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푸쉬 서버,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어플리케이션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나 이벤트를 알려주기 위해 푸쉬 서비스를 제공하는 푸쉬 어플리케이션 기술에 관한 내용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sh server, an application server, and a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sh application technology for providing a push service for notifying an application user of a notification message or an event.
주로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푸쉬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나 이벤트를 알려주기 위해 푸쉬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예를 들어, 카카오톡, 스카이프, 네이트온 톡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말한다.A push application installed on a smart phone is an application that provides a push service to notify an application user of a notification message or an event, for example, applications such as Kakao Talk, Skype, and Nate On-call.
이러한 푸쉬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연결을 설정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푸쉬 메시지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단말로 전송할 푸쉬 메시지가 발생하면, 단말과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TCP/IP 연결을 통해 푸쉬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한다.Such a push application establishes a TCP / IP (TCP / IP) connection with the application server and receives a push message from the application server. Specifically, when a push message to be transmitted to a terminal occurs, the application server transmits a push message to the terminal through a TCP / IP connection that is continuously maintained with the terminal.
따라서, 단말은 푸쉬 어플리케이션의 푸쉬 메시지 착신률을 높이기 위해 킵 얼라이브(Keep Alive)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여 TCP/IP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즉 단말이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킵 얼라이브 메시지를 전송하면,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확인 메시지로 응답하는 과정을 통해 단말과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에 TCP/IP 연결이 유지된다.Accordingly, the UE transmits a Keep Alive message to the application server to continuously maintain the TCP / IP connec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push message reception rate of the push application. That is, when the terminal transmits a keepalive message to the application server, the TCP / IP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application server is maintained through the application server responding with a confirmation message.
이때, 단말이 주기적으로 킵 얼라이브 메시지를 전송하려면, 단말은 아이들(Idle) 상태에서 접속(Connect) 상태로 무선 연결 상태를 변경하여 네트워크로 무선 접속을 시도한다. 그리고 단말은 주기적으로 킵 얼라이브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이는 어플리케이션 마다 다르며, 예를 들어, 10분에 1회일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UE periodically transmits a keep-alive message, the UE attempts to establish a wireless connection to the network by changing the wireless connection state from an idle state to a connected state. The UE periodically transmits a keepalive message, which differs from application to application, for example, once every 10 minutes.
이처럼,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 주기는 무선 접속의 시도 횟수와 동일한데 예를 들어, 고객의 10대 어플(예, 카카오톡, 스카이프 등)을 설치한 후 해당 고객의 단말이 무선 접속을 시도하는 횟수는 대략 75회/hr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Skype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아이폰은 30회, 안드로이드폰은 93회로 확인되었다. 또한, MBCmini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아이폰은 3회, 안드로이드폰은 285회로 확인되었다.As described above,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keep-alive message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attempts of the wireless connection. For example,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customer's terminal attempts wireless connection after installing the customer's 10 applications (eg, Kakao Talk, Skype, Was found to be approximately 75 times / hr. In addition, for Skype applications, the iPhone was confirmed 30 times and the Android phone 93 times. For the MBCmini application, the iPhone was confirmed three times, and the Android phone was confirmed to be 285 times.
그리고 이러한 특정 푸쉬 어플리케이션으로 인한 잦은 무선 접속 시도로 인해 사람이 많이 모이는 지역의 경우, 패킷 시그널링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망 부하를 심하게 유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강남역 인근의 경우, 패킷 시그널링이 2010년의 경우 113만이었던 것에 반해 2011년에는 215만으로 1600%가 증가하였다.And, due to frequent wireless connection attempts due to this specific push application, packet signaling is rapidly increased in a region where many people are gathering, which causes severe network load. For example, in the vicinity of Gangnam Station, packet signaling increased by 1,600% to 2.15 million in 2011 compared to 1.13 million in 2010.
따라서, 잦은 무선 접속 시도 횟수는 망 부하를 유발하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Therefore, the frequency of frequent wireless connection attempts is becoming a serious problem causing network load.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주기적인 킵 얼라이브(keep alive) 메시지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푸쉬 서비스를 제공하는 푸쉬 서버,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ush server, an application server, and a terminal that provide an application server and a push service that are capable of blocking generation of a periodic keep alive message.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푸쉬 서버가 제공된다. 이러한 푸쉬 서버는 발신 단말에 설치된 푸쉬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로의 메시지 전송을 요청받으면 푸쉬 메시지를 발생시킴-로부터 상기 푸쉬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푸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코드 및 상기 푸쉬 메시지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ush server is provided. The push server includes: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push message from an application server interworking with a push application installed in a calling terminal, the application server generating a push message when a request for transmitting a message is sent from the calling terminal to the called terminal; A generating unit generating an execution code for executing the push application and a short message including the push message; And a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short message to the called terminal.
이때, 상기 수신부는, 특정 푸쉬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상기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가 포함된 푸쉬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특정 푸쉬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해당하는 실행 코드 및 상기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ceiving unit receives the push message including the specific push application information and the telephone number of the called terminal, and the generating unit generates the push appl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execu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push application information and the telephone number of the called terminal A short message can be generated.
또한, 상기 수신부는, 특정 푸쉬 어플리케이션 정보, 상기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 및 상기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가 포함된 푸쉬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특정 푸쉬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해당하는 실행 코드, 상기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 및 상기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may receive a push message including specific push application information, a telephone number of the calling terminal, and a telephone number of the called terminal, and the generating unit may generate an execu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push application information, A short message including the telephone number of the terminal and the telephone number of the called terminal can be generated.
또한, 상기 생성부는, 상기 특정 푸쉬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실행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The generating unit may generate an execution code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push application.
또한, 상기 단문 메시지는, 상기 착신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지 않고 단말 내부에서 처리되는 백그라운드 단문 메시지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hort message is a background short message processed in the terminal without being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alled terminal.
또한, 상기 생성부는, 상기 푸쉬 메시지의 크기를 기 정의된 임계 크기와 비교하여 상기 푸쉬 메시지의 크기가 상기 임계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에 패킷 서비스 연결 코드를 포함시키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상기 패킷 서비스 연결 코드에 따른 패킷 서비스 연결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푸쉬 메시지를 패킷 형태로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The generating unit compares the size of the push message with a predefined threshold size, and when the size of the push message exceeds the threshold size, the generating unit includes a packet service connection code in the short message, Receiving the packet service connection request according to the packet service connection code from the called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push message to the called terminal in packet form.
또한, 상기 패킷 서비스 연결 요청은, 상기 착신 단말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킵 얼라이브(Keep alive)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cket service connection request may include a keep alive message used by the called terminal to maintain a TCP / IP (Internet Protocol) connection with the application server.
또한, 상기 단문 메시지는, 상기 푸쉬 메시지에서 상기 임계 크기 미만의 크기에 해당하는 일부 메시지, 상기 실행 코드 및 상기 패킷 서비스 연결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상기 패킷 서비스 연결 코드에 따른 패킷 서비스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푸쉬 메시지의 나머지 메시지를 패킷 형태로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ort message may include a partial message corresponding to a size smaller than the threshold size, the execution code, and the packet service connection code in the push message, and the transmission unit may transmit the packet service connection code When the packet service connection request is received, the remaining message of the push message can be transmitted to the called terminal in packet form.
또한, 상기 단문 메시지는, 상기 실행 코드 및 상기 패킷 서비스 연결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상기 패킷 서비스 연결 코드에 따른 패킷 서비스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푸쉬 메시지를 패킷 형태로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The short message includes the execution code and the packet service connection code. When the packet service connection request according to the packet service connection code is received from the destination terminal, the transmission unit transmits the push message in packet form To the called terminal.
또한, 상기 전송부는, 상기 패킷 서비스 연결 요청에 포함된 상기 착신 단말의 단말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푸쉬 메시지를 패킷 형태로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Also, the transmitting unit may transmit the push message to the called terminal in a packet form using the terminal IP address of the called terminal included in the packet service connection request.
또한, 상기 전송부는, 상기 패킷 서비스 연결 요청에 상기 착신 단말의 단말 IP 주소가 포함되었는지 판단하여 포함된 경우, 상기 착신 단말의 단말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푸쉬 메시지를 패킷 형태로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고, 포함되지 않은 경우, 네트워크의 패킷 호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IP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packet service connection request is included in the packet service connection request, the transmitting unit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IP address of the called terminal is included in the packet service connection request and transmits the push message to the called terminal in packet form using the terminal IP address of the called terminal And if not, obtain the terminal IP address from the packet call control device of the network.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제공된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발신 단말에 설치된 푸쉬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로서,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메시지 전송을 요청받는 수신부; 및 상기 푸쉬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상기 푸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메시지 및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푸쉬 메시지를 생성하여 푸쉬 서버-상기 푸쉬 서버는 상기 푸쉬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함-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lication server is provided. The application server is an application server interworking with a push application installed in a calling terminal, the receiving server receiving a message transmission request from the calling terminal; And generating a push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push application, a message generated through the push application, and a telephone number of the called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push message to the called terminal by including the push message in a short message,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mobile st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단말이 제공된다. 이러한 단말은 실행 명령이 입력된 푸쉬 어플리케이션-상기 푸쉬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연동하여 푸쉬 서비스를 제공함-을 실행하는 실행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전송한 푸쉬 메시지를 수신하는 푸쉬 서버로부터 단문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실행 코드를 해석하여 상기 실행 코드에 따른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을 상기 실행부에게 전달하는 푸쉬 처리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is provided. The terminal includes an execution unit that executes a push application to which an execution command is input, the push application provides a push service in cooperation with an application server, And a push server that analyzes the executable code included in the short message and transmits an execution command of the specific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executable code to the execution unit when the shor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push server receiving the push message transmitted by the application server Processing unit.
또한, 상기 단문 메시지는 상기 실행 코드 및 상기 푸쉬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실행부는, 상기 푸쉬 처리부의 실행 명령에 따라 상기 특정 푸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상기 푸쉬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Also, the short message may include the execution code and the push message, and the execution unit may output the push message after executing the specific push appl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execution command of the push processing unit.
또한, 상기 실행 코드는 상기 특정 푸쉬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 처리부는, 상기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푸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을 상기 실행부에게 입력할 수 있다.The execution code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push application, and the push processing unit may input an execution command of the push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execution unit.
또한, 상기 푸쉬 처리부는, 상기 실행 코드를 해석하여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여부를 질의하는 수신 알림을 먼저 화면에 팝업하여 사용자의 실행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을 상기 실행부에게 전달할 수 있다.The push processing unit analyzes the execution code and pops up a reception notification for inquiring whether or not the specific application is executed first on the screen. When the execution execution selection signal of the user is input, the push processing unit issues an execution command of the specific application to the execution unit .
또한, 상기 푸쉬 처리부는, 상기 단문 메시지에 패킷 서비스 연결 코드가 포함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패킷 서비스 연결 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푸쉬 서버에게 패킷 서비스 연결 요청을 전송하여 상기 푸쉬 메시지를 패킷 형태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The push processing unit determines whether a packet service connection code is included in the short message. If the packet service connection code is included, the push processing unit transmits a packet service connection request to the push server to download the push message in a packet form can do.
또한, 상기 실행부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서 동시에 자동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패킷 서비스 연결을 설정하여 단말 IP 주소를 획득하고, 상기 푸쉬 처리부는, 상기 패킷 서비스 연결 요청에 상기 단말 IP 주소를 포함시킬 수 있다.Also, the execution unit may automatically connect to the network while executing the specific application to establish a packet service connection to obtain a terminal IP address, and the push processing unit may include the terminal IP address in the packet service connection request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푸쉬 메시지가 발생한 시점에 백그라운드 단문 메시지 형태로 푸쉬 메시지를 제공하므로, 단말이 푸쉬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네트워크와 TCP/IP 연결을 유지하지 않아도 되고 더불어 TCP/IP 연결 유지를 위한 킵 얼라이브(keep alive) 메시지의 사용을 금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킵 얼라이브(keep alive)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단말이 Idle 상태에서 Connect 상태로 무선연결 접속을 시도함에 따른 망 부하를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ush message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ackground short message at the time when the push message is generated, the terminal does not need to maintain the TCP / IP connection with the network in order to receive the push message, The use of a keep alive message may be prohibited. Accordingly, the network load due to a UE attempting to establish a wireless connection from an Idle state to a Connect state in order to transmit a keep alive message periodically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이 팝업하는 수신 알림의 메시지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이 전송한 푸쉬 메시지를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이 전송한 푸쉬 메시지를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푸쉬 서버가 푸쉬 메시지 패킷을 전송하는 과정을 자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1 is a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ush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alled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ample of a message of a reception notification that a called terminal pops 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 push message transmitted from a calling terminal to a called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 push message transmitted from a calling terminal to a called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n detail a process of transmitting a push message packet by the push server in FIG.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Also, the terms " part, "" module," and " module ", etc.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have.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 서버,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단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ush server, an application server,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도이다.1 is a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서버(100) 및 푸쉬 서버(200)는 전용망(미도시) 또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푸쉬 어플리케이션 사업자 측에 설치되고, 푸쉬 서버(200)는 통신 사업자 측에 마련될 수 있다. 또는 푸쉬 서버(200)는 어플리케이션 사업자 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또한, 어플리케이션 서버(100) 및 푸쉬 서버(2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발신 단말(400) 및 착신 단말(500)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The
여기서, 네트워크(300)는 인터넷망, 이동통신망을 통칭하며, 유선망, WiFi 무선망, 무선랜망, WCDMA망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이때,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발신 단말(400) 및 착신 단말(500)에 각각 설치된 푸쉬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며, 예를 들어, 카카오톡 어플리케이션 서버,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 서버 등이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여기서, 푸쉬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사용자에게 어떠한 알림 메시지나 이벤트를 알려주기 위해 푸쉬 서비스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이다.Here, the push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that uses a push service to notify an application user of a certain notification message or event.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해당 푸쉬 어플리케이션의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데, 가입자 별 단말의 전화번호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신 단말(400)이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연결이 설정되면,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가입자 정보를 통해 발신 단말(400)의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The
또한, 발신 단말(400) 및 착신 단말(500)은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푸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로서, 네트워크(3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이다. 예컨대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C)가 될 수 있다.The calling
이때, 착신 단말(500)은 발신 단말(400)이 푸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한 푸쉬 메시지를 푸쉬 서버(200)를 통해 수신한다. 이러한 푸쉬 서버(200)의 구성은 도 2를 통해 설명한다.At this time, the calling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ush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푸쉬 서버(200)는 수신부(210), 생성부(230) 및 전송부(250)를 포함하며, 각 구성 요소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2, the
수신부(210)는 발신 단말(400)에 설치 및 실행된 푸쉬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부터 푸쉬 메시지를 수신한다.The receiving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발신 단말(400)로부터 메시지 전송을 요청받는 수신부(110) 및 푸쉬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송부(130)를 포함한다.Here, the
수신부(110)는 발신 단말(400)과 TCP/IP 연결을 설정하고 푸쉬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된 메시지를 수신한다.The receiving
전송부(130)는 푸쉬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수신부(110)가 수신한 메시지 및 착신 단말(500)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푸쉬 메시지를 생성하여 푸쉬 서버(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푸쉬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는 푸쉬 어플리케이션 종류, 이름일 수 있다.The transmitting
이때, 전송부(130)는 푸쉬 메시지에 발신 단말(400)의 전화번호를 포함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여기서, 발신 단말(400)의 전화번호 및 착신 단말(500)의 전화번호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00)가 보유하는 가입자 정보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즉 발신 단말(400)로부터 푸쉬 어플리케이션에서 부여되는 발신자 및 착신자의 ID가 수신되면, 이러한 ID를 통해 발신 단말(400)의 전화번호 및 착신 단말(500)의 전화번호가 확인될 수 있다.Here, the telephone number of the calling
또한, 발신 단말(400)의 전화번호 및 착신 단말(500)의 전화번호는 MSISDN(Mobile Station International ISDN Number)일 수 있고, MSISDN은 국가코드, 네트워크 코드, 디렉토리 번호로 구성된다.The telephone number of the calling
한편, 푸쉬 서버(200)의 생성부(230)는 푸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코드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실행 코드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푸쉬 메시지를 포함하는 백그라운드 단문 메시지(Background SMS)를 생성하며, 이러한 백그라운드 단문 메시지는 단말에 설치된 SMS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메시지 내용이 바로 표시되지 않고, 단말 내부 동작으로 해당 메시지가 처리되는 타입이다. 즉 백그라운드 단문 메시지는 착신 단말(500)에 수신되더라도 화면에 표시되지 않고 착신 단말(500)의 내부에서 처리된다.Meanwhile, the
생성부(230)는 푸쉬 메시지에 포함된 발신 단말(400)의 전화번호 및 착신 단말(500)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백그라운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한다.The
이때, 생성부(230)는 수신부(210)가 수신한 푸쉬 메시지의 크기가 기 정의된 임계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패킷 서비스(Packet Service, 이하 'PS'로 통칭함) 연결 코드를 생성하여 백그라운드 단문 메시지에 추가한다.At this time, if the size of the push message received by the
여기서, 임계 크기는 단문 메시지의 최대 전송량인 140 바이트(byte)로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threshold size may be set to 140 bytes, which is the maximum transmission amount of the short message.
전송부(250)는 생성부(230)가 생성한 백그라운드 단문 메시지를 백그라운드 단문 메시지에 수록된 수신자인 착신 단말(500)로 전송한다. 이때, 전송부(250)는 네트워크(300)에 포함된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미도시)에게 백그라운드 단문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한다.The
또한, 전송부(250)는 PS 연결 코드가 수록된 백그라운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착신 단말(500)로부터 PS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푸쉬 메시지를 IP 패킷 형태로 착신 단말(500)로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the PS connec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called terminal 500 receiving the background short message containing the PS connection code, the
여기서, PS 연결 요청은 착신 단말(500)이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와 TCP/IP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킵 얼라이브(Keep alive) 메시지이거나 킵 얼라이브 메시지와 유사한 형식의 데이터 일 수 있다. 여기서, 킵 얼라이브 메시지는 TCP Null Data Packet이 이용될 수 있다.Here, the PS connection request may be a keep alive message used by the receiving
또한, PS 연결 요청은 착신 단말(500)의 단말 IP 주소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단말 IP 주소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전송부(250)는 네트워크(300)의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미도시)으로 단말 IP 주소를 조회하여 획득한다. 그리고 전송부(250)는 단말 IP 주소를 이용하여 푸쉬 메시지를 IP 패킷 형태로 착신 단말(500)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PS connection request may or may not include the terminal IP address of 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이 팝업하는 수신 알림의 메시지예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alled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xample of a message of a received notification that a called terminal pops up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착신 단말(500)은 저장부(510), 실행부(520), 표시부(530), 푸쉬 처리부(540), 입력부(550) 및 통신부(560)를 포함한다.3, the
저장부(510)는 하나 이상 예를 들어 n개의 푸쉬 어플리케이션(511)을 저장한다.The
실행부(520)는 저장부(510)에 저장된 n개의 푸쉬 어플리케이션(511) 중에서 푸쉬 처리부(530)로부터 입력된 실행 명령에 따라 특정 푸쉬 어플리케이션(511)을 실행시킨다. 그리고 실행부(520)는 실행된 푸쉬 어플리케이션의 결과에 대응되는 소프트웨어 로직 및 데이터를 렌더링(rendering) 및 파싱(parsing)하여 푸쉬 애플리케이션(511)의 표시화면을 생성하여 표시부(530)로 출력한다.The
이때, 실행부(520)는 푸쉬 처리부(540)가 푸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백그라운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푸쉬 메시지를 푸쉬 애플리케이션(511)의 표시화면을 통해 표시부(530)로 출력한다.The
여기서, 푸쉬 메시지는 발신 단말(100)이 전송을 요청한 메시지로서, 어플리케이션 서버(100)가 푸쉬 서버(200)로 전송한 메시지이다.Here, the push message is a message that the calling terminal 100 requests transmission, and is a message transmitted by the
표시부(530)는 착신 단말(500)의 동작에 따른 정보를 화면 상에 출력하며, 예컨대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푸쉬 처리부(540)는 푸쉬 서버(200)의 전송부(250)로부터 백그라운드 단문 메시지가 수신되면, 백그라운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실행 코드를 해석하여 이러한 실행 코드에 따른 특정 푸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실행부(520)로 요청한다.When a background shor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이때, 푸쉬 처리부(540)는 백그라운드 단문 메시지에 PS 연결 코드가 포함된 경우, 푸쉬 서버(200)로 PS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 그리고 푸쉬 서버(200)로부터 백그라운드 단문 메시지를 통해 수신하지 못한 푸쉬 메시지를 다운로드하여 실행부(520)로 전달한다. 여기서, 다운로드되는 푸쉬 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00)가 전송한 푸쉬 메시지 중에서 백그라운드 단문 메시지의 최대 전송량을 초과하는 나머지 메시지일 수 있다.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00)가 전송한 사진, 동영상 등이 포함된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형태의 전체 메시지 일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PS connection code is included in the background short message, the
또한, PS 연결 코드는 푸쉬 서버(200)의 IP 주소 및 접속 요청을 포함할 수 있고, 푸쉬 처리부(540)는 PS 연결 코드에 포함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PS 연결 요청을 푸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S connection code may include an IP address and a connection request of the
또한, 푸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서, 네트워크(300)에 접속하여 PS 연결 시도를 자동으로 하는 경우, 푸쉬 처리부(540)는 이러한 PS 연결 절차를 통해 획득한 단말 IP 주소를 PS 연결 요청에 포함시켜 푸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ush application is executed and the PS connection attempt is automatically made by accessing the
또한, 푸쉬 처리부(540)는 푸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을 실행부(520)로 전달하기 전에 먼저 수신 알림을 표시부(5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신 알림은 도 4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4를 참조하면, 푸쉬 처리부(540)는 "카카오톡의 홍길동에게서 메시지가 도착하였습니다. 카카오톡을 실행하겠습니까?"라는 문구가 표시된 수신 알림을 화면에 팝업한다. 그리고 수신 알림에는"확인"항목(601)이 포함되어 있어 사용자가 입력부(550)를 통해"확인"항목(601)을 선택하면, 푸쉬 처리부(540)는 카카오톡의 실행 명령을 실행부(520)로 전달한다.Referring to FIG. 4, the
이때, 푸쉬 처리부(540)는'카카오톡'(P1) 즉 특정 어플리케이션명은 실행 코드에 포함된 어플ID를 통해 확인하여 수신 알림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푸쉬 처리부(540)는'홍길동'(P3) 즉 발신자를 백그라운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발신자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수신 알림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푸쉬 처리부(540)는 단말 주소록(미도시)에 발신자 전화번호가 등록된 경우, 홍길동'(P3)과 같이 단말 주소록(미도시)에 등록된 발신자 이름을 수신 알림에 표시한다. 하지만, 단말 주소록(미도시)에 발신자 전화번호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 발신자 전화번호를 수신 알림에 표시한다.At this time, the
또한, 이상 설명한 푸쉬 처리부(540)는 착신 단말(500)에 이미 탑재된 SMS 어플리케이션 모듈(미도시)에 추가되는 새로운 모듈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통신부(560)는 네트워크(300)와의 접속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통신부(560)는 네트워크(300)에 접속하여 단말 IP 주소를 할당받고,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와 TCP/IP 연결을 설정한다.The
지금까지 설명한 구성을 토대로 발신 단말이 전송한 푸쉬 메시지를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 series of processes for transmitting the push message transmitted by the calling terminal to the called terminal based on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IG.
이때, 도 1 ~ 도 4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Here,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in Figs. 1 to 4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이 전송한 푸쉬 메시지를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 push message transmitted from a calling terminal to a called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발신 단말(400)은 사용자가 실행 명령을 입력한 특정 푸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S101)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와 TCP/IP 연결을 설정한다(S103).5, the calling
그리고 발신 단말(400)은 사용자가 특정 푸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한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 전송한다(S105).Then, the calling
이때, 발신 단말(400)은 착신 단말(500)의 전화번호를 메시지의 전송 요청시 함께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alling
그러면,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발신 단말(400)이 요청한 메시지를 포함하는 푸쉬 메시지를 푸쉬 서버(200)로 전송한다(S107).Then, the
이때,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S101 단계에서 실행된 푸쉬 어플리케이션 종류(예, 어플리케이션명) 및 착신 단말(500)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푸쉬 메시지를 전송한다. 혹은 기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통해 발신 단말(400)의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푸쉬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다음, 푸쉬 서버(200)의 생성부(230)는 S107 단계에서 수신부(210)가 수신한 푸쉬 메시지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종류에 해당하는 특정 푸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코드를 생성한다(S109).Next, in step S107, the
이때, 실행 코드는 특정 푸쉬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및 실행 명령을 포함하거나 특정 푸쉬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만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ecutable code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specific push application and an execution command, or may include only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specific push application.
다음, 푸쉬 서버(200)의 생성부(230)는 S109 단계에서 생성된 실행 코드 및 S107 단계에서 생성된 푸쉬 메시지를 포함하는 백그라운드 단문 메시지를 생성(S111)하고, 전송부(250)착신 단말(500)로 전송한다(S113).Next, the
여기서, S111 단계에서 생성되는 백그라운드 단문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Here, the background short message generated in step S111 may be implemented as follows.
[background:어플ID:(단문메세지)]
[background: App ID: (short message)]
따라서, 푸쉬 서버(200)의 생성부(230)는 복잡한 실행 코드 대신 어플ID와 단문메세지를 포함하는 백그라운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러한 백그라운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착신 단말(500)의 푸쉬 처리부(540)는 어플 ID에 해당하는 푸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실행부(520)로 요청한다.Therefore, the
한편, 착신 단말(500)의 푸쉬 처리부(540)는 S113 단계에서 수신한 백그라운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실행 코드를 해석(S115)하여 수신 알림(600)을 일단 화면에 팝업(117)한다.Meanwhile, the
그리고 사용자가 실행을 선택(S119)하면, 해당 푸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121).When the user selects execution (S119), the corresponding push application is executed (S121).
그러면, 실행부(520)는 푸쉬 처리부(540)가 요청한 특정 푸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S113 단계에서 수신한 백그라운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푸쉬 메시지를 출력한다(S123).Then, th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이 전송한 푸쉬 메시지를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도 5에서 S107 단계 이후의 다른 실시예를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따라서, 도 5에서 S101~S105 단계도 동일하게 수행하나 그 단계는 생략하였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 push message transmitted from a calling terminal to a called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teps S101 to S105 ar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but the steps are omitted.
도 6을 참조하면, 푸쉬 서버(200)의 수신부(210)가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부터 푸쉬 메시지를 수신한다(S201).Referring to FIG. 6, the receiving
푸쉬 서버(200)의 생성부(230)는 S201 단계에서 수신된 푸쉬 메시지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종류에 해당하는 특정 푸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코드를 생성한다(S203).The generating
이때, 푸쉬 서버(200)의 생성부(230)는 S201 단계에서 수신된 푸쉬 메시지의 크기를 확인(S205)한다. 그리고 푸쉬 메시지의 크기가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207). 예를 들어, 임계값은 단문 메시지의 최대 전송량에서 실행코드를 비롯한 백그라운드 단문 메시지에 기본적으로 포함되는 코드를 제외한 나머지 전송량으로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다음, 푸쉬 서버(200)의 생성부(230)는 S207 단계에서 푸쉬 메시지 크기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PS 연결 코드를 생성한다(S209).Next, in step S207, the
그리고 S203 단계에서 생성된 실행 코드, S201 단계에서 수신한 푸쉬 메시지 및 S209 단계에서 생성된 PS 연결 코드를 포함하는 백그라운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한다(S211).In step S211, a background short message including the execution code generated in step S203, the push message received in step S201, and the PS connection code generated in step S209 is generated.
반면, 푸쉬 서버(200)의 생성부(230)는 S207 단계에서 푸쉬 메시지 크기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S203 단계에서 생성된 실행 코드, S201 단계에서 수신한 푸쉬 메시지를 포함하는 백그라운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한다(S213).On the other hand, when the size of the push message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in step S207, the
그러면, 푸쉬 서버(200)의 전송부(250)는 S211 단계 또는 S213 단계에서 생성된 백그라운드 단문 메시지를 착신 단말(500)로 전송한다(S215).Then, the transmitting
그러면, 착신 단말(500)의 푸쉬 처리부(540)는 S215 단계에서 수신한 백그라운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실행 코드를 해석(S217)하여 수신 알림(600)을 화면에 팝업(219)한다.Then, the
그리고 사용자가 실행을 선택(S221)하면, 해당 푸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223).When the user selects execution (S221), the corresponding push application is executed (S223).
이때, 푸쉬 처리부(540)는 S215 단계에서 수신한 백그라운드 단문 메시지에 PS 연결 코드의 포함 유무를 판단(S225)하여 포함된 경우로 판단되면, 푸쉬 서버(200)에게 PS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S227).At this time, the
그러면, 푸쉬 서버(200)의 전송부(250)는 푸쉬 메시지 패킷을 착신 단말(500)로 전송한다(S229).Then, the transmitting
착신 단말(500)은 S215 단계에서 수신한 백그라운드 단문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푸쉬 메시지 또는 S229 단게에서 수신한 푸쉬 메시지를 화면에 출력한다(S231).The
도 7은 도 6에서 푸쉬 서버가 푸쉬 메시지 패킷을 전송하는 과정을 자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n detail a process of transmitting a push message packet by the push server in FIG.
도 7을 참조하면, 푸쉬 서버(200)의 전송부(250)는 PS 연결 요청이 착신 단말(500)로부터 수신(S301)되면, 단말 IP 주소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S303)한다.Referring to FIG. 7, when the PS connec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destination terminal 500 (S301), the transmitting
이때, 단말 IP 주소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푸쉬 서버(200)의 전송부(250)는 GGSN(미도시)에게 단말 IP 주소를 조회(S305)한다.At this time, if the terminal IP address is not received, the transmitting
그러면, 푸쉬 서버(200)의 전송부(250)는 S301 단계에서 수신한 PS 연결 요청에 포함된 단말 IP 주소 또는 S305 단계에서 조회한 단말 IP 주소로 푸쉬 메시지를 IP 패킷 형태로 전송한다(S307).Then, the transmitting
그러면, 실행부(520)는 다운로드한 푸쉬 메시지를 출력한다(S309).Then,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implemented only by the apparatus and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111367AKR101945361B1 (en) | 2011-10-28 | 2011-10-28 | Push server, application server and terminal unit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111367AKR101945361B1 (en) | 2011-10-28 | 2011-10-28 | Push server, application server and terminal unit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30046787A KR20130046787A (en) | 2013-05-08 |
| KR101945361B1true KR101945361B1 (en) | 2019-02-07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10111367AActiveKR101945361B1 (en) | 2011-10-28 | 2011-10-28 | Push server, application server and terminal unit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945361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468463B1 (en)* | 2013-06-14 | 2014-12-03 | 주식회사 미라넷 | Equipment and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service |
| KR20150032018A (en) | 2013-09-17 | 2015-03-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nformation Transmitting Of The Same, Information Transmitting System |
| KR101516956B1 (en)* | 2013-10-11 | 2015-05-04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Terminal Equipment,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process message |
| KR101479166B1 (en)* | 2013-12-11 | 2015-01-05 |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 Push notification system based on smart work |
| KR20150142501A (en)* | 2014-06-12 | 2015-12-22 |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call processing |
| CN107278319A (en)* | 2015-02-23 | 2017-10-20 | 株式会社危机管理系统 | The sensory perceptual system of intrusion in advance and distress signal reporting chain and its method serviced using SMS notificatio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620333B1 (en)* | 2005-09-15 | 2006-09-06 | (주)인트로모바일 | MMS transmission processing verification system and verification method using network |
| KR100788245B1 (en)* | 2006-10-19 | 2007-12-27 | (주)인트로모바일 | Integrated push service system and method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620333B1 (en)* | 2005-09-15 | 2006-09-06 | (주)인트로모바일 | MMS transmission processing verification system and verification method using network |
| KR100788245B1 (en)* | 2006-10-19 | 2007-12-27 | (주)인트로모바일 | Integrated push service system and method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30046787A (en) | 2013-05-08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945361B1 (en) | Push server, application server and terminal unit | |
| US897119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changing the monitoring of a cellular data connection | |
| US7711782B2 (en) | Event notificat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 |
| EP3379777B1 (en)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use in forwarding short message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 |
| US20130132573A1 (en) | Delivery Of A Communication Event | |
| WO2019192731A1 (en) | Determining remote unit behavior parameters | |
| TWI451782B (en) | Communication management feature | |
| US20100109901A1 (en) | Methods and Systems to Hold Functions on a Device After an Identifier is Determined | |
| EP3226481A1 (en) | Method for heartbeat packet processing by using proxy, apparatus, and communications system | |
| US9654945B2 (en) | Electronic device with message handling functions | |
| KR101896573B1 (en) | Push server and mobile unit | |
| CN101820603A (en) |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calling user to called user 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
| KR20090114421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hotlining in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 | |
| EP4287016B1 (en) | Method, user equipment, and application server for downloading application | |
| CN104113620A (en) | Contact list updating method, updating device and user terminal | |
| KR101416339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user identification in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 |
| JP5997198B2 (en) | Terminal management apparatus,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 |
| US8958781B2 (en) | Sending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ing a joint services account | |
| US20050181766A1 (en) | Method and device for delivering messages to mobile terminal devices in accordance with a user selectable attainability status | |
| GB2514093A (en) | Receiving a communication event | |
| EP2597826B1 (en) | Delivery of a communication event | |
| KR101000551B1 (en) | Method and system for setting up notification of incoming multimedia message | |
| CN105722041B (en) | Method and terminal for connecting multimedia message agent | |
| WO2017017578A1 (en) | Method and devices for providing missed call alerts | |
| KR100622907B1 (en) | Multimedia message service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11028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PA02012R01D Patent event date:20161027 Comment text: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111028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80619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81106 Patent event code:PE09021S02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190117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190129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190129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11222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21221 Start annual number:5 End annual number: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31227 Start annual number:6 End annual number: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41226 Start annual number:7 End annual number: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