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운동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체의 근력 약화나 노화 등으로 서서 운동하기 불편한 사람이 앉은 자세에서도 내장운동, 근육운동 및 균형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노인 및 환자 운동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chair, and more particularly, an exercise chair for the elderly and patients that enables visceral exercise, muscle exercise, and balance exercise to be performed even in a seated position by a person who has difficulty standing and exercising due to muscle weakness or aging of the lower body. is about
일반적으로 보행이 불가능한 환자나 고령자들은 운동이 필요하지만 열악한 주변 환경과 의지의 부족으로 인하여 운동할 기회가 적다. 이러한 환자나 고령자들은 운동에 의한 다양한 육체적 및 정신적 효능을 얻지 못하기 때문에 점진적인 체력의 약화와 함께 질환에 따른 합병증에 시달리게 되고, 정신적으로도 우울증, 기억력 및 인지 저하 등에 시달리게 된다.In general, patients who cannot walk or the elderly need exercise, but the opportunity to exercise is small due to the poor surrounding environment and lack of will. Because these patients or the elderly do not obtain various physical and mental effects from exercise, they suffer from complications due to diseases along with a gradual weakening of physical strength, and also suffer from depression, memory and cognitive decline mentally.
이에 따라 고령자나 환자 들이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매일 정해진 시간동안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것이 중요하다.Accordingly, it is important for the elderly and patients to exercise regularly for a set time each day in order to maintain a healthy lif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96251호(2008.01.21.)에는 고령자나 환자가 보호자 없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보행운동이나 각종 재활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운동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운동장치는 몸체를 직립상태로 유지하여 체중을 지탱하고 편안하게 직립 전신 보행운동을 할 수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796251 (2008.01.21.) discloses an exercise device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ed patients that enables the elderly or patients to safely and comfortably perform gait exercise or various rehabilitation treatments without a guardian. Conventional exercise equipment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can support the body weight by maintaining the body in an upright state and comfortably perform an upright whole-body gait exercis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운동장치는 어느 정도의 거동 및 운동이 가능한 고령자나 환자가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자발적 운동이 불가능한 고령자나 중증 환자의 경우 사용이 불가능하다.However, these conventional exercise devices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can be used by the elderly or patients who can move and move to a certain degree, and cannot be used in the case of the elderly or severely ill patients who cannot voluntarily exercis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앉을 수 있고, 앉은 자세에서 보행과 유사한 전신 움직임과 운동기능을 가능하게 하여 인체의 내장 및 근육 운동 등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하체의 부종 저하를 위한 다목적 운동용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so that a patient with difficulty in movement can sit, and in a sitting position, it enables full-body movement and exercise function similar to walking in a sitting position, thereby promoting metabolism such as internal and muscular movements of the human body and lowering of the lower bod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exercise chair for reducing edema.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운동용 의자는,
환자의 다리를 동작시킬 수 있는 하체운동부;
환자가 앉을 수 있고, 상기 하체운동부에 의한 환자의 동작에 맞춰 진동을 발생시키는 시트부; 및
환자의 상체가 고정되어 상체를 상하 이동시키거나 좌우로 회전시키는 상체운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체운동부는,
상기 시트부에 대하여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신축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상부프레임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승강실린더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되는 회전모터와, 하단이 상기 회전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고 환자의 등이 밀착 및 고정되는 등판과, 상기 등판에 장착되어 환자의 상체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의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어링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실린더에 작동에 의해 상기 등판과 고정수단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등판에 고정된 환자의 상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운동시키고,
상기 회전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등판과 고정수단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등판에 고정된 환자의 상체를 좌우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xercis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wer body exercise unit capable of operating the patient's legs;
 a seat part on which the patient can sit and generating vibration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patient by the lower body exercise part; and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is fixed and the upper body movement unit moves the upper body up and down or rotates left and right;
 The upper body exercise unit,
 An upper frame capable of adjusting an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seat portion, a lifting cylinder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and extending and contrac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member, a rotary motor installed in the lifting member, a rotary shaft whos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rotary motor to rotate, and a back plate formed on the rotary shaft to rot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rotary shaft and to which the patient's back is closely adhered and fixed; , a fixing means mounted on the back plate to stably fix the patient's upper body, and a bearing member mounted on the upper fram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rotation shaft,
 By operating the lifting cylinder, the back plate and the fixing means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moving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fixed to the back plate by the fixing mean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move,
 By the operation of the rotary motor, the back plate and the fixing means rot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bout the rotation shaft, and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fixed to the back board by the fixing means is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고정수단은 환자의 상체를 감싸면서 고정시키되, 상기 고정수단은 환자의 상체를 감싸는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fixing means is fixed while wrapping the patient's upper body, the fixing means can adjust the strength of wrapping the patient's upper body.
상기 하체운동부는, 조절장공이 형성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롤러와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상기 회전판을 지지하는 지지롤러와, 상기 구동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환자의 발이 고정되는 페달과, 상기 페달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조절장공을 따라 이동하여 회전판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연결로드로 이루어진다.The lower body movement unit includes: a rotating plate on which an adjustment long hole is formed; a driving roller that rotates the rotating plate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It consists of a drive motor, a pedal to which the patient's foot is fixed, and a connecting rod to which the pedal is rotatably coupled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rotating plate by moving along the adjustment long hole.
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조절장공의 외측에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로드에는 상기 회전판의 내부에 삽입되는 결합판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판에는 상기 체결공에 대응되는 체결볼트홀이 형성된다.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adjusting long hole in the rotating plate, a coupling plate inserted into the rotating plate is formed in the connecting rod, and a fastening bolt hole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coupling plate.
그리고 상기 하체운동부는 환자의 어느 한쪽 발이 고정되는 제1 하체운동부와 환자의 다른 한쪽 발이 고정되는 제2 하체운동부로 구분되어, 환자의 양쪽 다리를 독립적으로 운동시킬 수 있다.The lower body exercise unit is divided into a first lower body exercise unit to which one foot of the patient is fixed and a second lower body exercise unit to which the other foot of the patient is fixed, so that both legs of the patient can be independently moved.
그리고 본 발명의 운동용 의자는 상기 회전판의 회전속도에 따라 표시되는 화면이 변하는 스크린을 더 포함한다.And the exercis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creen on which the screen display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ng plate is changed.
상기 시트부는 상기 하체운동부가 배치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The seat portion may be mounted to be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n which the lower body exercise portion is disposed.
본 발명의 운동용 의자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인이 앉은 자세에서 보행과 유사한 전신 움직임과 운동기능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하체의 부종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환자의 장운동(배변효과)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근육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exercis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whole body movement and motor function similar to walking in a sitting posture for patients or the elderly with reduced mobility, thereby promoting the metabolism of the human body and reducing swelling of the lower body, and the bowel movement of the patient ( defecation effect), and it can enable muscle movement.
또한, 환자로 하여금 좌우 페달링을 통한 걷는 효과를 얻게 할 수 있고, 시트부의 상하 이동 및 좌우방향 흔들림(회전운동)에 의해 뛰는 효과 및 승마(내전근 활성화) 효과 등을 얻게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atient can obtain the effect of walking through left and right pedaling, and the effect of running and horseback riding (activation of adductor muscles) can be obtained by vertical movement of the seat part and shaking (rotational movem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의자의 전체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체운동부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하여 상체운동부를 전방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도 2의 상체운동부에서 상체고정부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체운동부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하여 상체운동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체운동부를 전방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체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1 is a side view for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n exercise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upper body exercise unit to show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upper body exercis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body fixing unit is raised in the upper body exercise unit of FIG. 2 .
 4 is a view of the upper body exercise unit viewed from the top in order to show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upper body exercis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rom the front of the lower body exercis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ower body exercis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인이 앉을 수 있고, 환자나 노인의 장운동 및 근육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운동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인이 앉은 자세에서 보행과 유사한 전신 움직임과 운동기능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하체의 부종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환자의 장운동(배변효과)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근육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chair in which a patient or elderly person with reduced mobility can sit, and bowel movement and muscle movement of the patient or the elderly can be made. By enabling the exercise function,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metabolism of the human body and reduce the edema of the lower body, and it is possible to make the bowel movement (feces effect) of the patient smooth, and to enable muscle movement.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의자의 내부구조 및 동작 형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핵심적인 부분만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실제 운동용 의자는 환자(또는 노인)의 몸을 안정적으로 편안하게 감싸줄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1 to 6 schematically show only the essential parts to show the internal structure and operation form of the exercise chai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actual exercise chair stably supports the body of the patient (or the elderly). It is preferable to be made in a form that can be comfortably wrapp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의자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부(100), 상체운동부(200) 및 하체운동부(30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to 6 , the exercise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시트부(100)는 환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다. 그리고 시트부(100)는 환자에게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시트부(100)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은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는 진동이거나, 상기 시트부(110)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흔들림일 수 있다.The
구체적인 일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부(100)는 하부에 진동실린더(110)를 구비하여 환자를 상하로 진동시킬 수 있다. 시트부(100)에 의한 상하 진동은 하체운동부(300)에 의한 환자의 동작에 맞춰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시트부(100)에는 환자의 팔을 편안하게 거치할 수 있는 팔받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팔받침에는 조작부가 구비될 수 있다. 조작부는 상체운동부(200)의 동작 형태 및 세기를 환자나 보호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부에는 긴급상황에서 환자 운동용 의자의 모든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정지버튼이 형성된다.As a specific example, as shown in FIG. 1 , the
또한, 상기 시트부(100)는 상하방향으로 진동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하체운동부(300)가 배치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시트부(10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서, 환자가 상기 시트부(100)에 탑승하거나 내릴때 상기 하체운동부(300)에 간섭없이 용이하게 탑승 및 하차를 할 수 있고, 환자의 다리 길이에 따라 상기 하체운동부(300)와의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상체운동부(200)는 환자의 상체가 고정되어 상체를 상하 이동시키거나 좌우로 비트는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The upper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체운동부(200)는 상부프레임(210), 승강실린더(220), 승강부재(230), 회전모터(240) 및 상체고정부(250)로 이루어진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2 to 4 , the upper
상부프레임(210)은 시트부(100)에 결합되며,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부프레임(210)의 경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전동모터나 유압실린더를 이용할 수 있다. 상부프레임(210)은 내부에 대략 사각형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승강부재(230), 회전모터(240) 및 상체고정부(25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부프레임(210)의 하부에는 승강실린더(220)가 설치되고, 상부프레임(210)의 상부에는 상체고정부(250)의 상하이동을 위한 유동홈(211)이 형성된다. 유동홈(211)에는 상체고정부(250)의 베어링부재(253)가 상하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The
승강실린더(220)는 상체고정부(250)의 하부에 설치되어 승강부재(230)를 승강시킨다. 그리고 승강부재(230)에는 회전모터(240)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부프레임(210) 내부에서 승강부재(230) 및 회전모터(24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The elevating
상체고정부(250)는 상부프레임(210)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상체고정부(250)는 회전축(251), 등판(252) 및 베어링부재(253)로 이루어진다. 회전축(251)은 하단이 회전모터(240)와 연결되고, 상단이 베어링부재(253)와 결합하여 회전할 수 있다. 등판(252)은 회전축(251)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251)과 함께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고, 환자의 등이 밀착 및 고정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252)에는 환자의 상체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252-1)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252-1)은 환자의 상체를 감싸면서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252-1)은 환자의 마비정도에 따라 환자의 상체를 감싸는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도록 한다. 베어링부재(253)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홈(211)에 상하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베어링부재(253)에는 회전축(251)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The upper
이에 따라 상체고정부(250)는 승강실린더(22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거나, 회전모터(240)에 의해 회전축(251)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승강실린더(220)에 의해 상체고정부(250)가 상하로 이동할 때는, 승강부재(230), 회전모터(240), 상체고정부(250)가 함께 상하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체고정부(250)의 회전은 회전축(251)의 상단이 베어링부재(253)에 결합되고 하단이 회전모터(240)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체고정부(250)의 승강 및 회전과 함께 환자의 상체도 상하방향으로 승강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환자의 상체에 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Accordingly, the upper
상술한 바와 같은 시트부(100) 및 상체고정부(250)는 환자가 편안하게 앉아 기댈 수 있도록 부드럽고 유연한 재질로 덮여 있으며 내부에 쿠션감을 주는 충전재가 삽입된다.The
하체운동부(300)는 환자의 다리를 동작시킬 수 있다. 즉 환자가 시트부(100)에 앉은 상태에서 환자의 두 발이 하체운동부(300)에 고정되어 환자의 다리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하체운동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체운동부와 제2 하체운동부 2개로 이루어져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제1 하체운동부는 환자의 어느 한쪽 발이 고정되고, 제2 하체운동부는 환자의 다른 한쪽 발이 고정된다. 제1 하체운동부와 제2 하체운동부의 구조는 동일하며, 환자의 양 발을 고정할 수 있도록 서로 대칭이 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하체운동부(300)는 하체운동부(300)의 작동에 의해 환자의 다리를 동작시키거나, 환자가 직접 다리를 움직이는 동안 환자의 움직임에 대한 저항력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즉 하체운동부(300) 자동 작동과 수동 작동의 변환이 가능하다.The lower
구체적으로 하체운동부(300)는 회전판(310), 구동롤러(320), 지지롤러(330), 구동모터(340), 페달(350) 및 연결로드(360)로 이루어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310)에는 조절장공(311)이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판(310)에는 조절장공(311)의 외측에 복수의 체결공(312)이 형성된다. 구동롤러(320) 및 지지롤러(330)는 회전판(310)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회전판(310)을 지지한다. 이때, 구동모터(340)는 구동롤러(320)를 회전시키고, 구동롤러(320)에 의해 회전판(310)이 회전하게 된다. 회전판(31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회전판(310)과 구동롤러(320) 및 지지롤러(330)는 접촉표면이 마찰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lower
연결로드(360)는 페달(350)과 회전판(310)을 연결하며, 페달(350)에는 환자의 발이 고정된다. 페달(350)은 회전판(31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회전하게 된다. 연결로드(360)는 일단에 결합판(361)이 형성되고, 타단에 페달(35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결합판(361)에는 체결공(312)에 대응되는 체결볼트홀(362)이 형성되고, 회전판(310)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러한 연결로드(360)는 조절장공(311)을 따라 이동하여 회전판(310)의 중심으부터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연결로드(360)의 위치를 조절한 후에는 체결볼트를 체결공(312) 및 체결볼트홀(362)로 삽입하여 연결로드(36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The connecting
또한, 회전판(310)의 회전속도에 따라 표시되는 화면이 변하는 스크린(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하체운동부(300)에 의한 환자의 운동속도 및 운동량에 따라 스크린에 표시되는 화면이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screen (not shown) on which the displayed scree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rotation speed of the
또한, 본 발명의 환자 운동용 의자는 전기자극기(400)와 사지압박장치(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기자극기(FES-Functional electronical stimulation)는 환자의 종아리나 허벅지 등에 부착되어 환자에게 전기자극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사지압박장치(500)는 공압을 이용하여 환자의 팔이나 다리를 압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ir for patient exercis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이하,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운동용 의자의 작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method of the exercis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환자는 시트부(100)에 앉아 등판(252)에 기대고, 등판(252)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수단(252-1)으로 환자의 상체를 등판(252)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환자의 양발을 페달(350)에 고정한다. 환자의 양발을 페달(350)에 고정할 때는 환자의 신체 조건에 맞춰 연결로드(36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하체의 동작 형태에 따라 연결로드(36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보폭을 크게 하여 동작을 크게 할 때는 연결로드(360)를 회전판(31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고, 보폭을 줄여 동작을 작게 할 때는 연결로드(360)를 회전판(310)의 중심과 가까운 위치로 이동시킨다.First, the patient sits on the
이러한 상태에서 시트부(100), 상체운동부(200) 및 하체운동부(300)는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거나 서로 연동하여 작동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하체운동부(300)의 회전판(310)이 각각 회전함으로써 환자는 다리는 마치 보행하거나 자전거를 타는 듯한 동작을 취하게 된다. 이때, 하체운동부(300)의 동작에 맞춰 시트부(100)가 상하로 진동할 수 있다. 동시에 상체운동부(200)의 등판(252)이 하체운동부(300)의 동작 패턴에 맞춰 소정간격 반복적으로 좌우 회전함으로써 보행이나 자전거를 탈 때와 같은 전신 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회전판(310)의 회전속도에 따라 시트부(100)의 상하진동 주기 및 등판(252)의 회전 주기가 조절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승강실린더(220)에 의해 등판(252)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회전축(251)의 상단이 베어링부재(25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베어링부재(253)는 유동홈(211)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등판(252)은 회전축(251)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과 상하 이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환자의 효과적인 장운동(배변효과)을 위하여 시트부(100)가 상승할 때 등판(252)이 하강하고, 시트부(100)가 하강할 때 등판(252)이 상승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의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exercis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시트부,110 : 진동실린더,
200 : 상체운동부,210 : 상부프레임,
211 : 유동홈,220 : 승강실린더,
230 : 승강부재,240 : 회전모터,
250 : 상체고정부,251 : 회전축,
252 : 등판,253 : 베어링부재,
300 : 하체운동부,310 : 회전판,
311 : 조절장공,312 : 체결공,
320 : 구동롤러,330 : 지지롤러,
340 : 구동모터,350 : 페달,
360 : 연결로드,361 : 결합판,
362 : 체결볼트홀,
400 : 전기자극기,500 : 사지압방장치,100: seat portion, 110: vibration cylinder,
 200: upper body exercise unit, 210: upper frame,
 211: floating groove, 220: elevating cylinder,
 230: elevating member, 240: rotating motor,
 250: upper body fixing part, 251: rotating shaft,
 252: back plate, 253: bearing member,
 300: lower body exercise unit, 310: rotating plate,
 311: adjustment long hole, 312: fastening hole,
 320: drive roller, 330: support roller,
 340: drive motor, 350: pedal,
 360: connecting rod, 361: coupling plate,
 362: fastening bolt hole,
 400: electric stimulator, 500: limb pressure relief devic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61282AKR102323896B1 (en) | 2019-12-06 | 2019-12-06 | Exercising chair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61282AKR102323896B1 (en) | 2019-12-06 | 2019-12-06 | Exercising chair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072174A KR20210072174A (en) | 2021-06-17 | 
| KR102323896B1true KR102323896B1 (en) | 2021-11-10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161282AActiveKR102323896B1 (en) | 2019-12-06 | 2019-12-06 | Exercising chair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323896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624369B1 (en)* | 2021-09-01 | 2024-01-11 | 신오섭 | Indoor bicycle equipped with ankle exercise equipment | 
| CN113749906B (en)* | 2021-09-15 | 2023-12-05 | 湖南新奥体育产业发展有限公司 | An auxiliary device for sports training that facilitates single-person stretching and has a protective structur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EP0174747A2 (en) | 1984-08-14 | 1986-03-19 | Tai-Her Yang | Optionally passive or active bicycle-type exerciser | 
| KR100711104B1 (en)* | 2006-11-13 | 2007-04-24 | 장석환 | Chiropractic Equipment | 
| US20110082009A1 (en)* | 2009-09-16 | 2011-04-07 | Richard Ranky | Instrumented handle and pedal systems for use in rehabilitation, exercise and training equipment | 
| US20180071565A1 (en)* | 2016-09-12 | 2018-03-15 | ROM3 Rehab LLC | Adjustable Rehabilitation and Exercise Device | 
| KR101925718B1 (en)* | 2017-06-27 | 2018-12-05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Exercise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830008693A (en)* | 1982-03-26 | 1983-12-14 | 원본미기재 | Exercise device and method | 
| JP3048540U (en)* | 1997-10-31 | 1998-05-15 | 株式会社テックイチ | Rehabilitation equipment | 
| KR101015992B1 (en)* | 2008-05-21 | 2011-02-23 | (주)엔텍 | Not recycle bicycle fitness equipment | 
| KR101515545B1 (en)* | 2013-05-23 | 2015-05-04 | 주식회사 피앤에스미캐닉스 | Robot for moving lower limb | 
| KR20170062015A (en)* | 2015-11-27 | 2017-06-07 | 이광덕 | Apparatus for Rehabilitating Leg and upper limb | 
| KR101879435B1 (en)* | 2016-12-22 | 2018-07-18 | 임세종 | Multipurpose bicycle type exercise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EP0174747A2 (en) | 1984-08-14 | 1986-03-19 | Tai-Her Yang | Optionally passive or active bicycle-type exerciser | 
| KR100711104B1 (en)* | 2006-11-13 | 2007-04-24 | 장석환 | Chiropractic Equipment | 
| US20110082009A1 (en)* | 2009-09-16 | 2011-04-07 | Richard Ranky | Instrumented handle and pedal systems for use in rehabilitation, exercise and training equipment | 
| US20180071565A1 (en)* | 2016-09-12 | 2018-03-15 | ROM3 Rehab LLC | Adjustable Rehabilitation and Exercise Device | 
| KR101925718B1 (en)* | 2017-06-27 | 2018-12-05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Exercise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072174A (en) | 2021-06-17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4853711B (en) | Equipment for Exercise Therapy | |
| US7524283B1 (en) | Sex table | |
| CN105641872A (en) | Critical patient exercise device | |
| KR102323896B1 (en) | Exercising chair | |
| CN112618253A (en) | Synchronous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for upper and lower limbs | |
| JP2007283004A (en) | Lower limb exercise assistance apparatus | |
| US20070173380A1 (en) | Exercise, rehabilitation and mobilization device for paraplegic and motorically handicapped persons | |
| JP2001008987A (en) | Machine for practicing cross-pattern walking | |
| JP3790768B1 (en) | Lower limb exercise assist device | |
| KR20150004470U (en) | Movable standing table with vibrators on foot support | |
| JP4802336B2 (en) | Gravity load exercise device | |
| WO2009150854A1 (en) | Device for training range of joint motion | |
| KR20020008760A (en) | physical treatment device for handicapped people | |
| KR102157321B1 (en) | Whellchair foot hold for rehabilitation exercise | |
| JP2008237785A5 (en) | ||
| KR101015992B1 (en) | Not recycle bicycle fitness equipment | |
| JP4575711B2 (en) | Electric training machine | |
| KR102079425B1 (en) | Device for Pelvic Limb Blood Flow | |
| KR20150004469U (en) | Movable table with vibrators on foot support | |
| KR102311716B1 (en) | Variable rotation angle rehabilitation mechine | |
| JP2007215894A (en) | Training apparatus, train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exercise program | |
| CN213465903U (en) | Rehabilitation bicycle | |
| CN218871184U (en) | Shank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with adjustable | |
| KR102707912B1 (en) | Standing Wheelchair | |
| KR102571565B1 (en) | leg edema relief device for wheelchair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91206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10521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210820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11103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211104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