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전기차를 충전하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nd a server.
종래의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인증 방식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카드를 활용한 인증 방법과, 전기차 충전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인증 방법이 있다.An authentication method for charging a conventional electric vehicle includes an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ard and an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lication.
도 6a를 참조하면, RFID 카드 인증을 활용한 전기차 충전 방식은 전기차 사용자가 RFID 카드(140)을 RFID 무선 인식 기능이 있는 충전기(120)에 태깅하면, 충전기(120)가 충전 인증 서버(100)로 태깅된 RFID 카드(140)의 인증을 요청하고, 충전 인증 서버(100)로부터 RFID 카드(140)의 인증 확인을 수신하여 전기차(110)를 충전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사용자가 RFID 카드(140)를 항상 소지하고 다녀야 하며, 매번 RFID 카드(140)를 충전기(120)에 태깅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6A, when a user of an electric vehicle tags the
도 6b를 참조하면, 전기차 충전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전기차 충전 방식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50)의 전기차 충전 어플리케이션에 충전기(120)의 번호를 입력하거나 전기차 충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충전기(120)에 표시된 QR 코드를 스캔하여 충전기(120) 정보를 충전 인증 서버(100)에게 전달하여 충전 인증을 요청하고, 충전기(120)가 충전 인증 서버(100)로부터 인증 확인을 수신하여 전기차(110)를 충전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사용자가 매번 전기차 충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충전기(120) 정보를 입력하거나 QR 코드를 스캔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Referring to FIG. 6B,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method us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lication is a method in which a user inputs a number of a
선행 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3-0028459호에는 사용자가 전기차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충전기에 액세스하면, 충전기는 액세스된 식별자를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는 식별자를 이용하여 인가된 사용자 ID인지 인증하고, 충전기는 전기차의 충전에 관한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3-0028459 discloses that when the user accesses the charger using the identifier of the electric car, the charger transmits the accessed identifier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the management server authenticates the authorized user ID using the identifier , And the charger is configured to transmit information on charging of the electric car to the management server.
사용자가 전기차 충전에 대한 별도의 인증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도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전기차가 충전기에 연결된 시점에 전기차 및 충전기 각각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전기차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전기차를 충전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So that the user can charge the electric vehicle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Specifically, when the electric car is connected to the charger,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each of the electric car and the charg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using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the electric car is charged.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충전 인증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전기차 충전 방법은 전기차로부터 사용자 정보, 상기 전기차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전기차가 충전기에 연결된 시점의 제 1 시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충전기로부터 상기 전기차가 충전기에 연결된 시점의 제 2 시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차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전기차의 위치에 대한 정보, 상기 제 1 시각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 2 시각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차에 연결된 충전기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충전기로 충전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object,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method performed by a charging authentication server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rging method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method, in which user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position of the electric vehicle, Receiving information on a first time of a time point; Receiving information on a second time at which the electric car is connected to the charger from the charger; Authenticating the electric vehicle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Searching for a charger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based on information on the position of the electric car, information on the first time, and information on the second time; And transmitting a charge command to the searched charger.
일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충전 인증 서버에서 제공되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ID, 가입 번호, VIN(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user ID, a subscription number, and a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VIN)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ervice provided by the charging authentication server.
일예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충전 시각과 근접한 제 2 시각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 복수의 충전기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복수의 충전기 중 상기 전기차의 위치에 근접한 충전기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arching for the charger may include searching for a plurality of chargers that have transmitted information about a second time close to the first charging time; And searching for a charger that is close to the position of the electric vehicle among the plurality of chargers found.
일예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또는 상기 충전기로부터 충전 방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방식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receiving information on a charging mode from the electric car or the charger, wherein the transmitting the charging command comprises generating the charging comman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charging mode can do.
일예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또는 상기 충전기로부터 충전 내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내역에 기초하여 충전 요금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receiving charge details from the electric vehicle or the charger; And calculating a charge charge based on the charge details.
일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포인트에서 상기 충전 요금에 해당하는 포인트를 차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subtracting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fee from a point included in the user information.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충전 인증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전기차 충전 방법은 전기차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충전기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충전기로부터 전기차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차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충전기 연결 정보 및 상기 전기차 연결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전기차에 연결된 충전기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충전기로 충전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method performed by a charging authentication server, comprising: receiving user information and charger connection information from an electric vehicle; Receiving electric vehicle connection information from a charger; Authenticating the electric vehicle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Comparing the charger connection information and the electric car connection information to search for a charger connected to the electric car; And transmitting a charge command to the searched charger.
일예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연결 정보는 상기 전기차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전기차가 충전기에 연결된 시점의 제 1 시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harger conne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position of the electric car and information on a first time when the electric car is connected to the charger.
일예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연결 정보는 상기 전기차가 충전기에 연결된 시점의 제 2 시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ic vehicle conne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second time when the electric car is connected to the charger.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전기차 충전을 위한 충전 인증 서버는 전기차로부터 사용자 정보, 상기 전기차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전기차가 충전기에 연결된 시점의 제 1 시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충전기로부터 상기 전기차가 충전기에 연결된 시점의 제 2 시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충전기 연결 정보 수신부;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차를 인증하는 인증부; 상기 전기차의 위치에 대한 정보, 상기 제 1 시각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 2 시각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차에 연결된 충전기를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충전기로 충전 명령을 전송하는 충전 명령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authentication server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user information from the electric car,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of the electric car, and information about a first time when the electric car is connected to the charger, A charger connection information receiver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a second time when the electric vehicle is connected to the charger; An authentication unit for authenticating the electric vehicle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A search unit for searching for a charger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based on information on the position of the electric car, information on the first time, and information on the second time; And a charge command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charge command to the searched charger.
일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충전 인증 서버에서 제공되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ID, 가입 번호, VIN(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user ID, a subscription number, and a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VIN)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ervice provided by the charging authentication server.
일예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상기 제 1 충전 시각과 근접한 제 2 시각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 복수의 충전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복수의 충전기 중 상기 전기차의 위치에 근접한 충전기를 검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arch unit searches a plurality of chargers that have transmitted information on a second time close to the first charging time, and searches for chargers that are close to the position of the electric car among the plurality of chargers found.
일예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또는 상기 충전기로부터 충전 방식에 대한 정보를 수신 충전 방식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명령 전송부는 상기 충전 방식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The charging command transmitting unit may generate the charging command based on information on the charging mode. The charging command transmitting unit may receive the information on the charging mode from the electric car or the charger.
일예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또는 상기 충전기로부터 충전 내역을 수신하는 충전 내역 수신부; 및 상기 충전 내역에 기초하여 충전 요금을 산출하는 충전 요금 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harg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and receiving unit receiving charge details from the electric vehicle or the charger; And a charging rate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 charging charge based on the charge details.
일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포인트에서 상기 충전 요금에 해당하는 포인트를 차감하는 포인트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point management unit for subtracting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fee from a point included in the user information.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task solution is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re may be additional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전기차 충전을 위해 별도의 인증 절차를 수행하지 않아도, 전기차가 충전기에 연결된 시점에, 충전 인증 서버가 전기차 및 충전기 각각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전기차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기 때문에 전기차 충전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mention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authentication server receives information from each of the electric car and the charger at the time when the electric car is connected to the charger, even if the user does not perform a separate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charging the electric car , And authentic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is performed using the received information,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user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can be improved.
또한, 종래의 인증 방식과 달리 사용자가 RF 카드를 소지하고 다닐 필요가 없고, 전기차 충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충전기 정보를 입력하거나 QR 코드를 스캔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Also, unlike the conventional authentication method, there is no need for the user to carry the RF card, and there is no need to execute the electric car charging application to input the charger information or scan the QR co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충전 인증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인증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전기차 충전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 인증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전기차 충전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a 및 6b는 종래의 전기차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the charge authentication server shown in FIG.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method performed by a charging authentication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method performed by a charging authentication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electric vehicle charging method.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 part "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by using both. Further, one unit may be implemented using two or more hardware, or two or more units may be implemented by one hardwar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terminal or the device may be performed in the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or the device instead. Similarly,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on a terminal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충전 인증 서버(100) 및 충전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1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may include a
일반적으로, 도 1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30)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Generally, the components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of FIG. 1 are connected through a
충전 인증 서버(100)는 충전기(120)에 연결된 전기차(110)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충전기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충전기(120)로부터 전기차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예를 들면, 충전 인증 서버(100)에서 제공되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ID, 가입 번호, VIN(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충전에 대한 결제 정보(예컨대, 결제 카드, 결제 포인트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 연결 정보는 전기차(110)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전기차(110)가 충전기(120)에 연결된 시점의 제 1 시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차 연결 정보는 예를 들면, 충전기(120)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전기차(110)가 충전기(120)에 연결된 시점의 제 2 시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충전 인증 서버(10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차(110)를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 인증 서버(100)는 전기차(110)의 사용자가 전기차 충전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인지를 인증할 수 있다.The
충전 인증 서버(100)는 충전기 연결 정보 및 전기차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차(110)에 연결된 충전기를 검색할 수 있다.The
충전 인증 서버(100)는 전기차(110)의 위치에 대한 정보, 제 1 시각에 대한 정보, 충전기(120)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제 2 시각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차에 연결된 충전기를 검색할 수 있다.The charging
예를 들면, 충전 인증 서버(100)는 제 1 충전 시각과 근접한 제 2 시각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 복수의 충전기를 검색하고, 검색된 복수의 충전기 중 전기차(110)의 위치에 근접한 충전기(120)를 검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harging
예를 들면, 충전 인증 서버(100)는 전기차(110)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 충전기(12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전기차(110)의 위치에 근접한 충전기(120)를 검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충전 인증 서버(100)는 전기차(110) 또는 충전기(120)로부터 충전 방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 방식은 급속 충전 방식, 완속 충전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충전 인증 서버(100)는 전기차(110) 또는 충전기(120)로부터 수신된 충전 방식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 명령을 생성하고, 검색된 충전기(120)로 충전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 인증 서버(100)는 전기차(110)로부터 제 1 충전 방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이후, 충전기(120)로부터 제 2 충전 방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 1 충전 방식에 대한 충전 명령을 제 2 충전 방식에 대한 충전 명령으로 변경할 수 있다.The charging
충전 인증 서버(100)는 전기차(110) 또는 충전기(120)로부터 충전 내역을 수신하고, 충전 내역에 기초하여 충전 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내역은 예를 들면, 전기차(110)에 충전된 충전량 정보, 충전 개시 시간 및 충전 종료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 인증 서버(100)는 전기차(110)의 충전량이 동일할지라도 충전 시간대별 요금제에 따라 충전 요금을 차등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The
충전 인증 서버(100)는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충전 요금을 전기차 사용자에게 부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 인증 서버(100)는 사용자의 결제 포인트에서 충전 요금에 해당하는 포인트를 차감하거나, 사용자의 결제 카드로 충전 요금에 해당하는 비용을 청구할 수 있다.The charging
전기차(110)는 충전기(120)에 연결되면, 충전 인증 서버(100)로 사용자 정보 및 충전기 연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차(110)가 충전기(120)의 충전 커넥터에 연결시, 사용자 정보 및 충전기 연결 정보는 전기차(110)의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충전 인증 서버(100)로 전달될 수 있다.When the
충전기(120)는 충전 인증 서버(100)로부터 전송받은 충전 명령에 따라 전기차(110)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기(120)는 충전 명령을 수신하면 충전 커넥터의 잠금을 해제하여 전기차(110)의 충전을 수행하고, 전기차(110)의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 커넥터를 잠금과 동시에 전기차(110)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기(120)는 급속 충전 방식 또는 완속 충전 방식으로 전기차(110)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The
충전기(120)에는 충전 방식을 선택하는 인터페이스(예컨대, 급속 충전 방식에 대한 입력 버튼, 완속 충전 방식에 대한 입력 버튼)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충전기(120)는 사용자로부터 충전 방식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The
이하에서는 도 1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of FIG. 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충전 인증 서버(10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충전 인증 서버(100)는 충전기 연결 정보 수신부(200), 인증부(210), 검색부(220), 충전 명령 전송부(230), 충전 방식 수신부(240), 충전 내역 수신부(250), 충전 요금 산출부(260), 포인트 관리부(270) 및 DB(28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충전 인증 서버(1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2 is a block diagram of the charging
충전기 연결 정보 수신부(200)는 전기차(110)로부터 사용자 정보, 전기차(110)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전기차(110)가 충전기에 연결된 시점의 제 1 시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상기 충전 인증 서버(100)에서 제공되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ID, 가입 번호, VIN, 충전에 대한 결제 정보(예컨대, 결제 카드, 결제 포인트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er connection
충전기 연결 정보 수신부(200)는 충전기(120)로부터 전기차(110)가 충전기(120)에 연결된 시점의 제 2 시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charger connection
인증부(21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차(110)를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증부(210)는 전기차(110)의 사용자가 전기차 충전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인지를 인증할 수 있다.The
검색부(220)는 전기차(110)의 위치에 대한 정보, 제 1 시각에 대한 정보 및 제 2 시각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차(110)에 연결된 충전기(120)를 검색할 수 있다.The searching
예를 들면, 검색부(220)는 제 1 충전 시각과 근접한 제 2 시각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 복수의 충전기를 검색하고, 검색된 복수의 충전기 중 전기차(110)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근접한 충전기를 검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충전 방식 수신부(240)는 전기차(110) 또는 충전기(120)로부터 충전 방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방식은 예를 들면, 급속 충전 방식, 완속 충전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충전 방식에 대한 정보는 전기차(110)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전기차(110)의 충전 상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 인증 서버(100)는 전기차(110)의 충전 전 또는 충전 중에 전기차(110) 또는 충전기(120)로부터 충전 방식에 대한 정보를 다시 수신할 수도 있다.The charging
충전 명령 전송부(230)는 충전 방식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 명령을 생성하고, 검색된 충전기(120)로 충전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The charging
충전 내역 수신부(250)는 전기차(110) 또는 충전기(120)로부터 충전 내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 내역은 전기차(110)에 충전된 충전량 정보, 충전 개시 시간 및 충전 종료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e and discharge receiving
충전 요금 산출부(260)는 충전 내역에 기초하여 충전 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The charging
포인트 관리부(270)는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결제 포인트에서 충전 요금에 해당하는 포인트를 차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인트 관리부(270)는 전기차 사용자가 전기차 충전 서비스에서 선택한 충전 요금 상품에 기초하여 충전 요금의 일부 금액을 포인트로 차감하고, 나머지 금액을 다른 결제 수단(예컨대, 결제 카드, 지로 납부 고지서 등)으로 청구할 수 있다.The
DB(280)는 충전 인증 서버(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충전 인증 서버(100)와 충전 인증 서버(100) 외부의 구성요소들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The
한편, 당업자라면, 충전기 연결 정보 수신부(200), 인증부(210), 검색부(220), 충전 명령 전송부(230), 충전 방식 수신부(240), 충전 내역 수신부(250), 충전 요금 산출부(260), 포인트 관리부(270) 및 DB(28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charger connec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인증 서버(100)에 의해 수행되는 전기차 충전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방법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충전 인증 서버(100), 전기차(110) 및 충전기(12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2의 충전 인증 서버(100), 전기차(110) 및 충전기(12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3 is an operational flowchart illustrat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method performed by the charging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01에서 충전 인증 서버(100)는 전기차(110)로부터 사용자 정보, 전기차(110)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전기차(110)가 충전기에 연결된 시점의 제 1 시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충전 인증 서버(110)에서 제공되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ID, 가입 번호, V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3, in step S301, the charging
단계 S303에서 충전 인증 서버(100)는 충전기(120)로부터 전기차(110)가 충전기(120)에 연결된 시점의 제 2 시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charging
단계 S305에서 충전 인증 서버(100)는 단계 S301에서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차(110)를 인증할 수 있다.In step S305, the charging
단계 S307에서 충전 인증 서버(100)는 전기차(110)의 위치에 대한 정보, 제 1 시각에 대한 정보 및 제 2 시각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차(110)에 연결된 충전기(120)를 검색할 수 있다.The charging
단계 S309에서 충전 인증 서버(100)는 검색된 충전기(120)로 충전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In step S309, the charging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계 S307에서 충전 인증 서버(100)는 제 1 충전 시각과 근접한 제 2 시각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 복수의 충전기를 검색하고, 검색된 복수의 충전기 중 전기차(110)의 위치에 근접한 충전기를 검색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3, in step S307, the charging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301 내지 S309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301 to S309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some of the steps may be omitted as necessary, and the order between the steps may be changed.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 인증 서버(100)에 의해 수행되는 전기차 충전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충전 인증 서버(100), 전기차(110) 및 충전기(12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3의 충전 인증 서버(100), 전기차(110) 및 충전기(12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4 is an operational flowchart illustrat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method performed by the charging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01에서 충전 인증 서버(100)는 전기차(110)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충전기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충전 인증 서버(100)에서 제공되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ID, 가입 번호, V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 연결 정보는 전기차(110)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전기차(110)가 충전기(120)에 연결된 시점의 제 1 시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4, in step S401, the charging
단계 S403에서 충전 인증 서버(100)는 충전기(120)로부터 전기차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차 연결 정보는 전기차(110)가 충전기(120)에 연결된 시점의 제 2 시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step S403, the charging
단계 S405에서 충전 인증 서버(10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차(110)를 인증할 수 있다.In step S405, the charging
단계 S407에서 충전 인증 서버(100)는 충전기 연결 정보 및 전기차 연결 정보를 비교하여 전기차(110)에 연결된 충전기(120)를 검색할 수 있다.In step S407, the charging
단계 S409에서 충전 인증 서버(100)는 검색된 충전기(120)로 충전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In step S409, the charging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01 내지 S409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401 to S409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some of the steps may be omitted as necessary, and the order between the steps may be chang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방법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충전 인증 서버(100), 전기차(110) 및 충전기(12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4의 충전 인증 서버(100), 전기차(110) 및 충전기(12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includes the steps of the charging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01에서 충전 인증 서버(100)는 전기차(110)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충전기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n step S501, the charging
단계 S503에서 충전 인증 서버(100)는 충전기(120)로부터 전기차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503, the charging
단계 S505에서 충전 인증 서버(100)는 전기차(110)로부터 충전 방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505, the charging
단계 S507에서 충전 인증 서버(10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차(110)를 인증할 수 있다.In step S507, the charging
단계 S509에서 충전 인증 서버(100)는 충전기 연결 정보 및 전기차 연결 정보를 비교하여 전기차(110)에 연결된 충전기(120)를 검색할 수 있다.In step S509, the charging
단계 S511에서 충전 인증 서버(100)는 단계 S505에서 수신된 충전 방식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In step S511, the charging
단계 S513에서 충전 인증 서버(100)는 단계 S509에서 검색된 충전기(120)로 충전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In step S513, the charging
단계 S515에서 충전 인증 서버(100)는 충전기(120)로부터 충전 내역을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515, the
단계 S517에서 충전 인증 서버(100)는 단계 S515에서 수신된 충전 내역에 기초하여 충전 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In step S517, the charging
단계 S519에서 충전 인증 서버(100)는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포인트에서 산출된 충전 요금에 해당하는 포인트를 차감할 수 있다.In step S519, the charging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계 S505에서 충전 인증 서버(100)는 충전기(120)로부터 충전 방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5, in step S505, the charging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계 S515에서 충전 인증 서버(100)는 전기차(110)로부터 충전 내역을 수신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5, in step S515, the charging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01 내지 S519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501 through S519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some of the steps may be omitted as necessary, and the order between the steps may be chang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embodi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program modules, being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a, including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port mechanism.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100: 충전 인증 서버
110: 전기차
120: 충전기
200: 충전기 연결 정보 수신부
210: 인증부
220: 검색부
230: 충전 명령 전송부
240: 충전 방식 수신부
250: 충전 내역 수신부
260: 충전 요금 산출부
270: 포인트 관리부
280: DB100: Charge authentication server
 110: Electric car
 120: Charger
 200: Charger connection information receiver
 210:
 220:
 230: Charge command transmission unit
 240: Charging type receiving unit
 250: Charging history receiver
 260: charge rate calculating unit
 270: Point management section
 280: DB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113045AKR101926482B1 (en) | 2016-09-02 | 2016-09-02 | Electric car charging method and server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113045AKR101926482B1 (en) | 2016-09-02 | 2016-09-02 | Electric car charging method and server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026091A KR20180026091A (en) | 2018-03-12 | 
| KR101926482B1true KR101926482B1 (en) | 2018-12-07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113045AActiveKR101926482B1 (en) | 2016-09-02 | 2016-09-02 | Electric car charging method and server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926482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2056590A1 (en)* | 2020-09-16 | 2022-03-24 | Evos Technology Pty Ltd |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s and methods | 
| KR102501163B1 (en) | 2022-07-27 | 2023-02-20 | (주) 아이테크 | The transaction method of electric vehicle charge using virtual currency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273703B1 (en)* | 2019-07-23 | 2021-07-07 | 주식회사 제니스코리아 |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 system | 
| KR102381127B1 (en)* | 2019-12-20 | 2022-03-31 | 주식회사 아이젠 | Billing relay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 
| KR102780800B1 (en)* | 2020-02-07 | 2025-03-12 | 한국전력공사 | System for charging of e-mobility | 
| KR102467701B1 (en)* | 2020-12-25 | 2022-11-17 |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 Charging Apparatus To Input And Output PWM Signal | 
| KR102324912B1 (en)* | 2021-08-12 | 2021-11-11 | (주)시그넷이브이 |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trengthening authentication security of members using electric vehicle charger using the balance of the rechargeable card | 
| WO2025023689A1 (en)* | 2023-07-21 | 2025-01-3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Bidirectional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for hydrogen fueling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118899B1 (en)* | 2010-10-05 | 2012-03-20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connection part door i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nd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5311187B2 (en)* | 2008-03-26 | 2013-10-09 | 日本電気株式会社 | Mediation system, mediation method, and mediation program | 
| KR101301419B1 (en)* | 2012-01-10 | 2013-08-28 | 최언념 | Payment method using pre-paid card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118899B1 (en)* | 2010-10-05 | 2012-03-20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connection part door i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nd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2056590A1 (en)* | 2020-09-16 | 2022-03-24 | Evos Technology Pty Ltd |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s and methods | 
| KR102501163B1 (en) | 2022-07-27 | 2023-02-20 | (주) 아이테크 | The transaction method of electric vehicle charge using virtual currency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026091A (en) | 2018-03-12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926482B1 (en) | Electric car charging method and server | |
| EP4099733B1 (en) | Security authent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 |
| CN104637131A (en) | Authorization method and authorization device for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system | |
| US10135284B2 (en) | Wireless charging equipment for providing charging service to selective users | |
| CN110176091A (en) | A method of smart lock safety is improved by mobile terminal device code | |
| US20150317621A1 (en) | Working Mode Negotiating Method, Device, and System | |
| CN103404076B (en) | On the 3rd entity, authenticate the method for the first and second entities | |
| CN111402455B (en) | Unlocking method and device | |
| KR20200054254A (en) | Theft tracking system and theft tracking method of fusion splicer of optical fiber | |
| CN110880797B (en) | Charging service method and charging service system | |
| US9826341B2 (en) | Device content provisioning system | |
| CN115242368B (en) |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phase, near field communication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 US9653925B2 (en) | Power transmission device, power transmiss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 |
| EP3139651B1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terminal | |
| KR101295314B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by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 |
| KR20130010638A (en) | An electric charging system, a power measuring instrument and a mobile terminal for an electric charging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
| US20150326073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ly charging electronic devices | |
| CN108848066B (en) |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and storage medium | |
| KR101825816B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axi information | |
| US20160353520A1 (en) | Electronic device | |
| KR20250148827A (en) | Method and device foer providing resources using nfc information for improved security | |
| KR101877440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 using of Public-Personal Network Gateway | |
| KR101837246B1 (en) | Public transportation fee settl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CN109842591B (en) | Method for communication between hubs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between hubs | |
| WO2024253978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with charging stations in various connectivity modes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6090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80607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181129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181203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181204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11130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31129 Start annual number:6 End annual number: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