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1880820B1 - Push-up exercise devices - Google Patents

Push-up exercise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0820B1
KR101880820B1KR1020160158893AKR20160158893AKR101880820B1KR 101880820 B1KR101880820 B1KR 101880820B1KR 1020160158893 AKR1020160158893 AKR 1020160158893AKR 20160158893 AKR20160158893 AKR 20160158893AKR 101880820 B1KR101880820 B1KR 101880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ush
magnitude
control means
transcei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8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59979A (en
Inventor
윤가현
Original Assignee
윤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가현filedCritical윤가현
Priority to KR1020160158893ApriorityCriticalpatent/KR101880820B1/en
Publication of KR20180059979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80059979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820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1880820B1/en
Expired - Fee Related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푸시업 운동기구가 개시된다. 개시된 푸시업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양손과 일대일 대응하는 제1 및 제2 푸시업바를 구비하되, 제1 푸시업바는, 제1 푸시업바에 가해지는 제1 압력을 측정하는 제1 압력측정수단과, 제1 압력의 크기를 표시하는 제1 표시수단과, 제1 압력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1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제1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제2 푸시업바는, 제2 푸시업바에 가해지는 제2 압력을 측정하는 제2 압력측정수단과, 제2 압력의 크기를 표시하는 제2 표시수단과, 제2 압력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2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제2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푸시업 운동기구는, 바른 푸시업 운동 자세를 유도하여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바르지 못한 운동 자세로 인한 부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A push-up exercise device is disclosed. The push-up exercising apparatus includes first and second push-up bars corresponding one-to-one to the user's hands, the first push-up bar comprising first pressure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a first pressure applied to the first push- A first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 magnitude of the first pressure and a first control means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first display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magnitude of the first pressure, wherein the second push- Second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magnitude of the second pressure and second control means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second display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magnitude of the second pressure, . Such a push-up exercising apparatus can maximize the exercise effect by inducing a correct push-up exercise posture, and can reduce the risk of injury due to an incorrect exercise posture.

Figure R1020160158893
Figure R1020160158893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푸시업 운동기구{PUSH-UP EXERCISE DEVICES}[0001] PUSH-UP EXERCISE DEVICES [0002]

본 발명은 한 쌍의 푸시업바를 포함하는 푸시업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sh-up exercise device comprising a pair of push-up bars.

일반적으로, 푸시업 운동은 가장 널리 알려진 대흉근 운동이다. 푸시업 운동은 대흉근뿐만 아니라 상완삼두근과 전면 삼각근 발달에도 도움이 되어 효과적으로 상체를 단련할 수 있다. 이러한 푸시업 운동은 잘못된 자세, 특히 균형이 맞지 않는 자세로 할 경우 몸의 불균형 발달은 물론 부상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어 바른 자세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비전문가의 경우 자신의 운동 자세가 바른지를 스스로 판단하기는 매우 어렵다. 따라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시간적 금전적 이유로 항상 전문가의 도움을 받기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push-up exercise is the most widely known pectoralis major exercise. Push-up exercises are effective not only in pectoral muscles but also in triceps and triceps muscle development, so that upper body can be effectively trained. Such a push-up exercise is important to make a right posture because it can lead to unbalanced development of the body as well as injury if it is in a wrong posture, especially in an unbalanced posture.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for non-specialists to judge for themselves whether their exercise attitude is right. Therefore, it is most desirable to get help from experts but it is not always easy to get professional help for time and money reasons.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혼자서도 균형있는 바른 자세로 푸시업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된 푸시업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ush-up exercise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 push-up exercise in a balanced and correct posture by itself.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푸시업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양손과 일대일 대응하는 제1 및 제2 푸시업바를 구비하되, 제1 푸시업바는, 제1 푸시업바에 가해지는 제1 압력을 측정하는 제1 압력측정수단과, 제1 압력의 크기를 표시하는 제1 표시수단과, 제1 압력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1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제1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제2 푸시업바는, 제2 푸시업바에 가해지는 제2 압력을 측정하는 제2 압력측정수단과, 제2 압력의 크기를 표시하는 제2 표시수단과, 제2 압력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2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제2 제어수단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ush-up exercise device comprising first and second push-up bars corresponding one-to-one to a user's hands, wherein the first push- A first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magnitude of the first pressure and a first control means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first display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magnitude of the first pressure The second push-up bar includes second pressure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a second pressure applied to the second push-up bar, second display means for indicating the magnitude of the second pressure, And second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second display means.

여기서, 제1 및 제2 표시수단은, 복수의 표시등을 구비하고, 제1 및 제2 제어수단은, 대응하는 제1 및 제2 압력의 크기에 비례하여 점등되는 표시등의 수를 제어하도록 구비된다.Here,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means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dicator lamps, and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means are provided to control the number of indicator lamps which are turned on in proportion to the magnitude of the corresponding first and second pressures .

또한, 제1 및 제2 제어수단을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제1 푸시업바에 구비되어 제1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제1 경고수단과, 제2 푸시업바에 구비되어 제2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제2 경고수단을 더 포함하고, 제1 또는 제2 제어수단은, 제1 및 제2 압력의 크기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입력된 허용 범위보다 클 경우 제1 또는 제2 경고수단 중 어느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비된다.The first push-up bar is provided with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means, first warning means provided on the first push-up bar and controlled by the first control means, and second warning means provided on the second push- Wherein the first or second control means compares the magnitudes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s and, when the difference is larger than the allowable range, And to operate any one of them.

또한, 연결수단은, 제1 제어수단과 연결되는 제1 송수신기와, 제2 제어수단과 연결되는 제2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제1 송수신기는, 제1 제어수단을 통해 수치화된 제1 압력의 크기 정보를 제2 송수신기 측으로 송신하고, 제2 제어수단은, 제2 송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제1 압력의 크기 정보와 제2 제어수단을 통해 수치화된 제2 압력의 크기 정보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입력된 허용 범위보다 클 경우, 제2 경고수단을 동작시키거나, 제2 송수신기를 통해 제1 송수신기 측으로 경고 신호를 송신하고, 제1 제어수단은, 제1 송수신기를 통해 경고 신호가 수신되면 제1 경고수단을 동작시키도록 구비된다.The connection means includes a first transceiver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means and a second transceiver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means, and the first transceiver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means through the first control means, And the second control means compares the magnitude information of the first pressure received through the second transceiver with the magnitude information of the second pressure quantified through the second control means, And when the warning signal is received via the first transceiver,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warning unit to operate the second warning unit or to transmit the warning signal to the first transceiver unit through the second transceiver, And to operate the warning means.

여기서, 제1 및 제2 송수신기는, 블루투스 장치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경고수단은, 소리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장치를 포함한다.Here, the first and second transceivers include a Bluetooth device, and the first and second warning means include a speaker device that outputs a sound signal.

본 발명에 따른 푸시업 운동기구는, 바른 푸시업 운동 자세를 유도하여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바르지 못한 운동 자세로 인한 부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ush-up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exercise effect by inducing the right push-up exercise posture, and can reduce the risk of injury due to an incorrect exercise pos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푸시업 운동기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푸시업 운동기구에 채용된 제1 푸시업바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푸시업 운동기구에 채용된 제2 푸시업바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푸시업 운동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sh-up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push-up bar employed in a push-up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push-up bar employed in a push-up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push-up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개시의 실시예는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개시가 아래 제시된 실시예나 이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아니 된다.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are illustrat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disclosure.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can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below 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such embodiments.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 "부"는 소프트웨어,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그러나, "부"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례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서, 함수, 속성, 프로시저, 서브루틴,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 드라이버,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 테이블, 어레이 및 변수를 포함한다.  구성요소와 "부" 내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 및 "부"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와 "부"로 더 분리될 수 있다.The term "part "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means hardware components such as software,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and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However, "part" is not limited to hardware and software. "Par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play back one or more processors. Thus, by way of example, and not limitation, "part, " as used herein, is intended to be broadly interpreted as referring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within the component and the "part "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parts "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parts ".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disclosure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are chosen for the purpose of more clearly illustrating the disclosure and are not chosen to limit the scope of the disclosure.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이상 복수형의 표현도 함께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항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The singular forms of the expressions described herein may also include plural representat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he same shall apply to the singular expressions described in the claims.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일 뿐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The terms "first "," second "and the like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used only for distinguishing between a plurality of elements, and do not limit the order or importance of the elem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및 "갖는"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문구 또는 문장에서 특별히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ing" and "having ",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re to be construed as open-ended terms.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herein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ny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between the component and the other componen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푸시업 운동기구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푸시업 운동기구에 채용된 제1 푸시업바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푸시업 운동기구에 채용된 제2 푸시업바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푸시업 운동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푸시업 운동기구(10)는 사용자의 양손과 일대일 대응하는 제1 푸시업바(100) 및 제2 푸시업바(200)를 포함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sh-up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push-up bar employed in a push-up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push-up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 push-up bar employed in the push- Referring to the drawings, a push-upexercise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ush-up bar 100 and a second push-up bar 200 corresponding one-to-one with a user's hands.

제1 푸시업바(100)는 제1 핸들(110)과, 제1 핸들(110)을 지지하는 제1 핸들 지지체(120)와, 제1 핸들(110)에 가해지는 압력(제1 압력이라 칭함)의 크기를 측정하는 제1 압력측정수단(130)과, 제1 압력의 크기를 직관적으로 표시하는 제1 표시수단(140)과, 제1 압력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1 표시수단(140)을 제어하는 제1 제어수단(150)과, 제1 제어수단(150)에 의해 수치화된 제1 압력의 크기 정보를 제2 푸시업바(200) 측으로 송신하는 제1 송수신기(160) 및 제1 제어수단(150)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제1 경고수단(170)을 포함한다.The first push-up bar 100 includes afirst handle 110, afirst handle support 120 supporting thefirst handle 110, a pressure applied to the first handle 110 (referred to as a first pressure) A first display means 140 for intuitively displaying the magnitude of the first pressure and a second display means 140 for selectively displaying the first display means 140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first pressure, Afirst transceiver 160 for transmitting the first pressure magnitude information quantified by the first control means 150 to the second push-up bar 200 side, and asecond transceiver 160 for transmitting the first pressure magnitude information to the second push- And first warning means (170) selectively controlled by the control means (150).

제1 핸들(110)은 푸시업 운동 자세(엎드린 자세)에서 손목이 꺾이지 않도록 잡고 푸시업 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푸시업 운동 중 발생할 수 있는 손목 관절의 부상을 방지한다. 제1 핸들(110)은 제1 압력측정수단(130)과 제1 표시수단(140)의 전기적 연결 즉, 배선이 용이하도록 길이방향 양측이 개방된 원형 또는 다각형의 관(管) 형태로 마련되고, 전선(미부호)이 통과 가능한 제1 통공(111)을 구비한다. 제1 핸들(110)은 길이방향 양측 일부분이 상호 대응하도록 하부로 구부러짐에 따라 길이 사이 중심에 위치하는 수평한 제1 파지부(110a)와, 제1 파지부(110a)의 길이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수직한 한 쌍의 제1 지지부(110b)를 구비한다. 또한 제1 핸들(110)은 사용자의 손을 보호하기 위한 제1 보호커버(112)를 포함한다. 제1 보호커버(112)는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 등의 재질로 마련되고 제1 파지부(110a)의 둘레를 감싸도록 제1 핸들(110)에 결합된다.Thefirst handle 110 is provided to hold the wrist in a push-up movement posture (prone position) so as to prevent the wrist from being broken, thereby preventing the wrist joint from being injured during the push-up movement. Thefirst handle 11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circular or polygonal tube in which the first pressure measuring means 130 and the first display means 14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first throughhole 111 through which a wire (not shown) can pass. Thefirst handle 110 includes a horizontalfirst grip portion 110a positioned at the center between the lengths of thefirst handle 110 as thefirst handle 110 bends downward so that portions of thefirst handle 110 are mutually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air offirst support portions 110b perpendicular to thefirst support portions 110b. Thefirst handle 110 also includes a firstprotective cover 112 for protecting the user's hands. The firstprotective cover 112 is made of synthetic resin or rubber having elasticity and is coupled to thefirst handle 110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first gripper 110a.

제1 핸들 지지체(120)는 제1 핸들(110)을 지지하여 제1 핸들(110)이 외부 압력, 즉 사용자로부터 전해지는 압력에 의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1 핸들 지지체(120)는 바닥면이 평평한 소정길이의 바아(Bar) 형태로 마련되고, 상면 중심부에 상측으로 돌출된 제1 결합부(121)와 제1 결합부(121)의 중심부에 마련된 제1 결합홈(121a)을 포함한다. 제1 결합홈(121a)은 제1 지지부(110b)가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이다. 이러한 제1 핸들 지지체(120)는 한 쌍의 제1 지지부(110b)와 일대일 대응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된다.Thefirst handle support 120 supports thefirst handle 110 to prevent thefirst handle 110 from collapsing due to external pressure, i.e., pressure from the user. Thefirst handle support 12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a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bottom surface and includes afirst engagement portion 121 protruding upwar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second engagement portion 121 formed in the center of thefirst engagement portion 121 And includes afirst coupling groove 121a. The firstengaging groove 121a is provided so that the first supportingportion 110b can be engaged with the firstengaging groove 121a. Thefirst handle supporter 120 is provided in a pair so as to correspond one-to-one with the pair offirst supporters 110b.

제1 압력측정수단(130)은 사용자에 의해 제1 핸들(110)에 가해지는 제1 압력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압력측정수단(130)은 적어도 하나의 압력센서로 마련된다. 여기서, 압력센서는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구체적인 구성 및 압력 측정 원리 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제1 압력측정수단(130)은 제1 보호커버(11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제1 파지부(110a)의 상면에 결합된다. 여기서, 제1 압력측정수단(130)은 복수로 구비되어 제1 파지부(110a)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거나, 제1 파지부(110a)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The first pressure measuring means 130 is provided to measure the magnitude of the first pressure applied to thefirst handle 110 by the user. Preferably, the first pressure measuring means 13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pressure sensor. Here, the pressure sensor is commonly used in various fields at present,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 configuration and pressure measurement principle will be omitted. The first pressure measuring means 13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first grip portion 110a so as to be located inside the firstprotective cover 111. [ The first pressure measuring means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pressure measuring means 130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first gripper portion 110a or spaced apart from thefirst gripper portion 110a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first gripper portion 110a .

제1 표시수단(140)은 제1 압력의 크기를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공급된 전기에너지를 통해 빛을 내는 표시등을 포함한다. 제1 표시수단(140)은 사용자가 푸시업 운동 중에도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어느 하나의 제1 핸들 지지체(12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제1 표시수단(140)은 하나의 표시등 또는 복수의 표시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제1 표시수단(140)은 하나의 표시등을 포함할 경우, 제1 압력의 크기에 따라 표시등의 색상이 변화하도록 제어하거나, 제1 압력의 크기에 비례하여 표시등의 밝기가 변화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1 압력의 크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수단(140)은 복수의 표시등을 포함할 경우, 제1 압력의 크기와 비례하여 점등되는 표시등의 수를 조절함으로써 제1 압력의 크기를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표시등은 LED 전구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1 표시수단(140)은 복수의 표시등을 포함하여 제1 압력의 크기와 비례하여 점등되는 표시등의 수를 조절함으로써 제1 압력을 표시하도록 하였다.The first display means 140 is provided to intuitively display the magnitude of the first pressure and includes an indicator for emitting light through the supplied electric energy. The first display means 14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any one of the first handle supports 12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onfirm even during the push-up movement. Here, the first display means 140 may include one indicator lamp or a plurality of indicator lamps. For example, when the first display means 140 includes one indicator lamp,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hue of the indicator to change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first pressure, or to control the brightness of the indicator to change in proportion to the magnitude of the first pressure The magnitude of the first pressure can be displayed. In addition, when the first display means 140 includes a plurality of indicator lamps, the magnitude of the first pressure can be displayed by adjusting the number of indicator lamps that are turned on in proportion to the magnitude of the first pressure. Preferably the indicator light is provided as an LED bulb. The first display means 140 in this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indicator lamps to display the first pressure by adjusting the number of indicator lamps that are turned on in proportion to the magnitude of the first pressure.

제1 제어수단(150)은 오염 및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표시수단(140)이 설치된 어느 하나의 제1 핸들 지지체(120) 내부에 설치된다. 제1 제어수단(150)은 제1 압력측정수단(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압력에 대한 정보를 전기 신호로 전달받음과 동시에 이 전기 신호를 기초로 제1 압력의 크기를 수치화하고, 이렇게 수치화된 제1 압력의 크기 정보를 통해 제1 표시수단(140)을 제어한다. 또한, 제1 제어수단(150)은 제1 송수신부(160)를 통해 후술하는 경고 신호를 수신할 경우 제1 경고수단(170)을 동작시킨다. 여기서 제1 제어수단(150)은 제1 표시수단(140) 및 제1 경고수단(17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제1 전원부(151)를 포함하고, 제1 전원부(151)와 제1 표시수단(140) 및 제1 경고수단(170)의 전기적 연결을 선택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제1 표시수단(140) 및 제1 경고수단(170)을 제어한다. 제1 전원부(151)는 선택적으로 교체 가능한 전지, 예컨데 화학 반응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1차 전지 또는 외부전원을 통해 충전 가능한 2차 전지로 구비된다. 제1 제어수단(150)은 제1 전원부(151)를 구비하지 않는 대신 외부 전원과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The first control means 150 is installed inside any one of the firsthandle supporting members 120 provided with the first display means 140 to prevent damage due to contamination and external impact. The first control means 1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pressure measuring means 130 to receive information on the first pressure as an electric signal and to digitize the magnitude of the first pressure based on the electric signal, The first display means 140 is controlled through the thus-quantified first pressure magnitude information. Also, the first control means 150 operates the first warning means 170 when receiving the warning signal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first transceiver 160. Thefirst control unit 150 includes afirst power unit 151 for supplying electrical energy to thefirst display unit 140 and thefirst warning unit 170. Thefirst power unit 151 and the first indicator Controls the first indicating means 140 and the first warning means 170 by selectively interrupt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means 140 and the first warning means 170. [ The firstpower source unit 151 is provided as a selectively replaceable battery, for example, a primary battery that produces electrical energy by a chemical reaction, or a secondary battery that can be charged through an external power source. Thefirst control unit 150 may not be provided with thefirst power unit 151 bu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ource.

제1 송수신기(160)는 제1 표시수단(140)이 설치된 어느 하나의 제1 핸들 지지체(120) 내부에 설치되어 제1 제어수단(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송수신기(160)는 제1 제어수단(150)에 의해 수치화된 제1 압력의 크기 정보를 제2 푸시업바(200) 측으로 송신하고, 제2 푸시업바(200) 측에서 송신하는 경고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제어수단(150)에 전달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송수신기(160)는 블루투스 장치로 구비된다.Thefirst transceiver 160 is installed in any one of the first handle supports 120 provided with the first display means 14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means 150. Thefirst transceiver 160 transmits the magnitude information of the first pressure quantified by the first control means 150 to the second push-up bar 200 side, and transmits the warn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push- And transmits it to the first control means 150. Preferably, thefirst transceiver 160 is a Bluetooth device.

제1 경고수단(170)은 제1 표시수단(140)이 설치된 어느 하나의 제1 핸들 지지체(120) 상면에 설치되어 제1 제어수단(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경고수단(170)은 공급된 전기에너지를 통해 기입력된 소리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장치로 구비된다.The first warning means 17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one of the first handle supports 120 on which the first display means 140 is installed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means 150. Preferably, the first warning means 170 is provided as a speaker device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inputted through the supplied electric energy.

한편, 제2 푸시업바(200)는 제2 핸들(210)과, 제2 핸들(210)을 지지하는 제2 핸들 지지체(220)와, 제2 핸들(210)에 가해지는 압력(제2 압력이라 칭함)의 크기를 측정하는 제2 압력측정수단(130)과, 제2 압력의 크기를 직관적으로 표시하는 제2 표시수단(240)과, 제2 압력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2 표시수단(240)을 제어하는 제2 제어수단(250)과, 제2 제어수단(250)에 의해 제1 푸시업바(100) 측으로 경고 신호를 송신하는 제2 송수신기(260) 및 제2 제어수단(250)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제2 경고수단(270)을 포함한다.The second push-upbar 200 includes asecond handle 210, asecond handle supporter 220 for supporting thesecond handle 210, and a pressure sensor (not shown) A second display means 240 for intuitively displaying the magnitude of the second pressure, and a second display means 240 for displaying the magnitude of the second pressure, Asecond control unit 250 for controlling the first push-upbar 100 and asecond transceiver 260 for sending a warning signal to the first push-upbar 100 by thesecond control unit 250, And a second warning means 270 selectively controlled by the second warning means 270.

제2 핸들(210)은 푸시업 운동 자세(엎드린 자세)에서 손목이 꺾이지 않도록 잡고 푸시업 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푸시업 운동 중 발생할 수 있는 손목 관절의 부상을 방지한다. 제2 핸들(210)은 제2 압력측정수단(230)과 제2 표시수단(240)의 전기적 연결 즉, 배선이 용이하도록 길이방향 양측이 개방된 원형 또는 다각형의 관(管) 형태로 마련되고, 전선(미부호)이 통과 가능한 제2 통공(211)을 구비한다. 제2 핸들(210)은 길이방향 양측 일부분이 상호 대응하도록 하부로 구부러짐에 따라 길이 사이 중심에 위치하는 수평한 제2 파지부(210a)와, 제2 파지부(210a)의 길이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수직한 한 쌍의 제2 지지부(210b)를 구비한다. 또한 제2 핸들(210)은 사용자의 손을 보호하기 위한 제2 보호커버(212)를 포함한다. 제2 보호커버(212)는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 등의 재질로 마련되고 제2 파지부(210a)의 둘레를 감싸도록 제2 핸들(210)에 결합된다.Thesecond handle 210 is provided to hold the wrist in a push-up movement posture (prone position) so as to prevent the wrist from being broken, thereby preventing the wrist joint from being injured during the push-up movement. Thesecond handle 21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circular or polygonal tube whose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opened so as to facilitat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pressure measuring means 230 and the second display means 240 And a second throughhole 211 through which a wire (not shown) can pass. Thesecond handle 210 includes a horizontalsecond grip portion 210a positioned at the center between the lengths of thesecond handle 210 as the lower portions of thesecond handle 210 are bent downwar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a pair of second supportingportions 210b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pportingportions 210b. Thesecond handle 210 also includes a secondprotective cover 212 for protecting the user's hands. The secondprotective cover 212 is made of synthetic resin or rubber having elasticity and is coupled to thesecond handle 210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second grip 210a.

제2 핸들 지지체(220)는 제2 핸들(210)을 지지하여 제2 핸들(210)이 외부 압력, 즉 사용자로부터 전해지는 압력에 의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2 핸들 지지체(220)는 바닥면이 평평한 소정길이의 바아(Bar) 형태로 마련되고, 상면 중심부에 상측으로 돌출된 제2 결합부(221)와 제2 결합부(221)의 중심부에 마련된 제2 결합홈(221a)을 포함한다. 제2 결합홈(221a)은 제2 지지부(210b)가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이다. 이러한 제2 핸들 지지체(220)는 한 쌍의 제2 지지부(210b)와 일대일 대응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된다.Thesecond handle support 220 supports thesecond handle 210 to prevent thesecond handle 210 from collapsing due to external pressure, i.e., pressure from the user. The secondhandle support body 22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a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asecond engagement portion 221 protruding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second engagement portion 221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second engagement portion 221 And includes asecond engagement groove 221a. Thesecond coupling groove 221a is provided so that the second supportingportion 210b can be fitted to thesecond coupling groove 221a. Thesecond handle supporter 220 is provided in a pair so as to correspond one-to-one with the pair ofsecond supporters 210b.

제2 압력측정수단(230)은 사용자에 의해 제2 핸들(110)에 가해지는 제2 압력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2 압력측정수단(230)은 적어도 하나의 압력센서로 마련된다. 이러한 제2 압력측정수단(230)은 제2 보호커버(21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제2 파지부(210a)의 상면에 결합된다. 여기서, 제2 압력측정수단(230)은 복수로 구비되어 제2 파지부(210a)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거나, 제2 파지부(210a)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The second pressure measuring means 230 is provided to measure the magnitude of the second pressure applied to thesecond handle 110 by the user. Preferably, the second pressure measuring means 23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pressure sensor. The second pressure measuring means 23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second grip portion 210a so as to be located inside the secondprotective cover 211. [ The second pressure measuring means 2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pressure measuring means 230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second grip portion 210a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second grip portion 210a .

제2 표시수단(240)은 제2 압력의 크기를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표시등을 포함한다. 제2 표시수단(240)은 사용자가 푸시업 운동 중에도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어느 하나의 제2 핸들 지지체(22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다. 제2 표시수단(240)은 제1 표시수단(140)과 대응하는 복수의 표시등을 포함하고 제2 압력의 크기와 비례하여 점등되는 표시등의 수를 조절함으로써 제2 압력을 표시한다.The second display means 240 is provided to intuitively display the magnitude of the second pressure, and includes an indicator lamp. The second display means 240 is installed on one upper surface of one of the second handle supports 22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even during the push-up movement. The second display means 240 displays the second pressure by adjusting the number of the indicator lamps including the plurality of indicator lamps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means 140 and illuminated proportionally to the magnitude of the second pressure.

제2 제어수단(250)은 오염 및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표시수단(240)이 설치된 어느 하나의 제2 핸들 지지체(220) 내부에 설치된다. 제2 제어수단(250)은 제2 압력측정수단(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 압력에 대한 정보를 전기 신호로 전달받음과 동시에 이 전기 신호를 기초로 제2 압력의 크기를 수치화하고, 이렇게 수치화된 제2 압력의 크기 정보를 통해 제2 표시수단(240)을 제어한다. 또한, 제2 제어수단(250)은 제2 압력의 크기 정보와 제1 송수신기(160)에서 송신되고 제2 송수신기(260)에서 수신된 제1 압력의 크기 정보를 비교하여 압력의 크기 차이가 기입력된 허용 범위보다 클 경우 제2 경고수단(260)을 동작시키거나, 제2 송수신기(260)를 통해 제1 송수신기(160) 측으로 경고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제2 제어수단(250)은 제2 압력의 크기가 제1 압력의 크기보다 클 경우 제2 경고수단(260)을 동작시키고, 제1 압력의 크기가 제2 압력의 크기보다 클 경우 제1 송시신기(160) 측으로 경고 신호를 송신한다. 이러한 제2 제어수단(250)은 제2 표시수단(240) 및 제2 경고수단(27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제2 전원부(251)를 포함하고, 제2 전원부(251)와 제2 표시수단(240) 및 제2 경고수단(270)의 전기적 연결을 선택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제2 표시수단(240) 및 제2 경고수단(270)을 제어한다. 제2 전원부(251)는 제1 전원부(151)와 대응하는 1차 전지 또는 2차 전지로 구비된다. 제2 제어수단(250)은 제2 전원부(251)를 구비하지 않는 대신 외부 전원과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The second control means 250 is installed inside any one of the second handle supports 220 provided with the second display means 240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and damage caused by external impacts. The second control means 2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pressure measuring means 230 to receive information on the second pressure as an electric signal and to quantify the magnitude of the second pressure on the basis of the electric signal, The second display means 240 is controlled through the thus-quantified second pressure magnitude information. Also, the second control means 250 compares the size information of the second pressure with the size information of the first pressure transmitted from thefirst transceiver 160 and received by thesecond transceiver 260, The second warning means 260 is activated or the warn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first transceiver 160 through thesecond transceiver 260. [ Here, the second control means 250 operates the second warning means 260 when the magnitude of the second pressure is greater than the magnitude of the first pressure, and when the magnitude of the first pressure is greater than the magnitude of the second pressure, And transmits a warning signal to the transmittingdevice 160 side. The second control means 250 includes a secondpower supply unit 251 for supplying electrical energy to the second display means 240 and the second warning means 270. The secondpower supply unit 251 and the second display And controls the second display means 240 and the second warning means 270 by selectively interrupt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means 240 and the second warning means 270. The secondpower source unit 251 is provided as a primary battery or a secondary battery corresponding to the firstpower source unit 151. The second control means 250 may not be provided with the secondpower source unit 251 bu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ource.

제2 송수신기(260)는 제2 표시수단(240)이 설치된 어느 하나의 제2 핸들 지지체(220) 내부에 설치되어 제2 제어수단(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송수신기(260)는 제1 송수신기(160)에서 송신하는 제1 압력의 크기 정보를 수신하여 제2 제어수단(250)에 전달하고, 제2 제어수단(250)에 의해 경고 신호를 제1 송수신기(160) 측으로 송신한다. 제2 송수신기(260)는 제1 송수신기(160)와 대응하는 블루투스 장치로 구비된다. 즉 제1 및 2 송수신기(160, 260)는 제1 및 제2 제어수단(150, 2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 구비된 것이다.Thesecond transceiver 260 is installed in any one of the second handle supports 220 provided with the second display means 24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means 250. Thesecond transceiver 260 receives the first pressure magnitud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first transceiver 160 and transmits the magnitude information to the second control means 250. Thesecond transceiver 260 transmits the warning signal to the first control means 250 by the second control means 250, To thetransceiver 160 side. Thesecond transceiver 260 is provided as a Bluetooth device corresponding to thefirst transceiver 160. That is, the first andsecond transceivers 160 and 260 are provided as connection mean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means 150 and 250.

제2 경고수단(270)은 제2 표시수단(240)이 설치된 어느 하나의 제2 핸들 지지체(220) 상면에 설치되어 제2 제어수단(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경고수단(270)은 제1 경고 수단(170)과 대응하는 스피커 장치로 구비된다.The second warning means 27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one of the second handle supports 220 provided with the second display means 24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means 250. The second warning means 270 is provided as a speaker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warning means 170.

이러한 구성의 푸시업 운동기구(10)는 사용자가 어느 한 손에 제1 핸들(110)을 파지하고 다른 한 손에 제2 핸들(110)을 파지하여 푸시업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제1 압력측정수단(130)이 제1 푸시업바(100)에 가해지는 제1 압력의 크기를 측정하여 제1 제어수단(150)에 전달하고, 제2 압력측정수단(230)이 제2 푸시업바(200)에 가해지는 제2 압력의 크기를 측정하여 제2 제어수단(250)에 전달하면 제1 제어수단(150)은 제1 표시수단(140)을 제어하여 제1 압력의 크기를 표시함과 동시에 제1 송수신기(160)를 통해 제1 압력의 크기 정보를 제2 송수신기(260) 측으로 전달한다. 또한, 제2 제어수단(250)은 제2 표시수단(240)을 제어하여 제2 압력의 크기를 표시함과 동시에 제2 송수신기(260)에 수신된 제1 압력의 크기 정보와 제2 압력의 크기 정보를 비교하여 그 크기의 차이가 기입력된 허용 범위 내 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2 제어수단(250)은 제1 압력의 크기와 제2 압력의 크기의 차가 허용 범위보다 클 경우 다시 제1 압력의 크기와 제2 압력의 크기 중 어느 것이 더 큰지를 판단한다. 제2 제어수단(250)은 제2 압력의 크기가 제1 압력의 크기보다 클 경우 제2 경고수단(270)을 동작시켜 사용자에게 경고하고, 제1 압력의 크기가 제2 압력의 크기보다 클 경우 제2 송수신기(260)를 통해 경고 신호를 제1 송수신기(160) 측으로 송신한다. 제1 제어수단(150)은 제1 송수신기(160)에서 경고 신호를 수신하면 제1 경고수단(170)을 동작시켜 사용자에게 경고한다. 즉 이러한 구성의 푸시업 운동기구(10)는 사용자가 푸시업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제1 푸시업바(100)와 제2 푸시업바(200)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를 측정하여 표시하고 그 차이를 비교하여 어느 한 쪽이 클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운동 자세가 균형있는 바른 자세인지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수시로 교정하여 바른 자세로 푸시업 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ush-up exercisingapparatus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user grasps thefirst handle 110 in one hand and grasps thesecond handle 110 in the other hand, The means 130 measures the magnitude of the first pressure applied to the first push-upbar 100 and transmits it to the first control means 150. The second pressure measuring means 230 measures the magnitude of the first pressure applied to the second push- The first control means 150 controls the first display means 140 to display the magnitude of the first pressure and at the same time displays the magnitude of the first pressure, 1transceiver 160 to transmit the magnitude information of the first pressure to thesecond transceiver 260 side. Also, the second control means 250 controls the second display means 240 to display the magnitude of the second pressure, and at the same time, the magnitude information of the first pressure received by thesecond transceiver 260 and the magnitude of the second pressure Size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each other to determine whether the difference in size is within the allowable input range. Here,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gnitude of the first pressure and the magnitude of the second pressure is larger than the permissible range, the second control means 250 determines again which of the magnitude of the first pressure and the magnitude of the second pressure is greater. The second control means 250 operates the second warning means 270 to warn the user when the magnitude of the second pressure is greater than the magnitude of the first pressure and the magnitude of the first pressure is greater than the magnitude of the second pressure A warn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first transceiver 160 through thesecond transceiver 260. When thefirst control unit 150 receives the warning signal from thefirst transceiver 160, thefirst control unit 150 operates thefirst warning unit 170 to alert the user. That is, the push-upexercise device 1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measures and displays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irst push-upbar 100 and the second push-upbar 200 in the process of the user performing the push-up movement, And to warn the user when either one of them is larger than the other. Accordingly, since the user can check his or her right posture in a balanced and correct manner and check it in real time, it is possible to perform a push-up exercise with correct posture at any time, thereby maximizing the exercise effect.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가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ome embodiments herei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disclosure belongs. something to do. It is also contemplated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ppended hereto.

10 : 푸시업 운동기구 100 : 제1 푸시업바
110 : 제1 핸들 120 : 제1 핸들 지지체
130 : 제1 압력측정수단 140 : 제1 표시수단
150 : 제1 제어수단 160 : 제1 송수신기
170 : 제1 경고수단 200 : 제2 푸시업바
210 : 제2 핸들 220 : 제2 핸들 지지체
230 : 제2 압력측정수단 240 : 제2 표시수단
250 : 제2 제어수단 260 : 제2 송수신기
270 : 제2 경고수단
10: a push-up exercise device 100: a first push-
110: first handle 120: first handle support
130: first pressure measuring means 140: first display means
150: first control means 160: first transceiver
170: first warning means 200: second push-up bar
210: second handle 220: second handle support
230: second pressure measuring means 240: second display means
250: second control means 260: second transceiver
270: second warning means

Claims (6)

Translated fromKorean
사용자의 양손과 일대일 대응하는 제1 및 제2 푸시업바를 구비하되,
상기 제1 푸시업바는,
상기 제1 푸시업바에 가해지는 제1 압력을 측정하는 제1 압력측정수단과,
상기 제1 압력의 크기를 표시하는 제1 표시수단과,
상기 제1 압력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제1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푸시업바는,
상기 제2 푸시업바에 가해지는 제2 압력을 측정하는 제2 압력측정수단과,
상기 제2 압력의 크기를 표시하는 제2 표시수단과,
상기 제2 압력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2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제2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제어수단을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제1 푸시업바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제1 경고수단 및 상기 제2 푸시업바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제2 경고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제어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압력의 크기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입력된 허용 범위보다 클 경우 상기 제1 또는 제2 경고수단 중 어느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1 제어수단과 연결되는 제1 송수신기와, 상기 제2 제어수단과 연결되는 제2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수신기는, 상기 제1 제어수단을 통해 수치화된 상기 제1 압력의 크기 정보를 상기 제2 송수신기 측으로 송신하고,
상기 제2 제어수단은, 상기 제2 송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1 압력의 크기 정보와 상기 제2 제어수단을 통해 수치화된 상기 제2 압력의 크기 정보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입력된 허용 범위보다 클 경우, 상기 제2 경고수단을 동작시키거나, 상기 제2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제1 송수신기 측으로 경고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 제어수단은, 상기 제1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경고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경고수단을 동작시키도록 된 푸시업 운동기구.
And first and second push-up bars corresponding one-to-one with the user's hands,
The first push-
A first pressure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a first pressure applied to the first push-up bar,
First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magnitude of the first pressure,
And first control means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first display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magnitude of the first pressure,
The second push-
A second pressure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a second pressure applied to the second push-up bar,
Second display means for indicating the magnitude of the second pressure,
And second control means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second display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magnitude of the second pressure,
A first warning means provided on the first push-up bar and controlled by the first control means, and a second warning means provided on the second push-up bar, And second warning means controlled by the second warning means,
Wherein the first or second control means compares the magnitudes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s and operates either the first or the second warning means when the difference is larger than the allowable range,
The connection means includes a first transceiver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means and a second transceiver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means,
The first transceiver transmits the magnitude information of the first pressure digitized through the first control means to the second transceiver side,
Wherein the second control means compares the magnitude information of the first pressure received through the second transceiver with the magnitude information of the second pressure quantified through the second control means, The second warning means is operated or an alarm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ransceiver side through the second transceiver,
Wherein the first control means operates the first warning means when the warning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first transcei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표시수단은, 복수의 표시등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제어수단은,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 압력의 크기에 비례하여 점등되는 상기 표시등의 수를 제어하도록 된 푸시업 운동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means comprise a plurality of indicator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means are adapted to control the number of the lights to be turned on in proportion to the magnitude of the corresponding first and second pressures.
삭제delete삭제delete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송수신기는, 블루투스 장치를 포함하는 푸시업 운동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transceivers include a Bluetooth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경고수단은, 소리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장치를 포함하는 푸시업 운동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warning means comprise a speaker device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KR1020160158893A2016-11-282016-11-28Push-up exercise devicesExpired - Fee RelatedKR1018808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60158893AKR101880820B1 (en)2016-11-282016-11-28Push-up exercise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60158893AKR101880820B1 (en)2016-11-282016-11-28Push-up exercise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80059979A KR20180059979A (en)2018-06-07
KR101880820B1true KR101880820B1 (en)2018-07-20

Family

ID=62621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60158893AExpired - Fee RelatedKR101880820B1 (en)2016-11-282016-11-28Push-up exercise devices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188082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2044635B1 (en)2018-07-272019-11-13안태진Fitness equipment
KR102040414B1 (en)*2018-10-172019-11-04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of push-up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WO2007058730A1 (en)*2005-10-132007-05-24Godbold Temico RPushup exercise device
US20110269600A1 (en)*2010-04-282011-11-03Donna Lee HoulePortable exercise assisting device
KR20160029244A (en)*2014-09-042016-03-15박현규An exercise posture correction system with smart glov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WO2007058730A1 (en)*2005-10-132007-05-24Godbold Temico RPushup exercise device
US20110269600A1 (en)*2010-04-282011-11-03Donna Lee HoulePortable exercise assisting device
KR20160029244A (en)*2014-09-042016-03-15박현규An exercise posture correction system with smart glo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80059979A (en)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20220168608A1 (en)Portable resistance workout apparatuses and systems
US11571608B2 (en)Data-collecting exercise device
US9656120B1 (en)Fitness level
KR101174999B1 (en)Physical therapy apparatus and physical therapy method thereof
US8221295B2 (en)Exercise device with features for simultaneously working out the upper and lower body
KR101792216B1 (en)Weight exercise apparatus
JP4919366B1 (en) Muscle strengthen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80820B1 (en)Push-up exercise devices
WO2019241824A1 (en)Portable load cell
WO2013120005A1 (en)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range of motion of body
CN207950442U (en)Intelligent body-building chest expander
US20150265869A1 (en)Battle Rope Training Device
KR102265174B1 (en)Pulse meter for new-borns
CN202736371U (en)Operation knotting simulation practice device
CN103446741B (en) A pull-up tester
CN110404228A (en) Sports equipment including a bandage and a measuring device attached to the bandage
JP2017000456A (en)Beautiful leg stick and load pad
WO2014174475A1 (en)An exercise device
JP2017080068A (en)Stick for muscular exercise and posture confirmation pad
KR101574478B1 (en)Dumbbells with speaker
KR20190024013A (en)A wearable equipment to assist strength exercises
GB2528234A (en)Exercise tracking and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KR20220167466A (en)Exercise equipment system for correct body shape
CN113577650A (en)Intelligent kettle bell capable of measuring heart rate
CN110680386A (en)Hand-held type full-digital ultrasonic detec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E13-X000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21071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210717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