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2327653B1 - Communication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653B1
KR102327653B1KR1020140133293AKR20140133293AKR102327653B1KR 102327653 B1KR102327653 B1KR 102327653B1KR 1020140133293 AKR1020140133293 AKR 1020140133293AKR 20140133293 AKR20140133293 AKR 20140133293AKR 102327653 B1KR102327653 B1KR 102327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ser terminal
application
driving state
execu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32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39950A (en
Inventor
강종주
차봉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filedCritical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3293ApriorityCriticalpatent/KR102327653B1/en
Publication of KR20160039950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60039950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653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2327653B1/en
Active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차량용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이 장치는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 내의 다수의 전자 제어 유닛으로부터 차량 주행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 주행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 주행 상태에 따라 사용 불가 애플리케이션(이하, 어플)의 실행을 강제 종료하기 위한 명령어를 생성하는 차량 상태 명령 모듈; 및 상기 생성된 명령어를 Wi-Fi 통신을 이용해 상기 사용 불가 어플을 설치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Wi-Fi 모듈을 포함한다.A communication device for a vehicle is disclosed. The device receives vehicle driving state information indicating the vehicle driving state from a plurality of electronic control units in the vehicle through the vehicle network, and executes a command for forcibly terminating the execution of the unusable application (hereinafter,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vehicle driving state. a vehicle state command module to generate; and a Wi-Fi module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mmand to a user terminal in which the unusable application is installed using Wi-Fi communication.

Figure R1020140133293
Figure R1020140133293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차량용 통신 장치 및 그 방법{COMMUNICATION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통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차량용 통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 user terminal.

통화를 할 수 있는 스마트 폰의 대중화로 인해, 기존의 통화 서비스만을 제공하던 이동통신 단말기는 모바일 게임, 동영상 시청, 팟 캐스트(pod cast) 감상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Due to the popularization of smart phones capable of making call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at only provided call services are recognized as a means of providing various services such as mobile games, video viewing, and podcast viewing.

스마트 폰은 때와 장소에 관계없이 언제 어디서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지만, 운전자가 운전 중에 스마트 폰을 이용하는 것은 안전 운행을 방해한다.Smartphones are very useful because they can provide various services anytime, anywher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but using a smartphone while driving interferes with safe driving.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 공개 문헌 JP 2013-115773에서는, 온-보드(On-Board) AVN(Audio, Video, Navigation)과 같은 차재 장치와 휴대 정보 단말이 연계된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는 데, 이 공개 문헌에 의하면, 차재 장치가 차량의 주행 여부를 판단하여, 차량 주행 시, 차재 장치가 휴대 정보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을 제한하고, 표시 화면을 오프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차량 주행 중 휴대 정보 단말의 사용을 제한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Japanese Laid-Open Document JP 2013-115773 discloses a system in which an on-board device such as an on-board AVN (Audio, Video, Navigation) and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re linked, According to this publication, the on-vehicle apparatus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running, controls the vehicle-mounted apparatus to limit the application use of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when the vehicle is driving, and turns off the display screen, so that It is proposed to limit its use.

그런데, 이 공개 문헌에 따르면, 차재 장치가 차량 주행 시에 휴대 정보 단말에 설치된 모든 애플리케이션들의 사용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 불가 애플리케이션을 선별적으로 제한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차재 장치에 사용 불가 애플리케이션을 사전에 등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is publication, since the on-vehicle device selectively restricts the unusable applications rather than restricting the use of all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when the vehicle is driving, the user pre-installs the unusable applications in the on-vehicle device.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gister with .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AVN과 같은 차재 장치에 사용 불가 애플리케이션을 사전에 등록하지 않고도 주행 중에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제한하여 운전자 부주의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통신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driver negligence by limiting applications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while driving without registering in advance applications that cannot be used in in-vehicle devices such as AVN. .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차량용 통신 장치는,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 내의 다수의 전자 제어 유닛으로부터 차량 주행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 주행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 주행 상태에 따라 사용 불가 애플리케이션(이하, 어플)의 실행을 강제 종료하기 위한 명령어를 생성하는 차량 상태 명령 모듈 및 상기 생성된 명령어를 Wi-Fi 통신을 이용해 상기 사용 불가 어플을 설치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Wi-Fi 모듈을 포함한다.A communicat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receives vehicle driving state information indicating a vehicle driving state from a plurality of electronic control units in a vehicle through a vehicle network, and cannot be used according to the vehicle driving state A vehicle state command module that generates a command to forcibly terminate the execution of an application (hereinafter, an application) and a Wi-Fi module that transmits the generated command to a user terminal in which the unusable application is installed using Wi-Fi communication include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하, 어플)의 실행을 제한하는 방법은, 차량 내에 설치된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와 차량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하, 어플)의 실행을 제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에 Wi-Fi 통신 연결을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에서,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 내에 탑재된 다수의 전자 제어 유닛으로부터 차량의 현재 주행 상태를 나타내는 주행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주행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명령어를 생성하여 상기 명령어를 상기 Wi-Fi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수신된 명령어를 분석하여 상기 차량의 현재 주행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기 차량의 현재 주행 상태에 따라 실행 중인 어플의 강제 종료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for limiting the execution of an appl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using a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a wired/wireless integrated gateway installed in a vehicle and a user terminal located in the vehicle. A method of limiting the execution of (hereinafter, an application), comprising the steps of: configuring a Wi-Fi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wired/wireless integrated gateway and the user terminal; receiving driving state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from a control unit, generating a command including the received driving stat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comman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Wi-Fi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determining, in the user terminal, the current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by analyzing the received command, and determining whether to forcibly terminate the running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current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와 같은 차량 내의 통신 장치와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행 중에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제한함으로써, AVN과 같은 차재 장치에 사용 가능 또는 사용 불가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사전에 등록할 필요 없고, 또한 AVN과 같은 차재 장치가 없는 차량의 경우에서도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제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user terminal in a vehicle, such as a wired/wireless integrated gateway for a vehicle,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are restricted while driving, so that applications available or unavailable to in-vehicle devices such as AVN are classified. There is no need to register in advance, and even in the case of a vehicle without an on-board device such as an AVN,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can be restri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 어플 판단 모듈에서 제공하는 설정 화면으로서,
주행 중 사용 가능 어플과 사용 불가 어플을 설정하기 위해 제공하는 설정 화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통신 장치와 사용자 단말 간에 구성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운전 방해를 유발하는 사용자 단말의 어플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ntire system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etting screen provided by the application determination module shown in Figure 1,
This is a setting screen provided to set available and unusable applications while drivin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limiting the use of an application in a user terminal that causes driving interference using a system configured between a communication device for a vehicle and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차량 내에 설치된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Gateway)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앱을 활용하여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사용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제한함으로써, 운전자 운전 부주의를 방지한다.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 wired/wireless integrated gateway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an app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to limit available applications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thereby preventing driver's careless driving.

또한 종래 기술과 같이 차량 내에서 사용 가능/불가한 어플 등록하는 번거로움과 AVN과 같은 차재 장치가 없는 차량에서도 네비게이션, 인터넷 라디오와 같은 운전 중 이동통신 단말기를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in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utiliz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navigation and Internet radio while driving in a vehicle without in-vehicle devices such as AVN and the hassle of registering applications that can be used in the vehic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1 is an overall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300)은 차량(100) 내에 설치된 차량용 통신 장치(130)와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한다. 먼저, 차량용 통신 장치(130)에 대해 상세 기술한다.
Referring to FIG. 1 , theentire system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vehicle communication device 130 and auser terminal 200 installed in avehicle 100 . First, thevehicle communication device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차량용 통신 장치(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Vehicle communication device (wired/wireless integrated gateway)

차량용 통신 장치(130)는 차량 내부의 전자 제어 유닛(130-1, 130-2, .., 130-n)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통신하고, 차량 외부의 사용자 단말(200)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장치로서,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로 불릴 수 있다.Thevehicle communication device 130 i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130-1, 130-2, .., 130-n inside the vehicle to communicate by wire, and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user terminal 200 outside the vehicle. As a device, it may be referred to as a wired/wireless integrated gateway.

이러한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로 불릴 수 있는 상기 차량용 통신 장치(130)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또는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과 같은 차량 네트워크(120)를 통해 상기 전자 제어 유닛(110-1, 110-2, ..., 110-n)으로부터 차량의 주행 상태와 관련된 주행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 제어 유닛(110-1, 110-2, ..., 110-n)은 엔진 제어 유닛, 변속기 제어 유닛, ABS(Anti-lock Brake System), 에어백 제어 유닛, 시동 제어 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vehicle communication device 130, which may be referred to as such a wired/wireless integrated gateway, includes the electronic control units 110-1 and 110-2 through avehicle network 120 such as a controller area network (CAN) or a local interconnect network (LIN). , ..., 110-n) receives driving sta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Here, the electronic control units 110-1, 110-2, ..., 110-n control an engine control unit, a transmission control unit, an anti-lock brake system (ABS), an airbag control unit, a start control unit, and the like. may include

상기 차량용 통신 장치(130)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닛(110-1, 110-2, ..., 110-n)으로부터 수신된 주행 상태 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종료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명령어를 생성하고, 생성된 명령어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한다.Thevehicle communication device 130 processes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control units 110-1, 110-2, ..., 110-n to determine whether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being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is terminated. A command for instructing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user terminal 200 in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용 통신 장치(130)는 차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2), 차량 상태 명령 모듈(134), WPS 판단 모듈(136) 및 Wi-Fi 모듈(138)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vehicle communication device 130 includes avehicle network interface 132 , a vehiclestate command module 134 , aWPS determination module 136 , and a Wi-Fi module 138 .

차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2)는 상기 주행 상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차량 네트워크(120)와 인터페이싱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수신된 주행 상태 정보를 상기 차량용 통신 장치(130) 내부에서 처리 가능하도록 변환하여 상기 차량 상태 명령 모듈(134)로 전달한다.Thevehicle network interface 132 is a component for interfacing with thevehicle network 120 to receive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and converts the received driving state information so that it can be processed inside thecommunication device 130 for the vehicle. It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status command module 134 .

차량 상태 명령 모듈(134)은 상기 차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2)로부터 수신한 주행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상태에 따른 명령어를 생성한다. 여기서, 주행 상태 정보는 차량의 ACC 또는 IGN 상태를 포함하는 시동 상태 정보, 차량이 기준 차속 미만으로 주행하는 저속 주행 상태 정보, 차량이 상기 기준 차속 이상으로 주행하는 고속 주행 상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state command module 134 generates a command according to the vehicle state including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vehicle network interface 132 . Here,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is information of any one of starting st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ACC or IGN state of the vehicle, low-speed driving state information in which the vehicle travels less than the reference vehicle speed, and high-speed driving state information in which the vehicle travels at or above the reference vehicle speed. may include.

WPS 판단 모듈(136)은 WPS(Wi-Fi Position System) 기술을 이용하여 운전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판단한다.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판단되면, WPS 판단 모듈(136)은 위치가 판단된 단말(200)에 고유 ID값을 할당하고, 할당된 고유 ID값을 기록한다. 이러한 고유 ID값의 기록에 따라 차량용 통신 장치와 사용자 단말(200) 간의 연결 구성이 유지된다.TheWPS determination module 136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user terminal 200 carried by the driver using a Wi-Fi Position System (WPS) technology. When the location of theuser terminal 200 is determined, theWPS determination module 136 allocates a unique ID value to theterminal 200 for which the location is determined, and records the assigned unique ID value. According to the recording of the unique ID value, the connection configuration between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user terminal 200 is maintained.

일반적으로 WPS 기술은 Wi-Fi AP DB를 참조하여 Wi-Fi RSSI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판단하는 핑커프린트(FingerPrint)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단일 AP에서의 안테나 빔 패턴에 따른 RSSI를 세분적으로 계산하여 핑커프린트 맵(FingerPrint map)을 구성하고, 구성된 핑커프린트 맵을 이용하여 차량 내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판단한다.In general, the WPS technology employs a FingerPrint method of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user terminal 200 based on the Wi-Fi RSSI signal with reference to the Wi-Fi AP DB, but in this embodiment, the The RSSI according to the antenna beam pattern is granularly calculated to construct a FingerPrint map, and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n the vehicle is determined using the configured fingerprint map.

WiFi 모듈(138)은 사용자 단말(200)과 Wi-Fi 통신 연결을 구성하고, 구성된 Wi-Fi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차량 상태 명령 모듈(134)에서 생성한 차량 상태에 따른 명령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이하, 사용자 단말에 대해 상세 기술한다.TheWiFi module 138 configures a Wi-Fi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user terminal 200, and sends a command according to the vehicle state generated by the vehiclestate command module 134 through the configured Wi-Fi communication connec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 is sent to Hereinafter, the user termin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사용자 단말(200)user terminal 200

사용자 단말(200)은 Wi-Fi 통신 연결을 통해 차량용 통신 장치(130)로부터 차량 상태에 따른 명령어를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 상태에 따른 명령어에 따라 실행 중인 어플들(251, 252, 253, 254)(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강제 종료한다.Theuser terminal 200 receives a command according to the vehicle state from thevehicle communication device 130 through a Wi-Fi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theapplications 251 , 252 , 253 , 254 are being executed according to the command according to the received vehicle state. ) (application) to selectively force quit.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200)은 Wi-Fi 모듈(210), 차량 상태 처리 모듈(220), 사용 어플 판단 모듈(230) 및 어플 사용 제한 모듈(240)을 포함한다.To this end, theuser terminal 200 includes a Wi-Fi module 210 , a vehiclestate processing module 220 , a usageapplication determination module 230 , and an applicationusage restriction module 240 .

Wi-Fi 모듈(210)은 차량용 통신 장치(130)와 Wi-Fi 통신 연결을 구성하고, 구성된 Wi-Fi 통신 연결 통해 차량용 통신 장치(130)로부터 차량 상태에 따른 명령어를 수신한다.The Wi-Fi module 210 configures a Wi-Fi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vehicle communication device 130 , and receives a command according to the vehicle state from thevehicle communication device 130 through the configured Wi-Fi communication connection.

차량 상태 처리 모듈(220)은 Wi-Fi 모듈(210)을 통해 상기 차량 상태에 따른 명령어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차량 상태에 따른 명령어를 처리하여 상기 명령어에 포함된 차량 상태를 분석한다. 분석된 차량 상태 정보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어플 사용 제한 모듈(240)로 전달된다.The vehiclestate processing module 220 receives the command according to the vehicle state through the Wi-Fi module 210 , processes the command according to the received vehicle state, and analyzes the vehicle state included in the command. The analyzed vehicle stat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usage restriction module 240 to be described below.

사용 어플 판단 모듈(230)은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어플들을 확인하여, 어플 ID 기반으로 어플 기능을 판단하고, 판단된 어플 기능에 따라 주행 중 강제 종료되어야 하는 사용 불가 어플을 설정한다. 이러한 사용 불가 어플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The usedapplication determination module 230 checks the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user terminal 200, determines the application function based on the application ID, and sets the unusable application to be forcibly terminated while driving according to the determined application function. Such unusable applications may be set according to a user input.

도 2는 주행 중 사용 가능 어플과 사용 불가 어플을 설정하는 설정 화면이다.2 is a setting screen for setting usable applications and unusable applications while driving.

도 2를 참조하면, 설정 화면 좌측에는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어플들 중 현재 활성화된 어플들의 ID(어플의 명칭)가 세로 방향으로 정렬되고, 우측에는 해당 어플들의 체크 박스가 세로 방향으로 정렬된다.Referring to FIG. 2 , on the left side of the setting screen, IDs (names of applications) of currently activated applications among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user terminal 200 are vertically aligned, and on the right side, check boxes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s are vertically aligned. do.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해당 어플의 체크 박스가 체크되고, 체크된 해당 어플들은 주행 중에 강제 종료되는 사용 불가 어플로 설정된다. 예컨대, 사용 불가 어플로 설정되는 어플들로는 운전을 방해 정도가 높은 동영상을 플레이 하는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어플 등이 있을 수 있다.The check box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checked according to the user input, and the checked applications are set as unusable applications that are forcibly closed while driving. For example, the applications set as unusable applications may include a media player application that plays a video with a high degree of hindrance to driving, a game application that executes a game, and the like.

사용 어플 판단 모듈(230)에 의해 설정된 설정 정보는 어플 사용 제한 모듈(240)로 전달된다.The setting information set by the applicationuse determination module 230 is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use limit module 240 .

도 2에서는 구글 어플(Google+)을 제외한 나머지 어플들이 사용 불가 어플로 설정된 예가 도시된 것이다.2 shows an example in which applications other than the Google application (Google+) are set as unusable applications.

한편, 도 2의 설정화면의 상단에는 "KILL selected apps" 항목이 표시됨으로써, 현 화면이 주행 중 사용 가능 어플과 사용 불가 어플을 설정하는 설정 화면임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KILL selected apps" item is displayed at the top of the setting screen of FIG. 2, thereby providing the user that the current screen is a setting screen for setting available and unusable applications while driving.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어플 사용 제한 모듈(240)은 사용 어플 판단 모듈(230)로부터 설정 정보와 차량 상태 처리 모듈(220)에서 분석한 차량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활성화된 사용 불가 어플을 강제 종료한다. 예컨대, 어플 사용 제한 모듈(240)은 현재 차량이 고속 주행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 상태 정보를 전달받으면, 활성화된 어플들 중 사용 불가 어플들로 설정된 어플들을 강제 종료하고, 그 종료 상황을 별도의 팝업창을 통해 표시하도록 사용자 단말의 표시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만일, ACC/IGN 신호에 따라 정차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 상태 정보를 전달받으면, 활성화된 모든 어플들을 종료하지 않고, 그 실행을 유지한다.Again, referring to FIG. 1 , the applicationuse restriction module 240 forces the activated unusable application using the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useapplication determination module 230 and the vehicle stat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vehiclestate processing module 220 . quit For example, when the application userestriction module 240 receives vehicle state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vehicle high-speed driving state, it forcibly terminates the applications set as unusable applications among the activated applications, and displays the termination situation in a separate pop-up window.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o display through. If, according to the ACC/IGN signal, vehicle state information indicating a vehicle stop state is received, the execution of all activated applications is maintained without terminating all application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통신 장치와 사용자 단말을 연계한 시스템에 따르면, 차량용 통신 장치에 사용 불가 어플을 등록하지 않고도,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 상태 정보만을 사용자 단말에게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송하는 과정만으로,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불가로 설정된 어플들을 차량 주행 중에 강제 종료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ystem linking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vehicle status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in a short distance without registering an unusable application in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Only through the process of wireless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forcibly terminate applications set to be disabled by the user in the user terminal while driving the vehicle.

또한 AVN과 같은 차재 장치와 사용자 단말 간의 시스템 구성이 아닌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와 같은 차량용 통신 장치와 사용자 단말 간의 시스템을 이용하여In addition, using a system between an in-vehicl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wired/wireless integrated gateway and a user terminal, rather than a system configuration between an in-vehicle device such as AVN and a user terminal,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한함으로써, AVN과 같은 차재 장치가 없는 차량에서도 운전 방해를 유발하는 사용자 단말의 어플 실행을 차단할 수 있다.By restricting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it is possible to block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in the user terminal that causes driving interference even in a vehicle without an on-board device such as an AV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통신 장치와 사용자 단말 간에 구성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운전 방해를 유발하는 사용자 단말의 어플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stricting the use of an application in a user terminal that causes driving interference using a system configured between a communication device for a vehicle and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차량용 통신 장치와 사용자 단말 간 Wi-Fi 통신 연결을 구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S310).Referring to FIG. 3 , first, a process of configuring a Wi-Fi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an in-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user terminal is performed ( S310 ).

이어, WPS 기술에 따라 차량 내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이 수행된다(S320).Next, a process of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n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WPS technology is performed ( S320 ).

이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판단되면, 차량용 통신 장치가 차량 내의 각종 전자 제어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상태 정보를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 상태 정보를 차량 상태에 따른 명령어로서 Wi-Fi 통신을 이용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이 수행된다(S330).Then, whe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determined,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receives vehicle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various electronic control units in the vehicle through the vehicle network, and uses the received vehicle state information as a command according to the vehicle state through Wi-Fi. A process of transmitting to the user terminal using communication is performed (S330).

이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는, 수신된 명령어를 분석하여 차량의 현재 주행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이 수행된다(S350).Next, the user terminal analyzes the received command to determine the current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S350).

이어, 판단된 차량의 현재 주행 상태 별로 사용 가능 어플과 사용 불가 어플을 판단하고(S350), 해당 주행 상태에 따라 활성화된 사용 불가 어플의 실행을 강제 종료하는 과정이 수행된다(S360).Next, a process of determining available and unusable applications for each of the determined current driving conditions of the vehicle (S350), and forcibly terminating the execution of the activated unusable applications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driving state (S360) is perform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와 같은 차량용 통신 장치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사용 제한 전용 앱을 활용하여 차량의 다양한 주행 상황에 따라서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의 어플을 제한함으로써, 운전자 부주의 방지하고, 동시에 종래와 같이 차량 내에서 사용 가능/불가한 어플 등록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wired/wireless integrated gateway and a limited-use dedicated app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to limit the applications of the user terminal that can be used according to various driving conditions of the vehicle, thereby preventing driver negligence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avoid the hassle of registering applications that can be used/unusable in the vehicle as in the prior art.

Claims (10)

Translated fromKorean
변속기 제어 유닛, ABS(Anti-lock Brake System), 에어백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다수의 전자 제어 유닛으로부터 변속 상태, 브레이크 작동 상태 및 에어백 상태를 포함하는 차량 주행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 주행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차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차량 주행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 주행 상태에 따라 사용 불가 애플리케이션(이하, 어플)의 실행을 강제 종료하기 위한 명령어를 생성하는 차량 상태 명령 모듈;
안테나 빔 패턴에 따른 수신신호세기를 세분화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맵을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맵을 이용하여 차량 내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고, 위치가 판단된 상기 사용자 단말에 고유 ID값을 할당하고, 할당된 고유 ID값에 따라 Wi-Fi 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연결을 구성하기 위한 WPS(Wi-Fi Position System) 판단 모듈; 및
상기 Wi-Fi 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연결이 구성되면, 상기 생성된 명령어를 Wi-Fi 통신을 이용해 상기 사용 불가 어플을 설치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Wi-Fi 모듈
을 포함하는 차량용 통신 장치.
A vehicle receiving vehicle driving state information indicating a vehicle driving state including a shift state, a brake operation state, and an airbag state from a plurality of electronic control units including a transmission control unit, an anti-lock brake system (ABS), and an airbag control unit network interface;
a vehicle state command module that receives the vehicle driving state information through the vehicle network interface and generates a command for forcibly terminating execution of an unusable application (hereinafter, a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vehicle driving state;
A map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configured by subdivid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according to the antenna beam patter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n the vehicle is determined using the configured map, and a unique ID is assigned to the user terminal where the location is determined a Wi-Fi Position System (WPS) determination module for allocating a value and configuring a connection between the Wi-Fi module and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assigned unique ID value; and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Wi-Fi module and the user terminal is established, the Wi-Fi module transmits the generated command to the user terminal in which the unusable application is installed using Wi-Fi communication.
A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태 명령 모듈은,
차량의 정지 상태를 나타내는 정지 상태 정보, 차량의 저속 주행 상태를 나타내는 저속 주행 상태 정보 및 차량 고속 주행 상태를 나타내는 고속 주행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명령어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신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hicle state command module,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generating the command including stop state information indicating a stopped state of the vehicle, low-speed driving state information indicating a low-speed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and high-speed driving state information indicating a high-speed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차량 내에 설치된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와 차량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하, 어플)의 실행을 제한하는 방법에 있어서,
안테나 빔 패턴에 따른 수신신호 세기를 세분화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맵을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맵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위치가 판단된 상기 단말에 고유 ID값을 할당하고, 할당된 고유 ID값에 따라 상기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에 Wi-Fi 통신 연결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에 포함된 차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변속기 제어 유닛, ABS(Anti-lock Brake System), 에어백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다수의 전자 제어 유닛으로부터 변속 상태, 브레이크 작동 상태 및 에어백 상태를 포함하는 차량의 현재 주행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 주행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주행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명령어를 생성하여 상기 명령어를 상기 Wi-Fi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수신된 명령어를 분석하여 상기 차량의 현재 주행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기 차량의 현재 주행 상태에 따라 실행 중인 어플의 강제 종료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의 실행을 제한하는 방법.
A method of limiting the execution of an application (hereinafter,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using a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a wired/wireless integrated gateway installed in a vehicle and a user terminal located in the vehicle, the method comprising:
constructing a map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by subdivid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according to the antenna beam pattern, and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by using the configured map;
allocating a unique ID value to the terminal whose location is determined, and configuring a Wi-Fi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wired/wireless integrated gateway and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assigned unique ID value;
Through a vehicle network interface included in the wired/wireless integrated gateway, a transmission control unit, an anti-lock brake system (ABS), and a plurality of electronic control units including an airbag control unit including a shift state, a brake operation state, and an airbag state receiving vehicle driving state information indicating a current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generating a command including driving stat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vehicle network interface and transmitting the comman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Wi-Fi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In the user terminal, analyzing the received command to determine the current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and determining whether to forcibly terminate the running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current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A method of restricting the execution of an application installed on a user terminal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의 강제 종료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차량의 현재 주행 상태별 사용 가능 어플과 사용 불가 어플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판단한 상기 차량의 현재 주행 상태가 저속 또는 고속 주행 상태인 경우, 상기 사용 불가 어플의 실행을 강제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의 실행을 제한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forcibly terminate the application comprises:
setting, in the user terminal, usable applications and unusable applications for each current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and
When the current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determined by the user terminal is a low-speed or high-speed driving state, forcibly terminating the execution of the unusable application
A method of limiting the execution of an application installed on a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불가 어플의 실행을 강제 종료하는 단계는,
동영상 재생 어플 및 게임 실행 어플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 불가 어플의 실행을 강제 종료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의 실행을 제한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ep of forcibly terminating the execution of the unusable application comprises:
Method for limiting the execution of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forcibly ending the execution of the unusable application, including a video playback application and a game execution applica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불가 어플의 실행을 강제 종료하는 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강제 종료된 결과를 팝업 창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의 실행을 제한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4, After the step of forcibly terminating the execution of the unusable application,
In the user terminal, the method of limiting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isplaying the result of the forced termination in a pop-up window.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의 강제 종료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차량의 현재 주행 상태 별 사용 가능 어플과 사용 불가 어플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현재 주행 상태가 정지 상태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현재 실행중인 모든 어플들의 실행을 그대로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의 실행을 제한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forcibly terminate the application comprises:
setting, in the user terminal, usable applications and unusable applications for each current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and
If the current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is in a stopped state, maintaining execution of all applications currently running in the user terminal as it is
A method of limiting the execution of an application installed on a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상태 정보는,
차량의 ACC 또는 IGN 상태를 포함하는 시동 상태 정보, 상기 차량이 기준 차속 미만으로 주행하는 저속 주행 상태 정보, 상기 차량이 상기 기준 차속 이상으로 주행하는 고속 주행 상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의 실행을 제한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Information on any one of starting st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ACC or IGN state of the vehicle, low-speed driving state information in which the vehicle travels less than the reference vehicle speed, and high-speed driving state information in which the vehicle travels at or above the reference vehicle speed A method of restricting the execution of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불가 어플은,
운전을 방해하는 정도가 높은 동영상을 플레이 하는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 및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어플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의 실행을 제한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unusable application,
A method of restricting the execution of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comprising: a media player application that plays a video with a high degree of disturbing driving; and a game application that executes a gam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사용 불가 어플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의 실행을 제한하는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in the user terminal, a setting screen for setting the unusable application.

KR1020140133293A2014-10-022014-10-02Communication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ActiveKR1023276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40133293AKR102327653B1 (en)2014-10-022014-10-02Communication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40133293AKR102327653B1 (en)2014-10-022014-10-02Communication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60039950A KR20160039950A (en)2016-04-12
KR102327653B1true KR102327653B1 (en)2021-11-17

Family

ID=55801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40133293AActiveKR102327653B1 (en)2014-10-022014-10-02Communication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232765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20130305354A1 (en)2011-12-232013-11-14Microsoft CorporationRestricted execution mod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EP2428028A4 (en)*2009-05-082014-07-02Obdedge Llc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policy-based control and monitoring of use of mobile devices by vehicle operators
PL2478505T3 (en)*2009-09-162017-09-29John J. FischerStandar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istraction prevention and safety protocol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20130305354A1 (en)2011-12-232013-11-14Microsoft CorporationRestricted execution mo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60039950A (en)201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11314389B2 (en)Method for presenting content based on checking of passenger equipment and distraction
EP2706725B1 (en)Vehicl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s
US20200159481A1 (en)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vehicl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CN105100189B (en)Method and system for a vehicle computing system to communicate with a social media website
KR20210063134A (en)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v2x messag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40065965A1 (en)Context adaptive content interaction platform for use with a nomadic device
WO2018082105A1 (en)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on-vehicle service using external sim card
US9466158B2 (en)Interactive access to vehicle information
US20220030385A1 (en)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proximity based component information provision
US20190147743A1 (en)Vehicle guidance based on location spatial model
KR20210056632A (en)Method for image processing based on message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CN107925866B (en)System and method for contacting occupants of remote vehicles using DSRC
CN104023306A (en)Provisioning automotive SIM cards without removal from vehicle
CN112631533A (en)Information sharing method, information sharing device, in-vehic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EP3544860B1 (en)Vehicle operating method and vehicle operating apparatus
CN107645716B (en)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orming host-shared vehicle remote connections
CN110892739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ne-button WIFI connection in a vehicle
KR102611775B1 (en)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group message
US9351095B2 (en)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with a head unit of a vehicle
KR101655823B1 (en)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sage of mobile device in vehicle
US9408043B2 (en)Detecting the presence of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in a vehicle
KR20120095650A (en)Vehicle multimedia system capable of updating software integration and method for updating software integration in telematics terminal
KR102327653B1 (en)Communication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JP6064872B2 (en) OBE
ITTO20120973A1 (en) LIMITATION OF THE FUNCTIONALITY OF PERSONAL MOBILE ELECTRONIC DEVICES INTELLIGENT MOBILE DRIVERS OF VEHICLE DRIVERS DURING THE GUIDE BASED ON BLUETOOTH TECHNOLOGY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41002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PA02012R01D

Patent event date:20191002

Comment text: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141002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01211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210812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11111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20211112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