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2380094B1 - Ac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joint building including voice message delivery function - Google Patents

Ac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joint building including voice message delivery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094B1
KR102380094B1KR1020210151266AKR20210151266AKR102380094B1KR 102380094 B1KR102380094 B1KR 102380094B1KR 1020210151266 AKR1020210151266 AKR 1020210151266AKR 20210151266 AKR20210151266 AKR 20210151266AKR 102380094 B1KR102380094 B1KR 102380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uilding
cctv
message
c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12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엄연옥
유재훈
Original Assignee
(주)삼경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경엠에스filedCritical(주)삼경엠에스
Priority to KR1020210151266ApriorityCriticalpatent/KR102380094B1/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094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2380094B1/en
Active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전달 기능을 포함한 공동 건물의 출입 관리 시스템은, 건물의 출입구 및 상기 건물 내부 각각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것으로서, 카메라와, 스피커 및 마이크를 구비한 CCTV; 상기 마이크를 매개로 상기 출입구 측 CCTV에 위치한 방문자로부터 상기 공동 건물에 대한 이용인을 호출하는 호출 메시지를 입력받는 입력 모듈, 입력된 호출 메시지를 기반으로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상기 건물 내부 측 CCTV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호출 모듈, 상기 응답 메시지로 호출된 이용인의 음성을 상기 건물 내부 측 CCTV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출입구 측 CCTV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출력 모듈, 상기 이용인의 음성 출력 이후 상기 방문자와 상기 이용인의 양방향 음성 통화를 허가하는 통화 허가 모듈을 포함하는 중앙관제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전달 기능을 포함한 공동 건물의 출입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공동건물에 출입이 허가되어 있지 않은 외부 방문자로 하여금 해당 공동건물을 이용하는 내부 이용인을 CCTV를 매개로 호출 가능하게 하되, 중앙관제서버 상에서 호출 여부 및 메시지에 대한 감시/관리를 가능케 하여 보안성을 높인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ccess management system for a communal building including a voice message delivery function, comprising: a CCTV having a camera, a speaker, and a microphone; An input module that receives a call message for calling a user for the common building from a visitor located at the entrance-side CCTV through the microphone, and sends a response message generated based on the input call message to the speaker of the building-side CCTV A call module for outputting through, an output module for receiving the voice of the user called with the response message through the microphone of the CCTV at the inside of the building and outputting it through the speaker of the CCTV at the entrance, after outputting the user's voice and a central control server including a call permission module for permitting a two-way voice call between a visitor and the user.
According to the access management system of a common building including a voice message deliver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xternal visitor who is not permitted to enter the common building can call an internal user using the common building through CCTV, It has the effect of enhancing security by enabling monitoring/management of calls and messages on the central control server.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음성 메시지 전달 기능을 포함한 공동 건물의 출입 관리 시스템{Ac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joint building including voice message delivery function}Ac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joint building including voice message delivery function

본 발명은 음성 메시지 전달 기능을 포함한 공동 건물의 출입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CCTV에 구비된 스피커를 매개로 외부 출입자 및 건물 내부 이용인의 통신을 가능케 하되, 이를 중앙관제서버 상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건물 출입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 management system for a communal building including a voice message delivery function.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outsiders and users inside the building through a speaker provided in CCTV, but this is performed on the central control server. It relates to a building access management system that can manage and maintain security.

학교, 회사, 그리고 기숙사와 같이 특정인만 출입이 가능한 건물의 경우, 출입하는 자의 신분 확인은 해당 건물의 보안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과거에는 기숙사 방마다 개별적인 열쇠 잠금이나 개별 카드키 등을 사용하여 보안성을 높이곤 하였다.In the case of a building where only specific people can enter, such as a school, company, or dormitory, identification of the person entering is very important for the security of the building. In the past, individual key locks or individual card keys were used in each dormitory room to increase security.

혹은 출입구에 중앙관리실을 두고 경비원이 일일이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가장 확실하게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나 과도한 인건비 부담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Alternatively, there was a method of placing a central management office at the entrance and a security guard checking each one.

또한, 근래에 들어 RFID를 이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이 이용되곤 하는데, RFID는 일정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무선주파수 인식 시스템(Radio Frequency Indentification System)에 적용되어 제품에 관한 각종 정보를 담은 전자칩을 일컫는다.Also, recently, an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is often used. RFID is applied to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that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data in a certain frequency band, and an electronic chip containing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refers to

이러한 RFID 시스템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RFID 태그와, 전파를 보내고 수신하는 송수신안테나를 통해 RFID 태그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거나 해당 RFID 태그에 소정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 리더기로 구성된다. 용도에 따라 물품관리 RFID, 물류/배송용 RFID, 생산품관리 RFID, 창고물품관리 RFID, 도서관리 RFID 등이 있다.The RFID system consists of an RFID tag that stores data, and a reader that reads data stored in the RFID tag or writes and reads predetermined data to the RFID tag through a transmission/reception antenna that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waves. Depending on the use, there are RFID for product management, RFID for logistics/delivery, RFID for product management, RFID for warehouse management, and RFID for library management.

이외에도 RFID는 사업장에 적용되어 사원들에 대한 출입관리수단으로 이용되는데, RFID를 기반으로 한 출입관리수단에 의하면 RFID의 태그에 태그식별자(예컨대, 태그ID)가 기록되고, 이를 RFID 수신기에 접근시키면 RFID 태그에 구성된 안테나를 통해 해당 RFID 태그 저장된 태그식별자가 RFID 수신기로 전송된다.In addition, RFID is applied to workplaces and used as an access control means for employees. According to the RFID-based access control means, a tag identifier (eg, tag ID) is recorded in the RFID tag, and when it approaches the RFID receiver, it A tag identifier stored in the corresponding RFID tag is transmitted to the RFID receiver through the antenna configured in the RFID tag.

이러한 RFID를 이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으로서, 한국 등록특허 10-1910640호에 ‘출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As an access control system using RFI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10640 discloses an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상기 발명은 출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출입구에 인접하게 설치되되 소정의 RFID 태그가 부착된 출입증의 접근 시 상기 RFID 태그를 감지하여 상기 RFID 태그에 내장된 고유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식별부와, 상기 출입구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구를 통과하는 출입자를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카메라와, 상기 RFID 태그가 감지되는 시간 동안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출입자에 대응하는 객체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객체 정보의 움직임 변화량에 기초한 방향 정보를 생성하는 객체 방향 정보 생성부와, 상기 고유 식별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방향 정보를 각각 매칭하여 저장하는 매칭부와, 상기 영상의 전체 프레임 영역을 상기 출입구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 범위에 속하는 영역마다 구획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설정하는 구역 설정부와, 상기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되 상기 구역별로 화면상에서 서로 구분되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RFID 태그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고유 식별정보에 기초한 출입자 정보를 상기 화면상의 상기 고유 식별정보에 매칭되는 방향 정보에 대응되는 구역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which are installed adjacent to an entrance of a building and detect the RFID tag when a pass attached with a predetermined RFID tag is approached to recogniz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mbedded in the RFID tag. After extracting ob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unit, the occupant is installed around the entrance and the camera that captures the image of the person passing through the doorway in real time, and from the image acquired during the time when the RFID tag is detected An object direc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direc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amount of motion change of the object information, a matching unit that matches and stores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ing direction information, respectively, and the entire frame area of the image at the entrance A zone setting unit that sets at least one zone by dividing each region with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based on In this cas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occupant information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verlaid o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screen.

그러나 상기 발명의 경우 출입 관리에만 요점을 뒀을 뿐, 해당 건물을 방문한 방문자가 건물 내부 이용인에 대한 호출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 등은 존재하지 아니한다는 한계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invention, only the main point is focused on access control, and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re is no configuration in which a visitor who visits the building can make a call to a user inside the building.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건물에 방문한 외부 방문자가 해당 건물의 출입이 허가된 내부 이용인을 호출할 수 있도록 하되, 호출 내용을 중앙관제서버가 감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건물에 대한 보안성을 높인, 건물 출입 관리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 external visitor who has visited a building can call an internal user who is permitted to enter the building, but the central control server can monitor and manage the content of the call to control the building. The need to develop a building access management system with improved security is emerging.

본 발명은 건물 내외부에 위치한 CCTV에 구비된 마이크 및 스피커를 매개로 건물에 출입이 허가되어 있지 않은 외부 방문자와 건물의 출입이 허가된 내부 이용인 사이의 호출을 가능케 한 건물 출입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ilding access management system that enables calls between external visitors who are not permitted to enter the building and internal users who are permitted to enter the building through the microphone and speaker provided in the CCTV located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to the main purpo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물 내부 이용인이 위치한 층을 타겟팅하여 건물 내부 CCTV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liver a voice message through the speaker of the CCTV inside the building by targeting the floor where the user is located inside the build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물 출입구 CCTV에서 입력된 호출 메시지를 자동 분석하여 이용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자동 생성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generate a response message for the user by automatically analyzing the call message input from the CCTV at the entrance to the building.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내부 이용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암호화를 수행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erform encryption of a database in which information about internal users is stor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전달 기능을 포함한 공동 건물의 출입 관리 시스템은, 건물의 출입구 및 상기 건물 내부 각각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것으로서, 카메라와, 스피커 및 마이크를 구비한 CCTV; 상기 마이크를 매개로 상기 출입구 측 CCTV에 위치한 방문자로부터 상기 공동 건물에 대한 이용인을 호출하는 호출 메시지를 입력받는 입력 모듈, 입력된 호출 메시지를 기반으로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상기 건물 내부 측 CCTV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호출 모듈, 상기 응답 메시지로 호출된 이용인의 음성을 상기 건물 내부 측 CCTV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출입구 측 CCTV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출력 모듈, 상기 이용인의 음성 출력 이후 상기 방문자와 상기 이용인의 양방향 음성 통화를 허가하는 통화 허가 모듈을 포함하는 중앙관제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ccess management system of a common building including a voice message deliver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least one at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and the inside of the building, the CCTV having a camera, a speaker, and a microphone ; An input module that receives a call message for calling a user for the common building from a visitor located at the entrance-side CCTV through the microphone, and sends a response message generated based on the input call message to the speaker of the building-side CCTV A call module for outputting through, an output module for receiving the user's voice called with the response message through the microphone of the CCTV inside the building and outputting it through the speaker of the CCTV on the entrance side, after outputting the user's voice and a central control server including a call permission module for permitting a two-way voice call between a visitor and the user.

나아가, 상기 건물 내부 측 CCTV는, 각각의 층마다 구비되고,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이용인의 이름 및 상기 이용인이 위치한 층의 위치정보를 저장한 이용인 DB를 포함하며, 상기 호출 모듈은, 상기 호출 메시지의 내용과 상기 이용인 DB를 비교 처리하여 상기 이용인이 위치하는 층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위치 파악부와,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파악된 위치정보의 CCTV의 스피커로 출력하는 메시지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the CCTV on the inside of the building is provided on each floor, and the central control server includes a user DB that stores the name of the user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loor where the user is located, and the call module is a location determining unit that compares and processes the content of the call message with the user DB to determin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loor where the user is located, and outputs the generated response message to the speaker of the CCTV of the identified location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essage output unit.

더하여, 상기 호출 모듈은, 상기 호출 메시지에 대응되는 응답음성의 세트를 저장하는 응답음성 DB와, STT(Sound-to-Text) 기능을 기반으로 상기 호출 메시지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텍스트 변환부 및, 상기 텍스트로 변환된 호출 메시지와 대응되는 응답음성을 기반으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파악부는, 상기 텍스트의 내용과 상기 이용인 DB를 비교 처리하여 상기 이용인이 위치하는 층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lling module includes: a response voice DB for storing a set of response voices corresponding to the calling message; and a text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calling message into text based on a sound-to-text (STT) function; and a mess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 response message based on a response voice corresponding to the call message converted into the text, wherein the location determining unit compares and processes the content of the text with the user DB to determine where the user is loca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grasp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loor.

또한,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이용인이 소지한 스마트폰의 현재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실시간 위치 파악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모듈은,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상기 현재 위치정보 인근에 구비된 CCTV의 스피커로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server includes a real-time location determination module for identify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possessed by the user, and the output module transmits the generated response message to a CCTV provided near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unction to output to the speaker.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전달 기능을 포함한 공동 건물의 출입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ac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common building including the voice message deliver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공동건물에 출입이 허가되어 있지 않은 외부 방문자로 하여금 해당 공동건물을 이용하는 내부 이용인을 CCTV를 매개로 호출 가능하게 하되, 중앙관제서버 상에서 호출 여부 및 메시지에 대한 감시/관리를 가능케 하여 보안성을 높였고,1) Allows external visitors who are not permitted to enter the communal building to call internal users using the communal building through CCTV, but enables monitoring/management of calls and messages on the central control server for security raised the castle,

2) 건물 내부 층마다 CCTV를 구비함과 동시에 해당 이용인이 위치한 층의 CCTV를 타겟팅하여 이용인에 대한 호출을 가능케 함으로써 불필요한 정보가 다른 사람에게도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고,2) Each floor of the building is equipped with CCTV,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information from being transmitted to other people by targeting the CCTV of the floor where the user is located and making a call to the user.

3) 음성의 형식으로 입력되는 호출 메시지의 자동 분석 및 분석된 내용을 기반으로 응답 메시지를 자동 생성토록 하여 시스템 관리자가 직접 호출 메시지의 분석 및 응답 메시지의 생성을 수행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불편함을 해소하였을 뿐 아니라,3) Automatic analysis of the call message input in the form of voice and automatic generation of a response message based on the analyzed content to solve the inconvenience that may occur when the system administrator directly analyzes the call message and generates a response message not only did

4) 이용인의 이름이나 해당 이용인이 위치하는 층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이용인DB의 데이터를 암호화할 수 있도록 하여 개인정보 보호 효과가 있다.4) It has the effect of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by enabling encryption of the data of the user DB including the name of the user o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loor where the user is located.

삭제delete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중앙관제서버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3은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건물 내부를 나타낸 개념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central control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interior of a building including a plurality of floor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like reference numbers in each drawing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공동 건물의 출입 관리 시스템은 공동이 이용하는 건물, 즉 기숙사, 회사, 요양 병원, 학교와 같은 공동 건물에 있어 내부 방문이 허락되지 않은 방문자가 접근하였을 때, 중앙관제서버(2)를 매개로 내부 방문이 허락된 자인 등록인과 방문자 간의 소통을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c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common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rmediaries thecentral control server 2 when a visitor who is not permitted to visit inside in a common building such as a dormitory, a company, a nursing hospital, or a school approaches the common build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the registrant and the visitor, who are permitted to visit inside.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러한 본 발명의 음성 메시지 전달 기능을 포함한 공동 건물의 출입 관리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CCTV(1)와 중앙관제서버(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 the access management system for a common building including the voice message delivery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configured to include aCCTV 1 and acentral control server 2 .

CCTV(1)는 공동 건물(3), 줄여서 건물의 출입구 인근 및 해당 건물 내부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출입구 인근 및 건물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11)와 스피커(12), 마이크(1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CCTV (1) is a common building (3),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is provided near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and inside the building for short, and acamera 11 and aspeaker 12, a microphone ( 13)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따라서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CCTV(1)는 공동 건물(3)의 외부 출입구 및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며, 나아가 해당 공동 건물(3)의 내부에 복수개의 호실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각각의 호실의 내부나 출입구 인근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므로 CCTV(1)는 공동 건물(3)의 내/외부에 대한 감시 및 보호를 위한 장치라 할 수 있다.Therefore, basically, the CCTV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external entrance and the inside of the common building (3), and further, when a plurality of rooms are provided inside the common building (3), the inside of each room It may be provided near the entrance or exit. Therefore, the CCTV (1) can be said to be a device for monitoring and protection of the inside / outside of the common building (3).

이러한 CCTV(1)는 출입구 인근이나 건물 내부, 나아가 건물 내부의 호실 인근의 벽면의 일 측에 설치되는 종래의 CCTV를 생각할 수 있으며, 혹은 마이크(13), 스피커(12), 카메라(11)를 포함하는 별도의 CCTV(1)가 기립 설치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Such CCTV (1) can be considered a conventional CCTV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all near the entrance or inside the building, furthermore, near the room inside the building, or themicrophone 13, thespeaker 12, and thecamera 11 It is also possible that a separate CCTV (1) including the standing installation is installed.

나아가 본 발명의 CCTV(1)는 카메라(11)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스피커(12) 및 마이크(13)를 함께 포함하므로, 스피커(12) 및 마이크(13)를 통해 음성 기반의 호출 메시지의 발신 및 전달메시지 수신이 가능하다.Furthermore, since theCCTV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not only thecamera 11 but also thespeaker 12 and themicrophone 13, the transmission of a voice-based call message through thespeaker 12 and themicrophone 13 And it is possible to receive a forwarding message.

중앙관제서버(2)는 공동 건물(3)의 출입구 인근에 구비된 CCTV(1)의 마이크(13)를 통해 방문자가 입력한 호출 메시지를 기반으로 공동 건물(3)에 대한 출입 및 이용이 허가된 자인 이용인에게 제공될 음성 형태의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공동 건물(3)의 내부에 구비된 CCTV(1)의 스피커(12)를 기반으로 출력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동 건물(3)의 출입 관리에 있어 음성 형태로 전달되는 메시지의 전달 기능을 구현하는 주체가 된다 할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server (2) permits access to and use of the common building (3) based on the call message input by the visitor through the microphone (13) of the CCTV (1) provided near the entrance of the common building (3). It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a response message in the form of a voice to be provided to a user who is a registered user, and outputting it based on thespeaker 12 of theCCTV 1 provided in thecommon building 3 .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n the access management of thecommon building 3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aid to be a subject implementing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a message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voice.

이러한 중앙관제서버(2)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부 및 전송수단을 구비한 상태에서 CPU와 저장수단을 구비한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 CPU에서 수행될 소프트웨어에 의해 후술할 일련의 모듈 및 이의 구체적 기능이 도출될 수 있다.Thecentral control server 2 means hardware having a CPU and a storage means in a state of having a communication unit and a transmission means to perform communication, and a series of modules and their A specific function can be derived.

이와 같은 중앙관제서버(2)는 중앙처리장치(CPU) 및 메모리와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수단을 구비한 하드웨어 기반에서 중앙처리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즉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일련의 구체적 구성을 '모듈' 및 '부', '인터페이스'라는 구성 단위로서 후술할 예정이다.Such a central control server (2) i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n a hardware basis having storage means such as a memory and a hard disk, that is, software is installed and the software can be executed. A series of specific configurations of such software will be described later as structural units called 'modules', 'parts', and 'interfaces'.

이러한 중앙관제서버(2)는 이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앙관제서버(3)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central control server 2 temporarily and/or permanently stores signals (or data) processed therein. RAM (Random Access Memory, not shown) and ROM (ROM: Read-Only Memory, not shown) city), and may include a processor. In addition, thecentral control server 3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ystem on chip (SoC) including at least one of a graphic processing unit, RAM, and ROM.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include one or more cores (not shown) and a graphic processing unit (not shown) and/or a connection path (eg, a bus, etc.)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other components.

메모리에는 후술할 모듈 내지 부의 실행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The memory may store programs (one or more instructions) for executing and controlling a module or a unit to be described later.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odules according to functions.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relation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directly in hardware, as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hardware, or by a combination thereof. A software module may contain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flash memory, hard disk, removable disk, CD-ROM, or It may reside in any type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즉,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That is,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or application) to be executed in combination with a computer, which is hardware, and stored in a medium.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programming or software components, and similarly, embodiments may include various algorithms implemented as data structures, processes, routines, or combinations of other programming constructs, including C, C++ , may be implemented in a programming or scripting language such as Java, assembler, or the like. Functional aspects may be implemented in an algorithm running on one or more processors.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메인 서버(포스서버)의 저장수단에 설치 및 저장된 상태에서 CPU 및 메모리를 매개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 내지 ASIC과 같은 하드웨어의 일 구성을 의미한다. 이때, '모듈' 또는 '부', '인터페이스'라는 구성은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고,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se 'modules' or 'parts' or 'interfaces' is installed and stored in the storage means of the main server (force server), and software executed via CPU and memory or hardware such as FPGA or ASIC. it means. In this case, the configuration of 'module', 'unit', and 'interface' is not limited to hardware, and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일 예로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As an example, 'module' or 'part' or 'interface'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and properties. It includes fields, procedure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Functions provided by these 'modules' or 'units' or 'interface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units' or 'modules' or additional components and 'units' or 'modules' can be further separated.

이하, 이와 같은 거시적 구성을 기반으로 이에 대한 세부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and func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based on such a macroscopic configur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중앙관제서버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central control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음성 메시지 전달 기능을 포함한 공동 건물의 출입 관리 시스템은 입력 모듈(100), 호출 모듈(200), 출력 모듈(300), 그리고 통화 허가 모듈(400)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access management system of a common building including a voice message delivery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module 100 , a call module 200 , an output module 300 , and a call permission module 400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asically included.

입력 모듈(100)은 공동 건물(3)의 출입구 인근에 구비된 CCTV(1), 즉 출입구 측 CCTV(1)를 매개로 외부 방문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CCTV(1)에 구비된 마이크(13)를 매개로 감지된 외부 방문자로부터 호출 메시지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input module 100 detects the approach of an external visitor through theCCTV 1 provided near the entrance of thecommon building 3, that is, theCCTV 1 on the entrance side, and themicrophone 13 provided in the CCTV 1 ) to receive a call message from an external visitor detected as a medium.

이를 위해 출입구 CCTV(1), 그중에서도 CCTV(1)에 포함된 카메라(11)를 매개로 방문자의 접근을 감지하도록 하고, 방문자의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 출입구 측 CCTV(1)에 구비된 마이크(13)를 매개로 하여 호출 메시지를 입력받는다.To this end, the entrance CCTV (1), among them, thecamera 11 included in the CCTV (1) to detect the approach of the visitor, and when the approach of the visitor is detected, themicrophone 13 provided in the entrance side CCTV (1) ) to receive a call message as a parameter.

이때 호출 메시지라 함은 본 발명의 공동 건물(3)의 내부에 대해 접근 및 출입이 허가되어 공동 건물(3)을 이용하고 있는 이용인에 대한 호출을 수행하는 메시지를 일컫는다. 예를 들어 ‘1124호 OOO 로비에서 엄마가 기다리고 있다고 전달 부탁드립니다.’ 등의 메시지가 호출 메시지가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all message refers to a message for making a call to a user who is using thecommon building 3 by accessing and entering the inside of thecommon building 3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message such as ‘Please deliver that Mom is waiting in the lobby of #1124 OOO’ can be a call message.

다시 말해, 공동 건물(3) 내부에 대한 출입이 허가되어 있지 않은 방문자가 공동 건물(3) 내부를 이용하거나 내부에 출입이 허가되어 있는 이용인에 대한 호출을 수행하는 것인데, 이때 음성을 이용한 호출을 위해 CCTV(1)의 일 측에 구비된 마이크(13)를 매개로 호출 메시지를 입력하여 이용인에 대한 호출을 수행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a visitor who is not permitted access to the inside of thecommon building 3 uses the inside of thecommon building 3 or makes a call to a user who is permitted to enter the inside, at this time calling using voice. For this purpose, it can be said that a call to a user is performed by inputting a call message through themicrophone 13 provided on one side of theCCTV 1 as a medium.

호출 모듈(200)은 입력된 호출 메시지를 기반으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공동 건물(3)의 내부에 위치한 CCTV(1), 다시 말해 건물 내부 측 CCTV(1)의 스피커(12)를 통해 출력하여 공동 건물(3) 내부에 있는 이용인을 실제로 호출할 수 있다.The call module 200 generates a response message based on the input call messag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response message to theCCTV 1 located inside thecommon building 3, that is, the speaker ( 12) can be output to actually call the user in thecommon building 3 .

이때 응답 메시지의 생성 방식에 있어서는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스피커(12)를 통해 출력될 수 있는, 일반적으로는 사운드 형식의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를 공동 건물(3)의 내부 측 CCTV(1)의 스피커(12)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re is no limitation in the method of generating the response message, a response message that can be output through thespeaker 12, generally in the form of a sound, is generated, and it is transmitted through the speaker of theCCTV 1 on the inside of thecommon building 3 It is output through (12).

이를 위해서는 시스템 관리자가 호출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하고, 그를 기반으로 ‘1124호 OOO는 어머님이 호출하셨으니 지금 CCTV 앞으로 와주시길 부탁드립니다’와 같은 응답 메시지를 시스템 관리자가 음성을 직접 입력하여 생성한 뒤, 건물 내부 측 CCTV(1)의 스피커(12)를 통해 출력 처리할 수 있다.To do this, the system administrator checks the content of the call message, and based on that, the system administrator directly inputs and creates a response message such as 'Your mother called #1124 OOO, so please come to the front of the CCTV now'. Output can be processed through thespeaker 12 of the CCTV (1) inside the building.

혹은 시스템 상에서 생성된 호출 메시지를 STT(sound-to-text) 기능을 통해 분석 처리한 후, 해당 내용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건물 내부 측 CCTV(1)의 스피커(12)로 출력하여 이용인으로 하여금 방문자가 본인을 호출하고 있는 것을 알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ernatively, after analyzing and processing the call message generated on the system through the STT (sound-to-text) function, a response message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automatically generated and the generated respons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speaker (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output as 12) so that the user knows that the visitor is calling the user.

이러한 호출 모듈(200)은 기본적으로 중앙관제서버(2)에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는 바, 호출 메시지에 대한 검증 작업을 중앙관제서버(2)에서 거치게 되어 호출 메시지를 바로 이용인에게 전달하는 것이 아닌, 서버 관리자, 또는 서버 자체에 대한 호출 메시지의 검증을 거친 후 그에 따라 건물 내부 이용인에 대한 호출을 가능케 한다. 따라서 외부 방문자가 내부 이용인을 마음대로 호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The call module 200 basically generates a response message in thecentral control server 2, and thecentral control server 2 undergoes verification of the call message, so that the call message is not directly delivered to the user. After verifying the call message to , the server manager, or the server itself, it enables calls to users inside the building accordingl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external visitors from freely calling internal users, thereby enhancing security.

출력 모듈(300)은 응답 메시지로 호출된 이용인의 음성을 건물 내부 측 CCTV(1)의 마이크(13)를 통해 입력받아 출입구 측 CCTV(1)의 스피커(12)를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응답 메시지를 통해 이용인을 건물 내부 측 CCTV(1) 측으로 오도록 호출 처리하고, 건물 내부 측 CCTV(1)에 구비된 마이크(13)를 매개로 이용인의 음성을 입력받아 이를 출입구 측에 위치한 CCTV(1)의 스피커(12)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이용인이 남긴 음성 형태의 메시지를 방문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The output module 300 receives the user's voice called as a response message through themicrophone 13 of the CCTV (1) inside the building and outputs it through thespeaker 12 of the CCTV (1) at the entrance. do. This process calls the user to come to the CCTV (1) inside the building through a response message, receives the user's voice through themicrophone 13 provided in the CCTV (1) inside the building, and places it at the entrance. By outputting through thespeaker 12 of the CCTV (1), it is possible to deliver a message in the form of a voice left by the user to the visitor.

따라서 이를 통해 호출 메시지를 기반으로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전달받은 이용인으로 하여금, 방문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음성의 형태로 입력받도록 하여 이를 방문자에게 전달 처리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rough this, the user who receives the response message generated based on the call message receives the message to be provided to the visitor in the form of a voice, so that it can be delivered to the visitor.

이때 이용인이 남긴 음성의 경우 공동 건물(3)을 이용하는 검증된 자가 남긴 메시지이므로, 별도의 시스템 차원의 검증 작업 없이 방문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메시지 전달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voice left by the user is a message left by a verified person using thecommon building 3, it can be delivered to the visitor without a separate system-level verification process, thereby increasing the message delivery speed.

마지막으로, 통화 허가 모듈(400)을 통해 방문자와 이용인의 양방향 통화를 허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인의 음성 출력 이후, 즉 방문자->이용인->방문자로의 음성 형태의 메시지 전달 이후로 방문자 및 이용인의 양방향 통화를 출입구 측 CCTV(1) 및 건물 내부 CCTV(1)를 매개로 이루어지도록 허가함으로써 방문자 및 이용인 사이의 통화를 가능케 한다.Finally, a two-way call between the visitor and the user may be permitted through the call permission module 400 . Therefore, after the user's voice output, that is, after the delivery of a voice message to the visitor->user->visitor, the two-way call between the visitor and the user is carried out through the CCTV(1) at the entrance and the CCTV(1) inside the building. By allowing it to be done, it allows for calls between visitors and users.

즉 중앙관제서버(2)에서 이용인의 음성을 출입구 측 CCTV(1)의 스피커(12)로 출력한 다음, 출입구 측 CCTV(1)와 건물 내부 측 CCTV(1)의 통화 기능을 허가하여, 방문자-이용인이 출입구 측 CCTV(1), 건물 내부 측 CCTV(1) 각각에 구비된 스피커(12) 및 마이크(13)를 이용하여 양방향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허가하는 것이다.That is, thecentral control server 2 outputs the user's voice to thespeaker 12 of theCCTV 1 at the entrance, and then permits the call function between theCCTV 1 at the entrance and theCCTV 1 at the inside of the building, This is to allow the visitor-user to make a two-way call using thespeaker 12 and themicrophone 13 provided in each of theCCTV 1 on the entrance side and theCCTV 1 on the inside of the building.

따라서 방문자->이용인을 향한 1차 메시지 전달, 그리고 이용인->방문자를 향한 2차 메시지 전달 이후로 상호간의 인터랙티브 서비스 중 하나인 양방향 음성 통화를 허가하도록 하여, 중앙관제서버(2) 상에서 연결이 허용된 방문자와 이용인 간의 통화를 중개한다.Therefore, two-way voice call, which is one of the interactive services between each other, is allowed after the delivery of the first message to the visitor->user and the delivery of the second message to the user->visitor, and is connected on the central control server (2) Intermediate calls between these permitted visitors and users.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음성 메시지 전달 기능을 포함한 공동 건물의 출입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방문자가 이용인에 대한 호출을 수행할 시 중앙관제서버(2) 상에서 방문자의 호출 내용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 뒤, 이용인에게 메시지를 제공하고, 이용인으로 하여금 그에 대한 답장을 받아 방문자에게 전달한 뒤 상호간의 통화를 가능케 한다.According to the access management system of a common building including a voice message delivery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visitor makes a call to a user, after verifying the call content of the visitor on thecentral control server 2, A message is provided to the user, and the user receives a reply and delivers it to the visitor, enabling mutual calls.

따라서 CCTV(1)를 통한 출입 관리 서비스에 음성 메시지 전달 기능을 부가하되, 방문자가 남긴 메시지를 이용인에게 바로 전달하는 것이 아닌 시스템 차원의 검증 과정을 거쳐 전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출입 관리 대상인 공동 건물(3)에 대한 보안성을 높인 효과가 있다.Therefore, a voice message delivery function is added to the access management service through the CCTV (1), but the message left by the visitor is not directly delivered to the user, but passed through a system-level verification process to determine whether to deliver the message,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security for the common building (3).

도 3은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건물 내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interior of a building including a plurality of floors.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바람직하게 공동 건물(3)의 경우 단층으로 이루어지기 보다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 바, 바람직하게는 건물 내부 모든 층에 위치한 CCTV(1)를 통해 호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 보다는, 호출된 이용인이 위치하여 이용중인 층의 CCTV(1)를 통해 호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preferably, in the case of thecommon building 3, it is common to have a plurality of floors rather than a single storey. Preferably, a call message is delivered through theCCTV 1 located on all floors inside the building. Rather than doing so,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transmit a call message through theCCTV 1 of the floor in which the called user is located.

따라서 이용인이 이용한 층을 타겟팅하여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공동 건물(3) 내부 측 CCTV(1)는 건물의 각각의 층마다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만약 건물이 아파트, 오피스텔과 같이 층 뿐 아니라 복수의 호실을 포함하는 경우, 건물 내부 측 CCTV(1)는 층 별로, 호실 별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refore, the CCTV (1) inside the common building (3) is preferably provided for each floor of the building so that the user can target the floor used by the user and deliver the message. Furthermore, if the building includes a plurality of rooms as well as a floor, such as an apartment or an officetel, theCCTV 1 on the inside of the building may be provided for each floor and each room.

나아가 이와 같이 공동 건물(3) 내부 측 CCTV(1)가 각각의 층마다 구비되는 경우, 중앙관제서버(2)는 해당 건물을 이용하는 이용인이 어느 층을 이용하는 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이용인 DB(500)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CCTV 1 on the inside of thecommon building 3 is provided on each floor, thecentral control server 2 stores information on which floor the user using the building uses in order to store the information on which floor the user uses. DB 500 may be included.

이용인 DB(500)는 공동 건물(3)에 출입이 허용된 복수의 이용인에 대한 이름, 성별, 생년월일, 나아가 해당 이용인이 위치하는 층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해당 공동 건물(3)에 출입이 가능하도록 허용된 모든 출입자인 이용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The user DB 500 stores names, genders, and dates of birth for a plurality of users who are permitted to enter thecommon building 3, and furthermo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loor where the user is located, and the common building 3 ), it can be said that it stores information on users who are all allowed access to.

또한 이용인 DB(500)가 저장하는 정보는 이용인의 이름, 성별, 생년월일 뿐 아니라 해당 공동 건물(3)이 학교의 기숙사인 경우 해당 이용인의 학과 및 학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공동 건물(3)이 회사인 경우 근무처 및 근무팀에 대한 정보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stored by the user DB 500 may include not only the user's name, gender, and date of birth, but also information about the user's department and student number if thecommon building 3 is a school dormitory, If thecommon building 3 is a company, information about the place of work and the work team may be included together.

따라서 이용인 DB(500)는 복수의 이용인에 대한 이름을 오름차순별 또는 성별별로 구분하여 복수의 이용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해당 공동 건물(3)을 이용하는 모든 이용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Therefore, the user DB 500 can store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users by classifying the names of the plurality of users by ascending order or by gender, and preferably to all users using thecommon building 3 It is based on storing information about

이와 같이 이용인 DB(500)에 해당 건물의 출입이 허가된 이용인의 개인정보 및 해당 이용인이 위치하여 이용하는 층의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경우, 상술한 호출 모듈(200)은 이용인 DB(500)에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이용인이 위치한 층에 구비된 CCTV에만 응답 메시지를 호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호출 모듈(200)은 위치 파악부(210)와 메시지 출력부(220)를 포함한다.In this way, when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who is permitted to enter the building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loor where the user is located and used are stored in the user DB 500 , the above-described calling module 200 is the user DB ( 500), it is possible to call a response message only to the CCTV provided on the floor where the user is located. To this end, the calling module 200 includes a location determining unit 210 and a message outputting unit 220 .

위치 파악부(210)는 이용인 DB(500)를 기반으로 호출 메시지의 내용과 이용인 DB(500)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 처리하여 호출 대상인 이용인이 위치하는 층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호출 메시지의 내용은 해당 건물을 이용하는 이용인 중 어느 하나를 호출하고자 하는 메시지이므로, 해당 이용인을 특정할 수 있는 이름이나 학번, 성별, 나이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210 compares the content of the call message with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DB 500 based on the user DB 500 to determin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loor where the user who is the call target is located. carry out In general, since the content of the call message is a message to call any one of the users using the building, it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name, student number, gender, age, etc. that can specify the user.

기본적으로는 호출 메시지가 최소한 호출 대상이 되는 이용인의 이름을 포함할 수 있는 바, 호출 메시지에 포함된 내용을 이용인 DB(500)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 처리하여 이용인 DB에(500) 포함된 복수의 이용인에 대한 정보 중에서 호출 대상이 되는 이용인의 정보를 특정하도록 하고, 그를 기반으로 특정된 이용인이 위치한 층의 위치정보를 파악한다.Basically, the call message can contain at least the name of the user who is the call target, and the content included in the call message is compared with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DB 500 and included in the user DB 500 The information of the user to be called is specified from among the information on the plurality of users,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loor where the specified user is located is grasped based on the information.

예를 들어 공동 건물(3)이 기숙사인 경우, 김OO라는 이용인이 해당 기숙사의 1124호를 이용한다고 가정하자. 만약 호출 메시지로서 ‘김OO 호출 부탁드립니다.’라는 내용이 입력된 경우, 입력된 호출 메시지를 이용인 DB(500)에 저장된 다양한 이용인의 정보와 비교 처리하여 호출 대상이 김OO인 것을 특정하고, 김OO가 1124호를 이용하는 것을 판단하는 것이다.For example, if thecommon building 3 is a dormitory, assume that a user named OO Kim uses room 1124 of the dormitory. If 'Please call Kim OO' is input as a call message, the entered call message is compared with information of various users stored in the user DB 500 to specify that the call target is Kim OO , to determine whether Kim OO uses room 1124.

그 후, 호출 모듈(200)의 기본 구성을 통하여 응답 메시지를 생성토록 하고, 메시지 출력부(200)를 통해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파악된 위치정보에 위치한 CCTV(1)의 스피커(12)를 통하여 출력하게 된다.After that, a response message is generated through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calling module 200, and the response message generated through the message output unit 200 is transmitted through thespeaker 12 of theCCTV 1 located in the identified location information. will output

예를 들어 호출 메시지를 통한 호출 대상자인 이용인이 해당 건물의 11층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해당 이용인이 위치하는 층의 위치정보가 11층으로 확인됨에 따라 메시지 출력부는 11층에 위치한 CCTV(1)의 스피커(12)를 통해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이다. 나아가 호수까지 특정되는 경우, 예를 들어 1124호에 호출 대상인 이용인이 위치하는 경우 1124호 인근에 위치한 CCTV(1)의 스피커(12)를 통해 응답 메시지를 호출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a user who is a call target through a call message is using the 11th floor of the building. At this time,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loor where the user is located is confirmed to be the 11th floor, the message output unit outputs a response message generated through thespeaker 12 of theCCTV 1 located on the 11th floor. Furthermore, when the lake is specified, for example, when the user who is the call target is located in the number 1124, the response message may be called through thespeaker 12 of theCCTV 1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number 1124.

따라서 해당 건물 내부 측의 모든 CCTV(1)에 위치된 스피커(12)로 응답 메시지를 전부 출력하지 않으므로 불필요하게 특정 이용인에 대한 호출 내용이 담긴 응답 메시지가 건물 내부 전체에 출력되는 것을 막도록 하고, 사적인 내용이 일부 담길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특정 이용인이 위치하는 층에만 응답 메시지를 타겟팅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정보 보호성을 높일 수 있게 하였다.Therefore, it does not output all response messages to thespeakers 12 located in allCCTVs 1 on the inside side of the building, so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response message containing the call details for a specific user from being output to the entire inside of the building. ,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some private contents may be includ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information protection by targeting and outputting the response message only on the floor where a specific user is located.

더불어 상술한 설명에서 호출 메시지를 기반으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함에 있어 STT 기능을 기반으로 한 시스템 상에서의 자동 응답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하였는데, 이에 대한 세부 구성으로써 본 발명의 호출 모듈(200)은 응답음성 DB(230), 텍스트 변환부(240), 메시지 생성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in generating a response message based on the call message, an automatic response function on the system based on the STT function can be used. As a detailed configuration for this, the calling modul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sponse voice. It may include a DB 230 , a text converter 240 , and a message generator 250 .

응답음성 DB(230)는 호출 메시지에 대응되는 응답음성의 세트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응답음성의 세트라 함은 호출 메시지가 ‘OOO를 호출합니다.’라는 내용일 경우 그에 해당하는 응답음성은 ‘방문자로부터 OOO님에 대한 호출이 발생했습니다. 정문 출입구로 가주시길 바랍니다,’ 등의 메시지일 수 있다. 즉 특정 호출 메시지에 포함된 키워드 등을 기반으로 하여, 해당 키워드에 대해 자동으로 응답하는 내용을 저장하는 것이다. 이는 시스템 상에서 미리 저장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응답음성 세트 생성 방식이나 저장 방식, 종류, 개수 등에 있어서는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는다.The response voice DB 230 performs a function of storing a set of response voices corresponding to the call message. For example, as for the set of response voices, if the call message is 'Call OOO', the corresponding response voice is 'A call to OOO from a visitor has occurred. Please go to the front door,” and so on. That is, based on a keyword included in a specific call message, the contents of automatically 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keyword are stored. It is based on being stored in advance on the system, and there is no special restriction on the method of generating or storing the response voice set, the type, number, etc.

텍스트 변환부(240)는 STT(Sound-to-Text) 기능을 기반으로 입력된 호출 메시지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상술한 호출 모듈(200)에 대한 설명에서도 나타난 바와 같이, 음성인식 기능을 통해 음성의 형태로 입력된 호출 메시지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는 종래의 STT 기술을 이용한 음성인식 관련 내용을 참조하면 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text conversion unit 240 performs a function of converting an input call message into text based on a sound-to-text (STT) function. This is based on converting a call message input in the form of voice into text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as shown in the description of the call module 200 described above. This may refer to the contents related to voice recognition using the conventional STT technology, and thus a separ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메시지 생성부(250)는 텍스트로 변환된 호출 메시지와 대응되는 응답음성을 기반으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응답음성 DB(230)에 저장된 응답음성의 세트 중에서, 입력된 호출 메시지와 대응되는 응답음성을 추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때 응답음성 자체가 응답 메시지가 될 수도 있으며, 혹은 호출 메시지의 여러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고, 각각의 키워드마다 응답음성의 세트가 있는 경우 복수의 응답음성 세트가 조합된 것이 응답 메시지가 될 수도 있다.The message generating unit 25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a response message based on a response voice corresponding to the call message converted into text. That is, from among the set of response voices stored in the response voice DB 230 , a response voice corresponding to the input call message is extracted and a response message is generated based on this. In this case, the response voice itself may be a response message, or if several keywords of a call message are included and there is a set of response voices for each keyword,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sponse voice sets may be a response message.

따라서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생성된 응답 메시지가 건물 내부 측 CCTV(1)의 스피커(12)를 통해 출력되는 것인데, 이때 바람직하게 위치 파악부(210)를 통해 이용인이 위치하는 층의 CCTV(1)에 구비된 스피커(12)를 통해 응답 메시지가 출력된다 하였다.Therefore, the response message generated in this way is output through thespeaker 12 of theCCTV 1 on the inside of the building. A response message is output through thespeaker 12 provided in the .

나아가 보다 바람직하게는 위치 파악부(210)가 변환된 텍스트의 내용, 다시 말해 호출 메시지가 변환된 텍스트의 내용과 이용인 DB(500)를 비교 처리하여 호출된 이용인이 위치하는 층의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해당 층에 위치한 CCTV(1)의 스피커(12)로 응답 메시지를 호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Furthermore, more preferably, the location determining unit 210 compares and processes the content of the converted text, that is, the content of the converted text of the call message with the user DB 500 to provid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loor where the called user is located. It would be more preferable to identify and call the response message to thespeaker 12 of the CCTV (1) located on the corresponding floor.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시스템 상에서 호출 메시지를 자동 분석하고 응답 메시지를 자동 생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스템 관리자가 응답 메시지를 직접 녹음하거나 일일이 생성 처리할 필요 없이 자동화된 프로세스를 가능케 할 수 있다.Through such a configuration, the system administrator can enable an automated process without the need to manually record the response message or create and process the response message by automatically analyzing the call message and automatically generating the response message on the system.

더불어, 이용인 DB(500)를 매개로 특정 이용인이 상시 위치하는 층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이용인이 소지한 스마트폰을 매개로 이용인의 건물 내에서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그를 기반으로 해당 층의 스피커를 통하여 응답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identify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loor where a specific user is always located through the user DB 500 as a medium,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user's building is obtained through the smartphone possessed by the user as a medium. It is also possible to identify and output a response message through the speaker of the corresponding floor based on it.

이를 위해 중앙관제서버(2)는 실시간 위치 파악모듈(600)을 포함하여 이용인이 소지한 스마트폰의 현재 위치정보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스마트폰의 실시간 위치정보 전송 기능과 연동되어 이용인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위치정보 접근 권한을 허가받아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공동 건물(3) 내부에 호수마다, 층마다 비콘 등을 설치하고 비콘이 송출하는 비콘 신호를 이용인이 소지한 스마트폰에서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비콘 신호를 이용인의 스마트폰이 수신했냐에 따라 해당 이용인이 어느 층에, 어느 호실에 위치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To this end, thecentral control server 2 may include a real-time location determination module 600 to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possessed by the user. This can be done by interlocking with th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function of the smartphone and receiving permission to access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s smartphone. More preferably, any beacon signal is received by the user's smartphone by installing a beacon, etc. on each lake and on each floor in thecommon building 3 and allowing the user's smartphone to detect the beacon signal transmitted by the beacon. Depending on what you have done, you can figure out which floor the user is in and in which room.

이 경우 출력 모듈(300)은 생성된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이용인의 스마트폰을 매개로 파악된 현재 위치정보 인근에 구비된 CCTV(1)의 스피커(12)로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하도록 하여, 해당 이용인이 현재 위치하는 층이나 호실 인근의 CCTV(1)의 스피커(12)로 응답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이용인이 현재 위치하는 층이나 호실에 타겟팅하여 응답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utput module 300 includes a function of outputting the generated response message to thespeaker 12 of theCCTV 1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the user's smartphone as a medium, By outputting a response message to thespeaker 12 of theCCTV 1 near the floor or room where the user is currently located, the response message can be provided by targeting the floor or room where the user is currently located.

나아가 상술한 중앙관제서버(2)는, 해당 건물을 이용하는 복수의 이용인에 대한 이름이나 이용하는 층의 정보를 이용인 DB(500)에 저장하고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용인 DB(50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일종의 개인정보로써, 해당 이용인의 이름, 생년월일, 성별 뿐 아니라 휴대폰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it was said that the above-describedcentral control server 2 stores names of a plurality of users using the building or information on the floors used by the users in the DB 500 . Accordingly, the data stored in the user DB 500 is a kind of personal information, and may include the user's name, date of birth, gender, as well as a mobile phone number.

따라서 이와 같은 이용인 DB(500)의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중앙관제서버(2)는 암호화 모듈(700)을 포함하여 이용인 DB(500)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암호화할 수 있고, 이 경우 이용인 DB(500)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ata of the user DB 500 is encrypted and stored. For this purpose, thecentral control server 2 includes the encryption module 700 to encrypt the data stored in the user DB 500. In this case, the user DB 500 stores the encrypted data.

나아가 이와 같은 암호화 모듈(70)이 포함되는 경우 암호화된 이용인 DB의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 구성이 포함되어야 함은 물론인데, 이를 위해 중앙관제서버(2)는 복호화 모듈(800)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if such an encryption module 70 is included, of course, the decryption configuration for the data of the encrypted DB must be included. For this purpose, thecentral control server 2 may include the decryption module 800 together. there is.

복호화 모듈(800)은 인증 요청부(810) 및 접근 허용부(820)를 포함하여 암호화된 이용인 DB(500)에 저장된 데이터, 즉 이용인 DB(500)의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하는 것인데, 먼저 인증 요청부(810)는 암호화된 이용인 DB(500)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기 설정된 비밀번호에 대한 입력을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비밀번호는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기 설정된 것일 수 있으며 이용인 DB(500)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이 허용된 자들에 한해, 즉 시스템 관리자들에 한해 공유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The decryption module 800 decrypts the data stored in the encrypted user DB 500 including the authentication request unit 810 and the access permission unit 820, that is, the data of the user DB 500. , first, the authentication request unit 810 performs a function of requesting an input of a preset password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access to data of the DB 500 that is encrypted use is received. In this case, the password may be preset by the system administrator, and is based on sharing only with those who are permitted to access the data of the user DB 500 , that is, only with the system administrators.

따라서 누군가가 이용인 DB(500)의 데이터에 대한 읽기 권한을 요청하거나, 이용인 DB(500) 자체에 접속하려 하는 경우 기 설정된 비밀번호에 대한 입력을 요청하여 접근을 시도하는 자가 해당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이 있는 자인지 확인한다.Therefore, when someone requests read permission for the data of the user DB 500 or tries to access the user DB 500 itself, the person who tries to access the data by requesting the input of a preset password has access to the data Check that you are authorized.

접근 허용부(820)는 입력된 비밀번호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암호화된 이용인 DB(500)의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이용인 DB(500)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입력된 비밀번호가 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암호화된 이용인 DB(500)의 데이터를 복호화 처리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한 자가 해당 이용인 DB(500)의 데이터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게 한다.The access permitting unit 820 performs a function of allowing access to the data of the user DB 500 by decrypting the encrypted data of the user DB 500 according to whether the input password matches. That is, when the input password matches the preset password, the encrypted data of the DB 500 is decrypted to allow the person who entered the password to access the data of the DB 500 that is the user.

따라서 이와 같은 암호화-복호화 구성을 통해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이용인 DB(500)에 대한 데이터 보안을 높이도록 하여, 외부인이나 접근 권한이 없는 자가 이용인 DB(500)의 데이터에 접근하여 해킹을 시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rough this encryption-decryption configuration, the data security for the DB 500 that stores personal information is increased, and an outsider or a person without access rights accesses the data of the user DB 500 and attempts hacking. can be prevented from doing

이때 암호화 모듈(700)은 이용인 DB(500)에 저장된 데이터, 즉 이용인 DB(500)의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암호화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므로 공지의 암호화 방식에 채택된 비밀키 암호화 또는 공개키 암호화 등을 통하여 이용인 DB(500)의 데이터의 암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혹은 후술할 본 방식의 보이드 데이터(void data) 삽입을 통한 암호화 역시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전달 기능을 포함한 공동 건물의 출입 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At this time, the encryption module 700 performs a function of encrypting the data stored in the user DB 500, that is, the data of the user DB 500. Here, since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encryption method, the secret adopted for the known encryption method Data of the user DB 500 may be encrypted through key encryption or public key encryption. Alternatively, encryption by inserting void data in this metho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also possible.
As described so fa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ac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common building including the voice message deliver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express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It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1 : CCTV 11 : 카메라
12 : 스피커 13 : 마이크
2 : 중앙관제서버 3 : 공동 건물
100 : 입력 모듈 200 : 호출 모듈
210 : 위치 파악부 220 : 메시지 출력부
230 : 응답음성 DB 240 : 텍스트 변환부
250 : 메시지 생성부 300 : 출력 모듈
400 : 통화 허가 모듈 500 : 이용인 DB
600 : 실시간 위치 파악모듈 700 : 암호화 모듈
800 : 복호화 모듈 810 : 인증 요청부
820 : 접근 허용부
1: CCTV 11: Camera
12: speaker 13: microphone
2: Central control server 3: Common building
100: input module 200: calling module
210: positioning unit 220: message output unit
230: response voice DB 240: text conversion unit
250: message generator 300: output module
400: call permission module 500: user DB
600: real-time location identification module 700: encryption module
800: decryption module 810: authentication request unit
820: access permission unit

Claims (9)

Translated fromKorean
음성 메시지 전달 기능을 포함한 공동 건물의 출입 관리 시스템으로서,
건물의 출입구 및 상기 건물 내부의 각 층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카메라와 스피커 및 마이크를 구비한 CCTV;
상기 마이크를 매개로 상기 출입구 측 CCTV에 위치한 방문자로부터 상기 공동 건물에 대한 이용인을 호출하는 호출 메시지를 입력받는 입력 모듈과, 상기 이용인의 이름 및 상기 이용인이 위치한 층의 위치정보를 저장한 이용인 DB 및, 입력된 호출 메시지를 기반으로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상기 건물 내부 측 CCTV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호출 모듈과, 상기 응답 메시지로 호출된 이용인의 음성을 상기 건물 내부 측 CCTV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출입구 측 CCTV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출력 모듈 및, 상기 이용인의 음성 출력 이후 상기 방문자와 상기 이용인의 양방향 음성 통화를 허가하는 통화 허가 모듈을 포함하는 중앙관제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호출 모듈은,
상기 호출 메시지의 내용과 상기 이용인 DB를 비교 처리하여 상기 이용인이 위치하는 층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위치 파악부와,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파악된 위치정보의 CCTV의 스피커로 출력하는 메시지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건물의 출입 관리 시스템.
As an access management system for a communal building including a voice message delivery function,
CCTV equipped with a camera, a speaker, and a microphone as provided on each floor inside the building and at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An input module for receiving a call message for calling a user for the common building from a visitor located in the CCTV at the entrance side through the microphone, and storing the name of the user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loor where the user is located A call module for outputting a user DB and a response message generated based on the input call message through the speaker of the CCTV inside the building, and the microphone of the CCTV on the inside of the building for the voice of the user called with the response message A central control server including an output module that receives input through and outputs through a speaker of the CCTV at the entrance, and a call permission module that permits a two-way voice call between the visitor and the user after the user's voice output; includes; but,
The calling module is
A location determining unit that compares the content of the call message with the user DB to determin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loor where the user is located, and a message output for outputting the generated response message to the CCTV speaker of the identified location information An access management system for a common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모듈은,
상기 호출 메시지에 대응되는 응답음성의 세트를 저장하는 응답음성 DB와,
STT(Sound-to-Text) 기능을 기반으로 상기 호출 메시지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텍스트 변환부 및,
상기 텍스트로 변환된 호출 메시지와 대응되는 응답음성을 기반으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파악부는,
상기 텍스트의 내용과 상기 이용인 DB를 비교 처리하여 상기 이용인이 위치하는 층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건물의 출입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alling module is
a response voice DB for storing a set of response voices corresponding to the call message;
a text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call message into text based on a sound-to-text (STT) function; and
and a mess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 response message based on a response voice corresponding to the call message converted into the text,
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An access management system for a common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of the text and the user DB are compared and processed to determin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loor where the user is loca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이용인이 소지한 스마트폰의 현재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실시간 위치 파악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모듈은,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상기 현재 위치정보 인근에 구비된 CCTV의 스피커로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건물의 출입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entral control server,
and a real-time location determination module for identify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possessed by the user;
The output module is
The access management system of a common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unction of outputting the generated response message to a speaker of a CCTV provided near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저장된 상기 이용인 DB의 데이터에 보이드 데이터(void data)를 삽입하여 암호화하는 암호화 모듈 및,
암호화된 이용인 DB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기 설정된 비밀번호에 대한 입력을 요청하는 인증 요청부 및, 입력된 비밀번호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암호화된 이용인 DB의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상기 이용인 DB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접근 허용부를 포함하는 복호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건물의 출입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entral control server,
An encryption module that inserts and encrypts void data in the stored data of the user DB;
An authentication request unit that requests input of a preset password as a request for access to data in the encrypted user DB is received, and decrypts the data in the encrypted user DB according to whether the entered password matches or not An access management system for a common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ecryption module including an access permission unit that allows access to the data of the DB.
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
KR1020210151266A2021-11-052021-11-05Ac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joint building including voice message delivery functionActiveKR1023800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10151266AKR102380094B1 (en)2021-11-052021-11-05Ac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joint building including voice message delivery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10151266AKR102380094B1 (en)2021-11-052021-11-05Ac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joint building including voice message delivery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102380094B1true KR102380094B1 (en)2022-03-29

Family

ID=80995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210151266AActiveKR102380094B1 (en)2021-11-052021-11-05Ac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joint building including voice message delivery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238009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240035018A (en)2022-09-082024-03-15주식회사 코맥스Visit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itor response service by recognizing visitor
KR102733428B1 (en)2024-05-292024-11-25(주)삼경엠에스Security management system for communal buildings including energy-saving featur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0939579B1 (en)*2009-04-282010-01-29메타빌드주식회사System for duplex transmission of ubiquitous ap
KR101475177B1 (en)*2014-05-202014-12-22정효정Emergency call-closed circuit televi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0939579B1 (en)*2009-04-282010-01-29메타빌드주식회사System for duplex transmission of ubiquitous ap
KR101475177B1 (en)*2014-05-202014-12-22정효정Emergency call-closed circuit televi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240035018A (en)2022-09-082024-03-15주식회사 코맥스Visit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itor response service by recognizing visitor
KR102733428B1 (en)2024-05-292024-11-25(주)삼경엠에스Security management system for communal buildings including energy-saving featur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9589398B2 (en)Distribution of premises access information
US9058025B2 (en)Standalone biometric authoriza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JP6840568B2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authentication method
JP6081859B2 (en) Entrance / exit management system and entrance / exit management method
KR102380094B1 (en)Ac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joint building including voice message delivery function
JP2004127142A (en)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and entrance / exit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the same
JP2009003805A (en)Validity authentication system and validity authentication method
KR20160050841A (en)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entrance and exit
JP5513234B2 (en) Visitor management device
JP2001175601A (en)Guarantee system for uniqueness of access right
JPWO2019017440A1 (en) Admission management system and admission management method
KR101638585B1 (en)entrance system exploiting smart phone
JP2008025278A (en)Comings/going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2415769B1 (en)User authentication apparatus
JP2022135182A (en) Visitor management system and visitor management method
KR102296406B1 (en)Entran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60109899A (en)Mobile, doorlock management method using the mobile and recording media storing program performing the said method
KR102295480B1 (en)User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ccess to an industrial control system
KR102309592B1 (en)Building gate management system by beacon
KR20220080283A (en)Door-lock apparatus based on one time password
JP7542691B2 (en) User identification system and user identification method
KR20210027965A (en)A gate controlling method based on a password broadcast using near-field broadcasting and system for the same
JP2022512497A (en) Processing system
RU2825278C1 (en)Method of controlling and managing access
JP2003141664A (en) Security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via network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211105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20211116

Patent event code:PA03022R01D

Comment text: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20211105

Patent event code:PA03021R01I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20119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220322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20324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20220324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