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1927582B1 - Orthognathic correction device and orthognathic correction method - Google Patents

Orthognathic correction device and orthognathic correc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582B1
KR101927582B1KR1020160036708AKR20160036708AKR101927582B1KR 101927582 B1KR101927582 B1KR 101927582B1KR 1020160036708 AKR1020160036708 AKR 1020160036708AKR 20160036708 AKR20160036708 AKR 20160036708AKR 101927582 B1KR101927582 B1KR 101927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connecting part
occlusal surface
patient
maxilla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7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15854A (en
Inventor
청 시앙 훙
Original Assignee
청 시앙 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 시앙 훙filedCritical청 시앙 훙
Publication of KR20160115854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60115854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582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1927582B1/en
Expired - Fee Related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악교정 보정 장치는, 제1 리테이너(retainer), 제2 리테이너, 그리고 적어도 2개의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제1 리테이너는 환자의 상악골 치열궁 상에 제거 가능하게 착용되도록 구성되며, 제1 리테이너의 좌측 볼면 및 우측 볼면 상에 고정되는 적어도 2개의 제1 연결 부품을 구비한다. 제2 리테이너는 환자의 하악골 치열궁 상에 제거 가능하게 착용되도록 구성되며, 제2 리테이너의 좌측 볼면 및 우측 볼면 상에 고정되는 적어도 2개의 제2 연결 부품을 구비한다. 탄성 부재는, 환자의 상악골 치열궁 및 하악골 치열궁 상에 착용되어 유지되는 제1 리테이너 및 제2 리테이너를 결합시키며, 이에 따라 제1 리테이너에 대해 움직이도록 제2 리테이너를 구동함으로써 환자의 하악골과 상악골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한다.The orthics correction device includes a first retainer, a second retainer, and at least two elastic members. The first retainer is configured to be removably mounted on the maxillary dental arch of the patient and has at least two first connection parts fixed on the left and right ball faces of the first retainer. The second retainer is configured to be removably mounted on the mandibular arch of the patient and has at least two second connecting parts fixed on the left and right ball faces of the second retainer. The resilient member engages the first retainer and the second retainer held and held on the maxillary dental arch and the mandibular arch of the patient, thereby driving the second retainer to move relative to the first retainer, To adjust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m.

Figure 112016029376165-pat00003
Figure 112016029376165-pat00003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악교정 보정 장치 및 악교정 보정 방법{ORTHOGNATHIC CORRECTION DEVICE AND ORTHOGNATHIC CORRECTION METHOD}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thognathic correction device and an orthogonal correction method,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

본 출원은 2015년 3월 26일자로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510135110.3호 그리고 2016년 3월 21일자로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610159772.9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 중국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인용함으로써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to Chi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510135110.3, filed March 26, 2015, and Chi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610159772.9 filed on March 21, 2016, the entir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Are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기술분야Technical field

본 출원은 악교정 보정 기술(orthognathic correction technology)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악교정 보정 장치 및 악교정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0001] This application relates to orthognathic correction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orthognathic correction device and a orthognathic correction method.

일반적으로, 환자는, 자신의 상악골과 하악골 사이의 악관절(TMJ: temporomandibular joint)이 최적의 위치에 있지 않아서 상악골과 하악골 사이에서 비정상적인 상대적 위치가 초래되는 경우, 악교정 보정을 필요로 하게 된다.In general, the patient will require orthodontic correction if the TMJ (temporomandibular joint) between his or her maxilla and mandible is not in the optimal position and results in an abnormal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maxilla and mandible.

현재, 의사들은 흔히, 환자의 상악골, 하악골 또는 양자 모두를 절단하기 위해 골절술(osteotomy)을 행한 후 부러진 뼈들을 요구되는 위치에 재구성하여 악교정 보정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다수의 환자들은 이러한 수술 방법과 관련된 침습 특성(intrusive nature) 및 위험에 두려움을 느끼며, 흔히 이러한 옵션(option)을 선택하기를 주저하곤 한다.Currently, doctors often perform orthodontic correction by reconstructing broken bones in the required position after osteotomy to cut the patient's maxilla, mandible or both. However, many patients are afraid of intrusive nature and risk associated with these surgical methods and often hesitate to choose these options.

일본공표특허공보 특표2013-523272 AJapan Publication Patent Patent Specification 2013-523272 A

전술한 문제들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악교정 보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환자들이 두려움을 느끼는 수술 방법을 행하지 않으면서 악교정 보정을 달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고 환자가 제거 가능한 악교정 보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o provide a correction devic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 device which can be used to accomplish orthodontic correction without performing a fearful surgical procedure, And to provide a correction device for correcting misalign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리테이너(retainer), 제2 리테이너, 그리고 적어도 2개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악교정 보정 장치를 제공한다. 제1 리테이너는 환자의 상악골 치열궁(maxillary dental arch) 상에 제거 가능하게 착용되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1 좌측 연결 부품이 그 위에 고정되는 제1 좌측 볼면(left buccal surface)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우측 연결 부품이 그 위에 고정되는 제1 우측 볼면을 갖는다. 제2 리테이너는 환자의 하악골 치열궁(mandibular dental arch) 상에 제거 가능하게 착용되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좌측 연결 부품이 그 위에 고정되는 제2 좌측 볼면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우측 연결 부품이 그 위에 고정되는 제2 우측 볼면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는, 제1 좌측 연결 부품을 제2 좌측 연결 부품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는 제1 우측 연결 부품을 제2 우측 연결 부품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탄성 부재는, 제1 리테이너에 대해 움직이도록 제2 리테이너를 구동하며, 이로써 제1 리테이너 및 제2 리테이너가 각각 상악골 치열궁 및 하악골 치열궁 상에 유지될 때 환자의 상악골과 하악골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가 조절되게 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comprising a first retainer, a second retainer, and at least two elastic members. The first retainer is configured to be removably worn on a maxillary dental arch of a patient and includes a first left buccal surface on which at least one first left connecting part is secured, And the first right side connecting part has a first right side surface on which the first right side connecting part is fixed. The second retainer is configured to be removably worn on the mandibular dental arch of the patient, the second retainer being configured to be removably mounted on the mandibular dental arch of the patient, And a second right-side ball surface fixed thereon. The at least one resilient member is configured to couple the first left connecting piece to the second left connecting piece and at least one resilient member is configured to couple the first right connecting piece to the second right connecting piece, The elastic member thus drives the second retainer to move relative to the first retainer such that when the first retainer and the second retainer are retained on the maxillary dental arch and the mandibular arch, respectively,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maxillary and mandible of the patient .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악교정 보정 방법으로서, 제1 리테이너를 환자의 상악골 치열궁과 결합시키는 단계로서, 제1 리테이너는 상악골 치열궁 상에 제거 가능하게 착용되도록 구성되고, 제1 리테이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좌측 연결 부품이 그 위에 고정되는 제1 좌측 볼면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우측 연결 부품이 그 위에 고정되는 제1 우측 볼면을 갖는 것인 단계; 제2 리테이너를 환자의 하악골 치열궁과 결합시키는 단계로서, 제2 리테이너는 하악골 치열궁 상에 제거 가능하게 착용되도록 구성되고, 제2 리테이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좌측 연결 부품이 그 위에 고정되는 제2 좌측 볼면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우측 연결 부품이 그 위에 고정되는 제2 우측 볼면을 갖는 것인 단계;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제1 좌측 연결 부품에 그리고 제2 좌측 연결 부품에 결합시키고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제1 우측 연결 부품에 그리고 제2 우측 연결 부품에 결합시키는 단계로서, 제1 리테이너에 대해 이동하도록 제2 리테이너를 구동시킴으로써 환자의 상악골과 하악골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는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악교정 보정 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rrecting an orthognathism comprising the steps of: combining a first retainer with a maxillary arch of a patient, wherein the first retainer is configured to be removably mounted on the maxillary dental arch; A first left side connecting surface on which a first left connecting part is fixed and a first right side surface on which at least one first right side connecting part is fixed; Wherein the second retainer is configured to be removably worn on the mandibular arch, and the second retainer is configured to engage the second retainer with the patient's mandible, wherein the at least one second left- A second left side ball surface and at least one second right side connection part having a second right side ball surface fixed thereon; And coupling at least one resilient member to the first left connecting part and to the second left connecting part and coupling at least one resilient member to the first right connecting part and to the second right connecting part, And adjusting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of the patient by driving the second retainer to move the second retainer relative to the second retainer.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악교정 보정 방법으로서, 제1 리테이너를 환자의 상악골 치열궁과 결합시키는 단계로서, 제1 리테이너는 상악골 치열궁 상에 제거 가능하게 착용되도록 구성되고, 제1 리테이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좌측 연결 부품이 그 위에 고정되는 제1 좌측 볼면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우측 연결 부품이 그 위에 고정되는 제1 우측 볼면을 갖는 것인 단계; 환자의 하악골 치열궁의 좌측 볼면 상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좌측 연결 부품을 제공하는 단계; 및 하악골 치열궁의 우측 볼면 상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우측 연결 부품을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제1 좌측 연결 부품에 그리고 제2 좌측 연결 부품에 결합시키고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제1 우측 연결 부품에 그리고 제2 우측 연결 부품에 결합시키는 단계로서, 제1 리테이너에 대해 이동하도록 하악골 치열궁을 구동시킴으로써 환자의 상악골과 하악골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는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악교정 보정 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rrecting an orthognathism comprising the steps of: combining a first retainer with a maxillary arch of a patient, wherein the first retainer is configured to be removably mounted on the maxillary dental arch; A first left side connecting surface on which a first left connecting part is fixed and a first right side surface on which at least one first right side connecting part is fixed; Providing at least one second left connecting part secured to the left side of the patient's mandible; And providing at least one second right side connection part secured on the right side of the mandibular arch; And coupling at least one resilient member to the first left connecting part and to the second left connecting part and coupling at least one resilient member to the first right connecting part and to the second right connecting part, And adjusting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of the patient by driving the mandibular dental arch to move relative to the mandible.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악교정 보정 방법으로서, 제2 리테이너를 환자의 하악골 치열궁과 결합시키는 단계로서, 제2 리테이너는 하악골 치열궁 상에 제거 가능하게 착용되도록 구성되고, 제2 리테이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좌측 연결 부품이 그 위에 고정되는 제2 좌측 볼면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우측 연결 부품이 그 위에 고정되는 제2 우측 볼면을 갖는 것인 단계; 환자의 상악골 치열궁의 좌측 볼면 상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좌측 연결 부품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악골 치열궁의 우측 볼면 상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우측 연결 부품을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제2 좌측 연결 부품에 그리고 제1 좌측 연결 부품에 결합시키고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제2 우측 연결 부품에 그리고 제1 우측 연결 부품에 결합시키는 단계로서, 상악골 치열궁에 대해 이동하도록 제2 리테이너를 구동시킴으로써 환자의 하악골과 상악골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는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악교정 보정 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rrecting an orthognath, comprising the steps of: coupling a second retainer with a mandibular dental arch of a patient, wherein the second retainer is configured to be removably worn on the mandibular arch; A second left side connecting surface on which the second left connecting part is fixed and a second right side surface on which at least one second right side connecting part is fixed; Providing at least one first left connecting part secured to a left side of the patient's maxillary arch; And providing at least one first right connecting part secured on the right side of the maxillary arch; And coupling at least one resilient member to the second left connecting part and to the first left connecting part and coupling at least one resilient member to the second right connecting part and to the first right connecting part, And adjusting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mandible and the maxillary bone of the patient by driving the second retainer to move relative to the patient's mandible.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 및 예를 읽음으로써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경우에서 환자의 두개골, 상악골 및 하악골의 상대적인 관계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교정 보정 장치와 환자의 상악골 치열궁 및 하악골 치열궁의 상대적인 관계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a는 환자의 상악골 치열궁 상에 착용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리테이너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b는 환자의 하악골 치열궁 상에 착용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리테이너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교정 보정 장치의 작동 원리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a는 환자의 상악골 치열궁 상에 착용되어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리테이너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b는 환자의 하악골 치열궁 상에 착용되어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리테이너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The invention may be more completely understood by reading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xample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s 1a and 1b are schematic drawings illustrating the relative relationship of the patient's skull, maxilla, and mandible in the general case.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rel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and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dental arches of a pat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first retain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orn on the maxillary arch of a patient.
Figure 3B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econd retain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orn on the mandibular arch of the patient.
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orthodontic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first re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worn on the maxillary dental arch of a patient.
FIG. 5B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econd re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worn on the patient's mandibular arch. FIG.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을 예시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도면이 이하에서 상세하게 제시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n order to illustrate 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rawings are present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용어 "~ 상에", "~ 위에", "~ 아래에", "~ 밑에", "~ 좌측에" 그리고 "~ 우측에"의 배향은 도면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각각의 요소의 상대적인 위치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또한, 각각의 요소의 상대적인 위치들 사이의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Y축 그리고 Z축을 포함하는 직교 좌표계를 참고로 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본 개시내용에서는 단순화 및 명확화의 목적으로 다양한 예에 대해 도면 부호 및/또는 문자가 반복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he terms "on, "," on ", "under "," under ", "on the left ", and" on the right " Is used to deno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respective ele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respective elements may refer to an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including X-axis, Y-axis and Z-axis as shown in the figure. Additionally, in this disclosure, reference numerals and / or characters may be repeated for various examples for purposes of simplicity and clarity.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경우에 있어서 환자의 두개골(40), 상악골(10) 및 하악골(20)의 상대적인 관계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며, 여기서 상악골(10)은 두개골(40)에 고정 연결되어 있고, 하악골(20)은 악관절(30)을 통해 두개골(40)에 대해 움직일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환자의 상악골 치열궁(12) 및 하악골 치열궁(22)이 각각 상악골(10) 및 하악골(20)에 연결되어 있다. 상악골(10)과 하악골(20) 사이에 있는 환자의 악관절(30)이 최적의 위치에 있지 않으면, 이는 상악골(10)에 비해 하악골(20)이 앞으로 튀어나오게 하거나(도 1a) 또는 뒤로 들어가게 하는(도 1b)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악골 치열궁(12)과 하악골 치열궁(22)의 부정 교합이 발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환자의 치아의 외관, 씹기와 같은 구강의 기능, 발음, 그리고 충치 및 치아의 마모와 같은 구강 건강 관련 문제에도 또한 악영향을 줄 수 있다.1A and 1B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the relative relationship of a patient'sskull 40,maxilla 10 and mandible 20 in a general case wherein themaxilla 10 is fixedly connected to theskull 40, And themandible 20 is movably connected to theskull 40 via thetemporomandibular joint 30. In addition, the maxillarydental arch 12 and the mandibulardental arch 22 of the patient are connected to themaxilla 10 and themandible 20, respectively. If the patient'stemporomandibular joint 30 between themaxilla 10 and mandible 20 is not in the optimal position, this may cause themandible 20 to protrude forward (FIG. 1A) or backward relative to the maxilla 10 (FIG. 1B), which may result in malocclusion of the maxillarydental arch 12 and the mandibulardental arch 22. As a result, the appearance of the patient's teeth, the function of the oral cavity, such as chewing, the pronounciation, and oral health problems such as tooth decay and tooth wear can also be adversely affecte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은, 악교정 보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환자들이 두려움을 느끼는 수술 방법을 행하지 않으면서 악교정 보정을 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환자가 제거 가능한 악교정 보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tient which can be used to achieve orthodontic correction without having to perform a fearful surgical procedure,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교정 보정 장치와 환자의 상악골 치열궁(12) 및 하악골 치열궁(22)의 상대적인 관계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악교정 보정 장치는 주로 제1 리테이너(100), 제2 리테이너(200) 및 수 개의 탄성 부재(500)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리테이너(100) 상에 배치되는 수 개의 제1 브라켓(302), 제1 아치형 와이어(304), 및 제1 연결 부품(306)이 있으며, 제2 리테이너(200) 상에 배치되는 수 개의 제2 브라켓(402), 제2 아치형 와이어(404) 및 제2 연결 부품(406)이 있다.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rel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and a patient's maxillarydental arch 12 and mandibledental arch 2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he orthodontic correction apparatus mainly includes afirst retainer 100, asecond retainer 200, and a plurality ofelastic members 500. As shown in Fig. There are also severalfirst brackets 302, a firstarcuate wire 304 and a first connectingpart 306 which are arranged on thefirst retainer 100 and are arranged on thesecond retainer 200 There are a number ofsecond brackets 402, a secondarcuate wire 404 and a second connectingpart 406.

제1 리테이너(100)는, 서로 대향하는 제1 치아 수용 부분(R1) 및 제1 교합면(occlusal face; B1)을 갖는다. 또한, 제2 리테이너(200)는, 서로 대향하는 제2 치아 수용 부분(R2) 및 제2 교합면(occlusal face; B2)을 갖는다. 제1 교합면(B1)은 제2 교합면(B2)에 대응한다. 제1 치아 수용 부분(R1) 및 제2 치아 수용 부분(R2)은 각각 상악골 치열궁(12) 및 하악골 치열궁(22)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The first retainer (100) has a first tooth receiving portion (R1) and a first occlusal face (B1) facing each other. Further, thesecond retainer 200 has a second tooth receiving portion R2 and a second occlusal face B2 which are opposed to each other. The first occlusal surface B1 corresponds to the second occlusal surface B2. The first tooth receiving portion R1 and the second tooth receiving portion R2 form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maxillarydental arch 12 and the mandibulardental arch 22, respectively.

제1 리테이너(100) 및 제2 리테이너(200)는 제거 가능한 리테이너이며(또한 움직일 수 있는 리테이너로서 알려져 있음), 이에 따라 환자는 필요에 따라 상황을 감안하여 리테이너를 자유롭게 착용 또는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자신의 치아를 정상적으로 양치질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리테이너(100) 및 제2 리테이너(200)는 열가소성 수지, 합성 수지 또는 구강 용례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다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Thefirst retainer 100 and thesecond retainer 200 are removable retainers (also known as moveable retainers), so that the patient can freely wear or remove the retainer, taking into account the circumstances as needed,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brush your teeth normally. In some embodiments, thefirst retainer 100 and thesecond retainer 200 may comprise a thermoplastic resin, a synthetic resin, or other material suitable for use in a mouth application.

도 2의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테이너(100)는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제1 좌측 볼면(100a) 및 제1 우측 볼면(100b)을 갖는다. 제1 브라켓(302)은 제1 좌측 볼면(100a) 및 제1 우측 볼면(100b) 상에 장착된다[예컨대, 제1 좌측 볼면(100a) 및 제1 우측 볼면(100b)은 각각 이들 볼면 상에 5개의 제1 브라켓(302)을 갖추고 있음]. 제1 아치형 와이어(304)들[예컨대, 2개의 제1 아치형 와이어(304)]은 제1 좌측 볼면(100a) 및 제1 우측 볼면(100b) 상에서 제1 브라켓(302)을 통과하며, 제1 브라켓(302)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제1 아치형 와이어(304)들에는 각각 제1 연결 부품(306)이 부착되어 있으며[예컨대, 4개의 제1 연결 부품(306)이 부착되어 있고, 각각의 제1 연결 부품은 후크 구조(hook structure)를 나타냄], 제1 연결 부품(306)은 제1 브라켓(302)들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As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 2, thefirst retainer 100 also has a firstleft side face 100a and a firstright side face 100b which are opposed to each other. Thefirst bracket 302 is mounted on the firstleft side face 100a and the firstright side face 100b (for example, the firstleft side face 100a and the firstright side face 100b) Equipped with five first brackets 302). The first arcuate wires 304 (e.g., two first arcuate wires 304) pass through thefirst bracket 302 on the firstleft side 100a and the firstright side 100b, And is fixed by thebracket 302. In addition, the firstarcuate wires 304 are each attached with a first connecting part 306 (e.g., four first connectingparts 306 are attached, and each first connecting part has a hook structure hook structure), and the first connectingpart 306 is positioned between thefirst brackets 302.

마찬가지로, 제2 리테이너(200)는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제2 좌측 볼면(200a) 및 제2 우측 볼면(200b)을 가지며, 여기서 제2 좌측 볼면(200a)은 제1 리테이너(100)의 제1 좌측 볼면(100a)에 대응하고, 제2 우측 볼면(200b)은 제1 리테이너(100)의 제1 우측 볼면(100b)에 대응한다. 제2 브라켓(402)은 제2 좌측 볼면(200a) 및 제2 우측 볼면(200b) 상에 장착된다[예컨대, 제2 좌측 볼면(200a) 및 제2 우측 볼면(200b)은 각각 이들 볼면 상에 5개의 제2 브라켓(402)을 갖추고 있음]. 제2 아치형 와이어(404)들[예컨대, 2개의 제2 아치형 와이어(404)]은 각각 제2 좌측 볼면(200a) 및 제2 우측 볼면(200b) 상에서 제2 브라켓(402)을 통과하며, 제2 브라켓(402)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제2 아치형 와이어(404)들에는 각각 제2 연결 부품(406)이 부착되어 있으며[예컨대, 4개의 제2 연결 부품(406)이 부착되어 있고, 각각의 제2 연결 부품은 후크 구조(hook structure)를 나타냄], 제2 연결 부품(406)은 제2 브라켓(402)들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Similarly, thesecond retainer 200 also has a secondleft side face 200a and a second right side face 200b opposite to each other, wherein the secondleft side face 200a is a firstleft side face 200a of thefirst retainer 100 And the second right side face 200b corresponds to the firstright side face 100b of thefirst retainer 100. [ The second right side face 200a and the second right side face 200b are mounted on the secondleft side face 200a and the second right side face 200b With five second brackets 402). The second arcuate wires 404 (e.g., two second arcuate wires 404) pass through thesecond bracket 402 on the secondleft side surface 200a and the second right side surface 200b, respectively, 2brackets 402. As shown in Fig. Further, the secondarcuate wires 404 are each provided with a second connecting part 406 (for example, foursecond connecting parts 406 are attached, and each second connecting part has a hook structure hook structure), and the second connectingpart 406 is positioned between thesecond brackets 402.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브라켓(302) 및 제2 브라켓(402)은 스테인레스 강, Ni-Ti 합금 또는 가소성 세라믹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치형 와이어(304) 및 제2 아치형 와이어(404)뿐만 아니라 제1 연결 부품(306) 및 제2 연결 부품(406)은 스테인레스 강 또는 Ni-Ti 합금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first bracket 302 and thesecond bracket 402 may comprise stainless steel, a Ni-Ti alloy, or a plastic ceramic material. The first connectingpiece 306 and the second connectingpiece 406 as well as the firstarcuate wire 304 and the secondarcuate wire 404 may comprise stainless steel or a Ni-Ti alloy material.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500)는 제1 좌측 볼면(100a) 상의 제1 연결 부품(306)(즉, 제1 좌측 연결 부품)을 제2 좌측 볼면(200a) 상의 제2 연결 부품(406)(즉, 제2 좌측 연결 부품)에 결합시키는 데 사용되며, 제1 우측 볼면(100b) 상의 제1 연결 부품(306)(즉, 제1 우측 연결 부품)을 제2 우측 볼면(200b) 상의 제2 연결 부품(406)(즉, 제2 우측 연결 부품)에 결합시키는 데 사용되고[예컨대, 제1 리테이너(100) 및 제2 리테이너(200)의 좌측 볼면 및 우측 볼면은 각각 3개의 탄성 부재(500)와 함께 구성됨], 이에 따라 탄성 부재(500)의 탄성력은, 제1 리테이너(100)에 대해 (Y축과 Z축 사이의 방향을 따라) 후방 상향으로 이동하도록 또는 (-Y축과 -Z축 사이의 방향을 따라) 전방 하향으로 이동하도록 제2 리테이너(2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리테이너(200)에 연결되는 환자의 하악골(20)과 제1 리테이너(100)에 연결되는 환자의 상악골(10)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가 조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악교정 보정이 달성된다.2, theelastic member 500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first connecting part 306 (i.e., the first left connecting part) on the firstleft side surface 100a to the second connectingpart 306 Is used to engage the component 406 (i.e., the second left connecting part) and the first connecting part 306 (i.e., the first right connecting part) on the first rightside ball surface 100b to the second rightside ball side 100b (E.g., the left and right ball faces of thefirst retainer 100 and thesecond retainer 200 are respectively used for connecting three (two) right and left ball faces of thefirst retainer 100 and thesecond retainer 200 to the second connectingpart 406 The resilient force of theelastic member 500 is adjusted so as to move backward upward (along the direction between the Y-axis and the Z-axis) with respect to the first retainer 100 (or with the -Y (Along the direction between the axis and the -Z axis) to move thesecond retainer 200 forward. Thereby,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patient's mandible 20 connected to thesecond retainer 200 and the patient'smaxilla 10 connected to thefirst retainer 100 can be adjusted, and thus orthodontic correction is achieved .

제1 리테이너(100) 및 제2 리테이너(200)의 대응하는 볼면들 상에서 제1 연결 부품(306) 및 제2 연결 부품(406)을 탄성 부재(500)로 결합시키는 방법이 변경되면, 이에 따라 제1 리테이너(100)에 대해 (Y축과 Z축 사이의 방향을 따라) 후방 상향으로 이동하도록 또는 (-Y축과 -Z축 사이의 방향을 따라) 전방 하향으로 이동하도록 제2 리테이너(200)를 구동시키는 탄성력이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부재(500)들은 고무 밴드 또는 Ni-Ti 합금 재료로 제조되는 스프링 코일과 같은 환형체일 수 있으며, 동일한 탄성력 또는 상이한 탄성력을 나타낸다.If the manner in which the first connectingpart 306 and the second connectingpart 406 are coupled with theelastic member 500 on the corresponding ball surfaces of thefirst retainer 100 and thesecond retainer 200 is changed, The second retainer 200 (not shown) is moved so as to move rearward upward (along the direction between the Y axis and the Z axis) with respect to thefirst retainer 100 or to move downward (along the direction between the -Y axis and the -Z axis) ) May be generated. In some embodiments, theelastic members 500 may be annular, such as rubber bands or spring coils made of a Ni-Ti alloy material, and exhibit the same or different elastic forces.

구체적으로, 제1 리테이너(100) 및 제2 리테이너(200)의 좌측 볼면 및 우측 볼면 상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500)의 개수 및 탄성력이 서로 매칭(matching)될 때, 제1 리테이너(100) 및 제2 리테이너(200)의 좌측 볼면 및 우측 볼면은 균일한 힘을 견딜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제2 리테이너(200)에 연결되는 하악골(20)이 환자의 입의 가상의 중심 축선(C)(도 2의 Y축에 대해 평행임)을 따라 제1 리테이너(100)에 연결된 상악골(10)에 대해 회전하지 못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단지 도 2에서의 Y축과 Z축 사이의 방향을 따라서만 또는 -Y축과 -Z축 사이의 방향을 따라서만 하악골(20)과 상악골(10)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리테이너(100) 및 제2 리테이너(200)의 좌측 볼면 및 우측 볼면 상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500)의 개수 및 탄성력이 매칭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환자들의 다양한 상황을 수용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number and the elastic force of theelastic members 500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ball faces of thefirst retainer 100 and thesecond retainer 200 match each other, thefirst retainer 100, And the left ball surface and the right ball surface of thesecond retainer 200 are able to withstand a uniform force so that the mandible 20 connected to thesecond retainer 200 is able to withstand the virtual center axis C of the mouth of the patient, (Parallel to the Y-axis of Fig. 2), and consequently only in the direction between the Y-axis and the Z-axis in Fig. 2 Or relative motion between themandible 20 and themaxilla 10 only along the direction between the -Y axis and the -Z axis. However, in some embodiments, the numbers and elastic forces of theelastic members 500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ball faces of thefirst retainer 100 and thesecond retainer 200 may not match, It can accommodate various situations of patients.

더욱이, 제1 브라켓(302) 및 제2 브라켓(402)의 위치 및 개수, 제1 아치형 와이어(304) 및 제2 아치형 와이어(404)의 개수 및 길이, 제1 (좌측/우측) 연결 부품(306) 및 제2 (좌측/우측) 연결 부품(406)의 위치 및 개수, 그리고 탄성 부재(500)의 개수는 도 2의 실시예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오히려 요구사항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Further, the number and length of thefirst bracket 302 and thesecond bracket 402, the number and length of the firstarcuate wire 304 and the secondarcuate wire 404, the length of the first (left / right) 306 and the second (left / right) connectingparts 406, and the number ofelastic members 500 are not limited to those of the embodiment of FIG. 2, but rather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requirements.

도 2를 더 참고하면, 악교정 보정 장치는 제1 리테이너(100)의 제1 좌측 볼면(100a)과 제1 우측 볼면(100b) 사이의 입술면(100c) 상에 고정 장착되는 제1 중앙 연결 부품(308)(예컨대, 후크 구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500)는, 제1 중앙 연결 부품(308)과 제1 좌측 볼면(100a) 또는 제1 우측 볼면(100b) 상의 제1 연결 부품(306)을 결합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후 제1 연결 부품(306)과 제2 리테이너(200) 상의 대응하는 제2 연결 부품(406)[제1 연결 부품(306)에 대해 후방의 위치에 있음]을 결합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탄성 부재(500)의 탄성력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X방향을 따라 또는 -X방향을 따라 제1 리테이너(100)에 대해 이동하도록 제2 리테이너(200)를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상악골(10)과 하악골(20) 사이의 수평방향 비대칭성이 교정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교정 보정 장치는 제2 리테이너(200)의 제2 좌측 볼면(200a)과 제2 우측 볼면(200b) 사이의 입술면(200c) 상에 고정 장착되는 제2 중앙 연결 부품(408)(예컨대, 후크 구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500)는, 제2 중앙 연결 부품(408)과 제2 좌측 볼면(200a) 또는 제2 우측 볼면(200b) 상의 제2 연결 부품(406)을 결합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후 제2 연결 부품(406)과 제1 리테이너(100) 상의 대응하는 제1 연결 부품(306)[제2 연결 부품(406)에 대해 후방의 위치에 있음]을 결합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악골(10)과 하악골(20) 사이의 수평방향 비대칭성이 교정되게 된다.2, the orthognathic correction device includes a first central connectingpart 100a fixedly mounted on alipsurface 100c between a first left-side ball surface 100a of thefirst retainer 100 and a first right- 0.0 > 308 < / RTI > (e.g., a hook structure). The at least oneresilient member 500 can also be used to couple the first central connectingpiece 308 with the first connectingpart 306 on the firstleft side 100a or the firstright side 100b , Which can then be used to engage the first connectingpiece 306 and the corresponding second connecting piece 406 (located rearward relative to the first connecting piece 306) on thesecond retainer 200 , So that the elastic force of theelastic member 500 can drive thesecond retainer 200 to move along the X direction or along the -X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first retainer 100 as shown in Fig. 2, The asymmetr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maxilla 10 and themandible 20 is corrected. Similarly, as shown in FIG. 2, the orthognathic correction apparatus includes asecond retainer 200 having a secondleft side surface 200a and a second right side surface 200b between the secondright side surface 200a and the second right side surface 200b, And may further include a central connecting component 408 (e.g., a hook structure). At least oneresilient member 500 may also be used to couple the second central connectingpiece 408 to the secondleft connecting surface 406 on the secondleft ball surface 200a or the second right ball surface 200b Can then be used to couple the second connectingpiece 406 and the corresponding first connecting piece 306 (which is in a rearward position relative to the second connecting piece 406) on thefirst retainer 100 So that the horizontal asymmetry between themaxilla 10 and themandible 20 is corrected.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중앙 연결 부품(308) 및 제2 중앙 연결 부품(408)의 재료 및 조립 방법은 제1 연결 부품(306) 및 제2 연결 부품(406)의 재료 및 조립 방법과 동일하다.In some embodiments, the materials and methods of assembly of the first central connectingpiece 308 and the second central connectingpiece 408 are similar to those of the first connectingpiece 306 and the second connectingpiece 406, same.

도 3a는 환자의 상악골 치열궁 상에 착용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리테이너(100)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b는 환자의 하악골 치열궁 상에 착용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리테이너(200)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FIG. 3A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first retai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worn on a maxillary arch of a patient. FIG. 3B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second retainer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worn on the mandibular arch of the patient.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테이너(100) 및 제2 리테이너(200)가 상악골 치열궁 및 하악골 치열궁 상에 착용되어 있을 때, 이들 리테이너는 상악골 치열궁 및 하악골 치열궁의 전체 크라운(crown)을 실질적으로 커버(cover)하게 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리테이너(100) 및 제2 리테이너(200)는 상악골 치열궁 및 하악골 치열궁의 언더컷 구조(undercut structure)에 따라 구성되며, 이에 따라 제1 리테이너(100) 및 제2 리테이너(200)는 상악골 치열궁 및 하악골 치열궁의 전체 크라운을 동형으로(conformably) 커버하게 되므로, 상악골 치열궁 및 하악골 치열궁과 맞물리는 제1 리테이너(100) 및 제2 리테이너(200)의 유지를 강화시킨다. 따라서, 악교정 보정 중에 상악골 치열궁 및 하악골 치열궁으로부터 제1 리테이너(100) 및 제2 리테이너(200)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A and 3B, when thefirst retainer 100 and thesecond retainer 200 are worn on the dental arches of the maxillary arches and mandibular arches, these retainers are made of the whole of the maxillary dental arches and mandibular dental arches It will substantially cover the crown. More specifically, thefirst retainer 100 and thesecond retainer 200 ar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an undercut structure of the maxillary dental arches and mandibular dental arches, whereby thefirst retainer 100 and thesecond retainer 200 Strengthens the retention of thefirst retainer 100 and thesecond retainer 200 which engage the maxillary dental arch and the mandibular arch, as it covers the entire crown of the maxillary dental arch and the mandibular dental arch conformabl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first retainer 100 and thesecond retainer 200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maxillary arches and mandibular arches during orthodontic correction.

도 3a를 참고하면, 두꺼운 부분(102) 및 수 개의 두꺼운 부분(104)이 제1 리테이너(100)의 제1 교합면(B1) 상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두꺼운 부분(102)의 위치는 상악골 치열궁(도 2 참고)의 2개의 앞니(12A) 및 2개의 옆쪽 앞니(12B)에 대응하며, 두꺼운 부분(104)들의 위치는 각각 상악골 치열궁(도 2 참고)의 (좌측 및 우측) 송곳니(12C), 제1 소구치(12D) 및 제2 소구치(12E)에 각각 대응한다. 더욱이, 두꺼운 부분(102)은, 앞니(12A 및 12B)의 상부로부터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구개 면(palatal side; T)을 향해 내려가는 안내면을 형성하며, 두꺼운 부분(104)은 또한 두꺼운 부분(104)의 가장 두꺼운 부분[송곳니(12C), 제1 소구치(12D) 및 제2 소구치(12E)의 중심에 대응함]으로부터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두꺼운 부분(104)의 가장 얇은 부분(전술한 치아의 이웃한 위치에 위치함)을 향해 내려가는 안내면을 형성한다. 두꺼운 부분(102) 및 두꺼운 부분(104)의 안내면들은 평평할 수도 있고 곡선형일 수도 있다.3A, athick portion 102 and severalthick portions 104 are formed on the first occlusal surface B1 of thefirst retainer 100. As shown in Fig. Specifically, the position of thethick portion 102 corresponds to the twofront teeth 12A and the twolateral incisors 12B of the maxillary dental arch (see FIG. 2), and the positions of thethick portions 104 correspond to the maxillary dental arch (Left and right)canines 12C,first premolars 12D andsecond premolars 12E of the first and second premolars (see FIG. 2), respectively. Further, thethick portion 102 forms a guiding surface starting from the top of thefront teeth 12A and 12B and progressively toward the palatal side T, and thethick portion 104 also forms athick portion 104,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canine 12C, thefirst premolar 12D and thesecond premolar 12E) of the thickest portion 104 (the position of the tooth adjacent to the aforementioned tooth As shown in FIG. The guide surfaces of thethick portion 102 and thethick portion 104 may be flat or curved.

마찬가지로, 도 3b를 참고하면, 수 개의 두꺼운 부분(204)이 제2 리테이너(200)의 제2 교합면(B2) 상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두꺼운 부분(204)의 위치는 하악골 치열궁(도 2 참고)의 (좌측 및 우측) 제1 소구치(22A) 및 제2 소구치(22B)에 각각 대응한다. 두꺼운 부분(204)의 가장 두꺼운 부분은 제1 소구치(22A) 및 제2 소구치(22B)의 중심에 대응한다.3B, severalthick portions 204 are formed on the second occlusal surface B2 of thesecond retainer 200. In this way, Specifically, the position of thethick portion 204 corresponds to thefirst premolar 22A and thesecond premolar 22B (left and right) of the mandibular dental arch (see FIG. 2), respectively. The thickest portion of thethick portion 204 corresponds to the center of thefirst premolar 22A and thesecond premolar 22B.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되는 용어 "두꺼운 부분"은, 예컨대 제1 교합면(B1)의 영역이 두꺼운 부분(102 및 104)에 대응되며, 각각의 상기 두꺼운 부분은 제1 교합면(B1)의 다른 영역(두꺼운 부분이 없는 영역)보다 더 두껍고, 제2 교합면(B2)의 영역이 두꺼운 부분(104)에 대응하며, 각각의 두꺼운 부분은 제2 교합면(B2)의 다른 영역(두꺼운 부분이 없는 영역)보다 더 두껍다는 것을 나타낸다는 것에 주의하라.The term "thick part" as used in this disclosure corresponds, for example, to the area of the first occlusal surface B1 corresponding to thethicker parts 102 and 104, The area of the second occlusal surface B2 corresponds to thethick part 104 and each thick part corresponds to the other area of the second occlusal surface B2 ), Which indicates that it is thicker than the other regions.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리테이너(100) 및 두꺼운 부분(102 및 104)은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두꺼운 부분(102 및 104)은, 합성 수지, 글라스 이오노머(glass ionomer), 또는 구강 용례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내마모성 재료로 형성된 이후에 제1 리테이너(100)의 제1 교합면(B1)에 접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리테이너(200) 및 두꺼운 부분(204)은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두꺼운 부분(204)은, 합성 수지, 글라스 이오노머(glass ionomer), 또는 구강 용례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내마모성 재료로 형성된 이후에 제2 리테이너(200)의 제2 교합면(B2)에 접합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first retainer 100 and thethick portions 102 and 104 may be integrally formed as a single part. Alternatively, thethick portions 102 and 104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a glass ionomer, or other wear resistant material suitable for use in oral application, and then the first occlusal surface B1 of the first retainer 100 ). ≪ / RTI > Likewise, thesecond retainer 200 and thethick portion 204 can be integrally formed as a single part. Alternatively, thethick portion 204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a glass ionomer, or other wear resistant material suitable for use in oral application, and then formed on the second occlusal surface B2 of thesecond retainer 200 Can be bonded.

환자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악교정 보정 장치를 착용하고 있을 때, 그리고 제1 리테이너(100)의 제1 교합면(B1)이 제2 리테이너(200)의 제2 교합면(B2)과 접촉하고 있을 때, 하악골 치열궁의 2개의 앞니 그리고 2개의 옆쪽 앞니에 대응하는 제2 리테이너(200)의 수 개의 서브유닛(subunit)(202 및 202')(도 2 및 도 3b 참고)은 제1 리테이너(100) 상의 두꺼운 부분(102)(도 3a 참고)과 접촉할 수 있으며, 제2 리테이너(200) 상의 두꺼운 부분(204)(도 3b 참고)은 제1 리테이너(100) 상의 두꺼운 부분(104)(도 3a 참고)과 접촉할 수 있다.When the patient is wearing the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and the first occlusal surface B1 of thefirst retainer 100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occlusal surface B2 of thesecond retainer 200Several subunits 202 and 202 '(see FIGS. 2 and 3B) of thesecond retainer 200 corresponding to the two front teeth and the two lateral front teeth of the mandibular arch are attached to thefirst retainer 100 The thick portion 204 (see FIG. 3B) on thesecond retainer 200 is in contact with the thick portion 104 (see FIG. 3A) on thefirst retainer 100, 3a).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교정 보정 장치의 작동 원리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전술한 구조적 구성을 채용하면, 제1 리테이너(100)의 제1 교합면(B1)이 제2 리테이너(200)의 제2 교합면(B2)과 접촉할 때, 제1 교합면(B1) 상의 두꺼운 부분(102 및 104)은 안내 블록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제2 교합면(B2) 상의 두꺼운 부분(204) 및 서브유닛(202, 202')은 안내 블록(102 및 104)의 안내면과 접촉할 수 있다(도시를 단순화하기 위해, 오직 하나의 안내면 및 하나의 접촉점만이 도 4에 도시되어 있음). 이러한 상황에서, 탄성 부재(500)(도 2 참고)에 의해 가해지는 탄성력은, 제1 리테이너(100)에 대해 안내면을 따라 (도 4에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하도록 제2 리테이너(200)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리테이너(200)에 연결되는 하악골(20)이 제1 리테이너(100)에 연결되는 상악골(10)에 대해 이동하도록 하고 악관절(30)이 다시 적절한 위치로 옮겨지게 하여, 악교정 보정을 달성한다.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orthodontic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occlusal surface B1 of thefirst retainer 100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occlusal surface B2 of thesecond retainer 200, Thethick portions 102 and 104 can be used as a guide block and thethick portion 204 and thesubunits 202 and 202 'on the second occlusal surface B2 are in contact with the guide surfaces of the guide blocks 102 and 104 (Only one guide surface and one contact point are shown in Figure 4 to simplify the illustration). In this situation, the elastic force exerted by the elastic member 500 (see FIG. 2) is applied to thefirst retainer 100 through the second retainer (not shown) so as to slide along theguide surface 200 so that themandible 20 connected to thesecond retainer 200 moves relative to themaxilla 10 connected to thefirst retainer 100 and the temporal joint 30 is moved back to a proper position So as to achieve corrective correction.

탄성 부재(50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리테이너(100)에 대해 (Y축과 Z축 사이의 방향을 따라) 후방 상향으로 이동하도록 제2 리테이터(200)가 구동될 때, 환자의 하악골(20)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골(10)에 비해 앞으로 튀어나와 있는 상황이 개선될 수 있다. 반대로, 탄성 부재(50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리테이너(100)에 대해 (-Y축과 -Z축 사이의 방향을 따라) 전방 하향으로 이동하도록 제2 리테이터(200)가 구동될 때, 환자의 하악골(20)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골(10)에 비해 뒤로 들어가 있는 상황이 개선될 수 있다.When thesecond retainer 200 is driven to move backward and upward (along the direction between the Y-axis and the Z-axis) with respect to thefirst retainer 100 by the elastic force of theelastic member 500, 20 are protruded forward as compared to themaxillary bone 10 as shown in FIG. 1A. Conversely, when thesecond retainer 200 is driven to move forward downward (along the direction between the -Y and -Z axes) with respect to thefirst retainer 100 by the elastic force of theelastic member 500, The situation in which the patient'smandible 20 is inserted backward as compared to themaxilla 10 as shown in Fig. 1B can be improved.

전술한 실시예에서 안내 블록 및 안내면은 제1 리테이너(100)의 제1 교합면(B1) 상에 형성되지만, 이들 안내 블록 및 안내면은 또한 제2 리테이너(200)의 제2 교합면(B2) 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block and the guide surface are formed on the first occlusal surface B1 of thefirst retainer 100 but the guide block and the guide surface are also formed on the second occlusal surface B2 of thesecond retainer 200, Lt; / RTI >

제1 리테이너(100)의 두꺼운 부분(102, 104)의 위치 및 개수 그리고 제2 리테이너(200)의 두꺼운 부분(204)의 위치 및 개수는 도 3a 및 도 3b의 실시예에 제시된 위치 및 개수로 한정되지 않고, 오히려 다양한 환자의 다양한 상태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The positions and the number of thethick portions 102 and 104 of thefirst retainer 100 and the positions and the number of thethick portions 204 of thesecond retainer 200 are the same as the positions and the numbers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s. But rather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of various patients.

더욱이, 환자의 하악골(20)이 상악골(10)에 비해 앞으로 돌출되어 있는 경우, 상악골 치열궁(12)의 제2 어금니(12F)는 흔히 하악골 치열궁(22)의 제2 어금니(12C)를 방해할 가능성이 있으며(도 1a 참고), 결과적으로 하악골 치열궁(22) 상에 배치되는 제2 리테이너(200)는 상악골 치열궁(12) 상에 배치되는 제1 리테이너(100)와 결합될 때 달라붙어 꼼짝 못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이에 따라 하악골(20)은 악교정 보정 중에 상악골(10)에 대해 (Y축과 Z축 사이의 방향을 따라) 후방 상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없게 된다.Thesecond molar 12F of the maxillarydental arch 12 often has thesecond molar 12C of the mandibulardental arch 22 and thesecond molar 12B of the mandibulardental arch 22. In the case where the patient'smandible 20 protrudes forward relative to themaxilla 10, (See FIG. 1A), and consequently thesecond retainer 200 disposed on themandibular arch 22 is engaged with thefirst retainer 100 disposed on the maxillary arch So that themandible 20 can not smoothly move backward and upward with respect to the maxilla 10 (along the direction between the Y axis and the Z axis) during orthodontic correction.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면, 이에 따라, 제1 리테이너(100)의 제1 교합면(B1)은 상악골 치열궁(12)의 좌측 제2 어금니(12F) 및 우측 제2 어금니(12F)를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제1 교합면 상에 형성된 2개의 개구(106)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2 리테이너(200)의 제2 교합면(B2)에는 또한 상기 제2 교합면 상에서 제1 리테이너(100)의 개구(106)들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스페이서(206)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리테이너(100)의 제1 교합면(B1)이 제2 리테이너(200)의 제2 교합면(B2)과 접촉할 때, 스페이서(206)는 개구(106)를 통해 제2 송곳니(12F)와 이웃할 수 있어 제1 리테이너(100)와 제2 리테이너(200) 사이의 공간이 넓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제2 리테이너(200)가 제1 리테이너(100)에 대해 달라붙어 꼼짝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악교정 보정 장치는 제2 리테이너(200)에 연결되는 하악골(20)과 제1 리테이너(100)에 연결되는 상악골(10)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원할하게 조절하여 악교정 보정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악교정 보정 장치는 하악골(20)의 회전도 역시 유발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3A and 3B, the first occlusal surface B1 of thefirst retainer 100 is in contact with the leftsecond molar 12F and the rightsecond molar 12F of the maxillarydental arch 12 Thesecond retainer 200 may have twoopenings 106 formed on the first occlusal surface to expose thesecond retainer 200 and the second occlusal surface B2 of thesecond retainer 200 may also have afirst retainer 100 Twospacers 206 corresponding to theopenings 106 of each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may be formed. When the first occlusal surface B1 of thefirst retainer 100 contacts the second occlusal surface B2 of thesecond retainer 200, thespacer 206 passes through theopening 106 to thesecond fangs 12F The space between thefirst retainer 100 and thesecond retainer 200 is widened so that thesecond retainer 200 sticks to thefirst retainer 100 and becomes stuck It should be understood. Therefore, the orthodontic corr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smoothly adjusts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mandible 20 connected to thesecond retainer 200 and themaxilla 10 connected to thefirst retainer 100 to achieve orthodontic correction . In addition, the orthodontic corr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lso implemented so as to induce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mandible 20 as well.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페이서(206)는 또한 두꺼운 부분으로서 간주될 수 있으며, 그 제조 방법은 두꺼운 부분(204)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다. 더욱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페이서(206) 및 개구(106)의 위치 및 개수가 또한 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교합면(B1) 또는 제2 교합면(B2) 상의 개구가 또한 생략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spacer 206 may also be regarded as a thick portion,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is the same a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thick portion 204. Moreover, in some embodiments, the location and number ofspacers 206 andopenings 106 can also be adjusted. In some embodiments, the opening on the first occlusal surface Bl or the second occlusal surface B2 may also be omitted.

비록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악교정 보정 장치는 제1 리테이너(100) 및 제2 리테이너(200)를 포함하고 있지만, 일부 실시예에서의 악교정 보정 장치는 또한 상악골 치열궁 또는 하악골 치열궁 상에 제거 가능하게 착용되도록 구성되는 단일 리테이너[제1 리테이너(100) 또는 제2 리테이너(2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또한 리테이너 없이 다른 치열궁의 좌측 볼면 및 우측 볼면 상에 적어도 2개의 연결 부품(즉, 좌측 연결 부품 및 우측 연결 부품)이 있을 수 있으며(예컨대, 상악골 치열궁 상에 리테이너가 착용되어 있다면, 하악골 치열궁의 좌측 볼면 및 우측 볼면 상에 적어도 2개의 연결 부품이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하악골 치열궁 상에 리테이너가 착용되어 있다면, 상악골 치열궁의 좌측 볼면 및 우측 볼면 상에 적어도 2개의 연결 부품이 고정될 수 있음), 리테이너 없이 이러한 치열궁의 교합면에는 그 위에 두꺼운 부분(안내 블록)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악골에 대해 이동하도록 하악골을 구동시키기 위해 탄성 부재를 사용하여 리테이너 없이 치열궁 상의 연결 부품 및 리테이너 상의 연결 부품을 결합시킴으로써, 악교정 보정의 목적이 또한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리테이너 없이 치열궁은 또한 좌측 볼면과 우측 볼면 사이에서 그 입술면 상에 중앙 연결 부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중앙 연결 부품은 이웃한 좌측 볼면 또는 우측 볼면 상의 연결 부품에 결합될 수 있고, 이후 탄성 부재에 의해 다른 치열궁 상에 착용된 리테이터의 대응하는 좌측 볼면 또는 우측 볼면 상의 연결 부품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악골(10)과 하악골(20) 사이의 수평방향 비대칭이 교정된다.Although the orthognathic correction device in the above embodiment includes thefirst retainer 100 and thesecond retainer 200, the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in some embodiments can also be removed on the maxillary dental arch or mandibular arch (Thefirst retainer 100 or the second retainer 200) configured to be worn in a manner that thefirst retainer 100 is attached to thefirst retainer 100. [ In this case, there may also be at least two connecting parts (i.e., a left connecting part and a right connecting part) on the left side and right side of the dental arch without a retainer (e.g., a retainer is worn on the maxillary dental arch At least two connecting components may be fixed on the left and right balloons of the mandibular dental arch and, on the contrary, if the retainer is worn on the mandibular arch, at least two connections The part may be fixed), and a thick part (guide block)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occlusal surface of such a dental arch without a retainer. Thus, by using an elastic member to drive the mandible to move relative to the maxilla, by coupling the connecting component on the arch of the arch and the retainer on the arch without the retainer, the purpose of orthodontic correction can also be achieved. Moreover, the dental arch without a retainer can also have a central connecting part on its lips fa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ball faces, which can be joined to the connecting parts on the neighboring left or right ball faces, And can then be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left-side or right-side ball-piece connecting part of the retractor worn on the other dental arch by the resilient member so that the horizontal (horizontal) plane between themaxilla 10 and themandible 20 Direction asymmetry is corrected.

전술한 실시예(도 2 참고)에서, 제1 리테이너(100)의 제1 치아 수용 부분(R1)은 상악골 치열궁(12)의 모든 치아(즉, 상악골 치아)를 감싸도록 성형되며, 제2 리테이너(200)의 제2 치아 수용 부분(R2)은 하악골 치열공(22)의 모든 치아(즉, 하악골 치아)를 감싸도록 성형되고, 제1 치아 수용 부분(R1)은 또한 상악골 치열궁(12)의 (상악골 치아의) 일부를 감싸도록 성형될 수 있으며, 제2 치아 수용 부분(R2)은 또한 하악골 치열궁(22)의 (하악골 치아의) 일부를 감싸도록 성형될 수 있다.2), the first tooth receiving portion R1 of thefirst retainer 100 is formed so as to enclose all the teeth of the maxillary dental arch 12 (i.e., the maxillary teeth), and the second The second tooth receiving portion R2 of theretainer 200 is formed so as to enclose all the teeth of the mandibular dental arch 22 (i.e., the mandible teeth), and the first dental receiving portion R1 is also formed in the maxillarydental arch 12 And the second tooth receiving portion R2 may also be shaped to enclose a portion of the mandibular arch 22 (of the mandibular teeth).

더욱이,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면, 도 5a는 환자의 상악골 치열궁 상에 착용되어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리테이너(100')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5b는 환자의 하악골 치열궁 상에 착용되어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리테이너(200')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테이너(100')는 또한 도 3a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거의 전체를 커버하는 대신, 상악골 치열궁(12)의 교합면(O1)을 노출시킬 수 있고, 제2 리테이너(200')는 또한 도 3b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거의 전체를 커버하는 대신, 하악골 치열궁(22)의 교합면(O2)을 노출시킬 수 있다. 제1 리테이너(100')의 볼면 상의 제1 연결 부품(306)을 제2 리테이너(200')의 볼면 상의 제2 연결 부품(406)에 결합시키기 위해 앞서 설명된 수 개의 탄성 부재(500)(도 2 참고)를 이용함으로써, 악교정 보정이 또한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5A and 5B, FIG. 5A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first retaine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worn on the maxillary arch of the patient, and FIG. 5B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econd retain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worn on a mandibular arch of a patient. As shown in Figures 5A and 5B, the first retainer 100 'may also be configured to expose the occlusal surface O1 of the maxillarydental arch 12, rather than covering substantially the entirety as in the embodiment of Figure 3A And the second retainer 200 'can also expose theocclusal surface 02 of the mandibulardental arch 22, instead of covering almost the entirety as in the embodiment of Fig. 3b. The number of elastic members 500 (described above) for coupling the first connectingpart 306 on the ball surface of the first retainer 100 'to the second connectingpart 406 on the ball surface of the second retainer 200' 2),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 correction of the orthogonality can also be achieved.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제1 리테이너(100')의 설부면(lingual surface)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설부 연결 부품(lingual connection part; 306')이 고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제2 리테이너(200')의 설부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설부 연결 부품(406')이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설부 연결 부품(306') 및 제2 설부 연결 부품(406')은 도 2의 실시예에서의 제1 연결 부품(306) 및 제2 연결 부품(406)과 동일한 재료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도 5a 및 도 5b 참고)에 있어서, 제1 리테이너(100'), 제1 연결 부품(306) 및 제1 설부 연결 부품(306')는 (예컨대, 금속 몰딩에 의해)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리테이너(200'), 제2 연결 부품(406) 및 제2 설부 연결 부품(406')은 (예컨대, 금속 몰딩에 의해)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로써 한정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S. 5A and 5B, at least one first lingual connection part 306 'may also be fixed on the lingual surface of the first retainer 100' , And at least one second tongue connecting part 406 'may be fixed on the tongue face of the second retainer 200'. The first tongue connecting part 306 'and the second tongue connecting part 406'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connectingpart 306 and the second connectingpart 406 in the embodiment of FIG. 2 . 5A and 5B), the first retainer 100 ', the first connectingpart 306 and the first tongue connecting part 306' may have one (for example, by metal molding) And the second retainer 200 ', the second connectingpart 406 and the second tongue connecting part 406' may be integrally formed as a single part (e.g., by metal molding)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그 장점이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기 실시예에서 다양한 변경, 대체 및 변형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에 여전히 속하도록 하면서도 본원에서 설명되는 다수의 특징, 기능, 프로세스 및 재료가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본 출원의 범위를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프로세스, 기계, 제조, 물질의 조성, 수단, 방법 및 단계에 관한 특정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개시내용으로부터, 본원에서 설명되는 대응하는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달성하는 것으로서, 현재 존재하거나 추후 개발될 프로세스, 기계, 제조, 물질의 조성, 수단, 방법 또는 단계가 본 발명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첨부된 청구범위는 이러한 프로세스, 기계, 제조, 물질의 조성, 수단, 방법 또는 단계를 그 범위에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추가적으로, 각각의 청구항은 개별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며, 다양한 청구범위 및 실시예의 조합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에 속한다.While the embodimen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in the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omething to do. For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at many features, functions, processes and materials described herein may be varied while still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over,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with respect to the process, machine, manufacture, composition of matter, means, methods and steps set forth herei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derive, from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 process, machine, manufacture, or article of manufacture presently or later to be developed, which performs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or attains substantially the same result as the corresponding embodiment described herein Compositions, means, methods, or steps may be utilized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cover such process, machine, manufacture, composition of matter, means, method, or step. In addition, each claim constitutes a separate embodiment, and the various claims and combinations of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Claims (20)

Translated fromKorean
악교정 보정 장치로서,
환자의 상악골 치열궁(maxillary dental arch) 상에 제거 가능하게 착용되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1 좌측 연결 부품이 그 위에 고정되는 제1 좌측 볼면(left buccal surface)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우측 연결 부품이 그 위에 고정되는 제1 우측 볼면을 갖는 것인 제1 리테이너;
환자의 하악골 치열궁(mandibular dental arch) 상에 제거 가능하게 착용되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좌측 연결 부품이 그 위에 고정되는 제2 좌측 볼면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우측 연결 부품이 그 위에 고정되는 제2 우측 볼면을 갖는 것인 제2 리테이너;
제1 좌측 연결 부품을 제2 좌측 연결 부품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 그리고 제1 우측 연결 부품을 제2 우측 연결 부품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제1 리테이너에 대해 움직이도록 제2 리테이너를 구동시켜, 제1 리테이너 및 제2 리테이너가 각각 상악골 치열궁 및 하악골 치열궁 상에 유지될 때 환자의 상악골과 하악골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하도록 하고,
상기 제2 리테이너는 제2 교합면을 더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spacer)가 상기 제2 교합면에 형성되고, 제1 리테이너는 제1 교합면을 더 가지며, 상악골 치열궁의 적어도 하나의 상악골 치아를 노출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상기 제1 교합면 상에 형성되고, 제1 교합면이 제2 교합면과 접촉할 때,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악골 치아와 이웃하여, 상악골 치아를 상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제1 리테이너와 제2 리테이너 사이의 공간을 넓히는 것인 악교정 보정 장치.
As the orthognathic correction device,
A first left buccal surface configured to be removably mounted on a maxillary dental arch of a patient and having at least one first left connecting part fixed thereon and at least one first right connecting A first retainer having a first right side surface on which the component is secured;
A second left side surface configured to be removably mounted on a mandibular dental arch of a patient and having at least one second left connecting part fixed thereon and at least one second right side connecting part A second retainer having a second right-side ball surface;
At least one resilient member configured to couple the first left connecting component to the second left connecting component and at least one resilient member configured to couple the first right connecting component to the second right connecting component,
Wherein the elastic member drives the second retainer to move relative to the first retainer such that when the first retainer and the second retainer are respectively retained on the maxillary arches and mandibular arches, The relative position is adjusted,
Wherein the second retainer further has a second occlusal surface, at least one spacer is formed on the second occlusal surface, the first retainer further has a first occlusal surface, at least one maxillary bone tooth of the maxillary dental arch Wherein at least one opening is formed on the first occlusal surface and when the first occlusal surface contacts the second occlusal surface, the spacer is adjacent to the maxillary tooth via the opening, , Thereby widening the space between the first retainer and the second re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테이너는 입술면을 더 가지며, 제2 중앙 연결 부품이 상기 입술면 상에 고정되고, 상기 악교정 보정 장치는, 제2 중앙 연결 부품을 제2 좌측 연결 부품에 그리고 제1 좌측 연결 부품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거나 혹은 제2 중앙 연결 부품을 제2 우측 연결 부품에 그리고 제1 우측 연결 부품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여, 환자의 상악골과 하악골 사이의 수평방향 비대칭이 교정되도록 하는 것인 악교정 보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retainer further has a lipsurface and a second central connecting part is fixed on the lipsurface and the orthognathic correction device is configured to apply the second central connecting part to the second left connecting part and to the first left connecting part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resilient member configured to engage the second central connecting part or to couple the second central connecting part to the second right connecting part and to the first right connecting part such that horizontal asymmetry between the maxilla and mandible of the patient Is corr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테이너는 제2 교합면을 더 가지며, 상기 제1 리테이너는 제1 교합면을 더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안내 블록이 상기 제1 교합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안내 블록은 안내면을 가지고, 상기 안내면은, 제2 리테이너가 제1 리테이너에 대해 이동할 때 안내면을 따라 제2 교합면이 접촉 및 이동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악교정 보정 장치.2. The toothbrush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retainer further has a second occlusal surface, the first retainer further has a first occlusal surface, at least one guide block is formed on the first occlusal surface, Wherein the block has a guide surface and the guide surface is configured to allow the second occlusal surface to contact and move along the guide surface as the second retainer moves relative to the first retainer.삭제delete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테이너는 제2 교합면을 더 가지며, 상기 제1 리테이너는 제1 교합면을 더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두꺼운 부분이 제1 교합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두꺼운 부분은 안내면을 가지고, 상기 안내면은, 제2 리테이너가 제1 리테이너에 대해 이동할 때 상기 안내면을 따라 제2 교합면이 접촉 및 이동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악교정 보정 장치.2. The toothbrush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retainer further comprises a second occlusal surface, the first retainer further having a first occlusal surface, at least one thick portion formed on the first occlusal surface, Wherein the guide surface is configured to cause the second occlusal surface to contact and move along the guide surface when the second retainer moves relative to the first retainer.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교합면은, 이 제2 교합면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두꺼운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2 교합면 상의 대응하는 두꺼운 부분은, 제2 리테이너가 제1 리테이너에 대해 이동할 때 제1 교합면 상의 두꺼운 부분의 안내면을 따라 접촉 및 이동하는 것인 악교정 보정 장치.6. The absorbent article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occlusal surface has at least one corresponding thick portion formed on the second occlusal surface, and a corresponding thick portion on the second occlusal surface has a second retainer And moves along the guide surface of the thick portion on the first occlusal surface when moving relative to the retainer.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테이너는 환자의 상악골 치열궁의 일부를 감싸도록 성형되는 수용 부분을 더 구비하는 것인 악교정 보정 장치.2. The orthognathic correction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retainer further comprises a receiving portion that is configured to wrap a portion of a maxillary dental arch of a patient.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테이너는 환자의 하악골 치열궁의 일부를 감싸도록 성형되는 수용 부분을 더 구비하는 것인 악교정 보정 장치.2. The orthognathic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retainer further comprises a receiving portion formed to enclose a part of a mandible of the patient.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테이너는 환자의 상악골 치열궁의 교합면을 노출시키는 것인 악교정 보정 장치.2. The orthognathic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retainer exposes an occlusal surface of a maxillary dental arch of a patient.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테이너는 환자의 하악골 치열궁의 교합면을 노출시키는 것인 악교정 보정 장치.2. The orthognathic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retainer exposes an occlusal surface of the mandible.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테이너는 설부면(lingual surface)을 더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제1 설부 연결 부품이 상기 설부면에 고정되는 것인 악교정 보정 장치.2. The orthognathic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retainer further has a lingual surface, and at least one first tongue connecting part is fixed to the tongue surface.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테이너는 설부면(lingual surface)을 더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제2 설부 연결 부품이 상기 설부면에 고정되는 것인 악교정 보정 장치.

2. The orthognathic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retainer further has a lingual surface, and at least one second tongue connecting part is fixed to the tongue surface.

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
KR1020160036708A2015-03-262016-03-28Orthognathic correction device and orthognathic correction methodExpired - Fee RelatedKR10192758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CN201510135110.32015-03-26
CN2015101351102015-03-26
CN201610159772.9ACN105997274B (en)2015-03-262016-03-21orthodontic device
CN201610159772.92016-03-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60115854A KR20160115854A (en)2016-10-06
KR101927582B1true KR101927582B1 (en)2018-12-10

Family

ID=57082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60036708AExpired - Fee RelatedKR101927582B1 (en)2015-03-262016-03-28Orthognathic correction device and orthognathic correction method

Country Status (4)

CountryLink
JP (1)JP6247328B2 (en)
KR (1)KR101927582B1 (en)
CN (1)CN105997274B (en)
TW (2)TWI569781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3233861B2 (en)1996-10-312001-12-04住友電装株式会社 Insulated conductor pair and induction cable using this insulated conductor pair
US10537406B2 (en)2014-02-212020-01-21Align Technology, Inc.Dental appliance with repositioning jaw elements
US9844424B2 (en)2014-02-212017-12-19Align Technology, Inc.Dental appliance with repositioning jaw elements
US10449016B2 (en)2014-09-192019-10-22Align Technology, Inc.Arch adjustment appliance
US10504386B2 (en)2015-01-272019-12-10Align Technology, Inc.Training method and system for oral-cavity-imaging-and-modeling equipment
US11931222B2 (en)2015-11-122024-03-19Align Technology, Inc.Dental attachment formation structures
US11554000B2 (en)2015-11-122023-01-17Align Technology, Inc.Dental attachment formation structure
US11103330B2 (en)2015-12-092021-08-31Align Technology, Inc.Dental attachment placement structure
US11596502B2 (en)2015-12-092023-03-07Align Technology, Inc.Dental attachment placement structure
WO2017218947A1 (en)2016-06-172017-12-21Align Technology, Inc.Intraoral appliances with sensing
US10383705B2 (en)2016-06-172019-08-20Align Technology, Inc.Orthodontic appliance performance monitor
CA3030676A1 (en)2016-07-272018-02-01Align Technology, Inc.Intraoral scanner with dental diagnostics capabilities
CN117257492A (en)2016-11-042023-12-22阿莱恩技术有限公司Method and apparatus for dental imaging
US11026831B2 (en)2016-12-022021-06-08Align Technology, Inc.Dental appliance features for speech enhancement
EP3547952B1 (en)2016-12-022020-11-04Align Technology, Inc.Palatal expander
AU2017366755B2 (en)2016-12-022022-07-28Align Technology, Inc.Methods and apparatuses for customizing rapid palatal expanders using digital models
WO2018102770A1 (en)2016-12-022018-06-07Align Technology, Inc.Force control, stop mechanism, regulating structure of removable arch adjustment appliance
US10548700B2 (en)2016-12-162020-02-04Align Technology, Inc.Dental appliance etch template
US10779718B2 (en)2017-02-132020-09-22Align Technology, Inc.Cheek retractor and mobile device holder
WO2018183358A1 (en)2017-03-272018-10-04Align Technology, Inc.Apparatuses and methods assisting in dental therapies
US10613515B2 (en)2017-03-312020-04-07Align Technology, Inc.Orthodontic appliances including at least partially un-erupted teeth and method of forming them
US11045283B2 (en)2017-06-092021-06-29Align Technology, Inc.Palatal expander with skeletal anchorage devices
CN116942335A (en)2017-06-162023-10-27阿莱恩技术有限公司 Automatic detection of tooth type and eruption status
US10639134B2 (en)2017-06-262020-05-05Align Technology, Inc.Biosensor performance indicator for intraoral appliances
US10885521B2 (en)2017-07-172021-01-05Align Technology, Inc.Method and apparatuses for interactive ordering of dental aligners
CN111107806B (en)2017-07-212022-04-19阿莱恩技术有限公司Jaw profile anchoring
EP4278957A3 (en)2017-07-272024-01-24Align Technology, Inc.System and methods for processing an orthodontic aligner by means of a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CN110996842B (en)2017-07-272022-10-14阿莱恩技术有限公司 Tooth Staining, Transparency and Glazing
US12274597B2 (en)2017-08-112025-04-15Align Technology, Inc.Dental attachment template tray systems
JP6649999B2 (en)*2017-08-142020-02-19澄祥 洪 Orthodontic appliance
US11116605B2 (en)2017-08-152021-09-14Align Technology, Inc.Buccal corridor assessment and computation
US11123156B2 (en)2017-08-172021-09-21Align Technology, Inc.Dental appliance compliance monitoring
US12171575B2 (en)2017-10-042024-12-24Align Technology, Inc.Intraoral systems and methods for sampling soft-tissue
US10813720B2 (en)2017-10-052020-10-27Align Technology, Inc.Interproximal reduction templates
CN111182851B (en)*2017-10-062022-05-133M创新有限公司Removable dental appliance including a jumper wire
CN111565668B (en)2017-10-272022-06-07阿莱恩技术有限公司Substitute occlusion adjusting structure
CN111295153B (en)*2017-10-312023-06-16阿莱恩技术有限公司Dental appliance with selective bite loading and controlled tip staggering
WO2019089782A1 (en)*2017-11-012019-05-09Align Technology, Inc.Systems and methods for correcting malocclusions of teeth
CN119235481A (en)2017-11-012025-01-03阿莱恩技术有限公司 Automatic treatment planning
US11534974B2 (en)2017-11-172022-12-27Align Technology, Inc.Customized fabrication of orthodontic retainers based on patient anatomy
US11219506B2 (en)2017-11-302022-01-11Align Technology, Inc.Sensors for monitoring oral appliances
US11432908B2 (en)2017-12-152022-09-06Align Technology, Inc.Closed loop adaptive orthodontic treatment methods and apparatuses
US10980613B2 (en)2017-12-292021-04-20Align Technology, Inc.Augmented reality enhancements for dental practitioners
US10813727B2 (en)2018-01-262020-10-27Align Technology, Inc.Diagnostic intraoral tracking
US11937991B2 (en)2018-03-272024-03-26Align Technology, Inc.Dental attachment placement structure
EP3773320B1 (en)2018-04-112024-05-15Align Technology, Inc.Releasable palatal expanders
TWI739054B (en)*2018-06-292021-09-11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Positioning guidance method for tooth brackets and system thereof
US11049276B2 (en)2018-06-292021-06-29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Positioning guidance method and system for tooth brackets
US11534277B2 (en)2019-03-252022-12-27Align Technology, Inc.Various structured supports for 3D printed aligners/mouth pieces
WO2021043129A1 (en)*2019-09-022021-03-11杨幽幽Transparent correction teeth brace
JP6945113B1 (en)*2020-05-212021-10-06SheepMedical株式会社 Orthodontic appliance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ethods
CN114010347B (en)*2020-11-122024-06-04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Self-fixing type individuation mandibular retain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2741705B (en)*2020-12-302024-09-24重庆医科大学Hydrostatic jaw pad of finished product
CN113017869A (en)*2021-03-222021-06-25深圳隐领科技有限公司Aesthetic tooth socket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JP2023127580A (en)*2022-03-012023-09-13利彰 牛込orthodontic appliance
CN114983595B (en)*2022-06-152024-11-26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Integrated post-orthognathic tooth and jaw stabilization device and design method thereof
TWI847941B (en)*2023-12-202024-07-01梁師維Fixed device for ridge augment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5683244A (en)1995-07-101997-11-04Truax; Lloyd H.Dental appliance to correct malocclusion
US20100307511A1 (en)2007-04-232010-12-09Meade Thomas EMandibular Advancement Appliance
KR101109114B1 (en)2011-08-172012-02-15김태원 Traction device for transparent braces
JP2013523272A (en)*2010-03-292013-06-17フランツ デザイ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Method and apparatus for vacuum forming dental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WO1996004864A1 (en)*1994-08-081996-02-22William VogtOrthodontic bite jumping device
US5975893A (en)*1997-06-201999-11-02Align Technology, Inc.Method and system for incrementally moving teeth
US6572372B1 (en)*2000-04-252003-06-03Align Technology, Inc.Embedded features and methods of a dental appliance
US7090490B2 (en)*2004-07-262006-08-15Brian Keith GrahamAttachable orthodontic hook system
US7637262B2 (en)*2006-06-122009-12-29Bailey Dennis RAnti-retrusion oral appliance
US8044954B2 (en)*2006-09-222011-10-25Align Technology, Inc.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construction of tooth axes
GB0703384D0 (en)*2007-02-212007-03-28Ortho Pro Teknica LtdOrthodontic appliances
ES2399602T3 (en)*2009-07-022013-04-02Somnowell Ltd. Device for mandibular advancement
CA2674656C (en)*2009-08-142010-10-12Douglas AwdeRemovable bite plane applian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5683244A (en)1995-07-101997-11-04Truax; Lloyd H.Dental appliance to correct malocclusion
US20100307511A1 (en)2007-04-232010-12-09Meade Thomas EMandibular Advancement Appliance
JP2013523272A (en)*2010-03-292013-06-17フランツ デザイ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Method and apparatus for vacuum forming dental equipment
KR101109114B1 (en)2011-08-172012-02-15김태원 Traction device for transparent bra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JP2016182337A (en)2016-10-20
CN105997274B (en)2018-10-19
TWI605798B (en)2017-11-21
KR20160115854A (en)2016-10-06
CN105997274A (en)2016-10-12
TW201634013A (en)2016-10-01
JP6247328B2 (en)2017-12-13
TW201635981A (en)2016-10-16
TWI569781B (en)2017-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101927582B1 (en)Orthognathic correction device and orthognathic correction method
JP6656280B2 (en) Chewing orthodontic appliance
KR101841345B1 (en)Masticatory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JP2006513738A (en) Dental instrument having a longitudinal thickness changed between upper and lower jaw shells, with hinge mechanism for attaching upper and lower jaw shells,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malocclusion
JP2006500114A (en) Dental instruments for treating malocclusions
KR102133331B1 (en)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KR20190080789A (en)Orthodontic space closure device
EP3923876B1 (en)Dental appliance
US10105194B2 (en)Orthognathic correction device and orthognathic correction method
TWI558384B (en)Masticatory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and masticatory orthodontic and orthognathic correction device
CN107865705B (en)Multifunctional appliance for orthodontic treatment
HK1255726B (en)Masticatory orthodontic device and shape memory mesh
CN119302768A (en) Dental Instruments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8-X000Priority claim added or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8-nap-X000

A201Request for examination
E13-X000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D13-X000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D14-X000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E13-X000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24120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241205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