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구강내 치아의 교정 및 유지를 위해 사용되는 치아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판과 교정 와이어의 개선을 통해 구조적인 제작상의 편리함과 내구성의 향상은 물론, 외관상의 개선이 가능하게 하는 크롬 코발트 합금 치아 유지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 retention device used for the correction and maintenance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nd more specifically, through improvement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orthodontic wire, it is possible to improve structural convenience and durability as well as improve appearance. It relates to a chromium cobalt alloy tooth retaining devi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치아의 불균일한 치열상태 또는 부정교합의 원인은 치아 자체의 발육이상, 턱뼈의 발육이상, 어릴 때 손가락을 빠는 등의 나쁜 습관 또는 나쁜 식습관 등으로 인해 치아가 제자리에서 바르게 자라지 못하게 되어 기인되어 왔다.In general, the cause of uneven dentition or malocclusion of the teeth is due to the teeth not being able to grow properly in place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teeth themselves, development of the jaw bones, bad habits such as sucking fingers when young, or bad eating habits. come.
이렇게 치열이 불균일하거나 부정교합 될 경우 타인과의 대화 또는 웃을 때 치열상태로 인해 입을 가리거나 대인관계에 대해 자신감이 저하되어 소극적으로 대처하게 됨으로써 원만한 사회생활을 행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음식물 섭취 시에도 음식물을 균일하게 분쇄하지 못하거나 치아와 치아 사이의 틈으로 음식물 찌꺼기가 끼게 되어 각종 치아 질병 또는 소화기 계통의 질병을 초래하게 되고, 불균일한 치열 또는 부정교합으로 인해 신체의 전체적인 균형을 깨뜨려 각종 잔병에 시달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f the teeth are non-uniform or non-occlusal, they will not be able to lead a smooth social life by not only being able to lead a smooth social life by covering their mouths or losing confidence in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 when they talk to others or laugh. Inability to uniformly crush foods or food residues get stuck in the gap between teeth and teeth, which can lead to various dental diseases or diseases of the digestive system, and disrupt the overall balance of the body due to uneven dentition or malocclusion. There was a problem afflicted.
따라서 이러한 점을 해결하고자 치아에 지속적인 힘을 가하여 치아를 둘러싸고 있는 치조골의 개조와 함께 치아의 이동이 일어나게 하는 원리의 교정기술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크게 고정성 유지 장치, 가철식 유지 장치 로 나뉘어져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correction technique of a principle of applying a constant force to the tooth to cause the movement of the tooth to occur along with the remodeling of the alveolar bone surrounding the tooth is largely divided into a fixed holding device and a removable holding device.
이중, 가철식 유지 장치는 금속 와이어로 구성되어 치아와 치아 사이로 장입되어 치아를 교정하는 절곡형 조절부와 교정부로 된 교정 와이어와, 상기 교정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구강내의 천장면 또는 설면에 밀착되고 플라스틱 레진으로 형성된 지지판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직접 꼈다 뺐다 하는 철사가 지나가는 유지장치로서, 전체적으로 치아를 유지해주는 힘이 안정적이며, 치아를 가지런하게 유지하면서 위, 아래 치아들이 조금 더 자연스럽게 맞아갈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는 탈착이 가능하여 중요한 일이 있는 경우 장치를 제거 할 수 있으며, 양치 시 장치를 제거하여 치아와 장치를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었다.Among them, the removable retaining device is formed of a metal wire, and is inserted between the teeth and the teeth to form a bend-type adjustment part and a correction part to correct the teeth, and is formed inside the orthodontic part to be adhered to the ceiling or the tongue surface in the oral cavity. It is composed of a support plate formed of plastic resin, and the wire that the user puts on and off is passed, so the force that maintains the teeth as a whole is stable, and while keeping the teeth neat, the upper and lower teeth fit more naturally. It can serve as a guideline. This is detachable, so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device if there is an important thing, and it was possible to clean the teeth and device by removing the device during brushing.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가철식 유지장치는 지지판이 플라스틱 레진을 이용한 사출 형성 구조를 이루는 것인바, 그 제작 비용이 비싸고 부득이 지지판의 두께가 두꺼워져 구강내 이물감이 가중되는 문제점과, 지지판의 강성 저하에 따른 지지력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금속재로 된 교정 와이어로 인해 치아의 밀착력이 저하되면서도 외관상으로도 쉽게 노출되어 착용자가 착용을 기피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removable retain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is that the support plate is formed of an injection-forming structure using plastic resin,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and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plate is inevitably increased, thereby increasing the foreign body sensation in the oral cavity and reducing the rigidity of the support plat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upport force is lowered and the wearer avoids wearing because it is easily exposed in appearance while the adhesion force of the teeth is reduced due to the orthodontic wire made of meta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지지판의 개선을 통해 제작 과정에서의 편리함과 생산성이 증대되게 함은 물론, 지지판의 두께 감소 및 강성의 강화를 통해 구강내 이물감의 최소화 및 내구성의 향상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크롬 코발트 합금 치아 유지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mproves convenience and productivity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rough improvement of the support plate, and also minimizes foreign body sensation in the oral cavity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plate and strengthening rigidity.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romium cobalt alloy tooth retaining devi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for bringing about an improvement in durability.
또한, 치아의 전치부를 지지하는 교정 와이어의 구조적인 개선을 통해 안정된 치아의 안정적인 지지 교정은 물론, 외관상으로도 노출감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크롬 코발트 합금 치아 유지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romium cobalt alloy tooth holding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table support of the stable teeth through structural improvement of the orthodontic wire supporting the anterior teeth of the teeth, as well as to minimize the impression of appearance. There is thi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치아 유지장치에 있어서,As a specific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tooth retaining device,
구강의 천장면 또는 설면에 밀착 지지되는 지지판; 및A support plate closely supported to the ceiling surface or the tongue surface of the oral cavity; And
양단이 지지판의 양측에 연결 형성되며, 지지판 과의 사이에는 치열 지지홈을 이루고, 치열의 외측을 지지 교정하는 교정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하되,Both ends are formed to b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form an orthodontic support groove, comprising a correction wire for supporting and correcting the outside of the teeth,
지지판은,The support plate,
크롬(Chromium)과 코발트(cobalt)가 혼합되어 구성되며, 0.5~0.6mm 두께를 이루게 구성하며,It is composed of a mixture of chromium and cobalt, and is composed of 0.5 to 0.6 mm thick.
교정 와이어는,Straightening wire,
치열의 전치부를 지지되어 치열의 지지 및 교정하는 교정부; 및Orthodontic unit for supporting and correcting the dentition by supporting the anterior portion of the dentition; And
교정부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 및 지지판을 연결하며, 교정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U"형 절곡부와 어금니 지지돌부를 갖는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며,The extension par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rthodontic part, and the support plate is connected, and the length of the orthodontic part is adjusted to include a “U” -shaped bent part and an adjustable part having a molar support protrusion,
교정 와이어는,Straightening wire,
교정부와 조절부가 일체 형성된 메탈재로 구성하거나,It is composed of a metal material integrally formed with the calibration part and the adjustment part, or
교정부는 투명의 합성수지재로 구성하고, 조절부는 메탈재로 구성하되,The correction part is made of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control part is made of metal material,
교정부에는,In the correction department,
내측에 치아가 안치되는 다수의 치아 안치홈이 형성되게 구성하며,It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tooth rest grooves are formed inside the teeth,
크롬(Chromium)과 코발트(cobalt) 분말이 혼합된 분말 레진을 이용하여 레이저 소결 방식 3D 프린팅하여 지지판을 제조하는 지지판 제조단계;A support plate manufacturing step of manufacturing a support plate by laser sintering 3D printing using a powder resin in which chromium and cobalt powder are mixed;
치열의 전치부를 지지하는 교정부와 교정부의 양단으로 연장 형성되어 교정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절곡부와 어금니 사이에 지지되는 어금니 지지돌부를 갖는 조절부로 된 교정 와이어를 제조하는 와이어 제조단계; 및A wire manufacturing step of manufacturing a straightening wire made of an adjusting portion having a molar support protrusion which is formed between the orthodontic portion supporting the anterior portion of the dentition and the bent portion and the molar portion that extends to both ends of the orthodontic portion to adjust the length of the orthodontic portion; And
지지판과 교정 와이어의 사이에 치열이 관통 지지되는 치열 지지홈을 이루게 교정 와이어의 조절부 단부를 통해 지지판 양측에 실버솔더로 연결하는 와이어 연결단계를 수행하되,Performing a wire connection step of connecting a silver solder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through the adjusting part end of the correction wire to form an orthodontic support groove through which the teeth are supported through the support plate and the correction wire,
크롬과 코발트 분말은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준비하고, 지지판은 0.5~0.6mm 두께를 이루게 제조하며,Chromium and cobalt powder are prepared by mixing in a ratio of 1: 1, and the support plate is made to have a thickness of 0.5 to 0.6 mm,
와이어 제조단계에서,In the wire manufacturing stage,
교정 와이어는,Straightening wire,
메탈 재질의 와이어를 절곡 하여 교정부와 조절부가 일체 형성되게 제조하되,By bending the metal wire, the calibration part and the adjustment part are integrally formed.
교정부를 착용자의 치열을 떠낸 형을 기준으로 하여 치열의 전치부 곡률에 맞게 절곡 성형하고 교정부를 성형하고,Bending and shaping the orthodontic part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anterior part of the orthodontic teeth, based on the type that left the wearer's dentition, and forming the orthodontic part,
교정부의 양측으로 치열의 구치부에 해당하게 떠낸 형을 기준으로 하여 절곡 성형 및 교정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U"형 절곡부의 절곡 성형과, 양측 어금니 사이에 지지되는 어금니 지지돌부를 절곡하여 조절부를 성형하거나,Based on the type of the orthodontic teeth, the bending part and the length of the orthodontic part can be adjusted by bending the molar support protrusion between the two molar teeth and the "U" type bendable part that allows the length of the orthodontic part to be adjusted. Mold wealth,
교정부와 조절부를 서로 다른 재질로 각각 제조하되,The calibration part and the control part are each made of different materials,
투명의 합성수지재를 와이어 형태를 이루되, 내측에는 전치부의 치아가 안치되는 다수의 치아 안치홈이 형성되게 전치부 곡률에 맞게 사출하여 교정부를 성형하고,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is formed in a wire shape, and the inner part is formed by injecting it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anterior part so that a plurality of tooth rest grooves in which the anterior part teeth are placed are formed.
교정부와 별도로 메탈 재질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치열의 구치부에 해당하게 떠낸 형을 기준으로 하여 절곡 성형 및 교정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U"형 절곡부의 절곡 성형과, 양측 어금니 사이에 지지되는 어금니 지지돌부를 절곡하여 조절부를 성형하고,By using a metal wire separately from the orthodontic part, bending molding and bending of the "U" type bendable part, which can be adjusted based on the type of the tooth that is corresponding to the posterior teeth of the dentition, and the molars supported between both molar teeth. Bend the support protrusion to form the adjusting part,
조절부를 교정부의 양단에 열융착 연결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adjustment by heat-sealing the adjustment portion to both ends of the calibration unit.
이상과 같이 본 발명 크롬 코발트 합금 치아 유지장치 및 그 제조방법은, 지지판을 제작함에 있어 크롬과 코발트가 혼합된 레진을 이용하여 3D 프린팅 제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그 제작이 매우 편리하여 생산성이 증대되며, 특히 비교적 얇게 제작이 가능하고, 강성이 증대되어 구강내 장착시 이물감이 최소화 되면서도 안정된 지지력이 확보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romium cobalt alloy tooth holding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re capable of 3D printing production using a resin mixed with chromium and cobalt in manufacturing a support plate. It is increase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relatively thin, and the rigidity is increased, so that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securing a stable support force while minimizing the foreign body feeling when mounted in the oral cavity.
또한, 치아의 전치부를 지지 교정하는 교정 와이어의 교정부가 치열을 따라 굴곡 형성되는 플라스틱재로 된 투명 와이어로 구성된 것인바, 치아의 견교한 밀착 지지는 물론, 외관상으로도 쉽게 노출되지 않는 등 외관상의 개선 및 착용자의 착용 거부감을 줄여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orthodontic portion of the orthodontic wire for supporting and correcting the anterior portion of the tooth is made of a transparent wire made of a plastic material that is bent along the dentition, it is not only easily exposed to the tooth, but also is not easily exposed in appearanc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improving and reducing wearer's refusal to wear.
도 1은 본 발명 크롬 코발트 합금 치아 유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크롬 코발트 합금 치아 유지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크롬 코발트 합금 치아 유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 크롬 코발트 합금 치아 유지장치 제조방법을 나타낸 전체 공정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romium cobalt alloy tooth retai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chromium cobalt alloy tooth retaining device.
 Figure 3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romium cobalt alloy tooth retaining device.
 Figure 4 is an overall process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hromium cobalt alloy tooth retai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or her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 크롬 코발트 합금 치아 유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크롬 코발트 합금 치아 유지장치의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hromium cobalt alloy tooth retai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lan view of the chromium cobalt alloy tooth retai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크롬 코발트 합금 치아 유지장치(1)는 지지판(100)과, 교정 와이어(200)로 구성된다.1 and 2, the present invention chromium cobalt alloy
먼저, 지지판(100)은 본 발명 크롬 코발트 합금 치아 유지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구강의 천장면 또는 설면에 밀착 지지되는 판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만곡한 곡률을 이루는 곡률형 판체 형태를 이루어 상악의 천장면 또는 하악의 설면에 밀착 지지되게 구성된다.First, the
한편, 본 발명에서 지지판(100)은 크롬(Chromium)과 코발트(cobalt)가 1:1의 비율로 혼합 성형되어 구성된 것으로, 0.5~0.6mm 두께를 이루게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때, 상기와 같이 지지판(100)을 크롬과 코발트로 구성함은, 알려진바와 같이 크롬(Chromium)은 내식성이 좋아 현재도 칼, 냄비, 많은 외과용 기구, 건축 자재 등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지지판(100)에 적용시 높은 강도를 얻을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코발트(cobalt)는 합금으로서 중요하며, 고속도강·영구자석 등의 자성재료(磁性材料), 내열·내식강(耐蝕鋼) 등으로 사용된다. 비철합금으로서는 고온에서 내산화성·내식성·내마모성·기계적 성질 등이 뛰어난 것으로, 상기 크롬과 혼합시 강도의 증대가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cobalt (cobalt) is important as an alloy, it is used as a magnetic material (磁性材料), such as high-speed steel, permanent magnets, heat-resistant, corrosion-resistant steel. The non-ferrous alloy is excellent in oxidation resistance, corrosion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mechanical properties, etc. at high temperature,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strength when mixed with the chromium.
즉, 본 발명에서 지지판(100)을 크롬과 코발트의 혼합물로 구성함은 지지판(100)의  0.5~0.6mm의 비교적 얇은 두께를 구현함에 있어, 그 얇으면서도 강도의 증대가 가능한 것으로, 이러한 지지판은 구강내 착용시 두께 감소에 따른 이물감이 최소화 되는 등 그 착용감이 한층 향상되게 된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교정 와이어(200)는 본 발명 크롬 코발트 합금 치아 유지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치열을 걸어 지지 및 그 치열의 교정이 가능하게 한다.The
이때, 본 발명에서 교정 와이어(200)는 통상의 치열 구조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원호 형태를 이루는 와이어로 구성된 것으로, 그 양단이 상기 지지판(100)의 전방 양측에 연결되되, 그 지지판(100)의 전방과 교정 와이어(200)의 사이에는 치열이 관통 지지되는 치열 지지홈(S)을 이루며, 착용시 치열의 외측 둘레에 밀착 지지되게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한편, 본 발명에서 교정 와이어(200)는 교정부(210)와 조절부(220)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먼저, 교정부(210)는 교정 와이어(200)의 전방을 이루어 치열의 전치부 외측에 밀착 지지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조절부(220)는 상기 교정부(210)의 양측에 연장 형성되어 치열의 양측 구치부를 지지하는 한편, 상기 지지판(100)과 연결되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조절부(220)에는 상기 교정부(21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U"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221)가 구성된 것으로, 그 절곡부(221)의 좁힘과 넓힘 작용에 의해 교정부(21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조절부(220)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어금니 지지돌부(222)가 구성된 것으로, 그 어금니 지지돌부(222)를 통해 착용자의 어금니와 어금니 사이에 걸려 지지되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교정 와이어(200)를 구성함에 있어, 교정부(210)와 조절부(220)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교정부(210)와 조절부(220)는 일체 형성된 인체에 무해한 메탈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또한, 교정 와이어(200)는 도 3을 참조하여 그 교정부(210)와 조절부(220)가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를 위해, 먼저 교정부(210)는 투명의 합성수지재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그 교정부(210)의 내측에는 치아가 안치되는 다수의 치아 안치홈(211)이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To this end, first, the
그리고, 조절부(220)는 메탈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즉, 상기와 같이 교정부(210)를 투명의 합성수지재로 구성함은, 본 발명 크롬 코발트 합금 치아 유지장치(1)를 착용시 교정부(210)의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어 착용자로 하여금 노출로 인한 위축감 덜어줄 수 있게 된다.That is, since the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크롬 코발트 합금 치아 유지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anufac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hromium cobalt alloy tooth hol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크롬 코발트 합금 치아 유지장치 제조방법은 지지판 제조단계(S100)와, 와이어 제조단계(S200)와, 와이어 연결단계(S300)를 수행하여 된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hromium cobalt alloy tooth retai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is performed by performing a support plate manufacturing step (S100), a wire manufacturing step (S200), and a wire connecting step (S300). do.
먼저, 지지판 제조단계(S100)는,First, the support plate manufacturing step (S100),
상기와 같이 구강의 천장면 또는 설면에 지지되는 지지판(100)을 제조하되, 크롬과 코발트 분말이 혼합된 분말 레진을 이용하며, 구강의 천장부 또는 설면의 형을 떠 그 형을 기준으로 하여 통상의 레이저 소결 방식 3D 프린팅 하여 제조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
이때, 적용되는 크롬과 코발트는 바람직하게는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분말 레진을 조성할 수 있는 것이며, 3D 프린팅 시에는 0.5~0.6mm 두께를 이루게 성형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applied chromium and cobalt are preferably mixed in a ratio of 1: 1 to form a powder resin, and when 3D printing, it is preferable to form a 0.5 to 0.6mm thick.
이때, 지지판(100)을 상기와 같이 0.5~0.6mm 두께를 이루게 성형함은, 만약 0.5 이하로 성형하게 되면 지나치게 얇아져 자칫 지지판(100)의 강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만약 0.6mm 이상으로 성형하게 되면 그 두께에 의해 착용시 구강내 이물감이 생기게 되는 것인바, 그 두께를 0.5~0.6mm를 이루게 제조함이 가장 바람직하다.At this time, forming the
이후, 와이어 제조단계(S200)는,Then, the wire manufacturing step (S200),
상기와 같이 치열의 지지 및 그 지지력에 의해 치열의 교정이 가능한 교정 와이어(200)를 제조하되, 바람직하게는 치열의 전치부를 지지하는 교정부(210)와 치열의 구치부를 지지 및 교정부(21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조절부(220)로 된 교정 와이어(200)를 제조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교정 와이어(200)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제조 가능한 것으로, 먼저 교정 와이어(20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메탈 재질의 와이어를 절곡 성형하여 교정부(210)와 조절부(220)가 일체화된 교정 와이어(200)를 이루게 성형 제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를 위해, 먼저 교정부(210)를 성형하되, 교정부(210)는 착용자의 치열을 떠낸 형을 기준으로 하여 치열의 전치부 곡률에 맞게 절곡 성형하여 가능하게 된다.To this end, first, the
그리고, 조절부(220)는 교정부(210)의 양측으로 치열의 구치부에 해당하게 떠낸 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교정부(21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절곡부(221)를 "U"자 형태를 이루게 절곡 성형하면 된다.In addition, the adjusting
그리고, 절곡부(221)와 끝단 측으로 이웃하는 위치에는 구치부의 어금니와 어금니 사이에 끼워 지지 고정이 가능한 어금니 지지돌부(222)를 절곡 성형하여 된다.In addition, the
즉, 교정 와이어(200)는 하나의 메탈 와이어를 절곡하여 교정부(210)와 조절부(220)가 일체화된 교정 와이어(200)로 제조할 수 있다.That is, the
또한, 교정 와이어(200)는 도 3을 참조하여 교정부(210)와 조절부(220)를 서로 다른 재질로 각각 제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를 위해, 먼저 교정부(210)는 투명의 합성수지재를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제조되는 교정부(210)는 치열의 전치부 곡률에 해당하게 성형하여 된다.To this end, first, the
이때, 상기와 같이 교정부(210)의 사출 성형시 그 교정부(210)의 내측면에는 전치부 각각의 치아가 안치되는 다수의 치아 안치홈(211)이 형성되게 성형함으로 치아의 치열의 견고한 밀착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At this time, during the injection molding of the
그리고, 조절부(220)는 상기 투명의 합성수지재로 된 교정부(210)와 분리되게 메탈 재질의 와이어를 절곡 성형하여 제조하되, 먼저 치열의 구치부에 해당하게 떠낸 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교정부(21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절곡부(221)를 "U"자 형태를 이루게 절곡 성형하면 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절곡부(221)와 끝단 측으로 이웃하는 위치에는 구치부의 어금니와 어금니 사이에 끼워 지지 고정이 가능한 어금니 지지돌부(222)를 절곡 성형하여 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각각의 재질로 분리 구성된 교정부(210)와 조절부(220)는 교정부(210)의 열융착을 통해 조절부(220)와 연결하면 된다.And, as described above, the
즉, 교정 와이어(200)는 교정부(210)를 투명의 합성수지재로 구성함으로, 착용시 치아의 투시가 가능하여 외관상으로 교정 와이어의 노출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제조 가능하다.That is, the
이후, 와이어 연결단계(S300)는,Then, the wire connection step (S300),
상기와 같이 제조된 지지판(100)과 교정 와이어(200)를 서로 연결하되, 그 연결시에는 지지판(100)의 전방과 교정 와이어(200)의 사이에 치열이 관통 지지되는 치열 지지홈(S)을 이루게 한다.Orthodontic support groove (S) in which the dentition is penetrated between the front of the
이를 위해, 교정 와이어(200)는 양측 조절부(220)의 단부를 통해 지지판(100)에 연결하되, 인체에 무해한 실버솔더(은 땜질)을 통해 연결하면 된다.To this end,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크롬 코발트 합금 치아 유지장치 제조방법은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크롬(Chromium)과 코발트(cobalt)가 혼합된 금속재로 구성하되, 그 크롬과 코발트의 강성을 통해 0.5~0.6mm의 얇은 두께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구강에 착용시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특히 교정 와이어의 교정부를 투명의 합성수지재로 구성시 노출이 최소화되어 착용자로 하여금 위축감을 덜어줄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hromium cobalt alloy tooth retai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metal material in which chromium and cobalt are mixed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as described above, but 0.5 ~ through the stiffness of the chromium and cobalt. Since it is possible to realize a thin thickness of 0.6mm, it is possible to minimize foreign body sensation when worn on the oral cavity, and in particular, when the correction part of the orthodontic wire is made of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exposure is minimized to reduce wearer's feeling of atrophy. It becomes possible.
또한, 지지판을 제조함에 있어 레이저 소결 방식 3D 프린팅 제작을 통해 보다 간편하면서도 견고한 제조가 가능하게 되는 등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manufacturing the support plate, it is possible to increase productivity, such as a simpler and more robust manufacturing possible through laser sintering 3D printing production.
100 : 지지판
200 : 교정 와이어210 : 교정부
211 : 치아 안치홈220 : 조절부
221 : 절곡부222 : 어금니 지지돌부
S100 : 지지판 제조단계S200 : 와이어 제조단계
S300 : 와이어 연결단계100: support plate
 200: calibration wire 210: calibration unit
 211: tooth rest groove 220: Adjuster
 221: bend 222: molar support protrusion
 S100: Support plate manufacturing step S200: Wire manufacturing step
 S300: wire connection step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51982AKR102102473B1 (en) | 2019-05-03 | 2019-05-03 | Chromium cobalt alloy tooth hold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51982AKR102102473B1 (en) | 2019-05-03 | 2019-05-03 | Chromium cobalt alloy tooth hold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102473B1true KR102102473B1 (en) | 2020-04-20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51982AExpired - Fee RelatedKR102102473B1 (en) | 2019-05-03 | 2019-05-03 | Chromium cobalt alloy tooth hold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102473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150238B1 (en)* | 2020-06-03 | 2020-08-31 | 한성지 | Device for inspecting automotive door panel | 
| KR20240054491A (en)* | 2022-10-19 | 2024-04-26 | 장민 |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oring metal frame for dentures based on 3d metal printing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5270618A (en)* | 2004-02-26 | 2005-10-06 | Mitsuru Yamaguchi | Retainer wire and dentition retaining device | 
| KR20110006508U (en)* | 2009-12-22 | 2011-06-29 | 정수창 |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 
| KR20120040628A (en) | 2010-10-19 | 2012-04-27 | 이상봉 | A tooth revision device having had a floating possible auxiliary wire | 
| US20120261848A1 (en)* | 2009-12-23 | 2012-10-18 | Haraszati Gyoergy | Method to create removable dental prosthesis, and the dental prosthesis making thereof | 
| US8827696B1 (en)* | 2010-10-14 | 2014-09-09 | Todd W. Sandwick | Cast orthodontic retainer system | 
| KR20170011777A (en)* | 2015-07-24 | 2017-02-02 | 김정경 | Orthodontic apparatus | 
| US20180055602A1 (en)* | 2014-09-19 | 2018-03-01 | Align Technology, Inc. | Arch expanding applianc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5270618A (en)* | 2004-02-26 | 2005-10-06 | Mitsuru Yamaguchi | Retainer wire and dentition retaining device | 
| KR20110006508U (en)* | 2009-12-22 | 2011-06-29 | 정수창 |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device | 
| US20120261848A1 (en)* | 2009-12-23 | 2012-10-18 | Haraszati Gyoergy | Method to create removable dental prosthesis, and the dental prosthesis making thereof | 
| US8827696B1 (en)* | 2010-10-14 | 2014-09-09 | Todd W. Sandwick | Cast orthodontic retainer system | 
| KR20120040628A (en) | 2010-10-19 | 2012-04-27 | 이상봉 | A tooth revision device having had a floating possible auxiliary wire | 
| US20180055602A1 (en)* | 2014-09-19 | 2018-03-01 | Align Technology, Inc. | Arch expanding appliance | 
| KR20170011777A (en)* | 2015-07-24 | 2017-02-02 | 김정경 | Orthodontic apparatus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150238B1 (en)* | 2020-06-03 | 2020-08-31 | 한성지 | Device for inspecting automotive door panel | 
| KR20240054491A (en)* | 2022-10-19 | 2024-04-26 | 장민 |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oring metal frame for dentures based on 3d metal printing | 
| KR102823311B1 (en)* | 2022-10-19 | 2025-06-19 | 장민 |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oring metal frame for dentures based on 3d metal printing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11588490B (en) | Shell-shaped dental appliance, design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ental appliance system | |
| US9925019B2 (en) | Lingual orthodontic appliance with removable section | |
| US9744006B2 (en) | Oral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andibular jaw manipulation | |
| JP4184427B1 (en) | Orthodontic treatment aligner | |
| JP6656280B2 (en) | Chewing orthodontic appliance | |
| CN110013332B (en) | Invisible appliance for cat-shaped auxiliary bow | |
| CN111067644B (en) | Design method and preparation method of dental appliance | |
| JP2021527491A (en) | Orthodontic systems for orthodontic treatment of a patient's teeth, methods for arranging equipment for orthodontic treatment of a patient's teeth, and use of such orthodontic system equipment | |
| CN210931950U (en) | Tooth correction device, correction device set and shell-shaped dental correction system | |
| CA2706291C (en) | A dental appliance | |
| CN111012531A (en) | Design method and preparation method of dental instrument for adjusting upper and lower jaw position | |
| KR102102473B1 (en) | Chromium cobalt alloy tooth hold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 |
| JP3251363U (en) | Dental appliances and orthodontic treatment systems | |
| KR20120007066U (en) | Clear line archwire for orthodontics | |
| CN213098436U (en) | Bracket-free invisible appliance with special device | |
| CN110251248B (en) | Dental appliance with occlusal guide | |
| KR20230019116A (en) | Mouthpiece-type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 |
| CN112472331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personalized lingual orthodontic appliance | |
| JP3215287U (en) | Orthodontic appliance | |
| US20210244509A1 (en) | An assembly for the orthodontic treatment of a patient's teeth and an orthodontic system for such a treatment, a method for the placement of an assembly for the orthodontic treatment of a patient's teeth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n assembly, and a use of such an orthodontic system | |
| CN217938416U (en) | Shell-shaped dental appliance and tooth correction system | |
| CN214805559U (en) | Movable retainer for teeth | |
| CN216570272U (en) | Shell-shaped dental instrument, shell-shaped dental appliance set and dental appliance system | |
| CN213941011U (en) | Reinforced tooth socket | |
| WO2021251421A1 (en) | Mouthpiece-type removable corrective device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6-exm-PA0302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23041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23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