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변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peripheral de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최근의 IT(information technology)업계에서는 컨버젼스(Convergence)가 이슈화 되면서 디바이스 간의 특성을 서로 유기적으로 엮어 새로운 소비 컨텐츠를 만들어 내는 것이 화두가 되고 있다. 또한 디바이스들은 이전의 단일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펌웨어 수준의 디바이스에서 OS(Operate System)를 내장하여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실행에 따라 다양한 목적으로 여러 서비스들을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의 디바이스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스마트 폰의 활발한 보급을 기반으로 하여, 스마트 TV, 타블렛(Tablet) PC와 같은 디바이스까지 그 영역을 넓혀 가고 있다.In the recent IT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as convergence has become an issue, it is becoming a hot topic to create new consumption contents by intertwining the characteristics between devices organically. In addition, the devices are changing from a firmware-level device for the purpose of a single function to a device having a built-in OS (Operate System) to use various services for various purposes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an application. This change is based on the active penetration of smart phones, and is expanding its scope to devices such as smart TVs and tablet PCs.
이와 같이 OS와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디바이스가 확대됨에 따라 다양한 통신 방법을 통하여 디바이스 간의 의사소통이 가능해져 디바이스 간의 물리적인 결합, 즉 물리적 컨버젼스가 아닌 소프트웨어적 컨버젼스를 통한 새로운 서비스가 가능해지고 있다. 이러한 컨버젼스 기능 중 대표적인 것으로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로 주변의 장치를 제어하는 서비스들이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TV원격 제어, 홈시어터 제어, 자동차 원격제어, PC 마우스 키보드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각 리모트 컨트롤러가 해당 디바이스에 특화된 물리적 입력장치를 가지고 있어, 사용자가 각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복수개의 물리적 리모트 컨트롤러를 보유해야한다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항상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로 그 역할을 옮김으로서, 사용자에게 여러 리모트 컨트롤러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로 모아서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주고 있다. 여기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핸드폰 및 PDA, 스마트 폰, 타블렛 PC, 노트북 등 OS 기능과 통신 네트워크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디바이스들을 총칭할 수 있다.As devices having an OS and a communication network interface are expanded,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is possible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and new services through software convergence rather than physical convergence are possible. Among the convergence functions, there are services for controlling peripheral devices with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For example, a smart phone can be used to perform TV remote control, home theater control, car remote control, and PC mouse keyboard functions. This is because each remote controller has a physical input device specialized for a corresponding device, so that a user must have a plurality of physical remote controllers in order to control each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that the user always has. By moving its role to a mobile device, it is providing users with an environment that can collect and use the functions of multiple remote controllers as a single device. Here, the mobile device may collectively refer to various devices having an OS function and a communication network function, such as a mobile phone and a PDA,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laptop.
종래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주변의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키 조작을 통해 외부 서버에 접속하여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해야 한다. 또한, 종래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각기 다른 제어대상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각 제어대상 디바이스별 어플리케이션들이 존재해야 한다. 이에 따라, 마치 실제 생활에 있어서 리모트 컨트롤러를 어디다 두었는지 몰라 리모트 컨트롤러를 찾아 시간을 소비하는 것과 유사한 현상이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도 나타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remotely control a target device to be controlled by using a conventional mobile device, a user must connect to an external server through key manipulation to download a control application and install it on the mobile device. In addition, in order to control different control target devices using a conventional mobile device, applications for each control target device must exist in the mobile device.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a phenomenon similar to spending time in search of a remote controller does not know where the remote controller is placed in real life.
또한, 종래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어대상 디바이스 자체의 고유 기능(예를 들어, TV의 볼륨 및 채널 변경 기능)만을 제어 가능할 뿐, 최근 대두되고 있는 스마트 서비스 즉, 스마트 TV, 타블렛(Tablet) PC와 같이 OS가 내장되어 있는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최적화된 제어 및 인터액션(Control & Interaction)에 대해서는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종래 모바일 디바이스는 일반적인 TV 리모트 컨트롤러처럼 제어 신호를 단방향으로 보내는 형태로 구조화 되어 있거나 간단한 구동 상태에 대한 정보만을 보여주는 형태이기 때문에, 종래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기능은 스마트 TV와 같은 장치에서 실행되는 여러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최적화된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TV에는 게임, 탐색기, 잡지, 메신져,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존재하지만, 일반적인 TV 리모트 컨트롤러의 기능으로는 이와 같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쉽고 편리하게 제어할 수 없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obile device can only control the unique functions (for example, the volume and channel change function of the TV)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itself, and the recently emerging smart service, that is, an OS such as a smart TV and a tablet PC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trol and interaction (Control & Interaction) corresponding to a service application executed on a device having a built-in device is not supported. In other words, since the conventional mobile device is structured in a form of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in one direction like a general TV remote controller or only showing information about a simple driving state, the control function of the conventional mobile device is executed in a device such as a smart TV. The disadvantage is that it cannot provide an optimized control method for various different applications. For example,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games, explorers, magazines, messengers, and multimedia applications exist in smart TVs, but the functions of general TV remote controllers cannot easily and conveniently control these various applications.
또한, 종래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각 제어대상 디바이스별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대응하는 각각의 제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프로그램의 설계, UI(User Interface) 작업 및 기능 구현까지 전 과정을 개발해야 하기 때문에 투자 비용 및 시간이 많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control various applications for each control target device using a conventional mobile devi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entire process from designing a program for each control application to implementing a user interface (UI) and implementing function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requires a lot of time.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변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peripheral de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변의 제어 가능한 다양한 디바이스들에 대하여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하나의 통합제어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어대상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single integrated control application based on a profile for various controllable device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motely controlling a controlled device using the configured control application. In providing.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변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제어대상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파일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상기 제어대상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구성된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대상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a method for controlling a peripheral de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process of obtaining a profile for a device to be controlled and the control based on the obtained profile And configuring the control application for the target device and controlling the control target device using the configured control application.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변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는, 제어대상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파일을 획득하는 프로파일 매니저와, 상기 획득된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상기 제어대상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동적 구성 매니저와, 상기 구성된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대상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 인터액션 매니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eripheral de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profile manager for acquiring a profile for a control target device and a control application for the control target device based on the obtained profil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ynamic configuration manager for configuring, and a control interaction manager for controlling the device to be controlled using the configured control application.
본 발명은 주변의 제어 가능한 다양한 디바이스들에 대하여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하나의 통합제어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매번 외부 서버에 접속하여 각기 다른 제어대상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단말에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화면에서 여러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 및 어플리케이션(또는 서비스)의 목록을 관리하기 때문에, 단말 내에 설치된 다수의 제어 애플리케이션들 중에서 제어대상 디바이스에 적합한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실행할 필요없이, 하나의 통합제어 애플리케이션으로 다양한 디바이스 및 어플리케이션(또는 서비스)을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one integrated control application based on a profile for various controllable devices in the vicinity, a user downloads a control application for controlling different control target devices by connecting to an external server each time and installs it on a terminal You can reduce the hassle you have to do. In addition, since a list of multiple controllable devices and applications (or services) is managed on a single screen, it is not necessary to select and execute a control application suitable for a control target device among a plurality of control applications installed in a terminal, and one integrated control The application has the advantage of controlling various devices and applications (or services).
또한, 디바이스 검색 및 제어 프로토콜, 제어 기능에 대한 추가 개발 없이도 프로파일 획득 및 갱신을 통해 새로운 디바이스(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간단히 제공할 수 있어 개발 리소스 측면에서 상당히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제품군이라 할지라도 모델별로 특화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제품에 대하여, 모델별로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일일이 개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어 애플리케이션 관리 및 배포 측면에서도 신속하고 편리하게 대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provide a control application for a new device (service or application) through profile acquisition and update without additional development of device discovery and control protocols and control functions, which can significantly reduce development resources. . 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develop a control application for each model and provide it to users for products that provide various functions specialized for each model even in one product family, so it is possible to respond quickly and conveniently in terms of control application management and distribution. There is an advanta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제어대상이 되는 주변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장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변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을 구성하는 오브젝트의 이미지와 배치를 도시한 예시도.1 is a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eripheral device to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vic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peripheral de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mage and arrangement of objects constituting a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user's or operator's intention or practic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변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은 단말을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나, 주변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제어가 가능한 모든 모바일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a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peripheral de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of a terminal, but it is of course applicable to all mobile devices capable of controlling applications of peripheral devic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제어대상이 되는 주변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eripheral device to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단말(100)은 입력, 표시, 통신 기능을 가지며, 제어대상이 되는 주변 디바이스들(110, 120, 130)과 통신하여 제어대상 디바이스들(110, 120, 130)의 프로파일을 획득하고, 획득된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하나의 통합제어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며, 상기 구성된 통합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해당 제어대상 디바이스(110, 120, 130)의 어플리케이션(또는 서비스)을 원격 제어한다.Referring to FIG. 1, the terminal 100 has input, display, and communication functions, and communicates with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프로파일 서버(rofile Server)는 각 제어대상 디바이스들의 프로파일을 관리하며, 상기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제어대상 디바이스(110, 120, 130)의 프로파일을 상기 단말(100)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파일 서버는,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서버이거나, 댁내 혹은 일정 영역에 존재하는 로컬 서버(Local Server)일 수 있다. 또는 다른 방법으로, 별도의 프로파일 서버 없이, 제어대상 디바이스(110, 120, 130)가 프로파일을 관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말(100)과 제어대상 디바이스(110, 120, 130) 간 직접 연결을 통한 P2P 방식을 통해 제어대상 디바이스(110, 120, 130)의 프로파일을 단말(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 profile server manages the profiles of each control target device, and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terminal 100, the profile of 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장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vic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물리적 통신 인터페이스(200), 통신 프로토콜(202), 디바이스 연결 매니저(Device Link Manager)(204), 서비스 인에이블러(Service Enabler)(206), 프로파일 매니저(Profile Manager)(208), 제어 인터액션 매니저(Control Interaction Manager)(210), 동적 구성 매니저(Dynamic Configuration Manager)(212), 제어 어플리케이션(Control Application)(2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illustrat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physical communication interface 200, a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물리적 통신 인터페이스(200)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의 전송 수단을 통해 주변 제어대상 디바이스들과 통신한다.Referring to FIG. 2, the physical communication interface 200 communicates with peripheral control target devices through transmission means such as Wi-Fi, Bluetooth, and ZigBee.
상기 통신 프로토콜(202)은 UPnP(Universal Plug and Play),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RF4CE(Radio Frequency for Consumer Electronics) 등의 데이터 전송 규약을 정의한다.The
상기 디바이스 연결 매니저(204)는 주변 제어대상 디바이스들을 검색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디바이스 연결 매니저(204)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202)와 물리적 통신 인터페이스(200)을 이용하여, 주변 제어대상 디바이스들에게 검색요청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고, 주변 제어대상 디바이스들로부터 상기 검색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해당 제어대상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대상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는 디바이스 명, 모델명, 디바이스 타입(제어가능 여부를 지시), 네트워크 주소,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이름 및 종류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연결 매니저(204)는 주변 제어대상 디바이스별로 수신된 응답 메시지에서 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주변 제어대상 디바이스별 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화면에 제어대상 디바이스 목록을 표시한다.The
상기 서비스 인에이블러(206)는 주변 제어대상 디바이스들에서 수행하는 서비스나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서비스 인에이블러(206)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202)와 물리적 통신 인터페이스(200)을 이용하여, 주변 제어대상 디바이스들에게 검색요청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고, 주변 제어대상 디바이스들로부터 상기 검색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해당 제어대상 디바이스로부터 현재 수행되고 있거나 변경되는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프로파일 매니저(208)는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제어대상 디바이스의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프로파일 서버에게 해당 제어대상 디바이스의 프로파일을 전송해줄 것을 요청하고, 상기 프로파일 서버로부터 해당 프로파일을 수신하여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저장 및 관리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파일은 화면 구성을 위한 UI 정보와 오브젝트(Object)에 등록될 제어명령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외에도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UI 정보는 화면을 구성하는 오브젝트의 이미지 정보와 배치(Layout)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오브젝트는,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버튼, 터치 입력, 제스쳐 입력, 센서 입력, 파일 목록, 동영상, 음악 등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오브젝트가 될 수 있다.The
상기 제어 인터액션 매니저(210)는 구성된 제어 어플리케이션(214)을 이용하여 제어대상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한다. 즉, 사용자로부터 화면에 배치된 오브젝트의 이미지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 인터액션 매니저(210)는 상기 오브젝트 이미지에 매핑된 제어명령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제어명령 정보를 해당 프로파일에 정의되어 있는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TCP, UDP, UPnP 등의 규격)에 맞게 가공하여 해당 제어대상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 인터액션 매니저(210)는 해당 제어대상 디바이스로부터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정보를 해석하고, 상기 해석된 정보와 등록된 제어명령 정보를 비교하여 적절한 동작을 수행한다.The
상기 동적 구성 매니저(212)는 제어대상 디바이스의 프로파일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대상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어플리케이션(214)을 실시간으로 구성한다. 즉, 상기 동적 구성 매니저(212)는 제어대상 디바이스의 프로파일에서 화면 구성을 위한 UI 정보와 오브젝트에 등록될 제어명령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UI 정보를 이용하여 각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화면에 배치하고, 상기 추출된 제어명령 정보를 각 오브젝트에 연결하며, 화면에 배치된 각 오브젝트의 이미지와 오브젝트별 제어명령 정보를 매핑하여 등록한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변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peripheral de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은 301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통신제어 어플리케이션 실행 메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Referring to FIG. 3, in
상기 301단계에서, 통신제어 어플리케이션 실행 메뉴가 선택됨이 판단될 시, 상기 단말은 303단계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 디바이스들이 제어 가능 범위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주변 제어대상 디바이스들에게 검색요청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은 기 결정된 다양한 물리적 통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등)와 디바이스별로 가질 수 있는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UPnP, DLNA, TCP, UDP, SNMP, RF4CE 등)을 사용하여, 주변 제어대상 디바이스들에게 검색요청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한다. 여기서, 상기 주변 제어대상 디바이스는, 단말에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기능이 존재하는 디바이스와, 신규구입하여 단말에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기능이 존재하지 않는 디바이스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In
이후, 상기 단말은 305단계에서 주변 제어대상 디바이스들로부터 상기 검색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해당 제어대상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대상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는 디바이스 명, 모델명, 디바이스 타입(제어가능 여부를 지시), 네트워크 주소,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이름 및 종류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reafter, in
상기 305단계에서, 주변 제어대상 디바이스들로부터 상기 검색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됨이 판단될 시, 상기 단말은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 디바이스들이 제어 가능 범위에 존재함을 확인하고, 307단계에서 주변 제어대상 디바이스별로 수신된 응답 메시지에서 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주변 제어대상 디바이스별 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화면에 제어대상 디바이스 목록을 표시한다.In
이후, 상기 단말은 309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화면에 표시된 제어대상 디바이스 목록 중 제어하고자 하는 하나의 제어대상 디바이스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Thereafter, in
상기 309단계에서, 화면에 표시된 제어대상 디바이스 목록 중 제어하고자 하는 하나의 제어대상 디바이스가 선택됨이 판단될 시, 상기 단말은 311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제어대상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메모리에 상기 선택된 제어대상 디바이스의 프로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In
상기 311단계에서, 메모리에 상기 선택된 제어대상 디바이스의 프로파일이 존재함이 판단될 시, 상기 단말은 315단계로 바로 진행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만약, 메모리에 상기 선택된 제어대상 디바이스의 프로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메모리에 존재하는 프로파일의 버전정보를 프로파일 서버에게 전송하고, 상기 프로파일 서버에 새롭게 갱신된 프로파일이 존재한다면, 상기 프로파일 서버로부터 새롭게 갱신된 프로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존재하는 프로파일을 갱신할 수 있다.In
반면, 상기 311단계에서, 메모리에 상기 선택된 제어대상 디바이스의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음이 판단될 시, 상기 단말은 313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제어대상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디바이스 명을 이용하여 프로파일 서버에게 상기 선택된 제어대상 디바이스의 프로파일에 대한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프로파일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된 제어대상 디바이스의 프로파일을 수신한다. 이때, 상기 프로파일 서버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제어대상 디바이스의 프로파일을 검색하고, 검색되는 프로파일을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in
이후, 상기 단말은 315단계에서 상기 메모리에 존재하는 또는 상기 프로파일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어대상 디바이스의 프로파일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된 제어대상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실시간으로 구성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파일은 화면 구성을 위한 UI 정보와 오브젝트(Object)에 등록될 제어명령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외에도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UI 정보는 화면을 구성하는 오브젝트의 이미지 정보와 배치(Layout)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오브젝트는,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버튼, 터치 입력, 제스쳐 입력, 센서 입력, 파일 목록, 동영상, 음악 등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오브젝트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은 상기 제어대상 디바이스의 프로파일에서 화면 구성을 위한 UI 정보와 오브젝트에 등록될 제어명령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UI 정보를 이용하여 각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화면에 배치하고, 상기 추출된 제어명령 정보를 각 오브젝트에 연결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화면에 배치된 각 오브젝트의 이미지와 오브젝트별 제어명령 정보를 매핑하여 등록한다.Thereafter, in step 315, the terminal analyzes the profil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existing in the memory or received from the profile server, and configures a control application for the selected control target device in real tim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o the screen. Display. Here, the profile is configured to include UI information for screen configuration and control command information to be registered in the object, and in addition, it includes a communication protocol, and the UI information includes image information of an object constituting the screen. It consists of the layout (Layout) information. The object may be various types of objects that can be provided to a user through a terminal such as a button, a touch input, a gesture input, a sensor input, a file list, a video, and music, as shown in FIG. 4, for example. That is, the terminal extracts UI information for screen configuration and control command information to be registered in the object from the profil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and then places the image of each object on the screen using the extracted UI information, and extracts the The connected control command information is connected to each object. Thereafter, the terminal registers by mapping the image of each object disposed on the screen and control command information for each object.
이후, 상기 단말은 317단계에서 상기 구성된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제어대상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로부터 화면에 배치된 오브젝트의 이미지가 입력되면, 상기 단말은 상기 오브젝트 이미지에 매핑된 제어명령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제어명령 정보를 해당 프로파일에 정의되어 있는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TCP, UDP, UPnP 등의 규격)에 맞게 가공하여 해당 제어대상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단말은 해당 제어대상 디바이스로부터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정보를 해석하고, 상기 해석된 정보와 등록된 제어명령 정보를 비교하여 적절한 동작을 수행한다.Thereafter, the terminal may remotely control the selected control target device according to a user's key manipulation using the configured control application in
이후, 상기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Thereafter, the terminal ends the algorith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단말은 제어대상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는 도중, 상기 제어대상 디바이스가 어떤 어플리케이션(또는 서비스)을 실행하게 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인터액션(Interaction)할 수 있는 최적의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해당 제어대상 디바이스로부터 현재 수행되고 있거나 변경되는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의 프로파일 또는 프로파일 식별자를 획득(메모리에서 검색 또는 프로파일 서버로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최적의 제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실시간으로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대상 디바이스로서 PC가 검색되고 선택되면, 단말은 PC의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PC의 마우스와 키보드 기능 관련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PC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이때, PC가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나 파워포인트(Power Point)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면, PC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프로파일 또는 프로파일 식별자를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로 하여금 해당 프로파일을 획득(메모리에서 검색 또는 프로파일 서버로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최적의 제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실시간으로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즉, PC에서 미디어 플레이어가 실행되는 경우, 단말은 재생, 일시정지, 볼륨조절 등의 정보가 담긴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미디어 플레이어에 대한 제어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PC에서 파워포인트가 실행되는 경우, 단말은 프리젠테이션 모드 변경, 이전 페이지, 다음 페이지 등의 제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while the terminal is remotely controlling a control target device, when the control target device executes an application (or service), the optimal control application capable of interacting with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provided. It can be configured automatically. The terminal can obtain a profile or profile identifier of a service or application that is currently being performed or changed from the corresponding control device (search and retrieve from memory or request it to the profile server) and provide the optimal control function to the user based on this Control applications can be configured in real time. For example, when a PC is searched and selected as a control target device, the terminal may configure a control application related to a mouse and keyboard function of the PC based on the profile of the PC, and remotely control the PC using the control application. At this time, if the PC is running an application such as a media player (Media Player) or Power Point (Power Point), the PC transmits the profile or profile identifier of the application to the terminal, the terminal obtains the profile (from memory Search or request to the profile server) and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control application that can provide the optimal control function to the user in real time. That is, when the media player is running on the PC, the terminal provides the user with a control function for the media player based on a profile containing information such as play, pause, volume control, etc., and when the PC runs PowerPoint, The terminal may provide control functions such as a presentation mode change, a previous page, and a next page.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by the scope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49802AKR102093397B1 (en) | 2019-11-20 | 2019-11-20 |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te controlling peripheral de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49802AKR102093397B1 (en) | 2019-11-20 | 2019-11-20 |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te controlling peripheral de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149395ADivisionKR102049069B1 (en) | 2018-11-28 | 2018-11-28 |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te controlling peripheral de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033864ADivisionKR102156802B1 (en) | 2020-03-19 | 2020-03-19 |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te controlling peripheral de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132618A KR20190132618A (en) | 2019-11-28 |
| KR102093397B1true KR102093397B1 (en) | 2020-05-26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149802AActiveKR102093397B1 (en) | 2019-11-20 | 2019-11-20 |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te controlling peripheral de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93397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60271695A1 (en) | 2005-05-16 | 2006-11-30 | Electronics Line 3000 Ltd. | System for remote secured operation, monitoring and control of security and other types of events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667742B1 (en)* | 2000-08-23 | 2007-01-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controlled device of the control device |
| JP3800626B2 (en)* | 2003-01-30 | 2006-07-26 | ソニー株式会社 | Control device and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
| KR20090039904A (en)* | 2007-10-19 | 2009-04-23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Wireless network system and device control method accordingly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60271695A1 (en) | 2005-05-16 | 2006-11-30 | Electronics Line 3000 Ltd. | System for remote secured operation, monitoring and control of security and other types of events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132618A (en) | 2019-11-28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416113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peripheral device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US10128911B2 (en) | Arrangement for manag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 |
| EP3556116B1 (en)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omoting apps to smart devices | |
| KR101634745B1 (en) | Electronic device, user input apparatus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contol method thereof | |
| US10684813B2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 CN102622864B (en) | Remote control equipment and the electronic installation by this remote control equipment remote control | |
| US9078088B2 (en) |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 layer agnostic programming interface for use with smartphones | |
| KR102093397B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te controlling peripheral de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102156802B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te controlling peripheral de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102049069B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te controlling peripheral de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20240171469A (en) | A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display apparatus | |
| KR20120025110A (en) | Device and method for registrating zigbee device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20191120 Patent event code:PA01071R01D Filing date:20181128 Application number text:1020180149395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191219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00319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200320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40129 Start annual number:5 End annual number: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50304 Start annual number:6 End annual number: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