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2457236B1 - Beverage maker - Google Patents

Beverage m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236B1
KR102457236B1KR1020170146918AKR20170146918AKR102457236B1KR 102457236 B1KR102457236 B1KR 102457236B1KR 1020170146918 AKR1020170146918 AKR 1020170146918AKR 20170146918 AKR20170146918 AKR 20170146918AKR 102457236 B1KR102457236 B1KR 102457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apsule
siphon
channel
ga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9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51372A (en
Inventor
김지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filedCritical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6918ApriorityCriticalpatent/KR102457236B1/en
Publication of KR20190051372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90051372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236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2457236B1/en
Active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캡슐은 재료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내부에 사이폰 튜브가 돌출된 캡슐 바디와, 상기 재료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사이폰 튜브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사이폰 캡과, 상기 사이폰 캡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캡슐 바디와 결합되어 상기 재료수용공간을 차폐하는 실링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캡슐 바디로 급수된 물이 일정 수위가 되면 사이폰 현상에 의해 상기 캡슐 바디 내부에 차있는 물과 음료 재료의 혼합물이 음료 캡슐 하부로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다.Beverage caps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psule body having a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formed therein and protruding a siphon tube, a siphon cap accommodated in the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and arranged to surround the siphon tube, and the It is formed larger than the siphon cap, and may include a sealing body coupled to the capsule body to shield the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Therefore, when the water supplied to the capsule body reaches a certain level, the mixture of water and beverage material filled in the capsule body by the siphon phenomenon can be easily extra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everage capsule.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음료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BEVERAGE MAKER}Beverage capsule and beverage maker including same {BEVERAGE MAKER}

본 발명은 사이폰 캡이 마련된 음료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apsule provided with a siphon cap and a beverage maker including the same.

음료는 술이나 차 등의 음용 가능한 액체를 총칭한다. 예컨대, 음료는 갈증을 해결하기 위한 물(음료수), 독특한 향과 맛을 갖는 과즙음료, 청량감을 주는 청량음료, 각성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호음료, 또는 알코올 효과가 있는 알코올 음료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다.Beverage is a generic term for drinkable liquids such as alcohol or tea. For example, beverages are divided into various categories such as water (drinks) to quench thirst, juice drinks with a unique flavor and taste, soft drinks that give a refreshing feeling, preference drinks that can be expected to have arousal effect, or alcoholic drinks with alcohol effects can be

이러한 음료의 대표적인 예로서 음료가 있다. 음료는 보리를 싹틔워 만든 맥아(麥芽. 엿기름)로 즙을 만들어 여과한 후, 홉(hop)을 첨가하고 효모로 발효시켜 만든 술이다.A representative example of such a beverage is a beverage. Beverage is an alcoholic beverage made from malt made by sprouting barley, filtered, and fermented with yeast after adding hops.

소비자는 음료제조회사에서 제조하여 판매하는 기성품을 구입하거나 가정 또는 술집에서 음료의 재료를 직접 발효시킨 하우스음료(또는 수제음료)를 음용할 수 있다.Consumers can purchase ready-made products manufactured and sold by beverage manufacturers, or drink house beverages (or homemade beverages) made by fermenting beverage ingredients at home or at a bar.

하우스음료는 기성품보다 다양한 종류로 제조될 수 있고, 소비자 취향에 맞게 제조될 수 있다.House drinks can be manufactured in a variety of types rather than ready-made products, and can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consumer preferences.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 홉(hop), 이스트, 향 재료 등 일 수 있다.Materials for preparing the beverage may be water, malt, hops, yeast, flavoring materials, and the like.

이스트는 효모라 불릴 수 있고, 맥아에 첨가되어 맥아를 발효시킬 수 있고 알코올과 탄산을 생성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Yeast can be called yeast and can be added to the malt to ferment the malt and help produce alcohol and carbonic acid.

통상적으로 하우스 음료는 맥즙생성단계, 발효단계, 숙성단계의 총 3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맥즙생성단계에서 숙성단계까지 2주에서 3주 정도 소요될 수 있다.Typically, a house beverage may include a total of three stages of a wort production step, a fermentation step, and a maturation step, and it may take 2 to 3 weeks from the wort production step to the aging step.

하우스 음료는 발효 단계시 최적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간편하게 제조될수록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For house drinks, it is important to maintain the optimum temperature during the fermentation stage, and the more conveniently manufactured, the more convenient the user can be.

최근에는 가정이나 술집에서 손쉽게 하우스 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음료 제조기가 점차 사용되는 추세이고, 이러한 음료 제조기는 최대한 자동화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cently, a beverage maker that can easily produce house drinks at home or a bar is gradually being used, and it is preferable that such a beverage maker is configured to be as automated as possible.

본 발명은 음료 캡슐 내부에 수용된 음료 재료를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음료 제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maker capable of effectively extracting the beverage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beverage capsule.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르면, 음료 캡슐은 재료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내부에 사이폰 튜브가 돌출된 캡슐 바디와, 상기 재료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사이폰 튜브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사이폰 캡과, 상기 사이폰 캡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캡슐 바디와 결합되어 상기 재료수용공간을 차폐하는 실링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capsule is a capsule body in which a material receiving space is formed and a siphon tube protrudes therein, and is accommodated in the material receiving space and arranged to surround the siphon tube. It may include a siphon cap and a sealing body that is formed larger than the siphon cap and is coupled to the capsule body to shield the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상기 사이폰 튜브의 상단과 상기 실링바디의 저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사이폰 캡의 높이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siphon tub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ling body may be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height of the siphon cap.

상기 캡슐 바디의 하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사이폰 튜브의 하단을 막는 사이폰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폰 마개는 상기 사이폰 튜브보다 큰 판체와, 상기 판체에서 돌출되고 상기 사이폰 튜브로 내삽되어 끼움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late of the capsule body may further include a siphon stopper blocking the lower end of the siphon tube. The siphon stopper may include a larger plate than the siphon tube, and a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plate and is inserted and inserted into the siphon tube.

또한, 상기 사이폰 캡의 상면은 상기 실링 바디의 저면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실링 바디는 상기 사이폰 캡의 상면을 차폐하는 제1 차폐부와, 상기 캡슐 바디에 결합되는 둘레부와, 상기 제1 차폐부와 상기 둘레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사이폰 캡과 캡슐 바디의 사이의 틈을 차폐하는 제2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phon cap may be formed to face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ing body, and the sealing body includes a first shielding portion for shiel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iphon cap, a peripheral portion coupled to the capsule body, , It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hielding portion and the peripheral portion may include a second shielding portion for shielding the gap between the siphon cap and the capsule body.

그리고, 상기 실링 바디의 하면과 상기 사이폰 캡의 상면 각각은 원형이고, 상기 실링 바디의 직경은 상기 사이폰 캡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ing bod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iphon cap may have a circular shape, and a diameter of the sealing body may be greater than a diameter of the siphon cap.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음료 재료가 수용된 음료 캡슐과; 상기 음료 캡슐이 수용되는 음료 캡슐 수용공간이 형성된 재료 공급기를 포함하고, 상기 음료 캡슐은 재료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내부에 사이폰 튜브가 돌출된 캡슐 바디와, 상기 재료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사이폰 튜브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사이폰 캡과, 상기 사이폰 캡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캡슐 바디와 결합되어 상기 재료수용공간을 차폐하는 실링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A beverag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verage capsule containing beverage ingredients; and a material feeder having a beverage capsule accommodating space in which the beverage capsule is accommodated, wherein the beverage capsule includes a capsule body having a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and protruding siphon tube therein, and is accommodated in the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and the siphon It may include a siphon cap disposed to surround the tube, and a sealing body that is formed larger than the siphon cap and is coupled to the capsule body to shield the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그리고, 상기 사이폰 튜브의 상단과 상기 실링바디의 저면 사이의 거리(L1)는 상기 사이폰 캡의 높이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And, the distance (L1)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siphon tub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ling body may be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height of the siphon cap.

또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상기 캡슐 바디의 하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사이폰 튜브의 하단을 막는 사이폰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verage mak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late of the capsule body may further include a siphon stopper blocking the lower end of the siphon tub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음료 재료가 사이폰 캡과 사이폰 튜브를 통해 캡슐 바디 외부로 추출될 수 있고, 캡슐 바디 또는 실링 바디에 음료 재료의 취출을 위한 별도의 홀을 천공하는 경우 보다 신뢰성이 높게 음료 재료를 추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material can be extracted to the outside of the capsule body through the siphon cap and the siphon tube, and more reliable when drilling a separate hole for taking out the beverage material in the capsule body or the sealing body This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xtract highly beverage ingredients.

또한, 캡슐 바디에 담겨져 있던 음료 재료가 사이폰 캡 및 사이폰 튜브를 통해 최대한 추출될 수 있고, 음료 재료가 캡슐 바디에 남는 것을 최소화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beverage material contained in the capsule body can be extracted as much as possible through the siphon cap and the siphon tube,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beverage material remains in the capsule body.

또한, 실링 바디가 사이폰 캡을 보호할 수 있고, 사이폰 캡이 외부로 임의 탈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ealing body can protect the siphon cap and prevent the siphon cap from being arbitrarily removed to the outside.

또한, 사이폰 튜브의 상단과 실링바디의 저면 사이의 거리는 사이폰 캡의 높이 보다 짧게 형성되어, 음료 캡슐이 보관중인 상태일 때 흔들리거나 뒤집혀도 사이폰 캡이 사이폰 튜브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음료 제조시 사이폰 효과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top of the siphon tube and the bottom of the sealing body is formed shorter than the height of the siphon cap, so that the siphon cap does not separate from the siphon tube even if it is shaken or overturned when the beverage capsule is in storage. The siphon effect can be stably obtained during manufacturing.

또한, 사이폰 튜브의 하단을 막는 사이폰 마개가 형성됨으로써, 음료 캡슐 내부의 음료 재료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음료 재료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siphon stopper blocking the lower end of the siphon tub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everage material from leaking inside the beverage capsu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minimize the loss of the beverage materi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 캡슐의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
도 4는 도 3에 개시된 음료 캡슐이 반전되었을 때의 단면도,
도 5는 도 3에 개시된 음료 캡슐에서 사이폰 마개가 분리된 단면도,
도 6은 도 3에 개시된 음료 캡슐이 음료 제조기에 투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6에 개시된 음료 캡슐의 상면이 천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7에 개시된 음료 캡슐 내부로 물이 유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도 8에 개시된 음료 캡슐 내부에서 물과 액체 재료가 빠져나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everag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everage caps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beverage capsule disclosed in FIG. 3 is inverted;
5 is a cross-sectional view in which the siphon stopper is separated from the beverage capsule disclosed in FIG. 3;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verage capsule disclosed in FIG. 3 is put into the beverage maker;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beverage capsule disclosed in FIG. 6 is perforated;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beverage capsule disclosed in FIG. 7;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water and liquid material have escaped from the inside of the beverage capsule disclosed in FIG. 8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drawings.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음료로서 맥주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 가능한 음료의 종류가 맥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종류의 음료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Hereinafter, although beer is exemplified as a beverage manufactured using a beverage mak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ype of beverage that can be manufactured using the beverage maker is not limited to beer, and various types of beverages are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prepared by a beverage maker according to th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everag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음료 제조기는 음료가 발효되는 공간(S1)이 형성된 발효조 어셈블리(1)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beverage maker includes afermenter assembly 1 in which a space S1 in which beverages are fermented is formed.

발효조 어셈블리(1)의 내부에는 음료가 제조되는 음료 제조팩(12)이 수용될 수 있고, 발효조 어셈블리(1)에는 음료 제조팩(12)이 수용되는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Abeverage preparation pack 12 in which a beverage is manufactured may be accommodated in thefermenter assembly 1 , and a space S1 in which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is accommodated may be formed in thefermenter assembly 1 .

음료 제조기는 발효조 어셈블리(1)에 연결된 메인 채널(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채널(2)는 발효조 어셈블리(1)의 공간(S1)으로 음료 제조에 필요한 물이나 각종 재료를 공급할 수 있다.The beverage maker may further comprise amain channel 2 connected to thefermenter assembly 1 . Themain channel 2 may supply water or various materials necessary for beverage production to the space S1 of thefermenter assembly 1 .

음료 제조기는 메인 채널(2)에 연결되고 음료 캡슐(C1)(C2)(C3)이 수용되는 재료 공급기(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everage maker may further comprise amaterial feeder 3 connected to themain channel 2 and receiving beverage capsules C1 , C2 and C3 .

음료 제조기는 메인 채널(2)로 물을 급수하는 급수모듈(5)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everage maker may further include awater supply module 5 for supplying water to themain channel 2 .

음료 제조기는 음료를 외부로 취출하는 음료 취출기(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취출기(6)는 메인 채널(2)에 연결된 음료 취출채널(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효조 어셈블리(1) 내부의 음료는 메인 채널(2)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 채널(2)의 일부를 통과해 음료 취출채널(61)로 유동될 수 있다.The beverage maker may further include abeverage ejector 6 for dispensing beverages to the outside. Thebeverage dispensing machine 6 may further include abeverage dispensing channel 61 connected to themain channel 2 . The beverage inside thefermenter assembly 1 may flow into themain channel 2 , and may flow through a portion of themain channel 2 to thebeverage outlet channel 61 .

음료 제조기는 메인 채널(2)로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주입기(8)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everage maker may further include agas injector 8 for injecting gas into themain channel 2 .

발효조 어셈블리(1)에는 메인 채널(2)와 연결되는 메인 채널 연결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발효조 어셈블리(1)에는 후술하는 가스 취출채널(71)와 연결되는 가스 취출채널 연결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A mainchannel connection part 115 connected to themain channel 2 may be formed in thefermenter assembly 1 . In addition, thefermenter assembly 1 may be provided with a gas outletchannel connecting part 121 connected to agas outlet channel 71 to be described later.

발효조 어셈블리(1)는 개구부(111)가 형성된 발효조(112)와, 개구부(111)을 개폐하는 발효조 덮개(114)를 포함할 수 있다.Thefermenter assembly 1 may include afermenter 112 having anopening 111 formed therein, and afermenter cover 114 opening and closing theopening 111 .

발효조(112)는 내부에 음료 제조 팩(12)이 수용되는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발효조(112)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발효조(112)에는 발효조 어셈블리(1)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6)가 설치될 수 있다. 온도센서(16)는 발효조(112)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온도값을 전송할 수 있다.Thefermenter 112 may have a space S1 in which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is accommodated therein. Thefermenter 112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embers. Atemperature sensor 16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fermenter assembly 1 may be installed in thefermenter 112 . Thetemperature sensor 16 may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fermenter 112 and transmit a temperature value to a controller (not shown).

발효조 덮개(114)는 발효조(112) 내부를 밀폐시키는 것으로서, 발효조(112)의 상부에 배치되어 개구부(111)를 덮을 수 있다. 메인 채널 연결부(115)는 발효조 덮개(114)에 형성될 수 있다. 가스 취출채널 연결부(121)는 발효조 덮개(114)에 형성될 수 있다.Thefermenter cover 114 is to seal the inside of thefermenter 112 , and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fermenter 112 to cover theopening 111 . The mainchannel connection part 115 may be formed in thefermenter cover 114 . The gas outletchannel connection part 121 may be formed in thefermenter cover 114 .

음료 제조팩(12)은 음료 재료 및 완성된 음료가 발효조(112)의 내벽에 뭍지 않도록 별도로 구비되는 용기일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은 발효조(112)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은 발효조 어셈블리(1)의 내부에 안착되어 발효조 어셈블리(1) 내부에서 음료를 발효시킬 수 있고, 사용이 종료된 후, 발효조(112)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may be a container provided separately so that the beverage material and the finished beverage do not stick to the inner wall of thefermenter 112 .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may be detachably provided in thefermenter 112 .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may be seated inside thefermenter assembly 1 to ferment a beverage inside thefermenter assembly 1 , and after use is finished, may be withdrawn to the outside of thefermenter 112 .

음료 제조팩(12)은 내부에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가 수용된 팩일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는 발효조 어셈블리(1)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S1)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는 내부에 재료가 수용된 상태에서 발효조(1)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은 발효조(112)의 개구부(111)가 개방된 상태에서, 발효조(112) 내부로 삽입되어 발효조(112)에 수용될 수 있다. 발효조 덮개(114)는 음료 제조팩(12)이 발효조(112) 내부로 삽입된 후 발효조(112)의 개구부(111)를 덮을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은 발효조(112)와 발효조 덮개(114)에 의해 밀폐된 공간(S1)에 수용된 상태에서 재료의 발효를 도울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는 음료의 제조가 진행되는 동안 그 내부의 압력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는 내부에 담겨있던 음료가 취출되고 발효조(112)와 음료 제조팩(12) 사이로 가스가 공급되면, 발효조(112) 내부의 가스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may be a pack in which the material for beverage preparation is accommodated therein.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space S1 formed inside thefermenter assembly 1 .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may be accommoda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fermenter 1 in a state in which the material is accommodated therein.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may be inserted into thefermenter 112 and accommodated in thefermenter 112 while theopening 111 of thefermenter 112 is opened. Thefermenter cover 114 may cover theopening 111 of thefermenter 112 after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is inserted into thefermenter 112 .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may help the fermentation of the material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space S1 closed by thefermenter 112 and thefermenter cover 114 .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may be inflated by the pressure therein while the preparation of the beverage is in progress.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may be compressed by the gas inside thefermenter 112 when the beverage contained therein is taken out and gas is supplied between thefermenter 112 and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와, 이스트, 홉, 향 재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Materials for preparing the beverage may include water, malt, yeast, hops, flavoring materials, and the like.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와 음료 제조팩(12) 모두를 포함할 수 있고,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는 재료 공급기(3)와 음료 제조팩(12)에 분산되어 수용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에는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 중 일부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에는 나머지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어 있던 나머지 재료는 급수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함께 음료 제조팩(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 내에 수용되어 있던 일부 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The beverage maker may include both thematerial feeder 3 and thebeverage production pack 12 , and the material for beverage production may be dispersedly accommodated in thematerial supply 3 and thebeverage production pack 12 .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may contain some of the materials for beverage production, and thematerial feeder 3 may contain the remaining materials. The remaining materials accommodated in thematerial feeder 3 may be supplied to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together with the water supplied from thewater supply module 5, and may be mixed with some of the materials accommodated in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can

음료 제조팩(12)에는 음료 제조에 필수적인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에는 주재료에 첨가되는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어 있던 재료는 급수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혼합되어 음료 제조팩(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에 수용되어 있던 주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may contain a main material essential for beverage production, and thematerial feeder 3 may contain a material added to the main material. In this case, the material accommodated in thematerial feeder 3 may be mixed with the water supplied from thewater supply module 5 and supplied to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and the main material accommodated in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and can be mixed.

음료 제조팩(12)에 수용된 주 재료는 타 재료 보다 용량이 많은 재료이고, 맥아와, 이스트, 홉, 향 재료 중 맥아일 수 있다. 그리고,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된 재료는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 중 맥아를 제외한 타 재료일 수 있고, 이스트, 홉, 향 재료 등일 수 있다.The main material accommodated in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is a material having a larger capacity than other materials, and may be malt, yeast, hops, or malt among flavoring materials. And, the material accommodated in thematerial feeder 3 may be a material other than malt among the materials for manufacturing a beverage, and may be yeast, hops, flavoring materials, and the like.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와 음료 제조팩(12)을 모두 포함할 경우, 보다간편하게 음료를 제조할 수 있고, 이하, 편의를 위해 재료 공급기(3)와 음료 제조팩(12)을 모두 포함하는 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재료 공급기(3)와 음료 제조팩(12)을 모두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When the beverage maker includes both thematerial supply unit 3 and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beverage more easily, and for convenience, it includes both thematerial supply unit 3 and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explain with an example. However,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including both thematerial feeder 3 and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

음료 제조팩(12) 내의 재료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효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 내에서 제조 종료된 음료는 메인 채널 연결부(115)를 통해 메인 채널(2)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 채널(2)에서 음료 취출기(6)로 유동되어 음료 취출기(6)로 취출될 수 있다.The material in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may be fermented over time, and the beverage manufactured in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may flow into themain channel 2 through the mainchannel connection part 115 and , may flow from themain channel 2 to thebeverage dispenser 6 and be taken out into thebeverage dispenser 6 .

음료 제조기는 발효조 어셈블리(1)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온도조절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는 발효조 어셈블리(1)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음료 발효를 위한 최적 온도로 발효조 어셈블리(1)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beverage maker may further include a thermostat for changing the temperature of thefermenter assembly 1 . The thermostat is to heat or cool thefermenter assembly 1, and may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fermenter assembly 1 to an optimum temperature for beverage fermentation.

온도조절기는 압축기(131)와, 응축기(132)와, 팽창기구(133)와, 증발기(134)를 갖는 냉동사이클 장치(13)를 포함할 수 있고, 응축기와 증발기 중 어느 하나는 발효조 어셈블리(1)에 배치될 수 있다.The temperature controller may include acompressor 131, acondenser 132, anexpansion mechanism 133, and arefrigeration cycle device 13 having anevaporator 134, any one of the condenser and the evaporator is a fermenter assembly ( 1) can be placed.

응축기(132)가 발효조(112)에 접촉되게 배치될 경우, 냉동사이클 장치(13)는 발효조(112)를 가열시켜 발효조(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응축기(132)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132)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긴 응축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condenser 132 is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fermenter 112 , therefrigeration cycle device 13 may heat thefermenter 112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fermenter 112 . In this case, thecondenser 132 may be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fermenter 112 . Thecondenser 132 may include a condensing tube woun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fermenter 112 .

증발기(134)가 발효조(112)에 접촉되게 배치될 경우, 냉동사이클 장치(13)는 발효조(112)를 냉각시켜 발효조(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긴 증발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evaporator 134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fermenter 112 , therefrigeration cycle device 13 may cool thefermenter 112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fermenter 112 . In this case, theevaporator 134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fermenter 112 . Theevaporator 134 may include an evaporation tube woun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fermenter 112 .

온도조절기는 발효조 어셈블리(1)를 가열시키는 히터(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1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설치될 수 있고,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되는 발열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히터(14)는 라인 히터(Line Heater)로 구성될 수 있고,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길 수 있다.The thermostat may further include aheater 14 for heating thefermenter assembly 1 . Theheater 14 may be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fermenter 112 and may be configured as a heating heater that generates heat when power is applied. Theheater 14 may be configured as a line heater, and may be wou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fermenter 112 .

냉동사이클 장치(13)는 히트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냉동사이클 장치(13)는 채널절환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절환밸브는 사방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채널절환밸브는 압축기(131)의 흡입채널 및 압축기(131)의 토출채널에 각각 연결될 수 있고, 응축기(132)와 응축기 연결채널로 연결될 수 있으며, 증발기(134)와 증발기 연결채널로 연결될 수 있다.Therefrigeration cycle device 13 may be configured as a heat pump. Therefrigeration cycle device 13 may include a channel switching valve (not shown). The channel selector valve may be configured as a four-way valve. The channel switching valve may be connected to the suction channel of thecompressor 131 and the discharge channel of thecompressor 131, respectively, may be connected to thecondenser 132 and the condenser connection channel, and may be connected to theevaporator 134 and the evaporator connection channel. .

채널절환밸브는 발효조(112)의 냉각시 압축기(131)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132)로 안내함과 증발기(134)에서 유출된 냉매를 압축기(131)로 안내할 수 있다.The channel switching valve may guide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compressor 131 to thecondenser 132 when thefermenter 112 is cooled, and guide the refrigerant leaked from theevaporator 134 to thecompressor 131 .

채널절환밸브는 발효조(112)의 가열시 압축기(131)에서 압축된 냉매를 증발기(134)로 안내함과 아울러 응축기(132)에서 유출된 냉매를 압축기(131)로 안내할 수 있다.The channel switching valve may guide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compressor 131 to theevaporator 134 when thefermenter 112 is heated, and also guide the refrigerant leaked from thecondenser 132 to thecompressor 131 .

메인 채널(2)는 일단이 급수모듈(5)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발효조 어셈블리(1)에 형성된 메인 채널 연결부(115)에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main channel 2 may be connected to thewater supply module 5 ,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mainchannel connection part 115 formed in thefermenter assembly 1 .

재료 공급기(3)는 메인 채널(2)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 채널(2)의 물은 재료 공급기(3)로 유입되어 재료 공급기(3)를 흐를 수 있다.Thematerial feeder 3 can be connected to themain channel 2 . The water in themain channel 2 may enter thematerial feeder 3 and flow through thematerial feeder 3 .

재료 공급기(3)에는 음료 제조에 필요한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급수모듈(5)에서 공급된 물이 통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재료는 이스트, 홉, 향 재료 등일 수 있다.Thematerial supply 3 may be accommodated in the material required for beverage production, the water supplied from thewater supply module 5 may be configured to pass. The material accommodated in thematerial feeder 3 may be yeast, hops, flavoring material or the like.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재료는 음료 캡슐 내에 수용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에는 이러한 음료 캡슐이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가 음료 캡슐에 수용될 경우, 재료 공급기(3)는 음료 캡슐의 안착 및 인출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는 음료 캡슐이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는 캡슐 킷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The material accommodated in thematerial feeder 3 may be accommodated in a beverage capsule, and thematerial feeder 3 may be formed with at least one capsule receiving portion in which the beverage capsule is accommodated. When the material is accommodated in the beverage capsule, thematerial feeder 3 may be configured to allow seating and withdrawal of the beverage capsule, and thematerial feeder 3 may be configured as a capsule kit assembly in which the beverage capsule is detachably accommodated. have.

급수모듈(5)에서 메인 채널(2)로 급수된 물은 음료 캡슐을 통과하면서 재료와 혼합될 수 있고, 음료 캡슐에 수용되어 있던 재료는 물과 함께 메인 채널(2)로 유동될 수 있다.Water supplied from thewater supply module 5 to themain channel 2 may be mixed with the material while passing through the beverage capsule, and the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beverage capsule may flow into themain channel 2 together with the water.

재료 공급기(3)는 종류가 상이한 다수의 재료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다수의 재료는 이스트와 홉과 향 재료일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Thematerial feeder 3 may accommodate a plurality of materials of different types separately from each other. The plurality of materials accommodated in thematerial feeder 3 may be yeast, hops and flavoring materials, which may be accommodat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재료 공급기(3)에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가 형성될 경우,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 각각은 메인 채널(2)와 캡슐 수용부 입구채널로 연결될 수 있고, 메인 채널(2)과 캡슐 수용부 출구채널로 연결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capsule receiving units are formed in thematerial feeder 3,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 receiving units may be connected to themain channel 2 and the capsule receiving unit inlet channel, and to themain channel 2 and the capsule receiving unit outlet channel. can be connected

재료 공급기(3)에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가 형성될 경우,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 각각은 메인 채널(2)와 캡슐 수용부 입구채널로 연결될 수 있고, 메인 채널(2)와 캡슐 수용부 출구채널로 연결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capsule receiving units are formed in thematerial feeder 3,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 receiving units may be connected to themain channel 2 and the capsule receiving unit inlet channel, and to themain channel 2 and the capsule receiving unit outlet channel. can be connected

캡슐 수용부 입구채널에는 캡슐 수용부 입구채널을 개폐하는 급수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A water supply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apsule receiving unit inlet channel may be installed in the capsule receiving unit inlet channel.

캡슐 수용부 출구채널에는 물이나 가스가 캡슐 수용부 출구채널을 통해 캡슐 수용부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체크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A check valve may be installed in the capsule receiving unit outlet channel to prevent water or gas from flowing back into the capsule receiving unit through the capsule receiving unit outlet channel.

재료 공급기(3)는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2)(33)가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2)(33)는 서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2)(33)는 그 각각의 캡슐 수용부 입구채널 및 그 각각의 캡슐 수용부 출구채널과 연결될 수 있다.Thematerial feeder 3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capsule accommodating portions 31, 32, and 33, and the plurality ofcapsule accommodating portions 31, 32, and 33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The plurality ofcapsule receiving units 31, 32, 33 may be connected to their respective capsule receiving unit inlet channels and their respective capsule receiving unit outlet channels.

이하, 재료 공급기(3)에는 제1재료와, 제2재료와, 제3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제1재료는 이스트일 수 있으며, 제2재료는 홉일 수 있으며, 제3재료는 향 재료일 수 있다.Hereinafter, the first material, the second material, and the third material may be accommodated in thematerial feeder 3 . The first material may be yeast, the second material may be hops, and the third material may be a flavor material.

재료 공급기(3)는 제1재료가 수용된 제1캡슐(C1)이 수용되는 제1캡슐 수용부(31)와, 제2재료가 수용된 -제2캡슐(C2)이 수용되는 제2캡슐 수용부(32)와, 제3재료가 수용된 제3캡슐(C3)이 수용되는 제3캡슐 수용부(33)를 포함할 수 있다.Thematerial feeder 3 includes a firstcapsule accommodating part 31 in which the first capsule (C1) in which the first material is accommodated is accommodated, and a second capsule receiving part in which the second capsule (C2) is accommodated - in which the second material is accommodated. (32), and a third capsule containing the third material (C3) may include a third capsule receiving portion (33) is accommodated.

제1캡슐 수용부(31)에는 제1캡슐 수용부(31)로 물 또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1 캡슐 수용부 입구채널(311)가 연결될 수 있고, 제1캡슐 수용부(31)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1첨가물의 혼합물, 공기가 안내되는 제1 캡슐 수용부 출구채널(312)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캡슐 수용부 입구채널(311)에는 제1 캡슐 수용부 입구채널(311)를 개폐하는 제1재료 급수밸브(313)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캡슐 수용부 출구채널(312)에는 제1캡슐 수용부(31)의 유체가 메인 채널(2)로 유동되게 하면서 유체가 제1 캡슐 수용부 출구채널(312)를 통해 제1캡슐 수용부(31)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제1체크밸브(31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제1캡슐 수용부(31)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1첨가물의 혼합물, 공기일 수 있다.The first capsule receivingunit inlet channel 311 for guiding water or air to the firstcapsule receiving unit 3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capsule receiving unit 31 , and the firstcapsule receiving unit 31 may flow out from the firstcapsule receiving unit 31 . Water, a mixture of water and the first additive, the first capsule receivingpart outlet channel 312 through which air is guided may be connected. The first capsule receivingunit inlet channel 311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materialwater supply valve 31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capsule receivingunit inlet channel 311 . In the first capsule receivingunit outlet channel 312 , the fluid in the firstcapsule receiving unit 31 flows into themain channel 2 while the fluid flows through the first capsule receivingunit outlet channel 312 to the first capsule receiving unit. Afirst check valve 314 to prevent backflow to 31 may be installed. Here, the fluid may be water leaked from the firstcapsule receiving part 31, a mixture of water and the first additive, and air.

제2캡슐 수용부(32)에는 제2캡슐 수용부(32)로 물 또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2캡슐 수용부 입구채널(321)가 연결될 수 있고, 제2캡슐 수용부(32)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2첨가물의 혼합물, 공기가 안내되는 제2 캡슐 수용부 출구채널(322)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캡슐 수용부 입구채널(321)에는 제2 캡슐 수용부 입구채널(321)를 개폐하는 제2재료 급수밸브(323)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캡슐 수용부 출구채널(322)에는 제2캡슐 수용부(32)의 유체가 메인 채널(2)로 유동되게 하면서 유체가 제2 캡슐 수용부 출구채널(322)를 통해 제2캡슐 수용부(32)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제2체크밸브(32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제2캡슐 수용부(32)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2첨가물의 혼합물, 공기일 수 있다.The second capsule accommodating part 32 may be connected to a second capsule accommodatingpart inlet channel 321 for guiding water or air to the second capsule accommodating part 32, Water, a mixture of water and the second additive, the second capsule receivingpart outlet channel 322 to which air is guided may be connected. The second capsule receivingunit inlet channel 321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materialwater supply valve 32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capsule receivingunit inlet channel 321 . In the second capsule receivingunit outlet channel 322 , the fluid in the second capsule receiving unit 32 flows into themain channel 2 while the fluid flows through the second capsule receivingunit outlet channel 322 to the second capsule receiving unit. Asecond check valve 324 to prevent backflow to 32 may be installed. Here, the fluid may be water leaked from the second capsule receiving part 32, a mixture of water and the second additive, and air.

제3캡슐 수용부(33)에는 제3캡슐 수용부(33)로 물 또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3캡슐 수용부 입구채널(331)가 연결될 수 있고, 제3캡슐 수용부(33)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3첨가물의 혼합물, 공기가 안내되는 제3 캡슐 수용부 출구채널(332)가 연결될 수 있다. 제3 캡슐 수용부 입구채널(331)에는 제3 캡슐 수용부 입구채널(331)를 개폐하는 제3재료 급수밸브(333)가 설치될 수 있다. 제3 캡슐 수용부 출구채널(332)에는 제3캡슐 수용부(33)의 유체가 메인 채널(2)로 유동되게 하면서 유체가 제3 캡슐 수용부 출구채널(332)를 통해 제3캡슐 수용부(33)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제3체크밸브(33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제3캡슐 수용부(33)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3첨가물의 혼합물, 공기일 수 있다.The thirdcapsule accommodating part 33 may be connected to a third capsule accommodatingpart inlet channel 331 for guiding water or air to the thirdcapsule accommodating part 33, Water, a mixture of water and the third additive, the third capsule receivingpart outlet channel 332 through which air is guided may be connected. The third capsule receivingunit inlet channel 331 may be provided with a third materialwater supply valve 33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hird capsule receivingunit inlet channel 331 . In the third capsule receivingunit outlet channel 332 , the fluid in the thirdcapsule receiving unit 33 flows to themain channel 2 while the fluid flows through the third capsule receivingunit outlet channel 332 to the third capsule receiving unit. Athird check valve 334 to prevent backflow to (33) may be installed. Here, the fluid may be water, a mixture of water and a third additive, and air leaked from the thirdcapsule accommodating part 33 .

메인 채널(2)는 음료 제조기가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할 경우, 물이나 공기 유동 방향으로 재료 공급기(3) 이전에 위치하는 제1메인 채널(2A)와, 물이나 공기 유동 방향으로 재료 공급기(3) 이후에 위치하는 제2메인 채널(2B)를 포함할 수 있다.Themain channel 2 includes a first main channel 2A located before thematerial feeder 3 in the water or air flow direction, when the beverage maker includes thematerial feeder 3 , and the material in the water or air flow direction. It may include a second main channel (2B) located after the feeder (3).

메인 채널(2)는 제1메인 채널(2A)와 제2메인 채널(2B)를 잇고 물이나 공기가 재료 공급기(3)를 바이패스하는 캡슐 수용부 바이패스 채널(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main channel 2 may further include a capsulereceptacle bypass channel 2C connecting the first main channel 2A and the secondmain channel 2B and allowing water or air to bypass thematerial feeder 3 . have.

여기서, 제1메인 채널(2A)은 급수모듈(5)에 연결된 급수채널일 수 있고, 제2메인 채널(2B)은 발효조 어셈블리(1)에 연결된 발효조 연결채널일 수 있다. 그리고, 캡슐 수용부 바이패스 채널(2C)은 이러한 급수채널과 발효조 어셈블리 연결채널을 연결하면서 물이나 공기가 재료 공급기(3)를 바이패스하게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main channel 2A may be a water supply channel connected to thewater supply module 5 , and the secondmain channel 2B may be a fermenter connection channel connected to thefermenter assembly 1 . And, the capsule receiving unit bypass channel (2C) may be configured so that water or air bypasses thematerial feeder 3 while connecting the water supply channel and the fermenter assembly connection channel.

메인 채널(2)은 음료 제조기가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하나의 채널로 구성될 수 있고, 음료 제조기가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할 경우, 제1메인 채널(2A)과, 제2메인 채널(2B)과, 캡슐 수용부 바이패스 채널(2C)을 포함할 수 있다.Themain channel 2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channel when the beverage maker does not include theingredient feeder 3 , and when the beverage maker includes theingredient feeder 3 , the first main channel 2A and , the second main channel (2B), and may include a capsule receiving unit bypass channel (2C).

캡슐 수용부 바이패스 채널(2C)는 제1캡슐 수용부(31)의 채널과, 제2캡슐 수용부(32)의 채널과, 제3캡슐 수용부(33)의 채널 각각과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The capsule accommodating part bypass channel (2C)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channel of the firstcapsule accommodating part 31, the channel of the second capsule accommodating part 32, and the channel of the thirdcapsule accommodating part 33, respectively. have.

캡슐 수용부 바이패스 채널(2C)에는 캡슐 수용부 바이패스 채널 (2C)를 개폐하는 캡슐 수용부 캡슐 수용부 바이패스 밸브(35)가 설치될 수 있다.The capsule receivingunit bypass valve 3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apsule receivingunit bypass channel 2C may be installed in the capsule receivingunit bypass channel 2C.

제1메인 채널(2A)는 제1 캡슐 수용부 입구채널(311)와, 제2 캡슐 수용부 입구채널(321)와, 제3 캡슐 수용부 입구채널(331) 및 캡슐 수용부 바이패스 채널(2C)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메인 채널(21)는 급수모듈(5)에 연결된 공통관과, 공통관에서 분지되어 제1 캡슐 수용부 입구채널(311)와, 제2 캡슐 수용부 입구채널(321)와, 제3 캡슐 수용부 입구채널(331) 및 캡슐 수용부 바이패스 채널(2C) 및 연결된 다수의 분지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ain channel 2A includes a first capsule receivingunit inlet channel 311 , a second capsule receivingunit inlet channel 321 , a third capsule receivingunit inlet channel 331 , and a capsule receiving unit bypass channel ( 2C) can be connected to each. The first main channel 21 has a common pipe connected to thewater supply module 5, a first capsule receivingunit inlet channel 311 branched from the common pipe, a second capsule receivingunit inlet channel 321, and a third It may include a capsule receivingunit inlet channel 331 and a capsule receiving unit bypass channel (2C) and a plurality of connected branch pipes.

제2메인 채널(2B)는 제1 캡슐 수용부 출구채널(312)와, 제2 캡슐 수용부 출구채널(322)와, 제3 캡슐 수용부 출구채널(332) 및 캡슐 수용부 바이패스 채널(2C)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메인 채널(2B)는 발효조 어셈블리(1)에 연결된 공통관과, 제1 캡슐 수용부 출구채널(312)와, 제2 캡슐 수용부 출구채널(322)와, 제3 캡슐 수용부 출구채널(332) 및 캡슐 수용부 바이패스 채널(2C)를 공통관과 연결하는 다수의 합지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main channel 2B includes a first capsule receivingunit outlet channel 312 , a second capsule receivingunit outlet channel 322 , a third capsule receivingunit outlet channel 332 , and a capsule receiving unit bypass channel ( 2C) can be connected to each. The secondmain channel 2B includes a common pipe connected to thefermenter assembly 1, a first capsule receivingunit outlet channel 312, a second capsule receivingunit outlet channel 322, and a third capsule receiving unit outlet channel. (332) and the capsule accommodation portion bypass channel (2C) may include a plurality of laminated pipe connecting the common pipe.

제1메인 채널(2A)로 급수된 물이나 공기는 캡슐 수용부 바이패스 밸브(35)의 클로즈시 캡슐 수용부(31)(32)(33)을 통과하여 캡슐 수용부 바이패스 채널(2C)을 바이패스할 수 있고, 제2메인 채널(2B)로 유동될 수 있다.Water or air supplied to the first main channel (2A) passes through thecapsule accommodating part 31, 32, and 33 when the capsule accommodatingpart bypass valve 35 is closed, and the capsule accommodating part bypass channel (2C) may be bypassed, and may flow into the secondmain channel 2B.

반대로, 제1메인 채널(2A)로 급수된 물이나 공기는 재료 급수밸브(311)(321)(331)의 클로즈시, 캡슐 수용부 바이패스 채널(2C)을 통과하여 캡슐 수용부(31)(32)(33)를 바이패스할 수 있고, 제2메인 채널(2B)로 유동될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materialwater supply valves 311, 321, 331 are closed, the water or air supplied to the first main channel 2A passes through the capsule receivingpart bypass channel 2C and passes through thecapsule receiving part 31. (32) and (33) may be bypassed, and may flow into the second main channel (2B).

급수모듈(5)는 물이 담기는 급수탱크(500)와; 급수탱크(500)의 물을 펌핑하는 급수펌프(52)와; 급수펌프(52)에서 펌핑된 물을 가열하는 급수히터(53)를 포함할 수 있다.Thewater supply module 5 includes awater supply tank 500 containing water; awater supply pump 52 for pumping water from thewater supply tank 500; It may include awater heater 53 that heats the water pumped by thewater pump 52 .

급수탱크(500)는 수조(510)와, 급수탱크 뚜껑부(511), 급수탱크 가스배출기(512), 급수탱크 압력센서(513)를 포함할 수 있다.Thewater supply tank 500 may include awater tank 510 , a water supplytank lid part 511 , a water supplytank gas discharger 512 , and a water supplytank pressure sensor 513 .

수조(510)는 발효조 어셈블리(1)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기설정된 양의 물을 저장하도록 일정 크기를 갖는 저장소이며, 급수탱크 뚜껑부(511)는 상기 수조(510)의 상부에 마련되어 수조 내부로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기 위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Thewater tank 510 is a storag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o store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n order to supply water to thefermenter assembly 1 , and the water supplytank lid part 511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water tank 510 and inside the water tank It can be manufactured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to supply a certain amount of water to the furnace.

급수탱크 가스배출기(512)는 급수탱크(500) 내부에 대한 건조 모드를 수행시에 동작할 수 있다. 급수탱크 압력센서(513)는 상기 급수탱크 뚜껑부(511)가 클로즈되어 있는 상태에서 급수탱크(50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며, 급수탱크(500) 내부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급수탱크 가스배출기(512)를 통해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다. 급수탱크 가스배출기(512)는 가스탱크(500)에 장착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tank gas discharger 512 may operate when performing a drying mode for the inside of thewater supply tank 500 . The water supplytank pressure sensor 513 measures the pressure inside thewater supply tank 500 while the water supplytank lid part 511 is closed, and when the pressure inside thewater supply tank 500 exceeds a preset pressure Gas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supplytank gas discharger 512 . The water supplytank gas discharger 512 may be mounted on thegas tank 500 .

급수탱크 가스배출기(512)는 릴리프 밸브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 relief valve may be applied to the water supplytank gas discharger 512, but is not limited thereto.

급수탱크(500)에는 급수펌프 입수채널(54)가 연결될 수 있고, 급수펌프(52)는 급수펌프 입수채널(54)에 연결될 수 있다.Thewater supply tank 500 may be connected to a water supplypump acquisition channel 54 , and thewater supply pump 52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pump acquisition channel 54 .

급수펌프(52)에는 급수펌프 출수채널(55)가 연결될 수 있고, 급수히터(53)은 급수펌프 출수채널(55)에 연결될 수 있다.The feed waterpump outlet channel 55 may be connected to thefeed water pump 52 , and thefeed water heater 53 may be connected to the feed waterpump outlet channel 55 .

급수펌프 출수채널(55)에는 급수펌프 출수채널(55)의 유량을 측정하는 플로우 미터(56)가 설치될 수 있다.Aflow meter 56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feed waterpump outlet channel 55 may be installed in the feed waterpump outlet channel 55 .

급수히터(53)는 급수히터(53)의 온도를 측정하는 써미스터(57: Thermistor)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급수히터(53)에는 온도가 높을 경우 회로가 차단되어 급수히터(53)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써멀 퓨즈(58; Thermal Fuse)가 설치될 수 있다.Thewater heater 53 may be provided with athermistor 57 that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water heater 53 . In addition, athermal fuse 58 may be installed in thewater supply heater 53 to cut off the circuit when the temperature is high to block the current applied to thewater supply heater 53 .

급수펌프(52)의 구동시, 급수탱크(500)의 물은 급수펌프 입수채널(54), 급수펌프(52), 급수펌프 출수채널(55)를 통해 급수히터(53)로 안내될 수 있고, 급수히터(53)로 안내된 물은 급수히터(53)에서 가열된 후 메인 채널(2)로 안내될 수 있다.When thefeed water pump 52 is driven, the water in thewater tank 500 may be guided to thewater heater 53 through the feed waterpump inlet channel 54 , thefeed water pump 52 , and the feed waterpump outlet channel 55 , , the water guided to thewater heater 53 may be heated in thewater heater 53 and then guided to themain channel 2 .

한편, 급수모듈(5)은 급수탱크(500)와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포함하지 않고, 수도꼭지에 직접 연결되거나 수도꼭지에 별도의 연결호스로 연결되어 물을 메인 채널(2)로 안내하는 급수관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water supply module 5 does not include thewater supply tank 500, thewater supply pump 52, and thewater supply heater 53,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faucet or connected to the faucet through a separate connection hose to supply water to the main channel (2). ), it is possible to include a water supply pipe leading to

급수모듈(5)은 급수탱크(500)와 급수펌프(52)를 포함하지 않고, 수도꼭지에 직접 연결되거나 수도꼭지에 별도의 연결호스로 연결되어 물을 메인 채널(2)로 안내하는 급수관과, 급수관에 설치된 급수히터(53)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Thewater supply module 5 does not include thewater supply tank 500 and thewater supply pump 52, bu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faucet or is connected to the faucet with a separate connection hose to guide water to themain channel 2, and a water supply pipe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awater heater 53 installed in the.

음료 취출기(6)는 메인 채널(2)에 연결될 수 있다. 음료 취출기(6)는 메인 채널(2)에 연결되어 메인 채널(2)의 음료가 안내되는 음료 취출채널(61)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취출기(6)는 음료 취출채널(61)에 연결된 음료 취출밸브(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beverage dispenser 6 may be connected to themain channel 2 . Thebeverage dispensing machine 6 may include abeverage dispensing channel 61 that is connected to themain channel 2 to guide the beverage of themain channel 2 . Thebeverage dispensing machine 6 may further include abeverage dispensing valve 62 connected to thebeverage dispensing channel 61 .

음료 취출채널(61)는 메인 채널(2) 중 급수모듈(5)과 발효조 어셈블리(1)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음료 취출채널(61)는 메인 채널(2) 중 재료 공급기(3)와 발효조 어셈블리(1)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음료 취출채널(61)는 제2메인 채널(2B)에 연결될 수 잇다.Thebeverage outlet channel 61 may be connected between thewater supply module 5 and thefermenter assembly 1 of themain channel 2 . Thebeverage outlet channel 61 may be connected between thematerial feeder 3 of themain channel 2 and thefermenter assembly 1 . Thebeverage dispensing channel 6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main channel 2B.

음료 취출채널(61)에는 거품차단부(63, Anti-Foaming path)가 구비될 수 있고, 메인 채널(2)에서 음료 취출채널(61)로 유동된 음료의 거품은 거품차단 패스를 통과하면서 최소화될 수 있다. 거품차단부(63)에는 거품이 걸러지는 메쉬(Mesh) 등이 구비될 수 있다.Beverage dispensing channel 61 may be provided with afoam blocking part 63, an anti-foaming path, and the foam of beverage flowing from themain channel 2 to thebeverage dispensing channel 61 is minimiz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oam blocking path. can be Thebubble blocking part 63 may be provided with a mesh (Mesh), etc. through which the bubbles are filtered.

음료 취출밸브(62)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레버와,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미도시)를 갖는 탭 밸브(Tap Valve)를 포함할 수 있다.Thebeverage dispensing valve 62 may include a lever operated by the user, and a tap valve having a limit switch (not shown) for detecting the user's operation.

가스 주입기(8)는 메인 채널(2)에 연결되어 메인 채널(2)로 가스를 주입할 수 있다.Thegas injector 8 may be connected to themain channel 2 to inject gas into themain channel 2 .

가스 주입기(8)는 물 유동방향으로 재료 공급기(3) 이전에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메인 채널(2)를 통해 재료 공급기(3)로 가스를 주입할 수 있다. 가스 주입구(8)는 제1메인 채널(2A)에 연결될 수 있다. 가스 주입기(8)에서 메인 채널(2)로 주입된 가스는 재료 공급기(3)를 통과한 후 음료 제조팩(12)로 주입될 수 있다. 가스 주입기(8)에서 메인 채널(2)로 주입된 가스는 재료 공급기(3)를 바이패스하여 음료 제조팩(12)로 주입될 수 있다.Thegas injector 8 may be connected before thematerial feeder 3 in the water flow direction, and in this case, the gas may be injected into thematerial feeder 3 through themain channel 2 . Thegas inlet 8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main channel 2A. The gas injected into themain channel 2 from thegas injector 8 may be injected into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after passing through thematerial supply 3 . Gas injected from thegas injector 8 into themain channel 2 may be injected into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by bypassing thematerial supply 3 .

가스 주입기(8)는 메인 채널(2)를 통해 캡슐 수용부(31)(32)(33)로 가스를 주입할 수 있고, 음료 캡슐(C1)(C2)(C3) 또는 캡슐 수용부(31)(32)(33) 내의 잔수나 찌꺼기는 가스 주입기(8)에 의해 주입된 가스에 의해 메인 채널(2)로 유동될 수 있다. 음료 캡슐(C1)(C2)(C3) 및 캡슐 수용부(31)(32)(33)는 가스 주입기(8)에 의해 주입된 가스에 의해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Thegas injector 8 may inject gas into thecapsule receiving portion 31 , 32 , 33 through themain channel 2 , and the beverage capsule (C1) (C2) (C3) or the capsule receiving portion 31 ) 32 , 33 may flow into themain channel 2 by the gas injected by thegas injector 8 . The beverage capsules (C1) (C2) (C3) and the capsule accommodating parts (31, 32, 33) can be kept clean by the gas injected by the gas injector (8).

가스 주입기(8)는 메인 채널(2)에 연결된 가스 주입채널(81)와, 가스 주입채널(81)로 가스를 펌핑하는 가스 주입펌프(82)를 포함할 수 있다.Thegas injector 8 may include agas injection channel 81 connected to themain channel 2 , and agas injection pump 82 for pumping gas to thegas injection channel 81 .

가스 주입채널(81)는 물 유동방향으로 급수모듈(5)과 재료 공급기(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Thegas injection channel 81 may be connected between thewater supply module 5 and thematerial feeder 3 in the water flow direction.

가스 주입채널(81)는 메인 채널(2) 중 제1메인 채널(2A)에 연결될 수 있다.Thegas injection channel 8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main channel 2A of themain channels 2 .

가스 주입기(8)는 메인 채널(2)의 물이 가스 주입채널(81)를 통해 가스 주입펌프(82)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체크밸브(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크밸브(83)는 가스 주입방향으로 가스 주입펌프(82)의 이후에 설치될 수 있다.Thegas injector 8 may further include acheck valve 83 for preventing the water of themain channel 2 from flowing into thegas injection pump 82 through thegas injection channel 81 . Thecheck valve 83 may be installed after thegas injection pump 82 in the gas injection direction.

가스 주입기(8)는 가스 주입채널(81)에 연결되고 가스 주입방향으로 가스 주입펌프(82) 이전에 설치된 가스필터(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gas injector 8 may further include agas filter 84 connected to thegas injection channel 81 and installed before thegas injection pump 82 in the gas injection direction.

가스 주입펌프(82)의 구동시, 외부의 공기는 가스필터(84)에 의해 먼지 등이 걸러질 수 있고, 가스필터(84)를 통과한 공기는 가스 주입펌프(82)에 의해 유동되어 메인 채널(2)로 유동될 수 있다.When thegas injection pump 82 is driven, dust and the like may be filtered out of the external air by thegas filter 84 ,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gas filter 84 is flowed by thegas injection pump 82 to the main It can flow into the channel (2).

한편, 음료 제조기는 메인 채널(2)를 개폐하는 발효조 밸브(9)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everage maker may further include a fermenter valve 9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channel (2).

메인 채널(2)는 음료 취출채널(61)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91)과 발효조 어셈블리(1)에 형성된 메인 채널 연결부(115)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92)를 포함할 수 있다.Themain channel 2 may include afirst connection part 91 connected to thebeverage dispensing channel 61 and asecond connection part 92 connected to the mainchannel connection part 115 formed in thefermenter assembly 1 .

발효조 밸브(9)는 제1연결부(91)과 제2연결부(92)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The fermenter valve 9 may be installed between thefirst connection part 91 and thesecond connection part 92 .

한편, 음료 제조기는 발효조 어셈블리(1)의 내부로 가스를 공급하거나 발효조 어셈블리(1) 내부의 가스를 배기하는 가스 조절기(15)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everage maker may include agas regulator 15 for supplying a gas to the inside of the fermenter assembly (1) or exhausting the gas inside the fermenter assembly (1).

가스 조절기(15)는 외부의 가스를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 내벽 사이로 가스를 공급하거나 반대로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 내벽 사이의 가스를 외부로 배기할 수 있다.Thegas regulator 15 may supply gas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and thefermenter 112 by supplying an external gas or, conversely, exhaust the gas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and thefermenter 112 to the outside. .

가스 조절기(15)는 가스펌프(152)와, 가스펌프(152)와 발효조 어셈블리(1)의 내부를 연결하는 가스 조절채널(154)과; 가스 조절채널(154)에 연결되어 가스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밸브(156)를 포함한다.Thegas regulator 15 includes agas pump 152 and agas control channel 154 connecting thegas pump 152 and the inside of thefermenter assembly 1; It includes anexhaust valve 156 connected to thegas control channel 154 to exhaust gas to the outside.

음료 제조기는 가스 조절채널(154)과 연결채널(10)의 연결부와 발효조 어셈블리(1) 사이에 연결된 가스 릴리프 밸브(1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everage maker may further include agas relief valve 158 connected between thegas control channel 154 and the connection part of the connection channel 10 and thefermenter assembly 1 .

가스펌프(152)와 가스 조절채널(154)은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 어셈블리(1)의 사이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기로 기능할 수 있다.Thegas pump 152 and thegas control channel 154 may function as a gas supplier for supplying gas between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and thefermenter assembly 1 .

가스 조절채널(154)과 배기밸브(156)는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 어셈블리(1)의 사이의 가스를 외부로 배기하는 가스 배기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Thegas control channel 154 and theexhaust valve 156 may function as a gas exhaust passage for exhausting gas between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and thefermenter assembly 1 to the outside.

가스 조절채널(154)은 발효조(112)에 연결되어 발효조(112)와 음료 제조팩(12) 사이로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Thegas control channel 154 may be connected to thefermenter 112 to supply gas between thefermenter 112 and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

가스 조절채널(154)은 일단이 가스펌프(152)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발효조(112)에 연결될 수 있다.Thegas control channel 154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gas pump 152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fermenter 112 .

음료 제조팩(12)이 발효조 어셈블리(1)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가스펌프(152)와 가스 조절채널(154)는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 어셈블리(1)의 사이로 가스를 공급할 수 있고, 이와 같이 발효조 어셈블리(1) 내부로 공급된 가스는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의 사이에서 음료 제조팩(12)을 가압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is accommodated in thefermenter assembly 1, thegas pump 152 and thegas control channel 154 may supply gas between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and thefermenter assembly 1 In this way, the gas supplied into thefermenter assembly 1 may press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between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and thefermenter 112 .

음료 제조팩(12) 내의 음료는 가스에 의해 눌린 음료 제조팩(12)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발효조 밸브(9)와 음료 취출밸브(62)가 개방되면, 메인 채널 연결부(115)를 통과해 메인 채널(2)로 유동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에서 메인 채널(2)로 유동된 음료는 음료 취출기(6)를 통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The beverage in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may be pressurized by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pressed by gas, and when the fermenter valve 9 and thebeverage dispensing valve 62 are opened, it passes through the mainchannel connection part 115 It can flow into the main channel (2). The beverage flowing from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to themain channel 2 may be taken out through thebeverage ejector 6 .

음료 제조기는 음료 제조가 완성되면, 음료 제조팩(12)를 발효조 어셈블리(1)의 외부로 꺼내지 않고, 발효조 어셈블리(1)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음료 제조팩(12) 내의 음료를 음료 취출기(6)로 취출할 수 있다.When the beverage production is completed, the beverage production machine takes out the beverage in thebeverage production pack 12 in a state positioned inside thefermenter assembly 1 without taking thebeverage production pack 12 out of thefermenter assembly 1 . It can be taken out with the machine (6).

가스펌프(152)는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의 사이에 소정 압력이 형성되게 가스를 공급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12)과 발효조(112)의 사이에는 음료 제조팩(12) 내의 음료 취출이 용이한 압력이 형성될 수 있다.Thegas pump 152 may supply gas so that a predetermined pressure is formed between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and thefermenter 112 , and between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12 and thefermenter 112 ,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 can be easily formed in the beverage ejection pressure.

가스펌프(152)는 음료 취출이 진행되는 동안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음료 취출이 끝나면, 다음 번 음료 취출을 위해 구동되었다가 정지될 수 있다.Thegas pump 152 may be kept in an off state while beverage dispensing is in progress, and when beverage dispensing is finished, thegas pump 152 may be driven and stopped for the next beverage dispensing.

배기밸브(156)는 발효조 어셈블리(1) 외부에 위치될 수 있고, 가스 조절채널(154) 중 발효조(112)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Theexhaust valve 156 may be located outside thefermenter assembly 1 , and may be connected to a portion located outside thefermenter 112 of thegas control channel 154 .

배기밸브(156)는 가스 조절채널(154)에 연결채널(157)로 연결될 수 있다.Theexhaust valve 156 may be connected to thegas control channel 154 through aconnection channel 157 .

가스 조절채널(154)는 연결채널(157)가 연결되는 연결부(154F)을 기준으로, 가스펌프(152)부터 연결부(154F)까지의 제1채널과, 연결부(154F)부터 출구단(154E)까지의 제2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채널은 가스펌프(152)에서 펌핑된 가스를 제2채널로 안내하는 급기채널일 수 있다. 그리고, 제2채널은 급기채널을 통과한 가스를 발효조(112)와 음료 제조팩(12) 사이로 급기하거나, 발효조(112)와 음료 제조팩(12) 사이에서 유출된 가스를 연결채널(157)로 안내하는 급기 및 배기 겸용 채널일 수 있다.Thegas control channel 154 includes a first channel from thegas pump 152 to theconnection part 154F, and an outlet end 154E from theconnection part 154F, based on theconnection part 154F to which theconnection channel 157 is connected. up to a second channel. The first channel may be an air supply channel for guiding the gas pumped by thegas pump 152 to the second channel. And, the second channel supplies the gas passing through the air supply channel between thefermenter 112 and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or connects the gas leaked between thefermenter 112 and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to theconnection channel 157. It may be a channel for both supply and exhaust to guide to.

음료 제조기는 발효조 어셈블리(1)에 연결되고 음료 제조 팩(12)의 가스를 배기 안내되는 가스 취출채널(71)와; 가스 취출채널(71)에 설치되어 가스 취출채널(71)의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72)와; 가스 취출채널(71)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 취출채널(71)를 개폐하는 가스 취출밸브(73)를 포함한다. 음료 제조기는 가스 취출밸브(73)를 통과한 가스가 통과하는 가스 필터(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everage maker includes: agas outlet channel 71 connected to thefermenter assembly 1 and guiding the exhaust gas of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apressure sensor 72 installed in thegas outlet channel 71 to sense the pressure of thegas outlet channel 71; and agas outlet valve 73 installed in thegas outlet channel 71 to open and close thegas outlet channel 71 . The beverage maker may further include agas filter 74 through which the gas passing through thegas outlet valve 73 passes.

가스 취출채널(71)는 음료 제조 팩(12)의 가스를 발효조 어셈블리(1) 외부로 배기 안내할 수 있다. 가스 취출채널(71)는 일단이 발효조 어셈블리(1)에 형성된 가스 취출채널 연결부(215)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발효조 어셈블리(1)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Thegas outlet channel 71 may guide the exhaust gas of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to the outside of thefermenter assembly 1 . Thegas outlet channel 71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gas outlet channel connection part 215 formed in thefermenter assembly 1 , and the other end may be located outside thefermenter assembly 1 .

가스 취출채널(71)의 적어도 일부는 발효조 어셈블리(1) 외부로 배치될 수 있다. 가스 취출채널(71)는 일부가 발효조 어셈블리(1)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나머지가 발효조 어셈블리(1)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가스 취출채널(71)는 그 전부가 발효조 어셈블리(1)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gas outlet channel 71 may be disposed outside thefermenter assembly 1 . A part of thegas outlet channel 71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fermenter assembly 1 , and the rest may be disposed outside thefermenter assembly 1 . All of thegas outlet channels 71 may be disposed outside thefermenter assembly 1 .

가스 취출채널(71)는 발효조 어셈블리(1) 특히, 발효조 덮개(114)에 연결될 수 있다. 발효조 어셈블리(1)에는 가스 취출채널(71)가 연결되는 가스 취출채널 연결부(12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스 취출채널 연결부(121)는 발효조 덮개(114)에 구비될 수 있다. 가스 취출채널(71)는 일부가 발효조 덮개(114)로 삽입될 수 있고, 발효조 덮개(114)에 구비된 가스 취출채널 연결부(121)에 연결될 수 있다.Thegas outlet channel 71 may be connected to thefermenter assembly 1 , in particular, thefermenter cover 114 . In thefermenter assembly 1 , a gas outletchannel connection part 121 to which thegas outlet channel 71 is connected may be formed. The gas outletchannel connection part 121 may be provided on thefermenter cover 114 . A part of thegas outlet channel 71 may be inserted into thefermenter cover 114 , and may be connected to the gas outletchannel connection part 121 provided in thefermenter cover 114 .

음료 제조팩(12) 내의 가스는 가스 취출채널 연결부(121) 및 가스 취출채널(71)를 통해 압력센서(72)로 유동될 수 있다.The gas in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may flow to thepressure sensor 72 through the gas outletchannel connection part 121 and thegas outlet channel 71 .

압력센서(72)는 가스 취출채널(71) 중 발효조 어셈블리(1) 외부에 배치된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Thepressure sensor 72 may be mounted on a portion of thegas outlet channel 71 disposed outside thefermenter assembly 1 .

압력 센서(72)는 음료 제조팩(12) 내에서 가스 취출채널(71)로 유동된 가스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Thepressure sensor 72 may sense the pressure of the gas flowing into thegas outlet channel 71 in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

압력 센서(72)는 음료 제조팩(12) 내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가스 취출밸브(73)가 클로즈인 경우, 음료 취출채널(71)의 압력은 음료 제조 팩(12) 내부의 압력과 같을 수 있고, 압력 센서(72)에서 감지된 압력은 음료 제조 팩(12)의 압력일 수 있다.Thepressure sensor 72 may sense the pressure in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 When thegas discharge valve 73 is closed, the pressure of thebeverage discharge channel 71 may be the same as the pressure inside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 and the pressure sensed by thepressure sensor 72 is thebeverage preparation pack 12 . may be the pressure of

가스취출밸브(73)는 가스 취출채널(71) 중 발효조 어셈블리(1) 외부에 배치된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가스 취출밸브(73)는 가스 취출방향으로 압력 센서(72) 이후에 설치될 수 있다.Thegas outlet valve 73 may be mounted on a portion of thegas outlet channel 71 disposed outside thefermenter assembly 1 . Thegas discharge valve 73 may be installed after thepressure sensor 72 in the gas discharge direction.

압력 센서(72), 가스 취출밸브(73)와, 가스 필터(74)는 가스 취출채널(71)에 가스 배출방향으로 순차 배치될 수 있다.Thepressure sensor 72 , thegas discharge valve 73 , and thegas filter 74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in thegas discharge channel 71 in the gas discharge direction.

음료 제조기는 가스 취출채널(71)에 구비된 가스배출 릴리프밸브(75, Relief valv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배출 릴리프밸브(75)는 가스 취출채널(71) 중 가스 배출 방향으로 압력 센서(72) 이전에 설치될 수 있다.The beverage maker may further include a gas discharge relief valve (75, Relief valve) provided in the gas discharge channel (71). The gasdischarge relief valve 75 may be installed before thepressure sensor 72 in the gas discharge direction among thegas discharge channels 71 .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m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재료 공급기(3)은 발효조 모듈(1)과 급수모듈(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가 발효조 모듈(1)과 급수모듈(5) 사이에 배치될 경우, 음료 제조기는 컴팩트화가 가능하고, 재료 공급기(3)가 발효조 모듈(1)과 급수모듈(5)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Thematerial feeder 3 may be disposed between thefermenter module 1 and thewater supply module 5 . When thematerial feeder 3 is disposed between thefermenter module 1 and thewater supply module 5, the beverage maker can be made compact, and thematerial feeder 3 is operated by thefermenter module 1 and thewater supply module 5. can be protected.

재료 공급기(3)는 도 1에 도시된 음료 캡슐(C1)(C2)(C3)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캡슐 수용부가 형성된 캡슐 수용바디(36)와, 캡슐 수용부를 덮는 리드 모듈(37)을 포함할 수 있다.Thematerial feeder 3 includes acapsule accommodating body 36 formed with a capsule accommodating part in which the beverage capsules C1, C2, and C3 shown in FIG. 1 are removably accommodated, and alid module 37 covering the capsule accommodating part. may include

리드 모듈(37)은 캡슐 수용바디(36)를 덮는 리드(38)를 포함할 수 있다. 리드(38)은 캡슐 수용바디(3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거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리드(38)은 캡슐 수용바디(36)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Thelid module 37 may include alid 38 covering thecapsule receiving body 36 . Thelid 38 may be slidably disposed or rotatably connected to thecapsule receiving body 36 . Thelid 38 may be hingedly connected to thecapsule receiving body 36 .

재료 공급기(3)는 음료 제조기의 대략 중앙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재료 공급기(3)의 리드 모듈(37)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음료 캡슐(C1)(C2)(C3)을 용이하게 장착, 분리할 수 있다.Thematerial feeder 3 may be installed to be positioned approximately in the upper center of the beverage maker, and the user rotates thelead module 37 of thematerial feeder 3 upward to open the beverage capsules (C1) (C2) (C3). I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removed.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1)의 하측 전방을 가리는 센터 커버(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everage maker may further include acenter cover 66 that covers the lower front of theingredient feeder 1 .

음료 취출밸브(62)는 센터 커버(66)에 장착될 수 있다. 음료 취출밸브(62)는 센터 커버(66)에 전방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될 수 있다.Thebeverage dispensing valve 62 may be mounted on thecenter cover 66 . Thebeverage dispensing valve 62 may be mounted to protrude in the forward direction to thecenter cover 66 .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 캡슐의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everage caps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 캡슐은 재료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내부에 사이폰 튜브(343)가 돌출된 캡슐 바디(342)와, 상기 재료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사이폰 튜브(343)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사이폰 캡(340)과, 상기 사이폰 캡(340)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캡슐 바디(342)와 결합되어 상기 재료수용공간을 차폐하는 실링 바디(341)를 포함할 수 있다.The beverage caps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terial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and acapsule body 342 in which a siphontube 343 protrudes, and the material receiving space is accommodated in the siphontube 343. It may include a siphoncap 340 disposed to surround, and a sealingbody 341 that is formed larger than the siphoncap 340 and is coupled to thecapsule body 342 to shield the material receiving space. .

상기 사이폰 튜브(343)는 캡슐 바디(342) 하판의 중심 부분에서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의 구조물이며, 상기 사이폰 튜브(343)의 중심 부분은 관통된 상태로 형성되어 물과 음료 재료의 혼합물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347)가 마련될 수 있다.The siphontube 343 is a cylindrical structure formed extending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plate of thecapsule body 342,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siphontube 343 is formed in a penetrating state so that a mixture of water and beverage material is Anopening 347 that can pass through may be provided.

상기 사이폰 캡(340)은 상기 사이폰 튜브(343)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사이폰 캡(340)과 상기 사이폰 튜브(343) 사이에는 물과 음료의 혼합물이 흐를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사이폰 캡(340)은 상기 사이폰 튜브(343) 보다 크게 형성되는 원통형의 측면판(340B)과, 상기 측면판(340B)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측면판(340B)을 고정시키는 원형의 상판(340A)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iphoncap 340 is formed to surround the siphontube 343 , and between the siphoncap 340 and the siphontube 343 , a predetermined space in which a mixture of water and beverage can flow. This can be provided. The siphoncap 340 has acylindrical side plate 340B that is formed larger than the siphontube 343, and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side plate 340B to fix theside plate 340B. It may be composed of a top plate (340A).

그리고, 상기 캡슐 바디(342)의 하판에는 상기 캡슐 바디(34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사이폰 튜브의 하단을 막는 사이폰 마개(3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폰 마개(345)는 상기 사이폰 튜브(343)보다 큰 판체(345A)와, 상기 판체(345A)에서 돌출되고 상기 사이폰 튜브(343)로 내삽되어 끼움되는 돌기(345B)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lower plate of thecapsule body 342 may further include a siphonstopper 345 for blocking the lower end of the siphon tube while detachably coupled to thecapsule body 342 . The siphonstopper 345 may include aplate body 345A larger than the siphontube 343, and aprojection 345B that protrudes from theplate body 345A and is inserted and inserted into the siphontube 343. can

상기 사이폰 마개(345)는 음료 캡슐 내부의 음료 재료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음료 캡슐이 캡슐 수용부에 내삽되는 때에 상기 사이폰 튜브(343)의 하부에 해당되는 캡슐 바디(342)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폰 마개(345)의 탈부착으로 인해 캡슐 바디(342)로부터 물과 음료 재료의 혼합물이 빠져나가는 경로가 용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siphonstopper 345 is provided to prevent the beverage material from leaking inside the beverage capsule, and the capsule body ( 342) can be removed. In addition, a path through which the mixture of water and beverage material escapes from thecapsule body 342 can be easily provided due to the detachment of the siphonstopper 345 .

상기 캡슐 바디(342)의 하판에는 상기 사이폰 캡(340)의 하단을 상기 캡슐 바디의 하판과 이격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부(344)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사이폰 캡(340)에서 원통형의 측면판(340B)의 하단부가 상기 지지부(344)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344)는 상기 사이폰 튜브(343)의 하면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지지부(344)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344) 사이에는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틈을 통해서 물과 음료 재료의 혼합물이 사이폰 튜브(343)와 사이폰 캡(34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A plurality ofsupport parts 344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siphoncap 34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late of the capsule body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plate of thecapsule body 342 . In the siphoncap 340 , the lower end of thecylindrical side plate 340B may be seated on thesupport 344 , and a plurality of thesupport portions 344 ar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iphontube 343 . can be formed. Accordingly, each of thesupport portions 344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support portions 344 . Through the gap, a mixture of water and beverage material may flow into the space between the siphontube 343 and the siphoncap 340 .

상기 사이폰 캡(340)에서 상판(340A)의 상면은 상기 실링 바디(341)의 저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 바디(341)는 상기 사이폰 캡(340)의 상면을 차폐하는 제1 차폐부(341A)와, 상기 캡슐 바디(342)에 결합되는 둘레부(341C)와, 상기 제1 차폐부(341A)와 상기 둘레부(341C)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사이폰 캡(340)과 캡슐 바디(342) 사이의 틈을 차폐하는 제2 차폐부(341B)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the siphoncap 340 , an upper surface of theupper plate 340A may be disposed to face a lower surface of the sealingbody 341 . In addition, the sealingbody 341 includes afirst shielding portion 341A for shiel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iphoncap 340 , aperipheral portion 341C coupled to thecapsule body 342 , and the first shielding It may be formed to include asecond shielding portion 341B formed between theportion 341A and theperipheral portion 341C to shield the gap between the siphoncap 340 and thecapsule body 342 .

상기 실링 바디(341)의 하면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상기 제1 차폐부(341A)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차폐부(341B)는 상기 제1 차폐부(341A)를 둘러싸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둘레부(341C)는 상기 제2 차폐부(341B)를 둘러싸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surface of the sealingbody 341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us thefirst shielding part 341A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second shielding part 341B may be formed in thefirst shielding part 341A.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 and theperipheral portion 341C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surrounding thesecond shielding portion 341B.

그리고, 상기 사이폰 캡(340)의 상면 또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바디(342) 하면의 직경은 상기 사이폰 캡(340) 상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상기 실링 바디(342)가 상기 사이폰 캡(340)을 완전히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phoncap 340 may also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ingbody 342 may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iphoncap 340 , and the sealingbody 342 may be formed to completely cover the siphoncap 340 . .

따라서, 상기 사이폰 캡(340)은 상기 캡슐 바디(342) 내부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캡슐 바디(342)의 하부 방향으로 사이폰 작용이 일어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iphoncap 340 may be stably mounted inside thecapsule body 342 , and may be disposed to cause a siphon action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capsule body 342 .

도 4는 도 3에 개시된 음료 캡슐이 반전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beverage capsule disclosed in Figure 3 is inverted.

음료 캡슐은 음료 제조기에 삽입되기 전에 이동과 유통 또는 보관과정에서 도 4와 같이 뒤집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음료 캡슐 내부에 마련된 사이폰 캡(340)이 상기 사이폰 튜브(343)로부터 이탈되면, 음료 캡슐이 음료 제조기에 삽입된 후 사이폰 캡(340)에 의한 사이폰 효과를 얻지 못하게 된다.The beverage capsule may be maintained in an inverted state as shown in FIG. 4 during movement and distribution or storage before being inserted into the beverage maker. In this state, when the siphoncap 340 provided inside the beverage capsule is separated from the siphontube 343, the siphon effect by the siphoncap 340 cannot be obtained after the beverage capsule is inserted into the beverage maker. .

따라서, 실시예의 음료 캡슐에서 상기 사이폰 튜브(343)의 상단과 상기 실링 바디(341)의 저면 사이의 거리(L1)는 상기 사이폰 캡(340)의 높이(L2)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L1은 음료 캡슐이 뒤집어진 상태로 보았을 때 사이폰 튜브(343)의 최하단면과 상기 실링 바디(341)의 상면 사이의 거리이며, L2는 음료 캡슐이 뒤집어진 상태로 보았을 때 사이폰 튜브(340)에서 측면판(340A)의 최상단면과 상판(340B)의 하면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beverage capsule of the embodiment, the distance L1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siphontube 343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lingbody 341 may be formed shorter than the height L2 of the siphoncap 340. . Here, L1 is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st end surface of the siphontube 343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ingbody 341 when viewed in an inverted state of the beverage capsule, and L2 is the siphon tube when viewed in an inverted state of the beverage capsule Inreference numeral 340, it may mean a distance between the uppermost end surface of theside plate 340A and the lower surface of theupper plate 340B.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이폰 캡(340)의 위치는 상기 사이폰 튜브(343)의 상단을 벗어나지 못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사이폰 캡(340)은 음료 캡슐이 흔들리거나 뒤집어지는 경우에도 상기 사이폰 튜브(343)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만 움직이도록 고정될 수 있다. 즉, 실시예의 음료 캡슐은 음료 제조기에 투입될 시에 사이폰 캡(340)이 상기 사이폰 튜브(343)를 이탈하지 않으며, 상기 사이폰 튜브(343)를 둘러싸며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344)에 정확히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osition of the siphoncap 340 is formed so as not to deviate from the upper end of the siphontube 343, the siphoncap 340 is the siphon even when the beverage capsule is shaken or overturned. It may be fixed to move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tube 343 . That is, in the beverage capsule of the embodiment, the siphoncap 340 does not leave the siphontube 343 when it is put into the beverage maker, and surrounds the siphontube 343 and the plurality ofsupport parts 344 . It may be formed so as to be accurately seated on the

도 5 내지 도 9는 음료 캡슐을 음료 제조기에 투입하고 음료 제조를 위한 과정을 수행하는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5 to 9 are views showing the flow of inserting the beverage capsule into the beverage maker and performing a process for beverage production.

우선 도 5를 참조하면, 도 3에 개시된 음료 캡슐의 사이폰 마개가 분리된 단면도이다. 실시예의 음료 캡슐은 캡슐 바디(342)의 하판에 음료 재료 및 물이 빠져나오기 위한 개구부(347)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347)는 사이폰 튜브(343)의 사이 공간을 의미한다. 음료 캡슐이 음료 제조기에 투입되기 전 보관 상태에서는 음료 캡슐 내부에 담긴 음료 재료가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이폰 마개(345)가 마련될 수 있으며, 기존과 같이 음료 캡슐의 하면을 뚫는 방식과는 달리 본 실시예는 사이폰 마개(345)를 제거함으로써, 음료 재료 및 물의 혼합물이 흘러나가는 경로를 더욱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first, it is a cross-sectional view in which the siphon stopper of the beverage capsule disclosed in FIG. 3 is separated. The beverage capsule of the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anopening 347 for the beverage material and water to exit on the lower plate of thecapsule body 342 . Theopening 347 refers to a space between the siphontubes 343 . In the storage state before the beverage capsule is put into the beverage maker, a siphonstopper 345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beverage material contained in the beverage capsule from leaking out, and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of piercing the lower surface of the beverage capsule, Otherwise, in this embodiment, by removing the siphonstopper 345 ,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secure a path through which the mixture of beverage material and water flows.

상기 사이폰 마개(345)는 음료 캡슐을 음료 제조기에 투입하기 바로 전에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phonstopper 345 is preferably removed just before the beverage capsule is put into the beverage maker.

도 6은 도 3에 개시된 음료 캡슐이 음료 제조기에 투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verage capsule disclosed in FIG. 3 is put into the beverage maker.

도 6을 참조하면, 사이폰 마개(345)가 제거된 음료 캡슐은 음료 제조기 내부의 캡슐 수용부에 투입될 수 있다. 도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재료 공급기(3)는 음료 제조기의 대략 중앙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재료 공급기(3)의 리드 모듈(37)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가 드러나도록 한 후에 음료 캡슐(C)을 장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beverage capsule from which the siphonstopper 345 is removed may be put into the capsule receiving unit inside the beverage maker. As shown in FIG. 2 , thematerial feeder 3 may be installed to be positioned approximately in the upper central portion of the beverage maker, and the user rotates thelead module 37 of thematerial feeder 3 upward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capsule receiving units. After the (31) is exposed, the beverage capsule (C) can be mounted.

도 7은 도 6에 개시된 음료 캡슐의 상면이 천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캡슐 수용부(31)로 음료 캡슐(C)이 투입되고 나면 사용자는 재료 공급기(3)의 리드 모듈(37)을 하측으로 회전시켜 재료 공급기(3)의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beverage capsule disclosed in FIG. 6 is perforated. 7, after the beverage capsule (C) is put into thecapsule receiving unit 31, the user rotates thelead module 37 of thematerial feeder 3 downward to seal the inside of thematerial feeder 3 can

리드 모듈(37)을 하측으로 회전되면, 캡슐 수용부(31) 상에는 리드(38)에 설치된 급수바디(41)가 배치될 수 있다. 도면상에는 하나의 캡슐 수용부와 급수 바디를 설명하나, 캡슐 수용부와 급수 바디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그 배치 위치가 상이하나 그 각각의 상세구조가 동일할 수 있다.When thelid module 37 is rotated downward, thewater supply body 41 installed on thelid 38 may be disposed on thecapsule receiving part 31 . Although one capsule accommodating part and the water supply body are described in the drawings, the capsule accommodating part and the water supply body may be formed in plurality, and their arrangement positions may be different, but the detailed structures thereof may be the same.

급수바디(41)의 저면에는 음료 캡슐의 실링 바디(341)를 천공하기 위한 복수의 어퍼 천공부(441)와, 캡슐 컨테이너(31)를 향해 물을 안내하는 급수홀(442)이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upper perforations 441 for perforating the sealingbody 341 of the beverage capsule, and awater supply hole 442 for guiding water toward thecapsule container 31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water supply body 41 . have.

재료 공급기(3)의 리드 모듈(37)을 하측으로 회전시켜 재료 공급기(3)의 내부를 밀폐하게 되면, 음료 캡슐의 실링 바디(341) 상면은 상기 복수의 어퍼 천공부(441)에 의해 천공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의 리드모듈(37)을 닫는 동작만으로 음료 캡슐 캡슐(C)의 실링 바디(341)를 손쉽게 천공 및 절개시킬 수 있다.When thelead module 37 of thematerial feeder 3 is rotated downward to seal the inside of thematerial feeder 3 ,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ingbody 341 of the beverage capsule is perforated by the plurality ofupper perforations 441 . can be Only by closing thelid module 37 of the beverage maker, the sealingbody 341 of the beverage capsule capsule (C) can be easily punctured and cut.

도 8은 도 7에 개시된 음료 캡슐 내부로 물이 유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급수홀(442)은 급수바디(41)의 저면에 소정 크기의 홀(hole)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링 바디(341)가 천공된 후, 급수바디(41) 및 복수의 급수홀(442)를 통해 물이 유입되어 캡슐(C)의 내부로 안내될 수 있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beverage capsule disclosed in FIG. 7 . Referring to FIG. 8 , the plurality ofwater supply holes 44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hole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water supply body 41 , and after the sealingbody 341 is drilled, the water supply body 41 ) and water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plurality ofwater supply holes 442 to be guided to the inside of the capsule (C).

음료 캡슐 내부로 안내된 물은, 실링 바디(341)의 천공된 공간을 통해 음료 캡슐 내부의 음료 재료와 혼합되면서 수위가 점차 높아지게 된다. 음료 캡슐 내부로 안내되는 물은 음료 재료와 혼합되면서 사이폰 튜브(343)와 사이폰 캡(34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면서 수위가 점차 높아지게 되고, 사이폰 캡(340) 외부의 수위가 상기 사이폰 튜브(343) 보다 높아지게 되면, 상기 사이폰 튜브(343)의 상면으로 물이 흘러들어가게 되면서 사이폰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즉, 수위가 사이폰 캡(340)의 높이보다 높아지면 사이폰 튜브 사이의 개구부(347)를 통해 물, 음료 재료 또는 이의 혼합물이 연속적으로 빠져나갈 수 있으며, 이는 캡슐 수용부 출구채널(312)을 통해 추출될 수 있다.The water level guided into the beverage capsule is gradually increased while being mixed with the beverage material inside the beverage capsule through the perforated space of the sealingbody 341 . As the water guided into the beverage capsule is mixed with the beverage material and introduc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siphontube 343 and the siphoncap 340, the water level is gradually increased, and the water level outside the siphoncap 340 is between the above. When it is higher than thephone tube 343 , the siphon phenomenon may occur as water flows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siphontube 343 . That is, when the water level become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iphoncap 340, water, beverage material or a mixture thereof may continuously escape through theopening 347 between the siphon tubes, which is the capsule receivingpart outlet channel 312. can be extracted through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사이폰 효과를 이용하여 혼합물이 추출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캡슐 바디 또는 실링 바디에 음료 재료의 취출을 위한 별도의 홀을 천공하는 경우 보다 신뢰성이 높게 음료 재료를 추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duces the mixture to be extracted using the siphon effect, so that when a separate hole for taking out the beverage material is drilled in the capsule body or the sealing body, the beverage material can be extracted more reliably there is an advantage

도 9는 도 8에 개시된 음료 캡슐 내부에서 물과 액체 재료가 빠져나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에서와 같이 복수의 급수홀(442)로부터 캡슐 바디(342) 내부로 물이 급수되고 물과 음료 재료가 혼합된 혼합물의 수위가 사이폰 튜브의 상면보다 높아지면 사이폰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water and liquid material escaped from the inside of the beverage capsule disclosed in Figure 8. As shown in FIG. 8, when water is supplied into thecapsule body 342 from the plurality ofwater supply holes 442 and the water level of the mixture of water and beverage material is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iphon tube, the siphon action occurs.

사이폰 작용이 일어나면, 캡슐 바디(342) 내부에 차있던 혼합물은 수위가 0이 되는 시점까지 사이폰 캡(340)과 사이폰 튜브(343) 사이의 공간으로 모두 빨려올라가 사이폰 튜브 내부의 개구부(347)를 통해 모두 배출될 수 있다.When the siphon action occurs, the mixture filled in thecapsule body 342 is all sucked up into the space between the siphoncap 340 and the siphontube 343 until the water level becomes 0, and the opening inside the siphon tube (347) can all be discharged.

실시예와 같은 음료 캡슐을 구비한 음료 제조기는 사이폰 캡을 이용한 사이폰 원리를 이용하여 음료 캡슐에 포함된 음료 재료의 혼합물이 음료 캡슐 내부에 잔존하지 않고 모두 배출되어 음료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Beverage maker having a beverage capsule as in the embodiment can be used in beverage production by using the siphon principle using a siphon cap, the mixture of beverage materials contained in the beverage capsule is discharged without remaining in the beverage capsule.

한편, 본 발명에 기재된 메인유로(2), 급수유로(4), 음료 취출유로(61), 가스 취출유로(71), 에어 주입유로(81), 에어 공급유로(154) 등의 유로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호스나 튜브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복수개의 호스나 복수개의 튜브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조절밸브 등의 타 구성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2개의 호스나 튜브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flow paths of themain flow path 2, the water supply flow path 4, the beveragedischarge flow path 61, the gasdischarge flow path 71, the airinjection flow path 81, the airsupply flow path 154, etc.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fluid may be formed by a hose or tube that can pass through, it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hoses or a plurality of tubes that are continuo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wo hoses or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a tub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340: 사이폰 캡 341: 실링 바디
342: 캡슐 바디 343: 사이폰 튜브
344: 지지부 345: 사이폰 마개
340: siphon cap 341: sealing body
342: capsule body 343: siphon tube
344: support 345: siphon stopper

Claims (10)

Translated fromKorean
재료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내부에 사이폰 튜브가 돌출된 캡슐 바디와,
상기 재료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사이폰 튜브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사이폰 캡과,
상기 사이폰 캡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캡슐 바디와 결합되어 상기 재료수용공간을 차폐하는 실링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폰 튜브의 상단과 상기 실링바디의 저면 사이의 거리(L1)는 상기 사이폰 캡의 높이(L2) 보다 짧고,
상기 캡슐 바디에는 상기 사이폰 캡의 하단을 상기 캡슐 바디의 하판과 이격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부가 돌출된 음료 캡슐.
A capsule body having a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and a siphon tube protruding therein;
a siphon cap accommodated in the material receiving space and arranged to surround the siphon tube;
It is formed larger than the siphon cap, and includes a sealing body coupled to the capsule body to shield the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The distance (L1)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siphon tub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ling body is shorter than the height (L2) of the siphon cap,
The capsule body has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siphon cap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late of the capsule body, protruding beverage capsules.
삭제delete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바디의 하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사이폰 튜브의 하단을 막는 사이폰 마개를 더 포함하는 음료 캡슐.
The method of claim 1,
Beverage capsule further comprising a siphon stopper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late of the capsule body to block the lower end of the siphon tub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폰 마개는
상기 사이폰 튜브보다 큰 판체와,
상기 판체에서 돌출되고 상기 사이폰 튜브로 내삽되어 끼움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음료 캡슐.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iphon stopper
A plate body larger than the siphon tube,
Beverage capsule comprising a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plate body and is inserted into the siphon tube to be fit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폰 캡의 상면은 상기 실링 바디의 저면을 향하는 음료 캡슐.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surface of the siphon cap is a beverage capsule facing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ing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바디는 상기 사이폰 캡의 상면을 차폐하는 제1 차폐부와,
상기 캡슐 바디에 결합되는 둘레부와,
상기 제1 차폐부와 상기 둘레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사이폰 캡과 캡슐 바디의 사이의 틈을 차폐하는 제2차폐부를 포함하는 음료 캡슐.
The method of claim 1,
The sealing body includes a first shielding portion for shiel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iphon cap,
a peripheral portion coupled to the capsule body;
A beverage capsule comprising a second shield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shielding portion and the peripheral portion to shield the gap between the siphon cap and the capsule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바디의 하면과 상기 사이폰 캡의 상면 각각은 원형이고,
상기 실링 바디의 직경은 상기 사이폰 캡의 직경보다 큰 음료 캡슐.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ing bod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iphon cap is circular,
The diameter of the sealing body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iphon cap beverage capsule.
음료 재료가 수용된 음료 캡슐과;
상기 음료 캡슐이 수용되는 음료 캡슐 수용공간이 형성된 재료 공급기를 포함하고,
상기 음료 캡슐은
재료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내부에 사이폰 튜브가 돌출된 캡슐 바디와,
상기 재료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사이폰 튜브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사이폰 캡과,
상기 사이폰 캡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캡슐 바디와 결합되어 상기 재료수용공간을 차폐하는 실링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폰 튜브의 상단과 상기 실링바디의 저면 사이의 거리(L1)는 상기 사이폰 캡의 높이(L2) 보다 짧고,
상기 캡슐 바디에는 상기 사이폰 캡의 하단을 상기 캡슐 바디의 하판과 이격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부가 돌출된 음료 캡슐을 갖는 음료 제조기.
a beverage capsule containing beverage ingredients;
It includes a material feeder having a beverage capsule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beverage capsule is accommodated,
The beverage capsules
A capsule body having a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and a siphon tube protruding therein;
a siphon cap accommodated in the material receiving space and arranged to surround the siphon tube;
It is formed larger than the siphon cap, and includes a sealing body coupled to the capsule body to shield the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The distance (L1)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siphon tub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ling body is shorter than the height (L2) of the siphon cap,
The capsule body has a beverage maker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protruding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siphon cap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late of the capsule body.
삭제delete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바디의 하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사이폰 튜브의 하단을 막는 사이폰 마개를 더 포함하는 음료 캡슐을 갖는 음료 제조기.
9. The method of claim 8,
Beverage maker having a beverage capsule further comprising a siphon stopper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late of the capsule body to block the lower end of the siphon tube.
KR1020170146918A2017-11-062017-11-06Beverage makerActiveKR1024572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70146918AKR102457236B1 (en)2017-11-062017-11-06Beverage m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70146918AKR102457236B1 (en)2017-11-062017-11-06Beverage ma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90051372A KR20190051372A (en)2019-05-15
KR102457236B1true KR102457236B1 (en)2022-10-21

Family

ID=66579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70146918AActiveKR102457236B1 (en)2017-11-062017-11-06Beverage maker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245723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CN113215778B (en)*2020-01-212024-03-15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Clothes treating agent box and washing mach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WO1999065373A1 (en)*1998-06-171999-12-23Seb S.A.Filter-holder provided with a beverage spill-proof device, and coffee maker equipped therewith
US20050155494A1 (en)2002-06-122005-07-21Sara Lee/De N.V.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coffee with a fine-bubble froth layer, in particular cappuccino
KR101229897B1 (en)*2011-04-082013-03-11주식회사 다인씨앤에프Manufacturing method of capsule
WO2017137460A1 (en)*2016-02-092017-08-17Nestec S.A.A beverage capsu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DE102013215274A1 (en)*2013-02-202014-08-21K-Fee System Gmbh Portion capsule and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WO1999065373A1 (en)*1998-06-171999-12-23Seb S.A.Filter-holder provided with a beverage spill-proof device, and coffee maker equipped therewith
US20050155494A1 (en)2002-06-122005-07-21Sara Lee/De N.V.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coffee with a fine-bubble froth layer, in particular cappuccino
KR101229897B1 (en)*2011-04-082013-03-11주식회사 다인씨앤에프Manufacturing method of capsule
WO2017137460A1 (en)*2016-02-092017-08-17Nestec S.A.A beverage caps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90051372A (en)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102108427B1 (en)Beer Maker
KR102282446B1 (en)Baverage maker
KR102434270B1 (en)Baverage maker and beverage maker cleaning system having the same
KR102380876B1 (en)Beverage maker
KR102463321B1 (en)Baverage maker
KR102457236B1 (en)Beverage maker
KR102734821B1 (en)Fermentation container and baverage maker having the same
KR102481824B1 (en)Beverage maker
KR102259341B1 (en)Beverage maker
KR102223917B1 (en)Baverage making pack and baverage maker having the same
KR102339174B1 (en)Beverage mak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2307783B1 (en)Beer mak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2463325B1 (en)Beverage maker
KR102658905B1 (en)Baverage maker
KR102481833B1 (en)Beverage maker
KR20220006882A (en)Baverage maker
KR102481834B1 (en)Beverage maker
KR102223915B1 (en)Baverage maker
KR102397732B1 (en)Beverage maker and method for making beverage
KR102397153B1 (en)Beverage mak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2288718B1 (en)Baverage maker
KR102481851B1 (en)Baverage maker
KR102533780B1 (en)Baverage maker
KR102396664B1 (en)Baverage maker
KR102200598B1 (en)Beverage maker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R17-X000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7-oth-X000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1-asn-PN2301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D13-X000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D14-X000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E13-X000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