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2188530B1 - The tws module - Google Patents

The tws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530B1
KR102188530B1KR1020190163511AKR20190163511AKR102188530B1KR 102188530 B1KR102188530 B1KR 102188530B1KR 1020190163511 AKR1020190163511 AKR 1020190163511AKR 20190163511 AKR20190163511 AKR 20190163511AKR 102188530 B1KR102188530 B1KR 102188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earphone
module
wireless
head
transmis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35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성철
김인우
Original Assignee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텍 주식회사filedCritical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3511ApriorityCriticalpatent/KR102188530B1/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530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2188530B1/en
Expired - Fee Related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은 좌측 무선 이어폰과 우측 무선 이어폰을 포함하는 무선 이어폰 모듈로서, 무선 이어폰 각각은, 음향 송출구를 가지며, 귀 속에 삽입 가능한 헤드부, 헤드부로부터 이격된 바디부, 및 헤드부와 바디부를 연결하는 넥부를 포함하며, 좌측 무선 이어폰 및 우측 무선 이어폰 중 어느 하나의 바디부는 다른 하나의 바디부와 헤드부의 사이에 배치되게 결합 가능하여, 무선 이어폰 모듈의 충전 용이성 및 휴대의 편리성을 개선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earphone module including a left wireless earphone and a right wireless earphone, each of the wireless earphones, each having a sound transmission port, a head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ear, a body spaced apart from the head, and the head and the body It includes a neck to connect, and one of the left wireless earphone and the right wireless earphone can be coupled to be disposed between the other body and the head, thereby improving the ease of charging and the convenience of portability of the wireless earphone module. I can.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무선 이어폰 모듈{THE TWS MODULE}Wireless earphone module {THE TWS MODULE}

본 발명은 무선 이어폰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 및 휴대 편의성을 구비한 무선 이어폰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earphone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earphone module having convenience of charging and portability.

스피커란 음 신호를 포함한 전기적 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소밀파(疏密波)를 발생시켜 음파를 복사(輻射)하는 음향기기이다. 무선 이어폰은 위 스피커를 포함하며, 무선 통신으로 음향을 재생한다.A speaker is a sound device that converts electrical signals including sound signals into vibrations of a diaphragm, generates small waves in the air, and radiates sound waves. The wireless earphone includes the above speaker and reproduces soun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 이어폰 모듈은 스피커를 포함하는 무선 이어폰과 무선 이어폰을 수용하고, 충전하는 크래들을 포함한다. 크래들은 충전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며, 무선 이어폰을 수용하기 위해서 일정한 크기를 가진다. 이 경우, 충전 및 휴대 시 크래들을 지니고 다녀야 한다. 따라서, 크래들의 크기로 인해 휴대 시 불편이 따른다. 또한, 크래들이 없는 경우, 충전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다.The wireless earphone modu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a wireless earphone including a speaker and a cradle for receiving and charging the wireless earphone. The cradle contains a battery for charging and has a certain size to accommodate wireless earphones. In this case, you need to carry the cradle when charging and carrying. Therefore, there is inconvenience when carrying it due to the size of the cradle. In addition, if there is no cradle, there is a problem that charging is impossibl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충전 및 휴대 편의성을 구비한 무선 이어폰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earphone module having a charging and portable convenienc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이어폰 모듈은, 좌측 무선 이어폰과 우측 무선 이어폰을 포함하는 무선 이어폰 모듈로서, 무선 이어폰 각각은, 음향 송출구를 가지며, 귀 속에 삽입 가능한 헤드부, 헤드부로부터 이격된 바디부, 및 헤드부와 바디부를 연결하는 넥부를 포함하며, 좌측 무선 이어폰 및 우측 무선 이어폰 중 어느 하나의 바디부는 다른 하나의 바디부와 헤드부의 사이에 배치되게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wireless earphon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earphone module including a left wireless earphone and a right wireless earphone, wherein each of the wireless earphones has a sound transmission port, and It includes a head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inside, a body spaced apart from the head, and a neck that connects the head and the body, and any one of the left and right wireless earphones is between the other body and the hea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combined to be arranged.

본 발명에 따르면, 크래들이 없는 소형 크기로 휴대가 편리하다. 또한, 충전 등이 용이하여 사용도 편리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venient to carry with its compact size without cradle. In addition, it is easy to use as it is easy to char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이어폰 모듈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일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이어폰 모듈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선 이어폰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이어폰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무선 이어폰 모듈의 다른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무선 이어폰 모듈의 일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무선 이어폰 모듈의 타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a wireless earphon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the wireless earphone module shown in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ireless earphone module shown in FIG. 1.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earphone module shown in FIG. 1.
5 is another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ireless earphone module shown in FIG. 3.
6 is a side view of the wireless earphone module shown in FIG. 1.
7 is another side view of the wireless earphone module shown in FIG. 6.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이어폰 모듈(10)을 설명한다.Hereinafter, awireless earphone modu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이어폰 모듈(10)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일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이어폰 모듈(10)의 다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선 이어폰 모듈(10)의 분리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wireless earphone modu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thewireless earphone module 10 shown in FIG. 1, and FIG. 3 is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wireless earphone module 10 shown in FIG.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이어폰 모듈(10)은 크래들(cradle) 없이도 배터리 충전 및 휴대 편의성을 위해 좌측 무선 이어폰(L) 및 우측 무선 이어폰(R)을 포함한다. 특히, 무선 이어폰(100) 각각은 헤드부(110), 바디부(120) 및 넥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좌측 무선 이어폰(L) 및 우측 무선 이어폰(R) 중 어느 하나의 바디부(120)는 다른 하나의 바디부(120)와 헤드부(110)의 사이에 배치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좌측 무선 이어폰(L)과 우측 무선 이어폰(R)이 서로 결합되거나,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크래들 없이도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다.1 to 3, thewireless earphone modu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ft wireless earphone L and a right wireless earphone R for battery charging and portability without a cradle. do. In particular, each of thewireless earphones 100 includes ahead portion 110, abody portion 120 and aneck portion 130. Here, any one of the left wireless earphone L and the right wireless earphone R may be coupled to be disposed between theother body 120 and thehead 110. That is, the left wireless earphone L and the right wireless earphone R may be combin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refore, it is convenient to carry and use without a separate cradle.

바디부(120)는 메인 본체(121)와 보조 본체(123)를 포함한다. 메인 본체(121)는 넥부(130, Neck Portion)와 연결된다. 보조 본체(123)는 메인 본체(121)로부터 돌출되어 넥부(130)를 지지할 수 있다. 보조 본체(123)는 메인 본체(121)의 일 면으로부터, 메인 본체(1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메인 본체(121)와 보조 본체(123)는 넥부(130)를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각도 감쌀 수 있다. 즉, 무선 이어폰(100)들이 서로 결합 시, 어느 하나의 바디부(120)는 다른 하나의 넥부(130)를 감싼다. 일 실시 예로, 메인 본체(121)와 보조 본체(123)는 헤드부(110)에서 바라 볼 때, "L"자 또는 "ㄱ"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body part 120 includes amain body 121 and anauxiliary body 123. Themain body 121 is connected to the neck portion 130 (Neck Portion). Theauxiliary body 123 may protrude from themain body 121 to support theneck portion 130. Theauxiliary body 123 extends from one surface of themain body 121 in a direction away from themain body 121. Accordingly, themain body 121 and theauxiliary body 123 may wrap theneck portion 13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That is, when thewireless earphones 100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one of thebody parts 120 surrounds the other one of theneck parts 130. As an example, themain body 121 and theauxiliary body 123 may have a "L" shape or a "A" shape when viewed from thehead part 110.

넥부(130)는 헤드부(110)의 일측과 메인 본체(121)의 일측을 연결한다. 넥부(130)는 일 축(A)을 따라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넥부(130)는 음향 송출구(111)로부터 일 축(A)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된 헤드부(110)의 일측과 보조 본체(123)로부터 일 축(A)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된 메인 본체(121)의 일측을 연결한다. 따라서, 헤드부(110)와 바디부(120)는 일 축(A)으로부터 나란하게 연장된다.Theneck portion 130 connects one side of thehead portion 110 and one side of themain body 121. Theneck portion 130 extends along one axis (A). Specifically, theneck portion 130 is spaced apart from thesound transmission port 111 in a direction toward one axis (A) from one side of thehead portion 110 and from theauxiliary body 123 in a direction toward one axis (A) One side of themain body 121 is connected. Accordingly, thehead portion 110 and thebody portion 120 extend parallel from one axis A.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이어폰 모듈(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무선 이어폰 모듈(10)의 다른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무선 이어폰 모듈(10)의 일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무선 이어폰 모듈(10)의 타 측면도이다.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wireless earphone module 10 shown in FIG. 1, FIG. 5 is another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wireless earphone module 10 shown in FIG. 3, and FIG. 6 is One side view of the illustratedwireless earphone module 10 and FIG. 7 is another side view of thewireless earphone module 10 illustrated in FIG. 6.

도 1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무선 이어폰 모듈(10)은 무선 통신 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40)은 한 쌍의 무선 이어폰(100)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무선 통신 모듈(140)은 바디부(120)에 배치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40)은 좌측 무선 이어폰(L)과 우측 무선 이어폰(R) 간 데이터(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게 한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140)은 외부 디바이스(미도시)와 무선 통신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향 생성 모듈(113)은 음향을 생성할 수 있다.1 to 7, awireless earphone modu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0. The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0 may be disposed on each of the pair ofwireless earphones 100. As an example, the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0 may be disposed on thebody 120. The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0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data (signals) between the left wireless earphone L and the right wireless earphone R. In addition, the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0 may receive data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Accordingly, thesound generation module 113 may generate sound.

헤드부(110)는 음향 생성 모듈(113)을 포함한다. 즉, 음향 생성 모듈(113)은 헤드부(110)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생성 모듈(113)은 자계를 형성하는 자기 회로부(미도시)와 자계와의 상호작용하는 보이스 코일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보이스 코일부에 인가되는 전류(원)의 방향에 따라 보이스 코일부 또는 자기 회로부가 진동하여 음향을 생성할 수 있다.Thehead unit 110 includes asound generating module 113. That is, thesound generating module 113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of thehead unit 110. Thesound generating module 113 includes a magnetic circuit unit (not shown) that forms a magnetic field and a voice coil unit (not shown) that interacts with the magnetic field. The voice coil unit or the magnetic circuit unit may vibrate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circle) applied to the voice coil unit to generate sound.

바디부(120)는 배터리(125)와 송수신 단자(127)를 포함한다. 배터리(125)는 바디부(120)의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다. 송수신 단자(127)는 바디부(120)의 외면에 노출되게 배치된다. 송수신 단자(127)는 전원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한다. 즉, 좌측 무선 이어폰(L)의 송수신 단자(127)와 우측 무선 이어폰(R)의 송수신 단자(127)는 서로간에 전원(전력)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주고 받는다. 이에 의해, 좌측 무선 이어폰(L)과 우측 무선 이어폰(R) 상호간 충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충전을 위한 별도의 크래들이 필요 없다. 데이터 송수신은 업그레이드 등의 프로그램 설치 시 수행될 수 있다.Thebody 120 includes abattery 125 and a transmission/reception terminal 127. Thebattery 125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of thebody 120. The transmission/reception terminal 127 is disposed to be ex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body 120. The transmission/reception terminal 127 transmits and receives at least one of power and data. That is, the transmission/reception terminal 127 of the left wireless earphone L and the transmission/reception terminal 127 of the right wireless earphone R exchange at least one of power (power) and data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left wireless earphone L and the right wireless earphone R can be charged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cradle for charging. Data transmission/reception may be performed when a program such as an upgrade is installed.

송수신 단자(127)는 헤드부(110)를 향하는 바디부(120)의 외면(S)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좌측 무선 이어폰(L)과 우측 무선 이어폰(R)이 결합함과 동시에, 좌측 무선 이어폰(L)의 송수신 단자(127)와 우측 무선 이어폰(R)의 송수신 단자(127)가 접촉될 수 있다.The transmission/reception terminal 127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S of thebody portion 120 facing thehead portion 110. Accordingly, the left wireless earphone (L) and the right wireless earphone (R) are coupled, and at the same time, the transmission/reception terminal 127 of the left wireless earphone L and the transmission/reception terminal 127 of the right wireless earphone R are in contact. I can.

바디부(120)는 복수의 송수신 단자(127)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송수신 단자(127) 중 적어도 하나는 바디부(120)로부터 헤드부(110)를 향하여 돌출된다. 또한, 나머지 송수신 단자(127) 중 적어도 하나는 헤드부(110)에서 바디부(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바디부(120)의 외면으로부터 리세스(recess)된다. 즉, 일부의 송수신 단자(127)는 바디부(120)의 외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좌측 무선 이어폰(L)과 우측 무선 이어폰(R)이 결합 시, 좌측 무선 이어폰(L)의 돌출된 송수신 단자(127)는 우측 무선 이어폰(R)의 리세스된 송수신 단자(127)에 삽입 접속된다. 또한, 좌측 무선 이어폰(L)의 리세스된 송수신 단자(127)는 우측 무선 이어폰(R)의 돌출된 송수신 단자(127)를 수용하여 접속한다. 이에 의해, 송수신 단자(127)들이 정확하게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좌측 무선 이어폰(L)과 우측 무선 이어폰(R)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서로간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Thebody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ransmission/reception terminals 127.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reception terminals 127 protrudes from thebody portion 120 toward thehead portion 110.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remaining transmission/reception terminals 127 is recess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body portion 120 in a direction from thehead portion 110 toward thebody portion 120. That is, some of the transmission/reception terminals 127 may be installed by being recess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body 120. Here, when the left wireless earphone (L) and the right wireless earphone (R) are combined, the protruding transmission/reception terminal 127 of the left wireless earphone (L) is connected to the recessed transmission/reception terminal 127 of the right wireless earphone (R). Insertion is connected. In addition, the recessed transmission/reception terminal 127 of the left wireless earphone L receives and connects the protruding transmission/reception terminal 127 of the right wireless earphone R. Accordingly, the transmission/reception terminals 127 can be accurately connected. 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left wireless earphone (L) and the right wireless earphone (R), it is possible to prevent sepa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이어폰 모듈(10)은 케이블 단자(150)를 더 포함한다. 케이블 단자(150)는 좌측 무선 이어폰(L)과 우측 무선 이어폰(R)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 단자(150)는 USB 포트일 수 있다. 케이블 단자(150)는 무선 이어폰(100)과 외부 기기(미도시)를 연결한다. 여기서, 외부 기기가 전원인 경우, 무선 이어폰(100)의 배터리(125)는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가 데이터 제공 디바이스인 경우, 무선 이어폰(100)은 케이블 단자(150)를 통해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wireless earphone modu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cable terminal 150. Thecable terminal 150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left wireless earphone L and the right wireless earphone R. Thecable terminal 150 may be a USB port. Thecable terminal 150 connects thewireless earphone 100 and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Here, when the external device is a power source, thebattery 125 of thewireless earphone 100 may be charged. In addition, when the external device is a data providing device, thewireless earphone 100 may receive data through thecable terminal 15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이어폰 모듈(10)은 무선 충전 모듈(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이어폰 모듈(10)은 자석(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wireless earphone modu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wireless charging module 160. In addition, thewireless earphone modu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agnet (not shown).

무선 충전 모듈(160)은 좌측 무선 이어폰(L)과 우측 무선 이어폰(R)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무선 충전 모듈(160)이 좌측 무선 이어폰(L)과 우측 무선 이어폰(R)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케이블 단자(150)는 다른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2가지 기능의 모듈을 모두 구현하면서, 적은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송수신 단자(127)가 좌우측 무선 이어폰간 상호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Thewireless charging module 160 may be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left wireless earphone L and the right wireless earphone R. Preferably, thewireless charging module 160 may be disposed in one of the left wireless earphone L and the right wireless earphone R, and thecable terminal 150 may be disposed in the other. Thereby, it is possible to implement modules of both functions and arrange them in a small space.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reception terminal 127 enables mutual exchange between the left and right wireless earphones.

자석은 좌측 무선 이어폰(L)과 우측 무선 이어폰(R)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자석은 바디부(120)에서 송수신 단자(127)의 하부 또는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좌측 무선 이어폰(L)과 우측 무선 이어폰(R)의 결합력과 송수신 단자(127)들간 접속력 및 접속의 정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무선 이어폰 모듈(10)을 안정적으로 휴대할 수 있다.The magnet may be disposed on the left wireless earphone (L) and the right wireless earphone (R). As an example, the magnet may be disposed below or around the transmission/reception terminal 127 in thebody 12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left wireless earphone L and the right wireless earphone R, a connection force betwee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terminals 127, and accuracy of connection. In addition, thewireless earphone module 10 can be stably carri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이어폰 모듈(10)은 제어 모듈(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180)은 좌측 무선 이어폰(L)과 우측 무선 이어폰(R)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모듈(180)은 좌우측 무선 이어폰(L, R)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다. 제어 모듈(180)은 좌우측 무선 이어폰(L, R)의 송수신 단자(127)들의 접속 해제 시 외부 기기(디바이스)와 무선 통신하는 페어링 모드(PAIRING MODE)를 수행한다. 이에 의해, 자동으로 음향을 재생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 모듈(180)은 좌우측 무선 이어폰(L, R)의 송수신 단자(127)들이 접속되는 경우, 페어링 모드(PAIRING MODE)의 수행 및 음향 재생을 정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wireless earphone modu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control module 180. Thecontrol module 180 is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left wireless earphone L and the right wireless earphone R. Preferably, thecontrol module 180 is disposed in any one of the left and right wireless earphones L and R. Thecontrol module 180 performs a pairing mode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device) when the connection of the transmission/reception terminals 127 of the left and right wireless earphones L and R is disconnected. Thereby, sound can be automatically reproduced. Conversely, when the transmission/reception terminals 127 of the left and right wireless earphones L and R are connected, thecontrol module 180 may stop performing a pairing mode and playback of sound.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invention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10 : 무선 이어폰 모듈
100 : 무선 이어폰
110 : 헤드부
120 : 바디부
121 : 메인 본체
123 : 보조 본체
125 : 배터리
127 : 송수신 단자
130 : 넥부
140 : 무선 통신 모듈
150 : 케이블 단자
160 : 무선 충전 모듈
180 : 제어 모듈
L : 좌측 무선 이어폰
R : 우측 무선 이어폰
10: wireless earphone module
100: wireless earphone
110: head
120: body part
121: main body
123: auxiliary body
125: battery
127: transmission/reception terminal
130: neck
140: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50: cable terminal
160: wireless charging module
180: control module
L: Left wireless earphone
R: Right wireless earphone

Claims (11)

Translated fromKorean
좌측 무선 이어폰과 우측 무선 이어폰을 포함하는 무선 이어폰 모듈로서,
무선 이어폰 각각은,
음향 송출구를 가지며, 귀 속에 삽입 가능한 헤드부;
헤드부로부터 이격된 바디부; 및
헤드부와 바디부를 연결하는 넥부를 포함하며,
헤드부와 바디부는 넥부로부터 나란하게 연장되어, 헤드부와 바디부의 사이에 바디부 삽입용 홈을 정의하고,
좌측 무선 이어폰 및 우측 무선 이어폰 중 어느 하나의 바디부는 다른 하나의 바디부 삽입용 홈에 삽입되게 결합 가능한 무선 이어폰 모듈.
As a wireless earphone module including a left wireless earphone and a right wireless earphone,
Each of the wireless earphones,
A head having a sound transmission port and insertable into an ear;
A body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head portion; And
It includes a neck portion connecting the head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The head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extend side by side from the neck portion to define a body portion insertion groove between the head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A wireless earphone module that can be combined to be inserted into a groove for insertion of the other body part of one of the left wireless earphone and the right wireless earphone.
제 1 항에 있어서,
바디부는,
넥부와 연결된 메인 본체; 및
메인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넥부를 지지 가능한 보조 본체를 포함하는 무선 이어폰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part,
A main body connected to the neck portion; And
Wireless earphone module including an auxiliary body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neck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넥부는 음향 송출구로부터 이격된 헤드부의 일측과 보조 본체로부터 이격된메인 본체의 일측을 연결하는 무선 이어폰 모듈.
The method of claim 2,
The neck part is a wireless earphone module connecting one side of the head part spaced apart from the sound transmission port and one side of the main body spaced apart from the auxiliary body.
제 1 항에 있어서,
무선 이어폰 각각은 무선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헤드부는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생성 모듈을 포함하고,
바디부는,
배터리; 및
전원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단자를 포함하는 무선 이어폰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wireless earphones further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e head unit includes a sound generating module for outputting sound,
The body part,
battery; And
Wireless earphone module comprising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t least one of power and data.
제 4 항에 있어서,
송수신 단자는 헤드부를 향하는 바디부의 일 면에 배치된 무선 이어폰 모듈.
The method of claim 4,
The transceiver terminal is a wireless earphone modul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facing the head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바디부는 복수의 송수신 단자를 포함하며,
복수의 송수신 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바디부로부터 헤드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나머지 송수신 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헤드부에서 바디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바디부의 외면으로부터 리세스(recess)된 무선 이어폰 모듈.
The method of claim 4,
The body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terminal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reception terminals protrudes from the body portion toward the head portion,
At least one of the remaining transmission/reception terminals is a wireless earphone module recessed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in a direction from the head to the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좌측 무선 이어폰 및 우측 무선 이어폰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외부 기기에 연결되는 케이블 단자를 더 포함하는 무선 이어폰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A wireless earphone module that is disposed on one of the left wireless earphone and the right wireless earphone and further comprises a cable terminal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좌측 무선 이어폰 및 우측 무선 이어폰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 모듈을 더 포함하는 무선 이어폰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A wireless earphone module that is disposed in any one of the left wireless earphone and the right wireless earphone, further comprising a wireless charging module for wirelessly charging a battery.
제 4 항에 있어서,
송수신 단자는 좌측 무선 이어폰 및 우측 무선 이어폰의 사이에 전원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는 무선 이어폰 모듈.
The method of claim 4,
The transceiver terminal is a wireless earphone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t least one of power and data between the left wireless earphone and the right wireless earphone.
제 2 항에 있어서,
좌측 무선 이어폰 및 우측 무선 이어폰을 서로 결합 및 결합 해제 가능하게 부착하는 자석을 더 포함하는 무선 이어폰 모듈.
The method of claim 2,
A wireless earphone module further comprising a magnet for attaching the left wireless earphone and the right wireless earphone to be coupled and decoupled to each other.
제 10 항에 있어서,
좌측 무선 이어폰 및 우측 무선 이어폰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며,
제어 모듈은,
좌측 무선 이어폰의 송수신 단자와 우측 무선 이어폰의 송수신 단자의 접속 해제 시 외부 기기와 무선 통신하는 페어링 모드를 수행하는 무선 이어폰 모듈.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module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left wireless earphone and the right wireless earphone,
The control module,
A wireless earphone module that performs a pairing mode that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device when disconnecting the transmission/reception terminal of the left wireless earphone and the transmission/reception terminal of the right wireless earphone.
KR1020190163511A2019-12-102019-12-10The tws moduleExpired - Fee RelatedKR1021885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90163511AKR102188530B1 (en)2019-12-102019-12-10The tws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90163511AKR102188530B1 (en)2019-12-102019-12-10The tws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102188530B1true KR102188530B1 (en)2020-12-08

Family

ID=73779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90163511AExpired - Fee RelatedKR102188530B1 (en)2019-12-102019-12-10The tws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218853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070075024A (en)*2006-01-112007-07-18(주)유빅슨 Necklace wireless headset
KR20130006894A (en)*2011-06-242013-01-18엘지전자 주식회사Earphone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KR20180021030A (en)*2015-09-302018-02-28애플 인크.Wireless pairing of earbuds and case
KR20180113715A (en)*2017-04-072018-10-17(주)파트론Earphon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070075024A (en)*2006-01-112007-07-18(주)유빅슨 Necklace wireless headset
KR20130006894A (en)*2011-06-242013-01-18엘지전자 주식회사Earphone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KR20180021030A (en)*2015-09-302018-02-28애플 인크.Wireless pairing of earbuds and case
KR20180113715A (en)*2017-04-072018-10-17(주)파트론Earphon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20250175727A1 (en)In-ear headphone
CN110475177B (en)Audio class compliant charging accessory for wireless headset and headset
US7548040B2 (en)Wireless battery charging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wireless headsets/headphones
CN105554241A (en)A communications apparatus
KR101718325B1 (en)Portab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KR100659506B1 (en) External speaker system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wireless receiving pack for same
TWM550006U (en)Wireless earphone set
US11564420B2 (en)Wearable apparatus for wired or wireless charging of an electronic device
KR20050066696A (en)Charging adapter for wireless earphone
US10887696B2 (en)Wireless handset
JP2023518582A (en) Acoustic input/output device
JP2019186870A (en)Wireless earphone, charger therefor and wireless earphone system
CN109905798A (en)Wireless headset
TW202239216A (en)Earphone with detachable add-on unit
WO2023020322A1 (en)Wireless earphone, earphone case and wireless earphone system
KR102188530B1 (en)The tws module
CN111095945A (en)Attachment module for coupling at least one wireless headset with a mobile device
CN209948729U (en)Charging matching positioning device of wireless earphone
KR20170011549A (en)Wireless earset
KR101914539B1 (en)Earphon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t
CN113596652B (en) Bone conduction earpho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9118049A (en)Electroacoustic conversion system
AU2020104095A4 (en)Headphone system
AU2020104090A4 (en)Headphone system
CN212850954U (en)TWS bluetooth headset's receiver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1-asn-PN2301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24120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241203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