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좁아진 요관을 일정한 부피의 공간으로 확장하고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요관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장과 방광을 연결하는 요관의 중간부분을 절개한 후 이를 통해 스텐트를 양쪽으로 삽입하고 이들을 컨넥터를 통해 연결하여 소변이 흐르는 통로를 확보 및 내강을 유지시켜 주는 요관 스텐트 양방향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reteral stent used to expand and maintain a narrowed ureter into a space of a certain volume, and more particularly, after cutting the middle part of the ureter connecting the kidney and the bladder, the stent is inserted through it on both sides, It relates to a ureteral stent bidirectional connector that connects them through a connector to secure a passageway through which urine flows and maintain the lumen.
요관 스텐트는 비뇨기계의 원발성 악성 종양, 다른 장기의 악성 종양으로부터의 전이, 감염, 결핵, 결석, 외상 및 수술 시의 손상 등으로 요관이 좁아지거나 막혔을 때, 소변이 내려가는 길을 확보하고 신장부터 방광까지 이어지는 요로의 압력을 낮추기 위해 요관에 삽입한다.The ureteral stent secures a way for urine to flow when the ureter is narrowed or blocked due to primary malignant tumors of the urinary system, metastasis from malignant tumors of other organs, infection, tuberculosis, stones, trauma, and injuries during surgery, etc. It is inserted into the ureter to reduce the pressure in the urinary tract leading up to the ureter.
이러한 요관 스텐트는 길이가 12~23cm 정도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끝은 신장 안에 위치하고 다른 한쪽은 방광 안에 위치하며, 그 양쪽 끝은 스텐트가 움직이는 것을 막기 위해 마치 돼지꼬리 모양으로 동그랗게 말리는 생체 적합성을 갖는 유연성 폴리머 재질의 D-J(double-J) 스텐트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These ureteral stents are about 12 to 23 cm in length, and as shown in FIG. 1, one end is located in the kidney and the other is located in the bladder, and both ends are rolled in a circle like a pig's tail to prevent the stent from moving. A DJ (double-J) stent made of a flexible polymer material with biocompatibility is the most widely used.
그런데 종래의 요관 스텐트는 신장이나 방광을 열고 어느 한쪽에서 삽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 요관의 중간 부위에 결석이 있는 경우 요관을 절개하고 추가로 신장 또는 방광을 절개한 후 삽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ureteral stent has a problem in that the kidney or bladder must be opened and inserted from either side, and if there is a stone in the middle part of the ureter, the ureter is incised and inserted after an additional kidney or bladder incision. .
또한, 요관 스텐트의 길이는 개 또는 고양이 등 다양한 환축의 요관 길이 범위를 수용하기 위해 요관의 전체 길이를 지나 신장 및 방광으로 들어가도록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상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길이를 조절할 수 없어 요관의 길이가 평균적인 길이와 다른 환축의 경우 알맞은 길이로 삽입하기가 매우 어려운 한계가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ureteral stent cannot be adjusted because it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to pass through the entire length of the ureter to accommodate the ureter length range of various patients such as dogs or cats, and thus enter the kidney and bladder. In the case of a ring shaft whose length is different from the average length,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insert it with an appropriate length.
한편, 요관 스텐트를 요관 내에 가이드 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가이드 와이어의 한쪽 끝부분은 중간 부분보다 가늘고 유연성을 가지고 있으며, 중간 부분으로 갈수록 굵고 단단한 구조로 되어 있어 인체 내에 자극을 최소화화면서 스텐트를 유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e end of the general guide wire used to guide the ureteral stent into the ureter is thinner and more flexible than the middle part, and it has a thicker and harder structure toward the middle part, so it can induce the stent while minimizing stimulation in the human body. can
그리고 요관 스텐트를 요관 내에 삽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푸셔(pusher)는 스텐트의 직경과 유사하며, 재료는 폴리머 계열이지만 끝부분은 보다 단단하게 제작되어 스텐트의 한쪽 단부를 효과적으로 밀어 삽입할 수 있다.And the pusher used to insert the ureteral stent into the ureter is similar to the diameter of the stent, and although the material is polymer-based, the tip is made more rigidly, so that one end of the stent can be effectively pushed into it.
종래의 요관 스텐트 삽입 시술방법은 가이드 와이어를 요관을 통하여 신장까지 삽입하고 가이드 와이어를 요관 스텐트의 가운데 내강에 삽입한 후 요관 스텐트의 양쪽 단부를 일자 형태로 펴고, 푸셔를 가이드 와이어에 삽입시켜 일자로 펴진 요관 스텐트의 바깥쪽 단부를 밀어서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신장까지 삽입한다. 이후, 가이드 와이어와 푸셔를 제거하면 요관 스텐트만이 인체 내에 남아 요관의 소변이 흐르는 통로를 확보 및 내강을 유지할 수 있다.In the conventional ureteral stent insertion procedure, a guide wire is inserted through the ureter to the kidney, the guide wire is inserted into the middle lumen of the ureteral stent, both ends of the ureteral stent are stretched in a straight line, and a pusher is inserted into the guide wire in a straight line. Push the outer end of the stretched ureteral stent and insert it along the guide wire to the kidney. Thereafter, when the guide wire and the pusher are removed, only the ureteral stent remains in the human body to secure a passageway through which urine of the ureter flows and maintain the lumen.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The background art or prior art described herein is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inventor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only intended to help understand the technical mea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rior to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ology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t does not mean that the technology is widely known in the field.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요관 스텐트가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신장과 방광을 연결하는 요관에 스텐트를 간편하게 시술 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요관 스텐트 장치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 comprehensively considers all the above and at the same time, in the idea of solving the technical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ureteral stent, a new ureteral stent device that allows the stent to be conveniently operated in the ureter connecting the kidney and the bladder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as a result of incessant research by making every effort to develop a.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신장과 방광을 연결하는 요관의 대략 중간 부분을 절개한 후 이를 통해 양쪽에 스텐트를 순차적으로 삽입하고 삽입된 스텐트의 대응단을 컨넥터로 연결하여 간편하게 시술 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 스텐트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and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an incision approximately in the middle of the ureter connecting the kidney and the bladder, and then sequentially insert the stents on both sides through this, and connect the corresponding end of the inserted stent with a connector for a convenient operation It is to provide a bidirectional stent connector that allows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신장과 방광을 연결하는 요관의 중간 부분을 절개시켜 절개부를 형성하고 이 절개부를 통해 양쪽으로 각각 삽입되어 통로를 확장하게 되는 제1 및 제2 스텐트와, 상기 절개부를 통해 삽입되며 중간 몸체를 기준으로 하는 양쪽에 제1 및 제2 스텐트의 대응단이 각각 끼워져 연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컨넥터를 포함하는 요관 스텐트 양방향 연결장치를 제시한다.A specific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ffectively achieving a specific technical purpose while embodying a new idea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in the middle of the ureter connecting the kidney and the bladder The first and second stents are inserted through the incision to form an incision and are respectively inserted through the incision on both sides to expand the passage, and the first and second stents are inserted through the incision an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 body. A ureteral stent bidirectional connecting device is provided, including a connector in which the corresponding ends of each are fitted to maintain a connected state.
이로써 본 발명은 요관의 절개 부위를 통해 제1 및 제2스텐트를 방향을 달리하여 순차적으로 삽입하고 삽입된 제1 및 제2 스텐트의 대응단을 컨넥터로 연결하면 되는 것으로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stents are sequentially inserted in different directions through the incision of the ureter, and the corresponding ends of the inserted first and second stents are connected with a connector, so that they can be conveniently mount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중간 몸체는 상기 통로와 연통되는 중심 안내홀의 일측에 상기 제1스텐트가 끼워져 빠지지 않도록 외주면에 제1걸림턱이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된 제1삽입부를 형성하고, 타측에 상기 제2스텐트에 끼워져 빠지지 않도록 외주면에 제2걸림턱이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된 제2삽입부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mediate body forms a first insertion portion in which at least one first locking jaw protrude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first stent is not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central guid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passage, and the other side It can be configured by forming a second inserting portion in which at least one second locking jaw protrudes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o as not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stent and fall ou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중간 몸체가 상기 제1 및 제2삽입부를 포함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폐색방지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mediate body may form an occlusion prevention line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portion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중간 몸체의 양쪽에 상기 제1 및 제2삽입부에 끼워지는 제1 및 제2 스텐트의 단부가 끼워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적용 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pply that the fixing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tents fit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inserts are fitted on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body to maintain a fixed state. hav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중간 몸체에 축방향을 따라 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삽입부의 단부에 상기 나사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rew hole is formed in the intermediate body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a screw portion screwed to the screw hole is formed at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inserts, and it can be applied to each other. hav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요관의 대략 중간을 절개한 절개부를 통해 제1 및 제2스텐트를 양방향으로 각각 삽입한 후 대응단을 컨넥터로 연결함으로써 신장이나 방광의 추가적인 절개 없이 장착(stenting)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축의 요관 길이에 맞춰 적합한 길이로 조절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a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based on a unique solution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first and second stents are inserted in both directions through an incision made approximately in the middle of the ureter, respectively Then, by connecting the corresponding end with a connector, it can be mounted (stenting) without additional incision of the kidney or bladder, and can be safely and efficiently mounted by adjusting the appropriate length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ureter of various affected axes.
또한, 컨넥터에 통로와 연통되는 중심 안내홀의 일측에 절개된 형태의 폐색방지라인이 형성되도록 하여 중심 안내홀이 폐색되는 경우 개방 상태를 유지하여 폐색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다시말해, 중심 안내홀과 일측의 폐색 방지라인이 개방상태를 유지하다가 중심 안내홀이 막히는 경우 폐색 방지라인이 개방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막힘없이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n occlusion prevention line of a cut-out typ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entral guid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passage in the connector, so that when the central guide hole is blocked, an open state is maintained to prevent the occlusion phenomenon.
In other words, when the central guide hole and the occlusion prevention line on one side maintain an open state and the central guiding hole is blocked, the occlusion prevention line maintains an open state, thereby serving as a passage without clogging.
또한, 컨넥터가 중간 몸체로부터 양쪽이 조립될 수 있도록 하여 제조 간편화는 물론 조립 간편화 그리고 설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both sides of the connector can be assembled from the intermediate body, there is an effect of simplifying manufacturing as well as simplifying assembly and improving installation efficiency.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요관 스텐트 양방향 연결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관 스텐트 양방향 연결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관 스텐트 양방향 연결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컨넥터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넥터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넥터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컨넥터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reteral stent bidirectional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2 is an exploded front view of the ureteral stent bidirectional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ureteral stent bidirectional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plane of FIG. 4 .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Prior to this,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specified that the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anings commonly or commonly recognized in the art.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 that parts are exaggerated or simplifie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technology, and it is revealed that each component does not exactly correspond to the actual size and shape.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nd/or the term "and/or" is meant to include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and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is a particularly opposite description This does not mean that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but other components can be further included.
즉,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설시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That is, terms such as 'comprising' or 'having', 'having', etc. mean that the features, number,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set forth in this specification exist, one o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adding or adding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 operation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아울러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addition, each step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stated order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a specific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And terms such as upper, lower, upper, lower, or upper, lower, upper, lower,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are used for convenience to distinguish relative positions of each component. For example, the upper side in the drawing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s the lower side,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the left/right direction.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at is, terms such as 1st, 2nd, etc. may b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내강(lumen)"이라는 용어는 요관 스텐트의 중심을 통과하는 통로를 의미한다. 내강의 한쪽 끝은 신장으로 개구되고, 내강의 반대쪽 끝은 방광으로 개구된다. "스텐팅(stenting)"이라는 용어는 환축에게 요관 스텐트를 장착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가이드 와이어(guide wire)"라는 용어는 요관 스텐트를 장치하는 데 사용되는 얇고 유연한 와이어를 의미한다. "푸셔(pusher)"라는 용어는 가이드 와이어를 감싸는 얇고 유연한 튜브를 의미하고,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요관 스텐트를 전진시키는 데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the term "lume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passage through the center of the ureteral stent. One end of the lumen opens into the kidney and the other end of the lumen opens into the bladder. The term “stenting” refers to the process of placing a ureteral stent in a patient. The term “guide wire” refers to a thin, flexible wire used to place a ureteral stent. The term "pusher" refers to a thin, flexible tube that wraps around a guide wire and is used to advance a ureteral stent along the guide wire.
본 발명은 요관을 스텐트로 연결하기 위한 요관 스텐트 양방향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reteral stent bidirectional connector for connecting a ureter to a stent.
도 1 내지 도 4의 도시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요관 스텐트 양방향 연결장치는, 제1스텐트(10), 제2스텐트(20) 및 컨넥터(30)를 포함하고 있다.1 to 4, the ureteral stent bidirectional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제1스텐트(10)는 일정한 길이와 지름을 가지며 내강이 있는 튜브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제2스텐트(20)는 일정한 길이와 지름을 가지며 내강이 있는 튜브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여기서 제1스텐트(10) 및 제2스텐트(20) 중 신장(S) 및 방광(B)으로 들어가는 끝부분은 변위를 방지하기 위해 만곡(curve)되거나 감긴(coil) 형태를 이룰 수 있다.Here, the end of the
또한, 제1스텐트(10) 및 제2스텐트(20)는 X선 또는 형광 투시법으로 그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방사선 불투과성(radiopaque) 재질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아울러 제1스텐트(10) 및 제2스텐트(20)를 구성하는 폴리머들은 방사선 불투과성이거나 불투과성 마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스텐트(10) 및 제2스텐트(20)는 그 길이를 따라 규칙적인 간격(3~5cm)으로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lymers constituting the
또한, 제1스텐트(10) 및 제2스텐트(20)는 환축의 편안함을 개선하거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친수성(hydrophilic) 코팅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아울러 제1스텐트(10) 및 제2스텐트(20)는 감염이나 인크러스트레이션(encrustation)을 줄이기 위하여 헤파린과 같은 항균성(antibacterial) 또는 살균성(antimicrobial) 단일 물질 또는 다중 물질들의 조합으로 코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제1스텐트(10) 및 제2스텐트(20)의 적절한 길이는 8 내지 25cm,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3cm이고, 외경은 일반적인 개 또는 고양이 요관(U)의 직경과 일치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And an appropriate length of the
컨넥터(30)는 양쪽 끝을 제1스텐트(10)와 제2스텐트(20)에 끼워서 상호 연결하기 위해 내강이 있는 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즉, 컨넥터(30)는 중간 몸체(33)를 중심으로 하여 양쪽에 제1삽입부(31)와 제2삽입부(32)를 형성하고 있으며 축방향을 따라 중심에 중심 안내홀(H)이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제1삽입부(31)는 제1스텐트(10)에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그리고 제1삽입부(31)의 외주면(바깥쪽 곡면)에는 제1스텐트(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제1걸림턱(31a)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다단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A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urved surface) of the
제2삽입부(32)는 제2스텐트(20)에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그리고 제2삽입부(32)의 외주면(바깥쪽 곡면)에는 제2스텐트(20)에 끼워진 상태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제2걸림턱(32a)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다단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A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urved surface) of the
여기서 제1삽입부(31)는 제2스텐트(20)에 끼워지고, 제2삽입부(32)는 제1스텐트(10)에 끼워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또한, 제1삽입부(31) 및 제2삽입부(32)가 제1스텐트(10)와 제2스텐트(20)에 쉽게 끼워짐은 물론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1걸림턱(31a) 및 제2걸림턱(32a)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빗면을 갖는 대략 단면의 모양이 직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easily fit the
또한, 중간 몸체(33)와 제1 및 제2걸림턱(31a)(32a) 사이에는 쐐기 형태의 제1 및 제2 고정턱(34a)(35a)이 형성되어 삽입되는 제1스텐트(10)와 제2스텐트(2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중간 몸체는(33)는 제1 및 제2삽입부(31)(32)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제1스텐트(10)와 제2스텐트(20)의 한쪽 끝부분이 서로 마주하여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여기서 컨넥터(30)의 재질은 스테인리스 스틸과 형상기억 합금인 나이티놀(Nitinol)을 비롯하여 코발트 합금, 니켈 합금 등을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다.Here, as the material of 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관 스텐트 양방향 연결장치를 통한 시술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rocedure method through a ureteral stent bidirectional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요관(U)의 중간 부위를 절개하고, 그 절개부를 통해 근위 요관(U)으로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한다. 이때, 가이드 와이어는 원위 요관(U)으로 삽입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일정한 길이와 지름을 갖는 제1스텐트(10)를 신장(S)의 신우 내로 삽입한다. 그런다음 가이드 와이어를 제거한 후, 제1스텐트(10)의 노출 부분을 잘라낸다. 연속해서 제1스텐트(10)의 끝에 내강이 있는 관 모양 컨넥터(30)의 한쪽 끝을 끼워서 고정하고, 절개부를 통해 원위 요관으로 다른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하고, 그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일정한 길이와 지름을 갖는 제2스텐트(20)를 방광(B) 내로 삽입한다. 이때, 가이드 와이어는 근위 요관으로 삽입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연속해서 가이드 와이어를 제거한 후, 제2스텐트(20)의 노출 부분을 잘라낸다. 순차적으로 제2스텐트(20)의 끝에 컨넥터(30)의 반대쪽 끝을 끼워서 제1스텐트(10)와 제2스텐트(20)를 상호 연결한 후 절개부를 봉합하면 된다.First, as shown in FIG. 1 , the middle portion of the ureter (U) is cut, and a guide wire is inserted into the proximal ureter (U) through the incision. At this time, of course, the guide wire may be inserted into the distal ureter (U). Then, the
이처럼 요관(U)의 중간 부분을 절개하고, 그 절개부를 통해 제1 및 제2스텐트(10)(20)를 위아래 방향에서 삽입한 후 컨넥터(30)를 끼워서 연결함으로써 신장(S)이나 방광(B)의 추가적인 절개 없이 간편하게 장착(stenting)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middle part of the ureter (U) is cut, and the first and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양방향 연결장치에서 컨넥터의 다른 예로서, 컨넥터(30a)를 이루는 상기 중간 몸체(33)가 상기 제1 및 제2삽입부(31)(32)를 포함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개방된 형태의 폐색방지라인(50)이 형성됨을 보인 것이다.5 and 6 are another example of a connector in the stent bidirectional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폐색방지라인(50)은, 절개 형태의 탄성을 통해 제1 및 제2삽입부(31)(32)에 끼워지는 제1 및 제2 스텐트(10)(20)의 내경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밀착될 수 있고, 또한 통로와 연결되는 중심 안내홀(H)이 좁아져 폐색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우회로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어 폐색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양방향 연결장치에서 컨넥터에 대한 또 다른 예로서, 컨넥터(30b)를 이루는 상기 중간 몸체(33)의 양쪽에 상기 제1 및 제2삽입부(31)(32)로 끼워져 결합되는 제1 및 제2 스텐트(10)(20)의 단부가 끼워지면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홈(60)이 형성됨을 보인 것이다.7 is another example of a connector in the stent bidirectional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고정홈(60)은 상기 제1 및 제2 삽입부(31)(32)에 끼워지는 제1 및 제2 스텐트(10)(20)의 단부가 끼워져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The fixing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양방향 연결장치에서 컨넥터에 대한 다른 예로서, 컨넥터(30c)를 이루는 상기 중간 몸체(33)의 내측에 나사홀(70)이 관통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및 제2 삽입부(31)(32)의 단부에 상기 나사홀(70)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38)(39)가 형성되도록 하여 분리 상태에서 상호 결합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8 is another example of a connector in the stent bidirectional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즉, 중간 몸체(33)의 나사홀(70)에 제1 및 제2 삽입부(31)(32)에 형성된 나사부(38)(39)를 통해 각각 대칭되게 나사 결합시킨 후 제1 및 제2 스텐트(10)(20)을 결합시킬 수 있고, 또한 제1 및 제2 삽입부(31)(32)를 각각 제1 및 제2 스텐트(10)(20)에 각각 고정시킨 후 요관(U) 내측으로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and second screws are symmetrically screwed into the screw holes 70 of the
상기 나사홀(70)은 내측 중간에 상기 제1 및 제2 스텐트(10)(20)의 단부가 걸림 고정되도록 돌출턱이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나사홀(70)이 나선 방향이 아닌 돌기와 홈이 연속반복된 돌기결합부 형태로 이루어져 제1 및 제2 스텐트(10)(20)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결합부와 끼워맞춤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The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요관 스텐트 관련한 구성요소 중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반복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Here, among the components related to the ureteral s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having the same or similar effec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petitive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applied in various ways not illustrated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each It is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it can be widely applied by changing the substitution of component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contents related to the modification and application of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U: 요관
S: 신장
B: 방광
10: 제1스텐트 20: 제2스텐트
30,30a,30b,30c: 컨넥터
H: 중심 안내홀
31: 제1삽입부 32: 제2삽입부 33: 중간 몸체
50: 폐색방지라인
70: 나사홀U: ureter
S: kidney
B: bladder
10: first stent 20: second stent
30,30a,30b,30c: connector
H: central information hall
31: first insertion portion 32: second insertion portion 33: middle body
50: blockage prevention line
70: screw hole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1204AKR102307346B1 (en) | 2021-03-10 | 2021-03-10 | Stent Insertion devic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1204AKR102307346B1 (en) | 2021-03-10 | 2021-03-10 | Stent Insertion device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07346B1true KR102307346B1 (en) | 2021-09-29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1204AActiveKR102307346B1 (en) | 2021-03-10 | 2021-03-10 | Stent Insertion device |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7346B1 (en)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5096991A1 (en)* | 2004-04-06 | 2005-10-20 | Medevert Limited | Ureteric stents |
US20080108824A1 (en)* | 2006-09-28 | 2008-05-08 | Med Institute, Inc | Medical Devices Incorporating a Bioactive and Methods of Preparing Such Devices |
KR20100090986A (en) | 2009-02-09 | 2010-08-18 | (주) 태웅메디칼 | Stent an internal decomposition anger hook |
KR20110125786A (en)* | 2010-05-14 | 2011-11-22 | (주) 태웅메디칼 | Plastic stent |
US20120157833A1 (en)* | 2010-12-15 | 2012-06-21 | Allyson Cortney Berent | Ureteral bypass devices and procedures |
KR101501445B1 (en) | 2013-05-20 | 2015-03-11 | 광주과학기술원 | Ureteral st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
KR20180124847A (en) | 2016-03-11 | 2018-11-21 | 어쏘시에이션 포 더 어드벤스먼트 오브 티슈 엔지니어링 앤드 셀 베이스드 테크놀로지스 & 테라피즈 (에이4테크)-어쏘시아상 | Biodegradable ureteral stents, methods and uses thereof |
KR102007179B1 (en) | 2018-01-05 | 2019-08-05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Design Method of Ureteral Stent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5096991A1 (en)* | 2004-04-06 | 2005-10-20 | Medevert Limited | Ureteric stents |
US20080108824A1 (en)* | 2006-09-28 | 2008-05-08 | Med Institute, Inc | Medical Devices Incorporating a Bioactive and Methods of Preparing Such Devices |
KR20100090986A (en) | 2009-02-09 | 2010-08-18 | (주) 태웅메디칼 | Stent an internal decomposition anger hook |
KR20110125786A (en)* | 2010-05-14 | 2011-11-22 | (주) 태웅메디칼 | Plastic stent |
US20120157833A1 (en)* | 2010-12-15 | 2012-06-21 | Allyson Cortney Berent | Ureteral bypass devices and procedures |
US8808261B2 (en)* | 2010-12-15 | 2014-08-19 | Allyson Cortney Berent | Ureteral bypass devices and procedures |
KR101501445B1 (en) | 2013-05-20 | 2015-03-11 | 광주과학기술원 | Ureteral st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
KR20180124847A (en) | 2016-03-11 | 2018-11-21 | 어쏘시에이션 포 더 어드벤스먼트 오브 티슈 엔지니어링 앤드 셀 베이스드 테크놀로지스 & 테라피즈 (에이4테크)-어쏘시아상 | Biodegradable ureteral stents, methods and uses thereof |
KR102007179B1 (en) | 2018-01-05 | 2019-08-05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Design Method of Ureteral Stent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390928B2 (en) | Open lumen stent | |
US5984965A (en) | Anti-reflux reinforced stent | |
CA2363001C (en) | Medical device with one or more helical coils | |
EP2120803B1 (en) | Stent delivery system | |
US7967770B2 (en) | Implantable drainage device with planar dual curved portion | |
US4990133A (en) | Removable J-J ureteral stent | |
US8252065B2 (en) | Ureteral stent with conforming retention structure | |
CA2160699C (en) | Ureteral stents, drainage tubes and the like | |
US6656146B1 (en) | Medical device with tail(s) | |
US11406802B2 (en) | Stent trimming devices and methods | |
JP2005312898A (en) | Improved stent | |
US12220333B2 (en) | Medical device with adjustable length | |
EP3011937B1 (en) | Elongate medical device | |
KR102307346B1 (en) | Stent Insertion device | |
US10398541B2 (en) |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flexible anti-reflux ureteral stent | |
EP2858709B1 (en) | Stent pusher assembly | |
KR102228845B1 (en) | Bidirectional Ureteral Stent (BUS) and the Bidirectionall ureteral stent placement | |
WO2005102217A1 (en) | Ureteric stent | |
US11564820B2 (en) | Ureteral stent and related methods | |
EP4121158A1 (en) | Ureteral stents | |
WO2025074843A1 (en) | Medical instrument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2103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20210323 Patent event code:PA03022R01D Comment text: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20210310 Patent event code:PA03021R01I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10716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2109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10924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210924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