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전자 펜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컨텐츠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for transmitting content data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of contents of an electronic device using an electronic pen.
음성 및 영상 통화기능, 정보 검색, 컨텐츠 제공 및 데이터 저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는 현대인에게 필수품이 되었다. 이에 따라, 이러한 휴대용 전자 장치와 더불어 부수적인 주변 전자 장치가 새롭게 도입되었다. 예를 들면, 휴대용 전자 장치를 쉽게 제어하기 위한 전자 펜이 휴대용 전자 장치와 함께 제공되어 왔다.Portable electronic devices that provide various func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call functions, information retrieval, content provision and data storage have become a necessity for modern people. Accordingly, in addition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 additional peripheral electronic device has been newly introduced. For example, an electronic pen for easily controll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s been provided wit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한편, 이러한 휴대용 전자 장치 간에 사진, 동영상, 문서 및 음악 등의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사용자 전자 장치와 공유 대상 전자 장치 간의 연결을 위해 다수의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 전자 장치와 공유 대상 전자 장치 간의 통신 연결을 위한 NFC, 블루투스 등의 통신 프로토콜 기능을 온 하는 동작, 상호 간의 연결을 위한 동작, 공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선택하는 동작, 데이터에 대한 전송을 시작하는 동작 등을 필요로 한다.Meanwhile, in order to share data such as photos, videos, documents, and music between thes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 user must perform a number of operations to connect the user electronic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to be shared. For example, an operation of turning on a communication protocol function such as NFC or Bluetooth for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user electronic device and a shared target electronic device, an operation for mutual connection, an operation for selecting data to be shared, an operation for data transmission It requires an action to start.
이에 따라, 종래에는 전자 펜을 통해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시도가 있어왔다. 즉, 휴대용 전자 장치와 전자 펜 간의 통신 링크를 연결하여 전자 펜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전자 펜에서 외부 전자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컨텐츠 데이터의 공유를 시도하였다.Accordingly, there have been attempts to share content through an electronic pen in the prior art. That is, an attempt was made to share content data by connecting a communication link betwe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electronic pen to transmit data to the electronic pen, and to transmit data from the electronic pen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다만, 종래의 공유 방법으로는 전자 펜이 수용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어서, 편리한 데이터 공유가 제한되어 왔다. 따라서, 전자 펜을 통한 편리한 데이터 공유 인터페이스를 유지하면서, 데이터의 크기에 제한되지 않는 공유 방식이 요청된다.However, since the size of data that the electronic pen can accommodate is limited in the conventional sharing method, convenient data sharing has been limited. Accordingly, a sharing method that is not limited by the size of data while maintaining a convenient data sharing interface through the electronic pen is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컨텐츠 데이터를 공유하는 인터페이스는 유지하면서, 데이터의 크기에 제한되지 않는 데이터 전송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transmissio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at are not limited to the size of data while maintaining an interface for sharing content data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한 데이터 공유 방법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 중 하나가 전자 펜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데이터의 사이즈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사이즈가 상기 전자 펜의 저장 용량 이하이면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전자 펜으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의 사이즈가 상기 저장 용량을 초과하면 상기 데이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액세스 정보를 상기 전자 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method of sharing data through a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isplaying content, and when one of the objects included in the content is selected by an electronic pen, checking the size of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bject Step, if the size of the data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torage capacity of the electronic pen,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electronic pen, and if the size of the data exceeds the storage capacity,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data and access information for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electronic pen.
또한, 상기 데이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액세스 정보를 포함하는 토큰을 상기 전자 펜으로부터 전달받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액세스하면, 상기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xternal display device that has received the token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data and the access information for the display device from the electronic pen accesses the display device,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external display device may include more.
또한, 상기 데이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액세스 정보를 포함하는 토큰을 상기 전자 펜으로부터 전달받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액세스하면, 상기 수신된 토큰과 상기 전자 펜으로 제공한 식별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액세스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토큰과 상기 전자 펜으로 제공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액세스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 external display device that has received a toke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data and access information for the display device from the electronic pen accesses the display device, the received token and the identification provided by the electronic pen determining whether the information and the access information on the display device match; if the received token match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with the electronic pen and the access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device,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isplay device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transmitting.
또한, 상기 데이터의 사이즈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펜에 구비된 홀드 버튼이 눌려진 상태로 상기 전자 펜이 하나의 오브젝트에 프레스되면, 프레스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데이터의 사이즈를 검출하는 것일 수 있다.Also, the detecting of the size of the data may include detecting the size of data corresponding to the pressed object when the electronic pen is pressed to one object while a hold button provided in the electronic pen is pressed.
또한,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데이터의 사이즈를 바탕으로 상기 전자 펜과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a communication method with the electronic pen based on a size of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bject.
또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의 사이즈가 기설정된 제1 값 이하이면, 상기 전자 펜과 NFC 방식으로 통신하고, 상기 데이터의 사이즈가 상기 제1 값을 초과하고 제2 값 이하이면 상기 전자 펜과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하며, 상기 데이터의 사이즈가 상기 제2 값을 초과하면, 상기 전자 펜과 와이파이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ransmitting, if the size of the data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first value, communicating with the electronic pen in an NFC method, and if the size of the data exceeds the first value and less than or equal to a second value, the electronic The pen may communicate with the pen in a Bluetooth manner, and when the size of the data exceeds the second value, the electronic pen may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pen in a Wi-Fi manner.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통신부, 전자 펜의 저장 용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 중에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전자 펜의 저장 용량 이하의 데이터 사이즈를 가지는 오브젝트가 전자 펜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오브젝트의 데이터를 상기 전자 펜으로 전송하고, 상기 저장 용량을 초과하는 데이터 사이즈를 가지는 오브젝트가 상기 전자 펜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데이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액세스 정보를 상기 전자 펜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device for achieving this object includes a display, a communication unit, a memory and a processor for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storage capacity of the electronic pen, wherein the processor controls the display to display the content, When an object having a data size equal to or less than the storage capacity of the electronic pen stored in the memory among the included objects is selected by the electronic pen, data of the object is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pen, and the data size exceeding the storage capacity is determined When an object having an object is selected by the electronic pen,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controlled to transm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data and access information on the display device to the electronic pen.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액세스 정보를 포함하는 토큰을 상기 전자 펜으로부터 전달받은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 액세스하면, 상기 데이터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data to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when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at has received the toke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data and access information for the display device from the electronic pen accesses the electronic devic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액세스 정보를 포함하는 토큰을 상기 전자 펜으로부터 전달받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액세스하면, 상기 수신된 토큰과 상기 전자 펜으로 제공한 식별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액세스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신된 토큰과 상기 전자 펜으로 제공한 식별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액세스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xternal display device that has received a toke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data and access information for the display device from the electronic pen accesses the display device,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received token and the electronic p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user interface coincides with the access information for the display device, and when the received token match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with the electronic pen and the access information for the display device, the external display device to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data.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펜에 구비된 홀드 버튼이 눌려진 상태로 상기 전자 펜이 하나의 오브젝트에 프레스되면, 프레스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데이터의 사이즈를 검출할 수 있다.Also, when the electronic pen is pressed to one object while the hold button provided in the electronic pen is pressed, the processor may detect a size of data corresponding to the pressed object.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데이터의 사이즈를 바탕으로 상기 전자 펜과의 통신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Also, the processor may determine a communication method with the electronic pen based on a size of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bject.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의 사이즈가 기설정된 제1 값 이하이면, 상기 전자 펜과 NFC 방식으로 통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의 사이즈가 기설정된 제1 값을 초과하고, 제2 값 이하이면 상기 전자 펜과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의 사이즈가 기설정된 제2 값을 초과하면, 상기 전자 펜과 와이파이 방식으로 통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size of the data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first value, the processor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pen in an NFC method, and the size of the data exceeds the preset first value, and a second If the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value,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controlled to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pen in a Bluetooth method, and if the size of the data exceeds a second preset value,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controlled to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pen in a Wi-Fi method.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와 함께 제공될 수 있는 전자 펜은, 메모리, 통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펜이 터치된 제1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전송되면 상기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전자 펜이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 되면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전자 펜이 터치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액세스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액세스 정보를 이용하여 토큰을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며, 상기 전자 펜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 되면 상기 토큰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electronic pen that may be provided with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memory, a communication unit, and a processor, wherein the processor stores the data in the memory when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display device touched by the electronic pen, and ,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data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when the electronic pen is touched on the second display device,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object and the first information from the first display device where the electronic pen is touched When access information for the display device is transmitted, a token is generated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access information and stored in the memory, and when the electronic pen touches the second display device, the token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또한, 전자 펜을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펜이 터치된 제1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전송되면 상기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자 펜이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되면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펜이 터치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액세스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액세스 정보를 이용하여 토큰을 생성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펜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되면 상기 토큰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ata sharing method using an electronic pen, when data is transmitted from a first display device touched by the electronic pen, storing the data in a memory; and transmitting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wherein the storing in the memory includes transmi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an object and access information on the first display device from the first display device touched by the electronic pen. When the token is generated and stored in a memory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access information, the transmitting includes transmitting the token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when the electronic pen touches the second display device. can
본 발명은 전자 펜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크기에 제한되지 않고 데이터를 외부 전자 장치와 쉽게 공유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공유하기 위한 데이터의 크기를 기준으로 통신 연결 프로토콜을 달리하여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user interface that can easily share data with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without being limited by the size of the data by using the electronic pen. In addition, data can be shared efficiently by different communication connection protocols based on the size of data to be sha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필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를 위한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전자 펜의 통신 연결을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자펜으로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자 펜을 통해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에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자 펜을 통해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에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시퀀스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자 펜을 통해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 전송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자 펜을 통해 데이터의 일부를 외부 디스플레이 전송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펜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펜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전자 펜이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sharing system through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essential components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I for data sh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for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a display device and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at the display device transmits data related information to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qu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at the display device transmits data to an external display through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other sequ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at the display device transmits data to an external display through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the display device transmits data to an external display through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transmitting a portion of data through an electronic pen to an external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ternal shape of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constituting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display device and an electronic pen perform communication connec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disclosur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following examples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ore fully and complete the present disclosure, and to fully conve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Furthermore, various element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are schematically drawn. Accordingl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by the relative size or spacing dra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펜을 이용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data sharing system using a display device and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휴대폰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태블릿 PC, 랩톱 PC, PC, TV, MP3 플레이어, 게임기, 키오스크, 전자 액자, 테이블 디스플레이, 모니터, 전자 칠판, 스마트 냉장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밖에도,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터치 스크린 또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모든 유형의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라는 명칭으로 기재하였지만, 다르게는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명칭으로 기재할 수도 있다.Although the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10)에 손가락 또는 전자 펜(100)을 터치하거나 접근시켜,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사용할 수 있다. 전자 펜(100)은 일반적인 펜 형태일 수 있다. 전자 펜(100)은 다르게는 스타일러스 펜, 터치 펜, S-펜 등과 같은 다양한 명칭으로 지칭될 수도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자 펜(100)으로 기재한다.The user may use the
펜 형상으로 구현된 전자 펜(10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마련된 홈(미도시)에 삽입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전자 펜(100)을 사용하고자 할 때, 홈에서 전자 펜(100)을 분리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자 펜(100)이 홈에서 빠지게 되면, 전자 펜(100)을 사용하기에 적합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기능들에 대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거나, 그 어플리케이션 또는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도 있다.The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210)가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컨텐츠 오브젝트(101)를 전자 펜(100)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전자 펜(100)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101)의 컨텐츠 데이터의 사이즈가 기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자 펜(100)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전자 펜(100)을 이용하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디스플레이(310)를 터치하면, 전자 펜(10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전송 받은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펜(100)으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 받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오브젝트(101)를 디스플레이(310)에 표시할 수 있다.The user may select the
한편, 사용자가 전자 펜(100)을 이용하여 선택한 오브젝트(101)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데이터 사이즈가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자 펜(100)으로 데이터에 대한 식별 정보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액세스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자 펜(10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전송 받은 데이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디스플레이(200)로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를 바탕으로 토큰(token)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전자 펜(100)을 이용하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디스플레이(310)를 터치하면, 전자 펜(100)은 전자 펜(100)이 생성한 토큰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펜(100)으로부터 토큰을 전송 받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토큰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해당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토큰에 담긴 정보와 전자 펜(100)으로 전송한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해당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ata size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도 2를 참조하면, 상술한 것과 같이 데이터 사이즈를 바탕으로 데이터 공유 방식을 다르게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210), 통신부(220), 메모리(230) 및 프로세서(2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as described above, the
디스플레이(21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저장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10)는 전자 펜(100)을 통해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210)는 전자 펜(100)을 통해 컨텐츠의 일부가 포함되는 폐곡선을 드로우(draw) 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다.The
사용자는 전자 펜(100) 또는 손가락 등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210)를 터치 또는 호버링하여 인터렉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호버링은 디스플레이(210)에 입력 수단을 일정 거리 이내에 접근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210) 상에는 전자 펜(100)을 인지하기 위한 복수의 전극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전극들은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1 전극 그룹(미도시)은 제1 방향(세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극(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은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 전극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복수의 제1 전극은 전자 펜(10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송신 신호(Tx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용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전극 그룹(미도시)은 제2 방향(가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전극(미도시)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들 역시 투명 전극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전극은 전자 펜(100)에서 출력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용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user may perform an interaction by touching or hovering the
한편, 디스플레이(210)는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10)는 3인치, 4인치, 4.65인치, 5인치, 6.5인치, 8.4인치, 32인치, 45인치 등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210)는 복수의 픽셀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픽셀들의 가로 개수 X 세로 개수는 해상도(resolution)로 표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디스플레이(210)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또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 영역 및, 측면 영역 및 후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도 있다.The
디스플레이(210)는 레이어 구조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기능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위치, 터치된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실질적인 터치(real-touch)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The
통신부(220)는 전자 펜(10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전자 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220)는 전자 펜(10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식별 정보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액세스하기 위한 정보를 전자 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의 식별 정보는 데이터에 대한 타임스탬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타임스탬프 정보는 데이터가 어느 위치에 저장되어 존재하는지를 증명하기 위해 특정 위치에 표시하는 시간 단위 매개 변수이다. 이때, 데이터의 식별 정보는 데이터에 관한 구조화된 속성 정보인 메타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액세스하기 위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접근하기 위한 권한을 가진 MAC 주소 정보, BT 주소 정보, ID정보, 네트워크 ID, DSLAM 위치, ATM 채널 ID 정보, WLAN 액세스 포인트, BRAS ID, 이동 네트워크 코드, SIP 프록시 시그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또한, 통신부(220)는 전자 펜(10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사이즈를 바탕으로 전자 펜(100)과 통신 연결을 위한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통신 프로토콜은 NFC, 블루투스, WIFI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Also, the
한편, 통신부(220)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신호는 전자 펜(100)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식별 정보 및 액세스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한 토큰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통신부(220)는 전자 펜(10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조건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송신 요청 정보(예를 들면, 전자 펜(100)이 생성한 토큰)에 담긴 정보와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전자 펜(100)으로 전송한 정보가 일치하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통신부(22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일 수 있다. 통신부(220)는 와이파이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 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통신부(220)를 이용하여 전자 펜(100) 또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포함하는 각종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특히,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각각은 WiFi 방식, Bluetooth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칩은 IEEE, 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In particular, each of the Wi-Fi chip and the Bluetooth chip may perform communication using a WiFi method or a Bluetooth method. In the case of using a Wi-Fi chip or a Bluetooth chip, various types of connection information such as an SSID and a session key are first transmitted/received, and then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received after communication connection using this.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ip refers to a chip that performs communication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IEEE, Zigbee, 3rd Generation (3G),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and Long Term Evolution (LTE). The NFC chip refers to a chip operating in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13.56 MHz band among various RF-ID frequency bands such as 135 kHz, 13.56 MHz, 433 MHz, 860 to 960 MHz, and 2.45 GHz.
메모리(230)는 프로세서(24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디스플레이 장치(2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230)는 전자 펜(100)의 저장 용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30)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공유하기 위한 데이터 및 데이터에 대한 식별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액세스 하기 위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청을 받으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대한 액세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메모리(2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23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24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The
메모리(2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프로세서(240)에 의해 액세스 되며, 프로세서(24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메모리라는 용어는 메모리(230), 프로세서(240) 내 ROM, RAM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30)는 음악 컨텐츠의 다양한 데이터를 임시저장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The
메모리(230)는 데이터 저장 용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에 저장되고,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확장 기능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의 경우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되고,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의 경우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등), USB 포트에 연결 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어,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프로세서(2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메모리(2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40)는 사용자가 전자 펜(100)으로 디스플레이(210) 상의 컨텐츠 오브젝트를 선택하면, 선택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사이즈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40)는 사용자가 전자 펜(100)으로 디스플레이(210) 상의 컨텐츠 오브젝트의 일부 영역을 포함하는 폐곡선을 그리면, 일부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사이즈를 확인할 수 있다.The
이때, 프로세서(240)는 데이터의 사이즈가 기설정된 제1 값 이하이면 전자 펜(100)과 NFC 프로토콜로 연결하고, 데이터의 사이즈가 기설정된 제1 값을 초과하며 기설정된 제2 값 이하이면 전자 펜(100)과 블루투스 프로토콜로 연결하고, 데이터의 사이즈가 기설정된 제2 값을 초과하면 전자 펜(100)과 와이파이 프로토콜로 연결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제1 값은 3MB일 수 있고, 기설정된 제2값은 40MB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한편, 프로세서(240)는 데이터의 사이즈가 메모리(230)에 저장된 전자 펜(100)의 데이터 저장 용량 이하라고 판단하면, 선택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전자 펜(100)으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프로세서(240)는 데이터의 사이즈가 메모리(230)에 저장된 전자 펜(100)의 데이터 저장 용량을 초과한다고 판단하면, 선택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식별 정보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액세스하기 위한 정보를 전자 펜(100)으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의 식별 정보는 데이터에 대한 타임스탬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타임스탬프 정보는 데이터가 어느 위치에 저장되어 존재하는지를 증명하기 위해 특정 위치에 표시하는 시간 단위 매개 변수이다. 데이터의 식별 정보는 데이터에 관한 구조화된 속성 정보인 메타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액세스하기 위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접근하기 위한 권한을 가진 MAC 주소 정보, BT 주소 정보, ID정보, 네트워크 ID, DSLAM 위치, ATM 채널 ID 정보, WLAN 액세스 포인트, BRAS ID, 이동 네트워크 코드, SIP 프록시 시그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f the
또한, 통신부(220)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토큰을 수신한 경우, 프로세서(240)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토큰에 포함된 정보와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전자 펜(100)으로 전송한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확인한 결과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프로세서(240)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기 위해 통신 연결을 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40)는 통신부(220)를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연결된 경우,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또한, 프로세서(240)는 CPU, 램(RAM), 롬(ROM), 시스템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롬은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가 저장되는 구성이고, CPU는 롬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메모리에 저장된 운영체제를 램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램에 복사하고,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프로세서(240)가 하나의 CPU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 시에는 복수의 CPU(또는 DSP, So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Also, the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9를 통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공유를 원하는 데이터를 공유하는 실시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a user shares data desired to be shared from the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가 공유하려는 데이터를 손가락 또는 전자 펜(100)과 같은 입력 수단으로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공유하기 위한 수단을 선택하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은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수단을 선택하기 위한 UI(301)를 제공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The
사용자가 UI(301) 상에 표시된 Bluetooth 아이콘(302)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Bluetooth 연결을 위한 대상을 탐색하고 Bluetooth를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UI(301) 상에 표시된 mail 아이콘(303)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mail을 통해서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user selects the
이때, 사용자가 UI(301) 상에 표시된 S-PEN 아이콘(304)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자 펜(100)을 통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이때 전자 펜(100)을 통해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자 펜(100)과 통신부(22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selects the S-
구체적으로 도 4 내지 도 7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데이터를 공유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자 펜(100)으로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S410), 선택된 컨텐츠의 데이터 사이즈가 제1 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20).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데이터 사이즈가 제1 값 이하인 경우, 통신부(220)를 통해 전자 펜(100)과 NFC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 연결할 수 있다(S430). 한편, 데이터 사이즈가 제1 값보다 크다고 판단된 경우(S420-N),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컨텐츠 데이터 값이 제2 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40). 데이터의 사이즈가 제2 값 이하라고 판단된 경우(S440-Y),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자 펜(100)과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통해 전자 펜(100)과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S450). 이때, 데이터의 사이즈가 제2 값을 초과한다고 판단된 경우(S440-N),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와이파이 프로토콜을 통해 전자 펜(100)과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S460).In detail, a process of sharing data from the
이때, 제1 값은 3MB, 제2 값은 40MB, 제3 값은 300MB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데이터 사이즈에 따라 가장 효율적으로 전송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이 선택되도록 기설정된 값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루투스는 2.4GHz의 주파수를 가지고 휴대용 전자 기기 간의 무선 연결(WPAN)으로서, 일반적으로 25Mbps(Mega bit per second)의 속도로 전송할 수 있으며, 대역폭이 좁아서 손실 압축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데이터의 사이즈가 커지게 되어 전자 펜(100)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간이 1초 이상이 소요되는 경우, 민감한 사용자는 불편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2 값을 25MB 이하로 설정함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25MB를 초과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와이파이를 통해 전자 펜(100)과 통신 연결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value may be 3 MB, the second value may be 40 MB, and the third value may be 300 MB,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t value may be adjusted so that a communication protocol that can be transmitted most efficiently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data size. there is. Specifically, Bluetooth has a frequency of 2.4 GHz and is a wireless connection (WPAN) betwe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can generally transmit at a speed of 25 Mbps (mega bits per second), and requires lossy compression due to a narrow bandwidth. Accordingly, when the size of data increases and it takes more than 1 second to transmit data to the
상술한 방식으로 전자 펜(100)과 통신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컨텐츠의 데이터가 사이즈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지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펜(100)으로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S510),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 4에서 설명한 방법을 통해 전자 펜(100)과 통신 연결을 할 수 있다(S520).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컨텐츠 데이터의 사이즈가 전자 펜(100)의 저장 용량을 초과하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컨텐츠 데이터의 사이즈가 전자 펜(100)의 저장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S530-Y),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자 펜(1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액세스 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 및 데이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540). 이때, 데이터의 식별 정보는 데이터에 대한 타임스탬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타임스탬프 정보는 데이터가 어느 위치에 저장되어 존재하는지를 증명하기 위해 특정 위치에 표시하는 시간 단위 매개 변수이다. 이때, 데이터의 식별 정보는 데이터에 관한 구조화된 속성 정보인 메타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액세스하기 위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접근하기 위한 권한을 가진 MAC 주소 정보, BT 주소 정보, ID정보, 네트워크 ID, DSLAM 위치, ATM 채널 ID 정보, WLAN 액세스 포인트, BRAS ID, 이동 네트워크 코드, SIP 프록시 시그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5 , upon detect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content to be shared with the electronic pen 100 ( S510 ), the
한편, 컨텐츠 데이터의 사이즈가 전자 펜(100)의 저장 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S530-N),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자 펜(100)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 연결된 전자 펜(10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데이터 그 자체를 수신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size of the content data does not exceed the storage capacity of the electronic pen 100 ( S530 -N), the
도 6 및 도 7은 상술한 데이터 공유 과정을 도시한 스퀀스도이다.6 and 7 are sequence diagrams illustrating the data sharing process described above.
구체적으로 도 6은 전자 펜(100)으로 선택한 데이터의 사이즈가 전자 펜(100)의 저장 용량 이하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포함하는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공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전자 펜(10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210)에 표시된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S600).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데이터 사이즈를 판단하고(S610), 판단한 결과에 따라 적합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자 펜(100)과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S620).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S610 단계에서 데이터 사이즈가 전자 펜(100)의 저장 용량보다 작다고 판단한 경우, 데이터를 전자 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630).Specifically, FIG. 6 illustrates a process of sharing data included in the
이후, 전자 펜(100)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와의 인터렉션을 통해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S640).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와의 인터렉션은 전자 펜(100)과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인터렉션과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펜(100)으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디스플레이(310)를 터치하거나, 호버링 하는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로부터 데이터의 전송 요청을 받으면(S650), 전자 펜(1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Thereafter, the
한편, 본 개시의 데이터 공유 과정은 도 6에서 설명한 과정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를 따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서는 컨텐츠를 선택하고(S600),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전자 펜(100)의 통신을 연결(S620)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전자 펜(100)의 통신 연결을 먼저 하고 전자 펜(100)으로 컨텐츠를 선택하는 순서로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data sharing process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proces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and may follow various orders. For example,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in FIG. 6 that content is selected (S600)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한편, 도 7은 전자 펜(100)으로 선택한 데이터의 사이즈가 전자 펜(100)의 저장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포함하는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공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전자 펜(10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210)에 표시된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S700).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데이터 사이즈를 판단하고(S710), 판단한 결과에 따라 적합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자 펜(100)과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S720).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S710 단계에서 데이터 사이즈가 전자 펜(100)의 저장 용량을 초과한다고 판단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 액세스 정보 및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전자 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730).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해당 데이터를 복사하여 저장하고, 데이터에 대한 식별 정보에 복사된 데이터의 위치 정보, 복사된 시간 정보를 맵핑하여 전자 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FIG. 7 illustrates a process of sharing data included in the
이때, 전자 펜(10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전송 받은 디스플레이 장치 액세스 정보 및 데이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S740). 이때, 데이터의 식별 정보는 메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액세스하기 위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접근하기 위한 권한을 가진 ID정보, 네트워크 ID, DSLAM 위치, ATM 채널 ID 정보, WLAN 액세스 포인트, BRAS ID, 이동 네트워크 코드, SIP 프록시 시그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토큰은 송수신 가능한 데이터 패킷 중 정보 비트 앞에 포함된 제어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토큰은 전송할 컨텐츠에 대한 Length 정보, 블루투스 주소 정보, MAC 주소 정보, TIME STAMP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이후, 전자 펜(100)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인터렉션을 통해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S750).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와의 연결이 수립되면, 전자 펜(100)은 생성한 토큰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S760). 토큰을 전송 받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토큰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한 액세스 정보를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데이터 전송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770). 이때, 데이터 전송 요청 신호에는 토큰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한 액세스 정보, 데이터 식별 정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네트워크 ID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reafter, the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전자 펜(100)으로 전송한 데이터 식별 정보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로부터 전송 받은 전송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8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전자 펜(100)으로 전송한 데이터 식별 정보와, 토큰에 포함된 데이터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토큰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한 액세스 정보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네트워크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The
판단 결과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해당 데이터를 직접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전송 요청 신호에 포함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네트워크 정보를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WIFI 통신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직접 전송하는 경우는 데이터 사이즈가 큰 경우에 해당하므로, WIFI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고,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토큰 패싱 공유 방식은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제어방식의 하나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패킷 중에 정보비트 앞에 토큰이라고 불리는 제어 비트를 송출하고 이 토큰을 이용하여 송신권을 확보하여 가는 방식이다. 즉, 어떤 시점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토큰을 확보하고 있는 장치로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여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간 컨텐츠를 공유하게 되더라도 데이터의 충돌은 결코 일어나지 않는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at the information matches, the
한편, 본 개시의 데이터 공유 과정은 도 7에서 설명한 과정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를 따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서는 컨텐츠를 선택하고(S700),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전자 펜(100)의 통신을 연결(S720)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전자 펜(100)의 통신 연결을 먼저 하고 전자 펜(100)으로 컨텐츠를 선택하는 순서로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data sharing process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proces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and may follow various orders. For example,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in FIG. 7 that content is selected (S700)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도 8 내지 도 9는 상술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전자 펜(100)을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8 to 9 are diagrams exemplarily illustrating data sharing from the
도 8(a)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전자 펜(10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210)에 표시된 컨텐츠에 대한 오브젝트(801)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전자 펜(100)의 사용자 조작부(110)를 조작하면서 전자 펜(1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오브젝트를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선택된 컨텐츠의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 도 3과 같은 UI를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A , the user may select an
이후, 도 4에서 설명한 방식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자 펜(100)과 통신 연결을 한 후, 도 5에서 설명한 방식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대응하는 정보를 전자 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도 6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방식을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포함된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고, 도 8(b)와 같이 공유 받은 데이터에 대응하는 컨텐츠 오브젝트(801)를 외부 디스플레이(300)의 디스플레이(310)에 표시할 수 있다.Thereafter, the
한편, 사용자는 도 9와 같이 컨텐츠 오브젝트(901)에 포함된 일부 오브젝트(902)만을 선택하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공유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 9(a)와 같이 전자 펜(100)을 이용하여 컨텐츠 오브젝트(901)의 일부 오브젝트(902)만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전자 펜(100)의 사용자 조작부(110)를 조작하면서 전자 펜(1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오브젝트 중 일부를 포함하도록 터치 지점을 이동시켜 폐곡선을 그리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컨텐츠 오브젝트 중 일부에 대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 도 3과 같은 UI를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9 , the user may select only some
이후, 도 4에서 설명한 방식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자 펜(100)과 통신 연결을 한 후, 도 5에서 설명한 방식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대응하는 정보를 전자 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도 6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방식을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포함된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고, 도 9(b)와 같이 공유 받은 데이터에 대응하는 컨텐츠 오브젝트(901)의 일부 오브젝트(902)만을 외부 디스플레이(300)의 디스플레이(310)에 표시할 수 있다.Thereafter, the
본 설명에서는 이미지 컨텐츠 또는 이미지 컨텐츠에 포함된 일부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공유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텍스트 컨텐츠 또는 텍스트 컨텐츠에 포함된 일부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공유할 수도 있고, 동영상 컨텐츠 또는 동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일부 정지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공유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description, sharing of data for image content or a partial region included in the image content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Specifically, data for text content or a partial region included in the text content may be shared, and data for moving image content or a partial still image included in the moving image content may be shared.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자 펜(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이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 펜(100)을 디스플레이(210)에 터치시키고 터치 지점을 이동시키고 있는 경우라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그 이동 궤적에 따라 라인을 디스플레이한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조작 상태에 따라 전자 펜(100)의 기능을 선 긋기 기능, 지우개 기능, 자르기 기능 등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조작부(110)를 조작하면서 전자 펜(1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오브젝트를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선택된 컨텐츠의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 도 3과 같은 UI를 제공할 수도 있고, 전자 펜(100)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조작부(110)를 조작하면서 전자 펜(1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오브젝트 중 일부를 포함하도록 터치 지점을 이동시켜 폐곡선을 그리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컨텐츠 오브젝트 중 일부에 대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도 있고, 컨텐츠 일부에 대한 데이터를 전자 펜(10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a content object displayed on the
이러한 전자 펜(100)은 출고될 때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할 수도 있고, 별도로 판매되어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도록 연동될 수도 있다.The
이러한 전자 펜(10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삽입 홈(미도시)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전자 펜(100)의 길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크기(넓이, 길이, 두께 등)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펜(100)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홈 안에 삽입하여 보관하고, 필요할 때만 전자 펜(100)을 홈으로부터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다. 전자 펜(100)에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사용자조작부(100)가 마련된다.The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펜(10)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사용자가 쥐기 편하도록 얇고 길게 형성된 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펜(100)은 다르게는 입력 장치, 펜 형 입력 장치, 스타일러스 펜, S-펜 등과 같이 다양한 용어로 지칭할 수 있지만, 반드시 펜 형상으로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뭉툭하거나, 평평한 형상의 보디를 갖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electronic pen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may be implemented in a thin and long pen shape for a user to easily grip. Accordingly, the
또한, 전자 펜(100)은 도 10에서와같이, 외부 구성으로 케이스(101), 도전성 팁(102) 및 사용자 조작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 the
케이스(101)는 전자 펜(100)의 외관을 이루는 보디 부(main body)를 의미한다. 케이스(10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수개의 파트로 구분되어 서로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사용자 조작부(110)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는 부분이다. 사용자 조작부(110)의 가동 부재는 케이스(101) 상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위치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버튼 방식, 케이스(101) 상에서 회전 가능한 휠 버튼 방식, 사용자의 푸시(push)에 의해 케이스(101) 내측 방향으로 밀려 들어가는 푸쉬 버튼 방식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한편, 전자 펜(100)은 ECR(Electronic CurrentResonanse) 방식, EMR(Electro Magnetic Resonance) 방식, 액티브 방식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ECR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전자 펜(100)은 케이스(101)의 일 단에 배치되는 도전성 팁(102)을 포함한다. EMR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전자 펜(100)은 외부의 자기장 신호에 의해 전기를 유도하는 코일을 포함한다. 액티브 방식에서는 전자 펜(100)은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한편, 도 10은 ECR 방식의 입력 장치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므로, 도전성 팁(102)도 포함되나,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경우에는 도전성 팁(102)은 생략될 수도 있다.Meanwhile, since FIG. 10 illustrates an ECR type input device as an example, the
도전성 팁(102)은 예를 들어 금속성 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전성 팁(102)은 비전도성 물질 내부에 존재하거나 또는 도전성 팁(102)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 시에 필기 감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도전성 팁(102)이 디스플레이부와 직접적인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절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케이스(101)는 도전체로 이루어지며, 전선을 통해 케이스(101)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접지단자와 접지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케이스(101)가 원 기둥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케이스(101)는 사각 기둥이나 육각 기둥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 펜(100)은 케이스(101) 안의 내부 구성으로 통신부(120), 메모리(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사용자 조작부(110)는 케이스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 가동 부재, 케이스 내에 고정된 제1 전극, 제1 전극과 대향되도록 가동 부재 측에 배치되며 가동 부재의 이동에 따라 제1 전극과의 대향 면적이 가변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과 제2 전극은 일종의 커패시터로 작용하게 될 수 있다.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는 별도의 유전체가 마련될 수도 있고, 별다른 유전체 없이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동 부재를 이동시키면,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대향 면적이 달라지게 되므로, 커패시턴스 값이 변경될 수 있다.The
결과적으로, 사용자 조작부(110)는 그 조작 상태에 따라 상이한 크기의 커패시턴스를 프로세서(140)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40) 내의 공진 회로의 커패시터 값이 가변되므로, 그 프로세서(140)에서 발생하는 전기장 신호의 공진 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통신부(120)는 전자 펜(100)을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2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200),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일 수 있다. 통신부(120)는 와이파이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 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특히,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각각은 WiFi 방식, Bluetooth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칩은 IEEE, 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In particular, each of the Wi-Fi chip and the Bluetooth chip may perform communication using a WiFi method or a Bluetooth method. In the case of using a Wi-Fi chip or a Bluetooth chip, various types of connection information such as an SSID and a session key are first transmitted/received, and then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received after communication connection using this.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ip refers to a chip that performs communication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IEEE, Zigbee, 3rd Generation (3G),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and Long Term Evolution (LTE). The NFC chip refers to a chip operating in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13.56 MHz band among various RF-ID frequency bands such as 135 kHz, 13.56 MHz, 433 MHz, 860 to 960 MHz, and 2.45 GHz.
메모리(130)는 전자 펜(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1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의 데이터, 데이터 식별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액세스하기 위한 정보, 데이터 식별 정보 및 액세스 정보를 통해 프로세서(140)에서 생성한 토큰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의 식별 정보는 데이터에 관한 구조화된 속성 정보인 메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액세스하기 위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접근하기 위한 권한을 가진 ID정보, 네트워크 ID, DSLAM 위치, ATM 채널 ID 정보, WLAN 액세스 포인트, BRAS ID, 이동 네트워크 코드, SIP 프록시 시그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토큰은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위한 데이터 패킷 중에 정보비트 앞에 존재하는 제어 비트일 수 있다.The
메모리(13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40)에 의해 액세스 되며, 프로세서(14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메모리라는 용어는 메모리(130), 프로세서(140) 내 ROM, RAM 또는 전자 펜(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할 수 있다. The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조작부(110)로부터 전달된 명령에 따라 상이한 신호를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ECR 방식으로 구현된 전자 펜(100)을 예로 들면, 프로세서(140)는 전자 펜(100)의 케이스의 일 단에 형성된 도전성 팁(미도시)을 통해 전기장 신호가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도전성 팁에 연결된 인덕터 및 커패시터로 이루어진 공진회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0) 내의 공진 회로는 도전성 팁을 통해 유입된 전기장 신호에 의해 공진하여, 전기장 신호를 발생시킨다. 프로세서(140)에서 발생하는 전기장 신호의 공진 주파수는 사용자 조작부(110)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한편, 프로세서(140)는 전자 펜(100)이 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데이터가 전송되면 데이터를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전자 펜(100)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터치되면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when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프로세서(140)는 전자 펜(100)이 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 정보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한 액세스 정보를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하고,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제어방식의 하나인 토큰 패싱을 위해, 전송 하기 위한 데이터 패킷 중에 정보비트 앞에 토큰이라고 불리는 제어 비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토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 정보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한 액세스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The
전자 펜(100)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터치되면,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토큰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 또는 프로세서(24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 또는 프로세서(24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12 및 도 13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전자 펜(100)이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12 and 13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구체적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자 펜(100)으로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S1210), 선택된 컨텐츠의 데이터 사이즈가 제1 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220).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데이터 사이즈가 제1 값 이하인 경우, 통신부(220)를 통해 전자 펜(100)과 NFC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 연결할 수 있다(S1230). 한편, 데이터 사이즈가 제1값보다 크다고 판단된 경우(S1220-N),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자 펜(100)과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통해 전자 펜(100)과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S1240).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2 , when detect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content with the electronic pen 100 ( S1210 ), the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자 펜(100)으로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S1310), 선택된 컨텐츠의 데이터 사이즈가 제1 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20).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데이터 사이즈가 제1 값 이하인 경우, 통신부(220)를 통해 전자 펜(100)과 NFC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 연결할 수 있다(S1330). 한편, 데이터 사이즈가 제1값보다 크다고 판단된 경우(S420-N),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와이파이 프로토콜을 통해 전자 펜(100)과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S1340).Also, referring to FIG. 13 , when detect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content with the electronic pen 100 ( S1310 ), the
이때, 제1 값은 3MB, 제2 값은 40MB, 제3 값은 300MB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데이터 사이즈에 따라 가장 효율적으로 전송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이 선택되도록 기설정된 값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루투스는 2.4GHz의 주파수를 가지고 휴대용 전자 기기 간의 무선 연결(WPAN)으로서, 일반적으로 25Mbps(Mega bit per second)의 속도로 전송할 수 있으며, 대역폭이 좁아서 손실 압축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데이터의 사이즈가 커지게 되어 전자 펜(100)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간이 1초 이상이 소요되는 경우, 민감한 사용자는 불편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2 값을 25MB 이하로 설정함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25MB를 초과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와이파이를 통해 전자 펜(100)과 통신 연결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value may be 3 MB, the second value may be 40 MB, and the third value may be 300 MB,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t value may be adjusted so that a communication protocol that can be transmitted most efficiently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data size. there is. Specifically, Bluetooth has a frequency of 2.4 GHz and is a wireless connection (WPAN) betwe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can generally transmit at a speed of 25 Mbps (mega bits per second), and requires lossy compression due to a narrow bandwidth. Accordingly, when the size of data increases and it takes more than 1 second to transmit data to the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100: 전자 펜101: 케이스
102: 도전성 팁110: 사용자 조작부
120: 통신부130: 메모리
200: 디스플레이 장치210: 디스플레이
220: 통신부230: 메모리
240: 프로세서300: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310: 디스플레이100: electronic pen 101: case
102: conductive tip 110: user control unit
120: communication unit 130: memory
200: display device 210: display
220: communication unit 230: memory
240: processor 300: external display device
310: display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20937AKR102397892B1 (en) | 2018-02-22 | 2018-02-22 | Electronic device for transferring data using electronic pe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US16/971,854US11194409B2 (en) | 2018-02-22 | 2019-01-28 | Display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through electronic p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PCT/KR2019/001163WO2019164143A1 (en) | 2018-02-22 | 2019-01-28 | Display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through electronic p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20937AKR102397892B1 (en) | 2018-02-22 | 2018-02-22 | Electronic device for transferring data using electronic pe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101039A KR20190101039A (en) | 2019-08-30 |
| KR102397892B1true KR102397892B1 (en) | 2022-05-13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020937AActiveKR102397892B1 (en) | 2018-02-22 | 2018-02-22 | Electronic device for transferring data using electronic pe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Country | Link |
|---|---|
| US (1) | US11194409B2 (en) |
| KR (1) | KR102397892B1 (en) |
| WO (1) | WO2019164143A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NL2031499B1 (en)* | 2022-04-05 | 2023-10-25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Input device screen-share facilitatio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60134738A1 (en)* | 2011-10-06 | 2016-05-12 | Qualcomm Incorporated | Pen-based content transfer system and method thereof |
| WO2017183743A1 (en)* | 2016-04-19 | 2017-10-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stylus pe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6175802A (en) | 1992-12-02 | 1994-06-24 | Hitachi Ltd |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
| US6374336B1 (en)* | 1997-12-24 | 2002-04-16 | Avid Technology, Inc. | Computer system and process for transferring multiple high bandwidth streams of data between multiple storage units and multiple applications in a scalable and reliable manner |
| JP2005293240A (en)* | 2004-03-31 | 2005-10-20 | Fujitsu Ltd | Inter-terminal information transfer system |
| TWI310136B (en)* | 2005-12-20 | 2009-05-21 | Wistron Corp | Method for transmitting files between different computers |
| JP4760986B2 (en) | 2010-05-06 | 2011-08-31 | ソニー株式会社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
| WO2013151374A1 (en)* | 2012-04-07 | 2013-10-1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ing data between plurality of devices |
| KR101931141B1 (en) | 2012-04-17 | 2019-03-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
| KR102101818B1 (en) | 2012-07-30 | 2020-04-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transfer in terminal |
| CN104603763B (en)* | 2012-08-23 | 2018-06-05 | 三星电子株式会社 | Information transferring method and system, device and its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performing |
| US9367161B2 (en)* | 2013-03-11 | 2016-06-14 | Barnes & Noble College Booksellers, Llc | Touch sensitive device with stylus-based grab and paste functionality |
| US9467495B2 (en)* | 2013-03-15 | 2016-10-11 | Adobe Systems Incorporated | Transferring assets via a server-based clipboard |
| CN104426583B (en)* | 2013-08-29 | 2018-05-29 | 华为终端(东莞)有限公司 | Data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near-field communication equipment based on near-field communication |
| KR20150044330A (en)* | 2013-10-16 | 2015-04-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s an access point,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
| CN104808829B (en)* | 2014-01-29 | 2018-07-20 | 联发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 Screen touch electronic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
| CN106445199A (en) | 2015-08-13 | 2017-02-22 | 天津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 Touch p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realizing data continuous applicatio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60134738A1 (en)* | 2011-10-06 | 2016-05-12 | Qualcomm Incorporated | Pen-based content transfer system and method thereof |
| WO2017183743A1 (en)* | 2016-04-19 | 2017-10-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stylus pe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US11194409B2 (en) | 2021-12-07 |
| WO2019164143A1 (en) | 2019-08-29 |
| US20210011563A1 (en) | 2021-01-14 |
| KR20190101039A (en) | 2019-08-30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843598B2 (en) |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 US947323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using relay device | |
| AU2013228012B2 (en) | System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use by portable and other devices | |
| US9946861B2 (en) | Method for processing fingerprin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 |
| KR102081817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digitizer mode | |
| US20140160045A1 (en) |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a pen | |
| US9665131B2 (en) | Storage medium,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based on user detection using cameras | |
| US10602514B2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setting operating channel of the same | |
| EP2988202A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put interface | |
| CN107728886B (en) | One-handed operation method and device | |
| KR102333705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data by using a relay device | |
| US20160117092A1 (en) |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mage by using scroll bar | |
| US20140282204A1 (en) | Key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random number in virtual keyboard | |
| EP2957990A1 (en) |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 translation | |
| CN108021299A (en) | One kind searches figure calibration method and terminal | |
| CN108415643A (en) | A kind of icon display method and terminal | |
| US8411428B2 (en) | Portable storage device | |
| CN108763540A (en) | A kind of file browsing method and terminal | |
| US20150019961A1 (en) |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merging | |
| KR102397892B1 (en) | Electronic device for transferring data using electronic pe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 CN104768055B (en) | Display device, mobile device, system, and setting control method of connection thereof | |
| JP2014203305A (en) | Electronic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program | |
| CN105929992A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input on touch panel | |
| US9697727B2 (en) | Remote control apparatus | |
| CN107562262A (en) | A kind of metho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sponding touch control operation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80222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PA02012R01D Patent event date:20210219 Comment text: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180222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20120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220504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20510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220511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