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유아의 턱받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가 옷이나 바닥에 침이나 콧물 또는 음식물을 흘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아용 턱받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b for infa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b for infants used to prevent an infant from spilling saliva, runny nose, or food on clothes or the floor.
유아용 턱받이는 유아가 침, 콧물 또는 음식물을 흘릴 때 옷이나 신체에 묻지 않도록 턱 아래 가슴에 대어주는 물건을 말하며, 일반적으로는 받침부의 상단에 체결끈을 달고 이 체결끈을 유아의 목 뒤에 묶어서 사용하고 있다.Infant bib refers to an object placed under the chin to the chest under the chin so that it does not get on clothes or body when the infant sheds saliva, runny nose or food. Generally, a fastening strap is attached to the top of the support part and tied behind the infant's neck. are doing
그런데, 종래의 턱받이는 유아가 식탁 앞에 앉아서 음식물을 섭취할 때, 음식물을 흘려서 바닥이나 식탁 위, 또는 유아의 바지가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며, 이로 인해 식사시 주변의 청결 유지가 어렵고, 식사 후에는 청소가 뒤따라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bib does not prevent the floor, the table, or the infant's pants from being dirty by spilling food when the infant sits in front of the table and eats, and this makes it difficult to maintain cleanliness around the meal, and after eating has the hassle of cleaning up.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아가 식탁 앞에 앉아서 식사할 때 음식물을 바닥이나 식탁 위, 또는 옷에 지저분하게 흘리지 않도록 하는 유아용 턱받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by bib that prevents food from spilling messy on the floor, on the table, or on clothes when the infant sits in front of the table to ea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임의로 흡착식기 부착용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는 유아용 턱받이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b for infants that can optionally form an opening for attaching a suction cup.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흡착식기 부착용 개구부의 면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유아용 턱받이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b for infants in which the area of the opening for attaching the suction cup can be freely adjust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탁의 크기에 따라 삽입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유아용 턱받이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b for babies that can adjust the size of the inser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ning tabl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탁에 커버부를 씌운 후 넓이에 맞게 삽입부를 조일 수 있는 유아용 턱받이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b for infants that can tighten the insert according to the width after the cover portion is placed on the dining tabl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용부와 커버부를 분리하여 착용부를 앞치마처럼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턱받이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b for infants that can be used as an apron by separating the wearing part and the cover part.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의 턱 아래를 가리도록 착용되는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의 하단에 형성되며 식탁의 상면을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유아용 턱받이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wearable portion worn to cover a child's chin, and a baby bib that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wearable portion and includes a cover portion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dining table.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착용부는, 유아의 가슴 부위를 가리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서 확장된 폭으로 하향 연장 형성되는 확장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목 삽입홈과, 상기 목 삽입홈의 일측에서 유아의 목 뒤를 두르도록 연장 형성되는 목 스트랩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able part includes a main body that covers the chest of an infant, an extension that extends downward to a width that is extended from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and a neck insert that is concavely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It may include a groove and a neck strap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neck insertion groove to surround the back of the infant's neck.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착용부는, 상기 확장부의 상단 양측에서 유아의 몸통 뒤를 두르도록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몸통 스트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body straps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extension to surround the back of the infant's body.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유아의 양팔이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팔삽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arm inserts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so that both arms of the infant are inserte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목 스트랩부의 끝단과 상기 목 삽입홈의 타측에 상호 대응 결합되도록 각각 구비되는 제1 결합부재와, 상기 한 쌍의 몸통 스트랩부의 끝단에 상호 대응 결합되도록 각각 구비되는 제2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upling member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to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neck strap por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neck insertion groove, and each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pair of body strap portion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upling memb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착용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형성되는 지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zipper portion formed between the wearing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퍼부는 개폐방향이 정반대인 한 쌍의 지퍼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지퍼슬라이더를 이동시켜 상기 착용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소정의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zipper unit includes a pair of zipper sliders whos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s are opposite to each other, and by moving the pair of zipper sliders, a predetermined opening is formed between the wearing unit and the cover unit. ca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식탁의 전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커버부의 뒷면 하단에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커버부의 하단에서 후방 상향으로 연장되는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와 상기 커버부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걸이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comprises an insertion part formed in the form of a pocket at the bottom of the back of the cover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dining table is inserted, and the insertion part includes a hook extending upwardly backward from the bottom of the cover; , may include a pair of side portions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ok portion along the edge of the hook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식탁의 전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커버부의 뒷면 하단에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측부의 상단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제3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comprises an insertion part formed in the form of a pocket at the bottom of the back of the cover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dining table is inserted, wherein the insertion part is a pair of product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part, respectively. 3 It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memb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삽입부의 폭 조절을 위해 상기 걸이부의 상단에 구비되는 조임끈과, 상기 조임끈의 길이 조절을 위해 상기 조임끈의 일측에 구비되는 끈 조임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awstring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hook for adjusting the width of the insertion part, and a drawstring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rawstring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drawstring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턱받이에 의하면, 유아 식사시 바닥이나 식탁 위, 또는 옷에 음식물을 흘려서 지저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bib for inf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food from spilling on the floor, on the dining table, or on clothes during a baby's meal to prevent it from becoming dirt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턱받이에 의하면, 식탁을 덮은 커버부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흡착식기를 식탁 위에 부착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bib for inf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pening can be formed in the cover part covering the dining table, and the adsorption table can be attached to the dining ta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턱받이에 의하면, 개구부의 면적을 적절히 조절하여 다양한 종류의 흡착식기를 식탁 위에 부착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baby bi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types of suction cups can be attached to the dining table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area of the open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턱받이에 의하면, 식탁의 두께나 폭 등 크기에 따라 삽입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삽입부를 조여 식사시 커버부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baby bi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inser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such as the thickness or width of the dining tabl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ow of the cover part when eating by tightening the inse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턱받이에 의하면, 커버부로부터 착용부를 분리하여 앞치마처럼 착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baby bi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worn like an apron by separating the wearing part from the cover p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턱받이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턱받이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턱받이의 사용 상태도.
도 5와 도 6은 식탁의 두께에 따른 삽입부의 측부 폭 조절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7은 조임끈을 이용한 삽입부의 폭 조절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버부에 개구부를 형성한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착용부에 팔삽입부가 형성된 유아용 턱받이의 사시도.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bib for a bab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bib for a bab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2;
Figure 4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baby bi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ide width adjustment of the insert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dining table.
Figure 7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of adjusting the width of the insertion section using a drawstring.
8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in the cover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bib for infants in which an arm insertion part is formed in a wearable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merely for explaining in detail enough that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invention, which limi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n't mean And in describ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components having the same technical characteristics.
실시예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턱받이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턱받이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bib for a bab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bib for a bab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턱받이(이하, '턱받이')(100)는 천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천의 경우에는 오염물을 쉽게 닦아낼 수 있도록 방수처리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방수 원단이나, 일반 원단에 방수 코팅이 되어 있는 방수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aby bib (hereinafter, 'bib')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cloth or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in the case of the cloth, it is preferable to be waterproof so that contaminants can be easily wiped off. For example, it may be made of a waterproof fabric or a waterproof cloth material with a waterproof coating on a general fabric.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턱받이(100)는, 유아의 턱 아래를 가리도록 유아가 착용하는 착용부(200)와, 착용부(200)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식탁(10, 도 4 참조)의 상측을 덮는 커버부(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여기서 착용부(200)는, 착용시 유아의 상체 전면을 덮도록 턱 아래에 대어 주는 부분으로, 턱 아래의 가슴 부위를 가리는 본체부(210)와, 본체부(210) 하단에서 폭이 확장되어 하향 연장 형성되는 확장부(220)를 포함한다.Here, the wearing
본체부(210)의 상단 중앙에는 오목하게 목 삽입홈(211)이 형성되며, 착용시 목 삽입홈(211)에 유아의 목 부위가 들어가도록 착용할 수 있다.A
목 삽입홈(211)의 일측에는 본체부(210)가 삐뚤어지거나 예기치 못하게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아의 목에 걸 수 있도록 목 스트랩부(212)가 연장 형성된다. 일 예로서, 목 스트랩부(21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10)의 상단에서 목 삽입홈(211)의 상부로 비스듬하게 경사져서 상향 연장 형성될 수 있다.At one side of the
또한, 목 스트랩부(212)를 유아의 목 뒤로 둘러서 목 삽입홈(211)의 타측에 결합할 수 있도록, 목 스트랩부(212)의 끝단과 목 삽입홈(211)의 타측에는 상호 대응 결합되는 벨크로테이프 또는 스냅 단추 등의 제1 결합부재(213)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다른 예로서, 목 삽입홈(211)의 양측에 형성된 목 스트랩부(212)를 유아의 목 뒤로 묶어서 고정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확장부(220)의 상단 양측에는 몸통 스트랩부(221)가 각각 형성된다. 이 몸통 스트랩부(221)는 유아의 몸통 뒤를 둘러서 확장부(220)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확장부(220)의 상단 양측에서 띠 형태의 몸통 스트랩부(221)가 상향 연장 형성된다. 아울러, 한 쌍의 몸통 스트랩부(221)가 유아의 몸통 뒤를 둘러서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각각의 끝단에 벨크로테이프 또는 스냅 단추 등의 제2 결합부재(222)가 구비된다. 다른 예로서, 유아의 몸통 뒤로 몸통 스트랩부(221)를 묶어서 고정할 수도 있다.
착용부(200)의 하단에 커버부(3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버부(300)는 식탁(10) 상판의 전단부를 걸어서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턱받이(100) 착용시, 커버부(300)는 확장부(220)와 함께 식탁(10)의 상판 위를 덮게 되며, 이에 따라, 유아가 흘리는 음식물에 의해 식탁(10) 위가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착용부(200)와 커버부(300) 사이에는 지퍼부(400)가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착용부(200)만을 사용하거나, 착용부(200) 하단에 커버부(300)를 결합하여 착용부(200)와 커버부(300)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A
일 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부(200)의 하단과 커버부(300)의 상단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의 지퍼테이프(410)가 대향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지퍼테이프(410)를 개폐하기 위한 지퍼슬라이더(420)가 지퍼테이프(41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As an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s, a pair o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한 쌍의 지퍼테이프(410)는 개폐방향이 정반대인 한 쌍의 지퍼슬라이더(42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상 좌측의 지퍼슬라이더(420)는 좌측으로 이동시 한 쌍의 지퍼테이프(410)를 개방하고, 우측으로 이동시 한 쌍의 지퍼테이프(410)를 폐쇄한다. 반대로, 도면상 우측의 지퍼슬라이더(420)는 우측으로 이동시 한 쌍의 지퍼테이프(410)를 개방하고, 좌측으로 이동시 한 쌍의 지퍼테이프(410)를 폐쇄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이 경우, 한 쌍의 지퍼슬라이더(420)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확장부(220)와 커버부(300) 사이에 개구부(350, 도 8 참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개구부(350)를 통해 노출되는 식탁(10)의 상판에 식기(20, 도 8 참조)를 놓고 식사할 수 있다. 식기(20)의 크기에 따라 한 쌍의 지퍼슬라이더(420) 사이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개구부(35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도 8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In this case, by moving the pair of
커버부(300)의 뒷면에 주머니 형태의 삽입부(500)가 형성된다. 이 삽입부(500)는 식탁(10)의 전단부를 감싸서 덮기 위한 것으로, 삽입부(500)에 식탁(10)의 전단부를 삽입함으로써 커버부(3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A pocket-shaped
이때, 삽입부(500)는 커버부(300)의 하단에서 후방 상향으로 소정 간격 연장 형성되는 걸이부(510)와, 걸이부(510)와 커버부(300)의 테두리를 따라 걸이부(5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측부(520)를 포함한다. 또한, 걸이부(510)와 커버부(300) 및 양측의 측부(520)에 의해, 식탁(10)의 전단부 삽입을 위한 공간부가 구획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착용부(200)와 커버부(300)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as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wearing
도 5와 도 6은 식탁의 두께에 따른 삽입부의 측부 폭 조절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로서, 커버부(300)로부터 착용부(200)가 분리되고, 삽입부(500)에 식탁(10)의 전단부가 삽입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5 and 6 are used state diagrams showing the side width adjustment of the insert part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dining table, the wearing
측부(520)의 상단 양측에는 한 쌍의 제3 결합부재(521)가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구비될 수 있고, 한 쌍의 제3 결합부재(521)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식탁(10) 상판의 두께에 따라 측부(520)의 폭을 조절하거나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상판의 두께가 얇은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3 결합부재(521)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측부(520)의 폭을 줄일 수 있다. 제3 결합부재(521)는 상호 대응되는 스냅 단추로 구성될 수 있고, 벨크로테이프 등 기타 다양한 결합수단이 적용될 수도 있다.A pair of
도 7은 조임끈을 이용한 삽입부의 폭 조절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로서, 걸이부(510)의 상단에 조임끈(511)이 구비되고, 조임끈(511)의 일측에는 조임끈(511)의 길이 조절을 위한 끈 조임구(512)가 구비된다. 식탁(10) 상판의 폭이 좁은 경우, 조임끈(511)을 잡아당겨 조임으로써 삽입부(500)의 폭을 줄이는 한편, 커버부(300)와 삽입부(500)가 식탁(10)에 밀착되게끔 하여 커버부(3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7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width adjustment of the insert using a drawstring, a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버부에 개구부를 형성한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8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in a cover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유아용 식탁(10)이나 식기(20)의 경우, 미끄럼 방지를 위해 식탁(10)의 상판이나 식기(20)의 저면에 미끄럼방지 처리가 된다. 예컨대, 식탁(10)의 상판 또는 식기(20)의 저면에 고무나 실리콘 등 합성수지 재질로 흡착부가 형성되거나, 고무나 실리콘 등 잘 미끄러지지 않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 유아용 식기(일명, '흡착식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baby table 10 or
이 경우, 식탁(10)의 상판 위를 덮은 커버부(300) 또는 확장부(220)를 통해 식탁(10)의 상판을 노출시켜, 식기(20)와 식탁(10)의 상판이 직접 접촉되게끔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받이(100)는, 착용부(200)와 커버부(300) 사이에 형성되는 지퍼부(400)를 개폐함으로써 개구부(350)를 형성하며, 이 개구부(350)를 통해 노출되는 식탁(10)의 상판에 식기(20)가 직접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식사 중 식기(2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식기(20)의 크기에 따라 한 쌍의 지퍼슬라이더(4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개구부(350)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top plate of the dining table 10 is exposed through the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착용부에 팔삽입부가 형성된 유아용 턱받이의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a bib for infants in which an arm insertion part is formed in the wearing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210)의 양측에 한 쌍의 팔삽입부(500)가 형성될 수 있다. 팔삽입부(500)는 본체부(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지퍼나 벨크로테이프 또는 스냅단추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본체부(2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이 경우, 착용시 유아의 양팔이 팔삽입부(500)에 각각 삽입되며, 따라서 침이나 콧물, 음식물 등이 유아의 양팔 부분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both arms of the infant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예컨대, 착용부(200)로부터 커버부(300)를 분리하여 턱받이(100)를 미술가운 등 앞치마로 활용할 수 있는데, 이때 유아의 팔 부분에 물감 등 오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by separating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is understoo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턱받이 200 : 착용부
210 : 본체부 211 : 목 삽입홈
212 : 목 스트랩부 220 : 확장부
221 : 몸통 스트랩부 300 : 커버부
350 : 개구부 400 : 지퍼부
410 : 지퍼테이프 420 : 지퍼슬라이더
500 : 삽입부 510 : 걸이부
511 : 조임끈 512 : 끈 조임구
520 : 측부 600 : 팔삽입부100: bib 200: wearing part
210: main body 211: neck insertion groove
212: neck strap 220: extension
221: body strap part 300: cover part
350: opening 400: zipper part
410: zipper tape 420: zipper slider
500: insertion part 510: hook part
511: tightening string 512: string fastener
520: side 600: arm insert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26674AKR102274947B1 (en) | 2019-11-12 | 2021-02-26 | Baby bib |
| KR1020210086179AKR102469155B1 (en) | 2021-02-26 | 2021-07-01 | Baby bib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44089AKR102223859B1 (en) | 2019-11-12 | 2019-11-12 | Baby bib |
| KR1020210026674AKR102274947B1 (en) | 2019-11-12 | 2021-02-26 | Baby bib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144089ADivisionKR102223859B1 (en) | 2019-11-12 | 2019-11-12 | Baby bib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086179ADivisionKR102469155B1 (en) | 2021-02-26 | 2021-07-01 | Baby bib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057706A KR20210057706A (en) | 2021-05-21 |
| KR102274947B1true KR102274947B1 (en) | 2021-07-07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144089AActiveKR102223859B1 (en) | 2019-11-12 | 2019-11-12 | Baby bib |
| KR1020210026674AActiveKR102274947B1 (en) | 2019-11-12 | 2021-02-26 | Baby bib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144089AActiveKR102223859B1 (en) | 2019-11-12 | 2019-11-12 | Baby bib |
| Country | Link |
|---|---|
| US (1) | US20220400778A1 (en) |
| JP (1) | JP7307283B2 (en) |
| KR (2) | KR102223859B1 (en) |
| CN (1) | CN216753574U (en) |
| WO (1) | WO2021096198A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2690513B (en)* | 2020-12-16 | 2022-10-28 |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 A retractable infant overflowing milk receiving neck sleeve |
| JP7630281B2 (en)* | 2021-01-06 | 2025-02-17 | 旭化成株式会社 | Rail material with laminated structure |
| KR102469155B1 (en)* | 2021-02-26 | 2022-11-22 | 주식회사 뉴베슬 | Baby bib |
| KR102613376B1 (en)* | 2022-10-27 | 2023-12-13 | 최수정 | Baby bib |
| US20240358093A1 (en)* | 2023-04-25 | 2024-10-31 | Elena McCurry | Bib |
| KR102848484B1 (en) | 2023-10-26 | 2025-08-20 | 최현수 | Self-directed baby bib |
| KR102750270B1 (en) | 2023-12-19 | 2025-01-03 | 이지용 | All-in-one bib assembly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915530A (en) | 1998-01-30 | 1999-06-29 | Hager; Ciry | Disposable bib and garbage bag |
| JP2004162236A (en) | 2002-11-15 | 2004-06-10 | Mika Yasuda | Apron for small child |
| US20110067161A1 (en) | 2009-09-18 | 2011-03-24 | John Perazzo | Dining Bib |
| US20120174279A1 (en) | 2010-08-17 | 2012-07-12 | Teresa Bailey | Multi-Functional Bib and Apron |
| KR200486170Y1 (en)* | 2017-04-12 | 2018-04-10 | 배수연 | Waterproof bib for table |
| KR200489156Y1 (en)* | 2018-11-16 | 2019-05-10 | 최미경 | Baby bib for table |
| KR102020735B1 (en) | 2018-09-10 | 2019-09-10 | 주식회사 지메디언스 | Bib for infants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84671A (en)* | 1883-09-11 | Nursery-chair | ||
| US83120A (en)* | 1868-10-13 | Improvement in table-cloth protector | ||
| US114366A (en)* | 1871-05-02 | Improvement in children s bibs | ||
| US1879341A (en)* | 1931-07-21 | 1932-09-27 | Lapham Ralph Mortimer | Vest |
| US2129486A (en)* | 1937-12-01 | 1938-09-06 | Berman Hyman | Garment |
| US2224746A (en)* | 1938-08-01 | 1940-12-10 | Richstein Shirley Brown | Dressing shield |
| US2362465A (en)* | 1941-11-12 | 1944-11-14 | George Earl Mckewen Sr | Combination for supporting, restraining, and protecting a child when seated at a table |
| US2445850A (en)* | 1945-04-04 | 1948-07-27 | Eleanor W Gibson | Infant's feeding bib |
| US2457725A (en)* | 1947-03-25 | 1948-12-28 | Rhowmine Lavinia Bauer | Bib and tray cover |
| US2532932A (en)* | 1948-06-28 | 1950-12-05 | Wilbur G Neiswander | Baby bib |
| US2594053A (en)* | 1949-06-30 | 1952-04-22 | George E Mckewen | Child's chair protector with bib feature |
| US2648845A (en)* | 1951-07-20 | 1953-08-18 | Harry L Berman | Combination bib and apron |
| US2738511A (en)* | 1953-05-01 | 1956-03-20 | Brady Hilda Jeanne | Baby bib |
| US2762053A (en)* | 1953-07-20 | 1956-09-11 | Matilda C Lipscomb | Bib with tray cover |
| US2767403A (en)* | 1953-09-11 | 1956-10-23 | Dee R Givens | Tie-in-bib |
| US2766455A (en)* | 1955-01-21 | 1956-10-16 | John H Klaine | Infant's bib and auxiliary tray |
| US2822548A (en)* | 1955-12-08 | 1958-02-11 | Rhowmine Lavinia Bauer | Child's bib and tray cover |
| US2905943A (en)* | 1956-07-12 | 1959-09-29 | A D Carlisle | Combined bib and apron |
| US4114199A (en)* | 1977-03-30 | 1978-09-19 | Mabel Malan | Disposable bib tray |
| JPH0194414U (en)* | 1987-12-10 | 1989-06-21 | ||
| US5056159A (en)* | 1990-09-21 | 1991-10-15 | Zemke Jr William L | Combination tray and bib |
| US5107545A (en)* | 1991-01-03 | 1992-04-28 | Thomas Potter | Fisherman's fly tying apron |
| US5220692A (en)* | 1992-06-18 | 1993-06-22 | Lamar Cox | Driver's apron |
| USD352816S (en)* | 1993-04-16 | 1994-11-29 | Helen Kirn | Hunter's vest |
| US5701605A (en)* | 1995-03-24 | 1997-12-30 | Bowen; Gary S. | Auto bib with integral tray portion |
| US5671479A (en)* | 1995-05-01 | 1997-09-30 | Dedrick; Ted Randall | Reversibly collapsible lap tray |
| US5956763A (en)* | 1997-09-19 | 1999-09-28 | Blackshear; Walter W. | Disposable bib with lap protector |
| US5960471A (en)* | 1998-03-02 | 1999-10-05 | Burton; Teresa Cheryl | Protective garment for use with feeding, burping, nursing and changing diapers of a baby |
| US6081923A (en)* | 1999-03-08 | 2000-07-04 | Marks; Kendall G. | Apparel protector kit |
| USD434205S (en)* | 1999-06-25 | 2000-11-28 | Kapszukiewicz Michael S | Protective covering |
| US6408439B1 (en)* | 2000-05-19 | 2002-06-25 | Julia R. Garforth-Crippen | Garment for use in a child car seat |
| USD448143S1 (en)* | 2000-08-28 | 2001-09-25 | Benjamin Shealey | Baby bib |
| US6405374B1 (en)* | 2001-04-09 | 2002-06-18 | Dawn Giakas-Cano | Bib with securing device for securing about torso |
| US6581210B2 (en)* | 2001-05-02 | 2003-06-24 | John Kaloustian | Bib and dish combination |
| US6532595B1 (en)* | 2001-10-16 | 2003-03-18 | Monette Holmes | Combination child's apron and chair sanitary cover |
| US6708341B1 (en)* | 2003-02-28 | 2004-03-23 | Stephanie Schaller | Woodcarver's apron with lap basin for retaining waste material |
| US7469425B2 (en)* | 2007-01-23 | 2008-12-30 | Sabo Worldwide Llc | Disposable bib with integral placemat |
| US7703149B2 (en)* | 2007-05-21 | 2010-04-27 | Ward Jr Lucilious | Protective covers for drivers and vehicle passengers |
| US8727435B2 (en)* | 2007-07-13 | 2014-05-20 | Zahia Centracco | Tray apparatu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
| US7716749B2 (en)* | 2008-10-13 | 2010-05-18 | Perazzo John S | Dining garment for a high chair |
| US20120007390A1 (en)* | 2010-07-09 | 2012-01-12 | Kimberly Ann Hart | Highchair lap bib |
| JP5478583B2 (en)* | 2011-10-28 | 2014-04-23 | 株式会社幸和製作所 | apron |
| US20130161984A1 (en)* | 2011-12-23 | 2013-06-27 | Dina Yaghmai | High chair bib |
| JP3180192U (en)* | 2012-09-26 | 2012-12-06 | 由香 橋本 | apron |
| US20140173800A1 (en)* | 2012-12-20 | 2014-06-26 | Jillian Wulf | Highchair Bib and Food Catch Device |
| KR200483956Y1 (en)* | 2017-02-15 | 2017-07-14 | 배수연 | Waterproof bib for baby table |
| US20180271179A1 (en)* | 2017-03-27 | 2018-09-27 | Charlotte Louise Sellers | Reusable baby bib device |
| USD869127S1 (en)* | 2017-12-29 | 2019-12-10 | Rita Zakusilo | Combined bib and high chair cover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915530A (en) | 1998-01-30 | 1999-06-29 | Hager; Ciry | Disposable bib and garbage bag |
| JP2004162236A (en) | 2002-11-15 | 2004-06-10 | Mika Yasuda | Apron for small child |
| US20110067161A1 (en) | 2009-09-18 | 2011-03-24 | John Perazzo | Dining Bib |
| US20120174279A1 (en) | 2010-08-17 | 2012-07-12 | Teresa Bailey | Multi-Functional Bib and Apron |
| KR200486170Y1 (en)* | 2017-04-12 | 2018-04-10 | 배수연 | Waterproof bib for table |
| KR102020735B1 (en) | 2018-09-10 | 2019-09-10 | 주식회사 지메디언스 | Bib for infants |
| KR200489156Y1 (en)* | 2018-11-16 | 2019-05-10 | 최미경 | Baby bib for tabl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223859B1 (en) | 2021-03-04 |
| JP2023502181A (en) | 2023-01-20 |
| JP7307283B2 (en) | 2023-07-11 |
| KR20210057706A (en) | 2021-05-21 |
| US20220400778A1 (en) | 2022-12-22 |
| WO2021096198A1 (en) | 2021-05-20 |
| CN216753574U (en) | 2022-06-17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274947B1 (en) | Baby bib | |
| KR20210084408A (en) | Baby bib | |
| US4569086A (en) | Infant bib | |
| US5459877A (en) | Burperette | |
| US20120174279A1 (en) | Multi-Functional Bib and Apron | |
| US6799330B1 (en) | Infant bib | |
| US20020172797A1 (en) | Table cover providing functional napkins | |
| US20190343192A1 (en) | Water proof bib for infant dining table | |
| US20050155995A1 (en) | Baby carrier | |
| US20230042373A1 (en) | Combined bib and highchair cover with tableware inlets | |
| EP1090560A2 (en) | Protective bib | |
| US20140250560A1 (en) | Multi-piece bib | |
| US9320304B1 (en) | Food apron | |
| US20050257309A1 (en)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tecting a child from spills | |
| KR102613376B1 (en) | Baby bib | |
| KR102437793B1 (en) | Bib | |
| US11547154B2 (en) | Asphyxiation-safe adjustable bib with placemat | |
| JP3233797U (en) | Bib integrated table cover | |
| JP3181018U (en) | Stain-cut shoulder apron. | |
| CN210432849U (en) | Bib | |
| JP2020143418A (en) | apron | |
| US20240358093A1 (en) | Bib | |
| CN213756702U (en) | Bib with food waste connects function greatly | |
| CN210445720U (en) | Clothes capable of preventing zipper from clamping body | |
| JP2001207304A (en) | Apron for preventing food spill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20210226 Patent event code:PA01071R01D Filing date:20191112 Application number text:1020190144089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PA02012R01D Patent event date:20210322 Comment text: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2011R04I Patent event date:20210226 Comment text: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10329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210629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20210701 Patent event code:PA01071R01D Filing date:20191112 Application number text:1020190144089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10702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210702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50430 Start annual number:5 End annual number: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