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Disclsoure)은, 눈물점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환자별로 다른 눈물점 위치에 상관없이 삽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눈물점 마개에 관한 것이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ar-off stopp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ar-off stopper which can be inserted into a tear-stopper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another tear-point.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Herein, the background art relat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nd they are not necessarily referred to as known arts.
일반적으로 눈물은 눈물샘으로부터 안구 표면으로 공급되어 안구를 촉촉하게 적셔주게 되고 눈꺼풀의 깜박거리는 작용에 의해 눈물은 윤활작용을 하게 되며 동시에 안구 표면의 이물질들을 제거해 주는 역할도 하게 된다.In general, tears are supplied from the lacrimal gland to the eyeball surface to moisturize the eyeballs. The blinking action of the eyelids causes the tears to lubricate and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eyeballs.
인간의 눈물은 누선에 의해 분비되며, 눈의 표면을 가로질러서, 눈꺼풀들이 그들의 안쪽 단부에서 합쳐지는 곳에 위치하는, 누호(lacrimal lake)로 알려진, 얕은 웅덩이로 흐른다.Human tears flow into the shallow pool, known as the lacrimal lake, which is secreted by the lacrimal gland, across the surface of the eye, where the eyelids are located at their inner ends.
그곳으로부터, 각각 상누점(superior lacrimal punctum) 및 하누점(inferior lacrimal punctum)이라고 불리는, 각각의 윗눈꺼풀 및 아랫눈꺼풀의 작은 개구를 통해 눈물이 배출된다.From there, tears are drained through small openings in the respective upper eyelids and lower eyelids, called superior lacrimal punctum and inferior lacrimal punctum, respectively.
상누점 및 하누점으로부터, 눈물은 누낭(lacrimal sac)으로 이르는 덕트형 통로인, 각각의 상누소관 및 하누소관으로 각각 들어간다.From the upper and lower points, the tears enter the upper and lower canal tubes, respectively, which are duct-type passages leading to lacrimal sac.
한편, 안구 건조증이 있는 환자는, 눈물이 안구로 과소(過小) 공급되기 때문에 안구의 표면이 건조해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patients with dry eye syndrome, the surface of the eye becomes dry because the tears are supplied to the eye in an excessively small amount.
이러한 안구 건조는 눈물을 이용한 윤활작용과 이물질 제거 작용 등을 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눈꺼풀을 깜박거리면, 눈이 아프게 되고 안구가 항상 충혈된 상태를 유지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안구 건조증 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해 눈물점 마개를 사용하였다.Such ocular dryness can not be accomplished by lubrication and removal of foreign substances using tears. Therefore, when the eyelids are blinking, the eye becomes sick and the eye is always kept in a state of blood redemption. A tear point plug was used.
도 1은 종래의 눈물점 마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눈물점 마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ear-off stopper,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use state of the tear-off stopper.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눈물점 마개(10)는 몸체부(11)와, 상기 몸체부(11)의 하부에 설치되어 안구(20)의 누관(21)을 막는 마개부(12)와, 상기 몸체부(11)의 상부에 설치되어 눈물점 마개(10)가 누관(21)의 내부로 일정 깊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헤드부(13)와, 몸체부(11)의 축방향으로 삽입도구(미도시)를 수용하기 위한 보어(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a conventional tear-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눈물점 마개(10)는 누관(21)에 정상적으로 잘 삽입된 상태에도 눈물점 마개가 안구면을 지속적으로 자극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안구(20)에 통증을 유발시키는 문제점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a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ye dropper may continuously irritate the eyeball even when the
이러한 통증 유발의 이유는 하안검 눈물점 즉 하누관(21a)이 눈꺼풀의 안쪽에 위치하는 내전 또는 상전된 위치에 있는 경우, 삽입된 눈물점 마개(10)가 안구(20)를 자극하여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The cause of the pain is that when the lower lacrimal puncture point, i.e., the lower
또한, 눈물점 마개(10)를 상안검 눈물점 즉 상누관(21b)에 설치하면, 안구쪽으로 돌출된 헤드부(13)가 안구면을 지속적으로 자극하여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본 발명(Discloure)은, 환자별로 다른 눈물점 위치에 상관없이 삽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눈물점 마개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ar point stopper which can be inserted into a patient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another tear point for each patient.
본 발명(Discloure)은, 시술자가 눈물점 마개와 안구면이 접촉하지 않도록 장방형상의 박막 헤드를 구비하고, 삽입되는 눈물점 마개의 각도를 회전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눈물점 마개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ar point stopper having a thin film head in a rectangular shape so that an operator does not contact the tear point stopper and the eyeball surface and can rotate the angle of the inserted tear point stopper do.
본 발명(Discloure)은, 편측으로 변형을 가해서 한쪽으로만 고정구조를 갖는 눈물점 마개를 통해 상안검 눈물점에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눈물점 마개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ar point stopper which can be used for the upper eyelid tear point through a tear point stopper having a fixed structure on one side by applying a deformation to one side.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exhaustive or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ful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눈물점 마개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눈물이 누관(또는 눈물점)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마개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와 마개부가 상기 누관으로 일정 깊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방형상의 박판으로 이루어진 헤드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tear point stopp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A cap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to block tears from being discharged into a fistula (or a tear point); And a head portion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configured to prevent the body portion and the stopper portion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dummy pipe by a predetermined depth or more.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눈물점 마개는 상기 몸체부와, 헤드부의 종방향을 따라 형성한 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ar point stopp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body portion and a bo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portion.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상기 보어는 몸체부를 관통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r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re penetrates through the body part.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상기 몸체부는 보조 헤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dy par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head part.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눈물점 마개는 상기 헤드부가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ar point plug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 portion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눈물점 마개는 상기 헤드부가 몸체부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ar point stopp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 portion is formed symmetrically about the body portion in the left / right direction.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눈물점 마개는 상기 헤드부가 몸체부의 일측으로 편심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ar-point stopp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 portion is formed eccentrically to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눈물점 마개는 상기 헤드부가 몸체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ar plug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 portion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bout the body portion.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눈물점 마개는 상기 헤드부가 몸체부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ar-point stopp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 portion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body portion.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눈물점 마개는 상기 헤드부가 일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몸체부의 보어에 삽입되는 헤드 삽입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ar-point stopp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 portion is extended to one 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form a head insertion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bore of the body portion.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상기 헤드 삽입부는 말단부에 플랜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d inserting por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flange is formed at a distal end portion.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눈물점 마개는 상기 헤드부가 헤드 삽입부의 일측으로 편심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ar-point stopp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 portion is formed eccentrically to one side of the head inserting portion.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눈물점 마개는 상기 헤드부가 헤드 삽입부의 종방향을 따라 헤드부 보어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ar plug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 portion forms a head portion bor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insertion portion.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별로 다른 눈물점 위치로 인해 눈물점 마개의 설치시 환자의 이물감, 자극, 통증 발생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tient from feeling a foreign body sensation, irritation, or pain when the tear-point stopper is installed due to different tear-point positions for each patient.
본 발명에 의하면, 시술자가 눈물점 마개와 안구면이 접촉하지 않도록 장방형상의 박막헤드를 구비하고, 삽입되는 눈물점 마개의 각도를 회전하여 안구면을 접촉하지 않도록 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actitioner can include a rectangular thin-film head so that the tear-point stopper and the eyeball surface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angle of the inserted tear-point stopper can be rotated so as not to touch the eyeball surface.
본 발명에 의하면, 편측으로 변형을 가해서 한쪽으로만 고정구조를 갖는 눈물점 마개를 통해 상안검 눈물점에도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the upper eyelid tear point through a tear-point stopper having a fixed structure only by applying a deformation to one side.
도 1은 종래의 눈물점 마개의 예를 보인 도면.
도 2 는 종래의 눈물점 마개를 사용한 상태의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눈물점 마개의 일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3의 눈물점 마개의 단면구조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눈물점 마개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도 5의 눈물점 마개의 단면구조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눈물점 마개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도 7의 눈물점 마개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보인 도면.
도 9는 도 7의 눈물점 마개의 단면구조를 보인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tear-point stopper. FIG.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of using a conventional tear-off plug,
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ear-point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ear-point stopper of Fig. 3; Fig.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tear-point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tear-point stopper of FIG. 5;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tear-point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view of a main part of the tear-point stopper of Fig. 7;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ear-point stopper of Fig. 7;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눈물점 마개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a tear point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됨을 밝힌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tha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used below are selec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refore, the technical mea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prior meaning, but should be properly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실시예)(Embodiment 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눈물점 마개의 일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눈물점 마개의 단면구조를 보인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ear point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sectional structure of a tear point stopper of FIG.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눈물점 마개(100)는 몸체부(110)와, 마개부(120)와, 헤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 and 4, the tear-point stopp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상기 몸체부(110)는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실리콘 등의 연성재질로 이루어져 누관의 형상에 따라 휘어지거나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한다.The
상기 마개부(120)는 몸체부(1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11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져 누관과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눈물이 누관(또는 눈물점)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성으로서, 몸체부(110)와 같이 실리콘 등의 연성재질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헤드부(130)는 몸체부(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110)와 마개부(120)가 상기 누관으로 일정 깊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방형상의 박판으로 이루어진다.The
즉 상기 헤드부(130)는 타원형상으로 몸체부(110)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10)와 마개부(120)가 누관으로 일정 깊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시술자가 박막의 헤드부(130)를 이용하여 눈물점 마개(100)의 삽입 각도를 회전시켜 헤드부(130)와 안구면이 접촉되지 않도록 조정함으로써, 이물감이나 통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또한, 상기 눈물점 마개(100)는 몸체부(110)와, 헤드부(130)의 종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의 홈을 형성한 보어(140)가 형성되어 시술자가 작은 크기의 눈물점 마개(100)를 핀셋 등의 도구와 결합하여 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눈물점 마개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눈물점 마개의 단면구조를 보인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tear point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 sectional structure of a tear point stopper of FIG.
우선, 제1 실시예에 따른 눈물점 마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First, repetitiv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tear-off plu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눈물점 마개(100a)는 몸체부(110)와, 마개부(120)와, 헤드부(130a)와 보어(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5 and 6, the
제2 실시예에 따른 눈물점 마개(100a)는 헤드부(130a)의 형상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눈물점 마개(100)와 차이점이 있다.The
제2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130a)는 타원 형상의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원 형상의 박판은 몸체부(110)의 일측으로 편심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헤드부(130a)가 한쪽으로만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한다.The
이러한 구조는 길게 편심된 부분을 눈의 전측(또는 몸의 앞쪽)으로 향하게 배치할 수 있어서, 헤드부(130a)와 눈이 접촉하는 부분을 감소시켜 눈의 표면에 자극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한다.Such a structure can arrange the long eccentric portion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eye (or the front side of the body), so that the portion where the
또한, 일측으로 편심된 헤드부(130a)의 구성을 통해 상기 헤드부(130a)와 눈의 접촉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눈물점 마개(100a)를 상안검에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눈물점 마개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눈물점 마개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보인 도면이며, 도 9는 도 7의 눈물점 마개의 단면구조를 보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tear-point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 main part of the tear-point stopper of FIG. 7 in a disassembled view, FIG. 9 is a cross- Fig.
우선, 제1 실시예에 따른 눈물점 마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First, repetitiv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tear-off plu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눈물점 마개(100b)는 몸체부(110b)와, 마개부(120)와, 헤드부(130b)와 보어(14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7 to 9, the tear-
제3 실시예에 따른 눈물점 마개(100b)는 몸체부(110b)와, 헤드부(130b)와, 보어(140b)의 구성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눈물점 마개(100)와 차이점이 있다.The
상기 몸체부(110b)는 헤드부(130b)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헤드부(130b)가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한다.The
또한, 상기 몸체부(110b)는 헤드부(130b)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헤드부(130b)가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내부에는 상기 몸체부(110b)의 종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보어(140b)가 형성된다.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어(140b)가 몸체부(110b)를 관통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제1 및 제2 실시예와 같이 관통되지 않은 홈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상기 몸체부(110b)는 상부에 보조 헤드부(111b)를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110b)와 마개부(120)가 헤드부(130b) 없이 누관에 설치될 경우, 상기 누관으로 일정 깊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When the
상기 보조 헤드부(111b)는 원형 또는 타원형상의 박막으로 이루어지고, 안구 건조증 뿐만 아니라 공급된 눈물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안구 유루증 환자의 경우에 헤드부(130b)를 몸체부(110b)에 설치하지 않으면 관통된 보어(140b)를 통해 눈물이 배출되는 통로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The
상기 헤드부(130b)는 타원 형상의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원 형상의 박판은 몸체부(110b)의 일측으로 편심되어 구성된다.The
또한, 상기 헤드부(130b)는 몸체부(110b)와 결합하여 상기 몸체부(110b)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디고, 이를 위해, 상기 헤드부(130b)는 타원 형상의 박판 하부에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110b)의 보어(140b)에 삽입되는 헤드 삽입부(131)가 형성된다.The
또한, 상기 헤드 삽입부(131)는 말단부에 플랜지(132)가 형성되어 후술되는 보어(140b)의 플랜지 삽입홈(141)과 끼움 결합되도록 한다.The
또한, 상기 헤드부(130b)는 헤드 삽입부(131)의 종방향을 따라 헤드부 보어(140b')가 형성되어 시술자가 도구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헤드부(130b)가 설치된 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The
상기 보어(140b)는 몸체부(110b)를 관통하여 구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플랜지(132)와 끼움 결합되는 플랜지 삽입홈(141)을 형성하여 헤드부(130b)와의 결합력 증가와 함께 상기 헤드부(130b)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The
따라서,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박막의 헤드부를 통해 눈물점 마개의 설치시 환자의 이물감, 자극, 통증 발생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편측으로 변형을 가해서 한쪽으로만 고정구조를 갖는 눈물점 마개를 통해 시술자가 눈물점 마개와 안구면이 접촉하지 않도록 삽입되는 눈물점 마개의 각도를 회전하여 헤드부와 안구면이 비접촉되도록 조정할 수 있으며, 상안검 눈물점에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the patient's foreign body sensation, irritation, and pain during the installation of the tear point plug through the head portion of the thin film formed in the long direction, The operator can adjust the angle of the tear-point stopper inserted so that the tear-point stopper does not contact the eyeball surfac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adjust the head portion and the eyeball surface to be in non-contact with each other.
100, 100a, 100b : 눈물점 마개
110, 110b : 몸체부
111b : 보조 헤드부
120 : 마개부
130, 130a, 130b : 헤드부
131 : 헤드 삽입부
132 : 플랜지
140, 140b : 보어
140b' : 헤드부 보어
141 : 플랜지 삽입홈100, 100a, 100b:
110, 110b:
111b: auxiliary head portion
120:
130, 130a, and 130b:
131:
132: Flange
140, 140b:
140b ': head portion bore
141: Flange insertion groove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1858AKR101987991B1 (en) | 2017-11-29 | 2017-11-29 | Punctual plug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1858AKR101987991B1 (en) | 2017-11-29 | 2017-11-29 | Punctual plug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3066A KR20190063066A (en) | 2019-06-07 |
KR101987991B1true KR101987991B1 (en) | 2019-06-1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1858AExpired - Fee RelatedKR101987991B1 (en) | 2017-11-29 | 2017-11-29 | Punctual plug |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7991B1 (en)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9044553A1 (en)* | 1998-03-02 | 1999-09-10 | Herrick Family Limited Partnership | A punctum plug having a collapsible flared section and method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700265B1 (en)* | 1993-01-08 | 1995-03-31 | France Chirurgie Instr | Meatic plug for lacrimal pathology. |
US6203513B1 (en)* | 1997-11-20 | 2001-03-20 | Optonol Ltd. | Flow regulating implant, method of manufacture, and delivery device |
KR100716466B1 (en) | 2005-07-06 | 2007-05-10 | 정영택 | Ophthalmic Tear Orthosis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9044553A1 (en)* | 1998-03-02 | 1999-09-10 | Herrick Family Limited Partnership | A punctum plug having a collapsible flared section and method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3066A (en) | 2019-06-07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94684B2 (en) | Punctum plugs having fluid collecting recesses and methods of punctal occlusion | |
JP4078371B2 (en) | Punctum plug | |
JP5635605B2 (en) | Intraocular implant and method for delivering an intraocular implant into an eyeball | |
US12268635B2 (en) | Glaucoma shunts and related methods of use | |
US8430853B2 (en) | Implantation instruments, system, and kit for punctal implants | |
US6082362A (en) | Punctum plug | |
EP1178779B1 (en) | Ophthalmic insert and method for sustained release of medication to the eye | |
US6016806A (en) | Punctum plug | |
US7862532B2 (en) | Punctum plugs having insertion guides and strengthening beams | |
TWI491389B (en) | Small gauge mechanical tissue cutter/aspirator probe for glaucoma surgery | |
US979550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beculectomy and suprachoroidal shunt surgery | |
US7204253B2 (en) | Punctum plug | |
EP2286773A1 (en) | Uveoscleral drainage device | |
JP6892693B2 (en) | Dry eye treatment equipment and methods | |
JPH06311997A (en) | Tear solution controller | |
KR20140120906A (en) | Method, surgical kit and device for treating glaucoma | |
WO2017087713A1 (en) | Delivery device systems and implants for treating glaucoma | |
WO2012068129A1 (en) | Methods for implantation of glaucoma shunts | |
JP2012512725A (en) | Puncture implant for substance delivery and substance delivery method | |
US20250114244A1 (en) | Ophthalmic cannula | |
US20070027470A1 (en) | Surgical instrument | |
US9561130B2 (en) | Nasolacrimal plugs | |
JP4280128B2 (en) | Punctum plug | |
KR101987991B1 (en) | Punctual plug | |
WO2012144980A1 (en) | Implantation instruments, system, and kit for punctal impla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711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81022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1903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190604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190604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2023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