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1927930B1 - Ventilation seat including multi- resin layer - Google Patents

Ventilation seat including multi- resin la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930B1
KR101927930B1KR1020160141179AKR20160141179AKR101927930B1KR 101927930 B1KR101927930 B1KR 101927930B1KR 1020160141179 AKR1020160141179 AKR 1020160141179AKR 20160141179 AKR20160141179 AKR 20160141179AKR 101927930 B1KR101927930 B1KR 101927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air
foam pad
sheet fabr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1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46209A (en
Inventor
강신혁
김대원
박재국
윤선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filedCritical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1179ApriorityCriticalpatent/KR101927930B1/en
Publication of KR20180046209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80046209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930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1927930B1/en
Active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은 수지공기차단층을 포함하는 통기성 시트는 공기가 유동하는 통기홈이 형성된 폼패드, 상기 폼패드의 전면에 배치되는 통기성 시트원단, 상기 시트원단의 표면에 구비되어 시트원단을 통과하는 공기를 차단하는 수지공기차단층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permeable sheet comprising a resin air-blocking layer, a foam pad having a venting groove through which air flows, an air-permeable sheet fabric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oam pad, And a resin air barrier layer intercepting the resin.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다수의 수지층을 포함하는 통기성 시트{VENTILATION SEAT INCLUDING MULTI- RESIN LAYER}VENTILATION SEAT INCLUDING MULTI-RESIN LAYER < RTI ID = 0.0 >

본 발명은 다수의 수지층이 코팅된 통기성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기홈을 가지는 폼시트 및 수지가 나염된 섬유원단을 이용하여 섬유원단에 사용자가 원하는 통기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수지층을 포함하는 통기성 시트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eathable sheet having a plurality of resin layers coated there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eathable sheet having a plurality of resin layers coated with a foam sheet having a ventilation groove and a resi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eathable sheet comprising a ground layer.

최근 차량용 시트는 탑승자에 쾌적한 운전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이 탑재된다. 특히 탑승자가 시트에 장기간 탑승하는 경우, 탑승자와 시트 사이의 장기간 접촉에 의하여 땀이 발생하여 탑승자의 쾌적함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Background Art [0002] In recent years, a variety of functions for providing a comfortable driving environment to a passenger are mounted on a vehicle seat. Particularly, when the occupant is aboard a seat for a long period of time, sweating occurs due to long-term contact between the occupant and the seat, which hinders the comfort of the occupant.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시트의 표면을 통하여 바람을 통풍시켜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ventilating the wind through the surface of the sheet.

도 1은 종래의 차량에 제공되는 통기성 시트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2는 도1의 측면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통기성 시트(1)는 폼패드(2), 시트(3) 및 송풍장치(4)를 포함한다.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breathable seat provided in a conventional vehicle, and Fig. 2 is a side view of Fig. 1. Fig. 1 and 2, a general air-permeable sheet 1 includes afoam pad 2, asheet 3 and ablower 4. [

폼패드(2)는 차량용 시트(1)의 전체적인 형태를 결정하고, 통기를 위한 홈(2a)이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통기를 위한 홈(2a)는 최적 유동경로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폼패드(2)의 후방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송풍장치에 의하여 제공되는 바람은 홈(2a) 및 시트(3)을 통하여 사용자에 제공된다.Thefoam pad 2 generally determines the overall shape of the vehicle seat 1, and agroove 2a for ventilation is generally formed. Thegrooves 2a for ventilation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in consideration of an optimum flow path and the like. The wind provided by various blowing devices provided at the rear of thefoam pad 2 may be formed in thegrooves 2a and the sheet 3). ≪ / RTI >

그리고 송풍장치는 폼패드(2)의 후방에서 바람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차량의 에어컨디셔너를 통하여 공급되는 찬 공기가 공급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별도의 송풍장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The air blowing device may be provided to supply cold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conditioner of the vehicle as a means for providing wind at the rear of thefoam pad 2, or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blowing device.

그리고 시트(3)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천연가죽, 인조가죽, 다양한 섬유원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가죽류의 경우 탑승자와 접촉을 하는 부위에 통기를 위한 다수의 홀을 펀칭 등의 방법으로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여 탑승자에 바람을 제공한다.Thesheet 3 may be a generally used natural leather, artificial leather, various kinds of textile fabrics, or the like. In the case of leather, a plurality of holes for ventilation are formed in various portions by punching or the like to provide air to the passenger at a portion contacting the passenger.

한편, 직염, 날염, 부직포 등의 섬유원단 및 소재의 특성상 통기가 가능한 섬유원단의 경우 통기를 위한 홈 등의 추가 가공이 없더라도 후면에서 제공되는 공기가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fiber fabric such as a flat yarn, a printing fabric, a nonwoven fabric and the like, in the case of a ventilated fiber fabric, air supplied from the back side can be supplied to the user without further processing such as ventilation.

그러나 상기의 통기성 소재의 경우 소재 자체의 특성에 따라 통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착석 상태 등을 고려한 효율적인 통기를 하기 위해서는 내부의 별도의 통기유로 형성을 위한 파이프 형태의 비닐, 플라스틱 성형물 등의 부재를 구비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breathable material, since the ventil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itself, in order to efficiently ventilate the seat occupied by the user, a member such as a pipe- There is a problem that it must be provided.

또한, 효율적인 바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폼패드의 통기홈의 형상을 정밀하게 가공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이 경우 폼패드의 소재적인 특성상 미세 공기홈의 형성이 어려워 미세홀로 이루어진 통기유로 등은 구현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 역시 존재한다.In order to provide efficient airflow to the user, there is a method of precisely shaping the shape of the vent groove of the foam pad. However, in this case, because of the material characteristic of the foam pad, it is difficult to form a fine air groove,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implementation is not easy.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701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77019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액상의 수지 도포 공정을 활용하여 별도의 추가 공정 또는 추가적인 구성 없이 통기홀을 구현하여 통기성이 있는 차량용 섬유시트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ntilation hole without any additional process or additional configuration utilizing a liquid resin coating process, .

또한, 발포수지층의 패턴 및 폼패드의 통기홈의 패턴을 활용하여 기존의 공정을 유지하면서도 보다 정밀하고 다양한 형태 및 패턴의 통기홀을 구현하여 탑승자에 효과적인 통기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통기성 시트를 제공함에 있다.Further, by utilizing the pattern of the foamed resin layer and the pattern of the ventilation grooves of the foam pad, a breathable sheet capable of providing more effective ventilation effect to the passenger by realizing the ventilation holes of more various forms and patterns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process .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기성 시트는 공기가 유동하는 통기홈이 형성된 폼패드, 상기 폼패드의 전면에 배치되는 통기성 시트원단, 상기 시트원단의 표면에 구비되어 시트원단을 통과하는 공기를 차단하는 수지공기차단층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reathable sheet comprising: a foam pad having a venting groove through which air flows; a breathable sheet fabric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foam pad; And a resin air barrier layer intercepting the resin.

여기서 상기 수지공기차단층은 상기 통기홈의 일부를 차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Wherein the resin air barrier layer may be arranged to shield a part of the ventilation groove.

그리고 상기 수지공기차단층의 상기 통기홈 상면의 일부를 차폐하는 영역에는 통기홀이 형성될 수 있다.And a vent hole may be formed in a region shielding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vent hole of the resin air barrier layer.

또한, 상기 수지공기차단층은 상기 섬유원단과 상기 폼패드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in air barrier layer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ber fabric and the foam pad.

그리고 상기 통기홈은 제1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복수 개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수지공기차단층은 제1방향과 소정각도를 형성하는 제2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통기홈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And a plurality of ventilation grooves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rein the resin air-blocking layer is elongated in a second direction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direction,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수지공기차단층은 상기 통기홈 상면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통기홈 상면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resin air-blocking layer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vent groove and positioned in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vent groove.

그리고 상기 수지공기차단층은 상기 통기홈 상면의 둘레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And the resin air barrier layer may be disposed so as to cover the peripher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vent groov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기성 시트는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the breathabl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지층이 구비된 섬유원단의 수지패턴 및 폼패드의 통기홈의 형태 및 배치를 조합하여 사용자에 적합한 통기유로의 조합을 도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First, the combination of the resin pattern of the fiber fabric with the resin layer generally used and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ventilation grooves of the foam pad can be combined to provide a combination of ventilation channels suitable for the user.

둘째, 통기성 시트원단에 수지층을 배면에 배치하여 폼패드와 시트원단과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수지층의 패턴을 노출시키지 않으면서도 통기홀을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Second, the resin layer is disposed on the back face of the breathable sheet fabric to prevent slippage between the foam pad and the sheet fabric, and the vent hole can be formed without exposing the pattern of the resin layer to the user .

셋째, 통기성 시트원단에 수지층을 전면에 배치하여 일반적인 수지가 도포된 시트원단과 같이 심미적인 효과를 구현하면서, 폼패드의 통기홈과의 배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통기홀을 시트원단 표면에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ird, a ventilation hole of various shapes can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heet fabric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ventilation groove with the ventilation groove, while the resin layer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entilation sheet to provide an aesthetic effect similar to that of a sheet-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1은 종래기술의 통기성 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도1의 측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수지공기차단층이 도포된 시트원단의 사시도;
도4은 도3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원단에 수지공기차단층을 패터닝 하는 과정에 대한 순서도;
도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시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7은 상기 도5의 통기성 시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8은 수지공기차단층(30)이 시트원단(20)의 후면 도포된 상태의 차량용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9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통기성 시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0은 상기 도8의 통기성 시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의 시트원단의 수지공기차단층 및 유동홀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air permeable sheet;
Fig. 2 is a side sectional view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eet fabric to which the resin air barrier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Fig. 3; Fig.
5 is a flow diagram of a process of patterning a resin air barrier layer on a sheet fabr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reathable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reathable sheet of FIG. 5 is engaged;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ehicle seat in a state in which the resinair barrier layer 30 is applied to the rear side of theseat fabric 20;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reathable sheet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reathable sheet of Fig. 8 is engaged;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a resin air barrier layer and a flow hole of a sheet fabric 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통기성 시트는 시트원단에 형성되는 수지층의 패턴 및 폼패드에 형성되는 통기홈의 형태 및 통기홈들의 배치를 조합하여 섬유원단을 사용하는 통기성 시트에 다양한 통기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The breathabl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the pattern of the resin layer formed on the sheet fabric and the shape of the vent groove formed in the foam pad and the arrangement of the vent grooves so as to form various ventilation patterns on the breathable sheet using the fiber fabric.

시트원단에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수지층이 나염될 수 있다. 특히 최근 발포성 수지를 다양한 종류의 원단에 패터닝하여 입체적인 미감을 주는 원단이 상용화되어 있고, 효과적인이고 다양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이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기능의 수지층 중 발포성 수지가 나염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The sheet fabric may be coated with a resin layer having various functions. Particularly, recently, fabrics for imparting stereoscopic feel by patterning various kinds of foamed resin to a foamed resin have been commercialized, and various methods for forming effective and various patterns are known.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explanation will be given on the basis of the fact that the foamable resin among the resin layers of various functions is blown.

본 발명에서의 원단으로는 다양한 종류의 원단이 사용될 수 있고, 통기가 되는 다양한 종류의 원단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적용가능한 원단에 종류 등에 대하여는 후술한다.Various types of fabrics can be used as the fabric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types of fabrics to be ventilated will be described. The types of fabric that can be specifically applied will be described later.

도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터닝된 시트원단 및 수지공기차단층의 단면도이고, 도4은 도2의 단면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tterned sheet fabric and a resin airblock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도3 및 도4을 참조하면, 본 실싱예에서의 시트원단(20)으로는 기재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천연가죽, 인조가죽, 인공가죽,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직포, 부직포 또는 편포,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필름, 메쉬 원단 등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3 and 4, thesheet fabric 20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function as a base material. For example, natural leather, artificial leather, A woven fabric made of synthetic fibers, a nonwoven fabric or a woven fabric, a film made of a synthetic resin, a mesh fabric, or the like.

수지공기차단층(30)은 접착층(31), 평탄층(32), 발포층(33), 칼라도포층(34) 및 표면처리층(35)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수지층로는 발포수지 외에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수지층이 채택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발포수지를 활용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Theresin airblock layer 30 includes anadhesive layer 31, aflat layer 32, afoam layer 33, acolor coating layer 34 and asurface treatment layer 35.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a resin layer having various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foamed resin may be employed as the resin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foamed resin is used will be described.

접착층(31)은 피인쇄물인 원단 등과 평탄층과의 접착 성능을 강화하는 층이다. 상기 접착층은 폴리우레탄 20~60 중량%, 물 40~80 중량%, 증점제 0 초과 내지 5 미만 중량% 및 보조 첨가제 0 초과 내지 5 미만 중량%를 포함하는 접착층용 도포 조성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adhesive layer 31 is a layer for enhancing the adhesive performance between the substrate or the like, which is an object to be printed, and the flat layer. Th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from a coating composition for an adhesive layer comprising 20 to 60 wt% of polyurethane, 40 to 80 wt% of water, 0 to less than 5 wt% of a thickener, and 0 to less than 5 wt% of an auxiliary additive.

상기 접착층용 도포 조성물을 구성하는 보조 첨가제로는 가교제 및 소포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교제 및 소포제는 1:3 ~ 3:1의 중량 비율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교제로는 예를 들어 4,4-디페닐메탄, 디소시네이트, 에폭시 실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포제로는 미네랄 오일계 소포제 또는 실리콘계 소포제를 사용할 수 있다.As an auxiliary additive constituting the coating composition for an adhesive layer, a crosslinking agent and a defoaming agent may be used. The crosslinking agent and defoaming agent may be used in a weight ratio of 1: 3 to 3: 1. As the crosslinking agent, for example, 4,4-diphenylmethane, disocyanate, epoxy silan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defoaming agent, a mineral oil defoaming agent or a silicone defoaming agent may be used.

평탄층(32)은 원단 등의 조직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굴곡 부분을 메꾸고 평탄화시켜 추가로 적층 또는 인쇄할 층의 적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층이다. 상기 평탄층은 폴리우레탄 35~45 중량%, 물 50~70 중량% 및 보조 첨가제 1~10 중량%를 포함하는 평탄층용 도포 조성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planarizing layer 32 is a layer for covering and blanching the curvature that may be caused by the texture of the fabric or the like to facilitate further stacking of layers to be laminated or printed. The flat layer may be formed of a coating composition for a flat layer containing 35 to 45% by weight of polyurethane, 50 to 70% by weight of water and 1 to 10% by weight of an auxiliary additive.

상기 평탄층용 도포 조성물을 구성하는 보조 첨가제로는 경화제, 가교제 및 소포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교제 및 소포제는 1:3 ~ 3:1의 중량 비율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교제로는 예를 들어 4,4-디페닐메탄, 디소시네이트, 에폭시 실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포제로는 미네랄 오일계 소포제 또는 실리콘계 소포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화제로는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4:1 ~ 6: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auxiliary additive constituting the coating composition for a flat layer, a curing agent, a crosslinking agent and a defoaming agent may be used. The crosslinking agent and defoaming agent may be used in a weight ratio of 1: 3 to 3: 1. As the crosslinking agent, for example, 4,4-diphenylmethane, disocyanate, epoxy silan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defoaming agent, a mineral oil defoaming agent or a silicone defoaming agent may be used. The curing agent may be a mixture of aliphatic polyisocyanate and ethyl acetate in a weight ratio of 4: 1 to 6: 1.

발포층(33)은 외장재에 입체감을 부여하는 층으로서, 가열 가압시에 발포층 내부에서 발포가 일어나 입체감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발포층은 폴리우레탄 10~40 중량%, 물 35~90 중량%, 발포제 1~20 중량% 및 보조 첨가제 1~5 중량%를 포함하는 발포층용 도포 조성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foam layer 33 is a layer which imparts a three-dimensional effect to the casing, and foam can be generated in the foam layer during heating and pressing to form a three-dimensional feeling. The foamed layer may be formed by a coating composition for a foamed layer comprising 10 to 40% by weight of polyurethane, 35 to 90% by weight of water, 1 to 20% by weight of a foaming agent and 1 to 5% by weight of an auxiliary additive.

상기 발포층은 요구되는 입체감 수준에 따라 발포층용 도포 조성물의 도포 회수를 여러 회 반복하여 입체감을 더욱 형성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조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foam layer may be formed by various known compositions capable of form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by repeating the application of the coating composition for the foam layer several times according to the required level of dimensional sensibility.

칼라 도포층(34)은 입체감을 형성하는 발포층의 상부에 칼라 무늬와 같은 디자인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칼라 도포층은 폴리우레탄 20~40 중량%, 물 55~75 중량%, 안료 5~35 중량%, 증점제 0 초과 내지 5 미만 중량% 및 보조 첨가제 0 초과 내지 5 미만 중량%를 포함하는 칼라 도포층용 도포 조성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color coating layer 34 may exhibit a design effect such as a collar pattern on the upper part of the foam layer forming the three-dimensional effect. Wherein the color coating layer comprises a color application comprising from 20 to 40% by weight of polyurethane, from 55 to 75% by weight of water, from 5 to 35% by weight of pigment, from 0 to less than 5% by weight of a thickener and from 0% Layer coating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외장재에 다양한 디자인적인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수개의 칼라 도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칼라 도포층용 도포 조성물을 구성하는 안료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는다.In addition, several color coating layers may be formed to give various design effects to the exterior materi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ype of the pigment constituting the coating composition for a color coating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표면 처리층(35)은 칼라 도포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표면 처리층은 폴리우레탄 20~60 중량%, 물 40~80 중량%, 증점제 0 초과 내지 5미만 중량% 및 보조 첨가제 1~10 중량%를 포함하는 표면 처리층용 도포 조성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surface treatment layer 35 serves to protect the color coating layer. The surface treatment layer may be formed by a coating composition for a surface treatment layer comprising 20 to 60 wt% of polyurethane, 40 to 80 wt% of water, 0 to less than 5 wt% of a thickener, and 1 to 10 wt% of an auxiliary additive .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원단에 수지공기차단층을 패터닝하는 과정에 대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atterning a resin air barrier layer on a sheet fabric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를 참조하면, 우선 다양한 종류의 시트원단(20)에 디자인 및 후술하는 폼패드(20)의 통기홈(20a)와의 배치에 따른 유동홀(1a, 1b, 1c)등을 고려하여 패턴을 형성하여야 하는 영역을 설정한다.5, a pattern is formed on various types ofsheet fabrics 20 in consideration of design and flowholes 1a, 1b, 1c and the like in accordance with the arrangement of afoam pad 20 with a vent groove 20a And sets the area to be formed.

그리고 통기성이 있는 시트원단(20)을 통하여 각 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포되는 약제들이 시트원단을 통하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부에 형성되는 층들의 접착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접착층(31)을 패터닝된 영역의 상면에 도포한다(S10).And theadhesive layer 31 is applied to the patternedarea 31 to provide the adhesive force of the layers formed on the top while preventing the medicaments applied to form each layer through thebreathable sheet fabric 20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sheet fabric (S10).

그리고 접착층의 상부에 기재의 특성 등에 따라 발생하는 굴곡 등을 매워 각 층의 평활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평단화층(32)을 도포한다(S20).Then, theflattening layer 32 is applied (S20) in order to increase the flattening force of each layer by bending the upper part of the adhesive layer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strate or the like.

그리고 시트원단에 입체감을 부여하기 위한 발포층(33)을 도포하고(S30), 디자인적 효과를 고려하여 발포층에 색감이나 무늬를 부여하는 칼라 도포층을 도포한다(S40).Then, afoam layer 33 for apply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to the sheet fabric is applied (S30), and a color coating layer for imparting color and pattern to the foam layer is applied in consideration of the design effect (S40).

이후, 물리적 마찰로 칼라도포층이 상해입는 것을 방지하고, 화학적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표면처리층(35)를 도포한다(S50).Then, thesurface treatment layer 35 is applied (S50) in order to prevent the color coating layer from being injured by physical friction and to increase the chemical durability.

표면처리층(35)까지 도포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각 층들의 안정화 및 이후 공정인 열간 압착에 의한 발포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원단에 형성된 수지층들이 30℃~100℃에서 2시간 내지 72시간 동안 열풍으로 건조하여 숙성시키는 단계(S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S60).In order to stabilize each layer selectively in a state of being coated up to thesurface treatment layer 35 and to facilitate foaming by hot pressing as a subsequent process, the resin layers formed on the fabric are heated at 30 ° C to 100 ° C for 2 to 72 hours, (S60), which is then dried and aged (S60).

그리고 발포층(33)의 발포를 위한 열간 압착 단계(S70)가 수행되고, 상기 열간 압착하는 단계는 100~150℃의 온도에서 3 ~ 30초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t pressing step S70 for foaming thefoam layer 33 is performed and the hot pressing step is preferably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100 to 150 DEG C for 3 to 30 seconds.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체 무늬를 가진 외장재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발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칼라 도포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표면 처리층의 형성 전에 2 ~ 10회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facing material having a three-dimensional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forming the foam layer and the step of forming the color coating layer are preferably repeated 2 to 10 times before the formation of the surface treatment layer.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체 무늬를 가진 외장재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발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칼라 도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경우 발포층 및 칼라 도포층이 각각 적어도 2개층 이상 형성 되어, 발포층에 의한 입체감 형성 및 칼라 도포층에 의한 다양한 디자인적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asing having a three-dimensional patter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forming the foam layer and forming the color coating layer are repeated, at least two foam layers and at least two color coating layers are formed, It is possible to maximize various design effects by form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by the foam layer and by the color coating layer.

또한, 상기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평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발포층을 형성하는 단계, 칼라 도포층을 형성하는 단계 또는 표면 처리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접착층용 도포 조성물, 평탄층용 도포 조성물, 발포층용 도포 조성물, 칼라 도포층용 도포 조성물 또는 표면 처리층용 도포 조성물의 도포 후 건조 온도는 50~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건조 시간은 1분 내지 5분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ating composition for an adhesive layer, the coating composition for a flat layer, the foaming agent for forming a foam layer in the step of forming the adhesive layer, the step of forming a flat layer, the step of forming a foam layer, The drying temperature after application of the coating composition for a layer, the coating composition for a color coating layer or the coating composition for a surface treatment layer is preferably 50 to 150 ° C, and the drying time is preferably 1 to 5 minutes.

그리고 상기 접착층용 도포 조성물, 평탄층용 도포 조성물, 발포층용 도포 조성물, 칼라 도포층용 도포 조성물 또는 표면 처리층용 도포 조성물에 포함된 보조 첨가제는 광택 부여제, 소광제, 스크래치 방지제, 가교제, 경화제, 소포제, 슬립제, 열안정제, UV 안정제, 커플링제, 발포 조력제 및 분산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The auxiliary additive contained in the coating composition for an adhesive layer, the coating composition for a flat layer, the coating composition for a foamed layer, the coating composition for a color coated layer or the coating composition for a surface treatment layer may contain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gloss imparting agent, a quenching agent, a scratch inhibitor, A heat stabilizer, a UV stabilizer, a coupling agent, a foaming assistant, and a dispersing agent.

한편,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수지공기차단층을 도포하는 과정은 본 발명의 구현하기 위한 하나의 일반적인 공정이고, 상기 과정 중 소재, 도포층의 성질, 디자인적 요소 등을 고려하여 일정 공정이 생략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발포수지를 활용하여 시트원단에 입체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공개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process of applying the resin air barrier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 general proces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ertain process is omitted in consideration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the coating layer, and design factors during the process It will be possible. Further, various methods disclosed in order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feeling on the sheet fabric using the foaming resin may be applied.

도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시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7은 상기 도6의 통기성 시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reathable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reathable sheet of FIG. 6 is engaged.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상기의 패터닝된 섬유원단을 이용한 본 실시예의 통기성 시트(1)는 폼패드(10), 시트원단(20) 및 수지공기차단층(30)을 포함한다.6 and 7, the breathable sheet 1 of the present embodiment using the patterned fiber fabric includes afoam pad 10, asheet fabric 20, and a resinair barrier layer 30. [

폼패드(10)는 섬유원단(20)의 후면에 구비되어 차량용 시트의 전체적인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구성이고, 도시하지 않는 송풍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유동하기 위한 통기홈(10a)이 형성된다.Thefoam pad 10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fabric 20 so as to determine the overall shape of the vehicle seat. Thefoam pad 10 has aventilation groove 10a through which air supplied from an air blowing device (not shown) flows.

통기홈(10a)는 후술하는 시트원단(20)에 도포되는 수지공기차단층(30)과 함께 통기성 시트에 형성되는 유동홀(1a)의 형태 및 유동홀(1a)들의 패턴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인 유동홀(1a)의 형태 및 유동홀(1a)들의 패턴이 형성되는 내용은 후술한다.Theventilation groove 10a serves to form the pattern of the flow holes 1a formed in the air permeable sheet and the pattern of the flow holes 1a together with the resinair barrier layer 30 applied to thesheet fabric 20 do. The form of the specific flow hole 1a and the formation of the pattern of the flow holes 1a will be described later.

시트원단(20)은 폼패드(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전체 차량용 시트의 마감재 역할을 한다. 시트원단(20)으로 적용되는 다양한 소재 등에 대하여는 상기 설명을 하였으므로 이하 생략한다.Thesheet fabric 2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foam pad 10 and serves as a finishing material for the entire vehicle seat. Since various materials applied to thesheet fabric 20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omitted.

수지공기차단층(30)은 일반적으로는 시트원단(20)에 입체감 있는 디자인적 효과를 구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발명에서의 상기의 목적 이외에 시트원단(20)의 표면에 도포되어 시트원단을 통과하는 공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The resinair barrier layer 30 is generally used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design effect on thesheet fabric 20, but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sheet fabric 20 in addition to the above- And serves to cut of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heet fabric.

즉,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폼패드(10)의 통기홈(10a)의 형태 및 패턴과 수지공기차단층(30)의 형태 및 패턴에 따라 통기성 시트(1)에 다양한 형태의 유동홀(1a) 및 유동홀(1a)들에 의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shape and the pattern of theventilation groove 10a of thefoam pad 10 and the shape and the pattern of the resin air-blockinglayer 30 as described above, various shapes of the flow holes 1a and 1b are formed in the air- It is possible to form a pattern by the flow holes 1a.

본 실시예에서의 통기홈(10a)는 제1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복수 개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수지공가차단층(30)은 상기 제1방향과 소정각도를 형성하는 제2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복수 열의 통기홈(10a)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도6 참조).Thevent grooves 10a in this embodiment are elongat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vent grooves 10a are spaced apart by a certain distance. The resin balldifferential layer 30 is formed to be long in a second direction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direction, and is arranged to cross a plurality of rows ofvent grooves 10a (see FIG. 6).

구체적으로 통기홈(10a)은 통기성 시트(1)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형태가 전, 후 방향으로 복수 열 배치된다. 그리고 수지공기차단층(30)은 통기성 시트(1)의 전, 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형태가 좌, 우 방향으로 복수 열 배치된다.Concretely, theventilation grooves 10a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n the rectangular shape formed long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breathable sheet 1. [ The resinair barrier layer 30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shape of a rectangle elonga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air permeable sheet 1.

그리고 시트원단(20)은 상기 수지공기차단층(30)이 복수 열의 통기홈(10a)를 직교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배치되도록 폼패드(10)에 부착된다. 따라서 도6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정사각형 형태의 유동홀(1a)가 시트의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격자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esheet fabric 20 is adhered to thefoam pad 10 such that the resinair barrier layer 30 is arranged so as to cross the plurality of rows ofventilation grooves 10a in an orthogonal direction. Therefore, as can be seen from FIG. 6, it is confirmed that the square-shaped flow holes 1a are formed in a lattice shape in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heet.

유동홀(1a)이 이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가죽시트에 가공에 의하여 다수의 유동홀이 배치도는 형태와 유사한 형태의 유동홀(1a) 패턴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flow holes 1a are formed in this manner, the plurality of flow holes can be formed in the leather sheet to realize a flow hole 1a pattern similar to the shape of the flow holes.

한편, 수지공기차단층(30)은 시트원단(20)의 전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후면에 구현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sinair barrier layer 30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sheet fabric 20 or on the rear surface thereof.

전면에 구현되는 경우 통기성 시트 외부로 수지공기차단층(30)이 노출된다. 이 경우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고려하여 심미감을 위한 디자인 패턴으로 수지공기차단층(3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면에 구비되는 경우 수지공기차단층(30)은 유동홀(1a)을 형성하면서, 디자인적 효과를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resin airblock layer 3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ir-permeable sheet. In this case, the resinair barrier layer 30 may be formed as a design pattern for esthetics considering that the resinair barrier layer 3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at is, the resinair barrier layer 30 functions to provide a design effect while forming the flow hole 1a when it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도8은 수지공기차단층(30)이 시트원단(20)의 후면 도포된 상태의 차량용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seat in a state in which the resinair barrier layer 30 is applied to the rear side of theseat fabric 20.

도8을 참조하면, 수지공기차단층(30)이 후면에 구비되는 경우(즉 시트원단(20)과 폼패드(10)의 사이에 구비되는 경우), 양자 사이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착석에 따라 시트원단(20)이 홈패드(10)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when the resinair barrier layer 30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that is, between theseat fabric 20 and the foam pad 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sheet material 20 from slipping on thegroove pad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나아가 도7에 나타난 것과 같이 수지공기차단층(30)이 통기성 시트 외부로 노출되지는 않지만, 실제로는 복수 개의 유동홀(1a)이 격자 형태로 다수 배치된 유동홀(1a) 패턴을 구현할 수도 있다.7, the resin air-blockinglayer 3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ir-permeable sheet, but actually, a plurality of flow holes 1a may be arranged in a lattice pattern to form a flow hole 1a pattern .

도9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통기성 시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0은 상기 도8의 통기성 시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reathable sheet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reathable sheet of FIG. 8 is engaged.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본 변형예의 전체적인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고,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S. 8 and 9,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is modific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below.

본 발명에서의 폼패드(110)의 통기홈(110a)은 특정 단면적을 가지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Theventilation groove 110a of thefoam pad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to a columnar shape having a specific cross-sectional area. 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theventilation groove 110a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그리고 수지공기차단층(130)은 상기 통기홈(110a) 상면의 일부를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상면의 일부를 차폐할 수 있는 원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resinair barrier layer 130 is formed to shield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ventilation groove 110a. In this embodiment, it may be formed in a circular band shape that can shield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lar shape.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수지공기차단층(130)은 3개의 원형의 띠 형상(131, 132, 133)으로 형성될 수 있고, 3개가 동일 중심을 공유하면서 동심원 상에 배치된다. 결국 본 변형예에서는 유동홀(1b)가 동심원상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원형 띠 형성으로 형성되게 된다.Specifically, the resinair barrier layer 13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of three circular band shapes 131, 132, and 133, and three of them are disposed concentrically with each other sharing the same center. As a result, in this modified example, the flow holes 1b are formed by the formation of a plurality of ring-shaped zones arranged on a concentric circle.

내부의 2개의 원형 띠(132, 133)의 경우 통기홈(110a)의 단면적의 내부에 포함되도록 위치한다. 그리고 하나의 최외곽 원형 띠(131)의 경우 통기홈(110a)의 단면적의 원형 외곽과 겹치도록 배치되거나, 최소한 원형 외곽과 접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통기홈(110a)을 통하여 유출되는 공기가 유동홀(1b)로 집중될 수 있고, 시트원단(20)의 유동홀(1b) 이외의 부분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Sectional area of thevent groove 110a in the case of the two inner ring-shapedzones 132 and 133 inside. And in the case of one outermost ring-shapedzone 131, it is disposed so as to overlap with the circular outline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ventilation groove 110a, or at least to be in contact with the circular outline. Therefore, the air flowing through theventilation groove 110a can be concentrated in the flow hole 1b, and is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a portion other than the flow hole 1b of theseat fabric 20. [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의 시트원단의 수지공기차단층 및 유동홀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변형예와 같이 유동홀(110a)는 특정 단면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11 is a view showing the shapes of the resin air-blocking layer and the flow holes of the sheet fabric 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1, in this modified example, theflow hole 110a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specific cross-section as in the modified example.

그리고 수지공기차단층(230)은 상기 유동홀(110a) 상면의 단면적 이상의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유동홀(110a) 상면의 단면적과 겹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는 수지공기차단층(230)가 유동홀(110a)의 상면을 차폐하도록 배치된다.The resin air-blocking layer 230 is formed to have a siz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flow hole 110a, and is arranged to overlap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flow hole 110a. Therefore, in this modification, the resinair barrier layer 230 is arranged to shield the upper surface of theflow hole 110a.

그리고 수지공기차단층(230)에는 유동홀(110a)을 통과한 공기가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별도의 통기홀(230a)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ventilation hole 230a may be formed in the resin air-blocking layer 230 so that air passing through theflow hole 110a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는 가죽시트 소재의 통기성 시트와 같이 가죽시트 자체에 통기를 위한 홀을 별도로 작업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디자인을 위한 수지공기차단층(230)을 도포하는 과정을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가죽시트에서와 같이 통기성 시트 자체에 다수의 통기홀이 형성된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Therefore, in this modified example, the process of applying the resin air-blocking layer 230 for designing can be performed without using a separate process for venting the leather sheet itself, like the breathable sheet of the leather sheet material,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may be formed in the air-permeable sheet itself.

이 경우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수지공기차단층(230)은 시트원단의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전면에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디자인적인 기능 및 통기성 시트에 통기홀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resin air-blocking layer 230 may be formed on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sheet fabric, and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to function as a design function or to provide a ventilation hole in the air- do.

또한 후면에 형성되는 경우, 외부로 수지공기차단층(230)이 노출되지 않아서 종래의 섬유소재의 시트를 설치한 외관상으로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내측의 수지공기차단층(230)을 통하여 통기성 시트의 통기홀의 크기 또는 통기홀 들의 배치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resinair barrier layer 23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resinair barrier layer 230 is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e size of the vent hole or the arrangement of the vent holes may be controll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 통기성 시트
1a, 1b, 1c: 통기홀
10, 110: 폼패트
10a, 110a : 통기홈
20: 시트원단
30, 130, 230: 수지공기차단층
230a: 통기홀
1: breathable sheet
1a, 1b, 1c: vent holes
10, 110: foam pad
10a, 110a: vent groove
20: Sheet Fabric
30, 130, 230: Resin air blocking layer
230a: vent hole

Claims (7)

Translated fromKorean
공기가 유동하는 통기홈이 형성된 폼패드;
상기 폼패드의 전면에 배치되는 통기성 시트원단;
외부로 노출되는 디자인 패턴을 형성하도록 상기 시트원단의 전면 일부에 나염되는 수지공기차단층을 포함하고,
상기 디자인 패턴의 수지공기차단층의 일부는 상기 통기홈의 일부를 차폐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홀을 형성하는 통기성 시트.
A foam pad having a venting groove through which air flows;
A breathable sheet fabric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foam pad;
And a resin airblock layer which is exposed on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heet fabric so as to form a design pattern exposed to the outside,
Wherein a part of the resin air barrier layer of the design pattern shields a part of the vent groove to form a flow hole through which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flows.
삭제delete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홈의 일부를 차폐하는 상기 수지공기차단층에는 통기홀이 형성되는 통기성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ventilation hole is formed in the resin air-blocking layer that shields a part of the ventilation groove.
삭제delete공기가 유동하는 통기홈이 형성된 폼패드;
상기 폼패드의 전면에 배치되는 통기성 시트원단;
상기 시트원단의 표면에 나염되어 시트원단을 통과하는 공기를 차단하는 수지공기차단층을 포함하고,
상기 통기홈은 제1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복수 개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수지공기차단층은 제1방향과 소정각도를 형성하는 제2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통기홈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홀은 시트의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통기성 시트.
A foam pad having a venting groove through which air flows;
A breathable sheet fabric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foam pad;
And a resin air barrier layer which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heet fabric so as to block air passing through the sheet fabric,
The vent grooves are elongated in the first direction, a plurality of the vent groov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rein the resin air-blocking layer is formed to be elongated in a second direction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direction so as to cross the plurality of vent grooves,
Wherein the flow holes through which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flows are formed in a lattice shape in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heet.
공기가 유동하는 통기홈이 형성된 폼패드;
상기 폼패드의 전면에 배치되는 통기성 시트원단;
상기 시트원단의 표면에 나염되어 시트원단을 통과하는 공기를 차단하는 수지공기차단층을 포함하고,
상기 수지공기차단층은 상기 통기홈 상면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통기홈 상면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통기성 시트.
A foam pad having a venting groove through which air flows;
A breathable sheet fabric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foam pad;
And a resin air barrier layer which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heet fabric so as to block air passing through the sheet fabric,
Wherein the resin air-blocking layer is formed so as to b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vent groove, and is disposed in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vent groove.
공기가 유동하는 통기홈이 형성된 폼패드;
상기 폼패드의 전면에 배치되는 통기성 시트원단;
상기 시트원단의 표면에 나염되어 시트원단을 통과하는 공기를 차단하는 수지공기차단층을 포함하고,
상기 수지공기차단층은 상기 통기홈 상면의 둘레를 덮도록 배치되는 통기성 시트.
A foam pad having a venting groove through which air flows;
A breathable sheet fabric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foam pad;
And a resin air barrier layer which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heet fabric so as to block air passing through the sheet fabric,
And the resin air barrier layer is disposed so as to cover the peripher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vent groove.
KR1020160141179A2016-10-272016-10-27Ventilation seat including multi- resin layerActiveKR1019279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60141179AKR101927930B1 (en)2016-10-272016-10-27Ventilation seat including multi- resin 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60141179AKR101927930B1 (en)2016-10-272016-10-27Ventilation seat including multi- resin lay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80046209A KR20180046209A (en)2018-05-08
KR101927930B1true KR101927930B1 (en)2018-12-11

Family

ID=62187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60141179AActiveKR101927930B1 (en)2016-10-272016-10-27Ventilation seat including multi- resin layer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192793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240061211A (en)2022-10-312024-05-08(주) 오씨아드Non Immunoglobulin Small Molecu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WO1992010119A1 (en)*1990-12-071992-06-25Creme Art CorporationFoam coated cloth, method for coating and foam article covered by cloth
US20040189061A1 (en)*2001-07-282004-09-30Dirk HartwichAir-conditioned upholstered element for the seat of a motor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WO1992010119A1 (en)*1990-12-071992-06-25Creme Art CorporationFoam coated cloth, method for coating and foam article covered by cloth
US20040189061A1 (en)*2001-07-282004-09-30Dirk HartwichAir-conditioned upholstered element for the seat of a mot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80046209A (en)201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10765158B2 (en)Foam nodes for creating stand off on apparel items
EP2316290A1 (en)Unilateral sweat-absorbing quick-drying comfortable fabric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EP1155629A2 (en)Protection implement, particularly for use in sports practice
US20070161305A1 (en)Using chemicals to regulate functioning of ventilation points in a fabric or flexible substrate
US20050075028A1 (en)Multi-layer composite fabric garment
KR101908434B1 (en)Dual-knitted quick absorption and dry fabric
US20070161304A1 (en)Using chemicals to regulate functioning of ventilation points in a fabric or flexible substrate
US20040128748A1 (en)Protective pad apparatus having air ventilating and restrictive radiant heat transfer/absorption aspects
KR101927930B1 (en)Ventilation seat including multi- resin layer
DE19640263A1 (en)Shaped padding body
US20160194822A1 (en)Perspiration-absorbent and quick-drying fabric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4340097A (en)Breathable seat cushion and automobile seat
JP2015198760A (en)seat pad
US10701997B2 (en)Vented cooling garment
US20180271307A1 (en)Bedding article with material to absorb/desorb moisture and/or moisture vapor to actively cool the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an article
CN204146408U (en)A kind of garment material and the clothes made with described garment material
WO2021183062A1 (en)Fabric made from the knitting of hydrophobic yarn in one side and hydrophilic yarn in the other side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KR20120080980A (en)Warm fabric having self control of thickness
EP3178456B1 (en)Sanitary napkin
US20180020770A1 (en)Method of making a breathable, windproof and waterproof vamp for a shoe
US20060059608A1 (en)Ventilated eyewear
KR100652124B1 (en) Shoe upper manufacturing method
EP1562740A1 (en)Moisture transpiration composite and products therefrom
JP2012158217A (en)Insert for ventilation
KR200489509Y1 (en)Functional Safety Helmet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61027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70926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80410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181127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181205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20181206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210927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220920

Start annual number:5

End annual number:5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