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2374185B1 - Exercise device for training triceps brachii muscle - Google Patents

Exercise device for training triceps brachii mus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185B1
KR102374185B1KR1020200132537AKR20200132537AKR102374185B1KR 102374185 B1KR102374185 B1KR 102374185B1KR 1020200132537 AKR1020200132537 AKR 1020200132537AKR 20200132537 AKR20200132537 AKR 20200132537AKR 102374185 B1KR102374185 B1KR 102374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tation frame
rotation
user
ch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5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변현정
Original Assignee
(주)뉴텍웰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텍웰니스filedCritical(주)뉴텍웰니스
Priority to KR1020200132537ApriorityCriticalpatent/KR102374185B1/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185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2374185B1/en
Active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은 상완삼두근 단련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초보자도 손쉽게 상완삼두근을 발달시킬 수 있으며 상완삼두근의 발달이 대칭적이게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ㄷ'자 형태를 이루며 양단이 전방을 향하게끔 지면에 놓여지는 제1 고정프레임;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서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시트와, 사용자의 등이 지지되는 등받이를 포함하면서 제1 고정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전방을 향해 앉을 수 있는 의자; 상기 의자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 고정프레임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형성되어 상단이 등받이보다 상측에 위치하면서 제1 고정프레임의 끝단과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두 개의 제2 고정프레임; 개방된 링 형태를 이루어 의자의 후방을 둘러싸면서 양단이 두 개의 제2 고정프레임의 상단에 힌지결합되고, 시트보다 후방측에 중량물이 끼워지는 제1 회동프레임; 'ㄷ'자 형태를 이루며 양단이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시트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1 회동프레임의 두 지점에 힌지결합되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바;를 포함하여,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가 팔꿈치를 구부려 손바닥이 상측을 향하도록 손잡이바를 잡은 후, 팔꿈치가 펴지게끔 손잡이바를 들어올리며 상완삼두근을 단련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완삼두근 단련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device for training the triceps brachii so that even beginners can easily develop the triceps brachii and develop the triceps brachii effectively symmetrically and effectively. a first fixed frame placed on the ground; A chair including a seat on which the user's buttocks is se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nd a backrest on which the user's back is supported and provided inside the first fixed frame so that the user can sit forward; two second fixed frames formed upward from the first fixed frame portion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hair and positioned above the backrest and positioned at points corresponding to the ends of the first fixed frame; a first rotating frame formed in an open ring shape to surround the rear of the chair, both ends of which are hinged to the upper ends of the two second fixed frames, and a weight is fitted on the rear side of the seat; A user seated on the chair, including; a handle bar that is hinged to two points of the first rotation frame, which is in the shape of a 'C' and is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seat so that both ends face downward, and is held by the user; It relates to an exercise device for training triceps brachii, characterized in that after bending and holding the handle bar so that the palm faces upward, the triceps brachii muscle can be trained by lifting the handle bar so that the elbow is straightened.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상완삼두근 단련용 운동기구{Exercise device for training triceps brachii muscle}Exercise device for training triceps brachii muscle {Exercise device for training triceps brachii muscle}

본 발명은 상완삼두근 단련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완삼두근을 효과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는 상완삼두근 단련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device for training the triceps brachii,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xercise device for training the triceps brachii which can effectively develop the triceps brachii.

신체의 근육 중 상완삼두근은, 팔 뒤쪽에 있는 기다란 근육으로 삼두박근이라고도 하며, 팔꿈치 이완과 어깨근육을 자유롭게 해주는 주요 근육이다. 이러한 상완삼두근은 팔 위쪽 어깨의 뒷부분과 팔꿈치 뒷부분까지 연결되어 있으며, 3개의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어, 팔꿈치를 굽히고 펴는 동작을 하기 위하여 팔이두근과 함께 움직인다.Among the muscles of the body, the triceps brachii is a long muscle in the back of the arm, also called the triceps, and is a major muscle that relaxes the elbow and frees the shoulder muscles. The triceps brachii is connected to the back of the upper arm and the back of the shoulder, and consists of three muscles, and moves together with the biceps in order to bend and straighten the elbow.

상완삼두근을 발달시키기 위하여, 트라이셉스 프레스 다운 케이블 운동법, 벤치 프레스 - 바벨, 클로즈 그립 운동법, 트라이셉스 익스텐션 - 덤벨, 오버세드 운동법을 실시하고 있다. 트라이셉스 프레스 다운 케이블 운동법은, 사용자가 선 상태에서 케이블 바를 어깨너비보다 좁게 잡고 무릎을 약간 굽힌 후, 팔꿈치를 옆구리에 고정시키고, 삼두근의 힘으로 팔꿈치를 아래쪽으로 펴고 팔꿈치를 90°정도 구부리는 운동법이다. 또한, 벤치 프레스 - 바벨, 클로즈 그립 운동법은, 벤치에 누워 엉덩이와 어깨를 벤치에 밀착시키고 허리를 아치형으로 만든 다음, 바벨을 어깨너비보다 약간 좁게 잡고 들어올린 후, 가슴의 하단부분까지 바벨을 내렸다가 삼두근의 힘을 이용하여 다시 바벨을 들어올리는 운동법이다. 그리고 트라이셉스 익스텐션 - 덤벨, 오버세드 운동법은, 어깨너비로 다리를 벌리고 덤벨의 한쪽을 두 손으로 포개어 잡은 후, 손바닥이 위쪽을 향하게 하여 머리 위로 쭉 올린 다음, 팔꿈치를 머리 측면에 고정시키고 팔꿈치를 구부리며 덤벨을 천천히 머리 뒤로 내렸다가 팔꿈치를 펴는 느낌으로 덥벨을 들어올리는 운동법이다.In order to develop the triceps triceps, the triceps press down cable exercise method, bench press - barbell, close grip exercise method, triceps extension - dumbbell exercise method, and oversed exercise method are implemented. The triceps press down cable exercise method is an exercise method in which the user holds the cable bar narrower than shoulder width in a standing state, bends the knee slightly, fixes the elbow to the side, straightens the elbow with the power of the triceps, and bends the elbow by 90° am. Also, in the bench press - barbell, close grip exercise, you lie on a bench, put your hips and shoulders in close contact with the bench, arch your back, hold the barbell slightly narrower than shoulder width, lift it up, and lower the barbell to the lower part of your chest. This is an exercise that uses the power of the triceps to lift the barbell again. And for the triceps extension-dumbbell, oversed exercise, spread your legs shoulder-width apart, hold one side of the dumbbell on top of each other with both hands, raise your palms facing upwards, and then straighten your elbows to the side of your head and place your elbows on the side of your head. This is an exercise in which you slowly lower the dumbbell behind your head while bending it, and then lift the dumbbell up as if you were extending your elbow.

상완삼두근을 발달시키기 위한 운동을 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이 몸이 앞뒤로 흔들리는 등 균형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것인데, 상술한 트라이셉스 프레스 다운 케이블 운동법, 벤치 프레스 - 바벨, 클로즈 그립 운동법, 트라이셉스 익스텐션 - 덤벨, 오버세드 운동법은, 모두 사용자가 스스로 몸의 균형이 유지되도록 하면서 하여야 하는바, 초보자가 이러한 운동법을 수행하기 어려움은 물론, 숙련자라 하더라도 자칫 균형이 흔들릴 경우 근육발달의 비대칭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In doing the exercise to develop the triceps brachii,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prevent the body from swaying back and forth, etc., so that the balance does not shake. The oversed exercise method should be done while the user keeps his or her body in balance, so it is difficult for beginners to perform this exercise method, and even for an expert, if the balance is shaken,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asymmetry of muscle development. .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48827호 '웨이트 운동기구'1.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48827 'weight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초보자도 손쉽게 상완삼두근을 발달시킬 수 있으며 상완삼두근의 발달이 대칭적이게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완삼두근 단련용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ercise device for training the triceps brachii in which even beginners can easily develop the triceps brachii and effectively develop the triceps brachii in a symmetrical mann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상완삼두근 단련용 운동기구는, 'ㄷ'자 형태를 이루며 양단이 전방을 향하게끔 지면에 놓여지는 제1 고정프레임;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서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시트와, 사용자의 등이 지지되는 등받이를 포함하면서 제1 고정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전방을 향해 앉을 수 있는 의자; 상기 의자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 고정프레임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형성되어 상단이 등받이보다 상측에 위치하면서 제1 고정프레임의 끝단과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두 개의 제2 고정프레임; 개방된 링 형태를 이루어 의자의 후방을 둘러싸면서 양단이 두 개의 제2 고정프레임의 상단에 힌지결합되고, 시트보다 후방측에 중량물이 끼워지는 제1 회동프레임; 'ㄷ'자 형태를 이루며 양단이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시트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1 회동프레임의 두 지점에 힌지결합되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바;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ercise device for training triceps brachii, comprising: a first fixed frame in a 'C' shape and placed on the ground so that both ends face forward; A chair including a seat on which the user's buttocks is se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nd a backrest on which the user's back is supported and provided inside the first fixed frame so that the user can sit forward; two second fixed frames formed upward from the first fixed frame portion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hair and positioned above the backrest and positioned at points corresponding to the ends of the first fixed frame; a first rotating frame formed in an open ring shape to surround the rear of the chair, both ends of which are hinged to the upper ends of the two second fixed frames, and a weight is fitted on the rear side of the seat; It includes; a handle bar which is hinged to two points of the first rotation frame positioned behind the seat so that both ends face downward in a 'C' shape and gripped by the user.

또한, 상기 제1 회동프레임은, 적어도 손잡이바의 일단이 결합된 부분에, 손잡이바가 수직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예각을 이루는 지점까지만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제한구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rotation frame may be provided with a rotation limiting mechanism that rotates only to a point where at least one end of the handle bar is coupled to the point at which the handle bar forms an acute ang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또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판 형태를 이루면서 제1 고정프레임의 후단 중앙부에 기립되게 구비되는 두 개의 지지판; 바(bar) 형태를 이루면서 마주하게 구비된 두 개의 지지판 상부 사이에 구비되어, 전후방향으로 회전되게끔 하단이 결합되고 상단에 제1 회동프레임이 놓여질 수 있는 제2 회동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회동프레임은, 전후방향으로 회전되는 각도가 제한되며, 최전방에 위치될 시 제1 회동프레임이 상단에 의해 지지되고, 상단으로부터 제1 회동프레임이 이격될 시 탄성적으로 후방을 향해 회전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forming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wo support plates provided to stand in the center of the rear end of the first fixed frame; It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two support plates facing each other while forming a bar shape, the lower end is coupled to rotat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second rotating frame in which the first rotating frame can be placed on the upper end; further comprising, The second rotation frame, the angle of rota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limited, the first rotation frame is supported by the upper end when positioned in the front, and elastically rotates toward the rear when the first rotation frame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can be

또한, 상기 제2 회동프레임과 둔각을 이루게끔 제2 회동프레임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지지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3 회동프레임; 상기 의자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 고정프레임 부분을 잇는 제3 고정프레임; 둔각을 이루게끔 절곡된 바(bar) 형태를 이루면서 일단이 의자보다 전방에 위치되고 타단이 시트보다 후방에 위치되며, 상하방향으로 회전되게끔 절곡된 지점이 제3 고정프레임에 결합되는 제4 회동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회동프레임과 제4 회동프레임이 연동됨에 따라, 상기 제4 회동프레임의 일단은, 제2 회동프레임이 최전방에 위치될 시 최하측에 위치되고, 제2 회동프레임이 최후방에 위치될 시 최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rotation frame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rotation frame to form an obtuse angle with the second rotation frame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plate; a third fixed frame connecting the first fixed frame portion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hair; Forming a bar bent to form an obtuse angle, one end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chair and the other end is positioned in the rear of the seat, and the bent point to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coupled to the third fixed frame. Frame; further comprising, as the third rotation frame and the fourth rotation frame are interlocked, one end of the fourth rotation frame is located at the lowermost side when the second rotation frame is positioned at the forefront, and the second rotation frame When the frame is positioned in the rearmost part, it may be positioned in the uppermost part.

또한, 'Z'자 형태를 이루며, 일단이 상기 의자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회동프레임부분에 결합되고, 제1 회동프레임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게끔 일단으로부터 두번째 절곡된 지점이 제2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5 회동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forming a 'Z' shape, one end is coupled to the first rotational frame portion located on one side of the chair, and the second fixed frame is a second fixed frame with a second bent point from one end to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ational frame. A fifth rotation frame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에 따르면,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가 팔꿈치를 구부려 손바닥이 상측을 향하도록 손잡이바를 잡은 후, 팔꿈치가 펴지게끔 손잡이바를 들어올리며 양팔의 상완삼두근을 단련시킬 수 있는바, 초보자도 흔들림없이 몸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상완삼두근을 발달시킬 수 있으며, 특히 양팔의 상완삼두근을 대칭적이게 발달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 user seated in a chair bends the elbow and holds the handle bar so that the palm faces upward, the user can train the triceps brachii of both arms by lifting the handle bar so that the elbow is straightened. It is possible to develop the triceps brachii while maintaining balance, and in particular, the triceps brachii of both arms can be developed symmetrically.

도 1은 본 발명인 상완삼두근 단련용 운동기구를 보여주는 정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상완삼두근 단련용 운동기구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상완삼두근 단련용 운동기구를 보여주는 배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상완삼두근 단련용 운동기구에 적용되는 제1 회동프레임과 손잡이바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인 상완삼두근 단련용 운동기구를 등받이의 각도 조절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확대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인 상완삼두근 단련용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상완삼두근을 단련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
1 is an orthographic view showing an exercise device for training the triceps brachii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howing an exercise device for training the triceps brachii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ercise device for training the triceps brachii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rotation frame and the handle bar applied to the exercise device for training the triceps brachii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angle adjustment structure of the back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raining the triceps brachii,
6 and 7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state of training the triceps brachii muscle using the exercise device for training the triceps brachii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초보자도 손쉽게 상완삼두근을 발달시킬 수 있으며 상완삼두근의 발달이 대칭적이게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ㄷ'자 형태를 이루며 양단이 전방을 향하게끔 지면에 놓여지는 제1 고정프레임;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서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시트와, 사용자의 등이 지지되는 등받이를 포함하면서 제1 고정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전방을 향해 앉을 수 있는 의자; 상기 의자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 고정프레임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형성되어 상단이 등받이보다 상측에 위치하면서 제1 고정프레임의 끝단과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두 개의 제2 고정프레임; 개방된 링 형태를 이루어 의자의 후방을 둘러싸면서 양단이 두 개의 제2 고정프레임의 상단에 힌지결합되고, 시트보다 후방측에 중량물이 끼워지는 제1 회동프레임; 'ㄷ'자 형태를 이루며 양단이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시트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1 회동프레임의 두 지점에 힌지결합되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바;를 포함하여,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가 팔꿈치를 구부려 손바닥이 상측을 향하도록 손잡이바를 잡은 후, 팔꿈치가 펴지게끔 손잡이바를 들어올리며 상완삼두근을 단련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완삼두근 단련용 운동기구를 제안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beginners can easily develop the triceps brachii, and so that the development of the triceps brachii can be symmetrically and effectively, a first fixed frame in a 'U' shape and placed on the ground so that both ends face forward; A chair including a seat on which the user's buttocks is se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nd a backrest on which the user's back is supported and provided inside the first fixed frame so that the user can sit forward; two second fixed frames formed upward from the first fixed frame portion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hair and positioned above the backrest and positioned at points corresponding to the ends of the first fixed frame; a first rotating frame formed in an open ring shape to surround the rear of the chair, both ends of which are hinged to the upper ends of the two second fixed frames, and a weight is fitted on the rear side of the seat; A user seated on the chair, including; a handle bar that is hinged to two points of the first rotation frame, which is in the shape of a 'C' and is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seat so that both ends face downward, and is held by the user; We propose an exercise device for training the triceps brachii,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train the triceps brachii by bending the handlebar to hold the handlebar so that the palm faces upward, and then lifting the handlebar so that the elbow is straightened.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인 상완삼두근 단련용 운동기구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xercise device for training the triceps brachii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S. 1 to 7 .

본 발명인 상완삼두근 단련용 운동기구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프레임(100), 의자(200), 두 개의 제2 고정프레임(300), 제1 회동프레임(400), 손잡이바(50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or's exercise device for training the triceps brachii is, as shown in FIGS. 1 to 3 , a first fixedframe 100 , achair 200 , two secondfixed frames 300 , and a first rotatingframe 400 . ), including a handle bar (500).

제1 고정프레임(100)은,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양단이 전방을 향하게끔 지면에 수평하게 놓여진다. 또한, 제1 고정프레임(100)은 지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밀림이 발생되지 않게끔 고무 등과 같이 마찰력이 작용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바닥패킹이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fixedframe 100 is placed horizontally on the ground so that both ends face forward while forming a 'C' shape. In addition, thefirst fixing frame 100 may be provided with a bottom packing made of a material that can apply a frictional force, such as rubb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that the sliding does not occur in a state of being placed on the ground.

의자(200)는 시트(210)와 등받이(2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제1 고정프레임(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의자(200)에 착석한 사용자가 전방을 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시트(2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 형태를 이루며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구성으로,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구비된다. 등받이(22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 형태를 이루며 사용자의 등이 지지되는 구성으로, 시트(210)와 직각 또는 둔각을 이루도록 구비된다.Thechair 200 is configured to include aseat 210 and abackrest 220 , and is provided inside thefirst fixing frame 100 so that a user seated in thechair 200 faces forward. Specifically, thesheet 210 forms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i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user's buttocks are seated. Thebackrest 220 has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user's back is supported, and is provided to form a right angle or an obtuse angle with theseat 210 .

제2 고정프레임(30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bar) 형태를 이루면서, 두 개가 각각 의자(200)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 고정프레임(100)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등받이(220)보다 상측에 위치됨과 동시에 제1 고정프레임(100)의 끝단과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한다. 일 예로, 제2 고정프레임(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210)가 구비된 지점의 인접한 상측까지 수직을 이루고, 그 상측으로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단이 제1 고정프레임(100)의 끝단과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직선인 바(bar) 형태를 이루면서 일단이 제1 고정프레임(100)의 끝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고정프레임(300)의 끝단부에 연결되는 제5 고정프레임(15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5 고정프레임(1500)은 제1 고정프레임(100)의 상단이 견고히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fixedframe 3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ba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wo of which are formed upward from the first fixedframe 100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chair 200, respectively, and the upper end is the backrest. It is positioned above 220 and at the same time position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first fixedframe 100 . As an example, the secondfixed frame 300 is perpendicular to the upper side adjacent to the point where theseat 210 is provided, as shown in FIG. 2 ,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toward the upper side, so that the upper end is the first fixed frame It may be provided to be position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end of ( 100 ). In this case, in the present invention, a fifth fixed frame ( 1500)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he fifth fixedframe 1500 serves to firmly support the upper end of the first fixedframe 100 .

제1 회동프레임(400)은 개방된 링 형태를 이루어 의자(200)의 후방을 둘러싸면서 양단이 두 개의 제2 고정프레임(300)의 상단에 힌지결합된다. 구체적인 일 예로, 제1 회동프레임(400)는 일부가 개방된 다각링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두 개의 제2 고정프레임(300)의 상단에 힌지결합되어, 힌지결합된 전단을 중심으로 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회동프레임(400)에는 소정의 중량을 가지는 중량물이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제1 회동프레임(400)에서 등받이(220)와 인접한 지점에는 외측방향으로 봉 형태를 이루는 끼움봉(420)이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끼움봉(420)에는 바벨 등과 같이 중앙에 끼움공이 형성된 중량물이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끼움봉(420)에 끼워지는 중량물의 중량 또는 개수를 조절하면서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first rotation frame 400 forms an open ring shape and surrounds the rear of thechair 200 , and both ends are hinged to the upper ends of the two secondfixed frames 300 . As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rotatingframe 400 may form a partially open polygonal ring shape, and is hinged to the upper end of the two secondfixed frames 300 , and the rear end is up and down around the hinged front end. direction can be rotated. The first rotatingframe 400 is configured to fit a heavy object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For example, in thefirst rotation frame 400, afitting bar 420 forming a bar shape may be protruded outwardly at a point adjacent to thebackrest 220, and thefitting bar 420 is fitted in the center, such as a barbell, etc. A weight in which a ball is formed can be fitted. Accordingly, the user can adjust the exercise intensity while adjusting the weight or number of weights fitted to thefitting rod 420 .

손잡이바(500)는 'ㄷ'자 형태를 이루며 양단이 하방을 향하도록 시트(210)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1 회동프레임(100)의 두 지점에 힌지결합되어, 힌지결합된 지점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바(500)에서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파지하는 수평 부분은, 일자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마다 절곡되어 양단부를 제외한 나머지가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게끔 형성될 수도 있다.Thehandle bar 500 is hinged to two points of thefirst rotation frame 100 positioned behind theseat 210 so that both ends face downward in a 'C' shape, and the hinged point is the center It can be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In addition, the horizontal portion gripped by the user in thehandle bar 500, of course,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as shown in FIGS. 1 and 3, is bent every predetermined length, except for both ends, the rest is zigzag It may be formed to form a shape.

그리고 전후방향으로 회전되는 손잡이바(500)가 과도하게 기울어져, 양단이 하방을 향하지 않고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할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바(500)를 파지하여 상완삼두근을 발달시키기 위한 운동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바, 이를 방지하고자 제1 회동프레임(400)에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제한구(41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회전제한구(410)는 제1 회동프레임(400)에서 적어도 손잡이바(500)의 일단이 결합된 부분에, 손잡이바(500)가 수직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예각을 이루는 지점까지만 회전되도록 한다.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제한구(410)는 손잡이바(500)가 수직에 대하여 전방으로 예각을 이룰 시, 손잡이바(500)의 일단부가 맞닿는 전방제한면이 전방을 향해 상향경사지게끔 형성되고, 손잡이바(500)가 수직에 대하여 후방으로 예각을 이룰 시, 손잡이바(500)의 일단부가 맞닿는 후방제한면이 후방을 향해 상향경사지게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제한면과 후방제한면 각각에는 손잡이바(500)와의 맞닿음시 발생되는 소음이나 파손 등을 방지하는 탄성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And when thehandle bar 500 rota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s excessively tilted, and both ends are directed forward or backward instead of downward, the user holds thehandle bar 500 to properly perform an exercise to develop the triceps brachii In order to prevent this, thefirst rotation frame 400 may be provided with arotation limiter 410 as shown in FIGS. 1 to 4 . That is, therotation limiter 410 is rotated only to the point where at least one end of thehandle bar 500 is coupled in thefirst rotation frame 400 , thehandle bar 500 forms an acute ang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o.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rotationlimiting sphere 410 has a front limiting surface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handle bar 500 when thehandle bar 500 forms an acute angle forwar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upwards toward the front. It is formed to be inclined, and when thehandle bar 500 forms an acute angle to the rear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the rear limiting surface abutting one end of thehandle bar 50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toward the rear. In addition, each of the front limiting surface and the rear limiting surface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pad that prevents noise or damage generated when thehandle bar 500 comes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상완삼두근 단련용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200)에 착석한 상태로 팔꿈치를 구부려 손바닥이 상측을 향하도록 손잡이바(500)를 잡은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꿈치가 펴지게끔 손잡이바(500)를 들어올리며 양팔의 상완삼두근을 단련시킬 수 있는바, 초보자도 흔들림없이 몸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상완삼두근을 발달시킬 수 있으며, 특히 양팔의 상완삼두근을 대칭적이게 발달시킬 수 있다.By using the exercise device for training the triceps brachii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ser bends the elbow while seated on thechair 200 as shown in FIG. 6 to hold thehandle bar 500 so that the palm faces upward. , As shown in Fig. 7, it is possible to train the triceps brachii of both arms by lifting thehandle bar 500 so that the elbow is straightened, and even beginners can develop the triceps brachii while maintaining the body's balance without shaking. The triceps brachii of both arms can be developed symmetrically.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운동을 하지 않을 시 제1 회동프레임(400)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지지판(600), 제2 회동프레임(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for supporting the rear end of thefirst rotation frame 400 when the user does not exercise.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to 3 and 5 ,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wosupport plates 600 and asecond rotation frame 700 .

지지판(60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판 형태를 이루며 두 개가 제1 고정프레임(100)의 후단 중앙부에 기립되게 구비되며, 이때, 두 개의 지지판(600)은 상호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면이 마주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두 개의 지지판(600)은 상단이 등받이(220)의 상단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등받이(220)의 중앙부와 대응될 정도의 높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Thesupport plate 60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provided to stand at the center of the rear end of the first fixedframe 100, in this case, the twosupport plates 6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ace each other. provided to do In addition, the twosupport plates 600 are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ir upper ends are positioned lower than the upper ends of thebackrest 220 , and more preferably, are formed to be position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backrest 220 .

제2 회동프레임(700)은 직선인 바(bar) 형태를 이루면서 마주하게 구비된 두 개의 지지판(600) 상부 사이에 구비된다. 또한, 제2 회동프레임(700)은 전후방향으로 회전되게끔 하단이 두 개의 지지판(600) 상부에 결합되며, 상단에 제1 회동프레임(400)이 놓여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회동프레임(700)은 전후방향으로 회전되는 각도가 제한되는데,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지지판(600)의 상단 전방부를 연결하는 전방회전제한가드(630)와, 두 개의 지지판(600)의 상단 후방부를 연결하는 후방회전제한가드(640)가, 지지판(60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전후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 회동프레임(700)은 전방회전제한가드(630)와 후방회전제한사드(640)의 사이에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전방회전제한가드(630)는 제2 회동프레임(700)이 맞닿을 시, 제2 회동프레임(700)이 수직을 이루게끔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제2 회동프레임(700)이 최전방에 위치될 시 제2 회동프레임(700)의 상단에는 제1 회동프레임(400)이 지지된다. 그리고 후방회전제한가드(640)에 제2 회동프레임(700)이 맞닿을 시, 제2 회동프레임(700)의 상단이 제1 회동프레임(40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Thesecond rotation frame 700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twosupport plates 600 facing each other while forming a straight bar shape.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secondrotating frame 700 is coupled to the upper twosupport plates 600 to rotat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firstrotating frame 400 may be placed on the upper end. Thesecond rotation frame 700 has a limited angle of rota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For this purpose, a forwardrotation limiting guard 630 connecting the upper front portions of the twosupport plates 600 as shown in FIG. 5 and, A rearrotation limiting guard 640 connecting the upper rear portions of the twosupport plates 600 may be formed on thesupport plate 600 . That is, thesecond rotation frame 700 rot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rotated between the frontrotation limiting guard 630 and the rearrotation limiting sard 640 . In addition, the forwardrotation limiting guard 630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when thesecond rotation frame 700 abuts, thesecond rotation frame 700 is vertical, and in this way, thesecond rotation frame 700 is Thefirst rotation frame 400 is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second rotation frame 700 when it is positioned at the forefront. And when thesecond rotation frame 700 is in contact with the rearrotation limiting guard 640 , the upper end of thesecond rotation frame 700 is formed to be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first rotation frame 400 .

제2 회동프레임(700)은 상단으로부터 제1 회동프레임(400)이 이격될 시 탄성적으로 후방을 향해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회동프레임(700)의 상단에 제1 회동프레임(400)이 지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운동을 하기 위하여 손잡이바(500)를 잡고 제1 회동프레임(400)을 들어올리면, 제2 회동프레임(700)이 탄성적으로 후방을 향해 회전되어, 제2 회동프레임(700)과 사용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회동프레임(400) 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지속적인 상완삼두근 단련을 위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Thesecond rotation frame 700 may be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rotated toward the rear when thefirst rotation frame 40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Accordingly, when the user holds thehandle bar 500 and lifts thefirst rotation frame 400 to exercise in a state in which thefirst rotation frame 400 is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second rotation frame 700, the second Since therotation frame 700 is elastically rotated toward the rear, interference between thesecond rotation frame 700 and thefirst rotation frame 400 that is moved up and down by the user does not occur, so continuous triceps training exercise can be performed for

그리고 제1 회동프레임(400)과 맞닿을 수 있는 제2 회동프레임(700)의 상단, 제2 회동프레임(700)과 맞닿을 수 있는 전방회전제한가드(630) 및 후방회전제한가드(640)에는, 맞닿음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And the upper end of thesecond rotation frame 700 that can be in contact with thefirst rotation frame 400, the frontrotation limiting guard 630 and the rearrotation limiting guard 640 that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second rotation frame 700 An elastic pad may be provided to prevent noise and damage caused by contact.

더불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운동을 마친 후, 탄성적으로 후방을 향해 회전된 제2 회동프레임(700)을 최전방으로 회전시켜 상단에 제1 회동프레임(400)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회동프레임(800), 제3 고정프레임(900), 제4 회동프레임(1000), 연동바(1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the secondrotational frame 700, which is elastically rotated toward the rear, to the front after the user finishes the exercise, so that thefirst rotation frame 400 can be supported on the upper end. may include more. 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3 and 5 , athird rotation frame 800 , a thirdfixed frame 900 , afourth rotation frame 1000 , and an interlockingbar 1400 . may include more.

제3 회동프레임(800)은, 직선인 바(bar) 형태를 이루면서 제2 회동프레임(700)과 둔각을 이루게끔 제2 회동프레임(70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지지판(60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 고정프레임(900)은, 직선인 바(bar) 형태를 이루면서 의자(200)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 고정프레임(100) 부분을 잇게끔 구비된다. 제4 회동프레임(1000)은, 둔각을 이루게끔 절곡된 바(bar) 형태를 이루면서 일단이 의자(200)보다 전방에 위치되고 타단이 시트(210)보다 후방에 위치되며, 일단과 타단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게끔 절곡된 지점이 제3 고정프레임(900)에 힌지결합된다. 후술하겠지만 동작과정에서 사용자는 제4 회동프레임(1000)의 일단을 발로 밟게 되는바, 발로 쉽게 밟을 수 있도록, 제4 회동프레임(100)의 일단은 사용자가 위치한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연동바(1400)는 직선 또는 절곡된 바(bar) 형태를 이루면서 일단이 제3 회동프레임(8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4 회동프레임(1000)의 타단에 연결된다.Thethird rotation frame 800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lower end of thesecond rotation frame 700 to form an obtuse angle with thesecond rotation frame 700 while forming a straight bar shape to the outside of thesupport plate 600 . can protrude. The thirdfixed frame 900 is provided to connect portions of the first fixedframe 100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chair 200 while forming a straight bar shape. Thefourth rotation frame 1000 has one end positioned in front of thechair 200 and the other end positioned behind theseat 210 while forming a bar shape bent to form an obtuse angle,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are up and down The bent point to be rotated in the direction is hinged to the thirdfixed frame 900 .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process of operation, the user steps on one end of thefourth rotation frame 1000 with their feet, so that one end of thefourth rotation frame 100 can be easily stepped on with the foot, one end of thefourth rotation frame 100 is bent toward the inside where the user is located. there is. The interlockingbar 140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third rotation frame 80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fourth rotation frame 1000 while forming a straight or bent bar shape.

연동바(1400)에 의해, 제3 회동프레임(800)과 제4 회동프레임(1000)은 연동되어 동작한다. 일 예로, 제2 회동프레임(700)이 최전방에 위치될 시 제4 회동프레임(1000)의 일단은 최하측에 위치되고, 제2 회동프레임(700)이 최후방에 위치될 시, 제4 회동프레임(1000)의 일단은 최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바(500)를 파지한 상태로 운동을 한 후, 최상측에 위치되는 제4 회동프레임(1000)의 일단을 발로 가압하여, 제2 회동프레임(700)이 최전방에 위치되게끔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2 회동프레임(700)의 상단에 의해 제1 회동프레임(400)이 지지되도록 내려놓을 수 있다. 그리고 제1 회동프레임(40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동프레임(700)의 상단과 대응되는 지점에 제2 회동프레임(700)의 상단 후측을 향해 걸림편(430)이 돌출형성될 수 있다. 걸림편(430)은 제1 회동프레임(400)이 제2 회동프레임(700)의 상단에 놓여 지지될 시, 제2 회동프레임(700)이 후방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By the interlockingbar 1400 , thethird rotation frame 800 and thefourth rotation frame 1000 oper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For example, when thesecond rotation frame 700 is positioned at the front, one end of thefourth rotation frame 1000 is located at the lowermost side, and when thesecond rotation frame 700 is located at the rearmost side, the fourth rotation One end of theframe 1000 may be located at the uppermost side. Therefore, after the user exercises while holding thehandle bar 500, the user presses one end of thefourth rotation frame 1000 located on the uppermost side with their feet, so that thesecond rotation frame 700 is located at the forefront. can make it go away Accordingly, the user may put down thefirst rotation frame 400 to be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second rotation frame 700 . And in thefirst rotation frame 400, as shown in FIG. 4, a locking piece 430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rear of the upper end of thesecond rotation frame 700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second rotation frame 700. can be The locking piece 430 serves to prevent thesecond rotation frame 700 from rotating backward when thefirst rotation frame 400 is placed on the upper end of thesecond rotation frame 700 and supported.

한편, 등받이(220)는,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끔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등받이(220)는 제3 고정프레임(900)의 중앙에 하단이 힌지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제6 회동프레임(1200)에 구비될 수 있다. 등받이(220)의 각도 조절을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회동프레임(1200)에는, 일단이 제6 회동프레임(1200)의 후방에 힌지결합되고 지지판(600)을 향하게 배치되는 각도조절바(12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두 개의 지지판(600)에는, 제6 회동프레임(1200)을 향하게 배치되면서 각도조절바(1210)가 내측에 삽입되는 고정바(610)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backrest 220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inclined angle. At this time, thebackrest 220 may be provided in the sixthrotating frame 1200 that is hinge-coupled to the lower end at the center of the thirdfixed frame 900 and is rotat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order to adjust the angle of thebackrest 220, as shown in FIG. 5, in thesixth rotation frame 1200, one end is hinged to the rear of thesixth rotation frame 1200 and the angle disposed toward thesupport plate 600 Anadjustment bar 1210 may be provided, and the fixingbar 610 into which theangle adjustment bar 1210 is inserted while being disposed toward thesixth rotation frame 1200 is protrudingly formed on the twosupport plates 600 . can

각도조절바(1210)는 등받이(220)의 중앙이 위치하는 지점과 대응되는 지점에 힌지결합되어, 사용자의 등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고정홀(1211)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고정홀(1211)은 각도조절바(1210)의 측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각도저잘바(1210)의 상면에는 고정홀(1211)과 대응되는 지점마다 기울기에 대한 각 단계를 나타내는 기호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고정바(610)는 제6 회동프레임(1200)과 인접한 일단 측 상면에는 표시확인창(611)이 관통형성되어, 표시확인창(611)을 통해 각도조절바(1210)에 표시된 기호를 사용자가 볼 수 있는바, 자신이 원하는 등받이(220)의 기울이 단계를 기억하여, 추후 등받이(220)의 기울기가 변경되어 있더라도 용이하게 자신이 원하는 기울기를 가지게끔 등받이(220)를 조절할 수 있다.Theangle adjustment bar 1210 is hinged to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point where the center of thebackrest 220 is located, so that the user's back can be stably supported, and a plurality of fixing holes ( 1211) may be formed through. A plurality of fixingholes 1211 are formed through the lateral direction of theangle adjustment bar 1210,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nglelow jaw bar 1210 there is a symbol indicating each step for the inclination at each point corresponding to thefixing hole 1211. can be displayed. In addition, the fixedbar 610 has adisplay confirmation window 611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one end adjacent to thesixth rotation frame 1200, and the symbol displayed on theangle adjustment bar 1210 through thedisplay confirmation window 611 is displayed. As the user can see, it remembers the step of tilting thebackrest 220 desired by the user, so that even if the tilt of thebackrest 220 is changed later, thebackrest 220 can be easily adjusted to have a desired inclination. .

그리고 고정바(610) 중 제6 회동프레임(1200)과 인접한 지점을 관통함과 동시에 복수 개의 고정홀(1211)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는 고정핀(62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의 고정핀(620)은 고정바(610)와는 별도로 마련되어, 고정바(610)와 복수 개의 고정홀(1211)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등받이(220)를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바(610)와 일체를 이루며 복수 개의 고정홀(1211) 중 어느 하나를 향해 탄성적으로 돌출되어 등받이(220)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등받이(220)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사용자가 운동시 자극되고자 하는 상완삼두근의 부위를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a fixingpin 620 passing throug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xingholes 1211 while passing through a point adjacent to thesixth rotation frame 1200 among the fixingbars 610 may be provided. Here, the fixingpin 62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ixingbar 610 to pass through any one of the fixingbar 610 and the plurality of fixingholes 1211 to fix thebackrest 220 as well as the fixing bar. Thebackrest 220 may be fixed by being integral with the 610 and elastically protruding toward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xingholes 1211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adjusting the angle of thebackrest 220, the user can change the region of the triceps brachii to be stimulated during exercise.

한편,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210)와 비슷한 높이에서 일단이 일 지지판(6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고정프레임(300)에 연결되는 제4 고정프레임(1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고정프레임(1300)은 지지판(600)과 제2 고정프레임(300) 간을 연결하면서 구조적인 안정을 이루도록 한다. 또한, 제4 고정프레임(1300)에는 외측방향으로 봉 형태를 이루는 거치봉이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봉은 다수 개가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거치봉에는 사용자가 운동시 사용하지 않는 중량물이 끼워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3 , at a height similar to theseat 210 , one end is connected to onesupport plate 60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fixedframe 300 , the fourth fixed frame (1300) may be further included. The fourth fixedframe 1300 connects thesupport plate 600 and the second fixedframe 300 to achieve structural stability. In addition, thefourth fixing frame 1300 may be formed with a mounting rod forming a rod shape in an outward direction to protrude. A plurality of the mounting rods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heavy object not used by the user during exercise may be inserted into these mounting rods.

그리고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제2 고정프레임(300) 상단에 힌지결합된 제1 회동프레임(400)이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5 회동프레임(1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 회동프레임(1100)은 일 예로, 'Z'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일단이 의자(20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회동프레임(400) 부분에 결합되고, 일단으로부터 두번째 절곡된 지점이 제2 고정프레임(30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5 회동프레임(1100)은 제1 회동프레임(400)의 회전과 함께 회전된다. 또한, 제5 회동프레임(1100)의 타단부에는 외측방향으로 봉 형태를 이루는 거치봉이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거치봉에는 사용자가 운동시 사용하지 않는 중량물이 끼워질 수 있다.And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3, a fifth rotation frame ( 1100) may be further included. Thefifth rotation frame 1100 is, for example, formed to form a 'Z' shape, one end is coupled to a portion of thefirst rotation frame 400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chair 200, and the second bent point from one end It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ixedframe 300 . Accordingly, thefifth rotation frame 1100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first rotation frame 400 . In addition, a holding rod forming a rod shape may be protruded outwardly from the other end of thefifth rotation frame 1100 , and a heavy object not used by the user during exercise may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rod.

100 : 제1 고정프레임
200 : 의자210 : 시트
220 : 등받이
300 : 제2 고정프레임
400 : 제1 회동프레임410 : 회전제한구
420 : 끼움봉430 : 걸림편
500 : 손잡이바
600 : 지지판610 : 고정바
611 : 표시확인창620 : 고정핀
630 : 전방회전제한가드640 : 후방회전제한가드
700 : 제2 회동프레임
800 : 제3 회동프레임
900 : 제3 고정프레임
1000 : 제4 회동프레임
1100 : 제5 회동프레임
1200 : 제6 회동프레임1210 : 각도조절바
1211 : 고정홀
1300 : 제4 고정프레임
1400 : 연동바
1500 : 제5 고정프레임
100: first fixed frame
200: chair 210: seat
220: backrest
300: second fixed frame
400: first rotation frame 410: rotation limiting sphere
420: fitting rod 430: jamming piece
500: handle bar
600: support plate 610: fixed bar
611: display confirmation window 620: fixing pin
630: forward rotation limiting guard 640: rear rotation limiting guard
700: second rotation frame
800: third rotation frame
900: third fixed frame
1000: fourth rotation frame
1100: 5th rotation frame
1200: 6th rotation frame 1210: angle adjustment bar
1211: fixing hole
1300: fourth fixed frame
1400: interlocking bar
1500: fifth fixed frame

Claims (5)

Translated fromKorean
'ㄷ'자 형태를 이루며 양단이 전방을 향하게끔 지면에 놓여지는 제1 고정프레임(100);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서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시트(210)와, 사용자의 등이 지지되는 등받이(220)를 포함하면서 제1 고정프레임(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전방을 향해 앉을 수 있는 의자(200);
상기 의자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 고정프레임(100)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형성되어 상단이 등받이(220)보다 상측에 위치하면서 제1 고정프레임(100)의 끝단과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두 개의 제2 고정프레임(300);
개방된 링 형태를 이루어 의자(200)의 후방을 둘러싸면서 양단이 두 개의 제2 고정프레임(300)의 상단에 힌지결합되고, 시트(210)보다 후방측에 중량물이 끼워지는 제1 회동프레임(400);
'ㄷ'자 형태를 이루며 양단이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시트(210)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1 회동프레임(100)의 두 지점에 힌지결합되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바(500);를 포함하여,
상기 의자(200)에 착석한 사용자가 팔꿈치를 구부려 손바닥이 상측을 향하도록 손잡이바(500)를 잡은 후, 팔꿈치가 펴지게끔 손잡이바(500)를 들어올리며 상완삼두근을 단련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완삼두근 단련용 운동기구.
A first fixing frame 100 that forms a 'C' shape and is placed on the ground so that both ends face forward;
The seat 210 on which the user's buttocks is se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nd the backrest 220 on which the user's back is supported are provided inside the first fixed frame 100 so that the user can sit forward chair 200;
The two first fixed frames are formed upward from the portions of the first fixed frame 100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chair, and the upper ends are positioned above the backrest 220 and are positioned at points corresponding to the ends of the first fixed frame 100. 2 fixed frame 300;
A first rotating frame ( 400);
A handle bar 500 that is hinged to two points of the first rotation frame 100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seat 210 so that both ends face downward in a 'C' shape and gripped by the user 500; including; ,
After the user seated in the chair 200 bends the elbow and holds the handle bar 500 so that the palm faces upward, the user can train the triceps brachii by lifting the handle bar 500 so that the elbow is straightened. Triceps triceps exercise equip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동프레임(400)은, 적어도 손잡이바(500)의 일단이 결합된 부분에, 손잡이바(500)가 수직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예각을 이루는 지점까지만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제한구(4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완삼두근 단련용 운동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rotation frame 400 is, at least in the portion to which one end of the handle bar 500 is coupled, the rotation limiter 410 for rotating the handle bar 500 only to the point where the handle bar 500 forms an acute ang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Triceps brachii muscle training exercise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판 형태를 이루면서 제1 고정프레임(100)의 후단 중앙부에 기립되게 구비되는 두 개의 지지판(600);
바(bar) 형태를 이루면서 마주하게 구비된 두 개의 지지판(600) 상부 사이에 구비되어, 전후방향으로 회전되게끔 하단이 결합되고 상단에 제1 회동프레임(400)이 놓여질 수 있는 제2 회동프레임(7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회동프레임(700)은, 전후방향으로 회전되는 각도가 제한되며, 최전방에 위치될 시 제1 회동프레임(400)이 상단에 의해 지지되고, 상단으로부터 제1 회동프레임(400)이 이격될 시 탄성적으로 후방을 향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완삼두근 단련용 운동기구.
According to claim 1,
Two support plates 600 provided to stand in the center of the rear end of the first fixed frame 100 while forming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 second rotation frame provided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wo support plates 600 facing each other in the form of a bar, the lower end is coupled to rotat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second rotation frame on which the first rotation frame 400 can be placed on the upper end (700); further comprising,
The second rotation frame 700, the angle of rotatio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s limited, when positioned at the forefront, the first rotation frame 400 is supported by the upper end, the first rotation frame 40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An exercise device for training the triceps brachii,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lastically rotated toward the rear when it becom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동프레임(700)과 둔각을 이루게끔 제2 회동프레임(70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지지판(6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3 회동프레임(800);
상기 의자(200)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 고정프레임(100) 부분을 잇는 제3 고정프레임(900);
둔각을 이루게끔 절곡된 바(bar) 형태를 이루면서 일단이 의자(200)보다 전방에 위치되고 타단이 시트(210)보다 후방에 위치되며, 상하방향으로 회전되게끔 절곡된 지점이 제3 고정프레임(900)에 결합되는 제4 회동프레임(10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회동프레임(800)과 제4 회동프레임(1000)이 연동됨에 따라, 상기 제4 회동프레임(1000)의 일단은, 제2 회동프레임(700)이 최전방에 위치될 시 최하측에 위치되고, 제2 회동프레임(700)이 최후방에 위치될 시 최상측에 위치되어,
사용자는 최상측에 위치되는 제4 회동프레임(1000)의 일단을 발로 가압하여, 제2 회동프레임(700)이 최전방에 위치되게끔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완삼두근 단련용 운동기구.
4. The method of claim 3,
a third rotation frame 800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rotation frame 700 to form an obtuse angle with the second rotation frame 700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plate 600;
a third fixing frame 900 connecting the first fixing frame 100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chair 200;
One end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chair 200 and the other end is positioned behind the seat 210 while forming a bar bent to form an obtuse angle, and the bent point to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the third fixed frame A fourth rotation frame 1000 coupled to (900); further comprising,
As the third rotation frame 800 and the fourth rotation frame 1000 are interlocked, one end of the fourth rotation frame 1000 is located at the lowermost side when the second rotation frame 700 is located in the frontmost position. When the second rotation frame 700 is positioned at the rearmost position, it is located on the uppermost side,
The user presses one end of the fourth rotation frame 1000 located on the uppermost side with the foot, so that the second rotation frame 700 is positioned at the forefront.
제1항에 있어서,
'Z'자 형태를 이루며, 일단이 상기 의자(20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회동프레임(400) 부분에 결합되고, 제1 회동프레임(400)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게끔 일단으로부터 두번째 절곡된 지점이 제2 고정프레임(30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5 회동프레임(11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완삼두근 단련용 운동기구.
According to claim 1,
Forming a 'Z' shape, one end is coupled to a portion of the first rotation frame 400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chair 200, and the second bent from one end to rotate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ation frame 400 Triceps triceps training exercis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fth rotation frame (1100)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ixed frame (300).
KR1020200132537A2020-10-142020-10-14Exercise device for training triceps brachii muscleActiveKR1023741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00132537AKR102374185B1 (en)2020-10-142020-10-14Exercise device for training triceps brachii mus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00132537AKR102374185B1 (en)2020-10-142020-10-14Exercise device for training triceps brachii mus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102374185B1true KR102374185B1 (en)2022-03-15

Family

ID=80816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200132537AActiveKR102374185B1 (en)2020-10-142020-10-14Exercise device for training triceps brachii muscle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237418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0248827Y1 (en)2001-05-232001-11-16(주)개선스포츠A weight sporting good
US20190054337A1 (en)*2015-09-282019-02-21Hoist Fitness Systems, Inc.Triceps press exercise machine with a moving user suppor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0248827Y1 (en)2001-05-232001-11-16(주)개선스포츠A weight sporting good
US20190054337A1 (en)*2015-09-282019-02-21Hoist Fitness Systems, Inc.Triceps press exercise machine with a moving user suppo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EP1094865B1 (en)Multi-function exercise machine
US5626548A (en)Lower-body exercise machine
US11117017B2 (en)Exercise apparatus for an assisted squat exercise
EP1748824B1 (en)Compact weight bench
CN116113474B (en) Arm curl fitness equipment
US20140128231A1 (en)Unique Exercise and Strength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of Exercise and Strength Training
KR102296498B1 (en)Lateral Raise Machine
US5788615A (en)Body extension exercise machine
US20130310232A1 (en)Exercise Apparatus
CN219023120U (en) exercise equipment system
US20080207414A1 (en)Collapsible and storable apparatus for exercising core muscles
US5669860A (en)Device for exercising the lower back
US9895574B2 (en)Exercise device for strengthening of abdominal muscles
KR102511110B1 (en)Bent over row machine
KR102374185B1 (en)Exercise device for training triceps brachii muscle
US6361481B1 (en)Weight lifting simulator
JP2024545716A (en) Exercise equipment
JP7489737B1 (en) Drop squat machine
EP4474024B1 (en)Adjustable rowing machine
KR102771981B1 (en)arm curl exercise equipment
US20060128536A1 (en)Exercise apparatus
CN119303277B (en)Vertical drop-down training device
EP4316608A1 (en)Bent-over row machine
US20180200571A1 (en)Abdominal strengthening apparatus
KR20220167252A (en)Indoor exercise equipment that can support the user's strength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201014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220225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20310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20220310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250408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