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메시지 송수신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이동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A mobi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having one or more functions capable of carrying out voice and video communication, capable of input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and storing data, while being portable. As th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has diversified, it has been equipped with complicated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video shooting, playback of a music file or a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broadcasting, wireless Internet, multimedia player). Mobile terminals implemented in the form of multimedia devices are being applied variously in terms of hardware and software in order to implement complex functions.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improving the usability of a user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 입력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시, 커서 표시를 명확하게 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clearly displaying a cursor when a character is input in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touch input,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복수의 오브젝트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와, 복수의 오브젝트 중 서로 인접하는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사이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키는 단계와, 간격 증가된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사이에, 커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 plurality of objects on a touch screen; Increasing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when there is an input; and displaying a cursor between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having increased spacing.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복수의 오브젝트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와, 복수의 오브젝트 중 서로 인접하는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사이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키는 단계와, 간격 증가된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사이에, 증가된 간격에 대응하는 크기 또는 면적을 가지는 커서를 표시하는 단계와, 터치 입력 후 소정 시간 경과시, 또는 자판을 이용한 문자 입력이 있는 경우,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사이의 간격을 복원시키며, 커서의 크기 및 면적을 복원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 plurality of objects on a touch screen; Increasing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when there is a touch input; displaying a curso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paced-apart objects, the cursor having a size or area corresponding to the increased spacing And restoring 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and restoring the size and area of the cursor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touch input or when there is a character input using the keyboard.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며, 복수의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복수의 오브젝트 중 서로 인접하는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사이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는, 간격 증가된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사이에, 커서를 표시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touch screen including a display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objects, And a control unit for increasing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when there is a touch input, and the display displays a cursor between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whose interval has been increas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오브젝트 중 서로 인접하는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사이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키고, 간격 증가된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사이에, 커서를 표시함으로써, 현재 커서 위치를 명확하게 확인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a touch input between a first object and a second object that are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a plurality of objects, 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is increased, By displaying a cursor between one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the current cursor position can be clearly confirmed. Thus, the usability of the user is increased.
특히, 오브젝트의 일예인, 문자 입력시, 제1 문자와 제2 문자 사이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제1 문자와 제2 문자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키고, 간격 증가된 제1 문자와 제2 문자 사이 사이에, 커서를 표시함으로써, 현재 커서 위치를 명확하게 확인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된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inputting a character, which is an example of an object, when there is a touch input between the first character and the second character,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character and the second character is increased, By displaying a cursor between characters, the current cursor position can be clearly confirmed. Thus, the usability of the user is increased.
한편, 터치 입력 후 소정 시간 경과시, 또는 자판을 이용한 문자 입력이 입력시, 또는 다른 오브젝트들 사이로의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사이의 간격을 복원시킴으로써,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에만, 간격을 증가시키고, 커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touch input, or when a character input using a keyboard is input or when there is a touch input between different objects,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is restored, Only by increasing the interval and displaying the cursor, the usability of the user can be increased.
한편, 간격 증가된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사이에, 표시되는 커서는, 그 크기, 면적 중 적어도 하나가 가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용이하게, 커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of the size and the area of the displayed cursor may be variable between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which are increased in spa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cursor.
한편,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사이의 간격은, 터치 입력의 터치 면적, 터치 강도, 터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비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터치 입력에 따른 간격 가변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may be proportional to at least one of a touch area, a touch strength, and a touch time of the touch input. Accordingly, the user can intuitively change the interval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
한편, 간격 증가된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사이에, 표시되는 커서는, 터치 입력의 터치 면적, 터치 강도, 터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비례하여, 크기 또는 면적 중 적어도 하나가 가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터치 입력에 따른 커서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at least one of the size or the area may be varied in proportion to at least one of the touch area, the touch strength, and the touch time of the touch input between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whose interval is increased, ,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cursor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한편, 간격 증가된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사이 외의, 다른 오브젝트의 크기, 또는 그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터치 입력에 따른 간격 가변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intuitively perceive the interval variation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by adjusting the size or the interval of the other objects oth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한편, 커서의 이동 입력에 따라, 다른 오브젝트들 사이로 커서가 이동하는 경우, 해당 오브젝트들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고, 그 사이에, 커서를 이동 표시함으로써, 현재 커서 위치를 명확하게 확인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ursor moves between different objects according to the movement input of the cursor, the interval between the objects is increased, and the cursor is moved between the objects, thereby clearly confirming the current cursor position. Thus, the usability of the user is increased.
도 1은 이동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의 일예를 예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14는 도 5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haracter input method in a mobile terminal.
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14 are views referred to explain various examples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 네비게이션, 타블렛 컴퓨터(tablet computer), 이북(e-book) 단말기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 camera, tablet computers, e-book terminals, and the like. In addition, suffixes " module " and " part "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give special significance or role in themselves. Accordingly, the terms " module " and " part "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도 1은 이동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의 일예를 예시한다.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haracter input method in a mobile terminal.
도면을 참조하면, 도 1(a)는 문자 입력 모드의 일예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도 2의 151) 상에, 표시창(40), 및 문자 입력창(5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문자 입력창(50)을 통해, 소정 문자들(Good mmoorning)을 입력(즉, 타이핑)한 경우, 표시창(40)에는, 입력한 문자들(Good mmoorning)이 표시된다. 그리고, 문자들의 마지막 위치(P1)에, 커서(60)가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FIG. 1 (a)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haracter input mode. Accordingly, the
커서(cursor)(60)는, 현재 위치를 알려주는 인디케이터(indicator)로서, 특히, 문자 입력시, 문자 입력 가능한 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 이러한 커서(60)는, 깜박거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커서(cursor)로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커서(60)는, 현재 위치를 알려주는 포인터(pointer)라 명할 수도 있다.The
한편, 도 1(a)와 같이, 문자 입력을 수행하다가, 오타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수정할 필요가 발생한다. 이에 도 1(b)와 같이, 오타가 발생한 입력 문자들(Good mmoorning) 중 "-oo-" 사이에, 커서를 위치시켜, 앞의 "o"(71)를 지우거나, 뒤의 "o"(72)를 지울 필요가 발생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 (a), when a character is typed and an error occurs, it is necessary to correct the error. As shown in Fig. 1 (b), the cursor is positioned between " -oo- " of the input characters (Good mmooring) (72) needs to be erased.
즉, 사용자의 손가락(20) 터치 입력을 통해, 앞의 "o"(71)와 뒤의 "o"(72) 사이에, 커서(60)를 정확히 위치시켜야 한다. 그러나, 손가락(20)의 크기에 비해, 문자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한 번에 정확히, 커서를 위치시키기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 특히, 디스플레이(151)의 크기가 작을수록, 문자의 크기가 더 작아지므로, 터치 입력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한 번에 정확히, 커서를 위치시키기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That is, the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에 복수의 오브젝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복수의 오브젝트 중 서로 인접하는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사이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키고, 간격 증가된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사이에, 커서를 표시한다. 이에 의해, 현재 커서 위치를 명확하게 확인 가능해지며,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된다. 여기서, 오브젝트는, 문자, 숫자, 부호, 아이콘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a case where a plurality of objects are displayed on a touch screen, and there is a touch input between a first object and a second object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a plurality of objects, And the cursor is displayed between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whose interval has been increased. Thereby, the current cursor position can be clearly confirmed, and thus the user's convenience of use is increased. Here, the object may be a concept including letters, numbers, symbols, icons, and the lik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도 5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5 and the following.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erms of its functional components.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2, the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The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 dat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can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case it can be received by the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A GPS (Global Position System)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될 수 있다.The A / V (Audio / Video)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누름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The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The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압력센서(143), 및 모션 센서(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이동 단말기(100)로 접근하는 물체나, 이동 단말기(1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근접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압력센서(143)는 이동 단말기(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사용환경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43)가 디스플레이(1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1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1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The
모션 센서(1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145)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The
가속도 센서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The acceleration sensor measures the acceleration of a small value built in the airbag system of an automobile and recognizes the minute motion of the human hand and measures the acceleration of a large value used as an input means such as a game There are various types. Acceleration sensors are usually constructed by mounting two or three axes in one package. Depending on the usage environment, only one axis of Z axis is required. Therefore, when the acceleration sensor in the X-axis direction or the Y-axis direction is used instead of the Z-axis direction for some reason, the acceleration sensor may be mounted on the main substrate by using a separate piece substrate.
또한,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The gyro sensor is a sensor for measuring the angular velocity, and it can sense the direction of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direction.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151),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Th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만일, 디스플레이(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If the
디스플레이(151)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 light) 전원이 없어 이동 단말기(10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전자종이로는 정전화가 충전된 반구형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전기영동법 및 마이크로 캡슐 등을 이용할 수 있다.The
이외에도 디스플레이(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알람부(155)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The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The
햅틱 모듈(1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vibration, the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The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이와 같은 구성의 이동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 보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이동 단말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in terms of components according to the external appearanc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bar type mobile terminal having a front touch screen among various types of mobile terminals such as a folder type, a bar type, a swing type, a slider type, etc.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bar-type mobile terminal but can be applied to all types of mobile terminals including the above-mentioned types.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Referring to FIG. 3, the case constitut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본체,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00-1)에는 디스플레이(151), 제1 음향출력모듈(153a), 제1 카메라(121a), 및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2)의 측면에는 제4 사용자 입력부(130d), 제5 사용자 입력부(130e), 및 마이크(123)가 배치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151)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1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제1 내지 제5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 130d, 130e)와 후술하는 제6 및 제7 사용자 입력부(130f, 130g)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The first to fifth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누름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4 사용자 입력부(130d)는 동작 모드의 선택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5 사용자 입력부(130e)는 이동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도 4를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00-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으며, 리어 케이스(100-2)의 측면에는 제6 및 제7 사용자 입력부(130f, 130g)와,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4, a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쉬(미도시)와 거울(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카메라(121b) 인접하게 다른 카메라를 더 설치하여 3차원 입체 영상의 촬영을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The
플래쉬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The flash illuminates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리어 케이스(100-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A second sound output module (not shown) may be further disposed in the rear case 100-2. The second sound output module may implement the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가 교환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론트 케이스(100-1) 및 리어 케이스(100-2)의 일 영역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리어 케이스(100-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리어 케이스(100-2) 측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제2 카메라(121b) 등이 리어 케이스(100-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카메라(121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6 내지 도 14는 도 5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to 14 are referred to for explaining various examples of an operation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 복수의 오브젝트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한다(S510).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을 통해, 문자 입력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도 7(a)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도 2의 151) 상에, 표시창(40), 및 문자 입력창(50)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
이때, 사용자가, 문자 입력창(50)을 통해, 소정 문자들(Good mmoorning)을 입력(즉, 타이핑)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표시창(40)에, 입력한 문자들(Good mmoorning)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문자들의 마지막 위치(P1)에, 커서(60)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inputs (i.e., types) certain characters (Good Mooring) through the
이하에서는, 오브젝트의 일예로, 문자를 위주로 기술한다.Hereinafter, the character is mainly described as an example of an object.
한편, 도 7(a)와 같이, 문자 입력을 수행하다가, 입력 문자들(Good mmoorning) 중 "-oo-" 와 같이, 오타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수정할 필요가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 (a), when a character is typed and an error occurs, such as "-oo-" in input characters (Good mmoorning), it is necessary to correct it.
한편, 도 6(a), 및 도 6(b)는, 커서 위치 이동 방법으로서, 본 발명과의 비교 예를 예시한다.6 (a) and 6 (b) illustrate a comparative exampl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s a cursor position moving method.
도 6(a)는, 입력 문자들(Good mmoorning) 과, 커서(60)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6(a)는, 사용자의 손가락(20)을 커서(60)의 위치(P1)에 계속 터치하는 경우, 커서 이동 인디케이터(6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6 (a) illustrates input characters (Good mmoorning) and the
사용자는, 커서 이동 인디케이터(65)를 이동시켜, 도 6(b)와 같이, 오타가 발생한, 앞의 "o"(71)와 뒤의 "o"(72) 사이의 위치(P2)에, 커서(60)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또는 이동 단말기(600)의 우측면(610)을 톡톡 두드려, 커서(60)를 이동 시킬 수 있다.The user moves the
이러한 경우, 별도의 커서 이동 인디케이터(65)가 표시되어야 하며, 또한, 사용자가 이러한 인디케이터(65)의 사용을 위해, 커서(60)의 위치(P1)에 손가락(20)을 일정시간 터치하여야 하거나, 손가락 위치를 변경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우측면(610)을 두드려야 하므로, 오타 발생시, 즉각적인, 커서 이동 수행이 불가능해진다.In this case, a separat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다 빠르고, 명확하게,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are taken to move the cursor faster and more clearly.
다음,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복수의 오브젝트 중 서로 인접하는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사이에, 터치 입력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며(S515), 해당하는 경우,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키며(S520), 간격 증가된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사이에, 커서를 표시한다(S530).Next, the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내의 터치 입력을 통해, 복수의 오브젝트 중 서로 인접하는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사이에, 터치 입력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The
도 7(b)는, 사용자의 손가락(20) 터치 입력이, 입력 문자들(Good mmoorning) 중 앞의 "o"(71)와 뒤의 "o"(72) 사이의 위치(P2)에 발생하는 것을 예시한다.7 (b) shows that the touch input of the user's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앞의 "o"(71)와 뒤의 "o"(72) 사이의 간격을, 제1 간격(w1)으로서, 도 7(a)의 간격 보다 커지게 제어한다.Accordingly, the
한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간격 단계 이전에 표시되는 커서 보다, 크기 또는 면적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7(b)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커서(62)를 제1 위치(P1)에서 제2 위치(P2)로 이동시켜 표시하면서, 그 폭(W1)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커서 위치를 명확하게 확인 가능해지며, 결국,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된다.Meanwhile, the
한편, 도 7(b)의 간격 증가는, 터치 스크린 화면의 표시 배율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앞의 "o"(71)를 왼쪽으로 이동시키거나, 뒤의 "o"(72)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거나, 이들의 조합에 의해, 앞의 "o"(71)와 뒤의 "o"(72)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move at least one of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while maintaining the display magnification of the touch screen screen. For example, by moving the previous " o " 71 to the left, or moving the latter " o " 72 to the righ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nterval between " o "
한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터치 입력 후 소정 시간 경과시, 또는 자판을 이용한 문자 입력이 입력시, 또는 다른 오브젝트들 사이로의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사이의 간격을 복원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커서의 크기 및 면적을 원 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touch input, or when the character input using the keyboard is input, or when there is a touch input between other objects, the
도 7(c)는, 사용자의 손가락(20) 터치 입력 후 제1 시간(T1) 경과하는 경우, 간격 증가된, "o"(71)와 뒤의 "o"(72) 사이의 간격이, 다시 원 상태, 즉 도 7(a)와 동일한 간격(W0)으로 복원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사용자의 손가락(20) 터치가 종료하는 경우, 바로 도 7(c)와 같이, 원 간격(wo)으로 복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다시 문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7 (c) shows the interval between the increasing "o" 71 and the increasing "o" 72 when the first time (T1) elapses after touch input of the user's
한편, 도 7(d)는, 도 7(b)와 같이, 앞의 "o"(71)와 뒤의 "o"(72) 사이의 간격이 증가된 상태에서, 문자 입력(51)이 있는 경우, 간격 증가된, "o"(71)와 뒤의 "o"(72) 사이의 간격이, 원 간격(wo)으로 복원되며, 그 사이에, 입력 문자 "k"(710)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커서(60)는, 문자 입력에 따라, 입력 문자 "k"(710) 뒤의 위치(P3)에 위치하게 된다.7 (d), on the other hand, in a state in which the interval between the "o" 71 and the back "o" 72 is increased as shown in FIG. 7 (b) Quot; 7 " 710 is displayed between the " o " 71 and the following " o " . At this time, the
이와 같이, 간격 증가된 상태에서, 문자 입력이 있는 경우, 증가된 간격을 복원시킴으로써,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에만, 간격을 증가시키고, 커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re is a character input in the state in which the interval is increased, by restoring the increased interval, the usability of the user can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interval and displaying the cursor only when there is a touch input.
한편, 터치 입력에 의한 간격 증가는, 터치 면적, 터치 강도, 터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비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terval increase by the touch input may be proportional to at least one of the touch area, the touch strength, and the touch time.
한편, 간격 증가된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사이의 커서는, 터치 입력의 터치 면적, 터치 강도, 터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비례하여, 크기 또는 면적 중 적어도 하나가 가변할 수 있다.Meanwhile, at least one of the size or the area may be varied in proportion to at least one of the touch area, the touch strength, and the touch time of the touch input.
한편, 커서는, 간격 증가된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그 면적이 가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rea of the cursor may be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which are increased in space.
도 8(a)는, 앞의 "o"(71)와 뒤의 "o"(72) 사이의 위치(P2)에, 터치 입력이, 제1 시간(Ta) 동안, 수행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그 간격(W1)으로 증가되며, 커서의 폭(W1), 및 크기(M1)가 증가되는 것을 예시한다.8A illustrates that the touch input is performed for a first time Ta at a position P2 between the "o" 71 and the "o" 72. FIG. Accordingly. Is increased by the interval W1, and the width W1 of the cursor and the magnitude M1 are increased.
한편, 도 8(b)는, 앞의 "o"(71)와 뒤의 "o"(72) 사이의 위치(P2)에, 터치 입력이, 제1 시간(Ta) 보다 긴 제2 시간(Tb) 동안, 수행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8(a)의 간격 보다 더 큰, 간격(W2)으로 증가되며, 커서의 폭 및 크기가, 도 8(a) 보다 더 큰, 폭(W2), 및 크기(M2)으로 증가되는 것을 예시한다.On the other hand, FIG. 8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touch input is at a position P2 between the "o" 71 and the back "o" Tb). ≪ / RTI > Accordingly. 8A is increased by an interval W2 larger than the interval of Fig. 8A and the width and the size of the cursor are increased to a width W2 and a size M2 larger than Fig. 8 (a) do.
한편, 도 8에서 설명한, 터치 시간 외에, 터치 강도, 터치 면적 등에 의해서도 유사하게 적용 가능하다. 즉, 터치 강도가 더 세거나, 손가락 터치 면적이 더 넓은 경우, 앞의 "o"(71)와 뒤의 "o"(72) 사이 간격이 더 넓어지고, 그 사이에 표시되는 커서의 폭, 크기 등이 더 커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similarly applicable to the touch strength, the touch area,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touch time described in FIG. That is, when the touch strength is larger or the finger touch area is wider,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o" 71 and the rear "o" 72 becomes wider, the width of the cursor displayed therebetween, Size and the like can be larger.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터치 입력에 따른 간격 증가 및 커서 면적 증가 등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increase in the interval and the increase in the cursor area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한편, 도 10은, 터치 입력 기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앞의 "o"(71)와 뒤의 "o"(72) 사이의 간격이 증가되며, 커서의 크기 및 면적도 커지는 것을 예시한다.On the other hand, Fig. 10 illustrates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o" 71 and the "o" 72 is increased sequentially in accordance with the touch input period, and the size and area of the cursor are also increased.
도 10(a)는, "o"(71)와 뒤의 "o"(72) 사이의 위치(P2)로의 터치 입력에 의해, 제1 시각(Tx)에, 그 간격(Wa)으로 증가되며, 커서의 폭(Wa)이 증가되는 것을 예시한다.10 (a) is increased at the first time Tx by the touch input to the position P2 between the "o" 71 and the back "o" 72, , The width Wa of the cursor is increased.
도 10(b)는, "o"(71)와 뒤의 "o"(72) 사이의 위치(P2)로의 터치 입력에 의해, 제2 시각(Ty)에, 그 간격(Wb)으로 증가되며, 커서의 폭(Wb)이 증가되는 것을 예시한다.10 (b) is increased at the second time Ty by the touch input to the position P2 between the "o" 71 and the back "o" 72, , The width Wb of the cursor is increased.
도 10(a)는, "o"(71)와 뒤의 "o"(72) 사이의 위치(P2)로의 터치 입력에 의해, 제3 시각(Tz)에, 그 간격(Wc)으로 증가되며, 커서의 폭(Wc)이 증가되는 것을 예시한다.10A is increased at the interval Wc at the third time Tz by touch input to the position P2 between "o" 71 and the back "o" 72 , The width Wc of the cursor is increased.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터치 입력 기간에 따른 간격 증가 및 커서 면적 증가 등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increase in the interval and the increase in the cursor area in accordance with the touch input period.
한편, 터치 입력에 따라,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사이의 간격 증가시,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주변의 오브젝트들 사이의 간격 또는 주변 오브젝트들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touch input, it is also possible to vary at least on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object and the objects around the second object or the size of the surrounding object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increases.
도 9(a)는, 앞의 "o"(71)와 뒤의 "o"(72) 사이의 터치 입력에 따라, 앞의 "o"(71)와 뒤의 "o"(72) 사이의 간격(W1)만 증가하는 것을 예시한다.(A) of FIG. 9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ont "o" 71 and the back "o" 72 in accordance with the touch input between the front "o" 71 and the back "o" Only the interval W1 is increased.
도 9(b)는, 앞의 "o"(71)와 뒤의 "o"(72) 사이의 간격(W1) 증가 외에, 앞의 "o"(71)와 뒤의 "o"(72) 주변 사이의 간격이 줄어드는 것을 예시한다. "Good"의 "o"와 "ㅇ"사이의 간격(Wy), "o"와 "ㅇ" 사이의 간격(Wx)이, "o"(71)와 뒤의 "o"(72) 사이의 간격(W1) 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앞의 "o"(71)와 뒤의 "o"(72) 사이 보다 멀어질수록, 그 간격이 더 작아질 수 있다. 즉, "o"와 "ㅇ"사이의 간격(Wy)이, "o"와 "ㅇ" 사이의 간격(Wx) 보다 더 작을 수 있다.O " 71 and the following " o " 72, in addition to the increase W1 between the previous "o" 71 and the latter "o"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eripheries is reduced. The interval Wy between "o" and "o" of "Good" and the interval Wx between "o" and "o" May be smaller than the interval W1. On the other hand, the farther from the former "o" 71 and the latter "o" 72, the smaller the interval can be. That is, the interval Wy between "o" and "o" may be smaller than the interval Wx between "o" and "o".
이에 따라, 전체 문자들(Good mmoorning)의 길이는 고정될 수 있다.Thus, the length of the entire characters Good mmoorning can be fixed.
도 9(c)는, 앞의 "o"(71)와 뒤의 "o"(72) 사이의 터치 입력에 따라, 앞의 "o"(71)와 뒤의 "o"(72) 사이의 간격(W1)이 증가하면서, 그 주변 문자의 크기가 조정되는 것을 예시한다.(C) of Fig. 9 shows a state in which the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o" 71 and the rear "o" 72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touch input between the "o" 71 and the "o" It is exemplified that the size of the surrounding characters is adjusted while the interval W1 is increased.
즉, 앞의 "o"(71)와 뒤의 "o"(72)를 중심으로, 멀어질수록, 문자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전체 문자들(Good mmoorning)의 길이는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 입력에 의해 간격 증가된 제1 문자와 제2 문자 사이를 위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현재 커서 위치를 명확하게 확인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된다.That is, it is exemplified that the size of the character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o" 71 and the "o" 72 is larger.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entire characters (Good mmoorning) can be fixed. Accordingly, the user can mainly recognize between the first character and the second character which are spaced apart by the touch input. In addition, the current cursor position can be clearly confirmed. Thus, the usability of the user is increased.
한편, 도 11은 멀티 터치를 통한, 영역 지정의 다양한 예를 예시한다.On the other hand, Fig. 11 illustrates various examples of area designation through multi-touch.
도 11(a)는, 사용자의 손가락(20) 터치 입력이, 입력 문자들(Good mmoorning) 중 앞의 "o"(71)와 뒤의 "o"(72) 사이의 위치(P2)에 발생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앞의 "o"(71)와 뒤의 "o"(72) 사이의 간격이 커지며, 크기 증가된 커서(60)가 표시되게 된다.11A shows a case where the touch input of the user's
도 11(b)는, 사용자의 손가락(20)에 의한, 복수 터치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영역 지정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Fig. 11 (b) illustrates that a plurality of taps by the user's
도 11(c)는, 사용자의 두 손가락(20,21)을 통해, 멀티 터치가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영역 지정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Fig. 11 (c) illustrates that multi-touch is performed simultaneously through two
도 11(b) 또는 도 11(c)와 같은, 영역 지정 모드 활성화에 따라, 영역 지정이 수행될 수 있다.In accordance with the area designation mode activation as in Fig. 11 (b) or 11 (c), area designation can be performed.
도 11(d)는, 커서(62)의 우측 모서리는 고정하고, 좌측 모서리를 터치에 의해 드래그하는 경우, 커서(1100)가 확장하여, 대응하는 영역("Good mo")을 영역 지정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간격 증가된, 앞의 "o"(71)와 뒤의 "o"(72) 사이의 간격은 도면과 같이, 원 간격(W0)으로 복원될 수 있다.11 (d), the right edge of the
한편, 도 11(e)는, 커서(62)의 우측 모서리는 고정하고, 좌측 모서리를 터치에 의해 드래그하는 경우, 커서(1100)가 확장하여, 대응하는 영역("Good mo")을 영역 지정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간격 증가된, 앞의 "o"(71)와 뒤의 "o"(72) 사이의 간격(W1)은 도면과 같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11 (e), the right edge of the
간격 증가된 이후, 영역 지정을 수행하는 경우, 간격이 넓어졌으므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지정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area designation is performed after the interval is increased, since the interval is widened, the touch input accuracy of the user can be improved.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and accurately designate the desired area.
다음,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2 오브젝트와 제3 오브젝트 사이에, 터치 입력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며(S535), 해당하는 경우, 제2 오브젝트와 제3 오브젝트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며(S540), 간격 증가된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사이에, 커서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545). 한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간격 증가된,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사이의 간격을 복원한다(S550).Next, the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내의 터치 입력을 통해, 복수의 오브젝트 중 서로 인접하는 제2 오브젝트와 제3 오브젝트 사이에, 터치 입력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The
도 12(a)는, 사용자의 손가락(20) 터치 입력이, 입력 문자들(Good mmoorning) 중 앞의 "o"(71)와 뒤의 "o"(72) 사이의 위치(P2)에 발생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앞의 "o"(71)와 뒤의 "o"(72) 사이의 간격이 커지게 된다.12A shows a case where the touch input of the user's
다음, 도 12(b)는, 사용자의 손가락(20) 터치 입력이, 입력 문자들(Good mmoorning) 중 "Good"의 "o"와 "ㅇ"사이의 위치(P4)에 발생하는 것을 예시한다. 제 위치(P4)에 터치가 발생 바로 그 순간에는, 앞의 "o"(71)와 뒤의 "o"(72) 사이의 간격(W1)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Next, Fig. 12 (b) illustrates that the touch input of the user's
다음, 도 12(c)는, "Good"의 "o"와 "ㅇ"사이의 위치(P4)로의 터치 입력에 따라, "Good"의 "o"와 "ㅇ"사이의 간격(W1)이 증가하고, "mmoorning" 중 앞의 "o"(71)와 뒤의 "o"(72) 사이의 간격(W0)이 원 간격으로 복원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현재 커서 위치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Next, Fig. 12 (c) shows a case where the interval W1 between " o " and " o " of " Good " , And the interval W0 between the "o" 71 and the "o" 72 in the front of the "mmoorning" is restored to a circle interval. Thus, the current cursor position can be clearly confirmed.
이와 같이, 터치 입력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으로 커서를 이동시키면서, 그 간격이 넓어지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by moving the cursor to a desired point by the touch input and widening the interval, the user can easily and quickly move to a desired point.
특히, 제1 터치 지점이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이 아닌 경우, 다시 터치 입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으로 신속히 이동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when the first touch point is not the desired point, the touch point can be moved again by the touch input, so that the user can quickly move to the desired point.
도 13은 도 12와 유사하나, 특정 위치로의 터치 입력이 아닌, 커서의 드래그 이동 입력에 의해, 커서를 이동시키는 점에 그 차이가 있다.Fig. 13 is similar to Fig. 12 except that the cursor is moved by a dragging movement input of a cursor, not by a touch input to a specific position.
도 13(a)는, 도 12(a)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13 (a) is the same as Fig. 12 (a),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음, 도 13(b)는, "o"(71)와 뒤의 "o"(72) 사이의 위치(P2)에 표시되는 커서(62)를 사용자의 손가락(20)을 이용한 드래그 입력이 수행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특히, 입력 문자들(Good mmoorning) 중 "Good"의 "o"와 "ㅇ"사이의 위치(P4)에 드래그 앤 드랍되는 것을 예시한다.Next, FIG. 13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drag input using the user's
다음, 도 13(c)는, "Good"의 "o"와 "ㅇ"사이의 위치(P4)로의 드래그 앤 드랍 입력에 따라, "Good"의 "o"와 "ㅇ"사이의 간격(W1)이 증가하고, "mmoorning" 중 앞의 "o"(71)와 뒤의 "o"(72) 사이의 간격(W0)이 원 간격으로 복원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현재 커서 위치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Next, FIG. 13 (c) shows the interval W1 between " o " and " Good " of " Good " in accordance with the drag and drop input to the position P4 between " o & ) Increases and the interval W0 between the "o" 71 and the "o" 72 in front of "mmoorning" is restored to a circle interval. Thus, the current cursor position can be clearly confirmed.
한편, 도 12, 도 13과 달리, 플리킹(flicking) 입력에 따른, 커서 이동도 가능하다.Unlike FIGS. 12 and 13, a cursor can be moved according to a flicking input.
예를 들어, 커서가, 도 14(a)와 같이, Good"의 "o"와 "ㅇ"사이의 위치(P4) 한 상태에서, 우측으로의 플리킹(flicking) 입력(1400)이 있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는 오브젝트, 즉 문자로, 자동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re is a flicking
예를 들어, 입력 문자들(Good mmoorning) 중 오타가 발생한, "-oo-" 사이에, 커서를 위치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ursor to be positioned between " -oo- " in which typographical errors occur in the input characters (Good mmoorning).
즉, 도 14(b)와 같이, 입력 문자들(Good mmoorning) 중 앞의 "o"(71)와 뒤의 "o"(72) 사이의 위치(P1)에, 커서(62)가 표시되고, 앞의 "o"(71)와 뒤의 "o"(72) 사이의 간격이 커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14 (b), the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can be applied to all or a part of each embodiment May be selectively combined.
한편,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method of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de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 o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the processor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s stored.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such as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In addition,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de readable by the processor in a distributed fashion can be stored and executed.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26862AKR101961369B1 (en) | 2012-11-09 | 2012-11-09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26862AKR101961369B1 (en) | 2012-11-09 | 2012-11-09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60133A KR20140060133A (en) | 2014-05-19 |
| KR101961369B1true KR101961369B1 (en) | 2019-03-22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126862AExpired - Fee RelatedKR101961369B1 (en) | 2012-11-09 | 2012-11-09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961369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6795349B2 (en) | 2015-11-10 | 2020-12-02 | Nok株式会社 | How to handle gaskets with carrier film |
| KR102757109B1 (en)* | 2019-04-26 | 2025-01-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A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a display device which comprises a touch sensor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20118603A1 (en)* | 2000-12-26 | 2002-08-29 | Ken Tamagawa | Input object selector and method therefor |
| US20080165142A1 (en)* | 2006-10-26 | 2008-07-10 | Kenneth Kocienda |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djusting an Insertion Point Marker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20118603A1 (en)* | 2000-12-26 | 2002-08-29 | Ken Tamagawa | Input object selector and method therefor |
| US20080165142A1 (en)* | 2006-10-26 | 2008-07-10 | Kenneth Kocienda |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djusting an Insertion Point Marker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60133A (en) | 2014-05-19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252169B1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 |
| KR101645186B1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 |
| KR101677029B1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 |
| KR20100052226A (en) | Mobile terminal using flexible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KR20140080007A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 KR101767504B1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KR20140143610A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KR20150068175A (en) | Operating Method for Mobil terminal | |
| KR20120007384A (en) | Portable terminal and its operation control method | |
| KR101657543B1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 |
| KR20150019037A (en) | Mobile terminal having flexible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KR20110008939A (en) | Portable terminal having a circular display unit and its control method | |
| KR101855938B1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 |
| KR101263861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KR101961369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 KR20130085542A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KR20100093888A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KR20140136746A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g method thereof | |
| KR20150051757A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KR101883179B1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KR20110129226A (en) | Mobile terminal and its operation method | |
| KR20100095256A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KR20150010182A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KR20140040457A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 |
| KR20140094135A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g method thereof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22-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1-asn-PN2301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22031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22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