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2385406B1 -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erosol to block heat generation of a heater due to malfunc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erosol to block heat generation of a heater due to mal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406B1
KR102385406B1KR1020210048023AKR20210048023AKR102385406B1KR 102385406 B1KR102385406 B1KR 102385406B1KR 1020210048023 AKR1020210048023 AKR 1020210048023AKR 20210048023 AKR20210048023 AKR 20210048023AKR 102385406 B1KR102385406 B1KR 102385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or
switch
heater
control signal
generating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0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43536A (en
Inventor
이승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61180Aexternal-prioritypatent/KR102242309B1/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filedCritical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10048023ApriorityCriticalpatent/KR102385406B1/en
Publication of KR20210043536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210043536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406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2385406B1/en
Active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일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히터, 상기 히터와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스위치, 상기 히터 및 상기 제1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2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의 개폐상태를 제어하는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스위치의 개폐상태를 제어하는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제1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정류회로; 및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제2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한다.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is a heater, a first switch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heater, a second switch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ater and the first switch in series, and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first switch a processor for outputting a first control signal and a second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open/close state of the second switch, a rectifier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cessor and the first switch; and a capaci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cessor and the second switch.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오작동에 의한 히터의 발열을 차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erosol to block heat generation of a heater due to malfunction}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erosol to block heat generation of a heater due to malfunc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 등의 오작동으로 인해 히터가 발열하는 것을 차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for preventing a heater from generating heat due to a malfunction of a processor or the like.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식 궐련 또는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demand for alternative methods that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conventional cigarettes. For example,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 method of generating an aerosol as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in the cigarette is heated rather than a method of burning a cigarette to produce an aerosol. Accordingly, research into a heated cigarette or a heated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being actively conducted.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삽입되는 궐련을 가열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미리 설정된 온도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히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The heater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heats a cigarette inserted into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may control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based on a preset temperature profile.

그런데, 히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등에 고장이 발생하여도 히터가 발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히터가 온도 프로파일과 다르게 발열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최적의 끽미를 제공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안전한 사용에도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오작동으로 인해 히터가 발열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However, the heater may generate heat even if a failure occurs in the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heater. In this case, the heater may generate heat differently from the temperature profile, and it may not be possible to provide an optimal taste to the user, but also may be a problem for the safe use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for preventing the heater from generating heat due to a malfunc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오작동으로 인해 히터가 발열하는 것을 차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a heater from generating heat due to a malfunction.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The technical problem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be inferred from the following examples.

일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히터; 상기 히터와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스위치; 상기 히터 및 상기 제1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2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의 개폐상태를 제어하는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스위치의 개폐상태를 제어하는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제1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정류회로; 및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제2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한다.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the heater; a first switch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heater; a second switch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heater and the first switch; a processor outputting a first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open/close state of the first switch and a second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open/close state of the second switch; a rectifier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cessor and the first switch; and a capaci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cessor and the second switch.

프로세서와 상기 제1, 2 스위치 사이에 정류회로 또는 커패시터가 연결됨에 따라, 프로세서가 오작동으로 직류신호를 출력하더라도 히터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As the rectifier circuit or capacitor is connected between the processor and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it is possible to block the abnormal operation of the heater even if the processor outputs a DC signal due to a malfunction.

도 1 내지 도 3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는 궐련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 제어 회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 제어 회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 제어 회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정류회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 제어 회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제1 제어신호 및 제2 제어신호의 파형의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1 to 3 are views showing examples in which cigarettes are inserted in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4 and 5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cigarettes.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heater control circuit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heater control circuit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heater control circuit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ectifier circuit.
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heater control circuit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examples of waveforms of a first control signal and a second control signal.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heater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are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like.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 of a simpl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1 to 3 are views showing examples in which cigarettes are inserted in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배터리(11), 제어부(12) 및 히터(13)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증기화기(14)를 더 포함한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 공간에는 궐련(2)이 삽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aerosol generating device 1 includes abattery 11 , acontrol unit 12 , and aheater 13 . 2 and 3 , theaerosol generating device 1 further comprises avaporizer 14 . In addition, acigarette 2 may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aerosol generating device 1 .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Theaerosol generating device 1 shown in FIGS. 1 to 3 shows the components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related to this embodiment that other general-purpose components other than those shown in FIGS. 1 to 3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aerosol generatingdevice 1 . .

도 1에는 배터리(11), 제어부(12) 및 히터(13)가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는 배터리(11), 제어부(12), 증기화기(14) 및 히터(13)가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증기화기(14) 및 히터(13)가 병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설계에 따라, 배터리(11), 제어부(12), 히터(13) 및 증기화기(14)의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1 illustrates that thebattery 11, thecontrol unit 12, and theheater 13 are arranged in a line. In addition, in FIG. 2 , thebattery 11 , thecontrol unit 12 , thevaporizer 14 , and theheater 13 are illustrated as being arranged in a line. Also, FIG. 3 shows that thevaporizer 14 and theheater 13 are arranged in parallel. However,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aerosol generating device 1 is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FIGS. 1 to 3 . In other words, depending on the design of theaerosol generating device 1 , the arrangement of thebattery 11 , thecontrol unit 12 , theheater 13 and thevaporizer 14 may be changed.

궐련(2)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삽입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히터(13) 및/또는 증기화기(14)를 작동시켜,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히터(13) 및/또는 증기화기(14)에 의하여 발생된 에어로졸은 궐련(2)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When thecigarette 2 is inserted into the aerosol-generatingdevice 1 , the aerosol-generatingdevice 1 may actuate theheater 13 and/or thevaporizer 14 to generate an aerosol. The aerosol generated by theheater 13 and/or thevaporizer 14 passes through thecigarette 2 and is delivered to the user.

필요에 따라, 궐련(2)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히터(13)를 가열할 수 있다.If desired, the aerosol-generatingdevice 1 can heat theheater 13 even when thecigarette 2 is not inserted into the aerosol-generatingdevice 1 .

배터리(1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11)는 히터(13) 또는 증기화기(14)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어부(12)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Thebattery 11 supplies the power used to operate theaerosol generating device 1 . For example, thebattery 11 may supply electric power so that theheater 13 or thevaporizer 14 can be heated, and may supply electric power required for thecontrol unit 12 to operate. In addition, thebattery 11 may supply power required to operate a display, a sensor, a motor, etc. installed in theaerosol generating device 1 .

제어부(1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배터리(11), 히터(13) 및 증기화기(14)뿐 만 아니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Thecontrol unit 12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aerosol generating device 1 . Specifically, thecontrol unit 12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battery 11 , theheater 13 and thevaporizer 14 , as well as other components included in theaerosol generating device 1 . Also, thecontrol unit 12 may determine whether theaerosol generating device 1 is in an operable state by checking the state of each of the components of theaerosol generating device 1 .

제어부(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Thecontrol unit 12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n array of a plurality of logic gates, or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a general-purpose microprocessor and a memory in which a program executable in the microprocessor is stored. In addition, it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other types of hardware.

히터(13)는 배터리(11)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삽입되면, 히터(13)는 궐련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된 히터(13)는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Theheater 13 may be heated by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battery 11 . For example, if a cigarette is inserted into theaerosol generating device 1 , theheater 13 may be located on the exterior of the cigarette. Thus, the heatedheater 13 may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in the cigarette.

히터(13)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에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히터(13)가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히터(13)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희망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여기에서, 희망 온도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기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원하는 온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Theheater 13 may be an electrically resistive heater. For example, theheater 13 may include an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 and theheater 13 may be heated as current flows through the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 However, theheater 13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may be applicable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can be heated to a desired temperature. Here, the desired temperature may be preset in the aerosol generatingdevice 1 or may be set to a desired temperature by the user.

한편, 다른 예로, 히터(13)는 유도 가열식 히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13)에는 궐련을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궐련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another example, theheater 13 may be an induction heating type heater. Specifically, theheater 13 may include an electrically conductive coil for heating the cigarette in an induction heating manner, and the cigarette may include a susceptor capable of being heated by the induction heating heater.

예를 들어, 히터(13)는 관 형 가열 요소, 판 형 가열 요소, 침 형 가열 요소 또는 봉 형의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의 모양에 따라 궐련(2)의 내부 또는 외부를 가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heater 13 may include a tubular heating element, a plate-shaped heating element, a needle-type heating element, or a rod-shaped heating element, which can be heated inside or outside thecigarette 2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heating element. can be heated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는 히터(13)가 복수 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히터(13)들은 궐련(2)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궐련(2)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히터(13)들 중 일부는 궐련(2)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나머지는 궐련(2)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히터(13)의 형상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heaters 13 may be disposed in theaerosol generating device 1 .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heaters 13 may be disposed to be inserted into thecigarette 2 , or may be disposed outside thecigarette 2 . In addition, some of the plurality ofheaters 13 may be disposed to be inserted into thecigarette 2 , and the rest may be disposed outside thecigarette 2 . In addition, the shape of theheater 13 is not limited to the shape shown in FIGS. 1 to 3 , and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증기화기(14)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에어로졸은 궐련(2)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증기화기(14)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기류 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기류 통로는 증기화기(14)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이 궐련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Vaporizer 14 may heat the liquid composition to generate an aerosol, which may be delivered to a user throughcigarette 2 . In other words, the aerosol generated by thevaporizer 14 may travel along an airflow passage of theaerosol generating device 1 , wherein the aerosol generated by thevaporizer 14 passes through the cigarette to the user. It can be configured to be

예를 들어, 증기화기(14)는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가열 요소는 독립적인 모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포함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vaporizer 14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liquid reservoir, a liquid delivery means and a heating element. For example, the liquid reservoir, the liquid delivery means and the heating element may be included in the aerosol-generatingdevice 1 as independent modules.

액체 저장부는 액상 조성물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증기화기(14)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도 있고, 증기화기(14)와 일체로서 제작될 수도 있다.The liquid reservoir may store the liquid composition. For example, the liquid composition may be a liquid comprising a tobacco-containing material comprising a volatile tobacco flavor component, or may be a liquid comprising a non-tobacco material. The liquid storage unit may be manufactured to be detachably/attached from thevaporizer 14 , or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vaporizer 14 .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또는 비타민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액상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quid composition may include water, a solvent, ethanol, a plant extract, a flavoring, flavoring agent, or a vitamin mixture. The fragrance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menthol, peppermint, spearmint oil, various fruit flavoring ingredients, and the like. Flavoring agents may include ingredients capable of providing a user with a variety of flavors or flavors. The vitamin mixture may be a mixture of at least one of vitamin A, vitamin B, vitamin C, and vitamin E, but is not limited thereto. Liquid compositions may also include aerosol formers such as glycerin and propylene glycol.

액체 전달 수단은 액체 저장부의 액상 조성물을 가열 요소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전달 수단은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과 같은 심지(wick)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liquid delivery means may deliver the liquid composition of the liquid reservoir to the heating element. For example, the liquid delivery means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wick such as cotton fiber, ceramic fiber, glass fiber, or porous ceramic.

가열 요소는 액체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되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기 위한 요소이다. 예를 들어, 가열 요소는 금속 열선, 금속 열판, 세라믹 히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가열 요소는 니크롬선과 같은 전도성 필라멘트로 구성될 수 있고,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전류 공급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와 접촉된 액체 조성물에 열을 전달하여, 액체 조성물을 가열할 수 있다.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The heating element is an element for heating the liquid composition delivered by the liquid delivery means. For example, the heating elemen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metal heating wire, a metal heating plate, a ceramic heater, or the like. In addition, the heating element may be composed of a conductive filament, such as a nichrome wire, and may be arranged to be wound around the liquid delivery means. The heating element may be heated by supplying an electrical current, and may transfer heat to the liquid composition in contact with the heating element, thereby heating the liquid composition. As a result, an aerosol may be generated.

예를 들어, 증기화기(14)는 카토마이저(cartomizer) 또는 무화기(atomizer)로 지칭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vaporizer 14 may be referred to as a cartomizer or an atomiz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배터리(11), 제어부(12), 히터(13) 및 증기화기(14) 외에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및/또는 촉각 정보의 출력을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궐련(2)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 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Meanwhile, theaerosol generating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general-purpose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battery 11 , thecontroller 12 , theheater 13 , and thevaporizer 14 . For example, theaerosol generating device 1 may include a display capable of outputting visual information and/or a motor for outputting tactile information. In addition, theaerosol generating device 1 may comprise at least one sensor. In addition, theaerosol generating device 1 may be manufactured in a structure that allows external air to flow in or internal gas to flow out even in a state in which thecigarette 2 is inserted.

도 1 내지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배터리(11)의 충전에 이용될 수 있다. 또는, 크래들과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결합된 상태에서 히터(13)가 가열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S. 1 to 3 , theaerosol generating device 1 may constitute a system together with a separate cradle. For example, the cradle may be used for charging thebattery 11 of theaerosol generating device 1 . Alternatively, theheater 13 may be heated in a state in which the cradle and theaerosol generating device 1 are coupled.

궐련(2)은 일반적인 연소형 궐련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2)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 1 부분과 필터 등을 포함하는 제 2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는, 궐련(2)의 제 2 부분에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과립 또는 캡슐의 형태로 만들어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제 2 부분에 삽입될 수도 있다.Thecigarette 2 may be similar to a conventional burning cigarette. For example, thecigarette 2 may be divided into a first part comprising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and a second part comprising a filter or the like. Alternatively, the second part of thecigarette 2 may also contain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For example, an aerosol-generating material made in the form of granules or capsules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part.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에는 제 1 부분의 전체가 삽입되고, 제 2 부분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에 제 1 부분의 일부만 삽입될 수도 있고, 제 1 부분의 전체 및 제 2 부분의 일부가 삽입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 2 부분을 입으로 문 상태에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은 외부 공기가 제 1 부분을 통과함으로써 생성되고, 생성된 에어로졸은 제 2 부분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입으로 전달된다.The entire first part may be inserted into theaerosol generating device 1 , and the second part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Alternatively, only a part of the first part may be inserted into theaerosol generating device 1, and the whole of the first part and a part of the second part may be inserted. The user may inhale the aerosol while biting the second part with the mouth. At this time, the aerosol is generated by passing the outside air through the first part, and the generated aerosol passes through the second part and is delivered to the user's mouth.

일 예로서, 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형성된 공기 통로의 개폐 및/또는 공기 통로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화량, 끽연감 등이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외부 공기는 궐련(2)의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을 통하여 궐련(2)의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As an example, external air may be introduced through at least one air passage formed in theaerosol generating device 1 . For exampl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air passage and/or the size of the air passage formed in theaerosol generating device 1 may be adjusted by the user. Accordingly, the amount of atomization, the feeling of smoking, and the like can be adjusted by the user. As another example, external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cigarette 2 through at least one hole formed in the surface of the cigarette (2).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궐련(2)의 예들을 설명한다.Hereinafter, examples of thecigarette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도 4 및 도 5는 궐련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4 and 5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cigarettes.

도 4를 참조하면, 궐련(2)은 담배 로드(21) 및 필터 로드(22)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 1 부분은 담배 로드(21)를 포함하고, 제 2 부분은 필터 로드(2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 thecigarette 2 includes atobacco rod 21 and afilter rod 22 . The first par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includes atobacco rod 21 , and the second part includes afilter rod 22 .

도 4에는 필터 로드(22)가 단일 세그먼트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필터 로드(22)는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필터 로드(22)는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세그먼트 및 에어로졸 내에 포함된 소정의 성분을 필터링하는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필터 로드(22)에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4, thefilter rod 22 is shown as a single seg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other words, thefilter rod 22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gments. For example, thefilter rod 22 may include a segment that cools the aerosol and a segment that filters certain components contained within the aerosol. In addition, if necessary, thefilter rod 22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gment performing other functions.

궐련(2)은 적어도 하나의 래퍼(24)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래퍼(24)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궐련(2)은 하나의 래퍼(24)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궐련(2)은 2 이상의 래퍼(24)들에 의하여 중첩적으로 포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래퍼(241)에 의하여 담배 로드(21)가 포장되고, 래퍼들(242, 243, 244)에 의하여 필터 로드(22)가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래퍼(245)에 의하여 궐련(2) 전체가 재포장될 수 있다. 만약, 필터 로드(22)가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되어 있다면, 각각의 세그먼트가 래퍼들(242, 243, 244)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Thecigarette 2 may be wrapped by at least onewrapper 24 . At least one hole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or internal gas flows may be formed in thewrapper 24 . As an example, thecigarette 2 may be wrapped by onewrapper 24 . As another example, thecigarette 2 may be wrapped by two ormore wrappers 24 overlappingly. For example, thetobacco rod 21 may be packaged by thefirst wrapper 241 , and thefilter rod 22 may be packaged by thewrappers 242 , 243 , and 244 . In addition, theentire cigarette 2 may be repackaged by asingle wrapper 245 . If thefilter rod 22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gments, each segment may be wrapped bywrappers 242 , 243 , 244 .

담배 로드(21)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담배 로드(21)는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에는, 멘솔 또는 보습제 등의 가향액이, 담배 로드(21)에 분사됨으로써 첨가할 수 있다.Thetobacco rod 21 comprises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For example,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t least one of glycerin, propylene glycol, eth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triethylene glycol, tetraethylene glycol and oleyl alcohol. In addition, thetobacco rod 21 may contain other additive substances such as flavoring agents, wetting agents and/or organic acids. In addition, a flavoring liquid such as menthol or a moisturizing agent can be added to thetobacco rod 21 by being sprayed onto thetobacco rod 21 .

담배 로드(21)는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배 로드(21)는 시트(sheet)로 제작될 수도 있고, 가닥(strand)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는 담배 시트가 잘게 잘린 각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는 열 전도 물질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도 물질은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금속 호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담배 로드(21)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담배 로드(21)에 전달되는 열을 고르게 분산시켜 담배 로드에 가해지는 열 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담배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서셉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담배 로드(21)는 외부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 이외에도 추가의 서셉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obacco rod 21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tobacco rod 21 may be manufactured as a sheet or as a strand. In addition, thetobacco rod 21 may be made of cut filler from which the tobacco sheet is chopped. In addition, thetobacco rod 21 may be surrounded by a heat-conducting material. For example, the heat-conducting material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metal foil such as aluminum foil. For example, the heat-conducting material surrounding thetobacco rod 21 may improve the thermal conductivity applied to the tobacco rod by evenly distributing the heat transferred to thetobacco rod 21, thereby improving the tobacco taste. . Further, the heat-conducting material surrounding thetobacco rod 21 may function as a susceptor heated by an induction heater.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tobacco rod 21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susceptor in addition to the heat-conducting material surrounding the outside.

필터 로드(22)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한편, 필터 로드(22)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필터 로드(22)는 원기둥 형(type) 로드일 수도 있고,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또한, 필터 로드(22)는 리세스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만약, 필터 로드(22)가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경우, 복수의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Thefilter rod 22 may be a cellulose acetate filter. On the other hand, the shape of thefilter rod 22 is not limited. For example, thefilter rod 22 may be a cylindrical rod, or a tubular rod including a hollow therein. Also, thefilter rod 22 may be a recess type rod. If thefilter rod 22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gment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gments may be manufactured in a different shape.

또한, 필터 로드(22)에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23)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캡슐(23)은 향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캡슐(23)은 향료를 포함하는 액체를 피막으로 감싼 구조일 수 있다. 캡슐(23)은 구형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filter rod 22 may include at least onecapsule 23 . Here, thecapsule 23 may perform a function of generating flavor, or may perform a function of generating an aerosol. For example, thecapsule 23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liquid containing a fragrance is wrapped with a film. Thecapsule 23 may have a spherical or cylindric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5를 참조하면, 궐련(3)은 전단 플러그(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단 플러그(33)는 담배 로드(31)에 있어서, 필터 로드(32)에 대향하는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전단 플러그(33)는 담배 로드(31)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흡연 중에 담배 로드(31)로부터 액상화된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도 1 내지 도 3의 1)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cigarette 3 may further include ashear plug 33 . Thefront plug 33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tobacco rod 31 opposite to thefilter rod 32 . Theshear plug 33 can prevent thetobacco rod 31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and the aerosol liquefied from thetobacco rod 31 during smoking flows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 1 in FIGS. 1 to 3 ). can be prevented

필터로드(32)은 제1 세그먼트(321) 및 제2 세그먼트(3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세그먼트(321)은 도 4의 필터 로드(22)의 제1 세그먼트에 대응될 수 있고, 제2 세그먼트(322)는 도 4의 필터 로드(22)의 제3 세그먼트에 대응될 수 있다.Thefilter rod 32 may include afirst segment 321 and asecond segment 322 . Here, thefirst segment 321 may correspond to the first segment of thefilter rod 22 of FIG. 4 , and thesecond segment 322 may correspond to the third segment of thefilter rod 22 of FIG. 4 . can

궐련(3)은 적어도 하나의 래퍼(35)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래퍼(35)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래퍼(351)에 의하여 전단 플러그(33)이 포장되고, 제2 래퍼(352)에 의하여 담배 로드(31)가 포장되고, 제3 래퍼(353)에 의하여 제1 세그먼트(321)이 포장되고, 제4 래퍼(354)에 의하여 제2 세그먼트(322)가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5 래퍼(355)에 의하여 궐련(3) 전체가 재포장될 수 있다.Thecigarette 3 may be wrapped by at least onewrapper 35 . At least one hole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or internal gas flows may be formed in thewrapper 35 . For example, theshear plug 33 is wrapped by thefirst wrapper 351 , thetobacco rod 31 is wrapped by thesecond wrapper 352 , and the first segment ( 353 ) is wrapped by thethird wrapper 353 . 321 may be wrapped, and thesecond segment 322 may be wrapped by thefourth wrapper 354 . In addition, theentire cigarette 3 may be repackaged by thefifth wrapper 355 .

또한, 제2 세그먼트(322)에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34)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캡슐(34)은 향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캡슐(34)은 향료를 포함하는 액체를 피막으로 감싼 구조일 수 있다. 캡슐(34)은 구형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lso, thesecond segment 322 may include at least onecapsule 34 . Here, thecapsule 34 may perform a function of generating flavor, or may perform a function of generating an aerosol. For example, thecapsule 34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liquid containing fragrance is wrapped with a film. Thecapsule 34 may have a spherical or cylindric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고장이 발생한 상황에서도 히터가 발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오작동으로 인해 히터가 발열하지 않아야 하는 기간에도 발열하거나, 온도 프로파일과 다르게 과도하게 발열할 수 있다. 여기서, 히터의 온도 프로파일이란, 히터를 가열하기 위해 사전에 설정된 온도 프로파일을 의미한다. 그 외에도, 다양한 오작동으로 인해 히터가 발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에게 최적의 끽미를 제공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안전한 사용에도 문제가 될 수 있다.The heater may generate heat even whe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fails. For example, due to a malfunction of the processor, the heater may generate heat even during a period during which it should not be heated, or it may generate excessive heat differently from the temperature profile. Here, the temperature profile of the heater means a preset temperature profile for heating the heater. In addition, the heater may generate heat due to various malfunctions. In this case, it may not be possible to provide an optimal taste to the user, but also the safe use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may be a problem.

이하에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오작동으로 인해 히터가 발열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히터 제어 회로 및 히터 제어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Hereinafter, a heater control circuit and a heater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the heater from generating heat due to a malfunc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will be described.

도 6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 제어 회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heater control circuit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도 6을 참조하면, 히터 제어 회로는 히터(45), 제1 스위치(41), 제2 스위치(42), 제1 프로세서(43), 및 제2 프로세서(4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 the heater control circuit includes aheater 45 , afirst switch 41 , asecond switch 42 , afirst processor 43 , and asecond processor 44 .

제1 프로세서(43), 및 제2 프로세서(4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2)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스위치(41) 및 제2 스위치(42)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2)에 포함되거나, 제어부(12)가 제어하고자 하는 히터에 포함될 수 있다.Thefirst processor 43 and thesecond processor 44 may be included in thecontrol unit 12 illustrated in FIGS. 1 to 3 . Thefirst switch 41 and thesecond switch 42 may be included in thecontrol unit 12 illustrated in FIGS. 1 to 3 , or may be included in a heater to be controlled by thecontrol unit 12 .

히터 제어 회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포함되는 모든 가열 요소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히터(4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궐련을 가열하는 히터(3)일 수 있다. 다른 예로써, 히터(4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증기화기(14)에 포함되는 가열 요소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가열 요소 외에 다른 가열 요소를 더 포함하는 경우, 히터(45)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더 포함되는 가열 요소일 수 있다.The heater control circuit is applicable to any heating element inclu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For example, theheater 45 may be theheater 3 for heating the cigarette shown in FIGS. 1 to 3 . As another example, theheater 45 may be a heating element included in thevaporizer 14 shown in FIGS. 2 and 3 . As another example, when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heating element other than the heating element shown in FIGS. 1 to 3 , theheater 45 may be a heating element further included in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제1 스위치(41)는 히터(45)와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치(41)는 히터(45)와 배터리(도 1 내지 도 3의 11)의 사이에 배치되어, 히터(45)와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달리, 제1 스위치(41)는 히터(45)와 제2 스위치(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스위치(41)의 위치가 도 6에 도시된 위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first switch 4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heater 45 in series. For example, thefirst switch 41 may be disposed between theheater 45 and the battery ( 11 in FIGS. 1 to 3 ),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heater 45 in series. 6 , thefirst switch 41 may be disposed between theheater 45 and thesecond switch 42 , and the position of thefirst switch 41 is limited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6 . it is not going to be

제1 스위치(41)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로 상태가 전환될 수 있다. 히터(45)는 제1 스위치(41)가 개방상태가 됨에 따라 배터리로부터 전력 수급이 차단될 수 있고, 폐쇄상태가 됨에 따라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state of thefirst switch 41 may be switched to an open state or a closed state according to an external input signal. As thefirst switch 41 is opened, theheater 45 may cut off power supply from the battery, and may receive power from the battery as theheater 45 enters the closed state.

제1 스위치(41)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일 수 있다. 제1 스위치(41)는 소스(source)가 배터리 측에, 드레인(drain)이 히터(45) 측에, 게이트(gate)가 제1 프로세서(43) 측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first switch 41 may be a field effect transistor (FET). Thefirst switch 41 may be disposed such that a source is connected to the battery side, a drain is connected to theheater 45 side, and a gate is connected to thefirst processor 43 side.

제1 스위치(41)의 게이트로 전달되는 신호의 세기에 따라 제1 스위치(41)의 상태가 결정될 수 있다. 게이트로 기준값 이상의 신호가 인가되면, 소스에서 드레인으로 전류가 흐르며 제1 스위치(41)가 폐쇄될 수 있다. 반대로 게이트로 기준값 미만의 신호가 인가되면, 제1 스위치(41)가 개방될 수 있다.The state of thefirst switch 41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gate of thefirst switch 41 . When a signal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is applied to the gate, a current flows from the source to the drain and thefirst switch 41 may be closed. Conversely, when a signal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is applied to the gate, thefirst switch 41 may be opened.

제1 스위치(41)는 P채널 FET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스위치(41)는 N채널 FET일 수 있다.Thefirst switch 41 may be a P-channel FET,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first switch 41 may be an N-channel FET.

또한, 제1 스위치(41)는 FET 이외의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로 상태 전환이 가능한 다른 전기 소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치(41)는 접합형 트렌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 또는 사일리스터(thyristor)일 수 있으며, 나열된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first switch 41 may be another electrical device capable of switching the state to an open state or a closed state according to an external input signal other than the FET. For example, thefirst switch 41 may be a 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 or a thyristor, but is not limited to the listed types. does not

제2 스위치(42)는 히터(45) 및 제1 스위치(41)와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위치(42)는 히터(45)와 접지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히터(45) 및 제1 스위치(41)와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달리, 제2 스위치(42)는 히터(45)와 제1 스위치(41)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스위치(42)의 위치가 도 6에 도시된 위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second switch 4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heater 45 and thefirst switch 41 in series. For example, thesecond switch 42 may be disposed between theheater 45 and the ground portion,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heater 45 and thefirst switch 41 in series. 6 , thesecond switch 42 may be disposed between theheater 45 and thefirst switch 41 , and the position of thesecond switch 42 is limited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6 . it is not going to be

제2 스위치(42)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로 상태가 전환될 수 있다. 제2 스위치(42)의 상태는 짧은 기간 동안 개방상태와 폐쇄상태로 반복하여 전환될 수 있다. 제2 스위치(42)는 히터(45)가 요구하는 전력의 듀티 사이클에 기초하여 개방상태와 폐쇄상태로 상태가 반복하여 전환될 수 있다.The state of thesecond switch 42 may be switched to an open state or a closed state according to an external input signal. The state of thesecond switch 42 may be repeatedly switched between the open state and the closed state for a short period of time. The state of thesecond switch 42 may be repeatedly switched between an open state and a closed state based on the duty cycle of the electric power required by theheater 45 .

제2 스위치(42)는 제1 스위치(41)와 마찬가지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일 수 있다. 제2 스위치(42)는 소스(source)가 히터(45) 측에, 드레인(drain)이 접지부 측에, 게이트(gate)가 제2 프로세서(44) 측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Like thefirst switch 41 , thesecond switch 42 may be a field effect transistor (FET). Thesecond switch 42 may be disposed such that a source is connected to theheater 45 side, a drain is connected to a ground portion, and a gate is connected to thesecond processor 44 side.

제2 스위치(42)는 N채널 FET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2 스위치(42)는 P채널 FET일 수 있다.Thesecond switch 42 may be an N-channel FET,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second switch 42 may be a P-channel FET.

또한, 제2 스위치(42)는 제1 스위치(41)와 마찬가지로, FET 이외의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로 상태 전환이 가능한 다른 전기 소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위치(42)는 접합형 트렌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 또는 사일리스터(thyristor)일 수 있으며, 나열된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Also, like thefirst switch 41 , thesecond switch 42 may be another electrical device capable of switching the state to an open state or a closed state according to an external input signal other than the FET. For example, thesecond switch 42 may be a 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 or a thyristor, but is not limited to the types listed. does not

제1 프로세서(43)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로세서(43)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입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 controller unit)일 수 있다.Thefirst processor 43 may be implemented as an array of a plurality of logic gates, or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a general-purpose microprocessor and a memory in which a program executable in the microprocessor is stored. For example, thefirst processor 43 may be a microcontroller unit including a microprocessor and an input/output module.

제1 프로세서(43)는 제1 스위치(41)의 개폐상태를 제어하는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43)는 히터(45)가 가열되어야 하는 기간 동안 제1 스위치(41)가 폐쇄되고, 그 외의 기간 동안 제1 스위치(41)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first processor 43 may output a first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open/close state of thefirst switch 41 . Thefirst processor 43 may output a first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first switch 41 to be closed during the period in which theheater 45 is to be heated, and thefirst switch 41 to be opened during other periods. there is.

제1 제어신호는 직류신호(direct current signal, DC signal)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45)가 가열되어야 하는 기간 동안 제1 프로세서(43)에서 출력하는 제1 제어신호의 파형은 도 11의 좌측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을 수 있다. 또한, 히터(45)가 가열되어야 하는 기간 동안 제1 프로세서(43)는 제1 스위치(41)의 게이트 기준값보다 높은 값을 갖는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그 외의 기간 동안 게이트 기준값보다 낮은 값을 갖는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signal may be a direct current signal (DC signal). For example, the waveform of the first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first processor 43 during the period during which theheater 45 needs to be heated may be as shown in the graph shown on the left side of FIG. 11 . In addition, during a period in which theheater 45 is to be heated, thefirst processor 43 may output a first control signal having a higher value than the gate reference value of thefirst switch 41 , and may be higher than the gate reference value during other periods. A first control signal having a low value may be output.

제1 프로세서(43)는 히터(45)의 온도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로세서(43)는 온도 센서가 측정한 히터(45)의 온도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Thefirst processor 43 may receive a temperature value of theheater 45 . For example, thefirst processor 43 may receive a temperature value of theheater 45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제1 프로세서(43)는 입력 받은 온도값을 기초로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로세서(43)는 입력 받은 온도값이 안전한 가열 온도 범위를 벗어난 경우 또는 온도 프로파일에서 벗어난 경우, 제1 스위치(41)가 개방되도록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1 프로세서(43)는 입력 받은 온도값이 비정상적인 경우, 히터(45), 제2 프로세서(44) 등의 고장으로 인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오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히터(45)가 발열하지 않도록 제1 스위치(41)를 개방시키는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first processor 43 may output a first control signal based on the received temperature value. For example, thefirst processor 43 may output a first control signal to open thefirst switch 41 when the input temperature value is out of a safe heating temperature range or out of a temperature profile. That is, when the received temperature value is abnormal, thefirst processor 43 determines tha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malfunctions due to a failure of theheater 45 and thesecond processor 44, and theheater 45 does not generate heat. A first control signal for opening thefirst switch 41 may be output.

제2 프로세서(44)는 제1 프로세서(43)와 독립하여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2 프로세서(44)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로세서(44)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입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 controller unit)일 수 있다.Thesecond processor 44 may be a processor that performs an operation independently of thefirst processor 43 . Thesecond processor 44 may be implemented as an array of a plurality of logic gates, or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a general-purpose microprocessor and a memory in which a program executable in the microprocessor is stored. For example, thesecond processor 44 may be a microcontroller unit including a microprocessor and an input/output module.

제2 프로세서(44)는 제2 스위치(42)의 개폐상태를 제어하는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44)는 히터(45)가 온도 프로파일에 따라 발열하도록, 제2 스위치(42)의 상태를 개방상태 및 폐쇄상태로 반복하여 전환시키는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second processor 44 may output a second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n/close state of thesecond switch 42 . Thesecond processor 44 may output a second control signal for repeatedly switching the state of thesecond switch 42 into an open state and a closed state so that theheater 45 generates hea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profile.

제2 제어신호는 교류신호(alternate current signal, AC signal)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로세서(44)에서 출력하는 제2 제어신호는 도 11의 우측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은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제2 프로세서(44)는 히터(45)가 요구하는 전력의 듀티 사이클에 따라, 제2 스위치(42)가 폐쇄상태이도록 제2 스위치(42)의 게이트 기준값보다 높은 값을 갖는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개방상태이도록 게이트 기준값보다 낮은 값을 갖는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signal may be an alternate current signal (AC signal). For example, the second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second processor 44 may be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signal as shown in the graph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11 . In addition, thesecond processor 44 controls the second control having a higher value than the gate reference value of thesecond switch 42 so that thesecond switch 42 is in the closed state according to the duty cycle of the electric power required by theheater 45 . A signal may be output, and a second control signal having a value lower than the gate reference value to be in an open state may be output.

도 6에는 제1 프로세서(43)가 히터(45)의 온도값을 입력 받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제2 프로세서(44)가 히터(45)의 온도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제2 프로세서(44)는 온도 센서로부터 히터(45)의 온도를 측정한 센싱값을 직접 입력 받거나, 또는 제1 프로세서(43)를 통해 간접적으로 입력 받을 수 있다. 또는, 제1 프로세서(43) 및 제2 프로세서(44)가 모두 히터(45)의 온도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6 , thefirst processor 43 is illustrated as receiving the temperature value of theheater 45 , but otherwise, thesecond processor 44 may receive the temperature value of theheater 45 . Thesecond processor 44 may directly receive a sensing value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heater 45 from the temperature sensor or may receive an indirect input through thefirst processor 43 . Alternatively, both thefirst processor 43 and thesecond processor 44 may receive the temperature value of theheater 45 .

제2 프로세서(44)는 입력 받은 온도값을 기초로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로세서(44)는 입력 받은 온도값이 안전한 가열 온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제2 스위치(42)가 개방되도록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프로세서(44)는 입력 받은 온도값이 히터(45)의 온도 프로파일을 기준으로 허용 가능한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경우, 제2 스위치(42)가 개방되도록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2 프로세서(44)는 입력 받은 온도값이 비정상적인 경우, 히터(45), 제1 프로세서(43) 등의 고장으로 인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오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히터(45)가 발열하지 않도록 제2 스위치(42)를 개방시키는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second processor 44 may output a second control signal based on the received temperature value. For example, when the input temperature value is out of a safe heating temperature range, thesecond processor 44 may output a second control signal to open thesecond switch 42 . For another example, when the input temperature value is out of an allowable error range based on the temperature profile of theheater 45 , thesecond processor 44 outputs a second control signal so that thesecond switch 42 is opened. can do. That is, when the received temperature value is abnormal, thesecond processor 44 determines tha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malfunctions due to a failure of theheater 45 and thefirst processor 43, and theheater 45 does not generate heat. A second control signal for opening thesecond switch 42 may be output.

제1 프로세서(43)와 제2 프로세서(44)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43)와 제2 프로세서(44)가 수행하는 통신 방식은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로세서(43)와 제2 프로세서(44)가 시리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UART), serial peripheral interface(SPI), inter integrated circuit(I2C)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나열된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Thefirst processor 43 and thesecond processor 44 may perform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method performed by thefirst processor 43 and thesecond processor 44 may be serial communication. For example, a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UART), a serial peripheral interface (SPI), an inter integrated circuit (I2C), etc. may be used for thefirst processor 43 and thesecond processor 44 to perform serial communication. , but not limited to the types listed.

제2 프로세서(44)는 제1 프로세서(43)와의 통신 상태에 따라, 제2 스위치(42)의 개폐상태가 변경되도록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43)가 고장 등으로 인해 오작동하는 경우, 제1 프로세서(43)와 제2 프로세서(44)의 통신 상태가 불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로세서(43)는 오작동으로 인해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 통신 프로토콜에 맞지 않는 신호 등을 출력하거나 무응답 상태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프로세서(43)와 제2 프로세서(44)의 통신 상태가 불량일 수 있다.Thesecond processor 44 may output a second control signal to change the open/closed state of thesecond switch 42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first processor 43 . When thefirst processor 43 malfunctions due to a failure or the like, a communication state between thefirst processor 43 and thesecond processor 44 may be poor. For example, thefirst processor 43 may output white noise, a signal that does not conform to the communication protocol, or the like due to a malfunction, or may be in a non-responsive state, and thus thefirst processor 43 and the second processor ( 44) may be in a bad communication state.

제2 프로세서(44)는 제1 프로세서(43)와의 통신 상태가 불량이 되면, 히터(45)가 발열하지 않도록 제2 스위치(42)를 개방시키는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2 프로세서(44)는 제1 프로세서(43)와의 통신 상태가 불량이 되면, 제1 프로세서(43)가 오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1 프로세서(43)의 오작동 상태에서 히터(45)가 발열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제2 스위치(42)를 개방시키는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first processor 43 is bad, thesecond processor 44 may output a second control signal for opening thesecond switch 42 so that theheater 45 does not generate heat. That is, when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first processor 43 is bad, thesecond processor 44 determines that thefirst processor 43 is malfunctioning, and in the malfunctioning state of thefirst processor 43 , the heater 45 ) may output a second control signal for opening thesecond switch 42 in order to block the heat generation.

또한, 제1 프로세서(43)는 제2 프로세서(44)와의 통신 상태에 따라, 제1 스위치(41)의 개폐상태가 변경되도록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43)는 제2 프로세서(44)와의 통신 상태가 불량이 되면, 제2 프로세서(44)가 오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히터(45)가 발열하지 않도록 제1 스위치(41)를 개방시키는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Also, thefirst processor 43 may output the first control signal so that the open/close state of thefirst switch 41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second processor 44 . When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second processor 44 is bad, thefirst processor 43 determines that thesecond processor 44 is malfunctioning, and opens thefirst switch 41 so that theheater 45 does not generate heat. A first control signal to open may be output.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복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고, 제1 프로세서(43) 및 제2 프로세서(44)가 제1 스위치(41) 및 제2 스위치(42)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1 프로세서(43) 및 제2 프로세서(44)가 서로의 고장을 통신 상태를 통해 판단함으로써, 제1 프로세서(43) 및 제2 프로세서(44)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이 나더라도 히터(45)가 오작동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and thefirst processor 43 and thesecond processor 44 may control thefirst switch 41 and thesecond switch 42 , respectively. In particular, since thefirst processor 43 and thesecond processor 44 determine each other's failure through the communication state, even if any one of thefirst processor 43 and thesecond processor 44 fails, the heater ( 45) can be prevented from malfunctioning.

도 7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 제어 회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heater control circuit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도 7에 도시된 히터 제어 회로는 도 6에 도시된 히터 제어 회로와 비교하였을 때, 제2 프로세서(44)의 출력단과 제2 스위치(42)의 입력단 사이에 커패시터(C1)가 더 포함된다.Compared to the heater control circuit shown in FIG. 6 , the heater control circuit illustrated in FIG. 7 further includes a capacitor C1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second processor 44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second switch 42 .

제2 프로세서(44)는 히터(45)가 요구하는 전력의 듀티 사이클에 따라, 제2 스위치(42)의 개폐상태를 변경시키는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제2 제어신호는 교류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신호는 PWM 신호일 수 있다.Thesecond processor 44 may output a second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open/closed state of thesecond switch 42 according to the duty cycle of the electric power required by theheater 45,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an AC signal. can For example, the second control signal may be a PWM signal.

커패시터(C1)는 입력 신호가 직류신호인 경우 입력 신호를 차단하고, 입력 신호가 교류신호인 경우 입력 신호를 통과시키는 특성을 갖는다.The capacitor C1 blocks the input signal when the input signal is a DC signal, and passes the input signal when the input signal is an AC signal.

제2 프로세서(44)는 정상상태에서 PWM의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다가, 오작동으로 직류신호인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히터(45)가 온도 프로파일에서 벗어난 온도로 발열하거나 과열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44)의 출력단에는 커패시터(C1)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제2 프로세서(44)가 오작동으로 직류신호를 출력하더라도, 커패시터(C1)에 의해 제2 스위치(42)로 제2 신호가 전달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Thesecond processor 44 may output the second control signal of PWM in a normal state, and may output a second control signal that is a DC signal due to a malfunction. In this case, theheater 45 may overheat or heat to a temperature that deviates from the temperature profile. Since the capacitor C1 is mounted on the output terminal of thesecond processor 44, even if thesecond processor 44 outputs a DC signal due to a malfunction, the secon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second switch 42 by the capacitor C1. Transmission may be blocked.

따라서, 제1 프로세서(43) 및 제2 프로세서(44)가 모두 오작동으로 직류신호(예를 들어, 도 11의 좌측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은 파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더라도, 커패시터(C1)에 의해 제2 제어신호가 차단되어 제2 스위치(42)가 개방되므로, 히터(45)가 발열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first processor 43 and thesecond processor 44 both output a DC signal (eg, a control signal of a waveform as in the graph shown on the left of FIG. 11 ) due to a malfunction, the capacitor C1 Since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cut off and thesecond switch 42 is opened, theheater 45 may be blocked from generating heat.

도 8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 제어 회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heater control circuit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 제어 회로는 제1 스위치(41), 제2 스위치(42), 제1 프로세서(43), 히터(45), 및 정류회로(46)를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히터 제어 회로는 도 7에 도시된 히터 제어 회로와 비교하였을 때, 제2 프로세서(44)를 포함하지 않고, 정류회로(46)를 더 포함하며,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The heater control circu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es afirst switch 41 , asecond switch 42 , afirst processor 43 , aheater 45 , and a rectifyingcircuit 46 . Compared to the heater control circuit shown in FIG. 7 , the heater control circuit shown in FIG. 8 does not include thesecond processor 44 and further includes arectifier circuit 46 ,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히터 제어 회로는 정류회로(46)를 포함할 수 있다. 정류회로(46)는 제1 스위치의 입력단들(L, M)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및 제1 프로세서(43)의 출력단(N)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heater control circuit may include a rectifyingcircuit 46 . Therectifier circuit 46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input terminals L and M of the first switch and the output terminal N of thefirst processor 43 .

정류회로(46)는 입력 받은 신호가 교류신호인 경우, 이를 직류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정류회로(46)는 입력 받은 신호가 직류신호인 경우, 이를 차단하여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When the received signal is an AC signal, therectifier circuit 46 may convert it into a DC signal and output it. In addition, when the received signal is a DC signal, therectifier circuit 46 may block it and not output it.

예를 들어, 정류회로(46)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저항들(R1, R2), 커패시터들(C2, C3), 및 트랜지스터(transistor, TR)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는 NPN 트랜지스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 therectifier circuit 46 may include resistors R1 and R2 , capacitors C2 and C3 , and a transistor TR. The transistor may be an NPN transist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저항(R1)과 커패시터(C2)는 제1 스위치(41)의 소스 입력단(L) 및 게이트 입력단(M)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저항(R2), 트랜지스터(TR), 및 커패시터(C3)는 제1 스위치(41)의 게이트 입력단(M) 및 제1 프로세서 출력단(N)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resistor R1 and the capacitor C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urce input terminal L and the gate input terminal M of thefirst switch 41 . In addition, the resistor R2 , the transistor TR, and the capacitor C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input terminal M and the first processor output terminal N of thefirst switch 41 .

정류회로(46)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다른 회로일 수 있으며, 저항, 커패시터, 트랜지스터 이외에도 다이오드 등 다른 전기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rectifier circuit 46 may be a circuit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FIG. 9 , and may include other electrical elements such as diodes in addition to resistors, capacitors, and transistors.

도 8에 도시된 히터 제어 회로가 정류회로(46)를 더 포함함에 따라, 제1 프로세서(43)가 출력하는 제1 제어신호는 교류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신호는 PWM 신호일 수 있다.As the heater control circuit shown in FIG. 8 further includes the rectifyingcircuit 46 , the first control signal output by thefirst processor 43 may be an AC signal. For example, the first control signal may be a PWM signal.

제1 프로세서(43)가 PWM 신호를 출력하면, 정류회로(46)에 의해 직류신호로 변환되어 제1 스위치(41)로 전달되므로, 제1 스위치(41)가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When thefirst processor 43 outputs the PWM signal, it is converted into a DC signal by therectifier circuit 46 and transmitted to thefirst switch 41 , so that thefirst switch 41 can maintain a closed state.

또한, 정류회로(46)가 커패시터(C3)를 포함함에 따라, 제1 프로세서(43)가 출력하는 제1 제어신호가 직류신호인 경우, 제1 스위치(41)가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1 제어신호가 직류신호인 경우 커패시터(C3)에 의해 차단되므로, 제1 스위치(41)가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프로세서(43)가 오작동으로 제1 제어신호를 직류신호로 출력하여도, 정류회로(46)에 의해 차단되어 제1 스위치(41)가 개방될 수 있다.Also, since therectifier circuit 46 includes the capacitor C3 , when the first control signal output by thefirst processor 43 is a DC signal, thefirst switch 41 may maintain an open state. That is, when the first control signal is a DC signal, since it is blocked by the capacitor C3, thefirst switch 41 can be maintained in an open state. Accordingly, even if thefirst processor 43 outputs the first control signal as a DC signal due to a malfunction, thefirst switch 41 may be opened by being blocked by the rectifyingcircuit 46 .

제1 프로세서(43)는 정상상태에서 PWM 신호(예를 들어, 도 11의 우측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은 파형)인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하다가, 오작동으로 직류신호(예를 들어, 도 11의 좌측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은 파형)인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직류신호가 히터(45)로 전달되는 경우, 히터(45)가 온도 프로파일에서 벗어난 온도로 발열하거나 과열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43)가 오작동으로 출력하는 제1 제어신호는 직류신호에 해당하므로, 정류회로(46)에 의해 제1 스위치(41)로 제1 제어신호가 전달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으며, 히터(45)가 발열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Thefirst processor 43 outputs a first control signal that is a PWM signal (eg, a waveform such as a graph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11 ) in a normal state, and malfunctions with a DC signal (eg, in FIG. 11 ).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first control signal (waveform such as the graph shown on the left). When the DC signal is transmitted to theheater 45 , theheater 45 may generate heat or overheat to a temperature deviating from the temperature profile. Since the first control signal output by thefirst processor 43 due to a malfunction corresponds to a DC signal, transmission of the first control signal to thefirst switch 41 by therectifier circuit 46 may be blocked, and the heater (45) can be blocked from generating heat.

또한, 제1 프로세서(43)는 제2 스위치(42)를 제어하기 위해 정상상태에서 PWM 신호를 출력하다가, 오작동으로 직류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커패시터(C1)에 의해 오작동으로 출력된 직류신호가 차단되어 제2 스위치(42)가 개방될 수 있으며, 히터(45)가 발열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Also, thefirst processor 43 may output a DC signal due to a malfunction while outputting a PWM signal in a normal state to control thesecond switch 42 . Even in this case, the DC signal output due to a malfunction by the capacitor C1 may be blocked so that thesecond switch 42 may be opened, and theheater 45 may be blocked from generating heat.

따라서, 하나의 프로세서로 제1 스위치(41) 및 제2 스위치(42)를 제어하더라도, 제1 프로세서(43)의 오작동으로 출력된 신호를 정류회로(46) 및 커패시터(C1)가 차단하므로, 제1 프로세서(43)의 오작동으로 인해 히터(45)가 발열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one processor controls thefirst switch 41 and thesecond switch 42, therectifier circuit 46 and the capacitor C1 block the signal output due to the malfunction of thefirst processor 43, Heating of theheater 45 may be blocked due to a malfunction of thefirst processor 43 .

또한, 커패시터들(C1, C3) 중 어느 하나가 단락(short)되더라도, 다른 하나의 커패시터에 의해 직류신호가 차단되어, 히터(45)가 발열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Also, even if any one of the capacitors C1 and C3 is shorted, the DC signal is blocked by the other capacitor, so that theheater 45 can be blocked from generating heat.

도 10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 제어 회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heater control circuit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도 10에 도시된 히터 제어 회로는 도 7에 도시된 히터 제어 회로와 비교하였을 때, 정류회로(46)를 더 포함한다.The heater control circuit shown in FIG. 10 further includes a rectifyingcircuit 46 as compared with the heater control circuit shown in FIG. 7 .

제1 프로세서(43)가 오작동하는 경우, 제1 프로세서(43)와 제2 프로세서(44)의 통신 상태가 불량이 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44)는 제1 프로세서(43)와의 통신 상태가 불량인 경우, 제1 프로세서(43)가 오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2 스위치(42)가 개방되도록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스위치(42)가 개방됨에 따라, 제1 프로세서(43)가 오작동하는 상태에서 히터(45)가 발열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When thefirst processor 43 malfunctions, a communication state between thefirst processor 43 and thesecond processor 44 may become bad. When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first processor 43 is bad, thesecond processor 44 determines that thefirst processor 43 malfunctions, and outputs a second control signal so that thesecond switch 42 is opened. can As thesecond switch 42 is opened, theheater 45 may be blocked from generating heat in a state in which thefirst processor 43 malfunctions.

마찬가지로, 제2 프로세서(44)가 오작동하는 경우, 제1 프로세서(43)와 제2 프로세서(44)의 통신 상태가 불량이 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43)는 제2 프로세서(44)와의 통신 상태가 불량인 경우, 제2 프로세서(44)가 오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스위치(41)가 개방되도록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스위치(41)가 개방됨에 따라, 제2 프로세서(44)가 오작동하는 상태에서 히터(45)가 발열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Similarly, when thesecond processor 44 malfunctions, the communication state between thefirst processor 43 and thesecond processor 44 may become bad. When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second processor 44 is bad, thefirst processor 43 determines that thesecond processor 44 malfunctions, and outputs the first control signal so that thefirst switch 41 is opened. can As thefirst switch 41 is opened, theheater 45 may be blocked from generating heat in a state in which thesecond processor 44 malfunctions.

또한, 제1 프로세서(43)와 제2 프로세서(44)는 오작동으로 제1 스위치(41)와 제2 스위치(42)가 모두 폐쇄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로세서(43)와 제2 프로세서(44)는 오작동으로 도 11의 좌측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은 직류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제어신호는 정류회로(46)에 의해, 제2 제어신호는 커패시터(C1)에 의해 차단되어, 제1 스위치(41) 및 제2 스위치(42)가 개방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스위치(41) 및 제2 스위치(42)가 개방상태가 됨에 따라, 제1 프로세서(43) 및 제2 프로세서(44)가 모두 오작동하는 경우에도 히터(45)가 발열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first processor 43 and thesecond processor 44 may output a control signal that causes both thefirst switch 41 and thesecond switch 42 to be in a closed state due to a malfunction. For example, thefirst processor 43 and thesecond processor 44 may output a DC signal as shown in the graph shown on the left side of FIG. 11 due to a malfunction. In this case, the first control signal is blocked by therectifier circuit 46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blocked by the capacitor C1, so that thefirst switch 41 and thesecond switch 42 are in an open state. there is. As thefirst switch 41 and thesecond switch 42 are in the open state, theheater 45 may be blocked from generating heat even if both thefirst processor 43 and thesecond processor 44 malfunction. there is.

도 1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heater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도 12를 참조하면, 히터를 제어하는 방법은 도 6 내지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히터 제어 회로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6 내지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히터 제어 회로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12의 히터를 제어하는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heater includes steps processed in time series in the heater control circuit illustrated in FIGS. 6 to 8 and 10 .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content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heater control circuit shown in FIGS. 6 to 8 and 10 are also applied to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heater of FIG. 12, even if omitted below.

단계 S110에서, 제1 프로세서(43)는 제1 스위치(41)의 개폐상태를 제어하는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43)는 히터(45)가 가열되어야 하는 기간 동안 제1 스위치(41)가 폐쇄되고, 그 외의 기간 동안 제1 스위치(41)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In step S110 , thefirst processor 43 may output a first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ning/closing state of thefirst switch 41 . Thefirst processor 43 may output a first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first switch 41 to be closed during the period in which theheater 45 is to be heated, and thefirst switch 41 to be opened during other periods. there is.

단계 S120에서, 제2 프로세서(44)는 제2 스위치(42)의 개폐상태를 제어하는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44)는 히터(45)가 온도 프로파일에 따라 발열하도록, 제2 스위치(42)의 상태를 개방상태 및 폐쇄상태로 반복하여 전환시키는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In step S120 , thesecond processor 44 may output a second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ning/closing state of thesecond switch 42 . Thesecond processor 44 may output a second control signal for repeatedly switching the state of thesecond switch 42 into an open state and a closed state so that theheater 45 generates hea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profile.

단계 S130에서, 제1 프로세서(43)와 제2 프로세서(44)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43)와 제2 프로세서(44)가 수행하는 통신 방식은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로세서(43)와 제2 프로세서(44)가 시리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UART), serial peripheral interface(SPI), inter integrated circuit(I2C)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나열된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In step S130 , thefirst processor 43 and thesecond processor 44 may perform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method performed by thefirst processor 43 and thesecond processor 44 may be serial communication. For example, a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UART), a serial peripheral interface (SPI), an inter integrated circuit (I2C), etc. may be used for thefirst processor 43 and thesecond processor 44 to perform serial communication. , but not limited to the types listed.

단계 S140에서, 제2 프로세서(44)는 제1 프로세서(43)와의 통신 상태에 따라, 제2 스위치(42)의 개폐상태가 변경되도록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로세서(43)는 제2 프로세서(44)와의 통신 상태에 따라, 제1 스위치(41)의 개폐상태가 변경되도록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In step S140 , thesecond processor 44 may output a second control signal so that the open/closed state of thesecond switch 42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first processor 43 . In addition, thefirst processor 43 may output the first control signal so that the open/closed state of thefirst switch 41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second processor 44 .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복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고, 제1 프로세서(43) 및 제2 프로세서(44)가 제1 스위치(41) 및 제2 스위치(42)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1 프로세서(43) 및 제2 프로세서(44)가 서로의 고장을 통신 상태를 통해 판단함으로써, 제1 프로세서(43) 및 제2 프로세서(44) 중 어느 하나가 오작동하더라도 히터(45)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and thefirst processor 43 and thesecond processor 44 may control thefirst switch 41 and thesecond switch 42 , respectively. In particular, since thefirst processor 43 and thesecond processor 44 determine each other's failure through the communication state, even if any one of thefirst processor 43 and thesecond processor 44 malfunctions, theheater 45 can prevent abnormal operation.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related to this embodiment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above description. Therefore, the disclosed methods are to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 에어로졸 생성 장치2: 궐련
11: 배터리12: 제어부
13: 히터14: 증기화기
21, 31: 담배 로드22, 32: 필터 로드
33: 전단 플러그23, 34: 캡슐
24, 35: 래퍼41: 제1 스위치
42: 제2 스위치43: 제1 프로세서
44: 제2 프로세서45: 히터
46: 정류회로
1: aerosol generating device 2: cigarette
11: battery 12: control
13: heater 14: vaporizer
21, 31:tobacco rod 22, 32: filter rod
33:shear plug 23, 34: capsule
24, 35: wrapper 41: first switch
42: second switch 43: first processor
44: second processor 45: heater
46: rectifier circuit

Claims (7)

Translated fromKorean
히터;
상기 히터와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된 제1 스위치;
상기 히터 및 상기 제1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된 제2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의 개폐상태를 제어하는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스위치의 개폐상태를 제어하는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상기 프로세서에서 상기 제1 스위치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상기 프로세서에서 상기 제1 스위치로 전달하도록,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제1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정류회로; 및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제2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heater;
a first switch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heater;
a second switch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heater and the first switch;
a processor configured to output a first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open/close state of the first switch and a second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open/close state of the second switch;
A rectifier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cessor and the first switch to block transmission of the first control signal from the processor to the first switch or to transmit the first control signal from the processor to the first switch ; and
and a capacitor electrically coupled to the processor and the second swit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신호와 상기 제2 제어신호는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are pulse width modulation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aerosol genera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정상 작동으로 출력하는 상기 제1 제어신호는 교류신호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trol signal output by the processor during normal operation is an AC signal,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오작동으로 출력하는 상기 제1 제어신호는 직류신호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trol signal output by the processor as a malfunction is a direct current signal, aerosol genera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회로는 상기 프로세서의 정상 작동으로 출력된 교류신호를 직류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ectifier circuit is configured to convert the AC signal output through the normal operation of the processor into a DC signal and output 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회로는 상기 프로세서의 오작동으로 출력된 직류신호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ectifying circuit is configured to block the DC signal output due to a malfunction of the processor,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는 소스 입력단 및 게이트 입력단을 포함하고,
상기 정류회로는 상기 제1 스위치의 상기 소스 입력단 및 상기 게이트 입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소자 및 상기 게이트 입력단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소자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witch includes a source input terminal and a gate input terminal,
The rectifying circuit comprises at least one electrical elemen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urce input and the gate input of the first switch and at least one electric elemen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input and the processor.
KR1020210048023A2018-12-132021-04-13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erosol to block heat generation of a heater due to malfunctionActiveKR1023854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10048023AKR102385406B1 (en)2018-12-132021-04-13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erosol to block heat generation of a heater due to mal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80161180AKR102242309B1 (en)2018-12-132018-12-13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erosol to block heat generation of a heater due to malfunction
KR1020210048023AKR102385406B1 (en)2018-12-132021-04-13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erosol to block heat generation of a heater due to malfunc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80161180ADivisionKR102242309B1 (en)2018-12-132018-12-13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erosol to block heat generation of a heater due to mal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10043536A KR20210043536A (en)2021-04-21
KR102385406B1true KR102385406B1 (en)2022-04-11

Family

ID=81210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210048023AActiveKR102385406B1 (en)2018-12-132021-04-13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erosol to block heat generation of a heater due to mal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238540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619034B1 (en)2012-09-112016-05-18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 heater to control temperatur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TWI680726B (en)*2014-10-132020-01-01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ic heater in an electrically heated smoking system and electrically heated smoking system
ES2864663T3 (en)*2015-03-262021-10-14Philip Morris Products Sa Heater manage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619034B1 (en)2012-09-112016-05-18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 heater to control tempera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10043536A (en)202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102242309B1 (en)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erosol to block heat generation of a heater due to malfunction
KR102467027B1 (en)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7381162B2 (en) Aerosol generation device using induction heating method and method for generating aerosol using induction heating method
US11590303B2 (en)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a first heater and a second heater,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first and second heaters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140162B1 (en)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7319016B2 (en) Aerosol generator and method of operation
CN110892787B (en)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realizing feedback control function thereof
EP3704968B1 (en)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KR20210042747A (en)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90051785A (en)Method for providing smoking experience using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CN112399805B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3507857B (en)Aerosol generating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262492B1 (en)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22119991A (en)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HEATER OF AEROSOL GENERATOR WITH SIGNAL UNDER CONSTANT FREQUENCY AND AEROSOL GENERATOR THEREOF
KR20210155688A (en)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253051B1 (en)Aerosol generating system
KR20210001323A (en)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heater of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621761B1 (en)Aerosol generating apparatus determining whether aerosol generating article is over-humid state
KR102385406B1 (en)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erosol to block heat generation of a heater due to malfunction
KR102487084B1 (en)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RU2783731C1 (en)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for blocking of heater heat arising as result of incorrect operation
KR20210000205A (en)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aerosol for enhancing transition of nicotine from medium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A107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20210413

Patent event code:PA01071R01D

Filing date:20181213

Application number text:1020180161180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10713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220112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20406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20220407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