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살귤모듈과 접지모듈의 탈부착 가능한 구조와 응축수탱크의 측면에 배치되는 스팀흡입관의 구조를 통하여 살균효율을 극대화하고 소음을 최소화하는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rment disposal apparatus using sterilizing water steam,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garment disposing apparatus using sterilizing water steam, more specifically, a structure capable of detachably attaching a silk module and a grounding module and a structure of a steam suction pipe disposed on a side of a condensate tank, To a garment disposal apparatus using sterilizing water steam.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라 함은 세탁물 등을 세탁, 건조하여 처리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와 같은 의류처리장치 중에서 건조기능을 가지는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건조하기 위해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를 구비한다.Generally, the term "garment disposal facility" refers to a device for washing, drying, and treating laundry. Among such clothes processing apparatuse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drying function is provided with a hot air supply apparatus for supplying hot air to a receiving space in which clothes are accommodated in order to dry clothes.
또한, 의류 등의 구김제거, 탈취제거, 정전기 제거 등과 같은 리프레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 steam generator may be provided to perform a refresh function such as removal of wrinkles, deodorization, and static electricity removal of clothes and the like.
전술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수납하는 수납실이 형성된 캐비닛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선, 캐비닛 내의 상부에는 의류를 수납하는 수납실이 형성된다. 또한, 스팀발생장치 또는 열풍공급장치 등이 포함되는 전장실은 그 하부에 위치하며, 수납실과 전장실은 각각의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에 의하여 분리된다.The above-described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s generally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abinet in which a storage room for storing clothes is formed. First, a storage room for storing clothes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cabinet. Further, the electric room including the steam generating device or the hot air supply device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thereof, and the storage room and the electric room are separated by partition walls partitioning the respective spaces.
이러한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전장실에 구비된 열풍공급장치에 의하여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된 의류를 건조시키며, 의류를 건조시킨 후 습해진 공기는 열풍공급장치에 의하여 습공기가 제습되어 다시 수용공간 내부로 공급되는 방식이다.Such convention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es dry clothe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by a hot air supply device provided in the electric room, and after the clothes are dried, the humidified air is dehumidified by the hot air supply device, It is the way it is supplied.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에 운전과정 중 응축수가 발생하여 의류처리장치 내부에서 장기간 방치되는 경우, 급수탱크에서 배수탱크까지의 모든 유로와 하우징 내부 전체에 수분이 잔존하는 세균, 물때 등이 발생하여 심한 악취를 발생하기도 하고 나아가 상기 의류처리장치 내부의 구성요소를 부식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 경우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거치된 의류에도 악 영향을 미치게 된다.In the case where condensation water is generated in the convention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during operation and left for a long time i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ll the flow paths from the water supply tank to the drainage tank and bacterium in which moisture remains in the entire interior of the housing, And further, the components inside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re corroded. In this case, the clothes placed inside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re also adversely affected.
또한, 의류처리장치 내부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모아서 배출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더라도, 발생되는 응축수가 소량이어서 배출이 용이하지 못하고 응축수의 오염 정도에 따라 여전히 심한 악취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lso, even if the means for collecting and discharging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s provid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s a small amount and the discharge is not easy and the bad odor is still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condensed water.
또한, 의류처리장치는 스팀이 분사되는 입구의 온도는 비교적 높으나, 상부로 올라갈수록 스팀의 온도가 낮아져서 제품의 상부 온도 측정 시 40 ~ 50℃ 정도로, 살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garment treating apparatus has a problem that the temperature at the inlet where steam is sprayed is relatively high, but the temperature of steam is lowered as it goes up to the upper part, and the sterilizing effect is difficult to be expected at about 40 to 50 ° C.
아울러, 의류처리장치는 스팀이 유로를 빠져나오는 순간 스팀의 일부가 물로 변하여 다시 해당 유로를 통하여 들어가면서 스팀 발생효율이 떨어지고, 물이 끓는 듯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garment disposal apparatus, when the steam exits the flow passage, part of the steam changes into water, and the steam is again introduced into the flow passage through the corresponding flow passage, thereby lowering the steam generating efficiency and causing boiling nois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살균수를 스팀화하는 스팀배출모듈을 통하여 70℃ 이상에서 하우징 내의 의류를 살균하는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using sterile water steam for sterilizing clothes in a housing at a temperature of 70 ° C or higher through a steam discharging module for steam sterilizing sterilized water.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살균모듈과 접지모듈의 탈부착 가능한 구조를 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유로를 항시 살균함에 따라 세균증식 및 물때 발생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rment disposing apparatus using sterilizing water steam which is capable of reducing the generation of germs and the generation of water during the sterilization of the flow path at all times while allowing convenience for the user through the removable structure of the sterilizing module and the grounding module .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응축수탱크의 측면에 스팀흡입관을 배치하고, 응축수탱크의 하부에 배수관을 배치함에 따라 원수와 스팀의 충돌로 인한 소음을 최소화하고 스팀량을 극대화하는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am sterilization apparatus and a steam sterilization apparatus in which a steam suction pipe is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a condensate tank and a drain pipe is disposed below the condensate tank, thereby minimizing noise due to collision between steam and raw water, Devic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는 하우징; 양극과 음극이 고정되는 급수탱크를 구비한 살균모듈; 상기 살균모듈이 탈착 가능한 접지모듈; 상기 살균모듈과 연통하는 스팀발생모듈; 및 상기 스팀발생모듈과 연통하는 스팀배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모듈은, 상기 살균모듈을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며 상기 살균모듈 장착시 상기 양극 및 음극과 각각 접촉하는 양단자와 음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스팀발생모듈은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이 각각 상기 양단자와 상기 음단자와 접촉시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를 스팀으로 전환하고, 상기 스팀배출모듈은 상기 하우징 내부의 밀폐된 공간에 상기 스팀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 apparatus for treating clothing by sterile water st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A sterilizing module having a water tank in which an anode and a cathode are fixed; Wherein the sterilizing module is a removable grounding module; A steam generating module communicating with the sterilizing module; And a steam discharging module communicating with the steam generating module, wherein the grounding module includes: a case accommodating the sterilizing module; And a negative terminal disposed in the case and contacting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when the sterilizing module is mounted, wherein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nega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And sterilizing water generated by electrolysis is converted into steam, and the steam discharging module injects the steam into a closed space inside the hous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팀배출모듈은, 상기 스팀과 응축수를 수용하는 응축수탱크; 상기 응축수탱크의 일측에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스팀흡입관; 상기 응축수탱크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응축수가 배출되는 배수관; 및 상기 응축수탱크의 상부에 배치되어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eam discharge module comprises: a condensate tank for containing the steam and the condensed water; A steam suction pipe arranged to be inclined to one side of the condensate tank; A drain pipe disposed below the condensate tank and discharging the condensed water; And a steam discharge pip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ondensate tank for spraying steam.
바람직하게는, 상기 응축수는 상기 스팀흡입관을 통해 상기 응축수탱크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배수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densed water flows into the condensate tank through the steam suction pipe and is discharged to the drain pipe.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팀배출모듈은, 상기 하우징 내부의 밀폐된 공간에 위치한 의류를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eam discharging module sterilizes clothes placed in a closed space inside the hous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이 삽입되도록 상기 급수탱크의 하면에 배치되는 메쉬망; 및 상기 메쉬망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부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erilizing module further comprises: a mesh net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tank so that the anode and the cathode are inserted; And a cover member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esh network.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쉬망 및 상기 커버부재는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mesh net and the cover member are detachabl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살균수를 스팀화하는 스팀배출모듈을 통하여 70℃ 이상에서 하우징 내의 의류를 살균함에 따라 살균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발생한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an effect of increasing sterilization efficiency by sterilizing clothes in the housing at a temperature of 70 ° C or higher through a steam discharging module for steam sterilizing the sterilized water.
또한, 본 발명은 살균모듈과 접지모듈의 탈부착 가능한 구조를 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유로를 항시 살균함에 따라 세균증식 및 물때 발생을 효과적으로 줄임과 동시에 청결을 유지하는 효과가 발생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convenience of the user through the detachable structure of the sterilizing module and the grounding module, and at the same time, sterilization of the channel is effected effectively to reduce bacterial growth and water generation and to maintain cleanliness.
아울러, 본 발명은 응축수탱크의 측면에 스팀흡입관을 배치하고, 응축수탱크의 하부에 배수관을 배치함에 따라 원수와 스팀의 충돌로 인한 소음을 최소화하고 스팀량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am suction pipe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ondensate tank and the drain pipe is disposed below the condensate tank, thereby minimizing the noise caused by the collision between the raw water and steam and maximizing the steam amou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살균모듈, 접지모듈 및 밸브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살균모듈, 접지모듈 및 밸브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
도 3a는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의 스팀배출모듈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스팀배출모듈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단면도,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스팀배출모듈에서 스팀배출관의 다양한 각도에서의 배치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에서 스팀이 생성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에서 온도에 따른 살균수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garment treating apparatus using sterile water steam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sectional view in one direction showing a sterilizing module, a grounding module and a valve of a garment disposal apparatus using sterilizing water st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rilizing module, a grounding module, and a valve in one direction of a garment disposal apparatus using sterilizing water st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sectional view of the conventional steam discharge module of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in one direction,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eam discharging module of a garment treating apparatus using sterilizing water st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c is a sectional view of the steam discharging module of the garment disposal apparatus with sterilizing water steam in one direction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steam discharging pipe at various ang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showing a step of generating steam in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using sterile water st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sterilization water concentration depending on temperature in a garment disposal apparatus using sterile water st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garment disposal apparatus using the sterilized water stea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tegrally or individually. In addition, some components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usage form.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for sterilizing water st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Fig.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described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for sterilizing water st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스팀배출관(173)과 연통하는 스팀홀(111)이 형성된 하우징(110), 양극(123)과 음극(124)이 고정되는 급수탱크(121)를 구비한 살균모듈(120), 살균모듈(120)을 수용하는 케이스(131), 및 케이스(131)의 내부에 배치되는 양단자(132)와 음단자(133)를 포함하는 접지모듈(130), 살균모듈(120)과 연통하는 펌프(140), 펌프(140)과 연통하는 밸브(150), 살균모듈(120)에서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를 스팀으로 전환하는 스팀발생모듈(160) 및 스팀발생모듈(160)과 연통하여 상기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배출모듈(170)을 포함한다.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하우징(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이나, 의류를 수납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된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든 무방하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하우징(110)의 내부 하면에 위치하는 스팀홀(111) 및 스팀홀(111)과 인접한 급수홀(112)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스팀홀(111)은 후술되는 스팀배출모듈(170)의 스팀배출관(173)과 연통하고, 이러한 스팀홀(111)을 통하여 살균수 스팀이 분사되어 의류를 살균한다.The
급수홀(112)은 후술되는 급수탱크(121)와 연통한다. 이러한 급수홀(112)은 원수가 급수탱크(121)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The
살균모듈(120)은 중공의 급수탱크(121), 개방된 급수탱크(121)의 상부를 밀폐하는 캡(122), 급수탱크(121)의 하부에 배치되는 양극(123), 양극(123)과 인접한 음극(124), 메쉬망(125) 및 커버부재(126)를 포함한다.The sterilizing
급수탱크(121)는 내부가 비어 있고, 그 상부는 개방된 형상이다.The
한편, 급수탱크(121)는 원수를 담을 수 있는 부재라면 형상적 제한이 없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이러한 급수탱크(121)의 개방된 상부에는 캡(122)을 통하여 개방되거나 밀폐될 수 있다.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또한, 급수탱크(121)의 하면에는 양극(123)과 음극(124)이 배치될 수 있다.The
캡(122)은 상부가 개방된 급수탱크(121)를 개방시키거나 밀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캡(122)은 급수탱크(121)의 상부 지름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회전방식을 통해 급수탱크(121)의 상부를 개방 또는 밀폐한다.The
양극(123)은 급수탱크(121)의 하면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123)의 일측은 급수탱크(121)의 내부에 위치하고, 양극(123)의 타측은 급수탱크(121)의 외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양극(123)은 후술되는 양단자(132)와 접지된다.The
음극(124)은 양극(123)과 인접하여 급수탱크(121)의 하면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극(124)의 일측은 급수탱크(121)의 내부에 위치하고, 음극(124)의 타측은 급수탱크(121)의 외부에 위치함으로써, 후술되는 음단자(133)와 접지된다.The
메쉬망(125)은 양극(123)과 음극(124)에 삽입되도록 급수탱크(121)의 하면에 배치되며, 이러한 메쉬망(125)를 통하여 급수탱크(121) 내의 물때 등을 걸러준다.The mesh net 125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커버부재(126)는 메쉬망(125)의 상부에 배치되고 급수탱크(121)의 하면에 배치되며, 이러한 커버부재(126)는 사용자가 관리를 위하여 급수탱크(121) 내에 손을 넣었을 경우 발생될 수 있는 감전을 사전에 예방한다.The
전술한 메쉬망(125) 및 커버부재(126)는 필요에 따라 탈부착 가능하다.
The mesh net 125 and the
정리하면, 살균모듈(120)은 급수탱크(121) 내부의 하면에 양극(123)과 음극(124)를 삽입하고, 양단자(132)와 음단자(133)를 외부로 노출하여 급수탱크(121)가 해당위치에 안착되면 전류가 인가되어 급수탱크(121) 내의 원수를 모두 살균수로 만들게 된다.In summary, the sterilizing
급수탱크(121) 내의 살균수가 스팀모듈(120), 스팀발생모듈(160) 및 스팀배출모듈(170)을 거쳐 하우징(110) 내부로 분사되는 과정에 있어, 유로(101)를 포함한 모든 유로를 항시 살균할 수 있다.When the sterilizing water in the
특히, 급수탱크(121)에 원수가 남아 있는 상태에서 장시간 방치되더라도 세균증식, 물 때 생성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articularly, even if water is left in the
접지모듈(130)은 살균모듈(120)과 탈착 가능하며, 이러한 접지모듈(130)은 살균모듈(120)을 수용하는 중공의 케이스(131), 케이스(131)의 하면에 배치되는 양단자(132) 및 양단자(132)와 인접한 음단자(133)를 포함한다.The grounding module 130 is detachable from the sterilizing
케이스(131)는 급수탱크(121)과 마찬가지로 내부가 빈 형상이다. 다만, 케이스(131)는 그 내부로 급수탱크(121)를 수용할 수 있도록 급수탱크(121)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양단자(132)는 케이스(131)의 내부 하면에 배치되며, 살균모듈(120) 장착시 양극(123)과 접촉한다. 이러한 양단자(132)는 양극(123)과 접지되어 전기분해가 가능해진다.The
음단자(133)는 양단자(132)와 인접하여 케이스(131)의 내부 하면에 배치되며, 이러한 음단자(133)는 음극(124)와 접지되어 전기분해가 가능해진다.The
즉, 전술한 살균모듈(120) 및 접지모듈(130)은 양극(123) 및 음극(124)이 각각 양단자(132) 및 음단자(133)에 접지되도록 탈부착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유지보수에 용이한 장점이 있다.
That is, the sterilizing
펌프(140)는 살균모듈(120)과 연통하여 살균모듈(120)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밸브(150)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The
한편, 펌프(140)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Meanwhile, since the
밸브(150)는 펌프(140)과 연통하고, 스팀발생모듈(160)에 배출되는 살균수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The
본 발명에서의 밸브(150)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The
스팀발생모듈(160)은 살균모듈(160)과 연통하며, 이러한 스팀발생모듈(160)은 양극(123)과 음극(124)이 각각 양단자(132)와 음단자(133)와 접촉시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를 스팀으로 전환시킨다.The
여기서, 살균수를 스팀화하는 방식은 살균수 내의 차아염소산 성분은 물보다 비등점이 낮아 온도가 올라가면 증발되어 물속에서 빨리 사라지고, 의류처리장치(100)의 내부가 밀폐구조이기 때문에 살균효과는 단순 원수를 이용한 스팀살균보다 매우 효과적이다.
Since the hypochlorous acid component in the sterilized water has a boiling point lower than that of water and evaporates when the temperature rises and the insid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has a closed structure, Is more effective than steam sterilization using steam.
스팀배출모듈(170)은 스팀발생모듈(160)과 연통하며, 하우징(110) 내부의 밀폐된 공간에 스팀을 분사함으로써 의류에 존재하던 세균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The
이러한 스팀배출모듈(170)은 스팀과 응축수를 수용하는 응축수탱크(171), 응축수탱크(171)의 상부에 배치되어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배출관(172), 응축수탱크(171)의 일측에 배치되는 스팀흡입관(173), 응축수탱크(171)의 하측에 배치되어 응축수가 배출되는 배수관(174), 스팀배출관(173)과 연통하는 스팀호스(175) 및 배수관(174)과 연통하는 배수호스(176)를 포함한다.The
응축수탱크(171)는 스팀과 응축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형상이며, 이러한 응축수탱크(171)는 스팀발생모듈(160)에서 생성된 스팀을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이때, 응축수탱크(171)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발생모듈(160)에서 생성된 살균수 스팀과 함께 생성된 응축수도 수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condensate generated in the
스팀배출관(172)은 응축수탱크(171)의 상부에 배치되어 스팀을 스팀홀(111)로 분사함에 따라 하우징(110) 내부의 의류를 살균하게 된다.The
즉, 스팀은 스팀배출관(173)을 통과하여 스팀홀(111)로 분사된다.That is, the steam passes through the
또한, 살균수 스팀이 분사되는 입구 온도는 비교적 높으나, 하우징(110)의 상부로 올라갈수록 살균수 스팀의 온도가 낮아져 살균효과가 떨어지는 종래의 기술보다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let temperature at which the sterilizing water steam is injected is relatively high, but sterilization can be more effectively performed than in the prior art in which the temperature of the sterilizing water steam is lowered as the temperature rise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스팀흡입관(173)은 응축수탱크(171)의 일측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된다.The
도 3a는 종래의 스팀흡입관(173')의 배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스팀흡입관(173')은 배수관(174)과 인접하여 응축수탱크(171)의 하부에 위치한다.3A shows the arrangement of the conventional steam suction pipe 173 ', and the steam suction pipe 173' is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이러한 종래의 스팀흡입관(173')의 배치 구조는 응축수탱크(171) 내부의 원수와 스팀이 부딪히면서 소음이 발생할 수 있고, 스팀흡입관(173')으로 원수가 유입되는 경우도 생김에 따라 효율도 떨어지게 된다.Such a conventional arrangement of the steam suction pipes 173 'may cause noise due to the steam collision with the raw water in the
그러나, 본 발명의 스팀흡입관(173)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방향으로 배치되지만, 필요에 따라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α만큼의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However, although the
이에 따라 종래의 스팀흡입관(173')에서 발생하던 소음을 최소화하고, 효율과 스팀량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noise generated in the conventional steam suction pipe 173 'is minimized, and efficiency and steam amount are increased.
배수관(174)은 응축수탱크(171)의 하측에 배치되어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한다.The
스팀호스(175)는 스팀배출관(173)과 연통하여 스팀발생모듈(160)과 스팀배출모듈(170)을 연결한다. 이러한 스팀호스(175)는 스팀발생모듈(160)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스팀배출모듈(170)로 이송시키는 통로가 된다.The
배수호스(176)는 배수관(174)과 연통하여 응축수탱크(171) 내의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가 된다.The
즉, 전술한 응축수는 스팀흡입관(173)을 통해 응축수탱크(171) 내부로 유입되어 배수관(174)으로 배출된다.
That is, the condensed water flows into the
전술한 스팀배출모듈(170)을 통하여 살균수 스팀이 배출되는 스팀배출관(173)의 구조적 특징을 통하여 원수와 스팀이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살균수 스팀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structure characteristic of the
이하, 표 1, 2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100)를 통한 살균성능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ables 1, 2, and 5,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sterilizing performance through the garment treating apparatus 100 with sterilizing water st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온도 변화에 따른 전기분해 살균수의 살균수 농도를 측정한 그래프로서, 온도에 따른 살균수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다.FIG. 5 is a graph showing the concentration of the sterilization water in the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and shows a change in the sterilization water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분해를 이용한 차아염소산 살균수는 저온(25℃)에서 살균효과가 급속도로 저하되는 반면, 고온(90℃)의 살균수에서는 높은 살균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disinfection effect of hypochlorous acid using electrolysis rapidly deteriorates at a low temperature (25 ° C), while it has a high disinfection effect at a high temperature (90 ° C).
위 실험의 이론적 배경은 다음과 같다.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above experiment is as follows.
우선, 차아염소산수를 서서히 가열하면 온도가 상승하면서 차아염소산이 휘발하여 수중 차아염소산 농도는 낮아진다[1ppm(20℃) -> 0.6ppm(80℃) -> 0.2 ppm(100℃)].First, when the hypochlorous acid water is gradually heated, the hypochlorous acid is volatilized as the temperature rises and the hypochlorous acid concentration in the water is lowered (1ppm (20 ° C) -> 0.6ppm (80 ° C) -> 0.2ppm (100 ° C)).
다음, 온도상승에 따라 증발되는 초기 수증기를 포집하여 DPD 시약과 반응시킨 결과 1ppm보다 높은 농도를 검출한다. 이는 차아염소산수의 차아염소산이 증기로 배출되어 적은 부피의 물에 용존되어 농축된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Next, the initial vaporized water vapor was collected by the temperature rise and reacted with the DPD reagent.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hypochlorous acid of hypochlorous acid water is discharged into the vapor and dissolved and concentrated in a small volume of water.
따라서, 상온(20℃)의 살균수를 순간 가열에 의해 스팀으로 분무시 차아염소산 성분이 수증기와 함께 증발되어 효과적으로 분무될 것으로 해석되며, 일반수 스팀보다 높은 살균력을 보인다.Therefore, when sterilized water at room temperature (20 ° C) is sprayed with steam by instant heating, it is interpreted that chloric acid component is evaporated together with water vapor and sprayed effectively, and it shows higher sterilizing power than general water steam.
이를 통하여 차아염소산 스팀은 일반수 스팀보다 탈취 및 얼룩제거 기능이 높을 것으로 예측해볼 수도 있다.
It can be predicted that hypochlorous acid steam will be more deodorant and stain removal than general water steam.
한편, 전기분해로 생성된 약 1ppm의 살균수를 판부재로 가열하고, 차아염소산 유무를 확인하는 DPD시약이 첨가된 시험관으로 스팀(수증기)를 포집하고, 발색하는 것을 통하여 살균수(차아염소산)을 이용하여 살균수 스팀 분사시 수증기와 함께 차아염소산 증기가 함께 분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terilized water (hypochlorous acid) is produced through heating a sterilized water of about 1 ppm produced by electrolysis to a plate member, collecting steam (water vapor) with a DPD reagent added to confirm the presence of hypochlorous aci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team is sprayed together with the vapor of hypochlorous acid when spraying sterilizing water.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100 : 의류처리장치
101 : 유로
110 : 하우징
111 : 스팀홀
112 : 급수홀
120 : 살균모듈
121 : 급수탱크
122 : 캡
123 : 양극
124 : 음극
125 : 메쉬망
126 : 커버부재
130 : 접지모듈
131 : 케이스
132 : 양단자
133 : 음단자
140 : 펌프
150 : 밸브
160 : 스팀발생모듈
170 : 스팀배출모듈
171 : 응축수탱크
172 : 스팀배출관
173 : 스팀흡입관
174 : 배수관
175 : 스팀호스
176 : 배수호스100: Apparatus for processing clothes
 101: Euro
 110: Housing
 111: Steam hole
 112: water hole
 120: sterilization module
 121: Water tank
 122: cap
 123: anode
 124: cathode
 125: mesh network
 126: cover member
 130: grounding module
 131: Case
 132: positive terminal
 133: Sound terminal
 140: pump
 150: Valve
 160: Steam generating module
 170: steam discharge module
 171: Condensate tank
 172: steam discharge pipe
 173: Steam suction pipe
 174: Water pipe
 175: Steam hose
 176: Drain hos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27898AKR101874011B1 (en) | 2012-03-19 | 2012-03-19 | lundry treating apparatus by sterilizing water steam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27898AKR101874011B1 (en) | 2012-03-19 | 2012-03-19 | lundry treating apparatus by sterilizing water steam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30106193A KR20130106193A (en) | 2013-09-27 | 
| KR101874011B1true KR101874011B1 (en) | 2018-07-04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027898AActiveKR101874011B1 (en) | 2012-03-19 | 2012-03-19 | lundry treating apparatus by sterilizing water steam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874011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40031762A (en)* | 2022-09-01 | 2024-03-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hoes care device | 
| WO2025116250A1 (en)* | 2023-11-29 | 2025-06-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Clothes car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5455578B (en)* | 2015-12-04 | 2017-11-07 | 洪作良 | A kind of clothes maintenance facility | 
| KR102725186B1 (en)* | 2017-01-09 | 2024-11-04 |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 Clothing Management Device | 
| KR102638952B1 (en) | 2018-09-12 | 2024-02-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CN110616555A (en)* | 2019-10-19 | 2019-12-27 | 广东因诺极客科技有限公司 | Garment steamer with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functions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159493A (en)* | 2001-11-26 | 2003-06-03 | Hiromitsu Moriyama | Steam washing method and washing machine using electrolytic water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1099413A (en)* | 1996-09-26 | 1998-04-21 | Tomy Medeiko:Kk | Method and device for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 
| KR101192001B1 (en)* | 2007-04-06 | 2012-10-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Washing machine | 
| KR20080107852A (en)* | 2007-06-08 | 2008-12-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team generating device and clothing treatment device including same | 
| EP2213781B1 (en)* | 2009-02-02 | 2013-04-24 | LG Electronics Inc.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 KR101155003B1 (en)* | 2009-12-15 | 2012-06-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KR101129324B1 (en)* | 2010-05-14 | 2012-03-29 | 주식회사 파세코 | Clothes dryer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159493A (en)* | 2001-11-26 | 2003-06-03 | Hiromitsu Moriyama | Steam washing method and washing machine using electrolytic water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40031762A (en)* | 2022-09-01 | 2024-03-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hoes care device | 
| KR102662599B1 (en) | 2022-09-01 | 2024-04-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hoes care device | 
| WO2025116250A1 (en)* | 2023-11-29 | 2025-06-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Clothes car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30106193A (en) | 2013-09-27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874011B1 (en) | lundry treating apparatus by sterilizing water steam | |
| CN102970913B (en) | Domestic appliance having a plasma generator and method for the operation thereof | |
| CN109222817A (en) | Dish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KR101351034B1 (en) |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l method of the laundry treating machine | |
| KR200440865Y1 (en) | Shoe Sterilization Dryer with Deodorization Function | |
| KR20120028414A (en) | Sterilizing apparatus for handpieces | |
| CN110495833A (en) | Steam disinfection dish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CN209905526U (en) | Multifunctional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shoe box | |
| KR20180112142A (en) | Sterilizer using hydrogen peroxide vapor | |
| KR20090124996A (en) | Sterilization System and Air Conditioning Sterilization System | |
| CN208598829U (en) | A kind of cassette sterilizer | |
| CN201161767Y (en) | Sanitary environment friendly shoe box | |
| KR101336896B1 (en) | Humidifier | |
| KR100849541B1 (en) | Shoe rack with disinfection function | |
| JP5289259B2 (en) | refrigerator | |
| KR20090105124A (en) | Control Method of Clothing Processing Equipment | |
| CN117378975A (en) | Intelligent antibacterial disinfection system control method and dish washing machine | |
| CN214181167U (en) | Medical disinfection box | |
| CN211324833U (en) | Dish washing machine with tableware keeping function | |
| CN208905830U (en) | A kind of medical treatment non-woven fabrics sterilization storage cabinet | |
| CN101979099B (en) | Hydrogen peroxide low-temperature plasma sterilization machine | |
| CN115491870A (en) | Detergent box assembly and washing machine | |
| CN217162680U (en) | Portable household plasma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device | |
| CN211894716U (en) | Plasma disinfection cabinet for medical surgical instruments | |
| CN216474060U (en) | Clothes treatment equipment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2031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PA02012R01D Patent event date:20170302 Comment text: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120319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80212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AMND | Amendment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20180510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180212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 |
| AMND | Amendment |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PX09011S01I Patent event date:20180510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X09012R01I Patent event date:20180412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20180619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PX07013S01D Patent event date:20180608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PX07012R01I Patent event date:20180510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X07011S01I Patent event date:20180412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PX07012R01I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180627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180628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10329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20329 Start annual number:5 End annual number: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30321 Start annual number:6 End annual number: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40325 Start annual number:7 End annual number: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