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시된 실시예는 VR 공간에서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VR 공간에서 컨텐트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및 VR 공간에서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disclosed embodiments relate to 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in a VR space, a device for providing content in a VR space,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performing 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in the VR space is recorded.
최근 들어 사용자에게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이하 VR)를 체험할 수 있도록 영상을 제공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가상 현실 체험 기술들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시야에 따라 출력되는 영상을 렌즈를 통해 왜곡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가상 현실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HMD(Head Mount Display) 등의 디바이스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In recent years,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to provide images for users to experience virtual reality (VR). Such virtual reality experience techniques can be realized through a device such as an HMD (Head Mount Display) that allows a user to experience a virtual reality by distorting an image output through a lens according to a user's visual field .
한편, 가상 현실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디바이스가 개발됨에 따라, 가상 현실 세계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스포츠 경기와 같은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가상 공간에서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다만, 아직까지 스포츠 경기의 중개 영상을 단순히 제공하는 기술만이 제공되고 있을 뿐, VR 공간에 적합한 서비스 제공 방식은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with the development of devices capable of experiencing virtual reality, interest in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to users in the virtual reality world is increasing. For example, various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to provide entertainment services such as sports games in a virtual space. However, only the technology that provides the intermediary image of the sports game is provided, and the service providing method suitable for the VR space has not been developed yet.
VR 공간에서, 스포츠 경기에 관한 컨텐트를 사용자가 보다 실감나게 체험할 수 있도록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가 제공된다.In the VR space, a method, a device, and a recording medium are provided for providing content so that a user can experience a content related to a sports game more realistically.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VR 공간에서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스포츠 경기에 관한 컨텐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컨텐트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스포츠 경기가 진행되는 장소에 관한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제스쳐에 따라, 스포츠 경기가 진행되는 장소에서의 특정 위치에 관한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providing content in a VR space includes receiving a content request for a sporting event from a user; Acquiring a real image and a virtual image of a place where a sports game is to be performed as the content request is received; And displaying a real image and a virtual image regarding a specific position in a place where the sports game is going, according to the gesture of the user.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VR 공간에서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제스쳐에 대응되는 상기 스포츠 경기가 진행되는 장소 내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위치에 대한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providing content in a VR space comprises the steps of: determining a location within a location of the sporting event corresponding to a user's gesture; And receiving a real image and a virtual image of the determined position.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VR 공간에서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실사 이미지는, 스포츠 경기를 복수의 시점 각각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포함하고, 표시하는 단계는, 특정 위치에서의 제 1 시점에서 촬영된 이미지에 제 1 시점과 다른 시점에서 촬영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조합하여 표시한다.A method of providing a content in a VR spac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providing a live video image, the live video image including an image taken at each of a plurality of viewpoints, At least one image photographed at a time different from the first view point is displayed in combination with the photographed image.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VR 공간에서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은, 특정 위치의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된 객체에 관한 구매 요청 및 결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객체의 구매가 완료되는 경우, 객체의 가상 이미지를 VR 공간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providing content in a VR space includes transmitting purchase requisitions and settlement information regarding an object displayed in at least one of a real image and a virtual image at a specific location; And displaying the virtual image of the object on the VR space when the purchase of the object is completed.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VR 공간에서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은, 스포츠 경기에 관한 컨텐트의 제공 이전에 사용자가 시청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의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컨텐트의 히스토리 정보를 VR 공간 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된 위치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위치에 관한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를 VR 공간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providing content in a VR space includes generating history information of at least one content viewed by a user prior to providing content relating to a sporting event; Displaying history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tent on the VR space when any one of the at least one content is selected; And displaying a real image and a virtual image of the selected location on the VR space when the user selects a location included in the displayed history information.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VR 공간에서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계정을 통해 연결된 복수의 다른 사용자 중 스포츠 경기에 관한 컨텐트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사용자의 디바이스에 VR 공간으로의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초대 메시지에 대한 수락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VR 공간 상에 다른 사용자를 나타내는 가상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providing content in a VR space comprises the steps of: selecting a user of a plurality of other users connected through a user's Social Network Service (SNS) account to use content relating to a sporting event; Transmitting an invitation message to a VR space to a device of the selected user; And displaying a virtual image representing another user on the VR space as the accept message for the invitation message is received.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VR 공간에서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프로파일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를 나타내는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표시하는 단계는,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와 함께 아바타 이미지를 조합하여 상기 VR 공간 상에 표시한다.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providing content in a VR space comprises: receiving profile information of a user; And generating an avatar image representing a user based on the received profile information, wherein the displaying step combines the avatar image together with the real image and the virtual image, and displays the avatar image on the VR space.
일 실시예에 따른 VR 공간에서 컨텐트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스포츠 경기에 관한 컨텐트 요청을 수신하는 센싱부; 컨텐트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스포츠 경기가 진행되는 장소를 결정하는 프로세서; 결정된 장소에 관한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사용자의 제스쳐에 따라, 스포츠 경기가 진행되는 장소에서의 특정 위치에 관한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를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A device for providing content in a VR spa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sensing unit for receiving a content request for a sporting event from a user; A processor that, upon receipt of the content request, determines a location for the sporting event to proceed; A communication unit for acquiring a real image and a virtual image of the determined location; And an output unit for displaying a real image and a virtual image relating to a specific position in a place where a sporting event is performed according to a user's gesture.
일 실시예에 따른 VR 공간에서 컨텐트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제스쳐에 대응되는 스포츠 경기가 진행되는 장소 내에서의 위치를 결정하고, 통신부는, 결정된 위치에 대한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를 수신한다.In a device for providing content in a VR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rocessor determines a position within a place where a sports event corresponding to a user's gesture proceeds, and the communication unit displays a real image and virtual And receives an image.
일 실시예에 따른 VR 공간에서 컨텐트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실사 이미지는, 스포츠 경기를 복수의 시점 각각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포함하고,In a device for providing content in a VR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ive-action image includes an image taken at each of a plurality of viewpoints of a sporting event,
출력부는, 특정 위치에서의 제 1 시점에서 촬영된 이미지에 제 1 시점과 다른 시점에서 촬영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조합하여 표시한다.The output unit combines and displays at least one image photographed at a first point in time at a point different from the first point.
일 실시예에 따른 VR 공간에서 컨텐트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통신부는, 특정 위치의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된 객체에 관한 구매 요청 및 결제 정보를 전송하고, 출력부는, 객체의 구매가 완료되는 경우, 객체의 가상 이미지를 상기 VR 공간 상에 표시한다.In a device for providing content in a VR spa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purchase request and payment information regarding an object displayed in at least one of a real image and a virtual image at a specific location, The virtual image of the object is displayed on the VR space.
일 실시예에 따른 VR 공간에서 컨텐트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스포츠 경기에 관한 컨텐트의 제공 이전에 사용자가 시청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의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고, 출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컨텐트의 히스토리 정보를 VR 공간 상에 표시하고, 표시된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된 위치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위치에 관한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를 VR 공간 상에 표시한다.In a device for providing content in a VR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generates history information of at least one content that the user watched prior to the presentation of the content relating to the sporting event, and the output unit includes at least one content The history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tent is displayed on the VR space, 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position included in the displayed history information, the real image and the virtual image of the selected position are displayed on the VR space do.
일 실시예에 따른 VR 공간에서 컨텐트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계정을 통해 연결된 복수의 다른 사용자 중 스포츠 경기에 관한 컨텐트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선택하고, 통신부는, 선택된 사용자의 디바이스에 VR 공간으로의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며, 출력부는, 초대 메시지에 대한 수락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VR 공간 상에 상기 다른 사용자를 나타내는 가상 이미지를 표시한다.In a device for providing content in a VR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selects a user who uses content related to a sporting event among a plurality of other users connected via a user's Social Network Service (SNS) account, And transmits an invitation message to the selected user's device to the VR space. The output unit displays a virtual image representing the other user on the VR space as the acceptance message for the invitation message is received.
일 실시예에 따른 VR 공간에서 컨텐트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는,A device for providing content in a VR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vice further comprising a user input for receiving user profile information,
수신된 프로파일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를 나타내는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하며, 출력부는,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와 함께 아바타 이미지를 조합하여 VR 공간 상에 표시한다.And generates an avatar image representing the user on the basis of the received profile information. The output unit combines the avatar image together with the real image and the virtual image, and displays the avatar image on the VR spac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VR 공간에서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스포츠 경기가 수행되는 장소의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VR 공간 상의 제 1 위치에 대한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를 조합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VR 공간 상의 제 2 위치에 대한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를 조합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VR 공간상의 제 3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서포터 아바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스포츠 경기에 관한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사용자가 시청한 스포츠 경기에 관한 컨텐트의 히스토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스포츠 경기의 인공 지능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VR 공간에서 컨텐트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1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content in a VR space by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oviding a real image and a virtual image of a place where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performs a sports competition.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 combination of a real image and a virtual image for a first location on a VR spa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 combination of a real image and a virtual image for a second location on a VR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how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provides a service to a user at a third location on a VR spac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upporter avatar provided in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diagram for more specifically explaining how a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provides content related to a sporting event.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 history information of a content related to a sporting event viewed by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guide of a sporting event in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 and 11 are block diagrams of a device providing content in a VR space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lso,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not on the name of a simple term, but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the terms "part," " module,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units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VR 공간에서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content in a VR space by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단계 S110에서, 디바이스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로부터 스포츠 경기에 관한 컨텐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110, the device may receive a content request for a sporting event from a user wearing the device.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스포츠 경기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포츠 경기의 종류에 관한 정보에는 스포츠 경기의 종목 스포츠 경기가 수행되는 장소, 날짜 및 스포츠 경기에 참여하는 팀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vice may receive a content request from a user that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sporting event. Here, the information on the kind of the sports game may includ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the place where the sports game of the sport game is performed, the date, and the type of the team participating in the sports game.
또한, 사용자는 스포츠 경기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음성, 터치 등의 입력 신호를 통해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일측면을 터치하는 경우, 디바이스는 스포츠 경기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화면에 스포츠 경기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사용자가 스포츠 경기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말하는 경우,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스포츠 경기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provide information on the type of sports game to the device through input signals such as voice, touch, and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one side of the device, the device can display a screen where information on the type of sporting event can be input. The user can input information on the type of sports game on the displayed screen.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if the user speaks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sporting event, the device can recognize the user's voice and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sporting event.
단계 S120에서, 디바이스는 컨텐트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스포츠 경기가 진행되는 장소에 관한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In step S120, as the content request is received, the device can obtain a real image and a virtual image of the place where the sporting event is going.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컨텐트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스포츠 경기가 진행되는 장소의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서버에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를 요청할 수 있다.A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request a real image and a virtual image to a server that generates a real image and a virtual image of a place where a sports game is going, as a content request is received from a user.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스포츠 경기가 진행되는 A 경기장의 입구에 대한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실사 이미지는 서버가 디바이스로부터 요청을 수신한 시점의 상황을 촬영한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가상 이미지는 VR 공간에서 사용자가 스포츠 경기를 보다 실감나게 느낄 수 있도록 생성된 그래픽 이미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 경기장에서 수행되는 경기를 후원하는 후원사들에서 제공하는 광고, 가상 상점 및 가상 박물관 등의 이미지가 가상 이미지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가상 이미지는 사용자를 나타내는 서포터 아바타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vice may request a live-action image and a virtual image of an entrance of an arena where a sporting event is taking place. Here, the real image may be an image of the situation at the time when the server receives the request from the device. Also, the virtual image may be a graphic image generated in the VR space so that the user can feel the sports game more realistically. For example, an image of an advertisement, a virtual store, and a virtual museum provided by sponsors sponsoring a competition performed in the stadium A may be included in the virtual imag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virtual image may include a supporter avatar representing the user.
단게 S130에서,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제스쳐에 따라 스포츠 경기가 진행되는 장소에서의 특정 위치에 관한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At step S130, the device can display a real image and a virtual image of a specific position in a place where the sports game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gesture.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제스쳐가 감지됨에 따라, 스포츠 경기가 진행되는 장소에서 특정 위치에 관한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포츠 경기가 진행되는 장소는 복수의 위치로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포츠 경기가 진행되는 장소는 중앙역, 중앙로, 광장 및 스타디움으로 구별될 수 있다.As the user's gesture is detected, th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can obtain a real image and a virtual image of a specific location at a place where a sporting event is going. Here, the place where the sporting event progresses can be distinguished into a plurality of positions. For example, the places where sports events take place can be distinguished by the central station, the central road, the plaza, and the stadium.
디바이스는 중앙역의 위치에 있는 사용자가 제 1 방향으로 서서, 걸어가는 제스쳐를 취하는 경우, 중앙역의 다음 위치인 중앙로의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를 서버로부터 획득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사용자는 사용자가 이동하길 원하는 위치를 음성으로 디바이스에 입력하여, 원하는 위치의 가상 이미지 및 실사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user at the position of the central station is in the first direction and takes a walking gesture, the device can obtain and display a real image and a virtual image at the center, which is the next position of the central station, from the server. However, this is only an embodiment, and the user can input the position where the user desires to move to the device by voice, and control the device to display the virtual image and the real image at the desired position.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스포츠 경기가 진행되는 장소에 포함된 복수의 위치의 가상 이미지 및 실사 이미지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와 실시간으로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제스쳐에 대응되는 위치의 가상 이미지 및 실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바이스에서 서버로 전송되는 가상 이미지 및 실사 이미지의 요청에는 사용자의 제스쳐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한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performs real-time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server that generates a virtual image and a real image at a plurality of positions included in a place where a sporting event is performed, thereby generating a virtual image of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gesture And a real image can be obtained. Here, the request for the virtual image and the real image transferred from the device to the server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gesture.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바이스(1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 전자북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device 100 described herein may b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tablet PC, an electronic book terminal, a digital broadcast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Head Mounted Displa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스포츠 경기가 수행되는 장소의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oviding a real image and a virtual image of a place where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performs a sports competition.
도 2를 참고하면,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스포츠 경기에 관한 컨텐트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스포츠 경기가 진행되는 장소인 A1에 관한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스포츠 경기가 진행되는 장소인 A1은 복수의 위치들로 구별될 수 있다. 복수의 위치들에 관한 정보는 경기장의 지도(200)로서 디바이스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바이스가 사용자로부터 스포츠 경기에 관한 컨텐트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장소인 A1에서, 초기 위치인 위치 A(210)에 관한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Referring to FIG. 2, when the device receives a content request for a sporting event from a user, it can acquire a live-action image and a virtual image of A1 where the sporting event is going. On the other hand, A1, which is a place where a sporting event progresses, can be distinguished into a plurality of positions. Information about the plurality of locations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evice as a map 200 of the playing field.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when the device receives a content request regarding a sporting event from a user, it acquires a real image and a virtual image relating to the initial position A 210 in the place A1.
디바이스는 위치 A(210)에 관한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가상 이미지에는 장소 A1의 지도, 서포터 아바타 및 광고가 포함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를 서버로부터 수신한 렌더링 정보에 따라 조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렌더링 정보에는 실사 이미지와 가상 이미지가 조합되는 스티칭(stitching) 정보 및 가상 이미지가 배치되는 실사 이미지 상의 위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실사 이미지와 가상 이미지가 조합되는 예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The device can display a real image and a virtual image with respect to location A (210). On the other hand, here, the virtual image may include a map of the place A1, a supporter avatar, and an advertisement. The device can combine and display the live image and the virtual image according to the render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The rendering information may include stitching information in which a real image and a virtual image are combined, position information on a real image on which a virtual image is arranged, and the like. An example in which a real image and a virtual image are combined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to FIG.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이동하기를 원하는 A1 내에서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는 A1 내에서의 위치는 중앙역인 위치 A(210), 중앙로인 위치 B(220), 광장인 위치 C(230), 경기장의 위치 D(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장인 위치 C(230)의 경우, 개최 도시 홍보관(231), 기념품 샵(232), 축구 경기 박물관(233), 토토샵(234), 로컬 파트너 쇼룸(235), 피파 세계 경기 박물관(236), 글로벌 파트너 쇼룸(237) 및 경기 상대팀 광장(238)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기장의 위치 D(240)에서도, 사용자는 선택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팀의 상대팀 위치인 위치 A2(250)로 이동할 수도 있다.A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detect a user's gesture and determine a location within A1 that the user desires to move. For example, the location in A1 where the user can move may include
또한,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아바타 선택 및 커뮤니티 초대 방(205)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를 나타내는 아바타를 생성하거나 스포츠 경기에 관한 컨텐트를 함께 이용하는 다른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may generate an avatar representing the user or provide information about other users who are using the content related to the sporting event together, when the user selects the avatar selection and community invitation room 205.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VR 공간 상의 제 1 위치에 대한 실사 이미지(320) 및 가상 이미지(310, 330)를 조합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combination with a
도 3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스포츠 경기에 관한 컨텐트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제 1 위치에 관한 실사 이미지(320) 및 가상 이미지(310, 330)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제 1 위치의 실사 이미지(320) 및 가상 이미지(310, 330)를 생성하는 서버 또는 외부의 디바이스로부터 실사 이미지(320) 및 가상 이미지(310, 330)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obtain a
한편, 디바이스는 실사 이미지(320) 및 가상 이미지(310, 330)가 조합된 이미지를 수신할 수도 있고, 실사 이미지(320) 및 가상 이미지(310, 330)와 이를 조합하기 위한 스티칭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device may receive the combined image of the
가상 이미지(310, 330)에는 스포츠 경기를 후원하는 기업 또는 스포츠 경기의 개최 도시의 광고 이미지(332)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에 따라, 사용자는 제 1 가상 이미지(310)를 선택하여, 제 1 가상 이미지(310)와 연결된 다른 위치로 이동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 1 가상 이미지(310)를 선택함으로써, 도 2를 참고하여 전술한 아바타 선택 및 커뮤니티 초대 방(205)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된 위치에서, 사용자와 함께 스포츠 경기에 관한 컨텐트를 이용하기 위한 다른 사용자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The
또한, 사용자는 제 1 가상 이미지(310)를 선택하여, 사용자를 나타내는 아바타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제 1 가상 이미지(310)를 선택하여, 아바타 선택 및 커뮤니티 초대 방(205)으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이미지는 사용자를 스캐닝하는 3D 스캐닝 디바이스 등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 디바이스 내에 사용자의 이미지가 미리 저장될 수도 있다. 디바이스는 획득된 사용자 이미지를 기초로 서포터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may select the first
서포터 아바타는 추후에 다른 위치로 이동 시, 인증 등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경기를 제공하는 장소 내에서, 현재 위치 이외의 다른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요금 지불 여부를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디바이스는 사용자를 나타내는 서포터 아바타를 다른 위치를 관리하는 서버에 인식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요금을 지불하였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서포터 아바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6을 참고하여 후술하도록 한다.The supporter avatar may be used to perform a process such as authentication when moving to another location later. For example, in order to move to a location other than your current location within the place providing the game, you need to check whether you are paying the fee. In such a case, the device may provide information that the user has paid the fee by recognizing the supporter avatar representing the user to the server managing the other location. A specific description of the supporter avatar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디바이스는 제 1 위치에 대한 실사 이미지(320) 및 가상 이미지(310, 330)가 조합된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VR 공간에서 스포츠 경기를 관람하기 위해 필요한 환경을 보다 현실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device can display the combined image of the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VR 공간 상의 제 2 위치에 대한 실사 이미지(400) 및 가상 이미지(420, 440)를 조합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in which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provides a combination of a
도 4를 참고하면,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제 2 위치로의 이동을 요청하는 제스쳐가 감지되는 경우, 제 2 위치에 관한 실사 이미지(400) 및 가상 이미지(420, 440)를 획득할 수 있다. 제 2 위치에 관한 실사 이미지(400)는 제 2 위치를 촬영한 이미지를 나타낸다. 한편, 제 2 위치에 관한 가상 이미지(420, 440)에는 광고 이미지(420) 및 사용자의 취향을 반영한 서비스를 위한 제 2 가상 이미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2 위치로 이동하기에 앞서, 실사 이미지(400)와 함께 시청하고 싶은 제 2 가상 이미지(440)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연 영상, 경기 개최 도시의 관광 명소의 영상 등이 제 2 가상 이미지(440)에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device may obtain a
여기에서,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실사 이미지(400)와 조합할 수 있는 가상 이미지의 종류를 미리 표시하여, 사용자가 표시된 가상 이미지의 종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특정 가상 이미지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가 받을 수 있는 할인 정보, 포인트 정보 등을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Here, the device may display the type of the virtual image that the user can combine with the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사용자를 나타내는 서포터 아바타(410)를 실사 이미지(400)와 가상 이미지(420, 440)가 조합된 이미지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서포터 아바타(410)가 사용자의 제스쳐에 따라 이동하도록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제 2 위치에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Meanwhile, th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display the
또한, 디바이스는 사용자와 함께 스포츠 경기에 관한 컨텐트를 이용하는 다른 사용자의 아바타(430)를 사용자의 서포터 아바타(410)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바이스는 다른 사용자의 디바이스와 실시간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제스쳐 등을 기초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다른 사용자의 디바이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다른 사용자로부터 다른 사용자의 음성, 다른 사용자의 제스쳐 등을 기초로 생성된 다른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서포터 아바타(410)와 다른 사용자의 아바타(430)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비스를 기초로, 사용자와 스포츠 경기에 관한 컨텐트를 함께 이용하는 다른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may display an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500)가 VR 공간상의 제 3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how a
도 5를 참고하면, 디바이스(500)는 사용자의 제스쳐에 따라, 제 3 위치에 대한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가 조합된 이미지(510)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제스쳐에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위치에 관한 정보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 3 위치는 도 2를 참고하여 전술한 기념품 샵(232)으로 가정한다. 제 3 위치에서는 기념품 샵(232)에서 사용자가 구매할 수 있는 상품(예를 들어, 512)에 대한 실사 이미지와 기념품 샵의 배경 등을 나타내는 가상 이미지가 조합된 이미지가 디바이스(500)에 획득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디바이스(500)의 사용자는 제 3 위치에 진열된 상품(예를 들어, 512) 등을 시청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예를 들어, 512)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500)는 사용자가 상품 A(512)를 선택하는 경우, 상품 A(512)를 구매하기 위한 지불 수단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결제를 위한 인증 정보 입력을 요청할 수도 있다.The user of the
또한, 디바이스(500)는 사용자가 상품 A(512)를 구매하기에 앞서, 상품 A(512)의 가상 이미지를 서포터 아바타에게 적용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상품 A(512)를 미리 체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품 A(512)를 직접 구매할 수도 있고, 상품 A(512)에 대한 가상 이미지를 구매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500)는 사용자가 상품 A(512)에 대한 가상 이미지를 구매하는 경우, 서포터 아바타의 정보에 상품 A(512)에 대한 가상 이미지를 함께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추후에 스포츠 경기에 관한 다른 컨텐트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저장된 가상 이미지를 로딩하여 서포터 아바타에 적용할 수 있다.The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서포터 아바타(6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도 6을 참고하면,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정보를 기초로 서포터 아바타(610)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신체 정보, 직업 등을 포함하는 프로파일 및 사용자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포터 아바타(610)를 이용한 VR 공간 내에서의 결제를 위해, 사용자의 결제 수단에 관한 식별 정보가 사용자의 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device may generate a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제스쳐에 따라, 사용자가 VR 공간 내의 특정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된 특정 위치의 실사 이미지와 가상 이미지가 조합된 이미지 상에 서포터 아바타(610)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포터 아바타(610)가 표시되는 방법은 도 4를 참고하여 전술한 방법과 대응될 수 있다.The device can display the
한편, 디바이스는 VR 공간에서의 사용자의 상태를 서포터 아바타(610)에 적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상태란 사용자가 VR 공간에서 구매한 상품 정보, 사용자가 응원하는 스포츠 팀의 정보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VR 공간 내에서 구매한 스포츠 팀의 깃발에 대한 가상 이미지(611), 트로피에 대한 가상 이미지(613), 경기복에 대한 가상 이미지(615, 619) 및 팀 스카프에 대한 가상 이미지(617)를 서포터 아바타(610)에 적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상 이미지란 실제 상품 등의 객체에 관한 3차원 이미지를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the device can apply the state of the user in the VR space to the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스포츠 경기에 관한 컨텐트를 이용하지 않을 때에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서포터 아바타(610)에 대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서포터 아바타(610)에 대한 이미지는 SNS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 공유될 수 있다.The device can display an image for the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스포츠 경기에 관한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for more specifically explaining how a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provides content related to a sporting event.
도 7을 참고하면,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도 2를 참고하여 전술한 경기장(240)으로의 위치 변경을 요청하는 제스쳐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는 경기장(240)의 실사 이미지(710, 720, 740) 및 가상 이미지(730)를 조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device may obtain a gesture from the user requesting a change of location to the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미리 구매한 경기장 내에서의 좌석표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좌석표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시점에서의 경기장의 실사 이미지(710)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다양한 각도에서 경기를 관람할 수 있도록 제 1 시점에서의 실사 이미지(720) 및 제 2 시점에서의 실사 이미지(740)를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시점에서의 실사 이미지(710)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vice can acquire a
한편, 여기에서, 실사 이미지가 제공되는 시점은 사용자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제스쳐를 획득하는 경우, 현재 시점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기 설정된 거리 만큼 이동한 위치에서의 실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Here, the point at which the real image is provided may be updated according to the changed user's position when the user's location is changed. For example, when acquiring a gesture moving from the user to the right, the device can obtain a real image at a position shif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right direction at the current time point.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진행 중인 경기에서 선수의 위치 및 득점 상황에 관한 경기 중개 정보를 가상 이미지(730)로서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일 뿐, 가상 이미지(730)에는 경기를 후원하는 후원사에서 제공하는 광고 이미지가 표시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provide, as a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다른 경기의 시청을 요청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다른 경기의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를 현재 표시되고 있는 이미지와 함께 멀티 스크린 형태로 표시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an input requesting viewing of another game from the user is received, the device may display the real image and the virtual image of another game in multi-screen form together with the currently displayed image.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사용자가 시청한 스포츠 경기에 관한 컨텐트의 히스토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 history information of a content related to a sporting event viewed by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고하면, 디바이스는 기 설정된 히스토리 공간(810)에서 사용자에게 과거에 사용자가 시청했던 스포츠 경기에 관한 이미지들(820, 830, 840, 850, 860, 870)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미지들(820, 830, 840, 850, 860, 870)은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8, the device may provide the user with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시청했던 스포츠 경기에 관한 이미지들(820, 830, 840, 850, 860, 870)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요청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포츠 경기에 관한 이미지들(820, 830, 840, 850, 860, 870)은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전술하였던 가상 이미지와 실사 이미지가 조합된 이미지일 수 있다.A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a received request when a request for any of the
또한,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선택된 이미지를 시청하는 도중, 선택된 이미지에 표시된 위치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위치의 가상 이미지 및 실사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과거에 사용자가 시청했던 경기가 수행되는 위치로 이동하여, 과거의 기억을 다시 체험해 볼 수 있는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may display a virtual image and a real image of the selected location when the user selects a location displayed on the selected image while viewing the selected image. Accordingly, the user can move to the position where the game that the user watched in the past is performed, and receiv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user can experience the memory of the past again.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스포츠 경기의 인공 지능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guide of a sporting event in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스포츠 경기를 관람할 수 있는 장소에 대한 가상 이미지 및 실사 이미지가 조합되어 생성된 가상 공간(900)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910, 920)를 제공할 수 있다. Th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provide at least one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 및 선호도 정보를 뉴럴 네트워크의 입력값으로 설정하여, 사용자에게 스포츠 경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910, 920)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에는 사용자의 국적, 인종, 나이, 성별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선호도 정보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인물의 특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및 선호도 정보를 기초로 가이드(예를 들어, 910)의 얼굴, 체형, 키, 목소리 등을 설정할 수 있다.The device may generate at least one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는 해당 종목의 스포츠 스타, 가수, 배우, 대회 마스코트, 애니메이션 주인공 의 저작권 또는 초상권의 이용을 위한 결제 정보를 해당 저작권 또는 초상권을 관리하는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결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결제 승인이 완료될 경우, 획득한 스포츠 스타, 가수, 배우, 대회 마스코트, 애니메이션 주인공 등의 특성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910, 920)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device can receive payment information for use of a sports star, a singer, an actor, a contestant mascot, an animation character of an animated character, or a portrait of the corresponding event from a server managing the copyright or portrait privilege. The device provides the payment information to the user and generates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가이드(예를 들어, 910)는 스포츠 경기를 관람할 수 있는 장소 및 스포츠 경기에 관한 정보를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 guide (e.g., 910)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may provide information to the user of the device about the place and sporting event where the sporting event can be viewed.
도 10 및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VR 공간에서 컨텐트를 제공하는 디바이스(1000)의 블록도이다.10 and 11 are block diagrams of a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는, 센싱부(1010), 프로세서(1020), 통신부(1030) 및 출력부(10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디바이스(10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디바이스(1000)는 구현될 수 있다.10, the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는, 센싱부(1010), 프로세서(1020), 통신부(1030) 및 출력부(1040) 이외에 A/V 입력부(1050), 사용자 입력부(1060) 및 메모리(107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11, a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센싱부(1010)는, 디바이스(1000)의 상태, 디바이스(1000) 주변의 상태 및 디바이스(10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프로세서(1020)로 전달할 수 있다.The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로부터 스포츠 경기에 관한 컨텐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센싱부(101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011),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012), 온/습도 센서(1013), 적외선 센서(1014), 자이로스코프 센서(1015), 위치 센서(예컨대, GPS)(1016), 기압 센서(1017), 근접 센서(1018),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101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에 따라 센싱부(1010)는 사용자의 맥박, 혈압 및 뇌파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생체 신호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프로세서(1020)는, 통상적으로 디바이스(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0)는, 메모리(10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센싱부(1010), 통신부(1030), 출력부(1040), A/V 입력부(1050) 및 사용자 입력부(106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020)는 컨텐트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스포츠 경기가 진행되는 장소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0)는 사용자의 제스쳐에 대응되는 스포츠 경기가 진행되는 장소 내에서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The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020)는 스포츠 경기에 관한 컨텐트의 제공 이전에 사용자가 시청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의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020)는 사용자의 SNS 계정을 통해 연결된 복수의 다른 사용자 중 스포츠 경기에 관한 컨텐트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다.The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020)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를 나타내는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The
통신부(1030)는,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포츠 경기가 진행되는 장소의 이미지를 관리하는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030)는 프로세서(1020)에서 결정된 장소에 관한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030)는 프로세서(1020)에서 결정된 스포츠 경기가 진행되는 장소 내에서의 특정 위치에 관한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The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030)는 특정 위치의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된 객체에 관한 구매 요청 및 결제 정보를 객체의 판매를 관리하는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The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030)는 SNS 계정을 통해 연결된 복수의 다른 사용자 중 선택된 사용자의 디바이스에 VR 공간으로의 초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The
또한, 통신부(1030)는 디바이스(1000)와 외부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수행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030)는, 근거리 통신부(1031), 이동 통신부(1032), 방송 수신부(1033)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031)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 short-range
이동 통신부(1032)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방송 수신부(1033)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디바이스(1000)가 방송 수신부(1033)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The
출력부(1040)는, 오디오 신호 또는 영상 신호 또는 진동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041)와 음향 출력부(1042)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041)는 디바이스(10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041)는 사용자의 제스쳐에 따라, 스포츠 경기가 진행되는 장소에서의 특정 위치에 관한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The
또한, 디스플레이부(1041)는 특정 위치에서의 제 1 시점에서 촬영된 이미지에 제 1 시점과 다른 시점에 촬영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조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041)는 객체의 구매가 완료되는 경우, 객체의 가상 이미지를 VR 공간 상에 표시할 수 있다.The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041)는 스포츠 경기에 관한 컨텐트의 제공 이전에 사용자가 시청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컨텐트의 히스토리 정보를 VR 공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41)는 표시된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된 위치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위치에 관한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를 VR 공간 상에 표시할 수 있다.The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041)는 선택된 사용자의 디바이스에 전송된 초대 메시지에 대한 수라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VR 공간 상에 다른 사용자를 나타내는 가상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41)는 스포츠 경기가 수행되는 장소의 실사 이미지 및 가상 이미지와 함께 사용자의 아바타 이미지를 조합하여 VR 공간 상에 표시할 수 있다.The
한편, 디스플레이부(1041)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04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4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10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바이스(1000)는 디스플레이부(1031)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1031)는 힌지(hinge)를 이용하여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음향 출력부(1042)는 통신부(103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0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042)는 디바이스(10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04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V(Audio/Video) 입력부(10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미도시)와 마이크로폰(미도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프로세서(102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The A / V (Audio / Video)
카메라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07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03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는 디바이스(10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may be stored in the
마이크로폰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화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The microphone receives an external acoustic signal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For example, the microphone may receive acoustic signals from an external device or speaker. The microphone can use various noise cancellation algorithms to remove noise generated in receiving an external acoustic signal.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는 렌즈(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1000)의 사용자는 렌즈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041)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감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사용자 입력부(1060)는, 사용자가 디바이스(10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06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사용자 입력부(106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050)는 UI 모듈(1071)과 연동되어, 복수의 센서들 각각의 감지 영역 상에 표시되는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사용자 입력부(1060)에서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의 종류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메모리(1070)는, 프로세서(10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영상들의 픽셀 값)을 저장할 수도 있다.The
메모리(10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0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운영할 수도 있다.The
메모리(10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1071) 및 터치 스크린 모듈(1072)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The programs stored in the
UI 모듈(1071)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디바이스(10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072)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프로세서(102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1072)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072)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Various sensors may be provided in or near the touch screen to sense the touch or near touch of the touch screen. An example of a sensor for sensing the touch of the touch screen is a tactile sensor. A tactile sensor is a sensor that detects the contact of a specific object with a degree or more that a person feels. The tactile sensor can detect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roughness of the contact surface, the rigidity of the contact object, and the temperature of the contact point.
또한,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근접 센서가 있다.In addition, a proximity sensor is an example of a sensor for sensing the touch of the touch screen.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스와이프 등이 있을 수 있다.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 nearby object without mechanical contact using the force of an electromagnetic field or infrared rays. Examples of proximity sensors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The user's touch gestures can include tap, touch & hold, double tap, drag, panning, flick, drag and drop, swipe,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A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ocessor, a memory for storing and executing program data, a permanent storage such as a disk drive, a communication port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 user interface such as a touch panel, a key, Devices, and the like. Methods implemented with software modules or algorithms may be stored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s computer readable codes or program instructions executable on the processor. Her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a magnetic storage medium such as a read-only memory (ROM), a random-access memory (RAM), a floppy disk, a hard disk, ), And a DVD (Digital Versatile Disc).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The medium is readable by a computer, stored in a memory, and executable on a processor.
본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All documents, including publications, patent applications, patents, etc., c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corporated in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ame manner as each cited document is shown individually and specifically in conjunction with one another, .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will be mad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and specific terminology is used to describ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terminology, Lt; / RTI > may include all elements commonly conceiva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presented by functional block configurations and various processing steps. These functional blocks may be implemented in a wide variety of hardware and / or software configurations that perform particular functions.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integrated circuit configurations, such as memory, processing, logic, look-up tables, etc., that may perform various functions by control of one or more microprocessors or other control devices Can be adopted. Similar to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may be implemented with software programming or software component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C, C ++, and C ++, including various algorithms implemented with data structures, processes, routines, , Java (Java), assembler, and the like. Functional aspects may be implemented with algorithms running on one or more processors.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employ conventional techniques for electronic environment setting, signal processing, and / or data processing. Terms such as "mechanism", "element", "means", "configuration" may be used broadly and are not limited to mechanical and physical configurations. The term may include the meaning of a series of routines of software in conjunction with a processor or the lik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60050121 | 2016-04-25 | ||
| KR1020160050121 | 2016-04-25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121720A KR20170121720A (en) | 2017-11-02 | 
| KR101894021B1true KR101894021B1 (en) | 2018-08-31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053231AExpired - Fee RelatedKR101894021B1 (en) | 2016-04-25 | 2017-04-25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ntent and recordimg medium thereof | 
| KR1020170053230ACeasedKR20170121719A (en) | 2016-04-25 | 2017-04-25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the virtual reality space and recordimg medium thereof | 
| KR1020170053229AActiveKR101981774B1 (en) | 2016-04-25 | 2017-04-25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the virtual reality space and recordimg medium thereof | 
| KR1020170053232AExpired - Fee RelatedKR101894022B1 (en) | 2016-04-25 | 2017-04-25 | Method and device for payment processing in virtual reality space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053230ACeasedKR20170121719A (en) | 2016-04-25 | 2017-04-25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the virtual reality space and recordimg medium thereof | 
| KR1020170053229AActiveKR101981774B1 (en) | 2016-04-25 | 2017-04-25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the virtual reality space and recordimg medium thereof | 
| KR1020170053232AExpired - Fee RelatedKR101894022B1 (en) | 2016-04-25 | 2017-04-25 | Method and device for payment processing in virtual reality space | 
| Country | Link | 
|---|---|
| KR (4) | KR101894021B1 (en) | 
| WO (1) | WO2017188696A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30063772A (en)* | 2021-11-02 | 2023-05-09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Metaverse personalized content creation and authentication method and apparutus and system therefor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067493B1 (en)* | 2018-01-02 | 2020-01-17 |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 Hmd device for displaying vr based presentation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CN108227927B (en)* | 2018-01-09 | 2021-07-23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VR-based product display metho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 
| KR20190104753A (en)* | 2018-03-02 | 2019-09-11 | 주식회사 브이알이지이노베이션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cinema service | 
| KR102084970B1 (en)* | 2018-05-02 | 2020-03-05 | (주)포트러시 | Virtual reality viewing method and virtual reality viewing system | 
| KR102346681B1 (en)* | 2019-01-10 | 2022-01-03 | 제이에스씨(주) | System for health care service for realistic experience based on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 
| KR102389335B1 (en)* | 2019-04-01 | 2022-04-20 | 주식회사 케이티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videoes of a plurality of broadcast channels | 
| KR102298101B1 (en)* | 2019-07-31 | 2021-09-02 | 박준영 | System of Selling Products for Adult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102272503B1 (en)* | 2020-09-18 | 2021-07-02 | 주식회사 메이크잇 | Method and system for trading financial product through head mounted display device | 
| KR102272841B1 (en)* | 2020-11-27 | 2021-07-06 | 주식회사 비욘드테크 | System for providing broadcast video and billing settlement for providing 360-degree broadcast video content service and method thereof | 
| TWI802909B (en)* | 2021-06-15 | 2023-05-21 | 兆豐國際商業銀行股份有限公司 | Financial transac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KR102671635B1 (en)* | 2021-09-15 | 2024-06-05 |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 Method, Computer Program And System For Biofeedback Using Video Content | 
| US20240365175A1 (en)* | 2023-04-26 | 2024-10-3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averse services with network slicing | 
| KR102654350B1 (en)* | 2023-04-28 | 2024-04-03 | 주식회사 젭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specific area in metaverse space based on blockchain-recorded data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0074349A (en)* | 2001-03-20 | 2002-09-30 | 엘지전자주식회사 | service system for making of homepage and operation method of this system | 
| KR20020076973A (en)* | 2001-03-31 | 2002-10-11 | 데이타박스(주) | A cookig and food analizing system for using a fuzzy-neural networe and a method thereof | 
| KR100408989B1 (en)* | 2002-10-08 | 2003-12-11 | Robopia Co Ltd | Running machine and opera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 
| KR20060134290A (en)* | 2005-06-22 | 2006-12-28 | 원용진 | Invocation Method of Web-based Information Retrieval Means and Initiation System of Web-based Information Retrieval Means | 
| KR100953826B1 (en)* | 2007-08-14 | 2010-04-20 | 광주과학기술원 | Portable terminal having user health management function and user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same | 
| KR100952394B1 (en)* | 2007-12-26 | 2010-04-14 |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 Space Management Method for Virtual Reality Service | 
| JP2011039860A (en)* | 2009-08-13 | 2011-02-24 | Nomura Research Institute Ltd | Conversation system, convers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ing virtual space | 
| KR20110131680A (en)* | 2010-05-31 | 2011-12-07 | 영남이공대학 산학협력단 | Virtual Internet Shopping Mall Service System Using 3D Virtual Reality Technology | 
| KR101505060B1 (en)* | 2010-08-24 | 2015-03-26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linking service | 
| KR20120075565A (en)* | 2010-12-15 | 2012-07-09 | 고스트리트(주) | Mobile sports guide system and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 
| KR20140065180A (en)* | 2012-11-21 | 2014-05-2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experiential contents based on real time broadcast contents | 
| KR20160002681A (en)* | 2013-01-16 | 2016-01-08 | 인썸(인스티튜트 내셔날 드 라 싼테 에 드 라 리셰르셰메디칼르) | A soluble fibroblast growth factor receptor 3 (fgr3) polypeptide for use 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skeletal growth retardation disorders | 
| KR20140135276A (en)* | 2013-05-07 | 2014-11-26 | (주)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gesture input on a game screen | 
| JP2015177403A (en)* | 2014-03-17 | 2015-10-05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head-mounted display device | 
| KR101569465B1 (en)* | 2013-07-05 | 2015-11-17 | 서용창 | Method for transmitting a message, method for selling a message box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the same | 
| KR101517436B1 (en)* | 2013-08-30 | 2015-05-06 | 주식회사 지스푼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 
| KR101878144B1 (en)* | 2013-11-06 | 2018-07-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on Head Mounted Display and a Head Mounted Display Thereof | 
| US10203762B2 (en)* | 2014-03-11 | 2019-02-12 | Magic Leap, Inc. |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 
| KR102227659B1 (en)* | 2014-03-12 | 2021-03-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vertual image via head mounted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30063772A (en)* | 2021-11-02 | 2023-05-09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Metaverse personalized content creation and authentication method and apparutus and system therefor | 
| KR102627728B1 (en)* | 2021-11-02 | 2024-01-23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Metaverse personalized content creation and authentication method and apparutus and system therefor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894022B1 (en) | 2018-08-31 | 
| KR20170121721A (en) | 2017-11-02 | 
| KR20170121719A (en) | 2017-11-02 | 
| WO2017188696A1 (en) | 2017-11-02 | 
| KR101981774B1 (en) | 2019-05-27 | 
| KR20170121720A (en) | 2017-11-02 | 
| KR20170121718A (en) | 2017-11-02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894021B1 (en)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ntent and recordimg medium thereof | |
| US11162796B2 (en) | Interactive venue assistant | |
| KR102111446B1 (en) | Generating context relevant media augmentation | |
| US8711176B2 (en) | Virtual billboards | |
| US10055894B2 (en) | Markerless superimposition of content in augmented reality systems | |
| CN112181573B (en) | Media resource display method, device, terminal, server and storage medium | |
| WO2022247208A1 (en) | Live broadcast data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 |
| US20130201215A1 (en) | Accessing applications in a mobile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 |
| US20160132222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blank area in screen | |
| US20120028577A1 (en) | Mobile devices and methods employing haptics | |
| US9602957B2 (en) | Cross device information exchange using gestures and locations | |
| CN116076063A (en) | Augmented reality messenger system | |
| CN113393290A (en) | Live broadcast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medium | |
| CN111538405A (en) |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erminal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
| CN111541928B (en) | Live broadcast display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 WO2012007764A1 (en) | Augmented reality system | |
| US12361632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 |
| CN113613028A (en) | Live broadcast data processing method, device, terminal, server and storage medium | |
| JP2017156514A (en) | Electronic signboard system | |
| US20230334725A1 (en) | Mixed-reality beacons | |
| KR102840430B1 (en) |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detecting a plane in an image | |
| JP7281012B1 (en) |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 |
| US20230206281A1 (en) | Advertisement tracking integration system | |
| US20170083952A1 (en) | System and method of markerless injection of 3d ads in ar and user interaction | |
| US20240378802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serv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2408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24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