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영상 획득부(171),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영상 획득부(171)는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71)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71)는 디지털 카메라, CMOS 카메라, CCD(Charged Coupled Device) 카메라, TOF 카메라 등 영상 촬영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나 피사체를 감지할 수 있는 각종 센서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225), 사용자 입력부(235),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과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공간리모콘(200)은, 확인키(Okay key)(291), 메뉴키(292), 사방향키(293), 채널 조정키(294), 볼륨 조정키(296)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키(Okay key)(291)는 메뉴 또는 항목 선택시 사용 가능하며, 메뉴키(292)는 소정 메뉴 표시를 위해 사용 가능하며, 사방향키(293)는 포인터 또는 인디케이터를 상, 하, 좌우 이동시 사용 가능하며, 채널 조정 키(294)는 채널 상, 하 조정시 사용 가능하며, 볼륨 조정키(296)는, 볼륨 업, 다운 조정 시 사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공간리모콘(200)은, 백 키(back key)(297), 홈 키(home key)(29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 키(back key)(297)는 이전 화면 이동시 사용 가능하며, 홈 키(298)는, 홈 화면으로의 이동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면과 같이, 확인키(291)는, 스크롤 기능이 추가된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확인키(291)는 휠 키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즉, 확인키(291)가 눌려지는 경우, 해당 메뉴 또는 항목 선택으로 사용되고, 확인키(291) 가 상,하로 스크롤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 스크롤링 또는 리스트 페이지 전환 등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80)에 디스플레이의 사이즈 보다 더 큰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해당 영상 탐색을 위해 확인키(291)를 스크롤링하면, 현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지 않던 영상 영역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된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부(180)에 리스트 페이지가 표시되는 경우, 확인키(291)를 스크롤링하면, 현재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 또는 다음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롤 기능은, 확인키(291)가 아닌 별도의 키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사방향키(293)는, 도면과 같이, 원형 타입에서, 상, 하, 좌, 우키가 각각 사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사방향키(293)에 대한 터치 입력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방향키(293) 내의 상 키(up key)에서부터 하키(down key)까지 터치 동작이 있는 경우, 해당 터치 입력에 따라, 설정된 기능이 입력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4의 (a)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빅 데이터(Big data)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로, 어플리케이션, 채널 히스토리, 미디어 컨텐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컨텐트는 녹화물,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빅 데이터는 일반 데이터(generic data) 및 개인화 데이터(private data)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 데이터는 다른 내부 사용자 또는 내부 사용자가 등록한 외부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데이터이고, 개인화 데이터는 내부 사용자 본인 또는 내부 사용자가 접근을 허여한 상대가 접근 가능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부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빅 데이터에 직접적으로 접근 가능한 사용자일 수 있고, 외부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빅 데이터에 간접적으로 접근 가능한 사용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 사용자는 별도의 인증 없이 자신의 일반 데이터 및 개인화 데이터에 접근 가능하고, 외부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빅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해 내부 사용자의 허여가 필요하다. 외부 사용자는 내부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내부 사용자의 빅 데이터에 접근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데이터의 접근이 허여된다는 것은 데이터를 다운로드, 데이터를 표시,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데이터의 접근이 거부되는 것은 데이터를 다운로드 할 수 없고, 데이터를 표시할 수 없고, 데이터를 열람할 수 없음을 나타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하나 이상의 내부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를 등록한다(S101).일 실시 예에서 내부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는 내부 사용자의 빅 데이터에 대해 접근 가능한 외부 사용자에 대한 정보 또는 외부 사용자의 전자 기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등록된 내부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등록된 내부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네트워크 연결된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버와 인터넷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서버는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내부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내부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내부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내부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는 복수의 내부 사용자의 식별 정보, 각 내부 사용자에 대응되는 외부 사용자들의 식별 정보, 외부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전자 기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내부 사용자의 식별 정보는 내부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 및 내부 사용자의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사용자의 식별 정보는 <Amaresh>라는 내부 사용자의 이름, <Amaresh>의 얼굴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외부 사용자의 식별 정보는 외부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 및 외부 사용자의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에 포함된 외부 사용자는 내부 사용자가 자신의 빅 데이터에 포함된 일반 데이터에 접근이 허여될 수 있다. 내부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에 포함된 외부 사용자는 내부 사용자의 접근 수락을 통해 내부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에 접근이 허여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외부 사용자의 식별 정보는 <Mr.Han>이라는 외부 사용자의 이름, <Mr.Han>의 얼굴 이미지, <Mr. Ali>이라는 외부 사용자의 이름, <Mr. Ali>의 얼굴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전자 기기의 식별 정보는 전자 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명칭,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내부 사용자 <Amaresh>가 등록한 외부 사용자의 전자 기기는 D1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다시 도 5를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영상 획득부(171)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한다(S103).영상 획득부(171)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내부 사용자들을 촬영하여 하나 이상의 내부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단, 좌측, 우측 중 어느 한 곳에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획득된 영상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얼굴을 인식한다(S105).제어부(170)는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얼굴 영역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얼굴 색상 및 얼굴 색상 이외의 배경 색상을 구분하여 사용자의 얼굴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사용자 얼굴의 눈, 코, 입, 귀, 머리카락의 위치나 모양을 통해 사용자의 얼굴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인식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얼굴에 대응하는 내부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를 추출한다(S107).제어부(170)는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이 등록된 내부 사용자로 확인된 경우, 저장부(140) 또는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내부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를 추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내부 사용자 또는 외부 사용자로부터 내부 사용자의 빅 데이터 접근 요청을 수신한다(S109).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내부 사용자 본인으로부터 빅 데이터의 접근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다른 내부 사용자로부터 빅 데이터의 접근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빅 데이터의 접근 요청은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접근 명령, 또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으로부터 수신된 접근 명령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내부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내부 사용자의 빅 데이터의 접근 허용 여부를 판단하고(S111), 판단 결과에 따라 내부 사용자의 빅 데이터의 접근을 허용하거나 접근을 거부한다(S113).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22는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내부 사용자의 빅 데이터의 접근을 허용 또는 접근을 거부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되고, <Amaresh> 라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에 위치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Amaresh>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얼굴에 기초하여 <Amaresh>를 등록된 내부 사용자로 판단할 수 있다. 내부 사용자 <Amaresh>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빅 데이터 또는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빅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도 7에서 도시된 TV data base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클라우드 서버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내부 사용자 <Amaresh>는 TV data base에 저장된 빅 데이터에 포함된 일반 데이터 및 개인화 데이터에 모두 접근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면, 내부 사용자 <Amaresh>는 일반 데이터 및 개인화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내부 사용자 <Amaresh>는 빅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일반 데이터 및 개인화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라이브 채널들(LIVE Channels)에 대해 일부 라이브 채널(Star tv)은 등록된 외부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일반 데이터로 설정하고, 일부 라이브 채널(xxx tv)은 내부 사용자의 접근 허여가 있는 경우에만 접근 가능한 개인화 데이터로 설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어플리케이션들(Applications), 녹화물들(Recordings), 미디어 컨텐츠(media contents) 각각에 대해서도 내부 사용자 <Amaresh>는 일반 데이터 및 개인 데이터를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을 설명한다.
도 9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내부 사용자 <Amaresh>가 등록 해 놓은 외부 사용자 <Mr. Han>의 전자 기기로부터 <Amaresh>의 빅 데이터의 접근 요청을 수신한 경우, 처리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자 <Mr. Han>의 전자 기기로부터 <Amaresh>의 빅 데이터의 접근 요청을 수신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내부 사용자 <Amaresh>의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빅 데이터의 접근 허여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Amaresh>의 프로파일 정보에 따르면, 사용자 <Mr. Han>은 등록된 외부 사용자이므로, 외부 사용자 <Mr. Han>은 <Amaresh>의 빅 데이터 중 일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고, 개인화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다.
도 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내부 사용자 <Amaresh>가 등록 해 놓은 외부 사용자 <Mr. Han>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에 위치하여 <Amaresh>와 함께 미디어 컨텐트를 시청하는 경우, 외부 사용자 <Mr. Han>의 전자 기기로부터 <Amaresh>의 빅 데이터의 접근 요청을 수신한 경우, 처리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획득부(171)를 통해 외부 사용자 <Mr. Han>을 추가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외부 사용자 <Mr. Han>의 전자 기기로부터 <Amaresh>의 빅 데이터의 접근 요청을 수신한 경우, 내부 사용자 <Amaresh>의 일반 데이터 및 개인화 데이터의 접근을 허용해 줄 수 있다. 만약, 내부 사용자 <Amaresh>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인식할 수 없는 위치로 이동하고, 외부 사용자 <Mr. Han>만이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면에 위치한 경우, 외부 사용자 <Mr. Han>은 내부 사용자 <Amaresh>의 일반 데이터에만 접근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를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외부 사용자의 빅 데이터 접근 요청에 따른 결과를 보여준다.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내부 사용자 <Amaresh>의 프로파일 정보에 등록된 외부 사용자 <Mr.Ali>의 전자 기기로부터 빅 데이터의 접근 요청을 수신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사용자 <Mr.Ali>의 전자 기기가 내부 사용자 <Amaresh>의 일반 데이터에 접근 가능함을 알리는 접근 허여 정보(301)를 표시할 수 있다. 접근 허여 정보(301)는 외부 사용자 <Mr.Ali>의 얼굴 이미지, 접근 허여를 알리는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접근 허여 정보(30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사용자 <Mr.Ali>의 전자 기기가 서로 페어링된 후,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사용자 <Mr.Ali>의 전자 기기에 빅 데이터의 접근이 허여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내부 사용자 <Amaresh>의 프로파일 정보에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 <Mr.Kumar>의 전자 기기로부터 빅 데이터의 접근 요청을 수신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Mr. Mr.Kumar>의 전자 기기가 내부 사용자 <Amaresh>의 일반 데이터에 접근이 불가함을 알리는 접근 거부 정보(303)를 표시할 수 있다. 접근 거부 정보(303)는 사용자 <Mr.Kumar>의 얼굴 이미지, 접근 거부를 알리는 메시지, 접근 거부를 알리는 x 표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Mr.Kumar>의 전자 기기에 빅 데이터의 접근이 거부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을 설명한다.
도 13은 등록된 외부 사용자가 내부 사용자의 개인화 데이터에 대해 접근 요청을 한 경우, 처리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내부 사용자 <Amaresh>의 프로파일 정보에 등록된 외부 사용자 <Mr.Ali>의 전자 기기로부터 개인화 데이터의 접근 요청을 수신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사용자 <Mr.Ali>의 전자 기기가 내부 사용자 <Amaresh>의 개인화 데이터에 접근을 허여할지 접근을 거부할지를 문의하는 문의창(305)을 표시할 수 있다. 문의창(305)의 수락 버튼을 통해 내부 사용자 <Amaresh>에 의해 개인화 데이터의 접근이 허여된 경우, 외부 사용자 <Mr.Ali>의 전자 기기는 내부 사용자 <Amaresh>의 개인화 데이터에 접근이 가능하다. 문의창(305)을 통해 거부 버튼을 통해 내부 사용자 <Amaresh>에 의해 개인화 데이터의 접근이 거부된 경우, 외부 사용자 <Mr.Ali>의 전자 기기는 내부 사용자 <Amaresh>의 개인화 데이터에 접근이 불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4 및 도 15를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내부 사용자가 추가된 경우, 내부 사용자 간의 빅 데이터 접근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미디어 컨텐트를 시청하고 있는내부 사용자 <Amaresh>를 먼저 인식한 후, 사용자 <Ms. Kim>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에 위치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Ms. Kim>을 인식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Ms. Kim>가 등록된 내부 사용자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내부 사용자 <Ms. Kim>이 추가되었음을 확인하고, 내부 사용자 <Amaresh>의 일반 데이터를 및 내부 사용자 <Ms. Kim>의 일반 데이터를 접근 가능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내부 사용자 <Amaresh> 및 <Ms. Kim> 각각은 서로의 일반 데이터만이 접근 가능하다.
도 15를 참조하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각 내부 사용자의 일반 데이터를 보여준다. 데이터 베이스는 일반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각 내부 사용자가 서로 접근 가능한 일반 데이터를 분류한다. 예를 들어, 일반 데이터의 한 종류인 미디어 컨텐츠 중 <image 1, image 2, video 1>은 내부 사용자 <Amaresh>의 일반 데이터이고, 내부 사용자 <Ms. Kim>은 <image 1, image 2, video 1>에 접근할 수 있다. 미디어 컨텐츠 중 <image 2, image 3, video 2>는 내부 사용자 <Ms. Kim>의 일반 데이터이고, 내부 사용자 <Amaresh>는 <image 2, image 3, video 2>에 접근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6 및 도 17을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은 복수의 내부 사용자가 인식된 경우, 하나의 내부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화 데이터에 접근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실시 예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복수의 내부 사용자들(<Amaresh>, <Ms. Kim>)이 인식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내부 사용자 <Ms. Kim>의 전자 기기로부터 개인화 데이터 접근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개인화 데이터 접근 요청은 <Ms. Kim>의 개인화 데이터 접근의 허여를 인증할 수 있는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Ms. Kim>의 개인화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허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인증 정보가 기 저장된 <Ms. Kim>의 인증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Ms. Kim>의 개인화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거부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데이터 베이스는 빅 데이터의 종류들 각각에 대해 내부 사용자 <Amaresh>의 일반 데이터 및 개인화 데이터, 내부 사용자 <Ms. Kim>의 일반 데이터 및 개인화 데이터를 구분하여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빅 데이터의 한 종류인 미디어 컨텐츠는 내부 사용자 <Amaresh>의 일반 데이터인 <image 1, video 1>, 내부 사용자 <Amaresh>의 개인화 데이터인 <image 2, video 2>, 내부 사용자 <Ms. Kim>의 일반 데이터인 <image 3, video 3>, 내부 사용자 <Ms. Kim>의 개인화 데이터인 <image 4, video 4>를 포함한다.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Ms. Kim>의 개인화 데이터에 대한 접근이 허여된 경우, <Ms. Kim>는 내부 사용자 <Amaresh>가 인식된 경우라더라도, 자신의 개인화 데이터에 접근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8 및 도 19를 설명한다.
도 18 및 도 19는 복수의 내부 사용자가 인식된 후, 하나의 내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으로부터 사라진 경우, 남아있는 내부 사용자의 빅 데이터 접근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복수의 내부 사용자들(<Amaresh>, <Ms. Kim>)이 인식된 상태에서 내부 사용자 <Ms. Kim>이 사라진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Ms. Kim>의 빅 데이터를 제거할 수 있다. 내부 사용자 <Ms. Kim>이 사라진 경우란, 내부 사용자 <Ms. Kim>이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영상 획득부(171)가 내부 사용자 <Ms. Kim>을 인식할 수 없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내부 사용자 <Ms. Kim>이 사라진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Amaresh>의 빅 데이터 중 개인화 데이터에 대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Amaresh>은 자신의 일반 데이터 및 개인화 데이터에 모두 접근 가능하다.
도 19를 참조하면, 데이터 베이스에는 도 18과 비교하여 내부 사용자 <Ms. Kim>의 일반 데이터 및 개인화 데이터가 모두 제거되었다. <Amaresh>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일반 데이터 및 개인화 데이터에 모두 접근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20을 설명한다.
도 20은 복수의 내부 사용자들의 공통된 외부 사용자로부터 빅 데이터의 접근이 요청된 경우, 외부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데이터의 범위를 설명하는 실시 예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복수의 내부 사용자들(<Amaresh>, <Ms. Kim>)이 인식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공통된 외부 사용자 <Mr. Han>의 전자 기기로부터 빅 데이터 접근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내부 사용자 <Amaresh>의 일반 데이터 및 <Ms. Kim>의 일반 데이터에 대해 잠금을 해제하고, 내부 사용자 <Amaresh>의 개인화 데이터 및 <Ms. Kim>의 개인화 데이터에 대해서는 잠금 설정을 할 수 있다. 즉, 공통된 외부 사용자 <Mr. Han>은 단지 <Amaresh>의 일반 데이터 및 <Ms. Kim>의 일반 데이터에만 접근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21을 설명한다.
도 21은 복수의 내부 사용자들의 공통된 외부 사용자로부터 내부 사용자의 개인화 데이터에 대한 접근이 요청된 경우, 처리 과정을 설명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복수의 내부 사용자들(<Amaresh>, <Ms. Kim>)이 인식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공통된 외부 사용자 <Mr. Han>의 전자 기기로부터 내부 사용자 <Amaresh>의 개인화 데이터에 대한 접근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개인화 데이터에 대한 접근 요청에 대응하여 내부 사용자 <Amaresh>로부터 접근 허여 응답을 수신한 경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Amaresh>의 개인화 데이터를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즉, 공통된 외부 사용자 <Mr. Han>은 접근 허여 응답에 따라 <Amaresh>의 개인화 데이터에도 접근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22를 설명한다.
도 22는 복수의 내부 사용자가 인식된 후, 하나의 내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으로부터 사라진 경우, 공통된 외부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빅 데이터의 범위를 설명하는 실시 예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복수의 내부 사용자들(<Amaresh>, <Ms. Kim>)이 인식된 상태에서 내부 사용자 <Ms. Kim>이 사라진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Ms. Kim>의 빅 데이터를 제거할 수 있다. 만약,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공통된 외부 사용자 <Mr. Han>의 전자 기기로부터 빅 데이터의 접근 요청을 수신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라진 내부 사용자 <Ms. Kim>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재 인식되기 전까지 <Ms. Kim>의 빅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다. <Mr.Han>은 단지 <Amaresh>의 일반 데이터에만 접근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23을 설명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외부 사용자의 빅 데이터 접근 요청에 따른 결과를 보여준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내부 사용자 <Amaresh>의 프로파일 정보에 등록된 외부 사용자 <Mr.Ali>의 모바일 폰(500)로부터 빅 데이터의 접근 요청을 수신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사용자 <Mr.Ali>의 모바일 폰이 내부 사용자 <Amaresh>의 일반 데이터에 접근 가능함을 알리는 <Mr.Ali>의 얼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사용자 <Mr.Ali>의 모바일 폰은 내부 사용자 <Amaresh>의 얼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내부 사용자 <Amaresh>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Mr.Ali>의 모바일 폰에 저장된 <Mr.Ali>의 일반 데이터에 접근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내부 사용자 <Amaresh>의 프로파일 정보에 등록된 외부 사용자 <Mr.Han>의 랩탑(600)로부터 빅 데이터의 접근 요청을 수신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사용자 <Mr. Han>의 랩탑(600)이 내부 사용자 <Amaresh>의 일반 데이터에 접근 가능함을 알리는 <Mr.Han>의 얼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사용자 <Mr.Han>의 랩탑(600은 내부 사용자 <Amaresh>의 얼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부 사용자는 어떤 외부 사용자가 자신의 빅 데이터에 접근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고, 외부 사용자는 어떤 내부 사용자의 빅 데이터에 접근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