생한다.As in the embodiments of FIGS. 12 to 14, the display devices 130-1 to 130-3 visualize and output/display the drinking achievement rates among a plurality of users so that they can be compared at a glance, thereby competition among group members. can stimulate the mind. As a result, each member of the group can be induced to consume the recommended amount of drinking per da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infants, by stimulating their competitive spirit and inducing them to consume water on their own, rather than forcibly guiding drinking habits, it is possible to teach drinking more efficiently and naturally develop drinking habits. occurs.

도 12 내지 도 14의 실시예는 음용 달성률을 시각화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장치(130-1~130-3)는 각 사용자별 음용 달성률을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형태의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디스플레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embodiments of FIGS. 12 to 14 relate to embodiments for visualizing the drinking achievement rate, bu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isplay devices 130-1 to 130-3 visually recognize the drinking achievement rate for each user. Of course, it can be output/displayed in various possible forms.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 달성률 평가 결과를 출력/디스플레이하는 표시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for outputting/displaying a drinking achievement rate evaluation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표시 장치(130-4)는 사용자의 기설정된 기간 동안 수집/수신한 음용 내역을 기초로 사용자별 음용 달성률을 평가할 수 있으며, 평가 결과, 가장 높은 달성률을 기록한 특정 사용자를 추출할 수 있다. 표시 장치(130-4)는 이렇게 추출한 특정 사용자를,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각적으로 출력/디스플레이함으로써 가장 높은 음용 달성률을 기록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30 - 4 may evaluate the drinking achievement rate of each user based on the drinking history collected/received during the user's preset period, and extract a specific user with the highest achievement rate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As shown in FIG. 15 , the display device 130-4 can visually output/display the extracted specific user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user with the highest drinking achievement rate.

이렇듯 음용 달성률이 좋은 사용자들을 선별하여 이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의 경쟁 심리를 자극하고 음용 달성률을 높이기 위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만일, 어린이집, 유치원과 같이 사용자가 유아에 해당하는 경우, 교사는 이렇게 음용 달성률이 좋은 아이들에 대하여 일정한 보상/선물을 줌으로써 유아들이 스스로 음용 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할 수 있다.In this way, by selecting users with a good drinking achievement rate and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m, it is possible to stimulate users' competitive spirit and motivate them to increase the drinking achievement rate. If the user is an infant, such as in a daycare center or kindergarten, the teacher may guide the infant to develop a drinking habit by himself by giving a certain reward/gift to the child with a good drinking achievement rate.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별 음용 달성률을 출력/디스플레이하는 표시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for outputting/displaying a drinking achievement rate for each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만일, 복수의 사용자 각각이 소속되어 있는 그룹이 존재하는 경우, 표시 장치(130-5)는 각 그룹별 평균 음용 달성률을 산출하고, 이를 시각화하여 출력/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30-5)가 어린이집/유치원 등에서 사용되는 경우, 각 유아별로 소속되어 있는 반별로 평균 음용 달성률을 산출할 수 있으며, 표시 장치(130-5)는 이를 시각화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f there is a group to which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belongs, the display device 130 - 5 may calculate an average drinking achievement rate for each group, visualize it, and output/display it.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device 130-5 is used in a daycare center/kindergarten, etc., the average drinking achievement rate for each class belonging to each child can be calculated, and the display device 130-5 visualizes this as shown in FIG. As shown in, it can be output/displayed.

이 경우에도, 도 12 내지 14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다른 그룹과의 경쟁 심리를 자극할 수 있도록 비교 가능한 형태로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2 내지 14의 실시예에서 각 사용자는 각 그룹으로 대체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Even in this case, similarly to the embodiments of FIGS. 12 to 14 , it may be visualized and displayed in a comparable form so as to stimulate a competitive spirit with other groups. Therefore, in the embodiments of FIGS. 12 to 14, each user may be replaced with each group.

사용자가 소속된 그룹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메인 서버에 계정 등록 시에 계정 정보로서 등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계정 정보는 음용 측정/표시 시스템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Information about the group to which the user belongs may be registered as account information when the user registers an account in the main server, and such account information may be shared within the drinking measurement/display system.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용예를 예시한 도면이다.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 exampl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음용량 표시 시스템의 표시 장치(130)는 단체로 생활하는 공용 공간에 설치되어 구성원별 음용량에 대한 정보를 공개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구성원들간의 경쟁 심리를 자극하고 하루 권장 음용량 달성 동기를 부여하여 구성원들이 각자 스스로 하루 권장 음용량을 적절히 섭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display device 130 of the drinking volume display system prop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installed in a common space where a group lives and can openly provide information on the drinking volume of each member, thereby stimulating a competitive spirit among members and Motivate members to achieve the recommended amount of drinking per day so that each member can properly consume the recommended daily amount.

특히, 본 표시 장치(130)는 어린이집/유치원/학교 등과 같이 유아들(1702-1~1702-N)을 상대로 교사/선생님(1701)이 음용 습관을 지도할 때 매우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교사/선생님(1701)은 표시 장치(130)에 출력/디스플레이된 정보를 기초로 유아들(1702-1~1702-N)에게 음용 습관에 대해 지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아들(1702-1~1702-N)의 경쟁 심리를 자극하여 스스로 음용 습관을 주도적으로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present display device 130 can be used very easily when a teacher/teacher 1701 guides drinking habits to children 1702-1 to 1702-N at a daycare center/kindergarten/school. The teacher/teacher 1701 may guide the children 1702-1 to 1702-N on drinking habits based on the information output/displayed on thedisplay device 130, and through this, the children 1702-1 ~1702-N) by stimulating their competitive spirit and leading them to develop their own drinking habits.

표시 장치(130)는 사용자별 음용 달성률, 그룹별 평균 음용 달성률 뿐 아니라, 각 사용자별 음용 플랜에 대한 정보/알림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 정수기뿐 아니라, 표시 장치를 통해 자신이 언제 얼만큼의 물을 마셔야 하는지도 쉽게 알 수 있다.Thedisplay device 130 may provide information/notification on a drinking plan for each user, as well as a drinking achievement rate for each user and an average drinking achievement rate for each group.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know when and how much water to drink through the display device as well as the user device and the water purifier.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음용량 표시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본인의 단말 장치에 해당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보호자의 단말 장치(120-1)에 해당할 수도 있다. 이는, 유아들의 경우 본인 계정의 단말 장치를 소유하고 있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보호자들은 유아들의 음용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자 싶어하기 때문이다.In the drinking volume display system, the user device may correspond to the terminal device of the user himself or herself as described above, but may also correspond to the terminal device 120 - 1 of the user's guardian. This is because infants rarely own a terminal device of their own account, and guardians want to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drinking of infants.

따라서, 음용량 표시 시스템에서 메인 서버는 유아에 대한 음용 내역을 보호자의 사용자 장치(120-1)로 전송할 뿐 아니라, 표시 장치로부터 유아의 음용량 달성률 및/또는 그룹별 음용량 달성률 등에 관한 다양한 음용 정보를 수신하여 보호자의 사용자 장치(120-1)로 전달해줄 수도 있다.Therefore, in the drinking volume display system, the main server not only transmits the drinking history of the infant to the user device 120-1 of the guardian, but also displays various drinking contents related to the infant's drinking volume achievement rate and/or the drinking volume achievement rate by group from the display device. Information may be received and delivered to the user device 120 - 1 of the guardian.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를 예시한 도면이다.1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제3 제어부(1910-1), 통신부(1910-2), 출력부(1910-3), 저장부(1910-4) 및 입력부(1910-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는 필수적으로 표시 장치에 구비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third controller 1910-1, a communication unit 1910-2, an output unit 1910-3, a storage unit 1910-4, and an input unit 1910-5. can Here, the input unit is not necessarily provided in the display device and may be selectively provided according to embodiments.

제3 제어부(1910-1)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하여 표시 장치에 포함된 구성/유닛을 제어하고, 내부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표시 장치는 제3 제어부(1910-1)로 대체되어 설명될 수 있다. 제3 제어부(1910-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AP(Application Processor)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3 제어부(1910-1)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알고리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음용 달성률, 평균 음용 달성률 등과 같이 음용 내역을 수치화하기 위한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The third controller 1910 - 1 may control components/units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and process internal data in order to perform the embodiments prop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Therefor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display device may be replaced with the third control unit 1910-1. The third controller 1910-1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Micro Processor Unit (MPU), Micro Controller Unit (MCU), Application Processor (AP), Application Processor (AP), or one well known in the ar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of any type. The third control unit 1910-1 may perform calculations on at least one application, algorithm, or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particular, drinking history, such as a drinking achievement rate and an average drinking achievement rate. It is possible to perform a data pre-processing process to quantify.

통신부(1910-2)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910-2)는 통신을 수행하여 음용량 표시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정수기, 메인 서버 및/또는 사용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910-2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us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unit 1910-2 may perform communication with a plurality of water purifiers, a main server, and/or a user device included in the drinking volume display system.

출력부(1910-3)는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청각적 출력 수단(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피커,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데이터/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출력부(1910-3)는 사용자별 음용 내역을 시각화한 정보를 다양한 형태/방식/실시예로 출력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910 - 3 may output various data/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visual/audible output means (eg, a display, a speaker, a light emitting diode (LED), etc.). In particular, the output unit 1910-3 may output information visualizing each user's drinking history in various forms/methods/embodiments.

저장부(1910-4)는, 비디오, 오디오, 사진,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의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공간에 해당할 수 있다. 특히, 표시 장치의 저장부(1910-4)는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 결과 획득한 음용 내역에 대한 수치화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910-4 may store various digital data such as video, audio, photo, moving picture, and application, and may store various digital data such as flash memory, HDD (Hard Disk Drive), SSD (Solid State Drive), and the like. It may correspond to a digital data storage space. 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1910 - 4 of the display device may store digitized information about drinking history obtained as a result of performing a data preprocessing process.

입력부(1910-5)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를 들어, 터치 입력 센서, 하드웨어 버튼에 대한 압력 인식 센서, 음성 인식 센서, 카메라 센서 등)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910 - 5 may sense a user's input using at least one sensor (eg, a touch input sensor, a pressure recognition sensor for a hardware button, a voice recognition sensor, a camera sensor, etc.).

출력부(1910-3) 및 입력부(1910-5)가 통합되면 도 9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910-5)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출력부(1910-3) 및 입력부(1910-5)가 통합된 구성/유닛으로 볼 수 있다.When the output unit 1910-3 and the input unit 1910-5 are integrated,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the user interface unit 910-5 of FIG. 9 . Accordingly, the user interface of FIG. 9 can be viewed as a component/unit in which the output unit 1910-3 and the input unit 1910-5 are integrated.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means, for example,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In the case of hardware implementa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one or mo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PGAs (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etc.

또한,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되어,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implementation by firmware or softwar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dule, procedure, function, etc. that performs the functions or operations described above, and is stored o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can be recorded. Here, th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command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thos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For examp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and DVDs (Digital Video Disks), floptical It include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a floptical disk,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generated by a compiler. These hardware devices may be configured to act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나 단말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앞서 설명한 기능들과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서버 팜(Server Farm)과 같이 네트워크에 걸쳐서 분산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혹은 단일의 컴퓨터 장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n apparatus o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riven by a command that causes one or more processors to perform the functions and processe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such instructions may include interpreted instructions, such as script instructions such as JavaScript or ECMAScript instructions, or executable code or other instructions stor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Furthermore,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over a network, such as a server farm, or may be implemented in a single computer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탑재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mputer program (also known as a program, software, software application, script or code) loaded into 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iled or interpreted language or a priori or procedural language. It can be written in any form of programming language, and can be deployed in any form, including stand-alone programs, modules, components, subroutines, or other units suitable for use in a computer environment. A computer program does not necessarily correspond to a file in a file system. A program may be in a single file provided to the requested program, or in multiple interacting files (e.g., one or more modules, subprograms, or files that store portions of code), or parts of files that hold other programs or data. (eg, one or more scripts stored within a markup language document). A computer program may be deployed to be executed on a single computer or multiple computers located at one site or distributed across multiple sites and interconnected by a communication network.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each drawing has been divided and described, but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 to implement a new embodiment by merging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each drawing.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bu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t could be.

또한,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art to which the specifica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ubject matter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e person,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100: 음용량 측정 시스템
100-1 내지 100-3: 정수기
110: 메인 서버
120: 사용자 장치
100: volume measurement system
100-1 to 100-3: water purifier
110: main server
120: user device

Claims (30)

Translated fromKorean
메인 서버, 복수의 정수기 및 표시 장치가 포함된 음용량 측정 시스템의 음용량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사용자의 활동 반경 내에 위치한 복수의 정수기들을 하나의 정수기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정수기 그룹에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사용자 인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정수기 그룹에 속한 정수기가 상기 사용자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정수기가 인식한 사용자에 대하여 배수한 물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정수기가 측정한 물의 양을 상기 사용자의 음용량으로서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사용자 및 인식한 음용량을 상기 메인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수신한 음용량을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음용 내역으로서 기록하고, 상기 음용 내역을 상기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음용 내역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정수기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단계는,
상기 메인 서버가 모든 정수기들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활동 반경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모든 정수기 중 상기 활동 반경 내에 위치해 있는 복수의 정수기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추출한 복수의 정수기들을 상기 하나의 정수기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용량 표시 방법.
A method for displaying a drinking volume of a drinking volume measuring system including a main server, a plurality of water purifiers and a display device,
grouping, by the main server, a plurality of water purifiers located within an activity radius of the user into one water purifier group;
transmitting, by the main server,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recognizing the user to the water purifier group;
recognizing the user by a water purifier belonging to the water purifier group using the user recognition information;
measuring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by the water purifier for the recognized user;
recognizing the amount of water measured by the water purifier as the user's drinking volume, and transmitting the recognized user and the recognized drinking volume to the main server;
recording the drinking volume received by the main server as a drinking history for the user and transmitting the drinking history to the display device; and
outputting the drinking details by th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tep of grouping into one water purifier group,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all water purifiers by the main server;
receiving, by the main server, location information about an activity radius of the user;
extracting, by the main server, a plurality of water purifiers located within the activity radius among all the water purifiers;
grouping, by the main server, the extracted plurality of water purifiers into the one water purifier group; Including, the volume display method.
삭제delete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식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 인식 정보, 홍채 인식 정보, 지문 인식 정보, 음성 인식 정보 및 사용자 장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음용량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recognition information,
The volume display method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user's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iris recognition information, fingerprint recognition information,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and user device informa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정수기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정수기가 획득한 인식 정보와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인식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두 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정수기가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용량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3,
Recognizing the user,
acqui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user by using at least one sensor;
compa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water purifier with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in server; and
recognizing the user by the water purifier when the two pieces of information are the same; Including, the volume display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가 상기 정수기에 배출된 폐수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정수기가 측정한 폐수량을 상기 메인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서버가 수신한 폐수량을 상기 음용 내역으로서 기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용량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1,
measuring, by the water purifier, an amount of wastewater discharged into the water purifier;
transmitting the amount of wastewater measured by the water purifier to the main server; and
recording the amount of wastewater received by the main server as the drinking details; Further comprising, the volume display metho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현재까지 누적된 음용량에 대하여 수신한 음용량으로 덧셈 연산을 수행하고, 수신한 폐수량으로 뺄셈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누적 음용량을 산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용량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5,
calculating, by the main server, the accumulated drinking volume for the user by performing an addition operation with the received drinking volume and performing a subtraction operation with the received wastewater volume with respect to the drinking volume accumulated up to now for the user; Further comprising, the volume display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음용 내역을 학습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 및 하루 평균 음용량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하루 평균 음용량과 상기 사용자에 대한 하루 권장 음용량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서버가 비교 결과 및 상기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용량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1,
deriving, by the main server, an average amount of drinking per time period and an average amount of drinking per day by learning the drinking details;
Comparing, by the main server, the daily average drinking volume with the daily recommended drinking volume for the user; and
designing, by the main server, a daily drinking plan for the user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and the average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period; Further comprising, the volume display metho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하는 단계는,
상기 하루 평균 음용량이 상기 하루 권장 음용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하루 권장 음용량 대비 부족한 음용량을 기초로 상기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용량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step of the main server designing the daily drinking plan,
designing the daily drinking plan by increasing the average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period based on the insufficient drinking volume compared to the recommended daily drinking volume when the daily average drinking volume is less than the daily recommended drinking volume; Including, the volume display metho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하루 권장 음용량과 상기 하루 평균 음용량을 뺄셈 연산하여 상기 부족한 음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부족한 음용량을 상기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에 포함된 시간대의 개수로 나눗셈 연산하여 시간대별 보충 음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각 시간대별로 상기 시간대별 보충 음용량만큼 증가시켜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용량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step of increasing the average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period by the main server,
obtaining the deficient drinking amount by subtracting the recommended daily drinking amount from the daily average drinking amount;
acquiring supplementary drinking amounts for each time slot by dividing the insufficient drinking volume by the number of time slots included in the average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slot; and
designing the daily drinking plan by increasing the average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slot by the supplemental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slot; Including, the volume display metho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하루 권장 음용량과 상기 하루 평균 음용량을 뺄셈 연산하여 상기 부족한 음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부족한 음용량을, 상기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 중 기설정된 음용량 이상 또는 미만으로 기록된 특정 시간대의 개수로 나눗셈 연산하여 특정 시간대 보충 음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상기 특정 시간대별로 상기 특정 시간대 보충 음용량만큼 증가시켜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용량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step of increasing the average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period by the main server,
obtaining the deficient drinking amount by subtracting the recommended daily drinking amount from the daily average drinking amount;
Obtaining a supplemental drinking volume for a specific time period by dividing the insufficient drinking volume by the number of specific time slots recorded above or below a preset drinking volume among the average drinking volumes for each time slot; and
designing the daily drinking plan by increasing the average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slot by the supplemental drinking volume for each specific time slot; Including, the volume display metho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하는 단계는,
상기 하루 평균 음용량이 상기 하루 권장 음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하루 권장 음용량 대비 초과된 음용량을 기초로 상기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용량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step of the main server designing the daily drinking plan,
designing the daily drinking plan by reducing the average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period based on the excess drinking volume compared to the recommended daily drinking volume when the daily average drinking volume exceeds the daily recommended drinking volume; Including, the volume display metho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하루 권장 음용량과 상기 하루 평균 음용량을 뺄셈 연산하여 상기 초과된 음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초과된 음용량을 상기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에 포함된 시간대의 개수로 나눗셈 연산하여 시간대별 초과 음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각 시간대별로 상기 시간대별 초과 음용량만큼 감소시켜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용량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The step of reducing the average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period by the main server,
obtaining the excess drinking amount by subtracting the recommended daily drinking amount from the daily average drinking amount;
obtaining an excess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period by dividing the excess drinking volume by the number of time zones included in the average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zone; and
designing the daily drinking plan by reducing the average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zone by the excess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zone; Including, the volume display metho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하루 권장 음용량과 상기 하루 평균 음용량을 뺄셈 연산하여 상기 초과된 음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초과된 음용량을, 상기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 중 기설정된 음용량 이상 또는 미만으로 기록된 특정 시간대의 개수로 나눗셈 연산하여 특정 시간대 초과 음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대별 평균 음용량을 상기 특정 시간대별로 상기 특정 시간대 초과 음용량만큼 감소시켜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을 설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용량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The step of reducing the average drinking volume for each time period by the main server,
obtaining the excess drinking amount by subtracting the recommended daily drinking amount from the daily average drinking amount;
Obtaining a drinking volume exceeding a specific time zone by dividing the excess drinking volume by the number of specific time zones recorded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drinking volume among the average drinking volumes for each time zone; and
designing the daily drinking plan by reducing the average drinking amount for each time period by an amount exceeding the specific time period for each specific time period; Including, the volume display metho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이전 시간대에 기록된 음용량과, 상기 하루 음용 플랜에서 상기 이전 시간대에 설계되어 있는 권장 음용량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이전 시간대의 기록 음용량과 상기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 사이에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하루 음용 플랜에서 이후 시간대에 설계되어 있는 권장 음용량을 상기 차이를 고려하여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용량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8,
Comparing, by the main server, a drinking volume recorded in a previous time zone based on the current time and a recommended drinking volume designed for the previous time zone in the daily drinking plan; and
If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recorded drinking volume of the previous time zone and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of the previous time zone, the main server updating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designed for a later time zone in the one-day drinking plan in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ce ; Further comprising, the volume display method.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을 업데이트 하는 단계는,
상기 이전 시간대의 기록 음용량이 상기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 미만인 경우, 상기 권장 음용량 대비 부족한 음용량을 기초로 상기 이후 시간대에 설계되어 있는 권장 음용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용량 표시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tep of the main server updating the daily drinking plan,
If the recorded drinking volume of the previous time zone is less than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of the previous time zone, updating the daily drinking plan by increasing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designed for the later time zone based on the insufficient drinking volume compared to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 Including, the volume display method.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권장 음용량을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전 시간대의 기록 음용량과 상기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을 뺄셈 연산하여 상기 부족한 음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부족한 음용량을, 상기 하루 음용 플랜에 포함된 상기 이후 시간대의 개수로 나눗셈 연산하여, 이후 시간대별 보충 음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하루 음용 플랜에서 상기 이후 시간대별로 설계된 권장 음용량을 상기 이후 시간대별 보충 음용량만큼 증가시켜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용량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15,
The step of increasing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by the main server,
obtaining the deficient drinking volume by subtracting the recorded drinking volume of the previous time zone from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of the previous time zone;
obtaining supplementary drinking amounts for each subsequent time slot by dividing the insufficient drinking volume by the number of later time slots included in the daily drinking plan; and
Updating by increasing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designed for each later time slot by the supplemental drinking volume for each later time slot in the daily drinking plan; Including, the volume display method.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권장 음용량을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전 시간대의 기록 음용량과 상기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을 뺄셈 연산하여 상기 부족한 음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부족한 음용량을,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의 상기 이후 시간대 중에서 기설정된 음용량 이상 또는 미만으로 권장 음용량이 설계된 특정 시간대의 개수로 나눗셈 연산하여, 특정 시간대 보충 음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하루 음용 플랜에서 상기 특정 시간대별로 설계된 권장 음용량을 상기 특정 시간대 보충 음용량만큼 증가시켜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용량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15,
The step of increasing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by the main server,
obtaining the deficient drinking volume by subtracting the recorded drinking volume of the previous time zone from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of the previous time zone;
Obtaining a supplementary drinking volume for a specific time period by dividing the insufficient drinking volume by the number of specific time zones for which a recommended drinking volume is designed to be greater than or less than a preset drinking volume among the later time zones of the one-day drinking plan; and
Updating the daily drinking plan by increasing the recommended drinking amount designed for each specific time period in the daily drinking plan by the supplemental drinking volume for the specific time period; Including, the volume display method.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을 업데이트 하는 단계는,
상기 이전 시간대의 기록 음용량이 상기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권장 음용량 대비 초과된 음용량을 기초로 상기 이후 시간대에 설계되어 있는 권장 음용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용량 표시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tep of the main server updating the daily drinking plan,
If the recorded drinking volume of the previous time zone exceeds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of the previous time zone, the daily drinking plan is obtained by reducing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designed for the later time zone based on the excess drinking volume compared to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updating; Including, the volume display method.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권장 음용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전 시간대의 기록 음용량과 상기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을 뺄셈 연산하여 상기 초과된 음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초과된 음용량을, 상기 하루 음용 플랜에 포함된 상기 이후 시간대의 개수로 나눗셈 연산하여, 이후 시간대별 초과 음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하루 음용 플랜에서 상기 이후 시간대별로 설계된 권장 음용량을 상기 이후 시간대별 초과 음용량만큼 감소시켜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용량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15,
The step of reducing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by the main server,
obtaining the excess drinking volume by subtracting the recorded drinking volume of the previous time zone from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of the previous time zone;
dividing the excess drinking volume by the number of later time slots included in the one-day drinking plan to obtain an excess drinking volume for each subsequent time slot; and
Reducing and updating the recommended drinking amount designed for each subsequent time period in the daily drinking plan by an excess drinking amount for each subsequent time period; Including, the volume display method.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권장 음용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전 시간대의 기록 음용량과 상기 이전 시간대의 권장 음용량을 뺄셈 연산하여 상기 초과된 음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초과된 음용량을,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의 상기 이후 시간대 중에서 기설정된 음용량 이상 또는 미만으로 권장 음용량이 설계된 특정 시간대의 개수로 나눗셈 연산하여, 특정 시간대 초과 음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하루 음용 플랜에서 상기 특정 시간대별로 설계된 권장 음용량을 상기 특정 시간대 초과 음용량만큼 감소시켜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용량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15,
The step of reducing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by the main server,
obtaining the excess drinking volume by subtracting the recorded drinking volume of the previous time zone from the recommended drinking volume of the previous time zone;
Obtaining a drinking amount exceeding a specific time period by dividing the excess drinking amount by the number of specific time slots for which a recommended drinking amount is designed to be greater than or less than a preset drinking amount among the later time slots of the one-day drinking plan; and
updating the daily drinking plan by reducing the recommended drinking amount designed for each specific time period in the daily drinking plan by an amount exceeding the specific time period; Including, the volume display metho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하루 음용 플랜을 상기 복수의 정수기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정수기는 시간대별로 상기 하루 음용 플랜에 설계된 권장 음용량만큼 상기 물을 배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용량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ransmitting, by the main server, the daily drinking plan to the plurality of water purifiers; and
draining the water by the water purifier by a recommended drinking amount designed in the daily drinking plan for each time period; Further comprising, the volume display method.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는 상기 하루 음용 플랜에 설계된 권장 음용량에 대한 알림을 상기 시간대별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용량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21,
providing, by the water purifier, a notification of a recommended drinking amount designed for the daily drinking plan for each time period; Further comprising, the volume display method.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하루 음용 플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미리 등록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는 상기 하루 음용 플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용량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21,
transmitting, by the main server, information about the one-day drinking plan to at least one user device pre-registered for the user; and
providing, by the at least one user device, information about the daily drinking plan; Further comprising, the volume display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가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음용 내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음용 내역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음용 내역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사용자별로 하루 권장 음용량 대비 하루 중 현재까지의 누적 음용량을 계산하여 음용 달성률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별 음용 달성률을 시각화하여 상기 음용 내역으로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용량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display device receives drinking details for a plurality of users, the step of outputting the drinking details,
deriving a drinking achievement rate by calculating a cumulative drinking volume up to now compared to a daily recommended drinking volum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based on the drinking details of the plurality of users; and
visualizing drinking achievement rat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and outputting them as the drinking details; Including, the volume display method.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 달성률을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별로 음용 달성률을 나타내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및 시각적(visual)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용량 표시 방법.
25. The method of claim 24,
The step of visualizing and outputting the drinking achievement rate,
displaying at least one of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and a visual object indicating a drinking achievement rat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Including, the volume display method.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GUI 및 시각적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별 음용 달성률의 비교가 가능하도록, 음용 달성률에 따라 상기 GUI 및 시각적 오브젝트의 크기, 길이, 높이, 형상, 이동 거리 및 색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용량 표시 방법.
26. The method of claim 25,
The step of displaying at least one of the GUI and the visual object,
displaying at least one of the size, length, height, shape, movement distance, and color of the GUI and the visual objec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rinking achievement rate to enable comparison of the drinking achievement rat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Including, the volume display method.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이 소속되어 있는 그룹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음용 내역을 출력하는 단계는,
각 그룹별 평균 음용 달성률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각 그룹별 평균 음용 달성률을 시각화하여 상기 음용 내역으로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용량 표시 방법.
25. The method of claim 24,
If there is a group to which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belongs, the step of outputting the drinking history,
Calculating an average drinking achievement rate for each group;
Visualizing the average drinking achievement rate for each group and outputting it as the drinking history; Including, the volume display method.
제 24 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기간 동안 수집된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음용 내역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사용자별 상기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평균 음용 달성률을 산출하는 단계; 및
가장 높은 평균 음용 달성률이 산출된 사용자를 선별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용량 표시 방법.
25. The method of claim 24,
calculating an average drinking achievement rat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for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based on the drinking details of the plurality of users collected during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Selecting and outputting a user with the highest average drinking achievement rate calculated; Further comprising, the volume display method.
음용량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메인 서버로부터 음용 내역을 수신하고,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음용 내역을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음용 내역은,
복수의 정수기들에 의해 인식된 사용자 및 상기 인식한 사용자에 대하여 측정된 음용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서버는, 모든 정수기들의 위치 정보와 사용자의 활동 반경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모든 정수기 중 상기 활동 반경 내에 위치해 있는 복수의 정수기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복수의 정수기들을 상기 하나의 정수기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음용량 표시 장치.
In the volume display device,
an output unit that outputs an image;
A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communication us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drinking details from a main server and outputting the drinking details by controlling the output unit; Including,
The drinking history,
Includes a user recognized by a plurality of water purifiers and drinking volume information measured for the recognized user,
The main server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of all water purifiers and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activity radius of the user, extracts a plurality of water purifiers located within the activity radius among all the water purifiers, and converts the extracted plurality of water purifiers into the one water purifier. A volume display device that is grouped into groups.
음용량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정수기; 로서, 각 정수기는,
물을 배수하는, 정수 배출부;
배수량을 측정하는, 배수량 측정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저장부; 및
상기 정수 배출부, 상기 배수량 측정부, 상기 사용자 인식부, 상기 제1 통신부및 상기 제1 저장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를 포함하고,
메인 서버; 로서, 상기 메인 서버는,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저장부; 및
상기 제2 통신부 및 상기 제2 저장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활동 반경 내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정수기들을 하나의 정수기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제2 제어부가 상기 정수기 그룹에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사용자 인식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정수기 그룹에 속한 정수기의 제1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고,
상기 제1 제어부가 인식한 사용자에 대하여 배수한 물의 양을 측정하고,
상기 제1 제어부가 측정한 물의 양을 상기 사용자의 음용량으로서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사용자 및 인식한 음용량을 상기 메인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제어부가 수신한 음용량을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음용 내역으로서 기록하고,
표시 장치; 로서, 상기 표시 장치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제3 통신부; 및
상기 제3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상기 음용 내역을 수신하고,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음용 내역을 출력하는, 제3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그룹핑은, 모든 정수기들의 위치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활동 반경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모든 정수기 중 상기 활동 반경 내에 위치해 있는 복수의 정수기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복수의 정수기들을 상기 하나의 정수기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음용량 표시 시스템.
In the volume display system,
a plurality of water purifiers; As, each water purifier,
a purified water discharge unit that drains water;
A displacement measurement unit that measures displacement;
A user recognition unit that recognizes a user using at least one sensor;
A first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communication us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a first storage unit for storing data; and
a first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unit, the displacement measurement unit, the user recognition unit,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the first storage unit; including,
main server; As, the main server,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communication using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a second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data; and
a second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storage unit; Including,
The second control unit groups the plurality of water purifiers located within an activity radius of the user into one water purifier group,
The second controller transmits user recognition information for recognizing the user to the water purifier group;
A first control unit of a water purifier belonging to the water purifier group recognizes the user using the user recognition information,
The first control unit measures the amount of water drained for the recognized user,
Recognizing the amount of water measured by the first control unit as the user's drinking volume, and transmitting the recognized user and the recognized drinking volume to the main server;
Recording the amount of drinking received by the second control unit as drinking history for the user;
display device; As such, the display device,
an output unit that outputs an image;
a third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communication using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and
a third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the drinking details from the main server, and to output the drinking details by controlling the output unit; including,
In the grouping, upon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all water purifiers and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user's activity radius, a plurality of water purifiers located within the activity radius are extracted from among all the water purifiers, and the extracted plurality of water purifiers are classified as one water purifier. A volume display system that is grouped into groups.
KR1020200140290A2020-10-272020-10-27A liquid intake display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ActiveKR1024895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00140290AKR102489563B1 (en)2020-10-272020-10-27A liquid intake display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PCT/KR2020/015538WO2022092384A1 (en)2020-10-272020-11-06Drinking amount display system and method, and device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00140290AKR102489563B1 (en)2020-10-272020-10-27A liquid intake display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20055812A KR20220055812A (en)2022-05-04
KR102489563B1true KR102489563B1 (en)2023-01-17

Family

ID=81384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200140290AActiveKR102489563B1 (en)2020-10-272020-10-27A liquid intake display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Country Status (2)

CountryLink
KR (1)KR102489563B1 (en)
WO (1)WO202209238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12391533B2 (en)2017-04-142025-08-19Bev-Edge LLCIntelligent concentrate mixing and delivery
WO2024054579A1 (en)*2022-09-072024-03-14Bev-Edge, LlcIntelligent concentrate mixing and deliver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569704B1 (en)2014-10-212015-11-27정용한Water purifier for notifying the amount of water consumed and method contolling the same
KR102130447B1 (en)*2018-12-312020-07-06제노스전자(주)Intelligent Control Interfac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6751525B1 (en)*2000-06-082004-06-15Beverage Works, Inc.Beverage distribution and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KR102400248B1 (en)*2015-11-052022-05-24코웨이 주식회사Cup capable of measuring drinking amount
KR102233935B1 (en)*2018-12-142021-03-30(주)창성텍IoT SYSTEM INCLUDING IoT WATER PURIFI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569704B1 (en)2014-10-212015-11-27정용한Water purifier for notifying the amount of water consumed and method contolling the same
KR102130447B1 (en)*2018-12-312020-07-06제노스전자(주)Intelligent Control Interfac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20055812A (en)2022-05-04
WO2022092384A1 (en)2022-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11039603B2 (en)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monitoring the behavior, health, and/or characteristics of an animal
KR102489563B1 (en)A liquid intake display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20190216333A1 (en)Thermal face image use for health estimation
CN114845630A (en)Optimizing sleep time to adjust circadian rhythm based on personalized exercise timing
EP3264299A1 (en)System and method for pet monitoring
WO2019144658A1 (en)Smart toilet and electric appliance system
CN112043281A (en)Identifying fall risk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US20140170609A1 (en)Personalized compliance feedback via model-driven sensor data assessment
KR20210040590A (en)Blockchain-based pet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CN111755120B (en) A Cognitive Impairment Prediction Method Based on Edge Intelligence and Multimodal Perception
Cook et al.Fusing ambient and mobile sensor features into a behaviorome for predicting clinical health scores
CN106055873A (en)Fitness auxiliary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image recognition
CN118397519A (en)Campus student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20190062148A (en)Method for sleeping analysis and device for sleeping analysis using the same
US20240296958A1 (en)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on,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hronic and autoimmune diseases
KR20220040049A (en)A liquid intake measur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ing water purifier
CN109300546A (en)A kind of individual sub-health state appraisal procedure based on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N109757928A (en)A kind of shatter-resistant is intelligent baby bed
KR102112757B1 (en)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atient
US20230277067A1 (en)Method of monitoring the hydration of a living body
Wijanarko et al.A Fuzzy Logic Based Internet of Things (IoT) for Smart Water Bottle
JP7613430B2 (en) Health management system,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GotzianModeling the decreasing intervention effect in digital health: a computational model to predict the response for a walking intervention
WO2019206043A1 (en)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KR20220124457A (en)Smart system for stress measure and management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201027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20419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221013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30112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20230112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