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전자문서를 편집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문서에 효율적으로 복수의 구분내용 중 일부를 연속하여 입력할 수 있는 전자문서를 편집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editing an electronic docu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editing an electronic document capable of continuously inputting some of a plurality of pieces of content into an electronic document efficiently.
전자문서란, 정보처리 시스템에 의하여 전자적 형태로 작성되어 송신 또는 수신되거나 저장된 정보를 의미하며, 전자적인 형태 그대로 또는 인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전자문서는 마이크로소프트 (Microsoft) 사의 오피스 (Office) 프로그램 군에 포함된 워드 (Word), 엑셀 (Excel), 파워 포인트 (PowerPoint) 나, 한글과 컴퓨터사의 한컴 오피스 또는 어도비 (Adobe) 사의 아크로뱃 (Acrobat) 과 같이 'PC'를 기반으로 한 문서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해 생성되는 전자문서뿐만 아니라, 최근 모바일 산업의 발전에 따라 스마트폰 (smartphone) 또는 태블릿 (Tablet) 컴퓨터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 인프라웨어® (Infraware®) 사의 폴라리스 오피스® (Polaris Office®) 군의 프로그램들에 의해 생성되는 전자문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ocument refers to information created in electronic form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transmitted, received, or stored, and may be used as it is or in electronic form. Electronic documents are included in the Microsoft Office program family, including Word, Excel, PowerPoint, Hangul and Computer, Hancom Office, or Adobe's Acrobat. Infraware®, which can be used not only on electronic documents created using 'PC'-based document editing programs, but also on smartphones or tablet computers according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mobile industry. It may contain electronic documents generated by programs of the company's Polaris Office® family.
이와 관련하여, 전자문서는 문자나 그림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문서가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들의 적어도 일부는 동일한 전자문서 내에서 또는 새로운 전자문서에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사하고자 하는 내용이 포함된 전자문서에서 일부의 내용을 복사하고, 동일한 전자문서, 새로운 전자문서 또는 인터넷 웹 브라우저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전자문서 내의 정보가 재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복수의 정보를 새로운 전자문서에 입력하는 경우, 복수의 정보를 하나씩 복사하여 하나씩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다.In this regard, an electronic document contains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texts and pictures. At least some of the various information contained in these electronic documents may be used in the same electronic document or in a new electronic document. For example, the information in the electronic document may be reused by copying a part of the content from the electronic document including the content to be copied and inputting the same electronic document, a new electronic document, or an Internet web browser. However, when inputting 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into a new electronic document,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copy and input the pieces of information one by one may occu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예시적인 전자문서의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1 illustrates a case of using information of an exemplary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을 참조하면, 제1 전자문서(20) 화면과 제2 전자문서(30) 화면이 나란히 표시되어 있다. 이때 제1 전자문서(20) 화면 및 제2 전자문서(30) 화면을 표시하는 것은 전자 기기의 표시부(10)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creen of the first
제1 전자문서(20)에는 이름, 주소, 생년월일 등의 정보가 기재된 제1 테이블(T1)이 저장되어 있다. 제1 테이블(T1)은 이름, 주소, 생년월일 등과 같은 항목이 기재된 제1 열(C1)과, 이름, 주소, 생년월일 등과 같은 항목에 대응하는, 홍길동, ㅇㅇ시 ㅁㅁ구 ㅇㅇ동 ㅇㅇ-ㅇㅇ 등과 같이 구체적인 내용이 기재된 제2 열(C2)로 구성된다. 다만, 이러한 2열(C2)로 구성된 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열과 행으로 정보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표가 아닌 방식으로 정보가 기재되어 있을 수 있다.The first
제2 전자문서(30)에는 제2 테이블(T2)가 표시된다. 제2 테이블(T2)의 제1 열(C1)에는 ID, 이름, 생년월일, 주소 등이 기재되어 있고, 제2 열(C2)에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지 않다. 이때, 제2 테이블(T2)의 제1 열(C1)의 항목들의 순서와 항목의 수는 제1 전자문서(20)에 저장된 제1 테이블(T1)과 일치하지 않는다.The second table T2 is displayed on the second
이 경우, 제1 테이블(T1)을 이용하여 제2 테이블(T2)의 내용을 입력할 때, 사용자는 제2 테이블(T2)의 제1 열(C1)의 각 항목에 해당하는 제1 테이블(T1)의 각 항목의 구체적인 내용을 하나씩 복사한 후, 제2 테이블(T2)의 각 항목에 입력하여야 한다. 즉, 제2 테이블(T2)의 제1 열(C1)의 각 항목에 대응하여 제1 테이블(T1)의 각 항목의 내용을 각각 복사 및 입력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contents of the second table T2 are input using the first table T1, the user may select the first table corresponding to each item in the first column C1 of the second table T2. The specific contents of each item of T1) must be copied one by one and then input to each item of the second table T2. That is, the trouble of copying and inputting the contents of each item of the first table T1 may occur in correspondence with each item of the first column C1 of the second table T2.
따라서, 전자문서 내의 복수의 정보를 동일하거나 새로운 전자문서 또는 인터넷 웹 브라우저에 입력함에 있어서, 보다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Therefore, when inputting a plurality of information in the electronic document into the same or new electronic document or Internet web browser, it is required to develop a method that can provide a more intuitive and efficient interface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관련기술문헌][Related Technical Documents]
임시 편집 표면을 이용한 문서 편집 (한국공개특허 제 10-2010-0135756 호)Document editing using temporary editing surfac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3575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자문서 내의 정보를 복사하여 다른 전자문서 또는 인터넷 웹 브라우저 등에 입력 시, 복수의 정보를 한번에 복사하여 입력할 수 있는 전자문서를 편집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an electronic document that can copy and input a plurality of information at once when copying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document and inputting it in another electronic document or an Internet web brows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복수의 정보를 다른 전자문서 또는 인터넷 웹 브라우저 등에 입력 시, 입력되는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선택하고 입력할 수 있는 전자문서를 편집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editing an electronic document that can more easily select and input the input information when 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are input to another electronic document or an Internet web browser.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를 편집하는 방법은, 복사 내용을 지정 받는 단계, 복사 내용 내에 식별자를 인식하여 식별자 사이의 일 이상의 구분내용을 구분하는 단계, 미리 지정된 단위출력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단위출력명령의 수신에 대응하여 일 이상의 구분내용 중 하나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method of editing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receiving a copy content, the step of recognizing the identifier in the copy content to distinguish one or more divisions between the identifier The method may include receiving a predetermined unit output command, and inputting one or more division contents in response to the reception of the unit output command.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일 이상의 구분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는 단계는, 복수의 단위출력명령에 대응하여 일 이상의 구분내용이 순차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in the step of inputting at least one of the one or more divisions, one or more divisions may be sequentially input in correspondence to the plurality of unit output commands.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단위출력명령 수신 시, 일 이상의 구분내용 각각이 서로 분리되어 각 단위 셀에 포함되는 테이블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when receiving a unit output command, it may include the step of displaying a table included in each unit cell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one or mor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테이블의 단위 셀 중 어느 하나가 선택 시, 선택된 단위 셀에 표시되는 구분내용이 표시되고, 단위출력명령을 수신 시, 선택된 단위 셀에 포함되는 구분내용은 테이블의 마지막 단위 셀로 이동되거나, 삭제되거나, 다른 단위 셀과는 상이한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y one of the unit cells of the table is selected, the division content displayed on the selected unit cell is displayed, and when receiving the unit output command, the division content included in the selected unit cell is displayed in the table. It may include the step of moving to the last unit cell, deleting, or displaying a different visual effect than other unit cells.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테이블의 선택된 단위 셀들을 식별하기 위한 표시 식별자를 테이블의 단위 셀들 중 하나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n indication identifier for identifying selected unit cells of the table in one of the unit cells of the tabl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선택된 단위 셀에 포함되는 구분내용이 삭제되는 경우, 복원출력명령 수신 시 삭제된 구분내용을 복원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division included in the selected unit cell is delete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storing and displaying the deleted division upon receiving the restoration output comman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하는 단계는, 식별자와 구분내용 사이에 여백을 삭제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ing may include displaying by deleting a space between the identifier and the distinguished content.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식별자는 2 이상의 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identifier may consist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characters.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식별자는 문자, 숫자, 및 문자와 문자 사이의 2 이상의 단위 여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identifier may be at least one of letters, numbers, and at least two unit margins between letters.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미리 지정된 단위출력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전에 구분내용에 대응하는 분류를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단위출력명령의 수신에 대응하여 일 이상의 구분내용 중 하나를 입력하는 단계는, 입력되는 영역이 분류에 매칭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입력되는 영역이 상기 분류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분류에 대응하는 구분내용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toring the classification corresponding to the classification content before the step of receiving a predetermined unit output notation, the one or more divisions in response to the reception of the unit output command The step of inputting one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n input area matches a classification, and when the input area matches the classification, inputting a divisio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lassification.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를 편집하는 장치는 전자문서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부, 복사 내용을 지정하거나 단위출력명령을 입력 하도록 구성된 입력부, 복사 내용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부, 및 입력부를 통해 지정된 복사 내용 내에 식별자를 인식하여 식별자 사이의 일 이상의 구분내용을 구분하고, 입력부를 통해 미리 지정된 단위출력명령을 수신하고, 단위출력명령의 수신에 대응하여 일 이상의 구분내용 중 하나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apparatus for editing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the electronic document, the input unit configured to specify the copy content or input a unit output command, and stores the copy content A storage unit configured to recognize the identifier within the copy content designated by the input unit, and to distinguish one or more divisions between the identifiers, receive a predetermined unit output command through the input unit, and respond to the reception of the unit output command by one or more units. And a processor configured to display one of the divisions through the display unit.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은 하나의 전자문서 내의 복수의 정보를 한 번에 지정받고, 이를 식별자에 의해 각각 구분하여 구분내용을 하나씩 입력함으로써, 복수의 정보를 하나씩 복사하여 하나씩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in a single electronic document are designated at a time, and the pieces of information are divided by input by identifier and each piece is input one by one. have.
본 발명은 복수의 정보를 다른 전자문서 또는 인터넷 웹 브라우저 등에 입력 시 구분내용 각각이 서로 분리되어 각 단위 셀에 포함되는 테이블을 표시함으로써, 입력시킬 구분내용을 보다 용이하게 선택하고 입력할 수 있는 전자문서를 편집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are inputted to another electronic document or an Internet web browser, the division item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 table included in each unit cell is displayed, whereby the division items to be input can be easily selected and enter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a document.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예시적인 서로 다른 전자문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를 편집하는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를 편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를 편집하는 방법에 의해 서로 다른 전자문서 사이에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를 편집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1 illustrates exemplary different electronic documents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editing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editing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hrough 4C illustrate a method of inputting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electronic documents by a method of editing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hrough 5E illustrate a method of editing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Shapes, sizes, ratios, angles, numbers, and the like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item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When 'comprises', 'haves', 'consists of' and the like mentio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In case of singular reference, the plural number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구성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a component, it is interpreted to include an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description.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a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별도로 명시하지 않는 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Each of the features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part or in whole, various technically interlocking and driving as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each of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t may be possible to carry out together in an association.
이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정의한다.Hereinafter,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defined.
본 명세서에서 전자문서란, 정보처리 시스템에 의하여 전자적 형태로 작성되어 송신 또는 수신되거나 저장된 정보를 의미하며, 전자적인 형태 그대로 또는 인쇄되어 사용될 수 있는 파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자문서의 종류에는 마이크로소프트 (Microsoft) 사의 오피스 (Office) 프로그램 군에 포함된 워드 (Word), 엑셀 (Excel), 파워 포인트 (PowerPoint) 나, 한글과 컴퓨터사의 한컴 오피스 또는 어도비 (Adobe) 사의 아크로뱃 (Acrobat) 과 같이 'PC'를 기반으로 한 문서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해 생성되는 전자문서뿐만 아니라, 최근 모바일 산업의 발전에 따라 스마트폰 (smartphone) 또는 태블릿 (Tablet) 컴퓨터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 인프라웨어® (Infraware®) 사의 폴라리스 오피스® (Polaris Office®) 군의 프로그램들에 의해 생성되는 전자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전자문서는 웹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웹에서 편집가능한 문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electronic document refers to information created in an electronic form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transmitted, received, or stored, and means a file that can be used as it is or in electronic form. For example, the types of electronic documents include Word, Excel, PowerPoint, Hangul, and Hancom Office or Adobe (included in the Microsoft Office program). As well as electronic documents created using 'PC'-based document editing programs such as Adobe's Acrobat, they can be used on smartphones or tablet computers according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mobile industry. It may contain electronic documents generated by programs of the Polaris Office® family of Infraware®. In addition, the electronic document may include a web document, or may include a document editable on the web.
본 명세서에서 구분내용이란, 식별자에 의해 구분되는 각 내용이다. 구체적으로, 복사 내용이 지정된 영역 내에서 식별자와 식별자 사이에 있는 것이 구분내용이고, 복사 내용이 지정된 영역의 시작에서부터 식별자 사이, 복사 내용이 지정된 영역의 끝과 앞선 식별자 사이의 내용도 각각 구분내용일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tent of division is each content classified by an identifier. Specifically, the content of the copy is between the identifier and the identifier within the designated area, and the content between the start of the area to which the copy is specified and the identifier, and the end of the area and the preceding identifier to which the copy is specified is also classified. Can be.
본 명세서에서 식별자란, 하나의 구분내용과 인접한 구분내용을 서로 분리하여 구분할 수 있게 만드는 다양한 문자,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테이블 또는 여백일 수 있다. 사용자는 식별자를 입력함으로써 구분내용을 서로 구분시켜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 identifier may be a table or a margin including various characters, a plurality of cells, and a plurality of cells that make it possible to distinguish one division and an adjacent division from each other. The user may distinguish the distinguished contents from each other by inputting the identifiers.
본 명세서에서 단위출력명령이란, 복사 내용에 포함된 복수의 구분내용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거나, 복수의 구분내용이 선택가능하도록 표시되게 하는 명령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복사 내용에 포함된 복수의 구분내용이 반복된 단위출력명령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하나씩 입력되거나, 복수의 구분내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복수의 구분내용이 서로 분리되어 포함되는 복수의 셀로 구성된 테이블을 출력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unit output command refers to a command for input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division contents included in the copy contents or displaying a plurality of division contents for selection. Specifically, a plurality of divisions included in the copy contents are sequentially input one by one by a repeating unit output command, or a plurality of divisions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divisions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as to selec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ivisions. You can also print a tabl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를 편집하는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editing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를 편집하는 장치는 표시부(110), 입력부(120), 저장부(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한다. 전자문서를 편집하는 장치는 범용 컴퓨터일 수 있고, 또는 휴대용 단말일 수도 있다. 역시 도 2에서는 편집하는 장치를 컴퓨터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전자문서에서 내용을 복사하고 붙여넣기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할 수 있는 단말이라면 제한 없이 채용될 수 있다.2, an apparatus for editing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표시부(110)는 전자문서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표시부(110)는 프로세서(140)에 의한 명령을 수신하여 복사 내용이나, 복사 내용 중 구분 내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일 수 있다.The
입력부(120)는 복사 내용을 지정하거나 단위출력명령을 입력 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전자문서 내에 포함된 정보에 대한 선택 명령 및 복사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복사된 전자문서 내의 복수의 구분 내용을 다른 전자문서에 입력하는 단위출력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일 수도 있고, 터치 패널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일 수도 있다.The
저장부(130)는 전자문서 내의 구분 내용과 식별자를 저장한다. 즉, 저장부(130)는 복사 내용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30)는 입력부(120)에 의하여 전자문서 내의 구분 내용 및 식별자를 포함한 내용에 대한 복사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전자문서 내의 구분 내용과 식별자를 저장한다. 저장부(130)는 구분 내용 및 식별자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램(RAM)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롬(ROM)이 사용될 수도 있다.The
프로세서(140)는 입력부(120)를 통해 지정된 복사 내용 내에 식별자를 인식하여 식별자 사이의 일 이상의 구분내용을 구분하고, 입력부(120)를 통해 미리 지정된 단위출력명령을 수신하고, 단위출력명령의 수신에 대응하여 일 이상의 구분내용 중 하나를 표시부(110)를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된다.The
또한 프로세서(140)는 입력부(120)에 의해 수신된 복사 명령에 대응하여 복수의 구분 내용을 저장하는 동시에 식별자에 의해 구분 내용을 단위 구분 내용으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단위출력명령에 대응하여 단위 구분 내용을 순차적 또는 선택된 구분 내용으로 다른 전자문서 등에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단위출력명령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도록 각 구분 내용이 담긴 테이블을 표시부(110)에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를 편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를 편집하는 방법에 의해 서로 다른 전자문서 사이에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editing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hrough 4C illustrate a method of inputting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electronic documents by a method of editing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를 편집하는 방법은 입력부(120)에 의해 전자문서 내에 포함된 내용 중 적어도 일부인 복사 내용을 지정 받음으로써 개시된다(S11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전자문서 내에 포함된 내용 중에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내용이 선택된 후, 이를 복사하는 명령을 수신받을 수 있다.The method for editing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arted by receiving the designated copy content which is at least a part of the contents included in the electronic document by the input unit 120 (S110). In detail, the
예를 들어, 도 4a의 제1 전자문서(111)에 지정된 복사 영역에는 복수의 구분 내용(160)과 식별자(150)가 포함되어 있다. 복수의 구분 내용(160)은 제1 구분 내용(161), 제2 구분 내용(162), 제3 구분 내용(163), 제4 구분 내용(164) 및 제5 구분 내용(165)을 포함하고, 복수의 식별자(150)는 제1 구분 내용(161)과 제2 구분 내용(162) 사이에 입력된 제1 식별자(151)부터, 제4 구분 내용(164)과 제5 구분 내용(165) 사이에 입력된 제4 식별자(154)까지 총 4개의 식별자(150)를 포함한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divisions 160 and the identifier 150 are included in the copy area designated in the first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구분 내용과 이와 인접한 구분 내용은 식별자(150)를 중심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식별자(150)가 없다면 2 이상의 구분 내용(160)으로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식별자(150)는 ';'로 표시했으나, 식별자(150)는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는 1 이상의 미리 설정된 문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쉼표(,), %, $, # 및 2 이상의 단위 여백 등 다양한 문자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단위 여백(170)이란 문자와 문자 사이의 단위 이격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화면상의 공간 처리의 하나의 표시인 여백(170)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one division content and the adjacent division content are divided based on the identifier 150. Therefore, if there is no identifier 150, it may not be divided into two or more division contents 160. For example, although the identifier 150 is marked with ';', the identifier 150 may be one or more preset characters that can be input through the
또한, 식별자(150)는 문자, 숫자 및 문자와 문자 사이의 2 이상의 단위 여백(170) 중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별자(150)는 쉼표가 두 개(,,)와 같이 쓸 수도 있으며, 작은 따옴표(')로 사용할 수도 있고, 앳 마크를 두 개(@@) 등을 쓸 수도 있다. 또한, 2 이상의 문자 및/또는 숫자의 조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다루는 전자문서 내의 내용에 맞는 적절한 문자, 숫자 또는 2 이상의 단위 여백(170)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identifier 150 may be one of letters, numbers, and two or more unit margins 170 between the letters and the letters. In more detail, the identifier 150 may be written as two commas (,,), may be used as single quotation marks ('), or two at marks (@@). It can also be used as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letters and / or numbers. Through this, the user has the advantage of using the appropriate letters, numbers or two or more unit margins 170 suitable for the contents in the electronic document handled.
제1 전자문서(111)의 복사 영역 전체를 지정 받은 후, 프로세서(140)는 복사 내용 내에 식별자(150)를 인식하여 식별자(150) 사이의 일 이상의 구분 내용(160)을 구분한다(S12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식별자(150)를 중심으로 하나의 구분 내용(160)과 다른 구분 내용(160)을 서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a와 같이 한 줄로 복수의 구분 내용(160)이 입력되어 있어도, 식별자(150)에 의해 각 구분 내용(160)이 서로 구분된다.After receiving the entire copy area of the first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분 내용(161)인 '홍길동'과 제2 구분 내용(162)인 'ㅇㅇ시 ㅁㅁ구 ㅇㅇ동 ㅇㅇ-ㅇㅇ'사이에는 제1 식별자(151)인 ';'가 입력되어 있어, 프로세서(140)에 의하여 제1 구분 내용(161)인 '홍길동'과 제2 구분 내용(162)인 'ㅇㅇ시 ㅁㅁ구 ㅇㅇ동 ㅇㅇ-ㅇㅇ'이 서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분 내용(160)들의 구분은 프로세서(140)가 제1 식별자(151), 제2 식별자(152), 제3 식별자(153) 및 제4 식별자(154)를 인식하여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구분된 구분 내용(160)은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4A, a
그 후에 미리 지정된 단위출력명령을 수신한다(S130). 단위출력명령은 지정 받은 복사 내용을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20)에 의하여 수신될 수 있다.Thereafter, a predetermined unit output command is received (S130). The unit output command may be received by the
단위출력명령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위출력명령은 종래의 복사를 붙여넣는 명령(예를 들어, 붙여넣기)일 수도 있고, 이와는 구분되는 명령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위출력명령이 종래의 복사를 붙여넣는 명령과 중복되는 경우, 한 번 명령 시 (Ctrl+v를 1회 입력시) 단위출력명령이 실행되고, 한 번 더 명령 시 종래의 복사를 붙여넣는 명령과 마찬가지로 복사한 내용 전체가 한번에 입력될 수 있다.The unit output command is not limited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unit output command may be a command for pasting a conventional copy (for example, paste), or may be a command distinct from the above. In one embodiment, when the unit output command is duplicated with a command to paste a conventional copy, the unit output command is executed at one command (when Ctrl + v is entered once), and the conventional copy at one more command. As with the command to paste, the entire copy can be entered at once.
다른 실시예에서, 단위출력명령이 종래의 복사를 붙여넣는 명령이 아닌 구별되는 명령인 경우, 단위출력명력 수신 시 복수의 구분 내용(160) 중 하나를 입력하게 되며 이 후 순차적으로 다음 구분 내용(160)이 입력되며, 종래의 복사를 붙여넣는 명령 시 복사한 내용 전체가 한번에 입력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unit output command is a distinguished command instead of a conventional copy paste command, one of the plurality of division contents 160 is input when the unit output reputation is received, and then the next division contents ( 160) is input, the entire copy can be entered at a time when a conventional copy paste command.
그 후, 단위출력명령의 수신에 대응하여 일 이상의 구분 내용(160) 중 하나를 입력한다(S140). 즉, 단위출력명령을 수신하면 복수의 구분 내용(160) 중 어느 하나의 구분 내용이 입력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단위출력명령에 대응하여 일 이상의 구분 내용이 순차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Thereafter, in response to the reception of the unit output command, one of the one or more division contents 160 is input (S140). That is, upon receiving the unit output command,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ivision contents 160 may be input. In this case, one or more division contents may be sequentially input in correspondence to the plurality of unit output commands.
예를 들어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전자문서를 구동시키는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의 위치를 화면상에 나타내는 표시인 커서(Cursor, P)와 같은 포인터를 테이블(T2)의 '이름'에 해당하는 행의 제2 열(C4)에 위치시킨다. 그 후,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단위출력명령을 입력시키면, 해당 셀에 제1 구분 내용(161)인 '홍길동'이 입력된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B, a pointer such as a cursor Cursor, P, which is a mark indicating a location on the screen where a user can input text in an application for driving an electronic document, may be changed to ' Position in the second column C4 of the row corresponding to the name. Thereafter, when a user inputs a unit output command through the
즉, 사용자는 제1 전자문서(111)의 복수의 구분 내용(160)과 복수의 식별자(150)를 포함하는 복사 영역을 한 번에 지정했지만, 프로세서(140)에 의하여 복수의 구분 내용(160)이 각각 구분 되고, 단위출력명령에 대응하여 하나의 구분 내용(160)이 입력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블(T2)의 '이름'에 해당하는 행의 제2 열(C4) '홍길동'만 입력될 수 있다.That is, although the user designates a copy area including the plurality of pieces of content 160 and the plurality of identifiers 150 of the first
다음으로 도 4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2 전자문서(112)의 테이블(T2)의 '주소'에 해당하는 행의 제2 열(C4)에 커서(P) 등이 위치시킨 후, 재차 입력부(120)를 통해 단위출력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제1 구분 내용(161)을 이미 입력했으므로 그 다음 구분 내용(160)인 제2 구분 내용(162) 즉, 'ㅇㅇ시 ㅁㅁ구 ㅇㅇ동 ㅇㅇ-ㅇㅇ'을 주소에 해당하는 단위 셀에 입력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4C, the user places the cursor P in the second column C4 of the row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of the table T2 of the second
이 후에 사용자는 생년월일, 주민등록번호 및 이메일에 해당하는 단위 셀에 커서(P) 등을 위치시킨 후, 단위출력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제2 전자문서(112)의 테이블(T2)의 비어있는 셀을 모두 입력할 수 있다.After that, the user places the cursor P in the unit cell corresponding to the date of birth, social security number, and e-mail, and inputs a unit output command, thereby all the empty cells of the table T2 of the secon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를 편집하는 방법은, 여러 구분 내용(160)들을 식별자(150)를 이용하여 입력한 뒤 한번에 복사 지정을 받고, 단위출력명령에 의하여 하나의 구분 내용(160)을 입력해야 하는 곳으로 커서(P) 등을 이동시킨 후 하나의 구분 내용(160)을 입력하고, 다른 구분 내용(160)을 입력해야 하는 곳으로 커서(P) 등을 이동시킨 후 재차 단위출력명령에 의하여 다음 구분 내용(160)을 입력함으로써, 각 구분 내용(160) 별로 복사의 지정 및 출력명령을 반복하는 번거로움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ethod of editing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inputting various division contents 160 by using the identifier 150, a copy designation is received at a time, and one unit command is outputted. After moving the cursor (P) to the place where the division content (160) should be input, enter one division content (160), and move the cursor (P) to the place where the other division content (160) should be entered. After inputting the next division content 160 again by the unit output command, the trouble of repeating the designation of the copy and the output command for each division content 160 is reduced.
한편, 각 구분 내용(160)과 식별자(150) 사이에는 여백(170)이 존재할 수 있다. 즉, 각 구분 내용(160)과 식별자(150) 사이에는 여백(170)이 존재할 수도 있고,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Meanwhile, a margin 170 may exist between each division content 160 and the identifier 150. That is, the margin 170 may or may not exist between each division content 160 and the identifier 150.
예를 들어, 도 4a 내지 도 4c의 제1 전자문서(111)의 복사 영역을 살펴보면, 구분 내용(160)과 식별자(150) 사이의 여백(170)은 제1 여백(171), 제2 여백(172), 제3 여백(173) 및 제4 여백(17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여백(171)은 제2 구분 내용(162)의 앞에 위치하며, 제2 여백(172)은 제2 구분 내용(162)의 뒤에 위치하고, 제3 여백(173)은 제3 구분 내용(163)의 앞에 위치하며, 제4 여백(174)은 제5 구분 내용(165)의 앞에 위치한다.For example, referring to the copy area of the first
여백(170)은 1 이상의 단위 여백일 수 있다. 즉, 여백(170)은 제1 여백(171) 및 제2 여백(172)과 같이 하나의 단위 여백일 수도 있고, 제3 여백(173)과 같이 2개의 단위 여백일 수 있다. 그리고, 제4 여백(174)과 같이 셋의 단위 여백일 수 있다. 즉, 구분 내용(160)과 식별자(150) 사이의 여백(170)은 1 이상의 단위 여백을 포함한다.The margin 170 may be one or more unit margins. That is, the margin 170 may be one unit margin, such as the
프로세서(140)는 단위출력명령에 따라 하나의 단위 구분 내용(160)이 입력될 때, 복사 영역 내의 각 구분 내용(160)과 식별자(150) 사이에 존재하는 여백(170)을 삭제한 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식별자(150) 및 구분 내용(160)을 포함한 복사 영역의 정보를 입력하거나 복사할 때, 식별자(150)와 구분 내용(160) 사이의 공간에 구애받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분 내용(160)과 구분 내용(160) 사이에 식별자(150)만 포함되면 될 뿐, 식별자(150)와 구분 내용(160) 사이의 여백(170)을 자유롭게 입력해도 되므로, 구분 내용(160) 및 식별자(150)를 입력할 때 입력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When one unit division content 160 is input according to a unit output command, the
전술된 4a 내지 4c에서는 전자문서 간의 복사와 붙여넣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웹문서를 복사하여 편집가능한 전자문서에 붙여넣거나, 반대로 편집가능한 문서로부터 폼(form)의 형식을 가지는 웹문서에 붙여넣는 동작을 모두 포함하도록 의도된다.In the above-described 4a to 4c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copying and pasting between electronic documents, but not limited thereto, and copying a web document and pasting it into an editable electronic document, or vice versa. Branches are intended to include all of the pasting operations in a web document.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를 편집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e의 전자문서를 편집하는 방법은 도 4a 내지 도 4c의 전자문서를 편집하는 방법과 비교하였을 때, 식별자(250)의 종류 및 단위출력명령에 따라 출력되는 구분 내용이 표시 방법만 상이할 뿐 다른 구성요소는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5A through 5E illustrate a method of editing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editing the electronic document of FIGS. 5A to 5E is compared with the method of editing the electronic document of FIGS. 4A to 4C. Since only different elements are the same or similar,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제1 전자문서(211)는 제1 테이블(T1)을 포함하고, 제2 전자문서(212)는 제2 테이블(T2)을 포함한다. 제1 테이블(T1)에는 제2 테이블(T2)의 각 항목이 포함된 정보가 기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테이블(T1)에는 제2 테이블(T2)의 각 항목인 이름, 대학교, 졸업연도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2 테이블(T2)의 각 항목은 인터넷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가입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할 때나, 종합적으로 입력되어 있는 제1 전자문서(211)에서 그 내용의 일부만을 입력하여야 하는 제2 전자문서(212)로 내용을 복사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5A, the first
제1 테이블(T1)의 제1 열(C1)에는 이름, 주소, 생년월일 등과 같은 각 항목의 분류가 기재되어 있으며, 제1 테이블(T1)의 제2 열(C2)에는 각 항목에 따른 구체적인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테이블(T1)의 각 행 사이를 구분하는 각 라인(Line)이 식별자(250)가 될 수 있으며, 제1 테이블(T1)의 제2 열(C2)의 각 행에 입력된 내용이 복수의 구분내용(260)이 된다.In the first column C1 of the first table T1, a classification of each item such as a name, an address, a date of birth, and the like is described. In the second column C2 of the first table T1, specific contents of each item are described. This is described. At this time, in this embodiment, each line (Line) for separating between the rows of the first table (T1) may be the
제2 테이블(T2)의 제1 열(C3)에는 이름, 대학교, 졸업연도 등과 같은 각 항목의 분류가 기재되어 있으며, 제2 테이블(T2)의 제2 열(C4)는 아무것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이때, 제2 테이블(T2)의 제1 열(C3)과 제1 테이블(T1)의 제1열(C1)은 서로 항목이 다르기 때문에, 복수의 구분 내용이 복사되어 단위출력명령에 따라 출력될 때 순차적으로 입력되면 제2 테이블(T2)의 각 항목과 서로 맞지 않는다. 이에 따라, 단위출력명령에 의하여 구분 내용이 출력되어야 하는 방식이 서로 달라져야 한다.The first column C3 of the second table T2 describes the classification of each item such as the name, the university, the year of graduation, and the like, and the second column C4 of the second table T2 describes nothing. . At this time, since the items of the first column C3 of the second table T2 and the first column C1 of the first table T1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division contents are copied and output according to a unit output command. When sequentially inputted, each item of the second table T2 does not match each other. Accordingly, the manner in which the division content should be output by the unit output command should be different.
제1 테이블(T1)의 제2 열(C2)인 복수의 구분 내용 전체를 선택하여, 복사 내용을 지정할 수 있다. 지정된 복사 내용에 대해서 복사 명령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40)는 제1 테이블(T1)의 제2 열(C2)의 각 행(250)의 복사 내용 사이에 식별자를 위치시켜 저장할 수 있다.Copy contents can be designated by selecting all of the plurality of pieces of divided contents which are the second columns C2 of the first table T1. When a copy command is received for the designated copy content, the
그 후, 사용자는 제2 테이블(T2)의 제2 열(C4)의 제1 행에 커서 등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단위출력명령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40)는 단위출력명령 수신 시, 일 이상의 구분내용(260) 각각이 서로 분리되어 각 단위 셀에 포함되는 테이블(이하, 제3 테이블(T3))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저장된 식별자에 의해 분리된 복사 내용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가능하게 리스트의 형태로 제공된다.Thereafter, the user places the cursor or the like in the first row of the second column C4 of the second table T2. When the unit output command is received, when the unit output command is received, the
구체적으로, 복사 내용을 나타내는 제3 테이블(T3)은 복사 내용 각각이 서로 분리되어 표시된다. 이때, 표시되는 제3 테이블(T3)은 복수의 복사 내용의 제1 테이블(T1)의 형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된 것과 달리, 제3 테이블(T3)은 복수의 열을 갖는 테이블로 표시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별도의 공간에 팝업으로 구분자와 함께 표시(예를 들어 도 4a에서의 제1 전자문서 (111) 와 유사한 형태) 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third table T3 representing the copied contents, each of the copied contents is display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displayed third table T3 may be displayed in the same or similar form as that of the first table T1 of the plurality of copies. For example, unlike shown in FIG. 5B, the third table T3 may be displayed as a table having a plurality of columns, or displayed with a separator as a popup in a separate space (for example, in FIG. 4A). Similar to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111).
또한, 제3 테이블(T3)의 선택된 단위 셀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단위 셀은 제3 테이블(T3)의 첫 행에 음영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입력할 구분 내용을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lected unit cell of the third table T3 may be displayed. In this case, the selected unit cell may be displayed as a shade or the like in the first row of the third table T3. In this way, the user can more easily identify the division content to be input.
사용자는 제2 테이블(T2)의 각 항목에 맞는 구분 내용을 선택하여 제2 테이블(T2)의 제2 열(C4)에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3 테이블(T3)의 첫 번째 구분 내용인 '홍길동'을 선택하여 제2 테이블(T2)의 제1 행에 입력할 수 있다.The user may select the division content corresponding to each item of the second table T2 and input it to the second column C4 of the second table T2.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5B, the user may select 'Hong Gil-dong', which is the first division content of the third table T3, and input it to the first row of the second table T2.
이와 같이 단위출력명령에 따라, 복수의 구분 내용이 단위 셀에 포함되는 테이블로 표시됨으로써, 제1 전자문서(211)에서 복사한 복수의 구분 내용의 순서와, 제2 전자문서(212)에서 입력해야 하는 순서가 서로 다를 때에도 용이하게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accordance with the unit output command, a plurality of division contents are displayed in a table included in a unit cell, thereby inputting the order of the plurality of division contents copied from the first
다음으로 도 5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2 테이블(T2)의 제2열의 제2행에 커서 등을 위치시키고, 단위출력명령을 입력한 모습이 도시된다.Next, referring to FIG. 5C, a user places a cursor or the like in a second row of a second column of the second table T2 and inputs a unit output command.
프로세서(140)는 제3 테이블(T3)의 단위 셀 중 원하는 단위 셀이 선택되고, 재차 단위출력명령을 수신 시, 선택된 단위 셀에 포함되는 구분내용(260)은 제3 테이블(T3)의 마지막 단위 셀로 이동시켜서 출력한다. 원하는 단위 셀의 선택은 제한되지 않고 단위출력명령과 동일한 명령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탭 명령과 같은 다른 명령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터치 입력부를 가지는 단말의 경우, 단위출력명령 후 터치 입력을 통해 단위 셀이 선택될 수도 있다.The
예를 들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테이블(T3)에서 표시되는 앞서 선택된 '홍길동'이라는 구분 내용은 제3 테이블(T3)의 최하단으로 위치가 이동되어 표시된다. 또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기 입력된 구분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전자문서(211)의 각 구분 내용의 순서와 제2 전자문서(212)의 각 구분 내용의 순서가 서로 동일할 때 사용자는 구분 내용의 입력을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C, the previously selected divisional content of 'Hong Gil-dong' displayed in the third table T3 is displayed by moving its position to the bottom of the third table T3. Alternatively, in various embodiments, the previously input division content may be deleted. Accordingly, when the order of the respective divisions of the first
한편, 제2 테이블(T2)의 제2 행은 '대학교'에 관련된 항목이므로, 사용자는 제3 테이블(T3)의 최하단에서 세 번째 행에 'xx대학교'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2 테이블(T2)의 하나의 항목에 맞추어 하나씩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Meanwhile, since the second row of the second table T2 is related to 'university', the user may select and enter 'xx university' in the third row at the bottom of the third table T3. Accordingly, the user can reduce the trouble of having to input one by one in accordance with one item of the second table T2.
다음으로 도 5d를 참조하면, 제2 테이블(T2)의 제2 행의 대학교의 항목에 주소가 오류로 입력되었고, 제2 테이블(T2)의 제3 행에서 단위출력명령에 의해 제3 테이블(T3)이 표시되었다.Next, referring to FIG. 5D, an address is entered as an error in an entry of a university in a second row of the second table T2, and a third table (by a unit output command in the third row of the second table T2). T3) is indicated.
이때, 제2 테이블(T2)의 제2 행의 대학교에 주소에 해당하는 구분 내용이 입력되어 있으므로, 이를 수정할 필요가 있다. 한편, 제3 테이블(T3)을 참조하면, 주소에 해당하는 구분 내용인 'ㅇㅇ시 ㅁㅁ구 ㅇㅇ동 ㅇㅇ-ㅇㅇ'은 이미 선택되었으므로 제3 테이블(T3)의 최하단의 행으로 이동되었다.At this time, since the content of the division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is entered in the university of the second row of the second table T2, it is necessary to correct it.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the third table T3, since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O o city, ㅇ ㅇ ㅇ ㅇ ㅇ ㅇ ㅇ' is already selected, it is moved to the bottom row of the third table T3.
이때, 사용자는 제2 테이블(T2)의 제3 행에 항목인 졸업연도에 해당하는 구분 내용을 제3 테이블(T3)에서 선택하거나, 제2 테이블(T2)의 제2 행을 수정하기 위하여 단위출력명령을 취소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user may select the divisio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graduation year, which is an item in the third row of the second table T2, from the third table T3 or modify the second row of the second table T2. You can also cancel the output command.
도 5e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2 테이블(T2)의 제2 행에 해당하는 내용을 수정하기 위하여 제2 테이블(T2)의 제2 행에 해당하는 내용을 삭제한 후, 재차 단위출력명령을 실행한 모습을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5E, in order to correct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ow of the second table T2, the user delete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ow of the second table T2 and again executes a unit output command. It shows the execution.
이때,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3 테이블(T3)의 표시 식별자(250)는 제2 테이블(T2)의 제2 행의 항목에 대응되는 'xx대학교'에 위치하게 된다. 사용자는 제2 테이블(T2)의 제2 행의 항목에 대응되는 'xx대학교'를 선택하여 해당 구분 내용을 제2 테이블(T2)의 제2 행에 입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제3 테이블(T3)에는 이미 입력되었던 주소에 해당하는 구분 내용이 삭제되지 않고 최하단에 위치하므로, 사용자는 제2 테이블(T2)의 마지막 행에 해당하는 '주소'를 입력할 때 제3 테이블(T3)의 주소에 해당하는 구분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visio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which has already been entered is not deleted in the third table T3, the user is inputting the 'address' corresponding to the last row of the second table T2. The divisio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of the table T3 can be ente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편집방법은 이미 입력된 구분 내용이 삭제되지 않고 제3 테이블(T3)에 남아있음으로써, 사용자는 입력하려는 테이블에 오류로 다른 구분 내용을 입력한 경우에도 다시 해당 구분 내용을 복사하기 위하여 복사 내용을 지정하는 불편함을 감소할 수 있다.In the electronic document edi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viously entered division contents are not deleted but remain in the third table T3, so that the user can enter again other division contents by an error in the table to be inpu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designating copy contents in order to copy corresponding division contents.
한편, 단위출력명령을 수신 시, 선택된 단위 셀에 포함되는 구분내용(260)은 다른 단위 셀과는 상이한 시각적 효과, 예를 들어 음영 처리 등이 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이미 선택된 단위 셀에 포함되는 구분내용(260)은 위치 이동과 동시에 상이한 시각적 효과를 가질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이미 입력된 구분 내용과 다른 구분 내용들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upon receiving the unit output command, the
한편, 상술한 설명과 달리 선택되어 입력된 구분 내용은 제3 테이블(T3)에서 삭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3 테이블(T3)에 '이름'에 해당하는 홍길동이 선택된 경우, 다음에 단위출력명령을 수신받아 제3 테이블(T3)이 표시되는 경우 '홍길동'이 삭제된 제3 테이블(T3)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택된 단위 셀에 포함되는 구분내용(260)이 삭제되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복원출력명령 수신 시 삭제된 구분내용(260)을 복원시켜 표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above-described description, the selected content selected and input may be deleted from the third table T3. For example, when Hong Gil-dong corresponding to 'name' is selected in the third table T3, when the third table T3 is displayed after receiving the unit output command, the third table ('Hong Gil-dong' is deleted) T3) may be displayed. When the
전술된 5a 내지 5c에서는 전자문서 간의 복사와 붙여넣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웹문서를 복사하여 편집가능한 전자문서에 붙여넣거나, 반대로 편집가능한 문서로부터 폼의 형식을 가지는 웹문서에 붙여넣는 동작을 모두 포함하도록 의도된다.In the above-described 5a to 5c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copying and pasting between electronic documents, but is not limited to this, a web document having a form of a form from an editable document by copying and pasting a web document and editing the electronic document. It is intended to include all of the pasting actions in.
다양한 실시예에서, 폼의 형식을 가지는 웹문서에서 구분 내용을 복사하는 경우, 구분 내용에 대응하는 분류를 함께 복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서 제2 열(C2)을 복사하는 경우, 홍길동, 1983.4.23 등의 내용만을 복사하는 것이 아니라, 이름, 생년월일 등과 같은 각 항목의 분류를 함께 복사할 수 있다. 항목의 분류 내용은 예를 들어 웹문서에서의 html이나 css나 java등에서 정의될 수도 있다. 즉, 구분내용에 대응하는 분류가 구분내용과 함께 저장된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copying the division content from the web document having the form of a form, the classification corresponding to the division content may be copied togeth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copying the second column C2 in FIG. 5A, not only the contents of Hong Gil-dong, 1983.4.23, etc. may be copied, but the classification of each item such as name, date of birth, etc. may be copied together. The category content of an item may be defined, for example, in html, css or java in a web document. That is, the classification corresponding to the division content is stored together with the division content.
각 항목의 분류가 내용과 함께 복사되는 경우, 붙여넣기 시 예를 들어, 도 3c에서 제3 열(C3)의 분류에 매칭되는 분류를 결정하고, 결정된 분류에 따르는 내용을 자동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즉, 입력되는 영역, 예를 들어, 웹 문서의 폼 형식이 저장된 분류 중 하나에 매칭되는지가 결정된다. 그리고, 입력되는 영역이 상기 분류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분류에 대응하는 구분내용이 입력된다. 이에 따라, 일 그룹의 내용을 복사하고 붙여넣을 때의 효율이 크게 향상되어 사용자 경험이 증가할 수 있다.When the classification of each item is copied along with the contents, when pasting, for example, a classification matching the classification of the third column C3 in FIG. 3C may be determined, and contents according to the determined classification may be automatically input. .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an input area, for example, a form of a web document, matches one of the stored classifications. When the input area matches the classification, the classificatio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lassification is input. Accordingly, the efficiency of copying and pasting a group of contents can be greatly improved, thereby increasing the user experience.
본 명세서에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 (들) 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specification, each block or each step may represent a portion of a module, segment or code containing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a specified logical function (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the functions noted in the blocks or steps may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he two blocks or step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execut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the blocks or step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depending on the functionality involved.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 (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implemented directly in hardware, a software module or a combination of the two executed by a processor. The software module may reside in RAM memory, flash memory, ROM memory, EPROM memory, EEPROM memory, registers, hard disk, removable disk, CD-ROM or any other form of storage medium known in the art. An exemplary storage medium is coupled to the processor, which can read information from and write information to the storage medium. In the alternative, the storage medium may be integral to the processor. The processor and the storage medium may reside within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The ASIC may reside in a user terminal. In the alternative, the processor and the storage medium may reside as discrete components in a user terminal.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전자문서 편집 장치
110 표시부
111, 211 제1 전자문서
112, 212 제2 전자문서
120 입력부
130 저장부
140 프로세서
150, 250 식별자
160, 260 구분 내용
170 여백
180 복사 영역
T1 제1 전자문서 테이블
T2 제2 전자문서 테이블
T3 제3 테이블
C1 제1 전자문서의 제1 열
C2 제1 전자문서의 제2 열
C3 제2 전자문서의 제1 열
C4 제2 전자문서의 제2 열
P 커서100 electronic document editing device
110 display
111, 211 First Electronic Document
112, 212 Second Electronic Document
120 input
130 storage
140 processor
150, 250 identifier
160, 260 Classification
170 margins
180 copy areas
T1 first electronic document table
T2 Secondary Document Table
T3 3rd table
C1 First column of first electronic document
C2 second column of first electronic document
C3 First column of second electronic document
C4 Second column of the second electronic document
P cursor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77926AKR102029057B1 (en) | 2017-06-20 | 2017-06-20 |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electronic documents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77926AKR102029057B1 (en) | 2017-06-20 | 2017-06-20 |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electronic documents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137958A KR20180137958A (en) | 2018-12-28 |
| KR102029057B1true KR102029057B1 (en) | 2019-10-07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077926AActiveKR102029057B1 (en) | 2017-06-20 | 2017-06-20 |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electronic documents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29057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500443B1 (en)* | 2019-12-30 | 2023-02-15 |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orming Table of Document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6172268A (en)* | 2004-12-17 | 2006-06-29 | Toshiba Corp | Structured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structured document processing method, and structured document processing program |
| KR101524897B1 (en) | 2008-02-25 | 2015-06-01 |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 Editing a document using a transitory editing surfac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40372932A1 (en)* | 2013-06-15 | 2014-12-18 | Microsoft Corporation | Filtering Data with Slicer-Style Filtering User Interfac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6172268A (en)* | 2004-12-17 | 2006-06-29 | Toshiba Corp | Structured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structured document processing method, and structured document processing program |
| KR101524897B1 (en) | 2008-02-25 | 2015-06-01 |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 Editing a document using a transitory editing surfac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137958A (en) | 2018-12-28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400775B2 (en) | Document data entry suggestions | |
| AU2012309121B2 (en) | Formula entry for limited display devices | |
| US20120260153A1 (en) | Persistently self-replicating multiple ranges of cells through a table | |
| KR20100135281A (en) | Methods and tools for recognizing hand drawn tables | |
| WO2016095689A1 (en) | Recognition and search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repeated touch-control operations on terminal interface | |
| KR20080042877A (en) | How to Display an Electronic Document in Reading Mode | |
| KR20140009295A (en) | Associating captured image data with a spreadsheet | |
| US20150301706A1 (en) | Identifiable tabbing for bookmarks in electronic books | |
| US20130290837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Document Formatting Based on Source Document | |
| JP2004532482A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dependent help information in office applications | |
| US10204080B2 (en) | Rich formatting for a data label associated with a data point | |
| US9864479B2 (en)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reviewing document integration and updates | |
| KR102029057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electronic documents | |
| US9285956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 |
| US8810580B2 (en) | Method and tool for creating irregular-shaped tables | |
| KR20160066428A (en) | Method for undoing multiple command | |
| KR101391331B1 (en) | Level-based per-list editing method for document editing application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level-based per-list editing program for the same | |
| JP2022067587A (en) | Document editing device, editing method by document editing device and document editing program for document editing device | |
| KR102466711B1 (en) | Spreadsheet document editing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adjustment controls that match the data notation format of the input data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KR101522200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alying electronic documents displaying calculation results in one or more calculation result region | |
| Orris | Getting started with MegaStat® | |
| JP2016207036A (en) | Support device, support method, and support program | |
| US20130215046A1 (en) | Mobile phone, storage medium and method for editing text using the mobile phone | |
| KR2015010739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electronic document's merging | |
| Orris | MegaStatUser’s Guide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7062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80930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19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190930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190930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20930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30905 Start annual number:5 End annual number: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