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서비스와 연동된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이하,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이라고 함)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요금 결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은 서버 장치, 또는 서버 장치 및 상기 서버 장치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의 형태일 수 있다. 서버 장치는 단일의 장치 또는 소정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된 복수의 장치로 구성된 장치 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은 각 주차장(예를 들면, 200)마다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은 차량이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에 상응하는 주차장(200)에 주차하거나 출차하는 것을 인식하고, 요금을 정산하는 등 주차 관리를 수행하거나 상기 주차장(200)의 각종 설비를 제어/관리하고 주차장(200)의 회계 혹은 결제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은 주차하거나 출차하는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고, 주차 기간을 판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주차요금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주차장(200)에는 진입하는 차량(20)의 고유정보를 인식하는 진입 차량 고유정보 인식장치(210) 및 출차 또는 출차를 요청하는 차량의 고유정보를 인식하는 출차 차량 고유정보 인식장치(220)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장(200)에는 출차를 요청하는 차량을 가로막고 허가된 차량만을 출차시키기 위한 출입 차단장치(230)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은 상기 고유정보 인식장치(210, 220)로부터 차량의 고유정보 또는 차량의 고유정보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출입 차단장치(230)의 개방/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고유정보는 차량마다 부여된 고유한 정보일 수 있으며, 차량을 식별하는데 이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대표적으로 차량번호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차량 고유정보 인식장치(22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 고유정보 인식장치(220)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장치일 수도 있으며, RFID tag(주차 태그), NFC, beacon, 바코드, QR코드 등을 인식할 수 있는 리더 장치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이 수행하는 일부 기능(예를 들면, 주차요금 결제 기능)은 소정의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과 연동되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은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각종 데이터, 신호 및/또는 정보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의 운영주체와는 다른 운영주체가 운영하는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자신의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에게 상기 외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소정의 가입 절차를 거쳐 사용자를 가입자(회원)으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자신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가입자(회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서비스는 상기 운영주체의 주된 사업일 수도 있으며, 주된 사업을 위한 부수적인 서비스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사용자 단말(10)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제공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통해 앱 서비스(app service)를 제공하는 앱 서비스 제공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앱 서비스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공되는 온라인 서비스일 수 있다. 상기 앱 서비스는 예를 들어 온라인/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온라인 금융 서비스, 온라인 쇼핑 서비스,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등 다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이 앱 서비스 제공 시스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등으로 호칭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앱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이 상기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외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등록 차량의 고유정보 및 결제 수단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앱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앱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상기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등록 차량의 고유정보 및 결제 수단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등록 차량의 고유정보 및 결제 수단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10)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계정 정보와 함께 DB 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앱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수신된 등록 차량의 고유정보를 소정의 단방향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변환하여 수신된 등록 차량의 고유정보에 상응하는 암호화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단방향 암호화 알고리즘은 평문을 암호문으로 암호화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암호문을 평문으로 복호화하는 것은 불가능한 비가역적 암호화 알고리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방향 암호화 알고리즘은 해시 함수(hash function)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방향 암호화 알고리즘은 MD5, SHA-3, SHA-256, SHA-512, PIPEMD-128/256 등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다양한 해쉬함수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앱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등록한 상기 결제 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등록 차량에 대한 주차요금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10)은 휴대전화, 위성전화, 무선전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WLL(Wireless Local Loop) 스테이션, 스마트폰, 타블렛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핸드헬드 장치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장치일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입력장치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화면 등 각종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출력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입력장치는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 터치 스크린 등 다양할 수 있으다.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 및/또는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필요한 경우, 차량(20)이 상기 주차장(200)에 주차함으로써 발생하는 주차요금을 소정의 결제 시스템(400)을 통해 결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 및/또는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상기 결제 시스템(400)과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필요한 각종 정보,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시스템(400)은 신용카드 결제를 수행하는 카드사 시스템, 온라인 뱅킹 시스템, PG사 시스템 등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은 고유정보 획득모듈(120), 암호화모듈(130), 판단모듈(140), 결제모듈(150), 제어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은 DB(11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반드시 본 발명의 구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은 이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기능 또는 역할별로 별도로 구현되는 구성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DB(110), 고유정보 획득모듈(120), 암호화모듈(130), 판단모듈(140), 결제모듈(150) 및/또는 제어모듈(160)은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동일한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DB(110), 고유정보 획득모듈(120), 암호화모듈(130), 판단모듈(140), 결제모듈(150) 및/또는 제어모듈(160) 등 각각의 개별 모듈을 구성하는 요소들 역시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하고,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한 요소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각각의 개별 모듈이 수행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60)은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예를 들면, DB(110), 고유정보 획득모듈(120), 암호화모듈(130), 판단모듈(140) 및/또는 결제모듈(150))의 기능 및/또는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DB(110)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DB(105)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DB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패턴 DB(130)에 저장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B(110)는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된 제공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공정보는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한 각 가입자가 미리 등록한 차량의 고유정보의 암호화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암호화정보는 상기 차량의 고유정보를 소정의 단방향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변형한 정보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가입자의 차량의 고유정보(차량번호)가 미리 등록되고, 등록된 차량번호의 암호화 정보가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에 제공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에 가입한 가입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통해 차량의 고유정보(예를 들면, 차량번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된 차량번호(N)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의해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으로 전송될 수 있다(S10). 그러면,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수신한 차량번호(N)을 단방향 암호화(예를 들면 해슁)하여 차량의 암호화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S20), 생성된 암호화정보를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의 가입자 DB에 저장할 수 있다.
S10 내지 S30의 과정은 각각의 가입자 별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자신의 가입자 DB에 저장된 각 가입자의 차량의 암호화 정보를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에 제공할 수 있다(S40).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주기적으로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가입자의 차량의 암호화정보를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 따른 과정은 가입자가 자신의 차량을 상기 주차장(200)에 주차하기 이전에 미리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유정보 획득모듈(120)은 상기 주차장(200)에 입차하거나 출차하는 차량(20)의 고유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고유정보 획득모듈(120)은 상기 주차장(200)에 설치된 차량 고유정보 획득장치(210, 220)가 획득한 차량의 고유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상기 차량 고유정보 획득장치(210, 220)가 획득한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의 고유정보를 인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의 고유정보가 그에 상응하는 차량의 차량번호인 경우, 상기 고유정보 획득모듈(120)은 상기 주차장(200)에 설치되며 차량(20)의 번호판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장치(210, 220)로부터 상기 차량(20)의 번호판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번호판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고유정보 획득모듈(120)은 상기 주차장(200)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20)의 번호판을 촬영하고 촬영한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차량(20)의 차량번호를 판단하는 번호판 인식장치(210, 220)로부터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20)에는 차량의 고유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태그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주차장(20)에는 고유 정보 인식 장치로서 태그 리더(210, 22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20)에 부착된 태그 및 주차장에 구비된 태그 리더(210, 220)는 RFID, NFC, Becon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도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바코드나 QR코드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암호화모듈(130)은 상기 고유정보 획득모듈(120)이 획득한 상기 차량(20)의 고유정보를 상기 단방향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변형하여 상기 차량(20)의 암호화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암호화모듈(130)이 사용하는 단방향 암호화 알고리즘은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이 사용하는 단방향 암호화 알고리즘과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주차장 마다 사용하는 단방향 암호화 알고리즘이 상이할 수는 있다.
상기 판단모듈(140)은 주차장(200)에 입차하거나 출차하는 상기 차량(20)의 운전자가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이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판단모듈(140)은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으로 상기 차량(20)의 운전자가 상기 외부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인지를 질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판단모듈(140)은 상기 차량의 암호화정보를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상기 차량의 암호화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20)의 운전자가 상기 외부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자신의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가 미리 등록한 차량의 고유정보에 대한 암호화 정보를 미리 생성하여 가입자 DB에 저장하고 있으므로 가입자 DB에 저장된 암호화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이 질의한 암호화 정보와 동일한지 여부에 의해 상기 차량(20)의 운전자가 상기 외부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판단 결과를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으로 응답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판단모듈(140)은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으로부터 수신한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외부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판단모듈(140)은 생성된 상기 차량(20)의 암호화정보가 상기 DB(110)에 저장된 제공정보 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이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인지 여부를 직접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은 상기 차량(20)의 운전자가 상기 외부 서비스의 가입자인지 여부에 따라 결제 방식을 달리할 수 있다.
상기 결제모듈(150)은 상기 차량(20)의 운전자가 상기 외부 서비스의 가입자가 아닌 경우 상기 차량의 출차 시에 또는 출차 전에 상기 차량(20)에 대한 상기 주차장(20)의 자체적인 주차 요금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외부 서비스의 가입자인 경우, 상기 결제모듈(150)이 상기 주차장(20)의 자체적인 주차 요금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대신, 상기 제어모듈(160)은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에서 상기 차량(20)의 주차요금을 결제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으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60)은 상기 차량(20)이 주차장(200)에 입차할 경우, 상기 차량(20)의 입차를 통보하는 입차통보신호를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60)은 상기 차량(20)이 주차장(200)에서 출차할 경우, 상기 차량(20)의 출차를 통보하는 출차통보신호를 상기 제어신호로서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입차통보신호를 받은 때로부터 출차통보신호를 받은 때까지를 주차기간으로 판단하고 주차요금을 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 실시예에서, 제어모듈(160)은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이 상기 차량(20)의 주차요금을 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20)의 암호화정보 및 상기 차량(20)의 입차시각을 포함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160)은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외부 서비스의 가입자가 아닌 때에는, 상기 주차장의 자체적인 주차 요금 결제 프로세스가 성공적으로 완료된 이후에 상기 주차장의 출입 차단장치(230)를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외부 서비스의 가입자인 때에는, 상기 차량이 출차를 요청할 경우, 상기 주차장의 출입 차단장치(230)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요금 결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이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에 질의하여 상기 차량(20)의 운전자가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의 가입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는 차량(20)의 입차 시를 나타내며, 도 5b는 차량(20)의 출차시를 나타낸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차량(20)이 입차하는 경우,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은 주차장(200)에 입차하는 차량(20)의 고유정보ID)를 획득할 수 있으며(S200), 획득한 고유정보를 소정의 단방향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변형하여 상기 차량의 암호화정보(hash(ID))를 생성할 수 있다(S210).
이후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은 소정의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이 상기 차량의 암호화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외부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20)의 암호화정보(hash(ID))를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220).
그러면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자신의 가입자 DB에 hash(ID)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의해 상기 차량(20)의 운전자가 가입자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S221), 판단결과를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으로 응답할 수 있다(S222).
만약 가입자인 경우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은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으로 상기 차량의 입차를 통보하는 입차통보신호를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S230). 그러면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입차통보신호를 수신한 때를 입차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b를 참조하면, 주차장(200)에 주차한 상기 차량이 출차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은 출차를 요청하는 차량의 고유정보(ID)를 획득할 수 있다(S240). 출차 요청 여부는 출구에 설치된 차량 고유정보 인식장치(220)가 차량의 고유번호를 인식하는지 여부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은 출차를 요청하는 차량(20)의 암호화 정보(hash(ID))를 생성할 수 있으며(S250),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이 상기 차량(20)의 암호화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20)의 운전자가 상기 외부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20)의 암호화정보(hash(ID))를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260).
그러면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자신의 가입자 DB에 hash(ID)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의해 상기 차량(20)의 운전자가 가입자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S261), 판단결과를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으로 응답할 수 있다(S262).
만약 가입자인 경우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은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으로 상기 차량의 출차를 통보하는 출차통보신호를 제어신호로서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230). 그러면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출차통보신호를 수신한 때를 출차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주차요금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S280).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상기 차량(20)의 운전자(가입자)가 미리 등록한 결제 수단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요금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결제 수단이라고 함은 주차 요금을 선불 또는 후불로 결제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결제 수단의 대표적인 예로서 신용카드를 들 수 있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현 예에 따라서는 체크카드나 선불카드, 전자화폐, 마일리지, 휴대폰 결제 등 주차 요금을 지불할 수 있는 다양한 결제 수단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만약 사용자의 결제 수단이 신용카드인 경우,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요금 결제를 위하여 사용자의 신용카드에 상응하는 신용카드사 시스템(400)과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결제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만약 가입자가 아닌 경우,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은 자체적인 요금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S285). 자체적인 요금 결제 프로세스는 주차장에서 주차요금을 징수하는 일반적인 프로세스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은 상기 차량(20)의 운전자가 상기 외부 서비스의 가입자가 아닌 때에는, 상기 주차장(200)의 자체적인 주차 요금 결제 프로세스가 성공적으로 완료된 이후에 상기 주차장의 출입 차단장치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20)의 운전자가 상기 외부 서비스의 가입자인 때에는, 상기 차량(20)이 출차를 요청할 경우, 상기 주차장의 출입 차단장치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90).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요금 결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이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으로부터 상술한 제공정보를 미리 제공받고(도 4의 S40 단계 참조), 이를 이용하여 직접 상기 차량(20)의 운전자가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의 가입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는 차량(20)의 입차 시를 나타내며, 도 6b는 차량(20)의 출차시를 나타낸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차량(20)이 입차하는 경우,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은 주차장(200)에 입차하는 차량(20)의 고유정보ID)를 획득할 수 있으며(S100), 획득한 고유정보를 상기 단방향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변형하여 상기 차량의 암호화정보(hash(ID))를 생성할 수 있다(S110).
이후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은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이 미리 제공하여 DB(110)에 저장해 둔 제공정보 중 hash(ID)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의해 상기 차량(20)의 운전자가 가입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120).
만약 가입자인 경우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은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으로 상기 차량의 입차를 통보하는 입차통보신호를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S130). 그러면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입차통보신호를 수신한 때를 입차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b를 참조하면, 주차장(200)에 주차한 상기 차량이 출차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은 출차를 요청하는 차량의 고유정보(ID)를 획득할 수 있으며(S140), 획득한 고유정보를 상기 단방향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변형하여 상기 차량의 암호화정보(hash(ID))를 생성할 수 있다(S150).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은 출차를 요청하는 차량(20)의 암호화 정보(hash(ID))를 생성할 수 있으며(S150), 상기 DB(110)에 저장되어 있는 제공정보 중 hash(ID)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의해 상기 차량(20)의 운전자가 가입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160).
만약 가입자인 경우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은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으로 상기 차량의 출차를 통보하는 출차통보신호를 제어신호로서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170). 그러면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출차통보신호를 수신한 때를 출차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주차요금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S180).
만약 가입자가 아닌 경우,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은 자체적인 요금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S185).
또한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은 상기 차량(20)의 운전자가 상기 외부 서비스의 가입자가 아닌 때에는, 상기 주차장(200)의 자체적인 주차 요금 결제 프로세스가 성공적으로 완료된 이후에 상기 주차장의 출입 차단장치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20)의 운전자가 상기 외부 서비스의 가입자인 때에는, 상기 차량(20)이 출차를 요청할 경우, 상기 주차장의 출입 차단장치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90).
한편, 구현 예에 따라서,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은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싱글 코어 CPU혹은 멀티 코어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상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기타 구성 요소에 의한 메모리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주차요금 결제 시스템(100)으로 하여금, 상술한 주차요금 결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요금 결제 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 및 대상 프로그램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