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약물층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층을 떼어내지 않고 칫솔질만으로 간단히 제거할 수 있는 치아 부착용 패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 patch that can be removed by brush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oth patch that can be removed simply by brushing without removing the support layer supporting the drug layer.
치아의 미백 등과 같은 시술들은 과거에는 주로 치과에서 이루어져 왔으나, 치과 시술은 번거롭고, 비용면에서도 상당한 고가이기 때문에, 최근 들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품에 대한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Although procedures such as whitening of teeth have been mainly performed in the past, dental procedures are cumbersome and expensive in terms of cost, and thus, a lot of developments have recently been made for products that can be easily used.
치아 미백을 위한 선택으로 치약, 마우스린스 (mouthrinse), 츄잉 껌, 구강 트레이, 치아 도포용 젤, 구강용 패치 등의 제품이 있으나, 사용 편리성 등을 고려한 측면에서 패치 형태의 제품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For tooth whitening, toothpaste, mouthrinse, chewing gum, oral tray, tooth coating gel, oral patch, etc., but the patch type is most us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use. It is becoming.
치아 부착용 패치는 일반적으로 치아 미백용 약물, 시린이 예방 또는 개선용 약물 등 그 사용 목적에 따른 약물을 함유하고 있는 약물층과 상기 약물 성분이 선택적으로 치아쪽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층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Tooth patch is generally a structure comprising a drug layer containing a drug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such as a tooth whitening drug, a drug for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a syringe, and a support layer for selectively transferring the drug component toward the tooth Ha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58337호는 패치가 함유하는 약물 성분이 치아에만 선택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층을 수불용성으로 제조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불용성 지지층을 포함하는 패치는 제품 사용 후 남아있는 지지층을 떼어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사용 후 떼어내는 방식은 치아와 패치의 접착력에 의해 잔여물이 남는 경우가 많고 패치의 인장력에 따라 떼어내는 중에 패치가 끊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를 개선한 제품으로 패치를 부착한 후 구강 내에서 용해되는 제품이 개발되었으나, 약물 성분이 치아로 선택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타액과 혼합되어 목적으로 하는 약효가 발현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서서히 녹아 없어지는 방식은 구강 내에서 녹는 방식으로 효능 물질을 섭취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치아 접촉부가 아닌 외곽층부터 녹아 나오면서 외곽층에 포함된 약물은 치아에 적절히 공급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오랜 기간 연구한 결과, 수불용성 패치가 사용과정에서 타액이나 물에 의해서는 분해되지 않으나, 사용 후 칫솔질을 통해 쉽게 제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리고, 패치를 칫솔질과 같은 간단한 방법으로 쉽게 제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Korean Patent No. 10-0458337 proposes to manufacture the support layer as water insoluble so that the drug component contained in the patch can be selectively delivered only to the tooth. However, a patch comprising such a water insoluble support layer is cumbersome to detach the remaining support layer after use of the product. The peel-off method after use often leaves residues due to the adhesion between the tooth and the patch, and the patch may break during the peel-off depending on the tensile force of the patch. As a product for improving this, a product was developed that dissolves in the oral cavity after attaching a patch, but the drug component is not selectively delivered to the teeth, and mixed with saliva, thereby causing a problem in that the desired drug is not express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lowly dissolving method is to consume the efficacy substance by melting in the oral cavity, the drug contained in the outer layer while melting from the outer layer rather than the contact portion of the tooth was not properly supplied to the teeth. On the other hand,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of a long study, the water insoluble patch is not decomposed by saliva or water in the process of use, but studied how to be easily removed by brushing after us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as a result of studying a method of easily removing a patch by a simple method such as brushing.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칫솔질만으로 치아 표면에서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치아 부착용 패치를 제공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patch for tooth attachment that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tooth surface only by brushing.
본 발명은 사용 후 별도의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고, 간단히 양치만으로 제거할 수 있는 간편한 치아 부착용 패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mple tooth attachment patch that can be removed simply by brushing, without generating any waste after use.
또한, 특히 제거력이 우수하고, 분해된 입자의 크기가 작아 이물감없이 우수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칫솔질로 쉽게 분해되거나 제거될 수 있는 치아 부착용 패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tch for tooth attachment that can be easily disintegrated or removed by brushing, which is particularly excellent in removing power and can provide a good feeling without foreign substances due to the small size of the decomposed particle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아 부착용 패치에서 약물층의 약물이 선택적으로 치아 표면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패치의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치아 부착용 패치의 지지층이 잇솔질과 같은 물리력으로 쉽게 분해되어 제거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오랜시간 연구한 결과, 치아 또는 치아 주변 조직과 접하는 약물층의 일면에 배치되는 지지층은 상기 지지층에 포함되는 고분자의 용해도 파라미터에 따라 지지층의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drug of the drug layer in the tooth patch to selectively move only to the tooth surface, and the support layer of the tooth patch patch that serves to maintain a constant shape of the patch, such as brush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by studying ways to be easily decomposed and removed by physical force.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researched for a long 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 support laye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drug layer in contact with the tooth or the surrounding tissue affects the properties of the support layer according to the solubility parameter of the polymer included in the support layer. .
구체적으로, 패치의 지지층이 칫솔질과 같은 외부 물리력에 의해 분해되기 위해서는 지지층에 포함되는 지지층 형성 고분자가 일정한 범위의 용해도 파라미터값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오랜기간 연구한 결과 확인하게 되었다.Specifically, in order to decompose the support layer of the patch by external physical force, such as brushing, it was confirmed that a long study that it is important that the support layer-forming polymer included in the support layer has a range of solubility parameter values.
상기 지지층은 용해도 파라미터(δ1) 가 5 내지 22(MPa)1/2인 고분자 및 용해도 파라미터(δ2) 가 23.5 내지 40(MPa)1/2인 고분자를 모두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layer may include both a polymer having a solubility parameter δ1 of 5 to 22 (MPa)1/2 and a polymer having a solubility parameter δ2 of 23.5 to 40 (MPa)1/2 .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지지층이 사용 시간 중에는 약물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타겟 부위에 약물의 적절한 공급이 가능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지지층이 타액과 접촉되는 부위가 타액을 흡수하여 칫솔질과 같은 물리적 제거 방법에 의해 쉽게 제거될 수도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지층에 형성된 고분자간 결합을 느슨하게 하여 상기 지지층의 분해되는 것으로 생각되나, 반드시 이러한 이론적 배경에 한정되어 해석되지는 않는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 the drug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during the use time, so that the drug can be properly supplied to the target site, and the area where the support layer comes into contact with saliva over time absorbs saliva, such as brushing.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may be easily removed by a physical removal method. It is believed that the support layer is decomposed by loosening the interpolymer bond formed in the support layer,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theoretical backgroun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해도 파라미터(Solubility Parameter, δ)"란, 용해성을 수치로 표현하는 용해성의 하나의 지표를 의미하며, 분자간 응집에너지(cohesive energy)를 그 분자체적으로 나눈 값의 제곱근이고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낸다. 단위는 (MPa)1/2 이다.As used herein, the term "Solubility Parameter (δ)" means one index of solubility expressing solubility numerically, and is the square root of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cohesive energy by the molecular sieve. It is represented by General formula (1). The unit is (MPa)1/2 .
[화학식 1][Formula 1]
δ = (E/V)1/2δ = (E / V)1/2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E는 분자간 응집 에너지이고, V는 분자체적이다.In Chemical Formula 1, E is an intermolecular aggregation energy, and V is a molecular volume.
본 명세서의 용해도 파라미터는 한센의 용해도 파라미터를 근거로 계산된 값을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참조: Handbook of Solubility Parameters and other cohesion parameters, A. Barton ed.,CRC Press,BocaRaton Florida, 1985].Solubility parameters herein can be expressed using values calculated based on the solubility parameters of Hansen.See Handbook of Solubility Parameters and other cohesion parameters, A. Barton ed.,CRCPress,BocaRatonFlorida, 1985] .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치아 부착용 패치의 지지층은 용해도 파라미터(δ1) 가 5 내지 22(MPa)1/2인 고분자 및 용해도 파라미터(δ2) 가 23.5 내지 40(MPa)1/2인 고분자를 모두 포함하여 형성될 때 칫솔질에 의한 분해력이 우수하고, 칫솔질 후 이물감이 적어 우수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사실을 오랜 기간 연구한 결과 확인하였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layer of the patch for tooth attachment comprises both a polymer having a solubility parameter (δ1) of 5 to 22 (MPa)1/2 and a polymer having a solubility parameter (δ2) of 23.5 to 40 (MPa)1/2 .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ult of a long time study that the excellent degradability by brushing when formed by, and can provide a good feeling because there is less foreign body after brushing.
상기 "분해"라 함은 하나의 큰 조각이 그보다 더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지거나 쪼개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분해된 조각은 일정한 크기를 가질 수도 있으나,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이나 압력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나뉠 수 있다. 여러 부분으로 쪼개진다는 의미를 가진 단어라면 본 발명의 분해와 동일성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By "disassembly" is meant that one large piece is divided or split into smaller pieces. The disassembled piec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ertain size, but may be divided into various sizes according to external force or pressure. Any word having a meaning of being split into several parts may be included in the scope of identity and de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분해된 패치의 지지층은 250g의 하중에서 분당 왕복 3분간 브러싱하고 증류수로 세척하면서 세척액을 모아 확인된, 체눈 크기가 1mm인 메쉬로 거른 후 잔여물을 건조하여 확인한 무게가 전체 무게 대비 5 중량% 미만에 불과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4 중량% 미만에 불과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upport layer of the substantially decomposed patch was collected by washing with distilled water for 3 minutes of reciprocating brushing per minute at 250g of load, collecting the washing liquid, filtering the mesh with a mesh size of 1 mm, and drying the residue to determine the total weight. It may be only less than 5% by weight, preferably less than 4.5% by weight, more preferably less than 4% by weigh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칫솔질"은 브러싱이라고도 하며, 치면에 남은 잔여물이나 치아 틈새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일반적인 과정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칫솔질 시 가해지는 압력은 150~500g 정도일 수 있다.As used herein, “brushing” is also referred to as brushing, and refers to the general process of removing residues or debris from tooth gaps. In general, the pressure applied when brushing may be about 150 ~ 500g.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치아 주변 조직 또는 치아 주변부"는 치아와 맞닿아 있는 잇몸 부분 및 치아와 다소 떨어져 있더라도 칫솔질을 하는 과정에서 칫솔과 접촉될 수 있는 구강 내 부분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As used herein, “a tooth surrounding tissue or tooth periphery” may include both a portion of the gum in contact with the tooth and an intraoral portion that may be in contact with the toothbrush in the course of brushing, even if somewhat away from the tooth.
대부분의 패치 제형의 약물 전달 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특히 치아 부착용 패치는 목적 부위에 특이적으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지지층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분이나 타액에 용해되지 않는 폴리머를 사용하여 치아에 부착하더라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치아에 부착 시에 약효 성분이 용출하여 치아에 전달될 때도 치아 방향으로만 용출이 가능하게 한다. 즉, 선택적으로 치아 방향으로 약물이 전달되고, 약물이 타액이나 물과 희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수분 불투과성 또는 수불용해성으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Drug delivery systems of most patch formulations, particularly patch for tooth attachment, have a support layer to enable specific drug delivery to the site of interest. The polymer is insoluble in water or saliva to maintain the shape even when attached to the tooth. In addition, when the drug is eluted when attached to the tooth is delivered to the tooth, it is possible to dissolve only in the tooth direction. That is, it was common for the drug to be selectively delivered in the tooth direction and to be water impermeable or water insoluble to prevent the drug from diluting with saliva or water.
이러한 수분 불투과성 또는 수불용해성 지지층은 패치를 사용한 후에 치아 표면에서 떼어내어 버려야했다.This water impermeable or water insoluble support layer had to be removed from the tooth surface after using the patch.
사용 후 지지층을 제거한 후에 치아 표면에 남아있는 잔여물을 제거하기 위해 양치질을 해야하는데,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지지층을 손으로 떼어내는 작업없이 양치만으로 치아 표면에 약물을 전달하고 완벽한 마무리를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After removing the support layer after use, it is necessary to brush teeth to remove residues on the surface of the tooth.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liver the drug to the tooth surface with a brush and complete the finish without removing the support layer by h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as a result of seeking a solution.
즉, 업계에서 그 동안 수불용성으로만 제작되고 사용하고 있던 약물 지지층을 떼어내지 않고, 칫솔질에 의해 분해될 수 있는 형태로 제작하기에 이른 것이다.In other words, the industry has come to produce a form that can be decomposed by brushing without removing the drug support layer that has been produced and used only in the water insoluble in the industry.
상기 약물층은 치아에 전달되는 약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물은 바람직하게 치아 표면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약물의 예로는, 치아 미백 성분, 시린이 예방 또는 개선용 성분, 치주염 예방 또는 개선용 성분, 치은염 예방 또는 개선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ug layer may comprise a drug delivered to the tooth. The drug may preferably be delivered to the tooth surface, and examples of the drug may include a tooth whitening component, a component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syring, a component for preventing or improving periodontitis, and a component for preventing or improving gingivitis.
상기 치아 미백 성분으로는 과산화물, 폴리 인산염, 효소, 염소계 표백물을 들 수 있다. 과산화물은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과산화요소(carbamide peroxide), 과산화칼슘(calcium peroxide), 과탄산나트륨(sodium percarbonate), 과붕산나트륨(sodium perborate), 과산화피로인산나트륨 (tetrasodiumpyrophosphate peroxida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인산염과 효소는 에나멜 부착층에 함유된 주요 stain 제거에 효과적이다. 폴리 인산염으로는, 예를 들어 피로인산나트륨(tetrasodium pyrophosphate, TSPP), 산성 피로인산나트륨(sodium acid pyrophosphate, SAPP), 메타인산나트륨(sodium hexametaphosphate, SHMP), 폴리인산나트륨(sodium tripolyphosphate, STP), 피로인산나트륨칼륨(sodium potassium tripolyphosphate, SKTP), 피로인산칼륨(tetrapotassium pyrophosphate, TKPP), 그리고 울트라 인산염인 울트라메타인산염(acidic sodium meta-polyphosphate) 및 산성 폴리인산염(acidic sodium polyphosphate)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 인산염은 치약에서 치석 제어(tartar control)제로 치석 생성 억제나 치석 제거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들은 금속의 좋은 킬레이팅제로 치아의 stain 중에서 음식물이나 작업 환경 속의 철, 칼슘, 마그네슘 등의 금속에 의해 생성된 치아 stain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서 미백 효과의 향상에 다소 기여할 수 있다고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제에서 이들 폴리 인산염을 사용할 경우, 심하지 않은 외인성 오염(light extrinsic stain) 제거에 의한 미백효과 향상뿐 아니라 치아와 축합 인산염의 접촉 시간을 연장해 주어 치석 형성 억제나 치석 제거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염소계 표백물로는 아염소산나트륨, 차아염소산나트륨 등이 있다. 이밖에 파파인, 비타민 E 및 중조 등도 미백제로 사용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tooth whitening component include peroxides, polyphosphates, enzymes, and chlorine bleaches. Peroxides include hydrogen peroxide, carbamide peroxide, calcium peroxide, sodium percarbonate, sodium perborate, tetrasodiumpyrophosphate peroxidate, and mixtures thereof. It can select from the group which consists of, and can use. Phosphates and enzymes are effective at removing major stains in the enamel adhesion layer. Examples of polyphosphates include sodium pyrophosphate (TSPP), sodium pyrophosphate (SAPP), sodium hexametaphosphate (SHMP), sodium tripolyphosphate (STP), One or two of sodium potassium tripolyphosphate (SKTP), potassium pyrophosphate (TKPP), and ultraphosphate acidic sodium meta-polyphosphate and acidic sodium polyphosphate More than one species can be used. In general, polyphosphate is known to be effective as a tartar control agent in toothpaste to inhibit tartar formation or to remove tartar. In addition, they are good chelating agents of metals, which can effectively remove tooth stains produced by metals such as iron, calcium, and magnesium in food or working environment among tooth stains, which ma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whitening effect. The use of these polyphosphates in the prepar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improves the whitening effect by removing light extrinsic stains, but also prolongs the contact time between teeth and condensed phosphates, which is effective in inhibiting tartar formation or removing tartar. It is expected to be. Chlorine-based bleaches include sodium chlorite and sodium hypochlorite. In addition, papain, vitamin E and sodium bicarbonate may also be used as a whitening agent.
또 다른 실시예에서 시린이 예방 또는 개선 또는 충치 예방 성분으로는 염화스트론튬, 탄산칼슘, 구연산 나트륨, 불화나트륨, 실리카, 수산화인회석, 질산칼륨, 인산칼륨 등이 사용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s a syrup preventing or improving or caries prevention component, strontium chloride, calcium carbonate, sodium citrate, sodium fluoride, silica, hydroxyapatite, potassium nitrate, potassium phosphate, or the like may be used.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효성분은 치주 질환 예방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치주 질환은 임상적으로 치주염, 치은염증과 출혈, 치주낭의 형성 및 치조골의 파괴 등으로 인하여 치아의 상실을 가져오는 것을 말한다. 치주 질환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상기 약효층은 죽염, 옥수수불검화 정량추출물, 폴리크레쥴렌, 테트라사이크린(Tetracycline), 클로로헥시딘 글루코네이트(Chlorhexidine gluconate), 세틸피리디움 클로라이드(Cetylpyridium chloride), 상귀나린(Sanguinarine) 및 트리크로산(Triclosan)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후박, 센텔라 아시아티카, 카모마일, 라타니아, 몰약, 상백피, 승마, 녹차, 감초, 황금, 포공영, 금은화 등과 같은 생약 추출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active ingredient may include a periodontal disease prevention component, and periodontal disease refers to a loss of teeth due to clinical periodontitis, gingivitis and bleeding, periodontal sac formation, and destruction of alveolar bone. In order to prevent the development of periodontal disease, the medicinal layer is bamboo salt, corn unchecked quantitative extract, polycrezulene, Tetracycline, Chlorhexidine gluconate, Cetylpyridium chloride ), Sanguinarine and Triclosan, etc. It may also include herbal extracts.
약물층은 건조 상태에서는 접착력이 없거나 강도가 약하다가 미백제가 작용하기 원하는 부위에서 적은 양의 물에 의해 수화되면서 접착력이 생기거나 수화되기 시작하면서 미백제의 방출이 시작되는 건식 타입(dry type)이나, 자체적인 점도에 의해서 치아에 부착 가능한 젤(gel) 상태로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약물층에 사용되는 고분자는 친수성 또는 적어도 부분적이라도 친수성을 나타내야 한다. 주로 사용되는 고분자로는 폴리알킬비닐에테르-말레인산 공중합체(PVM/MA copolymer; Gantrez AN 119, AN 139, S-97),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아크릴산, 폴록사머 407(Poloxamer 407; Pluronic, 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 oxide)-poly(ethylene oxide) triblock copolymer),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ox),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PVP/VA copolymer; Luviskol VA, Plasdone S PVP/VA), 폴리비닐피롤리돈(PVP; K-15~K-120), 폴리쿼터니움-11(polyquaternium-11, Gafquat 755N), 폴리쿼터니움-39(polyquaternium-39, Merquat plus 3330), 카르복시폴리메틸렌(Carbomer, Carbopol),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 젤라틴(gelatin), 알긴산 (sodium alginate)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고분자의 용매로는 주로 물, 에탄올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 그리고 다른 유기용매들, 예를 들어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 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 알콜, 아세토니트릴 단독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비율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The drug layer is a dry type that has no adhesive strength or weak strength in a dry state but is released or begins to be hydrated when the whitening agent is hydrated by a small amount of water at the site where the whitening agent is desired to act. It can also be used as a gel that can be attached to teeth by its own viscosity. The polymer used in the drug layer should be hydrophilic or at least partially hydrophilic. Mainly used polymers include polyalkyl vinyl ether-maleic acid copolymers (PVM / MA copolymer; Gantrez AN 119, AN 139, S-97), polyvinyl alcohol, polyacrylic acid, poloxamer 407 (Poloxamer 407; Pluronic, poly ( ethylene oxide) -poly (propylene oxide) -poly (ethylene oxide) triblock copolymer), polyethylene oxide (Polyox), polyvinylpyrrolidone-vinylacetate copolymer (PVP / VA copolymer; Luviskol VA, Plasdone S PVP / VA) , Polyvinylpyrrolidone (PVP; K-15 ~ K-120), polyquaternium-11 (polyquaternium-11, Gafquat 755N), polyquaternium-39 (polyquaternium-39, Merquat plus 3330), carboxypolymethylene (Carbomer, Carbopol),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hydroxyethyl cellulose, hydroxypropyl cellulose, gelatin, sodium alginate alone or mixtures thereof can be used. As the solvent of these polymers, water, ethanol alone or a mixture thereof, and other organic solvents such as ethyl acetate, methylene chloride, isopropyl alcohol, acetonitrile alone, or a mixture thereof may be used in proportion. .
치아 부착물은 치아에 직접 부착하여 치아의 굴곡에 따라 쉽게 모양이 만들어져야 하기 때문에 충분히 유연해야 한다. 폴리머에 따라서는 이러한 유연성이 떨어지는 것도 있기 때문에 적당한 가소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적당한 가소제는 폴리머의 종류와 그 처방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이며, 이들 모두 사용 가능하다.The tooth attachment must be flexible enough because it attaches directly to the tooth and must be easily shaped as the tooth flexes. Since some of these polymers are inferior in flexibility, a suitable plasticizer may be added. Suitable plasticizers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polymer and its formulation, but are generally used polypropylene glycol, glycerin or polyethylene glycol, all of which may be used.
또한, 약물층에는 과산화물의 경시안정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킬레이팅제, 예를 들어 EDTA나 구연산나트륨 등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add a chelating agent, for example, EDTA, sodium citrate or the like, to the drug layer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time stability of the peroxid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약물층"이라는 용어는 치아 부착용 패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약효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층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치아 미백용 패치는 치아 미백성분(바람직하게 과산화수소, 과산화나트륨 등)을 포함하는 층을 의미하며, 시린이 방지 패치는 시린이 방지 성분인 질산칼륨, 염화칼륨 등을 포함하는 층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drug layer" refers to a layer containing an active ingredient that can achieve the purpose of a patch for tooth attachment. For example, a patch for tooth whitening means a layer containing a tooth whitening component (preferably hydrogen peroxide, sodium peroxide, etc.), and an anti-infection patch means a layer containing potassium nitrate, potassium chloride, and the like, which are anti-inhibitory components. do.
상기 약물층을 타액, 구강 내 접촉 등 물리적, 화학적인 접촉으로부터 보호해주거나, 제품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지지층은 지지층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수불용성 고분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지지층을 사용 후 떼어내는 것이라고 업계에서는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러한 업계의 일반적인 상식과 달리, 상기 지지층에 수불용성 고분자와 수용성 고분자를 모두 포함하여 떼어내지 않고, 간단히 칫솔질만으로 쉽게 제거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고안하게 되었다.In order to protect the drug layer from physical and chemical contact such as saliva, oral contact, or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product, it is generally preferred to use a water-insoluble polymer in order to serve as a support layer. It has been recognized in the industry to remove after use. However,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devised a method of removing and removing both the water-insoluble polymer and the water-soluble polymer in the support layer, and easily removing the water by simply brushing, unlike the common sense in the industry.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지지층"은 상기 약물층이 치아 이외의 구강 내 다른 피부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층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support layer" means a layer that serves to prevent the drug layer from contacting other skin in the oral cavity other than the teet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층은 용해도 파라미터(δ1) 가 5 이상 22 미만(MPa)1/2인 고분자는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셀락(Shellac), 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에틸 셀룰로오스, 폴리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로일 에틸 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Yukaformer: 제조 회사Mitsubishi, methacryloylethyl betain/ methacrylate copolymer), 메타크릴산 공중합체(methacrylic acid copolymer; Eudragit L 100, Eudragit L 12,5, Eudragit L 100-55, Eudragit L 30D-55), 아미노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aminoalkyl methacrylate copolymer; Eudragit E 100, Eudragit E 12,5, Eudragit RL 100, Eudragit RL 30D) 등이 사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layer is a polymer having a solubility parameter (δ1) of 5 or more and less than 22 (MPa)1/2 , cellulose acetate phthalate, shellac, polyvinyl acetate, ethyl cellulose, poly methylmethacrylate. , Methacryloyl ethyl betaine / methacrylate copolymer (Yukaformer: manufacturer Mitsubishi, methacryloylethyl betain / methacrylate copolymer), methacrylic acid copolymer (methacrylic acid copolymer; Eudragit L 100, Eudragit L 12,5, Eudragit L 100-55, Eudragit L 30D-55), an aminoalkyl methacrylate copolymer (Eudragit E 100, Eudragit E 12,5, Eudragit RL 100, Eudragit RL 30D) and the like can be used.
바람직하게 상기 용해도 파라미터(δ1) 가 5 내지 22(MPa)1/2인 고분자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에틸 셀룰로오스가 이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polymer having a solubility parameter (δ1) of 5 to 22 (MPa)1/2 may be ethyl cellulose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칫솔질로 분해될 수 있는 치아 부착용 패치의 지지층은 용해도 파라미터(δ1) 가 5 내지 22(MPa)1/2인 고분자와 상기 용해도 파라미터(δ2) 가 23.5 내지 40(MPa)1/2인 고분자를 함께 사용한다. 상기 용해도 파라미터(δ2) 가 23.5 내지 40(MPa)1/2인 고분자는 폴리알킬비닐에테르-말레인산 공중합체(PVM/MA copolymer; Gantrez AN 119, AN 139, S-97),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아크릴산, 폴록사머 407(Poloxamer 407; Pluronic, 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 oxide)-poly(ethylene oxide) triblock copolymer),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ox),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PVP/VA copolymer; Luviskol VA, Plasdone S PVP/VA), 폴리비닐피롤리돈(PVP; K-15~K-120), 폴리쿼터니움-11(polyquaternium-11, Gafquat 755N), 폴리쿼터니움-39(polyquaternium-39, Merquat plus 3330), 카르복시폴리메틸렌(Carbomer, Carbopol),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 젤라틴(gelatin), 알긴산 (sodium alginate)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The support layer of the patch for tooth attachment that can be decomposed by brush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ymer having a solubility parameter (δ1) of 5 to 22 (MPa)1/2 and the solubility parameter (δ2) of 23.5 to 40 (MPa)1/2 Use a polymer together. The polymer having a solubility parameter (δ2) of 23.5 to 40 (MPa)1/2 may be a polyalkyl vinyl ether-maleic acid copolymer (PVM / MA copolymer; Gantrez AN 119, AN 139, S-97), polyvinyl alcohol, poly Acrylic acid, poloxamer 407 (Pluronic, poly (ethylene oxide) -poly (propylene oxide) -poly (ethylene oxide) triblock copolymer), polyethylene oxide (Polyox), polyvinylpyrrolidone-vinylacetate copolymer (PVP / VA copolymer; Luviskol VA, Plasdone S PVP / VA), polyvinylpyrrolidone (PVP; K-15 ~ K-120), polyquaternium-11 (polyquaternium-11, Gafquat 755N), polyquaternium-39 (polyquaternium-39, Merquat plus 3330), carboxypolymethylene (Carbomer, Carbopol),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hydroxyethyl cellulose, hydroxypropyl cellulose, gelatin, sodium alginate, and the like. Preferably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polyvinyl Raleigh money may be used, or a mixture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패치의 지지층에 포함되는 용해도 파라미터(δ1) 가 5 내지 22(MPa)1/2인 고분자와 용해도 파라미터(δ2) 가 23.5 내지 40(MPa)1/2인 고분자의 혼합비율은 상기 지지층에 포함된 용해도 파라미터(δ1) 가 5 내지 22 (MPa)1/2인 고분자: 용해도 파라미터(δ2)가 23.5 내지 40(MPa)1/2인 고분자의 중량비가 1:0.2 내지 4.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 0.5 내지 2.0일 수 있다. 상기 용해도 파라미터(δ2)가 23.5 내지 40(MPa)1/2인 고분자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용해도 파라미터(δ1) 가 5 내지 22 (MPa)1/2인 고분자가 칫솔질에 의해 분해되는데 과도한 압력 또는 힘을 주어야 하며, 분해되더라도 입자도 크기가 커서 이물감이 상대적으로 크게 느껴질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약물층 내에 포함된 약물이 지지층으로 이전되어 흡수될 수 있어 지지층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패치의 사용 중에도 타액을 과하게 흡수하여 구조가 붕괴되어 지지층으로서의 역할을 적절히 하지 못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lymer having a solubility parameter (δ1) of 5 to 22 (MPa)1/2 and a polymer having a solubility parameter (δ2) of 23.5 to 40 (MPa)1/2 included in the support layer of the patch. The mixing ratio of the polymer having a solubility parameter (δ1) of 5 to 22 (MPa)1/2 contained in the support layer is 1: 0.2 by weight ratio of the polymer having a solubility parameter (δ2) of 23.5 to 40 (MPa)1/2 . To 4.0, preferably 1: 0.5 to 2.0. When the weight ratio of the polymer having the solubility parameter (δ2) of 23.5 to 40 (MPa)1/2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polymer having the solubility parameter (δ1) of 5 to 22 (MPa)1/2 is excessively decomposed by brushing. When decomposed, pressure or force should be applied, and even if it is decomposed, the particles may be so large that foreign matters may be felt relatively large.If the particle size exceeds the above range, the drug contained in the drug layer may be transferred to and absorbed by the support layer, thereby properly serving as a support layer. This can lead to problems that can't be solved and can cause excessive absorption of saliva during use of the patch, causing the structure to collapse and failing to properly serve as a support layer.
상기 지지층은 약물층과 같은 이유로 여러 가소제를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서 언급된 가소제(plasticizer)인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폴리에틸렌 글리콜 외에도 사용한 용매에 따라 더 많은 종류의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피마자유(castor oil), 경화 피마자유(hydrogenated castor oil)도 사용할 수 있다.The support layer can be used by adding various plasticizers for the same reason as the drug layer.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plasticizers propylene glycol, glycerin and polyethylene glycol, more kinds of plasticizers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solvent used, and castor oil and hydrogenated castor oil may also be used.
용매로는 주로 물, 에탄올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 그리고 다른 유기용매들, 예를 들어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 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 알콜, 아세토니트릴 단독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비율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As the solvent, water, ethanol alone or a mixture thereof and other organic solvents such as ethyl acetate, methylene chloride, isopropyl alcohol, acetonitrile alone or a mixture thereof may be used in proportion.
본 발명의 치아 부착용 패치는 약물층 및 지지층 이외에도,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약물층과 지지층 사이 또는 각각의 외곽에 추가로 층(layer)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drug layer and the support layer, the patch for tooth attach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ptionally include a layer between the drug layer and the support layer or at the outer edge thereof, depending on the purpo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치아 부착용 패치는 사용 후 별도로 지지층을 떼어내지 않아도, 칫솔질만으로도 쉽게 치아에서 탈락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ch for tooth attach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tooth simply by brushing, without removing the support layer after u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부착용 패치의 지지층이 일정한 범위의 용해도 파라미터값을 가지는 고분자들간의 혼합이 이루어질 때, 브러싱으로 분해가 수월할 수 있다.When the support layer of the patch for tooth attach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ixed between polymers having a range of solubility parameter values, decomposition may be facilitated by brushing.
본 발명의 치아 부착용 패치는 사용 후 브러싱만으로 쉽게 제거할 수 있다.The patch for tooth attach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removed by brushing after us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패치"라는 용어는 특정 성분을 담은 부착형 제형을 의미하며, 패치의 형태 또는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As used herein, the term "patch" refers to an adhesive formulation containing a particular component, and the form or structure of the patch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부착용 패치는 미국등록특허 제6,689,344호, 제6,682,721호, 제6,780,401호 등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tch for tooth attach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in US Patent No. 6,689,344, 6,682,721, 6,780,401 and the like.
본 발명의 치아 부착용 패치는 치아 표면으로 약물을 선택적으로 방출하면서도 지지층을 떼어낼 필요가 없는, 편리한 사용 형태의 치아 부착용 패치이다.The tooth p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oth patch for convenient use that does not require the release of the support layer while selectively releasing the drug onto the tooth surface.
본 발명의 패치는 가벼운 잇솔질만으로도 분해되어 제거될 수 있다.The p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composed and removed only by light brushing.
본 발명의 패치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약물을 포함할 수 있다.The p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various drugs depending on the purpose.
본 발명의 패치는 칫솔질 후 입안에 남는 패치의 입자도가 작아 이물감이 적고, 우수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The p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 in particle size of the patch remaining in the mouth after brushing, less foreign matter, can provide an excellent feeling of use.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교예 및 실시예 1-4의 제거력을 평가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치아 부착용 패치(1)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에서 예시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약물층(10)과 지지층(20)을 포함하는 패치일 수 있고, 도 2(b)와 같이, 약물층(10)과 지지층(20) 사이에 목적에 따라 또 다른 층을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1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removal force of Comparative Examples and Examples 1-4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하기 실시예 등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체적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the following examples and the like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Howev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in order to facilitate a specific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치아 미백용 패치 제조><Manufacture of patches for teeth whitening>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비교예 1-2의 치아 미백용 패치 및 하기 표 2의 조성을 갖는 실시예 1-4의 치아 미백용 패치를 제조하였다.Tooth whitening patch of Comparative Example 1-2 having the composition of Table 1 and the tooth whitening patch of Example 1-4 having the composition of Table 2 were prepared.
포비돈             19.0%
글리세린            3.0%
풀루란              1.0%
SPAN80             5.0%
물 등            to 100%Hydrogen peroxide 2.9%
 Povidone 19.0%
 Glycerin 3.0%
 Pullulan 1.0%
 SPAN80 5.0%
 Water etc to 100%
포비돈             19.0%
글리세린            3.0%
풀루란              1.0%
SPAN80             5.0%
물 등            to 100%Hydrogen peroxide 2.9%
 Povidone 19.0%
 Glycerin 3.0%
 Pullulan 1.0%
 SPAN80 5.0%
 Water etc to 100%
Castor oil          10.0%
에탄올 등        to 100%Ethyl Cellulose 15.0%
 Castor oil 10.0%
 Ethanol light to 100%
글리세린            3.0%
풀루란              1.0%
물 등            to 100%Povidone 15.0%
 Glycerin 3.0%
 Pullulan 1.0%
 Water etc to 100%
포비돈        19.0%
글리세린       3.0%
풀루란         1.0%
SPAN80        5.0%
물 등       to 100%Hydrogen peroxide 2.9%
 Povidone 19.0%
 Glycerin 3.0%
 Pullulan 1.0%
 SPAN80 5.0%
 Water etc to 100%
포비돈        19.0%
글리세린       3.0%
풀루란         1.0%
SPAN80        5.0%
물 등       to 100%Hydrogen peroxide 2.9%
 Povidone 19.0%
 Glycerin 3.0%
 Pullulan 1.0%
 SPAN80 5.0%
 Water etc to 100%
포비돈       19.0%
글리세린      3.0%
풀루란        1.0%
SPAN80       5.0%
물 등      to 100%Hydrogen peroxide 2.9%
 Povidone 19.0%
 Glycerin 3.0%
 Pullulan 1.0%
 SPAN80 5.0%
 Water etc to 100%
포비돈       19.0%
글리세린      3.0%
풀루란        1.0%
SPAN80       5.0%
물 등      to 100%Hydrogen peroxide 2.9%
 Povidone 19.0%
 Glycerin 3.0%
 Pullulan 1.0%
 SPAN80 5.0%
 Water etc to 100%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2910 3.0%
Castor oil    15.0%
SPAN80         5.0%
에탄올 등   to 100%Ethyl Cellulose 12.0%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2910 3.0%
 Castor oil 15.0%
 SPAN80 5.0%
 Ethanol light to 100%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2910 12.0%
Castor oil      5.0%
SPAN80         15.0%
에탄올 등    to 100%Ethyl Cellulose 3.0%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2910 12.0%
 Castor oil 5.0%
 SPAN80 15.0%
 Ethanol light to 100%
포비돈         3.0%
Castor oil    15.0%
SPAN80         5.0%
에탄올 등   to 100%Ethyl Cellulose 12.0%
 Povidone 3.0%
 Castor oil 15.0%
 SPAN80 5.0%
 Ethanol light to 100%
포비돈       12.0%
Castor oil    5.0%
SPAN80       15.0%
에탄올 등 to  100%Ethyl Cellulose 3.0%
 Povidone 12.0%
 Castor oil 5.0%
 SPAN80 15.0%
 Ethanol light to 100%
상기 표 1 및 2의 함량을 갖는 치아 미백용 패치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패치는 상기 조성으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16250호의 제조예 1의 backing 층 및 drug reservoir층을 제조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Tooth whitening patches having the contents of Tables 1 and 2 were prepared. The p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a method for producing a backing layer and drug reservoir layer of Preparation Example 1 of Korean Patent No. 10-0816250.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지지층에 포함된 지지층 형성 고분자의 각각의 Solubility parameter는 다음과 같다.Solubility parameters of each of the support layer forming polymers included in the support layers of Examples 1 to 4 are as follows.
- Ethylcellulose : 20.6Ethylcellulose: 20.6
- HPMC(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2910 : 30HPMC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2910: 30
- PVP(Polyvinylpyrrolidone) : 24.9PVP (Polyvinylpyrrolidone): 24.9
<방출 시험><Release test>
가) 조작A) operation
시험관에 염화나트륨 0.9% 용액 500mL를 붓고 약물 방출 시험동안 시험액의 온도를 32±0.5℃를 유지하게 한다. 흡수, 방해, 반응하지 않으면서 싱커(sinker)로 사용이 가능한 디스크의 위쪽면에 치아 미백 부착제를 치아 부착면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양면 테이프로 고정시킨 후 검체가 부착된 면이 위쪽을 향하도록 시험관에 넣고서 이 순간부터 약물 방출시간을 계산한다. 검체를 부착시킨 디스크는 시험관의 바닥과 패들의 날(blade)에 평행하게 맞춘다. 패들의 날은 검체의 면과 25±2mm가 되도록 거리를 맞추고 분당 회전수(rpm)는 25로 맞춘다. 검액 채취 시에는 일정위치(패들의 날 위쪽과 시험 액면의 중간 위치로 시험관 벽면과 1cm 떨어진 위치)에서 시험 시작 후 30분에 검액을 100mL을 채취한다.Pour 500 mL of 0.9% sodium chloride solution into the test tube and keep the test solution at 32 ± 0.5 ° C during the drug release test. The tooth whitening adhesive is fix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k that can be used as a sinker without absorbing, obstructing or reacting with double-sided tape so that the tooth attaching surface is facing outward, and then the sample attaching face is facing upward. Insert the test tube into the test tube and calculate the drug release time from this moment. The sample-attached disc is aligned parallel to the bottom of the test tube and the blade of the paddle. Adjust the paddle blade to 25 ± 2mm from the sample surface and set the rpm per minute to 25 rpm. When collecting the sample, take 100 mL of the sample solution at 30 minutes after the start of the test at a certain location (1 cm away from the wall of the test tube, above the paddle blade and halfway between the test surface).
나) 함량 측정B) content measurement
a. 시약a. reagent
-. 몰리브덴산암모늄용액-. Ammonium Molybdate Solution
몰리브덴산암모늄(Ammonium Molybdate) 5.3g을 물에 넣어 50mL로 한다.Add 5.3 g of Ammonium Molybdate to water to make 50 mL.
-. 치오황산나트륨액-. Sodium thiosulfate
치오황산나트륨(5수화물) 12.41g을 정확히 측정 후 물에 녹여서 1L로 만들어 0.005N 치오황산나트륨액으로 제조한다.Accurately measure 12.41 g of sodium thiosulfate (pentahydrate), dissolve in water, and make 1 L of 0.005 N sodium thiosulfate solution.
b. 농도 측정 방법b. How to measure concentration
-. 방출시험에서 채취한 샘플 100mL에 6N-HCl 5mL, 약 2g의 요오드화칼륨, 1방울의 몰리브덴산암모늄용액을 넣고 어두운 곳에서 약 10분간 방치한다. 여기에 전분지시약 3mL을 넣고 유리된 요오드를 0.005N 치오황산나트륨액으로 적정한다.-. 5 mL of 6N-HCl, about 2 g of potassium iodide, and 1 drop of ammonium molybdate solution are added to 100 mL of the sample collected in the release test, and left for about 10 minutes in a dark place. Add 3 mL of starch reagent and titrate the free iodine with 0.005N sodium thiosulfate solution.
0.005N 치오황산나트륨액 1mL = 0.8505mg H2O20.005N sodium thiosulfate solution 1mL = 0.8505mg H2 O2
다) 결과C) results
제품 전체에 있는 과산화수소의 양과 방출시험을 통해 계산된 과산화수소의 양을 비교하여 방출률을 계산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냈다.The emission rate wa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amount of hydrogen peroxide in the entire product with the amount of hydrogen peroxide calculated through the release test and is shown in Table 3 below.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와 실시예의 치아 부착용 패치는 모두 과산화수소 방출률이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패치의 치아 미백 성분의 방출 효율은 수불용성 지지층을 갖는 패치, 용해성 지지층을 갖는 패치와 유사하게 우수한 방출률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As can be seen in Table 3, it can be seen that the patch for the tooth attachment of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example are all similarly released hydrogen peroxide.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release efficiency of the tooth whitening component of the p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release rate similar to that of the patch having the water insoluble support layer and the patch having the soluble support layer.
<역방출시험>Reverse Release Test
가) 조작A) operation
시험관에 염화나트륨 0.9% 용액 500mL를 붓고 약물 방출 시험동안 시험액의 온도를 32±0.5℃를 유지하게 한다. 흡수, 방해, 반응하지 않으면서 싱커(sinker)로 사용이 가능한 디스크의 위쪽면에 치아 미백 부착제를 치아 부착면이 디스크를 향하도록 양면 테이프로 고정시킨 후 검체가 부착된 면이 위쪽을 향하도록 시험관에 넣고서 이 순간부터 약물 방출시간을 계산한다. 검체를 부착시킨 디스크는 시험관의 바닥과 패들의 날(blade)에 평행하게 맞춘다. 패들의 날은 검체의 면과 25±2mm가 되도록 거리를 맞추고 분당 회전수(rpm)는 25로 맞춘다. 검액 채취 시에는 일정위치(패들의 날 위쪽과 시험 액면의 중간 위치로 시험관 벽면과 1cm 떨어진 위치)에서 시험 시작 후 30분에 검액을 100mL을 채취한다.Pour 500 mL of 0.9% sodium chloride solution into the test tube and keep the test solution at 32 ± 0.5 ° C during the drug release test. The tooth whitening adhesive is fix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k that can be used as a sinker without absorbing, obstructing or reacting with double-sided tape so that the tooth attaching surface faces the disk, and then the sample attaching face faces upward. Calculate the drug release time from this point in the test tube. The sample-attached disc is aligned parallel to the bottom of the test tube and the blade of the paddle. Adjust the paddle blade to 25 ± 2mm from the sample surface and set the rpm per minute to 25 rpm. When collecting the sample, take 100 mL of the sample solution at 30 minutes after the start of the test at a certain location (1 cm away from the wall of the test tube, above the paddle blade and halfway between the test surface).
나) 함량 측정B) content measurement
a. 시약a. reagent
-. 몰리브덴산암모늄용액-. Ammonium Molybdate Solution
몰리브덴산암모늄(Ammonium Molybdate) 5.3g을 물에 넣어 50mL로 한다.Add 5.3 g of Ammonium Molybdate to water to make 50 mL.
-. 치오황산나트륨액-. Sodium thiosulfate
치오황산나트륨(5수화물) 12.41g을 정확히 측정 후 물에 녹여서 1L로 만들어 0.005N 치오황산나트륨액으로 제조한다.Accurately measure 12.41 g of sodium thiosulfate (pentahydrate), dissolve in water, and make 1 L of 0.005 N sodium thiosulfate solution.
b. 농도 측정 방법b. How to measure concentration
-. 방출시험에서 채취한 샘플 100mL에 6N-HCl 5mL, 약 2g의 요오드화칼륨, 1방울의 몰리브덴산암모늄용액을 넣고 어두운 곳에서 약 10분간 방치한다. 여기에 전분지시약 3mL을 넣고 유리된 요오드를 0.005N 치오황산나트륨액으로 적정한다.-. 5 mL of 6N-HCl, about 2 g of potassium iodide, and 1 drop of ammonium molybdate solution are added to 100 mL of the sample collected in the release test, and left for about 10 minutes in a dark place. Add 3 mL of starch reagent and titrate the free iodine with 0.005N sodium thiosulfate solution.
0.005N 치오황산나트륨액 1mL = 0.8505mg H2O20.005N sodium thiosulfate solution 1mL = 0.8505mg H2 O2
다) 결과C) results
제품 전체에 있는 과산화수소의 양과 방출시험을 통해 계산된 과산화수소의 양을 비교하여 방출률을 계산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냈다.The emission rate wa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amount of hydrogen peroxide in the entire product with the amount of hydrogen peroxide calculated through the release test and is shown in Table 4 below.
상기 표 4의 비교예 2는 지지층에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패치이다. 상기 비교예 2의 패치는 약물층에 함유된 과산화수소가 타겟 부위로만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지지층을 투과하여 역으로 방출되어 치아 반대 방향으로도 약물이 방출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비교예 1과 실시예 1 내지 4는 역방출률이 현저히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지지층에 사용된 수불용성 고분자에 의해 과산화수소가 지지층을 투과하여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Comparative Example 2 of Table 4 is a patch containing a water-soluble polymer in the support layer. The patch of Comparative Example 2 shows that the hydrogen peroxide contained in the drug layer is not only delivered to the target site, but also penetrated through the support layer and released in reverse, thereby releasing the drug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tooth. It can be seen that Comparative Example 1 and Examples 1 to 4 have a significantly low reverse emission rate. This shows that the water-insoluble polymer used in the support layer can prevent hydrogen peroxide from being released through the support layer.
<제거력 설문><Removability Survey>
사용 중 녹아 없어지는 비교예 2를 제외하고 사용 후 제거 과정이 필요한 비교예 1과 실시예 1 내지 4를 대상으로 제거 편의성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였다. 30명의 응답자는 비교예 1과 실시예 1 내지 4의 각 패치를 그룹에 따라 15분씩 부착한 후 비교예 1 또는 실시예 1 내지 4를 칫솔질을 통해 제거하였다. 그 다음 각 그룹은 제품을 바꿔 사용한 후 제거 용이성에 대한 설문에 응답하였다.Except for Comparative Example 2 that melts during use, a questionnaire about the ease of removal was conducted for Comparative Example 1 and Examples 1 to 4, which require a post-use removal process. Thirty respondents applied each patch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Examples 1 to 4 for 15 minutes in groups and then removed Comparative Example 1 or Examples 1 to 4 by brushing. Each group then responded to the question of ease of removal after changing the product.
-설문 응답 기준 --Survey response criteria-
5 : 제거가 매우 편리하고 치아 잔여물이 없다5: very easy to remove and there is no tooth residue
4 : 제거가 편리하지만 잔여물이 조금 남는다.4: It is easy to remove, but there is little residue left.
3 : 제거가 편리하지 않고 잔여물이 남아 불편하다.3: It is not convenient to remove and residue remains uncomfortable.
2 : 제거가 불편하고 잔여물이 많이 남는다.2: It is inconvenient to remove, leaving a lot of residue.
1 : 제거가 매우 불편하고 잔여물이 매우 많이 남는다.1: The removal is very inconvenient and very much residue is left.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1을 치아에 부착 후 15분이 경과한 시점에 사용자가 칫솔질을 하는 경우, 대체적으로 제거가 불편하다는 평이 많았으며, 잔여물이 남아 있다는 평이 많았다.As can be seen in Figure 1, when the user brushed 15 minutes after the attachment of Comparative Example 1 to the teeth, there was a lot of criticism that the removal is generally inconvenient, there were many reviews that the residue remains.
그러나,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는, 대체로 4점 이상을 받았으며, 제거가 편리하다는 평이 대부분이었다.However, in the case of Examples 1-4, 4 points or more were generally received and it was mostly the evaluation that removal was convenient.
비교예 1과 실시예 1 내지 4는 모두 약물층에 포함된 과산화수송의 역방출을 제어하는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비교예 1은 실시예 1 내지 4와 달리 치아 부착 후 칫솔질만으로는 제거가 용이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It was confirmed that both Comparative Example 1 and Examples 1 to 4 exhibited an excellent effect in controlling the reverse release of the peroxide transport contained in the drug layer. However, Comparative Example 1, unlike Examples 1 to 4 it was confirmed that the brushing is not easy to remove after attachment.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50249AKR102024539B1 (en) | 2015-10-28 | 2015-10-28 | Removable tooth-attached patch by brushing | 
| JP2018517622AJP7039461B2 (en) | 2015-10-06 | 2016-08-30 | Toothpaste patch that can be removed by brushing | 
| US15/766,182US11229582B2 (en) | 2015-10-06 | 2016-08-30 | Patch for tooth attachment able to be removed by tooth brushing | 
| PCT/KR2016/009666WO2017061699A1 (en) | 2015-10-06 | 2016-08-30 | Patch for tooth attachment able to be removed by tooth brushing | 
| EP16853815.5AEP3360533B1 (en) | 2015-10-06 | 2016-08-30 | Patch for tooth attachment able to be removed by tooth brushing | 
| HK18114831.4AHK1255684B (en) | 2015-10-06 | 2016-08-30 | Patch for tooth attachment able to be removed by tooth brushing | 
| AU2016335397AAU2016335397B2 (en) | 2015-10-06 | 2016-08-30 | Tooth-attachable patch capable of being removed by tooth brushing | 
| CN201680058630.1ACN108135784B (en) | 2015-10-06 | 2016-08-30 | Removable dental patch by brushing | 
| NZ742148ANZ742148B2 (en) | 2016-08-30 | Tooth-attachable patch capable of being removed by tooth brushing | |
| TW105128830ATWI765863B (en) | 2015-10-06 | 2016-09-06 | Removable tooth-attached patch by brushing | 
| KR1020190114030AKR102315452B1 (en) | 2015-10-28 | 2019-09-17 | Removable tooth-attached patch by brushing | 
| US16/902,892US11026868B2 (en) | 2015-10-06 | 2020-06-16 | Patch for tooth attachment able to be removed by tooth brushing | 
| US17/306,071US11654090B2 (en) | 2015-10-06 | 2021-05-03 | Tooth-attachable patch capable of being removed by tooth brushing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50249AKR102024539B1 (en) | 2015-10-28 | 2015-10-28 | Removable tooth-attached patch by brushing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114030ADivisionKR102315452B1 (en) | 2015-10-28 | 2019-09-17 | Removable tooth-attached patch by brushing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49186A KR20170049186A (en) | 2017-05-10 | 
| KR102024539B1true KR102024539B1 (en) | 2019-09-24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50249AActiveKR102024539B1 (en) | 2015-10-06 | 2015-10-28 | Removable tooth-attached patch by brushing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24539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148470B1 (en) | 2003-06-10 | 2012-05-21 | 데이고꾸세이약꾸가부시끼가이샤 | Patch containing fentanyl for mucous membrane of oral cavity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137724B1 (en)* | 2004-02-18 | 2012-04-24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Dry type patches convenient for use | 
| KR20050119914A (en)* | 2004-06-17 | 2005-12-22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High and multi functional oral care patch type composition | 
| KR102131272B1 (en)* | 2014-03-26 | 2020-07-07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Gel composition having improved adhesive property for tooth patch | 
| KR101610732B1 (en)* | 2014-04-15 | 2016-04-08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Composite drug delivery vehicl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carrier for treating xerostomia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148470B1 (en) | 2003-06-10 | 2012-05-21 | 데이고꾸세이약꾸가부시끼가이샤 | Patch containing fentanyl for mucous membrane of oral cavity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49186A (en) | 2017-05-10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7292034B2 (en) | Tooth adhesive patch that can be removed by tooth brushing | |
| US11654090B2 (en) | Tooth-attachable patch capable of being removed by tooth brushing | |
| KR102025751B1 (en) | Tooth-attached patch | |
| KR102309837B1 (en) | Removable tooth-attached patch by brushing | |
| KR102315452B1 (en) | Removable tooth-attached patch by brushing | |
| KR102034156B1 (en) | Removable tooth-attached patch by brushing | |
| KR102024539B1 (en) | Removable tooth-attached patch by brushing | |
| KR102114128B1 (en) | Removable tooth-attached patch by brushing | |
| KR102311086B1 (en) | Tooth-attached patch | |
| KR102076097B1 (en) | Removable tooth-attached patch by brushing | |
| KR102275877B1 (en) | Removable tooth-attached patch by brushing | |
| KR101999666B1 (en) | Removable tooth-attached patch by brushing | |
| HK1255684B (en) | Patch for tooth attachment able to be removed by tooth brushing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51028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PA02012R01D Patent event date:20171201 Comment text: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151028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81218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190828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20190917 Patent event code:PA01071R01D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190918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190918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20622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30627 Start annual number:5 End annual number: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40624 Start annual number:6 End annual number: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