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동영상 시청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시청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for obtaining video viewing information of a user and displaying the obtained viewing information.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The terminal may be divided into a mobile/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terminal can be moved. Again,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can carry it directly.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As such a terminal is diversified in function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multimedia player equipped with complex functions such as taking pictures or videos, playing music or video files, playing games, and receiving broadcasts. is being implemented.
이에 따라, 단말기의 사용자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드라마, 영화, 뮤직 비디오와 같은 다양한 동영상을 시청하고 있으며, 단말기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한 장소에서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of the terminal watches various moving images such as dramas, movies, and music videos using the terminal, and the user can watch the moving images in various places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terminal.
하지만, 단말기를 통해 동영상을 시청할 때 중단하게 되면, 이후 다시 동영상을 시청할 때 시청한 구간과 시청하지 않은 구간을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래서 사용자는 동영상을 처음부터 다시 재생하여, 중단한 구간을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when watching a video through the terminal is stopp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identify a watched section and a section that is not viewed when watching the video again later. Therefore, the user has the inconvenience of replaying the video from the beginning to find the section where it was stopp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동영상 시청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의 동영상 시청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on the user's video viewing by acquiring the user's video viewing information,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상기 재생 중인 동영상을 사용자가 시청했는지에 대한 시청 수행 정보 및 상기 동영상의 전체 재생 구간 중 특정 재생 구간을 재생했는지에 대한 재생 수행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시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동영상 시청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ing: playing a video; acquiring video viewing information including viewing performance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watched the currently playing video and playback performance information on whether a specific playback section of the entire playback section of the video is played; and displaying the obtained video view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영상을 취득하는 카메라; 및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고, 취득된 상기 사용자 영상을 기초로 재생 중인 동영상을 사용자가 시청했는지에 대한 시청 수행 정보 및 상기 동영상의 전체 재생 구간 중 특정 재생 구간을 재생했는지에 대한 재생 수행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시청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동영상 시청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unit; a camera for acquiring a user image of the terminal; and viewing performance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watched the video being reproduced based on the video reproduced and the acquired user image and playback performance information on whether a specific playback section of the entire playback section of the video is played and a controller for obtaining video viewing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obtained video view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동영상 시청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받아, 동영상을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다.According to a terminal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conveniently view a video by receiving detailed information about viewing a video.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영상 시청 정보와 함께 동영상에 대한 직관적인 제어 방법을 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ser with an intuitive control method for a video together with video viewing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사용자의 동영상 시청 여부를 확인하는 원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얼굴 인식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사용자의 동영상 시청 여부를 확인하는 원리를 나타낸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저장 표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재생 목록 화면을 나타낸다.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의 재생 정보 표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전체 재생 목록 화면을 나타낸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따른 썸네일 이미지 변경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따른 썸네일 이미지 변경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따른 미리 보기 영상 재생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따른 미리 보기 영상 재생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영역을 나타낸다.
도 24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미리 보기 영상의 크기를 변환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8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따른 동영상 재생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따른 동영상 재생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랍 입력에 따른 동영상 재생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랍 입력에 따른 동영상 재생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3 내지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된 동영상의 전체 화면 표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6 내지 도 3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 중 프로그래시브 바 표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시브 바의 이동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0 내지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리 보기 재생 동작을 나타낸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 변경 동작을 나타낸다.
도 43 내지 도 4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리 보기 영상 재생을 나타낸다.
도 47 내지 도 4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미리 보기 영상 재생을 나타낸다.
도 49 내지 도 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미리 보기 영상의 크기를 변환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1 내지 도 5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 설정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3 내지 도 5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생 설정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5 내지 도 5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생 설정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7 내지 도 5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재생 목록 표시를 나타낸다.
도 5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 설정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0 내지 도 6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 설정 동작에 대한 예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inciple of a terminal confirming whether a user views a vide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 user's face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inciple of a terminal confirming whether a user views a vide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10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3 are exemplary views of a storage display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to 15 show screens of all playlis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to 17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display of playback information of a moving pi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shows an entire playlist scre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thumbnail image change according to a user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thumbnail image change according to a user inp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n exemplary diagram of preview image reproduction according to a user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n exemplary diagram of preview image reproduction according to a user inp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shows a guide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to 27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converting the size of a preview image in response to a user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8 to 29 are exemplary views of video playback according to a user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0 is an exemplary diagram of video playback according to a user inp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1 is an exemplary diagram for video playback according to a user's drag and drop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n exemplary diagram of video playback according to a user's drag and drop inp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3 to 35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full screen display of a selected vide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6 to 38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a progressive bar display during video playback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9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movement of a progressive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0 to 41 show a preview playback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2 illustrates a thumbnail change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3 to 46 show playback of a preview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7 to 48 show reproduction of a plurality of preview im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9 to 50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converting the size of a preview image in response to a user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1 to 52 are exemplary views of playback sett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3 to 54 are exemplary views of playback setting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5 to 56 are exemplary views of playback setting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7 to 58 show a playlist display for a streaming vide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9 is a flowchart of a video playback setting ope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0 to 62 are exemplary diagrams of a video playback setting ope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a meaning or rol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device, and the like. Howe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a fixed terminal such as a digital TV or a desktop computer, except when applicable only to a mobile terminal.
다음은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structur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1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turn.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The broadcast reception module 111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mean a server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a broadcast signal and/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that receives and transmits a previously generated broadcast signal and/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to a terminal.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nd a data broadcast signal, as well as a TV broadcast signal or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radio broadcast signal.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exist in the form of an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an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broadcast reception module 111 is, for exampl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Media Forward Link Only (MediaFLO), Digital Video Broadcast (DVB-H). -Handheld) and ISDB-T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can receive a digital broadcasting signal using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Of course, the broadcast reception module 111 may be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other broadcast systems as well as the aforementioned digital broadcast system.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A broadcast signal and/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ption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for obtaining a loc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A/V (Audio/Video)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The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이동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Some of these displays may be of a transparent type or a light-transmitting type so that the outside can be viewed through them.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nd a typical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a TOLED (Transparant OLED). The rear structure of the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Two or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144)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144)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터치 센서(144)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144)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144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터치 센서(144)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When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144, a corresponding signal(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s) and then transmits corresponding data to the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Referring to FIG. 1 , a proximity sensor 141 may be disposed in an inner region of a mobile terminal covered by the touch screen or near the touch screen. The proximity sensor 141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n object existing in the vicinity without mechanical contact using the force of an electromagnetic field or infrared rays. The proximity sensor 141 has a longer lifespan than the contact sensor and its utility is also high.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144)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141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typ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type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When the touch screen is of a capacitive type, it is configure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a change in an electric field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144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act of bringing the pointer closer to the touch screen without making contact so that the pointer is recognized as being positioned on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proximity touch”, and the touch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the pointer on the screen is called "contact touch". The position at which a proximity touch is performed by the pointer on the touch screen means a position at which the pointer vertically corresponds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pointer is touched in proximity.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eg, proximity touch distance, proximity touch direction, proximity touch speed, proximity touch time, proximity touch position,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et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the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The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The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o vibration, the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또한, 메모리(160)는 후술할 동영상 시청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Also, the
구체적으로 메모리(160)는 제어부(180)로부터 사용자의 동영상 시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사용자의 동영상 시청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80)에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The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storing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age right of the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When the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The
제어부(180)는 카메라(121)가 처리한 화상 프레임을 기초로 사용자의 얼굴을 식별할 수 있다.The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래서 제어부(180)는 기 저장된 복수의 사용자들의 얼굴과 카메라(121)를 통해 획득한 화상 프레임의 사용자의 얼굴을 비교하여, 매칭되는 사용자의 얼굴을 검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또한, 제어부(180)는 카메라(121)가 처리한 화상 프레임을 기초로 사용자의 동영상 시청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Also, the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카메라(121)가 처리한 화상 프레임에서 사용자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시선이 영상이 재생되고 있는 디스플레이부(151)를 바라보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도 2는 단말기(100)가 사용자의 동영상 시청 여부를 확인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e principle of the terminal 100 checking whether the user is watching a video.
도 2를 참고하면, 단말기(100)의 카메라(121)는 사용자의 얼굴에 대한 화상 프레임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에 대한 화상 프레임을 기초로,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예를 들어 도 3을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에 대한 화상 프레임에서 사용자의 눈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파악된 사용자의 눈의 위치를 기초로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 , the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시선이 디스플레이부(151)를 바라보고 있으면 재생되고 있는 동영상을 시청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2 , when the user's gaze is looking at the
반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시선이 디스플레이부(151)를 바라보고 있지 않으면 동영상을 시청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 , the
또한, 제어부(180)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동영상 시청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서, 동일한 동영상에 대한 서로 다른 사용자의 동영상 시청 여부를 각각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사용자 1과 사용자 2를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어서, 동영상 A에 대한 사용자 1의 시청 여부와 사용자 2의 시청 여부를 각각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또한, 제어부(180)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연속된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의 시선이 디스플레이부(151)를 바라보는 시간(이하, "시청 시간"이라 한다.)과 디스플레이부(151)를 바라보지 않은 시간(이하, "시청하지 않은 시간"이라 한다.)을 비교하여, 재생 구간의 사용자의 동영상 시청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시선이 디스플레이부(151)를 바라보는 중에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부(151)를 바라보지 않으면, 해당 재생 구간을 시청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s gaze does not look at the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preset time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a user's or designer's selection.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by the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a procedure or function may be implemented together with a separate software module for perform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the
도 5 내지 도 6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62 .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5 to 10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동영상 재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받는다(S110).Referring to FIG. 5 , the
제어부(180)는 터치 센서(144)를 통해 동영상 재생을 위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키패드나 마우스와 같은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해 동영상 재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
여기서 동영상은 단말기(100)의 메모리(160)에 저장된 동영상일 수 있고,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 따른 동영상일 수도 있다. 또한, 무선 인터넷 모듈(113)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114)를 통해 수신되는 동영상일 수도 있다.Here, the moving image may be a moving image stored in the
제어부(180)는 동영상 재생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동영상을 재생한다(S112).The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선택한 동영상을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전체 화면에서 재생할 수 있다. 그래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을 통해 재생되는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제어부(180)는 재생 중인 동영상의 진행 구간에 대해 기 저장된 동영상 시청 정보가 있는지 확인한다(S114).The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동영상 시청 여부에 대한 정보(이하, "동영상 시청 정보"라 한다.)를 기초로 재생 중인 동영상의 진행 구간에 대한 동영상 시청 정보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The
여기서 동영상 시청 정보는 재생 중인 동영상을 사용자가 시청했는지에 대한 시청 수행 정보 및 동영상의 전체 재생 구간 중 특정 재생 구간을 재생했는지에 대한 재생 수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video viewing information may include viewing performance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watched the video being played and playback performance information on whether a specific playback section among all playback sections of the video is played.
또한, 동영상 시청 정보는 동영상의 전체 재생 구간 중 특정 재생 구간의 시청 횟수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video viewing information may include the number of views of a specific playback section among all playback sections of the video.
제어부(180)는 재생 중인 동영상의 재생 구간에 대한 동영상 시청 정보가 있는 경우, 동영상 시청 정보에 대한 프로그래시브 바(Progressive bar)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When there is video viewing information for the playback section of the video being reproduced, the
제어부(180)는 진행 중인 동영상의 재생 구간에 대한 동영상 시청 정보가 없는 경우, 사용자의 동영상 시청 여부를 확인하며 동영상을 재생한다(S116).When there is no video viewing information for a playback section of a video in progress, the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에 대한 화상 프레임을 기초로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판단된 사용자의 시선이 동영상이 재생되고 있는 디스플레이부(151)를 바라보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시선이 디스플레이부(151)를 바라보는 것으로 판단하면, 사용자가 동영상을 시청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시선이 디스플레이부(151)를 바라보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사용자가 동영상을 시청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동영상 시청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동영상을 시청하지 않은 재생 구간이 확인되면, 확인된 재생 구간의 동영상 시청 정보를 획득한다(S118).When a playback section in which the user does not watch a video is checked, the
제어부(180)는 단계 S114에서 사용자가 동영상을 시청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판단한 시점의 재생 구간에 대한 동영상 시청 정보를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재생 중인 동영상을 사용자가 시청하지 않은 구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청 정보를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14 that the user does not watch the video, the
한편,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동영상 시청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동일한 동영상을 각각 다른 사용자가 각각 재생한 경우에, 각각의 사용자의 동영상 재생에 대한 서로 다른 동영상 시청 정보를 각각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Meanwhile, the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동영상을 시청하지 않은 구간에 대한 동영상 시청 정보를 저장할 때, 디스플레이 화면에 저장 표시(205)를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user stores the video viewing information for a section in which the user does not watch the video, the
이를 도 11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3 .
도 11 내지 도 13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저장 표시(205)에 대한 예시도이다.11 to 13 are exemplary diagrams of a
예를 들어 도 11을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동영상을 시청하지 않은 구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때, 눈 모양의 저장 표시(205)를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1 , the
예를 들어 도 12를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동영상을 시청하지 않은 구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때, 플러스 모양의 저장 표시(205)를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2 , the
예를 들어 도 13을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동영상을 시청하지 않은 구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때, 숫자가 표시된 원 모양의 저장 표시(205)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숫자가 표시된 원 모양의 저장 표시(205)에서 표시된 숫자는 재생 중인 동영상에 대해 사용자의 동영상 시청 정보가 저장된 순서를 의미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3 , when the user stores information about a section in which the user does not watch a video, the
이와 같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동영상을 시청하지 않은 구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때 디스플레이 화면에 저장 표시(205)를 표시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동영상에 대한 시청 정보가 저장되고 있음을 직관적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한편, 디스플레이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screen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다시 도 5를 참고한다.Reference is again made to FIG. 5 .
제어부(180)는 전체 재생 목록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받는다(S120).The
제어부(180)는 터치 센서(144)를 통해 전체 재생 목록 표시를 위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키패드나 마우스와 같은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해 재생 목록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
여기서 전체 재생 목록 표시란, 하나 이상의 동영상에 대한 목록을 표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화면 전체에 하나 이상의 동영상에 대한 목록을 표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display of the entire playlist may mean displaying a list of one or more videos, and may mean displaying a list of one or more videos on the entire screen.
한편, 제어부(180)는 전체 재생 목록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으면, 단계 S114로 회귀한다.Meanwhile, if the
제어부(180)는 전체 재생 목록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전체 재생 목록을 표시한다(S122).The
제어부(180)는 전체 재생 목록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전체 재생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When receiving a user input for displaying the entire playlist, the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하나 이상의 동영상에 대한 정보를 프로그래시브 바 형태로 각각 나타낼 수 있다.Specifically, the
도 14를 참고하여 제어부(180)의 전체 재생 목록 표시를 설명한다.Display of the entire playlist by the
도 14는 전체 재생 목록이 표시된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14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on which an entire playlist is displayed.
도 14를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복수의 동영상에 대한 전체 재생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복수의 동영상 Movie 1 내지 4 에 대해 각각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각각의 동영상에 대한 정보를 타원 형태의 프로그래시브 바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 the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동영상 Movie 2에 대한 재생 목록(212)을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에서 동영상 재생 구간을 사용자가 재생하지 않은 구간(222, 이하, "재생하지 않은 구간"이라 한다.), 사용자가 재생하여 시청한 구간(224, 이하, "시청한 구간"이라 한다.), 사용자가 재생하였으나 시청하지 않은 구간(226, 이하, "시청하지 않은 구간"이라 한다.)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재생하지 않은 구간(222), 시청한 구간(224), 시청하지 않은 구간(226)을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또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80)는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재생하지 않은 구간(222), 시청한 구간(224), 시청하지 않은 구간(226)을 명암을 서로 다르게 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또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80)는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재생하지 않은 구간(222), 시청한 구간(224), 시청하지 않은 구간(226)에 대한 표시를 입체감을 서로 다르게 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또한, 제어부(180)는 시청한 구간(224)과 시청하지 않은 구간(226)에 대한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Also, the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재생하여 시청한 구간(224)에 대해 스마일 형태의 인디케이터(232)를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재생하였으나 시청하지 않은 구간(226)에 대해 정지 표시 형태의 인디케이터(234)를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5 , the
또한, 제어부(180)는 동영상의 전체 구간 중 사용자가 시청한 구간(224)에 대한 퍼센트를 표시할 수 있다.Also, the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동영상의 전체 구간 중 사용자가 시청한 구간에 대한 퍼센트 표시(236)을 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5 , the
이와 반대로, 제어부(180)는 동영상의 전체 구간 중 사용자가 시청하지 않은 구간에 대한 퍼센트도 표시할 수 있다.Conversely, the
또한, 제어부(180)는 재생 목록(212)에 동영상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Also, the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재생 목록(212)에 동영상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배경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5 , the
한편, 제어부(180)는 재생 목록(212)에 동영상에 대한 재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the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정 거리 이내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근하면 동영상에 대한 재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s finger approach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of the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정 거리 이내로 터치펜이 접근하면 동영상에 대한 재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touch pen approach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of the
구체적으로 도 16 내지 도 1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Specifically,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 to 17 .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의 재생 정보 표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16 to 17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display of playback information of a moving pi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재생 목록(212)에 동영상에 대한 재생 정보인 총 재생 시간, 시청한 구간의 재생 시간, 시청하지 않은 구간의 재생 시간을 팝업창(238)에 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6 , the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시청한 구간(224)에 대한 구간 정보, 사용자의 시청 시간을 팝업창(238)에 표시할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 17 , the
한편, 제어부(180)는 프로그래시브 바의 형태를 타원형이 아닌 막대형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동영상 Movie 2에 대한 재생 목록(212)을 막대형 프로그래시브 바(223)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막대형 프로그래시브 바(223)에 사용자가 재생하지 않은 구간(222), 사용자가 재생하여 시청한 구간(224), 사용자가 재생하였으나 시청하지 않은 구간(226)에 대한 표시를 입체감을 서로 다르게 하여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8 , the
상술한 프로그래시브 바의 형태는 설명을 위한 예시로써, 타원형, 막대형 이외에도 설계자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하, 단말기(100)의 동작에 대해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를 기본으로 하여 설명하나, 막대형 프로그래시브 바(223)에도 적용 가능하다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 자명한 사항일 것이다.The above-described progressive bar shape is an example for explanation, and may be display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a designer's or user's selection in addition to an oval shape and a bar shape.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elliptical
다시 도 5를 참고한다.Reference is again made to FIG. 5 .
제어부(180)는 표시된 전체 재생 목록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동영상 중 하나의 동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받는다(S124).The
제어부(180)는 터치 센서(144)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전체 재생 목록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동영상 중 하나의 동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키패드나 마우스와 같은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해 동영상 선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
다음은 도 5에 이어 도 6을 참고한다.Next, referring to FIG. 6 following FIG. 5 .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하나의 동영상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지 않은 경우의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terminal does not receive a user input for selecting one vide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180)는 표시된 전체 재생 목록 중 하나의 동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받는다(S126).The
제어부(180)는 터치 센서(144)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전체 재생 목록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동영상 중 하나의 동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키패드나 마우스와 같은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해 동영상 제어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
제어부(180)는 표시된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일부 구간을 선택하여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타원 안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S128), 선택된 일부 구간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배경화면으로 변경한다(S130).When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partial section of the displayed elliptical
제어부(180)는 터치 센서(144)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전체 재생 목록에 포함된 하나의 동영상에 대한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일부 구간을 터치하여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타원 안 방향으로 플리킹(flicking)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터치한 구간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배경화면으로 변경할 수 있다.The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일부 구간은 사용자가 재생하지 않은 구간(222), 사용자가 재생하여 시청한 구간(224), 사용자가 재생하였으나 시청하지 않은 구간(226)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Some sections of the oval
도 19를 참고하여 이를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9 .
도 19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어부(180)의 썸네일 이미지 변경에 대한 예시도이다.19 is an exemplary diagram for changing a thumbnail image of the
도 19를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동영상 Movie 2에 대해 표시된 재생 목록(212)에서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시청한 구간(224)를 터치하여 타원 안 방향으로 플리킹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재생 목록(212)에 표시된 배경 화면을 시청한 구간(224)의 대표 썸네일 이미지로 변경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 the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80)는 표시된 막대형 프로그래시브 바(223)의 일부 구간을 선택하여 막대형 프로그래시브 바(223)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일부 구간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배경화면으로 변경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partial section of the displayed bar-shaped
제어부(180)는 터치 센서(144)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전체 재생 목록에 포함된 하나의 동영상에 대한 막대형 프로그래시브 바(223)의 일부 구간을 터치하여 막대형 프로그래시브 바(223)의 하측 방향으로 플리킹(flicking)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터치한 구간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배경화면으로 변경할 수 있다.The
막대형 프로그래시브 바(223)의 일부 구간은 사용자가 재생하지 않은 구간(222), 사용자가 재생하여 시청한 구간(224), 사용자가 재생하였으나 시청하지 않은 구간(226)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Some sections of the bar-type
도 20을 참고하여 이를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0 .
도 20은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어부(180)의 썸네일 이미지 변경에 대한 예시도이다.20 is an exemplary diagram for changing a thumbnail image of the
도 20을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동영상 Movie 2에 대해 표시된 재생 목록(212)에서 막대형 프로그래시브 바(223)의 시청한 구간(224)를 터치하여 하측 방향으로 플리킹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재생 목록(212)에 표시된 배경 화면을 시청한 구간(224)의 대표 썸네일 이미지로 변경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 the
다시 도 6을 참고한다.Reference is again made to FIG. 6 .
제어부(180)는 표시된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일부 구간을 선택하여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타원 밖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S132), 선택된 일부 구간의 미리 보기 영상을 재생한다(S134).When the
제어부(180)는 터치 센서(144)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재생 목록(212)에 포함된 하나의 동영상에 대한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일부 구간을 터치하여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타원 밖 방향으로 플리킹(flicking)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터치한 구간에 대응하는 구간의 미리 보기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The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복수의 영역에 대한 복수의 미리 보기 영상을 동시에 재생할 수도 있다.also. The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일부 구간은 사용자가 재생하지 않은 구간(222), 사용자가 재생하여 시청한 구간(224), 사용자가 재생하였으나 시청하지 않은 구간(226)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Some sections of the oval
도 21을 참고하여 이를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1 .
도 21은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어부(180)의 미리 보기 영상 재생에 대한 예시도이다.2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preview image reproduction by the
도 21을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동영상 Movie 2에 대해 표시된 재생 목록(212)에서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시청한 구간(224)를 터치하여 타원 밖 방향으로 플리킹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시청한 구간(224)의 미리 보기 영상(243)을 재생 목록(212)의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 , the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시청한 구간(224)을 터치하고 있으면, 재생 목록(212)의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미리 보기 영상(243)의 재생 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시청한 구간(224)을 터치하고 있으면, 터치하는 시간에 따라 미리 보기 영상(243)의 재생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시청한 구간(224)을 터치하고 있으면, 터치하는 시간에 따라 미리 보기 영상(243)의 재생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When the user touches the viewed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80)는 표시된 막대형 프로그래시브 바(223)의 일부 구간을 선택하여 막대형 프로그래시브 바(223)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일부 구간의 미리 보기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partial section of the displayed bar-shaped
제어부(180)는 터치 센서(144)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재생 목록(212)에 포함된 하나의 동영상에 대한 막대형 프로그래시브 바(223)의 일부 구간을 터치하여 막대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상측 방향으로 플리킹(flicking)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터치한 구간에 대응하는 구간의 미리 보기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The
도 22를 참고하여 이를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2 .
도 22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어부(180)의 미리 보기 영상 재생에 대한 예시도이다.2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preview image reproduction by the
도 22를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동영상 Movie 2에 대해 표시된 재생 목록(212)에서 막대형 프로그래시브 바(223)의 시청한 구간(224)를 터치하여 상측 방향으로 플리킹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시청한 구간(224)의 미리 보기 영상(243)을 재생 목록(212)의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2 , the
한편, 제어부(180)는 미리 보기 영상(243)를 표시하는 기능에 대해 사용자의 직관적인 인식을 위해, 가이드 영역(241)을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the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영역(241)을 도 2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The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영역(241)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2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터치에 대응하여, 미리 보기 영상(243)을 표시하는 미리 보기 영상 영역을 표시하는 가이드 영역(241)을 표시할 수 있다.In response to the user's touch of the oval
예를 들어 도 23을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시청한 구간(224)을 터치하는 동작에 대응하여, 가이드 영역(241)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시청한 구간(224)를 터치하여 가이드 영역(241)으로 플리킹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시청한 구간(224)의 미리 보기 영상(243)을 가이드 영역(241)에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3 , the
한편, 제어부(180)는 수신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재생 중인 미리 보기 영상(243)의 크기를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미리 보기 영상(243)에 대한 사용자의 핀치 투 줌, 핀치 투 아웃 입력에 대응하여 재생 중인 미리 보기 영상(243)의 크기를 변환할 수 있다.Meanwhile, the
이를 도 24 내지 도 27를 참고하여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4 to 27 .
도 24 내지 도 27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미리 보기 영상의 크기를 변환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24 to 27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converting the size of a preview image in response to a user input.
예를 들어 도 24를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미리 보기 영상(243)이 표시되는 영역을 두 개의 손가락으로 동시에 벌리는 핀치 투 아웃 터치를 수신하면, 핀치 투 아웃 터치에 대응하여 미리 보기 영상(243)의 크기를 크게 변환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4 , when receiving a pinch-to-out touch that simultaneously spreads the area where the
또 다른 예로 도 25를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미리 보기 영상(243)이 표시되는 영역을 두 개의 손가락으로 동시에 모으는 핀치 투 인 터치를 수신하면, 핀치 투 인 터치에 대응하여 미리 보기 영상(243)의 크기를 작게 변환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referring to FIG. 25 , when the
또한, 제어부(180)는 미리 보기 영상(243)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면, 미리 보기 영상(243)을 전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Also, when the user input to the
예를 들어 도 26을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미리 보기 영상(243)이 표시되는 영역을 두 개의 손가락으로 동시에 벌리는 핀치 투 아웃 터치를 수신하고, 수신된 핀치 투 아웃 터치 입력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면 미리 보기 영상(243)을 전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6 , the
또한, 제어부(180)는 미리 보기 영상(243)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재생 목록(212)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Also, the
예를 들어 도 27을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미리 보기 영상(243)이 표시되는 영역을 두 개의 손가락으로 동시에 벌리는 핀치 투 아웃 터치를 수신하고, 수신된 핀치 투 아웃 터치 입력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면 미리 보기 영상(243)의 크기를 크게 변환하면서 재생 목록(212)을 미리 보기 영상(243)과 겹치지 않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7 , the
다시 도 6을 참고한다.Reference is again made to FIG. 6 .
제어부(180)는 재생 목록(212)에 표시된 재생 버튼(251)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S136), 선택된 동영상을 재생한다(S138).When the
제어부(180)는 터치 센서(144)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재생 목록(212)에 포함된 하나의 동영상에 대한 재생 버튼(251)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터치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 방식, 입력 정도에 따라 동영상을 전체 화면 또는 전체 화면의 일부 화면에서 재생할 수 있다.When the
이를 도 28 내지 도 2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8 to 29 .
도 28 내지 도 29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동영상 재생에 대한 예시도이다.28 to 29 are exemplary views of video playback according to a user input.
도 28을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재생 버튼(251)을 길게 롱터치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재생 버튼(251)에 대응하는 재생 목록(212)의 동영상을 전체 화면에서 재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8 , when the
도 29를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재생 버튼(251)을 숏터치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재생 버튼(251)에 대응하는 재생 목록(212)의 동영상을 전체 화면의 일부 화면인 재생 목록(212)의 영역에서 재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9 , when receiving an input for short-touching the
여기서 숏터치는 제1 기준 시간 이하의 터치 입력일 수 있고, 롱터치는 제2 기준 시간 이상의 터치 입력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기준 시간과 제2 기준 시간은 서로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Here, the short touch may be a touch input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reference time, and the long touch may be a touch input long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reference time. In addition, the first reference time and the second reference time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80)는 막대형 프로그래시브 바(232)가 표시된 재생 목록(212)에서 재생 버튼(251)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when receiving a user input for the
예를 들어 도 30과 같이 막대형 프로그래시브 바(232)가 표시된 재생 목록(212)에서, 제어부(180)는 재생 버튼(251)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80)는 재생 목록(212)을 더블 탭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receiving a user input of double-tapping the
다시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It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FIG. 6 .
제어부(180)는 표시된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일부 구간을 드래그하여 재생 버튼(251)에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S140), 드래그 앤 드랍된 일부 구간에 대응하는 구간의 영상을 재생한다(S142).When receiving a user input for dragging and dropping a partial section of the displayed oval
제어부(180)는 터치 센서(144)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재생 목록(212)에 포함된 하나의 동영상에 대한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일부 구간을 드래그하여 재생 버튼(251)에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드래그 앤 드랍한 구간의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드래그 앤 드랍한 구간의 영상의 전체 화면 또는 전체 화면의 일부 영역에서 재생할 수 있다.The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일부 구간은 사용자가 재생하지 않은 구간(222), 사용자가 재생하여 시청한 구간(224), 사용자가 재생하였으나 시청하지 않은 구간(226)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Some sections of the oval
도 31을 참고하여 이를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1 .
도 31은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랍 입력에 따른 동영상 재생에 대한 예시도이다.3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video playback according to a user's drag and drop input.
도 31을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시청한 구간(224)을 드래그하여 재생 버튼(251)에 드랍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드래그 앤 드랍된 시청한 구간(224)을 전체 화면 또는 전체 화면의 일부 영역에 재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1 , when receiving an input for dragging and dropping the watched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80)는 막대형 프로그래시브 바(232)가 표시된 재생 목록(212)에서 막대형 프로그래시브 바(232)의 일부 구간을 드래그하여 재생 버튼(251)에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드래그 앤 드랍된 일부 구간에 대응하는 구간의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제어부(180)는 터치 센서(144)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재생 목록(212)에 포함된 하나의 동영상에 대한 막대형 프로그래시브 바(223)의 일부 구간을 드래그하여 재생 버튼(251)에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드래그 앤 드랍한 구간의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드래그 앤 드랍한 구간의 영상의 전체 화면 또는 전체 화면의 일부 영역에서 재생할 수 있다.The
도 32를 참고하여 이를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2 .
도 32는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랍 입력에 따른 동영상 재생에 대한 예시도이다.3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video playback according to a user's drag and drop input.
도 32를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시청한 구간(224)을 드래그하여 재생 버튼(251)에 드랍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드래그 앤 드랍된 시청한 구간(224)을 전체 화면 또는 전체 화면의 일부 영역에 재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2 , when receiving an input for dragging and dropping the viewed
다음은 도 6에 이어 도 7을 설명한다.Next, FIG. 7 will be described following FIG. 6 .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가 전체 재생 목록 표시를 종료하는 경우의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when the terminal 100 finishes displaying the entire play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을 받지 못하면(S144), 표시된 전체 재생 목록을 제거한다(S146). 그리고 제어부(180)는 동영상 재생 화면으로 복귀한다(S112).Referring to FIG. 7 , if the
다음은 도 7에 이어 도 8을 설명한다.Next, FIG. 8 will be described following FIG. 7 .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가 전체 재생 목록 중 하나의 동영상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은 경우의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terminal 100 receives a user input for selecting one video from among all playlis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124에서, 제어부(180)는 표시된 전체 재생 목록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동영상 중 하나의 동영상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으면, 선택된 동영상을 전체 화면에서 표시한다(S148).In step S124, when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one video among one or more videos included in the displayed entire playlist, the
도 33 내지 도 35를 참고하여 이를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3 to 35 .
도 33 내지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가 선택된 동영상의 전체 화면 표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33 to 35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a full screen display of a video selected by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3을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표시된 전체 재생 목록에 포함된 복수의 동영상 중 재생 목록(212)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인 탭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동영상을 전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전체 화면에 선택된 동영상에 대한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를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3 , when receiving a tap touch input that is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video corresponding to the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80)는 전체 화면에 선택된 동영상에 대한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와 재생 버튼(251)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the
도 34를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표시된 전체 재생 목록에 포함된 복수의 동영상 중 재생 목록(212)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인 탭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동영상을 전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전체 화면에 선택된 동영상에 대한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와 재생 버튼(251)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4 , when receiving a tap touch input that is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video corresponding to the
또 다른 실시예로 도 35를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표시된 전체 재생 목록에 포함된 복수의 동영상 중 재생 목록(212)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인 탭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동영상을 전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전체 화면에 선택된 동영상에 대한 막대형 프로그래시브 바(223)를 표시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referring to FIG. 35 , when receiving a tap touch input that is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video corresponding to the
제어부(180)는 동영상 재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S150), 전체 화면에 표시된 동영상을 재생한다(S152).When receiving a user input for video playback (S150), the
제어부(180)는 터치 센서(144)를 통해 표시된 동영상 재생을 위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키패드나 마우스와 같은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해 동영상 재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
그리고 제어부(18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터치 센서(144)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재생 버튼(251)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전체 화면에 표시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receiving a user input of touching the
또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터치 센서(144)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화면을 더블 탭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전체 화면에 표시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receiving a user input for double-tapping a screen displayed on the
제어부(180)는 재생 중인 동영상이 기 저장된 동영상 시청 정보가 있는 재생 구간에 도달하면(S154),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을 표시한다(S156).The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동영상 시청 정보를 기초로 재생 중인 동영상이 동영상 시청 정보가 있는 구간에 도달하면 동영상 시청 정보에 대한 프로그래시브 바(212)를 표시할 수 있다.The
이를 도 36 내지 도 3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6 to 38 .
도 36 내지 도 3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동영상 재생 중 프로그래시브 바 표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36 to 38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a progressive bar display during video playback of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6을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재생 중인 동영상에 대한 동영상 시청 정보가 있는 구간에 도달하면,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와 함께 재생 설정 메뉴(262)를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6 , when a section in which video viewing information for a video being reproduced is reached, the
그리고 제어부(180)는 재생 중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를 표시할 때, 재생 중인 구간을 다른 구간과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을 표시할 때 재생 중인 구간을 점멸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displaying the oval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80)는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를 표시할 때 재생 중인 구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when displaying the oval
예를 들면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에서 재생 중인 구간을 나타내는 화살표 형태의 인디케이터(253)를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7 , the
또한, 제어부(180)는 재생 중인 동영상에 대한 동영상 시청 정보가 있는 구간에 도달하면, 막대형 프로그래시브 바(223)를 표시할 수 있다.Also, when a section in which video viewing information for a video being reproduced is reached, the
도 38을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재생 중인 동영상에 대한 동영상 시청 정보가 있는 구간에 도달하면, 막대형 프로그래시브 바(223)을 표시할 수 있으며, 재생 설정 메뉴(262)도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8 , when a section having video viewing information for a video being played is reached, the
여기서 재생 설정 메뉴란, 동영상 재생 속도에 대한 설정 메뉴, 동영상 재생 스킵에 대한 설정 메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layback setting menu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etting menu for video playback speed and a setting menu for skipping video playback.
예를 들어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선택된 동영상에 대한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와 재생 설정 메뉴(262)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재생 설정 메뉴(262)에는 스킵 재생, 2배속 재생, 4배속 재생에 대한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6 , the
한편, 제어부(180)는 프로그래시브 바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프로그래시브 바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예를 들면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를 터치하여 전체 화면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면,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를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9 , when the
다시 도 8을 참고한다.Reference is again made to FIG. 8 .
제어부(180)는 재생 중인 동영상에 대해 기 저장된 동영상 정보가 없는 구간이어도 단말기(10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면(S158),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12)를 표시한다(S156).The
다음은 도 8에 이어 도 9를 설명한다.Next, FIG. 9 will be described following FIG. 8 .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동영상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에 따른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 user input for video control of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180)는 동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받는다(S160).The
제어부(180)는 터치 센서(144)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재생 또는 표시 중인 동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키패드나 마우스와 같은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해 동영상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
제어부(180)는 동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동일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도, 동영상 재생 중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동영상을 재생 중인 경우와 정지 화면인 경우에 동일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도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Even when receiving the same user input for controlling a video, the
제어부(180)는 표시된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일부 구간을 선택하여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타원 안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S162), 선택된 일부 구간의 미리 보기 영상을 타원 안 영역에서 재생한다(S164).When the
제어부(180)는 터치 센서(144)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일부 구간을 터치하여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타원 안 방향으로 플리킹(flicking)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터치한 구간에 대응하는 구간의 미리 보기 영상을 타원 안 영역에서 재생할 수 있다.The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일부 구간은 사용자가 재생하지 않은 구간(222), 사용자가 재생하여 시청한 구간(224), 사용자가 재생하였으나 시청하지 않은 구간(226)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Some sections of the oval
그리고 제어부(180)는 타원 안 영역에서 재생되는 미리 보기 영상을 후술할 가이드 영역에서 재생되는 미리 보기 영상보다 더 빠르게 재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를 도 40 내지 도 41을 참고하여 이를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0 to 41 .
도 40을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동영상 재생 중, 표시된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시청한 구간(224)를 터치하여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타원 안 방향으로 플리킹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시청한 구간(224)의 미리 보기 영상을 타원 안 영역에서 재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0 , the
도 41을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동영상을 재생하지 않는 정지 화면에서 표시된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시청한 구간(224)를 터치하여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타원 안 방향으로 플리킹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시청한 구간(224)의 미리 보기 영상을 타원 안 영역에서 재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1 , the
또 다른 실시예로 도 42를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동영상을 재생하지 않는 정지 화면에서 표시된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일부 구간을 터치하여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타원 안 방향으로 플리킹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터치한 일부 구간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전체 화면의 배경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referring to FIG. 42 , the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80)는 터치 센서(144)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동영상에 대한 막대형 프로그래시브 바(223)의 일부 구간을 터치하여 막대형 프로그래시브 바(223)의 하측 방향으로 플리킹(flicking)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터치한 일부 구간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배경화면으로 변경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제어부(180)는 표시된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일부 구간을 선택하여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타원 밖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S166), 선택된 일부 구간의 미리 보기 영상을 재생한다(S168).When the
제어부(180)는 터치 센서(144)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일부 구간을 터치하여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타원 밖 방향으로 플리킹(flicking)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터치한 구간에 대응하는 구간의 미리 보기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미리 보기 영상을 사용자 입력에 따른 가이드 영역(241)에 표시할 수 있다.The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복수의 영역에 대한 복수의 미리 보기 영상을 동시에 재생할 수도 있다.also. The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일부 구간은 사용자가 재생하지 않은 구간(222), 사용자가 재생하여 시청한 구간(224), 사용자가 재생하였으나 시청하지 않은 구간(226)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Some sections of the oval
이를 도 43 내지 도 4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3 to 48 .
도 43을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동영상을 재생 중, 표시된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시청하지 않은 구간(226)을 터치하여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타원 밖 방향으로 플리킹(flicking)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시청하지 않은 구간(226)의 미리 보기 영상(243)을 재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3 , the
도 44를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동영상을 재생하지 않는 정지 화면에서 표시된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시청한 구간(224)을 터치하여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타원 밖 방향으로 플리킹(flicking)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시청한 구간(224)의 미리 보기 영상(243)을 재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4 , the
도 45를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터치 센서(144)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동영상에 대한 막대형 프로그래시브 바(223)의 시청한 구간(224)을 터치하여 막대형 프로그래시브 바(223)의 상측 방향으로 플리킹(flicking)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시청한 구간(224)의 미리 보기 영상(243)을 재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5 , the
또 다른 실시예로 도 46을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터치 센서(144)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동영상에 대한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시청한 구간(224)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미리 보기 영상(243)이 표시될 영역을 나타내는 가이드 영역(241)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시청한 구간(224)을 터치하여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타원 밖 방향으로 플리킹(flicking)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시청한 구간(224)의 미리 보기 영상(243)을 재생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referring to FIG. 46 , the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복수의 영역에 대한 복수의 미리 보기 영상을 동시에 재생할 수도 있다.also. The
도 47을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4개의 선택된 영역에 대한 미리 보기 영상들을 전체 화면의 일부 영역 각각에서 재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7 , in response to a user input, the
그리고 제어부(180)는 복수의 미리 보기 영상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미리 보기 영상을 전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preview images, the
도 48을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복수의 미리 보기 영상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미리 보기 영상을 전체 화면에 표시하고, 선택된 미리 보기 영상을 제외한 나머지 미리 보기 영상을 전체 화면의 일부 영역 각각에서 재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8 , the
또한, 제어부(180)는 수신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재생 중인 미리 보기 영상(243)의 크기를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미리 보기 영상(243)에 대한 사용자의 핀치 투 줌, 핀치 투 아웃 입력에 대응하여 재생 중인 미리 보기 영상(243)의 크기를 변환할 수 있다.Also, the
이를 도 49 내지 도 50을 참고하여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9 to 50 .
도 49 내지 도 50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미리 보기 영상의 크기를 변환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49 to 50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converting the size of a preview image in response to a user input.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미리 보기 영상(243)이 표시되는 영역을 두 개의 손가락으로 동시에 벌리는 핀치 투 아웃 터치를 수신하면, 핀치 투 아웃 터치에 대응하여 미리 보기 영상(243)의 크기를 크게 변환할 수 있다.When receiving a pinch-to-out touch that simultaneously spreads the area where the
예를 들어 도 49를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미리 보기 영상(243)이 표시되는 영역을 두 개의 손가락으로 동시에 벌리는 핀치 투 아웃 터치를 수신하고, 수신된 핀치 투 아웃 터치 입력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면 미리 보기 영상(243)을 전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9 , the
도 50을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미리 보기 영상(243)이 표시되는 영역을 두 개의 손가락으로 동시에 모으는 핀치 투 인 터치를 수신하면, 핀치 투 인 터치에 대응하여 미리 보기 영상(243)의 크기를 작게 변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0 , when the
제어부(180)는 표시된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일부 구간을 드래그하여 재생 설정 메뉴(262)에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S170), 드래그 앤 드랍된 일부 구간에 대응하는 구간의 재생 설정을 수행한다(S172).When the
이를 도 51 내지 도 5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1 to 54 .
도 51 내지 도 5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동영상 재생 메뉴 설정 동작에 대한 예시도이다.51 to 54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setting a video playback menu of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1을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동영상 재생 중, 사용자로부터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시청한 구간(224)을 드래그하여 재생 설정 메뉴(262)의 스킵에 대한 버튼에 드랍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드래그 앤 드랍된 시청한 구간(224)을 스킵하여 재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3)의 시청한 구간(224)에 SKIP이라는 표시를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1 , the
도 52를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동영상을 재생하지 않는 정지 화면에서, 사용자로부터 표시된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시청한 구간(224)을 드래그하여 재생 설정 메뉴(262)의 4배속 재생에 대한 버튼에 드랍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드래그 앤 드랍된 시청한 구간(224)을 4배속으로 재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3)의 시청한 구간(224)에 x4 라는 표시를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2 , the
또 다른 실시예로 도 53을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막대형 프로그래시브 바(223)의 시청한 구간(224)을 드래그하여 재생 설정 메뉴(262)의 스킵에 대한 버튼에 드랍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드래그 앤 드랍된 시청한 구간(224)을 스킵하여 재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3)의 시청한 구간(224)에 SKIP이라는 표시를 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referring to FIG. 53 , the
한편, 제어부(180)는 재생 설정된 구간에 대해 숫자나 문자 이외에도 기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막대형 프로그래시브 바(223)의 2배속 재생 설정된 시청한 구간(224)을 배속 기호로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the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80)는 표시된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일부 구간을 선택하여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타원 밖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일부 구간을 스킵하여 재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partial section of the displayed elliptical
도 55을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표시된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시청한 구간(224)을 터치하여,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타원 밖 방향으로 플리킹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시청한 구간(224)을 스킵하여 재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5 , the
도 56을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표시된 막대형 프로그래시브 바(223)의 시청한 구간(224)을 터치하여, 막대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대각선 방향으로 플리킹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시청한 구간(224)을 스킵하여 재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6 , the
다음은 도 9에 이어 도 10을 설명한다.Next, FIG. 10 will be described following FIG. 9 .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가 프로그래시브 바 표시를 종료하는 경우의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when the terminal 100 ends displaying a progressive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을 받지 못하면(S174), 표시된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를 제거한다(S176).Referring to FIG. 10 , if the
그리고 제어부(180)는 동영상이 재생 중이면 동영상을 재생하는 전체 화면으로 복귀하고, 동영상을 재생하지 않는 정지화면이면 선택된 동영상을 표시하는 전체화면으로 복귀한다(S178).
Then, if the video is being played, the
또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는 스트리밍 동영상을 재생할 때, 재생하는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정보를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동영상 시청 여부에 대한 정보와 함께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정보만을 표시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information on the playing streaming video on the oval
여기서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정보란, 일정값 이상의 사용자가 시청한 구간에 대한 정보, 일정값 이상의 사용자가 스킵한 구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information on the streaming video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section viewed by a user having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and information about a section skipped by a user having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이를 도 57 내지 도 5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7 to 58 .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복수의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재생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각각의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정보를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재생 목록(212)의 스트리밍 동영상의 일정값 이상의 사용자가 시청한 구간을 별 형태의 인디케이터(255)를 포함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재생 목록(212)의 스트리밍 동영상의 일정값 이상의 사용자가 스킵한 구간을 체크 형태의 인디케이터(257)를 포함하여 표시할 수 있다.57 , the
또한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하나의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를 표시할 때에도 상술한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정보를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에 표시할 수 있다.
Also, as shown in FIG. 58 ,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재생 시간 설정을 위한 입력을 수신하여, 입력된 재생 시간을 기초로 동영상의 일부 구간의 재생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a user's input for setting the playback time, and may perform playback setting of a partial section of the video based on the inputted playback time.
여기서 동영상의 일부 구간이란, 사용자가 재생하지 않은 구간, 사용자가 재생하여 시청한 구간, 사용자가 재생하였으나 시청하지 않은 구간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Here, the partial section of the video may correspond to one of a section not played by the user, a section played and watched by the user, and a section played but not viewed by the user.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동영상을 재생하고자 하는 시간인 재생 시간을 입력받아, 입력된 재생 시간을 기초로 동영상의 재생하지 않은 구간, 시청한 구간, 시청하지 않은 구간 각각의 재생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재생 설정이란, 동영상 스킵에 대한 설정, 동영상 재생 속도에 대한 설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이를 도 59 내지 도 6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9 to 62 .
도 59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의 동영상 재생 설정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59 is a flowchart of a video playback setting operation of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9를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동영상 재생에 대한 재생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S210).Referring to FIG. 59 , the
제어부(180)는 동영상의 일부 구간 또는 전체에 대한 스킵, 재생 속도에 대한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
제어부(180)는 동영상 재생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동영상의 총 재생 시간을 표시한다(S220).When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tting the video playback setting, the
제어부(180)는 동영상 재생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동영상을 1배속으로 재생했을 때 소요되는 시간인 총 재생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When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tting the video playback setting, the
예를 들면 도 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동영상을 1배속으로 재생하면 소요되는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0 , the
제어부(180)는 재생 설정 시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S250).The
제어부(180)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재생 설정 시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
예를 들면 도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재생 설정 시간 입력을 위한 팝업창을 통해 재생 설정 시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1 , the
제어부(180)는 재생 설정 시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동영상에 대한 재생 설정을 수행한다(S270).The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동영상 시청 여부에 대한 정보과 재생 설정 시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동영상에 대한 재생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입력한 재생 설정 시간이 동영상을 1배속으로 재생했을 때 소요되는 총 재생 시간보다 짧은 경우, 사용자가 시청한 구간은 1배속보다 빠른 속도로 재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재생하지 않은 구간과 시청하지 않은 구간을 1배속으로 재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The
제어부(180)는 수행된 재생 설정에 대한 설정 내용을 표시한다(S290).The
제어부(180)는 동영상에 대한 재생 설정 내용을 동영상의 일부 구간 또는 전체에 대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설정된 총 재생 시간에 대한 팝업창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타원형 프로그래시브 바(220)의 각각의 구간에 대해 설정된 배속 표시를 표시할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implemented as processor-readable code on a medium i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Examples of the processor-readable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nclude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cannot be limitedly applied, but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can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may b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055850AKR102280942B1 (en) | 2014-05-09 | 2014-05-09 |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US14/506,113US9514784B2 (en) | 2014-05-09 | 2014-10-03 |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CN201410575324.8ACN105094308B (en) | 2014-05-09 | 2014-10-24 | Terminal and its operating method | 
| EP14003852.2AEP2942778B1 (en) | 2014-05-09 | 2014-11-14 |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055850AKR102280942B1 (en) | 2014-05-09 | 2014-05-09 |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128456A KR20150128456A (en) | 2015-11-18 | 
| KR102280942B1true KR102280942B1 (en) | 2021-07-26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055850AActiveKR102280942B1 (en) | 2014-05-09 | 2014-05-09 |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280942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5190363B (en)* | 2021-04-02 | 2024-05-17 | 花瓣云科技有限公司 | Video playback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30093790A1 (en)* | 2000-03-28 | 2003-05-15 | Logan James D. | Audio and video program recording, editing and playback systems using metadata | 
| US20080022295A1 (en)* | 2004-09-02 | 2008-01-24 | Eiji Fukumiya | Stream Reproducing Device | 
| JP2012119793A (en)* | 2010-11-29 | 2012-06-21 | Fujitsu Ltd | Video recording device, video recording method, and video recording program | 
| US20130185753A1 (en)* | 2012-01-12 | 2013-07-18 | Jason Kliot | Data Management and Selection/Control System Preferably for a Video Magazin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30093790A1 (en)* | 2000-03-28 | 2003-05-15 | Logan James D. | Audio and video program recording, editing and playback systems using metadata | 
| US20080022295A1 (en)* | 2004-09-02 | 2008-01-24 | Eiji Fukumiya | Stream Reproducing Device | 
| JP2012119793A (en)* | 2010-11-29 | 2012-06-21 | Fujitsu Ltd | Video recording device, video recording method, and video recording program | 
| US20130185753A1 (en)* | 2012-01-12 | 2013-07-18 | Jason Kliot | Data Management and Selection/Control System Preferably for a Video Magazin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128456A (en) | 2015-11-18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2942778B1 (en) |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KR102223277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 |
| KR102111457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KR102063766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 |
| KR101303160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 |
| EP2824538B1 (en)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US20180052571A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US20150024728A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 US9746939B2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CN103533151A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CN103793097A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US20150370399A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 KR20150127842A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KR20120133003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 US8941648B2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KR102280942B1 (en) |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KR101287966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on control | |
| KR101917692B1 (en) | Mobile terminal | |
| KR102214838B1 (en) |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KR20140008061A (en) |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KR20130123216A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KR102188265B1 (en) |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KR102014417B1 (en) |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KR20130046910A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KR102043949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405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PA02012R01D Patent event date:20190429 Comment text: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140509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00429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01025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210426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10719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210720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50610 Start annual number:5 End annual number: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