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2479972B1 - Separable and acceptable container cap - Google Patents

Separable and acceptable container ca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972B1
KR102479972B1KR1020210001070AKR20210001070AKR102479972B1KR 102479972 B1KR102479972 B1KR 102479972B1KR 1020210001070 AKR1020210001070 AKR 1020210001070AKR 20210001070 AKR20210001070 AKR 20210001070AKR 102479972 B1KR102479972 B1KR 102479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cap
sealing
flat
stopp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0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33958A (en
Inventor
이호재
박병선
최명준
김민철
Original Assignee
제이씨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씨텍(주)filedCritical제이씨텍(주)
Publication of KR20220033958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220033958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972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2479972B1/en
Active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은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는 용기 본체와 결합되고, 상부 캡부 및 상기 상부 캡부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벽을 포함하는 캡부, 상기 캡부와 결합되고, 안착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와 결합되어 있고 복수 개의 관통부를 구비하는 연장부재를 포함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 위에 상기 안착부와 밀착되게 위치하는 밀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벽은 상기 연장 부재와 상기 밀폐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부를 막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bly receptacle stopper, wherein the separable receptacle stopper is coupled to a container body, includes a cap portion including an upper cap portion and a receiving wall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cap portion, coupled to the cap portion, and a mounting member. and a seating portion coupled to the seating member and including an extension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penetrating portions, and a sealing portion positioned on the seating portion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ting portion, wherein the receiving wall includes the extension member and the sealing portion. It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m to block the penetration part.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SEPARABLE AND ACCEPTABLE CONTAINER CAP}Capable for separating water {SEPARABLE AND ACCEPTABLE CONTAINER CAP}

본 발명은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개를 개봉하기 전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을 서로 분리하여 수용하고 마개를 개방하고 내용물을 섭취할 때는 서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을 함께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bly accommodable stopper, and more particularly, to accommodate different types of contents separately before opening the stopper, and to consume different types of contents together when opening the stopper and ingesting the contents. It relates to a stopper that can be separated and accommodated.

최근 내용물을 담고 있는 용기 본체의 마개로서, 용기 본체의 내부 공간과 구분되는 공간인 분리 공간을 구비하는 분리수용 가능한 기능성 마개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마개에 구비된 분리 공간에는 용기 본체에 담겨 있는 내용물과 다른 형태의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다.Recently, as a stopper of a container body containing contents, a functional stopper capable of being separated and accommodated having a separation space that is separated from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body has been used. In the separation space provided in the stopper, contents of a different type from those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are accommodated.

KRKR10-134448010-1344480B1B1KRKR10-2015-010355910-2015-0103559B1B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용기 본체에 수용된 내용물과 마개에 수용된 내용물의 보존 기간을 연장하기 위한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xtend the preservation period of the content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ntents accommodated in the stopp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용기 본체의 내용물과 마개의 내용물을 편리하게 섭취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user convenience by conveniently ingesting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ntents of the stopper.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는 용기 본체와 결합되고, 상부 캡부 및 상기 상부 캡부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벽을 포함하는 캡부, 상기 캡부와 결합되고, 안착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와 결합되어 있고 복수 개의 관통부를 구비하는 연장부재를 포함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 위에 상기 안착부와 밀착되게 위치하는 밀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벽은 상기 연장 부재와 상기 밀폐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부를 막는다.A cap that can be separably accommodated 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and a cap portion including an upper cap portion and a receiving wall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cap portion, coupled to the cap portion, and seated A member and a seating portion including an extension member coupled to the seating member and having a plurality of penetrating portions, and a sealing portion positioned on the seating portion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ting portion, wherein the receiving wall includes the extension member and the sealing portion. It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parts to block the penetrating par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는 용기 본체와 결합되고, 상부 캡부 및 상기 상부 캡부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벽을 포함하는 캡부 및 상기 캡부와 결합되고, 안착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와 결합되어 있고 복수 개의 관통부를 구비하는 연장부재를 포함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재는 삽입홈을 구비하고 있는 평탄 부분과 상기 평탄 부분에 이격되게 연결되어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기둥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는 인접한 두 기둥 부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벽은 상기 평탄 부분의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부를 막는다.A separably accommodable stopper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is coupled to the cap portion and the cap portion including an upper cap portion and a receiving wall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cap portion, and is seated and a seating portion including a member and an extension member coupled to the seating member and having a plurality of penetrating portions, wherein the extension member is spaced apart from a flat portion having an insertion groove and connected to the flat portion and extends upward. It includes a plurality of pillar parts, the penetrating part is located between two adjacent pillar parts, and the receiving wall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flat part to block the penetrating part.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안착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제1 평탄 부분과 상기 제1 평탄 부분에 이격되게 연결되어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기둥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관통부는 인접한 두 기둥 부분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extension member may include a first flat part connected to the seating member and a plurality of pillar parts connected to the first flat part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extending upward, and the through part is between two adjacent pillar parts. can be located in

상기 밀폐부는 상기 연장부재의 상기 제1 평탄 부분 위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평탄 부분과 접해 있는 제2 평탄 부분 및 상기 제2 평탄 부분과 연결되어 상기 제2 평탄 부분으로 에워싸여 있고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착부재와 접해 있는 돌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aling portion is located on the first flat portion of the extension member and is connected to a second fla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first flat portion and is surrounded by the second flat portion and protrudes upward. It may include a protrud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eating member.

상기 밀폐부는 상기 돌출 부분의 상단에서 연장되고, 상부가 상기 안착 부재의 상부 평탄면에 접하게 위치하는 평탄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벽은 상기 연장부재의 기둥 부분과 상기 밀폐부의 돌출 부분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seal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flat surface portion exten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and having an upper portion in contact with an upper flat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The receiving wall may be located between the pillar portion of the extension member and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ealing portion.

서로 인접한 상기 연장부재의 기둥 부분과 상기 밀폐부의 돌출 부분 사이의 간격은 상기 수용벽의 두께보다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A distance between the pillar portion of the extension member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ealing portion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eceiving wall.

상기 밀폐부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The sealing part may have elasticity.

상기 밀폐부는 실리콘이나 천연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aling part may be made of silicone or natural rubber.

상기 안착부재와 상기 밀폐부의 돌출 부분의 측면은 각각 단차 구조를 가질 수 있다.Side surfaces of the seating member and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ealing portion may each have a stepped structure.

상기 수용벽은 상기 상부 캡부의 내부면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직선으로 연장되어 있는 수용 부분과 상기 수용 부분의 끝단에 돌출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wall may include an accommodating portion extending straight downward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upper cap portion 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end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상기 돌기부의 폭은 상기 삽입홈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A width of the protrusion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a width of the insertion groove.

상기 수용 부분의 폭은 상기 평탄 부분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A width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a width of the flat portion.

상기 캡부는 상기 상부 캡부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수용벽의 외측에 위치하는 결합벽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결합벽은 상기 안착부의 내부면과 밀착될 수 있다.The cap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wall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upper cap portion and positioned outside the receiving wall, and the coupling wall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상기 안착부는 상기 연장부재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캡부의 상기 결합벽 외측에 위치하는 상부 캡부와 접해 있는 테두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at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rim member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extension member and in contact with an upper cap portion positioned outside the coupling wall of the cap portion.

상기 안착부는 상기 테두리부재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용기 본체와 결합되는 후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at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hook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rame member and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용기 본체와 마개에 각각 담겨있는 서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이 섞이지 않고 품질의 변질없이 보관되므로, 내용물의 유통 기한이 증가한다.According to this feature, since different types of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and the stopper are not mixed and stored without deterioration in quality, the shelf life of the contents is increased.

또한, 밀폐부에 의해, 마개에 위치한 내용물 보관 공간의 밀폐력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용기 본체에 보관되어 있는 내용물이 마개의 내용물 보관 공간으로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각 내용물의 유통 기한은 더욱 더 향상된다.In addition, the sealing portion increases the sealing power of the contents storage space located in the stopper, and thereby prevents the contents stored in the container body from flowing into the contents storage space of the stopper, thereby extending the shelf life of each contents. It improves.

이에 더해, 사용자는 마개에 보관되는 내용물을 꺼내기 위한 어떠한 동작없이 단지 마개를 개봉한 후 내용물을 마시는 동작만으로 용기 본체의 내용물과 마개의 내용물을 함께 섭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the user can consume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ntents of the stopper together by simply opening the stopper and then drinking the contents without any action to take out the contents stored in the stopper. As a result, user convenience is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가 용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로서, 마개가 개방되었을 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가 용기 본체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에서, 안착부에 밀폐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에서, 수용벽이 안착부와 밀폐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수용벽이 일부가 공간에 일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수용벽이 공간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를 일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를 일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에 구비된 밀폐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밀폐부가 사용된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에서, 수용벽이 안착부와 밀폐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수용벽이 일부가 공간에 일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수용벽이 공간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etachable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container body.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when the stopper is opened.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of the separably accommodable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in one direction showing that the separably accommodable stopper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aling part is coupled to a seating part in a closure capable of being separated and accommod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ceiving wall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seating portion and the sealing portion in the separably accommodating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ortion of the receiving wall is part of the space It is a drawing showing an inserted state, and (b)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ceiving wall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space.
7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when a separably accommodable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in one direction.
8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when a separably accommodable stop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in one direc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aling part provided in a stopper capable of being separ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ceiving wall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seating part and the sealing part in the separably accommodating stopper using the sealing part of FIG. 9, (a) is a part of the receiving wall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space It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and (b)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ceiving wall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spa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dd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a technology or configuration already known in the related field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of them will be omitt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terms used to properly expres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people or customs related to the field.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will have to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intended only to refer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lso include th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As used herein, the meaning of 'comprising' specifies specific characteristic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and/or components,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and/or groups.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100)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detachable stopp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100)는 캡부(110), 캡부(110)와 결합되는 안착부(120), 안착부(120)와 결합되는 밀폐부(130), 및 캡부(110)와 결합되는 임시고정부(140)를 포함한다.First, referring to FIGS. 1 to 4, the separable andaccommodable stopp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cap portion 110, aseating portion 120 coupled to thecap portion 110, and aseating portion 120. It includes a sealingpart 130 coupled with, and atemporary fixing part 140 coupled with thecap part 110.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캡부(110)는 용기 본체(1)와 결합하는 것으로서, 캡부(110)의 적어도 일부가 용기 본체(1)의 토출구(2) 내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본 예의 용기는 용기 본체(1) 및 용기 본체(1)에 결합된 마개(100)를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cap portion 110 is coupled to thecontainer body 1 ,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cap portion 110 is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ort 2 of thecontainer body 1 . Therefore, the container of this example may have acontainer body 1 and astopper 100 coupled to thecontainer body 1,

이러한 캡부(110)는 상부 캡부(111), 외캡부(112), 수용벽(113) 및 결합벽(114)을 구비할 수 있다.Thecap part 110 may include anupper cap part 111, anouter cap part 112, areceiving wall 113, and acoupling wall 114.

상부 캡부(111)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판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정해진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부 캡부(111)의 중앙에는 원형으로 함몰된 상부캡부홈(111a)이 위치한다. 이러한 상부캡부홈(111a)은 수용벽(113)과 대면하고 있는 부분일 수 있다.Theupper cap portion 111 has a circular planar shape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addition, anupper cap groove 111a recessed in a circular shape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upper cap portion 111 . Theupper cap groove 111a may be a portion facing thereceiving wall 113.

외캡부(112)는 상부 캡부(111)과 끊김없이 연결되어 있고, 상부 캡부(111)의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용기 본체(1)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외캡부(112)는 상부 캡부(111)의 단부로부터 상부 캡부(111)와 수직하도록 연장된다.Theouter cap portion 112 is seamlessly connected to theupper cap portion 111, extends downward from the edge of theupper cap portion 111, and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container body 1. Specifically, theouter cap portion 112 extends from an end of theupper cap portion 111 to be perpendicular to theupper cap portion 111 .

또한, 외캡부(112)는 적어도 1회 절곡된 단차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outer cap portion 112 may have a stepped structure that is bent at least once.

외캡부(112)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상부 캡부(111)의 가장자리로부터 끊김없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외갭부(112)의 상부는 상부 캡부(111)와 동일한 지름을 가질 수 있다. 반면, 외캡부(112)의 하부는 단차 구조에 의해 상부 캡부(111)보다 큰 지름을 가질 수 있다.As already described, since theouter cap portion 112 is seamlessly connected from the edge of theupper cap portion 111, the upper portion of theouter cap portion 112 may have the same diameter as theupper cap portion 111. On the other hand, the lower portion of theouter cap portion 112 may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upper cap portion 111 due to the stepped structure.

하지만, 외갭부(112)의 단차 구조는 생략될 수 있고, 이 경우, 외갭부(112)의 상부와 하부의 지름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However, the stepped structure of the outer-gap portion 112 may be omitted, and in this case, the upper and lower diameters of the outer-gap portion 112 may be the same.

이로 인해, 상부 캡부(111)과 외캡부(112)의 구조에 의해, 상부 캡부(111)는 마개(100)의 상부면을 이루고, 외캡부(112)는 마개(100)의 측면을 이룰 수 있다.For this reason, by the structure of theupper cap part 111 and theouter cap part 112, theupper cap part 111 forms the upper surface of thestopper 100, and theouter cap part 112 forms the side of thestopper 100. there is.

수용벽(113)은 상부 캡부(111)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지면과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벽(113)은 상부캡부홈(111a)의 내부 가장자리로부터 외캡부(112)와 평행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용벽(113)은 상부캡부홈(111a)과 동일한 지름을 가질 수 있다.The receivingwall 113 may extend perpendicularly to the ground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upper cap part 111 . Specifically, the receivingwall 113 may extend parallel to theouter cap portion 112 from the inner edge of the uppercap portion groove 111a. Due to this, the receivingwall 113 may have the same diameter as theupper cap groove 111a.

결합벽(114)은,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수용벽(113)과 평행하도록 상부 캡부(111)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결합벽(114)은 수용벽(113)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수용벽(113)의 외측, 즉 외캡부(112) 쪽으로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coupling wall 114 may extend downward from theupper cap portion 111 in parallel with the receivingwall 113 . In addition, thecoupling wall 114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outer side of the receivingwall 113, that is, toward theouter cap portion 112,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ceivingwall 11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러한 결합벽(114)은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안착부(120)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밀착된다. 따라서, 결합벽(114)은 안착부(120)가 캡부(110)와 결합될 때 안착부(120)의 상부와 밀착되게 위치하므로, 안착부(120)의 결합 상태는 안전하게 유지되어 결합 구조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된다.As shown in FIG. 4 , thecoupling wall 114 is in close contact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seating portion 120 . Therefore, since thecoupling wall 114 is positio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seating portion 120 when theseating portion 120 is coupled to thecap portion 110, the combined state of theseating portion 120 is safely maintained and the coupling structure stability is improved.

안착부(120)는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캡부(110)와 결합될 때 수용벽(113)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캡부(110)와의 밀착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4 , theseating part 120 accommodates at least a portion of the receivingwall 113 when combined with thecap part 110 so that it can be closely coupled with thecap part 110 .

따라서, 캡부(110)와의 결합을 위해, 안착부(120)의 평면 형상은 캡부(110)의 평면 형상과 동일할 수 있고, 한 예로,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refore, for coupling with thecap portion 110, the planar shape of theseating portion 120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cap portion 110, and may have, for example, a circular planar shape.

본 예에서, 안착부(120)의 하부는 막혀있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측부의 일부도 개방되어 있다.In this example, the lower portion of theseating portion 120 is blocked, the upper portion is open, and a portion of the side portion is also open.

이러한 안착부(120)는 안착부재(121), 안착부재(121)와 결합되어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재(122), 연장부재(122)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연장부재(122)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테두리부재(123) 및 후크부(124)를 포함한다.Theseating portion 120 is coupled to theseating member 121, theextension member 122 coupled with the seatingmember 121 and extending upward, and the upper end of theextension member 122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extension member 122. It includes arim member 123 and ahook portion 124 located at.

안착부재(121)는 연장부재(122)와 끊김없이 연결되어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평탄면이다.The seatingmember 121 is a flat surface that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extension member 122 and protrudes upward.

이러한 안착부재(121)는 연장부재(122)로 에워싸여져 가운데 부분에 내용물 보관 공간인 중공(122a)을 구비할 수 있다.The seatingmember 121 may be surrounded by anextension member 122 and may have a hollow 122a, which is a storage space for contents, in a central portion.

이미 기술한 것처럼, 안착부(12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므로, 안착부재(121)의 중공(122a)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 캡슐 형태의 영양재와 같은 고체 내용물(미도시)이 개방된 상부를 통해 안착부재(121)의 중공(122a)에 위치하여 보관될 수 있다.As already described, since the top of theseating portion 120 is open, the top of the hollow 122a of theseating member 121 is open, so that solid contents (not shown) such as nutritional supplements in the form of capsules are opened. It can be stored by being located in the hollow 122a of theseating member 121 through the top.

이러한 안착부재(121)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캡부(110)와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어 캡부(110)와 분리되며, 캡부(110)의 접한 상태에서도 물리적인 힘에 이 해 좌회전이나 우회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atingmember 121 is separated from thecap portion 110 by releasing the coupling state with thecap portion 110 by physical force, and even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cap portion 110, the left rotation or right rotation operation is made by the physical force. can

안착부재(121)의 돌출 높이에 대응하는 측면은 단차 구조를 갖고 있어 안착부재(121)의 지름은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Since the sid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height of theseating member 121 has a stepped structure, the diameter of theseating member 121 may have at least two different sizes.

연장부재(122)는 결합되어 있는 안착부재(121)의 단부 즉, 측면의 단부에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게 위치하고 있다.Theextension member 122 is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attached mountingmember 121, that is, the end of the si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러한 연장부재(122)는 안착부재(121)의 측면 단부와 끊김없이 연결되어 있고,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평탄 부분(1221)과 이 평탄 부분(1221)과 연결되어 있고 평탄 부분(1221)의 연장방향과는 다른 방향(예,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기둥 부분(1222)을 구비할 수 있다.Theextension member 122 is seamlessly connected to the side end of theseating member 121, and is connected to aflat portion 1221 extending outwardly and theflat portion 1221, and is connected to theflat portion 1221. A plurality ofpillar parts 1222 extending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extension direction (eg, up and down direction) may be provided.

평탄 부분(1221)은 지면과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는 평탄면이다.Theflat portion 1221 is a flat surface extending horizontally with the ground.

따라서, 안착부(120)의 바닥면은 안착부재(121)와 평탄 부분(1221)을 구비할 수 있다. 안착부재(121)는 평탄 부분(1221)에서부터 위쪽 방향으로 정해진 높이만큼 돌출되어 있으므로, 평탄 부분(1221)은 안착부재(121)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bottom surface of theseating portion 120 may include theseating member 121 and theflat portion 1221 . Since theseating member 121 protrudes upward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flat portion 1221 , theflat portion 1221 may have a height lower than that of theseating member 121 .

복수 개의 기둥 부분(1222)은 평탄 부분(1221)에 끊김없이 연결되어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The plurality ofpillar portions 1222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flat portion 1221 and extend upward.

이때, 각 기둥 부분(1222)은 해당 방향을 따라 지면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는 대신, 지면에 대해 90도보다 작은 각도로 위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각 기둥 부분(1222)은 직선으로 연장되거나 곡선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직선 구간과 곡선 구간을 모두 구비할 수 있다.At this time, eachpillar portion 1222 may extend upward at an angle smaller than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instead of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the ground along the corresponding direction. Each of thesepillar portions 1222 may extend in a straight line or a curved line, or may have both a straight section and a curved section as shown in FIG. 4 .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각 기둥 부분(1222)이 직선 구간(P12a)과 곡선 구간(P12b)을 모두 구비하는 경우, 안착부재(121)와 인접한 하단부는 직선 구간(P21a)일 수 있고, 안착부재(121)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테두리부재(123)와 인접한 상단부는 곡선 구간(P21b)일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4, when eachpillar portion 1222 has both a straight section (P12a) and a curved section (P12b), the lower end adjacent to theseating member 121 may be a straight section (P21a), seated An upper end portion locat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member 121 and adjacent to theframe member 123 may be a curved section P21b.

도 4에서, 직선 구간(P21a)은 외캡부(112)와 인접한 외측 방향으로 경사져 있을 수 있어, 캡부(110)와 안착부(120)가 결합될 때, 캡부(110)의 수용벽(113)과 기둥 부분(122)의 사이의 이격 거리(D1)는 위쪽 방향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4, the straight section P21a may be inclined in an outward direction adjacent to theouter cap portion 112, so that when thecap portion 110 and theseating portion 120 are coupled, the receivingwall 113 of the cap portion 110 A separation distance D1 between the and thepillar portion 122 may increase in an upward direction.

곡선 구간(P21b)의 내부면[즉, 수용벽(113)과 인접한 면]은 직선 구간(P21a)의 내부면보다 좀더 외측에 위치하여, 수용벽(113)과의 이격 거리(D1)는 아래쪽보다 위쪽이 클 수 있고, 또한 직선 구간(P21a)에서의 이격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이격 거리(D1)의 변화로 인해, 안착부(120)의 테두리부재(123)는 캡부(110)의 결합벽(114)과 외캡부(112) 사이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된다.The inner surface of the curved section P21b (that is, the surface adjacent to the receiving wall 113) is located more outside than the inner surface of the straight section P21a, so that the distance D1 from the receivingwall 113 is lower than The upper part may be larger, and may be larg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in the straight section P21a. Due to the change in the separation distance D1, therim member 123 of theseating portion 120 is stably positioned between thecoupling wall 114 of thecap portion 110 and theouter cap portion 112.

이러한 곡선 구간(P21b)은 직선 구간(P21a)과의 연결 부분에서 곡면을 갖고 있고 나머지 부분에서는 외측으로 경사지거나 지면에 수직한 직선면을 가질 수 있다.The curved section P21b may have a curved surface at a portion connected to the straight section P21a and may have a straight surface inclined outward or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t the remaining portion.

복수 개의 기둥 부분(1222)은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게 평탄 부분(1221)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해당 방향인 위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pillar parts 1222 may be connected to the edge of theflat part 1221 at regular intervals and extend upward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이처럼, 복수 개의 기둥 부분(1222)이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평탄 부분(1221)의 단부인 가장자리에 정해진 간격으로 평탄 부분(1221)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되게 위치하므로, 인접한 두 기둥 부분(1222) 사이에는 빈 공간인 관통부(122b)가 위치한다.As such, since the plurality ofpillar parts 1222 are spaced apart along the edge of theflat part 1221 at predetermined intervals at the edge, which is the end of theflat part 1221 having a circular planar shape, two adjacent pillar parts 1222 A throughportion 122b, which is an empty space, is positioned between them.

인접한 두 기둥 부분(1222) 사이에 위치하는 각 관통부(122b)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연장부재(122)의 측부를 관통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각 관통부(122b)는 평탄 부분(1221)와 테두리부재(123) 사이에 위치한다. 상하방향으로 길게 위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 each throughportion 122b positioned between twoadjacent pillar portions 1222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side of theextension member 122 . Each of these throughportions 122b is located between theflat portion 1221 and theframe member 123. It can be locat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관통부(122b)로 인해, 캡부(110)가 용기 본체(1)와 분리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1) 내부의 내용물인 유체 내용물(예를 들어, 유산균 발효음료 등)은 안착부(1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즉, 개방된 관통부(122b)를 통해 용기 본체(1)의 유체 내용물이 안착부(120)의 중공(122a) 속으로 유입될 수 있다Due to the penetratingportion 122b, in a state in which thecap portion 110 is separated from thecontainer body 1, the fluid content (eg,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beverage, etc.), which is the content inside thecontainer body 1, is placed on theseating portion 120 can enter the interior of That is, the fluid content of thecontainer body 1 may flow into the hollow 122a of theseating portion 120 through the open throughportion 122b.

위에 기재한 것처럼, 기둥 부분(1222)은 안착부재(121)와 연결된 평탄 부분(1221)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기둥 부분(1222)은 평탄 부분(1221)의 연장 길이만큼의 안착부재(121)로부터 이격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pillar portion 1222 is coupled to the edge of theflat portion 1221 connected to theseating member 121, thepillar portion 1222 extends to theseating member 121 as long as theflat portion 1221 extends. ) is separated from

따라서, 기둥 부분(1222)과 안착부재(121) 사이에는 평탄 부분(1221)으로 하부가 막혀있는 링(ring) 형상의 빈 공간(122c)이 존재한다.Therefore, a ring-shapedempty space 122c whose lower portion is blocked by theflat portion 1221 exists between thepillar portion 1222 and theseating member 121 .

따라서, 캡부(110)와 안착부(120)가 결합될 경우, 수용벽(113)의 적어도 일부는 안착부재(121) 및 연장부재(122) 사이에 위치한 빈 공간(122c) 속으로 삽입되어 밀착 결합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cap portion 110 and theseating portion 120 are coupled, at least a portion of the receivingwall 113 is inserted into theempty space 122c located between the seatingmember 121 and theextension member 122 and closely adheres thereto. can be combined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테두리부재(123)는 연장부재(122)의 복수 개의 기둥 부분(1222)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지면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본 예에서, 테두리부재(123)는 인접한 두 기둥 부분(1222) 사이에도 끊김없이 위치하므로, 테두리부재(123)의 평면 형상은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frame member 123 extends outward from the plurality ofpillar portions 1222 of theextension member 122 in parallel with the ground. In this example, since theframe member 123 is continuously positioned between twoadjacent pillar portions 1222, the planar shape of theframe member 123 may have a ring shape.

이러한 테두리부재(123)는 안착부(120)가 용기 본체(1)의 토출구(2)에 삽입되는 경우, 이미 기술한 것처럼, 토출구(2)와 인접한 용기 본체(1)의 상단부 즉, 결합벽(114)과 외캡부(112) 사이의 상단부 내부면과 밀착될 수 있다.다. When the mountingportion 120 is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ort 2 of thecontainer body 1, theframe member 123 is, as already described, the upper end of thecontainer body 1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 2, that is, the coupling wall.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nd between the 114 and theouter cap 112.

이러한 밀착 동작에 의해, 안착부(120)는 용기 본체(1)와 캡부(110)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Due to this close contact operation, theseating part 120 can be stably maintained between thecontainer body 1 and thecap part 110 .

후크부(124)는 테두리부재(123)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된다. 후크부(124)는 용기 본체(1)의 상부 외측면에 밀착하여 결합된다.Thehook portion 124 extends downward from therim member 123 . Thehook part 124 is coupled to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container body 1 in close contact.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후크부(124)의 단부는 외측 방향의 반대인 내측 방향[즉, 안착부(120) 쪽]으로 돌출되어 있어 용기 본체(1)의 상부 외측면에 함몰된 부분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후크부(124)를 통해 안착부(120)는 용기 본체(1)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end of thehook portion 124 protrudes in an inward direction opposite to the outward direction (ie, toward the seating portion 120) and is recessed into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container body 1. attached to the part Through such ahook part 124, theseating part 120 can be firmly coupled to thecontainer body 1.

밀폐부(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고,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안착부(120) 위에 위치하여 안착부(120)와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sealingpart 130 has a circular planar shape, and as shown in FIG. 5 , it may be located on theseating part 120 and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seating part 120 .

따라서, 밀폐부(130)는 하부에 위치하는 안착부(120) 즉 안착부재(121) 및 연장부재(122)의 평탄 부분(1221)과 동일한 평면 윤곽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sealingpart 130 may have the same planar contour as theflat part 1221 of theseating part 120 located at the bottom, that is, the seatingmember 121 and theextension member 122 .

이에 따라, 밀폐부(130)는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한 평탄 부분(131)과 이 평탄 부분(131)에 둘러싸여 있고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 부분(132)을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alingportion 130 may include aflat portion 131 located at an edge portion and a protrudingportion 132 surrounded by theflat portion 131 and protruding upward.

평탄 부분(131)은 하부에 위치하는 안착부(120) 연장부재(122)의 평탄 부분(1221)과 접하게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역시 지면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평탄면이다. 따라서, 평탄 부분(131)은 연장부재(122)의 평탄 부분(1221)과 동일하게 원형의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flat portion 131 is a portion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flat portion 1221 of theextension member 122 of theseating portion 120 located at the bottom, and is also a flat surface extending parallel to the ground. Accordingly, theflat portion 131 may have a circular ring shape similar to theflat portion 1221 of theextension member 122 .

돌출 부분(132)은 평탄 부분(131)과 끊김없이 연결되어 있고, 하부에 위치하는 안착부(120)의 안착부재(121)와 접하게 위치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돌출 부분(132)의 측면 역시 안착부재(121)의 측면과 동일하게 단차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protrudingportion 132 is seamlessly connected to theflat portion 131 and is a portion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seatingmember 121 of theseating portion 120 located at the bottom. Accordingly, the side surface of the protrudingportion 132 may also have the same stepped structure as the side surface of theseating member 121 .

본 예에서, 돌출 부분(132)은 안착 부재(121)의 상부 평탄면에 접하게 위치하고 평탄 부분(131)과 평행한 평탄면부 및 평탄면부와 평탄 부분(131) 사이에서 서로 연결되게 위치하고 평탄 부분(131)이나 평탄면부와 교차하는(예, 직교하는) 수직면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this example, the protrudingportion 132 is located in contact with the upper flat surface of theseating member 121 and is connected to a flat surface portion parallel to theflat portion 131 and between the flat surface portion and theflat portion 131 and is connected to the flat portion ( 131) or a vertical surface portion that intersects (eg, orthogonal to) the flat surface portion.

수직면부는 안착부(120)의 측면과 접하게 위치할 수 있고, 밀폐부(130)의 측면을 이룰 수 있다.The vertical surface portion may be located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seating portion 120 and may form a side surface of the sealingportion 130 .

따라서, 본 예의 밀폐부(130a)의 돌출 부분은 상부가 평탄면부로 덮여 있어, 밀폐부(130)는 원형의 테두리를 갖고 있고 가운데 부분이 상부가 평탄면부로 막혀있는 테두리 모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refore,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ealingportion 130a of this example is covered with a flat surface portion, so that the sealingportion 130 has a circular rim and the middle portion may have a brim hat shape in which the upper portion is blocked by the flat surface portion. .

본 예에서, 돌출 부분(132)은 인접한 기둥 부분(1222)와 완전히 접해 있지 않아, 돌출 부분(131)와 인접한 기둥 부분(1222) 사이에는 빈 틈인 빈 공간(122c)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이 빈 공간(122c) 속으로 캡(110)의 수용벽(113)의 일부가 삽입되어 위치하게 된다.In this example, the protrudingportion 132 does not completely contact theadjacent pillar portion 1222, so that anempty space 122c, which is an empty gap, exists between the protrudingportion 131 and theadjacent pillar portion 1222. Therefore, as shown in FIG. 4, a part of the receivingwall 113 of thecap 110 is inserted into theempty space 122c and positioned.

이때,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서로 인접한 돌출 부분(131)와 기둥 부분(1222) 사이의 공간(122c)의 폭, 즉 간격(W1)은 그 속으로 삽입되는 수용벽(113)의 두께(W2)와 동일하거나 두께(W2)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 the width of thespace 122c between theprotruding part 131 and thepillar part 1222 adjacent to each other, that is, the gap W1, is the thickness of the receivingwall 113 inserted therein ( W2) or may have a size smaller than the thickness W2.

하지만, 본 예의 밀폐부(130)는 탄성을 갖는 재료(예, 실리콘(silicon)이나 천연 고무 등)를 함유하여, 밀폐부(130)는 탄성을 갖고 있다.However, the sealingpart 130 of this example contains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eg, silicon or natural rubber), so the sealingpart 130 has elasticity.

따라서, 캡부(110)와 안착부(120)가 결합될 때, 캡부(110)의 수용벽(113)은 도 6의 (a)에 도시한 것처럼, 평탄 부분(131)과 인접한 기둥 부분(1222) 사이의 빈 공간 속으로 삽입될 때 이 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밀폐부(130)의 돌출 부분(132)를 내측으로 압축해 밀면서 안착부(120)의 하단 쪽으로, 즉, 밀폐부(130)의 평탄 부분(131)과 접할 때까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돌출 부재(132)의 측면에 위치한 단차 구조로 인해, 수용벽(113)의 하강 동작은 좀 더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when thecap portion 110 and theseating portion 120 are coupled, the receivingwall 113 of thecap portion 110 is apillar portion 1222 adjacent to theflat portion 131, as shown in (a) of FIG. ), while compressing and pushing the protrudingpart 132 of the sealingpart 130 located in this space to the inside, toward the lower end of theseating part 120, that is, the flatness of the sealingpart 130. It can be inserted until itcontacts part 131 . At this time, due to the stepped structure located on the side of the protrudingmember 132,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receivingwall 113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캡부(110)의 수용벽(113)이 정해진 위치까지 하강하여 안착부(120)와의 결합이 완료되면 도 6의 (b) 및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밀폐부(130)의 돌출 부분(132)은 탄성에 의한 위치가 복원되어 기둥 부분(1222) 쪽으로 압력을 가하게 된다.When theaccommodating wall 113 of thecap part 110 descends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coupling with theseating part 120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6(b) and FIG. 7, the protrudingpart 132 of the sealing part 130 ) is restored to its position by elasticity and applies pressure toward thepillar portion 1222.

따라서, 기둥 부분(1222)과 밀폐부(130)의 돌출 부분(132) 사이에 위치하는 캡부(110)의 수용벽(113)은 자신과 인접해 있는 기둥 부분(1222) 및 돌출 부분(132)과의 밀착력이 증가된다.Therefore, the receivingwall 113 of thecap part 110 positioned between thepillar part 1222 and theprotruding part 132 of the sealingpart 130 is adjacent to thepillar part 1222 and theprotruding part 132. Adhesion strength is increased.

이에 따라, 관통부(122b)를 막고 있는 수용벽(113)쪽으로 밀폐부(130)의 돌출 부분(132)에 의한 압력이 인가되어, 관통부(122b)에 대한 수용벽(113)의 밀폐력은 크게 향상된다. 따라서, 캡부(110)가 용기 본체(1)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관통부(122b)를 통해 용기 본체(1)의 유체 내용물이 안착부(120)의 내부 공간(122a) 속으로 유입되지 않다.Accordingly, the pressure by the protrudingportion 132 of the sealingportion 130 is applied toward the receivingwall 113 blocking the penetratingportion 122b, and the sealing force of the receivingwall 113 with respect to the penetratingportion 122b is greatly improved 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cap part 110 is coupled to thecontainer body 1, the fluid contents of thecontainer body 1 do not flow into theinner space 122a of theseating part 120 through the throughportion 122b. .

따라서, 안착부(120)의 공간(122a) 속에 위치하고 있는 고체 내용물과 용기 본체(1) 속에 담겨있는 유체 내용물은 서로 혼합되지 않고 안전하게 보관되어, 각 내용물의 보관 기간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해당 제품의 유통 기간 또한 증가한다.Therefore, the solid content located in thespace 122a of theseating portion 120 and the fluid content contained in thecontainer body 1 are safely stored without mixing with each other, increasing the storage period of each content. The shelf life of the product also increases.

이에 더해 또한, 안착부(120)의 연장부재(122)의 평탄 부분(1221)에도 밀폐부(130)의 평탄 부분(131)이 밀착되어 있으므로, 연장부재(122)의 하단부 쪽으로 용기 본체(1)에 담겨있는 유체 내용물의 유입 역시 차단된다.In addition, since theflat portion 131 of the sealingportion 1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flat portion 1221 of theextension member 122 of theseating portion 120, thecontainer body 1 toward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member 122 ) is also blocked.

임시고정부(140)는 용기 본체(1)를 둘러싸고 있고, 캡부(110) 및 용기 본체(1)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된다.Thetemporary fixing part 140 surrounds thecontainer body 1 and is coupled to at least a part of thecap part 110 and thecontainer body 1 .

또한, 임시고정부(140)는 외력에 의해 캡부(110)가 회전함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용기 본체(1)로부터 이탈된다. 이러한 임시고정부(130)는 캡부(110)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141) 및 연결부(141)에 연결되어 있고 용기 본체(1)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언더컷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a part of thetemporary fixing part 140 is separated from thecontainer body 1 as thecap part 110 rotates by an external force. Thetemporary fixing part 130 may include a connectingpart 141 connected to thecap part 110 and anundercut part 142 connected to the connectingpart 141 and loc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container body 1.

이런 상태에서, 마개(100)의 개폐하기 위해 캡부(110)가 회전되면, 결합부(141)는 연결부(143)의 연결 상태가 끊어지면서 언더컷부(142)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된다.In this state, when thecap part 110 is rotated to open and close thestopper 100, thecoupling part 141 is separated from theundercut part 142 while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nnection part 143 is disconnected.

연결부(141)는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캡부(110)와 언더컷부(142) 사이에 위치하여, 캡부(110)와 언더컷부(142)를 서로 연결한다.As shown in FIG. 3 , the connectingportion 141 is positioned between thecap portion 110 and the undercutportion 142 to connect thecap portion 110 and the undercutportion 142 to each other.

이러한 연결부(141)는 정해진 간격으로 캐부(110)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서 이격되게 위치하므로, 연결부(141)의 개수는 복수 개일 수 있다.Since theseconnection parts 141 are spaced apart along the lower edge of thecap 110 at regular intervals, the number ofconnection parts 141 may be plural.

이러한 연결부(143)를 상부 또는 하부에서 바라보면, 방사상으로 배치된다고 볼 수 있다.When looking at these connection parts 143 from the top or bottom, it can be seen that they are arranged radially.

이러한 연결부(143)는 캡부(110)의 회전 동작에 의해 그 연결 상태가 파손되어, 본 예의 마개(100)를 용기 본체(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43 is broken by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cap part 110, and thestopper 100 of the present example can be separated from thecontainer body 1.

즉, 사용자가 캡부(1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외력을 가하여 회전시키면, 결합부(141)가 상방으로 분리되고 언더컷부(142)는 제자리인 용기 본체(1)의 외주면에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user rotates thecap part 110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while holding thecap part 110, thecoupling part 141 is separated upward and theundercut part 142 is loc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container body 1 in place.

결과적으로 연결부(141)는 연결되어 있는 캡부(110) 및 언더컷부(142)과 분리되어, 캡부(110) 역시 용기 본체(1)에 위치하는 언더컷부(142)과 분리된다.As a result, theconnection part 141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edcap part 110 and theundercut part 142, so that thecap part 110 is also separated from theundercut part 142 located in thecontainer body 1.

따라서, 사용자는 마개(100)를 열 수 있게 된다.Thus, the user can open thestopper 100.

언더컷부(142)는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으로 'V'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언더컷부(142)는 용기 본체(1)의 외주면에 위치한 걸림턱(미도시)과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걸림턱은 언더컷(142)의 회전 동작 역시 방지한다.The undercutportion 142 may have a 'V' shape with an empty inside. Accordingly, the undercutportion 142 may be inserted and coupled with a locking jaw (not shown) loc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container body 1 . At this time, the locking jaw also prevents rotation of the undercut 142 .

이러한 삽입 결합에 의해 캡부(110)의 회전에 이루어질 때도, 언더컷부(142)는 용기 본체(1)의 해당 외주면에 회전되지 않고 위치하므로, 용이하게 연결부(141)가 파손되어 마개(100)의 개방이 이루어진다.Even when thecap part 110 is rotated by such insertion and coupling, since theundercut part 142 is loc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container body 1 without being rotated, theconnection part 141 is easily damaged and thestopper 100 opening takes place

이러한 구조를 갖고 있는 마개(100)는 캡부(110)가 용기 본체(1)와 결합되어 용기 본체(1)의 토출구(2)를 막게 되면, 용기 본체(1)의 내부에는 내부공간(S1)이 형성된다.In thestopper 100 having such a structure, when thecap portion 110 is coupled to thecontainer body 1 to block the discharge port 2 of thecontainer body 1, an internal space S1 is formed inside thecontainer body 1. is formed

또한, 캡부(110)와 안착부(120)가 결합된 마개(100)의 내부에는 상부 캡부(111), 수용벽(113) 및 안착부(120)가 이루는 밀폐공간(S2)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캡부(111), 수용벽(113) 및 안착부재(121)가 이루는 내부에 밀폐공간(S2)이 형성된다.In addition, inside thestopper 100 where thecap part 110 and theseating part 120 are combined, an enclosed space S2 formed by theupper cap part 111, the receivingwall 113, and theseating part 120 is formed. Specifically, a closed space (S2) is formed inside theupper cap portion 111, the receivingwall 113 and the mountingmember 121 formed.

이때, 캡부(110)의 내부로 안착부(120)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수용벽(113)의 끝단은 안착부재(121)와 연결부재(122) 사이에 밀착되면서 삽입 고정된다. 또한, 결합벽(114)의 외측면은 연결부재(122)의 내측면과 밀착된다.At this time, theseating part 12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cap part 110 . Specifically, the end of the receivingwall 113 is inserted and fixed while in close contact between the seatingmember 121 and the connectingmember 122.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coupling wall 11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member 122.

위와 같이 캡부(110)와 안착부(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1)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외캡부(112)의 내측 하부에는 결합부(131)가 결합되어 있다. 외캡부(112)의 내측면은 용기 본체(1)의 외측면과 밀착되도록 회전 결합된 상태이다. 또한, 테두리부재(123)는 토출구(2)와 인접한 용기 본체(1)의 끝단과 접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cap portion 110 and theseating portion 120 are coupled to thecontainer body 1 in a coupled state. Specifically, thecoupling part 131 is coupled to the inner lower part of theouter cap part 112. The inner surface of theouter cap portion 112 is rotationally coupl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container body 1 . In addition, therim member 12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nd of thecontainer body 1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 2 .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가 캡부(110)를 손으로 잡고 외력을 가하여 회전시키면, 캡부(110)와 결합부(141)가 용기(1), 안착부(120) 및 언더컷부(142)와 상하방향으로 분리된다. 이때, 언더컷부(142)는 결합부(141) 및 연결부(143)로부터 이탈된 후 용기 본체(1)의 외주면에 남아 있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holds thecap part 110 with his hand and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rotate it, thecap part 110 and thecoupling part 141 move up and down with thecontainer 1, theseating part 120 and theundercut part 142. Separated. At this time, the undercutportion 142 remain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container body 1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coupling portion 141 and the connecting portion 143 .

결합부(141)와 언더컷부(142)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연결부(143)는 결합부(141)에 연결된 상태로 언더컷부(142)와 분리될 수도 있다. 반대로 연결부(143)는 언더컷부(142)와 연결된 상태로 결합부(141)와 분리될 수도 있다.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coupling portion 141 and the undercutportion 142 , the connection portion 143 may be separated from the undercutportion 142 while being connected to thecoupling portion 141 . Conversely, the connecting portion 143 may be separated from thecoupling portion 141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undercutportion 142 .

이러한 동작에 의해 마개(100)가 용기 본체(1)로부터 분리되어 사용자는 용기 본체(1)와 안착부(120)에 담겨있는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다.By this operation, thestopper 100 is separated from thecontainer body 1 so that the user can consume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container body 1 and theseating part 120 .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봉 전 캡부(110)가 안착부(120)와 결합되면, 캡부(110)의 수용벽(113)은 관통부(122b)가 위치하는 기둥 부분(1222)와 밀폐부(130) 사이에 위치하고 밀폐부(130)의 복원력에 의해 수용벽(113)쪽으로 압력이 인가된다. 이로 인해, 수용벽(113)과 기둥 부분(1222) 사이의 밀폐력이 증가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cap part 110 is coupled to theseating part 120 before unsealing, the receivingwall 113 of thecap part 110 is formed between thepillar part 1222 where the penetratingpart 122b is located and the sealing part ( 130), and pressure is applied towards the receivingwall 113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ealingpart 130. Due to this, the sealing force between the receivingwall 113 and thepillar portion 1222 increases.

또한, 밀폐부(130)의 가장자리 부분(131)에 의해, 각 관통부(122b)의 하단에서의 밀폐력 역시 증가한다.In addition, the sealing force at the lower end of each penetratingportion 122b is also increased by theedge portion 131 of the sealingportion 130 .

이에 따라, 수용벽(113)에 의한 용기 본체(1)의 내부공간(S1)의 밀폐력과 안착부(120)의 공간(122a)의 밀폐력이 증가하여 용기 본체(1)의 내부공간(S1)에 있는 유체 내용물과 안착부(120)의 공간(S2)에 있는 고체 내용물은 서로 섞이지 않게 된다.Accordingly, the sealing force of the inner space (S1) of the container body (1) by the receiving wall (113) and the sealing force of the space (122a) of the seating portion (120) increase, thereby increasing the inner space (S1) of the container body (1). The fluid content in the and the solid content in the space (S2) of theseating portion 120 do not mix with each other.

또한, 개봉 후 캡부(110)가 용기 본체(1)와 안착부(120)로부터 분리되면, 관통부(122b)를 막고 있는 수용벽(113)이 해당 위치에서 이탈하여 관통부(122b)는 용기 본체(1)의 유체 내용물이 유입될 수 있는 개방 상태가 된다.In addition, when thecap part 110 is separated from thecontainer body 1 and theseating part 120 after opening, the receivingwall 113 blocking the throughpart 122b is separated from the corresponding position, and the throughpart 122b is the container. The fluid content of themain body 1 is in an open state to be introduced.

따라서,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기 본체(1) 내의 유체 내용물을 음용하게 될 때 용기 본체(1) 내의 유체 내용물은 관통부(122b)를 통해 안착부(120)의 공간(122a) 속으로 유입되면서 편하게 안착부(120)에 위치하고 있는 고체 내용물도 편안하게 섭취하게 된다.Therefore, in this state, when the user drinks the fluid content in thecontainer body 1, the fluid content in thecontainer body 1 flows into thespace 122a of theseating portion 120 through the throughportion 122b. As it is, the solid contents located on theseating portion 120 are also comfortably consumed.

즉, 캡부(110)를 개봉하기 전까지는 용기 본체(1)와 마개(100)에 각각 담겨있는 유체 내용물과 고체 내용물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하여 두 내용물의 변질 등의 문제를 방지하여, 유체 내용물과 고체 내용물 각각의 성분을 변질없이 신선하게 유지하여 보관할 수 있다.That is, until thecap part 110 is opened, the fluid contents and the solid contents contained in thecontainer body 1 and thestopper 100 are not mixed with each other to prevent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of the two contents, so that the fluid contents and the solid Each component of the contents can be kept fresh without deterioration.

다음, 도 8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100a)를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8, adetachable stopper 1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예의 분리 수용 가능한 마개(100a)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100)와 비교할 때, 동일한 구조를 갖고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같은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When compared with the separablyacceptable stopper 100 shown in FIGS. 1 to 7, the separablyacceptable stopper 100a of this example is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components having the same structure and performing the same operation. A detailed explanation is omitted.

본 예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100a)는 밀폐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며, 안착부(120a)와 이 안착부(120a)에 삽입 장착되는 수용벽(113a)의 구조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100)와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점을 제외하면, 본 예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100a)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100)와 동일할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stopper 100a capable of receiving separation in this example does not have a sealing portion, and the structure of theseating portion 120a and the receivingwall 113a inserted and mounted in theseating portion 120a is shown in FIGS. 1 to 7. It may be different from theclosure 100 that is acceptable. Except for these differences, the separablyaccommodable stopper 100a of this example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separablyaccommodable stopper 100 shown in FIGS. 1 to 7 .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안착부(120a)는 안착부재(121) 및 평탄 부분(1221a)과 복수 개의 기둥 부분(1222)을 구비하는 연장부재(122a)를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 theseating portion 120a may include aseating member 121 and anextension member 122a including aflat portion 1221a and a plurality ofpillar portions 1222 .

하지만, 본 예에서, 연장부분(122a)의 평탄 부분(1221a)은 캡부(110a)의 수용벽(113a)의 단부가 삽입되는 원형의 삽입홈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평탄 부분(1221a)은 위치에 따라 높이가 상이한 단차 구조를 갖고 있어, 주변보다 높이가 낮은 부분이 원형의 삽입홈을 형성할 수 있다.However, in this example, theflat portion 1221a of theextension portion 122a may have a circular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n end portion of the receivingwall 113a of the cap portion 110a is inserted. Accordingly, since theflat portion 1221a has a stepped structure having different heights depending on positions, a portion having a lower height than the surrounding area may form a circular insertion groove.

캡부(110a)의 수용벽(113a)의 단부는 삽입홈에 삽입되고, 삽입홈으로의 삽입을 위한 단면 형상을 갖고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수용벽(113a)의 단부의 단면 형상은 'ㄱ'자 형상을 가질 수 있어 수용벽(113a)은 상부 캡부(111)의 내부면에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되어 있는 수용 부분과 이 수용 부분의 끝단에 돌출되어 삽입홈에 삽입되는 돌기부를 구비할 수 있다.An end of the receivingwall 113a of the cap portion 110a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nd has a cross-sectional shape for insertion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refore, as shown in FIG. 8,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end of the receivingwall 113a may have an 'L' shape, so that the receivingwall 113a extends in a straight line dow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upper cap part 111. It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이로 인해, 안착부재(121)와 인접한 수용벽(113a)의 내부면은 평탄면을 갖고 있는 반면, 연장부재(122a)와 인접한 수용벽(113a)의 외부면은 단차 구조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wall 113a adjacent to the mountingmember 121 may have a flat surface, while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wall 113a adjacent to theextension member 122a may have a stepped structure.

이러한 수용벽(113a)의 돌기부와 안착부(120a)의 삽입홈에 의해,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수용벽(113a)의 삽입 동작이 이루어질 때, 돌기부는 안착부(120a)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해당 위치에 수용벽(113a)의 삽입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insertion operation of the receivingwall 113a is made, as shown in FIG. It is inserted and the insertion operation of the receivingwall 113a can be made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이때, 돌기부의 폭은 삽입홈의 폭과 동일하거나 클 수 있고, 또한 수용 부분의 폭은 평탄 부분(1221a)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하지만 이때, 안착부(120a)는 플라스틱과 같이 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므로, 돌기부는 삽입홈에 안전하게 삽입 장착되어 수용벽(113a)은 기둥 부분(1222) 사이에 있는 관통부(122b)를 안전하게 밀폐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protrusion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width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at of theflat portion 1221a. However, at this time, since theseating portion 120a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plastic, the protrusion is safe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receivingwall 113a safely penetrates the throughportion 122b between thepillar portions 1222. to be sealed

또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마개(100)와 비교할 때, 별도의 밀폐부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마개(100a)의 재료비가 감소하고 구조가 간단해지는 효과가 추가로 발생한다.In addition, compared to thestopper 100 shown in FIGS. 1 to 7, since a separate sealing part is not required, the material cost of thestopper 100a is reduced and the structure is simplified.

다음,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를 설명한다.Next, referring to FIGS. 9 and 10, a detachable stop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7와 비교할 때, 본 예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는 밀폐부(130a)를 제외한 모든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7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When compared with FIGS. 1 to 7, since all components of the separable stopper of this example are the same as those of FIGS. 1 to 7 except for the sealingportion 130a,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안착부(120)와 결합되어 안착부(120) 위에 위치하는 밀폐부(130a)는, 밀폐부(130)와 달리, 안착부(120)의 안착부재(121)의 상부 평탄면과 접하게 위치하는 부분이 삭제될 수 있다.The sealingportion 130a coupled to theseating portion 120 and positioned on theseating portion 120 is, unlike the sealingportion 130, located in contact with the upper flat surface of theseating member 121 of theseating portion 120. part can be deleted.

따라서, 본 예의 밀폐부(130a)는, 도 9에 도시한 것처럼,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한 평탄 부분(131)과 이 평탄 부분(131)에 둘러싸여 있고 위쪽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 부분(132a)을 구비할 수 있다.Therefore, the sealingportion 130a of the present example, as shown in FIG. 9, may include aflat portion 131 located at an edge portion and a protrudingportion 132a surrounded by theflat portion 131 and protruding upward. can

이때, 돌출 부분(132a)은 안착부재(121)의 상부 평탄면과 접하는 부분인 평탄면부가 생략되고 단지 안착부재(121)의 측면과 접하게 위치하는 수직면부만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예의 돌출 부분(132a)은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 부분(132a) 역시 밀폐부(130)와 같이 단차 구조를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trudingportion 132a may have only a vertical surface portion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seating member 121 and a flat surface portio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flat surface of theseating member 121 may be omitted. Accordingly, the top of the protrudingportion 132a of this example may be open. The protrudingportion 132a may also have a stepped structure like the sealingportion 130 .

따라서, 밀폐부(130a)는 원형의 테두리를 갖고 있고 가운데 부분의 상부와 하부가 원형으로 개방되어 있는 테두리 모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sealingportion 130a may have a brim cap shape having a circular rim and having a circular upper and lower portion of the central portion.

하지만, 밀폐부(130a)의 구조에도 불구하고, 도 10의 (a)에 도시한 것처럼, 캡부(110)와 안착부(120)가 결합될 때, 캡부(110)의 수용벽(113)은 평탄 부분(131)과 인접한 기둥 부분(1222) 사이의 빈 공간 속으로 삽입될 때 이 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밀폐부(130a)의 돌출 부분(132a)을 밀면서 평탄 부분(131)까지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돌출 부재(132a)의 측면에 위치한 단차 구조로 인해, 수용벽(113)의 하강 동작은 좀 더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However, despite the structure of the sealingportion 130a, as shown in (a) of FIG. 10, when thecap portion 110 and theseating portion 120 are coupled, the receivingwall 113 of thecap portion 110 When inserted into the empty space between theflat part 131 and theadjacent pillar part 1222, it can be stably inserted into theflat part 131 while pushing the protrudingpart 132a of the sealingpart 130a located in this space. there is. At this time, due to the stepped structure located on the side of the protrudingmember 132a,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receivingwall 113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캡부(110)의 수용벽(113)이 정해진 위치까지 하강하여 안착부(120)와의 결합이 완료되면 도 10의 (b)에 도시한 것처럼, 밀폐부(130a)의 돌출 부분(132a)은 탄성에 의한 위치가 복원되어 인접한 기둥 부분(1222) 쪽으로 압력을 가해, 수용벽(113)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accommodating wall 113 of thecap part 110 descends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coupling with theseating part 120 is completed, as shown in (b) of FIG. 10, the protrudingpart 132a of the sealingpart 130a is elastic. The position is restored by applying pressure toward theadjacent pillar part 1222, so that the position of the receivingwall 113 can be stably maintained.

이러한 밀폐부(130a)를 구비할 경우, 밀폐부(130)의 제조 비용이 절감되며, 안착부(120)와 밀폐부(130a)의 결합이 좀 더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는 효과가 추가적으로 발휘될 수 있다.When the sealingpart 130a is provide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sealingpart 130 is reduced, and the effect that theseating part 120 and the sealingpart 130a can be combined more easily can be additionally exhibited. there is.

이상, 본 발명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stopper capable of receiving sepa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from the viewpoi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claims of this specification but also those equivalent to these claims.

1: 용기 본체2: 토출구
100, 100a: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110, 110a: 캡부
111: 상부 캡부111a: 상부캡부홈
112: 외캡부113, 113a: 수용벽
114: 결합벽120, 120a: 안착부
121: 안착부재122, 122a: 연장부재
1221, 1221a: 평탄 부분1222: 기둥 부분
122a: 중공122b: 관통부
123: 테두리부재124: 후크부
130, 130a: 밀폐부131: 평탄 부분
132, 132a: 돌출 부분140: 임시고정부
141: 결합부142: 언더컷부
S1: 내부공간S2: 밀폐공간
1: container body 2: discharge port
100, 100a:Separable water stopper 110, 110a: Cap part
111:upper cap portion 111a: upper cap portion groove
112:outer cap part 113, 113a: receiving wall
114:coupling wall 120, 120a: seating portion
121: seatingmember 122, 122a: extension member
1221, 1221a: Flat part 1222: Pillar part
122a: hollow 122b: penetrating portion
123: frame member 124: hook part
130, 130a: sealed portion 131: flat portion
132, 132a: protruding part 140: temporary fixing part
141: coupling part 142: undercut part
S1: inner space S2: closed space

Claims (16)

Translated fromKorean
용기 본체와 결합되고, 상부 캡부 및 상기 상부 캡부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벽을 포함하는 캡부;
상기 캡부와 결합되고, 안착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와 결합되어 있고 복수 개의 관통부를 구비하는 연장부재를 포함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와 밀착되게 결합하는 밀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벽은 상기 연장 부재와 상기 밀폐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부를 막고,
상기 밀폐부는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한 평탄 부분과 상기 평탄 부분에 둘러싸여 있고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 부분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안착부재와 상기 밀폐부의 돌출 부분의 측면은 각각 단차 구조를 갖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a cap portion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and including an upper cap portion and a receiving wall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upper cap portion;
a seating portion coupled to the cap portion, including a seating member and an extension member coupled to the seating member and having a plurality of penetrating portions; and
Sealing part closely coupled to the seating part
including,
The receiving wall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extension member and the sealing portion to block the penetration portion;
The sealing part has a flat portion located at an edge portion and a protruding portion surrounded by the flat portion and protruding upward,
Side surfaces of the seating member and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ealing portion each have a stepped structure.
Separable water stopper.
삭제delete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안착부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밀폐부의 평탄 부분과 접해 있는 평탄 부분과 상기 연장부재의 평탄 부분에 연결되어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기둥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는 인접한 두 기둥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According to claim 1,
The extension member includes a flat portion connected to the seating member and in contact with the flat portion of the seal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pillar portions connected to the flat portion of the extension member and extending upward,
The through portion is separated and accommodated stopper located between two adjacent pillar portions.
삭제delete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상기 돌출 부분의 상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안착부재의 상부 평탄면에 접하게 위치하는 평탄면부를 더 포함하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According to claim 1,
The sealing part,
and a flat surface portion exten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and positioned in contact with an upper flat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벽은 상기 연장부재의 기둥 부분과 상기 밀폐부의 돌출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eiving wall is located between the pillar portion of the extension member and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ealing portion, and is capable of being detachedly accommodated.
제6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상기 연장부재의 기둥 부분과 상기 밀폐부의 돌출 부분 사이의 간격은 상기 수용벽의 두께보다 동일하거나 작은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According to claim 6,
A gap between the pillar portion of the extension member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ealing portion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eceiving wall.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탄성을 갖고 있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According to claim 7,
The sealing portion is a stopper capable of receiving separation having elasticity.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실리콘이나 천연 고무로 이루어져 있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According to claim 8,
The sealing part is made of silicone or natural rubber and can be separated.
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상기 상부 캡부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수용벽의 외측에 위치하는 결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벽은 상기 안착부의 내부면과 밀착되어 있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According to claim 1,
The cap portion extends downward from the upper cap portion and further includes a coupling wall positioned outside the receiving wall,
The coupling wall is separably accommodating stopper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연장부재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캡부의 상기 결합벽 외측에 위치하는 상부 캡부와 접해 있는 테두리부재를 더 포함하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According to claim 14,
The seating portion extends outwardly from the extension member and further comprises a rim member in contact with an upper cap portion positioned outside the coupling wall of the cap portion.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테두리부재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용기 본체와 결합되는 후크부를 더 포함하는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According to claim 15,
The seating portion extends downward from the frame member and further includes a hook portion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KR1020210001070A2020-09-102021-01-05Separable and acceptable container capActiveKR10247997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001164192020-09-10
KR202001164192020-09-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20033958A KR20220033958A (en)2022-03-17
KR102479972B1true KR102479972B1 (en)2022-12-21

Family

ID=80936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210001070AActiveKR102479972B1 (en)2020-09-102021-01-05Separable and acceptable container cap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247997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WO2024262877A1 (en)*2023-06-222024-12-26최광민Cap and container having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2007069952A (en)*2005-09-072007-03-22Masayuki Makita Bottle cap
JP2008105738A (en)*2006-10-272008-05-08Irokuen World:KkCombined bottle cap
KR101643341B1 (en)*2015-02-272016-07-28주식회사 야긴Capsule caps equipped with leak-proof hollow
WO2019170842A1 (en)*2018-03-082019-09-12Rpc Bramlage GmbhClosure device for a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344480B1 (en)2012-08-102013-12-23이영재Bottle cap with granule additive in a container having inclined inner wall
KR20150075832A (en)*2013-12-262015-07-06제이씨텍(주)Bottle cap drinking with granule additive and beverage simultaneously
KR102140623B1 (en)2014-03-032020-08-03(주) 네추럴웨이Bottle cap with additiv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2007069952A (en)*2005-09-072007-03-22Masayuki Makita Bottle cap
JP2008105738A (en)*2006-10-272008-05-08Irokuen World:KkCombined bottle cap
KR101643341B1 (en)*2015-02-272016-07-28주식회사 야긴Capsule caps equipped with leak-proof hollow
WO2019170842A1 (en)*2018-03-082019-09-12Rpc Bramlage GmbhClosure device for a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20033958A (en)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20060108363A1 (en)Source selecting cap and closure for multiple chamber bottles
US5328058A (en)Dropper bottle assembly with squeeze cap
KR100571711B1 (en)bottle cap assembly for simultaneously dissolve additives
KR102616898B1 (en)Container cap having double block membrane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EA024342B1 (en)Bottle cap for dispersing supplement in situ
US20170354289A1 (en)Beverage System Including A Removable Piercer
US20120223100A1 (en)Bottle cap for dispersing powdered supplement in situ
BRPI0712974B1 (en) distribution system for one container
CN103391886A (en) Equipment for holding heterogeneous materials
CN110710849A (en)Baby straw cup
KR20170037886A (en)Universal bottle cap
CN222474973U (en)Container cover and beverage container comprising same
KR102479972B1 (en)Separable and acceptable container cap
CN108349629A (en)Container
KR102353170B1 (en)Bottle having containing member for preserving functional particles
KR102305471B1 (en)A separable and acceptable container cap
KR100569199B1 (en) Mixing vessel
US20200079560A1 (en)Beverage container
KR100571747B1 (en)bottle cap assembly for simultaneously dissolve additives
WO2010004252A2 (en)Closure element a fluid container
KR102092360B1 (en)Separable type container for liquid and solid
KR20230094782A (en)Container cap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KR200376968Y1 (en)Airtight vessel
WO2006055508A2 (en)Source selecting cap and closure for multiple chamber bottles
KR20220102983A (en)Double cap capable of accommodating liquid and storage container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D13-X000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D14-X000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E13-X000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