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2310960B1 - Flow rate regulator - Google Patents

Flow rate regul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960B1
KR102310960B1KR1020210007414AKR20210007414AKR102310960B1KR 102310960 B1KR102310960 B1KR 102310960B1KR 1020210007414 AKR1020210007414 AKR 1020210007414AKR 20210007414 AKR20210007414 AKR 20210007414AKR 102310960 B1KR102310960 B1KR 102310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housing
flushing
infusion tube
infu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4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텍메디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텍메디컬코리아filedCritical주식회사 파텍메디컬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07414ApriorityCriticalpatent/KR102310960B1/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960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2310960B1/en
Active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은 수액 유량 조절기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약물 투입 이후에 수액 공급을 정상화시키기 위한 플러싱(flushing)이 가능하고, 플러싱 동작 전이나 동작 이후에 수액관을 통해 환자에게 수액 공급시 그 공급 유량을 정밀하게 조절한 것이며, 이에 따라 환자 상태를 고려하여 체내에 수액이 과도하게 투입되지 않게 하고 필요한 양만큼 정확한 수액이 투여되도록 하여 제품에 대한 품질 및 환자에게 신뢰감을 극대화시키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fluid flow reg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lushing is possible to normalize the fluid supply after drug injection, and the supply flow rate is precisely controlled when fluid is supplied to the patient through the fluid pipe before or after the flushing operation. Considering the patient's condition, it is to prevent excessive injection of fluid into the body and to ensure that the correct amount of fluid is administered, thereby maximizing the quality of the product and the patient's trust.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수액 유량 조절기{FLOW RATE REGULATOR}Fluid flow regulator {FLOW RATE REGULATOR}

본 발명은 수액 유량 조절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액관을 통해 환자에게 수액 공급시 그 공급 유량을 정밀하게 미세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수액관이 가압된 상태에서 약물 투입 이후에 수액 공급을 정상화시키기 위한 플러싱(flushing) 기능 수행시 그 플러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수액 유량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id flow regul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enable precise and fine control of the supply flow rate when supplying fluid to a patient through an infusion tube, as well as supplying an infusion fluid after drug injection in a pressurized state. It relates to an infusion fluid flow regulator that allows the flushing to be easily performed when performing a flushing function to normalize the fluid.

일반적으로, 링겔의 수액을 수액관을 통해 환자에게 공급할 때 그 공급 유량은 수액 조절기(또는 유량 조절기)에 의해 조절되며, 상기 수액 조절기는 수액관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롤러 클램프 방식 또는 수액관에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는 아이브이 플로우 레귤레이터(IV Flow Regulator)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In general, when Ringel's infusion is supplied to a patient through an IV tube, the supply flow rate is controlled by an IV regulator (or flow regulator), which is a roller clamp method that can move along an IV tube or moves in an IV tube It can be divided into a fixed IV flow regulator (IV Flow Regulator) method.

상기 롤러 클램프 방식은 수액관에 단독 적용되거나 또는 등록특허공보 제10-1553227호와 등록특허공보 제10-1553228호에서와 같이 상기 아이브이 플로우 레귤레이터 방식과 함께 동시에 적용, 또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8568호, 등록특허공보 제10-1058539호, 등록특허공보 제10-1650939호, 등록특허공보 제10-1837519호, 등록특허공보 제10-1838953호, 등록특허공보 제10-1873579호, 등록특허공보 제10-1952322호 등과 같이 상기 수액관에 상기 아이브이 플로우 레귤레이터 방식만이 적용되어 사용되어 왔다.The roller clamp method is applied alone to the infusion tube, or is applied simultaneously with the IV flow regulator method as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s. 10-1553227 and 10-1553228, or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 2017-0088568,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058539,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650939,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37519,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38953,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73579, As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52322, only the IV flow regulator method has been applied to the infusion tube and has been used.

그러나, 상기 롤러 클램프 방식은 수액관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으로 이는 수액 공급량을 정밀하게 조절하지 못함은 물론 플러싱 기능은 전혀 구비되어 있지는 않았다.However, the roller clamp method is movable along the infusion tube, which does not precisely control the amount of infusion supply, and the flushing function is not provided at all.

즉, 상기 롤러 클램프 방식은 수액관의 외주면에서 상기 수액관의 진행방향으로 롤러가 구름 회전하면서, 상기 수액관을 가압하는 것이지만, 상기 롤러가 수액관의 진행방향으로 구름 회전하여 상기 수액관을 가압시 그 가압력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며, 이에 종래의 롤러 클램프 방식들은 수액 유량 조절이 정밀하고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없음은 물론 플러싱 기능을 전혀 구현하고 있지는 않았다.That is, in the roller clamp method, the roller rotate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V tube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IV tube and presses the IV tube, but the roller rotates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IV tube to press the IV tube The pressing force is inevitably limited, and thus the conventional roller clamp methods cannot precisely and finely control the fluid flow rate and do not implement the flushing function at all.

이에 종래에는 상기 롤러 클램프 방식의 수액 유량을 정밀하고도 미세하게 조정하도록 눈금이 표시된 등록특허공보 제10-2171665호가 개시되기도 하였지만, 이 또한 수액관의 진행방향으로 롤러가 구름 회전하여 가압하는 것이므로, 그 가압력에 따른 수액 유량 조절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으며, 이 또한 플러싱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는 않았다.Accordingly, in the prior art, Patent Publication No. 10-2171665 in which a scale is displayed to precisely and finely adjust the infusion flow rate of the roller clamp method has been disclosed. The fluid flow rate could not be properly adjusted according to the pressing force, and the flushing function was not provided.

또한, 상기 아이브이 플로우 레귤레이터는 수액 공급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는 있지만 수액관에서 이동이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IV flow regulator can precisely control the infusion supply amount, movement in the IV tube is not performed at all.

즉, 상기 아이브이 플로우 레귤레이터는 몸체 일단과 타단에 각각 분리된 수액관이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아이브이 플로우 레귤레이터는 수액 유량을 미세 조절할 수는 있지만, 수액관을 따라 전혀 이동할 수 없는 관계로 플러싱 기능을 구현할 수는 없는 것이다.That is, the IV flow regulator has separate infusion tubes connect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ody, and the IV flow regulator can fine-tune the IV flow rate, but it cannot move along the IV tube at all. cannot be implemented.

즉, 상기 롤러 클램프 또는 상기 아이브이 플로우 레귤레이터로 이루어진 수액 조절기는 수액관에 연결되는 Y자 형태의 3개 가지를 갖는 주사기 연결구(Y-site)에 주사침을 사용하여 약물을 주입한 이후 상기 수액관을 통한 수액 공급을 정상화시키는 플러싱(flushing)이 전혀 이루어지지는 않았다.That is, the infusion regulator composed of the roller clamp or the IV flow regulator injects the drug using a needle into the syringe connector (Y-site) having three Y-shaped branches connected to the infusion tube, and then the infusion tube No flushing was performed to normalize the fluid supply through the

여기서, 상기 플러싱은 환자에게 수액을 투여하기 전에 수액관에 생리 식염수를 주입한 후 이를 이용하여 주사침과 정맥 연결점에 침전물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혈액이나 섬유소를 정맥관 내강에서 씻어내는 것이며, 이를 통해 다양한 약물이 주입될 경우 약물들간의 혼합이나 화학적 침전 물질이 축적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수액관이 폐색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으로, 이는 적어도 12시간 마다 진행되어야 하는 것이다.Here, the flushing involves injecting physiological saline into the infusion tube before administering the fluid to the patient and then using it to prevent sediment from accumulating at the needle and vein junction and to wash blood or fibrin from the lumen of the venous tube, through which various drugs When this is injected, mixing between drugs or chemical precipitation material is not accumulated, as well as to prevent blockage of the infusion tube, which should be performed at least every 12 hours.

이에 종래에는 전자기기를 사용하여 플러싱을 하는 장치를 사용하기도 하였지만 이는 고가이고 숙련자가 아니면 그 사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For this reason, conventionally, a device for flushing using an electronic device has been used, but this is expensive an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use unless a skilled person is used.

이에,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플러싱 기능과 수액 공급 유량 조절이 가능한 등록특허공보 제10-1024406호, 등록특허공보 제10-1266756호, 등록특허공보 제10-1481918호 등이 개시되기도 하였다.Accordingly, in the prior art, in order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the flushing function and the infusion supply flow rate control are disclosed in Patent Publication No. 10-1024406, Patent Publication No. 10-1266756, Patent Publication No. 10-1481918, etc. also became

그러나, 상기와 같이 플러싱 기능을 가지는 수액 조절기 또한 롤러 클램프 방식으로서, 이는 수액관의 길이방향으로 롤러가 구름 회전하면서 이동하여 상기 수액관을 가압하는 것이므로, 그 가압력에 따른 수액 공급 유량을 정밀하게 미세 조절할 수는 없었다.However, the infusion regulator having a flushing function as described above is also a roller clamp method, and since the roller moves while roll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fusion tube to pressurize the infusion tube, the infusion supply flow rate according to the pressing force is precisely finely adjusted. I couldn't control it.

한편, 플러싱 기능을 가지는 상기의 선등록특허인 등록특허공보 제10-1024406호, 등록특허공보 제10-1266756호, 등록특허공보 제10-1481918호는 본원출원인(주식회사 파텍메디컬코리아)이 2020년 04월 20일자로 전용실시권을 설정 등록하여둔 것으로, 본원출원인은 상기 플러싱 기능을 가지는 선등록특허들이 가지는 문제를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pre-registered patents with a flushing function, Patent Publication No. 10-1024406, Patent Publication No. 10-1266756, and Patent Publication No. 10-1481918, are disclos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Patek Medical Korea Co., Ltd.) in 2020. As of April 20, an exclusive license was set and registered, and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tends to improve the problem of prior registered patents having the flushing function.

등록특허공보 제10-1553227호(공고일 2015.09.16.)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53227 (published on September 16, 2015)등록특허공보 제10-1553228호(공고일 2015.09.16.)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53228 (published on September 16, 2015)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8568호(공개일 2017.08.02.)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88568 (published on Aug. 2, 2017)등록특허공보 제10-1058539호(공고일 2011.08.23.)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058539 (published on August 23, 2011)등록특허공보 제10-1650939호(공고일 2016.08.25.)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650939 (published on August 25, 2016)등록특허공보 제10-1837519호(공고일 2018.03.13.)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37519 (published on March 13, 2018)등록특허공보 제10-1838953호(공고일 2018.03.15.)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38953 (published on March 15, 2018)등록특허공보 제10-1873579호(공고일 2018.07.02.)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73579 (published on 2018.07.02.)등록특허공보 제10-1952322호(공고일 2019.02.26.)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952322 (published on February 26, 2019)등록특허공보 제10-2171665호(공고일 2020.10.29.)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171665 (published on October 29, 2020)등록특허공보 제10-1024406호(공고일 2011.03.23.)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024406 (published on March 23, 2011)등록특허공보 제10-1266756호(공고일 2013.05.28.)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266756 (published on May 28, 2013)등록특허공보 제10-1481918호(공고일 2015.01.14.)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481918 (published on January 14, 201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약물 투입 이후에 수액 공급을 정상화시키기 위한 플러싱(flushing) 기능이 가능하고, 플러싱 동작 전이나 동작 이후에 수액관을 통해 환자에게 수액 공급시 그 공급 유량을 정밀하고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수액 유량 조절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flushing function to normalize the fluid supply after drug injection is possible, and when the fluid is supplied to the patient through the fluid pipe before or after the flushing operation, the supply flow rate is precisely and It is intended to provide a fluid flow regulator that can also be finely adjusted.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수액 유량 조절기는,The solution flow regulator as a means of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하측과 일측이 개구되면서 수액관이 관통하는 제 1 내부공간이 마련되도록 사출 성형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내부공간의 내벽면을 따라 롤러 장착홈과 롤러 이동홈이 형성되는 플러싱 하우징;The flushing housing is injection-molded to provide a first inner space through which the infusion tube passes while opening the upper, lower and one sides, and having a roller mounting groove and a roller moving groove formed along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first inner space;

상기 플러싱 하우징의 상측 개구부를 통해 진입하여 상기 롤러 장착홈에 장착되면서 제 1 축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고정롤러;a fixed roller which enters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flushing housing and is rotatably shaft-coupled through a first shaft while being mounted in the roller mounting groove;

상기 플러싱 하우징의 상측 개구부를 통해 진입하여 일측 개구부를 통해 일부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제 2 축부를 통해 상기 롤러 이동홈을 따라 구름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롤러 이동홈의 상단 플러싱 위치에 배치시 상기 고정롤러와 함께 상기 수액관을 가압하여 상기 수액관에 대한 플러싱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롤러 이동홈의 상단 플러싱 위치에서 하방향으로 구름 회전시 상기 수액관의 플러싱 기능의 가압을 해제시키는 구동롤러;It enters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flushing housing and rolls along the roller moving groove through the second shaft in a state in which a part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one opening, and when placed at the flushing position at the upper end of the roller moving groove, a driving roller for pressing the infusion tube together with a fixed roller to perform a flushing function on the infusion tube, and releasing the pressure of the flushing function of the infusion tube when rolling downward from the upper flushing position of the roller moving groove;

상기 플러싱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수액관이 통과되도록 상기 제 1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제 2 내부공간을 가지며, 외주면에 수액 공급 유량을 다단 조절하기 위한 눈금이 표시되는 고정 하우징; 및,a fixed housing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lushing housing, having a second inner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inner space so that the infusion tube passes, and having a scale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 adjusting the infusion supply flow rate in multiple stages; and,

상기 수액관이 통과되는 가압부를 가지는 가압판이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 하우징에 수평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수액관을 통한 수액 공급 유량을 상기 눈금을 기준으로 소정 단위로 다단 조절하도록 외주면에 눈금지시부가 형성되는 회전 하우징; 을 포함하고,A pressure plate having a pressing part through which the infusion tube passes is formed and horizontally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housing, and a scale indication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adjust the infusion supply flow rate through the infusion tube in multiple steps based on the scale. a rotating housing formed; including,

상기 가압부는 상기 회전 하우징의 회전량에 따라 상기 수액관을 직교되는 방향에서 가압하되 그 가압력이 변경되도록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링형의 가압홀인 것이다.The pressing part is a ring-shaped pressing hole that presses the infusion tub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mount of the rotating housing, but narrows in width from one end to the other so that the pressing force is changed.

또한, 상기 가압홀의 일단은 상기 수액관이 배치시 상기 수액관에 대한 가압은 해제되어 상기 수액관을 통한 수액 공급 유량이 최대로 유지되도록 상기 수액관 직경과 동일하거나 큰 폭을 가지며, 상기 가압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는 상기 수액관이 배치시 상기 수액관에 대한 가압 압력이 증가되면서 상기 수액관을 통한 수액 유량이 줄어들거나 차단되도록 상기 수액관 직경보다 작은 폭으로 좁아져 상기 수액관을 직교되는 방향에서 가압하는 압력 크기가 높아지는 것이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pressure hole has a width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fusion tube so that the pressure on the infusion tube is released when the IV tube is disposed so that the infusion supply flow rate through the IV tube is maintained at a maximum, and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hole When the infusion tube is dispos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the infusion tube is narrowed to a width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IV tube so as to decrease or block the flow rate of the IV tube as the pressure on the IV tube is increas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V tube. The amount of pressure applied increases.

또한, 상기 가압판에 형성되는 상기 가압홀의 내주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플러싱 기능이 진행시 상기 고정 하우징과 상기 회전 하우징이 상기 플러싱 하우징과 함께 동시에 상기 수액관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름 동작하면서도 상기 수액관을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슬이 수용되는 것이다.In addition, an accommodat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ing hole formed in the pressing plate, and the fixed housing and the rotating housing are simultaneously moved along the infusion tube together with the flushing housing when the flushing function is per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At least one or more beads that pressurize the infusion tube while rolling is accommodated.

또한, 상기 롤러 장착홈의 하향 끝단에는 상기 고정롤러의 제 1 축부가 안착되는 회전축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a rotation shaft fastening hole in which the first shaft portion of the fixed roller is seated is formed at the downward end of the roller mounting groove.

또한, 상기 롤러 이동홈은 상측 폭보다 하측 폭이 좁아지도록 상기 롤러 이동홈의 중단에는 안착단턱이 형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a seating step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roller moving groove so that the lower width of the roller moving groove is narrower than the upper width.

또한, 상기 플러싱 하우징의 상측 개구부와 상기 안착단턱 사이에는 제 1 언더컷과 제 2 언더컷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구동롤러의 제 2 축부가 상기 제 1 언더컷과 상기 제 2 언더컷 사이에 위치될 때 플러싱 기능이 가능한 상태가 확보되도록 상기 회전축 체결공은 상기 제 1 언더컷과 상기 제 2 언더컷 사이의 지점과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다.Also, between the upper opening of the flushing housing and the seating step, a first undercut and a second undercut are formed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and a second shaft portion of the driving roller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undercut and the second undercut. The rotation shaft fastening hole is form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a point between the first undercut and the second undercut so as to secure a state in which the flushing function is possible.

또한, 상기 고정롤러와 상기 구동롤러는 동일한 높이로 위치되어 상기 수액관을 가압하도록, 상기 제 1 언더컷과 상기 제 2 언더컷 사이의 상기 롤러 이동홈 내벽면 중에서, 상기 플러싱 하우징의 일측 개구부와 가까운 측의 내벽면에는 상기 구동롤러의 제 2 축부가 걸림되는 걸림단턱이 형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ixed roller and the driving roller are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to press the infusion tube, and among the inner wall surfaces of the roller movement groove between the first undercut and the second undercut, the side close to the opening of one side of the flushing housing A locking step is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driving roller on which the second shaft portion is caught.

또한, 상기 플러싱 하우징의 상측 개구부와 상기 롤러 이동홈의 상단 일측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만곡내벽을 형성하고, 상기 만곡내벽과 인접한 지점의 상기 롤러 이동홈 바닥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돌출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 언더컷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언더컷은 상기 롤러 이동홈의 폭방향 내벽면 중에서 상기 플러싱 하우징의 일측 개구부와 가까운 측의 내벽면과 상기 경사 언더컷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upper opening of the flushing housing and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roller moving groove form a curved inner wall that is inclined toward the upper side, and the bottom of the roller moving groove at a point adjacent to the curved inner wall has an inclined undercut whose protrusion height increases toward the lower side. The first undercut is formed so as to connect the inclined undercu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near the opening of one side of the flushing housing among the inner wall surfaces of the roller moving groove in the width direction.

또한, 상기 고정롤러의 일면에 돌출되는 상기 제 1 축부측에는 톱니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플러싱 하우징에는 상기 고정롤러가 회전시 상기 톱니기어에 순차적으로 접촉하면서 플러싱 동작 알림음을 발생시키는 가이드핀이 연장 형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a toothed gear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shaft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fixed roller, and a guide pin for generating a flushing operation notification sound while sequentially contacting the toothed gear when the fixed roller rotates is extended in the flushing housing. will be formed

또한, 상기 플러싱 하우징에는 연장 하우징을 형성하면서, 상기 연장 하우징에는 상기 롤러 이동홈으로부터 연장되는 롤러 연장 이동홈을 형성하되, 상기 구동롤러는 상기 안착단턱 이하에서 상기 롤러 연장 이동홈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수액관을 가압하여 수액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수액관에 대한 상기 구동롤러의 가압은 상기 롤러 연장 이동홈과 마주하도록 상기 플러싱 하우징의 내벽면에 형성되는 경사벽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수액관을 가압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extension housing is formed in the flushing housing, and a roller extension movement groove extending from the roller movement groove is formed in the extension housing, and the driving roller moves downward along the roller extension movement groove below the seating step. It is configured to press the infusion tube while moving to block the infusion supply, and the pressing of the driving roller to the infusion tube is guided by an inclined wall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lushing housing to face the roller extension moving groove. to pressurize the infusion tub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약물 투입 이후에 수액 공급을 정상화시키기 위한 플러싱(flushing)이 가능하고, 플러싱 동작 전이나 동작 이후에 수액관을 통해 환자에게 수액 공급시 그 공급 유량을 정밀하게 조절하는 수액 유량 조절기를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환자 상태를 고려하여 체내에 수액이 과도하게 투입되지 않게 하고 필요한 양만큼 정확한 수액이 투여되도록 하여 제품에 대한 품질 및 환자에게 신뢰감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lushing to normalize the fluid supply after drug injection is possible, and when the fluid is supplied to the patient through the fluid pipe before or after the flushing operation, the fluid flow rate for precisely controlling the supply flow rate The regulator is configured, and through thi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quality of the product and the trust of the patient can be expected by preventing excessive fluid injection into the body and administering the correct amount of fluid in consideration of the patient's condition.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수액 세트의 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플러싱 기능을 가지는 수액 유량 조절기의 구조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플러싱 기능을 가지는 수액 유량 조절기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수액 유량 조절기의 플러싱 기능이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수액 유량 조절기의 플러싱 기능이 해제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회전 하우징의 가압홀 일단에 수액관이 배치되어 가압이 해제된 상태를 보인 평단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회전 하우징의 가압홀 중간에 수액관이 배치되어 가압이 중간 압력으로 가해지는 상태를 보인 평단면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회전 하우징의 가압홀 타단에 수액관이 배치되어 최대 가압이 이루어진 상태를 보인 평단면 개략도.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fusion se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luid flow regulator having a flushing func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luid flow regulator having a flush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ushing function of the fluid flow regulator is operat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ushing function of the fluid flow regulator is relea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fusion tube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pressure hole of the rotary housing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sure is released.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fusion tube is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pressurizing hole of the rotating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surization is applied to the intermediate pressure.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ximum pressure is achieved by placing an infusion tube at the other end of the pressure hole of the rotary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the embodiment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is embodiment makes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technology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n the embodiment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Fur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and/or plan views, which are ideal illustrative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 shown, but also include necessary changes. For example, the region shown at a right angle may be rounded or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Accordingly,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have a schematic nature, and the shapes of the illustrated regions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specific shapes of regions of the device and not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ccordingly,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signs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even if not mentioned or described in the drawings. In addition, although reference numerals are not indicated, descriptions may be made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수액 세트의 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플러싱 기능을 가지는 수액 유량 조절기의 구조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플러싱 기능을 가지는 수액 유량 조절기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수액 유량 조절기의 플러싱 기능이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fusion se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fusion fluid flow regulator having a flushing func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luid flow regulator having a flushing function as an embodiment,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ushing function of the fluid flow regulator is ope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수액 유량 조절기의 플러싱 기능이 해제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회전 하우징의 가압홀 일단에 수액관이 배치되어 가압이 해제된 상태를 보인 평단면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회전 하우징의 가압홀 중간에 수액관이 배치되어 가압이 중간 압력으로 가해지는 상태를 보인 평단면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회전 하우징의 가압홀 타단에 수액관이 배치되어 최대 가압이 이루어진 상태를 보인 평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5 is a cross-sectional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ushing function of the infusion fluid flow regulator is relea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fusion pipe is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pressure hole of the rotary housing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ressurization is applied as an intermediate pressure, and FIG. 8 is a schematic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mbodiment, an infusion tube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pressure hole of the rotary housing to show a schematic cross-sectional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maximum pressure is achieved.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 유량 조절기(A)는, 플러싱 하우징(10), 고정롤러(20), 구동롤러(30), 고정 하우징(40), 회전 하우징(50)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1 to 8, the infusion fluid flow regulator (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ushinghousing 10, a fixedroller 20, a drivingroller 30, a fixedhousing 40, It may include arotating housing 50 .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은 수액백(200)과 연결되는 수액관(100)의 외주면에 설치되면서, 상기 수액관(100)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으로, 상,하측과 일측이 개구되면서 상기 수액관(100)이 관통하는 제 1 내부공간(10a)이 마련되도록 사출 성형되며, 사출 성형시 상기 제 1 내부공간(10a)의 내벽면에는 하향 연장되는 마주하는 한 쌍의 롤러 장착홈(11)과 마주하는 한 쌍의 롤러 이동홈(12)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The flushinghousing 10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infusion tube 100 connected to theinfusion bag 200, and is movable along theinfusion tube 100. 100) is injection-molded to provide a penetrating first inner space (10a), and during injection moldi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irst inner space (10a) faces a pair of facingroller mounting grooves 11 extending downward. A pair ofroller moving grooves 12 may be formed.

여기서,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은 2개로 분할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사출 방식에 의해 하나의 일체화된 구조물을 이룬 것이며,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이 사출 성형시, 상기 고정롤러(20)와 상기 구동롤러(30)를 상기 플러싱 하우징(10) 내부로 밀어 넣는 삽입 방법으로 장착시켜야 하므로,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에는 상기 고정롤러(20)와 상기 구동롤러(30)의 삽입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구조물이 필요하며, 이에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의 제 1 내부공간(10a)에서 내벽면에는 각각 마주하는 한 쌍의 상기 롤러 장착홈(11)과 상기 롤러 이동홈(12)을 형성시키게 되는 것이다.Here, the flushinghousing 10 is not manufactured in two parts, but is formed into one integrated structure by an injection method, and when the flushinghousing 10 is injection molded, the fixedroller 20 and the driving roller (30) must be mounted by the insertion method of pushing into the flushinghousing 10, the flushinghousing 10 has a structure for guidi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ixedroller 20 and the drivingroller 30 Accordingly, a pair of theroller mounting grooves 11 and theroller moving grooves 12 facing each other are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irstinner space 10a of the flushinghousing 10 .

즉, 상기 롤러 장착홈(11)에는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의 상측 개구부를 통해 진입되는 상기 고정롤러(2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롤러 이동홈(12)은 상기 구동롤러(30)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플러싱 기능을 위한 상기 구동롤러(30)의 위치, 그리고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플러싱 기능 해제를 위해 상기 수액관(100)을 완전 개방시키기 위한 상기 구동롤러(30)의 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at is, the fixedroller 20, which enters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flushinghousing 10, is rotatably mounted in theroller mounting groove 11, and theroller moving groove 12 is the driving roller ( 30) is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slid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osition of the drivingroller 30 for the flushing function as shown in the attached FIG. 4, and the fluid to release the flushing function as in the attached FIG. It is to provide a position of the drivingroller 30 for completely opening thetube 100 .

이때, 상기 롤러 장착홈(11)의 하단측에는 상기 고정롤러(20)의 제 1 축부(20a)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회전축 체결공(11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롤러 이동홈(12)의 상측 폭보다 하측 폭이 좁아지도록 상기 롤러 이동홈(12)의 중단에는 안착단턱(12a)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롤러 이동홈(12) 중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의 상측 개구부와 상기 안착단턱(12a) 사이에는 제 1 언더컷(13)과 제 2 언더컷(14)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a rotationshaft fastening hole 11a in which thefirst shaft portion 20a of the fixedroller 20 is rotatably seated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roller mounting groove 11, and the roller moving groove 12A seating step 12a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roller moving groove 12 so that the lower width is narrower than the upper width, while the upper opening of the flushinghousing 10 of theroller moving groove 12 and the seating step Between (12a), the first undercut 13 and the second undercut 14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고정롤러(20)의 상기 제 1 축부(20a)는 상기 롤러 장착홈(11)의 상단으로부터 진입된 후 상기 회전축 체결공(11a)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의 제 1 내부공간(10a)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구동롤러(30)의 제 2 축부(30a)는 상기 롤러 이동홈(12)의 상단으로부터 진입되면서 상기 롤러 이동홈(12) 중 상기 제 1 언더컷(13)의 하측에 위치된 이후 상기 롤러 이동홈(12)을 따라 승강 가능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Thefirst shaft portion 20a of the fixedroller 20 enters from the upper end of theroller mounting groove 11 and then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shaft fastening hole 11a, whereby the first inner space of the flushinghousing 10 is insert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rotatable state in (10a), and thesecond shaft portion 30a of the drivingroller 30 enters from the upper end of theroller movement groove 12 and enters the first of theroller movement grooves 12. After being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undercut 13 , it can be coupled in a state where it can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roller moving groove 12 .

상기 회전축 체결공(11a)은 상기 제 1 언더컷(13)과 상기 제 2 언더컷(14) 사이의 지점과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므로, 상기 구동롤러(30)의 제 2 축부(30a)가 상기 제 1 언더컷(13)과 상기 제 2 언더컷(14) 사이에 위치될 때 상기 고정롤러(20)의 제 1 축부(20a)와 상기 구동롤러(30)의 제 2 축부(30a)에 대한 높이가 동일하며, 이에따라 상기 수액관(100)이 상기 고정롤러(20)와 상기 구동롤러(30) 사이에서 압착된 상태 즉,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플러싱 기능이 가능한 상태가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Since the rotationshaft fastening hole 11a is form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point between the first undercut 13 and the second undercut 14, thesecond shaft portion 30a of the drivingroller 30 is When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undercut 13 and the second undercut 14 , the height of thefirst shaft portion 20a of the fixedroller 20 and thesecond shaft portion 30a of the drivingroller 30 is the same Accordingly, a state in which theinfusion pipe 100 is compressed between the fixedroller 20 and the drivingroller 30, that is, a state in which a flushing function is possible as shown in FIG. 4, can be secured.

그리고,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구동롤러(30)의 제 2 축부(30a)가 상기 제 2 언더컷(14)과 안착단턱(12a) 사이에 위치하면, 상기 고정롤러(20)와 상기 구동롤러(30) 간의 이격거리가 넓어지므로 상기 수액관(100)에 대한 가압력이 최소화되어 플러싱 기능이 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5, when thesecond shaft portion 30a of the drivingroller 30 is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undercut 14 and theseating step 12a, the fixedroller 20 and the Sinc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drivingrollers 30 is increased, the pressing force on theinfusion tube 100 is minimized, so that the flushing function can be released.

여기서,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의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슬롯 형상의 일측 개구부가 형성된 것이므로, 상기 구동롤러(30)가 상기 하우징(10) 내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롤러 이동홈(12)을 따라 승강될 때,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에 결합되는 상기 구동롤러(30)의 일측 외주면이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것이다.Here, since one side of the flushinghousing 10 has a slot-shaped opening having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drivingroller 30 is installed in thehousing 10 while maintaining the installed state in theroller moving groove 12 . ), on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vingroller 30 coupled to the flushinghousing 10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flushinghousing 10 .

한편,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은 상기 구동롤러(30)의 제 2 축부(30a)가 상기 제 1 언더컷(13)의 바로 아래에 고정되어 플러싱 도중에 상기 구동롤러(30)가 하강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제 1 언더컷(13)과 상기 제 2 언더컷(14) 사이의 상기 롤러 이동홈(12) 내벽면에 상기 구동롤러(30)의 제 2 축부(30a)가 걸림될 수 있는 걸림단턱(1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걸림단턱(12b)이 과도하게 높게 제작되면 플러싱 기능이 완료되어 상기 구동롤러(30)를 하강시킬 때 상기 구동롤러(30)의 제 2 축부(30a)가 상기 걸림단턱(12b)을 빠져 나오는데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상기 걸림단턱(12b)의 높이는 상기 구동롤러(30)의 규격 및 상기 롤러 이동홈(12)의 규격 등 여러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되어야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flushinghousing 10, thesecond shaft portion 30a of the drivingroller 30 is fixed directly under the first undercut 13, so that the drivingroller 30 descends during flushing. In order not to be prevented, thesecond shaft portion 30a of the drivingroller 30 can be caught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roller moving groove 12 between the first undercut 13 and the second undercut 14. (12b) may be formed. In this case, when the lockingstep 12b is made excessively high, the flushing function is completed and thesecond shaft portion 30a of thedrive roller 30 moves the lockingstep 12b when thedrive roller 30 is lowered. Getting out can be difficult. Accordingly, the height of theengaging step 12b should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such as the standard of the drivingroller 30 and the standard of theroller moving groove 12 .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의 상측 개구부에 인접하는 상기 롤러 이동홈(12)의 일단에는 경사진 만곡내벽(15)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만곡내벽(15)과 인접한 지점의 바닥면에 하측으로 갈수록 돌출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 언더컷(16)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제 1 언더컷(13)은 상기 롤러 이동홈(12)의 폭방향 내벽면에서 상기 만곡내벽(15)과 상기 경사 언더컷(16)을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An inclined curvedinner wall 15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roller moving groove 12 adjacent to the upper opening of the flushinghousing 10, and downward on the bottom surface of a point adjacent to the curvedinner wall 15. The first undercut 13 is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roller moving groove 12 so as to form an inclined undercut 16 with a higher protrusion height, and the curvedinner wall 15 and the inclined undercut 16 ) can be connected.

이때, 상기 만곡내벽(15)과 상기 경사 언더컷(16)이 형성되면, 작업자가 상기 구동롤러(30)를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에 진입시킬 때 상기 구동롤러(30)의 제 2 축부(30a)가 상기 만곡내벽(15)을 타고 비스듬하게 경사진 방향으로 하강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2 축부(30a)가 상기 롤러 이동홈(12)에 안착되었을 때 외주면 일부가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의 일측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curvedinner wall 15 and the inclined undercut 16 are formed, thesecond shaft portion 30a of the drivingroller 30 when the operator enters the drivingroller 30 into the flushinghousing 10 . ) can be descended obliquely on the curvedinner wall 15 in an oblique direction, so that when thesecond shaft portion 30a is seated in theroller moving groove 12,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ushinghousing 10 is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te protrud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on one side.

그리고, 상기 구동롤러(30)가 하강시 상기 구동롤러(30)의 상기 제 2 축부(30a)는 상기 경사 언더컷(16)을 타고 넘어가는 경로를 통해 상기 제 1 언더컷(13) 하측의 상기 롤러 이동홈(12)에 안착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제 1 언더컷(13)에 간섭될 우려 없이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And, when the drivingroller 30 descends, thesecond shaft portion 30a of the drivingroller 30 rides on the inclined undercut 16 and passes through the path under the first undercut 13. Since it can be seated in the movinggroove 12 , it can be coupled to the flushinghousing 10 without fear of interfering with the first undercut 13 .

상기 경사 언더컷(16)은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의 상측 개구부를 향하는 측만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언더컷(13) 하부에 위치하는 롤러 이동홈(12)과 대응되는 측은 상기 롤러 이동홈(12)의 바닥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이므로, 상기 제 1 언더컷(13) 하측의 롤러 이동홈(12)에 한번 안착된 상기 구동롤러(30)의 제 2 축부(30a)는 다시 상기 경사 언더컷(16)을 타고 이탈하지는 않는다.In the inclined undercut 16, only the side facing the upper opening of the flushinghousing 10 is inclined, and the side corresponding to theroller moving groove 12 located under the first undercut 13 is the roller moving groove 12 ), since it is formed to form a right angl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undercut 13, thesecond shaft portion 30a of the drivingroller 30 once seated in theroller moving groove 12 under the first undercut 13 is again the inclined undercut 16 ) and do not escape.

즉, 상기 제 2 축부(30a)가 상기 제 1 언더컷(13) 하부에 위치하는 롤러 이동홈(12)에 안착되도록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에 결합되는 상기 구동롤러(30)는,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의 상측 개구부를 향해 끌어 올려지더라도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으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는 것이다.That is, the drivingroller 30 coupled to the flushinghousing 10 so that thesecond shaft portion 30a is seated in theroller moving groove 12 positioned under the first undercut 13 is the flushing housing. Even if it is pulled up toward the upper opening of (10), it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flushing housing (10).

상기 고정롤러(20)는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의 제 1 내부공간(10a) 내벽면에 형성되는 상기 롤러 장착홈(11)에 결합된 후, 상기 고정롤러(20)의 제 1 축부(20a)는 상기 롤러 장착홈(11)의 하단측에 형성되는 회전축 체결공(11a)에 체결되면서, 상기 롤러 장착홈(11)내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e fixedroller 20 is coupled to theroller mounting groove 11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irstinner space 10a of the flushinghousing 10, and then thefirst shaft portion 20a of the fixed roller 20 ) is fastened to the rotationshaft fastening hole 11a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roller mounting groove 11 , and rotation is possible within theroller mounting groove 11 .

한편, 상기 고정롤러(20)의 일면에 돌출되는 상기 제 1 축부(20a)측에는 톱니기어(2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에는 상기 고정롤러(20)가 회전시 상기 톱니기어(21)에 접촉하면서 소음을 유발하는 가이드핀(17)이 연장 형성될 수 있도록 하였다.On the other hand, atoothed gear 21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first shaft portion 20a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fixedroller 20 , and the fixedroller 20 has the teeth on the flushinghousing 10 when the fixedroller 20 rotates. Theguide pin 17 that causes noise while in contact with thegear 21 can be extended.

즉,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의 상단에서 상기 고정롤러(20)와 상기 구동롤러(30)가 나란하게 배치된 후 플러싱 기능이 진행될 때, 상기 고정롤러(20)와 상기 구동롤러(30)는 각각 상기 수액관(100)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가압하면서 연동 회전하게 되는데, 이러한 연동 회전시, 상기 가이드핀(17)은 회전하는 상기 톱니기어(21)에 순차적으로 접촉하여 플러싱 동작 알림음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에따라 사용자는 플러싱 기능 수행시 상기 가이드핀(17)에서 발생하는 플러싱 동작 알림음을 통해 상기 고정롤러(20)와 상기 구동롤러(30)가 제대로 회전하고 있는지를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flushing function is performed after the fixedroller 20 and the drivingroller 30 are arranged side by side at the upper end of the flushinghousing 10, the fixedroller 20 and the drivingroller 30 are There is an interlocking rotation while press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infusion pipe 100, respectively. During this interlocking rotation, theguide pin 17 sequentially contacts therotating cog gear 21 to make a flushing operation notification sound. Accordingly, the user can audibly check whether the fixedroller 20 and the drivingroller 30 are properly rotating through the flushing operation notification sound generated from theguide pin 17 when the flushing function is performed. it can be

상기 구동롤러(30)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의 제 1 내부공간(10a)에 형성되는 롤러 이동홈(12)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진 방향으로 진입되어야 하는 것이므로, 상기 롤러 이동홈(12)으로 진입될때에는 상기 만곡내벽(12a)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As mentioned above, the drivingroller 30 must enter theroller moving groove 12 formed in the firstinner space 10a of the flushinghousing 10 in an oblique direction in an oblique direction. When entering thegroove 12, it may be configured to slide along the curvedinner wall 12a.

여기서, 상기 구동롤러(30)가 상기 롤러 이동홈(12)의 상단에 배치시 상기 고정롤러(20)와 함께 상기 수액관(100)을 가압하여 상기 수액관(100)에 대한 플러싱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고, 상기 롤러 이동홈(12)의 상단에서 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에는 상기 고정롤러(20)로부터 벗어나면서 상기 수액관(100)에 대한 플러싱 기능을 해제시킬 수 있는 것이다.Here, when the drivingroller 30 is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roller moving groove 12 , thefluid pipe 100 is pressed together with the fixedroller 20 to perform a flushing function for thefluid pipe 100 . When sliding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roller moving groove 12 , the flushing function for theinfusion tube 100 can be released while departing from the fixedroller 20 .

즉, 상기 구동롤러(30)의 제 2 축부(30a)가 상기 제 1 언더컷(13)과 상기 걸림단턱(12b)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롤러(20)와 상기 구동롤러(30)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 상태는 플러싱 기능을 위한 상태로서, 상기 수액관(100)내의 수액을 강제로 이송시키는 플러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second shaft portion 30a of the drivingroller 30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undercut 13 and theengaging step 12b so that the fixedroller 20 and the drivingroller 30 have the same height. The state located in is a state for the flushing function, and the flushing function of forcibly transferring the infusion solution in theinfusion tube 100 can be performed.

이때, 상기 구동롤러(30)는 상기 롤러 이동홈(12)을 따라 움직이지 않고 마주하는 상기 고정롤러(20)와 함게 제자리에서 회전만 이루어져야 하므로, 상기 걸림단턱(12b)이 제자리 회전하는 상기 구동롤러(30)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drivingroller 30 does not move along theroller moving groove 12 and only rotates in place together with the facing fixedroller 20, so that the engagingstep 12b rotates in place. It will be able to support the roller (30).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구동롤러(30)를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의 제 1 내부공간(10a)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하강시키면, 상기 구동롤러(30)의 제 2 축부(30a)는 상기 걸림단턱(12b)을 지나도록 하강되면서 제 2 언더컷(14)의 상단에 안착된 이후, 상기 제 2 언더컷(14)과 안착단턱(12a)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수액관(100)에 대한 플러싱 기능은 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And, when the user lowers the drivingroller 30 while pressing it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inner space 10a of the flushinghousing 10, thesecond shaft portion 30a of the drivingroller 30 is the engaging step ( After being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undercut 14 while descending through 12b), the flushing function for theinfusion tube 100 is released while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undercut 14 and theseating step 12a. it can b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롤러 클램프 방식이 적용되는 선행기술들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플러싱 하우징(10)을 구성한 것으로, 이는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에 연장 하우징(10')을 형성하면서, 상기 연장 하우징(10')에는 롤러 연장 이동홈(12')을 형성하되, 상기 구동롤러(30)는 상기 안착단턱(12a) 이하에서 상기 롤러 연장 이동홈(12')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수액관(100)을 가압하여 수액 공급 유량을 조절하거나 또는 그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수액관(100)에 대한 상기 구동롤러(30)의 가압은 상기 롤러 연장 이동홈(12')과 마주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벽면에 형성되는 경사벽(18)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압력 크기가 변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the flushinghousing 10 having the same length as that of the prior art to which the roller clamp method is applied, which forms theextension housing 10' in the flushinghousing 10, A roller extension movement groove 12' is formed in theextension housing 10', and the drivingroller 30 moves downward along the roller extension movement groove 12' below theseating step 12a. Theinfusion pipe 100 is pressurized to adjust the fluid supply flow rate or to block the supply, and the pressure of the drivingroller 30 against theinfusion pipe 100 is the roller extension moving groove 12') While being guided by theinclined wall 18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housing 10 to face the

즉, 상기 구동롤러(30)의 제 2 축부(30a)가 상기 제 2 언더컷(14)과 상기 안착단턱(12a) 사이에 위치된 상태는 상기 수액관(100)으로 인가되던 가압력이 최소화된 상태인 것이고, 상기 안착단턱(12a)을 벗어나 연장 하우징(10')의 제 1 내부공간(10a) 내벽면에 형성되는 상기 롤러 연장 이동홈(12')을 통해 더 하강되면 상기 구동롤러(30)는 상기 수액관(100)을 플러싱 하우징(10)의 제 1 내부공간(10a) 하측에 형성되는 경사벽(18) 방향으로 근접하게 되면서, 상기 수액관(100)을 따라 흐르는 수액 공급 유량을 조절 또는 차단시킬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state in which thesecond shaft portion 30a of the drivingroller 30 is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undercut 14 and theseating step 12a is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infusion pipe 100 is minimized. , and when it descends further through the roller extension moving groove 12'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irstinner space 10a of theextension housing 10' out of theseating step 12a, the drivingroller 30 adjusts the infusion fluid supply flow rate flowing along theinfusion tube 100 while bringing theinfusion pipe 100 closer to theinclined wall 18 formed below the firstinner space 10a of the flushinghousing 10 Or it can be blocked.

이때, 상기 경사벽(18)은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롤러 연장 이동홈(12')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는 것이며, 이에 상기 구동롤러(30)가 아래로 하강될수록 상기 수액관(100)을 통해 흐르는 수액 유량은 감소된 후 차단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inclined wall 18 has an inclination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rollerextension moving groove 12 ′ toward the lower side. The fluid flow rate flowing through it can be reduced and then shut off.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동롤러(30)의 승강에 따라 상기 수액관(100)의 공급 유량이 조절되는 구조는 그 공급 유량 조절이 본원출원인이 설정된 플러싱 기능을 가지는 선행기술들의 수액 유량 조절기와 마찬가지로 정밀하고 미세하게 이루어질 수 없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in which the supply flow rate of theinfusion pipe 10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drivingroller 30 is as precise as the infusion fluid flow regulator of the prior art having the flushing function set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could not be done in detail.

즉, 상기 수액관(100)에 가해지는 상기 구동롤러(30)의 가압력은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상기 구동롤러(30)가 롤러 연장 이동홈(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수액관(100)을 길이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수액관(100)을 누르는 것으로, 이는 수액 공급 유량을 소정 단위로 정밀 조절할 수는 없으며, 수액 공급을 차단하거나 사용자의 경험에 토대로 임의 조절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That is, the pressing force of the drivingroller 30 applied to theinfusion tube 100 move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s the drivingroller 30 slides along the roller extension movement groove 12', 100) is pr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ress theinfusion tube 100, which cannot precisely control the infusion supply flow rate in a predetermined unit, and has no choice but to block the infusion supply or to be arbitrarily adjusted based on the user's experience.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 유량 조절기(A)는,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의 상단에 고정 하우징(40)을 결합시키면서, 상기 고정 하우징(40)에 회전 하우징(50)을 수평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한 것이다.Accordingly, the fluid flow regulator (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therotating housing 50 to the fixedhousing 40 horizontally while coupling the fixedhousing 40 to the upper end of the flushinghousing 10 . to make it possible to combine them.

상기 고정 하우징(40)은 상기 수액관(100)이 통과되도록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의 상측 개구부와 연통되는 제 2 내부공간(41)을 가지면서,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고정 하우징(40)의 외주면에는 수액 공급 유량을 다단 조절하기 위한 눈금(42)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fixedhousing 40 has a secondinner space 41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opening of the flushinghousing 10 so that theinfusion tube 100 passes, and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lushinghousing 10 Thescale 42 for controlling the fluid supply flow rate in multiple stages is display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edhousing 40 .

상기 회전 하우징(50)은 상기 제 2 내부공간(41)을 통과하는 상기 수액관(100)이 관통되는 가압부로서 상기 회전 하우징(50)의 회전량에 따라 상기 수액관(100)의 길이방향이 아닌 상기 수액관(10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에서 가압시 그 가압력이 변경되도록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링형의 가압홀(51)을 가지는 것이며, 이는 상기 고정 하우징(40)에 수평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수액관(100)을 통한 수액 공급 유량을 상기 눈금(42)을 기준으로 소정 단위로 다단 조절하도록 외주면에 눈금지시부(52)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Therotary housing 50 is a pressing part through which theIV tube 100 passing through the secondinner space 41 passes, and the length direction of theIV tube 100 according to the rotation amount of therotary housing 50 . It has a ring-shapedpressing hole 51 whose width is narrowed in the direction from one end to the other so that the pressing force is changed when press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infusion pipe 100, which is the fixedhousing 40. It is horizontally rotatably coupled to theinfusion tube 100 , and ascale indicator 52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adjust the fluid supply flow rate through theinfusion tube 100 in multiple steps based on thescale 42 .

즉, 상기 회전 하우징(50)의 내부에는 상기 가압홀(51)이 형성되는 가압판(53)이 구성되면서, 상기 가압판(53)에 링형을 이루는 상기 가압홀(5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첨부된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가압홀(51)은 상기 회전 하우징(50)의 회전량에 따라 상기 수액관(100)을 가압하는 압력 크기가 변경되도록 일단(51a)에서 타단(51b)으로 회전 진행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이다.That is, while thepressure plate 53 on which thepressure hole 51 is formed is configured in therotating housing 50 , thepressure hole 51 forming a ring shape may be formed in thepressure plate 53 , 6 to 8, thepressure hole 51 is formed from oneend 51a to theother end 51b so that the pressure level for pressing theinfusion tube 10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rotation amount of therotary housing 50. As the rotation progresses, the width becomes narrower.

일예로,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가압홀(51)의 일단(51a)에 상기 수액관(100)이 배치시 상기 수액관(100)에 대한 가압은 해제되어 상기 수액관(100)을 통한 수액 공급 유량은 최대(MAX)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고, 첨부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가압홀(51)의 일단(51a)과 타단(51b) 사이의 중간 지점에 상기 수액관(100)이 배치시 상기 수액관(100)에 대한 가압력은 중간 압력을 유지하게 되면서 상기 수액관(100)을 통한 수액 공급 유량은 최대와 최소 유량의 중간 유량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첨부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가압홀(51)의 타단(51b)에 상기 수액관(100)이 배치시에는 상기 수액관(100)에 대한 가압력이 최대로 유지되면서 상기 수액관(100)을 통한 수액 공급은 차단(OFF)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infusion tube 100 is disposed at oneend 51a of thepressurization hole 51 as shown in the attached FIG. 6 , the pressure on theinfusion tube 100 is released to close theinfusion tube 100 . The infusion supply flow rate through the infusion can be maintained at a maximum (MAX), and theinfusion tube 100 is located at a midpoint between the oneend 51a and theother end 51b of the pressurizinghole 51 as shown in FIG. 7 . When disposing, the pressing force on theinfusion pipe 100 maintains an intermediate pressure, and the infusion supply flow rate through theinfusion tube 100 can maintain an intermediate flow rate between the maximum and minimum flow rates, as shown in the attached FIG. 8 . When theinfusion pipe 100 is disposed at theother end 51b of thepressurization hole 51, the supply of fluid through theinfusion pipe 100 is blocked while the pressing pressure on theinfusion pipe 100 is maintained to the maximum. ) can be

즉, 사용자가 상기 고정 하우징(4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눈금(42)을 확인하면서, 상기 회전 하우징(50)을 서서히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 하우징(5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눈금지시부(52)가 상기 눈금(42)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사용자는 수액 공급 유량을 정밀하게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user rotates therotating housing 50 gradually while checking thescale 42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edhousing 40 , thescale indicator 52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rotating housing 50 . As it moves along thescale 42, the user can precisely and finely adjust the fluid supply flow rate.

이때, 상기와 같은 눈금지시부(52)와 눈금(42)을 통해 수액 공급 유량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 하우징(50)내의 가압판(53)에 형성되는 상기 가압홀(51)은 상기 수액관(100)을 중심으로 일단(51a)에서 타단(51b)으로 서서히 회전 이동할 수 있고, 상기 가압홀(51)은 상기 일단(51a)에서 상기 타단(51b)으로 진행시 그 폭이 서서히 좁아지는 것이므로, 상기 가압홀(51)에 의한 상기 수액관(100)의 가압력은 서서히 높아지면서, 상기 수액관(100)에서의 수액 공급 유량은 상기 눈금지시부(52)가 지시하는 상기 눈금(42)의 표시 단위로 미세하게 정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finely adjusting the fluid supply flow rate through thescale limit 52 andscale 42 as described above, thepressure hole 51 formed in thepressure plate 53 in therotary housing 50 is It can rotate slowly from oneend 51a to theother end 51b around theinfusion tube 100, and the width of thepressing hole 51 is gradually narrowed as it progresses from the oneend 51a to theother end 51b. As the pressure of theinfusion tube 100 by the pressurizinghole 51 gradually increases, the infusion supply flow rate in theinfusion tube 100 increases with thescale 42 indicated by thescale stop indicator 52 . It can be finely and precisely controlled by the display unit of

여기서, 상기 고정 하우징(40)에 상기 회전 하우징(50)이 회전하는 결합 구조는, 상기 고정 하우징(40)에 레일홈(40a)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 하우징(50)에는 레일돌기(50a)를 형성하면서, 상기 레일돌기(50a)를 상기 레일홈(40a)에 안착시키면, 상기 회전 하우징(50)의 회전이 가능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고정 하우징(40)과 상기 회전 하우징(50)의 중심부를 후크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원터치 결합하는 축부 구조물을 적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Here, the coupling structure in which therotating housing 50 is rotated to the fixedhousing 40 forms arail groove 40a in the fixedhousing 40 , and a rail protrusion 50a is formed in therotating housing 50 . When the rail protrusion 50a is seated in therail groove 40a while forming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shaft structure for rotatably one-touch coupling between thehousing 40 and the center of therotating housing 50 in a hook manner.

또한, 상기 고정 하우징(40)에는 후크(43)를 형성하고,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에는 후크홀(10b)을 형성하면서, 상기 후크홀(10b)에 상기 후크(43)가 결속되면서,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에 상기 고정 하우징(40)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플러싱 하우징(10)과 상기 고정 하우징(40)은 나사를 이용한 체결 방식으로도 그 결합이 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s thehook 43 is formed in the fixedhousing 40 and thehook hole 10b is formed in the flushinghousing 10, thehook 43 is bound to thehook hole 10b, theThe flushing housing 10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fixedhousing 4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lushinghousing 10 and the fixedhousing 40 are fastened using screws. The combination may also be possible.

한편, 상기 가압판(53)에 형성되는 상기 가압홀(51)의 내주면에는 수용홈(53a)을 형성하면서, 상기 수용홈(53a)에는 일부가 상기 수용홈(53a)의 외부로 노출되어 자유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슬(54)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플러싱 기능이 진행시 상기 고정 하우징(40)과 상기 회전 하우징(50)이 상기 플러싱 하우징(10)과 함께 동시에 상기 수액관(100)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름 동작하면서도 상기 수액관(100)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ile forming a receiving groove (53a)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essing hole (51) formed in the pressing plate (53), a part of the receiving groove (53a)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groove (53a) free rotation At least one ormore marbles 54 can be accommodated, which means that when the flushing function is in progress, the fixedhousing 40 and therotating housing 50 are simultaneously with the flushinghousing 10 and theinfusion tube 100. This is to allow thefluid pipe 100 to be pressurized while performing a rolling operation to enable movement along the .

즉, 상기 구슬(54)은 상기 수액관(100)에 접촉하게 되면서 구름 회전이 가능한 것이고, 이에따라 상기 플러싱 하우징(10)과 이에 결합되는 고정 하우징(40)은 물론 회전 하우징(50)은 플러싱 기능 수행시, 상기 수액관(100)을 따라 걸림 저항없이 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ball 54 is capable of rolling while in contact with theinfusion tube 100, and accordingly, the flushinghousing 10 and the fixedhousing 40 coupled thereto as well as the rotatinghousing 50 have a flushing function. When performed, movement along theinfusion tube 100 can be made freely without jamming resistance.

더불어, 상기 수용홈(53a)의 내부에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상기 구슬(54)은 상기 수액관(100)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 하우징(50)이 회전하여 상기 가압판(53)에 형성되는 상기 가압홀(51)이 일단(51a)에서 타단(51b)으로 수평 회전하여 이동할 때, 상기 수액관(100)을 가압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beads 54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groove 53a so that they can rotate freely is formed on thepressure plate 53 by rotating therotating housing 50 around theinfusion tube 100 . When thepressure hole 51 horizontally rotates and moves from oneend 51a to theother end 51b, it is possible to pressurize theinfusion tube 100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 유량 조절기(A)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수액관(100)에 연결되는 Y자 형태의 3개 가지를 갖는 주사기 연결구(Y-site)에 주사침을 사용하여 약물을 주입한 이후에, 상기 수액관(100)을 통한 수액 공급을 정상화시키는 플러싱(flushing)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의 상단에서 상기 수액관(100)을 기준으로 일단에는 고정롤러(20)가 배치되도록 하고, 타단에는 구동롤러(30)가 상기 고정롤러(20)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한다.As such, the infusion flow regulator (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ringe connector (Y-site) having three Y-shaped branches connected to theinfusion tube 100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S. 1 to 8 . ), in the case of performing a flushing function to normalize the fluid supply through theinfusion tube 100 after injecting the drug using a needle, as shown in the attached FIG. 4 , the flushing housing 10 ), a fixedroller 20 is disposed at one end based on theinfusion pipe 100 at the upper end, and a drivingroller 30 is disposed parallel to the fixedroller 20 at the other end.

그러면, 상기 고정롤러(20)와 상기 구동롤러(30)가 상기 수액관(100)을 최대로 가압할 수 있게 되면서, 사용자가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의 상단을 잡고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en, while the fixedroller 20 and the drivingroller 30 can maximally press theinfusion tube 100 , the user holds the upper end of the flushinghousing 10 and holds the flushinghousing 10 . move it downwards.

그러면,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의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 하우징(40) 및 회전 하우징(50)도 함께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한편, 상기 고정롤러(20)와 상기 구동롤러(30)가 회전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수액관(100)을 통한 수액 공급을 정상화시키는 플러싱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Then, the fixedhousing 40 and therotating housing 50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lushinghousing 10 also move downwardly, while the fixedroller 20 and the drivingroller 30 rotate. As a result, a flushing function to normalize the infusion supply through theinfusion tube 100 can be performed.

여기서,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을 통한 플러싱 기능을 수행시, 상기 회전 하우징(50)의 가압판(53)에 형성되는 가압홀(51)의 일단(51a)에 상기 수액관(100)이 위치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러한 위치에 배치하지 않고, 첨부된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가압홀(51)의 중간지점이나 상기 가압홀(51)의 타단(51b)에 상기 수액관(100)이 배치되더라도, 상기 가압판(53)의 수용홈(53a)에 적어도 하나 이상 수용되면서 자유 회전하는 구슬(54)이 구름 동작을 하게 되므로, 상기 고정 하우징(40)과 상기 회전 하우징(50)은 상기 플러싱 하우징(10)과 함께 상기 수액관(100)을 따라 하방향 이동이 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Here, when performing the flushing function through the flushinghousing 10, theinfusion pipe 100 is positioned at oneend 51a of thepressure hole 51 formed in thepressure plate 53 of therotary housing 50. Although it is preferable to set it, it is not necessarily arranged in such a position, and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S. 7 and 8 , the infusion pipe is located at the midpoint of thepressing hole 51 or theother end 51b of thepressing hole 51 . Even if 100 is disposed, at least one or more freely rotatingbeads 54 ar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grooves 53a of thepressing plate 53 to perform a rolling operation, so that the fixedhousing 40 and the rotating housing 50 ) may be movable in a downward direction along theinfusion tube 100 together with the flushinghousing 10 .

한편, 상기와 같은 플러싱 기능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수액관(100)을 통한 수액 공급이 정상화된 상태에서, 상기 수액 공급 유량을 정밀하게 미세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우선 상기 수액관(100)을 가압하는 상기 구동롤러(30)를 롤러 이동홈(12)을 따라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플러싱 기능을 해제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luid supply through theinfusion tube 100 is normalized after the flushing function as described above is completed, and you want to precisely finely adjust the fluid supply flow rate, first pressurize theinfusion tube 100 The flushing function is released by moving the drivingroller 30 downward as shown in FIG. 5 along theroller moving groove 12 .

이후,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의 상단에서 사용자가 고정 하우징(40)을 잡은 상태에서 회전 하우징(50)을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 하우징(50)내의 가압판(53)에 형성되는 가압홀(51)이 일단(51a)에서 타단(51b)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 회전량에 따라 상기 회전 하우징(5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눈금지시부(52)는 상기 고정 하우징(40)의 외주면에 표시되는 눈금(42)의 수액 유량값을 지시하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user rotates therotating housing 50 while holding the fixedhousing 40 at the upper end of the flushinghousing 10, thepressing hole 51 formed in thepressing plate 53 in therotating housing 50. The oneend 51a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other end 51b, and thescale indicator 52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rotary housing 50 according to the amount of rotation is the scale display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ed housing 40 ( 42) will indicate the fluid flow rate.

이때, 상기 가압홀(51)이 일단(51a)에서 타단(51b)의 방향으로 회전이 서서히 진행되는 경우, 상기 가압홀(51)의 폭은 좁아지므로, 상기 수액관(100)에 대한 가압력이 변화되면서, 첨부된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수액관(100)의 직경 또한 서서히 좁아지도록 변화될 수 있는 것이며, 이에 상기 수액관(100)을 통해 이루어지는 수액 공급 유량은 상기 눈금지시부(52)가 지시하는 상기 눈금(42)의 수액 유량값으로 정밀하게 미세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rotation of thepressure hole 51 is gradually progressed from oneend 51a to theother end 51b, the width of thepressure hole 51 is narrowed, so that the pressing force on theinfusion tube 100 is As it changes, the diameter of theinfusion tube 100 may also be changed to be gradually narrowed as shown in FIGS. 6 to 8 , and accordingly, the infusion supply flow rate through theinfusion tube 100 is the scale indicator 52 ) can be precisely and finely adjusted to the infusion flow rate value of thescale 42 indicated by.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 유량 조절기(A)는 약물 투입 이후에 수액 공급을 정상화시키기 위한 플러싱 기능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수액관(100)을 통해 환자에게 수액 공급시 그 공급 유량을 정밀하게 미세 조절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fluid flow regulator (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perform a flushing function for normalizing the fluid supply after drug injection, and when supplying the fluid to the patient through theinfusion tube 100, the supply It is possible to have a technical feature that can precisely and finely control the flow rat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 유량 조절기(A)는 롤러 클램프 방식으로서 구동롤러(30)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수액 공급 유량을 2차 조절하고, 아이브이 플로우 레귤레이터 방식으로서 회전 하우징(50)의 회전을 통해 수액 공급 유량을 1차 조절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이중의 수액 공급 유량 조절은 비록 조작에 따른 불편함을 가질 수 있지만, 1차 수액 공급 유량 조절로 전체적인 수액의 공급량을 조절하고, 2차 수액 공급 유량 조절을 통해서는 공급량이 조절되는 수액의 공급 유량을 더욱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서, 환자 상태를 고려하여 의사의 처방 지시가 있을 때 환자의 체내에 수액이 과도하게 투입되지 않게 함은 물론, 필요한 양만큼 정확한 수액이 정확한 시간동안 투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infusion fluid flow regulator (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ller clamp method for secondary adjustment of the fluid supply flow rate through the sliding movement of the drivingroller 30, and therotating housing 50 as an IV flow regulator method. It is also possible to first adjust the fluid supply flow rate by rotating the By controlling the fluid supply flow rate, it is possible to more finely control the supply flow rate of the fluid whose supply is controlled, and to prevent excessive fluid injection into the patient's body when the doctor's prescription is given in consideration of the patient's condition. , the effect of allowing the correct amount of fluid to be administered for the correct time can be expected.

즉,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하우징(10')에는 상기 롤러 이동홈(12)으로부터 연장되는 롤러 연장 이동홈(12')을 형성하되, 상기 구동롤러(30)는 상기 안착단턱(12a) 이하에서 상기 롤러 연장 이동홈(12')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수액관(100)을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수액관(100)에 대한 상기 구동롤러(30)의 가압은 상기 롤러 연장 이동홈(12')과 마주하도록 상기 연장 하우징(10')의 내벽면에 형성되는 경사벽(18)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수액관(100)을 가압하는 것인 바, 상기 구동롤러(30)를 통해 상기 수액관(100)을 가압하게 되면서, 수액 공급 유량 조절이 2차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 주사기를 통한 약물을 주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롤러(30)를 최대한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수액관(100)을 통한 수액 공급을 2차 차단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That is, a rollerextension moving groove 12 ′ extending from theroller moving groove 12 is formed in theextended housing 10 ′ extending from the flushinghousing 10 , and the drivingroller 30 is provided with the seating step. (12a) is configured to press theinfusion tube 100 while mov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along the roller extension moving groove 12' in the following, and pressurizing the drivingroller 30 against theinfusion tube 100 is to press theinfusion tube 100 while being guided by theinclined wall 18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extension housing 10' so as to face the roller extension moving groove 12', the driving While theinfusion tube 100 is pressed through theroller 30, the infusion supply flow rate can be adjusted secondarily, and when the drug is injected through a syringe, the drivingroller 30 is moved downward as far as possible. By moving to theinfusion tube 100, it is also possible to block the supply of the infusion fluid secondarily.

여기서, 상기 수액관(100)의 수액 공급을 2차 차단시 주사기를 통한 약물 주입은 상기 수액관(100)에 설치되는 상기 플러싱 하우징(10)의 설치 위치 하단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Here, when the supply of infusion to theinfusion tube 100 is secondarily blocked, drug injection through the syringe can be made at the lower end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lushinghousing 10 installed in theinfusion tube 100 .

이상에서 본 발명의 수액 유량 조절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sap flow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emplari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on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It is, of course, possible that such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플러싱 하우징10'; 연장 하우징
10a; 제 1 내부공간10b; 후크홀
11; 롤러 장착홈11a; 회전축 체결공
12; 롤러 이동홈12'; 롤러 연장 이동홈
12a; 안착단턱12b; 걸림단턱
13; 제 1 언더컷14; 제 2 언더컷
15; 만곡내벽16; 경사 언더컷
17; 가이드핀18; 경사벽
20; 고정롤러20a; 제 1 축부
21; 톱니기어30; 구동롤러
30a; 제 1 축부40; 고정 하우징
40a; 레일홈41; 제 2 내부공간
42; 눈금43; 후크
50; 회전체50a; 레일돌기
51; 가압홀51a; 일단
51b; 타단52; 눈금지시부
53; 가압판53; 수용홈
54; 구슬100; 수액관
10; flushinghousing 10'; extension housing
10a; a firstinner space 10b; hook hole
11;roller mounting groove 11a; rotary shaft fastener
12; Roller moving groove 12'; Roller extension moving groove
12a; seatingstep 12b; jamming step
13; first undercut 14; 2nd undercut
15; curvedinner wall 16; bevel undercut
17;guide pin 18; inclined wall
20; fixedroller 20a; first shaft
21;cog gear 30; drive roller
30a;first shaft portion 40; fixed housing
40a;rail groove 41; 2nd inner space
42;scale 43; hook
50; rotating body 50a; rail protrusion
51; pressinghole 51a; first
51b;other end 52; gradation
53;platen 53; accommodation home
54; 100 marbles; sap tube

Claims (10)

Translated fromKorean
상,하측과 일측이 개구되면서 수액관이 관통하는 제 1 내부공간이 마련되도록 사출 성형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내부공간의 내벽면을 따라 롤러 장착홈과 롤러 이동홈이 형성되는 플러싱 하우징; 상기 플러싱 하우징의 상측 개구부를 통해 진입하여 상기 롤러 장착홈에 장착되면서 제 1 축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고정롤러; 상기 플러싱 하우징의 상측 개구부를 통해 진입하여 일측 개구부를 통해 일부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제 2 축부를 통해 상기 롤러 이동홈을 따라 구름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롤러 이동홈의 상단 플러싱 위치에 배치시 상기 고정롤러와 함께 상기 수액관을 가압하여 상기 수액관에 대한 플러싱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롤러 이동홈의 상단 플러싱 위치에서 하방향으로 구름 회전시 상기 수액관의 플러싱 기능의 가압을 해제시키는 구동롤러; 상기 플러싱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수액관이 통과되도록 상기 제 1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제 2 내부공간을 가지며 외주면에 수액 공급 유량을 다단 조절하기 위한 눈금이 표시되는 고정 하우징; 및, 상기 수액관이 통과되는 가압부를 가지는 가압판이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 하우징에 수평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수액관을 통한 수액 공급 유량을 상기 눈금을 기준으로 소정 단위로 다단 조절하도록 외주면에 눈금지시부가 형성되는 회전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회전 하우징의 회전량에 따라 상기 수액관을 직교되는 방향에서 가압하되 그 가압력이 변경되도록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링형의 가압홀이며,
상기 가압판에 형성되는 상기 가압홀의 내주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플러싱 기능이 진행시 상기 고정 하우징과 상기 회전 하우징이 상기 플러싱 하우징과 함께 동시에 상기 수액관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름 동작하면서도 상기 수액관을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슬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유량 조절기.
The flushing housing is injection-molded to provide a first inner space through which the infusion tube passes while opening at the top, bottom and one side, and in which a roller mounting groove and a roller moving groove are formed along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first inner space; a fixed roller which enters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flushing housing and is rotatably shaft-coupled through a first shaft while being mounted in the roller mounting groove; It enters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flushing housing and rolls along the roller moving groove through the second shaft in a state in which a part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one opening. a driving roller which pressurizes the infusion tube together with a roller to perform a flushing function on the infusion tube, and releases the pressure of the flushing function of the infusion tube when rolling downward from the upper flushing position of the roller moving groove; a fixed housing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lushing housing and having a second inner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inner space so that the infusion tube passes through, and a scale for controlling the infusion supply flow rate in multiple stages is display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pressure plate having a pressing part through which the infusion tube is passed is formed and horizontally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housing, and the infusion supply flow rate through the infusion tube is adjusted in multiple steps based on the scale in a predetermined unit. a rotating housing in which an additional portion is formed; including,
The pressurizing part is a ring-shaped pressurizing hole that presses the infusion tub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al amount of the rotating housing, but narrows in width from one end to the other so that the pressurizing force is changed,
An accommodat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ing hole formed in the pressing plate, and when the flushing function is performed in the accommodating groove, the fixed housing and the rotating housing are simultaneously moved along the infusion tube together with the flushing housing. While at least one or more beads for pressing the infusion tube, characterized in that the fluid flow regulator is accommod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홀의 일단은 상기 수액관이 배치시 상기 수액관에 대한 가압은 해제되어 상기 수액관을 통한 수액 공급 유량이 최대로 유지되도록 상기 수액관 직경과 동일하거나 큰 폭을 가지며,
상기 가압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는 상기 수액관이 배치시 상기 수액관에 대한 가압 압력이 증가되면서 상기 수액관을 통한 수액 유량이 줄어들거나 차단되도록 상기 수액관 직경보다 작은 폭으로 좁아져 상기 수액관을 직교되는 방향에서 가압하는 압력 크기가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유량 조절기.
The method of claim 1,
One end of the pressure hole has a width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fusion tube so that the pressure on the infusion tube is released when the infusion tube is disposed so that the infusion supply flow rate through the infusion tube is maintained at a maximum,
When the infusion tube is dispos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pressure hole, the infusion tube is narrowed to a width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fusion tube so as to decrease or block the infusion flow rate through the IV tube as the pressure on the IV tube increases. Fluid flow regul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e magnitude to be pressurized in the direction to be increased.
삭제delete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장착홈의 하향 끝단에는 상기 고정롤러의 제 1 축부가 안착되는 회전축 체결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유량 조절기.
The method of claim 1,
A fluid flow regul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ing a rotation shaft fastening hole in which the first shaft portion of the fixed roller is seated at the downward end of the roller mounting groov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이동홈은 상측 폭보다 하측 폭이 좁아지도록 상기 롤러 이동홈의 중단에는 안착단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유량 조절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oller moving groove is a fluid flow regulator,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seating step in the middle of the roller moving groove so that the lower width is narrower than the upper width.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 하우징의 상측 개구부와 상기 안착단턱 사이에는 제 1 언더컷과 제 2 언더컷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구동롤러의 제 2 축부가 상기 제 1 언더컷과 상기 제 2 언더컷 사이에 위치될 때 플러싱 기능이 가능한 상태가 확보되도록 상기 회전축 체결공은 상기 제 1 언더컷과 상기 제 2 언더컷 사이의 지점과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유량 조절기.
6. The method of claim 5,
A first undercut and a second undercut are formed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between the upper opening of the flushing housing and the seating step,
When the second shaft portion of the driving roller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undercut and the second undercut, the rotation shaft fastening hole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undercut and the second undercut so as to secure a state in which a flushing function is possible. Fluid flow regul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t the heigh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롤러와 상기 구동롤러는 동일한 높이로 위치되어 상기 수액관을 가압하도록, 상기 제 1 언더컷과 상기 제 2 언더컷 사이의 상기 롤러 이동홈 내벽면 중에서, 상기 플러싱 하우징의 일측 개구부와 가까운 측의 내벽면에는 상기 구동롤러의 제 2 축부가 걸림되는 걸림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유량 조절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xed roller and the driving roller are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to press the infusion tube, and among the inner wall surfaces of the roller moving groove between the first undercut and the second undercut, the inner side of the side closer to the opening of one side of the flushing housing A fluid flow regul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wall is formed with a locking step on which the second shaft portion of the driving roller is caugh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 하우징의 상측 개구부와 상기 롤러 이동홈의 상단 일측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만곡내벽을 형성하고,
상기 만곡내벽과 인접한 지점의 상기 롤러 이동홈 바닥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돌출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 언더컷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언더컷은 상기 롤러 이동홈의 폭방향 내벽면 중에서 상기 플러싱 하우징의 일측 개구부와 가까운 측의 내벽면과 상기 경사 언더컷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유량 조절기.
8. The method of claim 7,
A curved inner wall that is inclined toward the upper sid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opening of the flushing housing and the upper end of the roller moving groove,
On the bottom of the roller moving groove at a point adjacent to the curved inner wall, an inclined undercut whose protrusion height increases toward the lower side is formed,
The first undercut is a fluid flow regul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connect the inclined undercut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ide closer to the opening of one side of the flushing housing among the width direction inner wall surface of the roller moving gro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롤러의 일면에 돌출되는 상기 제 1 축부측에는 톱니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플러싱 하우징에는 상기 고정롤러가 회전시 상기 톱니기어에 순차적으로 접촉하면서 플러싱 동작 알림음을 발생시키는 가이드핀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유량 조절기.
The method of claim 1,
A toothed gear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shaft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fixed roller,
In the flushing housing, when the fixed roller rotates, a guide pin for generating a flushing operation notification sound while sequentially contacting the toothed gear is extended and form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 하우징에는 연장 하우징을 형성하면서, 상기 연장 하우징에는 상기 롤러 이동홈으로부터 연장되는 롤러 연장 이동홈을 형성하되,
상기 구동롤러는 상기 안착단턱 이하에서 상기 롤러 연장 이동홈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수액관을 가압하여 수액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수액관에 대한 상기 구동롤러의 가압은 상기 롤러 연장 이동홈과 마주하도록 상기 플러싱 하우징의 내벽면에 형성되는 경사벽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수액관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유량 조절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ile an extension housing is formed in the flushing housing, a roller extension movement groove extending from the roller movement groove is formed in the extension housing,
The driving roller is configured to block the infusion supply by pressing the infusion tube while moving downward along the roller extension moving groove below the seating step,
The pressure of the driving roller against the infusion tube is guided by an inclined wall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lushing housing so as to face the roller extension moving groove while pressing the infusion tube.
KR1020210007414A2021-01-192021-01-19Flow rate regulatorActiveKR1023109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10007414AKR102310960B1 (en)2021-01-192021-01-19Flow rate regul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10007414AKR102310960B1 (en)2021-01-192021-01-19Flow rate regul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102310960B1true KR102310960B1 (en)2021-10-12

Family

ID=78078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210007414AActiveKR102310960B1 (en)2021-01-192021-01-19Flow rate regulator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231096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2411065B1 (en)2022-04-282022-06-22유영선Stopper device and flow regulator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573891B1 (en)2023-07-042023-08-31유영선Stopper device and flow regulator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H11267204A (en)*1998-03-241999-10-05Jms Co LtdClamp
KR101024406B1 (en)2010-09-152011-03-23김동식 Sap regulator with flush function
KR101058539B1 (en)2011-02-232011-08-23이두용 Sap flow rate controller, Sap flow rate control set and Sap flow rate control method
KR101266756B1 (en)2012-06-202013-05-28김동식Iv flow controller with flushing feature
KR101429358B1 (en)*2012-11-262014-09-23김동관IV flow controller with flushing feature
KR101481918B1 (en)2013-09-272015-01-14김동관IV flow controller having integrated body structure
KR101553227B1 (en)2015-01-092015-09-16(주)엠에스디바이스Infusion supply set
KR101553228B1 (en)2015-01-092015-09-16(주)엠에스디바이스Infusion supply set
KR101650939B1 (en)2015-05-262016-08-25마그닉스엔지니어링 (주)Flow rate regulator
KR20170088568A (en)2016-01-252017-08-02(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Injection Set Having Protective Cap
KR101837519B1 (en)2017-12-222018-03-13(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Flow regulator for medical infusion set
KR101838953B1 (en)2017-12-222018-03-15(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Flow regulator for medical infusion set
KR101873579B1 (en)2017-12-222018-07-02(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Flow regulator for medical infusion set
KR101952322B1 (en)2018-05-152019-02-26이시영Flow regulator for medical infusion set
KR102171665B1 (en)2020-03-172020-10-29(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Flow regulator for infusion set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H11267204A (en)*1998-03-241999-10-05Jms Co LtdClamp
KR101024406B1 (en)2010-09-152011-03-23김동식 Sap regulator with flush function
KR101058539B1 (en)2011-02-232011-08-23이두용 Sap flow rate controller, Sap flow rate control set and Sap flow rate control method
KR101266756B1 (en)2012-06-202013-05-28김동식Iv flow controller with flushing feature
KR101429358B1 (en)*2012-11-262014-09-23김동관IV flow controller with flushing feature
KR101481918B1 (en)2013-09-272015-01-14김동관IV flow controller having integrated body structure
KR101553227B1 (en)2015-01-092015-09-16(주)엠에스디바이스Infusion supply set
KR101553228B1 (en)2015-01-092015-09-16(주)엠에스디바이스Infusion supply set
KR101650939B1 (en)2015-05-262016-08-25마그닉스엔지니어링 (주)Flow rate regulator
KR20170088568A (en)2016-01-252017-08-02(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Injection Set Having Protective Cap
KR101837519B1 (en)2017-12-222018-03-13(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Flow regulator for medical infusion set
KR101838953B1 (en)2017-12-222018-03-15(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Flow regulator for medical infusion set
KR101873579B1 (en)2017-12-222018-07-02(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Flow regulator for medical infusion set
KR101952322B1 (en)2018-05-152019-02-26이시영Flow regulator for medical infusion set
KR102171665B1 (en)2020-03-172020-10-29(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Flow regulator for infusion se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2411065B1 (en)2022-04-282022-06-22유영선Stopper device and flow regulator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573891B1 (en)2023-07-042023-08-31유영선Stopper device and flow regulator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O2025009656A1 (en)*2023-07-042025-01-09유영선Stopper device and flow regulator compris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102310960B1 (en)Flow rate regulator
US20220387753A1 (en)Systems and methods for removal of blood and thrombotic material
US10729844B2 (en)Angled inserter for drug infusion
DE19983113B3 (en) Pressure / Force Computer-controlled drug delivery system
KR101248472B1 (en)Hemostasis valve
US5053013A (en)Implantable infusion device
CN104302333A (en)Subcutaneous needle insertion mechanism
JPH10512786A (en) Patent application title: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FLUID BY CONTROLLING PRESSURE FOR SPECIFIC MEDICAL OBJECTS
JP7560191B2 (en) Flow regulator for infusion
CN105056341B (en)A kind of remaining needle that continuous positive pressure is provided
KR20170101243A (en)Drip chamber assembly that functions irrespective of orientation
CN214414892U (en)Vascular intervention treatment device
KR100784931B1 (en)auto anesthesia apparatus
KR200463057Y1 (en)Apparatus for Supplying Medical Liquid
WO2018181700A1 (en)Percutaneous administration device
KR20210032330A (en)Chemical Liquid Supply Control Device
KR101798429B1 (en)A device for injecting drugs
KR20190110297A (en)Drugs Mixing Device
KR200150725Y1 (en)Portable injectable-solution injector
CN206443738U (en)A kind of combined spinal epidural puncture needle that there is three-dimensional to be relatively fixed the rotatable wing
CN222930137U (en)Injection depth injection needle with pressure regulation function
KR0172665B1 (en) Backflow and air shutoff device for medical IV
KR102157228B1 (en)Supplying Control Device Of Medical Fluid
CN216319233U (en)Self-locking infusion apparatus regulator
CN215023719U (en)Intubation device of infus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210119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20210121

Patent event code:PA03022R01D

Comment text: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20210119

Patent event code:PA03021R01I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10521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210728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11001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20211005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Payment of annual fee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