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원은 생분해성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biodegradable stent.
스텐트(stent)는 일반적으로 협착에 의해 좁아진 병변부위의 내강의 직경을 개선시키고, 확장된 내강으로의 물질 이동이 원활히 진행되도록 이동통로를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tent generally improves the diameter of the lumen of the lesion area narrowed by stenosis, and serves to secure a movement path so that the material movement to the expanded lumen proceeds smoothly.
최근에는, 스텐트를 항암제, 항혈소판제 등의 약물을 코팅하여, 내강에 설치된 상태에서 코팅층에 포함된 약물을 방출시킬 수 있는 스텐트가 개발되고 있다. 이에 의해, 스텐트는 내강의 직경 회복과 동시에 약물 방출을 통한 병변부위의 치료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Recently, a stent has been developed that can release a drug contained in the coating layer in a state installed in the lumen by coating the stent with drugs such as anticancer agents and antiplatelet agents. Accordingly, the stent can provide a therapeutic effect of the lesion site through drug release while recovering the diameter of the lumen.
또한, 종래의 금속 스텐트는 병변부위에 시술한 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다시 제거할 필요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스텐트의 제거술로 인한 환자의 고통과 비용의 부담을 줄이고, 스텐트 제거 수술 과정에서 동맥벽 등에 상처를 냄으로써 염증 반응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체내에서 자연적으로 분해되는 생분해성 폴리머(polymer)로 구성된 스텐트의 개발이 활발하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etal stent needs to be removed agai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the treatment on the lesion area, reducing the burden of pain and cost of the patient due to the removal of the stent, and injuries to the arterial wall during the stent removal procedu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causes an inflammatory reaction by releasing it, the development of stents composed of biodegradable polymers that naturally degrade in the body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is active.
이러한 스텐트는 체내의 혈관 등에 삽입되어 협착 부위의 직경을 원래대로 확장시키고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팽창력이 좋아야하며, 스텐트가 굴곡진 혈관에 삽입될 경우, 혈관벽이나 카테터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스텐트 자체의 유연성이 좋아야 한다. 이에 따라, 새로이 개발되고 있는 스텐트의 경우에도 팽창력 및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스텐트 구조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These stents are inserted into blood vessels in the body to expand the diameter of the constricted area as it was, and have good expansion force so that it can be maintained continuously.When the stent is inserted into a curved blood vessel, the flexibility of the stent itself is not damaged to damage the vessel wall or the catheter. It should be good. Accordingly, even in the case of a newly developed stent, the development of a stent structure for improving the expansion force and flexibility is continuously required.
즉, 스텐트의 다양한 측면에서의 성능(유연성, 파쇄저항력, 탄성회복율, 포어쇼트닝(foreshortening)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의 개발이 필요하다.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flexibility, crushing resistance, elastic recovery rate, foreshortening, etc.) in various aspects of the stent.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21746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technology behind the present applica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821746.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연성, 파쇄저항력, 탄성회복율, 포어쇼트닝 등의 성능이 현저히 향상된 생분해성 스텐트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iodegradable stent having remarkably improved performance such as flexibility, crush resistance, elastic recovery rate, and pore shortening.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스텐트는, 생분해성 물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스텐트의 외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물결 형태의 제1 링크부와, 상기 복수의 제1 링크부 중 상호 인접한 2개의 제1 링크부를 소정의 간격마다 연결하는 복수의 직선 형태의 제2 링크부를 포함하고, 물결 형상의 캐비티(cavity)를 갖는 복수의 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셀 중 상기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어느 2개의 셀 각각을 이루는 제2 링크부는 상기 스텐트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불연속적일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biodegradable s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made of a biodegradable material and extend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en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tent A plurality of wave-shaped first link portions arranged spaced apart by a plurality of first link portions, and a plurality of straight second link portions connecting two adjacent first link portions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link portions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cluding a plurality of cells having a wavy cavity (cavity), the second link portion forming each of any two cells adjacent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tent among the plurality of cells is discontinuous based o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tent I can.
또한, 상기 제2 링크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링크부 중 상호 인접한 2개의 제1 링크부를 상기 스텐트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link portion may connect two adjacent first link portions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link portions in parallel with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tent.
또한, 상기 제1 링크부는, 산과 골이 반복되면서 물결 형태를 이루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link portion may form a wave shape while repeating mountains and valleys.
또한, 상기 제2 링크부는, 상기 스텐트의 길이 방향의 양단 중 어느 일단에서 타단을 바라본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제1 링크부 중 상호 인접한 2개의 제1 링크부의 골과 골 또는 산과 산을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link portion, based on a direction viewed from one end of both ends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tent, the two first link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link portions, I can connect.
또한, 상기 제2 링크부는, 상기 제1 링크부의 산 또는 골에 대해, 2개의 산마다 또는 2개의 골마다 한 번씩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link unit may connect once every two mountains or every two valleys with respect to the mountain or valley of the first link unit.
또한, 상기 제2 링크부가 연결되는 복수의 산 또는 골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링크부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원점을 갖는 복수의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peaks or valleys to which the second link unit is connected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curved surfaces having different origins around the second link unit.
또한, 상기 곡면에 대응되는 곡률 반지름은, 상기 제2 링크부가 연결되지 않는 산 또는 골의 곡률 반지름보다 작을 수 있다.In addition, a radius of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urface may be smaller than a radius of curvature of a mountain or valley to which the second link portion is not connected.
또한, 상기 제2 링크부가 연결되지 않는 산 또는 골의 곡률 반지름은, 0.6129mm 이상 0.6775mm 이하의 범위에 속할 수 있다.In addition, a radius of curvature of a mountain or valley to which the second link portion is not connected may be in a range of 0.6129 mm or more and 0.6775 mm or less.
또한, 상기 곡면에 대응되는 곡률 반지름은, 0.2771mm 이상 0.3063mm 이하의 범위에 속할 수 있다.In addition, a radius of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urface may belong to a range of 0.2771 mm or more and 0.3063 mm or less.
또한, 상기 복수의 셀 중 하나의 셀을 이루는 제1 링크부는, 산과 골 중 어느 하나는 2개 나머지 하나는 1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link unit constituting one cell among the plurality of cells may include one of the peaks and valleys, and one of the other ones.
또한, 상기 제1 링크부와 상기 제2 링크부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곡면으로서, 상기 셀 내부 테두리에 대응되는 곡면의 곡률 반지름은, 0.0848 mm 이상 0.0938mm 이하의 범위에 속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 curved surface formed by connecting the first link portion and the second link portion, a radius of curvature of the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edge of the cell may fall within a range of 0.0848 mm or more and 0.0938 mm or less.
또한, 상기 복수의 제2 링크부 중 하나의 제2 링크부의 폭은, 상기 복수의 제1 링크부 중 하나의 제1 링크부의 폭보다 짧을 수 있다.In addition, a width of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link portions may be shorter than a width of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link portions.
또한, 상기 하나의 제1 링크부의 폭은, 0.1781mm 이상 0.1969 이하의 범위에 속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one first link portion may belong to a range of 0.1781 mm or more and 0.1969 or less.
또한, 상기 하나의 제2 링크부의 폭은, 0.0902mm 이상 0.0996 이하의 범위에 속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one second link portion may belong to a range of 0.0902 mm or more and 0.0996 or less.
또한, 상기 제1 링크부와 관련된 상기 소정의 거리는, 상기 제2 링크부와 관련된 상기 소정의 간격보다 짧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distance related to the first link unit may be shorter than the predetermined distance related to the second link unit.
또한, 상기 소정의 거리는, 0.7611 mm 이상 0.8411mm 이하의 범위에 속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long to a range of 0.7611 mm or more and 0.8411 mm or less.
또한, 상기 스텐트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스텐트의 두께는, 0.1000mm 이상 0.1500mm 이하의 범위에 속할 수 있다.In addition, based on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tent, the thickness of the stent may fall within a range of 0.1000mm or more and 0.1500mm or less.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re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applica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additional embodiments may exist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물결 형상의 캐비티(cavity)를 갖는 복수의 셀을 포함하고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어느 2개의 셀 각각을 이루는 제2 링크부를 불연속적으로 구비함으로써, 유연성, 파쇄저항력, 탄성회복율, 포어쇼트닝 등의 성능이 현저히 향상된 생분해성 스텐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by including a plurality of cells having a wavy cavity (cavity) and discontinuously providing a second link portion constituting each of any two cells adjacent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tent, flexibility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biodegradable stent with remarkably improved performance such as crushing resistance, elastic recovery rate, and pore shortening.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스텐트의 구조를 이루는 각 부분의 치수를 최적화함으로써, 유연성, 파쇄저항력, 탄성회복율, 포어쇼트닝 등의 성능이 현저히 향상된 생분해성 스텐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by optimizing the dimensions of each part constituting the structure of the stent,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biodegradable stent having remarkably improved performance such as flexibility, crush resistance, elastic recovery rate, and pore shortening. .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effect obtainable in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effects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may exist.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스텐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스텐트의 전개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스텐트의 측면도이다.
도 4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스텐트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스텐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스텐트의 유연성을 평가하기 위해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스텐트에 대해 평행판을 이용한 파쇄저항력을 평가하기 위해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스텐트에 대해 평행판을 이용한 파쇄저항력을 평가하기 위해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할 때의 초기 상태와 최종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스텐트에 대해 평행판을 이용한 파쇄저항력을 평가하기 위해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할 때의 일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스텐트의 탄성회복율 및 포어쇼트닝을 평가하기 위해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스텐트의 탄성회복률 및 포어쇼트닝을 평가하기 위해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할 때의 여러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iodegradable s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a biodegradable s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3 is a side view of a biodegradable s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4A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a biodegradable s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iodegradable s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performing finite element analysis to evaluate the flexibility of a biodegradable s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6A is a view for explaining performing finite element analysis to evaluate crushing resistance using a parallel plate for a biodegradable s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6B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initial state and a final state when a finite element analysis is performed to evaluate crushing resistance using a parallel plate for a biodegradable s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6C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n a finite element analysis is performed to evaluate crushing resistance using a parallel plate for a biodegradable s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7A is a view for explaining performing finite element analysis to evaluate the elastic recovery rate and pore shortening of a biodegradable s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7B is a view for explaining various states when finite element analysis is performed to evaluate the elastic recovery rate and pore shortening of the biodegradable s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application. However,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applica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or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the case.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positioned "on", "upper", "upper", "under", "lower", and "lower" of another member, this means that a member is located on another member.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y are in contact but also the case where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he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원의 생분해성 스텐트는, 예를 들어, 관상동맥 병변으로 인한 심장질환을 가진 환자의 혈관 내 직경을 개선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뇌혈관 질환에 사용되는 뇌혈관용 스텐트 등의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The biodegradable st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or example, may be used to improve the intravascular diameter of a patient with heart disease due to a coronary artery les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erebrovascular stent used for cerebrovascular disease, etc.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applications.
또한, 본원의 생분해성 스텐트는 생분해성 물질로 이루어진 것이다. 예시적으로, 본원의 생분해성 스텐트는 체내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스스로 분해되는 생체에 적합한 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그러한 고분자로는, 이하 설명될 본원의 생분해성 스텐트의 구조로 구현 가능한 기 개발된 생분해성 고분자(Biodegradable Polymer) 및 향후 개발될 생분해성 고분자가 넓게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iodegradable st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made of a biodegradable material. For example, the biodegradable st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manufactured using a biocompatible polymer that decomposes by itself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e body,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as such a polymer, a previously developed biodegradable polymer capable of implementing the structure of the biodegradable st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o be described below and a biodegradable polymer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can be widely applied.
한편, 설명의 편의상, 본원 명세서에서 생분해성 스텐트는 스텐트로 축약하여 지칭될 수 있다.Meanwhi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biodegradable stent may be abbreviated as a stent.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스텐트(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스텐트(10)의 전개도이며,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스텐트(10)의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이하의 설명에서, 스텐트(10)의 길이 방향이라 함은, 도 1을 기준으로 10시-4시 방향을 의미하고, 도 2 및 도 3을 기준으로 9시-3시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스텐트(10)의 외주 방향이라 함은, 도 1 및 도 3의 스텐트(10)가 권취된 상태에서의 외주 방향을 의미하고, 이는 도 2의 스텐트(10)가 전개된 상태에서의 12시-6시 방향에 대응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스텐트(10)는 물결 형상의 캐비티(cavity)를 갖는 복수의 셀(10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셀(100)은, 스텐트(10)의 외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스텐트(1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물결 형태의 제1 링크부(110)와, 복수의 제1 링크부(110) 중 상호 인접한 2개의 제1 링크부(110)를 소정의 간격마다 연결하는 복수의 직선 형태의 제2 링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3, the
달리 말해, 스텐트(10)는 복수의 물결 형태의 제1 링크부(110)와 복수의 직선 형태의 제2 링크부(120)로 인해 형성(정의)되는 물결 형상의 캐비티를 갖는 복수의 셀(100)이 스텐트(10)의 외주 방향 및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셀(100)은 스텐트(10)의 외주 방향으로는 제2 링크부(120)를 통해 인접하고, 스텐트(10)의 길이 방향으로는 제1 링크부(110)를 통해 인접하여 배열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또한, 복수의 셀(100) 각각은, 제1 링크부(110)가 스텐트(1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열되고, 제2 링크부(120)가 상호 인접한 2개의 제1 링크부(110)를 소정의 간격마다 연결함으로써, 스텐트(10)의 길이 방향 및 외주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캐비티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캐비티의 길이 방향의 소정의 폭은 복수의 제1 링크부(110)가 이격되어 배열되는 소정의 거리에 대응되고, 캐비티의 외주 방향의 소정의 폭은 복수의 제2 링크부(120)가 연결되는 소정의 간격에 대응될 수 있다.In addition, in each of the plurality of
달리 말해, 복수의 셀(100) 중 하나의 셀(100)은 상호 인접한 2개의 제1 링크부(110)와 상호 인접한 2개의 제1 링크부(110)를 연결하는 상호 인접한 2개의 제2 링크부(120) 2개로 정의될 수 있다.In other words, one
또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제2 링크부(120)는 복수의 제1 링크부(110) 중 상호 인접한 2개의 제1 링크부(110)를 스텐트(1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or example, the
즉,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10) 구조의 주된 뼈대 역할은 제1 링크부(110)가 수행하고, 제2 링크부(120)는 원통 형상의 스텐트가 마련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나열된 제1 링크부(110) 중 상호 인접한 제1 링크부 간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at is, the main skeleton role of the
따라서, 각 셀(100)이 갖는 캐비티의 형상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10) 구조의 주된 뼈대 기능을 하는 제1 링크부(110)의 형태에 따라 물결 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셀(100)을 이루는 제1 링크부(110)의 길이가 제2 링크부(120)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됨으로써, 캐비티의 형상이 전반적으로 물결 형태의 제1 링크부(110)의 형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셀(100)을 이루는 제1 링크부(110)의 길이가 제2 링크부(120)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된다는 것은, 상호 인접한 2개의 제1 링크부(110)가 이격되어 배열된 거리보다 그러한 제1 링크부(110)를 연결하는 상호 인접한 2개의 제2 링크부(120)의 간격이 보다 멀게 구비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erefore, the shape of the cavity of each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셀(100) 중 스텐트(10)의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어느 2개의 셀(100, 100') 각각을 이루는 제2 링크부(120, 120')는 스텐트(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불연속적일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2, the
즉, 스텐트(10)의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어느 2개의 제2 링크부(120, 120')는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스텐트(10)의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어느 2개의 제2 링크부(120, 120')는 하나의 제1 링크부(110)에 연결되되, 하나는 스텐트(10)의 길이 방향의 일측으로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스텐트(10)의 길이 방향의 타측으로 연결되는 모든 쌍의 제2 링크부를 넓게 포함할 수 있다.That is, any two
이에 의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10)는 유연성 등의 스텐트의 구조적 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한편, 제1 링크부(110)의 물결 형태는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달리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산'과 '골'은 스텐트의 구조를 설명할 때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스텐트(10)를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제1 링크부(110)의 산과 골은 그 반대가 될 수 있으므로, 본원에서 '산 또는 골'로 표현되는 것은 이러한 측면에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wave shape of the
제2 링크부(120)는 스텐트(10)의 길이 방향의 양단 중 어느 일단에서 타단을 바라본 방향을 기준으로, 복수의 제1 링크부(110) 중 상호 인접한 2개의 제1 링크부(110, 110')의 골과 골 또는 산과 산을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The
도 2를 참조하면, 스텐트(10)의 길이 방향의 양단 중 어느 일단에서 타단을 바라본 방향은 9시 방향(3시 방향에서 9시 방향을 바라본 방향) 또는 3시 방향(9시 방향에서 3시 방향을 바라본 방향)일 수 있다. 9시 방향을 기준으로, 제2 링크부(120)는 상호 인접한 2개의 제1 링크부(110, 110')의 산과 산을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3시 방향을 기준으로, 제2 링크부(120)는 상호 인접한 2개의 제1 링크부(110, 110')의 골과 골을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direction as viewed from one end of the
또한, 제2 링크부(120)는, 제1 링크부(110)의 산 또는 골에 대해, 2개의 산마다 또는 2개의 골마다 한번씩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즉, 제1 링크부(110)가 산과 골이 번갈아 반복되면서 물결 형태를 이룰 때, 제2 링크부(120)가 제1 링크부(110)의 어느 산 또는 골에 연결되는 경우, 그 다음 산 또는 골에는 연결되지 않고, 한 개 건너뛴 그 다음 산 또는 골에 연결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이를 셀(100) 측면에서 이해하면, 복수의 셀(100) 중 하나의 셀(100)을 이루는 제1 링크부(110)는, 산과 골 중 어느 하나는 2개 나머지 하나는 1개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셀(100) 중 하나의 셀(100)을 이루는 제1 링크부(110)는 산 2개와 골 1개를 포함하거나, 골 2개와 산 1개를 포함할 수 있다.If this is understood from the side of the
여기서, 하나의 셀(100)을 이루는 제1 링크부(110)는 스텐트(10)의 외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링크부(110) 중에서 하나의 셀(100)의 테두리에 대응되는 제1 링크부(110)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스텐트(10)의 외주 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인접한 2개의 제2 링크부(120) 사이의 제1 링크부(110)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즉, 제2 링크부(120)가 상호 인접한 2개의 제1 링크부(110, 110')의 산과 산을 연결하는 경우(9시 방향 기준), 하나의 셀(100)을 이루는 제1 링크부(110, 110')는 골 2개와 산 1개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링크부(120)가 상호 인접한 2개의 제1 링크부(110, 110')의 골과 골을 연결하는 경우(3시 방향 기준), 하나의 셀(100)을 이루는 제1 링크부(110, 110')는 산 2개와 골 1개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제2 링크부(120)가 연결되는 복수의 산 또는 골 중 적어도 일부는, 제2 링크부(120)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원점을 갖는 복수의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도 4a를 참조하여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3,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peaks or valleys to which the
도 4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스텐트(10)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4A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도 2 및 도 4a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제2 링크부(120)가 연결되는 제1 링크부(110)의 산(9시 방향) 또는 골(3시 방향) 중 적어도 일부는, 하나의 원점을 갖는 곡면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제2 링크부(120)를 기준으로 일측 및 타측에 존재하는 서로 다른 원점을 갖는 2개의 곡면이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2 and 4A, for example, at least some of the peaks (9 o'clock) or valleys (3 o'clock) of the
또한, 도 4a를 참조하면, 제2 링크부(120)가 연결되는 제1 링크부(110)의 산 또는 골 중 복수의 곡면으로 이루어진 산 또는 골에 대하여, 상기 곡면에 대응되는 곡률 반지름(R3)은, 제2 링크부(120)가 연결되지 않는 (제1 링크부(110)의) 산 또는 골의 곡률 반지름(R1)보다 작게 설정(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4A, for a mountain or valley formed of a plurality of curved surfaces among the mountains or valleys of the
구체적으로, 상기 곡면에 대응되는 곡률 반지름(R3)은, 0.2771mm 이상 0.3063mm 이하의 범위에 속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링크부(120)가 연결되지 않는 산 또는 골의 곡률 반지름(R1)은, 0.6129mm 이상 0.6775mm 이하의 범위에 속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곡면에 대응되는 곡률 반지름(R3)은, 0.2771mm 내지 0.3063mm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0.2917mm일 수 있다. 또한, 제2 링크부(120)가 연결되지 않는 산 또는 골의 곡률 반지름(R1)은, 0.6129mm 내지 0.6775mm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0.6452mm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radius of curvature R3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urface may be set to fall within a range of 0.2771 mm or more and 0.3063 mm or less. In addition, the radius of curvature R1 of the mountain or valley to which the
또한, 전술한 바에 의하면, 제1 링크부(110)와 제2 링크부(120)의 연결에 의해 복수의 셀(100)이 형성된다. 이 때, 복수의 셀(100) 중 하나의 셀(100)을 이루는 제1 링크부(110) 및 제2 링크부(120)는 셀(100)의 테두리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제1 링크부(110)와 제2 링크부(120)가 연결됨으로써 형성되는 폐곡선 또는 폐곡면이 곧 각 셀(100)의 테두리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제1 링크부(110) 및 제2 링크부(120)가 소정의 두께(폭)를 가지는 것을 고려하면, 상기 테두리는 하나의 셀(100)에 대하여, 내부 테두리 및 외부 테두리가 존재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foregoing, a plurality of
도 4a를 참조하면, 제1 링크부(110)와 제2 링크부(120)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곡면으로서, 셀(100) 내부 테두리에 대응되는 곡면의 곡률 반지름(R2)은, 0.0848mm 이상 0.0938mm 이하의 범위에 속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링크부(110)와 제2 링크부(120)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곡면은, 보다 정확하게는 제1 링크부(110)와 제2 링크부(120)가 연결되는 연결 지점에 대응되는 곡면을 의미하거나, 제1 링크부(110)에서 제2 링크부(120)로(또는 그 반대로) 꺾이는 지점에 대응되는 곡면을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A, as a curved surface formed by connecting the
다시 말해, 제1 링크부(110)와 제2 링크부(120)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곡면으로서 셀(100) 내부 테두리에 대응되는 곡면의 곡률 반지름(R2)은, 0.0848mm 내지 0.0938mm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0.0893mm일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radius of curvature R2 of the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rim of the
한편, 도 1 내지 도 4a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1 링크부(110) 및 복수의 제2 링크부(120)는 소정의 폭(두께)을 가진다. 특히, 도 4a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2 링크부(120) 중 하나의 제2 링크부(120)의 폭(W2)은, 복수의 제1 링크부(110) 중 하나의 제1 링크부(110)의 폭(W1)보다 짧게(얇게) 설정(결정)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1 to 4A, the plurality of
구체적으로, 하나의 제1 링크부(110)의 폭은, 0.1781mm 이상 0.1969mm 이하의 범위에 속하고, 하나의 제2 링크부(120)의 폭은, 0.0902mm 이상 0.0996mm 이하의 범위에 속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나의 제1 링크부(110)의 폭은 0.1781mm내지 0.1969mm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0.1875mm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제2 링크부(120)의 폭은 0.0902mm 내지 0.0996mm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0.0949mm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width of one
또한, 전술한 바에 의하면, 복수의 제1 링크부(110)는 스텐트(10)의 외주 방향으로 연장되되, 스텐트(1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열되고, 복수의 제2 링크부(120)는 복수의 제1 링크부(110) 중 상호 인접한 2개의 제1 링크부(110)를 소정의 간격마다 연결하는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bove, the plurality of
이 때, 도 4a를 참조하면, 제1 링크부(110)와 관련된 상기 소정의 거리(L2)는, 제2 링크부(120)와 관련된 상기 소정의 간격(L1)보다 짧게(가깝게) 설정(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정의 거리(L2)는 0.7611mm 이상 0.8411mm 이하의 범위에 속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소정의 거리(L2)는 0.7611mm 내지 0.8411mm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0.8011mm일 수 있다.In this case, referring to FIG. 4A, the predetermined distance L2 related to the
한편, 제2 링크부(120)와 관련된 상기 소정의 간격(L1)은 스텐트(10)의 외주 길이 및 스텐트(10)의 외주 방향을 따라 나열되는 셀(100)의 개수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edetermined distance L1 related to the
도 4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스텐트(10)의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10)를 스텐트(10)의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잘랐을 때의 단면도이다.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도 4b를 참조하면, 스텐트(1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기준으로, 스텐트(10)의 두께(T)는, 0.1000mm 이상 0.1500mm 이하의 범위에 속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텐트(10)의 두께(T)는 0.1000mm 내지 0.1500mm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0.1300mm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4B, the thickness T of the
종합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스텐트(10)의 구체적인 구조를 결정하는 각 부분의 치수는 아래 표 1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참고로, 표 1의 제1 열의 항목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항목과 대응된다.In summary, the dimensions of each part that determines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상기의 스텐트(10)의 구조와 관련한 구체적인 수치 범위들은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구조 해석 결과를 기반으로 최적화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치 범위들은,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최적화된 수치를 기준으로 -5%에서 +5%까지의 범위로 설정된 것이다. 달리 말해, 상기의 수치 범위들은 최적화된 수치의 95%에서 최적화된 수치의 105%까지의 범위를 의미한다. 한편, 5%의 오차범위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허용오차범위에 해당하므로, 후술하는 최적화된 수치에 관한 성능 향상 결과는 해당 수치 범위 전반에 대해 동등한 정도로 나타날 것으로 합리적으로 기대할 수 있다.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스텐트(10)에 대해 유연성, 평행판을 이용한 파쇄저항력, 탄성회복율 및 포어쇼트닝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한 유한요소해석 방법 및 결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Specific numerical ranges related to the structure of the
이에 앞서, 금번의 유한요소해석에 사용한 스텐트(10)의 재료 특성은 하기 [표 2]와 같다.Prior to this, the material properties of the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스텐트의 유연성을 평가하기 위해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스텐트(10)의 유연성을 평가하기 위해, ASTM F 2606-08: Standard Guide for Three-point Bending of Balloon Expandable Vascular Stents and Stent Systems의 규격 조건에 맞게 해석 모델 및 조건을 정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설계된 스텐트(10)의 규격은 직경 3.0mm, 길이 18mm이며, 도 5의 (a)를 참조하면, ASTM 시험 규격에 의한 시험 조건으로는 Span Length 11mm, Maximum Deflection 2.2mm로 경계조건 및 하중조건을 정의하였다.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performing finite element analysis to evaluate the flexibility of a biodegradable s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o evaluate the flexibility of the
도 5의 (b)를 참조하면, lower static supports에 대해 6개의 자유도에 모두 고정 구속을 부여하고, upper load applicator에 스텐트(10)를 누를 수 있도록 아래 방향으로 2.2mm의 강제 변위를 주었으며, 스텐트(10)와 lower static supports 및 upper load applicator에 미끄러짐 및 분리가 가능한 접촉조건을 부여하여, 경계조건 및 하중조건을 부여하였다.Referring to FIG. 5(b), fixed constraints were given to all six degrees of freedom for lower static supports, and a forced displacement of 2.2 mm was given downward so that the
여기서, upper load applicator가 스텐트(10) 방향으로 2.2mm 이동했을 때, upper load applicator에 걸리는 접촉반력을 통해 스텐트(10)의 유연성을 평가할 수 있으며, 접촉반력이 작을수록 유연한 스텐트이다.Here, when the upper load applicator moves 2.2mm in the direction of the
도 6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스텐트(10)에 대해 평행판을 이용한 파쇄저항력을 평가하기 위해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스텐트(10)에 대해 평행판을 이용한 파쇄저항력을 평가하기 위해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할 때의 초기 상태와 최종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 6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스텐트(10)에 대해 평행판을 이용한 파쇄저항력을 평가하기 위해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할 때의 일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A is a view for explaining performing a finite element analysis to evaluate the crushing resistance using a parallel plate for the
스텐트(10)의 평행판을 이용한 파쇄저항력을 평가하기 위해, FDA Guidance: Non-Clinical Tests and Recommended labeling for Intravascular Stents and Associated Delivery Systems 제안 조건에 맞게 해석 모델 및 조건을 정의하였다.In order to evaluate the crushing resistance of the
도 6a를 참조하면, 설계된 스텐트(10)의 규격은 직경 3.0mm, 길이 18mm이며, 시험 규격에 의한 시험 조건으로는 스텐트 직경(3.0mm)의 50%까지 압축(지름 감소)된 상태에서 Radial force 즉, Maximum Deflection 1.5mm로 경계조건 및 하중조건을 정의하였다.6A, the standard of the designed
도 6b를 참조하면, 해석 모델에 대해 고차 사면체 기준으로 유한요소모델을 작성하였으며, 경계조건의 부여와 결과 해석이 용이하도록 강체요소(RBE2)를 upper load applicator에 생성하였다.Referring to FIG. 6B, a finite element model was created based on a higher-order tetrahedron for the analysis model, and a rigid element (RBE2) was created in the upper load applicator to facilitate the provision of boundary conditions and result analysis.
구체적으로, lower static supports에 고정 구속을 부여하고, upper load applicator에 스텐트(10)를 누를 수 있도록 아래 방향으로 스텐트(10) 직경의 50% 지점인 1.5mm까지 강제 변위를 주었으며, 스텐트(10)와 lower static support 및 upper load applicator에 미끄러짐 및 분리가 가능한 접촉조건을 부여하여 경계조건 및 하중조건을 부여하였다.Specifically, a fixed restraint was given to the lower static supports, and a forced displacement was applied to the upper load applicator up to 1.5mm, which is 50% of the stent (10) diameter, so that the stent (10) can be pressed. And the lower static support and upper load applicator were given the sliding and separable contact conditions and the boundary conditions and load conditions.
도 6c를 참조하면, upper load applicator가 스텐트(10) 방향으로 1.5mm 이동했을 때 upper load applicator에 걸리는 접촉반력을 통해 스텐트의 팽창력을 평가할 수 있으며, 접촉반력이 클수록 팽창력이 좋은 스텐트이다.Referring to FIG. 6C, when the upper load applicator moves 1.5mm in the direction of the
도 7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스텐트(10)의 탄성회복율 및 포어쇼트닝(foreshortening)을 평가하기 위해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스텐트(10)의 탄성회복률 및 포어쇼트닝을 평가하기 위해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할 때의 여러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A is a view for explaining performing finite element analysis to evaluate the elastic recovery rate and foreshortening of the
스텐트(10)의 탄성회복을 평가하기 위해, 탄성회복 평가 시험 규격인 ISO 25539-2 (2012) Cardiovascular implants - Endovascular devices - Part 2: Vascular stents와 ASTM F2079 (2013) Standard Test Method for Measuring Intrinsic Elastic Recoil of Balloon-Expandable Stents의 규격 조건에 맞게 해석 모델 및 조건을 정의하였다.To evaluate the elastic recovery of the
또한, 스텐트(10)의 포어쇼트닝(foreshortening)을 평가하기 위해, 포어쇼트닝 평가 시험 규격인 ISO 25539-2 (2012) Cardiovascular implants - Endovascular devices - Part 2: Vascular stents와 ASTM F2081 (2013) Standard Guide for Characterization and Presentation of the Dimensional Attributes of Vascular stents의 규격 조건에 맞게 해석 모델 및 조건을 정의하였다.In addition, in order to evaluate the foreshortening of the
설계된 스텐트(10)의 규격은 직경 3.0mm, 길이 18mm이며, 그림 7a를 참조하면, 탄성회복 및 포어쇼트닝을 평가하는 시험 규격에 의한 시험 조건은 Initial state-Crimping-Expansion-Final state순서로 규정하였다.The standard of the designed
도 7b를 참조하면, Crimping은 반경 방향 -0.81mm(참고로, '-'는 스텐트의 내부 중심 방향을 의미함) 이동조건을 정의하였고, Expansion 시 반경 방향 1.0mm 이동조건, Elastic Recovery는 1point 3자유도 구속 조건을 부여하였다.Referring to FIG. 7B, the crimping is defined as a moving condition in the radial direction -0.81mm (for reference,'-' means the inner center direction of the stent). The degree of freedom constraint was given.
한편, Crimping 또는 Expansion 시, 소성변형이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when Crimping or Expansion, plastic deformation occurs.
위와 같은 스텐트의 재료 특성 및 규격과 스텐트의 다양한 성능 평가 시험 규격 및 조건에 따라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한 결과, 상기 [표 1]의 제3 열과 같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스텐트(10)의 수치가 최적화될 수 있다.As a result of performing finite elem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material properties and specifications of the stent and various performance evaluation test specifications and conditions of the stent, as shown in the third column of [Table 1], the
한편, 아래 표 3은, 최적화된 생분해성 스텐트(10)의 성능 향상 및 성능 향상률을 다른 수치를 갖는 스텐트와 비교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결과이다. (이 때, 비교 대상이 되는 스텐트의 수치로서, L2는 0.7984mm, R1은 0.5381mm, R2는 0.0747mm, R3은 0.2948mm, W1은 0.1625mm, W2는 0.0997mm, T는 0.1600mm이며, L2, R1, R2, R3, W1, W2, T는 최적화된 생분해성 스텐트(10)의 동일한 항목과 대응됨)On the other hand, Table 3 below is an exemplary result of comparing the performance improvement and performance improvement rate of the optimized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적화된 생분해성 스텐트(10)는 기존의 생분해성 스텐트와 비교하여 유연성, 파쇄저항력(팽창력), 탄성회복율, 포터쇼트닝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현저한 성능 향상 효과를 보인다.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3, the optimized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 스텐트
100: 셀
110: 제1 링크부
120: 제2 링크부10: stent
100: cell
110: first link unit
120: second link unit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39491AKR102210052B1 (en) | 2019-11-04 | 2019-11-04 | Biodegradable stent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39491AKR102210052B1 (en) | 2019-11-04 | 2019-11-04 | Biodegradable stent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210052B1true KR102210052B1 (en) | 2021-02-02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139491AActiveKR102210052B1 (en) | 2019-11-04 | 2019-11-04 | Biodegradable stent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210052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30081938A (en)* | 2021-11-30 | 2023-06-08 | 오스템카디오(주) | Manufacturung method for bioabsorbable stent with improved elastic recovery performance |
| KR20240084763A (en)* | 2022-12-07 | 2024-06-14 | 오스템카디오(주) | Stent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the sam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541972A (en)* | 1999-04-22 | 2002-12-10 | アドバンスド、カーディオバスキュラー、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Variable strength stent |
| KR20180121710A (en)* | 2017-04-28 | 2018-11-08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Medical stent based on 3d printing and printing method thereof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541972A (en)* | 1999-04-22 | 2002-12-10 | アドバンスド、カーディオバスキュラー、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Variable strength stent |
| KR20180121710A (en)* | 2017-04-28 | 2018-11-08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Medical stent based on 3d printing and printing method thereof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30081938A (en)* | 2021-11-30 | 2023-06-08 | 오스템카디오(주) | Manufacturung method for bioabsorbable stent with improved elastic recovery performance |
| KR102668067B1 (en) | 2021-11-30 | 2024-05-23 | 오스템카디오㈜ | Manufacturung method for bioabsorbable stent with improved elastic recovery performance |
| KR20240084763A (en)* | 2022-12-07 | 2024-06-14 | 오스템카디오(주) | Stent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the same |
| KR102692668B1 (en) | 2022-12-07 | 2024-08-06 | 오스템카디오(주) | Stent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the same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20200060848A1 (en) | Deformable lumen support devices and methods of use | |
| EP1743603B1 (en) | Flexible stent with excellent expandability and trackability | |
| US7291166B2 (en) | Polymeric stent patterns | |
| US8778010B2 (en) | Endoluminal prosthesis | |
| KR102210052B1 (en) | Biodegradable stent | |
| US20110251674A1 (en) | Expandable slide and lock stent | |
| JP2012500096A (en) | Axial slidable fixed expansion device | |
| WO2001026584A1 (en) | Stents with multilayered struts | |
| US20060224226A1 (en) | In-vivo radial orientation of a polymeric implantable medical device | |
| US20070208408A1 (en) | Non-foreshortening sheaths and assemblies for use | |
| JP6263532B2 (en) | Stent with actively varying ring density | |
| US20140277375A1 (en) | Reduced-profile slide and lock stent | |
| JP2009528112A (en) | Stent with deformable shape to optimize support and method of making the stent | |
| AU2006319006A1 (en) | Slide-and-lock stent | |
| CN108670510B (en) | An intracranial vascular stent with excellent flexibility | |
| US11304833B2 (en) | Intravascular stent having high fatigue performance | |
| US12414868B2 (en) | Intravascular stent having high fatigue performance | |
| KR20220067654A (en) | Jig for stent | |
| US20220346988A1 (en) | Stent | |
| KR101740716B1 (en) | Damping type stent | |
| JP5011604B2 (en) | Stent | |
| KR101512234B1 (en) | Wire stent | |
| JP7048094B2 (en) | Medical indwelling device with bistable structure | |
| KR101501933B1 (en) | Apparatus of stent with Radiated elastic compression | |
| WO2006035669A1 (en) | Soft stent excellent in vascular follow-up and dilation nature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U-3-3-T10-T11-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U-3-3-T10-T11-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