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2175579B1 - A multi-functional air fryer - Google Patents

A multi-functional air fr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579B1
KR102175579B1KR1020190106189AKR20190106189AKR102175579B1KR 102175579 B1KR102175579 B1KR 102175579B1KR 1020190106189 AKR1020190106189 AKR 1020190106189AKR 20190106189 AKR20190106189 AKR 20190106189AKR 102175579 B1KR102175579 B1KR 102175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air
information
mode
food materi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1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나실
김석규
전석만
Original Assignee
황나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나실filedCritical황나실
Priority to KR1020190106189ApriorityCriticalpatent/KR102175579B1/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579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2175579B1/en
Active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A multi-functional air f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invention which adds a function of drying food ingredients to a basic frying function of an air fryer used as a cooking utensil which provides a frying effect to food ingredients without using oil, provides a high-efficiency frying effect to food ingredients with ultra-high temperature hot air as quickly as possible in a sealed state that blocks the inflow of air in a frying mode, and thus dries various food ingredients as quickly as possible while circulating air in a drying mode.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A multi-functional air fryer}A multi-functional air fryer

본 발명은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기름을 사용하지 않고도 식재료에 튀김효과를 제공하는 조리용 기구로 사용되고 있는 에어 프라이어의 기본적인 튀김조리기능에 식재료를 건조하는 기능도 부가시킨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air fryer, and in more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adds a function of drying food ingredients to the basic frying function of an air fryer used as a cooking utensil that provides a frying effect to food ingredients without using oil. It is an invention related to a multifunctional air fryer.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는 튀김 모드 시에 공기의 유입을 차단한 밀폐상태에서 최대한 신속하게 초고온의 열풍으로 식재료에 고효율의 튀김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이다.In addition, the multifunctional air f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that provides a high-efficiency frying effect to food ingredients with ultra-high hot air as quickly as possible in a closed state in which air inflow is blocked during the frying mode.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는 건조 모드 시에 공기를 순환한 상태에서 최대한 신속하게 다양한 식재료를 건조시키는 발명이다.In addition, the multifunctional air f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of drying various food ingredients as quickly as possible while circulating air in the drying mode.

현대사회는 나날이 기술이 발달하면서 우리 생활도 편리하고 윤택해지고 있어 과거에 비교해서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둔 많은 생활기술들이 개발되어 발전되고 있는 추세이다.In the modern society, as technology develops day by day, our lives are becoming more convenient and more prosperous, so many life skills focusing o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compared to the past are being developed and developed.

이때, 우리 식생활 분야도 많은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건강한 웰빙(well-being) 식단을 위해 친환경적인 유기농 농산물, 축산물, 신선한 해산물의 공급과 더불어 우리 몸에 해롭지 않도록 식재료를 조리하는 방식이 권장되고 있는 실정이다.At this time, many improvements are being made in the field of our diet, and a method of cooking ingredients to prevent harm to our body is recommended along with the supply of eco-friendly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livestock products, and fresh seafood for a healthy well-being diet. Actually.

특히, 그 동안 식재료를 튀겨서 조리하는 방식은 기름, 지방을 많이 사용하는 관계로 인해 우리 몸의 혈관에 해로운 콜레스테롤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건강을 위해 튀김요리를 자제하는 것이 권장되었다.In particular, it is recommended to refrain from frying food for your health, since the method of cooking by deep-frying ingredients in the meantime generates cholesterol, which is harmful to the blood vessels of our body due to the high use of oil and fat.

하지만, 삶거나 찌거나 굽는 조리 방식으로 만든 식재료의 식감으로는 튀김 조리 방식으로 만든 식재료 고유의 식감을 만들어낼 수 없기 때문에, 튀김 조림 방식으로도 식재료를 조리할 수밖에 없었다.However, the texture of the ingredients made by the cooking method of boiling, steaming, or grilling could not produce the unique texture of the ingredients made by the deep-fried cooking method, so the ingredients could only be cooked using the method of frying.

한편, 기름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도 프라이팬에서 식재료를 튀긴 것과 같은 효과를 내는 에어 프라이어의 등장으로 인해, 맛있고 건강에도 해롭지 않은 튀김요리를 마음껏 즐길 수 있게 되었다.On the other hand, with the advent of air fryers that produce the same effect as fried ingredients in a frying pan without using any oil, you can enjoy delicious and healthy fried dishes to your heart's content.

따라서 에어 프라이어의 활발한 보급과 기능개선을 위해, 에어 프라이어의 기본적인 튀김조리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에 대한 기술개발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Therefore, in order to actively supply and improve the function of the air fry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chnologies for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basic frying function of the air fryer.

다음은 이와 관련된 종래의 선행기술이다.The following is a prior art related to this.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20529호 공기 튀김기1.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7-0120529 Air fryer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3705호 공기순환이 용이한 에어 프라이어2.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253705 Air fryer with easy air circulation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9449호 에어 프라이어3.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3-0089449 Air Fryer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기름을 사용하지 않고도 식재료에 튀김효과를 제공하는 조리용 기구로 사용되고 있는 에어 프라이어의 기본적인 튀김조리기능에 식재료를 건조하는 기능도 부가시킨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air fryer in which a function of drying food ingredients is added to the basic frying function of an air fryer used as a cooking utensil that provides a frying effect to ingredients without using oil.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는 튀김 모드 시에 공기의 유입을 차단한 밀폐상태에서 최대한 신속하게 초고온의 열풍으로 식재료에 고효율의 튀김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ultifunctional air f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high-efficiency frying effect to food ingredients with ultra-high hot air as quickly as possible in a closed state in which air inflow is blocked in the frying mode.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는 건조 모드 시에 공기를 순환한 상태에서 최대한 신속하게 다양한 식재료를 건조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ultifunctional air f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dry various food ingredients as quickly as possible while circulating air in the drying mode.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는 구이 모드 시에 열풍으로 식재료를 굽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ultifunctional air f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bake ingredients with hot air in the roasting mo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air fryer,

각 구성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되,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110)가 상측에 형성되고, 내부공기가 유출되도록 하는 유출구(120)가 측면에 형성되며, 팬 보호와 공기 흐름을 유도하는 격벽부(130)가 내부에 형성되고, 조리용기(210)를 서랍식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 삽입구(140)가 형성되는 본체부(100)와;Provides a space in which each component is installed, but aninlet 110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anoutlet 120 for allowing internal air to flow is formed on the side, protecting the fan and inducing air flow. Amain body part 100 having apartition wall part 130 formed therein and having acontainer insertion hole 140 for inserting thecooking container 210 into a drawer type;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형성되어, 열풍에 의해 식재료에 튀김효과와 건조효과를 제공하는 조리부(200)와;Acooking unit 200 formed inside themain body 100 to provide a frying effect and a drying effect on food materials by hot air;

상기 본체부(100) 일측에 형성되며, 조리 메타정보가 저장되고, 투입되는 식재료의 조리를 위해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 정보에 따라 조리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control unit 300 formed on one side of themain body 100, storing cooking meta-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cooking unit 200 according to input information input by a user for cooking of input ingredients. do.

본 발명의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는, 기름을 사용하지 않고도 식재료에 튀김효과를 제공하는 조리용 기구로 사용되고 있는 에어 프라이어의 기본적인 튀김조리기능에 식재료를 건조하는 기능도 부가시킨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이기 때문에, 큰 비용을 소요하지 않고도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어 에어 프라이어의 보급을 촉진하여 산업상 이용가능성도 높아지게 한다.The multifunctional air f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functional air fryer in which a function to dry food ingredients is added to the basic frying function of an air fryer used as a cooking utensil that provides a frying effect to food ingredients without using oil. The performance can be improved without the need for energy consumption, thereby promoting the spread of air fryers and increasing the industrial applicability.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는 튀김 모드 시에 공기의 유입을 차단한 밀폐상태에서 최대한 신속하게 초고온의 열풍으로 식재료에 고효율의 튀김효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몸에 해로운 기름과 지방을 사용하지 않고도 튀김요리를 맛있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multifunctional air f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igh-efficiency frying effect to food ingredients with ultra-high hot air as quickly as possible in a sealed state in which air inflow is blocked during the frying mode, without using oils and fats that are harmful to the body. Make tempura dishes delicious.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는 건조 모드 시에 공기를 순환한 상태에서 최대한 신속하게 다양한 식재료를 건조시키기 때문에, 식재료의 속성건조와 이를 응용한 탈수를 통한 식재료의 건조효과를 얻을 수 있어 튀김요리뿐만 아니라 다양한 조리방법에 사용되는 건조 식재료 준비가 가능해진다.In addition, since the multifunctional air f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dries various ingredients as quickly as possible while circulating air in the drying mode, it is possible to obtain a drying effect of ingredients through rapid drying of ingredients and dehydration using the same. In addition, it becomes possible to prepare dry ingredients used in various cooking methods.

도 1은 본 발명의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에 조리용기가 삽입되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의 외부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의 내부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의 내부의 상부공간을 나타낸 세부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의 내부의 하부공간을 나타낸 세부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의 튀김 모드 시의 작동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의 건조 모드 시의 작동 상태도
도 10을 본 발명의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의 구이 모드 시의 작동 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al air f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struction of a multifunctional air f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tate diagram in which a cooking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multifunctional air f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ternal state diagram of the multifunctional air f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internal state diagram of the multifunctional air f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etailed view showing an upper space inside the multifunctional air f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inner lower space of the multifunctional air f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multifunctional air f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rying mode
9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multifunctional air f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rying mode
10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multifunctional air f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roasting mod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는, 기름을 사용하지 않고도 식재료에 튀김효과를 제공하는 조리용 기구로 사용되고 있는 에어 프라이어의 기본적인 튀김조리기능에 식재료를 건조하는 기능도 부가시킨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이기 때문에, 큰 비용을 소요하지 않고도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어 에어 프라이어의 보급을 촉진하여 산업상 이용가능성도 높아지게 하는 발명이다.Referring to FIG. 1, the multifunctional air f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functional air in which a function of drying food ingredients is added to the basic frying function of an air fryer used as a cooking utensil that provides a frying effect to food ingredients without using oil. Since it is a fryer, it is an invention that can improve performance without incurring a large cost, thereby promoting the spread of air fryers and increasing industrial applicability.

특히, 본 발명의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이하 '에어 프라이어')를 이용하면, 기본적으로 튀김 모드를 이용하여 몸에 해로운 기름과 지방을 사용하지 않고도 튀김요리를 맛있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하고, 건조 모드를 이용하여 식재료의 속성건조와 이를 응용한 탈수를 통한 식재료의 건조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if the multifunctional air f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air fryer') is used, the frying mode is basically used so that the fried food can be cooked deliciously without using harmful oils and fats, and the drying mode is us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btain a drying effect of food ingredients through rapid drying of food ingredients and dehydration using the same.

따라서 본 발명의 에어 프라이어는, 기본적으로 도 2와 같이, 본체부(100), 조리부(200),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ly, the air f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configured to include amain body 100, acooking unit 200, and acontrol unit 300, as shown in FIG. 2.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는,Specifically, the multifunctional air f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구성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되,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110)가 상측에 형성되고, 내부공기가 유출되도록 하는 유출구(120)가 측면에 형성되며, 팬 보호와 공기 흐름을 유도하는 격벽부(130)가 내부에 형성되고, 조리용기(210)를 서랍식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 삽입구(140)가 형성되는 본체부(100)와;Provides a space in which each component is installed, but aninlet 110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anoutlet 120 for allowing internal air to flow is formed on the side, protecting the fan and inducing air flow. Amain body part 100 having apartition wall part 130 formed therein and having acontainer insertion hole 140 for inserting thecooking container 210 into a drawer type;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형성되어, 열풍에 의해 식재료에 튀김효과와 건조효과를 제공하는 조리부(200)와;Acooking unit 200 formed inside themain body 100 to provide a frying effect and a drying effect on food materials by hot air;

상기 본체부(100) 일측에 형성되며, 조리 메타정보가 저장되고, 투입되는 식재료의 조리를 위해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 정보에 따라 조리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고,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main body 100, the cooking meta information is stored, and includes acontrol unit 300 for controlling thecooking unit 200 according to input information input by a user for cooking of ingredients to be input,

상기 조리 메타정보는 조리 모드별과 식재료별 조리 온도, 조리 시간, 조리 풍량 정보, 댐퍼 작동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 정보는 조리 모드 정보와 식재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oking meta information includes cooking temperature, cooking time, cooking air volume information, and damper operation information for each cooking mode and each ingredient, and the input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ncludes information on a cooking mode and information on food ingredients.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00)는 본 발명의 에어 프라이어(10)의 각 구성들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로서, 유입구(110), 유출구(120), 격벽부(130), 용기 삽입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 themain body 100 is a main body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components of theair fry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and includes aninlet 110, anoutlet 120, apartition wall 13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ainer insertion port (140).

여기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은, 도 5와 같이, 격벽부(130)에 의해 상부공간(101)과 하부공간(102)으로 분리 구획되며, 상기 상부공간(101)에는 필터(111), 모터(230) 등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공간(102)에는 조리용기(210)에 담긴 식재료에 튀김효과와 건조효과와 구이효과를 제공하는 조리부(200)가 설치된다.Here, the inner space of themain body 100 is divided into anupper space 101 and alower space 102 by apartition wall 130 as shown in FIG. 5, and theupper space 101 has a filter ( 111), amotor 230, and the like are installed, and acooking unit 200 is installed in thelower space 102 to provide a frying effect, a drying effect, and a roasting effect to the ingredients contained in thecooking container 210.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00)의 상측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유입구(110)가 형성되는데, 상기 유입구(110)는 외부공기가 본체부(100) 내부의 상부공간(101)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모터(230)에 의해 회전하는 팬(220)의 회전력에 의해 외부공기 유입력이 발생되어 유입구(110)를 통해 외부공기가 본체부(100)의 상부공간(101)으로 유입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5, at least oneinlet 11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main body 100, and theinlet 110 allows external air to flow into theupper space 101 inside themain body 100. As a configuration to be configured, external air flow is gener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fan 220 rotating by themotor 230, and external air flows into theupper space 101 of themain body 100 through theinlet 110. It becomes.

이때, 본 발명의 에어 프라이어(10)는 외부 공기를 유입 받아 식재료를 조리(튀김, 건조, 구이)하는 조리용 기구이기 때문에,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나 오염물질 등이 포함되는 경우 위생상 문제가 발생한다.At this time, since theair fry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oking appliance for cooking (frying, drying, roasting) food materials by receiving external air,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r contaminants are included in the incoming external air. Hygiene problems arise.

따라서 도 5와 같이 상기 유입구(110) 하측에는 외부공기를 여과시키는 필터(111)가 형성되어, 본체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오염물질이 상부공간(101)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5, afilter 111 for filtering external air is formed below theinlet 110, so that foreign matter or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into the interior of themain body 100 are transferred to theupper space 101. Block it from entering.

특히, 상기 유입구(110) 하측에 형성된 필터(111)는 주기적으로 교체하여, 본 발명의 에어 프라이어(10)를 위생적이고 청결하게 관리하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filter 111 formed under theinlet 110 is periodically replaced so that theair fry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aged hygienically and cleanly.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00) 내부(구체적으로는 조리용기(210)가 위치하는 하부공간(102))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유출구(120)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2, anoutlet 120 for discharging air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specifically, thelower space 102 in which thecooking container 210 is located) is formed.

상기 유출구(120)는, 도 6과 같이, 조리용기(210)가 위치하는 하부공간에 대응되는 본체부(100) 측면 일측인 격벽부(130)보다 하측의 본체부(100) 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조리 모드에 따라 제2댐퍼(260)에 의해 개폐된다. 즉, 튀김 모드와 구이 모드 시에는 제2댐퍼(260)에 의해 폐쇄되고, 건조 모드 시에는 제2댐퍼(260)에 의해 개방된다.Theoutlet 12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ide of themain body 100 below thepartition 130, which is one side of themain body 100 corresponding to the lower space in which thecooking vessel 210 is located, as shown in FIG. 6 Thus, it is opened and closed by thesecond damper 260 according to the cooking mode. That is, in the frying mode and the roasting mode, it is closed by thesecond damper 260, and in the drying mode, it is opened by thesecond damper 260.

도 5, 6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공간을 상부공간(101)과 하부공간(102)으로 구분 구획하고, 조리 모드에 따라 상부공간(101)과 하부공간(102)의 공기 연통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격벽부(130)가 형성된다.5 and 6, the inner space of themain body 100 is divided into anupper space 101 and alower space 102, and theupper space 101 and thelower space 102 are separated according to the cooking mode. Thepartition wall portion 130 is formed to adjust the degree of air communication.

또한, 상기 격벽부(130)의 중간부분에는, 도 6의 하단 확대도와 같이, 모터(230)의 모터축(231)이 관통되도록 하는 관통 홀(131)이 형성되고, 일 측부에는 유입된 외부 공기가 조리용기가 위치하는 하부공간(102)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 홀(132)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throughhole 131 through which themotor shaft 231 of themotor 230 penetrates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partition wall 130, as shown in the enlarged bottom of FIG. Anair hole 132 is formed to allow air to flow into thelower space 102 where the cooking vessel is located.

상기 공기 홀(132)은 조리 모드에 따라 제1댐퍼(250)에 의해 개방 정도가 조절된다. 즉, 튀김 모드 시에는 제1댐퍼(250)에 의해 5~10% 개방되고, 구이 모드 시에는 제1댐퍼(250)에 의해 10~20% 개방되며, 건조 모드 시에는 제1댐퍼(250)에 의해 100% 완전 개방된다.The degree of opening of theair hole 132 is adjusted by thefirst damper 250 according to the cooking mode. That is, in the frying mode, thefirst damper 250 opens 5 to 10%, in the roasting mode, opens 10 to 20% by thefirst damper 250, and in the drying mode, thefirst damper 250 100% fully open by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는 조리용기(210)를 서랍식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 삽입구(140)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3, at one side of themain body 100, acontainer insertion hole 140 for inserting thecooking container 210 into a drawer type is formed.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조리부(200)는 본체부(100) 내부에 형성되어, 열풍에 의해 식재료에 튀김효과와 건조효과와 구이효과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조리용기(210), 팬(220), 모터(230), 히터(240), 제1댐퍼(250), 제2댐퍼(260), 기름받이통(2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 thecooking unit 200 is formed inside thebody unit 100 to provide a frying effect, a drying effect, and a roasting effect to food materials by hot air. Thecooking container 210 and the pan 220 ), amotor 230, aheater 240, afirst damper 250, asecond damper 260, and anoil reservoir 270.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조리용기(210)는 식재료가 담겨지는 일종의 용기로서, 조리용기(210)에 식재료가 담겨진 상태에서 본체부(100)의 용기 삽입구(140)를 통해 본체부(100)의 하부공간(102)으로 서랍식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면, 열풍에 의해 조리용기(210)에 담겨진 식재료에 튀김효과와 건조효과와 구이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3, thecooking container 210 is a type of container that contains food ingredients, and themain body part 100 through thecontainer insertion port 140 of themain body part 100 in a state in which food materials are contained in thecooking container 210. When the slide is inserted into thelower space 102 of the drawer type, a frying effect, a drying effect, and a roasting effect are provided to the food ingredients contained in thecooking container 210 by hot air.

여기서, 상기 조리용기(210)에는 복수의 공기 순환구(211)가 형성되는데, 공기 순환구(211)는 튀김효과와 건조효과와 구이효과를 제공하는 열풍이 조리용기(210) 내외로 순환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열풍이 조리용기(210)의 내외로 신속하고 원활하게 순환됨으로 인해 고효율의 튀김효과와 건조효과와 구이효과를 얻게 된다.Here, a plurality ofair circulation ports 211 are formed in thecooking container 210, and theair circulation ports 211 allow hot air that provides a frying effect, a drying effect, and a roasting effect to circulate inside and outside thecooking container 210. As a configuration for this, the hot air circulates quickly and smoothly in and out of thecooking container 210, thereby obtaining a highly efficient frying effect, drying effect, and roasting effect.

도 7에는 조리용기(210)가 본체부(100)의 하부공간(102)로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7 shows a state in which thecooking container 210 is inserted into thelower space 102 of themain body 100.

또한, 용기 삽입구(140)를 통해 본체부(100)의 하부공간(102)으로 조리용기(210)를 서랍식으로 슬라이드 삽입시키거나 인출시킬 수 있도록 조리용기(210)에는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handle may be formed in thecooking container 210 so that thecooking container 210 can be slide-inserted or withdrawn into thelower space 102 of themain body 100 through thecontainer insertion hole 140.

또한, 조리되는 과정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조리용기(210)에는 확인창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nfirmation window may be formed in thecooking container 210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cooking process.

이때, 상기 확인창은 일반적인 유리나 합성수지가 아닌 고온과 고열에 대한 내구성이 있는 특수한 재질의 유리 또는 합성수지를 적용해야 한다.At this time, the confirmation window should be made of glass or synthetic resin made of a special material that is durable against high temperatures and high temperatures, not general glass or synthetic resi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팬(220)은 모터(230)에 축 결합되어 회전되는 일종의 공기 순환용 팬으로서, 팬(220)의 회전에 의한 흡입력에 의해 유입구(110)를 통해 본체부(100)의 상부공간(101)으로 유입된 공기는 격벽부(130)에 형성된 관통 홀(131)을 통해 본체부(100)의 하부공간(102)으로 유입되어 순환한 후유출구(120)를 통해 본체부(100)의 외부로 유출된다.5, thefan 220 is a type of air circulation fan that is axially coupled to themotor 230 and rotated, and themain body 100 through theinlet 110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fan 220. The air introduced into theupper space 101 of) is introduced into thelower space 102 of themain body 100 through the throughhole 131 formed in thepartition wall 130 and circulated, and then the main body through theoutlet 120 It flows out of thepart 100.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팬(220)은 격벽부(130) 하측에 위치하도록 모터축(231)에 결합된다.Referring to FIG. 5, thefan 220 is coupled to themotor shaft 231 so as to be located under thepartition wall 130.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모터(230)는 격벽부(130)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모터축(231)에 결합된 팬(220)을 회전시키는 동력발생장치로서, 모터(230)의 RPM 출력(10, 25, 50, 75, 100%) 조절에 의해 축 결합된 팬(220)의 회전에 의한 풍량이 조리 모드에 따라 조절되는 것이다.5, themotor 230 is a power generating device that is installed to be located above thepartition wall 130 to rotate thefan 220 coupled to themotor shaft 231, the RPM output of the motor 230 (10, 25, 50, 75, 100%) The amount of air generated by rotation of the shaft-coupledfan 22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cooking mode.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히터(240)는 격벽부(130) 하측에 위치하고, 식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다.Referring to FIG. 5, theheater 240 is located under thepartition wall 130 and generates heat for heating food ingredients.

여기서, 상기 히터(240)는 단시간에 고효율로 열을 발생시키도록 적어도 1개 이상이 설치되며, 히터(240)가 발생시킨 열은 팬(220)의 회전에 의해 열풍이 되어 본체부(100)의 하부공간 내에서 조리를 우해 순환된다.Here, at least oneheater 240 is installed so as to generate heat with high efficiency in a short time, and the heat generated by theheater 240 becomes hot air by the rotation of thefan 220 and thus themain body 100 It is circulated for cooking in the lower space of.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댐퍼(250)는 조리 모드에 따른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격벽부(130)에 형성된 공기 홀(132)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구성이다.Referring to FIG. 6, thefirst damper 250 is configured to adjust the degree of opening of theair hole 132 formed in thepartition wall 130 under the control of thecontroller 300 according to the cooking mode.

즉, 상기 제1댐퍼(250)는 튀김 모드 시에는 제어부(300) 제어에 의해 격벽부(130)에 형성된 공기 홀(132)을 5~10% 개방되도록 하고, 구이 모드 시에는 제어부(300) 제어에 의해 격벽부(130)에 형성된 공기 홀(132)을 10~20% 개방되도록 하며, 건조 모드 시에는 제어부(300) 제어에 의해 공기 홀(132)을 100%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when thefirst damper 250 is in the frying mode, theair hole 132 formed in thepartition wall 130 is opened by 5 to 10% under the control of thecontrol unit 300, and in the roasting mode, thecontrol unit 300 Theair hole 132 formed in thepartition wall portion 130 is opened by 10 to 20% by control, and in the drying mode, theair hole 132 is opened 100% by the control of thecontroller 300.

조리 모드에 따라 격벽부(130)에 형성된 공기 홀(132)을 통해 하부공간(102)로 유입되는 공기의 단위 시간당 유입량은 달라야 한다. 즉, 튀김 모드 시에는 가장 적은 단위 시간당 공기 유입량이 필요하고, 구이 모드 시에는 튀김 모드 보다는 많은 단위 시간당 공기 유입량이 필요하며, 건조 모드 시에는 최대로 많은 단위 시간당 공기 유입량이 필요하다.Depending on the cooking mode,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into thelower space 102 through theair hole 132 formed in thepartition wall portion 130 per unit time should be different. That is, in the frying mode, the smallest amount of air inflow per unit time is required, in the roasting mode, more air inflow per unit time is required than in the frying mode, and in the drying mode, the maximum amount of air inflow per unit time is required.

이를 위해, 튀김 모드 시에는 제어부(300) 제어에 의해 격벽부(130)에 형성된 공기 홀(132)을 5~10% 개방되도록 하고, 구이 모드 시에는 제어부(300) 제어에 의해 격벽부(130)에 형성된 공기 홀(132)을 10~20% 개방되도록 하며, 건조 모드 시에는 제어부(300) 제어에 의해 격벽부(130)에 형성된 공기 홀(132)을 100% 완전 개방되도록 하여 최대의 단위 시간당 공기 유입량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To this end, in the frying mode, theair hole 132 formed in thepartition wall portion 130 is opened by 5 to 10% by the control of thecontrol unit 300, and in the roasting mode, thepartition wall portion 130 is controlled by thecontrol unit 300. Theair hole 132 formed in) is opened by 10-20%, and in the drying mode, theair hole 132 formed in thepartition wall 130 by the control of thecontrol unit 300 is completely opened by 100% so that the largest unit It is to make the air inflow per hour.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댐퍼(260)는 조리 모드에 따른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본체부(100) 측면에 형성된 유출구(120)를 개폐시키는 구성이다.Referring to FIG. 6, thesecond damper 260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outlet 120 formed on the side of themain body 100 under the control of thecontroller 300 according to the cooking mode.

즉, 상기 제2댐퍼(260)는 튀김 모드와 구이 모드 시에는 제어부(300) 제어에 의해 유출구(120)를 폐쇄시키고, 건조 모드 시에는 제어부(300) 제어에 의해 유출구(120)를 100% 개방 시킨다.That is, thesecond damper 260 closes theoutlet 120 by the control of thecontroller 300 in the frying mode and the roasting mode, and 100% of theoutlet 120 under the control of thecontroller 300 in the drying mode. Open.

조리 모드에 따라 본체부(100)의 내부인 하부공간(102)의 공기는 인위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인위적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해야한다.Depending on the cooking mode, air in thelower space 102 inside themain body 100 must be artifici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r not artificially discharged.

즉, 튀김 모드와 구이 모드 시에는 식재료의 튀김과 구이를 위해 뜨거워진 하부공간(102)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야 하고, 건조 모드 시보다 효과적인 건조를 위해 뜨거워진 하부공간(102)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어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2댐퍼(260)는 튀김 모드와 구이 모드 시에는 제어부(300) 제어에 의해 유출구(120)를 폐쇄시키고, 건조 모드 시에는 제어부(300) 제어에 의해 유출구(120)를 100% 개방 시키는 것이다.That is, in the frying mode and the grilling mode, the air in thelower space 102 heated for frying and roasting food ingredients should not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air in thelower space 102 heated for more effective drying in the drying mode. Thesecond damper 260 closes theoutlet 120 by control of thecontrol unit 300 in the frying mode and the roasting mode, and controls thecontrol unit 300 in the drying mode in orde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circulate. It is to open theoutlet 120 by 100%.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조리부(200) 조리용기(210)에 착탈식으로 형성되어, 식재료에서 흘러나오는 기름 및 액체가 수거되도록 하는 기름받이통(2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cooking unit 200 is formed in a detachable manner in thecooking container 210, and further includes adrip tray 270 for collecting oil and liquid flowing out of food materials.

여기서, 상기 조리용기(210)에 담겨진 식재료는 기본적으로 수분 또는 기름, 지방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열풍이 가해지게 되면 함유된 수분, 기름이 외부로 흘러나오게 된다.Here, since the food ingredients contained in thecooking container 210 basically contain moisture, oil, or fat, when hot air is applied, the contained moisture and oil flow out.

이때, 기름받이통(270)을 이용하여 식재료에서 흘러나오는 기름 및 액체가 수거되도록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oil and liquid flowing out of the food materials are collected using thedrip tray 270.

특히, 기름받이통(270)은 조리용기(210) 하단에 착탈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조리용기(210) 전체를 삽입 수용하는 착탈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에는 조리용기(210) 하단에 착탈식으로 형성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In particular, thedrip tray 270 may be formed in a detachable manner at the bottom of thecooking container 210 or may be formed in a detachable manner in which theentire cooking container 210 is inserted and received. 3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cooking vessel 210 is detachably formed at the bottom.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본체부(100)의 일측에 형성되며, 조리 메타정보가 저장되고, 투입되는 식재료의 튀김, 건조, 구이를 위해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 정보에 따라 조리부(200)를 제어하는 구성이다.4, thecontrol unit 30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main body 100, the cooking meta information is stored, and the cooking unit according to input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for frying, drying, and roasting of input food ingredients. This is a configuration that controls 200.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정보 입력부(310), 디스플레이(320), 저장수단(330), 제어처리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4, thecontrol unit 300 includes aninformation input unit 310, adisplay 320, astorage unit 330, and acontrol processing unit 340.

상기 정보 입력부(310)는 사용자가 조리 모드 정보와 식재료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Theinformation input unit 310 is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input input information including cooking mode information and food ingredient information.

예를 들어, 감자를 튀김 조리하는 경우, 모드 정보는 튀김, 식재료는 감자란 정보를 입력하고, 오리를 구이 조리하는 경우, 모드 정보는 구이, 식재료는 오리란 정보를 입력하고, 버섯을 건조 조리하는 경우, 모드 정보는 건조, 식재료는 버섯이란 정보를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fry cooking, mode information is fried and food ingredients are inputted with potato egg information, and when duck is cooked, mode information is grilled, food ingredients are ducked, and mushrooms are dried and cooked. In this case, the mode information is dried and the ingredients are mushrooms.

상기 디스플레이(320)는 현재 조리되는 식재료에 대한 식재료의 종류, 조리 방법, 조리 온도, 조리 시간을 포함하는 조리 상태정보가 표시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320)에 표시되는 정보를 통해 현재 조리중인 식재료의 조리 상태를 도 4와 같이 확인할 수 있다.Thedisplay 320 displays cooking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a type of food material, a cooking method, a cooking temperature, and a cooking time for the currently cooked food, and the user can use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display 320 to The cooking state of the ingredients being cooked can be checked as shown in FIG. 4.

상기 저장수단(330)은 조리 메타정보가 저장되는 정보 저장수단이다.The storage means 330 is an information storage means in which cooking meta information is stored.

특히, 일반적인 사용자는 조리 모드별과 식재료별로 적절한 조리 방법(조리온도, 조리 시간, 조리 풍량 등)을 모르기 때문에, 상기 저장수단(330)에 저장된 조리 메타정보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리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general user does not know the proper cooking method (cooking temperature, cooking time, cooking air volume, etc.) for each cooking mode and each ingredient, it is possible to easily cook using the cooking meta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330. do.

상기 저장수단(330)에 저장된 조리 메타정보는 조리 모드별과 식재료별 조리 온도, 조리 시간, 조리 풍량, 댐퍼 작동 정보를 포함한다.The cooking meta-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330 includes cooking temperature, cooking time, cooking air volume, and damper operation information for each cooking mode and each ingredient.

상기 제어처리부(340)는 사용자가 입력한 조리 모드와 식재료 정보에 해당하는 현재 조리할 식재료에 대한 조리 제어정보를 저장수단(330)에 저장된 조리 메타정보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조리 제어정보에 따라 조리부(200)를 제어한다.Thecontrol processing unit 340 extracts cooking control information on the food to be cooked, corresponding to the cooking mode and food material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from the cooking meta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330, and according to the extracted cooking control information. Thecooking unit 200 is controlled.

즉, 상기 조리 제어정보는 사용자가 입력한 조리 모드와 식재료 정보에 해당하는 식재료 튀김 또는 식재료 건조 또는 식재료 구이가 되도록 하는 조리 시간 정보와,That is, the cooking control information includes cooking time information for frying or drying or roasting foods corresponding to the cooking mode and food material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사용자가 입력한 조리 모드와 식재료 정보에 해당하는 식재료 튀김 또는 식재료 건조 또는 식재료 구이가 되도록 하는 풍량이 조리 시간동안 형성되도록 팬(2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정보와,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pan 220 so that the amount of air for frying or drying or roasting foods corresponding to the cooking mode and food material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s formed during the cooking time;

사용자가 입력한 조리 모드와 식재료 정보에 해당하는 식재료 튀김 또는 식재료 건조 또는 식재료 구이가 되도록 하는 조리 온도가 조리 시간동안 형성되도록 히터(2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정보와,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heater 240 so that a cooking temperature for frying or drying or roasting foods corresponding to the cooking mode and food material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s formed during the cooking time;

사용자가 입력한 조리 모드에 따라 제1댐퍼(250)와 제2댐퍼(2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It includes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first damper 250 and thesecond damper 260 according to the cooking mode input by the user.

예를 들어, 육류, 생선류, 채소류, 과일류와 같은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모드별(튀김 또는 건조 또는 구이) 조리 시간, 조리 온도, 조리 풍량이 다양하게 다르기 때문에 제어처리부(340)는 사용자가 입력한 조리 모드와 식재료에 적합한 조리제어 정보를 조리 메타정보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조리 제어정보대로 조리부(200)를 제어하는 것이다.For example, thecontrol processing unit 340 is input by the user because the cooking time, cooking temperature, and cooking air volume for each mode (fried or dried or roasted) vary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ingredients such as meat, fish, vegetables, and fruits. Cooking control information suitable for one cooking mode and food ingredient is extracted from the cooking meta information, and thecooking unit 20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extracted cooking control information.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처리부(340)는 튀김 모드 시,Specifically, thecontrol processing unit 340 in the frying mode,

조리 제어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식재료 정보에 해당하는 식재료 튀김이 되도록 하는 풍량이 조리 시간동안 형성되도록 팬(220)을 회전시키고, 조리 제어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식재료 정보에 해당하는 식재료 튀김이 되도록 하는 조리 온도가 조리 시간동안 형성되도록 히터(240)를 작동시키고, 공기 홀(132)이 5~10% 개방되도록 제1댐퍼(250)를 작동시키고, 유출구(120)가 폐쇄되도록 제2댐퍼(260)를 작동시킨다.According to the cooking control information, thepan 220 is rotated so that the amount of air to fry the food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food material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s formed during the cooking time, and the food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food material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cooking control information is fried Theheater 240 is operated so that the cooking temperature is formed during the cooking time, thefirst damper 250 is operated so that theair hole 132 is opened by 5-10%, and theoutlet port 120 is closed. Thedamper 260 is operated.

또한, 상기 제어처리부(340)는 건조 모드 시,In addition, thecontrol processing unit 340 in the drying mode,

조리 제어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식재료 정보에 해당하는 식재료 건조가 되도록 하는 풍량이 조리 시간동안 형성되도록 팬(220)을 회전시키고, 조리 제어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식재료 정보에 해당하는 식재료 건조가 되도록 하는 조리 온도가 조리 시간동안 형성되도록 히터(240)를 작동시키고, 공기 홀(132)이 100% 개방되도록 제1댐퍼(250)를 작동시키고, 유출구(120)가 개방되도록 제2댐퍼(260)를 작동시킨다.According to the cooking control information, thefan 220 is rotated so that the amount of air to dry the food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food material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s formed during the cooking time, and the food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food material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cooking control information is dried. Theheater 240 is operated so that the cooking temperature is formed during the cooking time, thefirst damper 250 is operated so that theair hole 132 is 100% open, and the second damper ( 260).

또한, 상기 제어처리부(340)는 구이 모드 시,In addition, thecontrol processing unit 340 in the roasting mode,

조리 제어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식재료 정보에 해당하는 식재료 구이가 되도록 하는 풍량이 조리 시간동안 간헐적으로 형성되도록 팬(220)을 간헐적으로 회전시키고, 조리 제어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식재료 정보에 해당하는 식재료 구이가 되도록 하는 조리 온도가 조리 시간동안 형성되도록 히터(240)를 작동시키고, 공기 홀(132)이 10~20% 개방되도록 제1댐퍼(250)를 작동시키고, 유출구(120)가 폐쇄되도록 제2댐퍼(26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cooking control information, thefan 220 is intermittently rotated so that the amount of air for roasting food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food material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s intermittently formed during the cooking time, and the food material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cooking control information Theheater 240 is operated so that the cooking temperature for roasting the corresponding food material is formed during the cooking time, thefirst damper 250 is operated so that theair hole 132 is opened 10-20%, and theoutlet 120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second damper 260 is operated to be closed.

사용자가 튀김 모드를 선택하고, 식재료로 감자를 선택한 경우의 제어처리부(340)의 동작 특성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control processing unit 340 when the user selects the frying mode and selects potatoes as a food ingredi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사용자가 입력 정보(감자, 튀김)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처리부(340)는 저장수단(330)에 저장된 조리 메타정보로부터 감자튀김에 대한 조리 제어정보를 추출한다.When the user inputs input information (potatoes, fries), thecontrol processing unit 340 extracts cooking control information for French fries from the cooking meta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330.

다음에, 상기 제어처리부(340)는 감자튀김에 해당하는 조리 제어정보에 따라 공기 홀(132)이 5~10% 개방되도록 제1댐퍼(250)를 작동시키고, 유출구(120)가 폐쇄되도록 제2댐퍼(260)를 작동시킨다.Next, thecontrol processing unit 340 operates thefirst damper 250 so that theair hole 132 is opened by 5 to 10% according to the cooking contro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rench fries, and theoutlet port 120 is closed. 2 Operate thedamper 260.

그 다음에, 상기 제어처리부(340)는 감자튀김에 해당하는 조리 제어정보에 따른 조리 시간동안 모터(230)와 히터(240)를 동작시켜 감자튀김에 적합한 조리 온도와 조리 풍량을 형성시킨다.Then, thecontrol processing unit 340 operates themotor 230 and theheater 240 during the cooking time according to the cooking contro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rench fries to form a cooking temperature and a cooking air volume suitable for the french fries.

구체적으로, 히터(240)가 감자튀김에 적합한 온도의 열을 발생시키도록 동작시킨 후, 팬(220)을 회전시켜 외부에서 상부공간(101)로 유입된 공기가 5~10% 개방된 공기 홀(132) 통해 하부공간(102)로 유입되게 유도함과 동시에, 히터(240)에서 발생시킨 열이 감자튀김에 적합한 풍량의 열풍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하부공간(102)에 형성되는 열풍은 유출구(120)가 폐쇄된 상태이어서 외부로 인위적으로 배출되지 않고 하부공간(102) 내에서 순환하며 식재료인 감자를 튀기게 되는 것이다.Specifically, after theheater 240 is operated to generate heat at a temperature suitable for french fries, thefan 220 is rotated to allow 5-10%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upper space 101 from the outside to be opened. At the same time, the heat generated by theheater 240 is induced to flow into thelower space 102 through 132, and the heat generated by theheater 240 becomes hot air of an air volume suitable for French fries. At this time, the hot air formed in thelower space 102 is not artifici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because theoutlet 120 is closed, and circulates in thelower space 102 to fry potatoes, which are food ingredients.

사용자가 건조 모드를 선택하고, 식재료로 버섯을 선택한 경우의 제어처리부(340)의 동작 특성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control processing unit 340 when the user selects the drying mode and selects mushrooms as food ingredi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사용자가 입력 정보(버섯, 건조)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처리부(340)는 저장수단(330)에 저장된 조리 메타정보로부터 버섯 건조에 대한 조리 제어정보를 추출한다.When the user inputs input information (mushrooms, drying), thecontrol processing unit 340 extracts cooking control information for mushroom drying from the cooking meta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330.

다음에, 상기 제어처리부(340)는 버섯 건조에 해당하는 조리 제어정보에 따라 공기 홀(132)이 100% 개방되도록 제1댐퍼(250)를 작동시키고, 유출구(120)가 개방되도록 제2댐퍼(260)를 작동시킨다.Next, thecontrol processing unit 340 operates thefirst damper 250 to open theair hole 132 100% according to the cooking contro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ushroom drying, and the second damper to open theoutlet 120. Activate (260).

그 다음에, 상기 제어처리부(340)는 버섯 건조에 해당하는 조리 제어정보에 따른 조리 시간동안 모터(230)와 히터(240)를 동작시켜 버섯 건조에 적합한 조리 온도와 조리 풍량을 형성시킨다.Then, thecontrol processing unit 340 operates themotor 230 and theheater 240 during the cooking time according to the cooking contro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ushroom drying to form a cooking temperature and a cooking air volume suitable for drying the mushrooms.

구체적으로, 히터(240)가 버섯 건조에 적합한 온도의 열을 발생시키도록 동작시킨 후, 팬(220)을 회전시켜 외부에서 상부공간(101)으로 유입된 공기가 100% 완전 개방된 공기 홀(132)을 통해 하부공간(102)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히터(240)에서 발생시킨 열이 버섯 건조에 적합한 풍량의 열풍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Specifically, after theheater 240 is operated to generate heat at a temperature suitable for drying mushrooms, thefan 220 is rotated so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upper space 101 from the outside is 100% completely opened ( At the same time, the heat generated by theheater 240 is induced to flow into thelower space 102 through 132, and the heat generated by theheater 240 becomes hot air with an air volume suitable for drying mushrooms.

이때, 하부공간(102)에 형성되는 열풍은 유출구(120)가 개방된 상태이어서 외부로 인위적으로 배출되는데, 열풍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이유는 열풍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면 식재료는 건조가 아니라 익게 된다. 따라서 열풍은 하부공간(102)에서 순환기도하지만 외부로도 배출된다. 이러한 열풍의 순환과 배출과정을 통해 식재료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hot air formed in thelower space 102 is artifici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because theoutlet 120 is open. The reason for the hot ai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that if the hot air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food is not dried, but do. Therefore, the hot air is circulated in thelower space 102 but is also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drying of food ingredients is achieved through the circulation and discharge of hot air.

사용자가 구이 모드를 선택하고, 식재료로 오리를 선택한 경우의 제어처리부(340)의 동작 특성을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control processing unit 340 when the user selects the roasting mode and selects duck as the food ingredi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사용자가 입력 정보(오리, 구이)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처리부(340)는 저장수단(330)에 저장된 조리 메타정보로부터 오리구이에 대한 조리 제어정보를 추출한다.When the user inputs input information (duck, roast), thecontrol processing unit 340 extracts cooking control information for roast duck from the cooking meta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330.

다음에, 상기 제어처리부(340)는 오리구이에 해당하는 조리 제어정보에 따라 공기 홀(132)이 10~20% 개방되도록 제1댐퍼(250)를 작동시키고, 유출구(120)가 폐쇄되도록 제2댐퍼(260)를 작동시킨다.Next, thecontrol processing unit 340 operates thefirst damper 250 so that theair hole 132 is opened by 10-20% according to the cooking contro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oast duck, and theoutlet port 120 is closed. 2 Operate thedamper 260.

그 다음에, 상기 제어처리부(340)는 오리구이에 해당하는 조리 제어정보에 따른 조리 시간동안 간헐적으로 모터(230)를 동작시키고, 조리 시간동안 히터(240)를 동작시켜 오리구이에 적합한 조리 온도와 조리 풍량을 형성시킨다.Then, thecontrol processing unit 340 intermittently operates themotor 230 during the cooking time according to the cooking contro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oast duck, and operates theheater 240 during the cooking time to provide a cooking temperature suitable for roasting duck. And the cooking air volume.

구체적으로, 히터(240)가 오리구이에 적합한 온도의 열을 발생시키도록 동작시킨 후, 팬(220)을 조리 시간동안 간헐적으로 회전시켜 외부에서 상부공간(101)로 유입된 공기가 5~10% 개방된 공기 홀(132) 통해 간헐적으로 하부공간(102)로 유입되게 유도함과 동시에, 히터(240)에서 발생시킨 열이 오리구이에 적합한 풍량의 간헐적 열풍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하부공간(102)에 형성되는 열풍은 유출구(120)가 폐쇄된 상태이어서 외부로 인위적으로 배출되지 않고 하부공간(102) 내에서 순환하며 식재료인 오리를 굽게 되는 것이다.Specifically, after theheater 240 is operated to generate heat of a temperature suitable for roasting duck, thefan 220 is intermittently rotated during the cooking time, so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upper space 101 from the outside is 5-10. % Induces intermittent flow into thelower space 102 through theopen air hole 132 and at the same time, the heat generated by theheater 240 becomes intermittent hot air with an air volume suitable for roasting ducks. At this time, the hot air formed in thelower space 102 is not artifici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because theoutlet 120 is closed, and circulates in thelower space 102 to bake the duck, a food ingredient.

특히, 구이 모드와 튀김 모드의 차이점은 조리 시간동안의 모터(230)의 동작 상태와 공기 홀(132)의 개방 정도로서, 튀김 모드 시에는 모터(230)가 조리 시간 내내 동작하나, 구이 모드 시에는 간헐적으로만 동작하고, 튀김 모드 시에는 공기 홀(132)이 5~10% 개방되나 구이 모드 시에는 10~20% 개방된다.In particular, the difference between the roasting mode and the frying mode is the operating state of themotor 230 during the cooking time and the degree of opening of theair hole 132. In the frying mode, themotor 230 operates throughout the cooking time, but in the roasting mode It operates only intermittently, and in the frying mode, theair hole 132 is opened by 5-10%, but in the roasting mode, it is opened by 10-20%.

식재료 조리 특성상 튀김의 경우 공기가 적어야 하고 열풍이 조리시간 내내 형성되어야 하는 반면, 구이의 경우는 튀김보다 상대적으로 공기가 많아야 하고, 열풍이 간헐적으로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fried food, the air must be small and hot air must be formed throughout the cooking time, whereas the case of grilling must have relatively more air than the frying, and hot air must be formed intermittently.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In the abo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illustrativ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is a clear fact that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perform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에어 프라이어
100 : 본체부
200 : 조리부
300 : 제어부
10: Air fryer
100: main body
200: cooking unit
300: control unit

Claims (10)

Translated fromKorean
식재료를 튀기거나, 건조 시키거나, 굽기 위한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에 있어서,
각 구성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되,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110)가 상측에 형성되고, 내부공기가 유출되도록 하는 유출구(120)가 측면에 형성되며, 팬 보호와 공기 흐름을 유도하는 격벽부(130)가 내부에 형성되고, 조리용기(210)를 서랍식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 삽입구(140)가 형성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형성되어, 열풍에 의해 식재료에 튀김효과와 건조효과와 구이효과를 제공하는 조리부(200)와;
상기 본체부(100) 일측에 형성되며, 조리 메타정보가 저장되고, 투입되는 식재료의 조리를 위해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 정보에 따라 조리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00)의 격벽부(130)는 본체부(100)의 내부공간을 상부공간(101)과 하부공간(102)으로 구분 구획하고, 조리 모드에 따라 상부공간(101)과 하부공간(102)의 공기 연통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중간부분에는 모터축(231)이 관통되도록 하는 관통 홀(131)이 형성되고, 일 측부에는 유입된 외부 공기가 조리용기가 위치하는 하부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 홀(1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본체부(100) 측면에 형성되는 유출구(120)는 조리용기(210)가 위치하는 하부공간에 대응되는 본체부(100) 측면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조리 메타정보는 조리 모드별과 식재료별 조리 온도, 조리 시간, 조리 풍량, 댐퍼 작동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 정보는 조리 모드 정보와 식재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
In a multifunctional air fryer for frying, drying or baking food ingredients,
Provides a space in which each component is installed, but an inlet 110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an outlet 120 for allowing internal air to flow is formed on the side, protecting the fan and inducing air flow. A main body part 100 having a partition wall part 130 formed therein and having a container insertion hole 140 for inserting the cooking container 210 into a drawer type;
A cooking unit 200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0 to provide a frying effect, a drying effect, and a roasting effect to food materials by hot air;
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the cooking meta information is stored, and includes a control unit 300 for controlling the cooking unit 200 according to input information input by a user for cooking of ingredients to be input,

The partition wall portion 130 of the body portion 100 divides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ortion 100 into an upper space 101 and a lower space 102, and the upper space 101 and the lower space according to the cooking mode. A through hole 131 through which the motor shaft 231 penetrates is formed in the middle part and the through hole 131 is formed in the middle part, and the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lower space where the cooking container is loca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hole 132 to be introduced is formed,
The outlet 120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0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ide of the main body 100 corresponding to a lower space in which the cooking container 210 is located,
The cooking meta information includes cooking temperature, cooking time, cooking air volume, and damper operation information for each cooking mode and each ingredient,
The multifunctional air fr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ncludes cooking mode information and food ingredient information.
삭제delete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200)는,
식재료를 담아 본체부(100) 내부로 서랍식으로 삽입되되, 복수의 공기 순환구(211)가 형성되는 조리용기(210)와,
유입된 공기가 본체부(100) 내부에서 순환되도록 하기 위해 모터축(231)에 결합되는 팬(220)과,
모터축(231)에 결합된 팬(220)을 회전시키는 모터(230)와,
식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240)와,
조리 모드에 따른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격벽부(130)에 형성된 공기 홀(132)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제1댐퍼(250)와,
조리 모드에 따른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본체부(100) 측면에 형성된 유출구(120)를 개폐시키는 제2댐퍼(260)를 포함하고,
상기 팬(220)은 격벽부(130) 하측에 위치하도록 모터축(23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oking unit 200,
A cooking container 210 that contains food ingredients and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0 in a drawer manner, and in which a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ports 211 are formed,
A fan 220 coupled to the motor shaft 231 to allow the introduced air to circulate inside the main body 100,
A motor 230 that rotates the fan 220 coupled to the motor shaft 231,
A heater 240 that generates heat for heating food ingredients,
A first damper 250 for adjust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air hole 132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1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00 according to the cooking mode,
Includes a second damper 26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120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00 according to the cooking mode,
The fan 220 is a multifunctional air frye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motor shaft 231 so as to be located under the partition portion 13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댐퍼(250)는,
튀김 모드 시에는 제어부(300) 제어에 의해 공기 홀(132)을 5~10% 개방되도록 하고, 구이 모드 시에는 제어부(300) 제어에 의해 공기 홀(132)을 10~20% 개방되도록 하며, 건조 모드 시에는 제어부(300) 제어에 의해 공기 홀(132)을 100%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댐퍼(260)는,
튀김 모드와 구이 모드 시에는 제어부(300) 제어에 의해 유출구(120)를 폐쇄시키고, 건조 모드 시에는 제어부(300) 제어에 의해 유출구(120)를 100%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damper 250,
In the frying mode, the air hole 132 is opened by 5 to 10%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00, and in the roasting mode, the air hole 132 is opened by 10 to 20%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00, In the drying mo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hole 132 is opened 100%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00,

The second damper 260,
In the frying mode and the roasting mode, the outlet 120 is closed by the control unit 300, and in the drying mode, the outlet 120 is opened 100% by the control unit 30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200)는,
상기 조리용기(210)에 착탈식으로 형성되어, 식재료에서 흘러나오는 기름 및 액체가 수거되도록 하는 기름받이통(2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oking unit 200,
A multifunctional air fry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rip tray 270 that is formed detachably in the cooking container 210 so that oil and liquid flowing out of the food material are collec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사용자가 조리 모드와 식재료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입력부(310)와,
현재 조리되는 식재료에 대한 식재료의 종류, 조리 방법, 조리 온도, 조리 시간을 포함하는 조리 상태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320)와,
조리 메타정보가 저장되는 저장수단(330)과,
사용자가 입력한 조리 모드와 식재료 정보에 해당하는 현재 조리할 식재료에 대한 조리 제어정보를 저장된 조리 메타정보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조리 제어정보에 따라 조리부(200)를 제어하는 제어처리부(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300,
An information input unit 310 for allowing a user to input input information including a cooking mode and food ingredient information;
A display 320 that displays cooking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a type of food material, a cooking method, a cooking temperature, and a cooking time for the currently cooked food;
A storage means 330 for storing cooking meta information,
A control processing unit 340 that extracts cooking control information for the current food material to be cooked corresponding to the cooking mode and food material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from the stored cooking meta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cooking unit 200 according to the extracted cooking control information. Multifunctional air fryer comprising a.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리 제어정보는,
사용자가 입력한 조리 모드와 식재료 정보에 해당하는 식재료 튀김 또는 식재료 건조 또는 식재료 구이가 되도록 하는 조리 시간 정보와,
사용자가 입력한 조리 모드와 식재료 정보에 해당하는 식재료 튀김 또는 식재료 건조 또는 식재료 구이가 되도록 하는 풍량이 조리 시간동안 형성되도록 팬(2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정보와,
사용자가 입력한 조리 모드와 식재료 정보에 해당하는 식재료 튀김 또는 식재료 건조 또는 식재료 구이가 되도록 하는 조리 온도가 조리 시간동안 형성되도록 히터(2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정보와,
사용자가 입력한 조리 모드에 따라 제1댐퍼(250)와 제2댐퍼(2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
The method of claim 6,
The cooking control information,
Cooking time information for frying or drying or roasting ingredients corresponding to the cooking mode and ingredient information entered by the user;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an 220 so that the amount of air for frying or drying or roasting foods corresponding to the cooking mode and food material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s formed during the cooking time;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ter 240 so that a cooking temperature for frying or drying or roasting foods corresponding to the cooking mode and food material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s formed during the cooking time;
A multifunctional air fryer comprising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amper 250 and the second damper 260 according to the cooking mode input by the us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110) 하측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과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1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ultifunctional air fryer, characterized in that a filter 111 is formed below the inlet 110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and pollutants contained in the incoming external ai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처리부(340)는 튀김 모드 시,
조리 제어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식재료 정보에 해당하는 식재료 튀김이 되도록 하는 풍량이 조리 시간동안 형성되도록 팬(220)을 회전시키고, 조리 제어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식재료 정보에 해당하는 식재료 튀김이 되도록 하는 조리 온도가 조리 시간동안 형성되도록 히터(240)를 작동시키고, 공기 홀(132)이 5~10% 개방되도록 제1댐퍼(250)를 작동시키고, 유출구(120)가 폐쇄되도록 제2댐퍼(260)를 작동시키며,

상기 제어처리부(340)는 건조 모드 시,
조리 제어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식재료 정보에 해당하는 식재료 건조가 되도록 하는 풍량이 조리 시간동안 형성되도록 팬(220)을 회전시키고, 조리 제어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식재료 정보에 해당하는 식재료 건조가 되도록 하는 조리 온도가 조리 시간동안 형성되도록 히터(240)를 작동시키고, 공기 홀(132)이 100% 개방되도록 제1댐퍼(250)를 작동시키고, 유출구(120)가 개방되도록 제2댐퍼(260)를 작동시키며,

상기 제어처리부(340)는 구이 모드 시,
조리 제어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식재료 정보에 해당하는 식재료 구이가 되도록 하는 풍량이 조리 시간동안 간헐적으로 형성되도록 팬(220)을 간헐적으로 회전시키고, 조리 제어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식재료 정보에 해당하는 식재료 구이가 되도록 하는 조리 온도가 조리 시간동안 형성되도록 히터(240)를 작동시키고, 공기 홀(132)이 10~20% 개방되도록 제1댐퍼(250)를 작동시키고, 유출구(120)가 폐쇄되도록 제2댐퍼(26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control processing unit 340 is in the frying mode,
According to the cooking control information, the pan 220 is rotated so that the amount of air to fry the food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food material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s formed during the cooking time, and the food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food material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cooking control information is fried The heater 240 is operated so that the cooking temperature is formed during the cooking time, the first damper 250 is operated so that the air hole 132 is opened by 5-10%, and the outlet port 120 is closed. Operating the damper 260,

When the control processing unit 340 is in the drying mode,
According to the cooking control information, the fan 220 is rotated so that the amount of air to dry the food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food material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s formed during the cooking time, and the food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food material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cooking control information The heater 240 is operated so that the cooking temperature is formed during the cooking time, the first damper 250 is operated so that the air hole 132 is 100% open, and the second damper ( 260),

The control processing unit 340 in the roasting mode,
According to the cooking control information, the fan 220 is intermittently rotated so that the amount of air for roasting the food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food material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s intermittently formed during the cooking time, and the food material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s The heater 240 is operated so that the cooking temperature for roasting the corresponding food material is formed during the cooking time, the first damper 250 is operated so that the air hole 132 is opened 10-20%, and the outlet 120 is Multifunctional air fryer, characterized in that operating the second damper (260) to be closed.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처리부(340)는 튀김 모드 시,
조리 제어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식재료 정보에 해당하는 식재료 튀김이 되도록 하는 풍량이 조리 시간동안 형성되도록 팬부(220)를 회전시키고, 조리 제어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식재료 정보에 해당하는 식재료 튀김이 되도록 하는 조리 온도가 조리 시간동안 형성되도록 히터(240)를 작동시키고, 제1 유출구(120)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공기 홀(132)을 폐쇄시키도록 댐퍼(250)를 작동시키며,

상기 제어처리부(340)는 건조 모드 시,
조리 제어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식재료 정보에 해당하는 식재료 건조가 되도록 하는 풍량이 조리 시간동안 형성되도록 팬부(220)를 회전시키고, 조리 제어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식재료 정보에 해당하는 식재료 건조가 되도록 하는 조리 온도가 조리 시간동안 형성되도록 히터(240)를 작동 시키고, 제1 유출구(120)를 폐쇄시킴과 동시에 공기 홀(132)을 개방시키도록 댐퍼(250)를 작동시키며,

상기 제어처리부(340)는 구이 모드 시,
조리 제어정보에 따라 팬부(220)를 정지시키고, 조리 제어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식재료 정보에 해당하는 식재료 구이가 되도록 하는 조리 온도가 조리 시간동안 형성되도록 히터(240)를 작동 시키고, 제1 유출구(120)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공기 홀(132)을 폐쇄시키도록 댐퍼(25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control processing unit 340 is in the frying mode,
According to the cooking control information, the fan unit 220 is rotated so that the amount of air that allows the food material to be fried corresponding to the food material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s formed during the cooking time, and fries the food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food material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cooking control information. The heater 240 is operated so that the cooking temperature is formed during the cooking time, and the damper 250 is operated to open the first outlet 120 and close the air hole 132,

When the control processing unit 340 is in the drying mode,
According to the cooking control information, the fan unit 220 is rotated so that the amount of air for drying the food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food material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s formed during the cooking time, and the food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food material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s dried according to the cooking control information. The heater 240 is operated so that the cooking temperature to be formed during the cooking time, and the damper 250 is operated to open the air hole 132 while closing the first outlet 120,

The control processing unit 340 in the roasting mode,
The fan unit 220 is stopped according to the cooking control information, and the heater 240 is operated so that the cooking temperature is formed during the cooking time so that the food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food material information inputt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cooking control information is formed. A multifunctional air fr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amper 250 is operated to open the outlet 120 and close the air hole 132 at the same time.

KR1020190106189A2019-08-292019-08-29A multi-functional air fryerActiveKR1021755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90106189AKR102175579B1 (en)2019-08-292019-08-29A multi-functional air f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90106189AKR102175579B1 (en)2019-08-292019-08-29A multi-functional air fry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102175579B1true KR102175579B1 (en)2020-11-06

Family

ID=73572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90106189AActiveKR102175579B1 (en)2019-08-292019-08-29A multi-functional air fryer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2175579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2348147B1 (en)*2021-09-072022-01-05김재은Air fryer
KR20220002558U (en)2021-04-192022-10-26신나미Air fryer cab be used generic cooking pot
CN115299786A (en)*2021-05-072022-11-08深圳市和生创新技术有限公司 Control method and stepless speed control method for air fryer and its system and equipment
CN116548834A (en)*2022-01-292023-08-08漳州灿坤实业有限公司Food processor
WO2024183550A1 (en)*2023-03-032024-09-12九阳股份有限公司Air fryer allowing for adjustment between crisp and tender tastes
WO2024234670A1 (en)*2023-05-122024-11-21九阳股份有限公司Air fry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070120529A (en)2005-03-142007-12-24터보쉐프 테크놀러지즈, 아이엔씨. Air fryer
KR101253705B1 (en)2011-12-212013-04-11전명진Air frier where air is easily circulated in
KR20130089449A (en)2012-02-022013-08-12함태영 Air fryer
JP2014114967A (en)*2012-12-062014-06-26Panasonic CorpRecipe generating method, and recipe generating system
WO2019032876A1 (en)*2017-08-092019-02-14Sharkninja Operating Llc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070120529A (en)2005-03-142007-12-24터보쉐프 테크놀러지즈, 아이엔씨. Air fryer
KR101253705B1 (en)2011-12-212013-04-11전명진Air frier where air is easily circulated in
KR20130089449A (en)2012-02-022013-08-12함태영 Air fryer
JP2014114967A (en)*2012-12-062014-06-26Panasonic CorpRecipe generating method, and recipe generating system
WO2019032876A1 (en)*2017-08-092019-02-14Sharkninja Operating Llc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220002558U (en)2021-04-192022-10-26신나미Air fryer cab be used generic cooking pot
CN115299786A (en)*2021-05-072022-11-08深圳市和生创新技术有限公司 Control method and stepless speed control method for air fryer and its system and equipment
KR102348147B1 (en)*2021-09-072022-01-05김재은Air fryer
CN116548834A (en)*2022-01-292023-08-08漳州灿坤实业有限公司Food processor
CN116548834B (en)*2022-01-292025-09-05漳州灿坤实业有限公司 food processor
WO2024183550A1 (en)*2023-03-032024-09-12九阳股份有限公司Air fryer allowing for adjustment between crisp and tender tastes
WO2024234670A1 (en)*2023-05-122024-11-21九阳股份有限公司Air fry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102175579B1 (en)A multi-functional air fryer
US20180255971A1 (en)Air Fryer
CN109803565A (en)Air fries system and method
US7451691B2 (en)No waste cooking oven with multiple cooking functions
US10485377B2 (en)Counter top cooking appliance
US10492642B2 (en)Electric cooking appliance for preparing fried food
US20170231430A1 (en)Air Fryer
KR101003235B1 (en) Cooking Cooker
US20050223906A1 (en)Stir-frying Apparatus with Overhead Heating Device
US11175048B2 (en)Cooking appliance
CN105996728B (en)Food cooker and the food cooker for automating processed food
US20140245897A1 (en)Rotisserie convection oven with rotatable cooking drum and method of use
CN211212750U (en)Multifunctional roasting tool
CN113317691B (en)Cooking apparatus
US20120160110A1 (en)Grill/toaster machine with vapor
KR200431719Y1 (en) Double-sided Grill Grill Using Far Infrared
JPH09508562A (en) Mobile barbecue equipment
CN109431299A (en)Food process metho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oven
KR101689089B1 (en)Kiln-type roasting device
CN114668303A (en)Cooking appliance with hot air circulation and steam combined heating mode
EP4043794A1 (en)Cooking appliance
KR101523557B1 (en)Roasting Grill Machine
KR101177993B1 (en)Multipurpose Barbecue Apparatus
CN212815937U (en)Air fryer capable of turning food
KR200335328Y1 (en)Double-faced Cookware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90829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00911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201029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01102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20201102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231021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