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1926503B1 - 신호 컨택부 및 그라운드 컨택부가 연동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 Google Patents

신호 컨택부 및 그라운드 컨택부가 연동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503B1
KR101926503B1KR1020180034834AKR20180034834AKR101926503B1KR 101926503 B1KR101926503 B1KR 101926503B1KR 1020180034834 AKR1020180034834 AKR 1020180034834AKR 20180034834 AKR20180034834 AKR 20180034834AKR 101926503 B1KR101926503 B1KR 101926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contact
connection
contact portion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화윤
이진욱
차선화
양창현
김은정
정경훈
정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가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가레인filedCritical주식회사 기가레인
Priority to KR1020180034834ApriorityCriticalpatent/KR101926503B1/ko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503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1926503B1/ko
Priority to CN201910183181.9Aprioritypatent/CN110311239B/zh
Priority to EP19163690.1Aprioritypatent/EP3547459B1/en
Priority to US16/361,434prioritypatent/US10804635B2/en
Priority to JP2019058275Aprioritypatent/JP6550686B1/ja
Active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 컨택부 및 그라운드 컨택부가 연동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이 기판의 신호 전극과 접촉하여 상기 신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컨택부; 일측이 기판의 그라운드 전극과 접촉하여 상기 그라운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그라운드 컨택부; 및 상기 신호 컨택부 및 상기 그라운드 컨택부 사이에 위치하는 유전체부; 를 포함하되, 상기 그라운드 컨택부는, 그라운드부와, 상기 유전체부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신호 컨택부와 연동되도록 상기 그라운드부와 접촉되어 상대 이동하는 다른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호 컨택부 및 그라운드 컨택부가 연동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Board mating connector in which the signal contact part and ground contact part are interlock}
본 발명은 신호 컨택부 및 그라운드 컨택부가 연동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과 같이, 일측이 인쇄회로기판 등 신호 배선이 형성된 기판에 접촉되어 기판에 RF 신호를 전달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는 기판의 신호 패드와 접촉되는 신호 컨택부(100), 기판의 그라운드 패드와 접촉되는 그라운드 컨택부(2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신호 컨택부(100)와 그라운드 컨택부(200)는 개별로 동작한다.
기판이 기울어져 기판 메이팅 커넥터에 접촉되는 경우, 그라운드 컨택부(200)가 기울어진 기판의 그라운드 패드에 맞추어 기울어져 접촉되어도 신호 컨택부(100)가 이에 맞추어 기울어지지 않아 일측으로 치우쳐져 기판의 신호 패드에 접촉하여 임피던스가 틀어지거나, 기판의 신호 패드에 접촉되지 않아 RF 신호가 기판에 전달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신호 컨택부(100)가 기울어진 기판의 신호 패드에 맞추어 기울어져 접촉되어도 그라운드 컨택부(200)가 이에 맞추어 기울어지지 않는 반대의 경우에 따른 문제점도 있다.
KR10-2015-0080486AKR10-152937B1KR10-1408249B1
본 발명은 신호 컨택부 및 그라운드 컨택부가 연동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신호 컨택부 및 그라운드 컨택부가 연동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는, 일측이 기판의 신호 전극과 접촉하여 상기 신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컨택부; 일측이 기판의 그라운드 전극과 접촉하여 상기 그라운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그라운드 컨택부; 및 상기 신호 컨택부 및 상기 그라운드 컨택부 사이에 위치하는 유전체부; 를 포함하되, 상기 그라운드 컨택부는, 그라운드부와, 상기 유전체부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신호 컨택부와 연동되도록 상기 그라운드부와 접촉되어 상대 이동하는 다른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 컨택부는.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하우징 삽입홀이 형성된 하우징; 내부에 타측이 개방된 접촉부 삽입홀이 형성된 접촉부; 상기 하우징 삽입홀의 일측과 상기 접촉부 삽입홀에 타측 사이에 삽입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운드 컨택부는, 제1 그라운드 중공이 형성되는 제1 그라운드부; 상기 제1 그라운드 중공에 타측 일부가 삽입되고, 제2 그라운드 중공이 형성된 제2 그라운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유전체부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제1 그라운드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유전체부; 및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제2 그라운드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유전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그라운드부가 상기 제1 그라운드부 방향 또는 상기 제1 그라운드부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유전체부에 의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제2 그라운드부의 이동 방향과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 타측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제1 연결 홀;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제2 연결 홀;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외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연결 돌출부;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외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연결 돌출부;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서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둘레를 따라 2 이상 형성되는 제1 연결 슬릿; 및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서 타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둘레를 따라 2 이상 형성되는 제2 연결 슬릿; 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연결 홀 일측과 상기 접촉부 삽입홀 타측 사이에 삽입되는 신호 스프링;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접촉부가 상기 연결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신호 스프링이 상기 접촉부에 의해서 압축되고, 압축된 상기 신호 스프링이 복원되어, 상기 접촉부가 상기 연결부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접촉부 내벽에 일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촉 테이퍼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접촉부가 상기 연결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연결 돌출부의 외경이 상기 접촉 테이퍼부에 의해서 압축되고, 압축된 상기 제2 연결 돌출부의 외경이 상기 접촉 테이퍼부의 내경이 커지는 방향을 따라서 복원되어, 상기 접촉부가 상기 연결부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유전체부는, 상기 제2 유전체부는 타단에서 일단으로 관통하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2 그라운드부 사이의 둘레를 따라 2 이상 형성되는 제2 유전체 중공; 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그라운드부의 내측 및 상기 제2 그라운드부의 외측 사이에 위치하는 그라운드 스프링;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그라운드부가 상기 제1 그라운드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그라운드 스프링이 상기 제2 그라운드부에 의하여 압축되고, 압축된 그라운드 스프링이 복원되어, 상기 제2 그라운드부가 상기 제1 그라운드부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그라운드부는, 상기 제1 그라운드 내벽에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그라운드 테이퍼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라운드부는, 상기 제2 그라운드부 타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2 그라운드 돌출부; 및 상기 제2 그라운드부의 타단에서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그라운드부의 둘레를 따라 2 이상 구비되는 제2 그라운드 슬릿; 을 포함하되, 상기 제2 그라운드부가 상기 제1 그라운드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그라운드 돌출부의 외경이 상기 그라운드 테이퍼부에 의해서 압축되고, 압축된 상기 제2 그라운드 돌출부의 외경이 상기 그라운드 테이퍼부의 내경이 커지는 방향을 따라서 복원되어, 상기 제2 그라운드부가 상기 제1 그라운드부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그라운드부는, 상기 제1 그라운드 내벽에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그라운드 테이퍼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라운드부는,
상기 제2 그라운드부 타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2 그라운드 돌출부; 및 상기 제2 그라운드부의 타단에서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그라운드부의 둘레를 따라 2 이상 구비되는 제2 그라운드 슬릿; 을 포함하되, 상기 제2 그라운드부가 상기 제1 그라운드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그라운드 돌출부의 외경이 상기 그라운드 테이퍼부에 의하여 압축되고, 압축된 상기 제2 그라운드 돌출부의 외경이 상기 그라운드 테이퍼부의 내경이 커지는 방향을 따라서 복원되어, 상기 제2 그라운드부가 상기 제1 그라운드부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신호 컨택부 및 그라운드 컨택부가 기판의 RF 신호 전달 가능한 허용 범위 내에 정확히 접촉되고, 임피던스가 틀어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촉부의 일측이 기판에 안정적으로 접촉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원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판 메이팅 커넥터를 포함하는 모듈의 높이를 낮출 수 있고,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의 복원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기판 메이팅 커넥터의 압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신호 컨택부의 외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신호 컨택부의 복원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신호 컨택부의 압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신호 컨택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원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기판 메이팅 커넥터를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9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원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0은 기판 메이팅 커넥터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11은 기판 메이팅 커넥터가 모듈에 삽입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 내지 도 14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의 외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신호 컨택부(100)와 그라운드 컨택부(200)가 개별로 동작하므로 기판이 기울어져 접촉되는 경우, 그라운드 컨택부(200)가 기울어진 기판의 그라운드 패드에 맞추어 기울어져 접촉되어도 신호 컨택부(100)가 이에 맞추어 기울어지지 않아 일측으로 치우쳐져 기판의 신호 패드에 접촉하여 임피던스가 틀어지거나, 기판의 신호 패드에 접촉되지 않아 RF 신호가 기판에 전달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신호 컨택부(100)가 기울어진 기판의 신호 패드에 맞추어 기울어져 접촉되어도 그라운드 컨택부(200)가 이에 맞추어 기울어지지 않는 반대의 경우에 따른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메이팅 커넥터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컨택부(100), 그라운드 컨택부(200), 및 유전체부(300)를 포함한다.
신호 컨택부(100)는 일측이 기판의 신호 전극과 접촉하여 신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라운드 컨택부(200)는 일측이 기판의 그라운드 전극과 접촉하여 그라운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유전체부(300)는 신호 컨택부(100) 및 그라운드 컨택부(200) 사이에 위치한다.
이때, 그라운드 컨택부(200)는, 제1 그라운드부(210)와, 유전체부(300)를 매개로 결합되어 신호 컨택부(100)와 연동되도록 제1 그라운드부(210)와 접촉되어 상대 이동하는 제2 그라운드부(220)를 포함한다.
신호 컨택부(100) 및 그라운드 컨택부(200)의 상호 동작이 연동되기 위한 세부 구성으로, 신호 컨택부(100)는 하우징(110), 접촉부(120), 및 연결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그라운드 컨택부(200)는 제1 그라운드부(210) 및 제2 그라운드부(220)를 포함한다.
또한, 유전체부(300)는 제1 유전체부(310) 및 제2 유전체부(320)를 포함한다.
먼저, 신호 컨택부(100)의 구성을 설명하면, 하우징(110)은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하우징 삽입홀(111)이 형성되고, 타단에 컨택핀(115)이 형성된다.
접촉부(120)는 내부에 타측이 개방된 접촉부 삽입홀(121)이 형성된다.
연결부(140)는 하우징 삽입홀(111)의 일측과 접촉부 삽입홀(121)의 타측 사이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그라운드 컨택부(200)의 구성을 설명하면, 제1 그라운드부(210)는 제1 그라운드 중공(211)이 형성된다.
제2 그라운드부(220)는 제1 그라운드 중공(211)에 타측 일부가 삽입되고, 제2 그라운드 중공(221)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유전체부(300)의 구성을 설명하면, 제1 유전체부(310)는 하우징(110) 및 제1 그라운드부(210) 사이에 위치한다.
제2 유전체부(320)는 연결부(140) 및 제2 그라운드부(220)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그라운드부(220)가 제1 그라운드부(210) 방향 또는 제1 그라운드부(210)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 유전체부(320)에 의해서 연결부(140)가 제2 그라운드부(220)의 이동 방향과 함께 이동한다.
이와 같이, 신호 컨택부(100) 및 그라운드 컨택부(200)의 상호 동작이 연동되므로, 신호 컨택부(100) 및 그라운드 컨택부(200)가 기판의 RF 신호 전달 가능한 허용 범위 내에 정확히 접촉되고, 임피던스가 틀어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40)는 제1 연결 홀(141), 제2 연결 홀(142), 제1 연결 돌출부(143), 제2 연결 돌출부(144), 제1 연결 슬릿(145), 및 제2 연결 슬릿(146)을 포함한다.
제1 연결 홀(141)은 연결부(140)의 내부에 타측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제2 연결 홀(142)은 연결부(140)의 내부에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제1 연결 돌출부(143)는 연결부(140)의 타단에 외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 연결 돌출부(144)는 연결부(140)의 일단에 외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 연결 슬릿(145)은 연결부(140)의 타단에서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연결부(140)의 둘레를 따라 2 이상 형성되어, 연결부(140)의 타단이 다수 개로 분할되도록 한다.
제2 연결 슬릿(146)은 연결부(140)의 일단에서 타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연결부(140)의 둘레를 따라 2 이상 형성되어, 연결(140)의 일단이 다수 개로 분할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120)의 일측이 기판에 접촉하여 신호 컨택부(100)가 압축된 상태에서, 제1 연결 돌출부(143)가 하우징(110)의 내측에 접촉되고, 제2 연결 돌출부(144)가 접촉부(120)의 내측에 접촉되어 하우징(110) 및 접촉부(120)가 연결부(14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접촉부(120)의 일측이 기판에 접촉할 때, 안정적으로 접촉하기 위해 탄성되도록 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구조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스프링(130)을 더 포함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120)는 접촉 테이퍼부(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스프링(130)은 제2 연결 홀(142) 일측과 접촉부 삽입홀(121) 타측 사이에 삽입되다.
이때, 접촉부(120)가 연결부(14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신호 스프링(130)이 접촉부(120)에 의해서 압축되고, 압축된 신호 스프링(130)이 복원되어, 접촉부(120)가 연결부(140)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접촉 테이퍼부(122)는 접촉부(120) 내벽에 일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접촉부(120)가 연결부(14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 연결 돌출부(144)의 외경이 접촉 테이퍼부(122)에 의해서 압축되고, 압축된 제2 연결 돌출부(144)의 외경이 접촉 테이퍼부(122)의 내경이 커지는 방향을 따라서 복원되어, 접촉부(120)가 연결부(140)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접촉부(120)의 일측이 기판에 접촉할 때, 탄성되도록 하는 구성을 더 포함하여, 접촉부(120)의 일측이 기판에 안정적으로 접촉하는 효과가 있다.
도 2,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전체부(320)는 제2 유전체 중공(321)을 포함한다.
제2 유전체 중공(321)은 제2 유전체부(320)의 타단에서 일단으로 관통하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부(140)와 제2 그라운드부(220) 사이의 둘레를 따라 2 이상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그라운드부(220)가 제1 그라운드부(210)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유전체부(310)에 제2 유전체부(320)가 근접하게 되는 경우, 제1 유전체부(310)의 유전율에 제2 유전체부(320)의 유전율이 가중되어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2 유전체부(320)는 제2 유전체 중공(321)이 형성되어, 제2 유전체부(320)의 면적이 감소된다.
따라서,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메이팅 커넥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그라운드부(210)의 내측 및 제2 그라운드부(220)의 외측 사이에 위치하는 그라운드 스프링(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운드 컨택부(200)의 일측이 기판에 접촉하여 제2 그라운드부(220)가 제1 그라운드부(21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그라운드 스프링(230)이 제2 그라운드부(220)에 의하여 압축되고, 압축된 그라운드 스프링(230)이 복원되어, 제2 그라운드부(220)가 제1 그라운드부(210)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그라운드부(220)가 제1 그라운드부(210)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원력을 더욱 높이거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그라운드 스프링(230)을 대체하기 위해서, 제1 그라운드부(210)는 그라운드 테이퍼부(212)를 포함하고, 제2 그라운드부(220)는 제2 그라운드 돌출부(222) 및 제2 그라운드 슬릿(22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라운드 테이퍼부(212)는 제1 그라운드(210) 내벽에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그라운드 돌출부(222)는 제2 그라운드부 타단에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2 그라운드 슬릿(223)은 제2 그라운드부의 타단에서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2 그라운드부의 둘레를 따라 2 이상 형성되어, 제2 그라운드부(220)의 타단이 다수 개로 분할되도록 한다.
제2 그라운드부(220)가 제1 그라운드부(21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 그라운드 돌출부(222)의 외경이 테이퍼부(212)에 의해서 압축되고, 압축된 제2 그라운드 돌출부(222)의 외경이 테이퍼부(212)의 내경이 커지는 방향을 따라서 복원되어, 제2 그라운드부(220)가 제1 그라운드부(210)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2 그라운드부(220)가 제1 그라운드부(210)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필요 이상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그라운드부(210)의 벽면 중에서 테이퍼부(224)가 형성된 위치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제1 그라운드부(210)의 벽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213)는 제2 그라운드 돌출부(222)의 일측이 걸림부(213)에 걸려 더이상 제2 그라운드부(220)가 제1 그라운드부(210)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그라운드 스프링(230)을 더 포함하는 경우, 테이퍼부(212), 제2 그라운드 돌출부(222), 및 제2 그라운드 슬릿(223)에 의해서 제2 그라운드부(220)가 제1 그라운드부(210)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원력에 그라운드 스프링(230)에 의한 복원력을 추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그라운드부(220)가 제1 그라운드부(210)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원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그라운드 스프링(230)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테이퍼부(212), 제2 그라운드 돌출부(222), 및 제2 그라운드 슬릿(223)이 그라운드 스프링(230)을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메이팅 커넥터는, 도 8,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치 등과 같은 공구를 통해 일측을 모듈에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제1 그라운드부(210)는 나사산(214), 및 조임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나사산(214)는 제1 그라운드부(210)의 타측 둘레에 형성된다.
조임부(215)는 제1 그라운드부(210)의 일측 둘레에 3 이상의 면이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M)은 나사산(214)에 대응되는 벽면을 가지는 홀(H)을 포함하고, 홀(H)에 기판 메이팅 커넥터가 삽입 결합된다.
이때, 컨택핀(115)은 홀(H) 중앙으로 돌출되는 신호 전근 핀(P)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기판(B)이 기판 메이팅 커넥터의 일측과 접촉되어, 기판 메이팅 커넥터가 기판(B)에 RF 신호를 전달한다.
이와 같이, 기판 메이팅 커넥터는 일측이 모듈에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214), 및 조임부(215)가 포함되므로, 기판(B)의 접촉 높이를 줄일 수 있어 기판 메이팅 커넥터를 포함하는 모듈(M)의 높이를 낮출 수 있고,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메이팅 커넥터의 외형은, 앞서 설명한 나사산(214), 및 조임부(215)를 포함하는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그라운드부(210)의 형상은 모듈에 압입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압입 돌기(PB)가 다수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그라운드부(210)의 형상은 모듈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에 나사가 체결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는 판넬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그라운드부(210)의 형상은 PCB에 납땜 결합될 수 있도록 PCB 납땜 홀에 삽입되는 그라운드 핀(GP)이 다수 형성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100신호 컨택부110하우징
111하우징 삽입홀115컨택핀
120접촉부121접촉부 삽입홀
122접촉 테이퍼부130신호 스프링
140연결부141제1 연결 홀
142제2 연결 홀143제1 연결 돌출부
144제2 연결 돌출부145제1 연결 슬릿
146제2 연결 슬릿200그라운드 컨택부
210제1 그라운드부211제1 그라운드 중공
212그라운드 테이퍼부213걸림부
214나사산215조임부
220제2 그라운드부221제2 그라운드 중공
222제2 그라운드 돌출부223제2 그라운드 슬릿
230그라운드 스프링300유전체부
310제1 유전체부320제2 유전체부
321제2 유전체 중공

Claims (9)

  1. 일측이 기판의 신호 전극과 접촉하여 상기 신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컨택부;
    일측이 기판의 그라운드 전극과 접촉하여 상기 그라운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그라운드 컨택부; 및
    상기 신호 컨택부 및 상기 그라운드 컨택부 사이에 위치하는 유전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 컨택부는,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하우징 삽입홀이 형성된 하우징;
    내부에 타측이 개방된 접촉부 삽입홀이 형성된 접촉부; 및
    타단이 상기 하우징 삽입홀 내측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접촉부 삽입홀 내측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운드 컨택부는,
    그라운드부와, 상기 유전체부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와 연동되도록 상기 그라운드부와 접촉되어 상대 이동하는 다른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컨택부 및 그라운드 컨택부가 연동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컨택부는,
    제1 그라운드 중공이 형성되는 제1 그라운드부; 및
    상기 제1 그라운드 중공에 타측 일부가 삽입되고, 제2 그라운드 중공이 형성된 제2 그라운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유전체부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제1 그라운드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유전체부; 및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제2 그라운드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유전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그라운드부가 상기 제1 그라운드부 방향 또는 상기 제1 그라운드부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유전체부에 의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제2 그라운드부의 이동 방향과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컨택부 및 그라운드 컨택부가 연동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 타측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제1 연결 홀;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제2 연결 홀;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외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연결 돌출부;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외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연결 돌출부;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서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둘레를 따라 2 이상 형성되는 제1 연결 슬릿; 및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서 타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둘레를 따라 2 이상 형성되는 제2 연결 슬릿; 을 포함하는,
    신호 컨택부 및 그라운드 컨택부가 연동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4.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라운드부는,
    상기 제1 그라운드 내벽에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그라운드 테이퍼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라운드부는,
    상기 제2 그라운드부 타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2 그라운드 돌출부; 및
    상기 제2 그라운드부의 타단에서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그라운드부의 둘레를 따라 2 이상 구비되는 제2 그라운드 슬릿; 을 포함하되,
    상기 제2 그라운드부가 상기 제1 그라운드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그라운드 돌출부의 외경이 상기 그라운드 테이퍼부에 의해서 압축되고, 압축된 상기 제2 그라운드 돌출부의 외경이 상기 그라운드 테이퍼부의 내경이 커지는 방향을 따라서 복원되어, 상기 제2 그라운드부가 상기 제1 그라운드부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컨택부 및 그라운드 컨택부가 연동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라운드부는,
    상기 제1 그라운드 내벽에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그라운드 테이퍼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라운드부는,
    상기 제2 그라운드부 타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2 그라운드 돌출부; 및
    상기 제2 그라운드부의 타단에서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그라운드부의 둘레를 따라 2 이상 구비되는 제2 그라운드 슬릿; 을 포함하되,
    상기 제2 그라운드부가 상기 제1 그라운드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그라운드 돌출부의 외경이 상기 그라운드 테이퍼부에 의하여 압축되고, 압축된 상기 제2 그라운드 돌출부의 외경이 상기 그라운드 테이퍼부의 내경이 커지는 방향을 따라서 복원되어, 상기 제2 그라운드부가 상기 제1 그라운드부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컨택부 및 그라운드 컨택부가 연동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KR1020180034834A2018-03-272018-03-27신호 컨택부 및 그라운드 컨택부가 연동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ActiveKR101926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80034834AKR101926503B1 (ko)2018-03-272018-03-27신호 컨택부 및 그라운드 컨택부가 연동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CN201910183181.9ACN110311239B (zh)2018-03-272019-03-12信号触点部以及接地触点部联动的基板配合连接器
EP19163690.1AEP3547459B1 (en)2018-03-272019-03-19Board mating connector in which signal contact unit and ground contact unit are interlocked
US16/361,434US10804635B2 (en)2018-03-272019-03-22Board mating connector in which signal contact unit and ground contact unit are interlocked
JP2019058275AJP6550686B1 (ja)2018-03-272019-03-26信号コンタクト部およびグラウンドコンタクト部が連動する基板メイティングコネク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80034834AKR101926503B1 (ko)2018-03-272018-03-27신호 컨택부 및 그라운드 컨택부가 연동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101926503B1true KR101926503B1 (ko)2018-12-07

Family

ID=64669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80034834AActiveKR101926503B1 (ko)2018-03-272018-03-27신호 컨택부 및 그라운드 컨택부가 연동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Link
US (1)US10804635B2 (ko)
EP (1)EP3547459B1 (ko)
JP (1)JP6550686B1 (ko)
KR (1)KR101926503B1 (ko)
CN (1)CN110311239B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CN109841999A (zh)*2019-02-222019-06-04中航富士达科技股份有限公司一种自适应板间射频连接器
KR102037689B1 (ko)*2019-03-282019-10-29주식회사 텔콘알에프제약평면 접촉형 알에프 단자
KR102118829B1 (ko)*2019-07-262020-06-04주식회사 기가레인기판 메이팅 커넥터
KR102122687B1 (ko)*2019-11-082020-06-26주식회사 기가레인관절 운동 범위가 제한되는 커넥터
EP3691043A1 (en)*2019-01-312020-08-05Tyco Electronics (Shanghai) Co., Ltd.Connector
EP3783743A1 (en)*2019-08-232021-02-24Tyco Electronics (Shanghai) Co., Ltd.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O2021221473A1 (ko)*2020-04-292021-11-04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커넥팅 장치
KR102375210B1 (ko)*2020-12-212022-03-16주식회사 기가레인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보드 접속 어셈블리
KR20220092482A (ko)*2020-12-212022-07-01주식회사 기가레인어댑터 커넥터
KR20230026839A (ko)*2021-08-182023-02-27주식회사 비마오정렬 방지용 플러그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10205291B2 (en)2015-02-062019-02-12Masimo CorporationPogo pin connector
BR112017016302B1 (pt)2015-02-062022-12-06Masimo CorporationMétodo de fabricação de sensor fisiológico com circuito flexível eficiente
KR101992258B1 (ko)*2017-10-132019-06-25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동축 커넥터
USD908097S1 (en)*2018-03-272021-01-19Gigalane Co., Ltd.Signal transmission connector
CN111463598A (zh)*2019-01-222020-07-28罗森伯格亚太电子有限公司一种射频同轴弹性连接器
CN112787121A (zh)*2019-11-112021-05-11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同轴连接器及板对板连接器组件
KR20210083814A (ko)*2019-12-272021-07-07주식회사 기가레인기판 메이팅 커넥터
KR102163379B1 (ko)*2019-12-272020-10-08주식회사 기가레인기판 메이팅 커넥터
CN111146617B (zh)*2020-01-172025-06-27东莞市维康汽车电子有限公司多向大容差同轴连接器
US11515669B2 (en)*2020-03-112022-11-29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Floating header and circuit board assembly
US11539167B2 (en)*2020-09-172022-12-27Carlisle Interconnect Technologies, Inc.Adjustable push on connector/adaptor
US20240235134A9 (en)*2021-02-242024-07-11Smiths Interconnect Americas, Inc.Systems and methods for coaxial board to board connections
DE102021002030A1 (de)*2021-04-172022-10-20Kostal Kontakt Systeme GmbhAnschlusseinheit
CN115864029B (zh)*2021-09-242024-03-05吉佳蓝科技股份有限公司固定连接器以及具备其的连接器组件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4815986A (en)*1987-08-141989-03-28Lucas Weinschel, Inc.Self-aligning blind mate connector
JP2586334B2 (ja)1994-06-081997-02-26日本電気株式会社接触形高周波信号接続構造
JP3126892B2 (ja)1995-02-272001-01-22株式会社ヨコオ同軸基板間コネクタ
KR0152937B1 (ko)1995-08-141998-12-01문정환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DE29517358U1 (de)*1995-11-021996-01-11Harting Elektronik Gmbh, 32339 EspelkampKoaxial Steckverbindung
US5769652A (en)*1996-12-311998-06-23Applied Engineering Products, Inc.Float mount coaxial connector
FR2758662B1 (fr)*1997-01-201999-03-26Radiall SaElement de connecteur electrique coaxial a contact mobile et connecteur electrique coaxial comprenant un tel element de connecteur
ATE244943T1 (de)*1999-03-022003-07-15Huber+Suhner AgLeiterplatten-koaxialverbindung
JP4428803B2 (ja)2000-04-172010-03-10株式会社ヨコオ電気的接続装置および接続ユニット
DK1289076T3 (da)*2001-08-312005-09-12Tyco Electronics Amp GmbhKoaksial konnektor til forbindelse af printplader
CN100568628C (zh)*2004-05-172009-12-09株式会社和光精机导电销
JP3107906U (ja)2004-09-272005-04-07スタッフ株式会社同軸コネクタ
JP2006092999A (ja)*2004-09-272006-04-06Staf Corp同軸コネクタ及びそれに用いるキャップ
TWI291269B (en)*2006-01-132007-12-11Murata Manufacturing CoCoaxial connector and coaxial probe for measurement
FR2905528B1 (fr)2006-08-312008-10-31Radiall SaConnecteur coaxial pour relier deux cartes de circuit imprime.
KR101326296B1 (ko)2012-02-272013-11-11주식회사 텔콘기판 연결용 알에프 커넥터
DE202012010365U1 (de)2012-10-292012-11-13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Kontaktelement und Kontaktvorrichtung
US8747152B2 (en)*2012-11-092014-06-10Andrew LlcRF isolated capacitively coupled connector
CN104466484A (zh)*2014-12-262015-03-25廖芳新型弹簧探针
WO2017120801A1 (en)2016-01-132017-07-20Shanghai Radiall Electronics Co., LtdA coaxial connection system for rf signals with high rf performance levels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200095399A (ko)*2019-01-312020-08-10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커넥터
KR102800225B1 (ko)*2019-01-312025-04-23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커넥터
EP3691043A1 (en)*2019-01-312020-08-05Tyco Electronics (Shanghai) Co., Ltd.Connector
CN111509446A (zh)*2019-01-312020-08-07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连接器
CN109841999B (zh)*2019-02-222024-06-07中航富士达科技股份有限公司一种自适应板间射频连接器
CN109841999A (zh)*2019-02-222019-06-04中航富士达科技股份有限公司一种自适应板间射频连接器
KR102037689B1 (ko)*2019-03-282019-10-29주식회사 텔콘알에프제약평면 접촉형 알에프 단자
KR102118829B1 (ko)*2019-07-262020-06-04주식회사 기가레인기판 메이팅 커넥터
US11183785B2 (en)2019-07-262021-11-23Gigalane Co., Ltd.Board mating connector
CN111786199A (zh)*2019-07-262020-10-16吉佳蓝科技股份有限公司基板配合连接器
EP3771046A1 (en)2019-07-262021-01-27Gigalane Co. LtdBoard mating connector
EP3783743A1 (en)*2019-08-232021-02-24Tyco Electronics (Shanghai) Co., Ltd.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112421278A (zh)*2019-08-232021-02-26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电连接器和电连接器组件
US11411360B2 (en)2019-11-082022-08-09Gigalane Co., Ltd.Connector having joint with limited range of motion
EP3819993A1 (en)2019-11-082021-05-12Gigalane Co. LtdConnector having joint with limited range of motion
KR102122687B1 (ko)*2019-11-082020-06-26주식회사 기가레인관절 운동 범위가 제한되는 커넥터
KR20210134160A (ko)*2020-04-292021-11-09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커넥팅 장치
KR102421924B1 (ko)*2020-04-292022-07-21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커넥팅 장치
WO2021221473A1 (ko)*2020-04-292021-11-04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커넥팅 장치
KR102375210B1 (ko)*2020-12-212022-03-16주식회사 기가레인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보드 접속 어셈블리
KR20220092482A (ko)*2020-12-212022-07-01주식회사 기가레인어댑터 커넥터
KR102461036B1 (ko)2020-12-212022-10-31주식회사 기가레인어댑터 커넥터
US12347949B2 (en)2020-12-212025-07-01Gigalane Co., Ltd.Connector and board connecting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KR20230026839A (ko)*2021-08-182023-02-27주식회사 비마오정렬 방지용 플러그 커넥터
KR102584061B1 (ko)2021-08-182023-10-06주식회사 비마오정렬 방지용 플러그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CN110311239B (zh)2020-11-10
US20190305457A1 (en)2019-10-03
CN110311239A (zh)2019-10-08
JP2019175849A (ja)2019-10-10
JP6550686B1 (ja)2019-07-31
US10804635B2 (en)2020-10-13
EP3547459A1 (en)2019-10-02
EP3547459B1 (en)202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101926503B1 (ko)신호 컨택부 및 그라운드 컨택부가 연동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KR101926502B1 (ko)Pimd 특성이 향상된 신호 컨택부를 포함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US7118383B2 (en)Coaxial connector for board-to-board connection
US5380211A (en)Coaxial connector for connecting two circuit boards
KR100433704B1 (ko)접촉 신뢰성을 갖는 커넥터
KR101166431B1 (ko)알에프 동축 커넥터
US5044963A (en)Surface connector for radio frequency signals
US4138179A (en)Coaxial jack for printed circuit boards
JP6550687B1 (ja)テーパー部が形成されたグラウンド部を含む基板メイティングコネクタ
JP2003178844A (ja)同軸コネクタ
US7033226B1 (en)Audio receptacle connector
US20060094268A1 (en)Conductive terminal and the electrical connector using the conductive terminal
FI89842C (fi)Fjaedrande kontaktdon foer radiofrekventa signaler
KR102464424B1 (ko)보드간 rf 신호 연결용 rf 동축 커넥터
KR100936333B1 (ko)결합각도 변경이 가능한 커넥터
KR20180077505A (ko)기판연결용 커넥터
US9923291B2 (en)Audio jack connector having compressive contacts
JPH0619285U (ja)同軸コネクタ
JPH09180794A (ja)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PA0302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6-exm-PA0302

D13-X000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D14-X000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R17-X000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7-oth-X000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R17-X000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7-oth-X000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7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8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