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복사열 차단이 가능한 식물재배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베란다 및 테라스 등에 구비된 휀스에 설치하여 햇빛을 받을 수 있으며, 햇빛에 의해 전달되는 복사열을 차단하여 화분 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물의 공급 및 과도하게 공급된 물을 편리하게 배출하여 일정량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는 복사열 차단이 가능한 식물재배화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ivation plant capable of blocking radiant heat, and more specifically, it can be installed in a fence provided on a veranda or terrace to receive sunlight, and keeps the temperature in a pot constant by blocking radiant heat transmitted by sunlight. And, it relates to a plant cultivation plant capable of blocking radiant heat that can maintain a certain level of water by conveniently discharging water and supplying excess water.
일반적으로 식물을 실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화분에 담아 물 및 양액 등을 공급하며 햇빛에 노출시켜 재배하고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cultivate a plant indoors, it is cultivated by being exposed to sunlight by supplying water and nutrient solution in a pot.
이때, 식물이 햇빛을 받을 수 있도록 창가 및 배란다 테라스 등에 배치하고 있으나, 화분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제약적인 공간에 많은 수의 화분을 배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At this time, the plants are placed on the window and the balcony terrace to receive sunlight, but it is difficult to place a large number of pots in a limited space depending on the size and shape of the pots.
그리고 햇빛에 노출된 화분은 표면이 열기에 노출되어 내부로 복사열이 전달되어 토양 및 물이 뜨거워져 식물의 뿌리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In addition, pots exposed to sunlight are exposed to heat, and radiant heat is transferred to the inside, causing soil and water to become hot and adversely affecting the roots of plant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1412858호 "복사열을 차단하여 용존산소량을 유지하기 위한 식물재배관리기"가 제시된 바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solving this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12858 "Plant cultivation manager to maintain dissolved oxygen by blocking radiant heat" has been proposed.
이러한 종래기술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수조공간을 형성하여 식물생육을 위한 수조화분과, 상기 수조화분의 외측에 접착부재를 통해 태양으로부터 복사열이 열전도 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다수의 공기층을 구비하고 있는 열전도차단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This prior art forms a water tank space made of a synthetic resin or a metal material, and has a water tank for plant growth, and a heat conduction having a plurality of air layers to prevent heat from being radiated from the sun through an adhesive member on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The blocking member is combined.
이때, 열전도차단부재의 공기층은 발포소재를 통해 판재의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air layer of the heat conduction blocking member is formed of an air layer inside the plate material through a foam material.
따라서, 접착부재를 통해 부착하여도 장시간 햇빛에 노출시 공기층이 가열되어 열차단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수조화분내에 수조공간 및 비료팩 등의 마련되어 큰 부피를 차지하고 있어 실내의 한정된 공간에 비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even if attached through an adhesive member, the air layer is heated when exposed to sunlight for a long time, and the thermal barrier efficiency is lowered, and a tank space and a fertilizer pack are provided in the tank to occupy a large volume, so it can be stored in a limited space in the room. There are difficult problem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햇빛에 의해 전달되는 복사열을 차단하여 화분에 담긴 토양 및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식물의 재배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복사열 차단이 가능한 식물재배화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lock the radiant heat transmitted by sunlight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of soil and water in a pot to keep the plant cultivation environment comfortable. It relates to a plant cultivation plant capable of blocking radiant hea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분의 형상을 "T"형상으로 이루어져, 테라스, 베란다 등에 설치된 휀스 및 창틀에 설치하여 재배되는 식물을 외부로 위치하여 햇빛에 노출되며, 식물을 재배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복사열 차단이 가능한 식물재배화분에 과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pot is made of a "T" shape, installed on a fence and window frame installed on a terrace, veranda, etc., the plants to be cultivated are exposed to sunlight and the plants are efficiently cultivated. It is excessive for plant cultivation that can block radiant heat that can be us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내 및 실외에 구비된 휀스에 편리하게 설치하여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복사열 차단이 가능한 식물재배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cultivation plant capable of blocking radiant heat capable of cultivating plants by conveniently installing indoor and outdoor fenc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일한 화분을 다 수개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연결하여 용이하게 급수가 이루어지는 복사열 차단이 가능한 식물재배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cultivation plant capable of blocking radiant heat, which is easily watered by interconnecting the same pots in a number of arrangement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분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여 내부에서 많은양의 물이 공급되어 저장된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된 식물에 용이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복사열 차단이 가능한 식물재배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cultivation plant capable of blocking radiant heat that can easily supply water to plants exposed to the outside in a state in which a large amount of water is supplied and stored therein by divid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pot. Hav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베란다, 테라스에 구비된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휀스에 설치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복사열 차단이 가능한 식물재배화분에 관한 것으로, 상기 휀스의 상기 세로부재 사이로 삽입되며, 일측 끝단에서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세로부재에 밀착되는 돌출부와 하부면에 상기 가로부재가 안착되는 삽입홈과 상기 돌출부의 하단 양측에 물을 공급는 공급관 및 상부 측면에는 다 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된 외부화분과, 상기 외부화분의 둘레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외부화분의 상부로 노출되어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돌출돌기와 하부에는 물이 유입되는 다 수개의 급수공이 형성되어 식물을 식재하는 내부화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ivation plant capable of blocking radiant heat for plant cultivation by installing in a fence formed by combining a horizontal member and a vertical member provided on a veranda, a terrace, and the vertical length of the fence. It is inserted between the members, and protrudes on both sides from one end, and the supply pipe and the upper side supplying water to both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protruding portion in which the horizontal member is seated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protruding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vertical member are combined. The external flower pot with a ball and a spaced part spaced apart from the periphery of the external flower pot are inserted into the inside, and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external flower pot, and the protruding projections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ng part and water are introduced into the lower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ll is formed and is made of an internal potted plant.
상기 외부화분의 상기 결합공에 체결되는 결합부재가 포함되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외부화분이 병렬 배치된 상태에서 양측에 위치한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호 연결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member fasten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external flower is included, and that the coupl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located on both sides in a state in which the external flower is arranged in parallel to enable interconnection.
상기 외부화분의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어, 상부에 수평으로 배치된 프레임에 고정하는 연결끈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connecting string fixed to the frame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is further included in the coupling hole of the external flower pot.
상기 외부화분의 둘레에는 일정수위 이상의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높이에 다 수개의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incision grooves are formed at a height capable of discharging water of a certain level or more to the outside of the external flower pot.
상기 외부화분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내부화분에 밀착되어 상기 외부화분과 상기 내부화분 사이에 상기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고정하는 다 수개의 이격돌기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protrusions which ar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external flower pot and are fixedly spaced apart and fixed to form the space between the external flower pot and the internal flower pot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ternal flower pot.
상기 내부화분에 형성되며, 상기 외부화분에 밀착되어 상기 내부화분이 상기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고정하는 다 수개의 이격돌기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protrusions which are formed on the internal flowerpot and are fixed to the external flowerpot to be fixed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form the space portion.
상기 공급관에 결합되어 물을 공급하는 공급호스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supply hose coupled to the supply pipe to supply water is further included.
상기 외부화분의 하부면에는 내측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돌출되며, 상/하면이 개방된 제1배출구와, 상기 내부화분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1배출구가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돌출되며, 상/하면이 개방된 제2배출구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surface of the external flower pot protrudes to have a shape that gradually narrows inward, and the upper / lower surface is opened to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nal flower pot is gradually narrowed inward to insert the first discharge port. It is projected to have a,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 lower opening is further included a second outlet.
상기 내부화분의 상측에는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노출되되 상기 외부화분의 외측 둘레에 맞춰 하부로 절곡된 보강부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flower pot is exposed to the outside along the periphery, but further includes a reinforcement part bent downward to fit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flower pot.
상기 외부화분의 내측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외부화분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다수개의 수평판으로 이루어진 공기유동판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air flow plate consisting of a vertical plat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plates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and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external flower pot is further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xternal flower pot. It is preferably included.
본 발명의 복사열 차단이 가능한 식물재배화분에 따르면, 내부에 일정 공간이 이격된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식물이 식재된 화분에 햇빛에 의해 전달되는 복사열을 차단하고 토양 및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식물의 재배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lant cultivation plant capable of blocking radiant hea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onsists of a double structure with a certain spaced apart therebetween, blocking radiant heat transmitted by sunlight to the pots where the plants are planted, and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soil and water constant. It has the effect of keeping the environment of cultivation comfortable.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화분을 "T" 형상으로 이루어져, 테라스, 베란다 등에 설치된 휀스에 설치하여 식물을 외부로 노출되어 햇빛에 용이하게 노출되며, 식물을 재배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flower pot is made of a "T" shape, and is installed in a fence installed on a terrace, veranda, or the like, so that the plant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easily exposed to sunlight, and the plant has an advantage of efficiently using a cultivation space. .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다 수개의 화분을 휀스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호 연결 및 고정시키며, 다 수개의 화분에 용이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number of pots are interconnected and fixed in the state where they are installed in the fence,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water can be easily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pots.
본 발명이 또 다른 목적은, 외부화분의 내부를 구획하여, 외부로 노출된 부분에서 전달되는 복사열이 내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실내에서 많은양의 물을 편리하게 공급시켜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vide the inside of an external flower pot, block radiant heat transmitted from a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and have an effect of conveniently supplying and storing a large amount of water in the room. have.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 및 실외에 구비된 휀스에 편리하게 설치하여 심미감을 가질 수 있으며, 장기간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onveniently installed in a fence provided indoors and outdoors to have an aesthetic sense, and has the advantage of cultivating plants for a long ti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사열 차단이 가능한 식물재배화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배출구, 제2배출구 및 보강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화분의 개별적인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별도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nt cultivation plant capable of blocking radiant h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outlet, the second outlet and the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dividual use of the external flower pot according to the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use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 installation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사열 차단이 가능한 식물재배화분를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lant cultivation plant capable of blocking radiant h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사열 차단이 가능한 식물재배화분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nt cultivation plant capable of blocking radiant h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배출구, 제2배출구 및 보강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화분의 개별적인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별도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discharge port, the second discharge port and the reinforcement according to,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dividual use of the external pot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use state according to the invention ,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 installation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사열 차단이 가능한 식물재배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베란다 및 테라스 등에 구비된 휀스에 설치하여 햇빛을 받을 수 있으며, 햇빛에 의해 전달되는 복사열을 차단하여 화분 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물의 공급 및 과도하게 공급된 물을 편리하게 배출하여 일정량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는 복사열 차단이 가능한 식물재배화분에 관한 것이다.1 to 8,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ivation plant capable of blocking radiant heat, and more specifically, installed in a fence provided on a veranda or terrace to receive sunlight, and radiant heat transmitted by sunlight It relates to a plant cultivation plant capable of blocking radiant heat that can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in the pot by blocking the water, and conveniently discharge water and excessively supplied water to maintain a certain level of water level.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베란다, 테라스 등에 구비되는 휀스(100) 및 창틀에 설치하여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외부화분(10)과 내부화분(20)으로 이루어진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n external flower pot (10) and an internal flower pot (20) made of a double structure so that plants can be cultivated by installing them on a window frame (100) provided on a veranda, terrace, etc.
이에 앞서 상기 휀스(10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가로부재(110)가 배치되고, 상하로 연결된 다 수개의 세로부재(120)로 구성되어 베란다, 테라스와 교각, 다리 및 인도에 설치된 구조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Prior to this, the fence 100 has horizontal and
상기 외부화분(10)은 상기 휀스(100)의 상기 세로부재(120) 사이로 삽입되며, 일측 끝단에는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세로부재(120)에 밀착되는 돌출부(11)와 하부면에는 상기 가로부재(110)가 안착되는 삽입홈(12)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1)의 하단부분 양측으로 물을 공급받는 공급관(13)이 형성된다.The
즉, 상기 외부화분(10)은 "T"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세로부재(120)와 상기 세로부재(120) 사이를 통해 실내에서 실외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삽입홈(12)이 하부에 위치한 상기 가로부재(110)에 안착되고 상기 돌출부(11)의 측면이 상기 세로부재(120)에 밀착되어 고정된다.That is, the
상기 내부화분(20)은 상기 외부화분(10)의 둘레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외부화분(10)의 상부로 노출되어 상기 돌출부(11)에 대응하는 돌출돌기(21)와 하부에는 물이 유입되는 다 수개의 급수공(22)이 각각 형성된다.The
따라서 상기 내부화분(20)은 상기 외부화분(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둘레를 가지고 있어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삽입되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 상부로 돌출도록 이루어진다.Therefore, the
그리고 상기 돌출돌기(21)는 상기 외부화분(10)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내부화분(20)의 양측에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11)가 형성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세로부재(120)와 밀착된다.In addition, the
이를 통해 상기 내부화분(20)은 상기 외부화분(10)에 의해 지지되되, 상기 돌출돌기(21)에 의해 상기 세로부재(120)에 밀착고정되고 사용자가 상기 돌출돌기(21)를 통해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rough this, the
또한, 상기 급수공(22)은 상기 내부화분(20)의 하단부분의 둘레를 따라 절개되어 상기 외부화분(10)에 유입된 물을 흡입하고 내부의 토양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외부화분(10)의 상부측면에는 다 수개의 결합공(14)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14)에 체결되는 결합부재(40)가 포함되되, 상기 결합부재(40)는 상기 외부화분(10)이 병렬 배치된 상태에서 양측에 위치한 상기 결합공(14)에 삽입되어 상호 연결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4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즉, 상기 외부화분(10)이 상기 휀스(100)에 다 수개가 병렬배치된 상태에서 양측에 위치한 상기 외부화분(10)과 상기 외부화분(10)의 각각의 상기 결합공(14)에 상기 결합부재(40)를 체결하여 연결할 수 있다.That is, in the state where several of the
이를 통해 다 수개의 상기 외부화분(10)을 서로 연결하여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튼튼하고 지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a plurality of the
또한, 상기 휀스(100)뿐만 아니라 상부에 위치한 별도의 프레임(200)에 연결끈(70)을 이용하여 실내에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installed indoors by using the connecting
이러한 상기 연결끈(70)은 상기 외부화분(10)의 상기 결합공(14)에 결합되어, 상부에 수평으로 배치된 프레임(200)에 고정한다.The connecting
여기서 상기 프레임(200)은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끝단이 별도의 지지대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이루어진다.Here, the
이를 통해 상기 연결끈(70)은 상기 외부화분(10)에 형성된 각각의 상기 결합공(14)에 연결하고 상부방향으로 노출되어 상단에 위치한 상기 프레임(200)에 고정한다.Through this, the connecting
여기서 상기 외부화분(10)의 내부에는 식물이 식재된 내부화분(20)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 수개 설치할 수 있다.Here, the inside of the
또한, 상기 프레임(200)을 상/하에 배치하여 다수개의 상기 외부화분(10)을 설치하여, 커튼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상기 결합공(14)을 이용해 실내 및 실외에 횡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프레임(200)에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In this way, the
그리고 상기 외부화분(10)의 둘레에는 일정수위 이상의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높이에 다 수개의 절개홈(15)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즉, 상기 절개홈(15)은 상기 외부화분(10)의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내부화분(20)의 상기 급수공(22)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저장된 물이 일정량의 수위를 유지하고 수위 이상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한다.That is, the
따라서 상기 절개홈(15)은 상기 휀스(100)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의 상기 외부화분(10)의 둘레에 형성되어 빗물 등에 의해 과다하게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Therefore, the
또한, 상기 절개홈(15)에 의해 상기 외부화분(10)의 내부가 햇빛의 복사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대류현상을 통해 순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heated by the radiant heat of sunlight through the
그리고 상기 외부화분(10)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내부화분(20)에 밀착되어 상기 내부화분(20)이 상기 공간부(30)를 형성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고정하는 다 수개의 상기 이격돌기(80)가 더 포함된다.In addition, it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즉, 상기 이격돌기(80)는 상기 외부화분(10)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화분(2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진다.That is, the
이러한 상기 이격돌기(80)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부화분(10)과 상기 내부화분(20) 사이에 형성된 상기 공간부(30)의 간격과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져 상기 내부화분(20)이 상기 외부화분(10)의 내부에서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spaced
이를 통해 상기 이격돌기(80)는 상기 내부화분(20)을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화분(20)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 별도의 공기유동 및 수분이 유입되고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는 철망, 판, 천 등의 다양한 부재를 밀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spaced
그리고 상기 공급관(13)에 결합되어 물을 공급하는 공급호스(50)가 더 포함된다.In addition, a
이러한 상기 공급호스(50)는 일측이 상기 공급관(13)에 결합되고 타측이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어 상기 외부화분(1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이때, 상기 공급호스(5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의 유입뿐만 아니라, 병렬 배치된 상기 외부화분(10)의 상기 공급관(13)과 상기 공급관(13)을 연결하여, 다 수개의 상기 외부화분(10)에 상호간에 동일한 수위를 가지도록 물이 유입된다.At this time, the
이를 통해 상기 공급호스(50)는 하나의 상기 외부화분(10)에 편리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화분(10)이 다 수개가 상호 결합되어 저장된 물이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며, 상호간에 물을 공급 및 배출하여 편리하게 수위를 유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따라서, 다 수개의 상기 외부화분(10) 중 어느 하나에 다량의 물을 공급하면, 상기 공급호스(50)를 통해 상호 연결된 다 수개의 상기 외부화분(10)에 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동일한 수위로 물을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a large amount of water is supplied to any one of the multiple
이를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화분(10)의 내부에 상기 내부화분(20)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공간부(30)를 가지도록 설치되어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화분(10)과 상기 내부화분(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베란다, 테라스 등에 구비된 상기 휀스(100)에 설치한다.Through this, as shown in FIG. 4, the
따라서 상기 외부화분(10)은 상기 세로부재(120)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홈(12)이 상기 가로부재(110)에 삽입되고 상기 돌출부(11)가 상기 세로부재(120)에 밀착고정된다.Therefore, the
아울러, 상기 외부화분(10)은 상기 휀스(100) 뿐만아니라, 창틀에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즉, 창틀의 하부에 상기 삽입홈(12)에 안착시키고 상기 돌출부(11)가 측면에 위치한 창틀과 창문에 밀착되어 고정이 가능하다.That is, it is seated in the
이와 같이 상기 외부화분(10)은 다양한 위치에 설치하여 실내에서 실외 방향으로 노출시킬 수 있으며, 상기 내부화분(20)에 원하는 식물을 식재하여 재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그리고 상기 외부화분(10) 및 상기 내부화분(20)은 상기 휀스(100)의 길이에 맞춰 다 수개를 설치하여 다양한 식물 및 많은 양의 식물을 개별적으로 재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다 수개의 상기 외부화분(10)은 상기 결합부재(40) 및 상기 공급호스(50)를 통해 고정하여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편리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Here, a number of the
그리고 상기 외부화분(10) 및 상기 내부화분(20)에는 통기, 수분공급 및 배출을 위한 제1배출구(16)와 제2배출구(23)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따라서 상기 외부화분(10)의 하부면에는 내측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돌출되며, 상/하면이 개방된 제1배출구(16)와, 상기 내부화분(20)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1배출구(16)가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돌출되며, 상/하면이 개방된 제2배출구(23)로 이루어진다.Therefore, the lower surface of the
즉, 상기 제1배출구(16)는 상기 제2배출구(23)의 내부에 삽입결합되되, 상기 제1배출구(16) 및 상기 제2배출구(23)는 상하면이 개방되어 일정수위 이상의 물을 배출함과 동시에 통기가 가능하게 이루어진다.That is, the
여기서 상기 제1배출구(16) 및 상기 제2배출구(23)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서서히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에서 상부로 공기 유동이 원활하며, 상기 내부화분(20)에 담겨긴 토양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한다.Here, the
그리고 상기 내부화분(20)의 상측에는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노출되되 상기 외부화분(10)의 외측둘레에 맞춰 하부로 절곡된 보강부(24)가 더 포함된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이러한 상기 보강부(24)는 상기 내부화분(20)의 상측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노출된 제1보강편(24a)과, 상기 제1보강편(24a)의 끝단에서 상기 외부화분(10)의 둘레에 맞춰 하부방향으로 경사지되, 상기 외부화분(10)의 상측과 일정간격 이격된 제2보강편(24b)으로 이루어진다.The reinforcing
여기서 상기 제1보강편(24a)에는 다수개의 통공(25)이 형성되어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Here, a plurality of through
이를 통해 상기 외부화분(10)과 상기 내부화분(20) 사이를 통해 이물질 및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복사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상기 통공(25) 및 상기 외부화분(10)가 이격된 측면을 통해 순환시킬 수 있다.This prevents foreign matter and rainwater from entering through the
또한, 외측으로 절곡 됨에 따라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여 상기 내부화분(20)을 상기 외부화분(10)에 손쉽게 안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easy to grip the user as it is bent outward, so that the
그리고 상기 외부화분(10)의 내측면에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며, 다수개의 관통공(62)이 형성된 수직판(61)과, 상기 수직판(61)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외부화분(1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다수개의 수평판(63)으로 이루어진 공기유동판(60)이 더 포함된다.In addition, a predetermined distance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이러한 상기 공기유동판(60)은 상기 외부화분(10)에 식물을 직접 식재하여 사용할 경우, 측면에 배치하여 내부로 공기가 유동되며 복사열을 차단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When the plant is directly planted and used in the
따라서, 상기 외부화분(10)에 직접적으로 식물이 식재될 경우, 상기 공기유동판(60)을 측면에 삽입하여 내부 공기순환 및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여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Therefore, when a plant is directly planted in the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아 상기 외부화분(10) 및 상기 내부화분(20)을 설치한 후 다음과 같이 복사열을 차단하고 물의 급수, 배출 및 저장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Therefore, as illustrated in FIG. 7, after the
먼저, 상기 외부화분(10)의 내부에 상기 내부화분(20)을 결합한 후 상기 휀스(100)에 하나 이상 설치하며, 상기 내부화분(20)에는 식물이 식재된다.First, after combining the
이후, 식물의 재배시 외부로 노출된 상기 외부화분(10)과 상기 내부화분(20)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공간부(30)에서 햇빛에 의해 복사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대류현상을 통해 순환시킨다.Thereafter, when the plant is cultivated, the air heated by radiant heat by sunlight is circulated through convection in the
즉, 상기 외부화분(10)은 복사열에 의해 가열되어 온도상승시 전달되는 열기는 상기 공간부(30)에 위치한 공기가 가열되면서 온도차에 의해 상기 절개홈(15)과 개방된 상부면을 통해 공기가 순환되어 열기를 배출한다.That is, the
이를 통해 복사열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열되는 열기를 순환시켜 대기의 공기온도에 의해 상기 내부화분(20)에 저장된 토양 및 상기 외부화분(10)에 저장된 물이 온도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heat heated directly by the radiant heat can be circulated to prevent the temperature stored in the soil stored in the inner
따라서, 온도변화에 의해 식물이 고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lant from dying due to the temperature change.
그리고 상기 외부화분(10)에 저장된 물은 상기 공급관(13)을 통해 편리하게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water stored in the
따라서, 하나의 상기 외부화분(10)에는 상기 공급관(13)을 연결하여 외부에서 물을 공급하되, 사용되지 않는 상기 공급관(13)은 별도의 마개를 통해 물이 배출 및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폐쇄한다.Therefore, the
이를 통해 외부에서 일정량의 물을 항시 공급하여 상기 외부화분(10) 내에 저장된 물을 일정한 수위를 항시 유지하여 상기 내부화분(20)에 공급할 수 있다.Through this, a constant amount of water is constantly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the water stored in the
또한, 상기 외부화분(10)이 다 수개 배치된 경우에는 상기 외부화분(10)과 상기 외부화분(10)의 각각의 상기 공급관(13)에 상기 공급호스(50)를 통해 연결하되, 측단에 위치한 상기 외부화분(10)은 외부에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공급호스(50)를 연결한다.In addition, when the number of
이를 통해 측단에 위치한 상기 외부화분(10)에서 물을 공급받을 시 상기 공급호스(50)를 통해 다 수개의 상기 외부화분(10)으로 물이 유입되어 동일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water is supplied from the
아울러 상기 기재된 물의 공급방식 상기 외부화분(10)에 연결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공급호스(50)를 통해 외부에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기재하였으나, 아래와 같이 다양한 방법을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water supply method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from the outside through any one of the
먼저, 다 수개의 외부화분(10)은 상기 공급호스(50)를 통해 연결하되, 다 수개의 연결된 상기 외부화분(10) 중 어느하나에 상기 내부화분(20)을 제거한 후 상기 외부화분(10)에 직접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First, the multiple
또한, 다 수개의 상기 외부화분(10)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에서 상부에서 별도로 물을 공급하며, 공급되는 물은 상기 공급호스(50)를 통해 유입 및 배출하여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물을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water is supplied separately from the upper part in a state where plants are planted on the plurality of
이와 같이, 상기 공급호스(50)를 통해 물이 공급 및 배출하여 동일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으며, 공급되는 물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져, 설치환경 및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In this way, water can be suppli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이와 같이 상기 외부화분(10)에는 물이 공급되어 일정량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으나, 과도하게 공급된 물이나 외부에서 빗물 등에 의해 유입되어 수위가 증가할 경우에는 상기 절개홈(15)을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As described above, water is supplied to the
따라서 하나 이상의 상기 외부화분(10)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공급되는 물에 의해 수위를 유지하되, 과도하게 공급된 물 또는 임의의 상황에서 공급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항시 일정량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one or more of the
이를 통해 식물에 공급되는 물이 많아 뿌리가 썩는 것을 방지하며, 적정량의 물을 공급하여 장시간 편리하게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re is a lot of water supplied to the plant to prevent roots from rotting, and by supplying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the plant can be conveniently grown for a long time.
즉, 상기 외부화분(10) 및 상기 내부화분(20)은 다양한 위치에 배치된 상기 휀스(100)에 설치하여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at is, the
따라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아파트, 빌라 등의 실내환경에 맞춰 가정, 학교, 회사 등에 설치하여 편리하게 식물을 재배할 뿐만 아니라, 도로, 인도 등의 경계구역 및 다리, 교량 등 안전을 위해 설치된 휀스에 사용하여 실외환경에 따라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conveniently installed in homes, schools, companies, etc. in accordance with the indoor environment of apartments, villas, etc., and used for fences installed for safety such as roads, sidewalks, border areas, bridges, bridges, etc. Therefore, it can be easily installed to grow plants according to the outdoor environment.
또한, 설치된 상태에서 햇빛에 의해 전달되는 복사열을 방지하고, 편리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어 다양한 환경에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t prevents radiant heat transmitted by sunlight in an installed state and can conveniently supply water, and thus can be used in various environments.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As described above,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described in the clai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obvious that you can do it.
10; 외부화분11: 돌출부
12: 삽입홈13: 공급관
14: 결합공15: 절개홈
16: 제1배출구20: 내부화분
21: 돌출돌기22: 급수공
23: 제2배출구24: 보강부
24a: 제1절곡편24b: 제2절곡편
25: 통공30: 공간부
40: 결합부재50: 공급호스
60: 공기공급판61: 수직판
62: 관통공63: 수평판
70: 연결끈80: 이격돌기
100: 휀스110: 가로부재
120: 세로부재200: 지지프레임10; External flower pot 11: protrusion
12: Insertion groove 13: Supply pipe
14: coupling hole 15: incision groove
16: First outlet 20: Inner pot
21: protrusion 22: water supply hole
23: second outlet 24: reinforcement
24a:
25: through 30: space
40: coupling member 50: supply hose
60: air supply plate 61: vertical plate
62: through hole 63: horizontal plate
70: connecting string 80: spaced apart
100: Higgs 110: horizontal member
120: vertical member 200: support fram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178146AKR102077897B1 (en) | 2017-12-22 | 2017-12-22 | Plant-grown pots that can block radiant heat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178146AKR102077897B1 (en) | 2017-12-22 | 2017-12-22 | Plant-grown pots that can block radiant heat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76385A KR20190076385A (en) | 2019-07-02 |
| KR102077897B1true KR102077897B1 (en) | 2020-04-07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178146AExpired - Fee RelatedKR102077897B1 (en) | 2017-12-22 | 2017-12-22 | Plant-grown pots that can block radiant heat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77897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497905B1 (en)* | 2020-09-17 | 2023-02-09 | 삼성물산 주식회사 | Drwaer type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plant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79346Y1 (en)* | 2015-08-21 | 2016-01-18 | 주식회사 프론티어텍홀딩스 | Prefabricated plant pot assembly for interior greening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79346Y1 (en)* | 2015-08-21 | 2016-01-18 | 주식회사 프론티어텍홀딩스 | Prefabricated plant pot assembly for interior greening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76385A (en) | 2019-07-02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5495198B1 (en) | Cylindrical greening unit | |
| WO2012050529A1 (en) | Planting tray | |
| US10462980B2 (en) | Offset stacked vertical planting containers | |
| CZ308191B6 (en) | Vertical garden | |
| KR20100005497A (en) | Preengineered flowerpot apparatus | |
| US20170273254A1 (en) | A multi-stacking decorative flowerpot unit | |
| KR102038769B1 (en) | Plant-grown pots with a watering pot | |
| KR100479212B1 (en) | Fabricated Cultivation Box and Landscape Architecture System using The Same | |
| KR100419903B1 (en) | The lower part water supply type flowerpot having ventilation function | |
| KR102077897B1 (en) | Plant-grown pots that can block radiant heat | |
| JP5368041B2 (en) | Container unit for greening | |
| KR101043958B1 (en) | Prefab Wall Landscape System | |
| KR20080004675U (en) | Breathable Egg Planter | |
| JP2009165400A (en) | Planting unit, planting unit for greening using the unit, and system thereof | |
| KR100817549B1 (en) | Multipurpose Prefab Planter | |
| JP2009000056A (en) | Outside cover giving air-conditioning function to planting pot | |
| KR101878022B1 (en) | Multi Green Vertical Planter | |
| JP6333642B2 (en) | Planting plant for greening and greening wall using the planter | |
| JP2007151528A (en) | Soil container for vine plant cultivation and materials for transporting tailoring | |
| KR102840921B1 (en) | Wall flowerpot | |
| WO2009084310A1 (en) | Container unit for greening and greening technique using the container unit | |
| KR20120055025A (en) | Vegetable garden pot | |
| CN218042700U (en) | Planting groove for planting strawberries in greenhouse | |
| KR200288909Y1 (en) | Fabricated Cultivation Box and Landscape Architecture System using The Same | |
| KR20190125730A (en) | Flower container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U-3-3-T10-T11-oth-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23021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23021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