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단일의 건조장치 내에서 다수 종류의 농산물을 동시에 용이하고 손쉽게 건조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배출되는 폐열을 회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and easily drying a large number of kinds of agricultural products in a single drying apparatus and recovering waste heat to be used.
일반적으로, 농산물 중에는 장기 보관 목적 등으로 그 수확한 후에 건조 처리하여 출하하는 것들이 있다. 이러한 농산물로는 고추, 무, 건나물, 표고버섯, 인삼 등이 있다.Generally, agricultural products are harvested for long-term storage purposes, dried, and shipped. These agricultural products include red pepper, radish, dried herbs, shiitake mushrooms, and ginseng.
농산물의 건조를 위해서, 기존에는 단순히 햇빛과 바람을 이용하여 자연 건조를 이용하였으나, 자연 건조는 매우 오랜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낮고,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며, 건조 과정에서 먼 지나 각종 이물질이 부착되어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고, 비가 오거나 습기가 많은 날에는 실시할 수 없으며, 생산자가 수시로 건조하는 농산물을 뒤집어 주면서 건조시켜야 함에 따라 번거로움과 불편성을 야기하는 단점들이 있다.In order to dry the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past, natural drying was used by simply using sunlight and wind, but it takes a long time to dry naturally, so productivity is low, a large space is needed, and dust or various foreign substances The quality of the product is deteriorated and it can not be carried out on rainy or humid days and there are disadvantages that it is troublesome and inconvenient because the producers must dry the agricultural products that are dried frequently from time to time.
따라서, 최근에는 농산물을 인공적으로 강제 건조할 수 있는 강제 건조 장치를 주로 이용한다.Therefore, recently, a forced drying apparatus capable of artificially forcibly drying agricultural products is mainly used.
이러한 농산물 건조 장치는 내부에 밀폐되는 건조실이 마련되고, 해당 건조실 내로 채반 등을 이용하여 건조 대상의 농산물을 널어진 상태로 투입하며, 이후 열원이 발열 작동되어 고열을 발생시키고, 또한 구비된 송풍팬이 작동되어 열풍을 유동시킨다. 즉, 농산물 건조 장치는 열원에 의한 직접적인 열기와 송풍팬에 의한 열풍의 유동으로 농산물을 건조하는 것이다.The apparatus for drying agricultural produce is provided with a drying chamber which is hermetically sealed inside, and the agricultural products to be dried are put into the drying chamber by using a harvester or the like, and then the heat source is exothermically operated to generate high heat, So that hot air flows. That is, the agricultural product drying apparatus is to dry agricultural products by direct heat by a heat source and flow of hot air by a blowing fan.
농산물 건조 장치에 구비되는 열원으로는 연료 연소에 따라 열을 발생시키는 버너나, 전기의 공급에 따라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 히터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As a heat source provided in the agricultural product drying apparatus, a burner for generating heat in accordance with the combustion of fuel and an electric heater for generating heat in accordance with the supply of electricity are mainly used.
그 중에서 전기 히터는 전기만 공급되면 연료의 보충이 불필요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주변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는 등의 여러 장점에서 널리 채택되고 있다.Among them, the electric heater is widely adopted because it is convenient to use because it is unnecessary to supplement fuel when only electricity is supplied,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cleanliness around the electric heater.
그러나, 고온 열기와 열풍을 이용하여 농산물을 건조할 시, 건조실 내부 중 열풍이 최초 도착하게 되는 공간의 온도와는 달리, 열풍이 도달하지 않은 공간이나, 열풍의 입구와 먼 측의 공간의 온도가 상호간 차이를 보임에 따라, 건조실 내부 전체 공간의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되지 못하게 된다.However, when the agricultural products are dried using the hot air and the hot air, unlike the temperature of the space in which the hot air first arrives in the drying chamber, the temperature in the space where the hot air is not reached, As a result, the temperature of the entire space inside the drying chamber can not be maintained uniformly.
이는 결국 동일한 건조실에서 건조를 진행하더라도, 건조위치에 따라 건조대상물의 건조상태가 다를 수 있고, 이는 결국 건조장치 자체의 건조효율 저하는 물론, 건조된 후의 농산물의 내부에서 부패가 빈번히 발생함으로써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로도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As a result, even if the drying process is performed in the same drying chamber, the drying condition of the drying subject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drying position, which may result in deterioration of the drying efficiency of the drying device itself, But also leads to a problem of degradation.
더불어, 하나의 건조장치에서는 동일한 종류의 건조대상물만을 건조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동일한 건조장치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건조물을 동시 건조할시에는 각 건조대상물의 건조상태가 달라지기에 건조효율은 더욱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only one type of drying object is required to be dried in one drying apparatus, when the different types of dried materials are simultaneously dried in the same drying apparatus, the drying state of each drying object is changed, There was a problem.
또한, 건조에 사용되고 난 열풍은 그대로 외부로 배출되어지고, 새로 유입되는 외기는 다시 건조에 사용가능한 온도로 가열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는 건조효율 저하 및 건조실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기 위한 시간이나 에너지 소비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hot air used for drying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s it is, and fresh air is heated again to a temperature at which it can be used for drying, the drying efficiency is lowered and the time or energy consumption There was an increasing problem.
이에, 건조장치의 내부 전체의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되면서, 다양한 종류의 건조대상물을 동시에 건조가능하되, 그 건조효율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다양한 건조대상물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으면서도, 배열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농산물 건조장치가 필요한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ry various kinds of dried objects at the same time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entire inside of the drying apparatus uniformly, and to efficiently dry various kinds of dried objects selectively or at the same time without lowering the drying efficiency, There is a need for an agricultural product drying apparatus which can utilize the arrange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농산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실 내부에 외기가 순환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되, 내부를 다수로 구획하여 멀티존을 형성하여 각기 다른 다양한 건조물을 분리하여 적재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각각의 건조적재공간을 개별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건조적재공간 전체의 온도/습도를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동일하게 일정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ying chamber for drying agricultural product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outside air is circulated,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load various other dried materials, to individually dry each of these dry loading spaces, and to keep the temperature / humidity of the entire dry loading space uniform throughout the lengthwise direction And a drying apparatus.
또한, 본 밞명은 건조대상물 건조후 배출되는 배열을 열교환부를 통해, 건조실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와 열교환시킨 후 배출되도록 하여, 폐열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ying apparatus that allows waste heat to be recycled by causing heat to be exchanged with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drying chamber through the heat exchanging unit after the drying object is dri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and will be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the combination shown in the claim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건조실(10) 내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건조적재공간(S)으로 구획되어, 다종류의 건조대상물을 건조적재공간(S)마다 분리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건조함(20); 상기 건조함(2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외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다공판(30); 상기 건조실(10) 내에 설치되어, 외기를 가열하는 히터부(40); 상기 건조부(10) 내 일측 끝단부측에서 건조함(20)을 거쳐 건조부(10) 내 타측 끝단부로 가열외기가 유동되도록, 상기 건조함(20)의 건조적재공간(S) 일측마다 개별설치되어, 다수의 건조적재공간(S)에 개별적으로 가열외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팬부재(50); 상기 다수의 건조적재공간(S) 내부 입구 및 출구 양측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온도 및 습도센서(60); 건조실(10) 상단에 양단이 개구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제 1관로(70); 상기 제 1관로(70) 중단에서 분기되어 일단이 건조실(10) 내부와 연통됨으로써, 건조실(10) 내부에서 순환되는 온풍의 일부를 제 1관로(70)로 유입시키는 제 2관로(80); 상기 제 1, 2관로(70, 80)의 분기점(C)에 설치되어, 제 2관로(80)로 유입된 온풍을 제 1관로(70)의 양측 중 선택되는 일측으로만 이동되도록 하는 제어밸브(90); 상기 분기점(C)을 기준으로 제 2관로(80) 내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외기를 유입하여 건조실(10) 내부로 공급하되, 유입되는 외기가 제 1관로(70) 내에서 제 2관로(80)를 이동하는 온풍과 열교환된 후 유입되어 폐열이 회수되도록 하고, 폐열이 회수된 온풍은 제 2관로(80)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열교환부(100); 상기 건조함(20) 내부 다수의 건조적재공간(S) 양측의 온도 및 습도센서(60) 측정치를 사전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양측의 비교치가 사전설정기준치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팬부재(50)의 회전방향을 현재구동방향의 반대가 되도록 구동시키는 작동을 반복하고 이에 맞춰 제어밸브(90)의 개방방향을 제어함으로써, 건조적재공간(S) 내부길이방향 전체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사전설정된 범위로 유지시키는 제어부(1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a plurality of dry objects S in a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기를 가열순환시켜 건조대상물의 농산물을 손쉽고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asily and easily drying the agricultural products of the object to be dried by heating and circulating the outside air.
또한, 본 발명은 건조함 내부를 멀티존인 다수의 건조적재공간으로 구획함으로써, 각각의 건조적재공간에 상호간 상이한 다양한 종류의 농산물을 구별 적재하여, 각기 달리 개별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ividing the inside of the drying compartment into a plurality of multi-zone drying compartments, it is possible to individually dry different kinds of agricultural product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respective drying compartments.
또한, 본 발명은 대량의 건조대상물뿐만 아니라, 각 건조적재공간마다 소량의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키는 것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dry not only a large amount of dried object but also a small amount of dried object per each dry loading space.
또한, 본 발명은 건조함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팬부재의 회전방향을 변경시킴으로써, 다수의 건조적재공간 각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균일한 건조가 가능하여 건조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by changing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fan member for allowing the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drying chamber, it is possible to keep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plurality of drying loading spaces uniform through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dry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은 건조대상물 건조후 배출되는 고온의 온풍을, 건조실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와 열교환한 후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배열을 재활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입되는 외기를 고온다습한 공기에서 고온건조 공기로 유입시켜, 건조에 유리한 효과를 가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rm air of high temperature discharged after drying the object to be dried is heat-exchanged with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drying chamber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drying chamber, so that the arrangement can be recycled an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effect of drying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에서 폐열회수 구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diagram of one embodiment of 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a waste heat recovery structure in 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하지 않는다.Before describing in detail several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of construction and arrangement of components set forth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r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and carried out in other embodiments and carried out in various way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device or element orientation (e.g., "front," "back," "up," "down," "top," "bottom, Expressions and predicates used herein for terms such as "left," " right, "" lateral, " and the like are used merely to simplify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at the element has to have a particular orientation. Also, terms such as " first "and" second "are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appended claim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or imply their relative importance or purpose.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건조실(10) 내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건조적재공간(S)으로 구획되어, 다종류의 건조대상물을 건조적재공간(S)마다 분리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건조함(20); 상기 건조함(2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외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다공판(30); 상기 건조실(10) 내에 설치되어, 외기를 가열하는 히터부(40); 상기 건조부(10) 내 일측 끝단부측에서 건조함(20)을 거쳐 건조부(10) 내 타측 끝단부로 가열외기가 유동되도록, 상기 건조함(20)의 건조적재공간(S) 일측마다 개별설치되어, 다수의 건조적재공간(S)에 개별적으로 가열외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팬부재(50); 상기 다수의 건조적재공간(S) 내부 입구 및 출구 양측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온도 및 습도센서(60); 건조실(10) 상단에 양단이 개구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제 1관로(70); 상기 제 1관로(70) 중단에서 분기되어 일단이 건조실(10) 내부와 연통됨으로써, 건조실(10) 내부에서 순환되는 온풍의 일부를 제 1관로(70)로 유입시키는 제 2관로(80); 상기 제 1, 2관로(70, 80)의 분기점(C)에 설치되어, 제 2관로(80)로 유입된 온풍을 제 1관로(70)의 양측 중 선택되는 일측으로만 이동되도록 하는 제어밸브(90); 상기 분기점(C)을 기준으로 제 2관로(80) 내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외기를 유입하여 건조실(10) 내부로 공급하되, 유입되는 외기가 제 1관로(70) 내에서 제 2관로(80)를 이동하는 온풍과 열교환된 후 유입되어 폐열이 회수되도록 하고, 폐열이 회수된 온풍은 제 2관로(80)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열교환부(100); 상기 건조함(20) 내부 다수의 건조적재공간(S) 양측의 온도 및 습도센서(60) 측정치를 사전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양측의 비교치가 사전설정기준치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팬부재(50)의 회전방향을 현재구동방향의 반대가 되도록 구동시키는 작동을 반복하고 이에 맞춰 제어밸브(90)의 개방방향을 제어함으로써, 건조적재공간(S) 내부길이방향 전체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사전설정된 범위로 유지시키는 제어부(1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ying is performed in a drying chamber (10), which is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drying compartments (S) so that multiple types of objects to be dried can be separately loaded in each drying compartment (S) (20); A
또한, 본 발명은, 내부가 구획되어 다수의 설치공간(A)을 형성하며, 상기 설치공간(A)마다 개별적으로 외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건조실(10); 상기 다수의 설치공간(A)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며, 상호 공기유동이 간섭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내부에 건조적재공간(S)을 형성하여, 건조적재공간(S)마다 상이한 건조대상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건조함(20); 상기 건조함(2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외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다공판(30); 상기 다수의 설치공간(A)마다 개별 설치되어, 유입되는 외기를 가열하는 히터부(40); 상기 건조실(10)의 각 설치공간(S) 내 일측 끝단부에서 건조함(20)을 거쳐 설치공간(S) 내 타측 끝단부로 가열외기가 이동되도록, 상기 다수의 건조함(20) 일측마다 개별설치되어, 다수의 건조적재공간(S)에 개별적으로 가열외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팬부재(50); 상기 다수의 건조함(20) 내부 입구 및 출구 양측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온도 및 습도센서(60); 상기 건조함(20) 내부 다수의 건조적재공간(S) 양측의 온도 및 습도센서(60) 측정치를 사전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양측의 비교치가 사전설정기준치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팬부재(50)의 회전방향을 현재구동방향의 반대가 되도록 구동시키는 작동을 반복하고 이에 맞춰 제어밸브(90)의 개방방향을 제어함으로써, 건조적재공간(S) 내부길이방향 전체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사전설정된 범위로 유지시키는 제어부(1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ying apparatus comprising: a drying chamber (10) in which an interior space is defined to form a plurality of installation spaces (A), in which outside air flows in and out individually for each installation space (A); A drying loading space S is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installation spaces A so that the air flows are not interfered with each other independently so that a different drying object is loaded for each drying loading space S A plurality of drying compartments (20) for allowing the drying compartments A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다수의 팬부재(50)를 건조대상물의 종류에 따라서 개별로 구동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전설정한 건조대상물이 적재된 건조적재공간(S)이 선택적으로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설치공간(A)은 사전설정된 형상의 구획부(21)가 건조실(10) 내부에 연속적으로 내입되는 구조를 가지면서 다수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space (A)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artitioning part (21)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continuously enters the inside of the drying chamber (10) to form a plurality of openings.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온도 및 습도센서(60)를 통해 측정된 건조실(10) 내부 양측의 온도 및 습도가, 사전설정된 온도 및 습도 범위 내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건조실(10) 내부의 팬부재(50)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전환, 히터부(12)의 온도제어, 제어밸브(90)의 좌, 우측 개방방향 제어 중 어느 하나이상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상기 제 1관로(70)는 제 1관로(70) 양측에 각각 연장형성되되, 제어부(130)에 의해 개폐여부 및 계폐정도가 제어되는 댐퍼(121)가 구비되며, 열교환된 온풍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로(1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상기 제어밸브(90)는 건조실(10) 내부의 공기순환 방향에 따라, 제 2관로(80)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제 1관로(70)의 좌측 또는 우측 중 하나측으로 이동되도록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와 신선외기유입형 멀티존 온도균일제어타입 농산물 건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waste heat recovery system and a new multi-zone temperature uniformly-controlled type agricultural product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to FIG.
본 발명에 따른 폐열회수와 신선외기유입형 멀티존 온도균일제어타입 농산물 건조장치는 건조실(10), 건조함(20), 다공판(30), 히터부(40), 팬부재(50), 온도 및 습도센서(60), 제 1관로(70), 제 2관로(80), 제어밸브(90), 열교환부(100), 제어부(13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ing apparatus for drying multi-zone temperature uniformly controlled agricultural products, comprising a
본 발명에서는 건조실(10) 및 건조함(20)의 형태를 달리하여, 두종류의 실시예를 제시하고 있다. 우선 건조실에서 배출되는 배열에서 폐열을 회수하여 재활용하는 폐열회수구성을 설명하기 전, 건조공정을 위한 건조실과 건조함 내부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wo types of embodiments are proposed, with different forms of the
도 1을 참조로 첫번째 실시예를 살펴보면,Referring to FIG. 1,
상기 건조실(10)은 내부에 외기가 유입되는 곳으로, 내부에는 건조대상물(ex: 다양한 농산물)이 적재되는 후술될 건조함(20)이 설치되어 있도록 한다.The
물론, 이러한 건조실(10)은 건조함(20)이 입/출가능토록 유입출구가 형성되어 있도록 하며, 상단부에는 덕트와 연결되어 외기가 건조실(10) 내부에 유입되는 유입구 및 내부의 가열공기(외기)가 또 다른 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 등이 형성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며, 이렇듯 외기가 내부에 유입 및 외부로의 배출이 가능한 구조라면, 이러한 덕트와 건조실(10)과의 연통구조는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음이다.Of course, the
상기 건조함(20)은 전술된 건조실(10)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건조함(20)에서 입출가능한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건조함(20)은 세워져 있는 길이방향을 향해 내부가 다수개로 구획되어져, 멀티존 형태 즉 다수의 건조적재공간(S)이 층층히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The
이로써, 사용자는 단일의 건조함(20) 내에 설치된 다수의 건조적재공간(S) 층마다 각기 다른 종류의 건조대상물들을 적재한 후, 건조적재공간(S)마다 개별적으로 건조를 진행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Thus, the user can individually dry different types of drying objects for each dry loading space S after loading different types of drying objects in a plurality of dry loading spaces (S) installed in a
상기 다공판(30)은 이러한 건조를 위해, 상기 건조함(20)의 양단에 설치되는것으로, 다수의 구멍이 천공형성되어, 각 건조적재공간(S) 내부로 외기가 유입된후, 내부의 건조대상물을 건조 후 건조적재공간(S)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이로써, 건조실(10) 내부로 유입된 외기는 건조실(10) 내에서 자체분기되면서, 건조함(20) 일측의 다공판(30)을 통해 각 건조함(20) 내 다수의 건조적재공간(S) 내부에 통합적으로 유입되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후술될 팬부재(50)가 설치된 건조적재공간(S) 층으로만 유입.)As a result,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상기 히터부(40)는 건조실(10) 내에 설치되어, 상기 건조실(10) 내로 유입되는 외기를 가열하여, 온풍(또는 고온의 공기, 열풍 등)의 형태로 건조실(10) 내에 설치되는 건조함(20) 내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물론, 이러한 히터부(40)는 건조실(10) 내 건조함(20)이 설치된 후, 건조함(20)의 외측에 설치되어, 건조실(10)에 외기가 유입된 후, 건조실(10)의 내부이면서 건조함(20)의 외측에서 이러한 히터부(40)에 의해 가열된 후, 건조함(20) 일측에 형성된 후술될 팬부재(50)를 통해, 건조함(20) 내부를 관통하며 건조대상물을 건조한 후, 건조함(20) 타측을 통해 건조실(10)로 배출되고, 이렇게 배출된 외기는 건조실(10) 내에서 건조함(20)의 일측으로 유입되어 타측으로 배출되는 순환을 반복하는 것이다.Of course, the
상기 팬부재(50)는 전술된 건조함(20)의 일측(더욱 자세히는 각 건조적재공간(S)의 일측)에 설치되되, 건조함(20)의 다수 건조적재공간(S) 일측마다 각각 설치되어, 각 건조적재공간(S)은 각각의 팬부재(50)에 의해 외기(전술된 히터부(40)에 의해 가열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물론, 이러한 팬부재(50)는 건조함(20)의 일측에 팬부재(50)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51)을 마련후, 이러한 공간(51)에 팬부재(50)를 설치하고, 별도의 공간에는 유입구(52)를 형성하여 건조실(10) 내의 외기가 팬부재(50)가 설치된 공간(51)으로 유입 후 다공판(30)을 통해 건조함(20) 내 건조적재공간(S)을 유입되는 형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음이다.Of course, the
상기 온도 및 습도센서(60)는 전술된 각각의 건조함(20) 내부 각 건조적재공간(S)의 양측마다 설치되어, 각 건조적재공간(S) 전단과 후단에서의 온도와 습도를 각각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후술될 제어부(130)를 통해, 각 건조적재공간(S) 내부 전체길이에 걸쳐, 온도와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temperature and
상기 제어부(130)는 전술된 히터부(40), 팬부재(50), 온도 및 습도센서(60)와 각각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이다.The
이러한 제어부(130)는 각 건조적재공간(S)의 양측 온도와 습도를 전술된 온도 및 습도센서(60)를 통해 측정한 측정치를 전달받고, 사용자가 사전설정한 온도 및 습도 설정치와 비교하는 것이다.The
비교시 온도와 습도가 사용자가 사전설정한 범위를 벗어나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팬부재(50)가 건조적재공간(S)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기에, 건조적재공간(S)의 일측에 비해 타측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더 떨어지게 되는 경우가 많기에), 제어부(130)에서는 팬부재(50)의 회전방향을 현재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바꿔줌으로써, 가열된 외기가 현재 건조적재공간(S)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유입되던 것을, 반대인 건조적재공간(S)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유입되도록 바꿔주는 것이다.(The
제어부(130)에서는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한 건조적재공간(S)의 양측 온도를 사전설정한 온도와 습도 수준으로 일정하기 유지하기 위해, 이러한 팬부재(50)의 회전방향을 바꾸는 작동을 연속적 및 반복적으로 진행함으로써, 해당 건조적재공간(S) 내부 길이방향 전체의 온도와 습도가 편차없이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어, 건조효율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이러한 제어부(130)는 다수의 건조적재공간(S) 중 사용자가 건조작업을 하고자 하는 건조적재공간(S) 일측의 팬부재(50)만을 구동시키는 등(또는 회전방향을 바꾸는 등)의 제어를 함으로써, 다수의 건조적재공간(S)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결국, 다수의 건조적재공간(S)마다 각기 다른 건조대상물을 적재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맞게 일부 건조대상물만 건조를 진행하거나, 또는 건조를 진행하고 있는 다수의 건조적재공간(S)마다의 건조대상물에 맞춰 팬부재(50)의 구동속도 및 히터부(40)의 온도 등을 제어하여 온도와 습도를 다르게 조절할 수도 있을것이다.The
더불어, 이러한 제어부(130)는 후술될 폐열회수시에도, 제어밸브(90), 댐퍼(121) 등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며, 이는 하기에서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더불어, 전술된 건조실(10)의 경우, 모서리부분에 설치 원호형태의 밴딩코어(11)를 설치하여, 건조실(10) 내에서 건조함(20)을 관통하며 순환하는 외기의 이동방향이 가이드되며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건조적재공간(S)은 내부 선반의 배치가 길이방향을 향해 교번으로 위치가 상이하토록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외기의 유동이 원활해지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예를 도 2를 참조로 살펴보면,Referring to FIG. 2,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전술된 첫번째 실시예에서는 건조실(10) 내에 설치되는 단일의 건조함(20) 내부를 다수개로 구획하는 것이라면,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f the inside of a
두번째 실시예에서는 건조함(20)이 설치되는 건조실(10) 자체 내부를 다수개로 구획하는 것으로, 건조실(10) 내부를 구획부(21)를 통해 다수 구획하여, 건조실(10) 내부가 다수의 설치공간(A)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며, 이러한 설치공간(A)마다 외기가 개별적으로 유입 및 배출되어, 각 설치공간(A)마다 외기가 혼합되거나 영향을 주지않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inside of the drying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건조실(10)의 구획되는 다수의 설치공간(A)의 경우, 사전설정된 형상의 구획부(21)가 건조실(10) 내부에 연속적으로 내입되는 구조를 가지면서 다수개를 형성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였지만, 건조실(10) 내에 다수의 설치공간(A)을 형성하는 구조라면, 그 구조는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함은 당연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plurality of installation spaces A defined by the drying
이렇게 구획된 건조실(10) 내의 각 설치공간(A)에는 각각 건조함(20)이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것이고, 이러한 건조함(20)은 첫번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양측에 다공판(30)이 설치되어, 외기가 건조함(20) 내부의 건조적재공간(S) 내부로 유입된 후, 내부의 건조대상물을 건조 후 외부로 배출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공간(A)마다 개별적으로 외기가 유입되고, 유입되는 외기는 각 설치공간(A) 내의 건조함(20) 내부로 유입된 후, 각 설치공간(A) 내부에서 각각 개별적으로 순환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The drying
상기 팬부재(50)는 전술된 건조실(10)의 각 설치공간(A)마다 설치된 건조함(20)의 일측마다 설치되어지는 것으로, 각 설치공간(A)으로 유입되어지는 외기를 건조함(20) 내부의 건조적재공간(S)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The
물론, 이러한 팬부재(50)는 건조함(20)의 일측에 팬부재(50)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51)을 마련후, 이러한 공간에 팬부재(50)를 설치하고, 별도의 공간(51)에는 유입구(52)를 형성하여 건조실(10) 내의 외기가 팬부재(50)가 설치된 공간(51)으로 유입 후 다공판(30)을 통해 건조함(20) 내 건조적재공간(S)을 유입되는 형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음이다.Of course, the
상기 두번째 실시예에서의 온도 및 습도센서(60), 제어부(130)의 경우에는 전술된 첫번째 실시예의 온도 및 습도센서(60), 제어부(130)의 구성 및 작동과 동일하다.In the case of the temperature and
더불어, 밴딩코어(11)의 경우에도, 본 발명에서는 건조실(10)에 동일하게 설치하여 적용할 수가 있는데, 더욱 자세하게는 건조실(10) 내주연 모서리 및 설치공간(A) 모서리 등 외기가 순환되는 건조실(10) 공간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될 수 있음이다.In addition, the bending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건조실(10) 내부에서, 건조에 사용되고 외부로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를, 곧바로 배출하지 않고 재활용하여 폐열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for allowing waste heat to be recovered by recycling the high-temperature air used for drying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the drying
상기 제 1관로(70)는 전술된 내부에 빈공간을 형성하며 건조실(10)의 외부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로 건조실(10) 상면에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형태를 가지며 일자형태로 설치된다.The
또한, 이러한 제 1관로(70)의 개구된 양측에는 각각 배출관로(120)가 연장설치되어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배출관로(120) 내에는 후술될 제어부(90)에 의해 개폐여부 및 계폐정도가 제어되는 댐퍼(121)가 구비되어 있도록 하며, 제 1관로(70)의 양측 중 하나로 이동되는 열교환된 고온공기(온풍)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상기 제 2관로(80)는 전술된 제 1관로(70)와 연통설치되는 관로로써, 일단은 건조실(10)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고, 타단은 제 1관로(70)의 중단에 분기되는 형태로 연통연결된다.The
이러한 제 2관로(80)는 건조실(10)에서 건조된 공기(ex: 열풍, 고온건조공기 등) 중 일부가 제 2관로(80)를 따라 제 1관로(70)로 유입되도록 하는 관로이다.The
다시말해, 제 2관로(80)는 건조실(10) 내부에서 건조에 사용되는 고온의 공기를 사용자가 사전설정한 시간 등 사용자가 선택한 일정타이밍에 외부 배출시, 바로 외부 배출하지 않고, 제 2관로(80)를 통해 제 1관로(70)로 유입시켜, 후술될 열교환기를 통해 제 1관로(70)에서 건조실(10)에 새로 유입되는 외기와 열교환되면서 열을 재활용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상기 제어밸브(90)는 전술된 제 2관로(80)가 제 1관로(70)의 중단에 연통된 부위, 즉 제 1관로(70)에서 제 2관로(80)가 연결되는 분기점(C)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 1관로(70)의 중단측 내부에 설치된다.The
즉, 이러한 제어밸브(90)는 삼상밸브(3-way valve) 등이 사용되어, 제 2관로(80)로부터 이동된 건조실(10) 내부의 가열된 공기를 제 1관로(70)의 일측 또는 타측 중 하나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다시말해, 이러한 제어밸브(90)가 제 2관로(80)를 제 1관로(70)의 일측(ex: 좌측)과 연통되도록 개방하는 것은, 건조실(10) 내부의 고온공기가 반시계방향으로 순환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고, 제어밸브(90)가 제 2관로(80)를 제 1관로(70)의 타측(ex: 우측)과 연통되도록 개방하는 것은, 건조실(10) 내부의 고온공기가 시계방향으로 순환되는 경우에 사용되도록 한 것이다.(물론,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반대로 실시를 할 수도 있음이다.)In other words, opening the
상기 열교환부(70, ex: 판형열교환기, 현열열교환기 등)는 전술된 제 2관로(80)에서 제 1관로(70)에 연결된 분기점(C)을 중심으로, 상기 분기점(C)의 양측 제 2관로(80) 내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다.The
즉, 이러한 열교환부(100)의 좌면(100a), 우면(100b), 전면(100c), 후면(100d)의 4면 중, 상호간 대향되는 좌, 우면(100a, 100b)의 2면은 제 1관 내부와 연통되는 구조를 가지고, 나머지 2면이면서 전술된 좌, 우면(100a, 100b)과 교차되며 대향배치된 전, 후면(100c, 100d)의 2면은 각각 외부의 외기를 유입되도록 외부에 개방되고, 한면은 별도의 관로를 통해 건조실(10) 내부에 연통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That is, two surfaces of the left and
이로써,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분기점(C) 양측 중 좌측에 설치된 열교환부(100)를 그 대상으로 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좌측의 열교환부(100)를 제 1열교환기(111), 우측의 열교환부(100)를 제 2열교환기(112)가 칭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제 1관로(70)를 통해 유입된 건조실(10)의 고온공기 일부는 제어밸브(90)를 통해 제 2관로(80)의 좌측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좌측으로 이동된 고온공기는 제 1열교환기(111)의 우면(100b)에서 좌면(100a)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The hot air portion of the drying
이때, 제 1열교환기(111)의 전면(100c)과 후면(100d) 중 하나인 후면(100d)에서는 외기가 유입된 후, 전면(100c)으로 배출되어 건조실(1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되는데, 이렇게 유입되는 외기의 유입방향과, 배출되는 고온공기의 배출방향을 상호간 교차되는 형태가 되어, 배출되는 건조실(10)의 고온공기가 새로 건조실(10)에 유입되는 외기와 열교환되면서, 열을 빼앗긴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At this time, after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이로써, 건조실(10) 내부로 새로 유입되는 외기는 배열(배출되는 열)에 의해 사전가열되어 건조실(10) 내부로 유입되기에, 고온다습한 공기가 아닌 고온건조 공기로 전환이 되어 유입되는 것이고, 더불어, 건조실(10) 내부에서 히터부(40)에 의해 가열될시에도, 배열과 열교환되지 않고 가열되는 경우보다 에너지 절감 및 효율은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the fresh air introduced into the drying
이후, 상기 건조실(10) 내부로 유입되어 히터부(40)로 가열되는 외기는, 고온 공기가 되어 팬부재(50)에 의해 건조실(10) 내부의 해당 건조적재공간(S) 거치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건조대상물을 건조하게 되는 것이다.The outside air heated by the
이는 분기점(C) 양측 중 우측에 설치된 열교환부(100)(제 2열교환기(112)) 또한 상기와 동일한 작동을 하는 것이되, 다만, 건조실(10) 내부 우측으로 열교환된 외기가 유입되어 팬부재(50)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순환되면서 가열되는 것임은 당연할 것이다.)The heat exchanger 100 (second heat exchanger 112)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branch point C also performs the sam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However, the outdoor heat exchanged to the right inside the drying
상기 제어부(90)는 전술된 건조실(10) 내부의 히터부(40), 팬부재(50) 및 건조실(10) 내부 양측에 설치된 온도 및 습도센서(60), 제 1관로(7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댐퍼(121)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하는 것이다.The
건조실(10) 내부에서 건조되는 건조대상물은 그 대상에 따라, 사전에 온도와 습도가 정해져 있도록 하고, 이렇게 사전설정된 온도와 습도를, 건조공정진행시 건조실(10) 내부 양측의 온/습도와 비교하여, 이러한 양측의 온/습도 측정치가 사전설정된 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크거나 작은 경우), 사용자가 사전설정한 건조적재공간(S)에 대응설치된 팬부재(50)의 송풍속도 및 송풍방향을 전환(현재 시계방향이라면 이와는 반대인 반시계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등)하면서, 건조실(10) 양측의 온도 및 습도가 사전설정된 온도와 습도의 범위내에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다. (건조실(10) 좌측에서 우측으로 고온 공기를 순환시, 최초 주입되는 좌측보다 우측의 온도가 더 낮아지는 경우가 발생하기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 송풍방향을 전환시키는 것이다.)The temperature of the drying object to be dried in the drying
물론, 제어부(90)는 상기의 팬부재(50)와 함께, 제어밸브(90)의 개방방향도 제어하게 되는데, 전술된 건조실(10) 내부의 공기순환방향에 따라, 건조실(10) 내부로 새롭게 유입되는 외기는, 건조실(10) 내부의 고온공기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우측의 제 2열교환기(112)측에서 외기를 유입시키면서, 건조실(10) 내부에서 배출되는 일부 고온공기가 우측으로 이동되도록 개방되어, 배출 고온공기의 열기가 외기에 회수하도록 하고, 건조실(10) 내부의 고온공기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좌측의 제 1열교환기(111)측에서 외기를 유입시키면서 건조실(10) 내부에서 배출되는 일부 고온공기가 좌측으로 이동되도록 개방되어, 배출 고온공기의 열기가 외기에 회수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물론, 제어부(90)는 건조실(10) 내부 양측의 온도 및 습도센서의 측정치에 따라, 사용자가 사전설정한(건조대상물에 따라 사전설정된) 온도와 습도가 되도록, 히터부(40)의 구동여부나 가열온도를 제어하거나, 제 1관로(70) 양측에 설치된 댐퍼(121)의 개방여부 및 개방정도도 제어가 되도록 할 수 있음이다.Of course,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건조실11: 밴딩코어
20: 건조함21: 구획부
30: 다공판40: 히터부
50: 팬부재51: 공간
52: 유입구60: 온도 및 습도센서
70: 제 1관로80: 제 2관로
90: 제어밸브100: 열교환부
100a: 좌면100b: 우면
100c: 전면100d: 후면
111: 제 1열교환기112: 제 2열교환기
120: 배출관로121: 댐퍼
130: 제어부A: 설치공간
C: 분기점S: 건조적재공간10: drying chamber 11: banding core
 20: dryness 21: compartment
 30: Perforated plate 40: Heater part
 50: fan member 51: space
 52: inlet port 60: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70: first conduit 80: second conduit
 90: control valve 100: heat exchanger
 100a: seating
 100c: Front 100d: Rear
 111: first heat exchanger 112: second heat exchanger
 120: exhaust pipe 121: damper
 130: Control unit A: Installation space
 C: Junction point S: Dry loading spac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071726AKR101834823B1 (en) | 2016-06-09 | 2016-06-09 | Agricultural dryer of uniform temperature control type using recycling wasted heat and fresh air supplying and multi zon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071726AKR101834823B1 (en) | 2016-06-09 | 2016-06-09 | Agricultural dryer of uniform temperature control type using recycling wasted heat and fresh air supplying and multi zon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139336A KR20170139336A (en) | 2017-12-19 | 
| KR101834823B1true KR101834823B1 (en) | 2018-03-06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071726AActiveKR101834823B1 (en) | 2016-06-09 | 2016-06-09 | Agricultural dryer of uniform temperature control type using recycling wasted heat and fresh air supplying and multi zone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834823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10106589A (en)* | 2020-02-20 | 2021-08-31 | 김영성 | Mobile air conditioner for multi-layer crops | 
| KR102720492B1 (en)* | 2023-05-18 | 2024-10-22 | 두성농기계(주) | Agricultural products dryer | 
| KR20250094230A (en) | 2023-12-18 | 2025-06-25 | 주식회사 와이드제주 | Drying device for marine products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9114896A (en)* | 2018-09-26 | 2019-01-01 | 南京金陵化工厂有限责任公司 | A kind of heat stabilizer productive power hot blast drying box | 
| CN111750643A (en)* | 2020-07-10 | 2020-10-09 | 杭州三泽科技有限公司 | Drying device for chemical pharmacy | 
| CN112647353A (en)* | 2020-10-10 | 2021-04-13 | 南通四通林业机械制造安装有限公司 | Novel environment-friendly heat energy high-utilization dipping and drying production line | 
| CN112325578A (en)* | 2020-11-02 | 2021-02-05 | 安徽辰宇机械科技有限公司 | Circulating grain drying device | 
| KR102304642B1 (en)* | 2021-05-26 | 2021-09-24 | 구응본 | Dry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products | 
| JP7716280B2 (en)* | 2021-09-07 | 2025-07-31 | 株式会社フロインテック | dryer | 
| CN115854664A (en)* | 2022-08-15 | 2023-03-28 | 江西德尔诚半导体有限公司 | Drying device is used in diode processing | 
| CN118242870B (en)* | 2024-05-30 | 2024-09-13 | 常州润来科技有限公司 | Drying device for copper pipe to be packaged and working method thereof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62370B1 (en) | 2006-05-10 | 2007-10-04 | 김병석 | dryer | 
| KR101592991B1 (en) | 2015-05-13 | 2016-02-15 | 주식회사 부농산업 | Recycling apparatus for useless and high humidity heat and recycled dry air supply system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62370B1 (en) | 2006-05-10 | 2007-10-04 | 김병석 | dryer | 
| KR101592991B1 (en) | 2015-05-13 | 2016-02-15 | 주식회사 부농산업 | Recycling apparatus for useless and high humidity heat and recycled dry air supply system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10106589A (en)* | 2020-02-20 | 2021-08-31 | 김영성 | Mobile air conditioner for multi-layer crops | 
| KR102458033B1 (en)* | 2020-02-20 | 2022-10-25 | 김영성 | Mobile air conditioner for multi-layer crops | 
| KR102720492B1 (en)* | 2023-05-18 | 2024-10-22 | 두성농기계(주) | Agricultural products dryer | 
| KR20250094230A (en) | 2023-12-18 | 2025-06-25 | 주식회사 와이드제주 | Drying device for marine products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139336A (en) | 2017-12-19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834823B1 (en) | Agricultural dryer of uniform temperature control type using recycling wasted heat and fresh air supplying and multi zone | |
| KR101834822B1 (en) | Agricultural dryer of uniform temperature control type using multi zone | |
| KR101191950B1 (en) | The grain drying device for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 |
| KR101841447B1 (en) | Agricultural dryer of uniform temperature control type using recycling wasted heat and fresh air supplying | |
| KR101925663B1 (en) | Grain-drying facility | |
| KR100929281B1 (en) | Hot air circulation drying system of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 |
| KR102022456B1 (en) | A Drying machine | |
| KR20180067069A (en) | food drying equipment using cool and hot air | |
| CN206583238U (en) | A kind of multichannel mixed flow drying case of variable wind direction | |
| KR200440090Y1 (en) | Agricultural products dryer | |
| KR101741216B1 (en) | Dryer | |
| CN104213380A (en) | Circulating air duct in bedding drying device | |
| KR101297908B1 (en) | Dryer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 |
| KR101996274B1 (en) | Drying system for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of warehouse-type | |
| KR101874688B1 (en) | Drier for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 |
| KR101541963B1 (en) | Energy-saving Dryer capsicum | |
| KR20170021074A (en) | Drying apparatus | |
| CN108844315B (en) | Drying device | |
| MX2013014270A (en) | Dryer configured to dry agricultural products and associated method. | |
| KR101826055B1 (en) | Agricultural dryer of uniform temperature control type using multi zone for drying bogie | |
| CN105865184A (en) | Drying system for continuous circulated operation | |
| CN206556368U (en) | Food materials drying unit | |
| KR101666054B1 (en) | the drying machine of a persimmon | |
| CN204097769U (en) | Circulation air path in bed clothes drying unit | |
| CN109059461B (en) | Drying device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606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70831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180220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180227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180227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10405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20203 Start annual number:5 End annual number: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21219 Start annual number:6 End annual number: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41223 Start annual number:8 End annual number:8 |