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2267194B1 -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194B1
KR102267194B1KR1020150024977AKR20150024977AKR102267194B1KR 102267194 B1KR102267194 B1KR 102267194B1KR 1020150024977 AKR1020150024977 AKR 1020150024977AKR 20150024977 AKR20150024977 AKR 20150024977AKR 102267194 B1KR102267194 B1KR 102267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tasks
task
resolution
m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9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02653A (en
Inventor
박차라
노필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filedCritical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4977ApriorityCriticalpatent/KR102267194B1/en
Priority to PCT/KR2016/001674prioritypatent/WO2016137167A1/en
Priority to US15/049,885prioritypatent/US10708534B2/en
Publication of KR20160102653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60102653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194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2267194B1/en
Active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영상을 출력하고, 출력된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적합한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화면 모드를 판단한다.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영상을 판단된 화면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해상도로 출력한다.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n image for one or more tasks and determines a screen mode for outputting a screen suitable for the output one or more tasks. The terminal outputs images for one or more tasks at a screen display re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creen mode.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Terminal and its operating method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행되는 태스크에 대한 영상의 해상도, 화면 크기를 조정 가능한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capable of adjusting the resolution and screen size of an image for an executed task,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최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TV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다. 디지털 TV 서비스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서비스에서는 제공할 수 없었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Recently, a digital TV service using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has become common. The digital TV service can provide various services that cannot be provided by the existing analog broadcasting service.

이러한 디지털 TV 서비스는 일반적인 TV 뿐만 아니라, PC,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에서도 이용 가능하다.These digital TV services are available not only in general TVs, but also in terminals such as PCs and smartphones.

그래서 최근에는 PC,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를 통해 디지털 TV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the proportion of users who use digital TV services through terminals such as PCs and smartphones is increasing.

이러한 디지털 TV 서비스의 한 종류인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시청 프로그램의 종류, 시청 시간 등을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성을 제공한다. IPTV 서비스는 이러한 양방향성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 예컨대 인터넷 검색, 홈쇼핑, 온라인 게임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n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service, which is a type of such digital TV service, an interactivity that allows a user to actively select a type of program to watch, a viewing time, etc. is provided. The IPTV service may provide various additional services, such as Internet search, home shopping, and online games, based on such interactivity.

한편, 최근의 디지털 TV 서비스는 공중파 방송 서비스 이외에도, 케이블과 같은 유선으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 인공위성을 통해 제공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cent digital TV service is provided through a broadcast service provided by wire such as a cable, and an artificial satellite, in addition to an over-the-air broadcast service.

그리고 최근에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등장과 함께, 높은 해상도를 갖는 디지털 TV, 단말기가 상용화되었다.And recently, with the advent of digital broadcasting services, digital TVs and terminals with high resolution have been commercialized.

먼저, 디지털 방송 서비스 등장과 함께 SD(Standard Definition) 해상도를 갖는 디지털 TV, HD(High Definition)에 해당하는 해상도를 갖는 디지털 TV가 널리 보급되기 시작했고, 이후 디지털 TV의 화면이 커짐에 따라 더 높은 해상도를 갖는 FHD(Full High Definition)가 디지털 TV 판매 시장의 주력 제품이 되었다.First, with the advent of digital broadcasting services, digital TV having standard definition (SD) resolution and digital TV having resolution corresponding to high definition (HD) began to be widely distributed. Full High Definition (FHD) with resolution has become a major product in the digital TV sales market.

최근에는 FHD(Full High Definition)보다 더 높은 해상도를 갖는 UHD(Ultra High Definition)에 해당하는 해상도를 갖는 디지털 TV가 등장하였고, 앞으로 UHD에 해당하는 해상도를 갖는 디지털 TV가 디지털 TV 판매 시장의 주력 제품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Recently, a digital TV having a resolution corresponding to UHD (Ultra High Definition) having a higher resolution than FHD (Full High Definition) has appeared, and digital TV having a resolution corresponding to UHD is the main product of the digital TV sales market in the future. This is expected to be

그리고 디지털 TV의 해상도가 높아지는 것과 동시에 PC의 모니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의 해상도도 고해상도를 지원하는 제품이 증가하고 있다.In addition, as the resolution of digital TVs increases, the number of products that support high resolution also increases the resolution of PC monitors and terminal displays.

이와 같이 디지털 TV,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점점 더 높은 해상도를 지원하는 것에 비해, 디지털 TV,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재생되는 컨텐츠의 해상도는 디지털 TV,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while digital TV and terminal displays support increasingly higher resolutions, the resolution of content reproduced through digital TV and terminal displays does not keep up with the rate of increase in resolution of digital TV and terminal displays.

이에 따라 UHD에 해당하는 해상도를 갖는 디지털 TV, 단말기를 구비하더라도 UHD를 지원하는 컨텐츠가 부족하여, UHD에 해당하는 해상도를 갖는 디지털 TV, 단말기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even if a digital TV or terminal having a resolution corresponding to UHD is provided, there is insufficient content supporting UHD, and thus a digital TV or terminal having a resolution corresponding to UHD cannot be used properly.

그리고 고해상도를 지원하는 디지털 TV, 단말기에서 저해상도의 컨텐츠 또는 저해상도를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컨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영상이 너무 작게 화면에 표시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문자를 포함하는 영상을 고해상도를 지원하는 디지털 TV, 단말기에서 실행하면, 너무 작은 문자 크기로 인해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를 식별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a digital TV or terminal supporting high resolution runs low resolution content or an application supporting low resolu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mage of the content or applic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too small. In particular, when an image including text is executed on a digital TV or terminal that supports high resolution,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ext displayed on the screen due to the text size being too small.

또한, 고해상도를 지원하는 디지털 TV, 단말기에서 다양한 컨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동시에 표시되는 컨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 각각이 지원하는 해상도가 동일하지 않아서,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는 복수의 컨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 중 일부 화면을 사용자가 식별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In addition, when various contents or applications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one screen in a digital TV or terminal that supports high resolution, the resolutions supported by the simultaneously displayed contents or applications are not the same, so that a plurality of contents displayed on one screen Alternative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identify some of the screens for the application.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solve these problems.

본 발명은 고해상도를 지원하는 단말기에서 최적의 해상도로 다양한 태스크에 대한 화면을 출력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utput screens for various tasks at an optimal resolution in a terminal supporting a high resolution.

또한, 본 발명은 화면에 출력되는 태스크에 대한 영상의 해상도 전환을 용이하도록 하고, 복수의 태스크 각각을 적절한 해상도로 하나의 화면에 출력하는데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switching of resolution of an image for a task output to a screen, and to output each of a plurality of tasks to a single screen at an appropriate resolution.

또한, 본 발명은 화면에 출력된 태스크를 적합한 모드로 출력하는데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utput a task output on a screen in a suitable mod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적합한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화면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영상을 상기 판단된 화면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해상도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 operating method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outputting an image for one or more tasks; determining a screen mode for outputting a screen suitable for the one or more output tasks; and outputting the images for the one or more tasks at a screen display re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creen mod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출력된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적합한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화면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영상을 상기 판단된 화면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해상도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mages for one or more tasks;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a screen mode for outputting a screen suitable for the output one or more tasks, and controls to output an image for the one or more tasks to the display unit at a screen display re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creen mode. includ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고해상도를 지원하는 단말기에서 최적의 해상도로 다양한 태스크에 대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screens for various tasks can be output at an optimal resolution in a terminal supporting a high resolution, so that a user's terminal use environment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태스크에 대한 영상의 해상도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witch the resolution of the image for the task output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so that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태스크를 적합한 모드로 출력할 수 있어서, 사용자에 최적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output the task output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in a suitable mode, so that an optimal imag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트 실행에 대응하는 태스크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태스크 각각에 대한 화면을 출력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표시 해상도에 대한 정보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표시 해상도 설정 화면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표시 해상도 전환 이전의 화면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표시 해상도 전환 이후의 화면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태스크 목록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상도 조정 모드로 출력된 태스크 화면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전 모드로 출력된 태스크 화면을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단된 화면 모드로 출력된 복수의 태스크에 대한 화면을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크기 조정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크기 조정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 actual configuration example of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a task display screen corresponding to content execu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diagram of outputting a screen for each of a plurality of tas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llustrates an information display screen for screen display resolu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llustrates a screen display resolution sett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llustrates a screen before screen display resolution conv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llustrates a screen after screen display resolution conv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reen showing a plurality of task lis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llustrates a task screen output in a resolution adjustment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llustrates a task screen output in a power sav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llustrates screens of a plurality of tasks output in a determined scree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shows a screen corresponding to a screen size adjustment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llustrates a screen corresponding to a screen size adjustment m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a meaning or rol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출력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단말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creen output control method and a terminal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 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xample, an intelligent terminal in which a computer support function is added to a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and is faithful to a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and an Internet function is added, so that a handwritten input device, a touch screen, or a space A more user-friendly interface such as a remote control can be provided. In addition, it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a computer with the support of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function, so that functions such as e-mail, web browsing, banking, or games can also be performed. A standardized general-purpose OS may be used for these various functions.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단말기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Accordingly, in the terminal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user-friendly functions can be performed because various applications can be freely added or deleted, for example, on a general-purpose OS kernel. The terminal may be,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a network TV, HBBTV, smart TV, LED TV, OLED TV, and the like, and may be applied to a smart phone in some cas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음성 획득부(110), 영상 획득부(120), 방송 수신부(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통신부(16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terminal 100 includes avoice acquiring unit 110 , animage acquiring unit 120 , abroadcast receiving unit 130 , anetwork interface unit 133 , an externaldevice interface unit 135 , and astorage unit 140 . ), a userinput interface unit 150 , acommunication unit 160 , acontrol unit 170 , adisplay unit 180 , an audio output unit 185 , and apower supply unit 190 .

음성 획득부(110)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Thevoice acquisition unit 110 may acquire a voice.

음성 획득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어서, 포함된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획득부(110)는 획득된 음성을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Thevoice acquisi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microphone, and thus may acquire a voice through the included microphone. In addition, thevoice acquisition unit 110 may transmit the acquired voice to thecontrol unit 170 .

영상 획득부(120)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Theimage acquisition unit 120 may acquire an image.

영상 획득부(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어서, 포함된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Theimage acquisition unit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cameras, and thus may acquire an image through the included cameras.

그리고 영상 획득부(120)는 획득한 영상을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image acquisition unit 120 may transmit the acquired image to thecontrol unit 170 .

한편,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broadcast reception unit 130 may include atuner 131 , ademodulator 132 , and anetwork interface unit 133 .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The external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receive an application or an application list in an adjacent external device and transmit it to thecontrol unit 170 or thestorage unit 14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단말기(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Thenetwork interface unit 133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terminal 100 to a wired/wireless network including an Internet network. Thenetwork interface unit 133 may transmit or receive data with other users or other electronic devices through the connected network or another network linked to the connected network.

또한, 단말기(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단말기(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some content data stored in the terminal 100 may be transmitted to another user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terminal 100 or to a selected user or a selected electronic device among other users.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Thenetwork interface unit 133 may access a predetermined web page through the connected network or another network linked to the connected network. That is, by accessing a predetermined web page through a network, it is possible to transmit or receive data with a corresponding server.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network interface unit 133 may receive content or data provided by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operator. That is, thenetwork interface unit 133 may receive content such as a movie, advertisement, game, VOD, broadcast signal, etc. and information related thereto,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er or the network provider through the network.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Also, thenetwork interface unit 133 may receive firmware update information and an update file provided by a network operator, and transmit data to the Internet or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operator.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Thenetwork interface unit 133 may select and receive a desired application from among applications open to the public through a network.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Thestorage unit 140 may store programs for each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in thecontrol unit 170 and may store signal-processed image, audio, or data signals.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Also, thestorage unit 140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an image, audio, or data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device interface unit 135 or thenetwork interface unit 133 , and may perform a predetermined function through a channel storage function. It is also possible to store information about the image.

저장부(140)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Thestorage unit 140 may store an application or an application list input from the externaldevice interface unit 135 or thenetwork interface unit 133 .

단말기(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terminal 100 may reproduce content files (movie files, still image files, music files, document files, application files, etc.) stored in thestorage unit 140 and provide them to the user.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The userinput interface unit 150 may transmit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control unit 170 or may transmit a signal from thecontrol unit 170 to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input interface unit 150 is Bluetooth (Bluetooth), WB (Ultra Wideband), ZigBee (ZigBee) method,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method or infrared (IR)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A control signal such as power on/off, channel selection, and screen setting may be received and processed from theremote control device 200 , or a control signal from thecontrol unit 170 may be transmitted to theremote control device 200 .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Also, the userinput interface unit 15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input from a local key (not shown) such as a power key, a channel key, a volume key, and a setting value to thecontrol unit 170 .

통신부(160)는 단말기(100)와 네트워크 또는 단말기(100)와 서버(미도시)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게이트웨이(미도시)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하여, 서버(미도시)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할 수도 있다.Thecommunication unit 16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network or the terminal 100 and the server (not shown). Thecommunication unit 160 may perform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erver (not shown) by wire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gateway (not shown).

예를 들면, 통신부(160)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인터넷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인터넷 모듈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기(100)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communication unit 160 may include an Internet module for Internet access, and may allow the terminal 100 to access the Internet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Internet module.

다른 예를 들면, 통신부(160)는 단말기(100)와 다른 기기가 무선 통신할 수 있도록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통신부(160)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LAN(Wireless LAN)(Wi-Fi),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이용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thecommunication unit 160 may inclu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so that the terminal 100 and other devices can communicate wirelessly. In an embodiment,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included in thecommunication unit 160 includes Bluetooth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Wireless LAN (WLAN). (Wi-Fi),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etc. can be used.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controller 170 may be input to thedisplay unit 180 and output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signal. Also,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controller 170 may be input to an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device interface unit 135 .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 출력될 수 있다.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control unit 170 may be audio output to the audio output unit 185 . Also, 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controller 170 may be output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externaldevice interface unit 135 .

그 외, 제어부(170)는, 단말기(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controller 170 may control overall operations in theterminal 100 .

한편,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단말기(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terminal 100 by a user command or an internal program input through the userinput interface unit 150, and access the network to display an application or a list of applications desired by the user on the terminal 100 ) to make it available for download.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Thecontrol unit 170 allows the user-selected channel information to be output through thedisplay unit 180 or the audio output unit 185 together with the processed image or audio signal.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 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control unit 170, according to the external device image playback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userinput interface unit 150, from an external device input through the externaldevice interface unit 135, for example, a camera or camcorder, An image signal or an audio signal may be output through thedisplay unit 180 or the audio output unit 185 .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Meanwhile, the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display unit 180 to output an image, for example, a broadcast image input through thetuner 131 or an external input input through the externaldevice interface unit 135 . An image, an image input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or an image stored in thestorage unit 140 may be controlled to be output on thedisplay unit 180 . In this case, the image output to thedisplay unit 180 may be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and may be a 2D image or a 3D image.

또한, 제어부(170)는 단말기(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content stored in the terminal 100, received broadcast content, or external input content input from the outside to be played back, and the content includes a broadcast image, an external input image, an audio file, and a still image. It may be in various forms, such as an image, a connected web screen, and a document file.

또한, 제어부(170)는 단말기(100) 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고,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오디오를 오디오 출력부(185)로 출력할 수 있다.Also, thecontroller 170 may control an application stored in the terminal 100 to be executed. In addition,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executed application to thedisplay unit 180 , and may output audio corresponding to the executed application to the audio output unit 185 .

한편, 제어부(170)가 하나 이상의 태스크(task)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태스크는 제어부(170)가 재생하는 컨텐츠,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각각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가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복수의 작업을 처리하는 경우, 복수의 작업 각각은 하나의 태스크에 해당할 수 있다. 제어부(170)가 복수의 태스크를 처리하는 것을 멀티태스킹(Mutitasking)이라고 하기도 한다.Meanwhile, thecontroller 170 may simultaneously process one or more tasks. Here, the task may refer to content reproduced by thecontroller 170 and an application to be executed, respectively. And when thecontroller 170 processes a plurality of tasks in one applica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s may correspond to one task. Processing of the plurality of tasks by thecontroller 170 is also referred to as multitasking.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태스크 각각에 대한 화면 크기, 해상도 중 하나 이상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태스크 각각에 대한 화면 크기, 해상도 중 하나 이상을 출력되는 화면과 다른 화면 크기, 출력되는 해상도와 다른 해상도로 전환할 수도 있다.Thecontroller 170 may adjust one or more of a screen size and a resolution for each of one or more tasks output to thedisplay unit 180 . In addition, thecontroller 170 may switch one or more of the screen size and resolution for each of the one or more tasks output to thedisplay unit 180 to a screen size different from the output screen, and a resolution different from the output resolution.

여기서 해상도는 일정 영역 내의 영상 또는 화면을 구성하는 픽셀의 수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resolution may mean the number of pixels constituting an image or a screen within a predetermined area.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된 하나 이상의 태스크 각각에 대한 사용 상태를 기초로 각각의 태스크에 대해 적합한 화면 모드를 판단할 수 있고, 태스크에 대한 화면을 판단된 화면 모드로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controller 170 may determine a screen mode suitable for each task based on the usage state of each of the one or more tasks output to thedisplay unit 180 , and convert the screen for the task into the determined screen mode. may be output to thedisplay unit 180 .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display unit 180 converts the image signal, the data signal, the OSD signal processed by thecontrol unit 170, or the image signal and the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device interface unit 135 into R, G, and B signals, respectively, and drives them. signal can be generated.

한편, 도 1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단말기(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terminal 100 shown in FIG. 1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of the illustrated components may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actually implementedterminal 100 .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That is,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sub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eded. In addition, the function performed by each block is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operation or devic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100 does not include thetuner 131 and thedemodulator 132 , and does not include thenetwork interface unit 133 or the externaldevice interface unit 135 as shown in FIG. 1 . ) to receive and play the video.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erminal 100 is implemented by being separated into an image processing device such as a set-top box for receiving contents according to a broadcast signal or various network services, and a content playback device that reproduces content in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device. can be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출력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단말기(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image out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ncludes not only the terminal 100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but also an image processing device such as the separated set-top box or thedisplay unit 180 and The audio output unit 185 may be performed by any one of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es.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3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2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shows an actual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부(210), 무선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 및 음성 획득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2 , theremote control device 200 includes afingerprint recognition unit 210 , a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 auser input unit 230 , asensor unit 240 , anoutput unit 250 , and apower supply unit 260 . ), astorage unit 270 , acontrol unit 280 , and avoice acquisition unit 290 .

도 2를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Referring to FIG. 2 , the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transmits/receives a signal to and from any one of the terminal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단말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단말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단말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2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단말기(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모듈(2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단말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모듈(229)을 구비할 수 있다.Theremote control device 200 includes anRF module 221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RF communication standard, and an IR modul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IR communication standard. (223)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include aBluetooth module 225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Bluetooth communication standard. In addition, theremote control device 200 is provided with anNFC module 227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standard, and according to the WLAN (Wireless LAN) communication standard, the terminal ( 100) and may include aWLAN module 229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단말기(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통신부(220)를 통하여 전송한다.In addition, theremote control device 200 transmits a signal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remote control device 200 to the terminal 100 through the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단말기(100)가 전송한 신호를 무선통신부(220)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무선통신부(220)를 통하여 단말기(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receive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terminal 100 through the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if necessary, through the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to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power on / off, It is possible to send commands related to channel change, volume change, and the like.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휠 키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단말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단말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user input unit 230 may include a keypad, a button, a touch pad, a wheel key, or a touch screen.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terminal 100 to theremote control device 200 by manipulating theuser input unit 230 . When theuser input unit 230 includes a hard key button,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terminal 100 to theremote control device 200 through a push operation of the hard key button.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LIVE 버튼(233), 외부입력 버튼(234), 음량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버튼(237), 휠 키(238) 및 취소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s. The plurality of buttons include afingerprint recognition button 212, apower button 231, ahome button 232, aLIVE button 233, anexternal input button 234, avolume button 235, avoice recognition button 236, a channel It may include abutton 237 , awheel key 238 , and a cancelbutton 239 .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Thefingerprint recognition button 212 may be a button for recognizing a user's fingerprint. In an embodiment, thefingerprint recognition button 212 may perform a push operation, and thus may receive a push operation and a fingerprint recognition operation.

전원 버튼(231)은 단말기(100), 외부기기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Thepower button 231 may be a button for turning on/off the power of th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홈 버튼(232)은 단말기(100)의 기본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Thehome button 232 may be a button for displaying a basic menu of the terminal 100 .

LIVE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TheLIVE button 233 may be a button for displaying a real-time broadcast program.

외부입력 버튼(234)는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Theexternal input button 234 may be a button for displaying an image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음량 버튼(235)는 단말기(100)의 오디오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Thevolume button 235 may be a button for controlling an audio output of the terminal 100 .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Thevoice recognition button 236 may be a button for recognizing a user's voice.

채널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 특정 방송 서비스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Thechannel button 237 may be a button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of a specific broadcast channel or a specific broadcast service.

휠 키(238)는 일 방향 이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휠(Wheel)형태의 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휠 키(238)은 상, 하 방향 또는 상, 하, 좌, 우 방향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휠(Wheel) 형태의 키일 수 있다. 또한, 휠 키(238)은 방향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휠 키(238)의 상, 하 방향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휠 키(238)를 회전시키는 사용자 입력일 있고, 좌, 우 방향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휠 키(238)를 틸트시키는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또한, 휠 키(238)는 푸쉬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Thewheel key 238 may be a wheel-shaped key capable of receiving a user input in one or more directions. For example, thewheel key 238 may be a wheel-shaped key capable of receiving a user input in an up, down, or up, down, left, or right direction. In addition, thewheel key 238 may further include a direction key. Here, the user input for the up and down directions of thewheel key 238 may be a user input for rotating thewheel key 238 , and the user input for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may be a user input for tilting thewheel key 238 . Thewheel key 238 may also receive a push input.

다시 도 2를 설명한다.Fig. 2 will be described again.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단말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When theuser input unit 230 includes a touch screen,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terminal 100 to theremote control device 200 by touching a soft key of the touch screen.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 조그 키, 터치 패드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In addition, theuser input unit 23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input means that the user can operate, such as a scroll key, a jog key, and a touch pad, and this embodiment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Thesensor unit 240 may include agyro sensor 241 or anacceleration sensor 243 , and thegyro sensor 241 may sense information regarding the movement of theremote control device 200 .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gyro sensor 241 may sens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theremote control device 200 based on the x, y, and z axes, and theacceleration sensor 243 is the moving speed of theremote control device 200 . It is possible to sense information about the Meanwhile, the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 distance measuring sensor, and may sense the distance to thedisplay unit 180 of the terminal 100 .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단말기(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 여부 또는 단말기(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Theoutput unit 250 may output an image or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of theuser input unit 235 or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00 . Through theoutput unit 250 , the user may recognize whether theuser input unit 235 is operated or whether the terminal 100 is controlled.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output unit 250 includes anLED module 251 that lights when theuser input unit 230 is manipulated or a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terminal 100 through the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and avibration module 253 that generates vibration. ), asound output module 255 for outputting sound, or adisplay module 257 for outputting an image may be provided.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power supply unit 260 supplies power to the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when theremote control device 200 does not mov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power supply is stopped, thereby reducing power wastage. Thepower supply unit 260 may resume power supply when a predetermined key provided in theremote control device 200 is operated.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단말기(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단말기(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Thestorage unit 270 may store various types of programs and application data required for control or operation of theremote control device 200 . If theremote control device 200 transmits/receives a signal wirelessly through the terminal 100 and theRF module 221 , the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the terminal 100 transmit/receive a signal through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과 페어링된 단말기(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Thecontrol unit 280 of theremote control device 200 stores in thestorage unit 270 information about a frequency band in which a signal can be wirelessly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terminal 100 paired with the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can be referred to. can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controller 280 controls all matter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remote control device 200 . Thecontrol unit 280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key operation of theuser input unit 230 or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remote control device 200 sensed by thesensor unit 240 to the terminal 100 through the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 ) can be transmitted.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음성 획득부(290)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Also, thevoice acquisition unit 290 of the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acquire a voice.

음성 획득부(2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어서, 포함된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Thevoice acquisition unit 290 may include at least one microphone (not shown), and thus may acquire a voice through the included microphone.

그리고 음성 획득부(290)는 획득된 음성을 제어부(280)에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voice acquisition unit 290 may transmit the acquired voice to thecontroller 280 .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100)의 제어부(170)는 하나 이상의 태스크를 실행하기 위한 태스크 실행 요청을 획득한다(S101).Referring to FIG. 4 , thecontrol unit 170 of the terminal 100 obtains a task execution request for executing one or more tasks ( S101 ).

여기서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태스크는 하나 이상의 컨텐트 실행,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대한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task corresponding to the task execution request may include processing for executing one or more contents and executing one or more applications.

일 실시 예로, 제어부(170)는 하나 이상의 태스크를 실행하기 위한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controller 170 may obtain a user input corresponding to a task execution request for executing one or more tasks through theuser input interface 150 .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70)는 실행 중인 하나 이상의 태스크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태스크를 실행하기 위한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태스크 실행 요청을 획득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controller 170 may obtain a task execution request corresponding to a task execution request for executing one or more tasks based on one or more tasks being executed.

단말기(100)의 제어부(170)는 획득된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태스크에 대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화면 표시 해상도를 판단한다(S103).Thecontroller 170 of the terminal 100 determines a screen display resolution for outputting an image for a task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task execution request (S103).

제어부(170)는 획득된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태스크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하기 위한 화면 표시 해상도를 판단할 수 있다.Thecontroller 170 may determine a screen display resolution for outputting an image for a task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task execution request on thedisplay unit 180 .

여기서 화면 표시 해상도는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태스크에 대한 영상의 화면 크기,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태스크에 대해 출력되는 영상의 해상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screen size of an image for a task corresponding to the task execution request and a resolution of an image output for a task corresponding to the task execution request.

일 실시예로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태스크가 하나이면, 제어부(170)는 획득된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태스크에 대한 영상의 기본 화면 크기, 기본 해상도 중 하나 이상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 크기, 지원 해상도 중 하나 이상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의 기본 해상도는 해당 태스크가 지원하는 해상도일 수 있고, 기본 화면 크기는 해당 태스크가 지원하는 화면 크기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인식된 태스크에 대한 영상의 기본 화면 크기, 기본 해상도 중 하나 이상을 인식된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 크기, 지원 해상도 중 하나 이상과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비교 결과를 기초로 획득된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태스크에 대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화면 표시 해상도를 판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if there is one task corresponding to the task execution request, thecontroller 170 may recognize at least one of a basic screen size and a basic resolution of an image for the task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task execution request. In addition, thecontroller 170 may recognize at least one of a screen size and a supported resolution of thedisplay unit 180 of the terminal 100 . Here, the basic resolution of the image may be a resolution supported by a corresponding task, and the basic screen size may be a screen size supported by the corresponding task. Thecontroller 170 may compare one or more of a basic screen size and a basic resolution of the image for the recognized task with one or more of the recognized screen size and supported resolution of thedisplay unit 180 . Thecontroller 170 may determine a screen display resolution for outputting an image for a task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task execution request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태스크가 컨텐트 재생이면,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트의 기본 화면 크기, 기본 해상도 중 하나 이상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인식된 컨텐트의 기본 화면 크기, 기본 해상도 중 하나 이상을 인식된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 크기, 지원 해상도 중 하나 이상과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비교 결과를 기초로 획득된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트에 대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화면 표시 해상도를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ask corresponding to the task execution request is content reproduction, thecontroller 170 may recognize at least one of a basic screen size and a basic resolution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ask execution request. In addition, thecontroller 170 may compare one or more of a basic screen size and a basic resolution of the recognized content with one or more of the recognized screen size and supported resolution of thedisplay unit 180 . Thecontroller 170 may determine a screen display resolution for outputting an image for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ask execution request obtaine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다른 실시 예로,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태스크가 복수이면, 제어부(170)는 획득된 복수의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복수의 태스크 각각에 대한 영상의 기본 화면 크기, 기본 해상도 중 하나 이상을 각각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 크기, 지원 해상도 중 하나 이상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의 기본 해상도는 복수의 태스크 각각이 지원하는 해상도일 수 있고, 기본 화면 크기는 복수의 태스크 각각이 지원하는 화면 크기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인식된 복수의 태스크 각각에 대한 영상의 기본 화면 크기, 기본 해상도 중 하나 이상을 인식된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 크기, 지원 해상도 중 하나 이상과 각각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비교 결과를 기초로 획득된 복수의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복수의 태스크 각각에 대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화면 표시 해상도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태스크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전체 화면에 동시에 출력될 수도 있고, 복수의 태스크 중 하나의 태스크가 디스플레이부(180)의 전체 화면에 출력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tasks corresponding to the task execution request, thecontroller 170 recognizes one or more of a basic screen size and a basic resolution of an image for each of a plurality of tasks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plurality of task execution requests. can do. In addition, thecontroller 170 may recognize at least one of a screen size and a supported resolution of thedisplay unit 180 of the terminal 100 . Here, the basic resolution of the image may be a resolution support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s, and the basic screen size may be a screen size support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s. Thecontroller 170 may compare one or more of a basic screen size and a basic resolution of an image for each of the recognized plurality of tasks with one or more of the recognized screen size and supported resolution of thedisplay unit 180 , respectively. Thecontroller 170 may determine a screen display resolution for outputting an image for each of a plurality of task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task execution requests obtaine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Here, the plurality of tasks may be simultaneously output on the entire screen of thedisplay unit 180 , or one task among the plurality of tasks may be output on the entire screen of thedisplay unit 180 .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태스크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이면,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기본 화면 크기, 기본 해상도 중 하나 이상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인식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기본 화면 크기, 기본 해상도 중 하나 이상을 인식된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 크기, 지원 해상도 중 하나 이상과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비교 결과를 기초로 획득된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화면 표시 해상도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화면 표시 해상도를 동일하게 판단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르게 판단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f the task corresponding to the task execution request is to execute a plurality of applications, thecontroller 170 may recognize one or more of a basic screen size and a basic resolution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corresponding to the task execution request. In addition, thecontroller 170 may compare one or more of the recognized basic screen sizes and basic resolutions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with one or more of the recognized screen sizes and supported resolutions of thedisplay unit 180 . Thecontroller 170 may determine a screen display resolution for outputting an image for each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task execution request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Accordingly, thecontroller 170 may determine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to be the same or to be determined differently.

단말기(100)의 제어부(170)는 판단된 화면 표시 해상도로 획득된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태스크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한다(S105).Thecontroller 170 of the terminal 100 outputs an image for the task corresponding to the task execution request obtained with the determined screen display resolution to the display unit 180 (S105).

제어부(180)는 획득된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의 전체 화면 또는 일부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Thecontroller 180 may output an image of one or more tasks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task execution request on the entire screen or a partial screen of thedisplay unit 180 .

여기서 화면 표시 해상도는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태스크에 대한 영상의 화면 크기,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태스크에 대해 출력되는 영상의 해상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screen size of an image for a task corresponding to the task execution request and a resolution of an image output for a task corresponding to the task execution request.

일 실시 예로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태스크가 하나이면, 제어부(170)는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태스크에 대해 판단된 화면 표시 해상도로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태스크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의 전체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if there is one task corresponding to the task execution request, thecontroller 170 displays an image for the task corresponding to the task execution request with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determined for the task corresponding to the task execution request on thedisplay unit 180 . can be printed on the full screen of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태스크가 컨텐트 재생이면,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트에 대해 판단된 화면 표시 해상도로 컨텐트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의 전체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트의 화면 표시 해상도가 제1 해상도에 대응한다고 판단되면, 제1 해상도로 컨텐트를 디스플레이부(180)의 전체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ask corresponding to the task execution request is content reproduction, thecontroller 170 displays an image for the content at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determined for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ask execution request on the entire screen of thedisplay unit 180 . can be printed out. Specifical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ask execution request corresponds to the first resolution,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the content at the first resolution on the entire screen of thedisplay unit 180 .

이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트 실행에 대응하는 태스크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5 illustrates a task display screen corresponding to content execu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제1 태스크인 컨텐트 재생에 대한 화면인 제1 화면(310)을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태스크인 컨텐트 재생에 대해 판단된 화면 표시 해상도인 제1 해상도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해상도가 제2 해상도를 지원하더라도, 제1 태스크인 컨텐트 재생에 대한 화면을 판단된 화면 표시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1 해상도로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제1 태스크인 컨텐트 재생에 대한 화면을 판단된 화면 표시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1 화면 크기로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afirst screen 310 that is a screen for content reproduction, which is a first task corresponding to a task execution request, to thedisplay unit 180 .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the content at the first resolution, which is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determined for the content reproduction, which is the first task. Accordingly, even if the resolution of thedisplay unit 180 supports the second resolution, thecontroller 170 transmits the screen for the content reproduction, which is the first task, to thedisplay unit 180 at the first re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creen display resolution. can be printed out. In addition,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a screen for content reproduction, which is the first task, to thedisplay unit 180 in a first screen siz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creen display resolution.

다른 실시 예로,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태스크가 복수이면, 제어부(170)는 획득된 복수의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복수의 태스크 각각에 대해 판단된 복수의 화면 표시 해상도 각각으로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복수의 태스크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태스크 각각에 대해 판단된 복수의 화면 표시 해상도 각각은 서로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복수의 태스크 각각을 디스플레이부(180)의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출력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부(180)의 하나의 화면에 하나의 태스크에 대한 화면만을 출력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if there are a plurality of tasks corresponding to the task execution request, thecontroller 170 responds to the task execution request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screen display resolutions determin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s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plurality of task execution requests. Images for a plurality of tasks to be performed may be output to thedisplay unit 180 . In this case, each of the plurality of screen display resolutions determin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Also, thecontroller 170 may simultaneously output each of a plurality of tasks on one screen of thedisplay unit 180 , or output only a screen for one task on one screen of thedisplay unit 180 .

이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태스크 각각에 대한 화면을 출력하는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diagram of outputting a screen for each of a plurality of tas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복수의 태스크인 제2 태스크 내지 제8 태스크 각각에 대한 복수의 화면인 제2 화면 내지 제8 화면(320, 330, 340, 350, 360, 370, 380)을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2 태스크에 대한 화면(320)을 판단된 화면 표시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2 해상도로 디스플레이부(180)의 일부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2 태스크에 대한 화면(320)을 화면 표시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2 화면 크기로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3 태스크에 대한 화면(330)을 판단된 화면 표시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2 해상도로 디스플레이부(180)의 일부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3 태스크에 대한 화면(330)을 화면 표시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2 화면 크기로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4 태스크에 대한 화면(340)을 판단된 화면 표시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1 해상도로 디스플레이부(180)의 일부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4 태스크에 대한 화면(340)을 화면 표시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2 화면 크기로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5 태스크에 대한 화면(350)을 판단된 화면 표시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1 해상도로 디스플레이부(180)의 일부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5 태스크에 대한 화면(350)을 화면 표시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2 화면 크기로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6 태스크에 대한 화면(360)을 판단된 화면 표시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2 해상도로 디스플레이부(180)의 일부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6 태스크에 대한 화면(360)을 화면 표시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2 화면 크기로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7 태스크에 대한 화면(370)을 판단된 화면 표시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3 해상도로 디스플레이부(180)의 일부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7 태스크에 대한 화면(370)을 화면 표시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2 화면 크기로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8 태스크에 대한 화면(330)을 판단된 화면 표시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4 해상도로 디스플레이부(180)의 일부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8 태스크에 대한 화면(380)을 화면 표시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3 화면 크기로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해상도 내지 제 4해상도는 서로 다른 해상도일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제1 화면 크기 내지 제3 화면 크기는 서로 다른 화면 크기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control unit 170 controls second toeighth screens 320 , 330 , 340 , 350 that are a plurality of screens for each of the second to eighth tasks that are a plurality of tasks corresponding to the task execution request. , 360 , 370 , and 380 may be output to thedisplay unit 180 .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thescreen 320 for the second task at a second re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creen display resolution on some screens of thedisplay unit 180 .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thescreen 320 for the second task to thedisplay unit 180 in a second screen size corresponding to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thescreen 330 for the third task to a partial screen of thedisplay unit 180 at a second re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creen display resolution.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thescreen 330 for the third task to thedisplay unit 180 in a second screen size corresponding to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thescreen 340 for the fourth task to a partial screen of thedisplay unit 180 at a first re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creen display resolution.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thescreen 340 for the fourth task to thedisplay unit 180 in a second screen size corresponding to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thescreen 350 for the fifth task to a partial screen of thedisplay unit 180 at a first re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creen display resolution.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thescreen 350 for the fifth task to thedisplay 180 in a second screen size corresponding to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thescreen 360 for the sixth task to a partial screen of thedisplay unit 180 at a second re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creen display resolution.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thescreen 360 for the sixth task to thedisplay unit 180 in a second screen size corresponding to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thescreen 370 for the seventh task at a third re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creen display resolution on some screens of thedisplay unit 180 .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thescreen 370 for the seventh task to thedisplay unit 180 in the second screen size corresponding to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thescreen 330 for the eighth task to a partial screen of thedisplay unit 180 at a fourth re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creen display resolution.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thescreen 380 for the eighth task to thedisplay unit 180 in a third screen size corresponding to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The above-described first to fourth resolutions may be different resolutions.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first screen size to third screen size may be different screen size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된 복수의 태스크 각각에 대한 화면을 서로 다른 해상도, 화면 크기로 각각 출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utput screen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s output to thedisplay unit 180 in different resolutions and screen sizes.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된 복수의 태스크 각각에 대한 복수의 화면 각각에 복수의 태스크 각각에 대해 판단된 화면 표시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information on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determin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s on each of the plurality of screen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s output to thedisplay unit 180 .

이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표시 해상도에 대한 정보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7 illustrates an information display screen for screen display resolu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태스크 실행 요청에 대응하는 복수의 태스크인 제2 태스크 내지 제8 태스크 각각에 대한 복수의 화면인 제2 화면 내지 제8 화면(320, 330, 340, 350, 360, 370, 380)을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복수의 태스크에 대한 복수의 화면인 제2 화면 내지 제8 화면(320, 330, 340, 350, 360, 370, 380) 각각에 복수의 태스크인 제2 태스크 내지 제8 태스크 각각에 대해 판단되어 적용된 화면 표시 해상도에 대한 정보인 해상도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표시 해상도 정보창(420, 430, 440, 450, 460, 470, 480)을 각각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controller 170 controls second toeighth screens 320 , 330 , 340 , 350 that are a plurality of screens for each of the second to eighth tasks that are a plurality of tasks corresponding to the task execution request. , 360 , 370 , and 380 may be output to thedisplay unit 180 . In addition, thecontrol unit 170 may display second to eighth tasks that are a plurality of tasks on each of the second toeighth screens 320, 330, 340, 350, 360, 370, and 380 that are a plurality of screens for the plurality of tasks. The screen displayresolution information windows 420 , 430 , 440 , 450 , 460 , 470 , and 480 outputting resolution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about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determined and applied may be output respectively.

또한, 제어부(170)는 화면 표시 해상도 정보창에 화면 크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고, 화면 표시 해상도에 대한 사용자 설정 여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사용자 설정에 따른 화면 표시 해상도로 태스크에 대한 화면을 출력하는 제7 태스크에 대한 화면(370)의 화면 표시 해상도 정보창(470)에 해상도 정보인 제3 해상도 및 사용자 설정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해상도임을 표시하는 사용자 설정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controller 170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screen size in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information window, or may display whether a user has set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 thecontroller 170 displays the resolution in the screen displayresolution information window 470 of thescreen 370 for the seventh task that outputs the screen for the task at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A user setting display indicating that the third resolution as information and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setting may be output.

상술한 화면 표시 해상도에 대한 정보 표시에 대한 설명은 설명을 위한 예시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information display on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described above is an example for descrip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a user or a designer.

다시 도 4를 참조한다.Reference is again made to FIG. 4 .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된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화면 표시 해상도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 표시 해상도 설정 요청을 획득한다(S107). 제어부(170)는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태스크를 획득된 화면 표시 해상도 설정 요청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해상도로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한다(S108).Thecontroller 170 obtains a screen display resolution setting request for setting a screen display resolution for one or more tasks output to the display unit 180 (S107). Thecontroller 170 outputs the one or more tasks to be output to thedisplay unit 180 at a screen display re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screen display resolution setting request (S108).

제어부(170)는 특정 태스크에 대한 화면 표시 해상도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 표시 해상도 설정 요청을 획득할 수 있다.Thecontroller 170 may obtain a screen display resolution setting request for setting a screen display resolution for a specific task.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특정 태스크에 대한 화면 표시 해상도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획득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해상도로 특정 태스크에 대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controller 170 may obtain a user input for setting a screen display resolution for a specific task. Accordingly,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a screen for a specific task to thedisplay 180 with a screen display re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user input.

이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표시 해상도 설정 화면을 나타낸다.8 illustrates a screen display resolution sett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화면 표시 해상도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화면 표시 해상도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창(490)을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설정창(490)에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화면 표시 해상도에 포함되는 해상도, 화면 크기, 문자 크기 중 하나 이상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설정창(490)에 화면 표시 해상도에 포함되는 해상도, 화면 크기, 문자 크기 각각에 대해 설정할 수 있는 슬라이더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화면 표시 해상도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창(490)에 표시된 해상도, 화면 크기, 문자 크기 각각에 대한 슬라이더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해상도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control unit 170 may output a setting screen for setting a screen display resolution for one or more tasks to thedisplay unit 180 .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a settingwindow 490 for setting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to thedisplay unit 180 .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a menu for setting one or more of a resolution, a screen size, and a text size included in a screen display resolution for one or more tasks on the settingwindow 490 . For example,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a slider that can be set for each of the resolution included in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the screen size, and the character size on the settingwindow 490 . In addition, thecontroller 170 may obtain a user input for a slider for each of the resolution, screen size, and character size displayed in the settingwindow 490 for setting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for one or more tasks.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a screen for one or more tasks selected with a screen display re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user input to thedisplay unit 180 .

그리고 제어부(170)는 화면 표시 해상도에 대한 설정에 대응하는 태스크에 대한 화면을 설정 이전에 대한 원본 화면과 획득된 화면 표시 해상도 설정에 대응하는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원본 화면은 단계 S105에서 판단된 화면 표시 해상도로 출력된 화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the original screen before setting the screen for the task corresponding to the setting for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and the setting screen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screen display resolution setting to thedisplay unit 180 . Here, the original screen may be a screen output with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determined in step S105.

이에 대해 도 8을 다시 참고하여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again.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일부 영역에 제5 태스크에 대한 원본 화면인 제5 화면(350)을 출력하고, 다른 일부 영역에 제5 태스크에 대한 화면 표시 해상도 설정에 대응하는 설정 화면인 제5 설정 화면(352)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선택된 태스크인 제5 태스크에 대한 화면 표시 해상도 설정에 따른 설정 화면을 설정 이전 화면과 비교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controller 170 outputs afifth screen 350 that is an original screen for the fifth task to a partial area of thedisplay unit 180, and a screen display resolution for the fifth task to another partial area. Afifth setting screen 352 that is a setting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etting may be output. Accordingly, the user may compare the setting screen according to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setting for the fifth task, which is the selected task, with the screen before the setting.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된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화면 표시 해상도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에 복수의 화면 표시 해상도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복수의 화면 표시 해상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고, 출력된 하나 이상의 태스크를 선택된 화면 표시 해상도에 대응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a plurality of screen display resolutions to a setting screen for setting screen display resolutions for one or more tasks output to thedisplay unit 180 . Thecontroller 170 may obtain a user input for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screen display resolutions, and may output one or more output tasks to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creen display resolution.

이와 같이 제어부(170)는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화면 표시 해상도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해상도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In this way, thecontroller 170 may obtain a user input for setting a screen display resolution for one or more tasks, and display a screen for one or more tasks selected as a screen display re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user input on the display unit 180 ) can be printed.

한편, 제어부(170)는 화면 표시 해상도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에 단말기(100)의 성능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제어부(170)의 성능,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 크기, 화면 해상도 등을 기초로 단말기(100)의 성능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해상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화면 표시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information on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terminal 100 on the setting screen for setting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Specifically, thecontroller 170 calculates a screen display re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terminal 100 based on the performance of thecontroller 170 , the screen size of thedisplay unit 180 , the screen resolution, and the like, and the calculated screen display resolution may be output to thedisplay unit 180 .

다시 도 4를 참조한다.Reference is again made to FIG. 4 .

제어부(170)는 화면 표시 해상도를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S111),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된 하나 이상의 태스크를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해상도로 전환한다(S113).Thecontroller 170 obtains a user input for changing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S111), and converts one or more tasks output to thedisplay unit 180 to a screen display re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user input (S113).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된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해 화면 표시 해상도를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된 하나 이상의 태스크를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해상도로 전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controller 170 may obtain a user input for changing a screen display resolution for one or more tasks output to thedisplay unit 180 . In addition, thecontroller 170 may convert one or more tasks output on thedisplay unit 180 to a screen display re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user input and output the converted tasks.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된 복수의 태스크 중 어느 하나의 태스크, 복수의 태스크 중 일부 태스크, 복수의 태스크 전부의 화면 표시 해상도를 전환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controller 170 may switch and output screen display resolutions of any one task among the plurality of tasks output on thedisplay unit 180 , some tasks among the plurality of tasks, and all of the plurality of tasks.

이에 대해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0 .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표시 해상도 전환 이전의 화면을 나타낸다.9 illustrates a screen before screen display resolution conv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표시 해상도 전환 이후의 화면을 나타낸다.10 illustrates a screen after screen display resolution conv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제8 태스크인 웹 브라우저에 대한 웹 브라우저 화면(381)을 판단된 화면 표시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1 해상도로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출력된 웹 브라우저 화면(381)의 화면 표시 해상도를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해상도로 웹 브라우저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제8 태스크인 웹 브라우저에 대해 화면 표시 해상도가 제1 해상도에서 제3 해상도로 전환된 웹 브라우저 화면(383)을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theweb browser screen 381 for the web browser, which is the eighth task, to thedisplay unit 180 at a first re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creen display resolution. In addition, when a user input for switching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of the outputweb browser screen 381 is obtained,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the web browser screen with a screen display re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user input.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0 ,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aweb browser screen 383 in which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is switched from the first resolution to the third resolution for the web browser which is the eighth task.

한편, 화면 표시 해상도를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핫키(hot key), 단축키(shortcut) 등 다양한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input for changing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may be various user inputs such as a hot key and a shortcut key.

예를 들면, 화면 표시 해상도를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제1 핫키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input for changing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may be a user input for inputting a first hot key provided in theremote control device 200 .

다른 예를 들면, 화면 표시 해상도를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단말기(100)에 연결된 키보드 장치(미도시)의 컨트롤 키와 R 키를 동시에 누르는 단축키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user input for changing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may be a user input inputting a shortcut key for simultaneously pressing the control key and the R key of a keyboard device (not shown)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

또 다른 예로, 화면 표시 해상도를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키보드 화면의 컨트롤 키와 R 키를 선택하는 단축키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user input for changing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may be a user input inputting a shortcut key for selecting the control key and the R key of the keyboard screen displayed on thedisplay unit 180 of the terminal 100 .

상술한 화면 표시 해상도를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설명을 위한 예시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입력을 통해 화면 표시 해상도를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단말기(100)에 입력될 수 있다.The user input for changing the above-described screen display resolution is an example for descrip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a user input for changing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may be input to the terminal 100 through various inputs according to a user or designer's selection.

한편, 제어부(170)는 화면 표시 해상도를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다시 획득하면, 화면 표시 해상도가 전환되기 이전의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제1 화면 표시 해상도로 제1 태스크에 대한 화면을 출력하는 중에 화면 표시 해상도를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제1 태스크에 대한 화면을 제2 화면 표시 해상도로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제2 화면 표시 해상도로 제1 태스크에 대한 화면을 출력하는 중에 화면 표시 해상도를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제1 태스크에 대한 화면을 제1 화면 표시 해상도로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 user input for changing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is obtained again,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the screen before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is changed to thedisplay unit 180 . For example, if thecontroller 170 obtains a user input for switching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while outputting the screen for the first task with the first screen display resolution, thecontroller 170 changes the screen for the first task to the second screen display resolution. may be output to thedisplay unit 180 . In addition, if thecontroller 170 obtains a user input for switching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while outputting the screen for the first task at the second screen display resolution, thedisplay unit 170 converts the screen for the first task to the first screen display resolution ( 180) can be printed.

한편, 제어부(170)는 태스크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복수의 태스크 중 하나의 태스크에 대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하는 중에 다른 태스크에 대한 화면을 출력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a screen for another task while outputting a screen for one task among a plurality of tasks on thedisplay unit 180 based on a user input for switching the task screen.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제1 태스크에 대한 화면을 출력하는 중에, 태스크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제2 태스크에 대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controller 170 obtains a user input for switching the task screen while outputting the screen for the first task,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the screen for the second task to thedisplay unit 180 .

또한, 제어부(170)는 제1 태스크에 대한 화면을 출력하는 중에, 태스크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복수의 태스크에 대한 목록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출력된 복수의 태스크에 대한 목록 화면에서 하나의 태스크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선택된 태스크에 대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Also, if a user input for switching a task screen is obtained while outputting a screen for the first task,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a list screen for a plurality of tasks on thedisplay unit 180 . In addition, when obtain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one task from the output list screen for a plurality of tasks,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a screen for the selected task on thedisplay unit 180 .

이에 대해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태스크 목록을 나타내는 화면이다.11 is a screen showing a plurality of task lis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복수의 태스크인 제2 태스크 내지 제7 태스크 중 제3 태스크에 대한 화면(381)을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복수의 태스크인 제2 태스크 내지 제7 태스크 중 제3 태스크가 아닌 다른 태스크에 대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복수의 태스크인 제2 태스크 내지 제7 태스크에 대한 목록을 나타내는 목록창(400)을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목록창(400)에 복수의 태스크인 제2 태스크 내지 제7 태스크 각각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420, 430, 440, 450, 460, 470)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420, 430, 440, 450, 460, 470) 중 어느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태스크에 대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ascreen 381 for a third task among second to seventh tasks that are a plurality of tasks on thedisplay unit 180 . Thecontroller 170 may obtain a user input for outputting a screen for a task other than the third task among the second task to the seventh task, which is a plurality of tasks, on thedisplay unit 180 . Accordingly,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thelist window 400 indicating a list of the second to seventh tasks, which are a plurality of tasks, on thedisplay unit 180 . Thecontroller 170 mayoutput thumbnail images 420 , 430 , 440 , 450 , 460 , and 470 for each of the second to seventh tasks that are a plurality of tasks on thelist window 400 . In addition, when thecontroller 170 obtains a user input for selecting any one thumbnail image among a plurality ofthumbnail images 420, 430, 440, 450, 460, and 470, a screen for a task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thumbnail image is displayed. may be output to theunit 180 .

다시 도 4를 참조한다.Reference is again made to FIG. 4 .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된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해 적합한 화면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S115). 그리고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태스크를 판단된 화면 모드로 출력한다(S117).Thecontroller 170 may determine a screen mode suitable for one or more tasks output on the display unit 180 (S115). Then, thecontrol unit 170 outputs one or more tasks output to thedisplay unit 180 in the determined screen mode (S117).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된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해 적합한 화면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Thecontroller 170 may determine a screen mode suitable for one or more tasks output to thedisplay unit 180 .

여기서 화면 모드는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되는 태스크에 대한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전력 소모, 밝기, 화면 크기, 문자 크기, 해상도 중 하나 이상을 조정하기 위한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면 모드는 전력 소모를 절감하기 위한 절전 모드, 화면 크기를 조정하는 화면 크기 조정 모드, 문자 크기를 조정하는 문자 크기 조정 모드 및 해상도를 조정하는 해상도 조정 모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판단된 화면 모드에 따라 태스크에 대한 화면의 색상, 색온도, 밝기, 명암 중 하나 이상을 조정할 수도 있다.Here, the screen mode may mean a mode for adjusting one or more of power consumption, brightness, screen size, character size, and resolution for outputting a screen for a task output to thedisplay unit 180 . For example, the screen mode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power saving mod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 screen resizing mode to adjust the screen size, a text resizing mode to adjust the text size, and a resolution adjusting mode to adjust the resolution. have. In addition, thecontroller 170 may adjust one or more of color, color temperature, brightness, and contrast of the screen for the task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creen mode.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된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사용자 입력 횟수, 화면 표시 시간, 실행 시간 및 태스크에 대한 화면에 포함된 문자수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적합한 화면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control unit 170 determines a suitable screen mode based on one or more of the number of user inputs for one or more tasks output on thedisplay unit 180, screen display time, execution time, and the number of characters included in the screen for the task. can be judged

이에 대해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6 .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상도 조정 모드로 출력된 태스크 화면을 나타낸다.12 illustrates a task screen output in a resolution adjustment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복수의 태스크인 제2 태스크 내지 제8 태스크에 대한 복수의 화면인 제2 화면 내지 제8 화면(320, 330, 340, 350, 360, 370, 380)을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2 태스크 내지 제8 태스크 각각에 대한 사용자 입력 횟수를 기초로, 제2 태스크 내지 제8 태스크 중 사용자 입력 횟수가 기준 횟수 초과인 태스크에 적합한 화면 모드를 해상도 조정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제2 태스크 내지 제8 태스크 중 사용자 입력 횟수가 기준 횟수 초과인 제5 태스크 및 제8 태스크에 대한 화면(350, 380)을 해상도 조정 모드로 출력할 수 있다. 그래서 제어부(170)는 제5 태스크 및 제8 태스크에 대한 화면(350, 380)의 해상도를 해상도 조정 모드가 아닌 태스크에 대한 화면에 대한 해상도와 다른 해상도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제5 태스크에 대한 화면(350)의 해상도는 제5 해상도로 출력하고, 제8 태스크에 대한 화면(380)의 해상도는 제6 해상도로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thecontroller 170 controls the second toeighth screens 320, 330, 340, 350, 360, 370, 380 that are a plurality of screens for the second to eighth tasks that are a plurality of tasks. may be output to thedisplay unit 180 . Thecontrol unit 170 determines, as the resolution adjustment mode, a screen mode suitable for a task in which the number of user inputs of the second task to the eighth task exceeds the reference number based on the number of user inputs for each of the second task to the eighth task. can Accordingly,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thescreens 350 and 380 for the fifth task and the eighth task in which the number of user input exceeds the reference number among the second to eighth tasks in the resolution adjustment mode. Therefore,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the resolutions of thescreens 350 and 380 for the fifth task and the eighth task at a resolution different from the resolution for the screen for the task, which is not the resolution adjustment mode. For example,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the resolution of thescreen 350 for the fifth task as the fifth resolution and the resolution of thescreen 380 for the eighth task as the sixth resolution.

또한, 제어부(170)는 제2 태스크 내지 제8 태스크 각각의 실행 시간을 기초로, 제2 태스크 내지 제8 태스크 중 실행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인 태스크에 적합한 화면 모드를 해상도 조정 모드로 판단할 수도 있다.Also, thecontroller 170 may determine, as the resolution adjustment mode, a screen mode suitable for a task whose execution tim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time among the second to eighth tasks, based on the execution time of each of the second to eighth tasks. .

또한, 제어부(170)는 제2 태스크 내지 제8 태스크에 대한 복수의 화면인 제2 화면 내지 제8 화면(320, 330, 340, 350, 360, 370, 380) 각각의 화면 표시 시간을 기초로, 화면 표시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인 태스크에 적합한 화면 모드를 해상도 조정 모드로 판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control unit 170 based on the screen display time of each of the second toeighth screens 320, 330, 340, 350, 360, 370, 380, which are a plurality of screens for the second to eighth tasks. , a screen mode suitable for a task in which the screen display time is longer than the reference time may be determined as the resolution adjustment mode.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전 모드로 출력된 태스크 화면을 나타낸다.13 illustrates a task screen output in a power sav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복수의 태스크인 제2 태스크 내지 제8 태스크에 대한 복수의 화면인 제2 화면 내지 제8 화면(320, 330, 340, 350, 360, 370, 380)을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2 태스크 내지 제8 태스크 각각에 대한 사용자 입력 횟수를 기초로, 제2 태스크 내지 제8 태스크 중 사용자 입력 횟수가 기준 횟수 이하인 태스크에 적합한 화면 모드를 절전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제2 태스크 내지 제8 태스크 중 사용자 입력 횟수가 기준 횟수 이하인 제2 태스크, 제5 태스크, 제6 태스크에 대한 화면인 제2 태스크에 대한 화면(320), 제5 태스크에 대한 화면(350), 제6 태스크에 대한 화면(360)을 절전 모드로 출력할 수 있다. 그래서 제어부(170)는 제2 태스크에 대한 화면(320), 제5 태스크에 대한 화면(350), 제6 태스크에 대한 화면(360)의 밝기를 절전 모드가 아닌 경우보다 낮출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thecontroller 170 controls the second toeighth screens 320, 330, 340, 350, 360, 370, and 380 that are a plurality of screens for the second to eighth tasks that are a plurality of tasks. may be output to thedisplay unit 180 . Thecontrol unit 170 may determine, as the power saving mode, a screen mode suitable for a task in which the number of user inputs among the second tasks to the eighth tasks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number based on the number of user inputs for each of the second tasks to the eighth tasks. . Accordingly, thecontrol unit 170 controls thescreen 320 for the second task, the screen for the fifth task, which is the screen for the second task, the fifth task, and the sixth task in which the number of user inpu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number among the second to eighth tasks. Ascreen 350 for , and ascreen 360 for the sixth task may be output in the power saving mode. Therefore, thecontroller 170 may lower the brightness of thescreen 320 for the second task, thescreen 350 for the fifth task, and thescreen 360 for the sixth task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screen is not in the power saving mode.

또한, 제어부(170)는 제2 태스크 내지 제8 태스크 각각의 실행 시간을 기초로, 제2 태스크 내지 제8 태스크 중 실행 시간이 기준 시간 이하인 태스크에 적합한 화면 모드를 절전 모드로 판단할 수도 있다.Also, thecontroller 170 may determine, as the power saving mode, a screen mode suitable for a task whose execution time is equal to or less than a reference time among the second to eighth tasks, based on the execution time of each of the second to eighth tasks.

또한, 제어부(170)는 제2 태스크 내지 제8 태스크에 대한 복수의 화면인 제2 화면 내지 제8 화면(320, 330, 340, 350, 360, 370, 380) 각각의 화면 표시 시간을 기초로, 화면 표시 시간이 기준 시간 이하인 태스크에 적합한 화면 모드를 절전 모드로 판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control unit 170 based on the screen display time of each of the second toeighth screens 320, 330, 340, 350, 360, 370, 380, which are a plurality of screens for the second to eighth tasks. , a screen mode suitable for a task in which the screen display tim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time may be determined as the power saving mode.

한편, 제어부(170)는 태스크에 대한 화면에 포함된 문자수가 일정수 이상이면, 해당 태스크에 적합한 화면 모드를 문자 크기를 조정하는 문자 크기 조정 모드에 포함되는 문서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number of characters included in the screen for the task is a predetermined number or more, thecontroller 170 may determine a screen mode suitable for the task as a document mode included in the text size adjustment mode for adjusting the text size.

또한, 제어부(170)는 판단된 화면 모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도 있다.Also,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information on the determined screen mode to thedisplay unit 180 .

이에 대해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4 .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단된 화면 모드로 출력된 복수의 태스크에 대한 화면을 나타낸다.14 illustrates screens of a plurality of tasks output in a determined scree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복수의 태스크인 제2 태스크 내지 제8 태스크에 대한 복수의 화면인 제2 화면 내지 제8 화면(320, 330, 340, 350, 360, 370, 380)을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2 태스크 내지 제8 태스크 각각에 대한 사용자 입력 횟수를 기초로, 제2 태스크 내지 제8 태스크 중 사용자 입력 횟수가 기준 횟수 이하인 태스크에 적합한 화면 모드를 절전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제2 태스크 내지 제8 태스크 중 사용자 입력 횟수가 기준 횟수 이하인 제2 태스크, 제5 태스크, 제6 태스크에 대한 화면인 제2 태스크에 대한 화면(320), 제5 태스크에 대한 화면(350), 제6 태스크에 대한 화면(360)을 절전 모드로 출력할 수 있다. 그래서 제어부(170)는 제2 태스크에 대한 화면(320), 제5 태스크에 대한 화면(350), 제6 태스크에 대한 화면(360)의 밝기를 절전 모드가 아닌 경우보다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복수의 태스크인 제2 태스크 내지 제8 태스크에 대한 화면 각각에 포함된 문자수를 기초로, 기준수 이상인 제7 태스크를 문서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제7 태스크에 대한 화면에 포함된 문자 크기를 다른 모드보다 크게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문서 모드로 판단된 제7 태스크에 대한 화면의 색온도를 다른 모드와 다르게 조정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4 , thecontroller 170 controls the second toeighth screens 320, 330, 340, 350, 360, 370, 380 that are a plurality of screens for the second to eighth tasks that are a plurality of tasks. may be output to thedisplay unit 180 . Thecontrol unit 170 may determine, as the power saving mode, a screen mode suitable for a task in which the number of user inputs among the second tasks to the eighth tasks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number based on the number of user inputs for each of the second tasks to the eighth tasks. . Accordingly, thecontrol unit 170 controls thescreen 320 for the second task, the screen for the fifth task, which is the screen for the second task, the fifth task, and the sixth task in which the number of user inpu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number among the second to eighth tasks. Ascreen 350 for , and ascreen 360 for the sixth task may be output in the power saving mode. Therefore, thecontroller 170 may lower the brightness of thescreen 320 for the second task, thescreen 350 for the fifth task, and thescreen 360 for the sixth task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screen is not in the power saving mode. In addition, thecontrol unit 170 may determine the seventh task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number as the document mode based on the number of characters included in each screen for the second to eighth tasks that are a plurality of tasks. Accordingly,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the size of the text included in the screen for the seventh task to be larger than that of other modes. Also, thecontroller 170 may adjust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screen for the seventh task determined as the document mode to be different from other modes.

그리고 제어부(170)는 복수의 태스크 각각에 대한 화면 모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창을 복수의 태스크 각각에 대한 화면에 각각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제2 태스크 내지 제7 태스크 각각에 대한 복수의 화면인 제2 화면 내지 제8 화면(320, 330, 340, 350, 360, 370, 380) 각각에 화면 모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창인 화면 모드창(420, 430, 440, 450, 460, 470, 480)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화면 모드가 기본 모드인 제3 태스크, 제4 태스크, 제8 태스크에 대한 화면 모드창(430, 440, 480)에는 기본 모드를 출력하고, 절전 모드인 제2 태스크, 제5 태스크, 제6 태스크에 대한 화면 모드창(420, 450, 460)에는 절전 모드를 출력하고, 문서 모드인 제7 태스크에 대한 화면 모드창(470)에는 문서 모드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an information window indicating information on a screen mod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s on the scree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s.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4 , thecontroller 170 controls the second toeighth screens 320, 330, 340, 350, 360, 370, 380 that are a plurality of screens for each of the second to seventh tasks. ), thescreen mode windows 420 , 430 , 440 , 450 , 460 , 470 and 480 which are information windows indicating information about the screen mode may be output. Accordingly, thecontrol unit 170 outputs the basic mode to thescreen mode windows 430, 440, and 480 for the third task, the fourth task, and the eighth task in which the screen mode is the basic mode, and the second task, which is the power saving mode, The power saving mode may be output to thescreen mode windows 420 , 450 , and 460 for the fifth task and the sixth task, and the document mode may be output to thescreen mode window 470 for the seventh task that is the document mode.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된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사용자 입력 횟수, 화면 표시 시간, 실행 시간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출력된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화면 모드를 화면 크기, 화면 위치를 조정하는 화면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control unit 170 determines the screen mode for the one or more tasks output on the basis of one or more of the number of user input, the screen display time, and the execution time for the one or more tasks output to thedisplay unit 180, the screen size, It can be determined by the screen mode for adjusting the screen position.

이에 대해 도 15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5 .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크기 조정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을 나타낸다.15 shows a screen corresponding to a screen size adjustment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복수의 태스크인 제2 태스크 내지 제8 태스크에 대한 복수의 화면인 제2 화면 내지 제8 화면(320, 330, 340, 350, 360, 370, 380)을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2 태스크 내지 제8 태스크 각각에 대한 사용자 입력 횟수를 기초로, 제2 태스크 내지 제8 태스크 중 사용자 입력 횟수가 기준 횟수 이상인 태스크의 화면 크기를 조정하는 화면 조정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제2 태스크 내지 제8 태스크 중 사용자 입력 횟수가 기준 횟수 이상인 제7 태스크를 화면 조정 모드로 판단하고, 제7 태스크에 대한 화면(370)의 화면 크기를 화면 조정 모드가 아닌 태스크에 대한 화면(320, 330, 340, 360, 380)의 화면 크기보다 크게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 thecontroller 170 controls the second toeighth screens 320, 330, 340, 350, 360, 370, 380 that are a plurality of screens for the second to eighth tasks that are a plurality of tasks. may be output to thedisplay unit 180 . Thecontrol unit 170 determines a screen adjustment mode for adjusting the screen size of a task in which the number of user inputs among the second tasks to the eighth task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number, based on the number of user inputs for each of the second to eighth tasks can Accordingly, thecontrol unit 170 determines a seventh task among the second to eighth tasks in which the number of user inpu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number as the screen adjustment mode, and sets the screen size of thescreen 370 for the seventh task to the screen adjustment mode. It is possible to output a screen size larger than the screen size of thescreens 320, 330, 340, 360, and 380 for non-task tasks.

또한, 제어부(170)는 제2 태스크 내지 제8 태스크 각각의 실행 시간을 기초로, 제2 태스크 내지 제8 태스크 중 실행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인 태스크인 제7 태스크에 적합한 화면 모드를 화면 크기 조정 모드로 판단할 수도 있다.Also, based on the execution time of each of the second tasks to the eighth tasks, thecontroller 170 sets a screen mode suitable for a seventh task, which is a task whose execution tim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time, among the second tasks to the eighth tasks, the screen size adjustment mode. can also be judged as

또한, 제어부(170)는 제2 태스크 내지 제8 태스크에 대한 복수의 화면인 제2 화면 내지 제8 화면(320, 330, 340, 350, 360, 370, 380) 각각의 화면 표시 시간을 기초로, 화면 표시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인 태스크인 제7 태스크에 적합한 화면 모드를 절전 모드로 판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control unit 170 based on the screen display time of each of the second toeighth screens 320, 330, 340, 350, 360, 370, 380, which are a plurality of screens for the second to eighth tasks. , a screen mode suitable for the seventh task, which is a task whose screen display time is equal to or longer than the reference time, may be determined as the power saving mode.

한편, 제어부(170)는 복수의 태스크 중 화면 조정 모드로 판단된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화면만을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only a screen for one or more tasks determined as the screen adjustment mode among the plurality of tasks to thedisplay unit 180 .

이에 대해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6 .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크기 조정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을 나타낸다.16 illustrates a screen corresponding to a screen size adjustment m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복수의 태스크인 제2 태스크 내지 제8 태스크 중 화면 조정 모드인 제5 태스크 및 제7 태스크에 대응하는 화면만을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에는 복수의 태스크인 제2 태스크 내지 제8 태스크 중 화면 조정 모드인 제5 태스크 및 제7 태스크에 대응하는 화면만이 출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 thecontroller 170 may output only the screens corresponding to the fifth task and the seventh task, which are the screen adjustment mode, to thedisplay unit 180 among the second to eighth tasks that are a plurality of tasks. Accordingly, only screens corresponding to the fifth task and the seventh task in the screen adjustment mode among the second to eighth tasks that are a plurality of tasks may be output to thedisplay unit 180 .

한편, 상술한 화면 조정 모드에 대한 설명은 설명을 위한 예시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화면 조정 모드에 대응하는 태스크의 화면은 화면 크기가 다른 모드에 대응하는 태스크의 화면보다 크게 출력될 수도 있고, 작게 출력될 수도 있다. 따라서 화면 조정 모드의 구체적인 내용에 따라 화면 조정 모드에 대응하는 태스크의 화면 크기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그래서 화면 조정 모드는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screen adjustment mode is not limited thereto as an example for description. Accordingly, the screen of the task corresponding to the screen adjustment mode may be output to be larger or smaller than the screen of the task corresponding to the other mode having a screen size. Accordingly, the screen size of the task corresponding to the screen adjustment mode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pecific content of the screen adjustment mode. Therefore, the screen adjustment mode may be appli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setting of a user or a designer.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된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동작 처리 속도를 기초로, 특정 태스크를 우선적으로 처리하는 우선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Also, thecontroller 170 may determine the priority mode for preferentially processing a specific task based on the operation processing speed for one or more tasks output on thedisplay unit 180 .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된 복수의 태스크 각각에 대한 동작 처리 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동작 처리 속도를 기초로 복수의 태스크 중 하나 이상의 태스크를 우선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복수의 태스크 각각의 동작 처리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고, 복수의 태스크 중 일부 태스크의 처리 속도를 높이도록 일부 태스크의 화면 표시 해상도를 우선 모드가 아닌 태스크보다 낮추거나 높일 수 있다. 그래서 제어부(170)는 복수의 태스크 중 우선 모드인 태스크에 대응하는 화면의 화면 표시 해상도를 우선 모드가 아닌 태스크에 대응하는 화면의 화면 표시 해상도와 다르게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우선 모드에 대응하는 태스크에 대한 화면 표시 해상도 조정에 따라 제어부(170)가 우선 모드에 대응하는 태스크를 우선 모드가 아닌 태스크에 대응하는 태스크보다 우선적으로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controller 170 calculates an operation processing spe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s output to thedisplay unit 180, and determines one or more tasks among the plurality of tasks as the priority mode based on the calculated operation processing speed. can Accordingly, thecontrol unit 170 may determine the priority for the operation processing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s, and lower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of some tasks than the tasks other than the priority mode to increase the processing speed of some tasks among the plurality of tasks. can be raised Therefore, thecontroller 170 may adjust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of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task in the priority mode among the plurality of tasks to be different from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of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task not in the priority mod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adjustment for the task corresponding to the priority mode, thecontroller 170 may preferentially process the task corresponding to the priority mode over the task corresponding to the task other than the priority mode.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medium i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Hard Disk Drive (HDD), Solid State Disk (SSD), Silicon Disk Drive (SDD),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There is also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that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In addition, the computer may include acontrol unit 170 of the terminal.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but as exemplar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0)

Translated fromKorean
하나 이상의 태스크를 실행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적합한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화면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영상을 상기 판단된 화면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해상도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사용자 입력 횟수가 기준 횟수 이하인 경우, 해당 태스크의 화면 모드를 화면의 밝기를 낮추는 절전 모드로 판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for executing one or more tasks, the method comprising:
outputting an image for the one or more tasks;
determining a screen mode for outputting a screen suitable for the one or more output tasks; and
outputting an image for the one or more tasks at a screen display re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creen mode,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creen mode is
When the number of user inputs for the one or more tasks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number of times, determining the screen mode of the corresponding task as a power saving mode that lowers the screen
How the terminal work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응하는 화면의 표시 시간,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의 실행 시간, 하나의 화면에 포함된 태스크에 대한 영상의 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화면에 포함된 문자수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적합한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상기 화면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creen mode is
Based on at least one of a display time of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one or more tasks, an execution time of the one or more tasks, the number of images for the task included in one screen, and the number of characters included in the screen for the one or more tasks determining the screen mode for outputting a screen suitable for the one or more tasks with
How the terminal work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모드는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전력 소모를 절감하기 위한 상기 절전 모드,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화면에 포함된 문자 크기를 조정하는 문자 크기 조정 모드,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화면의 해상도를 조정하는 해상도 조정 모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화면의 크기를 조정하는 화면 크기 조정 모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creen mode is
the power saving mod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for outputting a screen for the one or more tasks;
a text size adjustment mode for adjusting the text size included in the screen for the one or more tasks;
a resolution adjustment mode for adjusting the resolution of the screen for the one or more tasks; and
including one or more of a screen resizing mode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screen for the one or more tasks
How the terminal work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화면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해상도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화면 모드가 상기 절전 모드이면, 상기 절전 모드에 대응하는 태스크에 대한 영상의 밝기를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된 화면 모드가 상기 문자 크기 조정 모드이면, 상기 문자 크기 조정 모드에 대응하는 태스크에 대한 영상에 포함된 문자의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된 화면 모드가 상기 해상도 조정 모드이면, 상기 해상도 조정 모드에 대응하는 태스크에 대한 영상의 해상도를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된 화면 모드가 상기 화면 크기 조정 모드이면, 상기 화면 크기 조정 모드에 대응하는 태스크에 대한 영상의 화면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tep of outputting at a screen display re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creen mode includes:
if the determined screen mode is the power saving mode, adjusting the brightness of an image for a task corresponding to the power saving mode;
if the determined screen mode is the text size adjustment mode, adjusting the size of the text included in the image for the task corresponding to the text size adjustment mode;
if the determined screen mode is the resolution adjustment mode, adjusting the resolution of an image for a task corresponding to the resolution adjustment mode;
if the determined screen mode is the screen size adjustment mode, adjusting the screen size of an image for a task corresponding to the screen size adjustment mode
How the terminal work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영상의 화면 표시 해상도를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 표시 해상도를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태스크에 대한 영상의 화면 표시 해상도를 이전에 출력되던 화면 표시 해상도와 다른 화면 표시 해상도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obtaining a user input for changing a screen display resolution of an image for the one or more tasks; and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verting and outputting a screen display resolution of an image for a task corresponding to a user input for switching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to a screen display resolution different from the previously output screen display resolution
How the terminal work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영상의 화면 표시 해상도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 표시 해상도 설정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화면 표시 해상도 설정 요청에 대응하는 태스크에 대한 영상을 상기 화면 표시 해상도 설정 요청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해상도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obtaining a screen display resolution setting request for setting a screen display resolution of an image for the one or more tasks; and
outputting an image for a task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screen display resolution setting request at a screen display re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setting request
How the terminal work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 해상도 설정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 중 하나의 태스크에 대한 화면 표시 해상도에 포함되는, 상기 하나의 태스크에 대한 화면의 해상도, 화면 크기 및 포함된 문자 크기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설정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of obtaining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setting request is
Acquiring a setting value for one or more of a screen resolution, a screen size, and an included character size for the one task, which is included in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for one of the one or more tasks
How the terminal work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 해상도 설정 요청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해상도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 표시 해상도 설정 요청 이전의 화면 표시 해상도로 출력되는 상기 태스크에 대한 제1 영상 및 상기 화면 표시 해상도 설정 요청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해상도로 출력되는 상기 태스크에 대한 제2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of outputting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setting request
A first image for the task output at a screen display resolution before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setting request and a second image for the task output at a screen display re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setting request are output on one screen comprising the steps of
How the terminal work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는
복수의 태스크 각각에 대한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outputting an image for the one or more tasks includes:
outputting an image for each of a plurality of tasks on one screen
How the terminal work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태스크 각각에 대한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태스크 각각에 대한 영상의 화면 크기, 해상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면 표시 해상도를 각각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태스크 각각에 대한 영상을 상기 복수의 태스크 각각에 대해 판단된 화면 표시 해상도로 상기 하나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tep of outputting an imag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s to one screen includes:
determining a screen display resolu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creen size and a resolution of an imag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s;
outputting an imag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s on the one screen at a screen display resolution determin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s
How the terminal works.
하나 이상의 태스크를 실행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출력된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적합한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화면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영상을 상기 판단된 화면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해상도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사용자 입력 횟수가 기준 횟수 이하인 경우, 해당 태스크의 화면 모드를 화면의 밝기를 낮추는 절전 모드로 판단하는단말기.
A terminal for executing one or more tasks, the terminal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images for the one or more tasks; and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a screen mode for outputting a screen suitable for the output one or more tasks, and controls to output an image for the one or more tasks to the display unit at a screen display re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creen mode and,
the control unit
When the number of user inputs for the one or more tasks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number, the terminal for determining the screen mode of the task as a power saving mode for lowering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응하는 화면의 표시 시간,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의 실행 시간, 하나의 화면에 포함된 태스크에 대한 영상의 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화면에 포함된 문자수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적합한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상기 화면 모드를 판단하는
단말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unit
Based on at least one of a display time of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one or more tasks, an execution time of the one or more tasks, the number of images for the task included in one screen, and the number of characters included in the screen for the one or more tasks to determine the screen mode for outputting a screen suitable for the one or more tasks
termina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모드는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전력 소모를 절감하기 위한 상기 절전 모드,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화면에 포함된 문자 크기를 조정하는 문자 크기 조정 모드,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화면의 해상도를 조정하는 해상도 조정 모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화면의 크기를 조정하는 화면 크기 조정 모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말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creen mode is
the power saving mod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for outputting a screen for the one or more tasks;
a text size adjustment mode for adjusting the text size included in the screen for the one or more tasks;
a resolution adjustment mode for adjusting the resolution of the screen for the one or more tasks; and
including one or more of a screen resizing mode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screen for the one or more tasks
termina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화면 모드가 상기 절전 모드이면, 상기 절전 모드에 대응하는 태스크에 대한 영상의 밝기를 조정하고,
상기 판단된 화면 모드가 상기 문자 크기 조정 모드이면, 상기 문자 크기 조정 모드에 대응하는 태스크에 대한 영상에 포함된 문자의 크기를 조정하고,
상기 판단된 화면 모드가 상기 해상도 조정 모드이면, 상기 해상도 조정 모드에 대응하는 태스크에 대한 영상의 해상도를 조정하고,
상기 판단된 화면 모드가 상기 화면 크기 조정 모드이면, 상기 화면 크기 조정 모드에 대응하는 태스크에 대한 영상의 화면 크기를 조정하는
단말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ntrol unit
If the determined screen mode is the power saving mode,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image for the task corresponding to the power saving mode,
If the determined screen mode is the text size adjustment mode, adjust the size of the text included in the image for the task corresponding to the text size adjustment mode,
If the determined screen mode is the resolution adjustment mode, adjusting the resolution of the image for the task corresponding to the resolution adjustment mode,
If the determined screen mode is the screen size adjustment mode, adjusting the screen size of the image for the task corresponding to the screen size adjustment mode
termi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영상의 화면 표시 해상도를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화면 표시 해상도를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태스크에 대한 영상의 화면 표시 해상도를 이전에 출력되던 화면 표시 해상도와 다른 화면 표시 해상도로 전환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unit
obtaining a user input for switching a screen display resolution of an image for the one or more tasks;
Controlling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of the image for the task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for switching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to be output by switching to a screen display resolution different from the previously output screen display resolution
termi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한 영상의 화면 표시 해상도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 표시 해상도 설정 요청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화면 표시 해상도 설정 요청에 대응하는 태스크에 대한 영상을 상기 화면 표시 해상도 설정 요청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해상도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unit
obtaining a screen display resolution setting request for setting a screen display resolution of an image for the one or more tasks;
Controlling an image for a task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screen display resolution setting request to be output at a screen display re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setting request
terminal.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 중 하나의 태스크에 대한 화면 표시 해상도에 포함되는, 상기 하나의 태스크에 대한 화면의 해상도, 화면 크기 및 포함된 문자 크기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설정값을 획득하는
단말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control unit
Obtaining a setting value for at least one of a screen resolution, a screen size, and an included character size for the one task, which is included in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for the one task among the one or more tasks
terminal.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 표시 해상도 설정 요청 이전의 화면 표시 해상도로 출력되는 상기 태스크에 대한 제1 영상 및 상기 화면 표시 해상도 설정 요청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해상도로 출력되는 상기 태스크에 대한 제2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하나의 화면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control unit
A first image for the task output at a screen display resolution prior to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setting request and a second image for the task output at a screen display re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setting request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o control the output to the screen of
termi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태스크 각각에 대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하나의 화면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unit
Controlling an image for each of a plurality of tasks to be output on the display unit as one screen
terminal.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태스크 각각에 대한 영상의 화면 크기, 해상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면 표시 해상도를 각각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태스크 각각에 대한 영상을 상기 복수의 태스크 각각에 대해 판단된 화면 표시 해상도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하나의 화면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control unit
determining a screen display resolu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creen size and a resolution of an imag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s,
Controlling the imag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s to be output as one screen on the display unit at the screen display resolution determin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s
terminal.
KR1020150024977A2015-02-232015-02-23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ActiveKR1022671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50024977AKR102267194B1 (en)2015-02-232015-02-23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CT/KR2016/001674WO2016137167A1 (en)2015-02-232016-02-19Terminal
US15/049,885US10708534B2 (en)2015-02-232016-02-22Terminal executing mirror application of a peripher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50024977AKR102267194B1 (en)2015-02-232015-02-23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60102653A KR20160102653A (en)2016-08-31
KR102267194B1true KR102267194B1 (en)2021-06-22

Family

ID=56877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50024977AActiveKR102267194B1 (en)2015-02-232015-02-23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226719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EP4246960A4 (en)2021-02-012024-04-03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WO2022164193A1 (en)*2021-02-012022-08-04삼성전자 주식회사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335842B1 (en)*2006-11-012013-12-02엘지전자 주식회사Method of performing a visible multitask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KR20090022297A (en)*2007-08-302009-03-04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control method,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using same
KR102084548B1 (en)*2012-12-272020-03-05삼성전자주식회사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137240B1 (en)*2013-04-162020-07-23삼성전자주식회사Method for adjusting display area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60102653A (en)201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101220037B1 (en)Method for controlling connec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and portable terminal thereof
EP3417630B1 (en)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721430B2 (en)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481753B2 (en)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570379B1 (en)Display device for providing a screen mirroring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327030B2 (en)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664915B1 (en)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587910B2 (en)Display device for providing scrape fun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220377406A1 (en)Source device and wireless system
KR102749062B1 (en)A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267194B1 (en)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319680B1 (en)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3905707A1 (en)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7345579B2 (en) Display device and its operating method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249486B1 (en)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50203171A1 (en)Display device
US20250021290A1 (en)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204566B1 (en) Display device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2412918B1 (en)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40150993A (en)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KR20240160174A (en) Display device
KR20250018518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250068660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240151195A (en) Display device
KR20160085662A (en)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50223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PA02012R01D

Patent event date:20200130

Comment text: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150223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01025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210418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10615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20210616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240522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